KR102573080B1 - 3개 이상의 카본 플레이트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 - Google Patents

3개 이상의 카본 플레이트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080B1
KR102573080B1 KR1020220063079A KR20220063079A KR102573080B1 KR 102573080 B1 KR102573080 B1 KR 102573080B1 KR 1020220063079 A KR1020220063079 A KR 1020220063079A KR 20220063079 A KR20220063079 A KR 20220063079A KR 102573080 B1 KR102573080 B1 KR 102573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pport
carbon plate
disposed
pl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아로미
Original Assignee
(주)익산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익산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익산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20063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26Composites, e.g. carbon fibre or aramid fibre; the sole, one or more sole layers or sole part being made of a composit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을 넣을 수 있고 상기 발의 상측을 감싸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넣어진 상기 발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평면상 전면으로부터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제3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카본 플레이트층, 및 상기 카본 플레이트층의 주변의 쿠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카본 플레이트층은 카본으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3개 이상의 카본 플레이트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Functional footwear comprising three or more carbon plate layers}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개 이상의 카본 플레이트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많은 신발 또는 기타 신발구는 일반적으로 어퍼 및 어퍼의 하단에 장착된 솔을 포함한다. 종래의 신발은 또한 어퍼와 솔의 내표면에 의해 생성해져 신발을 발에 고정하기 전에 사용자의 발을 받아 들이는 내부 공간, 즉 공동 또는 구멍을 포함한다. 솔은 어퍼의 아래 표면 또는 끝에 설치되고 어퍼와 지면 사이에 위치한다. 그 결과, 일반적으로 솔은 신발을 신고 있는 동안, 사용자에 대해 안정성과 쿠션성을 부여한다. 일부 예에서는 신발은 아웃솔, 깔창, 깔창 등의 복수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웃솔은 솔의 바닥면에 견인력을 부여할 수 있고, 깔창은 아웃솔의 내면에 장착되어 솔에 대해 쿠션성을 부여하고 또는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솔은 솔을 따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원하는 위치에서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독특한 발포체, 또는 사용자가 달리는, 걷는다, 또는 다른 활동에 종사하고 있을 때 발 또는 다리에 걸리는 스트레스나 충격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솔은 플레이트 등 등의, 솔에 의해 내장되어 솔 전체의 경도를 증대시켜 사용 시의 에너지 로스를 감소시키는 다른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는 일반적으로 솔에서 위로 연신하고 발을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싸는 내부 구멍을 정의한다. 많은 경우, 어퍼는 내측과 외측에 걸쳐 발등과 발끝의 영역 위에 연신한다. 많은 신발구는 또한 발등의 영역에 걸쳐 연신하는 집게를 포함할 수 있어, 집게는 공동으로의 입구를 정의하는 어퍼의 내측과 외측의 끝 사이의 간격을 중개한다. 집게는 또한 신발끈 시스템 하와 어퍼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설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신발의 꼭 낌을 조절할 수 있다. 집게는 또한 발을 내부 공간 또는 공동에 넣고 빼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신발끈 시스템은 사용자가 어퍼 또는 솔의 일정한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어퍼는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광범위의 타입 발을 수용할 수 있다.
많은 신발의 어퍼는 다양한 재료를 포함하고 이들은 어퍼를 형성하는 것에 이용되어 신발이 의도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용도에 기반한 사용을 위해 선택된다. 어퍼는 어퍼의 특정 에어리어에 특정이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퍼의 전방 또는 뒤꿈치 영역에 인접한 부분에는 높은 내성 또는 강성을 제공하도록, 높은 안정성이 요구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신발의 다른 부분은 내스트레치성, 유연성, 공기 투과성, 또는 투수성을 가지는 에어리어를 제공하기 위해 부드러운 짜여진 생지를 포함할 수 있다.
1. 일본공개특허문헌 JP 2022-023818 (2022.02.08)
2. 일본공개특허문헌 JP2016-198496 A (2016.12.01)
이에 본 발명은 신발 밑창이 카본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지지부의 탄성을 증가시켜 실제 운동이나 경기시 신발이 지면에 닿을 때 추진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은 발을 넣을 수 있고 상기 발의 상측을 감싸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넣어진 상기 발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평면상 전면으로부터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제3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카본 플레이트층, 및 상기 카본 플레이트층의 주변의 쿠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카본 플레이트층은 카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쿠션층은 상기 제3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쿠션층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카본 플레이트층은 복수개의 상기 쿠션층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 밑창이 카본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지지부의 탄성을 증가시켜 실제 운동이나 경기시 신발이 지면에 닿을 때 추진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카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어부의 상세한 구성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1)은 발을 넣을 수 있고 상기 발의 상측을 감싸는 바디부(BDP), 및 상기 바디부(BDP)의 하부에 연결되고 넣어진 상기 발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SSP)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BDP)는 통상의 신발의 윗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즉, 착용자의 발을 넣고 뺄 수 있는 오픈부를 포함하는 넥(Neck), 넥과 연결되고 두 개 이상의 끈으로 구성되어 착용자가 발을 신발에 넣고나서 매듭을 묶어 느슨하거나, 쪼일 수 있는 매듭부, 상기 넥부와 상기 매듭부와 연결되고, 지지부(SSP)의 바로 위에 배치된 메인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부는 상기 발의 상측을 감싸는 주요 부위로서, 신발의 기능에 따라 재질이 상이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신발이 운동용으로 제작된 경우, 상기 메인 바디부는 통풍 기능이나, 신축 기능이 있도록 신축성 좋은 메쉬(Mesh) 형상을 갖는 섬유들로 형성될 수 있다.
평면상 상기 메인 바디부는 상기 넥, 및 상기 매듭부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1)은 운동화일 수 있고, 특히, 마라톤 등에 이용되는 런닝화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1)이 런닝화임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바디부는 통풍 기능이나, 신축 기능이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 메쉬 형상을 갖고 신축성 좋은 섬유들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1)이 런닝화임에 따라, 지지부(SSP)의 기능 또한 매우 중요할 수 있다. 특히나, 지지부(SSP)가 지면에 바로 닿는 부위이기 때문에, 지지부(SSP)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면 지면에 닿을 때, 상기 탄성 재질로 인해 추진력을 얻을 수 있어, 마라톤 등에서 매우 유리하게 기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바디부(BDP)는 신발의 갑피일 수 있다. 바디부(BDP)는 신발(1)을 둘러싸고 있는 겉감으로, 발등과 관절 부위를 보호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바디부(BDP)로는 합성 피혁, 천연 피혁등이 이용될 수 있다.
지지부(SSP)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카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부(SSP)는 복수의 부분들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SSP)는 지지부(SSP)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P1), 지지부(SSP)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P2), 및 제1 지지부(P1)와 제2 지지부(P2) 사이의 제3 지지부(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P1)는 신발의 전면에 위치하는 영역이고, 제2 지지부(P2)는 신발의 후면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지지부(SSP)는 복수의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SSP)는 제1 지지부(P1) 내지 제3 지지부(P3)에 걸쳐 배치된 제1 지지층(170), 제1 지지층(17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지지부(P1) 내지 제3 지지부(P3)에 걸쳐 배치된 제2 지지층(160), 제2 지지층(16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지지부(P1)에 배치된 제3 지지층(110), 제3 지지층(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지지부(P1)에 배치된 제4 지지층(120), 제2 지지층(16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3 지지부(P3)에 배치된 제5 지지층(130), 제5 지지층(1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3 지지부(P3)에 배치된 제6 지지층(140), 및 제6 지지층(14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3 지지부(P3)에 배치된 제7 지지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4 지지층(1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지지부(P1) 및 제3 지지부(P3)에 걸쳐 배치된 제8 지지층(1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8 지지층(180) 및 제7 지지층(150)은 각각 신발(1)의 밑창과 연결되는 부분(예컨대, 하부 미드솔)일 수 있다. 상기 밑창은 신발의 가장 밑에 붙이는 창으로, 지면과 직접적으로 밀착되는 구성요소로서, 통상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기 위해 패턴이 형성되며,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게 된다. 예를 들어, 특별한 패턴이 형성되어서, 정보행자세를 가이드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제8 지지층(180) 및 제7 지지층(150)은 각각 상기 밑창과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파일론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지지층(170) 및 제2 지지층(160)은 상술한 바디부(BDP)와 결합(예컨대, 상부 미드솔)되며, 사용자의 발이 직접 닿거나 그 위에 쿠션 패드가 더해질 수 있다. 파일론 소재로 이루어지며, 파일론은 가볍고 충격흡수능력이 뛰어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층(110, 120, 130, 140)들은 상기 상부 미드솔과 상기 하부 미드솔 사이에 위치하는 중부 미드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부 미드솔의 지지층(110~140)들은 각각 충격 완화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부 미드솔의 지지층(110~140)들의 상기 충격 완화폼은 상기 상부 미드솔의 탄성 및 상기 하부 미드솔의 탄성보다 각각 큰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상기 상부 미드솔은 평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부(SSP)의 전 영역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3 지지부(P3)에는 쿠션층(AM1, AM2)들이 배치될 수 있다. 쿠션층(AM1, AM2)들은 에어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쿠션층(AM1)은 제2 지지층(160)의 하부 상에 배치되고, 제2 쿠션층(AM2)은 제1 쿠션층(AM1)의 하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쿠션층(AM1)은 제2 쿠션층(AM2)과 제2 지지층(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층(AM1, AM2)은 공기가 주입되어 형성된 에어셀로서, 공기압력에 의에 팽팽하게 공기층의 공간을 메우고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 플레이트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본 플레이트층들은 제2 지지층(160)과 제3 지지층(110) 사이, 및 제2 지지층(160)과 제5 지지층(130) 사이에 배치된 제1 카본 플레이트층(CP1), 제3 지지층(110)과 제4 지지층(120) 사이, 제1 쿠션층(AM1)과 제2 쿠션층(AM2) 사이, 및 제5 지지층(130)과 제6 지지층(140) 사이에 배치된 제2 카본 플레이트층(CP2), 및 제4 지지층(120)과 제8 지지층(180) 사이 및 제2 쿠션층(AM2)과 제8 지지층(180) 사이에 배치된 제3 카본 플레이트층(CP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본 플레이트층(CP1)은 제1 내지 제3 지지부(P1~P3)에 걸쳐 배치되고, 제2 카본 플레이트층(CP2)은 제1 내지 제3 지지부(P1~P3)에 걸쳐 배치되며, 제3 카본 플레이트층(CP3)은 제1 및 제3 지지부(P1, P3)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카본 플레이트층(CP1, CP2, CP3)은 카본 소재(또는 탄소 섬유)로 제작될 수 있으며,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카본 플레이트층(CP1)의 일 단부는 제2 및 제3 카본 플레이트층(CP2, CP3)의 일 단부들보다 각각 전단에 위치하고, 제3 카본 플레이트층(CP3)의 일 단부는 제2 카본 플레이트층(CP2)의 일 단부보다 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카본 플레이트층(CP1)의 타 단부는 제2 및 제3 카본 플레이트층(CP2, CP3)의 타 단부들보다 각각 후단에 위치하고, 제2 카본 플레이트층(CP2)의 타 단부는 제3 카본 플레이트층(CP3)의 타 단부보다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카본 플레이트층(CP1, CP2, CP3)은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소섬유는 많은 유기(有機) 고분자 섬유를 약 1000~3000℃로 소성하면 생성되는데, 현재 아크릴(폴리아크리로니트릴, PAN) 섬유, 피치섬유, 액정 피치섬유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비강도, 비탄성률 중 특히 비탄성률이 높은 것이 특징이며, 수지로 굳히면 가볍고 변형이 잘 되지 않는 재료이다. 본 발명에서는 망평면이 섬유축에 가깝게 배열된 고배향, 이방성 탄소섬유가 사용되며, 고배향 탄소섬유는 탄성률이 특히 높아 충격 완화에 더욱더 효과적인 소재이다. 이와 같은 고배향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 탄소 섬유층을 복수개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비탄성률이 우수하면서도 강한 충격에도 깨짐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카본 플레이트층(CP1, CP2, CP3)의 탄성은 인접한 지지층들의 탄성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카본 플레이트층(CP1, CP2, CP3)의 탄성은 제1 내지 제6 지지층(170, 160, 110, 120, 130, 140)들 각각의 탄성보다 클 수 있다.
제3 카본 플레이트층(CP3)이 제2 지지부(P2)에 배치되지 않은 이유는, 이미 인접한 지지층(140, 120)보다 탄성이 높은 하부 미드솔인 제7 지지층(150)이 제2 지지부(P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나아가, 제7 지지층(150)으로 인한 운동 시 착용자의 추진력을 높이기 위해 제7 지지층(150)의 두께가 제2 지지부(P2)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점차적으로 커졌다가 작아지는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었기 때문에, 별도로 제3 카본 플레이트층(CP3)를 제2 지지부(P2)에 배치하지 않아 비용 추가를 방지한 것이며, 마찬가지로, 제2 카본 플레이트층(CP2)이 제2 지지부(P2)의 전단부에만 배치되고, 나머지 영역에 배치되지 않은 이유 또한, 이미 인접한 지지층(140, 120)보다 탄성이 높은 하부 미드솔인 제7 지지층(150)이 제2 지지부(P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나아가, 제7 지지층(150)으로 인한 운동 시 착용자의 추진력을 높이기 위해 제7 지지층(150)의 두께가 제2 지지부(P2)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점차적으로 커졌다가 작아지는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었기 때문에, 별도로 제2 카본 플레이트층(CP2)을 제2 지지부(P2)의 전단부에만 배치시키고, 나머지 영역에는 배치하지 않아 추가적인 비용 추가를 방지한 것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의 기능성 신발(1)이 예시된 바와 같이, 마라톤 등에서 추진력을 얻기 위한 신발이기 때문에, 특히 달릴 때 신발(1)의 전단부에서 많은 추진력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내지 제3 카본 플레이트층(CP1, CP2, CP3)모두 전단부(도 2의 제1 지지부(P1), 및 제3 지지부(P3))에는 모두 배치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기능성 신발(1)이 예시된 바와 같이, 마라톤 등에서 추진력을 얻기 위한 신발이고, 빠르게 달릴 때 지면과 접촉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영역이 제3 지지부(P3)이기 때문에, 지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크게 완화하기 위해 쿠션층(AM1, AM2)들을 신발(1)의 전단부(예컨대, 제3 지지부(P3))에 배치한 것일 수 있다. 다만, 쿠션층(AM1, AM2)은 카본 플레이트층(CP1, CP2, CP3)들의 기능과 상이하게 상술한 바와 같이, 충격 완화 목적이기 때문에, 신발(1) 지면과 닿을 때, 충격 흡수로 인해, 큰 추진력 발생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충격 완화하는 쿠션층(AM1, AM2)들 사이에 제2 카본 플레이트층(CP2)를 배치하고, 각 쿠션층(AM1, AM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카본 플레이트층(CP1, CP3)를 배치함으로써, 쿠션층(AM1, AM2)의 충격 흡수로 인해, 큰 추진력 발생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보완하여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기능성 신발(1)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는 제4 카본 플레이트층(CP4)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에 따른 지지부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4 카본 플레이트층(CP4)는 제3 지지층(110)의 내측면, 및 제4 지지층(120)의 내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4 카본 플레이트층(CP4)는 단면상 제3 지지층(110)의 내측면, 및 제4 지지층(120)의 내측면과 쿠션층(AM1, AM2)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카본 플레이트층(CP4)는 제1 지지부(P1)와 제3 지지부(P3) 간의 경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카본 플레이트층(CP4)는 두께 방향을 연장되며, 제1 내지 제3 카본 플레이트층(CP1, CP2, CP3)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4 카본 플레이트층(CP4)는 두께 방향을 연장되며, 제1 내지 제3 카본 플레이트층(CP1, CP2, CP3) 각각과 연결됨으로써, 각 카본 플레이트층(CP1, CP2, CP3) 간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 외 설명은 도 2에서 상술한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따른 제4 카본 플레이트층(CP4)는 이하의 실시예들에 모두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의 제2 카본 플레이트층(CP2_1)는 영역별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도 2에 따른 지지부와 상이하다. 즉, 제2 카본 플레이트층(CP2_1)는 제1 두께(t1)를 갖는 제2-1 카본 플레이트층(CP2a), 및 제2-1 카본 플레이트층(CP2a)와 연결되고 제1 두께(t1)보다 큰 제2 두께(t2)를 갖는 제2-2 카본 플레이트층(CP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의 기능성 신발이 예시된 바와 같이, 마라톤 등에서 추진력을 얻기 위한 신발이기 때문에, 특히 달릴 때 신발의 전단부에서 많은 추진력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지지부(P1) 상의 제2 카본 플레이트층(CP2_1)의 제2-2 카본 플레이트층(CP2b)가 제1 두께(t1)보다 큰 제2 두께(t2)를 갖도록 배치됨으로써,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2-2 카본 플레이트층(CP2b)의 상면은 제2-1 카본 플레이트층(CP2a)의 상면보다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 외 설명은 도 2에서 상술한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의 제3 카본 플레이트층(CP3_1)는 영역별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도 2에 따른 지지부와 상이하다. 즉, 제3 카본 플레이트층(CP3_1)는 제1 두께(t1)를 갖는 제3-1 카본 플레이트층(CP3a), 및 제3-1 카본 플레이트층(CP3a)와 연결되고 제1 두께(t1)보다 큰 제2 두께(t2)를 갖는 제3-2 카본 플레이트층(CP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의 기능성 신발이 예시된 바와 같이, 마라톤 등에서 추진력을 얻기 위한 신발이기 때문에, 특히 달릴 때 신발의 전단부에서 많은 추진력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지지부(P1) 상의 제3 카본 플레이트층(CP3_1)의 제3-2 카본 플레이트층(CP2b)가 제1 두께(t1)보다 큰 제2 두께(t2)를 갖도록 배치됨으로써,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3-2 카본 플레이트층(CP3b)의 상면은 제3-1 카본 플레이트층(CP3a)의 상면보다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의 제2 카본 플레이트층(CP2_2)는 영역별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도 2에 따른 지지부와 상이하다. 즉, 제2 카본 플레이트층(CP2_2)는 제1 두께(t1)를 갖는 제2-1 카본 플레이트층(CP2a_1), 및 제2-1 카본 플레이트층(CP2a_1)와 연결되고 제1 두께(t1)보다 큰 제2 두께(t2)를 갖는 제2-2 카본 플레이트층(CP2b_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의 기능성 신발이 예시된 바와 같이, 마라톤 등에서 추진력을 얻기 위한 신발이기 때문에, 특히 달릴 때 신발의 전단부에서 많은 추진력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지지부(P1) 상의 제2 카본 플레이트층(CP2_2)의 제2-2 카본 플레이트층(CP2b_1)가 제1 두께(t1)보다 큰 제2 두께(t2)를 갖도록 배치됨으로써,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2-2 카본 플레이트층(CP2b_1)의 하면은 제2-1 카본 플레이트층(CP2a_1)의 하면보다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 외 설명은 도 2에서 상술한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는 제5 카본 플레이트층(CP5)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에 따른 지지부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5 카본 플레이트층(CP5)은 제6 지지층(140)과 제7 지지층(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카본 플레이트층(CP5)는 제6 지지층(140)과 제7 지지층(150) 사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제5 카본 플레이트(CP5)는 신발의 후단부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 외 설명은 도 2에서 상술한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따른 제5 카본 플레이트층(CP5)는 이하의 실시예들에 모두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어부의 상세한 구성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카본 플레이트(CP1_1, CP2_3, CP3_2)는 메모리폼에 카본 소재(또는 탄소 섬유)가 분산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카본 플레이트(CP1_1, CP2_3, CP3_2)는 메모리폼에 카본 소재가 분산된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두께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은 카본 플레이트(CP1_1, CP2_3, CP3_2)의 두께를 조절하는 제어부(CT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카본 플레이트층(CP1_1, CP2_3, CP3_2) 각각 내부에는 압력 센서(PS1, PS2, PS3)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PS1)는 제1 카본 플레이트층(CP1_1) 내부에 배치되고, 제2 압력 센서(PS2)는 제2 카본 플레이트층(CP2_3) 내부에 배치되고, 제3 압력 센서(PS3)는 제3 카본 플레이트층(CP3_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압력 센서(PS1, PS2, PS3)들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PS1)들은 제1 지지부(P1) 내지 제3 지지부(P3)에 배치되고, 제2 압력 센서(PS2)들은 제1 지지부(P1) 내지 제3 지지부(P3)에 배치되고, 제3 압력 센서(PS3)들은 제1 지지부(P1) 및 제3 지지부(P3)에 배치될 수 있다. 착용자의 신발을 착용한 후 마라톤을 하는 상황 등에서, 각 영역별(지지부별)로 센싱되는 압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CTP)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센서(PS1, PS2, PS3)들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압력센서제어부(410)를 포함하고, 온(ON)된 압력 센서(PS1, PS2, PS3)들이 각 영역별(지지부별) 및 상중하부별로 센싱되는 압력 정보를 생성하면 상기 압력 정보를 수신하는 압력 산출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TP)는 생성된 영역별(지지부별) 및 상중하부별로의 압력 정보들을 기초로 각 지지부별(P1, P2, P3) 및/또는 상부, 중부, 하부별 압력을 판단하는 압력 판단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지지부(P1)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PS1)는 지지부(SSP)의 상부 및 제1 지지부(P1)의 압력을 센싱(또는 압력 정보 생성)하고, 제3 지지부(P3)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PS1)는 지지부(SSP)의 상부 및 제3 지지부(P3)의 압력을 센싱(또는 압력 정보 생성)하고, 제2 지지부(P2)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PS1)는 지지부(SSP)의 상부 및 제2 지지부(P2)의 압력을 센싱(또는 압력 정보 생성)할 수 있다.
제1 지지부(P1)에 배치된 제2 압력 센서(PS2)는 지지부(SSP)의 중부 및 제1 지지부(P1)의 압력을 센싱(또는 압력 정보 생성)하고, 제3 지지부(P3)에 배치된 제2 압력 센서(PS2)는 지지부(SSP)의 중부 및 제3 지지부(P3)의 압력을 센싱(또는 압력 정보 생성)하고, 제2 지지부(P2)에 배치된 제2 압력 센서(PS2)는 지지부(SSP)의 중부 및 제2 지지부(P2)의 압력을 센싱(또는 압력 정보 생성)할 수 있다.
제1 지지부(P1)에 배치된 제3 압력 센서(PS3)는 지지부(SSP)의 하부 및 제1 지지부(P1)의 압력을 센싱(또는 압력 정보 생성)하고, 제3 지지부(P3)에 배치된 제3 압력 센서(PS3)는 지지부(SSP)의 하부 및 제3 지지부(P3)의 압력을 센싱(또는 압력 정보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CTP)는 압력 판단부(430)에 의해 판단된 지지부별(P1, P2, P3) 및 상중하부별 압력을 기초로 카본 플레이트(CP1_1, CP2_3, CP3_2)의 두께를 조절해야하는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440), 및 위치 산출부(440)를 통해 산출된 카본 플레이트(CP1_1, CP2_3, CP3_2)의 두께를 조절해야하는 위치의 조절되어야하는 두께를 산출하는 두께 산출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산출부(440)는 지지부별(P1, P2, P3) 및/또는 상부, 중부, 하부별로 판단된 압력 정보를 기초로 압력이 가장 큰 부분을 두께를 조절해야하는 위치로 산출(또는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께 산출부(450)는 지지부별(P1, P2, P3) 및/또는 상부, 중부, 하부별로 판단된 압력 정보를 기초로 압력이 가장 큰 부분을 두께를 조절해야하는 위치로 산출(또는 판단)된 위치의 커져야하는 두께를 산출할 수 있다. 두께의 조절(또는 두께의 증가)은 두께 산출부(450)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 수 있다. 두께의 조절(또는 두께의 증가)은 압력이 가장 큰 부분의 압력의 크기별(또는 크기 범위별)로 상이할 수 있다. 압력이 가장 큰 부분의 압력의 크기가 커질수록 대체로 증가되어야하는 두께는 더 증가할 수 있다.
제어부(CTP)는 CP제어부(460)를 더 포함하며, CP제어부(460)는 두께 산출부(450)를 통해 산출된 특정 영역(지지부별(P1, P2, P3) 및 상중하부별)의 증가되어야하는 두께를 기초로 해당되는 카본 플레이트층(CP1, CP2, CP3)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BDP: 바디부
SSP: 지지부
1: 기능성 신발

Claims (3)

  1. 발을 넣을 수 있고 상기 발의 상측을 감싸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넣어진 상기 발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평면상 전면으로부터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제3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카본 플레이트층, 및 상기 카본 플레이트층의 주변의 쿠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카본 플레이트층은 카본으로 구성되고,
    상기 쿠션층은 상기 제3 지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쿠션층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카본 플레이트층은 복수개의 상기 쿠션층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제1 지지부 내지 제3 지지부에 걸쳐 배치된 제1 지지층, 상기 제1 지지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 내지 상기 제3 지지부에 걸쳐 배치된 제2 지지층, 상기 제2 지지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에 배치된 제3 지지층, 상기 제3 지지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에 배치된 제4 지지층, 상기 제2 지지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지지부에 배치된 제5 지지층, 상기 제5 지지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지지부에 배치된 제6 지지층, 상기 제6 지지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지지부에 배치된 제7 지지층, 및 상기 제4 지지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에 걸쳐 배치된 제8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8 지지층 및 상기 제7 지지층은 각각 기능성 신발의 밑창과 연결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8 지지층 및 상기 제7 지지층은 각각 파일론 소재로 구성되어 하부 미드솔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지지층 및 상기 제2 지지층은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고, 상기 발이 직접 닿거나 그 위에 쿠션 패드가 더해지고, 상기 파일론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지지층 및 상기 제2 지지층은 상부 미드솔을 구성하고,
    상기 제3 지지층, 상기 제4 지지층, 상기 제5 지지층, 및 상기 제6 지지층은 상기 상부 미드솔과 상기 하부 미드솔 사이에 위치하는 중부 미드솔을 구성하고,
    상기 중부 미드솔은 각각 충격 완화폼을 포함하고,
    상기 중부 미드솔의 상기 제3 지지층, 상기 제4 지지층, 상기 제5 지지층, 및 상기 제6 지지층의 상기 충격 완화폼은 각각 상기 상부 미드솔의 탄성 및 상기 하부 미드솔의 탄성보다 각각 큰 탄성을 갖고,
    상기 상부 미드솔은 평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쿠션층들은 제1 쿠션층, 및 제2 쿠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쿠션층은 상기 제2 지지층의 하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쿠션층은 상기 제1 쿠션층의 하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카본 플레이트층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의 카본 플레이트층들은 상기 제2 지지층과 상기 제3 지지층 사이, 및 상기 제2 지지층과 상기 제5 지지층 사이에 배치된 제1 카본 플레이트층,
    상기 제3 지지층과 상기 제4 지지층 사이, 상기 제1 쿠션층과 상기 제2 쿠션층 사이, 및 상기 제5 지지층과 상기 제6 지지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카본 플레이트층, 및 상기 제4 지지층과 상기 제8 지지층 사이 및 상기 제2 쿠션층과 상기 제8 지지층 사이에 배치된 제3 카본 플레이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본 플레이트층은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부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제2 카본 플레이트층은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부에 걸쳐 배치되며, 상기 제3 카본 플레이트층은 상기 제1 및 제3 지지부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제1 카본 플레이트층의 일 단부는 상기 제2 카본 플레이트층 및 상기 제3 카본 플레이트층의 일 단부들보다 각각 전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카본 플레이트층의 일 단부는 상기 제2 카본 플레이트층의 일 단부보다 전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카본 플레이트층의 타 단부는 상기 제2 카본 플레이트층 및 상기 제3 카본 플레이트층의 타 단부들보다 각각 후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카본 플레이트층의 타 단부는 상기 제3 카본 플레이트층의 타 단부보다 후단에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카본 플레이트층들은 제1 두께를 갖고,
    각각의 상기 카본 플레이트층들의 탄성은 상기 제1 내지 제6 지지층들 각각의 탄성보다 크고,
    상기 제3 카본 플레이트층은 상기 제2 지지부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2 카본 플레이트층은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부에만 배치되고, 나머지 영역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지지부는 제4 카본 플레이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카본 플레이트층은 상기 제3 지지층의 내측면, 및 상기 제4 지지층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카본 플레이트층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3 지지부 간의 경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카본 플레이트층들 각각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카본 플레이트층은 상기 제1 두께를 갖는 제2-1 카본 플레이트층, 및 상기 제2-1 카본 플레이트층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갖는 제2-2 카본 플레이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카본 플레이트층은 상기 제1 두께를 갖는 제3-1 카본 플레이트층, 및 상기 제3-1 카본 플레이트층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상기 제2 두께를 갖는 제3-2 카본 플레이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본 플레이트층, 상기 제2 카본 플레이트층, 및 상기 제3 카본 플레이트층은 각각 메모리폼에 카본 소재가 분산된 재질로 제작되어 두께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기능성 신발은 상기 제1 카본 플레이트층, 상기 제2 카본 플레이트층, 및 상기 제3 카본 플레이트층 각각의 두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본 플레이트층의 내부에는 제1 압력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카본 플레이트층의 내부에는 제2 압력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제3 카본 플레이트층의 내부에는 제3 압력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압력 센서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압력 센서가 배치되는 영역별로 센싱되는 압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압력 센서들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압력센서제어부를 포함하고, 온(ON)된 상기 제1 내지 제3 압력 센서들이 각 상기 영역별 압력 정보를 생성하면 상기 압력 정보를 수신하는 압력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생성된 상기 영역별 압력 정보들을 기초로 각 상기 영역별 압력을 판단하는 압력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CP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CP제어부는 두께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영역별로 증가되어야하는 두께를 기초로 해당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카본 플레이트층들의 두께를 제어하는 기능성 신발.
  2. 삭제
  3. 삭제
KR1020220063079A 2022-05-23 2022-05-23 3개 이상의 카본 플레이트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 KR102573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079A KR102573080B1 (ko) 2022-05-23 2022-05-23 3개 이상의 카본 플레이트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079A KR102573080B1 (ko) 2022-05-23 2022-05-23 3개 이상의 카본 플레이트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080B1 true KR102573080B1 (ko) 2023-08-31

Family

ID=8784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079A KR102573080B1 (ko) 2022-05-23 2022-05-23 3개 이상의 카본 플레이트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0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902B1 (ko) * 1996-05-21 2005-12-12 비에프알 홀딩스 리미티드 개선된폭발저항성신발
JP2016198496A (ja) 2015-04-10 2016-12-01 アディダス アーゲー スポーツシューズ用のソール
JP2022023818A (ja) 2020-07-23 2022-02-08 プーマ エス イー ソール構造およびミッドソールアッセンブリ
KR20220056566A (ko)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에프엘에스솔루션 추진력을 강화한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902B1 (ko) * 1996-05-21 2005-12-12 비에프알 홀딩스 리미티드 개선된폭발저항성신발
JP2016198496A (ja) 2015-04-10 2016-12-01 アディダス アーゲー スポーツシューズ用のソール
JP2022023818A (ja) 2020-07-23 2022-02-08 プーマ エス イー ソール構造およびミッドソールアッセンブリ
KR20220056566A (ko)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에프엘에스솔루션 추진력을 강화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9048B2 (en) Stacked cushioning arrangement for sole structure
US10470521B2 (en) Sole structure for shoes and shoe with the sole structure
US6401365B2 (en) Athletic shoe midsole design and construction
JP7229249B2 (ja) アッパーとコンフォートソールとの間に挿入されたシェルを有する運動靴
US11064763B1 (en) Contoured thin soles
US6389713B1 (en) Athletic shoe midsole design and construction
JP5107360B2 (ja) スプリングアームを有するサポートアセンブリを備えた履物
CN101730486B (zh) 鞋的支承板装置
US8001704B2 (en) Footwear with a foot stabilizer
CA2609635C (en) Sole structure for a shoe
US20110047816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Performance Characteristic Tuning System
WO2015163482A1 (ja) スポーツ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
NO173763B (no) Monolittisk yttersaale
US20110179669A1 (en) Cushioning and shock absorbing midsole
US20060265902A1 (en) Sole structure for a shoe
US20160345668A1 (en) Articles of footwear and shoe soles for midfoot impact region
JP6630306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JP2002078506A (ja)
EP3675672B1 (en) Cushioning arrangement for temperature control of a sole structure
EP1002475A1 (en) Shoe sole structures with Stacked Compartments
KR102573080B1 (ko) 3개 이상의 카본 플레이트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
KR102529771B1 (ko) 하나의 쿠션층 및 두 개 이상의 카본 플레이트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
KR20220056566A (ko) 추진력을 강화한 신발
KR101208487B1 (ko) 보행추진부재가 내장된 신발
KR101452162B1 (ko) 족부피로저감과 체압분산형 지지패드가 설치된 신발안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