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672B1 - Portable Charger Using Wind Energy Generation - Google Patents

Portable Charger Using Wind Energy Gene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672B1
KR102572672B1 KR1020200172407A KR20200172407A KR102572672B1 KR 102572672 B1 KR102572672 B1 KR 102572672B1 KR 1020200172407 A KR1020200172407 A KR 1020200172407A KR 20200172407 A KR20200172407 A KR 20200172407A KR 102572672 B1 KR102572672 B1 KR 102572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wer generation
rotating shaft
inl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4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2993A (en
Inventor
김정호
김한결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2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672B1/en
Publication of KR20220082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9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6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23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urbines or similar engines
    • H02K7/183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urbines or similar engines wherein the turbine is a wind turb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F03D3/0409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surrounding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2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05B2240/12Fluid guiding means, e.g.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1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개구부로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유입받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별도로 형성되어 하우징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유출부를 포함하여 1인용 교통수단 등에 연결되어 외부공기를 내부로 받아들일 때 유입방향을 안내하고, 바람이 내부에서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면서 외부로 유출되는 과정에서의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수직형 풍력발전을 이용한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gene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 rotating shaft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charger. A plurality of blades rotated by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inlet and a power generation unit generating electric pow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wherein the housing is formed with an opening on the side of the housing to receive outside air, the inflow It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unit and is connected to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one person, includ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air in the housing, guiding the inflow direction when external air is received inside, and in the process of flowing out to the outside while rotating the blade inside the wind It relates to a charger using vertical wind power generation capable of increasing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minimizing air resistance.

Description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Portable Charger Using Wind Energy Generation}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Portable Charger Using Wind Energy Generation}

본 발명은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개구부로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유입받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별도로 형성되어 하우징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유출부를 포함하여 1인용 교통수단 등에 연결되어 외부공기를 내부로 받아들일 때 유입방향을 안내하고, 바람이 내부에서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면서 외부로 유출되는 과정에서의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수직형 풍력발전을 이용한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gene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 rotating shaft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charger. A plurality of blades rotated by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inlet and a power generation unit generating electric pow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wherein the housing is formed with an opening on the side of the housing to receive outside air, the inflow It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unit and is connected to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one person, includ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air in the housing, guiding the inflow direction when external air is received inside, and in the process of flowing out to the outside while rotating the blade inside the wind It relates to a charger using vertical wind power generation capable of increasing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minimizing air resistance.

최근 전동킥보드, 세그웨이 등 자동차 등의 교통수단에 비해 친환경적인 1인용 교통수단이 발달하고 있 특히,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따릉이 등 1인 모빌리티사업의 활성화와 함께 1인용 교통수단에 부가되는 기기들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전동킥보드 등 1인용 교통수단의 경우 전기를 사용하는 여러 기기가 사용되어 충전이 필수적인데, 충전에 들어가는 시간이 많아 사용 편의성에 문제가 있다.Recently, eco-friendly means of transportation for one person are developing compared to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cars such as electric kickboards and Segways. this is increasing In the case of transportation for one person, such as an electric kickboard, various devices that use electricity are used, so charging is essential.

한편, 풍력발전은 수평날개 구조를 이용하는 수평식 풍력발전과, 수직날개를 이용하는 수직식 풍력발전으로 구분되는데, 수평식 풍력발전의 경우 수평의 대형 날개(3개로 이뤄짐)를 회전시킴에 따라 발전을 하는 것으로, 바람의 세기가 강한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반면에 수직식 풍력발전은 바람의 세기가 수평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속의 바람에 의해서도 풍력 발전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ind power generation is divided into horizontal wind power generation using a horizontal blade structure and vertical wind power generation using vertical blades. It is mainly used in areas with strong winds. On the other hand, vertical wind power generation can generate wind power even with relatively low-speed wind compared to horizontal wind power generation.

그러나, 종래 풍력발전기는 지면에 고정되어 자연적으로 부는 바람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1인용 교통수단에 적용하는 것에 문제가 있고, 달리는 1인용 교통수단에 적용하는 경우 바람의 저항에 의해 발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1인용 교통수단에 연결되어 바람의 방향을 유도하고 내부에서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필요로 하고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wind power generator is fixed to the ground and operated by naturally blowing wind, there is a problem in applying it to a one-person transportation means, and when applied to a running one-person transportation means,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wind resistance. I have a falling problem. Therefore, there is a need in the industry to increas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inducing the direction of wind by being connected to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one person and minimizing internal resista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개구부로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유입받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별도로 형성되어 하우징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유출부를 포함하여 1인용 교통수단 등에 연결되어 교통수단의 주행시 외부공기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 rotating shaft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and being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to rotat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rotating by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inlet. It includes a plurality of blades and a power generation unit generating electric pow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housing is formed as an opening on the side of the inlet to receive external air, and an outlet formed separately from the inlet to discharge air from the housing. It is to provide a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generation that is connected to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one person, including a unit, and generates electricity using outside air while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s running.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유입부는 유입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루버, 상기 복수의 루버 사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여 상기 슬릿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바람의 유입방향을 안내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inlet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louv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let part and a plurality of slit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louvers so that external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slit so that wind is introduced. To provide a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generation that minimizes air resistance by guiding a dire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복수의 루버는 각각 하우징의 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연장되어 바람의 유입방향을 블레이드 방향으로 안내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louvers extends inward and outward of the housing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to guide the wind inflow direction to the blade dire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복수의 루버는 각각 하우징의 수직축에 대하여 소정의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상하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바람의 유입방향을 하측으로 안내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generation,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louvers extends upward and downward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housing, thereby guiding the inflow direction of the wind downward.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복수의 루버는 하우징의 중심에 대한 각도가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발전량을 조절할 수 있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genera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plurality of louver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본 발명의 목적은, 유출부는 하우징의 하면에 유체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된 공기를 하측으로 방출시키는 과정에서 바람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that minimizes resistance due to wind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inlet to the lower side, wherein the outlet is form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블레이드는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위부분이 이웃하는 단위부분에 대해 일정각도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비틀려 상하로 연장되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하측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저항을 최소화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blade is formed so that the unit part extending from the rotating shaft is offset by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neighboring unit part, and the blade is twisted as a whole and extends up and down to reduce resistance in the process of flow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downward. To provide a portable charger using minimized wind power gener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블레이드는 단위부분의 중앙 부분이 일측으로 함입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곡면을 형성하면서 연장되고, 상기 단위부분은 하우징의 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형성되는 슬릿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함입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unit portion of the blade is recessed to one side so that the blade extends while forming a curved surface, and the unit portion is air through a slit formed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constant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It is to provide a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that is incorporated in the inflow dire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위부분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굴곡져 형성되며, 블레이드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위부분의 곡률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유출부로 갈수록 공기가 균일하게 유동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nit part is formed by bending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unit par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blade so that air flows uniformly and is discharged toward the outlet. To provide a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gener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블레이드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위부분의 회전축 측 일단으로부터 하우징 측 일단까지의 중심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형성되도록 하여 유출부로 갈수록 공기가 균일하게 유동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central angle from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side of the unit part to one end of the housing sid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blade, so that air flows uniformly and is discharged toward the outlet. Using wind power generation To provide a portable charger.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축의 회전을 전력에너지를 변환하는 발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전부는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전자를 통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 및 생산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여 생산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include a power generation unit that converts rotation of a rotating shaft into power energy, wherein the power generation unit generates power through a rotor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ng shaft, and an inverter that converts the power generated by the generator. And to provide a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that stably supplies the produced power, including a charging terminal for supplying the produced power.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개구부로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유입받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별도로 형성되어 하우징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 rotating shaft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and rotating,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inlet It includes a plurality of blades rotating by the inflow of air and a power generation unit generating pow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housing is formed as an opening on a side surface to receive external air, and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inlet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outlet for discharging air in the hou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유입부는 유입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루버, 상기 복수의 루버 사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여 상기 슬릿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includes a plurality of louv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let, and a plurality of slit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louvers, through which the external ai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루버는 각각 하우징의 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louvers a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louvers extends inward and outward of the housing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constant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루버는 각각 하우징의 수직축에 대하여 소정의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상하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louvers a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louvers extends vertically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hou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루버는 하우징의 중심에 대한 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louver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is ch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출부는 하우징의 하면에 유체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된 공기를 하측으로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is formed to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inlet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블레이드는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위부분이 이웃하는 단위부분에 대해 일정각도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비틀려 상하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portion extending from the rotating shaft is formed to be offset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adjacent unit portion, and the blade is twisted as a whole and extends vertical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블레이드는 단위부분의 중앙 부분이 일측으로 함입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곡면을 형성하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unit portion is recessed to one side so that the blade extends while forming a curved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단위부분은 하우징의 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형성되는 슬릿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함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portion is inserted in a direction in which air is introduced through a slit formed at a predetermined and constant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단위부분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굴곡져 형성되며, 블레이드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위부분의 곡률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portion is formed to be curved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unit portion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bla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위부분의 회전축 측 일단으로부터 하우징 측 일단까지의 중심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angle from one end on the rotation axis side of the unit part to one end on the housing sid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upper end of the blade to the lower e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회전축의 회전을 전력에너지를 변환하는 발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전부는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전자를 통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 및 생산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power generation unit for conver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into electric power energy, wherein the power generation unit generates power through a rotor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ng shaft, in the genera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verter for converting the generated power and a charging terminal for supplying the generated power.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combining and using the above embodiments and configurations to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개구부로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유입받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별도로 형성되어 하우징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유출부를 포함하여 1인용 교통수단 등에 연결되어 교통수단의 주행시 외부공기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 rotating shaft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and a plurality of rotating shaft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rotating by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inlet. A power generation unit generating electric pow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a blade and the rotating shaft, and the housing includes an inlet formed as an opening on a side surface to receive external air, and an outlet formed separately from the inlet to discharge air from the housing.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generation that is connected to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one person and generates electricity using external air whe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s running.

본 발명은, 상기 유입부는 유입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루버, 상기 복수의 루버 사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여 상기 슬릿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바람의 유입방향을 안내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ouv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let unit and a plurality of slit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louvers to allow external air to flow in through the slits, thereby changing the inflow direction of the wind. It guides and provides the effect of minimizing air resistance.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루버는 각각 하우징의 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연장되어 바람의 유입방향을 블레이드 방향으로 안내하는 효과를 가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louvers extends inward and outward of the housing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and has an effect of guiding the inflow direction of wind toward the blade direction.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루버는 각각 하우징의 수직축에 대하여 소정의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상하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바람의 유입방향을 하측으로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louvers has an effect of guiding the inflow direction of the wind downward by extending up and down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constant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housing.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루버는 하우징의 중심에 대한 각도가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발전량을 조절하는 효과를 도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louvers derive an effect of adjusting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by changing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본 발명은, 유출부는 하우징의 하면에 유체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된 공기를 하측으로 방출시키는 과정에서 바람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portion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to minimize wind resistance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inlet portion to the lower side.

본 발명은, 상기 블레이드는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위부분이 이웃하는 단위부분에 대해 일정각도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비틀려 상하로 연장되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하측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저항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수반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is formed so that the unit part extending from the rotating shaft is offset by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neighboring unit part, and the blade is twisted as a whole and extends vertically to minimize resistance in the process of flow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downward. entails an effect

본 발명은, 상기 블레이드는 단위부분의 중앙 부분이 일측으로 함입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곡면을 형성하면서 연장되고, 상기 단위부분은 하우징의 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형성되는 슬릿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함입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extends while forming a curved surface by inden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unit portion to one side, and air flows in through the slit formed while the unit portion forms a predetermined constant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To provide a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generation that is incorporated in the direction of becoming.

본 발명은, 상기 단위부분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굴곡져 형성되며, 블레이드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위부분의 곡률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유출부로 갈수록 공기가 균일하게 유동하여 배출되는 효과를 가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part is formed by being bent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unit par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blade, so that air flows uniformly and is discharged toward the outlet. .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위부분의 회전축 측 일단으로부터 하우징 측 일단까지의 중심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형성되도록 하여 유출부로 갈수록 공기가 균일하게 유동하여 배출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angle from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side of the unit part to one end of the housing side is formed while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blade to the lower end, so that the air is uniformly discharged toward the outlet.

본 발명은, 회전축의 회전을 전력에너지를 변환하는 발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전부는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전자를 통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 및 생산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여 생산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ower generation unit that converts rotation of a rotating shaft into power energy, wherein the power generation unit generates power through a rotor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ng shaft, an inverter that converts the power generated by the generator, and production. It has the effect of stably supplying the generated power, including a charging terminal that supplies the generated power.

도 1은 종래의 풍력발전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1)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1)의 하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1)의 하측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루버(131)가 유입부(13) 내에서 연장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33)가 회전축(31)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블레이드(33)의 단위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33)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ind power generato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harger 1 using wind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we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harger 1 using wind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owe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harger 1 using wind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FIG. 3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BB 'of Figure 3
7 is a view showing that the louver 131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within the inlet 13
8 is a view showing that the blade 33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31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portion of a blade 3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blade 3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Unless there is a special definition,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if it conflicts with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Follow the definitions used in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구성요소 또한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명세서에 기재된 "~부","~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에 기재된 "연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가 동력이나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뜻하고 연결되는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and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herei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Terms such as "connection"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that each component is configured to transmit power or force, and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f other components between connected compon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1)의 하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1)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1)는 1인용 교통수단 등에 연결되어 외부공기를 내부로 받아들일 때 유입방향을 안내하고, 바람이 내부에서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면서 외부로 유출되는 과정에서의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수직형 풍력발전을 이용한 충전기이다. 상기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1)는 하우징(10), 회전부(30) 및 발전부(50)를 포함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harger 1 using wind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side of the portable charger 1 using wind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we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harger 1 using wind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2 to 4, the portable charger 1 using wind power generation is connected to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one person and guides the inflow direction when the outside air is received inside, and the wind rotates the blad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t is a charger using a vertical wind power generator that can increas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minimizing air resistance in the process of flowing into the air. The portable charger 1 using wind power generation includes a housing 10, a rotating part 30 and a power generation part 50.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회전부(30)와 발전부(50)를 수용하면서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1)의 외면을 구성한다. 하우징(10)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받아 내부의 회전부(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측면에 개구부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상하로 연장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하우징(10)은 개구부를 가진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하우징(10)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단면의 넓이가 변하면서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상기 하우징(10)은 바디(11), 유입부(13) 및 유출부(15)를 포함한다.The housing 10 constitutes an outer surface of the portable charger 1 using wind power while accommodating the rotation unit 30 and the power generation unit 50 therein. The housing 10 has an opening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ousing 10 to receive air from the outside and rotate the rotation unit 30 therein, and preferably extends vertically whil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S. 2 to 4,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ing, but the shape of the housing 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while changing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to form a truncated cone shape. It may have, but it does not exclude having a prismatic shape. The housing 10 includes a body 11, an inlet 13 and an outlet 15.

상기 바디(11)는 실질적으로 하우징(10)의 외면을 구성하며, 내부에 공간을 가져 회전부(30) 및 발전부(50)을 수용할 수 있고 유입부(13)와 유출부(15)가 구비되도록 개구부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바디(11)는 바람직하게는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면은 폐색되고 하면은 개방되거나 메쉬형태의 후술하는 유출부(15)가 구비될 수 있고, 측면에는 바디(11)의 둘레를 따라 소정 높이를 가진 개구부로 형성되는 유입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바디(11)는 내측 상단이 후술하는 회전축(31)과 연결되어 회전축(31)이 하우징(10)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바디는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30cm에서 50cm 내외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고, 반경은 10cm에서 30cm 내외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1 substantially constitutes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has a space therein to accommodate the rotation unit 30 and the power generation unit 50, and the inlet 13 and the outlet 15 are It is configured to have an opening so as to be provided. The body 11 preferably extends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upper surface is closed and the lower surface is open or may be provided with an outlet 15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form of a mesh, and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11 on the side surface. An inlet 13 formed of an opening having may be provided. The inner upper end of the body 11 is connected to a rotational shaft 31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rotational shaft 31 can rotate within the housing 10 . The body may preferably be vertically extended to a length of about 30 cm to about 50 cm, and a radius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of about 10 cm to about 30 cm.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유입부(13)는 하우징(10)의 일측면에 개구부로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유입받도록 형성된다. 후술하겠으나,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1)는 1인용 이동수단 등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는데, 1인용 이동수단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를 연결한 채로 달림에 따라 측면에 형성된 유입부(13)를 통해 외부공기가 바람으로써 유입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유입부(13)는 하우징(10)의 소정 높이에서 본체(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유입부(13)가 형성되는 상하길이는 후술하는 블레이드(33)와 상응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3)가 형성되는 상하길이는 블레이드(33)가 상하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유입부(13)는 외부 공기가 하우징(10) 내로 유입될 때, 회전축(31) 방향으로 유입되지 않고 블레이드(33)가 함입형성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13)는 복수의 루버(131)를 포함한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Referring to FIGS. 2 to 6 , the inlet 13 is formed as an opening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to receive outside ai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ortable charger 1 using wind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while being connected to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one person. Through the inlet 13 formed on the side according to the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by wind. 4, the inlet 13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1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housing 10, and the vertical length at which the inlet 13 is formed corresponds to that of the blade 33 described later. can do. An upper length at which the inlet portion 13 is formed may be smaller than a length at which the blade 33 extends vertically. The inlet 13 may be formed so that when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it is not introduc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31 but is introduced while rotat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ade 33 is recessed. The inlet 13 includes a plurality of louvers 131 .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루버(131)는 복수개가 유입부(13)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루버(131)는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루버(131)는 유입부(13)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유입부(13)의 일정 부분을 폐색하고 인접하는 루버(131) 사이에 슬릿을 형성하여 외부 공기가 하우징(1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루버(131)는 내외측으로 소정의 폭만큼 연장되되 각각 하우징의 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루버(131)가 하우징(10)의 중심인 회전축(31)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의 중심인 회전축(3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짐에 따라, 유입부(1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바로 회전축(31) 쪽으로 유동하지 않고 도 5에서와 같이 회전하면서 유입되어 블레이드(33)에 공기에 의한 압력이 원활하게 가해질 수 있다. 상기 루버(131)는 하우징(10)의 중심에 대한 각도가 변화될 수 있는데, 회전축(31)에 대한 루버(131)의 연장된 각도가 변화함에 따라 유입부(13)의 폐색 정도가 달라져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고, 루버(131)가 유입부(13)를 완전히 폐색하여 슬릿이 없어지는 경우 공기를 유입받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5 , a plurality of louvers 131 may be provided along the inlet 13 at regular intervals. The louver 131 may be composed of a plate extending to one side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e louver 131 extends vertically from the inlet 13 to block a certain portion of the inlet 13 and form a slit between adjacent louvers 131 so that outside air can flow into the housing 10. let it be The plurality of louvers 131 may extend inward and outward by a predetermined width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As the louver 131 does not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31, which is the center of the housing 10, but has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axis 31, which is the center of the hous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3 It does not flow directly toward the rotating shaft 31, but is introduced while rotating as shown in FIG. 5, so that air pressure can be smoothly applied to the blade 33. The angle of the louver 131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10 may be changed. As the angle of extension of the louver 131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axis 31 changes, the degree of occlusion of the inlet 13 changes and ai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flow amount of, and when the louver 131 completely blocks the inlet 13 and the slit disappears,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air.

도 7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루버(131)가 유입부(13) 내에서 연장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루버(131)는 유입부(13) 내에서 상하로 연장되는데, 도 7의 (a)와 같이 하우징(10)의 수직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루버(131)는 도 7의 (b)와 같이 하우징(10)의 수직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상하로 연장될 수도 있다. 루버(131)가 하우징(10)의 수직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비스듬하게 상하로 연장됨에 따라 루버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 또한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상기 슬릿을 통해 외부에서 바람이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유입될 수 있다.7 is a view showing that the louver 131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within the inlet 13. The louver 131 extends up and down within the inlet 13, and may extend up and down parallel to the vertical axis of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7(a). As shown in (b) of FIG. 7 , the louver 131 may extend upward and downward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housing 10 . As the louver 131 extends obliquely up and down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housing 10, the slits formed between the louvers are also formed obliquely, and wind from the outside rotates downward through the slit and flows in It can be.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유출부(15)는 유입부(13)와 별도로 형성되어 하우징 내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출부(15)는 하우징(1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유출부(15)는 하우징(10)의 하면에서 메쉬구조를 형성하여 유체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행하는 이동수단과 연결된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1)의 측면에 형성된 유입부(13)로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블레이드(33)를 회전시키면서 하측으로 유동한 후 유출부(15)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3 and 4 , the outlet 15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inlet 13 and is provided to discharge air in the housing.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15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The outlet 15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fluid by forming a mesh structur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As a result, outsid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3 formed on the side of the portable charger 1 using wind power connected to the traveling means of transportation, flows downward while rotating the blade 33, and flows through the outlet ( 15) can flow through.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10)은 연결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7)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1)를 1인용 이동수단 등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7)는 바디(11)로부터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되는 레그(171)와 실질적으로 체결되는 체결수단(17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그(171)는 바디(11)의 하면 외주로부터 하측으로 연결되고, 레그(171)의 일단에 체결수단(173)이 구비되어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1)가 거치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housing 1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17 . The connection unit 17 is provided to connect the portable charger 1 using wind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one person. The connection part 17 may include a fastening means 173 that is substantially fastened with the leg 171 extending from the body 11 to at least one sid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g 171 is connected dow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 and a fastening means 173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leg 171, so that a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 1) can be mounted or connected.

상기 회전부(30)는 하우징(10) 내에서 상기 하우징(10) 내로 유입된 공기 또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회전부(30)의 회전에너지를 후술하는 발전부(50)에서 전력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0)는 회전축(31), 블레이드(33) 및 연결로드(35)를 포함한다.The rotating part 30 is provided to rotate by air or wind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within the housing 10, and the rotational energy of the rotating part 30 is converted into power energy in a power generation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can do. The rotating part 30 includes a rotating shaft 31, a blade 33 and a connecting rod 35.

상기 회전축(31)은 하우징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31)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회전함으로써 회전에너지를 생성한다. 회전축(31)은 후술하는 발전기(51)와 연결된다. 회전축(31)은 하우징의 수직축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The rotating shaft 31 is provided to extend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The rotating shaft 31 generates rotational energy by being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and rotating. The rotating shaft 31 is connected to a generator 51 to be described later. The rotation axis 31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vertical axis of the housing.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33)가 회전축(31)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블레이드(33)의 단위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33)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블레이드(33)는 회전축(31)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31)를 통해 하우징(10) 내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하우징(10) 내에서 복수의 블레이드(33)가 구비되어 회전할 수 있다. 8 is a view showing that the blade 33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3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shows a cross section of a unit part of the blade 3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and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blade 3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6 and 8 to 10, the blade 33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31 and rotated by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inlet 31, In the housing 10, a plurality of blades 33 may be provided and rotated.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블레이드(33)는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위부분이 이웃하는 단위부분에 대해 일정각도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비틀려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블레이드(33)의 특정 높이에서의 단면을 단위부분이라 정의할 때, 상기 단위부분은 중앙 부분이 일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면서, 단위부분은 회전축(31) 측 일단으로부터 하우징(10) 측 일단까지 곡률을 가지면서 연장된다. 상기 단위부분은 이웃하는 단위부분과 일정각도 어긋나도록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도 8과 같이 비틀린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33)는 상단 단위부분(331)과 하단 단위부분(333)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33)의 형상에 따라 상단 단위부분(331)과 하단 단위부분(333)의 비틀림각(α)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33)가 3개가 구비되고 비틀림각(α)은 120°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 to 10 , the blade 33 is formed such that a unit portion extending from the rotating shaft is offset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n adjacent unit portion, and the blade 33 may be twisted as a whole and extended vertically. When the cross section at a specific height of the blade 33 is defined as a unit part, the unit part is formed by indenting the central part to one side, and the unit part has a curvature from one end on the rotation shaft 31 side to one end on the housing 10 side. is extended with The unit part is formed to be offset from the adjacent unit 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it has a twisted shape as shown in FIG. 8 as a whole. The blade 33 may include an upper unit portion 331 and a lower unit portion 333 .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lade 33, the twist angle α of the upper unit portion 331 and the lower unit portion 333 may be formed,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ee blades 33 are provided and twisted. Angle α may be 120°.

상기 단위부분의 중앙이 함입되는 방향은 상술한 루버(131)에 의해 형성되는 슬릿을 통해 외부공기가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6과 같이, 유입부에 형성된 복수의 루버(131)와 루버에 의해 형성되는 슬릿이 하우징의 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일정한 각도를 이루어 외부공기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입될 수 있는데, 블레이드(33)의 단위부분이 반시계방향으로 함입되면서 블레이드(33)의 회전 시 바람에 의한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A direction in which the center of the unit part is recessed may be a direction in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slit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louver 131 . As shown in FIG. 6, the plurality of louvers 131 formed in the inlet and the slits formed by the louvers form a predetermined constant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so that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while rotating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the unit part of 33 is inden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resistance due to wind during rotation of the blade 33 can be minimized.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단위부분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일측으로 함입되어 굴곡져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단 단위부분(331)은 r1의 곡률반경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고, 하단 단위부분(333)은 r2의 곡률반경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는데, 하단 단위부분(333)의 반경(r2)이 상단 단위부분(331)의 반경(r1)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33)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위부분의 곡률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술한 블레이드(33) 비틀려 형성되는 형상에 따라, 유입부(13)에서 유입된 외부공기가 블레이드(33)의 곡면을 타고 하강하면서 유입도리 때보다 균일하게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유출부(1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unit portion may be formed by being indented and curved on one side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unit portion 331 may be formed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r1, and the lower unit portion 333 may be formed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r2, but the lower unit portion ( 333) may be formed such that the radius r2 is greater than the radius r1 of the upper unit portion 331. Accordingly, the blade 33 may be formed such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unit portion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hape formed by twisting the above-described blade 33, th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13 descends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blade 33 while moving downward more uniformly than when the inlet is performed, and the outlet ( 15) can be discharged.

또한,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단위부분은 블레이드(33)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위부분의 회전축 측 일단으로부터 하우징 측 일단까지의 중심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단 단위부분(331)의 회전축(31) 측 일단으로부터 하우징(10) 측 일단까지의 중심각(β)은 180°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비해 연장된 하단 단위부분(333)의 중심각은 180°로 형성될 수 있다. 단위부분의 중심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형성됨으로써, 유입 시 블레이드(33)에 집중되는 외부공기의 유동이 하강시에는 하우징(10) 내에서 균일하게 유동하여 바람에 의한 내부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단 단위부분(331)의 중심각(β)은 특정 각도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단 단위부분(333)의 중심각도 180°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0 , the unit part may be formed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center angle from one end of the rotation axis side of the unit part to one end of the housing side from the upper end of the blade 33 to the lower e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angle (β) from one end of the upper unit portion 331 on the side of the rotating shaft 31 to one en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0 may be smaller than 180°. In contrast, the central angle of the extended lower unit portion 333 may be formed to be 180°. Since the central angle of the unit part is formed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flow of external air concentrated on the blade 33 upon inflow uniformly flows within the housing 10 when descending, thereby minimizing internal resistance caused by wi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angle β of the upper unit part 331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angle, and the central angle of the lower unit part 333 is not limited to 180°.

상기 연결로드(35)는 블레이드(33)와 회전축(31)을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블레이드(33)가 곡률을 가지면서 형성됨에 따라 연결로드(35)는 일단은 회전축(31) 또는 블레이드(33)의 회전축 측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블레이드(33)의 최외곽 부분, 즉 하우징(10) 측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로드(35)는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되어 상단 단위부분(331) 및 하단 단위부분(333)과 회전축(31)을 연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단 및 하단을 제외한 다른 단위부분과도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ng rod 35 is provided to connect the blade 33 and the rotating shaft 31. As the blade 33 is formed with a curvature, the connecting rod 35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31 or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side of the blade 33, and the other end to the outermost part of the blade 33, that is, It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ousing 10 side. The connecting rod 35 is provided at the top and bottom to connect the upper unit part 331 and the lower unit part 333 and the rotating shaft 31, 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units except for the upper and lower parts Parts can also be connected.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발전부(50)는 회전축(31)의 회전을 전력에너지를 변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발전부(50)는 회전축(31) 및 블레이드(33)의 회전에 의한 에너지를 변환함으로써 충전가능한 전력을 발생시키며, 생산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발전부(50)는 발전기(51), 인버터(53) 및 충전단자(5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3 and 4 , the power generation unit 50 may be provided to convert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31 into electric power energy. The generator 50 may generate chargeable power by converting energy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31 and the blade 33 and supply the generated power. The power generation unit 50 may include a generator 51 , an inverter 53 and a charging terminal 55 .

상기 발전기(51)는 실질적으로 회전축(31)의 회전을 전력으로 변환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발전기(51)는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수직축과, 증속기에 해당되는 기어박스에 의해 발전기의 회전자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즉 수직축의 회전력을 증속기에 전달할 수 있도록 수직축과 상기 발전모듈의 연결부위에 베벨기어 등이 구비되는 기어박스가 설치될 수 있다.The generator 51 may generate electrical energy by substantially conver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31 into electric power. The generator 51 interconnects the rotor of the generator by a vertical ax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blades of the wind turbine and a gear box corresponding to the gearbox. That is, a gear box having a bevel gear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vertical shaft and the power generation module so as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vertical shaft to the gearbox.

상기 인버터(53)는 발전기(51)에서 발생한 전력을 변환한다. 상기 인버터는 바람직하게는 교류를 직류로 및/또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함으로써 전력 공급이 대상과 호환되도록 한다.The inverter 53 converts power generated by the generator 51. The inverter preferably converts alternating current to direct current and/or direct current to alternating current so that the power supply is compatible with the subject matter.

상기 충전단자(55)는 생산 및 변환된 전력을 공급하며, 충전대상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충전단자(55)는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기기 또는 1인용 이동수단에 연결가능한 USB포트일 수 있다.The charging terminal 55 supplies generated and converted power and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a charging target. The charging terminal 55 may preferably be a USB port connectable to a portable device or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one person.

상기 발전부(50)는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센서는 충전단자가 연결된 축전수단의 충전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축전수단은 배터리 등일 수 있다. 상기 축전수단이 완충된 경우, 발전부(50)에서 더이상의 발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술한 루버(131)가 유입부(13)를 폐색하도록 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on unit 5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not shown), and the sensor is provided to detect the amount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unit to which the charging terminal is connected. The power storage means may be a battery or the like. When the power storage means is fully charged, the above-described louver 131 may block the inlet 13 so that no more power generation occurs in the power generation unit 50 .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foregoing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written disclosure and / or within the scope of skill or knowledge in the art. The written embodiment describes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in the specific application field and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ossible. Therefore,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to cover other embodiments as well.

1: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
10: 하우징 11: 바디
13: 유입부 131:루버
15: 유출부 17: 연결부
30: 회전부 31: 회전축
33: 블레이드 331: 상단 단위부분
333: 하단 단위부분
50: 발전부 51: 발전기
53: 인버터 55: 충전단자
1: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10: housing 11: body
13: inlet 131: louver
15: outlet 17: connection
30: rotating part 31: rotating shaft
33: blade 331: upper unit portion
333: lower unit part
50: power generation unit 51: generator
53: inverter 55: charging terminal

Claims (13)

측면에 개구부로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유입받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별도로 형성되어 하우징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유출부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부는 유입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루버, 상기 복수의 루버 사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여 상기 슬릿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복수의 루버는 각각 하우징의 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루버는 하우징의 중심에 대한 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
A housing having an inlet formed as an opening on the side to receive outside air and an outlet formed separately from the inlet to discharge air from the housing;
A rotating shaft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and being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to rotate;
A plurality of blade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rotated by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inlet; and
Including a power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pow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The inlet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louv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let part and a plurality of slit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louvers,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louvers is at the center of the housing. It extends inward and outward of the housing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constant angle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louvers are portable chargers using wind p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is chang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루버는 각각 하우징의 수직축에 대하여 소정의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상하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The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louvers extends vertically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hous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유출부는 하우징의 하면에 유체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된 공기를 하측으로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The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let is formed to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discharges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inlet to the lower side. 측면에 개구부로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유입받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별도로 형성되어 하우징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유출부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부는 유입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루버, 상기 복수의 루버 사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여 상기 슬릿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복수의 루버는 각각 하우징의 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위부분이 이웃하는 단위부분에 대해 일정각도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비틀려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단위부분의 중앙 부분이 일측으로 함입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곡면을 형성하면서 연장되고,
상기 단위부분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굴곡져 형성되며, 블레이드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위부분의 곡률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
A housing having an inlet formed as an opening on the side to receive outside air and an outlet formed separately from the inlet to discharge air from the housing;
A rotating shaft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and being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to rotate;
A plurality of blade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rotated by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inlet; and
Including a power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pow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The inlet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louv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let part and a plurality of slit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louvers,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louvers is at the center of the housing. It extends inward and outward of the housing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constant angle with respect to,
The blade is formed so that the unit portion extending from the rotating shaft is offset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adjacent unit portion, and is twisted as a whole to extend vertically,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unit portion is recessed to one side so that the blade extends while forming a curved surface. ,
The unit part is formed by bending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a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unit par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blade.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부분은 하우징의 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형성되는 상기 슬릿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함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The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unit part is recessed in a direction in which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slit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부분은, 블레이드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위부분의 회전축 측 일단으로부터 하우징 측 일단까지의 중심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Claim 10] The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unit part is formed with a central angle gradually increasing from one end of the rotation axis side of the unit part to one end of the housing side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bla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부분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굴곡져 형성되며, 블레이드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위부분의 회전축 측 일단으로부터 하우징 측 일단까지의 중심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unit part is formed by being bent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the central angle from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side of the unit part to one end of the housing sid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upper end of the blade to the lower en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 portable charger using wind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는 회전축의 회전을 전력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전부는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전자를 통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 및 생산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을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table charger using the wind power generation further comprises a power generation unit for conver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into electric power energy,
The power generation unit is portable using wind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enerator for generating power through a rotor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ng shaft, an inverter for conver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generator, and a charging terminal for supplying the generated power. charger.
KR1020200172407A 2020-12-10 2020-12-10 Portable Charger Using Wind Energy Generation KR1025726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407A KR102572672B1 (en) 2020-12-10 2020-12-10 Portable Charger Using Wind Energy Gen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407A KR102572672B1 (en) 2020-12-10 2020-12-10 Portable Charger Using Wind Energy Gene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993A KR20220082993A (en) 2022-06-20
KR102572672B1 true KR102572672B1 (en) 2023-09-01

Family

ID=8224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407A KR102572672B1 (en) 2020-12-10 2020-12-10 Portable Charger Using Wind Energy Gene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67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246B1 (en) * 2013-01-31 2014-04-07 (주)제이에이치에너지 Wind power generator for a tunnel or underground roadwa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772B1 (en) * 2000-12-30 2003-07-12 전정수 a generator
KR101031548B1 (en) * 2008-12-10 2011-04-27 하기전기주식회사 Wind power generator installed highw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246B1 (en) * 2013-01-31 2014-04-07 (주)제이에이치에너지 Wind power generator for a tunnel or underground roadw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993A (en)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96913A1 (en) Wind power generating system with vertical axis jet wheel turbine
US6590363B2 (en) Charging station
CN102812235B (en) Rotary power generator and make use of its centripetal force action type waterwheel
KR101309438B1 (en) Apparatus for wind power generator
US20200056576A1 (en) Pumped-storage hydroelectricity generator
KR102572672B1 (en) Portable Charger Using Wind Energy Generation
CN111005837A (en) Air turbine and power generation device
KR100531220B1 (en) Wind Force Generation Apparatus
US20130224039A1 (en) Rotor for Vertical Wind Power Station
KR100962241B1 (en) Wind power apparatus
RU114106U1 (en) WIND POWER MODULE
RU2539604C2 (en) Wind-driven power plant
ES2587791T3 (en) Generation apparatus
CN202811192U (en) Laminar-flow rotary-wing wind power generator
CN102852728A (en) Tower tube type narrow-pipe wind-collecting wind turbine generator
KR101302954B1 (en) Wind power generator apparatus
KR102088246B1 (en) Wind power generat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N103867395A (en) Lift-drag composite wind and rain generating set
KR102202269B1 (en) Blades for micro wind power generation and duct unit for micro wind power generation comprising the same
KR20140071848A (en) A blade apparatus for wind generator
CN207526638U (en) A kind of household small-size wind-driven generator convenient for multi-angle regulation
RU2645891C1 (en) Solar-wind power plant
KR20100026026A (en) Electric generator using wind velocity
CN216975113U (en) Fan blade assembly of tower crane type wind driven generator
CN217682076U (en)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