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512B1 - Apparatus for cleaning mask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leaning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512B1
KR102572512B1 KR1020170126499A KR20170126499A KR102572512B1 KR 102572512 B1 KR102572512 B1 KR 102572512B1 KR 1020170126499 A KR1020170126499 A KR 1020170126499A KR 20170126499 A KR20170126499 A KR 20170126499A KR 102572512 B1 KR102572512 B1 KR 102572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housing
partition wall
steriliza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4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6963A (en
Inventor
박상윤
문유진
원량진
박지유
강환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6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512B1/en
Publication of KR20190036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9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5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2215/003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with the assistance of blowing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내부공간을 가지며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동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마스크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모듈과, 상기 마스크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배치되는 살균모듈과, 상기 공기 유동구에 인접 배치되는 필터 및 공기의 유동 경로 상 상기 필터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마스크 청소 장치가 개시된다.A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having an air flow port through which air flows, a vibration generating modul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vibrating the mask, a sterilization module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ask, and the air flow port Disclosed is a mask cleaning device including a filter disposed adjacent to and a blowing fan disposed at a front end or a rear end of the filter on an air flow path to flow air.

Description

마스크 청소 장치{Apparatus for cleaning mask}Mask cleaning device {Apparatus for cleaning mask}

본 발명은 마스크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cleaning device.

지구의 기후 변화로 자주 발생되는 황사, 먼지 등 자연적인 대기 환경의 악화와 경제 발전에 따른 급격한 도시화에 대한 대기 오염, 인구 증가에 따른 환경오염과 인위적인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세균 등으로부터 개인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Personal health from deterioration of the natural atmospheric environment such as yellow dust and dust, which frequently occurs due to global climate change, air pollution caused by rapid urbanization due to economic development,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population growth, and dust or germs generated from artificial working environments. It is often necessary to wear a mask to protect.

또한, 일반적으로 극동아시아 지역에서는 봄철로 접어들면 중국으로부터 날아오는 황사로 대기는 극도로 오염된다. 이러한 황사는 해를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어 호홉기 계통의 질환은 물론이고 각종 알레르기성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의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generally in Far East Asia, the air is extremely polluted by yellow dust flying from China in the spring season. This yellow dust is getting more and more serious every year, and the number of people who complain of various allergic symptoms as well as diseases of the respiratory system is increasing every year.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 마스크의 착용이 늘어나고 있으나, 한 번 착용한 마스크는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천 마스크의 경우 세탁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세탁 시 방진이나 방균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Due to these problems, the wearing of masks is increasing recently,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sk cannot be reused once worn. And, in the case of a cloth mask,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washed and used continuously,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ustproof or antibacterial effect is lowered during washing.

따라서, 방진이나 방균효과가 떨어지지 않고 마스크를 청소한 후 재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 청소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mask cleaning device that can be reused after cleaning the mask without deteriorating the anti-dust or antibacterial effect.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141357호Japanese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3141357

사용한 마스크를 청소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마스크 청소 장치가 제공된다.A mask cleaning device is provided for cleaning a used mask so that it can be re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공간을 가지며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동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마스크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모듈과, 상기 마스크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배치되는 살균모듈과, 상기 공기 유동구에 인접 배치되는 필터 및 공기의 유동 경로 상 상기 필터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an air flow hole through which air flows is formed, a vibration generating modul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vibrating a mask, and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ask. It includes a sterilization module, a filter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flow port, and a blowing fan disposed at a front end or a rear end of the filter on an air flow path to flow air.

상기 하우징은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The housing may include a lower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upper hous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진동발생모듈이 설치되는 제1 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상기 제1 격벽에 대응되는 제2 격벽이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housing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wall in which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is installed, and a second partition wal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rtition wall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housing.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제1 격벽에 설치되는 제1 살균모듈과, 상기 제2 격벽에 설치되는 제2 살균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1,2 살균모듈은 UV 램프, 살균수가 함유된 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erilization module includes a first sterilization module installed on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a second sterilization module installed on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the first and second sterilization modules are at least one of a UV lamp and a pad containing sterilizing water. can be made into one.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제1 격벽에 설치되며, UV 램프, 살균수가 함유된 패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erilization module is installed on the first barrier rib, and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UV lamp and a pad containing sterilization water.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제2 격벽에 설치되며, 살균수가 함유된 패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erilization module is installed on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may be formed of any one of pads containing sterilization water.

상기 제2 격벽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며, 마스크는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An opening for air flow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arrier rib, and the mask may be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barrier rib and the second barrier rib.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마스크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module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of the mask.

사용한 마스크를 청소하여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has the effect of cleaning the used mask so that it can be reus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청소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청소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청소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청소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청소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청소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ask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ask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ask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ask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청소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청소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청소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sk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청소 장치(100)는 일예로서, 하우징(110), 진동발생모듈(120), 살균모듈(130), 필터(140) 및 송풍팬(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3, the mask clean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includes a housing 110, a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a sterilization module 130, and a filter 140.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lowing fan (150).

하우징(110)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마스크 청소 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일예로서, 하우징(1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외부 공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외부로 토출될 있도록 공기 유동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공기 유동구(111)는 슬릿 형상을 가지며,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has an inner space and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mask cleaning device 100 . As an example, the housing 11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Meanwhile, an air flow port 111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10 so that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an example, the air flow port 111 has a slit shape, and a plurality of air flow ports 111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또한,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을 하지며 상기한 공기 유동구(111)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112)과, 하부 하우징(112)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114)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 lower housing 112 hav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the air flow port 111 formed therein, and an upper housing 114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112 .

그리고, 하부 하우징(112)에는 진동발생모듈(120)이 고정 설치되는 제1 격벽(112a)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격벽(112a)은 대략 진동발생모듈(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제1 격벽(112a)은 사각형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Also, the lower housing 112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wall 112a in which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is fixedly installed. The first barrier rib 112a may have a shape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 As an example, the first barrier rib 112a may have a rectangular ring shape.

한편, 제1 격벽(112a)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 중 하단부는 기판(미도시)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즉, 제1 격벽(112a)의 하단부에는 기판이 설치되고, 기판의 상부에 진동발생모듈(12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140) 및 송풍팬(150)은 제1 격벽(112a)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barrier rib 112a may be sealed by a substrate (not shown). That is, a substrate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arrier rib 112a,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may be disposed above the substrate. In addition, the filter 140 and the blowing fan 15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so as to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partition wall 112a.

또한, 상부 하우징(114)에는 제1 격벽(112a)에 대응되는 제2 격벽(114a)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격벽(114a)에는 살균모듈(130)이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서, 제2 격벽(114a)은 제1 격벽(112a)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사각형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하부 하우징(112)과 상부 하우징(114)의 결합 시 제2 격벽(114a)의 끝단부는 제1 격벽(112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114 may include a second partition wall 114a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rtition wall 112a. A sterilization module 130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114a. As an example, the second barrier rib 114a may have a rectangular annular shap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barrier rib 112a. That is, when the lower housing 112 and the upper housing 114 are coupled, the end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14a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partition wall 112a.

한편, 제2 격벽(114a)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114b)가 형성된다. 개구부(114b)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an opening 114b is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114a to allow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flow. The opening 114b may have a slit shape.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격벽(114a)이 제1 격벽(112a)의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격벽(114a)과 제1 격벽(112a)의 끝단이 서로 접촉하도록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 격벽(112a)이 제2 격벽(114a)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second partition 114a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partition 112a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nds of the second partition 114a and the first partition 112a are not limited thereto. They may be formed in the same size so as to contact each other, and the first barrier rib 112a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barrier rib 114a.

진동발생모듈(120)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마스크(M)를 진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진동발생모듈(120)은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양단부가 하부 하우징(112)의 제1 격벽(112a)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and serves to vibrate the mask M. As an example,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both ends may be fixed to the first partition wall 112a of the lower housing 112 .

이와 같이, 마스크(M)의 진동에 의해 마스크(M)에 묻어 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마스크(M)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this way, foreign substances or dust buried in the mask M may be separated from the mask M by the vibration of the mask M.

진동발생모듈(120)은 압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탄성파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진동발생모듈(120)은 전기적 신호를 물리적 진동에 의한 탄성파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may be made of a piezoelectric material and serves to convert an input electrical signal into an elastic wave. That is,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serves to convert electrical signals into elastic waves by physical vibrations.

일예로서, 진동발생모듈(120)은 알루미늄 질화물(Aluminum Nitride), 도핑 알루미늄 질화물(Doped Aluminum Nitride), 산화아연(Zinc Oxide) 또는 지르콘 티탄산 납(Lead Zirconate Titanate)을 함유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an example,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aluminum nitride, doped aluminum nitride, zinc oxide, or lead zirconate titanate.

살균모듈(130)은 마스크(M)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마스크(M)를 살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살균모듈(130)은 제1 격벽(112a)에 설치되는 제1 살균모듈(132)과, 제2 격벽(114a)에 설치되는 제2 살균모듈(134)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살균모듈(132)은 살균수가 함유된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살균모듈(134)은 UV 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M)는 제1 살균모듈(132)에 안착되어 제1,2 살균모듈(132)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module 130 serves to sterilize the mask M by being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mask M. As an example, the sterilization module 130 may include a first sterilization module 132 installed on the first partition 112a and a second sterilization module 134 installed on the second partition 114a. Also,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132 may be made of a pad containing sterilizing water,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134 may be made of a UV lamp. Also, the mask M may be seated on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132 and sterilized by the first and second sterilization modules 132 .

한편, 제1 살균모듈(132)의 진동발생모듈(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진동발생모듈(120)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진동발생모듈(120)과 함께 진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installed above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of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132 and vibration is generated by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it may vibrate together with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살균모듈(132)이 살균수가 함유된 패드로 이루어지며, 제2 살균모듈(134)이 UV 램프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마스크(M)를 살균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변경되어 채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132 is made of a pad containing sterilizing water,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134 is made of a UV lamp.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changed and employed.

필터(140)는 공기 유동구(111)에 인접 배치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필터(140)는 외부 공기로부터 이물질 또는 먼저 등을 걸러내어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필터(140)는 다수의 필터링 수단의 결합체일 수 있다. 즉, 필터(140)는 일예로서, 프리필터, 전처리 필터, 기능필터, 헤파필터 및 탈취필터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조합된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lter 14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flow hole 111 . The filter 140 serves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or the like from the outside air so that they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an example, filter 140 may be a combination of multiple filtering means. That is, the filter 140 may include, for example, any one of a pre-filter, a pre-processing filter, a functional filter, a HEPA filter, and a deodorization filter, or a filter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are combined.

한편, 필터(14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의 양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터(140)는 공기 유동구(111) 중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유동구(111) 측에만 배치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lter 140 may b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lter 14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to be disposed only on the side of the air flow port 111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즉, 마스크(M)로부터 분리된 이물질 또는 먼지가 함유된 공기로부터 이물질 또는 먼지가 분리될 수 있도록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유동구(111) 측에만 필터(140)가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filter 140 may be installed only on the side of the air flow hole 111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foreign substances or dust can be separated from the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or dust separated from the mask M.

송풍팬(150)은 공기의 유동 경로 상 필터(140)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킨다. 송풍팬(150)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필터(140)와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즉, 송풍팬(150)에 의해 외부 공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The blowing fan 150 is disposed at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filter 140 on the air flow path to flow the air. The blowing fan 15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an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lter 140 . That is, after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0 by the blowing fan 150,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일예로서, 필터(140)와 송풍팬(150)은 프레임(미도시) 내에 설치되어 모듈화되어 하우징(110)에 설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lter 140 and the blowing fan 150 may be installed in a frame (not shown), modularized, and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

상기한 바와 같이, 진동발생모듈(120)을 통해 마스크(M)로부터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살균모듈(130)을 통해 마스크(M)의 살균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foreign substances or dust may be removed from the mask M through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and sterilization of the mask M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sterilization module 130.

나아가, 송풍팬(150)을 통해 공기를 유동시켜 마스크(M)로부터 분리된 이물질 또는 먼저 등을 필터(140)로 흡착하여 마스크(M)로 다시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by flowing air through the blowing fan 150, foreign substances or dust separated from the mask M may be adsorbed by the filter 14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or dust from being reattached to the mask M. there is.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청소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4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ask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M)는 제1 살균모듈(132)에 안착되며, 상부 하우징(114)이 하부 하우징(112)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마스크(M)는 제1 격벽(112a)와 제2 격벽(114a)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As shown in FIG. 4, the mask M is seated on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132, and the upper housing 114 is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112. Accordingly, the mask M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barrier rib 112a and the second barrier rib 114a.

이후, 진동발생모듈(120)과 송풍팬(150)을 구동시키면, 외부 공기가 하부 하우징(112)의 일측에 배치되는 공기 유동구(111)를 통해 유입된다. 이때, 외부 공기는 필터(140)를 통과하여 청정한 공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and the blowing fan 150 are driven, external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air flow port 11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housing 112 . At this time, the outside air may pass through the filter 140 and clean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0 .

이후,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2 격벽(114a)에 형성된 개구부(114b)를 통해 제1,2 살균모듈(132,134)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진동발생모듈(120)로부터 발생된 진동에 의해 마스크(M)로부터 분리된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유동하는 공기와 함께 제2 격벽(114a)의 외부로 유동된다.Thereafter,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0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erilization modules 132 and 134 through the opening 114b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114a. Accordingly, foreign matter or dust separated from the mask M by 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flows out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14a together with the flowing air.

이후, 필터(140)를 통과하여 이물질 또는 먼저 등이 필터(140)에 흡착되고 청정한 공기가 하부 하우징(112)의 타측에 배치되는 공기 유동구(11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Thereafter, foreign substances or the like are adsorbed to the filter 140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140 , and clean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flow port 111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housing 112 .

이와 동시에, 제1,2 살균모듈(132,134)를 통해 마스크(M)의 살균이 수행된다.At the same time, sterilization of the mask M is perform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terilization modules 132 and 134 .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청소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ask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청소 장치(200)는 일예로서, 하우징(210), 진동발생모듈(120), 살균모듈(230), 필터(140) 및 송풍팬(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mask clean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a housing 210, a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a sterilization module 230, a filter 140, and a blowing fa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150).

한편, 진동발생모듈(120), 필터(140) 및 송풍팬(150)은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에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도면에 도시하고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the filter 140, and the blowing fan 150 correspon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are shown in the drawings using the reference numerals us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here. I'm going to do it.

하우징(210)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마스크 청소 장치(2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일예로서, 하우징(2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하우징(210)의 측면에는 외부 공기가 하우징(2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외부로 토출될 있도록 공기 유동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공기 유동구(211)는 슬릿 형상을 가지며,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housing 210 has an inner space and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mask cleaning device 200 . As an example, the housing 21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Meanwhile, an air flow port 211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210 so that outsid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flowing into the housing 210 . As an example, the air flow port 211 may have a slit shape, and a plurality of air flow ports 211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또한, 하우징(210)은 내부 공간을 하지며 상기한 공기 유동구(211)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212)과, 하부 하우징(212)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214)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210 may include a lower housing 212 hav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the air flow port 211 formed therein, and an upper housing 214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212 .

그리고, 하부 하우징(212)에는 진동발생모듈(120)이 고정 설치되는 제1 격벽(212a)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격벽(212a)은 대략 진동발생모듈(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제1 격벽(212a)은 사각형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Also, the lower housing 212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wall 212a in which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is fixedly installed. The first barrier rib 212a may have a shape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 As an example, the first barrier rib 212a may have a rectangular ring shape.

한편, 제1 격벽(212a)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 중 하단부는 기판(미도시)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즉, 제1 격벽(212a)의 하단부에는 기판이 설치되고, 기판의 상부에 진동발생모듈(12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140) 및 송풍팬(150)은 제1 격벽(212a)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barrier rib 212a may be sealed by a substrate (not shown). That is, a substrate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arrier rib 212a,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may be disposed above the substrate. In addition, the filter 140 and the blowing fan 15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10 so as to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partition wall 212a.

또한, 상부 하우징(214)에는 제1 격벽(212a)에 대응되는 제2 격벽(214a)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격벽(214a)에는 살균모듈(230)이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서, 제2 격벽(214a)은 제1 격벽(212a)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사각형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하부 하우징(212)과 상부 하우징(214)의 결합 시 제2 격벽(214a)의 끝단부는 제1 격벽(212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214 may include a second partition wall 214a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rtition wall 212a. A sterilization module 230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214a. As an example, the second barrier rib 214a may have a rectangular annular shap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barrier rib 212a. That is, when the lower housing 212 and the upper housing 214 are coupled, the end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214a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partition wall 212a.

한편, 제2 격벽(214a)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214b)가 형성된다. 개구부(214b)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an opening 214b is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214a to allow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flow. The opening 214b may have a slit shape.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격벽(214a)이 제1 격벽(212a)의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격벽(214a)과 제1 격벽(212a)의 끝단이 서로 접촉하도록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 격벽(212a)이 제2 격벽(214a)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second partition wall 214a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partition wall 212a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nds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214a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212a are not limited thereto. They may be formed in the same size so as to contact each other, and the first barrier rib 212a may be formed to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barrier rib 214a.

또한, 제2 격벽(214a)에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형성부재(214c)가 구비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재(214c)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좁은 유로를 형성하여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하우징(210)의 내부에 부유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a passage forming member 214c for forming a passage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214a. The flow path forming member 214c has a plate shape and forms a narrow flow path to prevent foreign matter or dust from floating inside the housing 210 .

살균모듈(230)은 마스크(M)의 하부에 배치되어 마스크(M)를 살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살균모듈(230)은 제2 격벽(214a)에 설치된다. 또한, 살균모듈(230)은 살균수가 함유된 패드 또는 UV 램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erilization module 230 is disposed below the mask M and serves to sterilize the mask M. As an example, the sterilization module 230 is installed on the second partition wall 214a. 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module 230 may be made of either a pad containing sterilization water or a UV lamp.

한편, 살균모듈(230)은 진동발생모듈(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진동발생모듈(120)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진동발생모듈(120)과 함께 진동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erilization module 230 is installed on top of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and can vibrate together with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when vibration is generated by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청소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ask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청소 장치(300)는 일예로서, 하우징(110), 진동발생모듈(120), 살균모듈(330), 필터(140) 및 송풍팬(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mask cleaning device 3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a housing 110, a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a sterilization module 330, a filter 140, and a blowing fa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150).

한편, 하우징(110), 진동발생모듈(120), 필터(140) 및 송풍팬(150)은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로서 상기에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도면에 도시하고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110,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20, the filter 140, and the blowing fan 150 ar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are shown in the drawings using the reference numerals us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 here. to be omitted.

살균모듈(330)은 마스크(M)의 상부에 배치되어 마스크(M)를 살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살균모듈(330)은 상부 하우징(114)의 제2 격벽(114a)에 설치된다. 또한, 살균모듈(330)은 살균수가 함유된 패드 또는 UV 램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erilization module 330 is disposed above the mask M and serves to sterilize the mask M. As an example, the sterilization module 330 is installed on the second partition wall 114a of the upper housing 114 . 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module 330 may be formed of either a pad containing sterilization water or a UV lamp.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200, 300 : 마스크 청소 장치
110, 210 : 하우징
120 : 진동발생모듈
130, 230, 330 : 살균모듈
140 : 필터
150 : 송풍팬
100, 200, 300: mask cleaning device
110, 210: housing
120: vibration generating module
130, 230, 330: sterilization module
140: filter
150: blowing fan

Claims (8)

내부공간을 가지며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동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마스크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모듈;
상기 마스크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배치되는 살균모듈;
상기 공기 유동구에 인접 배치되는 필터; 및
공기의 유동 경로 상 상기 필터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진동발생모듈이 설치되는 제1 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상기 제1 격벽에 대응되는 제2 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제1 격벽에 설치되는 제1 살균모듈과, 상기 제2 격벽에 설치되는 제2 살균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1,2 살균모듈은 UV 램프, 살균수가 함유된 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청소 장치.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an air flow port through which air flows;
a vibration generating modul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vibrating the mask;
a sterilization module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ask;
a filter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flow port; and
a blowing fan disposed at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filter on the air flow path to flow the air;
Including,
The housing includes a lower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upper hous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The lower housing is provided with a first partition in which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is installed,
The upper housing is provided with a second partition wal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rtition wall,
The sterilization module includes a first sterilization module installed on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a second sterilization module installed on the second partition wall,
The first and second sterilization modules are mask cleaning device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UV lamp and a pad containing sterilization wa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며,
마스크는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마스크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opening for air flow is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A mask cleaning device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barrier rib and the second barrier ri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마스크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마스크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erilization module is a mask cleaning devic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ask.

KR1020170126499A 2017-09-28 2017-09-28 Apparatus for cleaning mask KR1025725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499A KR102572512B1 (en) 2017-09-28 2017-09-28 Apparatus for cleaning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499A KR102572512B1 (en) 2017-09-28 2017-09-28 Apparatus for cleaning mas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963A KR20190036963A (en) 2019-04-05
KR102572512B1 true KR102572512B1 (en) 2023-08-30

Family

ID=6610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499A KR102572512B1 (en) 2017-09-28 2017-09-28 Apparatus for cleaning 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5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95363B (en) * 2020-03-16 2020-12-29 青岛市市立医院 Cell laboratory gauze mask disinfecting equipment
CN111420092B (en) * 2020-04-08 2021-02-19 泰山职业技术学院 Full-automat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box for mask and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 thereof
KR102380404B1 (en) 2020-07-15 2022-03-29 노하승 Automatic operating mask sterilizer
KR102187359B1 (en) * 2020-07-17 2020-12-04 주식회사 엠케이일렉 Portable mask dryer
KR102417978B1 (en) * 2020-07-28 2022-07-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drying device for electrostatic mask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956848A (en) * 2020-08-27 2020-11-20 安徽润雪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Household mask disinfection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8678A (en) * 2009-10-09 2011-04-21 Aroma Science Kk Mask steriliz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535A (en) * 2003-06-25 2004-06-05 (주)덕성이엔지 Versatile dry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8678A (en) * 2009-10-09 2011-04-21 Aroma Science Kk Mask steril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963A (en)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512B1 (en) Apparatus for cleaning mask
CN107567348B (en) Air purifier
DE50202082D1 (en) PLATE FILTRATION MODULE
CN105841248B (en) Air conditioner
KR200399987Y1 (en) Filter unit of air cleaner
KR101504550B1 (en) Mattress Structure Having Air Purification Function
KR20160071081A (en) Air purifying device
JP6208583B2 (en) Air cleaner
CN105666528A (en) Circulating filtration device for clean room, clean room and glove box
KR102275894B1 (en) Wet type air Cleaner
JP6484459B2 (en) How to take out the storage bag
KR102423357B1 (en) Air cleaner
CN106486345A (en) The manufacture method of mask structure
KR20100052375A (en) Air cleaner
KR102551505B1 (en) Modular type air cleaner
JP6576649B2 (en) Air purifier
CN213728456U (en) Dust cover is used in gauze mask processing
KR102377145B1 (en) Quarantine Gate Having Disinfectant Spraying Part
KR200414980Y1 (en) FFU with ionizer
KR20190014202A (en) Air cleaning apparatus
JP6484458B2 (en) Filter cleaning device and filter cleaning method for air cleaning device
KR20190036043A (en) Air purifier equipped with spray type wet nozzle
JP2006187687A (en) Table air cleaner
SE0401330D0 (en) Filter cassette consisting of a housing surrounding a week filter mat with spacer between parallel opposite filter mat parts
KR20230028611A (en) Smart ai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