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067B1 - Separate drip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piral movement direction of water supply unit - Google Patents

Separate drip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piral movement direction of water supply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067B1
KR102572067B1 KR1020230041518A KR20230041518A KR102572067B1 KR 102572067 B1 KR102572067 B1 KR 102572067B1 KR 1020230041518 A KR1020230041518 A KR 1020230041518A KR 20230041518 A KR20230041518 A KR 20230041518A KR 102572067 B1 KR102572067 B1 KR 102572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muffin
dripper
coffe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15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정현
우성철
김병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엔씨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엔씨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엔씨알
Priority to KR1020230041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0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067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커피 드립 장치가 개시된다. 본 커피 드립 장치는, 분쇄된 커피 원두가 수용된 드립퍼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급수부의 급수 지점이 변경되도록 급수부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구동부, 드립퍼에 수용된 커피 원두 중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급수부를 통해 드립퍼에 물을 공급하여, 수분을 머금은 커피 원두 및 기포로 구성된 머핀을 형성하는, 머핀 형성 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머핀의 크기를 식별한다. 머핀 형성 단계에서, 제어부는, 머핀의 크기가 머핀 형성 단계에 대하여 기설정된 최대 급수 반경에 도달할 때까지, 구동부를 통해 급수부의 급수 지점을 중앙에서 외곽으로 나선형으로 변경하면서 급수부를 통해 드립퍼에 물을 공급한다.A coffee drip device is disclosed. The present coffee drip device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a dripper containing ground coffee beans, a driving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so that the water supply point of the water supply unit is changed, and photographing at least some of the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dripper. It includes a camera and a control unit for The control unit supplies water to the dripp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to perform the muffin forming step of forming muffins composed of coffee beans and air bubbles containing moistur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dentifies the size of the muffin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In the muffin forming step, the control unit spirally changes the water supply point of the water supply unit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through the driving unit until the size of the muffin reaches the preset maximum water supply radius for the muffin forming step, while water is supplied to the dripp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supply

Description

급수부의 나선 이동 방향을 자동 제어하는 커피 드립 장치 { SEPARATE DRIP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PIRAL MOVEMENT DIRECTION OF WATER SUPPLY UNIT }Coffee drip device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spiral movement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 SEPARATE DRIP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PIRAL MOVEMENT DIRECTION OF WATER SUPPLY UNIT }

본 개시는 커피 드립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드립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젖은 커피 분말이 부풀려진 형태를 의미하는 머핀의 크기 및 모양을 바탕으로 급수량과 급수 지점을 설정하는 커피 드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ffee drip device that extracts coffee by automatically performing coffee drip, and more particularly, to set the water supply amount and water supply point based on the size and shape of a muffin, which means a form in which wet coffee powder is inflated. It relates to a coffee drip device.

커피 추출에 있어서 반드시 거치는 3가지 과정은 침투, 용해, 분리의 과정이다. 적절하게 분쇄된 커피입자 속으로 용매인 물(뜨거운 물 또는 차가운 물)이 침투하여 커피속으로 스며들었다가 커피입자 중 녹는 성분이 용매인 물에 용해되어 용액이 되고, 이윽고 녹지 않는 커피 입자와 용액이 서로 분리되어 추출된다.The three processes that must go through in coffee extraction are the process of infiltration, dissolution, and separation. The solvent water (hot water or cold water) permeates into the properly ground coffee particles and permeates into the coffee, and then the soluble component among the coffee particles is dissolved in the solvent water to form a solution, and eventually the insoluble coffee particles and the solution are extract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커피 추출 방식으로는 에스프레소, 사이폰, 모카포트, 프렌치프레스, 터키식 커피추출, 더치커피 및 핸드드립 등의 방식이 있다. 추출방식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이 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기에 개인의 기호에 맞는 커피 추출 방식을 선택해서 음용하게 된다.Coffee extraction methods include espresso, siphon, moka pot, French press, Turkish coffee extraction, Dutch coffee, and hand drip. Depending on the extraction method, the taste and aroma of coffee have many differences.

이 중 소비자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방식 중 으뜸이 핸드드립이다. 핸드드립은 여과지를 통해서 추출하기 때문에 잡맛이 덜하고, 커피 중 포함된 카페스톨과 같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는 성분을 많이 감소시킬 수 있다.Among the methods that are receiving good reviews from consumers, hand drip is the best. Since hand drip is extracted through a filter paper, it has less unpleasant taste and can greatly reduce components that increase cholesterol levels such as cafestol contained in coffee.

이러한 핸드드립은 다시 침지식 방식과 투과식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침지식 방식의 핸드드립 보다는 투과식 방식이 조금 더 잡미와 잡향이 적게 발현된다.This hand drip can be further divided into an immersion type method and a permeation type method, and the permeation type method is slightly less flavorful and miscellaneous than the immersion type hand drip method.

이렇듯 투과식 핸드드립으로 추출한 커피에는 98% 이상의 물과 2% 이내의 용존 고형물이 섞여져 있고, 이 용존 고형물 중에는 긍정적인 맛과 향인 좋은 아로마, 단맛, 산미, 고소한향, 초콜릿 향과 맛, 그리고 적절한 바디(Body)와 좋은 여운(After taste)을 내는 성분 등이 있고, 부정적인 맛과 향으로는 쓴맛, 떫은 느낌, 탄향, 담뱃재 같은 타바코향, 시고 떫은 맛 등이 함께 존재한다. In this way, coffee extracted by permeation type hand drip is mixed with more than 98% of water and less than 2% of dissolved solids. There are ingredients that give a proper body and good aftertaste, and negative tastes and aromas include bitterness, astringency, burnt smell, tobacco flavor such as cigarette ash, and sour and astringent taste.

커피가 가지고 있는 좋은 맛과 향은 긍정적인 맛을 내는 성분이 잘 추출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결정되기도 하지만, 부정적인 맛을 내는 성분의 추출이 최소화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여겨진다.Although the good taste and aroma of coffee is determined by ensuring that components with positive flavors are extracted well, it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t extraction of components with negative flavors is minimized.

특히 커피에 함유되어 있는 카페인은 우리몸에 이로운 작용 즉 각성 효과, 암 등의 예방, 신진대사 활동의 증진, 혈핵 순환에 도움 등의 작용을 하지만, 많은 양의 커피를 섭취할 경우 사람에 따라 두통유발, 불면증, 심장 튀는 증상 및 위가 약한 사람에게는 위염 증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맛과 향이 살아있으면서 부작용을 일으키는 성분이 낮아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우수한 커피를 추출하는 것이 필요하다.In particular, caffeine contained in coffee has beneficial effects on our body, such as awakening effect, prevention of cancer, etc., promotion of metabolic activity, and help in blood circulation. Side effects such as triggering, insomnia, heart palpitations, and gastritis symptoms for those with a weak stomach may occu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tract excellent coffee that is beneficial to health with low components that cause side effects while maintaining the taste and aroma.

등록특허공보 제10-2385680호(분리 드립 커피 및 커피 원액을 순차적으로 추출하는 방법)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385680 (Method of sequentially extracting separated drip coffee and coffee undiluted solution)

본 개시는 커피 원두 분말에 급수를 수행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드립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offee drip device for extracting coffee by supplying water to coffee bean powder.

본 개시는 머핀의 크기 및/또는 모양에 따라 급수 지점 및/또는 급수량을 조절하여, 분리 드립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최적의 커피 맛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커피 드립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offee drip device that adjusts a water supply point and/or water supply amount according to the size and/or shape of a muffin to produce an optimal coffee taste based on the separate drip theory.

본 개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개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disclosure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는, 분쇄된 커피 원두가 수용된 드립퍼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의 급수 지점이 변경되도록 상기 급수부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구동부, 상기 드립퍼에 수용된 커피 원두 중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급수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카메라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드립퍼에 물을 공급하여, 수분을 머금은 커피 원두 및 기포로 구성된 머핀을 형성하는, 머핀 형성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머핀의 크기를 식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머핀 형성 단계에서, 상기 머핀의 크기가 상기 머핀 형성 단계의 최대 급수 반경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급수부의 급수 지점을 중앙에서 외곽으로 나선형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드립퍼에 물을 공급한다.A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a dripper containing ground coffee beans; a driving unit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supply unit to change a water supply point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dripper. It includ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at least some of the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unit, the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amera. The control unit performs a muffin forming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dripp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to form muffins composed of coffee beans and air bubbles containing moisture, and identifying the size of the muffin photographed by the camera. . In the muffin forming step, the control unit spirally changes the water supply point of the water supply unit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through the driving unit until the size of the muffin reaches the maximum water supply radius in the muffin forming step, while changing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water supply unit. Water is supplied to the dripper through th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머핀 형성 단계에서, 상기 머핀의 크기가 상기 머핀 형성 단계에 대하여 기설정된 최대 급수 반경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급수부의 급수 지점을 중앙에서 외곽으로 나선형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드립퍼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머핀의 크기가 상기 머핀 형성 단계에 대하여 기설정된 최소 급수 반경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급수부의 급수 지점을 외곽에서 중앙으로 나선형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드립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In the muffin forming step, the control unit spirally changes the water supply point of the water supply unit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through the driving unit until the size of the muffin reaches the preset maximum water supply radius for the muffin forming step. Water is supplied to the dripp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water supply point of the water supply unit spirally moves from the outer edge to the center through the driving unit until the size of the muffin reaches the preset minimum water supply radius for the muffin forming step. While changing,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dripp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상기 커피 드립 장치는, 상기 머핀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머핀 형성 단계 이후 상기 형성된 머핀에 대한 급수에 휴지 시간을 확보하는, 뜸들이기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뜸들이기 단계에서, 상기 머핀 형성 단계의 급수가 종료된 시점 또는 상기 머핀의 높이가 최고인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드립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 coffee drip device may include a dist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muffi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a steaming step of securing a rest time for supplying water to the formed muffins after the muffin forming step. The control unit may supply water to the dripp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point at which the water supply in the muffin forming step is completed or the point at which the height of the muffin is the highest in the steaming step.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뜸들이기 단계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머핀의 모양을 바탕으로, 순차적으로 물이 떨어지는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급수부의 급수 지점을 상기 설정된 경로에 따라 변경하면서,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드립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teaming step, based on the shape of the muffin photographed by the camera, the control unit sets a path through which water falls sequentially, and the water supply point of the water supply unit is set on the set path through the driving unit. While changing accordingly,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dripp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또한, 상기 커피 드립 장치는, 상기 드립퍼에서 추출된 커피 용액을 수용하는 서버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서버의 무게를 바탕으로, 상기 서버에 수용된 커피 용액의 양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뜸들이기 단계에서, 1차 급수에 따라 상기 서버에 수용된 커피 용액의 양이 기설정된 선추출 한계 이상 증가한 경우, 상기 뜸들이기 단계의 최종 대기를 수행하고, 상기 1차 급수에 따라 상기 서버에 수용된 커피 용액의 양이 상기 기설정된 선추출 한계 미만으로 증가한 경우, 일정 시간의 대기 이후 2차 급수를 수행하고, 상기 2차 급수에 따라 상기 서버에 수용된 커피 용액의 양이 상기 기설정된 선추출 한계 이상 증가한 경우, 상기 뜸들이기 단계의 최종 대기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ffee drip device may include a weight sensor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server accommodating the coffee solution extracted from the dripper.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measured weight of the server, can identify the amount of coffee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server. In addition, in the steaming step, when the amount of coffee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server increases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pre-extraction limit according to the first water supply,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final standby of the steaming step, and the first water supply When the amount of the coffee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server increases to less than the predetermined pre-extraction limit according to the above, a second water supply is performed after waiting for a certain time, and the amount of the coffee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server according to the second water supply is the above If the increase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pre-extraction limit, the final standby of the steaming step may be perform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뜸들이기 단계 이후 커피 용액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 단계에서, 상기 뜸들이기 단계의 급수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후의 시점 또는 상기 뜸들이기 단계 이후 상기 머핀의 높이가 낮아지기 시작하는 시점이 되면,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드립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an extraction step for extracting a coffee solution after the steaming step.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in the extraction step, when a certain time after the water supply of the steaming step ends or when the height of the muffins starts to decrease after the steaming step,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dripper.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뜸들이기 단계 이후 상기 머핀의 크기를 바탕으로, 상기 추출 단계의 최대 급수 반경 및 최소 급수 반경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 단계에서, 상기 머핀의 크기가 상기 추출 단계의 최대 급수 반경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급수부의 급수 지점을 중앙에서 외곽으로 나선형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드립퍼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머핀의 크기가 상기 추출 단계의 최소 급수 반경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급수부의 급수 지점을 외곽에서 중앙으로 나선형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드립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set the maximum water supply radius and the minimum water supply radius of the extraction step based on the size of the muffin after the steaming step. In the extraction step, the control unit spirally changes the water supply point of the water supply unit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through the driving unit until the size of the muffin reaches the maximum water supply radius of the extraction step, while changing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water supply unit. water is supplied to the dripp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water supply point of the water supply unit is spirally changed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through the drive unit until the size of the muffin reaches the minimum water supply radius of the extraction step.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dripper.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 단계에서, 상기 급수부의 급수량이 기설정된 급수량에 도달한 경우, 급수를 중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extraction step, when the water supply amount of the water supply unit reaches a preset water supply amount, the control unit may stop supplying water.

한편, 상기 커피 드립 장치는, 상기 드립퍼에서 추출된 커피 용액을 수용하는 서버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서버의 무게를 바탕으로, 상기 서버에 수용된 커피 용액의 양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 단계에서, 상기 서버에 수용된 커피 용액의 양이 추출 한계에 도달한 경우, 급수를 중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ffee drip device may include a weight sensor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server accommodating the coffee solution extracted from the dripper.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measured weight of the server, can identify the amount of coffee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server. And, in the extraction step, when the amount of the coffee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server reaches the extraction limit, the control unit may stop supplying water.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분쇄된 커피 원두가 수용된 드립퍼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의 급수 지점이 변경되도록 상기 급수부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구동부, 상기 드립퍼에 수용된 커피 원두 중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커피 드립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커피 드립 장치가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드립퍼에 물을 공급하여, 수분을 머금은 커피 원두 및 기포로 구성된 머핀을 형성하는, 머핀 형성 단계, 상기 커피 드립 장치가 상기 형성된 머핀에 대한 급수에 휴지 기간을 확보하는, 뜸들이기 단계, 상기 뜸들이기 단계 이후 커피 용액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머핀 형성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머핀의 크기를 식별하고, 상기 머핀의 크기가 상기 머핀 형성 단계에 대하여 기설정된 최대 급수 반경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급수부의 급수 지점을 중앙에서 외곽으로 나선형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드립퍼에 물을 공급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a dripper accommodating ground coffee beans, a driving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supply unit so that a water supply point of the water supply unit is changed, and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dripper.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ffee drip device, includ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offee drip device, wherein the coffee drip device supplies water to the dripp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to form muffins composed of coffee beans and air bubbles containing moisture, It includes a muffin forming step, a steaming step in which the coffee drip device secures a rest period for supplying water to the formed muffin, and an extraction step for extracting a coffee solution after the steaming step. In the muffin forming step, the size of the muffin photographed by the camera is identified,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through the drive unit until the size of the muffin reaches the preset maximum water supply radius for the muffin forming step. Water is supplied to the dripp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while changing a point spirally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본 개시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는 젖은 커피 분말이 부풀려진 형태를 의미하는 머핀의 크기 및 모양을 측정하여 재료의 실시간 상태가 반영된 효과적인 분리 드립을 수행함으로써, 숙련된 전문가의 손길 없이도 훌륭한 커피를 자동으로 추출해내는 섬세한 드립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The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easures the size and shape of a muffin, which means a form in which wet coffee powder is inflated, and performs effective separation drip reflecting the real-time state of the material, thereby automatically extracting excellent coffee without the help of a skilled expert. It can carry out delicate drip work.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의 외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의 전자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의 커피 드립 과정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가 수행하는 머핀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가 수행하는 뜸들이기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가 수행하는 추출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 그리고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A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B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ffee drip process of the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n algorithm for explaining a muffin forming step performed by a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n algorithm for explaining a brewing step performed by a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n algorithm for explaining an extraction step performed by a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First,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general terms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art, legal or technical interpretation, an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These terms may be interpreted as the meanings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if there is no specific term definition, they may be interpreted based on the overall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and common technical knowledge in the art.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numerals in each drawing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ymbols are used in different embodiments. That is, even if all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shown in a plurality of drawings, the plurality of drawings do not mean one embodiment.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elements. These ordinal numbers are used to distinguish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the meaning of the term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due to the use of these ordinal numbers. For example, the order of use or arrangement of elements associated with such ordinal number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number. If necessary, each ordinal numb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module,” “unit,” and “part” are terms used to refer to component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these components are hardware or software. It may be implemented or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dules", "units", "parts", etc. ar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or chip, except for cases where each of them needs to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pecific hardware, so that at least one processor can be implemented as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n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other medium. In addition, the meaning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의 외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A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a를 참조하면, 커피 드립 장치(100)는 분쇄된 커피 원두의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드립퍼(10), 몸통(20), 추출된 커피 용액을 담기 위한 서버(30)를 거치하기 위한 지지대(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A, a coffee drip device 100 includes a dripper 10 for accommodating ground coffee bean powder, a body 20, and a support for mounting a server 30 for containing an extracted coffee solution ( 40), etc.

여기서, 서버(30)는 커피 드립 장치(100)에 포함되는 일 부품으로 탈부착이 가능할 수도 있고, 커피 드립 장치(100)에 포함되지 않은 별도의 제품에 해당할 수도 있다. Here, the server 30 may be detachable as a part included in the coffee drip device 100 or may correspond to a separate product not included in the coffee drip device 100 .

드립퍼(10) 역시 커피 드립 장치(100)에 포함되는 일 부품으로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고, 또는, 커피 드립 장치(100)에 포함되지 않은 별도의 제품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커피 드립 장치(100)는 드립퍼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드립퍼와 마찬가지로, 본 개시의 드립퍼(10)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되 수직 아래로 내려갈수록 원의 반경이 좁아지는 형태(ex. 원뿔대, 원뿔 등)를 가질 수 있다.The dripper 10 may also be detachable as a part included in the coffee drip device 100, or may correspond to a separate product not included in the coffee drip device 100. In this case,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dripper. Like a general dripper, the dripper 1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radius of the circle becomes narrower as it goes down vertically (eg, truncated cone, cone, etc.).

또한, 커피 드립 장치(100)는 드립퍼(10)의 위쪽에 배치되어 드립퍼(10)로 급수를 수행하기 위한 급수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 부재, 펌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급수부(110)에 물을 제공하기 위한 물탱크가 몸통(2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몸통(20)은 물탱크 내 물 또는 물탱크에서 급수부(110)로 제공되는 물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include a water supply unit 110 disposed above the dripper 10 to supply water to the dripper 10 . The water supply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drainage member and a pump. In addition, a water tank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110 may be provided in the body 20 . The body 20 may include at least one heating means fo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or the water provid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water supply unit 110 .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의 전자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B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b를 참조하면, 커피 드립 장치(100)는 급수부(110), 구동부(120), 카메라(130), 제어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B ,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include a water supply unit 110, a driving unit 120, a camera 130, a controller 140, and the like.

급수부(110)는 드립퍼에 물을 떨어드리기 위한 구성으로, 펌프와 같이 물을 끌어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110 is a component for dropping water into the dripp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mechanical component for drawing water, such as a pump.

구동부(120)는 급수부(110)의 급수 지점이 변경되도록 급수부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동부(120)는 모터, 압축기, 펌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20)는 급수부(110)의 적어도 일부에 당기는 힘, 미는 힘, 또는 돌리는 힘 등을 적용하여 급수부(110)의 배출구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급수부(110)는 배출구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암(arm), 회전 부재, 기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driving unit 120 is a componen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so that the water supply point is changed. The driving unit 120 may include a motor, a compressor, a pump,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Specifically, the drive unit 12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by applying a pulling force, a pushing force, or a turning force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 To this end, the water supply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arm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 rotating member, a gear,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카메라(130)는 드립퍼(10)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RGB 카메라, 뎁스 카메라, ToF(Time of Flight)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amera 130 is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dripper 1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image sensor. The camera 13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 RGB camera, a depth camera, a Time of Flight (ToF) camera, a stereo camera, and the like.

일 실시 예로, 카메라(130)는 드립퍼의 내부를 상부에서 촬영하기 위해 도 1의 급수부(110)에 부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급수부(110)의 아래쪽에 부착되어 드립퍼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만, 급수부(110) 내 배출구의 이동과 무관하게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camera 130 may be attached to the water supply unit 110 of FIG. 1 in order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dripper from above. can However, it may be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outlet in the water supply unit 110 .

또는, 카메라(130)는 몸통의 상부 내지는 몸통과 급수부(110)의 사이 구간에 부착되어 드립퍼(10) 내부를 촬영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amera 130 may be attached to the top of the body or a sec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water supply unit 110 to take pictures of the inside of the dripper 10 .

제어부(140)는 커피 드립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 내지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CPU, AP,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 VPU(Vision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분리 드립 장치(100)에 구비된 메모리와 연결되는 한편,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분리 드립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coffee drip device 100 as a whole. The controller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control circuit or processor. The processor may include a general-purpose processor such as a CPU, an AP, 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 graphics-only processor such as a GPU or a vision processing unit (VPU), or an artificial intelligence-only processor such as an NPU.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parate drip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being connected to a memory included in the separate drip device 100 and executing at least one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의 커피 드립 과정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verall coffee drip process of a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한편, 도 2의 과정들을 수행하기 전에, 제어부(140)는 초기 설정과 관련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동작들은, 일 예로, 분쇄된 커피 원두가 드립퍼에 수용된 이후 초기 설정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Meanwhile, before performing the processes of FIG. 2 , the controller 140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related to initial setting. The following operations may be activated,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 requesting an initial setting is received after ground coffee beans are accommodated in the dripper.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드립퍼(10)의 중앙 위치를 식별할 수 있으며, 드립퍼(10)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 원두의 크기(바깥 테두리, 반경 등)를 판독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140 may identify the central position of the dripper 10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30, and read the size (outer rim, radius, etc.) of the ground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dripper 10. can do.

드립퍼(10)에 수용된 커피 원두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무게 센서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140)는 수용된 커피 원두의 무게를 식별할 수 있다.When at least one weight sensor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dripper 10 is provided, the controller 140 can identify the weight of the coffee beans accommodated.

이때, 제어부(140)는 드립퍼(10)에 수용된 커피 원두의 무게에 따라 급수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급수량, 머핀 형성 단계의 급수량, 뜸들이기 단계의 급수량, 추출 단계의 급수량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커피 원두 95g을 기준으로, 머핀 형성 단계의 급수량은 25~40g, 뜸들이기 단계의 급수량은 1회 급수 시 10~20g(ex. 5회 전후로 급수 가능), 추출 단계의 급수량은 1회 급수 시 35~60g(ex. 2회 전후로 추출 가능)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40 may se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dripper 10 . For example, the total amount of water supplie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n the muffin forming step,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n the steaming step,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n the extraction step may be respectively set. As a specific example, based on 95g of coffee beans,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n the muffin formation step is 25-40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n the steaming step is 10-20g per water supply (ex. Water can be supplied before or after 5 times),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n the extraction step is 1 time When water is supplied, it may be set to 35 to 60 g (ex. extraction possible before and after 2 tim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커피 원두의 무게가 클수록 각 단계의 급수량이 증가 설정되고, 커피 원두의 무게가 작을수록 각 단계의 급수량이 감소 설정될 수 있으며, 커피 원두의 무게 별로 단계 별 급수량이 기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Here, as the weight of the coffee beans increases,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n each step may be set to increase, and as the weight of the coffee beans decreases,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n each step may be decreased. .

또한, 드립퍼(10)에 수용된 커피 원두 가루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 센서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140)는 측정된 거리에 따라 커피 원두 가루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dist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coffee bean powder accommodated in the dripper 10 is provided, the controller 140 can identify the height of the coffee bean powder according to the measured distance.

여기서, 커피 드립 장치(100)에 드립퍼의 높이 조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부가 포함된 경우, 제어부(140)는 식별된 높이와 급수부(110)의 배출구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가 되도록 드립퍼(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높이 조절부는, 드립퍼(10)와 연결되며 몸통에 부착된 상하 이동 부재가 몸통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구동 수단(ex. 모터, 압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when the coffee drip device 100 includes at least one height adjuster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dripper,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dripper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dentified height and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is a preset distance. The height of (10) can be adjusted. For example, the height adjus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dripper 10 and can drive a vertical movement member attached to the body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ody, including various driving means (ex. motor, compressor, etc.) for this purpose. can do.

또한, 제어부(140)는 머핀 최초 크기(ex. 반경, 바깥 테두리 등), 머핀 형성 단계의 최대 급수 반경, 머핀 형성 단계의 최소 급수 반경, 머핀 형성 단계와 뜸들이기 단계 사이의 대기 시간(휴지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머핀 최초 크기, 머핀 형성 단계의 최대 급수 반경/최소 급수 반경 등은 커피 원두의 무게에 따라 매번 새롭게 설정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e muffin initial size (ex. radius, outer rim, etc.), the maximum water supply radius of the muffin formation step, the minimum water supply radius of the muffin formation step, the waiting time between the muffin formation step and the steaming step (rest time ), etc. can be set. Here, the initial muffin size, the maximum water supply radius/minimum water supply radius, etc. in the muffin forming step may be newly set each tim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offee beans.

또한, 제어부(140)는 뜸들이기 단계를 구성하는 매회의 급수 사이사이의 대기 시간, 뜸들이기 단계 내 급수의 최대 횟수, 뜸들이기 단계의 종류 후 추출 단계의 시작까지의 대기 시간, 뜸들이기 단계의 종료 대기 시간, 뜸들이기 단계의 선추출 한계, 뜸들이기 단계의 최대 급수 반경 등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e waiting time between each water supply constituting the steaming step, the maximum number of water supply within the steaming step, the waiting time from the type of the steaming step to the start of the extraction step, the steaming step You can set the end waiting time, the pre-extraction limit of the steaming stage, and the maximum water supply radius of the steaming stage.

또한, 제어부(140)는 추출 단계의 최소 급수 반경, 추출 단계의 최대 급수 반경, 추출 단계의 추출 한계 등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may set a minimum radius of water supply in the extraction step, a maximum radius of water supply in the extraction step, and an extraction limit in the extraction step.

상술한 항목들 각각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된 것일 수도 있고, 기설정된 것일 수도 있으며, 촬영된 드립퍼(10) 내 커피 원두의 무게(양)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일 수도 있다.Each of the above items may be set according to a user input, may be preset, or may be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the weight (amount) of coffee beans in the dripper 10 photographed.

도 2를 참조하면, 커피 드립 장치(100)는, 머핀 형성 단계(S210), 뜸들이기 단계(S220), 추출 단계(S230)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물이 연속적으로 떨어지는 과정을 1회의 급수라고 정의하면, 각 단계마다 커피 드립 장치(100)는 1회 이상의 급수를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sequentially perform a muffin forming step (S210), a steaming step (S220), and an extracting step (S230). If a process in which water continuously drips is defined as one water supply,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supply water one or more times for each step.

머핀 형성 단계(S210)는, 커피 드립 장치(100)가 급수부를 통해 드립퍼(10)에 물을 공급하여, 수분을 머금은 (분쇄된) 커피 원두 및 기포로 구성된 머핀을 형성하는 과정이다.In the muffin forming step (S210), the coffee drip device 100 supplies water to the dripper 10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to form muffins composed of (ground) coffee beans and bubbles containing moisture.

이 경우, 커피 드립 장치(100)는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머핀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실시간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머핀을 포함하는 이미지 내 영역을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영역의 크기(바깥 테두리, 반경 등), 모양 등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컬러를 바탕으로 머핀을 포함하는 영역을 추출하여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30)와 드립퍼(10) 간의 거리 또는 카메라(130)와 커피 원두 간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지 내 머핀의 영역의 크기에 적용되어 실제 크기가 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설정된 거리 값이 활용되거나 또는 거리 센서가 활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identify the size of the muffin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30 .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40 may analyze the captured image in real time to identify an area in the image including the muffins, and identify the size (outer rim, radius, etc.) and shape of the identified area.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40 may identify the size by extracting the area including the muffin based on the color.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130 and the dripper 10 or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130 and the coffee beans may be applied to the size of the area of the muffin in the image to calculate the actual size. To this end, a preset distance value or a distance sensor may be utilized.

관련하여,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가 수행하는 머핀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In relation to this, FIG. 3 is an algorithm for explaining a muffin forming step performed by a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을 참조하면, 커피 드립 장치(100)는 머핀의 크기가 머핀 형성 단계의 최대 급수 반경에 도달할 때까지(S320 - Y), 구동부(120)를 통해 급수부(110)의 급수 지점을 중앙에서 외곽으로 나선형으로 변경하면서 급수부(110)를 통해 드립퍼(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S310). 최대 급수 반경은, 급수의 지속이 가능한 머핀의 최대 반경을 의미하며, 기설정된 수치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coffee drip device 100 controls the water supply point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through the driving unit 120 until the muffin size reaches the maximum water supply radius in the muffin forming step (S320 - Y).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dripper 10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10 while spirally changing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S310). The maximum radius of water supply means the maximum radius of a muffin in which water supply can be continued,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value.

이어서, 커피 드립 장치(100)는 머핀의 크기가 머핀 형성 단계의 최소 급수 반경에 도달할 때까지(S340 - Y), 구동부(120)를 통해 급수부(110)의 급수 지점을 외곽에서 중앙으로 나선형으로 변경하면서 급수부(110)를 통해 드립퍼(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S330). 최소 급수 반경은, 급수의 지속이 가능한 머핀의 최소 반경을 의미한다.Subsequently, the coffee drip device 100 moves the water supply point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from the outer edge to the center through the driving unit 120 until the size of the muffin reaches the minimum water supply radius in the muffin forming step (S340 - Y).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dripper 10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10 while changing in a spiral manner (S330). The minimum radius of water supply means the minimum radius of a muffin in which water supply can be continued.

상술한 도 3의 방식으로, 커피 드립 장치(100)는 드립퍼의 중심과 외곽을 오가면서 머핀 형성 단계에 대해 기설정된 급수량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FIG. 3 described above,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supply water while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center and the outer edge of the dripper until a preset water supply amount is reached for the muffin forming step.

그리고, 커피 드립 장치(100)는, 형성된 머핀에 대한 급수에 휴지 시간을 확보하는, 뜸들이기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도 2의 S220). 머핀 형성 단계와 뜸들이기 단계 사이에 대기 시간이 주어질 수 있다. Then,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perform a steaming step to secure a rest time for supplying water to the formed muffins (S220 of FIG. 2). A waiting period may be given between the muffin forming step and the steaming step.

구체적으로, 머핀 형성 단계의 급수가 종료된 시점 또는 머핀의 높이가 최고인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 커피 드립 장치(100)는 급수부(110)를 통해 드립퍼(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머핀의 높이는 거리 센서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supply water to the dripper 10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10 after a certain amount of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water supply in the muffin forming step is finished or the time when the muffin height is the highest. can Here, the height of the muffin may be detected through a distance sensor.

이때, 커피 드립 장치(100)는 머핀의 모양에 따라 급수의 시작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제어부(140)는 급수의 시작 위치를 드립퍼(10)의 중심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머핀의 무게 중심에 따라 급수의 시작 위치가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머핀의 영역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위치(ex. 좌표)를 바탕으로 머핀의 무게 중심을 식별할 수 있으며, 머핀의 무게 중심을 드립퍼(10)의 중심점과 비교할 수도 있다. 만약 드립퍼(10)의 중심점과 머핀의 무게 중심 간의 거리가 임계 거리 미만인 경우, 제어부(140)는 급수의 시작 위치를 드립퍼(10)의 중심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머핀의 무게 중심이 드립퍼(10)의 중심점으로부터 임계 거리 이상 떨어진 경우, 제어부(140)는 드립퍼(10)의 중심점으로부터 머핀의 무게 중심으로 이어지는 직선 경로 내 적어도 하나의 지점을 급수의 시작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드립퍼(10)의 중심점과 머핀의 무게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 경로 내 절반에 해당하는 지점이 급수의 시작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이후 단계(ex. S220 내지 S240)에서도 머핀의 무게 중심과 드립퍼(10)의 중심점 간의 실시간 위치 차이에 따라 급수의 시작 지점이 유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set the starting position of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uffin. Basically, the control unit 140 may set the starting position of water supply as the central point of the dripper 10 . However, the starting position of water supply may vary depending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uffin.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may identif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uffin based on the location (ex. coordinates) of each pixel constituting the area of the muffin, and compar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uffin with the center point of the dripper 10. may b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int of the dripper 10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uffin is less than the critical distance, the controller 140 may set the water supply start position as the center point of the dripper 10. However, 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uffin is farther than the critical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dripper 10, the controller 140 sets at least one point in a straight lin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dripper 10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uffin to the start position of water supply. can be set to As a specific example, a point corresponding to half of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 point of the dripper 10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uffin may be set as the starting point of water supp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Meanwhile, in subsequent steps (eg S220 to S240), the starting point of water supply can be flexibly set according to the real-time difference in location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uffin and the center point of the dripper 10.

또한, 커피 드립 장치(100)는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머핀의 모양을 바탕으로, 순차적으로 물이 떨어지는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커피 드립 장치(100)는 구동부(120)를 통해 급수부(110)의 급수 지점을 설정된 경로에 따라 변경하면서, 급수부(110)를 통해 드립퍼(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sequentially set a dripping path based on the shape of the muffin photographed by the camera 130 . In addition,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supply water to the dripper 10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10 while changing the water supply point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according to the set path through the drive unit 120 .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머핀의 바깥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는 반경 내에서 급수 위치가 변경되게끔 급수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140 may set the water supply path so that the water supply position is changed within a radius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outer rim of the muffin.

관련하여, 제어부(140)는 머핀의 모양이 원형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머핀의 모양이 원형인지 여부는, 제어부(140)가 머핀의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분석함에 따라 식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이미지 내에서 머핀의 영역의 바깥 테두리(외곽)를 구성하는 복수의 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점은, 머핀의 바깥 테두리를 구성하는 곡선 상에 균등하게 분포된 지점들(ex. 곡선에 따라 연결되는 서로 간의 (곡선 상의) 거리가 일정함)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드립퍼(10)의 중심점으로부터 머핀의 바깥 테두리를 구성하는 각 지점까지의 거리의 편차에 따라, 머핀의 모양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지점까지의 거리의 편차가 일정 편차 미만인 경우, 머핀의 모양은 원형으로 식별될 수 있다. 반면, 각 지점까지의 거리의 편차가 일정 편차 이상인 경우, 제어부(140)는 머핀의 모양이 원형이 아닌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the controller 140 may identify whether the shape of the muffin is circular. Here, whether the shape of the muffin is circular may be identified as the controller 140 analyzes an image including the area of the muffin.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40 may select a plurality of points constituting the outer edge (outer area) of the muffin region in the image.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points may correspond to points equally distributed on the curve constituting the outer rim of the muffin (eg, the distance (on the curve) between each other connected according to the curve is constant). Here, the controller 140 can identify the shape of the muffin according to the devia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dripper 10 to each point constituting the outer edge of the muffin. For example, if the deviation of the distance to each point is less than a certain deviation, the shape of the muffin may be identified as circular. On the other hand, if the deviation of the distance to each point is more than a certain deviation, the controller 140 may identify that the shape of the muffin is not circular.

예를 들어, 머핀의 모양이 원형인 경우, 제어부(140)는 드립퍼(10)의 중심점으로부터 머핀의 바깥 테두리를 구성하는 복수의 지점까지의 평균 거리를 산출하고, 평균 거리보다 일정 거리(ex. 1cm)만큼 짧은 제1 목표 반경을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140)는 급수 지점을 중앙에서 외곽으로 나선형으로 변경해가면서 급수를 수행하되, 급수 지점의 위치가 제1 목표 반경에 도달한 시점부터는 더 이상 급수 지점이 드립퍼(10)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어지지 않도록 제1 목표 반경 내에서만 급수를 이어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muffin is circular, the controller 140 calculates an averag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dripper 10 to a plurality of points constituting the outer rim of the muffin, and a certain distance (ex. A first target radius as short as 1 cm) may be set. As a result, the control unit 140 performs water supply while spirally changing the water supply point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but from the time th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oint reaches the first target radius, the water supply point is no longer moved from the center of the dripper 10. Water supply may be continued only within the first target radius so as not to be further away.

또한, 머핀의 모양이 원형이 아닌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머핀의 한쪽이 찌그러지거나, 한쪽의 물길이 터져 여과지가 젖거나, 머핀의 경계(바깥 테두리)가 들쑥날쑥한 경우 등에 해당한다. 이렇듯, 머핀의 모양이 원형이 아닌 것으로 식별된 경우, 제어부(140)는 머핀의 바깥 테두리를 구성하는 복수의 지점 중 드립퍼(10)의 중심점으로부터 거리가 가장 가까운 일정 수의 지점들을 선택하고, 드립퍼(10)의 중심점으로부터 선택된 지점들까지의 평균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산출된 평균 거리보다 일정 거리(ex. 1cm)만큼 짧은 제2 목표 반경을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140)는 급수 지점을 중앙에서 외곽으로 나선형으로 변경해가면서 급수를 수행하되, 급수 지점의 위치가 제2 목표 반경에 도달한 시점부터는 더 이상 급수 지점이 드립퍼(10)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어지지 않도록 제2 목표 반경 내에서만 급수를 이어갈 수 있다. 그 결과, 기존에 원형이 아니던 머핀의 모양이 점차 원형으로 바로잡힐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기존에 타원 형상에 가깝던 머핀에 대하여, 타원 형상의 단축의 반경보다 더 좁은 반경 내에서만 급수가 진행된 결과, 타원 형상에 가깝던 머핀이 점차 원형에 가까워질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occur when the shape of the muffin is not circular. This is the case when one side of the muffin is dented, the water line on one side is broken and the filter paper is wet, or the border (outer rim) of the muffin is jagged. As such,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shape of the muffin is not circular, the control unit 140 selects a certain number of points that are the closest in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dripper 10 among a plurality of points constituting the outer rim of the muffin, and The averag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f (10) to the selected points can be calculated. Here, the controller 140 may set a second target radius shorter than the calculated average distan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eg 1 cm). As a result, the control unit 140 performs water supply while spirally changing the water supply point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but from the time th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oint reaches the second target radius, the water supply point is no longer moved from the center of the dripper 10. Water supply may be continued only within the second target radius so as not to be further away. As a result, the shape of the previously non-circular muffin can be gradually corrected to a circular shape. As a specific example, as a result of water supply proceeding only within a radius narrower than the radius of the minor axis of the oval shape, the muffins that were close to the oval shape may gradually approach the circular shape.

이때, 제어부(140)는 실시간으로 머핀의 모양을 식별할 수 있으며, 머핀의 모양이 원형에 가까워질 때까지 제2 목표 반경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ex. 머핀의 모양이 원형에 가까워지면서 점차 급수 반경(급수 경로)이 외곽으로 조금씩 더 커질 수 있다). 그리고, 마침내 머핀의 모양이 원형이 된 것으로 식별된 경우, 상술한 방식에 따라 제1 목표 반경이 최종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목표 반경 내에서 급수가 진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40 may identify the shape of the muffin in real time, and the second target radius may be continuously updated until the shape of the muffin approaches a circular shape (eg, as the shape of the muffin approaches a circular shape) Gradually, the water supply radius (water supply path) can become slightly larger towards the outskirts). And, when it is finally identified that the shape of the muffin is circular, the first target radius may be finally se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water supply may proceed within the first target radius.

관련하여,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가 수행하는 뜸들이기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In relation to this, FIG. 4 is an algorithm for explaining a brewing step performed by a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커피 드립 장치(100)는 머핀 형성 단계의 급수의 종료 시점으로부터 대기 시간(ex. 30초)이 지나거나(S410 - Y) 또는 머핀 높이가 하강하기 시작하는(S420 - Y) 시점부터 1차 급수를 시작할 수 있다(S430).Referring to FIG. 4 , the coffee drip device 100 is used when the waiting time (ex. 30 seconds) has elapsed (S410-Y) or the muffin height starts to decrease (S420-Y ), the first water supply can be started from the point of time (S430).

구체적으로, 커피 드립 장치(100)는 머핀 형성 단계와 마찬가지로 중앙에서 외곽으로 나선형으로 급수를 수행할 수 있으며(ex. 상술한 제1/제2 목표 반경 내에서 수행될 수 있음), 뜸들이기 단계의 최대 급수 반경에 도달 시 다시 외곽에서 중앙으로 나선형으로 급수를 수행할 수 있다. 커피 드립 장치(100)의 급수는 머핀 중앙 또는 드립퍼(10)의 중앙에서 종료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spirally supply water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like the muffin forming step (eg, it may be performed within the first / second target radius described above), and the steaming step When the maximum radius of water supply is reached, water supply can be performed spirally from the outer edge to the center. Water supply of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end at the center of the muffin or the center of the dripper 10 .

1차 급수 이후, 대기 시간이 지나거나(S410 - Y) 또는 머핀 높이가 하강하기 시작하는(S420 - Y) 시점부터 추가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After the first water supply, additional water supply may be performed from the time when the waiting time passes (S410 - Y) or the muffin height starts to decrease (S420 - Y).

구체적으로, 앞선 1차 급수의 결과로 추출된 커피 용액의 양이 기설정된 선추출 한계 미만인 경우(S460 - N), 2차 급수가 수행된다(S470)가 된다. 추출된 커피 용액의 양은, 서버(40)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피 드립 장치(100)는 서버(40)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amount of the coffee solution extracted as a result of the first water supply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pre-extraction limit (S460 - N), the second water supply is performed (S470). The amount of extracted coffee solution can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server 40 . To this end,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include a weight sensor for measuring a change in weight of the server 40 .

다만, 앞선 1차 급수의 결과로 추출된 커피 용액의 양이 기설정된 선추출 한계 이상인 경우(S460 - Y), 1차 급수가 최종 급수가 되고 최종 대기(S480)에 따라 최종적인 뜸들이기가 진행될 수 있다.However, if the amount of coffee solution extracted as a result of the previous first water supply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pre-extraction limit (S460 - Y), the first water supply becomes the final water supply and the final steaming proceeds according to the final standby (S480) can

2차 급수가 수행된 경우, 마찬가지로 2차 급수까지의 결과로 추출된 커피 용액의 양이 다시금 선추출 한계와 비교될 수 있으며, 이때까지 추출된 커피 용액의 양이 선추출 한계 이상이면(S460 - Y) 추가 급수 없이 최종 대기(S480) 이후 뜸들이기 단계가 종료되고, 여전히 선추출 한계 미만이면(S460 - N), 추가 급수(3차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S470).If the second water supply is performed, similarly, the amount of coffee solution extracted as a result of up to the second water supply can be compared again with the pre-extraction limit, and if the amount of coffee solution extracted up to this time is more than the pre-extraction limit (S460 - Y) If the steaming step ends after the final standby (S480) without additional water supply and is still less than the pre-extraction limit (S460-N), additional water supply (third water supply) may be performed (S470).

이렇듯, 뜸들이기 단계에서, 추출된 커피 용액이 선추출 한계를 넘어 추출될 때까지 일정 대기 시간(ex. 20초)을 사이에 두고 급수가 수행될 수 있으며, 추출된 커피 용액이 선추출 한계를 넘음에 따라 뜸들이기 단계는 종료된다.As such, in the steaming step, water supply may be performed with a certain waiting time (ex. 20 seconds) in between until the extracted coffee solution is extracted beyond the pre-extraction limit, and the extracted coffee solution exceeds the pre-extraction limit. Upon crossing, the steaming stage ends.

한편, 만약 뜸들이기 단계의 1차 급수에 따라 서버(40)의 무게가 변하는 등 추출된 커피 용액이 있는 경우, 뜸들이기 단계 내의 급수 사이사이의 대기 시간 내지는 매회 급수의 급수량이 재설정될 수 있다. 1차 급수에 따라 곧바로 커피 용액이 추출되는 것은 커피 용액의 선추출이 조금 빠른 상황이라는 점에서, 이 경우, 급수 사이사이의 대기 시간이 길어지거나 급수량이 감소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n extracted coffee solution such that the weight of the server 40 changes according to the first water supply in the steaming step, the waiting time between water supply in the steaming step or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each time can be reset. Since the coffee solution is extracted immediately according to the first water supply, the pre-extraction of the coffee solution is a little faster. In this case, the waiting time between water supplies may be longer or the water supply amount may be reduc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뜸들이기 단계 이후, 커피 드립 장치(100)는 커피 용액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단계(S230)를 수행할 수 있다.After the steaming step,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perform an extraction step (S230) for extracting the coffee solution.

구체적으로, 뜸들이기 단계의 급수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후의 시점 또는 뜸들이기 단계 이후 머핀의 높이가 낮아지기 시작하는 시점이 되면, 커피 드립 장치(100)는 급수부(110)를 통해 드립퍼(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certain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water supply of the steaming step ends or when the height of the muffins starts to decrease after the steaming step, the coffee drip device 100 is a dripp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10 ( 10) can be supplied with water.

이때, 추출 단계에서 급수부(110)의 급수량이 기설정된 급수량에 도달한 경우, 커피 드립 장치(100)는 급수를 중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water supply amount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reaches the preset water supply amount in the extraction step,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stop supplying water.

또한, 추출 단계에서 서버(40)에 수용된 커피 용액의 양이 추출 한계에 도달한 경우, 역시 급수가 중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the coffee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server 40 reaches the extraction limit in the extraction step, water supply may also be stopped.

관련하여,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가 수행하는 추출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In relation to this, FIG. 5 is an algorithm for explaining an extraction step performed by a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를 참조하면, 뜸들이기 단계의 급수의 종료 시점으로부터 대기 시간이 지나거나(S510 - Y) 또는 머핀 높이가 하강하기 시작하는(S520 - Y) 시점부터 커피 드립 장치(100)는 1차 추출을 위한 급수를 시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offee drip device 100 performs primary extraction from the time when the waiting time passes from the end of water supply in the steaming step (S510-Y) or the muffin height starts to descend (S520-Y). You can start watering for

이때, 커피 드립 장치(100)는 뜸들이기 단계 이후 머핀의 크기를 바탕으로, 추출 단계의 급수 반경을 설정할 수 있다(S530). 구체적으로, 추출 단계의 최대 급수 반경 및 최소 급수 반경이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set the water supply radius of the extraction step based on the size of the muffin after the steaming step (S530). Specifically, the maximum water supply radius and the minimum water supply radius of the extraction step may be set.

그리고, 1차 추출을 위한 급수가 시작될 수 있다(S540). 이때, 커피 드립 장치(100)는 머핀의 크기가 추출 단계의 최대 급수 반경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 지점을 중앙에서 외곽으로 나선형으로 변경하면서 드립퍼(10)에 물을 공급하고, 이어서, 머핀의 크기가 추출 단계의 최소 급수 반경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 지점을 외곽에서 중앙으로 나선형으로 변경하면서 드립퍼(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n, water supply for primary extraction may be started (S540). At this time, the coffee drip device 100 supplies water to the dripper 10 while spirally changing the water supply point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until the size of the muffin reaches the maximum water supply radius in the extraction step, and then,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dripper 10 while changing the water supply point spirally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until the size reaches the minimum water supply radius of the extraction step.

다만, 추출 단계의 급수량이 기설정된 급수량에 도달하지 않았고(S550 - N), 추출된 커피 용액의 양이 추출 한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라면(S560 - N), 추가 급수(: 2차 급수)에 따른 2차 추출이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1차 추출을 위한 급수와 2차 추출을 위한 급수 간에는 일정 대기 시간이 확보될 수 있다(3차 급수가 있는 경우 2차와 3차 사이도 마찬가지이다).However, if the water supply amount in the extraction step did not reach the preset water supply amount (S550 - N) and the amount of the extracted coffee solution did not reach the extraction limit (S560 - N), additional water supply (: 2nd water supply) Secondary extraction may proceed according to Here, a certain waiting time may be secured between the water supply for the first extraction and the water supply for the second extraction (the same applies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water supply if there is a third water supply).

이러한 과정은, 추출 단계의 총 급수량이 기설정된 급수량에 도달하였거나(S550 - Y) 또는 추출된 커피 용액의 양이 기설정된 추출 한계에 도달하는(S560 - Y) 때까지 반복될 수 있으며, S550 및 S560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급수가 중단되고(S570), 추출 단계가 종료될 수 있다.This process may be repeated until the total water supply amount in the extraction step reaches the predetermined water supply amount (S550 - Y) or the amount of the extracted coffee solution reaches the predetermined extraction limit (S560 - Y), S550 and When at least one condition of S560 is satisfied, water supply is stopped (S570), and the extraction step may be terminated.

한편,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Meanwhile,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조하면, 커피 드립 장치(100)는 급수부(110), 구동부(120), 카메라(130), 제어부(140) 외에도 센서부(150), 사용자 입력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include a sensor unit 150, a user input unit 160, and the like in addition to a water supply unit 110, a driving unit 120, a camera 130, and a control unit 140. there is.

센서부(150)는 드립퍼(10)에 수용된 원두 커피 가루, 서버(40)에 수용된 커피 용액 등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sensor unit 150 is a component for obtain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ground coffee powder accommodated in the dripper 10 and a coffee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server 40 .

센서부(150)는 거리 센서(151), 무게 센서(15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50 may include a distance sensor 151, a weight sensor 152, and the like.

거리 센서(151)는 급수부(110)의 배출구와 드립퍼(10) 내 원두 커피 가루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원두 커피 가루의 높이를 식별하기 위한 구성이다. 거리 센서(151)는 광을 출력하는 한편 반사광의 도달 시점을 바탕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ToF(Time of Flight)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distance sensor 151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and the ground coffee powder in the dripper 10 to identify the height of the coffee grounds. The distance sensor 151 may be configured as a Time of Flight (ToF) sensor that outputs light and measures a distance based on an arrival point of the reflected l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무게 센서(152)는 드립퍼(10) 내에 수용된 원두 커피 가루의 무게, 서버(40)의 무게 등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무게 센서(152)는 드립퍼(10)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서버(40)를 지지하는 지지대(40) 상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40)는 서버(40)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추출된 커피 용액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The weight sensor 152 is a component for detecting the weight of ground coffee powder accommodated in the dripper 10, the weight of the server 40, and the like. To this end, the weight sensor 152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structure supporting the dripper 10 and may also be installed on the support 40 supporting the server 4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may detect a change in weight of the server 40 to calculate the weight of the extracted coffee solution.

사용자 입력부(160)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하나 이상의 버튼, 터치 패드, 마이크, 카메라, 기타 레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피 드립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도 2의 과정을 수행하기 전의 초기 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커피 드립 장치(100)는 드립을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도 2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60 is a component for receiving various user inputs/commands. The user input unit 160 may include one or more buttons, a touch pad, a microphone, a camera, and other levers. Specifically,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perform initial setting before performing the process of FIG. 2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 addition,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perform the process of FIG. 2 according to a user command requesting drip.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서로 저촉되거나 모순되지 않는 한 두 개 이상의 실시 예가 서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two or more embodiments as long as they do not conflict or contradict each other.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a similar device us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a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an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itself. According to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described above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로봇, 서버 등 전자 장치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에서의 처리 내지는 제어 동작을 상술한 특정 기기가 직접 또는 간접적(ex. 커피 드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어 명령 송신)으로 수행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computer instructions or computer programs for performing processing operations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robots and server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on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 can be stored in Computer instructions or computer programs stored in such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of a specific device, directly or indirectly ( Ex. Perform communication with coffee drip device and transmit control command).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is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is readable by a device,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or memory. Specific examples of th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belong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ith knowledge of,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disclosure.

100: 커피 드립 장치100: coffee drip device

Claims (1)

커피 드립 장치에 있어서,
분쇄된 커피 원두가 수용된 드립퍼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의 급수 지점이 변경되도록 상기 급수부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구동부;
상기 드립퍼에 수용된 커피 원두 중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및
상기 급수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카메라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드립퍼에 물을 공급하여, 수분을 머금은 커피 원두 및 기포로 구성된 머핀을 형성하는, 머핀 형성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머핀의 크기를 식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머핀 형성 단계에서,
상기 머핀의 크기가 상기 머핀 형성 단계의 최대 급수 반경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급수부의 급수 지점을 중앙에서 외곽으로 나선형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드립퍼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커피 드립 장치는,
상기 머핀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머핀 형성 단계 이후 상기 형성된 머핀에 대한 급수에 휴지 시간을 확보하는, 뜸들이기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뜸들이기 단계에서,
상기 머핀 형성 단계의 급수가 종료된 시점 또는 상기 머핀의 높이가 최고인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드립퍼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뜸들이기 단계 이후 커피 용액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 단계에서,
상기 뜸들이기 단계의 급수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후의 시점 또는 상기 뜸들이기 단계 이후 상기 머핀의 높이가 낮아지기 시작하는 시점이 되면,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드립퍼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뜸들이기 단계 이후 상기 머핀의 크기를 바탕으로, 상기 추출 단계의 최대 급수 반경 및 최소 급수 반경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 단계에서,
상기 머핀의 크기가 상기 추출 단계의 최대 급수 반경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급수부의 급수 지점을 중앙에서 외곽으로 나선형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드립퍼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머핀의 크기가 상기 추출 단계의 최소 급수 반경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급수부의 급수 지점을 외곽에서 중앙으로 나선형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드립퍼에 물을 공급하는, 커피 드립 장치.
In the coffee drip device,
a water supply unit supplying water to the dripper containing ground coffee beans;
a driving unit that adjusts a posi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so that a water supply point of the water supply unit is changed;
a camera for photographing at least some of the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dripper;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the driving unit, and the camera;
The control unit,
Performing a muffin forming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dripp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to form muffins composed of coffee beans and air bubbles containing moisture;
Identifying the size of the muffin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The control unit, in the muffin forming step,
Supplying water to the dripp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while spirally changing the water supply point of the water supply unit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through the drive unit until the size of the muffin reaches the maximum water supply radius in the muffin forming step,
The coffee drip device,
A dist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muffin; includes,
The control unit,
After the muffin forming step, a steaming step is performed to secure a rest time for supplying water to the formed muffins,
The control unit, in the steaming step,
Supplying water to the dripp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water supply in the muffin forming step is completed or the time when the muffin has the highest height,
The control unit,
After the steaming step, an extraction step for extracting a coffee solution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in the extraction step,
Supplying water to the dripp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when a certain time has passed from the time when the water supply of the steaming step ends or when the height of the muffins starts to decrease after the steaming step,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size of the muffin after the steaming step, the maximum water supply radius and the minimum water supply radius of the extraction step are set,
The control unit, in the extraction step,
Until the size of the muffin reaches the maximum water supply radius of the extraction step, water is supplied to the dripp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while changing the water supply point of the water supply unit spirally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through the driving unit,
Coffee drip, which supplies water to the dripp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while spirally changing the water supply point of the water supply unit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through the drive unit until the size of the muffin reaches the minimum water supply radius of the extraction step. Device.
KR1020230041518A 2022-11-29 2023-03-29 Separate drip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piral movement direction of water supply unit KR1025720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1518A KR102572067B1 (en) 2022-11-29 2023-03-29 Separate drip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piral movement direction of water supply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3215A KR102517580B1 (en) 2022-11-29 2022-11-29 Separate drip device for dispensing water based on size of muffin, which means wet ground coffee inflated
KR1020230041518A KR102572067B1 (en) 2022-11-29 2023-03-29 Separate drip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piral movement direction of water supply uni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3215A Division KR102517580B1 (en) 2022-11-29 2022-11-29 Separate drip device for dispensing water based on size of muffin, which means wet ground coffee inflat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067B1 true KR102572067B1 (en) 2023-08-30

Family

ID=858848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3215A KR102517580B1 (en) 2022-11-29 2022-11-29 Separate drip device for dispensing water based on size of muffin, which means wet ground coffee inflated
KR1020230041518A KR102572067B1 (en) 2022-11-29 2023-03-29 Separate drip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piral movement direction of water supply unit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3215A KR102517580B1 (en) 2022-11-29 2022-11-29 Separate drip device for dispensing water based on size of muffin, which means wet ground coffee inflat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1758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06B1 (en) * 2014-04-15 2014-12-05 최선호 Auto Coffee Drip Apparatus
KR102219902B1 (en) * 2020-09-09 2021-02-24 강남구 Automatic Drip Coffee Machine
KR102236660B1 (en) * 2020-03-06 2021-04-06 (주) 티로보틱스 Method for making drip coffee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mpu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2385680B1 (en) 2021-08-24 2022-04-12 최정현 A method of sequentially extracting separate drip coffee and coffee undiluted solution
KR20220134631A (en) * 2020-02-03 2022-10-05 발뮤다 가부시키가이샤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progra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06B1 (en) * 2014-04-15 2014-12-05 최선호 Auto Coffee Drip Apparatus
KR20220134631A (en) * 2020-02-03 2022-10-05 발뮤다 가부시키가이샤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program
KR102236660B1 (en) * 2020-03-06 2021-04-06 (주) 티로보틱스 Method for making drip coffee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mpu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2219902B1 (en) * 2020-09-09 2021-02-24 강남구 Automatic Drip Coffee Machine
KR102385680B1 (en) 2021-08-24 2022-04-12 최정현 A method of sequentially extracting separate drip coffee and coffee undiluted solu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580B1 (en)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4650A1 (en) Coffee maker with features for rapid and/or multiple extraction process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812885B2 (en) Automatic coffee maker and method of preparing a brewed beverage
JP65954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asting partially roasted coffee beans
US11266264B2 (en) Automatic coffee maker process for preparing a cold brewed beverage
US9936835B2 (en) Coffee maker and coffee brewing method based on color
CN106361154B (en) A kind of automatic coffee brewing system
US10463192B2 (en) Automatic coffee maker
US11019956B2 (en) Digital scale and brewing process therefrom
US20070259085A1 (en) Method for Mak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f Beverage
CN106419639B (en) Food proces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455438B2 (en) Coffee beverage production equipment and coffee beverage production program
KR102572067B1 (en) Separate drip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piral movement direction of water supply unit
US20120073448A1 (en) Coffee maker with computerized steeping control
JPH09192022A (en) Coffee percolator
JP2011010937A (en) Electric water heater
JP3674590B2 (en) coffee maker
JP2007097936A (en) Electric kettle
JP2814400B2 (en) Coffee brewer
JP2008278926A (en) Electric water heater
US20180303270A1 (en) Coffee extraction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JP2006136620A (en) Coffee beverage making apparatus
JPH08154833A (en) Coffee liquid extracting device
KR20200095426A (en)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coffee brewing machine
JP2023149783A (en) Coffee bean roasting device and coffee bean roasting method
JP2023181847A (en) coffe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