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589B1 - Handling toy module for manipulating contents - Google Patents

Handling toy module for manipulating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589B1
KR102571589B1 KR1020210064014A KR20210064014A KR102571589B1 KR 102571589 B1 KR102571589 B1 KR 102571589B1 KR 1020210064014 A KR1020210064014 A KR 1020210064014A KR 20210064014 A KR20210064014 A KR 20210064014A KR 102571589 B1 KR102571589 B1 KR 102571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nit
handling
modul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6249A (en
Inventor
임해민
탁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이치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이치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이치더블유
Priority to KR1020210064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589B1/en
Publication of KR2022015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2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5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2Toy models or toy scenery not otherwise cover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9/00Puppet, marionette, or shadow shows or theat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 형성된 콘텐츠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핸들링 장난감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제1면에서 서로 연계되어 하나의 아트(art)를 표현하는 콘텐츠부, 상기 콘텐츠부의 상면에 위치하며, 둘레를 따라 프레임이 형성되고, 프레임 내측에는 개방 부위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콘텐츠부를 노출하는 제2면 및 상기 제2면의 일 측부에 기 설정된 레일에 따라 형성되어 상기 콘텐츠부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핸들링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ing toy module for manipulating the movement of content formed inside a main body, wherein a content unit expressing one art is linked to each other on a first surface of the main body,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ent unit, and a circumference A frame is formed along the frame, and an open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frame to include a second surface exposing the content unit and a handling unit formed along a predetermined rail on one side of the second surface to manipulate the movement of the content unit. do.

Description

콘텐츠를 조작하는 핸들링 장난감 모듈{HANDLING TOY MODULE FOR MANIPULATING CONTENTS}Handling toy module that manipulates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를 조작하는 핸들링 장난감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내부에 형성된 콘텐츠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핸들링 장난감 모듈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ing toy module for manipulating cont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ling toy module for manipulating movement of contents formed inside a main body.

영유아 장난감은 단순한 놀이 용도뿐만 아니라 우수한 교육 수단으로 인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영유아의 손과 팔을 이용해서 사물을 쥐거나 만지고, 움직이는 소근육 운동을 기반으로 하는 장난감은 다른 발달의 기본이 되므로 시중에는 관련된 제품들이 준비되어 있으며, 안전성면에서도 우수하므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소근육 운동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통해 창의력, 사고력, 분석력, 집중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Toy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re recognized not only for simple play purposes but also as excellent educational means. Among them, toys based on small muscle movements, such as gripping or touching objects using the hands and arms of infants and toddlers and moving them, are the basis for other development, so related products are prepared on the market and are widely used because they are excellent in safety. In addition, creativity, thinking ability, analytical ability, concentration, etc. can be improved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ng a desired shape using small muscle exercise.

다만, 기존에 소근육 운동을 기반으로 하는 장난감은 블록 및 조립과 같은 종류에 한정되었다.However, existing toys based on fine motor skills were limited to types such as blocks and assemblies.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링 장난감 모듈에 형성된 핸들링을 통해 내부 콘텐츠의 움직임을 조작하여 상상력이 실행력으로 전환되는 스스로 자가 학습이 가능한 통합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system capable of self-learning in which imagination is converted into execution power by manipulating the movement of internal contents through handling formed in a handling toy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링 장난감 모듈은 본체의 제1면에서 서로 연계되어 하나의 아트(art)를 표현하는 콘텐츠부, 상기 콘텐츠부의 상면에 위치하며, 둘레를 따라 프레임이 형성되고, 프레임 내측에는 개방 부위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콘텐츠부를 노출하는 제2면 및 상기 제2면의 일 측부에 기 설정된 레일에 따라 형성되어 상기 콘텐츠부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핸들링부를 포함한다.In the handling to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unit expressing one art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on the first surface of the main body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ent unit, a fram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a frame is formed inside the frame. includes a second surface having an open portion to expose the contents unit and a handling unit formed along a predetermined rail on one side of the second surface to manipulate the movement of the contents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링 장난감 모듈은 회전하는 톱니 바퀴를 이용한 회전운동으로 상기 콘텐츠부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ling to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unit for manipulating the movement of the content unit by a rotational motion using a rotating toothed wheel.

상기 콘텐츠부는 상기 제1면에 형성된 배경과 문자, 그림, 숫자 및 도형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 모듈이 서로 연계되어 하나의 아트를 표현하며, 상기 콘텐츠 모듈은 좌우로 움직이는 제1 콘텐츠 모듈 및 회전하는 톱니 바퀴에 의해 좌우 또는 상하로 움직이는 제2 콘텐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unit expresses one art by linking the background formed on the first surface with any one content module among letters, pictures, numbers, and figures, and the content modules include a first content module that moves left and right and a rotating saw tooth. It may include a second content module that moves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by wheels.

상기 제1 콘텐츠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콘텐츠를 나타내며, 상기 핸들링부에 의한 조작으로 인해 좌우로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ent modules represents different content and can be individually moved left and right due to manipulation by the handling unit.

상기 제2 콘텐츠 모듈은 원판 모양의 회전체에 같은 간격의 돌기가 형성된 상기 톱니 바퀴 상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에 의한 조작으로 인해 좌우, 상하 또는 회전으로 움직일 수 있다.The second content module is formed on the toothed wheel i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a disc-shaped rotating body, and can move left and right, up and down, or rotated due to manipulation by the rotating unit.

상기 제2 콘텐츠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형상의 톱니 바퀴 상에 형성되어 서로 다른 콘텐츠를 나타내며, 상기 회전부에 의한 조작으로 인해 복수의 톱니 바퀴들이 서로 맞물려 돌아가며 종합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tent modules is formed on cogwheels having different shapes to represent different contents, and the plurality of cogwheels can engage with each other and move comprehensively due to manipulation by the rotation unit.

상기 제2면의 프레임 상단 및 하단의 일 측부에 기 설정된 길이의 레일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 상에 상기 핸들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rai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frame of the second surface, and the handling unit may be formed on the rail.

상기 핸들링부는 단일의 상기 제1 콘텐츠 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레일에 따라 좌우로 움직이며 상기 제1 콘텐츠 모듈을 좌우로 움직임을 조작할 수 있다. The handling unit corresponds to the single first content module, moves left and right along the rail, and can manipulate the movement of the first content module left and righ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내부의 디자인을 통해 심미적 감성으로 상상력을 키우고, 동작하는 벽면 콘텐츠로 아이들의 눈길을 끌어 직접 손으로 작동시켜, 소근육 운동과 동시에 동작 구조를 생각하게 하는 창의력 활동 놀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ive activity play that develops imagination with aesthetic sensibility through design inside the main body, attracts children's attention with moving wall contents, and directly operates them by hand, allowing them to think about the structure of motion as well as fine motor exercise. can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링 장난감 모듈에 형성된 핸들링을 통해 내부 콘텐츠의 움직임을 조작함으로써, 조작성, 반복성, 방향성 및 눈과 손의 통합성의 통합적 시스템을 제공하여 창의력, 사고력, 분석력, 집중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anipulating the movement of internal contents through the handling formed in the handling toy module, an integrated system of manipulability, repeatability, directivity, and eye-hand integration is provided to improve creativity, thinking ability, analytical ability, and concentration. etc.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링 장난감 모듈을 부스 패널에 고정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벽 어디나 고정하여 놀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ling toy module may be fixed to a booth panel or fixed to any wall desired by a user to provide a play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링 장난감 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콘텐츠 모듈과 복수의 핸들링부를 포함한 핸들링 장난감 모듈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콘텐츠 모듈과 회전부를 포함한 핸들링 장난감 모듈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콘텐츠 모듈과 회전부를 포함한 핸들링 장난감 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ndling to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handling toy module including a first content module and a plurality of handling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handling toy module including a second content module and a rot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ndling toy module including a second content module and a rot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present in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 not rule out addi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링 장난감 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ndling to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링 장난감 모듈(100)의 본체는 제1면(110)과 제2면(120)으로 형성되며,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콘텐츠부(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ain body of the handling toy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first surface 110 and a second surface 120, and a content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1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링 장난감 모듈(100)은 벽면 장난감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부스 패널에 고정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벽 어디나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링 장난감 모듈(100)은 우주, 놀이동산, 정글, 바다, 풍경, 만화 또는 인물의 각기 다른 테마를 나타내며, 테마 별로 서로 다른 배경 및 콘텐츠부(130)를 포함한다.The handling toy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the form of a wall toy, and can be fixed to a booth panel or anywhere on a wall desired by a user. In addition, the handling toy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presents different themes such as space, amusement park, jungle, sea, landscape, cartoon, or character, and includes different backgrounds and content units 130 for each theme. do.

제1면(110)은 핸들링 장난감 모듈(100)의 테마에 따른 배경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우주 테마인 경우, 콘텐츠부(130)는 우주를 탐험하는 우주선 또는 별을 나타내며, 제1면(110)은 지구가 있는 태양계에서 먼 은하까지의 신비로운 우주 배경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고래 테마인 경우, 콘텐츠부(130)는 바다의 잠수함 또는 고래를 나타내며, 제1면(110)은 잠수함을 타고 고래와 함께 떠나는 해저 여행을 위한 바닷속 배경을 나타낼 수 있다. The first surface 110 includes a background according to the theme of the handling toy module 100 .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pace theme, the content unit 130 may represent a spacecraft or a star exploring the universe, and the first surface 110 may represent a mysterious space background from the solar system where the earth is located to a distant galaxy.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whale theme, the content unit 130 may represent a submarine or whale in the sea, and the first surface 110 may represent an underwater background for an undersea trip with a whale in a submarine.

이때, 제1면(110)은 배경과 더불어 테마에 맞는 일부 콘텐츠(예를 들면, 문자, 그림, 숫자 및 도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경과 일부 콘텐츠는 제1면(110)에 고정된 형태이므로, 핸들링부(140) 및 회전부(미도시)에 의해 움직이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first side 110 may include some content (for example, any one of letters, pictures, numbers, and figures) suitable for the theme along with the background, and the background and some content may include the first side 110 Since it is in a fixed form, it does not move by the handling unit 140 and a rotating unit (not shown).

제2면(120)은 콘텐츠부(130)의 상면에 위치하며, 둘레를 따라 프레임이 형성되고, 프레임 내측에는 개방 부위가 형성되어 있어 콘텐츠부(130)를 노출한다. 제2면(120)은 제1면(110)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프레임 내측에 개방 부위를 통해 본체 내부에 형성된 콘텐츠부(130)를 노출시킨다. The second surface 12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ent unit 130, a fram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an open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frame to expose the content unit 130. The second surface 120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xposes the content unit 130 formed inside the main body through an open portion inside the fram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제2면(120)의 일 측부 예를 들면, 제2면(120)의 프레임 상단 및 하단 중 어느 한 곳 이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이 형성되고, 기 설정된 길이의 레일에 따라 형성된 핸들링부(140)를 포함하며, 핸들링부(140)의 움직임에 의해 본체 내부의 콘텐츠부(130)의 움직임을 조작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핸들링부(140)는 본체 내부에 형성된 콘텐츠부(130) 중에서 하나의 콘텐츠 모듈과 연결되며, 사용자가 핸들링부(140)를 좌우로 이동시키면, 핸들링부(140)에 연결된 하나의 콘텐츠부(130) 또한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서, 핸들링 장난감 모듈(100)의 제2면(120)에 N개의 핸들링부(140)가 형성되면, 콘텐츠부(130) 중에서 N개의 핸들링부(140)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N개의 콘텐츠 모듈이 핸들링부(140)에 의해 움직인다. At least one rail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urface 120,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frame of the second surface 120, and the handling unit 140 is formed along the rail with a preset length. ), and the movement of the content unit 130 inside the main body is manipulated by the movement of the handling unit 140. For example, one handling unit 140 is connected to one content module among the content units 130 formed inside the body, and when the user moves the handling unit 140 left and right, the handling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handling unit 140. One content unit 130 also moves left and right. Accordingly, when N handling units 140 ar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20 of the handling toy module 100, N content modules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N handling units 140 among the contents unit 130 It is moved by the handling unit 140.

또한, 제2면(120)의 타측에는 회전하는 톱니 바퀴를 이용한 회전운동으로 콘텐츠부(130)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회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rface 12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unit (not shown) for manipulating the movement of the content unit 130 by a rotational motion using a rotating cog wheel.

콘텐츠부(130)는 본체의 제1면(110)에서 서로 연계되어 하나의 아트(art)를 표현한다.The content unit 130 is linked to each other on the first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to express one art.

콘텐츠부(130)는 제1면(110)에 형성된 배경과 문자, 그림, 숫자 및 도형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 모듈이 서로 연계되어 하나의 아트를 표현하며, 좌우로 움직이는 제1 콘텐츠 모듈 및 회전하는 톱니 바퀴에 의해 좌우 또는 상하로 움직이는 제2 콘텐츠 모듈의 콘텐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ontent unit 130, a background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10 and any one content module among letters, pictures, numbers, and figures are linked to express one art, and a first content module that moves left and right and a first content module that rotates Content modules of the second content module that mov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by gear wheels may be included.

보다 상세하게, 콘텐츠부(130)를 형성하는 콘텐츠 모듈은 제1면(110)의 배경과 함께 고정된 일부 콘텐츠, 핸들링부(140)에 의해 좌우로 움직이는 제1 콘텐츠 모듈, 및 회전부(미도시)에 의해 좌우, 상하 또는 회전으로 움직이는 제2 콘텐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ent modules forming the content unit 130 include some fixed content along with the background of the first surface 110, a first content module that moves left and right by the handling unit 140, and a rotating unit (not shown). ), it may include a second content module that moves left and right, up and down, or rotationally.

일 예로, 제1 콘텐츠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콘텐츠를 나타내며, 핸들링부(140)에 의한 조작으로 인해 좌우로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2면(120)의 일 측부에 형성된 핸들링부(140)는 제1 콘텐츠 모듈과 일대일 대응하여 연결되며, 레일에 따라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 대응된 단일의 제1 콘텐츠 모듈이 좌우로 움직이도록 조작할 수 있다. For example, at least one first content module represents different content and can be individually moved left and right due to manipulation by the handling unit 140 . The handling unit 140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urface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ent module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and when moving left and right along the rail, the corresponding single first content module is operated to move left and right. can do.

다른 예로, 제2 콘텐츠 모듈은 원판 모양의 회전체에 같은 간격의 돌기가 형성된 톱니 바퀴 상에 형성되며, 회전부에 의한 조작으로 인해 좌우, 상하 또는 회전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2 콘텐츠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형상의 톱니 바퀴 상에 형성되어 서로 다른 콘텐츠를 나타내며, 회전부에 의한 조작으로 인해 복수의 톱니 바퀴들이 서로 맞물려 돌아가며 종합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면(120)의 타측에 형성된 회전부(미도시)는 회전하는 경우, 복수의 톱니 바퀴들에 형성된 제2 콘텐츠 모듈들을 한 번에 좌우, 상하 또는 회전으로 움직이도록 조작할 수 있다. 제2 콘텐츠 모듈과 회전부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 및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content module is formed on a toothed wheel i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a disk-shaped rotating body, and can move left and right, up and down, or rotated due to manipulation by the rotating unit.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tent modules is formed on cogwheels of different shapes to display different contents, and a plurality of cogwheels engage with each other and move comprehensively due to manipulation by the rotating unit. When the rotation unit (not show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rface 120 rotates, it can manipulate the second content modules formed on the plurality of gear wheels to move left and right, up and down, or rotation at once. The second content module and the rotation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콘텐츠 모듈과 복수의 핸들링부를 포함한 핸들링 장난감 모듈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2 is a front view of a handling toy module including a first content module and a plurality of handling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링 장난감 모듈(100)은 복수의 핸들링부(140)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핸들링부(140)의 개수 및 레일(150)의 길이, 개수 및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handling toy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includes a plurality of handling parts 140, but this is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handling parts 140 and the length of the rail 150 , the number and position are not limited thereto.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링 장난감 모듈(100)의 제2면(120)은 콘텐츠부(130)의 상면에 위치하며, 둘레를 따라 프레임이 형성되고, 프레임 내측에는 개방 부위가 형성되어 있어 콘텐츠부(130)를 노출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second surface 120 of the handling toy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ent unit 130, a fram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the inside of the frame is open. A portion is formed to expose the content unit 130 .

제2면(120)의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150)이 형성되고, 레일(150)에는 핸들링부(140)가 형성된다. 이때, 레일(150)은 프레임의 폭 넓이에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짧게 여러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핸들링부(140)는 레일(150) 상에 위치하고, 하나의 레일(150) 상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콘텐츠부(130)와 각기 연결된다. 예를 들어, 길게 형성된 레일(150, 예를 들어 상단 첫번째 줄에 형성된 레일)에 형성된 핸들링부(140)는 프레임의 폭 넓이만큼 이동이 가능하며, 해당 핸들링부와 연결된 제1 콘텐츠 모듈 또한 프레임의 폭 넓이만큼 이동이 가능하다. 반면에, 짧게 형성된 레일(150, 예를 들어 상단 두번째 줄에 형성된 레일)에 형성된 핸들링부(140)는 프레임의 반쪽 폭 넓이만큼 이동이 가능하며, 해당 핸들링부와 연결된 제1 콘텐츠 모듈 또한 프레임의 반쪽 폭 넓이만큼 이동이 가능하다. At least one rail 150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ame of the second surface 120, and the handling unit 140 is formed on the rail 150. At this time, the rail 150 may be formed long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frame, or may be formed in several short ones. The handling unit 140 is located on the rail 150,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on one rail 150, and is connected to the content unit 130,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handling unit 140 formed on the long rail (150, for example, the rail formed on the first row at the top) can move as much as the width of the frame, and the first content modul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handling unit also moves along the frame. It can be moved as wide as it is wide. On the other hand, the handling part 140 formed on the short rail (150, for example, the rail formed on the second row at the top) is movable by half the width of the frame, and the first content modul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handling part also moves along the frame. It can be moved as much as half the width.

도 2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면(120)의 레일(150) 상에 형성된 1-핸들링부(141)는 콘텐츠부(130) 중 왼쪽 상단의 구름을 나타내는 1-콘텐츠 모듈(131)과 연결되고, 2-핸들링부(142)는 콘텐츠부(130) 중 오른쪽 상단의 해를 나타내는 2-콘텐츠 모듈(132)과 연결되며, 3-핸들링부(143)는 콘텐츠부(130) 중 가운데 중심의 피라미드를 나타내는 3-콘텐츠 모듈(133)과 연결된다. 또한, 4-핸들링부(144)는 콘텐츠부(130) 중 오른쪽 하단의 선인장을 나타내는 4-콘텐츠 모듈(134)과 연결되고, 5-핸들링부(145)는 왼쪽 하단의 자동차를 나타내는 5-콘텐츠 모듈(135)과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2 as an example, the 1-handling part 141 formed on the rail 150 of the second surface 120 is the 1-content module 131 representing the upper left cloud of the content part 130 , and the 2-handling unit 142 is connected to the 2-content module 132 representing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content unit 130, and the 3-handling unit 143 is the center of the content unit 130. It is connected to the 3-content module 133 representing the central pyramid. In addition, the 4-handling unit 144 is connected to the 4-contents module 134 representing a cactus at the bottom right of the content unit 130, and the 5-handling unit 145 is 5-contents representing a car at the bottom left. Module 135 is connected.

이에 따라서, 짧게 형성된 레일(150, 예를 들어 상단 두번째 줄에 형성된 레일)에 형성된 1-핸들링부(141)를 좌우로 조작하면, 1-콘텐츠 모듈(131) 또한 레일(150)의 길이만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에, 길게 형성된 레일(150, 예를 들어 하단 첫번째 줄에 형성된 레일)에 형성된 3-핸들링부(143)를 좌우로 조작하면, 3-콘텐츠 모듈(133) 또한 레일(150)의 길이만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1-handling unit 141 formed on the short rail 150 (for example, the rail formed on the second row at the top) is operated left and right, the 1-content module 131 also moves left and right by the length of the rail 150. will move to On the other hand, if the 3-handling part 143 formed on the long rail 150 (for example, the rail formed on the first row at the bottom) is operated left and right, the 3-content module 133 also moves left and right by the length of the rail 150. will move to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링 장난감 모듈(100)은 핸들링부(140)를 조작함으로써, 핸들링부(140)와 일대일 대응하는 콘텐츠 모듈을 개별적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에게 소근육 운동과 동시에 동작 구조를 생각하게 하는 창의력 활동 놀이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handling toy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vidually moves content modules corresponding to the handling unit 140 one-to-one by manipulating the handling unit 140,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small muscle exercises and an operating structure at the same time. Offer thought provoking creativity activitie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콘텐츠 모듈과 회전부를 포함한 핸들링 장난감 모듈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콘텐츠 모듈과 회전부를 포함한 핸들링 장난감 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3 is a front view of a handling toy module including a second content module and a rot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a handling toy module including a second content module and a rot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링 장난감 모듈은 콘텐츠부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며, 회전부에 의해 좌우, 상하 또는 회전으로 움직이는 제2 콘텐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ing to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unit for manipulating the movement of the content unit, and may include a second content module that moves left and right, up and down, or rotation by the rotation unit.

제2면(120)의 타측에 예를 들면, 레일 및 핸들링부와 떨어진 위치에 회전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예로 들면, 회전부(160)는 제2면(120)의 프레임 왼쪽 중앙에 위치하여 레일(150) 및 핸들링부(140)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The rotation part 160 may be inclu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rface 120, for example, at a position away from the rail and the handling part. Referring to FIG. 3 as an example, the rotation unit 160 may be located at the left center of the frame of the second surface 120 and spaced apart from the rail 150 and the handling unit 140 .

회전부(160)는 회전하는 톱니 바퀴를 이용한 회전운동으로 콘텐츠부(130)의 움직임을 조작한다. 예를 들면, 회전부(160)는 360도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회전부(160)가 회전하면, 핸들링 장난감 모듈(100)의 내부에 포함된 톱니 바퀴(161)가 회전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결된 톱니 바퀴(161)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톱니 바퀴(161)에 연결된 제2 콘텐츠 모듈들(136, 137)이 좌우, 상하 또는 회전으로 움직임이게 된다.The rotation unit 160 manipulates the movement of the content unit 130 by a rotational motion using a rotating cogwheel. For example, the rotation unit 160 can rotate 360 degrees, and when the rotation unit 160 rotates, the gear wheel 161 included in the handling toy module 100 rotates, as shown in FIG. As at least one of the connected cog wheels 161 engages with each other and rotates, the second content modules 136 and 137 connected to the cog wheel 161 move left and right, up and down, or rotational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콘텐츠 모듈은 톱니 바퀴(161)에 연결된 것으로, 톱니 바퀴(16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맞물리게 연결되어 형성되므로, 회전부(161)가 회전하는 경우, 톱니 바퀴(161)가 모두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톱니 바퀴(161)에 연결된 제2 콘텐츠 모듈들(136, 137) 또한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회전부(160)가 회전하는 경우, 톱니 바퀴(161)에 연결된 열기구 형상의 제2 콘텐츠 모듈(136)은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톱니 바퀴(161)에 연결된 회전 관람차 형상의 제2 콘텐츠 모듈(137)은 회전하며 움직이게 된다. The second conte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gear wheel 161, and since at least one gear wheel 161 is formed by interlocking and connecting to each other, when the rotating unit 161 rotates, the gear wheel ( 161 are all rotated, so that the second content modules 136 and 137 connected to the cog wheel 161 also move simultaneously. For example, when the rotation unit 160 shown in FIG. 3 rotates, the hot air balloon-shaped second content module 136 connected to the cog wheel 161 moves up and down, and the ferris wheel connected to the cog wheel 161 The second content module 137 of the shape rotates and moves.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링 장난감 모듈(100)은 제2면(120)의 프레임에 형성된 핸들링부(140) 및 회전부(160)를 포함하며, 핸들링부(140)에 의해 개별적으로 좌우로 움직이는 제1 콘텐츠 모듈과 회전부(160)에 의해 동시에 종합적으로 좌우, 상하 또는 회전으로 움직이는 제2 콘텐츠 모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핸들링 장난감 모듈(100)의 핸들링부 및 회전부를 조작하여 콘텐츠부를 개별적 또는 종합적으로 다양하게 작동시킴으로써, 조작성, 반복성, 방향성 및 눈과 손의 통합성을 통한 창의력, 사고력, 분석력 및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handling toy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handling unit 140 and the rotating unit 160 formed on the frame of the second surface 120, and is individually left and right by the handling unit 14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both a first content module that moves in a direction and a second content module that simultaneously and comprehensively moves left and right, up and down, or rotation by the rotating unit 160 . Accordingly, the user manipulates the handling unit and the rotating unit of the handling toy module 100 to individually or comprehensively operate the contents unit, thereby providing creativity, thinking ability, analytical ability and Can improve your concentration.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핸들링 장난감 모듈
110: 제1면
120: 제2면
130: 콘텐츠부
140: 핸들링부
150: 레일
160: 회전부
161: 톱니 바퀴
100: handling toy module
110: first side
120: second side
130: content unit
140: handling unit
150: rail
160: rotating part
161: toothed wheel

Claims (8)

고정되어 놀이 콘텐츠를 동작하는 벽면 콘텐츠의 핸들링 장난감 모듈에 있어서,
본체의 제1면에서 서로 연계되어 하나의 아트(art)를 표현하는 콘텐츠부;
상기 콘텐츠부의 상면에 위치하며, 둘레를 따라 프레임이 형성되고, 프레임 내측에는 개방 부위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콘텐츠부를 노출하는 제2면;
상기 제2면의 일 측부에 기 설정된 레일에 따라 형성되어 상기 콘텐츠부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핸들링부; 및
회전하는 톱니 바퀴를 이용한 회전운동으로 상기 콘텐츠부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면의 프레임 상단 및 하단의 일 측부에 기 설정된 길이의 레일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 상에 상기 핸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면의 타측에 상기 회전부가 형성되며,
상기 콘텐츠부는
상기 제1면에 형성된 배경과 문자, 그림, 숫자 및 도형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 모듈이 서로 연계되어 하나의 아트를 표현하며,
상기 콘텐츠 모듈은
상기 핸들링부에 의해 좌우 또는 상하로 움직이는 제1 콘텐츠 모듈 및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하여 좌우 또는 상하 또는 회전으로 움직이는 제2 콘텐츠 모듈을 포함하는, 핸들링 장난감 모듈.
In the handling toy module of wall content that is fixed and operates play content,
a content unit expressing one art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on the first surface of the main body;
a second surface loc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tents unit, having a fram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having an open portion formed inside the frame to expose the contents unit;
a handling unit formed along a predetermined rail on one side of the second surface to manipulate movement of the content unit; and
Including a rotation unit for manipulating the movement of the content unit with a rotational motion using a rotating toothed wheel,
At least one rai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ame of the second surface, the handling part is formed on the rail, and the rotating par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rface,
the content section
The background formed on the first surface and any one content module among letters, pictures, numbers, and figures are linked to each other to express one art,
The content module
A handling toy module comprising a first content module that moves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by the handling unit and a second content module that moves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or rotation by rotating by the rotating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텐츠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콘텐츠를 나타내며, 상기 핸들링부에 의한 조작으로 인해 좌우로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장난감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tent module is
A handling to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m represents different content and individually moves left and right due to manipulation by the handl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텐츠 모듈은
원판 모양의 회전체에 같은 간격의 돌기가 형성된 상기 톱니 바퀴 상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에 의한 조작으로 인해 좌우, 상하 또는 회전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장난감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ntent module is
A handling to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the toothed wheel o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disc-shaped rotating body, and moves left and right, up and down, or rotation due to manipulation by the rotating pa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텐츠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형상의 톱니 바퀴 상에 형성되어 서로 다른 콘텐츠를 나타내며, 상기 회전부에 의한 조작으로 인해 복수의 톱니 바퀴들이 서로 맞물려 돌아가며 종합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장난감 모듈.
According to claim 5,
The second content module is
A handling to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are formed on gear wheels having different shapes to represent different contents, and a plurality of gear wheels engage with each other and move comprehensively due to manipulation by the rotating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부는
단일의 상기 제1 콘텐츠 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레일에 따라 좌우로 움직이며 상기 제1 콘텐츠 모듈을 좌우로 움직임을 조작하는, 핸들링 장난감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ing part
A handling toy module corresponding to a single first content module, moving left and right along the rail and manipulating movement of the first content module from side to side.
KR1020210064014A 2021-05-18 2021-05-18 Handling toy module for manipulating contents KR1025715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014A KR102571589B1 (en) 2021-05-18 2021-05-18 Handling toy module for manipulating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014A KR102571589B1 (en) 2021-05-18 2021-05-18 Handling toy module for manipulating cont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249A KR20220156249A (en) 2022-11-25
KR102571589B1 true KR102571589B1 (en) 2023-08-29

Family

ID=84237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014A KR102571589B1 (en) 2021-05-18 2021-05-18 Handling toy module for manipulating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58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491B2 (en) * 1992-10-20 2000-07-17 三星電子株式会社 Projection exposure equipment
KR101759053B1 (en) * 2016-11-18 2017-07-18 한기훈 Painting to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491U (en) * 1999-09-16 2000-04-07 株式会社学研トイホビー Toy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491B2 (en) * 1992-10-20 2000-07-17 三星電子株式会社 Projection exposure equipment
KR101759053B1 (en) * 2016-11-18 2017-07-18 한기훈 Painting to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249A (en)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rdner Mathematical circus
Gardner The last recreations: hydras, eggs, and other mathematical mystifications
Stewart Game, set and math: enigmas and conundrums
Birken et al. Discovering patterns in mathematics and poetry
KR102571589B1 (en) Handling toy module for manipulating contents
Raucci Personal Robotics: Real Robots to Construct, Program, and Explore the World
Bruce The whole child
Causo et al. Developing and benchmarking show & tell robotic puppet for preschool education
Vizner et al. Curious Construction Kit: A programmable building kit for early childhood
Shukla On teaching mathematics to gifted students: some enrichment ideas and educational activities
Abdubannonovna Sand therapy-one of the methods of art therapy
Ceceri Robotics: Discover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the future with 20 projects
Stewart Cows in the maze: And other mathematical explorations
Kiss Educational Challenges of Rubik's Cube
Luotoniemi Hyperspatial Interlace-Grasping Four-dimensional Geometry through Crafted Models
Alpert Not just fun and games
CN216092237U (en) Intelligence-developing magic stick
Darling et al. Weirder maths: at the edge of the possible
Duflot et al. When sharing computer science with everyone also helps avoiding digital prejudices
Sarcone et al. Impossible folding puzzles and other mathematical paradoxes
Rivera Free STEM Apps for common core
JP3133695U (en) Wisdom toys
Danesi et al. Puzzles and Spatial Reasoning
Hall The Big Green Activity Book
Giddings How to Change the Wor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