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459B1 -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459B1
KR102571459B1 KR1020230020618A KR20230020618A KR102571459B1 KR 102571459 B1 KR102571459 B1 KR 102571459B1 KR 1020230020618 A KR1020230020618 A KR 1020230020618A KR 20230020618 A KR20230020618 A KR 20230020618A KR 102571459 B1 KR102571459 B1 KR 102571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unit
result
final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06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영훈
이종식
독고헌
이기상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주식회사 씨엠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주식회사 씨엠엑스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230020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4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45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 SaaS 기반의 클라우드 서버, 과제결과물을 저장하는 과제물 저장서버를 포함하되,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자 단말과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 단말 접속부, 생성된 과제의 내역 및 관리 절차를 생성하고 과제 관리자를 선정하는 과제관리 설정부, 중간 과제결과물의 입력 및 분석을 통해 중간과제의 수행결과를 평가하는 중간과제 판정부, 최종 과제결과물의 입력과 최종과제의 수행결과를 평가하는 최종과제 판정부 및 과제물 저장서버에 과제결과물을 저장하는 과제결과물 저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ncludes a user terminal, a SaaS-based cloud server, and an assignment storage server for storing project results, wherein the cloud server is a user terminal for accessing the user terminal. A connection unit, a task management setting unit that creates details and management procedures of created tasks and selects a task manager, an intermediate task judgment unit that evaluates the performance result of an intermediate task through input and analysis of intermediate task results, and input of final task results And it relates to a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final task judgment unit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final task and a task resul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task result in the task storage server.

Description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연구일지, 보고서 및 다양한 연구결과물 등을 연구개발자와 과제관리자 간에 상호 공유하고, 과제수행이 진행되는 일정 전반을 자동적으로 모니터링 및 검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R&D task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research journals, reports, and various research results generated during the R&D task are mutually shared between the research developer and the task manager, and the task is carried out. It relates to a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system equipped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monitoring and verifying the overall schedule.

일반적으로 연구개발(R&D) 과제의 종류 및 형식은 발주기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과제 선정 단계에서부터 최종 평가 단계까지 일련의 절차가 명확하게 특정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In general, the types and formats of R&D projects are not only made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ordering organization, but also have a characteristic that the series of procedures from the project selection stage to the final evaluation stage are not clearly specified.

도 1은 일반적인 연구개발 과제의 일련의 절차를 나타내고 있는데, 과제제안서 평가, 과제선정, 과제 수행, 과제 평가 및 후속 조치로 이루어지지만 특히 과제 수행 단계에서는 실험 또는 시제품 제작 등 연구 개발 과제마다 다른 형태의 중간 연구개발 결과물을 생성하고 있고, 연구개발 과제의 성공여부는 이러한 과제 중간 수행 단계에서 결정나는 것이 대부분이다.Figure 1 shows a series of procedures of a general R&D task, which consists of task proposal evaluation, task selection, task execution, task evaluation, and follow-up. Intermediate R&D results are being generated, and the success of R&D tasks is mostly determined at the intermediate stage of carrying out these tasks.

연구개발 과제의 수행단계에서, 착수부터 완료까지의 과제 진행상황 전반을 모니터링해야 하는 과제관리자 입장에서는 일방적인 보고에 의존하고 있고, 적어도 1년 이상의 장기간 수행되는 과제 중간에 발생하는 중요한 이슈를 적시에 보고받지 않을 경우에 적극적인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In the R&D project implementation phase, the project manager, who has to monitor the overall progress of the project from initiation to completion, relies on unilateral reporting, and issues that arise in the middle of a project that is carried out for a long period of at least one year are timely addressed.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actively deal with when not reported often occur.

또한, 과제 수행단계에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제품 제작이나, 공정 설비 제작과 같은 경우에 일정한 기간 동안의 진척 상황에 대해 과제관리자 입장에서는 명확한 검증과 판단이 필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roduction of products including hardware or software or production of process equipment in the task execution stage, clear verification and judgment may be necessar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ask manager regarding the progres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종래에는 과제 수행 일정에 따른 중간 연구 결과물에 대한 검증 및 평가와 유관기관들과의 협업 또는 정보공유화를 위한 전자화된 보고 체계가 없고 이로 인해 연구결과의 부실화를 사전에 예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there is no electronic reporting system for verification and evaluation of interim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task execution schedule, collabo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or information sharing, and it is difficult to prevent inadequacy of research results in advance.

한국 수자원공사에서 수행하는 연구개발 과제는 수자원, 수도, 에너지, 수변 뿐만 아니라 디지털 분야까지 망라한 기술별로 다양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과제의 성과관리는 연구과제 선정, 중간보고, 최종보고라는 업무단계에 따른 수시 확인 및 추진보고 업무로 나뉜다. 특히 과제 수행 중간에 연구수행자는 과제 선정 시 제출한 연구계획보고서에 따라 추진 경과 및 중간과제 성과물을 수시로 수요기관에 보고해야 하지만 관리감독을 위한 보고가 명확하지 않아 실질적으로는 중간결과물에 대한 검토과정이 생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The R&D tasks carried out by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take various forms by technology, covering not only water resources, waterworks, energy, and waterside, but also the digital field.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such research tasks is divided into frequent confirmation and promotion reporting tasks according to the work stages of research task selection, interim report, and final report. In particular, in the middle of the task, the researcher must frequently report the progress of the project and the achievements of the intermediate project to the requesting agency according to the research plan report submitted when selecting the project. In most cases this is omitted.

도 2는 연구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과제관리부서, 수요부서 및 과제를 수행하는 유관기관을 도시한 것으로, 과제 전반을 관리하는 과제관리부서와 실제 연구개발 과제의 수요부서, 과제수행기관 및 협력하는 협력기관들간에 업무 및 역할이 상이하여 이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체계 구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Figure 2 shows the task management department, demand depart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that perform the task in carrying out the research task. Since the tasks and roles of partner organizations are different,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that integrates and operates them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예를 들면, 현장에서 설비를 구축하는 과제라면, 현장 관리자(현장 기사)는 주요 공정마다 현장을 확인 및 진행 상태에 대한 결과를 기록하여야 하지만 현장 과정에 대한 기록 방법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고 각자의 재량에 맡겨져 있다는 것이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building facilities on site, the site manager (site engineer) must check the site for each major process and record the results of the progress. that it is entrusted to

또한, 과제 중간 수행 단계에 대한 진척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과제 진도 상황을 확인하는 관리 수단이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과제의 성격 즉, 장치 개발에 관한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것인지에 따라 중간 수행 진척 단계를 확인하는 자체가 매우 어려운 문제이고, 일관된 자동화 도구가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there is no management means for checking the progress of the task by analyzing the progress of the intermediate stage of the task in real time. In particular, it is a very difficult problem in itself to check the progress of intermediate execution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task, that is, whether it is related to device development or software development, and a consistent automation tool is required.

특허문헌 1에는 연구개발 사업의 보고서 데이터를 기관별, 사업별, 과제별로 분류하여 사업/과제 DB에 저장하는 조사분석 모듈, 연구개발 사업을 미리 정해진 평가지표 또는 과거의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평가하는 평가 모듈 및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예산을 조정하는 예산조정 모듈을 포함하는 연구개발 사업관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은 과제 수행 중에 생성되는 중간 결과물에 대한 공유 및 평가 수단이 구비되지 않고 과제가 원활하게 수행되는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Patent Document 1 includes a research and analysis module that classifies report data of R&D projects by institution, project, and project and stores them in a project/task DB, and an evaluation module that evaluates R&D projects based on predetermined evaluation indicators or past evaluation data. and a budget adjustment module for adjusting the budget for the R&D project. However, Patent Document 1 still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rovided with means for sharing and evaluating intermediate results generated during task performance, and it is not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task is performed smoothly.

특허문헌 2에는 연구과제 관리를 위한 ERP 및 그룹웨어가 연계하여 단순히 과제산출물을 등록 및 관리하는 수단을 구비할 뿐 과제 진척 상황에 대한 판단과 평가 수단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In Patent Document 2, ERP and groupware for research project management are connected, and a means for simply registering and managing project outputs is provided, but no means for determining and evaluating the progress of the project is disclosed.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4328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4328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05700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10570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사용자 단말을 활용한 디지털 방식으로 연구과제 전반에 대한 진행 상황 보고, 점검 및 평가를 실시간 확인하고 공유할 수 있는 위한 연구개발 과제 수행을 모니터링 및 검증하는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and verifies the perform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s to check and share progress reports, inspections, and evaluations of overall research tasks in real time using a mobile user terminal in a digital manner.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mart R&D task management system tha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클라우드 서버(20), 연구개발 과정에서 생성되는 과제결과물을 저장하는 과제물 저장서버(30)를 포함하되, 클라우드 서버(2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과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 단말 접속부(100), 연구개발 과제의 세부 내역 및 관리 절차를 생성하고, 과제 관리자를 선정하는 과제관리 설정부(200), 중간 과제결과물의 입력 및 분석을 통해 중간과제의 수행결과를 평가하는 중간과제 판정부(300), 최종 과제결과물의 입력과 과제 수행결과를 최종적으로 평가하는 최종과제 판정부(400) 및 과제물 저장서버(30)에 상기 과제결과물을 저장하는 과제결과물 저장부(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user terminal 10, a cloud server 20, and an task storage server 30 for storing task results generated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Including, but the cloud server 20 is a user terminal connection unit 100 for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 a task management setting unit for generating detailed details and management procedure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s, and selecting a task manager ( 200), an intermediate task judging unit 300 that evaluates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intermediate task through input and analysis of the intermediate task result, a final task judging unit 400 that finally evaluates the input of the final task result and the task performance result,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assignment result storage unit 500 for storing the assignment result in the assignment storage server 3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서, 과제관리부(200)는 연구개발 과제의 기본정보 등록, 과제 수행일정 및 과제 예산을 등록하는 과제관리 설정부(210), 연구개발 과제를 관리하는 관리자 및 관리그룹을 지정하는 과제관리자 구성부(220) 및 연구개발 과제의 수행동안 생성되는 문서의 입력, 저장 또는 출력을 관리하는 과제문서 관리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R&D ta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sk management unit 200 includes a task management setting unit 210 for registering basic information of the R&D task, a task execution schedule and a task budget, and a task management setting unit 210 for managing the R&D tas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ask manager composition unit 220 that designates managers and management groups and a task document management unit 230 that manages the input, storage, or output of documents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서, 과제관리 설정부(210)는 연구개발 과제 수행기간 동안 발생하는 일정을 생성하는 일정관리 설정부(211), 연구개발 과제 예산 항목 및 금액을 입력하는 예산내역 설정부(212),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하는 기업 정보를 입력하는 기업정보 설정부(213) 및 과제수행자의 이력정보를 입력하는 인적정보 설정부(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sk management setting unit 210 inputs the schedule management setting unit 211 that creates a schedule that occurs during the R&D task performance period, the R&D task budget items and the amou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udget details setting unit 212, a company information setting unit 213 for inputting company information performing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s, and a personal information setting unit 214 for inputting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task performer.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서, 과제관리자 구성부(220)는 연구개발 과제의 종류에 따른 과제관리 그룹을 지정하는 관리자그룹 설정부(221), 연구개발 과제를 관리할 관리자를 지정하는 관리자 설정부(222) 및 연구개발 과제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승인하는 절차를 지정하는 승인절차 설정부(2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R&D ta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sk manager composition unit 220 includes an administrator group setting unit 221 that designates a task management group according to the type of R&D task and a manager to manage the R&D tas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anager setting unit 222 to designate and an approval procedure setting unit 223 to designate a procedure for confirming and approving the progress of the R&D tas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서, 과제문서 관리부(230)는 연구개발 과제의 수행 일지를 입력, 저장 및 공유하여 관리하는 과제일지 관리부(231), 연구개발 과제 수행동안 발생하는 각종 보고서를 입력, 저장 및 공유하여 관리하는 보고서 관리부(232), 회의 일정 및 회의 내용을 회의록으로 입력받아 관리하는 회의록 관리부(233) 및 연구개발 과제 집행에 따른 과제비 집행 내역을 입력, 저장 및 공유하여 관리하는 과제비 관리부(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sk document management unit 230 includes a task log management unit 231 for inputting, storing, and sharing the performance diary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Report management unit 232 that manages by inputting, storing, and sharing reports, meeting minutes management unit 233 that receives and manages meeting schedules and meeting minutes, and inputs, stores, and shares details of project cost execution according to R&D task execu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oject fee management unit 234 that manages b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서, 중간과제 판정부(300)는 과제 수행자에 의해 연구개발의 과제 중간결과물을 입력받는 중간결과물 입력부(310), 과제 중간결과물을 분석하는 중간결과물 분석부(320) 및 분석된 중간결과물을 평가하는 중간결과물 평가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task determining unit 300 includes an intermediate product input unit 310 that receives an intermediate produc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by a task performer, and an intermediate product analysis that analyzes the intermediate product of the tas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unit 320 and an intermediate result evaluation unit 330 that evaluates the analyzed intermediate resul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서, 중간결과물 입력부(310)는 연구개발의 과제 중에 발생하는 중간결과물의 촬영 영상 또는 동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311), 연구개발 과제에서 생성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버전 관리 및 백업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 입력부(312) 및 연구개발 과제 수행동안에 발생하는 수치 결과들을 입력 받아 저장하는 수치 입력부(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result input unit 310 is an image input unit 311 that receives a video or video of an intermediate result generated during a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and a program generated in a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ogram code input unit 312 for receiving and storing codes, version management and backup, and a numerical input unit 313 for receiving and storing numerical results generated during R&D task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서, 중간결과물 분석부(320)는 과제 수행 동안에 영상 입력부(311)로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영상들의 변화정도를 상호 비교하여 진척 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하는 영상 분석부(321),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 생성되는 기능 블록 단위의 프로그램 코드를 분석하고, 이전에 입력된 프로그램 코드와 비교하여 기능 블록 단위에서 추가되거나 삭제 혹은 변경된 부분을 하나의 목록으로 생성하여 관리하는 프로그램 코드 분석부(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result analysis unit 320 compares the degree of change of images periodically input to the image input unit 311 during task performance to automatically check progress. The analysis unit 321 analyzes the program code of the function block unit generated in the program development stage, compares it with the previously input program code, and creates and manages the added, deleted, or changed parts in the function block unit as a lis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ogram code analysis unit 32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서, 영상 분석부(321)는 딥러닝 기반의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하고, 두 개의 시간 차가 있는 연구개발 과제의 중간 결과물의 촬영된 입력 영상을 입력으로 하고, 두 영상 간의 유사한 정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R&D ta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analysis unit 321 use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ased on deep learning, and takes an input image of an intermediate result of a R&D task hav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two as input. and outputt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two imag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서, 중간결과물 분석부(320)는 연구개발 과제 진행 단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제품의 성능 또는 품질 개선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값의 개선 정도를 분석하는 수치 분석부(3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R&D ta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result analysis unit 320 is a numerical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numerical values representing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erformance or quality of a product that can be checked in the R&D task progress stage. (32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서, 중간결과물 평가부(330)는 상기 일정관리 설정부(211)에서 입력된 과제 수행기간 동안의 일정을 기초로 연구개발 과제 수행 중간 단계에서 생성되는 중간결과물의 진척 상황을 확인하는 진척도 평가부(331), 진척도 평가부(331)에서 평가한 결과에 대한 검증 및 승인 여부는 검증/승인부(332) 및 진척도 평가부(331)에서 평가할 수 없는 조건이 발생하거나 검증/승인부(332)에서 추가 보완 사항이 발생할 경우 과제수행자에게 보완할 것을 지시하는 보완 지시부(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result evaluation unit 330 is generated in the middle stage of perform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based on the schedule during the task execution period input from the schedule management setting unit 211 The progress evaluation unit 331 that checks the progress of the intermediate result, and the verification/approval of the results evaluated by the progress evaluation unit 331 cannot be evaluated by the verification/approval unit 332 and the progress evaluation unit 33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mplement instruction unit 333 instructing the task performer to supplement when a condition occurs or an additional complement item occurs in the verification/approval unit 33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서, 최종과제 판정부(400)는 과제 수행자에 의해 수행된 최종과제 결과물을 입력받는 최종결과물 입력부(410) 및 최종결과물 평가부(420)를 포함하되, 최종결과물 평가부(420)는 과제 수행자에 의해 수행된 최종과제 결과물을 입력받는 최종결과물을 승인 및 평가하는 최종 평가부(421) 및 상기 최종 평가부(331)에서 평가한 결과에 대한 인증 및 승인 여부는 인증/승인부(4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al task determination unit 400 includes a final result input unit 410 receiving a final task result performed by a task performer and a final result evaluation unit 420 , The final result evaluation unit 420 is the final evaluation unit 421 that approves and evaluates the final result of receiving the final task result performed by the task performer and the certif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result evaluated by the final evaluation unit 331. Approval or no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authentication/approval unit 422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서, 클라우드 서버(20)는 SaaS 기반의 클라우드 서버로서, 로드 밸런싱부가 구비된 이중화된 서버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10)과 상기 클라우드 서버(20) 사이에는 과제 수행 결과물에 해킹을 방지하는 침입 방지 시스템(IPS) 및 웹 어플리케이션 방화벽(WAF)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ud server 20 is a SaaS-based cloud server, a dualized server equipped with a load balancing unit, and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cloud server 20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trusion prevention system (IPS) and a web application firewall (WAF) are provided to prevent hacking in the task performance resul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연구과제 진행중의 업무일지, 보고서, 중간결과물 및 최종결과물에 대해 과제관리부서 및 수요부서에서 사전에 전자적으로 공유하여 확인할 수 있고, 미리 과제진행 상황에 대한 수시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mart R&D ta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sk management department and the demand department can electronically share and check the work log, report, intermediate result, and final result of the research subject in progress in advan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valuate the progress of the task at any time in advance.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연구결과의 부실화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연구과제의 우수성과를 유도함으로써 연구개발 제도의 취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solvency of research results in advance and maximiz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system by inducing excellent performance of the research projec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연구개발 과제의 일련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관련 기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과제설정 관리부의 기능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과제관리자 구성부의 기능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과제문서 관리부의 기능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중간결과물 입력부의 기능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중간결과물 분석부의 기능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변화율을 계산하는 합성곱 신경망(CNN)기반의 인공지능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중간결과물 평가부의 기능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최종결과물 평가부의 기능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1 is a flowchart showing a series of procedure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related institutions that perform research tasks.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a task setting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a task manager compon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an assignment document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an intermediate result input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an intermediate result analysis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for calculating an image change r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an intermediate result evaluation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a final result evaluation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a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bu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소프트웨어를 동작시키는 SaaS 기반의 클라우드 서버(20) 및 각종 연구개발 과제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각종 보고서 및 결과물 등을 저장하는 과제물 저장서버(3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0, a SaaS-based cloud server 20 that operates software, and various reports and It consists of an assignment storage server 30 that stores results and the like.

먼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사용자 단말(10)은 윈도우즈 환경에서 동작하는 일반 PC 나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라면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앱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도 2에서 언급한 관제관리부서 및 수요부서의 과제관리 직원이나 과제 수행기관 및 협력기관에 소속되어 실제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하는 개발자나 연구원 등일 수 있다.First, the user terminal 10 on which the client program is loaded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general PC operating in a Windows environment or a terminal of various types, but may preferably be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pp-based user interface. On the other hand, the user may be a developer or researcher belonging to the task management staff of the control management department and the demand department mentioned in FIG. 2, or a developer or researcher who actually performs R&D tasks belonging to a task performing institution or a cooperative institution.

SaaS(Software as a Service) 기반의 클라우드 서버(20)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의 일종으로, 별도의 구동 소프트웨어를 구입하지 않고서도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네트워킹, 저장소 및 가상화 등을 통한 플랫폼을 제공받을 수 있다.The SaaS (Software as a Service)-based cloud server 20 is a kind of server that performs application services operated in a cloud environment. and a platform through virtualization, etc. may be provided.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사용자 단말(10)과 클라우드 서버(20) 사이에는 과제 수행 결과물에 따른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침입 방지 시스템(IPS: Instruction Protection System) 및 웹 어플리케이션 방화벽(WAF: Web Application Firewall)이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3,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cloud server 20, an intrusion prevention system (IPS:   Instruction Protection System) and a web application firewall (WAF:   Web Application Firewall) may be provided.

또한, 과제물 저장서버(30)는 과제 수행동안에 생성된 각종 문서, 프로그램 및 (동)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는데, 특히 미디어 관련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미디어 저장서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sk storage server 30 may store various documents, programs, and (moving) images generated during task performance, and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media storage server for storing media-related videos.

다시, 도 3에서 클라우드 서버(20)내에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과제 관리 수단은 사용자 단말(10)과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 단말 접속부(100), 생성된 과제의 내역 및 관리 절차를 생성하고 과제 관리자를 선정하는 과제관리부(200), 중간 과제결과물의 입력 및 분석을 통해 중간과제의 수행결과를 평가하는 중간과제 판정부(300), 최종 과제결과물의 입력과 최종과제의 수행결과를 평가하는 최종과제 판정부(400) 및 과제물 저장서버(30)에 과제결과물을 저장하는 과제결과물 저장부(500)로 이루어진다.Again, in FIG. 3, the task management mean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program in the cloud server 20 creates the user terminal connection unit 100 for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 the details and management procedures of the created task, and the task manager A task management unit 200 that selects, an intermediate task decision unit 300 that evaluates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intermediate task through input and analysis of the intermediate task result, and a final task that evaluates the input of the final task result and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final task It consists of a determination unit 400 and an assignment result storage unit 500 that stores assignment results in the assignment storage server 30 .

사용자 단말 접속부(100)는 사용자 단말(10)과의 접속을 위한 HTTP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과제 수행과 관련된 각종 보고서, 업무 일지 등의 문서나 과제결과물에 대한 영상, 프로그램 등을 전달하거나 및 공유하는 수단을 제공한다.The user terminal connection unit 100 provides an HTTP-based interface for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 to deliver or share documents such as various reports and work diaries related to task execution, images and programs for task results, etc. provide means

또한, 과제 관리부(200)는 과제의 기본정보 등록, 수행일정 및 예산을 등록하는 과제관리 설정부(210), 과제를 관리하는 관리자 및 관리 그룹을 지정하는 과제관리자 구성부(220) 및 과제 수행동안 생성되는 문서의 입력, 저장 또는 출력을 관리하는 과제문서 관리부(2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ask management unit 200 includes a task management setting unit 210 for registering basic information of the task, an execution schedule and budget, a task manager composition unit 220 for designating a manager and management group for managing the task, and task execution. and a task document management unit 230 that manages the input, storage, or output of document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중간과제 판정부(300)는 과제 수행자에 의해 과제 중간결과물을 입력받는 중간결과물 입력부(310), 과제 중간결과물을 분석하는 중간결과물 분석부(320) 및 분석된 중간결과물을 평가하는 중간결과물 평가부(330)를 포함한다.The intermediate task determination unit 300 includes an intermediate result input unit 310 that receives an intermediate result of the task from a task performer, an intermediate result analyzer 320 that analyzes the intermediate result of the task, and an intermediate result evaluation unit that evaluates the analyzed intermediate result. (330).

또한, 최종과제 판정부(400)는 최종결과물을 입력받는 최종결과물 입력부(410)와 입력된 최종결과물에 대한 평가 및 과제 계획 당시에 제출되어야 할 결과물을 제출여부를 종합적으로 확인 및 평가는 최종결과물 평가부(42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nal task judging unit 400 comprehensively checks whether the final result input unit 410 receives the final result, evaluates the input final result, and submits the result to be submitted at the time of task planning, and evaluates the final result. includes section 420 .

과제결과물 저장부(500)는 중간결과물 입력부(310) 및 최종결과물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된 과제결과물을 과제물 저장서버(30)에 DB화하여 저장하고, 과제 관리자의 접속 권한과 보안 절차를 제어하고, 검색을 위한 쿼리 등을 제공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ask result storage unit 500 converts the task result input through the intermediate result input unit 310 and the final result input unit 410 into a DB and stores it in the task storage server 30, and controls the access rights and security procedures of the task manager. It controls and provides and manages queries for search.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과제설정 관리부(210)의 기능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과제관리자 구성부(220)의 기능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과제문서 관리부(230)의 기능을 나타낸 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the task setting management unit 2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the task manager component 22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the task document management unit 23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을 참조하면, 과제설정 관리부(210)는 일정관리 설정부(211), 예산내역 설정부(212), 기관정보 설정부(213), 인적정보 설정부(21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task setting management unit 210 includes a schedule management setting unit 211, a budget details setting unit 212, an institu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213, and a personal information setting unit 214.

일정관리 설정부(211)는 과제가 선정된 후 과제 수행에 따른 전반적인 일정을 등록하는 수단으로 과제제안서 상에 기재된 과제 시작/종료 시점과 개발일정에 따른 중간 결과물의 제출 시기 및 회의/보고 일정 등의 주요 일정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일정관리 설정부(211) 등록된 일정에 따라 알람 생성뿐만 아니라 예정되는 일정을 사전에 공지하거나 일정 지연에 따른 통지 및 경고를 생성하여 해당 과제 수행 책임자나 과제 관리 담당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The schedule management setting unit 211 is a means of registering the overall schedule according to the task after the task is selected, and the start/end time of the task described in the task proposal, the time of submission of intermediate resul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chedule, the meeting/report schedule, etc. You can register the main schedule of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chedule registered in the schedule management setting unit 211, not only alarms are generated, but scheduled schedules are notified in advance, or notifications and warnings according to schedule delays are generated to notify the person in charge of performing the task or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ing the task.

예산내역 설정부(212)는 과제 제안 및 선정 후에 확정된 과제 예산 내역을 등록하고, 과제 수행 과정에서 집행된 비용의 적정 사용 여부와 비용 집행율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The budget details setting unit 212 registers the details of the project budget determined after the proposal and selection of the task, and can confirm in advance whether or not the cost executed during the task execution process is appropriately used and the cost execution rate.

기관정보 설정부(213)는 과제 수행기관 및 협력기관의 재무상태나 외부 변동 요인을 등록받아 수시로 기관의 안정 상태를 확인하여 원활하게 과제를 수행할 수 있고,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 과제 관리자에게 사전에 통지할 수 있다.The agency information setting unit 213 receives the registration of the financial status or external change factors of the project performing organization and partner organizations, checks the stable state of the organization from time to time, and can smoothly carry out the task. can be notified.

인적정보 설정부(214)는 과제 수행기관 및 협력기관에 소속되어 과제를 수행하는 개발 연구원의 인적 사항을 사전에 등록하고, 휴직이나 퇴사 등에 의해 과제 수행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에 사전에 감지하여 이에 대한 조치를 강구할 수 있도록 한다.The personal information setting unit 214 pre-register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evelopment researcher belonging to the task-performing organization and partner organization and performs the task, detects in advance when there is a disruption in task performance due to leave or resignation, and responds accordingly. enable action to be taken against it.

다만, 과제관리 설정부(210)에 구비된 위의 기능 수단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외에도 과제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쉽게 부가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functional means provided in the task management setting unit 210, and various other factors that may affect task management can be easily added at the level of a skilled person.

도 5를 참조하면, 과제관리자 구성부(220)는 관리자그룹 설정부(221), 관리자 설정부(222), 및 승인절차 설정부(22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task manager configuration unit 220 includes an administrator group setting unit 221, an administrator setting unit 222, and an approval procedure setting unit 223.

일반적인 연구개발 과제 관리를 위한 과제 관리부서와 수행되는 과제를 향후 이용하는 실질적인 과제 수요부서의 관리 형태는 다를 수 있다. 특히, 수요부서에서는 과제수행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규격을 변경할 수도 있고, 과제 결과물에 대한 실제적인 질적 판단 및 승인을 하는 그룹일 수 있다. 또한, 과제수행기관이나 협력기관에서도 과제를 수행하는 연구원, 중간 책임자 및 과제를 총괄하는 총괄과제 책임자로 구성될 수 있어 이들의 관리체계를 사전에 설정할 필요가 있다.The management form of the task management department for general R&D task management and the actual task demand department for future use of the task being performed may be different. In particular, the demand department may change the specifications as needed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task, or may be a group that makes practical qualitative judgments and approvals for the task resul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for these institutions in advance as it can be composed of a researcher performing the task, an intermediate manager, and a general task manager who oversees the task in the task performing organization or partner organization.

관리그룹 설정부(221)는 연구개발 과제의 종류에 따라 사전에 이러한 관리그룹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The management group setting unit 221 may set such a management group in adv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R&D task.

관리자 설정부(222)는 관리자그룹 설정부(221)에서 설정된 관리그룹 내에 과제 관리를 위한 담당자를 사전에 지정하고, 지정된 관리자에 대한 데이터 접속권한 및 보안 등급을 할당할 수 있다.The manager setting unit 222 may pre-designate a person in charge for task management within the management group set by the manager group setting unit 221 and allocate data access rights and security levels to the designated manager.

승인절차 설정부(223)는 지정된 관리자들에 대한 보고, 참조 또는 결재라인을 사전에 설정하여 과제 수행 전반에 대한 검토 및 승인 여부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The approval procedure setting unit 223 may systematically manage review and approval of overall task execution by setting a report, reference, or approval line for designated managers in advance.

도 6을 참조하면, 과제문서 관리부(230)는 과제일지 관리부(231), 보고서 관리부(232), 회의록 관리부(233) 및 과제비 관리부(23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task document management unit 230 includes an assignment diary management unit 231, a report management unit 232, a meeting record management unit 233, and an assignment fee management unit 234.

과제일지 관리부(231)는 과제 수행자가 과제의 진행 상황이나 검토 사항을 일정 기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입력 받고 이를 전자화 문서를 재구성하여 관리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저장 관리할 수 있다. The task log management unit 231 may systematically store and manage a task performer's task progress or review items periodically according to a certain period of time, reorganize a digitalized document, and manage it so that a manager can share it.

보고서 관리부(232)는 과제 수행에 따른 각종 보고서를 관리하는 수단으로 보고서의 접수 및 등록과 해당 보고서의 승인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해당 관리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보고서 접수 상황을 공지할 수 있다.The report management unit 232 is a means of managing various reports according to task performance, and can systematically manage the receipt and registration of reports and the approval of the corresponding reports, and can notify the report reception status so that the manager can share. .

회의록 관리부(233)는 업무 회의에 의해 생성된 회의록을 등록받고 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관리자 등이 공유할 수 있도록 저장 관리한다.The meeting minutes management unit 233 receives meeting minutes generated by a business meeting and stores and manages them so that managers who do not attend the meeting can share them.

과제비 관리부(234)는 과제 수행과정에서 집행된 비용을 즉시 입력받는 수단을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과제의 수행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task cost management unit 234 may provide a means for immediately receiving input of costs incurred in the task performance process, and monitor the task performance status based on this.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중간결과물 입력부의 기능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중간결과물 분석부의 기능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변화율을 계산하는 합성곱 신경망(CNN)기반의 인공지능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중간결과물 평가부의 기능을 나타낸 블럭도이다.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 of the intermediate result input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 of the intermediate result analysis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that calculates an image change r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an intermediate result evaluation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결과물 입력부(310)는 영상 입력부(311), 프로그램 코드 입력부(312) 및 수치 입력부(313)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7 , the intermediate result input unit 310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311 , a program code input unit 312 and a numerical input unit 313 .

영상 입력부(311)는 과제수행 과정에서 생성된 중간결과물에 대해 주기적으로 촬영시점, 촬영된 영상 및 영상에 대한 속성 정보를 입력 받고, 과제결과물 저장부(500)에 의해 과제물 저장 서버(30)에 저장한다. 이러한 촬영된 영상은 공사 현장이나 시제품 제작 단계에서 과제 진척도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중간 결과물로 단순히 보고서, 업무 일지 만으로 정확한 과제 진척 상황을 판단할 수 없을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The image input unit 311 periodically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shooting time, the captured image, and the property of the image for the intermediate result generated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task,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task storage server 30 by the task result storage unit 500. Save. These captured images are very important intermediate results in determining the progress of a task at the construction site or prototype production stage, and can be usefully used when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rogress of a task only with reports and work diaries.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코드 입력부(312)도 프로그램 코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중간 결과물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또한 이를 통해 버전 관리 차원에서 백업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Similarly, the program code input unit 312 also receives and stores intermediate result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program codes, and also can be usefully used as a backup in terms of version management through this.

수치 입력부(313)는 과제 수행동안에 발생하는 성능 개선이나 검사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수치 결과들을 입력 받아 저장하고, 이러한 수치들을 통해 과제 진척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The numerical input unit 313 may receive and store various numerical results generated during performance improvement or inspection during task performance, and determine the progress of the task through these numerical values.

도 8를 참조하면, 중간결과물 분석부(320)는 영상 분석부(321), 프로그램 코드 분석부(322) 및 수치 분석부(323) 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8 , the intermediate result analysis unit 320 includes an image analysis unit 321 , a program code analysis unit 322 and a numerical analysis unit 323 .

영상 분석부(321)는 과제 수행 동안에 영상 입력부(311)로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영상들의 변화정도를 상호 비교하여 진척 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복수의 과제가 동시에 진행될 경우에 과제 관리자가 일일이 모든 과제의 진척상황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점을 개선할 수 있고, 과제 수행자도 과제를 성실히 수행해야 하는 부담을 가질 수 있다.The image analyzer 321 compares the degree of change of the images periodically input to the image input unit 311 while performing the task, and provide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hecking progress.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tasks are simultaneously progress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task manager to directly check the progress of all tasks individually, and the task performer may also have the burden of faithfully performing the tasks.

도 9는 본 딥러닝 기반의 학습 알고리즘의 일종인 합성곱신경망(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 기반의 인공신경망의 기본 구조로, 시차를 갖는 두 영상의 변화 정도를 계산하는 모델이다. 9 is a basic structure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based on a 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which is a kind of deep learning-based learning algorithm, and is a model for calculating the degree of change between two images having a parallax.

일반적인 합성곱 신경망의 기본 모델은 영상에 필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합성곱을 연산하여 지역 특징(local feature)를 추출하는 합성곱 층(Convolution layer)과 공간정보를 유지하면서 데이터 크기를 줄이는 다운 샘플링 기능을 담당하는 풀링 층(Pooling layer 혹은 subsampling layer) 및 최종적인 분류를 위한 전연결(FC, Fully-Connected)의 다층신경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sic model of a gener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s in charge of a convolution layer that extracts local features by calculating various convolutions using a filter on an image and a downsampling function that reduces data size while maintaining spatial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ultilayer neural network of Fully-Connected (FC) for a pooling layer (Pooling layer or subsampling layer) and final classification.

이러한 합성곱 신경망의 구조는 이미 공지된 신경망 모델이고, 텐스플로우(TensorFlow)나 파이토치(Pytorch)와 같은 다양한 개발 툴(Tool)을 통해 쉽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structure of such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s a known neural network model and can be easily implemented through various development tools such as TensorFlow or Pytorch,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곱 신경망 모델(321)은 영상의 특징을 추출하는 합성곱 층 및 데이터 크기를 줄이는 풀링 층으로 구성되는 두 개의 특징 추출부와 최종적인 영상의 변화 정도를 판단하는 하나의 전연결층(FC)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두 영상의 변화정도는 바람직하게는 두 영상간에 유사도를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9,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odel 321 includes two feature extraction units composed of a convolutional layer for extracting features of an image and a pooling layer for reducing data size, and a final image change degree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change. It is composed of one full connection layer (FC). Here, the degree of change between the two images preferably means measur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two images.

비교 대상이 되는 두개의 입력영상은 각각 특징 추출부의 입력으로 제공되는데, 영상을 구성하는 2차원의 픽셀 정보가 입력될 수도 있지만 퓨리에 변환, 웨이블렛 변환 등의 영상 변환 후의 값을 입력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는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쉽게 변경이 가능하므로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Each of the two input images to be compared is provided as an input to the feature extraction unit. Although the two-dimensional pixel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image may be input, values after image conversion such as Fourier transform and wavelet transform may be provided as input, , Thi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ecause it can be easily changed at the level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다시 도 8에서 프로그램 코드 분석부(322)는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 생성되는 기능 블록 단위의 프로그램 코드를 분석하는데, 이전에 입력된 프로그램 코드와 비교하여 기능 블록 단위에서 추가되거나 삭제 혹은 변경된 부분을 하나의 목록으로 생성하여 관리하고 이를 통해 진척 여부를 확인하는 하나의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Again, in FIG. 8, the program code analyzer 322 analyzes the program code of the function block unit generated in the program development stage, and compares the previously input program code with the added, deleted, or changed part in the function block unit as one. It can be created and managed as a list, and used as an element to check progress.

또한, 수치 분석부(323)는 과제 진행 단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제품의 성능이나 품질 정도를 과제 중간 단계에서 확인하고자 할때 관련 측정된 수치값을 분석하여 개선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공지능 기반의 정수처리를 관리하는 연구개발 과제라면, 학습단계에서 수질 개선의 정도를 수치적으로 표현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과제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erical analysis unit 323 may determine the degree of improvement by analyzing related measured numerical values when trying to confirm the level of performance or quality of a product that can be confirmed in the task progress stage in the middle stage of the task.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managing water treatmen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e degree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can be expressed numerically in the learning stage and continuously monitored, and the progress of the task can be confirmed through this.

이와 같이, 중간결과물 분석부(320)는 중간결과물의 종류와 성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석 수단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In this way, the intermediate product analysis unit 320 may be configured with analysis means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type and nature of the intermediate product, and sinc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t the level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도 10을 참조하면, 중간결과물 평가부(330)는 진척도 평가부(331), 검증/승인부(332) 및 보완 지시부(333)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0 , the intermediate result evaluation unit 330 includes a progress evaluation unit 331 , a verification/approval unit 332 and a supplementary instruction unit 333 .

진척도 평가부(331)는 일정관리 설정부(211)에서 입력된 과제 수행기간 동안의 일정을 기초로 과제 수행 중간 단계에서 생성되는 중간결과물의 진척 상황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로, 과제의 성격 및 종류에 따라 중간결과물 분석부(320)에서 분석한 영상, 프로그램 또는 수치값을 통해 선택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분석 결과에 따른 진척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The progress evaluation unit 331 performs a function of checking the progress of intermediate results generated in the middle stage of task execution based on the schedule during the task execution period input from the schedule management setting unit 211 . Mainly, depending on the nature and type of the task, it can be selectively determined through the image, program, or numerical value analyzed by the intermediate result analysis unit 320, and the degree of progr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can be evaluated.

평가 결과에 대한 검증 및 승인 여부는 검증/승인부(332)에서 수행되는데, 수치적으로 명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과제 관리자가 직접 중간결과물을 평가하여 검증할 수 있다.Verification and approval of the evaluation results are performed by the verification/approval unit 332. If numerical determination cannot be clearly made, the task manager can directly evaluate and verify the intermediate results.

예를 들면, 중간결과물에 대한 촬영 영상은 이전 촬영된 영상에서 변경된 정도를 판단하는 것으로 영상을 업로딩할 경우에는 바로 직전 영상을 참조하여 배경이나 촬영각도 및 거리가 유사하도록 촬영할 필요가 있고, 변화정도가 일정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과제관리자는 두 영상을 비교하여 재촬영을 요구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aptured image for the intermediate result determines the degree of change from the previously captured image. When uploading the image,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immediately preceding image and record the background or the shooting angle and distance to be similar, and the degree of change If is out of a certain threshold, the task manager may request re-photographing by comparing the two images.

보완 지시부(333)에서는 진척도 평가부(331)에서 평가할 수 없는 조건이 발생하거나 검증/승인부(332)에서 추가 보완 사항이 발생할 경우 과제수행자에게 보완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The supplementary instruction unit 333 may instruct the task performer to supplement when a condition that cannot be evaluated by the progress evaluation unit 331 occurs or additional supplementary matters occur in the verification/approval unit 332 .

도 1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최종결과물 평가부(420)의 기능을 나타낸 블럭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the final result evaluation unit 42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최종결과물 입력부(410)는 중간결과물 입력부(310)에 포함되는 영상 입력부(311) 및 프로그램 코드 입력부(312)와 동일한 구성으로 과제 종료에 따른 최종결과물에 해당하는 영상이나 프로그램 코드 및 최종결과에 따른 종합 보고서를 입력받을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1, the final result input unit 41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mage input unit 311 and the program code input unit 312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result input unit 310,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nal result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task. However, a comprehensive report according to the program code and final result can be input.

도11를 참조하면, 최종결과물 평가부(420)는 최종 평가부(421) 및 인증/승인부(422)로 이루어진다. 최종 평가부(421)는 과제 제안 당시에 계획된 최종결과물이 제출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미제출된 결과물이 있는 경우에 추가 요청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고 과제결과물 저장부(500)를 통해 최종결과물을 저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final product evaluation unit 420 includes a final evaluation unit 421 and an authentication/approval unit 422 . The final evaluation unit 421 performs a function of confirming whether the final result planned at the time of the task proposal is submitted, performs a function of requesting additional results when there is an unsubmitted result, and sends the final result through the task result storage unit 500. can be requested to be saved.

또한, 인증/승인부(422)에서는 승인절차 설정부(223)에 기재된 결재 절차에 따라 승인여부를 진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approval unit 422 may proceed with approval according to the payment procedure described in the approval procedure setting unit 223 .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xamples.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perform various appl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10: 사용자 단말
20: 클라우드 서버
30: 과제물 저장서버
100: 사용자 단말 접속부
200: 과제관리부
210: 과제관리 설정부
220: 과제관리자 구성부
230: 과제문서 관리부
300: 중간과제 판정부
310: 중간결과물 입력부
320: 중간결과물 분석부
330: 중간결과물 평가부
400: 최종과제 판정부
410: 최종결과물 입력부
420: 최종결과물 평가부
500: 과제결과물 저장부
10: user terminal
20: cloud server
30: assignment storage server
100: user terminal connection unit
200: assignment management department
210: task management setting unit
220: task manager component
230: assignment document management department
300: Intermediate assignment judging unit
310: intermediate result input unit
320: intermediate result analysis unit
330: intermediate result evaluation unit
400: final task judging unit
410: final result input unit
420: final result evaluation unit
500: assignment result storage unit

Claims (13)

사용자 단말;
클라우드 서버; 및
연구개발 과정에서 생성되는 과제결과물을 저장하는 과제물 저장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 단말 접속부;
연구개발 과제의 세부 내역 및 관리 절차를 생성하고, 과제 관리자를 선정하는 과제관리부;
중간 과제결과물의 입력 및 분석을 통해 중간과제의 수행결과를 평가하는 중간과제 판정부;
최종 과제결과물의 입력과 과제 수행결과를 최종적으로 평가하는 최종과제 판정부; 및
상기 과제물 저장서버에 상기 과제결과물을 저장하는 과제결과물 저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과제관리부는 연구개발 과제 수행기간 동안 발생하는 일정 생성, 연구개발 과제 예산 항목 및 금액의 입력,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하는 기업 정보의 입력 및 과제수행자의 이력정보를 입력하는 과제관리 설정부;
연구개발 과제를 관리하는 관리자 및 수행되는 과제를 이용하는 과제 수요부서의 관리자를 선정하여 관리그룹을 지정하고, 연구개발 과제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승인하는 절차를 지정하는 과제관리자 구성부; 및
연구개발 과제 수행동안 발생하는 수행 일지, 보고서, 과제비 집행 내역, 회의 일정 및 회의 내용을 입력, 저장고 및 공유하여 관리하는 과제문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과제 판정부는 연구개발의 과제 수행 중에 생성되는 상기 중간 과제결과물들 중 하나인 영상들, 프로그램 코드 및 제품의 성능 또는 품질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값을 입력받는 중간결과물 입력부;
상기 영상들의 변화를 비교하여 과제 진척 여부를 확인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분석하고, 이전에 입력된 프로그램 코드와 비교하여 기능 블록 단위에서 추가되거나 삭제 혹은 변경된 부분을 하나의 목록으로 생성하여 관리하는 코드 분석부를 포함하는 중간결과물 분석부; 및
입력된 과제 수행기간 동안의 일정을 기초로 과제 수행 중간 단계에서 생성되는 상기 중간 과제결과물의 진척 상황을 평가하는 진착도 평가부, 평가한 결과에 대한 검증 및 승인한 후, 평가할 수 없는 조건이 발생하거나 추가 보완 사항이 발생할 경우 과제수행자에게 보완할 것을 지시하는 보완 지시부로 이루어지는 중간결과물 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들의 변화는 시차가 있는 두개의 영상에 대해 웨이블렛 변환된 값을 딥러닝 기반의 합성곱 신경망의 입력으로하여 상기 두개의 영상 간의 유사도를 측정한 것이고, 상기 보완 지시부에서는 상기 유사도가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두개의 영상을 비교하여 재촬영을 요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버전관리 차원에서 백업으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
user terminal;
cloud server; and
Including an assignment storage server that stores assignment results generated dur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The cloud server includes a user terminal connection unit for accessing the user terminal;
A task management unit that creates details and management procedures of R&D tasks and selects task managers;
an intermediate task judging unit that evaluates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intermediate task through input and analysis of the intermediate task result;
a final task judging unit that finally evaluates the input of the final task result and the task performance result; and
It consists of an assignment resul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assignment result in the assignment storage server,
The task management unit generates a schedule that occurs during the R&D task execution period, inputs R&D task budget items and amounts, inputs company information that performs the R&D task, and tasks management setting unit for entering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task performer;
A task manager composition unit that selects managers who manage R&D tasks and managers of task demand departments that use the tasks to be performed, designates a management group, and designates procedures for checking and approving the progress of R&D tasks; and
It includes an assignment document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by inputting, storing, and sharing performance diaries, reports, assignment details, meeting schedules, and meeting contents that occur during R&D assignments,
The intermediate task judging unit includes an intermediate result input unit that receives numerical values representing the performance or quality of images, program codes, and products, which are one of the intermediate task results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R&D task;
An image analysis unit that compares changes in the images to check whether the task is progressing, analyzes the program code, compares it with previously entered program codes, and creates a list of added, deleted, or changed parts in functional block units Intermediate product analysis unit including a code analysis unit to manage; and
An authenticity evaluation unit that evaluates the progress of the intermediate task results generated in the middle stage of task performance based on the schedule during the input task performance period. After verifying and approving the evaluated results, a condition that cannot be evaluated occurs. Including,
The change of the images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images by using the wavelet-transformed value of the two images with a parallax as an input of the deep learning-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the supplementary indicator indicates that the similarity exceeds the threshold. In this case,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comparing the two images and requesting re-photographing,
The program code is a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used as a backup in terms of version manage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과제 판정부는 과제 수행자에 의해 수행된 상기 최종 과제결과물을 입력받는 최종결과물 입력부; 및
최종결과물 평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최종결과물 평가부는 과제 수행자에 의해 수행된 상기 최종 과제결과물을 승인 및 평가하는 최종 평가부; 및
상기 최종 평가부에서 평가한 결과에 대한 인증 및 승인하는 인증/승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nal task determining unit may include a final result input unit that receives the final task result performed by a task performer; and
Including the final result evaluation unit,
The final result evaluation unit final evaluation unit for approving and evaluating the final task result performed by the task performer; and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thentication / approval unit for authenticating and approving the results evaluated by the final evalu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SaaS 기반의 클라우드 서버로서, 로드 밸런싱부가 구비된 이중화된 서버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클라우드 서버 사이에는 상기 과제결과물의 해킹을 방지하는 침입 방지 시스템 및 웹 어플리케이션 방화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loud server is a SaaS-based cloud server, and is a redundant server equipped with a load balancing unit, and an intrusion prevention system and a web application firewall to prevent hacking of the task result are provided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loud server. A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system.
KR1020230020618A 2023-02-16 2023-02-16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KR1025714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618A KR102571459B1 (en) 2023-02-16 2023-02-16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618A KR102571459B1 (en) 2023-02-16 2023-02-16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459B1 true KR102571459B1 (en) 2023-08-30

Family

ID=8784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0618A KR102571459B1 (en) 2023-02-16 2023-02-16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45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254B1 (en) * 2010-08-17 2011-01-0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System for implementing reserch and development management and client service to national reserch and development plan, evaluation, comple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KR20110043280A (en) 2009-10-21 2011-04-27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System for managing reserch and development and method thereof
JP2020052602A (en) * 2018-09-26 2020-04-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Research and development support system
KR102105700B1 (en) 2019-05-23 2020-04-28 주식회사 오웬스그룹 System for providing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service integrating with erp and groupware
KR102131946B1 (en) * 2019-11-29 2020-07-09 한다움건설(주) Method for providing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ervice using smart plan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280A (en) 2009-10-21 2011-04-27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System for managing reserch and development and method thereof
KR101005254B1 (en) * 2010-08-17 2011-01-0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System for implementing reserch and development management and client service to national reserch and development plan, evaluation, comple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JP2020052602A (en) * 2018-09-26 2020-04-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Research and development support system
KR102105700B1 (en) 2019-05-23 2020-04-28 주식회사 오웬스그룹 System for providing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service integrating with erp and groupware
KR102131946B1 (en) * 2019-11-29 2020-07-09 한다움건설(주) Method for providing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ervice using smart plan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kpala et al. Utilizing emerging technologies for construction safety risk mitigation
US20200042915A1 (en) Collabor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management utilizing shared computing platforms
US20200193049A1 (en) Lockout-tagout and safety compliance systems and methods
Hasan et al. Blockchain-based solution for the traceability of spare parts in manufacturing
US8606548B2 (en) Energy facility control system
US11443394B2 (en) Blockchain based building action management
Aguilar et al. IT based system for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and monitoring: C-RTICS2
US202301774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nd tracking asset inspections
WO20151249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al of personnel attendance
CN109416785A (en) For providing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moting real-time auto negotiation, benchmark, the sharable infrastructure of safety for closing rule and audit
US11288308B2 (en) System for a verifiable physical object with a digital representation and related applications
Kameli et al. Improving maintenance performance by developing an IFC BIM/RFID-based computer system
Pitchipoo et al. Modeling and development of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supplier selection in the process industry
US20180322598A1 (en) Propert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 thereof
US20160110668A1 (en) Digital Records Management
KR102391197B1 (en) Digital Safety Wor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Xiao et al. Blockchain-enabled cyber-physical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A pilot implementation
US8606615B2 (en) System for managing and tracking an inventory of elements
KR102571459B1 (en) Smart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system
KR102151756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and arranging workers
US20150186896A1 (en) System and method of relatime inpsection of remote facility
Chmiel et al. Workflow management system with smart procedures
WO2009029754A1 (en) On-line dynamic certification
CN114175599B (en) Alarm problem management for building management environments
US11449949B2 (en) System for management of insurance risk and insurance ev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