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248B1 -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248B1
KR102571248B1 KR1020230047793A KR20230047793A KR102571248B1 KR 102571248 B1 KR102571248 B1 KR 102571248B1 KR 1020230047793 A KR1020230047793 A KR 1020230047793A KR 20230047793 A KR20230047793 A KR 20230047793A KR 102571248 B1 KR102571248 B1 KR 102571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wrist
user
dye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7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계순
Original Assignee
윤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계순 filed Critical 윤계순
Priority to KR1020230047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2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37Retaining means for fastening an article to the glo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44Cuff portions
    • A41D19/0048Cuff portions with cuff secu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2Arrangements for cutting-out, or shapes of, glove blan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용사 또는 사용자가 염색 시에 보조기구를 착용 후, 염색약이 담긴 종이컵과 같은 용기를 손등 또는 손목에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염색 작업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 또는 손목 또는 손과 손목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몸체부의 상부 일 측에 돌출부를 구성하여 이미용사 또는 사용자가 염색약이 수용되는 용기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이미용사 또는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를 착용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성되는 돌출부에 염색약이 수용된 용기를 결합하여 염색 시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Dyeing aids for hairdressing}
본 발명은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용사 또는 사용자가 염색 시에 보조기구를 착용 후, 염색약이 담긴 종이컵과 같은 용기를 손등 또는 손목에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염색 작업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색이란 염색약을 이용하여 머리카락에 색을 물들이는 것 말한다. 염색은 새치나 흰머리를 가리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머리 색으로 바꾸어 스타일을 연출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한편, 염색을 하기 위해 기존에는 사용자가 직접 미용실 또는 이발소 등과 같은 영업장을 방문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염색용 도구들을 구입하여 염색을 하여 왔으며, 염색약을 종이컵 등과 같은 용기에 담고, 빗에 염색약을 묻힌 후에 머리카락에 발라 사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미용사 또는 사용자가 염색약이 담긴 용기를 이동식 선반 등에 올려두고, 빗에 염색약을 묻혀 머리카락에 바르는 수회의 과정을 반복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근래에는 염색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다양하게 가변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 20-0482681호(실) 복수의 제 1 빗살을 구비한 제 1 빗 프레임; 상기 제 1 빗 프레임의 단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중공의 공간이 존재하는 제 3 빗 프레임; 상기 제 3 빗 프레임 내부의 중공의 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 염색약이 수용된 염색약 튜브; 상기 염색약 튜브의 일단에 연결되는 공급관; 상기 염색약의 토출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 3 빗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1 조작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제 1 조작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염색약 튜브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조작부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염색약 튜브를 비틀어 상기 염색약 튜브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염색약을 상기 공급관으로 토출시키는 아암; 복수의 제 2 빗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빗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2 빗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제 2 빗살 각각에 형성되는 개구된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관으로 토출된 염색약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 빗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빗 프레임 내부의 중공의 공간에 염색약이 수용되는 염색약 튜브를 배치하여 빗살의 배출구로 염색약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배출구로 토출되는 염색약을 빗살에 고르게 묻혀 사용하기 번거로우며, 염색약이 수용되고 이동하며 토출되는 구조상 세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 또는 손목 또는 손과 손목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몸체부의 상부 일 측에 돌출부를 구성하여 이미용사 또는 사용자가 염색약이 수용되는 용기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이미용사 또는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를 착용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성되는 돌출부에 염색약이 수용된 용기를 결합하여 염색 시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 또는 손목 또는 손과 손목에 착용 가능토록 구성되는 이미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 또는 손목 또는 손과 손목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 측에 구성되어, 염색약이 수용되는 용기의 하측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에 의하면, 이미용사 또는 사용자가 염색 시에 한 손에 착용하여 염색 작업을 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무엇보다 염색약이 수용되는 용기를 몸체부의 상부에 구성되는 돌출부에 간편하게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기존에 이미용사 또는 사용자가 염색용 붓 등에 염색약을 묻히기 위해 염색약이 수용된 용기를 별도의 테이블이나 트레이 위에 올려두고 이동하면서 반복적으로 묻혀야 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이미용사 또는 사용자의 염색 작업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 ㅡ A’)를 나타내는 우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우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 중 벨크로부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 중 거치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용기 크기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용기 크기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우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용기 크기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평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용기 크기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우측단면도)
본 발명은 이미용사 또는 사용자가 염색 시에 보조기구를 착용 후, 염색약이 담긴 종이컵과 같은 용기를 손등 또는 손목에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염색 작업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사용자의 손 또는 손목 또는 손과 손목에 착용 가능토록 구성되는 이미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 또는 손목 또는 손과 손목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 일 측에 구성되어, 염색약이 수용되는 용기(c)의 하측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돌출부(20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이미용 보조기구는 사용자의 손을 감싸며 착용 또는 손목을 감싸며 착용 또는 손과 손목을 함께 감싸며 착용 가능토록 구성된다.
본 발명인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는 상기한 이미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몸체부(100) 및 돌출부(200)로 구성된다.
도 1,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는 사용자의 손 또는 손목 또는 손과 손목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요소로써, 사용자의 손을 감싸도록 구성될 시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일부분을 제외한 손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사용자가 염색 작업 시에 손가락을 편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전체적인 길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과 손목을 함께 감싸도록 구성되며, 이에 하기될 돌출부(200)는 사용자의 손등 또는 손목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 2,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 일 측에 구성되어, 염색약이 수용되는 용기(c)의 하측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00)는 제 1돌출부(210) 및 제 2돌출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돌출부(21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 일 측에 구성되되 동일한 원호상에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고, 상기 제 2돌출부(230)는 상기 제 1돌출부(210)보다 큰 크기의 원호상으로 상호 이격을 이루며 호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부(200)는 염색약이 수용되는 용기(c)의 하부 내주면이 상기 제 1돌출부(210)의 외주면에 맞닿고, 상기 용기(c)의 외주면이 상기 제 2돌출부(230)의 내주면에 맞닿으며 상기 제 1돌출부(210)와 제 2돌출부(230)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c)의 하부 외주면의 직경과 상기 제 1돌출부(210)의 내주면의 직경이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용기(c)를 상기 제 1돌출부(21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용기(c)의 하부 외주면이 상기 제 1돌출부(210)에 의해 감싸지며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c)의 하부 내주면의 직경과 상기 제 2돌출부(230)의 외주면의 직경이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용기(c)의 내주면이 상기 제 2돌출부(230)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돌출부(210)의 내주면 및 제 2돌출부(230)의 외주면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각각의 용기(c)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는 사용자의 손 또는 손목 또는 손과 손목을 감싸도록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100)의 일 측 단부 및 타 측 단부에는 벨크로부(3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벨크로부(3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일 측 단부에 구성되는 제 1벨크로(310)와, 타 측 단부에 구성되는 제 2벨크로(3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100)의 일 측 단부 및 타 측 단부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일 측에는 상, 하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상호 다른 크기를 갖는 제 1거치부(410), 제 2거치부(420) 및 제 3거치부(430)로 구성되는 거치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거치부(410), 제 2거치부(420) 및 제 3거치부(430)는 상, 하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2거치부(420)는 상기 제 1거치부(410)의 크기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거치부(430)는 상기 제 2거치부(420)의 크기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호 다른 크기를 가지는 제 1거치부(410), 제 2거치부(420) 및 제 3거치부(430)에 이미용사 또는 사용자가 염색용 붓, 빗, 가위 등과 같은 다양한 크기의 이미용 도구의 크기에 맞는 각각의 거치부에 간편하게 거치하여 이미용 염색 작업 시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에 의하면, 이미용사 또는 사용자가 염색 시에 한 손에 착용하여 염색 작업을 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무엇보다 염색약이 수용되는 용기를 몸체부의 상부에 구성되는 돌출부에 간편하게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기존에 이미용사 또는 사용자가 염색용 붓 등에 염색약을 묻히기 위해 염색약이 수용된 용기를 별도의 테이블이나 트레이 위에 올려두고 이동하면서 반복적으로 묻혀야 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이미용사 또는 사용자의 염색 작업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몸체부
200 : 돌출부
210 : 제 1돌출부
230 : 제 2돌출부
300 : 벨크로부
310 : 제 1벨크로부
320 : 제 2벨크로부
400 : 거치부
410 : 제 1거치부
420 : 제 2거치부
c : 용기

Claims (4)

  1. 사용자의 손 또는 손목 또는 손과 손목에 착용 가능토록 구성되는 이미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 또는 손목 또는 손과 손목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 일 측에 구성되어, 염색약이 수용되는 용기(c)의 하측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돌출부(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 일 측에 구성되되 동일한 원호상에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는 다수의 제 1돌출부(210)와,
    상기 제 1돌출부(210)보다 큰 크기의 원호상으로 상호 이격을 이루며 호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 2돌출부(230)로 구성되어,
    염색약이 수용되는 용기(c)의 하부 내주면이 상기 제 1돌출부(210)의 외주면에 맞닿고, 상기 용기(c)의 외주면이 상기 제 2돌출부(230)의 내주면에 맞닿으며 상기 제 1돌출부(210)와 제 2돌출부(230)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사용자의 손 또는 손목 또는 손과 손목을 감싸도록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100)의 일 측 단부 및 타 측 단부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일 측 단부에 구성되는 제 1벨크로(310)와, 타 측 단부에 구성되는 제 2벨크로(320)로 구성되는 벨크로부(300)가 포함 구성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일 측 단부 및 타 측 단부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일 측에는 상, 하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거치부(410)와, 상기 제 1거치부(410)의 크기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거치부(420)와 및 상기 제 2거치부(420)의 크기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3거치부(430)로 구성되는 거치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
KR1020230047793A 2023-04-11 2023-04-11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 KR102571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793A KR102571248B1 (ko) 2023-04-11 2023-04-11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793A KR102571248B1 (ko) 2023-04-11 2023-04-11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248B1 true KR102571248B1 (ko) 2023-08-24

Family

ID=8784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793A KR102571248B1 (ko) 2023-04-11 2023-04-11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2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537A (ja) * 2001-03-15 2002-09-24 Michiko Kihara 重ね式容器兼回転テ−ブル
JP2002360335A (ja) * 2001-06-06 2002-12-17 Keiichi Ishida 理美容用腕容器
KR200453692Y1 (ko) * 2010-09-09 2011-05-23 권용기 농산물 포장용기
KR20120008583U (ko) * 2011-06-05 2012-12-13 이윤호 고리형 벙어리장갑 때 타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537A (ja) * 2001-03-15 2002-09-24 Michiko Kihara 重ね式容器兼回転テ−ブル
JP2002360335A (ja) * 2001-06-06 2002-12-17 Keiichi Ishida 理美容用腕容器
KR200453692Y1 (ko) * 2010-09-09 2011-05-23 권용기 농산물 포장용기
KR20120008583U (ko) * 2011-06-05 2012-12-13 이윤호 고리형 벙어리장갑 때 타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9027A (en) Hair treatment devices and packaging therefor
US2299296A (en) Hair operator's instrument
KR101240995B1 (ko) 회전 속도 감속 기어모듈을 구비하는 미용 장치
US3861407A (en) Hair dye applicator
JP2010504780A (ja) ドレッドロックス状態に絡みついた長い房となるように髪の毛を整える装置
KR102571248B1 (ko) 이미용 염색 보조기구
US20160324289A1 (en) Combined Hair Sectioning and Colorant Applicator Glove
US5765253A (en) Hair brush with replaceable second handle
KR101992233B1 (ko)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용기
US20050039770A1 (en) Hair drying/styling device
WO2019114957A1 (en) Dispensing and application head for a liquid cosmetic product, in particular a hair product
JP3240282U (ja) 施術剤塗布用具
US2299295A (en) Hair operator's instrument
US11344110B1 (en) Hair cleaning brush
KR101315538B1 (ko) 모발용 미용용기
JP2018510744A (ja) 毛髪着色装置
KR20070027802A (ko) 속눈섭 성형 및 화장기구
US6390101B1 (en) Self-contained applicator for applying fluid
US20220256989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iling Hair
JP2019024980A (ja) 化粧用ブラシ
JP2004105691A (ja) 毛染め用具
KR101812253B1 (ko) 회전형 염색약 도포기구
KR101300351B1 (ko) 헤어롤링기
KR200486981Y1 (ko) 피부 외용제 도포 기구
KR102260768B1 (ko) 미용실용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