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878B1 -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 - Google Patents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878B1
KR102570878B1 KR1020230037748A KR20230037748A KR102570878B1 KR 102570878 B1 KR102570878 B1 KR 102570878B1 KR 1020230037748 A KR1020230037748 A KR 1020230037748A KR 20230037748 A KR20230037748 A KR 20230037748A KR 102570878 B1 KR102570878 B1 KR 102570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haft
moving passage
disconnector switc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7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7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878B1/ko
Priority to US18/384,026 priority patent/US11929227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8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rot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66Auxiliary contac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4Adaptation for built-in safety spark ga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점축의 접촉점을 고르게 유지함은 물론, 접점축의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게하게는, 내측에 이동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 통로의 일측에 다중 접점부가 배치된 제1 몸체; 및 상기 이동 통로의 타측으로 삽입되는 접점축이 체결되어 상기 제1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몸체와 접점 상태 결합시 상기 접점축의 단부가 상기 다중 접점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다중 접점부가 상기 접점축의 접촉 둘레면과 다점 접촉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는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MULTI-CONTACT DISCONNECT SWITCH FOR LIGHTNING ARRESTER}
본 발명은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점축의 접촉점을 고르게 유지함은 물론, 접점축의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피뢰기는 송배전, 발전소, 변전소 및 전차선로, 변압기 등에 낙뢰 또는 회로 개폐에 의한 서지 전압과 같은 일시적인 과전압을 제한함으로써, 전력기기의 절연파괴나 전기 및 전자기기의 파손과 수명단축을 방지하는 보호 장치이다.
이와 같은 피뢰기의 구성 회로내에는 단로기가 장착되며, 단로기에는 피뢰기 리드선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단로기와 피뢰기 리드선 체결방식은 피뢰기로부터 유입된 전류를 대지로 방전시키기 위해 단로기 하부에 피뢰기 리드선을 삽입하고 볼트를 체결하는 방식이다. 즉, 동 재질의 별도의 브래킷(접지부품)을 이용하여, 상기 브래킷의 상부는 단로기에 나사로 체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브래킷의 하부는 피뢰기의 리드선과 볼트로 체결하여 단로기와 피뢰기 상호간을 연결하는 방식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1997-0071889호에는 고전압 피뢰기를 접지로부터 단로하기 위한 단로기 스위치(이하, 'A'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 'A'는 접점판과 축 접점판 간의 판 형태의 접속 및 단로 방식으로 판 가공 및 조립시 평탄도가 저하될 경우 점 접촉의 형태로 변형되면서, 변압기에서 고전압 서지 발생시 접점 면적 저하에 의해 서지전압을 신속히 외부로 방출시키지 못해 변압기 손상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A'는 축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실린더의 길이가 짧아 축 이동시 수직도 저하로 인해 축이 실린더 내측의 한쪽 벽으로 몰리는 현상이 발생해 축의 마모가 빨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미국특허 Patent Number 5,663,859에는 "DISCONNECTOR SWITCH FOR DISCONNECTING A HIGH-WOLTAGE ARRESTER FROM GROUND(이하, 'B'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 'B'는 실린더 스프링(접점부)의 상부가 반구 형상으로 축 접점봉과 접촉시 점 접촉의 형태가 되어, 변압기에서 고전압 서지 발생시 접점 면적 저하에 의해 서지전압을 신속히 외부로 방출시키지 못해 변압기 손상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B'는 실린더와 축 간에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품이 없어, 축 이동시 수직도 저하로 인해 축이 실린더 내측의 한쪽 벽으로 몰리는 현상이 발생해 축의 마모가 빨리 이루어질 수 있다.
(0001) 국내공개특허 제10-1997-0071889호 (0002) 미국특허번호 제5,663,85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접점축과 균일하게 접촉되는 다중 접점 구조를 갖는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톱니 방식의 지지몸체를 통해 접점축과의 고정력 향상 및 균일한 접촉 구조를 갖는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이드부를 통해 접점축과 제1 몸체 내측 둘레면 상호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 줄 수 있는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는, 내측에 이동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 통로의 일측에 다중 접점부가 배치된 제1 몸체; 및 상기 이동 통로의 타측으로 삽입되는 접점축이 체결되어 상기 제1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몸체와 접점 상태 결합시 상기 접점축의 단부가 상기 다중 접점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다중 접점부가 상기 접점축의 접촉 둘레면과 다점 접촉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중 접점부는, 개방된 링 형태의 접점몸체; 및 상기 접점몸체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 사선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어, 상기 이동 통로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에 지지되는 지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점몸체에는, 상기 접점몸체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 개의 접촉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중 접점부의 폭은, 5 ~ 50㎜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톱니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의 길이는 30 ~ 300㎜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 통로의 타측에는, 상기 접점축과 상기 제1 몸체 내측 둘레면 상호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주기 위한 가이드부가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개방된 링 형태의 축고정부; 및 상기 축고정부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 사선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어, 상기 이동 통로의 타측에 형성된 단턱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고정부에는, 상기 축고정부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 개의 가이드지지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다중 접점부를 통해 접점축 전체를 원형으로 감싸면서 모든 접촉부를 균일게 접촉시켜 종래와 같은 불완전 접촉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변압기에서 고전압 서지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 사선 방향으로 배열된 톱니 형상의 지지몸체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톱니의 탄성으로 인해 제1 몸체와 접점축 상호간의 고정력을 상승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접지와 단로 동작시 변형 최소화에 따른 수명 증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몸체를 개별 톱니형 판을 접점축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연결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유기적으로 움직이는 다접점 구조에 의해 접점축이 한 쪽으로 치우져 접촉되지 않고 둘레면 전체에 고르게 접촉되므로, 접촉력 상승에 의한 낮은 접촉저항 유지로 대전류 통전시의 손실(LOSS)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접점몸체의 폭을 5 ~ 50㎜로 유지함으로써, 변압기 손상을 방지하고 단로기 스위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의 길이를 30 ~ 300㎜로 유지함으로써, 접점축의 마모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의 구성으로 접점축 이동시 접점축이 이동 통로 내에서 한 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을 감소시키고 접점축의 유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접점축의 마모를 감소시킴은 물론 동작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제1 몸체 및 접점축이 결합된 제2 몸체의 분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접점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의 일 실시례에 따른 단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접점부 및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제1 몸체 및 접점축이 결합된 제2 몸체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접점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의 일 실시례에 따른 단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접점부 및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단로기의 기본적인 구조 및 동작 상태 등은 공지의 기술이며, 이에 대해 모두 기술하는 것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염려가 있다고 판단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된 핵심 구조 및 이와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인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는 제1 몸체(100) 및 제2 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기준으로, 우측을 '일측(부)' 또는 '일단(부)'라 칭하고, 좌측을 '타측(부)' 또는 '타단(부)'라 칭할 수 있다. 또한, 그 상대적 위치에 따라 우측을 '일측(부)' 또는 '일단(부)'라 칭하고, 좌측을 '타측(부)' 또는 '타단(부)'라 칭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제1 몸체(100)는 후술할 접점축(210)의 이동 통로의 역할을 하며, 접점축(2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접점축(210)을 보호할 수 있다. 제1 몸체(100)는 변압기(미도시)의 외함에 조립될 수 있으며, 접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몸체(100)는 피뢰기(미도시)의 리드선과 접속될 수 있으며, 접점축(210)의 절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몸체(100)의 중심에는 제1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전술한 이동 통로(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 통로(110)는 관 형태일 수 있다. 이동 통로(110)의 일측과 타측 내부에는 끼움 단턱(111, 112)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 단턱(111, 112)의 내경은 이동 통로(110)의 내경에 비해 더 클 수 있다. 이동 통로(110)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 단턱(111)에는 후술할 다중 접점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로(110)의 타측에 형성된 끼움 단턱(112)에는 후술할 가이드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몸체(200)의 일측은 제1 몸체(10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몸체(200)의 중심에도 제2 몸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은 이동 통로(110)의 중심축과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공에는 접점축(210)이 체결될 수 있다. 접점축(210)의 타측은 상기 중공에 볼트(도면번호 미기재) 등으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공에 결합된 접점축(210)의 일측은 제2 몸체(200)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몸체(200)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접점축(210)은 이동 통로(110)에 삽입되어 이동 통로(11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결합시 접점축(210)의 일측은 다중 접점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축(210)의 일측 단부가 다중 접점부(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접점축(210)의 일측 둘레면에 다중 접점부(120)의 내측 둘레부가 접촉지지될 수 있다.
제2 몸체(200)에 결합된 접점축(210)은 피뢰기를 접지로부터 접속하거나 단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중 접점부(120)는 접점몸체(121)와 지지몸체(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점몸체(121)는 개방된 링 형태일 수 있다. 접점몸체(121)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 개의 접촉편(1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접촉편(121-1)은 내측 중심 방향을 향해 돌출, 일례로 라운딩진 형태이거나, 내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접점축(210)의 일단부가 접점몸체(12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내측 중심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접촉편(121-1)이 접점축(210)의 일단부 둘레면에 접촉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접촉편(121-1)은 링 형태의 접점몸체(121)를 따라 일정 간격 배열된 형태이므로, 접점축(210)의 둘레면을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다점 접촉될 수 있다.
지지몸체(122)는 접점몸체(121)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 사선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 일례로 톱니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지지몸체(122)는 각각의 톱니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형태일 수 있다. 톱니 형상의 각각의 지지몸체(122) 위치는 각각의 접촉편(121-1)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지지몸체(122)와 접촉편(121-1)의 위치를 대응시킬 경우 지지몸체(122)에 대한 일정 강도 이상의 탄성력과 접촉편(121-1)에 대한 일정 압력 이상의 접촉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지지몸체(122)와 접촉편(121-1)을 다수 개로 구성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복수 개 예컨데, 두 개 또는 세 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지지몸체(122)와 접촉편(121-1)의 개수는 확보하고자 하는 탄성력과 접촉지지력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중 접점부(120)의 폭(A)은 5 ~ 50㎜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다중 접점부(120)의 폭이 5㎜ 미만으로 설정되면, 접점 면적 부족에 의해 서지(surge) 전압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시간이 증대되면서 변압기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다중 접점부(120)의 폭이 50㎜를 초과할 경우 단로시키는 시간이 증가되면서 단로시 아크 발생량이 증가하여 단로기 스위치 자체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1 몸체(100)의 길이(B)는 30 ~ 300㎜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100)의 길이가 30㎜ 미만으로 설정되면, 접점축(210)의 이동시 가이드 능력 부족으로 수직도(도면 상으로는 수평도) 저하에 의해 제1 몸체(100) 내측 둘레부와의 간섭이 많아지면서 접점축(210)의 마모 현상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100)의 길이가 300㎜를 초과할 경우에도 접속되는 접점축(210)의 길이가 증대되어 접점축(210) 이동시 처짐 현상(수평도 저하)으로 인해 제1 몸체(100) 내측 둘레부와의 간섭이 많아지면서 접점축(210)의 마모 현상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제1 몸체(100)의 타측, 즉 이동 통로(110)의 타측 내부에는 가이드부(13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접점축(210)의 타측 둘레부에 접촉되면서 접점축(210)과 제1 몸체(100) 내측 둘레면 상호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 줄 수 있다. 즉, 접점축(210)의 수평 이동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축고정부(131)와 지지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축고정부(131)도 개방된 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축고정부(131)에도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 개의 가이드지지편(131-1)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32)도 축고정부(131)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 사선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 일례로 톱니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4에는 다중 접점부(120)와 가이드부(130)의 도면 부호를 동일하게 기재하여 표시하였다. 즉, 가이드부(130)도 다중 접점부(120)와 동일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조 및 특징에 대해서는 전술한 다중 접점부(120)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다만, 가이드지지편(131-1)의 경우 다점 단자 접촉의 개념보다는 접점축(210)을 중심축 상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각각의 가이드지지편(131-1)은 균일한 압력으로 접점축(210)을 가압하면서 접점축(210)을 이동 통로(110)의 중심축 상에 정위치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접점부(120)를 통해 변압기에서 고전압 서지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으며, 톱니 형상의 지지몸체(122) 구조를 적용하여 제1 몸체(100)와 접점축(210) 상호간의 고정력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도 2와 같은 접지 및 도 3과 같은 단로 동작시 변형 최소화에 따른 수명 증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톱니형 지지몸체(122)의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접촉력 상승에 의한 낮은 접촉저항 유지로 대전류 통전시의 손실(LOSS)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30)의 구성으로 접점축(210)의 마모를 감소시킴은 물론 동작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몸체 110: 이동 통로
120: 다중 접점부 121: 접점몸체
121-1: 접촉편 122: 지지몸체
130: 가이드부 131: 축고정부
131-1: 가이드지지편 132: 지지부
200: 제2 몸체 210: 접점축

Claims (9)

  1. 내측에 이동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 통로의 일측에 다중 접점부가 배치된 제1 몸체; 및
    상기 이동 통로의 타측으로 삽입되는 접점축이 체결되어 상기 제1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몸체와 접점 상태 결합시 상기 접점축의 단부가 상기 다중 접점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다중 접점부가 상기 접점축의 접촉 둘레면과 다점 접촉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접점부는,
    개방된 링 형태의 접점몸체; 및
    상기 접점몸체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 사선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어, 상기 이동 통로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에 지지되는 지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접점몸체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 개의 접촉편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몸체는 상기 접촉편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 이격된 톱니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다중 접점부의 폭은 5 ~ 50㎜를 유지하고, 상기 제1 몸체의 길이는 30 ~ 300㎜를 유지하는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로의 타측에는,
    상기 접점축과 상기 제1 몸체 내측 둘레면 상호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주기 위한 가이드부가 더 배치된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개방된 링 형태의 축고정부; 및
    상기 축고정부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 사선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어, 상기 이동 통로의 타측에 형성된 단턱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축고정부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 개의 가이드지지편이 형성되는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
KR1020230037748A 2023-03-23 2023-03-23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 KR102570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7748A KR102570878B1 (ko) 2023-03-23 2023-03-23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
US18/384,026 US11929227B1 (en) 2023-03-23 2023-10-26 Multi-contact disconnect switch for lightning arre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7748A KR102570878B1 (ko) 2023-03-23 2023-03-23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878B1 true KR102570878B1 (ko) 2023-08-28

Family

ID=8780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7748A KR102570878B1 (ko) 2023-03-23 2023-03-23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929227B1 (ko)
KR (1) KR1025708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1889A (ko) 1996-04-16 1997-11-07 다이안 케이. 슈마커 고전압 피뢰기를 접지로부터 단로하기 위한 단로기 스위치
JP2015064967A (ja) * 2013-09-24 2015-04-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KR20150055706A (ko) * 2013-11-14 2015-05-22 한국전기연구원 가스 차단기의 자동이동식 유동가이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9670B3 (de) * 2008-11-26 2010-06-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akuumschalter mit beidseitig fest verschienten Anschlussklemmen
KR101026842B1 (ko) 2008-12-17 2011-04-04 주식회사 효성 고체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US9324533B2 (en) * 2013-03-14 2016-04-26 Mersen Usa Newburyport-Ma, Llc Medium voltage controllable fuse
KR102072330B1 (ko) 2019-06-25 2020-03-02 중원 주식회사 단로기 부착형 에폭시절연 부하개폐기
KR102510703B1 (ko) 2020-12-08 2023-03-17 일진전기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단로기 및 접지개폐기
KR102530355B1 (ko) 2021-06-15 2023-05-08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풍력을 이용한 단로기 인디케이터가 구비되는 피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1889A (ko) 1996-04-16 1997-11-07 다이안 케이. 슈마커 고전압 피뢰기를 접지로부터 단로하기 위한 단로기 스위치
KR100260546B1 (ko) * 1996-04-16 2000-07-01 다이안 케이. 슈마허 고전압 피뢰기를 접지로부터 단로하기 위한 단로기 스위치
JP2015064967A (ja) * 2013-09-24 2015-04-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KR20150055706A (ko) * 2013-11-14 2015-05-22 한국전기연구원 가스 차단기의 자동이동식 유동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29227B1 (en)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0480A (en) Low voltage, high energy surge arrester for secondary applications
KR101291908B1 (ko) 고전압 절연체 및 이러한 절연체를 이용한 고전압 전력 선로
CN100392937C (zh) 具有冲击保护的同轴终端
US5594613A (en) Surge arrester having controlled multiple current paths
US5981893A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CN102349206A (zh) 避雷器和具有这种避雷器的输电线
KR101945144B1 (ko) 가공 선로용 애자 장치
KR102149156B1 (ko) 전기 과전압을 방전하는 장치
RU2657009C1 (ru) Баковый выключатель с импульсным разрядником, соединенным через изоляционные втулки каждого полюса
JP2006296190A (ja) Dc電気ケーブルの合成材料端部
US5426555A (en) Surge arrester arrangement
KR102570878B1 (ko) 피뢰기용 다중 접점형 단로기 스위치
US20190244732A1 (en) Component for Protecting Against Overvoltages and the Use Thereof with Two Varistors and an Arrestor in a Single Component
US20070183112A1 (en) Spark gap arrestor
AU4780200A (en) Creeping discharge lightning arrestor
RU108206U1 (ru) Изолятор-разрядник
CN211788900U (zh) 一种气体放电管及过电压保护装置
CN115152109A (zh) 具有保护火花间隙的避雷器
KR101915084B1 (ko) 송전선로의 역섬락 예방시스템
CN112789774A (zh) 外部间隙线路避雷器
KR102140574B1 (ko) 스마트 방전봉
US20230377781A1 (en) Conductor assembly
RU199041U1 (ru) Мультикамерный разрядник с ребрами и срезами вдоль изоляционного тела
CN113284682B (zh) 耐张绝缘子组件
RU199043U1 (ru) Мультикамерный разрядник с секторными ребр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