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923B1 - Coding robot apparatus selectively attachable to control module corresponding to code - Google Patents

Coding robot apparatus selectively attachable to control module corresponding to c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923B1
KR102569923B1 KR1020210069991A KR20210069991A KR102569923B1 KR 102569923 B1 KR102569923 B1 KR 102569923B1 KR 1020210069991 A KR1020210069991 A KR 1020210069991A KR 20210069991 A KR20210069991 A KR 20210069991A KR 102569923 B1 KR102569923 B1 KR 102569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ding
control signal
robo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9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9901A (en
Inventor
김성섭
고병욱
이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테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테드
Priority to KR1020210069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923B1/en
Publication of KR20220059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9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923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3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n audio-responsive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25J9/161Hardware, e.g. neural networks, fuzzy logic, interfaces, proc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15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pecial kind of manipulator, e.g. planar, scara, gantry, cantilever, space, closed chain, passive/active joints and tendon driven manipul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ipulator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는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로부터 코딩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고 제어 대상 정보 및 제어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이 탈부착되고, 복수의 제어 대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 정보가 나타내는 제어 대상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로봇 제어 보드; 로봇 부위 각각에 대응되는 메인 프레임과 복수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로봇 프레임; 및 상기 로봇 프레임에 탈부착되어 로봇 형상을 구성하는 로봇 스킨;을 포함할 수 있다.When a control command is input, the coding robot device performing the Io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rogram coded by the user to generate and outpu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including control target information and control content information. module; A robot control board to which the control module is detachable, includes a plurality of control objects,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to a control object indicated by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objects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A robot frame including a main frame and a plurality of sub-frames corresponding to each robot part; and a robot skin tha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robot frame to form a robot shape.

Description

코딩 기반의 제어 모듈이 탈부착될 수 있는 코딩 로봇 장치 { CODING ROBOT APPARATUS SELECTIVELY ATTACHABLE TO CONTROL MODULE CORRESPONDING TO CODE }Coding robot device with detachable coding-based control module { CODING ROBOT APPARATUS SELECTIVELY ATTACHABLE TO CONTROL MODULE CORRESPONDING TO CODE }

+본 발명은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코딩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는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ding robot device that performs an IoT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ding robot device that performs an IoT function controlled by a program coded by a user.

코딩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초보자 또는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직접 다루는 것이 아닌 블록 형태의 명령문 모음을 제공하고, 이를 배치함으로써 코딩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코딩 결과가 적용된 로봇을 통해 코딩의 결과를 로봇의 작동을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로봇 코딩 학습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As interest in coding education increases, applications and services are provided that enable coding learning by providing a collection of block-type statements rather than directly dealing with programming languages for beginners or children and teenagers, and arranging them. In addition, a robot coding learning service capable of inducing interest is provided by visually showing the result of coding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robot through the robot to which the coding result is applied.

하지만, 종래의 로봇을 이용한 코딩 학습 서비스는 해당 로봇에 코딩 교육을 위한 기초적인 기능만을 부가하여 코딩 교육 용도 외의 추가적인 용도로 활용하지 못하며, 해당 로봇의 형태가 초기의 형태로 고정되어 다른 형태로 변경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종래의 코딩 로봇은 용도가 코딩 교육에 국한되어 있으며, 코딩 교육을 받은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의 변환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ding learning service using a conventional robot adds only basic functions for coding education to the robot and cannot be used for additional purposes other than coding education. this is impossible Accordingly, the use of conventional coding robots is limited to coding educatio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version into various forms to arouse interest in users who have received coding education is impossib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3487호, 2018.02.07 공개Publication No. 10-2018-0013487, published on February 7, 2018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코딩된 프로그램에 의해 IoT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외형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는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ding robot device that performs an IoT function that can change an external shape as well as perform an IoT function by a program coded by a user.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는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로부터 코딩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고 제어 대상 정보 및 제어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이 탈부착되고, 복수의 제어 대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 정보가 나타내는 제어 대상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로봇 제어 보드; 로봇 부위 각각에 대응되는 메인 프레임과 복수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로봇 프레임; 및 상기 로봇 프레임에 탈부착되어 로봇 형상을 구성하는 로봇 스킨;을 포함할 수 있다.When a control command is input, the coding robot device that performs the Io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corresponds to the control command using a program coded from the user and controls including control target information and control content information. A control module that generates and outputs a signal; A robot control board to which the control module is detachable, includes a plurality of control objects,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to a control object indicated by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objects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A robot frame including a main frame and a plurality of sub-frames corresponding to each robot part; and a robot skin tha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robot frame to form a robot shape.

바람직하게, 상기 로봇 제어 보드의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은 제어 대상 정보가 각각 매칭되고, 모터 모듈, 스피커 모듈 및 발광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control objects of the robot control board are matched with control object information, and may be any one of a motor module, a speaker module, and a light emitting module.

바람직하게, 상기 로봇 제어 보드의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은Preferably, 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s of the robot control board

상기 모터 모듈인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로봇 스킨 중 하나 이상에 체결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체결된 서브 프레임 또는 로봇 스킨이 로봇 동작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otor module, it is fastened to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the main frame, and the robot skin, and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 the fastened subframe or robot skin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ignal to move in a robot motion. can be controlled based on

바람직하게, 상기 로봇 제어 보드의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은 상기 스피커 모듈인 경우,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서브 프레임 및 상기 로봇 스킨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s of the robot control board are mounted on any one of the main frame, the plurality of sub-frames, and the robot skin in the case of the speaker module, and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 the control signal Based on this, it can be controlled to output sound.

바람직하게, 상기 로봇 제어 보드의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은 상기 발광 모듈인 경우,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서브 프레임 및 상기 로봇 스킨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광을 출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s of the robot control board are mounted on any one of the main frame, the plurality of sub-frames, and the robot skin in the cas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 the control signal It can be controlled to output light based on it.

바람직하게, 상기 로봇 제어 보드는 상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 중에서 매칭된 제어 대상 정보가 상기 입력된 제어 신호의 제어 대상 정보와 동일한 제어 대상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 the robot control board may output the control signal to a control target in which matched control target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s is the same as the control target information of the input control signal.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프레임은 내측에 상기 로봇 제어 보드가 체결되는 보드 체결 슬롯; 및 외측에 상기 복수의 서브 프레임이 로봇 동작으로 움직이도록 체결되는 프레임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ain frame includes a board fastening slot to which the robot control board is fastened to the inside; and a frame fastening part to which the plurality of sub-frames are fastened to move by a robot operation on the outside.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명령은 음성 명령, 조건 명령 및 무선 신호 명령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command may be any one of a voice command, a condition command and a radio signal comman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코딩된 프로그램에 의해 IoT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외형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IoT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코딩 로봇 장치의 디자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oT functions can be performed by a program coded by a user, and by changing the external shape, IoT services can be provided to users and design effects of the coding robot device can be created.

도 1은 본 발명의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 모듈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의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의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가 코딩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의 로봇 제어 보드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 모듈,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의 로봇 제어 보드 및 로봇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 모듈,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의 로봇 제어 보드, 로봇 프레임 및 로봇 스킨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ding simulation device capable of verifying co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ding simulation device capable of verifying co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of a control module of a coding simulation apparatus capable of verifying co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of a coding simulation board of a coding simulation device capable of verifying co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 coding simulation board of a coding simulation device capable of verifying co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coding simulation.
6 is a diagram showing a coding robot device performing an IoT function including a control module of a coding simulation device capable of verifying co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of a robot control board of a coding robot device performing an IoT function including a control module of a coding simulation device capable of verifying co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ontrol board and a robot frame of a coding robot device performing an IoT function including a control module and a control module of a coding simulation device capable of verifying co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ontrol board, a robot frame, and a robot skin of a coding robot device that performs an IoT function including a control module and a control module of a coding simulation device capable of verifying co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 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like elem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has", "may have", "includes", or "may include" refer to the presence of a corresponding feature (eg,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such as a part). , which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and/and B", or "one or more of A or/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includes (1) at least one A, (2) at least one B, Or (3) may refer to all cases including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used in this document may modify various components, regardless of order and/or importance, and refer to a component as It is used only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components and does not limi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For example, a first user device and a second user device may represent different user device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 first element may be call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element may also be renamed to the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When referred to as "connected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ertain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e.g., a first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e.g., a second element), that element and the above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eg, third components) do not exist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As used in this document, the expression "configured to" means, depending on the situation, e.g.,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 The term "configured (or set) to" may not necessarily mean only "specifically designed to" hardware. Instead, in some contexts, the phrase "a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in conjunction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For example, the phrase "a processor configured (or set) to perform A, B, and C" may include a dedicated processor (e.g., embedded processor) to perform those operations, or by executing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in memory. , may mean a general-purpose processor (eg, CPU or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corresponding operations.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general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document,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not interpreted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도 1은 본 발명의 센싱 모듈,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10)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센싱 모듈,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10)의 제어 모듈(100)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10)의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200)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10)의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200)가 코딩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rawing showing a sensing module and a coding simulation apparatus 10 capable of verifying co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nsing module and a coding simulation apparatus 10 capable of verifying co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of the control module 100 of the coding simulation apparatus 10 capable of verifying co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ding simulation of the coding simulation apparatus 10 capable of verifying co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of the board 200, and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coding simulation board 200 of the coding simulation apparatus 10 capable of verifying co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coding simulation. .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10)는 제어 모듈(100) 및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5 , a coding simulation device 10 capable of verifying coding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100 and a coding simulation board 200 .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코딩된 프로그램이 설치된 제어 모듈(100)과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200)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정확하게 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coding simulation device 10 capable of confirming coding can check whether a program has been accurately cod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by using the control module 100 and the coding simulation board 200 in which the coded program is installed by the user.

이러한, 제어 모듈(100)은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로부터 코딩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고 제어 대상 정보 및 제어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When a control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module 100 may generate and outpu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including control target information and control content information using a program coded by a user.

또한, 제어 모듈(100)은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복수의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3) 중에서 매칭된 제어 대상 정보가 입력된 제어 신호의 제어 대상 정보와 동일한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3)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ontrol signal is input, the control module 100 has a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3 in which the matched control object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devices 213 is the same as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of the inputted control signal. ) to output a control signal.

또한, 제어 모듈(100)은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복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 중에서 매칭된 제어 대상 정보가 입력된 제어 신호의 제어 대상 정보와 동일한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ontrol signal is input, the control module 100 sends the control target information matched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s 214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214 identical to the control target information of the input control signal. can output

여기서, 제어 모듈(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200)에 착탈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100)은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200)에 장착되면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보 및 신호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module 100 may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oding simulation board 200 as shown in FIG. 2 . At this time, when the control module 100 is mounted on the coding simulation board 200,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ding simulation board 200 to mutuall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nd signals.

한편,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200)는 제어 모듈(1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제어 신호의 제어 대상 정보가 나타내는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가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생성되도록 프로그램이 코딩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코딩 확인 정보 및 입력된 제어 신호의 제어 내용 정보가 나타내는 제어 내용에 대응하여 제어하는 제어 신호가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생성되도록 프로그램이 코딩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코딩 확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ding simulation board 200 confirms that, when a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100, the program is coded so tha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control target indicated by control target information of the inpu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Second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rogram has been coded so tha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ntent indicated by the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and the control content information of the inpu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이하에서, 제어 모듈(100) 및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200) 각각의 구성 요소와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components and roles of each of the control module 100 and the coding simulation board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어 모듈(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입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control module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 a processor 120 , and an input unit 130 .

통신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코딩된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프로그램을 코딩하기 위한 코딩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코딩의 결과물인 프로그램을 통신부(110)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a program coded from a user from a user terminal. Here, the user terminal may provide a coding interface for coding a program to the user and transmit the program, which is a result of coding performed by the user, to the communication unit 110 .

또한,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제어 모듈(100)이 사물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센싱 정보(예를 들어, 온도, 습도, 날씨, 미세먼지, 감염병 현황)를 수신할 수 있다.Also,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various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erver or a user terminal.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external sensing information (eg, temperature, humidity, weather, fine dust, current status of an infectious disease) for the control module 100 to perform an IoT function.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범용 통신을 수행하는 범용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범용 통신은 인터넷 망을 이용한 통신이거나,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i-Fi(Hi-Fi·High Fidelity)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general-purpose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general-purpose communication. Here, general-purpose communication is communication using an Internet network or a cellular communication protocol, for example, LTE (Long-Term Evolution), LTE-A (LTE Advanced),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DMA), At least one of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Wireless Broadband (WiBro),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nd Hi-Fi/High Fidelity (Wi-Fi) may be used.

또한,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BLE)일 수 있다.Also,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Her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BLE).

프로세서(120)는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 및 입력부(1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input unit 130 .

이러한,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may include one or more cores (not shown) and a connection path (eg, a b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other components.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어 모듈(100)이 수행하는 사물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용 제작된 마이크로컨트롤러일 수 있으며, 사물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may be a microcontroller specially manufactured to perform the IoT function performed by the control module 100, and may include a memory storing software for performing the IoT function.

프로세서(120)는 사용자로부터 코딩된 프로그램을 저장부(130)에 설치하고,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로부터 코딩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되고 제어 대상 정보 및 제어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installs a program coded by the user in the storage unit 130, and when a control command is inpu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using the program coded by the user and including control object information and control content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nd output.

이때, 입력부(130)는 상술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어 명령이란,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 명령,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트리거되는 조건 명령 및 통신부(110)로 수신되는 무선 신호 명령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unit 130 may receive the above-described control command. In this specification, a control command may be any one of a voice command issued by a user, a condition command triggered when a specific condition is satisfied, and a radio signal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이를 위해, 입력부(130)는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음성 명령을 분석하는 인공 지능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voice input module that receives voice. In additi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for analyzing input voice commands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제어 모듈(100)은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200)에 장착되면 프로세서(120)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는 복수의 프로세서 단자가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200)의 코딩 확인부(210)에 구비된 복수의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3) 및 복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ontrol module 100 is mounted on the coding simulation board 200, a plurality of processor terminals to which signals are output from the processor 120 are provided in the coding confirmation unit 210 of the coding simulation board 200. 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3 and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s 214,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복수의 프로세서 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로세서 단자는 복수의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3) 중 어느 하나의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3) 및 복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 중 어느 하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any one processor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processor terminals is any one of a plurality of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units 213 and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s 214.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214 .

이러한, 프로세서 단자와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3) 및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 간의 전기적 연결은 프로세서 단자,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3) 및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 각각에 매칭된 제어 대상 정보를 기준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rocessor terminal and the first coding verific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3 and the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214 is matched to the processor terminal, the first coding verific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3 and the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214, respectively. It can be connected based on control target information.

즉, 프로세서 단자는 매칭된 제어 대상 정보가 동일한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3) 및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processor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3 and the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214 having the same matched control target information.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가 제어 대상 정보 및 제어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스 단자로 출력하면, 매칭된 제어 대상 정보가 제어 신호의 제어 대상 정보와 동일한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3) 및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를 향해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rocessor 120 generates a control signal including control target information and control content information and outputs it to the process terminal, the matched control target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control target information of the control signal. The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 213) and a control signal may be output toward the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214.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딩 확인부(210), 센싱부(220), 입력부(230), 출력부(240) 및 전원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coding simulation board 200 may include a coding check unit 210 , a sensing unit 220 , an input unit 230 , an output unit 240 and a power supply unit 250 .

코딩 확인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코딩된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정확하게 코딩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ding check unit 210 may perform a simulation to check whether the program coded by the user is accurately cod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이를 위해, 코딩 확인부(210)는 복수의 코딩 확인 영역(211), 복수의 제어 대상 식별자(212), 복수의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3), 복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 셀렉터(215) 및 제2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6)을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ding check unit 210 includes a plurality of coding check areas 211, a plurality of control target identifiers 212, a plurality of first coding check information output units 213,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s 214, A selector 215 and a second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6 may be provided.

복수의 코딩 확인 영역(211)은 PCB로 형성된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200)의 기판의 일부를 구획하여 형성되고, 복수의 제어 대상 각각의 제어 대상 정보 각각과 매칭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ding check areas 211 are formed by partitioning a portion of the substrate of the coding simulation board 200 formed of a PCB, and may be matched with control target inform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control targets.

예를 들어, 코딩된 프로그램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제어 대상이 모터 모듈, 스피커 모듈 및 발광 모듈인 경우, 제어 대상 정보는 모터 모듈, 스피커 모듈 및 발광 모듈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control objects defined by a coded program are a motor module, a speaker module, and a light emitting module,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any one of the motor module, the speaker module,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이러한, 복수의 코딩 확인 영역(211) 내에는 동일한 제어 대상 정보가 매칭된 제어 대상 식별자(212),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3),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가 배치되며 탈부착될 수 있다.In the plurality of coding confirmation areas 211, a control object identifier 212 matched with the same control object information, a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device 213, and a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214 are disposed and detachable. .

복수의 제어 대상 식별자(212)는 복수의 제어 대상 각각의 제어 대상 정보 각각과 매칭되고, 복수의 코딩 확인 영역(211) 각각에 탈부착되며, 복수의 제어 대상 각각을 나타낼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 identifiers 212 match each control target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s, ar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coding check areas 211, and may indicate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s.

예를 들어, 모터 모듈을 나타내는 제어 대상 정보가 매칭된 제어 대상 식별자(212)는 배치된 코딩 확인 영역(211)이 모터 모듈과 관련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영역임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고, 해당 코딩 확인 영역(211)에 배치된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3) 및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가 모터 모듈과 관련됨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object identifier 212 matched with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indicating the motor module can make the user recognize that the arranged coding confirmation area 211 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motor module, and the corresponding coding The control signal input to the first coding verific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3 and the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214 disposed in the verification area 211 may be recognized by the user as being related to the motor module.

이러한, 복수의 제어 대상 식별자(212)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소재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 identifiers 212 are preferably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but the type of material is not limited.

또한, 복수의 제어 대상 식별자(212)는 매칭된 제어 대상 정보가 나타내는 제어 대상에 대응하여 상호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 identifiers 212 may be formed in mutually different shapes corresponding to control targets indicated by matched control target information.

예를 들어, 로봇 부위 중 팔 부위를 회전시키는 모터 모듈을 나타내는 제어 대상 정보가 매칭된 제어 대상 식별자(212)는 로봇의 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target identifier 212 matched with control target information representing a motor module that rotates an arm of the robo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obot arm.

복수의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3)는 복수의 제어 대상 각각의 제어 대상 정보 각각과 매칭되고, 복수의 코딩 확인 영역(211) 각각에 배치되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코딩 확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units 213 are matched with each of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objects, are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ding confirmation areas 211, and when a control signal is input, the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can output

여기서, 제1 코딩 확인 정보는 입력된 제어 신호의 제어 대상 정보가 나타내는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가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생성되도록 프로그램이 코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Here, the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rogram has been coded such tha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control object indicated by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of the inpu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이러한, 복수의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을 출력하는 발광 모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ED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plurality of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units 213 may be light emitting modules that output light, and may be implemented as LED modules, for example.

복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는 복수의 제어 대상 각각의 제어 대상 정보 각각과 매칭되고, 복수의 코딩 확인 영역(211) 각각에 배치되며, 제어 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 모듈(10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s 214 are matched with each of the control target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s, are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ding check areas 211,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to control the module ( 100) may receive and output the control signal output.

즉, 복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는 입력된 제어 신호를 셀렉터(215)로 출력할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s 214 may output the inputted control signals to the selector 215 .

이때, 셀렉터(215)는 일단이 복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lector 215 may have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s 214 and the other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6 .

또한, 셀렉터(215)는 복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 중 어느 하나와 제2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6)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Also, the selector 215 may electrically connec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s 214 to the second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6 .

이를 통해, 복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 중 어느 하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에 입력된 제어 신호는 셀렉터(215)로 출력되고, 제어 신호가 입력된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와 제2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6)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셀렉터(215)가 설정되어 있으면, 셀렉터(215)를 향해 출력된 제어 신호는 제2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6)에 입력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control signal input to any one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214 of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s 214 is output to the selector 215, and the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214 and the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214 to which the control signal is input When the selector 215 is se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ter 216, the control signal output toward the selector 215 may be input to the second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ter 216.

한편, 제2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6)는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제어 내용 정보에 대응하여 제어됨으로써 제2 코딩 확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control signal is input, the second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6 may output second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by being controlled in response to control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일 실시 예에서, 제2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6)는 모터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 내용 정보가 나타내는 제어 내용이 오른쪽 방향으로 모터 축을 2바퀴 회전시키고자 하는 내용이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모듈의 모터 축이 오른쪽 방향으로 2바퀴 회전됨으로써 제2 코딩 확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6 may be implemented as a motor module, and if the control content indicated by the control content information is to rotate the motor shaft two turns in the right direction, the second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6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may be output by rotating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module two turns in the right direction.

예를 들어, 코딩 로봇 장치(20)의 로봇 부위 중에서 오른팔 부위가 전방을 향해 90도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이 제어 모듈(100)에 입력되고, 사용자로부터 코딩된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정확하게 코딩되었다면 오른팔 부위를 제어하는 모터를 나타내는 제어 대상 정보와 코딩 로봇 장치(20)의 전방에 대응되는 회전 방향으로 90도 회전함을 나타내는 제어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 제어 모듈(10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For exampl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right arm of the robot part of the coding robot device 20 to rotate forward by 90 degrees is input to the control module 100, and the program coded by the user is accurately execut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If it is coded, a control signal including control object information indicating a motor controlling the right arm and control conten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ding robot device 20 rotates 90 degrees in the rotation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is generated, and the control module 100 can be output from

반대로, 사용자로부터 코딩된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잘못 코딩되었다면, 생성되는 제어 신호의 제어 대상 정보가 오른팔 부위가 아닌 다른 로봇 부위를 제어하는 모터를 나타내거나, 생성되는 제어 신호의 제어 내용 정보가 코딩 로봇 장치(20)의 전방에 대응되는 회전 방향으로 90도 회전함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Conversely, if the program coded by the user is incorrectly coded against the user's intention,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indicates a motor that controls a robot part other than the right arm part, or the control content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Rotation of 90 degrees in the rotation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coding robot device 20 may not be indicated.

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코딩된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정확하게 코딩되었다면, 오른팔 부위를 제어하는 모터를 나타내는 제어 대상 정보와 코딩 로봇 장치(20)의 전방에 대응되는 회전 방향으로 90도 회전함을 나타내는 제어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가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200)에 입력되고, 오른팔 부위를 제어하는 모터를 나타내는 제어 대상 정보와 매칭된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3) 및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를 향해 해당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Accordingly, if the program coded by the user is accurately cod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motor controlling the right arm and the coding robot device 20 representing rotation in the rotatio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orward direction by 90 degrees. A control signal including control content information is input to the coding simulation board 200, and a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3 and a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214 matched with control target information indicating a motor controlling the right arm region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may be output toward.

반대로, 사용자로부터 코딩된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잘못 코딩되었다면,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200)에 입력된 제어 신호는 오른팔 부위를 제어하는 모터를 나타내지 않는 제어 대상 정보와 매칭된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213) 및 제어 신호 출력 단자(214)를 향해 해당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Conversely, if the program coded by the user is incorrectly coded against the user's intention, the control signal input to the coding simulation board 200 is matched with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that does not indicate the motor controlling the right arm, and the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3 and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may be output toward the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214.

센싱부(220)는 제어 명령이 입력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20)는 온도, 습도, 압력, 방위, 가속도, 중력을 센싱하여 제어 명령(특히, 조건 명령)이 입력되는 조건을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코딩된 프로그램이 섭씨 18도 이하가 되면 소리를 출력하도록 코딩되어 있다면, 센싱부(220)에 의해 센싱된 온도가 실시간으로 제어 모듈로 송신되고, 제어 모듈(100)은 수신된 온도가 섭씨 18도 이하이면 제어 명령으로써 조건 명령 트리거(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20 may sens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220 may sense temperature, humidity, pressure, direction, acceleration, and gravity to provide information used to determine a condition in which a control command (particularly, a condition command) is input. If the coded program is coded to output a sound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18 degrees Celsius,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ing unit 22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in real time, and the control module 100 detects the received temperature in degrees Celsius. If it is 18 degrees or less, it is determined that a condition command has been triggered (input) as a control command, and a control signal can be output.

이를 위해, 센싱부(220)는 온도 센싱 모듈, 습도 센싱 모듈, 압력 센싱 모듈, 방위 센싱 모듈, 가속도 센싱 모듈, 중력 센싱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nsing unit 22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a humidity sensing module, a pressure sensing module, an orientation sensing module, an acceleration sensing module, and a gravity sensing module.

입력부(230)는 제어 명령으로 입력되는 음성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디지털화된 음성 명령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 명령은 코딩된 프로그램의 제어 명령으로써 제어 모듈(100)로 송신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230 may receive a voice command input as a control command. The input unit 230 may convert voice spoken by the user into a digitized voice command, and the converted voice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as a control command of a coded program.

전원부(240)는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2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저장 및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부(240)는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 전원이 입력되는 충전 포트 및 저장된 전원이 출력되는 전원 출력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40 may store and supply power for driving the coding simulation board 200 . To this end, the power supply unit 240 may include a battery for storing power, a charging port through which power is input, and a power output port through which stored power is output.

또한, 전원부(240)는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200)와 연결된 제어 모듈(1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240 may supply power to the control module 100 connected to the coding simulation board 200 .

이하, 본 발명의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10)의 제어 모듈(100)을 포함하는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ding robot device 20 that performs the IoT function including the control module 100 of the coding simulation device 10 capable of verifying co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10)의 제어 모듈(100)을 포함하는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20)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10)의 제어 모듈(100)을 포함하는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20)의 로봇 제어 보드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10)의 제어 모듈(100), 제어 모듈(100)을 포함하는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20)의 로봇 제어 보드(300) 및 로봇 프레임(4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10)의 제어 모듈(100), 제어 모듈(100)을 포함하는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20)의 로봇 제어 보드(300), 로봇 프레임(400) 및 로봇 스킨(500)의 분해 사시도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 coding robot device 20 performing an IoT function including a control module 100 of a coding simulation device 10 capable of verifying co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showing coding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robot control board of the coding robot device 20 that performs the IoT function including the control module 100 of the coding simulation device 10, and FIG. 8 is the coding confi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module 100 of this possible coding simulation device 10, the robot control board 300 of the coding robot device 20 that performs the IoT function including the control module 100, and the robot frame 400 9 is a control module 100 of the coding simulation device 10 capable of verifying co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obot control board 300 of the coding robot device 20 that performs the IoT function including the control module 100. ),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bot frame 400 and the robot skin 500.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20)는 제어 모듈(100), 로봇 제어 보드(300), 로봇 프레임(400) 및 로봇 스킨(500)을 포함할 수 있다.6 to 9, the coding robot device 20 performing the Io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module 100, a robot control board 300, a robot frame 400 and a robot skin 500. can do.

제어 모듈(100)은 로봇 제어 보드(300)에 착탈되고, 로봇 제어 보드(300)에 장착되는 경우, 로봇 제어 보드(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is detachable from the robot control board 300 and, when mounted on the robot control board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obot control board 300 to output a control signal.

이하, 제어 모듈(100)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repeated description of the control module 100 will be omitted.

로봇 제어 보드(300)는 로봇 프레임(400)에 체결되고, 제어 모듈(100)이 탈부착될 수 있다.The robot control board 300 is fastened to the robot frame 400, and the control module 100 can be detachable.

로봇 제어 보드(300)는 복수의 제어 대상을 포함하고, 제어 모듈(1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복수의 제어 대상 중에서 제어 대상 정보가 나타내는 제어 대상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robot control board 300 includes a plurality of control targets, and when a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100, a control signal may be output to a control target indicated by the control target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s.

즉, 로봇 제어 보드(300)는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복수의 제어 대상 중에서 매칭된 제어 대상 정보가 입력된 제어 신호의 제어 대상 정보와 동일한 제어 대상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at is, when a control signal is input, the robot control board 30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same control target as the control target information of the control signal to which control target information matched among a plurality of control targets is input.

여기서, 로봇 제어 보드(300)에 포함된 복수의 제어 대상은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20)가 코딩된 프로그램에 따라 로봇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대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어 대상 각각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모터 모듈(311),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 및 광을 출력하는 발광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control objects included in the robot control board 300 may refer to objects controlled by control signals in order for the coding robot device 20 performing the IoT function to perform robot motions according to the coded program. Each control target may be one of a motor module 311 driven based on a control signal, a speaker module that outputs sound, and a light emitting module that outputs light.

이러한, 로봇 제어 보드(300)는 PCB로 구현되며, 제어 대상(310), 센싱부(320) 및 전원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control board 300 is implemented as a PCB and may include a control target 310, a sensing unit 320, and a power supply unit 330.

복수의 제어 대상(310)은 모터 모듈(311)로 구현되는 경우, 로봇 프레임(4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프레임(420), 메인 프레임(410) 및 로봇 스킨(500) 중 하나 이상에 체결되고,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체결된 서브 프레임(420) 또는 로봇 스킨(500)이 로봇 동작으로 움직이도록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s 310 are implemented as motor modules 311, they are fastened to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420, main frame 410, and robot skin 500 included in the robot frame 400. And,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 the fastened sub frame 420 or the robot skin 500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o move in a robot motion.

예를 들어, 제어 신호가 로봇 부위 중 다리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로봇 부위 중 다리에 해당하는 서브 프레임(420)과 체결된 모터 모듈(311)이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모터 모듈이 구동되어 로봇의 다리가 로봇 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trol signal is a signal for driving a leg among the robot parts, the motor module 311 coupled to the subframe 420 corresponding to the leg among the robot parts receives the control signal, and the motor module is driven. The legs of the robot can be moved by robot movements.

또한, 제어 신호가 로봇 부위 중 팔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로봇 부위 중 팔에 해당하는 로봇 스킨(500)과 체결된 모터 모듈(311)이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모터 모듈이 구동되어 로봇의 팔이 로봇 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signal is a signal for driving an arm among the robot parts, the motor module 311 coupled to the robot skin 500 corresponding to the arm among the robot parts receives the control signal, and the motor module is driven to make the robot The arm of the robot can move.

한편, 복수의 제어 대상(310)은 스피커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메인 프레임(410) 및 복수의 서브 프레임(420) 및 로봇 스킨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urality of control objects 310 are implemented as a speaker module, the main frame 410 and the plurality of sub-frames 420 are mounted on any one of the robot skins, and when a control signal is input, based on the control signal It can be controlled to output sound.

복수의 제어 대상(310)은 발광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메인 프레임(410) 및 복수의 서브 프레임(420) 및 로봇 스킨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광을 출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control objects 310 are implemented as light emitting modules, the main frame 410 and the plurality of sub frames 420 are mounted on any one of the robot skins, and when a control signal is input, light is emitted based on the control signal. It can be controlled to output.

이를 통해,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20)는 사용자에 의해 코딩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로봇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물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스피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coding robot device 20 performing the IoT function can not only perform the role of a robot whose operation is controlled by a program coded by the user, but also play the role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performing the Internet of Things function. can be done

로봇 프레임(400)은 로봇 부위 각각에 대응되는 메인 프레임(410) 및 복수의 서브 프레임(4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frame 400 may include a main frame 410 and a plurality of sub-frames 420 corresponding to each robot part.

메인 프레임(410)은 내측에 로봇 제어 보드가 체결되는 보드 체결 슬롯과 외측에 복수의 서브 프레임이 로봇 동작으로 움직이도록 체결되는 프레임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frame 410 may include board fastening slots to which the robot control board is fastened to the inside and frame fastening parts to which a plurality of sub-frames are fastened to move by robot operation on the outside.

이러한, 메인 프레임(410) 및 복수의 서브 프레임(420)은 로봇의 뼈대 역할을 하며, 회전 또는 밴딩 가능하도록 상호 체결되어 로봇의 로봇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The main frame 410 and the plurality of sub-frames 420 serve as a skeleton of the robot,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e or bendable to realize robot motions of the robot.

로봇 스킨(500)은 로봇 프레임(400)에 탈부착되어 로봇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The robot skin 500 may be detached from the robot frame 400 to form a robot shape.

이러한, 로봇 스킨(500)은 그 형상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The shape of the robot skin 500 may not be limited.

또한, 로봇 스킨(500)은 로봇 프레임(400) 외측 전체를 덮도록 형성수 도 있고, 로봇 프레임(4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로봇 프레임(400) 외측 일부만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skin 500 may be formed to cover the entire outer side of the robot frame 400, or may be formed to cover only a part of the outer side of the robot frame 400 so that a part of the robot frame 400 is exposed to the outside.

이러한, 로봇 스킨(500)은 다양한 캐릭터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형태의 로봇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Such a robot skin 500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characters as well as a robot shape that performs various functions.

예를 들어, 로봇 스킨(500)은 4족형 로봇 형상, 2족형 로봇 형상, 자동차형 로봇 형상, 사물형 로봇 형상(조명, 거울 등)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obot skin 500 may be implemented in any one of a quadruped robot shape, a biped robot shape, a car robot shape, and an object robot shape (light, mirror, etc.).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looked at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 descrip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 코딩 확인이 가능한 코딩 시뮬레이션 장치
20: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
100: 제어 모듈
200: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
300: 로봇 제어 보드
400: 로봇 프레임
500: 로봇 스킨
10: Coding simulation device capable of verifying coding
20: Coding robot device performing IoT functions
100: control module
200: coding simulation board
300: robot control board
400: robot frame
500: robot skin

Claims (1)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로부터 코딩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고 제어 대상 정보 및 제어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이 탈부착되고, 복수의 제어 대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 정보가 나타내는 제어 대상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로봇 제어 보드;
로봇 부위 각각에 대응되는 메인 프레임과 복수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로봇 프레임; 및
상기 로봇 프레임에 탈부착되어 로봇 형상을 구성하는 로봇 스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는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제어 신호의 제어 대상 정보가 나타내는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생성되도록 상기 프로그램이 코딩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코딩 확인 정보 및 입력된 상기 제어 신호의 제어 내용 정보가 나타내는 제어 내용에 대응하여 제어하는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생성되도록 상기 프로그램이 코딩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코딩 확인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는,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코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코딩 확인부;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조건에 해당하는 외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싱부;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전원을 저장 및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딩 확인부는,
기판의 일부를 구획하여 형성되고, 복수의 제어 대상 각각의 상기 제어 대상 정보 각각과 매칭되는 복수의 코딩 확인 영역;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 각각의 상기 제어 대상 정보 각각과 매칭되고, 상기 복수의 코딩 확인 영역 각각에 탈부착되며,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 각각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어 대상 식별자;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 각각의 상기 제어 대상 정보 각각과 매칭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코딩 확인 정보를 출력하는 복수의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 각각의 상기 제어 대상 정보 각각과 매칭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셀렉터로 출력하는 복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
일단이 상기 복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셀렉터; 및
상기 셀렉터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어 내용 정보에 대응하여 제어됨으로써, 상기 제2 코딩 확인 정보를 출력하는 제2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에 장착되면 복수의 프로세서 단자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프로세서 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로세서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 정보가 동일하게 매칭된 어느 하나의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프로세서 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로세서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 정보가 동일하게 매칭된 어느 하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코딩 확인 영역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코딩 확인 영역 내에는
상기 복수의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 정보가 동일하게 매칭된 어느 하나의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코딩 확인 영역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코딩 확인 영역 내에는
상기 복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 정보가 동일하게 매칭된 어느 하나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코딩 확인 영역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코딩 확인 영역 내에는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 식별자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 정보가 동일하게 매칭된 어느 하나의 제어 대상 식별자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 식별자는
매칭된 상기 제어 대상 정보가 나타내는 제어 대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어 대상 정보가 나타내는 제어 대상이 로봇 부위 중 팔 부위를 회전시키는 모터 모듈인 경우, 상기 제어 대상 식별자는 로봇의 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제어 대상 정보와 동일한 제어 대상 정보가 매칭된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와 제어 신호 출력 단자를 향해 출력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코딩된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정확하게 코딩되고, 로봇 부위 중에서 오른팔 부위가 전방을 향해 90도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오른팔 부위를 제어하는 모터를 나타내는 제어 대상 정보와 코딩 로봇 장치의 전방에 대응되는 회전 방향으로 상기 오른팔 부위를 제어하는 모터를 90도 회전시킴을 나타내는 제어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로 출력하고, 상기 코딩 시뮬레이션 보드에 의해 상기 오른팔 부위를 제어하는 모터를 나타내는 제어 대상 정보와 동일한 제어 대상 정보가 매칭된 제1 코딩 확인 정보 출력기 및 제어 신호 출력 단자를 향해 해당 제어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

When a control command is input, a control module that generates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including control object information and control content information using a program coded by a user;
A robot control board to which the control module is detachable, includes a plurality of control objects,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to a control object indicated by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objects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A robot frame including a main frame and a plurality of sub-frames corresponding to each robot part; and
Including; a robot skin that is detachable from the robot frame and constitutes a robot shape,
The control module
Including a processor;
Can be mounted on a coding simulation board,
The coding simulation board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rogram has been coded such that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 object indicated by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of the inpu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and outputting second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rogram has been coded so that the control signal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ntent indicated by the control content information of the inpu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The coding simulation board,
a coding confirmation unit for verifying whether the program is cod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 sensing unit for acquiring exter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ondition in which a control command is input;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and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for storing and supplying power;
The coding confirmation unit,
a plurality of coding verification areas formed by partitioning a part of the substrate and matching each of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objects;
a plurality of control object identifiers that match each of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objects, are detachable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coding verification areas, and indicate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objects;
a plurality of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ters that match each of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control objects and output the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s that are matched with each of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objects and output to a selector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
One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s,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terminal, and one end of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terminal. selector that connects to; and
Whe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selector, a second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ter configured to output the second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by being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The processor
When mounted on the coding simulation board,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a plurality of processor terminals,
Any one processor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processor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devices to which the control target information is identically matched,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devices;
Any one processor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processor terminals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s, the control target informa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y one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identically matched;
With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ding confirmation region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devices, one of the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devices to which the control target information is identically matched is disposed;
With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ding confirmation regions,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s, one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to which the control target information is identically matched is disposed;
With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ding confirmation regions,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 identifiers, one control target identifier identically matched with the control target information is disposed;
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 identifiers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indicated by the matched control target information,
When the control target indicated by the control target information is a motor module that rotates an arm among robot parts, the control target identifi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m of the robot,
The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processor is
The same control object information as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processor is output toward a matched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device and a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The control module
When a program coded by a user is accurately cod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nd a control command is input for controlling the right arm part to rotate forward by 90 degrees among the robot parts, the control object information indicating the motor controlling the right arm part and cod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control conten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motor controlling the right arm is rotated by 90 degrees in a rotation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robot device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coding simulation board, and the coding simulation board generates the control signal. A coding robot that performs an Io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output toward a first co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output device and a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matched with control target information representing a motor controlling the right arm. Device.

KR1020210069991A 2020-11-03 2021-05-31 Coding robot apparatus selectively attachable to control module corresponding to code KR1025699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991A KR102569923B1 (en) 2020-11-03 2021-05-31 Coding robot apparatus selectively attachable to control module corresponding to c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361A KR102261437B1 (en) 2020-11-03 2020-11-03 Apparatus for performing IoT function of cording robot
KR1020210069991A KR102569923B1 (en) 2020-11-03 2021-05-31 Coding robot apparatus selectively attachable to control module corresponding to cod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361A Division KR102261437B1 (en) 2020-11-03 2020-11-03 Apparatus for performing IoT function of cording rob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901A KR20220059901A (en) 2022-05-10
KR102569923B1 true KR102569923B1 (en) 2023-08-23

Family

ID=76374052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361A KR102261437B1 (en) 2020-11-03 2020-11-03 Apparatus for performing IoT function of cording robot
KR1020210069990A KR102569922B1 (en) 2020-11-03 2021-05-31 Coding robot apparatus including control module linkable to coding simulation board
KR1020210069986A KR102569918B1 (en) 2020-11-03 2021-05-31 Educational coding robot apparatus for changing appearance based on coded program
KR1020210069988A KR102569920B1 (en) 2020-11-03 2021-05-31 Internet of things based coding robot apparatus including main frame fastenable to robot control board
KR1020210069987A KR102569919B1 (en) 2020-11-03 2021-05-31 Coding robot apparatus for controlling motion based on code generated by user
KR1020210069989A KR102569921B1 (en) 2020-11-03 2021-05-31 Coding robot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 based on voice command, condition command, wireless signal command
KR1020210069985A KR102569917B1 (en) 2020-11-03 2021-05-31 Coding robot apparatus for operating based on code recognition according to control target information and control content information
KR1020210069991A KR102569923B1 (en) 2020-11-03 2021-05-31 Coding robot apparatus selectively attachable to control module corresponding to code

Family Applications Before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361A KR102261437B1 (en) 2020-11-03 2020-11-03 Apparatus for performing IoT function of cording robot
KR1020210069990A KR102569922B1 (en) 2020-11-03 2021-05-31 Coding robot apparatus including control module linkable to coding simulation board
KR1020210069986A KR102569918B1 (en) 2020-11-03 2021-05-31 Educational coding robot apparatus for changing appearance based on coded program
KR1020210069988A KR102569920B1 (en) 2020-11-03 2021-05-31 Internet of things based coding robot apparatus including main frame fastenable to robot control board
KR1020210069987A KR102569919B1 (en) 2020-11-03 2021-05-31 Coding robot apparatus for controlling motion based on code generated by user
KR1020210069989A KR102569921B1 (en) 2020-11-03 2021-05-31 Coding robot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 based on voice command, condition command, wireless signal command
KR1020210069985A KR102569917B1 (en) 2020-11-03 2021-05-31 Coding robot apparatus for operating based on code recognition according to control target information and control content inform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8) KR102261437B1 (en)
WO (1) WO202209782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510B1 (en) 2021-09-24 2023-12-01 주식회사 코끼리공장 Autonomous coding robot system using recycled plastic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606B1 (en) * 2006-11-03 2009-01-30 (주)로보트론 Apparatus for programming operating of robot and programming method thereof
KR20100053797A (en) * 2008-11-13 2010-05-24 주식회사 로보로보 Educational robot apparatus for chidren and operating method of the educational robot apparatus for chidren
KR101313794B1 (en) * 2012-11-19 2013-10-07 주식회사 퓨처테크날러지 Robot education service apparatus
KR101494600B1 (en) * 2014-01-10 2015-02-23 주식회사 로보로보 Robot control system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a robo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JP2016007659A (en) * 2014-06-23 2016-01-18 住友理工株式会社 Joint cover
WO2016088918A1 (en) * 2014-12-04 2016-06-09 (주)엠텍 Service robot
KR20170053185A (en) * 2015-11-05 2017-05-16 (주)엠알티인터내셔널 Motion control system for block kits using motion cards, and thereof method
KR101831334B1 (en) * 2016-03-15 2018-02-23 주식회사 휴인텍 Training aids for cording studying
KR20180013487A (en) 2016-07-29 2018-02-07 이광재 ROBOT SYSTEM for SOFTWARE EDUCATION
KR101915245B1 (en) * 2016-09-21 2018-11-22 (주)이산로봇 Control board of education robot operation,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20180080919A (en) * 2017-01-05 2018-07-13 조태연 Device and method for software coding training
KR102277847B1 (en) * 2017-06-14 2021-07-1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Skin structure for robotic arm
KR101987128B1 (en) * 2017-10-19 2019-06-10 주식회사 토이트론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card coding of robot and coding edu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074340A (en) * 2018-12-14 2020-06-25 (주)디큐 Smart Toy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Multiple Coding Sources
KR102137973B1 (en) * 2019-12-17 2020-07-28 주식회사 삼쩜일사 An education robot with card reading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895A (en) 2022-05-10
WO2022097821A1 (en) 2022-05-12
KR20220059897A (en) 2022-05-10
KR102569922B1 (en) 2023-08-23
KR102569917B1 (en) 2023-08-23
KR20220059900A (en) 2022-05-10
KR102569919B1 (en) 2023-08-23
KR102261437B1 (en) 2021-06-07
KR102569918B1 (en) 2023-08-23
KR102569921B1 (en) 2023-08-23
KR102569920B1 (en) 2023-08-23
KR20220059896A (en) 2022-05-10
KR20220059899A (en) 2022-05-10
KR20220059898A (en) 2022-05-10
KR20220059901A (en)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0046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apparatus connected with device
US20200271269A1 (en) Method of controlling gimbal, gimbal, and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569923B1 (en) Coding robot apparatus selectively attachable to control module corresponding to code
US20190111566A1 (en) Intelligent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Lewis et al. Implementing HARMS-based indistinguishability in ubiquitous robot organizations
KR102298423B1 (en) Apparatus for simulating coding program
CN109507908A (en) Robot controls smart home system
KR20130117437A (en) Data transferring system for an educational robot using a smart phone
Ubale et al. Voice Controlled Vehicle Using MQTT Server
Engebråten et al. Networking-enabling enhancement for a swarm of COTS drones
Srividhya et al. IoT Based Vigilance Robot using Gesture Control
CN111586167B (en) Method and device for collaboration between intelligent agents and related products
JP2019087927A (en) Infrared operation system
CN212933295U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system and unmanned aerial vehicle
CN117707013A (en) Flight control assistant device of aircraft and control system of aircraft
Su et al. TaoBall: Core Design for Smart Internet of Things Ball
JP2005321954A (en) Robo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P4328743A1 (en) Instruction block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vehicle, and storage medium
US11731262B2 (en) Robo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Tu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ireless Based Android Controlled Spy-vehicle
Shweta et al. WIRELESS VOICE CONTROLLED ROBOT
Morales Pedro Design and integration of an Unmanned Ground Vehicle into the USAL architecture
Schmidt et al. Khepera III mobile robot practical aspects
KR20230097880A (en) Service robo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Rahman et al. Prototype to Control a Robot by Android System Remote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