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546B1 - Window for preventing heat deformation - Google Patents

Window for preventing heat de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546B1
KR102569546B1 KR1020220054298A KR20220054298A KR102569546B1 KR 102569546 B1 KR102569546 B1 KR 102569546B1 KR 1020220054298 A KR1020220054298 A KR 1020220054298A KR 20220054298 A KR20220054298 A KR 20220054298A KR 102569546 B1 KR102569546 B1 KR 102569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frame
insulation
outer frame
b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2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규현
서화성
맹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건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건창호
Priority to KR1020220054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54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5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with thin strips, e.g. defining a hollow space between the metal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Abstract

열 변형 방지 창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 변형 방지 창호는, 실내 측에 위치되는 내측 프레임, 내측 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실외측에 위치되는 외측 프레임 및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며, 양 단부가 내측 프레임 및 외측 프레임 각각에 장착되는 단열바를 포함하고, 단열바는 복수 개의 단열부재로 분할 형성되며,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는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A heat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 is disclosed.
The heat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frame located on the indoor side, an outer fram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frame and located on the outdoor side, and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both ends of which are installed on the inner frame. and an insulating bar mounted on each of the outer frames, the insulating bar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nsulating members, and the two adjacent insulating members being mounted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Description

열 변형 방지 창호{WINDOW FOR PREVENTING HEAT DEFORMATION}Heat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s {WINDOW FOR PREVENTING HEAT DEFORMATION}

본 발명은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의 열 변형 및 이로 인한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열 변형 방지 창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ndows and doors, and more particularly, to thermal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s and doors capable of preventing thermal deformation of windows and doors and resulting warpage.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건물에는 자연 채광 기능과, 실내에서 실외의 관만 기능, 그리고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창호가 설치된다. BACKGROUND ART Windows and doors are installed in buildings such as houses or apartments to provide natural lighting, indoor to outdoor viewing, and indoor air ventilation.

창호는 구조에 따라 여닫이 방식, 미닫이 방식, 미서기 방식으로 분류된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windows are classified into opening, sliding, and non-standing types.

이러한 창호는 외기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갖는 내후성 및 내구성을 가져야 하며, 창문의 자중과 바람의 하중을 견디며 기밀성과 단열성을 필요로 한다. These windows and doors must have weather resistance and durability with high resistance to outside air, withstand the weight of the window and the load of wind, and require airtightness and insulation.

종래 창호는 목재나 금속재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많은 종류의 합성 수지제의 창호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Conventionally, wood or metal materials have been used for windows and doors, but recently, many types of windows and doors made of synthetic resin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한편, 최근에는 창호의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 사이에 단열바로 연결한 이중 구조를 갖는 창호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중 구조를 갖는 창호의 경우에는 단열성, 차음성 및 수밀성과 같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 window having a double structure in which an insulating bar is connected between an outer frame and an inner frame of a window or door has been widely used. In the case of a window having such a double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performance such as heat insulation, sound insulation, and watertightness can be improved.

이러한, 창호의 외측 프레임의 경우 햇빛에 의해 열 팽창이 발생되는데 반면, 창호의 내측 프레임의 경우,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단열바에 의해 열의 전도가 차단되어 열 팽창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outer frame of the window, thermal expansion is generated by sunlight, whereas in the case of the inner frame of the window, conduction of heat is blocked by the insulation bar connecting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so that thermal expansion does not occur.

이와 같이, 창호의 외측 프레임 및 내측 프레임 각각의 열 팽창 발생의 차이로 인하여 결국 창호가 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As such,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indow is eventually ben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of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of the window.

이에, 창호의 단열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창호의 열 변형으로 인한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windows and doors capable of improving the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of windows and doors and at the same time preventing bending due to thermal deformation of windows and doors.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7237호(공개일: 2015.09.25)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57237 (published date: 2015.09.25)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의 단열 및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 변형 방지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deformation-resistant window or door capable of improving the heat insulation and airtight performance of the window or doo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의 열 변형으로 인한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열 변형 방지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ermal deformation preventing window or door capable of preventing bending due to thermal deformation of the window or do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실내 측에 위치되는 내측 프레임, 내측 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실외측에 위치되는 외측 프레임 및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며, 양 단부가 내측 프레임 및 외측 프레임 각각에 장착되는 단열바를 포함하고, 단열바는 복수 개의 단열부재로 분할 형성되며,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는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열 변형 방지 창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frame located on the indoor side, an outer fram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frame and located on the outdoor side, and locat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both ends of the inner frame and an insulating bar mounted on each of the outer frames, the insulating bar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nsulating members, and the two adjacent insulating members being mounted to be relatively movable.

단열바는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의 사이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insulating bar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between two adjacent insulating members.

이러한, 결합부는,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열부재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 및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 중에서 다른 하나의 단열부재에 형성되며, 결합홈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upling part is formed on one of the two adjacent heat insulating members, and is formed on the other heat insulating member among the coupling groove formed recessed inward and the two adjacent heat insulating members, a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It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that becomes.

결합부는 내측 프레임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oupling par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ner frame.

또한, 결합부는 외측 프레임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coupling par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uter frame.

또한, 결합부는 내측 프레임 및 외측 프레임의 각각과 인접한 위치에 결합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each of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또한, 결합부는 단열바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insulating bar.

이러한, 단열바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부가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중공부는 격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At least one hollow part is formed inside the insulating bar, and the hollow parts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한편, 단열바에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 공간의 단열 및 기밀을 위한 보조 단열부재가 추가로 마련되고, 보조 단열부재는 단열바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에 부착될 수 있다. Meanwhile, an auxiliary heat insulating member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insulating bar to insulate and airtighten a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and the auxiliary insulating member may be attached to an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bar.

또한, 단열바에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 공간의 단열 및 기밀을 위한 부자재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추가로 마련되고, 장착홈은 단열바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sulation bar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in which a subsidiary material for heat insulation and airtightness of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is mounted, and the mounting groove may be formed at either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insulation bar. .

이때, 장착홈은, 단열바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단열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sulating bar,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ar.

한편,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실내 측에 위치되는 내측 프레임, 내측 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실외측에 위치되는 외측 프레임 및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며, 양 단부가 내측 프레임 및 외측 프레임 각각에 장착되는 단열바를 포함하고, 단열바는 복수 개를 포함하되 복수 개의 단열바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서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단열바는 복수 개의 단열부재로 분할 형성되고,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는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열 변형 방지 창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frame located on the indoor side, the outer fram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frame and located on the outdoor side, and locat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both ends It includes insulation bars mounted on each of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sulation bars, wherein the plurality of insulation bars are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and the insulation bar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sulation members. It can be achieved by a thermal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 or door that is divided and mounted so that the two adjacent heat insulation members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여기서, 복수 개의 단열바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열바에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의 단열 및 기밀을 위한 부자재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추가로 마련되고, 장착홈은 단열바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에서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Her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sulation bars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in which a subsidiary material for insulation and airtightness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is mounted, and the mounting groove is located at either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insulation bar. can be formed

또한, 복수 개의 단열바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열바에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 공간의 단열 및 기밀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단열부재가 추가로 마련되고, 보조 단열부재는 단열바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중에서 어느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auxiliary insulation member for assisting insulation and airtightness of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is additionally provi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sulation bars, and the auxiliary insulation member is selected from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on bar. can be attached to either.

본 발명의 열 변형 방지 창호는, 창호의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단열바가 설치됨으로써 창호의 단열성 및 기밀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heat deformation preventing windows and do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insulating bar is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of the window,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heat insulation and airtight performance of the window or door.

또한, 본 발명의 열 변형 방지 창호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단열바에 의해 창호의 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창호의 휘어짐을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ermal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s and do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rmal deformation of the windows and doors by means of an insulating bar install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and thereby prevent the windows and doors from bending.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 변형 방지 창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열 변형 방지 창호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단열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단열바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단열바에 보조 단열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도 3에 도시한 단열바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단열바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단열바에 보조 단열부재 및 부자재가 부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 변형 방지 창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열 변형 방지 창호의 단열바에 보조 단열부재 및 부자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thermal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 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thermal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 or door shown in FIG. 1 .
3 is a view showing the insulation bar shown in FIG. 2;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insulating bar shown in FIG. 3 .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heat insulat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heat insulating bar shown in FIG. 3;
6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insulating bar shown in FIG.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insulating bar shown in FIG. 6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uxiliary heat insulating members and auxiliary materials are attached to the insulating bar shown in FIG. 6 .
9 is a view showing a heat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 or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heat insulating member and auxiliary materials are attached to the heat insulating bar of the heat deformation preventing window or door shown in FIG. 9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It is advis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Relative dimensions and proportions of parts in the drawing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drawings, and any dimensions are illustrative only and not limiting. And like structures, elements or parts appearing in two or mor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like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present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Therefore,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illustrated area, and includes, for example, modification of the shape by manufacturin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열 변형 방지 창호(1, 1-1; 이하 '창호'라 함)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rmal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s (1, 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window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를 설명한다. 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 a window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는 내측 프레임(10), 외측 프레임(20) 및 단열바(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a window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frame 10 , an outer frame 20 and an insulation bar 30 .

내측 프레임(10)은 실내측에 위치되는 창문을 의미한다. The inner frame 10 means a window located on the indoor side.

내측 프레임(10)은 실내측에 설치된 내측 창틀프레임(13)에 장착된다. The inner frame 10 is mounted on the inner window frame 13 installed indoors.

외측 프레임(20)은 내측 프레임(1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실외측에 위치되는 창문을 의미한다. The outer frame 2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rame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means a window located on the outdoor side.

외측 프레임(20)은 실외측에 설치된 외측 창틀프레임(23)에 장착된다. The outer frame 20 is mounted on the outer window frame 23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 사이에는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된다. A space (not shown) is formed between the inn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

이때, 내측 프레임(10)이 장착된 내측 창틀프레임(13)과 외측 프레임(20)이 장착된 외측 창틀프레임(23) 사이에는 내측 창틀프레임(13)과 외측 창틀프레임(23) 사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33)이 마련된다. At this time, between the inner window frame 13 to which the inner frame 10 is mounted and the outer window frame 23 to which the outer frame 20 is mounted, the space between the inner window frame 13 and the outer window frame 23 is to be supported. A support frame 33 is provided for

지지 프레임(33)의 일 단부는 내측 창틀프레임(13)과 결합되고, 지지 프레임(33)의 타 단부는 외측 창틀프레임(23)과 결한된다.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33 is coupled to the inner window frame 13,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33 is coupled to the outer window frame 23.

참고로, 지지 프레임(33)의 상측에는 전도성 차단부재(34)가 마련될 수 있다. For reference, a conductive blocking member 34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frame 33 .

전도성 차단부재(34)의 일 단부는 내측 창틀프레임(13)과 결합되고 타 단부는 외측 창틀프레임(23)과 결합된다. One end of the conductive blocking member 34 is coupled to the inner window frame 13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uter window frame 23.

전도성 차단부재(34)의 양 단부는 내측 프레임(10) 및 외측 프레임(20) 각각의 일 단부를 따라 형성되며 실외와 실내의 열 전도를 차단하기 위한 단열라인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전도성 차단부재(34)는 후술할 단열바(30)와 같이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의 열 전도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Both ends of the conductive blocking member 34 are formed along one end of each of the inn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and are positioned on an insulation line for blocking heat conduction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Accordingly, the conductive blocking member 34 can block heat conduction between the inn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like the insulating bar 3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전도성 차단부재(34)는 내측 프레임(10)에 형성된 부재 지지홈(16)에 결합된 지지 가스켓(16a)과 외측 프레임(20)에 형성된 부재 지지홈(26)에 결합된 지지 가스켓(26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ductive blocking member 34 includes a support gasket 16a coupled to the member support groove 16 formed in the inner frame 10 and a support gasket coupled to the member support groove 26 formed in the outer frame 20 ( 26a).

참고로, 전도성 차단부재(34)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도성이 비교적 낮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conductive blocking member 34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relatively low conductivity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 사이에는 유리(glass)가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glass may be mounted between the inn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

이를 위해, 내측 프레임(10)의 상측에는 가스켓 지지홈(14)이 형성되고, 가스켓 지지홈(14)에는 유리고정 가스켓(14a)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외측 프레임(20)의 상측에는 보조 지지프레임(25)이 결합되고, 보조 지지프레임(25)에는 가스켓 지지홈(24) 및 가스켓 지지홈(24)에는 유리고정 가스켓(24a)이 장착될 수 있다. To this end, a gasket support groove 1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frame 10 , and a glass fixing gasket 14a may be mounted in the gasket support groove 14 . In addition, an auxiliary support frame 25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outer frame 20, and a gasket support groove 24 and a glass fixing gasket 24a are mounted on the auxiliary support frame 25. can

한편, 지지 프레임(33)의 상부에는 단열바(30)가 결합된다. Meanwhile, an insulating bar 3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33 .

단열바(30)는 내측 프레임(10) 및 외측 프레임(20)으로 전달되는 열기 및 냉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측 프레임(20)에 전해진 열기로 인하여 외측 프레임(20) 및 내측 프레임(10)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e insulation bar 30 prevents heat and cold air transmitted to the inn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from entering the room, and the outer frame 20 and the inner frame due to the heat transmitted to the outer frame 20. (10) is prevented from bending.

단열바(30)는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 사이에 위치되며, 양 단부가 내측 프레임(10) 및 외측 프레임(20)의 각각에 장착된다. The insulating bar 30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and both ends are mounted to the inn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respectively.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바(30)는 복수 개의 단열부재(300)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to 8 , the insulation bar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nsulation members 300 .

이러한, 단열바(30)에서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300)는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The two insulating members 300 adjacent to the insulating bar 30 may be mounted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inn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

특히, 서로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300)는 내측 프레임(10) 및 외측 프레임(20)에 대해 슬라이드되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In particular, the two heat insulating members 300 adjacent to each other are slid with respect to the inn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구체적으로, 단열바(30)는 복수 개의 단열부재(300), 복수 개의 단열부재(300)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슬라이딩 돌기부(310,311)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insulating bar 30 includes a plurality of insulating members 300 and sliding protrusions 310 and 31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members 300 .

단열부재(3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부(320)가 형성된다. At least one hollow part 320 is formed inside the heat insulating member 300 .

중공부(320)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중공부(320) 사이는 단열부재(300)에 형성된 격벽(321)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격벽(321)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단열부재(300)와 연결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hollow parts 320 may b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Here, the hollow parts 320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divided by partition walls 321 formed in the heat insulating member 300 . In this cas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rtition wall 321 may be connected to the heat insulating member 300 .

슬라이딩 돌기부(310,311)는 단열부재(300)의 양 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The sliding protrusions 310 and 311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300, respectively.

단열부재(300)의 양 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부(310,311)는 내측 프레임(10)에 형성된 돌기홈(11)과 외측 프레임(20)에 형성된 돌기홈(21)에 각각 결합된다. The sliding protrusions 310 and 311 formed on both ends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300 are coupled to the protruding grooves 11 formed on the inner frame 10 and the protruding grooves 21 formed on the outer frame 20, respectively.

참고로, 돌기홈(11,21)은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의 각각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돌기홈(11,21)에 슬라이딩 돌기부(310,311)를 통해 결합된 단열부재(300)는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For reference, the protruding grooves 11 and 21 are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each of the inn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 Accordingly, the heat insulating member 300 coupled to the protruding grooves 11 and 21 through the sliding protrusions 310 and 311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so that they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단열바(30)는 복수 개의 단열부재(300)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insulating bar 3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nsulating members 300 .

단열바(3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단열부재(300) 중에서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300)는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측 프레임(10) 및 외측 프레임(20)에 대해 슬라이드되게 된다. Among the plurality of heat insulating members 300 constituting the insulating bar 30, two adjacent heat insulating members 300 are mounted to be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and slide with respect to the inn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이때, 단열바(30)에는 인접한 단열부재(300)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coupling portion 330 may be formed in the insulation bar 30 to allow adjacent insulation members 300 to be coupled.

결합부(330)는 복수 개로 분할된 형성된 단열부재(300)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내측 프레임(10) 및 외측 프레임(20)에 대해 슬라이드되는 단열바(30)의 전달력의 전달을 끊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단열바(30)의 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coupling part 330 couples the formed insulation member 300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at the same time cuts off transmission of the transmission force of the insulation bar 30 slid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rmal deformation of the insulating bar 30 .

한편, 결합부(330)는 일측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331)과 결합홈(331)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332)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portion 330 may include a coupling groove 331 formed recessed inward on one side and a coupling protrusion 332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31 and coupled thereto.

다시 말해서, 결합부(300)는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3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열부재(300)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331) 및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300) 중에서 다른 하나의 단열부재(300)에 형성되며 결합홈(331)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332)를 포함한다. In other words, the coupling portion 300 is formed on any one of the two adjacent thermal insulation members 300 and is recessed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groove 331 and the other of the two adjacent thermal insulation members 300. It is formed on one heat insulating member 300 and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332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groove 331 .

참고로,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300)의 각각에 형성되는 결합홈(331) 및 결합돌기(332)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 형성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positions of the coupling grooves 331 and coupling protrusions 332 formed on each of the two adjacent heat insulating members 300 may be interchanged.

이러한, 결합부(330)는 단열부재(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즉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coupling part 330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300, that is, a plurality of them.

일예로, 도 2, 도 3 및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330)는 외측 프레임(20)과 인접한 단열부재(300)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S. 2, 3 and 4, the coupling part 33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300 adjacent to the outer frame 20.

결합부(330)는 외측 프레임(20)의 돌기홈(21)과 결합되는 슬라이딩 돌기부(311)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The coupling part 33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liding protrusion 311 coupled to the protrusion groove 21 of the outer frame 20 .

이때, 단열바(3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320)의 개수는 총 3개로 마련되고, 3개의 중공부(320) 사이는 2개의 격벽(32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umber of hollow parts 320 formed inside the insulation bar 30 is three, and the three hollow parts 320 may be partitioned by two partition walls 321 .

다른 일예로,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330)는 외측 프레임(20)의 돌기홈(21)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돌기부(311)와 내측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돌기부(310)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4, the coupling part 330 is coupled to the sliding protrusion 311 coupled to the protruding groove 21 of the outer frame 20 and the inner frame 10 It may be formed in a region between the sliding protrusions 310 .

결합부(330)는 외측 프레임(20)의 돌기홈(21)과 내측 프레임(10)의 돌기홈(11) 중에서 어느 것과도 인접하게 형성되지 않고, 단열바(3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다. The coupling part 330 is not formed adjacent to any of the protruding groove 21 of the outer frame 20 and the protruding groove 11 of the inner frame 10, and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insulating bar 30. .

이때, 단열바(3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320)는 총 4개로 마련되고, 서로 인접한 2개의 중공부(320) 사이는 1개의 격벽(32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또한, 1개의 격벽(321)에 의해 구획된 2개의 중공부(320) 사이는 결합부(330)에 의해 구획된다. At this time, a total of four hollow parts 320 formed inside the insulating bar 30 may be provided, and a partition wall 321 may divide between two adjacent hollow parts 320 . Also, between the two hollow parts 320 partitioned by one partition wall 321 is partitioned by the coupling part 330 .

다른 일예로,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330)는 내측 프레임(10)와 인접한 단열바(30)의 타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c) of FIG. 4 , the coupling part 330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sulating bar 30 adjacent to the inner frame 10 .

결합부(330)는 내측 프레임(10)의 돌기홈(11)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돌기부(310)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The coupling part 33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liding protrusion 310 coupled to the protruding groove 11 of the inner frame 10 .

이때, 단열바(3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320)는 총 3개로 마련되고, 서로 인접한 2개의 중공부(320) 사이는 2개의 격벽(32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total of three hollow parts 320 formed inside the insulating bar 30 may be provided, and a space between two adjacent hollow parts 320 may be partitioned by two partition walls 321 .

다른 일예로,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330)는 내측 프레임(10) 및 외측 프레임(20) 각각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d) of FIG. 4 , the coupling part 33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each of the inn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

즉, 결합부(330)는 외측 프레임(20)의 돌기홈(21)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돌기부(311)와 내측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돌기부(311)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coupling part 330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sliding protrusion 311 coupled to the protruding groove 21 of the outer frame 20 and the sliding protrusion 311 coupled to the inner frame 10, respectively. .

이때, 단열바(3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320)는 총 3개로 마련되고, 서로 인접한 2개의 중공부(320) 사이는 2개의 격벽(32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total of three hollow parts 320 formed inside the insulating bar 30 may be provided, and a space between two adjacent hollow parts 320 may be partitioned by two partition walls 321 .

다른 일예로, 도 4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330)는 내측 프레임(10) 과 인접한 단열바(30)의 타 단부, 외측 프레임(20)과 인접한 단열바(30)의 일 단부, 그리고 단열바(3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e) of FIG. 4, the coupling part 330 is the other end of the insulation bar 30 adjacent to the inner frame 10, the insulation bar 30 adjacent to the outer frame 20 It may be formed at one end of and the central region of the insulating bar 30.

결합부(330)는 단열바(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총 3개로 마련될 수 있다. A total of three coupling parts 330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ar 30 .

이때, 단열바(3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320)는 총 2개로 마련되고, 2개의 중공부(320) 사이는 결합부(33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total of two hollow parts 320 formed inside the insulating bar 30 may be provided, and a space between the two hollow parts 320 may be partitioned by a coupling part 330 .

단열바(3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320)의 일 측에는 내측 프레임(10)과 인접하게 형성된 하나의 결합부(330)가 마련되고, 중공부(320)의 타 측에는 외측 프레임(20)와 인접하게 형성된 하나의 결합부(330)가 마련된다. One coupling part 330 formed adjacent to the inner frame 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llow part 320 formed inside the insulation bar 30, and the outer frame 2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llow part 320. One coupling part 330 formed adjacent to is provided.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단열바(30)에는 보조 단열부재(40,41)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 , auxiliary heat insulating members 40 and 41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the heat insulating bar 30 .

보조 단열부재(40,41)는 단열바(30)와 함께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 사이 공간의 단열 및 기밀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The auxiliary heat insulating members 40 and 41 together with the heat insulating bar 30 are used to assist heat insulation and airtightness of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

보조 단열부재(40,41)는 폼(form) 또는 패드(pad)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uxiliary heat insulating members 40 and 4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orm or a pad,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러한 보조 단열부재(40,41)는 단열바(30)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보조 단열부재(40,41)는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단열바(30)에 부착될 수 있다. These auxiliary heat insulating members 40 and 41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sulating bar 30 . At this time, the auxiliary insulating members 40 and 41 may be attached to the insulating bar 30 by an adhesive member such as an adhesive.

즉, 보조 단열부재(40,41)는 단열바(30)의 상단면(C1)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고, 하단면(C2)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That is, the auxiliary heat insulating members 40 and 41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C1 of the insulating bar 30 using an adhesive, and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C2 using an adhesive.

여기서, 단열바(30)의 상단면(C1)에는 폼 형태의 보조 단열부재(40)가 부착될 수 있고, 단열바(30)의 하단면(C2)에는 패드 형태의 보조 단열부재(41)가 부착될 수 있다. Here, the auxiliary heat insulating member 40 in the form of a foam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C1 of the insulating bar 30, and the auxiliary insulating member 41 in the form of a pad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C2 of the insulating bar 30. can be attached.

참고로, 양 단면에 보조 단열부재(40,41)가 부착되는 단열바(30)에는 도 5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결합부(330)가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바(30)의 양 단부에 각각 하나 씩의 결합부(3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as shown in (a) and (b) of FIG. 5, one coupling part 330 may be formed in the insulation bar 30 to which the auxiliary insulation members 40 and 41 are attached to both end surfaces, , As shown in (c) of FIG. 5, one coupling part 33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sulating bar 30, respectively.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바(30-1)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홈(340)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6 to 8 , at least one mounting groove 340 may be formed in the insulating bar 30-1.

장착홈(340)은 단열바(30)와 함께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 사이 공간의 단열 및 기밀을 위한 부자재(42)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The mounting groove 340 is a part where the insulation bar 30 and the auxiliary material 42 for insulating and airtightening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are mounted.

장착홈(340)은 단열바(30-1)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mounting groove 340 may be formed at either end of an upper end or a lower end of the insulating bar 30-1.

특히, 장착홈(340)은 단열바(30-1)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단열바(30-1)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In particular, the mounting groove 340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sulating bar 30-1,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sulating bar 30-1 if necessary.

또한, 장착홈(340)은 단열바(30-1)의 길이 방향(도면에서 X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340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in the drawing) of the insulating bar 30-1.

이와 같이, 장착홈(340)이 복수 개 형성됨에 따라 단열바(30-1)의 하단부에 부자재(42)가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as the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340 are formed, the subsidiary material 42 can be stably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insulating bar 30-1.

여기서, 부자재(42)의 일측에는 장착홈(340)에 끼워지는 장착돌기(43)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돌기(43)의 개수는 단열바(30-1)에 형성된 장착홈(340)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Here, a mounting protrusion 43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34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bsidiary material 42 . The number of mounting protrusions 43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mounting grooves 340 formed in the insulating bar 30-1.

일예로,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바(30-1)의 길이 방향(도면에서 X 방향)을 따라 2개의 장착홈(340)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7, two mounting grooves 340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in the drawing) of the insulating bar 30-1.

이때, 2개의 장착홈(340)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wo mounting grooves 340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2개의 장착홈(340)의 사이에는 2개의 중공부(320)가 형성되며, 2개의 중공부(320) 사이는 1개의 격벽(32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Two hollow parts 320 are formed between the two mounting grooves 340, and the two hollow parts 320 may be partitioned by one partition wall 321.

또한, 2개의 장착홈(340)의 일측에는 1개의 중공부(320)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1개의 결합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hollow part 32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two mounting grooves 340 and one coupling part 33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다른 일예로,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바(30-1)에는 1개의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7, one mount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insulating bar 30-1.

1개의 장착홈(340)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1개의 중공부(320)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3개의 중공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3개의 중공부(320) 사이는 2개의 격벽(32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또한, 3개의 중공부(320)의 일측에는 1개의 결합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Based on one mounting groove 340, one hollow part 320 may be formed on one side and three hollow parts 32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At this time, the three hollow parts 320 may be partitioned by two partition walls 321 . In addition, one coupling part 33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three hollow parts 320 .

또 다른 일예로,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바(30-1)에는 2개의 장착홈(340)이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c) of FIG. 7, two mounting grooves 340 may be formed in the insulating bar 30-1.

이때, 2개의 장착홈(340)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2개의 장착홈(340)의 사이에는 2개의 중공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중공부(320) 사이는 1개의 격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wo mounting grooves 340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and two hollow parts 320 may be formed between the two mounting grooves 340 . A space between the two hollow parts 320 may be partitioned by one barrier rib.

또한, 장착홈(340)의 일측에는 1개의 결합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부(330)는 2개의 장착홈(340)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coupling part 33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groove 340 . That is, the coupling part 33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two mounting grooves 340, respectively.

또한, 도면에는 장착홈(340)의 형태가 걸림턱(미도시)가 있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장착홈(340)의 형태는 장착돌기(43)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shape of the mounting groove 340 is shown in the form of a locking jaw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hape of the mounting groove 340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ounting protrusion 43 .

참고로, 장착홈(340)에 장착되는 부자재(42)는 가스켓(gasket)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reference, the subsidiary material 42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340 may be a gaske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한편, 적어도 하나의 장착홈(340)이 형성된 단열바(30-1)의 양 단부에는 보조 단열부재(40,41) 및 부자재(42)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auxiliary heat insulating members 40 and 41 and subsidiary materials 42 may b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sulating bar 30-1 in which at least one mounting groove 340 is formed.

일예로,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장착홈(340)이 형성된 단열바(30-1)의 상단부에는 보조 단열부재(40,41)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고, 단열바(30-1)의 하단부에는 부자재(42)가 마련되되 장착돌기(43)에 의해 장착홈(340)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8, auxiliary heat insulating members 40 and 41 are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heat insulating bar 30-1 having two mounting grooves 340 by means of an adhesive, and heat insulating. A subsidiary material 42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ar 30-1 and may be coupled in a form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340 by the mounting protrusion 43.

이때, 단열바(30-1)에는 2개의 장착홈(340)과 1개의 결합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wo mounting grooves 340 and one coupling part 330 may be formed in the insulation bar 30-1.

다른 일예로,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장착홈(340)이 형성된 단열바(30-1)의 상단부에는 보조 단열부재(40,41)가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고, 단열바(30-1)의 하단부에는 부자재(42)가 마련되되 장착돌기(43)에 의해 장착홈(340)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8, auxiliary heat insulating members 40 and 41 are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insulating bar 30-1 having two mounting grooves 340 by means of an adhesive, A subsidiary material 42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insulation bar 30-1, and the mounting groove 340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340 by the mounting protrusion 43.

이때, 단열바(30-1)에는 2개의 장착홈(340)과 2개의 결합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wo mounting grooves 340 and two coupling parts 330 may be formed in the insulating bar 30-1.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1-1)를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 a window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1-1)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복수 개의 단열바(30,30-1)가 설치되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window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that a plurality of insulation bars 30 and 30-1 are installed. Therefore, the same names and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applied mutatis mutandi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1-1)는 내측 프레임(10), 외측 프레임(20) 및 단열바(30,30-1)를 포함한다.9 and 10, a window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frame 10, an outer frame 20, and insulation bars 30 and 30-1.

이때, 단열바(30,30-1)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sulating bars 30 and 30-1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eces.

복수 개의 단열바(30,30-1)는 내측 프레임(10)과 외측 프레임(20)의 사이에서 도면에 도시한 Y 축 방향으로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insulation bars 30 and 30-1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in the Y-axis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 between the inn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더욱이, 복수 개의 단열바(30,30-1)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Moreover, at least one coupling part 330 may be formed in the plurality of insulating bars 30 and 30-1.

이때, 복수 개의 단열바(30,30-1) 중에서 상측에 마련되는 단열바(30)에는 장착홈(340)이 형성되지 않고, 하측에 마련되는 단열바(30-1)에만 적어도 하나의 장착홈(340)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unting groove 340 is not formed in the insulation bar 30 provided on the upper side among the plurality of insulation bars 30 and 30-1, and at least one mounting groove 340 is provided only in the insulation bar 30-1 provided on the lower side. A groove 340 may be formed.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단열바(30,30-1) 중에서 상측에 마련된 단열바(30)의 양 단부에는 보조 단열부재(40,41)가 각각 마련되고, 하측에 마련된 단열바(30-1)의 양 단부에는 하나의 보조 단열부재(41)와 하나의 부자재(42)가 마련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0, auxiliary heat insulating members 40 and 41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eat insulating bar 3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heat insulating bars 30 and 30-1, and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ne auxiliary heat insulating member 41 and one subsidiary material 42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repared insulating bar 30-1.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변형 방지 창호(1,1-1)는, 창호의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단열바가 설치됨으로써 창호의 단열성 및 기밀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eat deformation preventing windows (1, 1-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t least one insulation bar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of the window, thereby improving the insulation and airtightness of the window. Performance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열 변형 방지 창호(1,1-1)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단열바에 의해 창호의 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창호의 휘어짐을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ermal deformation preventing window 1, 1-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rmal deformation of the window by means of an insulating bar install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thereby preventing the window from bend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limi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thing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1-1: 열 변형 방지 창호
10: 내측 프레임 20: 외측 프레임
30, 30-1: 단열바 300: 본체
310: 슬라이딩 돌기부 320: 중공부
330: 결합부 340: 장착홈
40,41: 보조 단열부재 42: 부자재
1, 1-1: Heat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
10: inner frame 20: outer frame
30, 30-1: insulation bar 300: main body
310: sliding protrusion 320: hollow part
330: coupling part 340: mounting groove
40,41: auxiliary insulation member 42: subsidiary material

Claims (14)

실내 측에 위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돌기홈이 형성된 내측 프레임;
내측 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실외측에 위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돌기홈이 형성된 외측 프레임; 및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며, 양 단부가 내측 프레임 및 외측 프레임 각각에 장착되는 단열바를 포함하고,
단열바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부가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중공부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단열바는 양 단부에 슬라이딩 돌기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단열부재로 분할 형성되며,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 돌기부는 내측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내측 프레임의 돌기홈에 결합되며, 다른 하나의 슬라이딩 돌기부는 외측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내측 프레임의 돌기홈에 결합되고,
단열부재에는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의 사이가 결합되도록 하고, 내측 프레임 및 외측 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드되는 단열부재의 전달력의 전달을 끊어주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열 변형 방지 창호.
an inner frame located on the indoor side and having protruding gro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outer fram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frame, located on the outdoor side, and having protruding gro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t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and includes an insulation bar having both ends mounted to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respectively,
At least one hollow part is formed inside the insulating bar, and the hollow parts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re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The insulation ba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nsulation members having sliding protrusions formed at both ends,
The two adjacent heat insulating members are sl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and are mounted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One sliding protrusion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frame and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groove of the inner frame, and the other sliding protrusion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frame and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groove of the inner frame,
A heat-deformation-preventing window or door having a coupling part formed in the heat-insulating member so as to couple between two adjacent heat-insulating members and to cut off transmission of the transmission force of the heat-insulating member slid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열부재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 및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 중에서 다른 하나의 단열부재에 형성되며, 결합홈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열 변형 방지 창호.
According to claim 1,
coupling part,
A coupling groove formed on one of the two adjacent heat insulating members and recessed inwardly; and
Formed on one of the other heat insulating members of two adjacent heat insulating members, including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heat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s and doors.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내측 프레임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열 변형 방지 창호.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art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ner frame, the heat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외측 프레임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열 변형 방지 창호.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art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uter frame, the heat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내측 프레임 및 외측 프레임과 인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열 변형 방지 창호.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respectively, to prevent heat de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단열바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열 변형 방지 창호.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art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insulation bar, the heat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단열바에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 공간의 단열 및 기밀을 위한 보조 단열부재가 추가로 마련되고,
보조 단열부재는 단열바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에 부착되는, 열 변형 방지 창호.
According to claim 1,
In the insulation bar,
An auxiliary heat insulating member is additionally provided for insulation and airtightness of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The auxiliary insula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top or bottom side of the insulation bar, heat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
제1항에 있어서,
단열바에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 공간의 단열 및 기밀을 위한 부자재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추가로 마련되고,
장착홈은 단열바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열 변형 방지 창호.
According to claim 1,
In the insulation bar,
A mounting groove is additionally provided in which auxiliary materials for insulation and airtightness of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are mounted,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insulation bar, the heat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
제10항에 있어서,
장착홈은,
단열바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단열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마련된, 열 변형 방지 창호.
According to claim 10,
mounting groove,
Doedo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sulation bar, a plurality of window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insulation bar, heat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s.
실내 측에 위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돌기홈이 형성된 내측 프레임;
내측 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실외측에 위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돌기홈이 형성된 외측 프레임; 및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며, 양 단부가 내측 프레임 및 외측 프레임 각각에 장착되는 단열바를 포함하고,
단열바는 복수 개를 포함하되 복수 개의 단열바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서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단열바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부가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중공부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단열바는 양 단부에 슬라이딩 돌기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단열부재로 분할 형성되고,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 돌기부는 내측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내측 프레임의 돌기홈에 결합되며, 다른 하나의 슬라이딩 돌기부는 외측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내측 프레임의 돌기홈에 결합되고,
단열부재에는 인접한 2개의 단열부재의 사이가 결합되도록 하고, 내측 프레임 및 외측 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드되는 단열부재의 전달력의 전달을 끊어주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열 변형 방지 창호.
an inner frame located on the indoor side and having protruding gro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outer fram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frame, located on the outdoor side, and having protruding gro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t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and includes an insulation bar having both ends mounted to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respectively,
A plurality of insulation bars are included, but the plurality of insulation bars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At least one hollow part is formed inside the insulating bar, and the hollow parts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re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The insulation ba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nsulation members having sliding protrusions formed at both ends, and two adjacent insulation members are mounted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One sliding protrusion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frame and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groove of the inner frame, and the other sliding protrusion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frame and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groove of the inner frame,
In the heat insulating member, a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couple between two adjacent heat insulating members and to cut off the transmission of the transmission force of the insulating member slid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Heat-resistant windows.
제1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단열바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열바에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의 단열 및 기밀을 위한 부자재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추가로 마련되고,
장착홈은 단열바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에서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열 변형 방지 창호.
According to claim 12,
One of the plurality of insulation bars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in which a subsidiary material for insulation and airtightness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is mounted,
Mounting groove is formed on either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insulation bar, heat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
제1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단열바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열바에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 공간의 단열 및 기밀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단열부재가 추가로 마련되고,
보조 단열부재는 단열바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중에서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열 변형 방지 창호.
According to claim 12,
In one of the plurality of insulation bars, an auxiliary insulation member is additionally provided to assist insulation and airtightness of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The auxiliary insulation member is attached to either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on bar, the heat deformation prevention window.
KR1020220054298A 2022-05-02 2022-05-02 Window for preventing heat deformation KR1025695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298A KR102569546B1 (en) 2022-05-02 2022-05-02 Window for preventing heat de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298A KR102569546B1 (en) 2022-05-02 2022-05-02 Window for preventing heat de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546B1 true KR102569546B1 (en) 2023-08-24

Family

ID=87841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298A KR102569546B1 (en) 2022-05-02 2022-05-02 Window for preventing heat de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54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973U (en) * 2015-02-17 2016-08-25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Insulation windows and doors frame
KR101657237B1 (en) 2014-03-17 2016-09-19 주식회사 인아웃텍 Insulation wall frame
KR101732853B1 (en) * 2016-11-02 2017-05-04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Insulation windows and doors
KR101750695B1 (en) * 2016-12-19 2017-06-27 (주)청송중앙알미늄 Curtain wall assembly
KR102151961B1 (en) * 2019-10-30 2020-09-04 (주)효성산업개발 A curtain wall
KR20200134444A (en) * 2019-05-22 2020-12-02 대한플라테크 주식회사 Adiabatic bar of different materials and continuous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237B1 (en) 2014-03-17 2016-09-19 주식회사 인아웃텍 Insulation wall frame
KR20160002973U (en) * 2015-02-17 2016-08-25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Insulation windows and doors frame
KR101732853B1 (en) * 2016-11-02 2017-05-04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Insulation windows and doors
KR101750695B1 (en) * 2016-12-19 2017-06-27 (주)청송중앙알미늄 Curtain wall assembly
KR20200134444A (en) * 2019-05-22 2020-12-02 대한플라테크 주식회사 Adiabatic bar of different materials and continuous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same
KR102151961B1 (en) * 2019-10-30 2020-09-04 (주)효성산업개발 A curtain w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360B1 (en) Window system with improve heat insulation
KR101982094B1 (en) Curtain wall having complex frame
KR101558947B1 (en) Curtain wall structure with improved thermal performance and support structure for the glass weight
EP3447229B1 (en) Thermally insulated composite profile
KR101878820B1 (en) Curtain wall for insulation
KR101952325B1 (en) An assembled sliding window having improved insulating blade assembly structure
KR20110003998A (en) Aluminum window for improvement adiabatic efficiency
KR101698593B1 (en) Aluminum-steel complex curtain wall structure
KR20200068834A (en) Assembl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glass base with improved heat insulation and assemblability
KR101616990B1 (en) Glass wall improved thermal transmittance
KR101515800B1 (en) System Window
KR102569546B1 (en) Window for preventing heat deformation
KR101669409B1 (en) Frame Structure for Installation of Tempered Glass Door
KR102126906B1 (en) Window structure with improved insulation and workability
KR102151961B1 (en) A curtain wall
KR102347365B1 (en) Double insulated curtain wall
KR102200996B1 (en) Frame for Windows and Doors
KR101474527B1 (en) profile for window frame and window frame utilizing of the same
KR100328412B1 (en) A frame to be latticed for dual type windows and doors
KR102108734B1 (en) A Insulating bar
KR102571359B1 (en) Insulation curtain wall
KR101897928B1 (en) Multi functional safety door
KR20160079605A (en) insert mould type curtain wall
KR102073239B1 (en) Curtain Wall Having Water Leakage Preventng Structure
KR19980058166U (en) Composite aggregate for wind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