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952B1 -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mobile phone charging and stand function - Google Patents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mobile phone charging and stand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952B1
KR102568952B1 KR1020230029719A KR20230029719A KR102568952B1 KR 102568952 B1 KR102568952 B1 KR 102568952B1 KR 1020230029719 A KR1020230029719 A KR 1020230029719A KR 20230029719 A KR20230029719 A KR 20230029719A KR 102568952 B1 KR102568952 B1 KR 102568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fire
charging
notification device
device incl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97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팝폰
주식회사 본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팝폰, 주식회사 본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팝폰
Priority to KR1020230029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9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9Other details of the casing, e.g. wall structure, passage for a connector, a cable, a shaf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38Back panels or connecting means therefor; Terminals; Coding means to avoid wrong insertion
    • H05K7/1447External wirings; Wiring ducts; Lay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 충전 및 거치 기능과 더불어 화재 발생시 외부나 관계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커버 상면에 구획벽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충전 및 거치 가능한 복수개 이상의 핸드폰을 거치후 충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구획벽 사이 특정 위치에 향 발산패드를 안착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더 나아가서 본체 내에는 별도의 열기와 냄새를 동시에 감지하는 감지기를 구비하여 외부나 관계자에게 통지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적 수단은,
"직사각형상으로 모서리와 양측은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면 양측 가까이에 소정의 길이로 내주부에는 흡착판(101)이 구비된 유동방지 고정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동방지 고정부(10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충전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부(110)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위치에 복수개 이상의 유입공(1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공간부(130) 형성되어 있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와 결합되는 형상으로서 상면 소정의 위치에는 향 발산패드(200)가 안착되는 안착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210)의 양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획벽(220)이 복수개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벽(220) 간에는 핸드폰 안착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체(20)와 상기 본체(10)와 커버체(20)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면 상기 유입공(120) 가까이에 열과 연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감지기(300)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에는 전원공급단자(S), USB단자(U), 핸드폰 잭 단자(H)가 구비되어 있는 PCB판(30)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부(11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통기공(112)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통기공(112)의 측면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충전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1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와,
상기 삽입홈부(110)의 일측인 상기 전원공급단자(S), USB단자(U), 핸드폰 잭 단자(H)가 구비된 가까이에 절곡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와,
상기 흡착판(101)은 러버 타입의 스타이렌/아이소프렌코폴리머(Styrene/Isoprene Copolymer)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와,
상기 유입공(120)로 부터 유입된 외기를 상기 감지기(300)로 포집 집중되도록 상기 공간부(130)에는 상기 유입공(120)과 관통되는 것으로 일측은 복수의 분기관 타측인 상기 감지기(300)에 인접해서는 원통관으로 형성된 포집관(150)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와,
상기 안착부(210)의 바닥면 양측 길이방향으로 제1슬릿공(211)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와,
상기 커버체(20)의 상면 중앙에는 LED공(240)이 천공되어 있고 이면에는 삽입관(2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와,
상기 PCB판(30)의 중앙에는 체결공(31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310)에는 상단에는 LED램프가 구비된 LED바(320)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와,
상기 이탈방지부재(140)는 바(141) 형상의 끝단에 일측인 상기 통기공(112) 방향으로 판상으로 충전케이블이 하방향으로 이탈되는 방지하는 방지판(142)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와,
상기 감지기(300)는 외부로 부터 유입공(120)을 통해 유입된 열이나 연기를 감지한 후 벨소리를 통해 외부에 화재 발생을 알림과 동시에 일정범위내에서는 블루투스를 통해 핸드폰에 화재 발생의 알림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을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본 발명은 본체와 커버체 내부에서 충전케이블이 PCB판에 연결되어 충전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간단하게 충전단자를 분배하여 복수개 이상의 모바일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하며,
또한 충전케이블의 유동 및 외부 힘에 의해 PCB판으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본체 저면에 충전케이블의 이탈 방지를 위한 절곡부를 구비함으로서 접촉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커버체 상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획벽을 형성하여 구획벽 사이에 핸드폰 및 스마트폰의 안착부를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구획벽 사이 소정의 위치에 향발산패드가 안착가능한 안착부를 형성하여 본체 내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향발산패드에 의해 향발산이 가능하는 효과와 본체 내에 외기가 유입 가능한 유입공을 구비하여 외기 즉, 외부의 열 및 냄새를 감지하는 감지기를 형성하여 화재발생을 외부 알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including a function of notifying the outside or a person concerned in the event of a fire as well as a function of charging and mounting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a partition wall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to charge and mount a plurality of or more devices.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cell phone after it is placed, and a seating portion is formed to seat the fragrance emitting pad at a specific posi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s, and furthermore, a separate detector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detect heat and smell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outside or the person concerned is notified. It relates to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that performs functions,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te in which the corner and both sides are rounded in a rectangular shape, an anti-flow fixing part 100 having a suction plate 101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near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anti-flow fixing part 100 ) The main body in which the insertion groove 110 into which the charging cable is inserted is formed lo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m, a plurality of inlet holes 120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space 13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 10) and the main body 10, and a seating portion 210 on which the scent-diffusing pad 200 is seated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210.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220 are formed, and a cover body 20 in which a mobile phone mounting portion 230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20 is coupled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body 20 In the state, a detector 300 for simultaneously detecting heat and smoke is provided near the inlet hole 120 on the bottom side, and a power supply terminal (S), a USB terminal (U), and a mobile phone jack terminal (H) are provided on one side Including a PCB plate 30,
Ventilation holes 112 are perfora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insertion groove 110, and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4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ventilation hole 112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charging cable in a zigzag shape.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cell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including a bent part 111 formed near the power supply terminal (S), USB terminal (U), and mobile phone jack terminal (H), which are on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10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function,
The suction plate 101 is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including a rubber-type styrene / isoprene copolymer component,
The space portion 130 is penetrated with the inlet hole 120 so that the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hole 120 is collected and concentrated in the detector 300, and one side of the detector 300 is the other side of a plurality of branch pipes. ) Adjacent to the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including a collection tube 150 formed of a cylindrical tube,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including a first slit hole 211 is perfo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210,
An LED ball 240 is perfor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20 and an insertion tube 241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and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In the center of the PCB board 30, a fastening hole 310 is perforated, and the fastening hole 310 includes a cell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including a LED bar 320 equipped with an LED lamp at the top. A fire notification device;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40 is provided with a prevention plate 142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bar 141 shape to prevent the charging cable from being released downward in a plate shape toward the ventilation hole 112, which is one side.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The detector 300 detects heat or smok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hole 120, and then notifies the outside of the fire through a ringtone, and at the same time, within a certain range, the fire is notified to the mobile phone through Bluetooth. As a structural feature of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cell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s, including enabl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PCB boar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cover body to prevent theft or loss of the charging cable, and to simply distribute the charging terminals to achieve the effect of charging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or electronic devices at once,
In addition, a bent part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charging cable from coming off from the PCB plate due to the flow of the charging cable and external force,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contact is promoted.
In addition, a partition wall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plurality of seating parts for mobile phones and smart phones between the partition walls, and a seating part in which a scent-diffusing pad can be seate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s to form a main body By having the effect of enabling fragrance diffusion by the fragrance diffusion pad seated in the seating part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interior and having an inlet hole through which outside air can flow into the main body, a sensor detecting outside air, that is, external heat and smell, is formed.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external notification of the occurrence of a fire.

Description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mobile phone charging and stand function}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mobile phone charging and stand function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mobile phone charging and stand function}

본 발명은 핸드폰 충전 및 거치 기능과 더불어 화재 발생시 외부나 관계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빌라, 단독주택, 노후건물등 화재에 취약한 곳에 비치하여 화재예방과 화재시 통신을 통한 화재 구역을 빨리 판단하여 화재로 부터 생명 및 재산을 보호하도록 본체 내에 별도의 열기와 냄새를 동시에 감지하는 감지기를 구비하여 외부나 관계자에게 통지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커버 상면에 구획벽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충전 및 거치 가능한 복수개 이상의 핸드폰을 거치후 충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구획벽 사이 특정 위치에 향 발산패드를 안착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including a function of notifying the outside or a person concerned in the event of a fire as well as a function of charging and holding a mobile phone, and 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it in a place vulnerable to fire such as a villa, a detached house, or an old building to prevent fire and prevent fire In order to quickly determine the fire zone through communication and protect life and property from fire, a separate heat and odor detector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o notify the outside or the person concerned, as well as to perform a notification function, as well as a compart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Wall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a plurality of mobile phones that can be charged and mounted can be charged after being placed, and a seating part is formed to seat a scent-diffusing pad at a specific posi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s. It's about notifications.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PMP, MP3, 네비게이션, 휴대용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의 휴대가 가능한 전원 공급 대상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 및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충전기가 필수적인데, 통상의 충전기는 가정용의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각 전원 공급 대상 기기에 접속되는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며, 하나의 충전기에 하나의 모바일기기만 충전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In general, a charger that supplies power to portable power supply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PMPs, MP3 players, navigation devices, portable game consoles, digital cameras, and digital camcorders to enable operation and charging is essential. converts commercial AC power for home use into DC power to supply power through a connector connected to each power supply target device, and is made in a form in which only one mobile device can be charged with one charger.

그러나, 근래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기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한 번에 여러 종류의 모바일기기를 충전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음식점, 편의점, 호텔, PC 게임방 등 일반 영업소 및 전시장 등의 경우 사용자들을 위한 서비스 정신으로 휴대폰을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기를 설치하고 있는 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충전기가 도난당함에 따라 그 피해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recent years, as the use of various types of devices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charge several types of mobile devices at once. A charger that can charge a mobile phone with the mind is installed, and a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chargers are stolen, the damage is increasing.

이러한 충전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94642호 "멀티충전식 휴대폰 충전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플러그와 상기 전원플러그로부터 공급 되는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직류전원장치와 상기 직류전원장치로부터 연장되며 그 단부에 충전잭을 갖는 충전케이블로 이루어진 통상의 휴대폰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잭과 연결가능한 연결잭과, 상기 연결잭 으로부터 연장되며 그 단부에 휴대폰의 전원연결포트와 삽입가능한 연장충전잭을 갖는 연장충전케이블로 이루어진 연장충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충전식 휴대폰 충전기를 제시하고 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such a charging device, there is 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4642 "multi-rechargeable mobile phone charger". In a conventional mobile phone charger consisting of a DC power supply that converts AC power to DC power and a charging cable extending from the DC power supply and having a charging jack at its end, a connection jack connectable to the charging jack, and from the connection jack It proposes a multi-charged mobile phone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tension charging unit made of an extension charging cable that extends and has a power connection port of a mobile phone and an insertable extension charging jack at its end.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9-0024553호 "멀티 충전기"가 있는데,In addition, there is a "multi-charger" publish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24553 as a prior art,

상기 종래기술은 원반 형태의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측면으로는 상용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선이 연결되고, 케이스 측면 둘레로는 등간격으로 전원 공급 대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가 분리 가능 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접속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전원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전압부;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변환된 직류 전원을 복수의 전원으로 분배하여 상기 접 속구에 공급하는 전원 분배부;로 구성된 충전기를 제시하고 있다.The prior art has a disc-shaped case, a power line for supplying commercial AC power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ase, and a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to a target at equal intervals is separated around the side of the case. A plurality of connectors that can be connected are formed, and inside the case, a constant voltage unit for converting commercial AC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line into DC power; A charger composed of a power distribution unit for distributing the DC power converted from the constant voltage unit into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and supplying them to the connection port.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공공장소 등에서 불특정 다수를 위해 설치되는 경우, 연결충전케이블의 도난, 분실 등이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업주는 도난이나 분실이 일어날 때 마다 충전케이블을 재구매해야 하는 등의 비용적인 부담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However, when the above two conventional technologies are installed for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in a public place, theft or loss of the connection charging cable can easily occur, and accordingly, the business owner has to repurchase the charging cable whenever theft or loss occurs. There may be a cost burden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난을 방지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본원인이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657447호 "분실 방지용 다목적 충전기"를 들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variety of techniques for preventing theft have been proposed in the prior art, and as such a prior art, Patent Registration No. 10-1657447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Multi-purpose charger for preventing loss" can be cited. there is.

상기 본원인이 등록받은 특허권은 일측에는 전원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USB 단자가 구비된 충전기로서 일측에는 타원형의 제1 절개부가 한 개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타원형의 제2 절개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 고 복수개 구비되어 있는 커버체와 상기 커버체와 결합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제1 오목타원절개부가 한 개 구비 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2 오목타원절개부가 복수개 구비되어 있고 이면에는 고정 테이프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 서 상기 커버체와 고정구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바닥체와 상기 USB단자에 일측이 결합되도록 포트가 타측에는 복수개의 전선이 분기되어 상기 제1 오목타원절개부 및 제2 오목타원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토록 구비되고 끝단에는 복수개의 핸드폰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잭이 구비된 포트전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체 내측에는 USB 단자안착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USB 단자안착부와 연하여 포트안착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용 다목적 충전기를 제시하고 있다.The patent registered by the applicant is a charger having a plug coupled to a power outlet on one side and a USB terminal on the other side, and having one oval first cutout on one side and an oval second cutout on the other side. A plurality of covers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one first concave oval cutout is provided on one side to be coupled with the cover body,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cave oval cutouts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a fixing tape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In the provided state, a plurality of wires are bran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port so that one side is coupled to the USB terminal and the bottom body fixedly coupled by the cover body and the fixture, and the first concave oval incision and the second concave oval incision It is provided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a part and includes a port wire portion having a jack so that a plurality of mobile phones can be charged at the end. It proposes a multi-purpose charger for preventing los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part.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복수의 포트전선부가 구비되는 포트를 구성함에 있어, 포트안착부의 형상에 따라 포트를 선택해야 함으로서 선택의 제한이 있으며, 기존에 사용되는 연결충전케이블(모바일기기의 충전을 위한 충전케이블)을 사용할 수 없으며, 구체적으로 모바일기기 구매시 포함되어 있는 모바일기기 연결용 충전케이블을 사용하지 못하고 별도의 포트를 더 구매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in constructing a por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rt wires, there is a limitation in selection as the port must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ort seating portion, and the existing connection charging cable (for charging mobile devices) charging cable) cannot be used, and specific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harging cable for connecting a mobile device included in the purchase of a mobile device cannot be used and additional ports must be purchased.

특히, 예를 들면, 2개로 분기되는 포트를 이용하다가 세 개로 분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세 개로 분기되는 별도의 포트를 재구매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중복투자로 인해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더 나아 가 하나의 포트전선부가 망가지더라도 개별적으로 교체가 불가능하여 분기된 새로운 포트를 다시 구매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particular, if, for example, a port branching into two is used and branching into three is required, a separate port that is branched into three must be repurchas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maintenance costs due to overlapping investment. Furthermore, even if one port wire part is damaged, it is impossible to individually replace it, so a new branched port must be purchased again.

이와는 별도로 본원인이 등록받은 특허권의 문제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이외에 충전케이블등이 외부 힘 또는 오래사용에 따라 유동되어 빠지거나 접촉 불량의 문제점도 함께 발생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493768호 발명의 명칭 '충전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를 들 수 있다.Apart from this, the problem of the patent right registered by the applicant is that, in addition to the above problems, the charging cable, etc. is moved and lost due to external force or long use, or the problem of poor contact also occurs. No. 20-0493768, the name of the invention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theft of charging cable'.

상기 종래기술은 그 핵심이 '커버에 구비된 제1-2관통공이 본체에 구비된 제1-1관통공보다 상기 충전케이블의 더 안쪽에 밀착되어 상기 충전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 이나, 이 정도의 구성으로는 충전케이블이 빠지거나 또는 접촉 불량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는 기술로서 접촉 불량 및 충전케이블이 빠지는 현상에 대한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re of the prior art is that 'the 1-2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cover adheres to the inner side of the charging cable more closely than the 1-1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fix the charging cable', but this As a technology that cannot solve the problem of the charging cable falling out or the contact failure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degree,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problem of the contact failure and the charging cable falling out phenomenon cannot be solved.

한편, 화재 발생 알림 기능은 핸드폰 충전 거치장치에는 존재치 아니하므로 이점을 추가한 기술은 전혀 존재치 아니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e occurrence notification function does not exist in mobile phone charging stations, technology with added advantages does not exist at all.

아울러, 빌라,단독주택,노후건물등 화재에 취약한 곳에 감지기가 있다고 해도 고장이 빈번이 발생 하는 경우가 많이 화재를 감지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며, 이로인해 취약한 곳에 화재가 발생하면 초기에 진압하기 어려워 결과적으로 상당한 재산 및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re are detectors in places vulnerable to fire, such as villas, detached houses, and old buildings, it is true that there are limits to detecting fires in many cases where malfunctions occur frequently. It is difficult, an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siderable property and human damage occurs.

(실용문헌 0001)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94642호(Practical Document 0001)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94642 (실용문헌 0002) 한국특허공개 제10-2009-0024553호(Practical Document 0002)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24553 (실용문헌 0003) 한국특허등록 제10-1657447호(Practical Document 0003)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57447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93768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9376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우선 본체와 커버체 내부에서 충전케이블이 PCB판에 연결되어 충전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간단하게 충전단자를 분배하여 복수개 이상의 모바일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First of all,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the charging cable by connecting the charging cable to the PCB boar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cover body, and to easily distribute the charging terminals to charge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or electronic devices at once. there is,

또한 충전케이블의 유동 및 외부 힘에 의해 PCB판으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본체 저면에 충전케이블의 이탈 방지를 위한 절곡부를 구비함으로서 접촉의 안정성을 도모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mote contact stability by providing a bent portion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charging cable so that the charging cable does not fall off from the PCB board due to flow and external force,

또한, 커버체 상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획벽을 형성하여 구획벽 사이에 핸드폰 및 스마트폰의 안착부를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구획벽 사이 소정의 위치에 향발산패드가 안착가능한 안착부를 형성하여 본체 내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향발산패드에 의해 향발산이 가능하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In addition, a partition wall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plurality of seating parts for mobile phones and smart phones between the partition walls, and a seating part in which a scent-diffusing pad can be seate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s to form a main bod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fragrance diffusion by the fragrance diffusion pad seated on the seating part by heat generated from the inside,

또한, 본체 내에 외기가 유입 가능한 유입공을 구비하여 외기 즉, 외부의 열 및 냄새를 감지하는 감지기를 형성하여 화재발생을 외부 알림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빌라, 단독주택, 노후건물등 화재에 취약한 곳에 비치하여 항상 콘센트에 꼽고 충전하는 동안 추가적으로 일산화탄소를 감지함으로 화재예방과 화재시 통신을 통한 화재 구역을 빨리 판단하여 화재로 부터 생명 및 재산을 보호하도록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n inlet hole through which outside air can flow into the main body to form a sensor that detects outside air, that is, external heat and smell,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outside of the occurrence of a fire. The purpose of the invention is to protect life and property from fire by quickly determining the fire area through communication in case of fire prevention and fire by additionally detecting carbon monoxide while always plugging it into an outlet and charg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Specific solution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re,

"직사각형상으로 모서리와 양측은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면 양측 가까이에 소정의 길이로 내주부에는 흡착판(101)이 구비된 유동방지 고정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동방지 고정부(10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충전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부(110)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위치에 복수개 이상의 유입공(1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공간부(130) 형성되어 있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와 결합되는 형상으로서 상면 소정의 위치에는 향 발산패드(200)가 안착되는 안착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210)의 양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획벽(220)이 복수개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벽(220) 간에는 핸드폰 안착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체(20)와 상기 본체(10)와 커버체(20)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면 상기 유입공(120) 가까이에 열과 연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감지기(300)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에는 전원공급단자(S), USB단자(U), 핸드폰 잭 단자(H)가 구비되어 있는 PCB판(30)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부(11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통기공(112)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통기공(112)의 측면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충전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1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와,
상기 삽입홈부(110)의 일측인 상기 전원공급단자(S), USB단자(U), 핸드폰 잭 단자(H)가 구비된 가까이에 절곡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와,
"In a state in which the corner and both sides are rounded in a rectangular shape, an anti-flow fixing part 100 having a suction plate 101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near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anti-flow fixing part 100 ) The main body in which the insertion groove 110 into which the charging cable is inserted is formed lo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m, a plurality of inlet holes 120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space 13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 10) and the main body 10, and a seating portion 210 on which the scent-diffusing pad 200 is seated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210.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220 are formed, and a cover body 20 in which a mobile phone mounting portion 230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20 is coupled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body 20 In the state, a detector 300 for simultaneously detecting heat and smoke is provided near the inlet hole 120 on the bottom side, and a power supply terminal (S), a USB terminal (U), and a mobile phone jack terminal (H) are provided on one side Including a PCB plate 30,
Ventilation holes 112 are perfora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insertion groove 110, and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4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ventilation hole 112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charging cable in a zigzag shape.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cell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including one,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including a bent part 111 formed near the power supply terminal (S), USB terminal (U), and mobile phone jack terminal (H), which are on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10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fun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흡착판(101)은 러버 타입의 스타이렌/아이소프렌코폴리머(Styrene/Isoprene Copolymer)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와,The suction plate 101 is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including a rubber-type styrene / isoprene copolymer component,

상기 유입공(120)로 부터 유입된 외기를 상기 감지기(300)로 포집 집중되도록 상기 공간부(130)에는 상기 유입공(120)과 관통되는 것으로 일측은 복수의 분기관 타측인 상기 감지기(300)에 인접해서는 원통관으로 형성된 포집관(150)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와,The space portion 130 is penetrated with the inlet hole 120 so that the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hole 120 is collected and concentrated in the detector 300, and one side of the detector 300 is the other side of a plurality of branch pipes. ) Adjacent to the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including a collection tube 150 formed of a cylindrical tube,

상기 안착부(210)의 바닥면 양측 길이방향으로 제1슬릿공(211)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와,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including a first slit hole 211 is perfo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210,

상기 커버체(20)의 상면 중앙에는 LED공(240)이 천공되어 있고 이면에는 삽입관(2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와,An LED ball 240 is perfor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20 and an insertion tube 241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and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상기 PCB판(30)의 중앙에는 체결공(31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310)에는 상단에는 LED램프가 구비된 LED바(320)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와,In the center of the PCB board 30, a fastening hole 310 is perforated, and the fastening hole 310 includes a cell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including a LED bar 320 equipped with an LED lamp at the top. A fire notification device;

상기 이탈방지부재(140)는 바(141) 형상의 끝단에 일측인 상기 통기공(112) 방향으로 판상으로 충전케이블이 하방향으로 이탈되는 방지하는 방지판(142)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와,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40 is provided with a prevention plate 142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bar 141 shape to prevent the charging cable from being released downward in a plate shape toward the ventilation hole 112, which is one side.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상기 감지기(300)는 외부로 부터 유입공(120)을 통해 유입된 열이나 연기를 감지한 후 벨소리를 통해 외부에 화재 발생을 알림과 동시에 일정범위내에서는 블루투스를 통해 핸드폰에 화재 발생의 알림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The detector 300 detects heat or smok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hole 120, and then notifies the outside of the fire through a ringtone, and at the same time, within a certain range, the fire is notified to the mobile phone through Bluetooth. The above object can be achieved by constructing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including enabling" as a structural featur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본체와 커버체 내부에서 충전케이블이 PCB판에 연결되어 충전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간단하게 충전단자를 분배하여 복수개 이상의 모바일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하며,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PCB boar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cover body to prevent theft or loss of the charging cable, and to charge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or electronic devices at once by simply distributing the charging terminals. exerts

또한 충전케이블의 유동 및 외부 힘에 의해 PCB판으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본체 저면에 충전케이블의 이탈 방지를 위한 절곡부를 구비함으로서 접촉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효과를 발휘하고,In addition, a bent part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charging cable from coming off from the PCB plate due to the flow of the charging cable and external force,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contact is promoted.

또한, 커버체 상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획벽을 형성하여 구획벽 사이에 핸드폰 및 스마트폰의 안착부를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구획벽 사이 소정의 위치에 향발산패드가 안착가능한 안착부를 형성하여 본체 내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향발산패드에 의해 향발산이 가능하는 효과와 본체 내에 외기가 유입 가능한 유입공을 구비하여 외기 즉, 외부의 열 및 냄새를 감지하는 감지기를 형성하여 화재발생을 외부 알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artition wall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plurality of seating parts for mobile phones and smart phones between the partition walls, and a seating part in which a scent-diffusing pad can be seate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s to form a main body By having the effect of enabling fragrance diffusion by the fragrance diffusion pad seated in the seating part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interior and having an inlet hole through which outside air can flow into the main body, a sensor detecting outside air, that is, external heat and smell, is formed.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external notification of the occurrence of a fire.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e person.

도 1은 본 발명인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에서 본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에서 커버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에서 PCB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에서 일 실시예인 포집관을 표현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감지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e alarm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in the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the present inventors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body in the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the present invention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CB plate in the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cell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of use of a fire alarm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ressing a collection tub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can be made and various forms can be made, so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and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act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as well as not be construed as limited in meaning. should be interpreted a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or exist.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본 발명인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the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together with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에서 본체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에서 PCB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에서 커버체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에서 일 실시예인 포집관을 표현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CB board in the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the present invention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Figure 5 is a fire occurrence including the present invention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the cell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the cell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to express the towing collection pipe.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일반적인 충전장치는 일측에는 전원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P)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USB 단자(U)가 구비된 충전케이블(C)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First, a general charging device is a charging cable (C) equipped with a plug (P) coupled to a power outlet on one side and a USB terminal (U) on the other side, and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지시부호 10은 본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으로 모서리와 양측은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면 양측 가까이에 소정의 길이로 내주부에는 흡착판(101)이 구비된 유동방지 고정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동방지 고정부(10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충전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부(110)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위치에 복수개 이상의 유입공(1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공간부(130)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며,Reference numeral 10 indicates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10 has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S. 1 to 3, and the corner and both sides are roun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near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a suction plate on the inner circumference. An anti-flow fixing part 100 equipped with 101 is provided, and an insertion groove 110 into which a charging cable is inserted is formed lo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anti-flow fixing parts 100 and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inlet holes 120 are provided and a space portion 130 is formed at the top,

우선, 상기 흡착판(101)은 러버 타입의 스타이렌/아이소프렌코폴리머(Styrene/Isoprene Copolymer) 성분으로 이루어져 유동방지 고정부(100)의 내주부에 구비되어 실질적으로 실내 기타 책상 등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First of all, the suction plate 101 is made of a rubber-type styrene/isoprene copolymer component and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nti-flow fixing part 100 to be substantially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f a desk or the like indoors. It is to perform a role to keep it in close contact and not flow.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홈부(110)의 일측인 상기 전원공급단자(S), USB단자(U), 핸드폰 잭 단자(H)가 구비된 가까이에 절곡부(111)가 형성되어 있어 충전케이블(C)을 상기 삽입홈부(110)에 삽입시 일직선으로 삽입함에 따른 이탈의 수월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절곡부(111)를 구비하여 충전케이블(C)이 삽입홈부(110)로 부터 이탈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Preferably, a bent portion 111 is formed near the power supply terminal (S), USB terminal (U), and mobile phone jack terminal (H), which are on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10, so that the charging cable (C )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0 in a straight line in order to prevent the ease of separation by providing the bent portion 111 to prevent the charging cable C from escaping from the insertion groove 110 as much as possible. it is for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홈부(11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통기공(112)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통기공(112)의 측면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충전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1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탈방지부재(140)는 바(141) 형상의 끝단에 일측인 상기 통기공(112) 방향으로 판상으로 충전케이블이 하방향으로 이탈되는 방지하는 방지판(142)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이탈방지부재(140)는 상기 절곡부(111)가 일정 위치의 삽입홈부(110)에 형성됨에 따라 전체 삽입홈부(110)에 삽입 체결된 충전케이블(C)의 이탈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케이블(C)가 삽입홈부(110)에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최저부에 상기 방지판(142)이 충전케이블(C)를 가압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More preferably, ventilation holes 112 are perfora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insertion groove 110, and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charging cable in a zigzag shape on the side of the ventilation hole 112 ( 140) is formed, and the release prevention member 140 is plate-shaped in the direction of the ventilation hole 112, which is one side at the end of the bar 141, and prevents the charging cable from being released downward. As this integrally provided,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40 is a charging cable (C)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entire insertion groove 110 as the bent portion 111 is 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110 at a certain posi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charging cable (C)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insertion groove 110, the prevention plate 142 presses the charging cable (C) at the lowest part to prevent the separation will be.

지시부호 20은 커버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체(20)는 도 1 및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결합되는 형상으로서 상면 소정의 위치에는 향 발산패드(200)가 안착되는 안착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210)의 양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획벽(220)이 복수개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벽(220) 간에는 핸드폰 안착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Reference numeral 20 indicates a cover body, and the cover body 20 has a shap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S. 200) is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210,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22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2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20, a mobile phone seating portion ( 230) is formed,

상기 안착부(210)의 바닥면 양측 길이방향으로 제1슬릿공(211)이 천공되어 있어 본체(10)와 커버체(20) 사이에 하기에 기재하는 PCB판(30)과 결합되어 구동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제1슬릿공(211)을 통해 외부로 토출시 상기 향 발산패드(200)으로 부터 외부로 향이 발산되도록 하여 실내의 분위기를 부드럽고 향기롭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First slit holes 211 are dri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210, and are coupled with the PCB plate 30 described below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body 20 during driving. When the generated hea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slit hole 211, the fragrance is emitted from the fragrance emitting pad 200 to the outside to make the indoor atmosphere soft and fragrant,

상기 구획벽(220) 사이에 구비된 핸드폰 안착부(230)는 용어 그대로 충전시 또는 거치시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한 구성요소인 것이다.The mobile phone mounting portion 230 provid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20 is, as the term implies, a component provided to be used during charging or mounting.

상기 커버체(20)의 상면 중앙에는 LED공(240)이 천공되어 있고 이면에는 삽입관(2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An LED ball 240 is perfor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20 and an insertion tube 241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한편, 상기 안착부(210)에 향 발산패드(200)를 삽입한 후 안착부(210) 상면을 별도의 마개를 이용해 마감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마개에 제2슬릿공(242)을 구비하여 향 발산패드(200)의 향이 외부로 발산되는 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finish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210 after inserting the fragrance-diffusing pad 200 into the seating portion 210 using a separate stopper. At this time, a second slit hole 242 is formed in the stopper. It is preferable to provide it so that the scent of the scent emitting pad 200 can be easily emitted to the outside.

지시부호 30은 PCB판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PCB판(30)은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커버체(20)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면 상기 유입공(120) 가까이에 열과 연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감지기(300)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에는 전원공급단자(S), USB단자(U), 핸드폰 잭 단자(H)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서,Reference numeral 30 indicates a PCB plate, and the PCB plate 30 is coupled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body 20 as shown in FIGS. 1, 2 and 5, and the bottom surface A detector 300 for simultaneously detecting heat and smoke is provided near the inlet hole 120, and a power supply terminal (S), a USB terminal (U), and a cell phone jack terminal (H) are provided on one side. As a structure,

상기 PCB판(30)의 중앙에는 체결공(31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310)에는 상단에는 LED램프(321)가 구비된 LED바(320)가 구비되어 전원공급단자(S)에 전원의 ON/OFF 따라서 상기 LED램프(321)가 점멸되고 이는 상기 커버체(20)의 상면 중앙에 구비된 상기 LED공(240)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어 전원 ON/OFF가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삽입관(241)은 상기 LED램프(321)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A fastening hole 310 is bored in the center of the PCB board 30, and an LED bar 320 equipped with an LED lamp 321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hole 310 to power supply terminal (S). According to the ON/OFF of the power, the LED lamp 321 flickers and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ED hole 240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20 so that the power ON/OFF can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And the insertion pipe 241 serves to prevent the flow and separation of the LED lamp 321.

다음, 상기 감지기(300)는 외부로 부터 유입공(120)을 통해 유입된 열이나 연기를 감지한 후 벨소리를 통해 외부에 화재 발생을 알림과 동시에 일정범위내에서는 블루투스를 통해 핸드폰에 화재 발생의 알림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Next, the detector 300 detects heat or smok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hole 120, and then notifies the outside of the fire through a ringtone, and at the same time, within a certain range, the fire occurs on the mobile phone through Bluetooth. to enable notification,

상기 감지기(300)에 유입된 외기의 열이나 연기의 감지를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공(120)로 부터 유입된 외기를 상기 감지기(300)로 포집 집중되도록 상기 공간부(130)에는 상기 유입공(120)과 관통되는 것으로 일측은 복수의 분기관 타측인 상기 감지기(300)에 인접해서는 원통관으로 형성된 포집관(150)이 구비된 것이다.In order to ensure the detection of heat or smoke of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detector 300, the space portion 130 is provided with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120 to collect and concentrate the air into the detector 300. As it passes through the ball 120, one side is provided with a collection tube 150 formed of a cylindrical tube adjacent to the detector 300, which is the other side of a plurality of branch pipes.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플러그(P)를 전원 콘센트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전원공급단자(S)에 결합한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USB단자(U), 핸드폰 잭 단자(H) 등등에 복수개 이상의 전자기기 구체적으로 핸드폰이나 스마트폰을 충전할때 사익 충전중인 핸드폰이나 스마트폰을 상기 핸드폰 안착부(230)에 안착하여 충전 가능하도록 하며 이때 유입공(120) 또는 통기공(112)으로 외기가 유입되면 이와 ㄱD이 유입된 외기가 제1슬릿공(211) 등을 통해 상기 향 발산패드(200)의 향을 실내에 발산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상기 유입공(120)을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기 포집관(150)을 통해 상기 감지기(300)에 의해 열이나 연기의 감지 여부를 확인한 다음 상기 제1슬릿공(2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만약 상기 감지기(300)로 부터 열이나 연기의 감지가 체크되었을 경우에는 벨소리를 통해 외부에 화재 발생을 알림과 동시에 일정범위내에서는 블루투스를 통해 핸드폰에 화재 발생의 알림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6, one side of the plug (P) is coupled to the power outlet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S), and then a plurality of USB terminals (U), mobile phone jack terminals (H), etc. are connected as desired by the user. When the above electronic device is specifically charged, the mobile phone or smart phone being charged is seated on the cell phone mounting portion 230 so that it can be charged, and at this time, the outside air passes through the inlet hole 120 or the ventilation hole 112. When it is introduced,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slit hole 211 or the like can emit the scent of the fragrance emitting pad 200 into the room, and in particular,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120 After checking whether heat or smoke is detected by the detector 300 through the collection tube 150,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slit hole 211, and if the detector 300 detects heat or smoke When the detection of is checked, the occurrence of a fire is notified to the outside through a ringtone, and at the same time, within a certain range, a notification of the occurrence of a fire is made available to a mobile phone through Bluetooth.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감지알림모듈이 상기 PCB판(30)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A detection notification module that performs such a function is provided on the PCB board 30 .

한편, 상기 감지기(300)는 상기 유입공(120)을 통해 유입된 열이나 연기의 농도 패턴을 설정된 시간대별로 학습하며, 상기 유입공(120)을 통해 유입된 열이나 연기의 농도가 현재 시간대에 대응되는 학습된 농도 패턴의 범위로부터 기준치 이상 벗어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or 300 learns the concentration pattern of heat or smok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120 for each set time period, and the concentration of heat or smok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120 is determined at the current time zone. If the range of the corresponding learned concentration pattern is out of the reference value or more, it can be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도 8은 본 발명의 감지기(3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nso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기(300)는 농도 패턴 학습부(301), 화재발생 판단부(302) 및 알람 발생부(30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 the detector 300 includes a concentration pattern learning unit 301 , a fire determination unit 302 and an alarm generating unit 303 .

농도 패턴 학습부(301)는 학습 모델을 구비하며, 상기 학습 모델을 통해 유입공(120)에서 유입되는 열이나 연기의 농도 패턴을 설정된 시간대별로 학습한다. 여기서, 학습 모델은 예를 들어,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등과 같은 신경망 모델일 수 있다. 농도 패턴 학습부(301)는 예를 들어, 1시간 단위로 상기 유입공(120)을 통해 유입된 열이나 연기의 농도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The concentration pattern learning unit 301 has a learning model, and learns the concentration pattern of heat or smoke introduced from the inlet hole 120 for each set time period through the learning model. Here, the learning model may be, for example, a neural network model such a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or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The concentration pattern learning unit 301 may learn the concentration pattern of heat or smok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120 on an hourly basis, for example.

화재발생 판단부(302)는 상기 유입공(120)을 통해 유입되는 열이나 연기의 농도 패턴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열이나 연기의 농도 패턴과 농도 패턴 학습부(301)에서 학습된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화재발생 판단부(302)는 상기 유입공(120)을 통해 유입된 열이나 연기의 농도가 현재 시간대에 대응되는 학습된 농도 패턴의 범위로부터 기준치 이상 벗어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열이나 연기의 농도는 예를 들어,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일산화탄소(CO)의 농도 등이 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재발생 판단부(302)는 현재 시간대에 대응되는 열이나 연기의 농도가 학습된 농도 패턴의 범위보다 크게 높은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식사 시간대는 다른 시간대보다 연기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으므로, 화재발생 판단부(302)는 상기 유입공(120)을 통해 유입된 열이나 연기의 농도가 현재 시간대에 대응되는 학습된 농도 패턴의 범위로부터 기준치 이상 벗어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fire determination unit 302 collects the concentration pattern of heat or smok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120 in real time, and the collected concentration pattern of the heat or smoke and the concentration pattern learning unit 301 learn Based on the learning data,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is determined. Specifically, the fire determination unit 302 may determine that a fire has occurred when the concentration of heat or smok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120 deviates from the range of the learned concent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zone by more than a reference value. there is. Here, the concentration of heat or smoke may be, for exampl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CO) used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The fire determination unit 302 may determine that a fire has occurred when the concentration of heat or smok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zon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ange of the learned concentration pattern. At this time, since the concentration of smoke may be relatively higher in the meal time zone than other time zones, the fire occurrence determination unit 302 determines that the concentration of heat or smok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120 is the learned concentr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zone. If it is out of the range of the pattern by more than a standard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알람 발생부(303)는 상기 현재 시간대에 대응되는 학습된 농도 패턴의 범위로부터 기준치 이상 벗어나는 시간이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알람 발생부(303)는 상기 현재 시간대에 대응되는 학습된 농도 패턴의 범위로부터 기준치 이상 벗어나는 시간이 3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알람 발생부(303)는 벨소리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알람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The alarm generating unit 303 generates an alarm when a time deviating from the range of the learned concent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zone by a reference value or more continues for a set time period. For example, the alarm generating unit 303 may generate an alarm when a time that deviates from the range of the learned concent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zone by a reference value or more continues for 30 minutes or more. The alarm generating unit 303 may generate a ringing sound or transmit an alarm signal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이와 같이, 감지기(300)는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시간대별로 화재발생 여부를 보다 지능적으로 감지하고,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켜 화재발생을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In this way, the sensor 300 can more intelligently detect whether a fire has occurred for each time period based on the learning data, and generate an alarm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to immediately notify the occurrence of a fir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본체와 커버체 내부에서 충전케이블이 PCB판에 연결되어 충전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간단하게 충전단자를 분배하여 복수개 이상의 모바일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하며,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PCB boar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cover body to prevent theft or loss of the charging cable, and to charge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or electronic devices at once by simply distributing the charging terminals. exerts

또한 충전케이블의 유동 및 외부 힘에 의해 PCB판으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본체 저면에 충전케이블의 이탈 방지를 위한 절곡부를 구비함으로서 접촉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효과를 발휘하고,In addition, a bent part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charging cable from coming off from the PCB plate due to the flow of the charging cable and external force,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contact is promoted.

또한, 커버체 상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획벽을 형성하여 구획벽 사이에 핸드폰 및 스마트폰의 안착부를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구획벽 사이 소정의 위치에 향발산패드가 안착가능한 안착부를 형성하여 본체 내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향발산패드에 의해 향발산이 가능하는 효과와 본체 내에 외기가 유입 가능한 유입공을 구비하여 외기 즉, 외부의 열 및 냄새를 감지하는 감지기를 형성하여 화재발생을 외부 알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artition wall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plurality of seating parts for mobile phones and smart phones between the partition walls, and a seating part in which a scent-diffusing pad can be seate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s to form a main body By having the effect of enabling fragrance diffusion by the fragrance diffusion pad seated in the seating part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interior and having an inlet hole through which outside air can flow into the main body, a sensor detecting outside air, that is, external heat and smell, is formed.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external notification of the occurrence of a fir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of cours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a person having ordinary technical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idea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it will be obvious that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belong to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본체 20 : 커버체
30 : PCB판 100 : 유동방지 고정부
101 : 흡착판 110 : 삽입홈부
111 : 절곡부 112 : 통기공
120 : 유입공 130 : 공간부
140 : 이탈방지부재 141 : 바
142 : 방지판 150 : 포집관
200 : 향 발산패드 210 : 안착부
211 : 슬릿공 220 : 구획벽
230 : 핸드폰 안착부 240 : LED공
241 : 삽입관 300 : 감지기
301 : 농도 패턴 학습부 302 : 화재발생 판단부
303 : 알람 발생부 310 : 체결공 320 : LED바
C : 충전케이블 H : 핸드폰잭 단자
S : 전원공급단자 U : USB단자
321 : LED램프
10: main body 20: cover body
30: PCB board 100: anti-flow fixing part
101: suction plate 110: insertion groove
111: bent portion 112: ventilation hole
120: inlet hole 130: space
140: departure prevention member 141: bar
142: prevention plate 150: collection pipe
200: fragrance emitting pad 210: seating part
211: slit hole 220: partition wall
230: mobile phone mounting part 240: LED ball
241: insertion tube 300: detector
301: concentration pattern learning unit 302: fire determination unit
303: alarm generating unit 310: fastening hole 320: LED bar
C: Charging cable H: Cell phone jack terminal
S: Power supply terminal U: USB terminal
321: LED lamp

Claims (11)

직사각형상으로 모서리와 양측은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면 양측 가까이에 소정의 길이로 내주부에는 흡착판(101)이 구비된 유동방지 고정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동방지 고정부(10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충전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부(110)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위치에 복수개 이상의 유입공(1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공간부(130) 형성되어 있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와 결합되는 형상으로서 상면 소정의 위치에는 향 발산패드(200)가 안착되는 안착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210)의 양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획벽(220)이 복수개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벽(220) 간에는 핸드폰 안착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체(20)와 상기 본체(10)와 커버체(20)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면 상기 유입공(120) 가까이에 열과 연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감지기(300)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에는 전원공급단자(S), USB단자(U), 핸드폰 잭 단자(H)가 구비되어 있는 PCB판(30)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부(11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통기공(112)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통기공(112)의 측면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충전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1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
In a state in which the corner and both sides are rounded in a rectangular shape, an anti-flow fixing part 100 having a suction plate 101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near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anti-flow fixing part 100 A body 10 in which an insertion groove 110 into which a charging cable is inserted is formed lo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a plurality of inlet holes 120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space 13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 and the main body 10, a seating portion 21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 seating portion 210 on which the scent-diffusing pad 200 is seated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210.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alls 220 are formed and the cover body 20 in which the mobile phone mounting portion 230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20 and the body 10 and the cover body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On the bottom surface, a detector 300 for detecting heat and smoke at the same time is provided near the inlet hole 120, and a PCB equipped with a power supply terminal (S), a USB terminal (U), and a mobile phone jack terminal (H) on one side. including a plate 30;
Ventilation holes 112 are perfora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insertion groove 110, and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4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ventilation hole 112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charging cable in a zigzag shape.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cell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including what is pres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부(110)의 일측인 상기 전원공급단자(S), USB단자(U), 핸드폰 잭 단자(H)가 구비된 가까이에 절곡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
According to claim 1,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including a bent part 111 formed near the power supply terminal (S), USB terminal (U), and mobile phone jack terminal (H), which are on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10 Fire notification device with func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101)은 러버 타입의 스타이렌/아이소프렌코폴리머(Styrene/Isoprene Copolymer)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plate 101 is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including a rubber-type styrene / isoprene copolymer compon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120)로 부터 유입된 외기를 상기 감지기(300)로 포집 집중되도록 상기 공간부(130)에는 상기 유입공(120)과 관통되는 것으로 일측은 복수의 분기관 타측인 상기 감지기(300)에 인접해서는 원통관으로 형성된 포집관(150)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pace portion 130 is penetrated with the inlet hole 120 so that the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hole 120 is collected and concentrated in the detector 300, and one side of the detector 300 is the other side of a plurality of branch pipes. ) Adjacent to the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cell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s including a collection tube 150 formed of a cylindrical tub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10)의 바닥면 양측 길이방향으로 제1슬릿공(211)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including that the first slit hole 211 is perfo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2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20)의 상면 중앙에는 LED공(240)이 천공되어 있고 이면에는 삽입관(2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including an LED ball 240 is perfor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20 and an insertion tube 241 is formed on the back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CB판(30)의 중앙에는 체결공(31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310)에는 상단에는 LED램프(321)가 구비된 LED바(320)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astening hole 310 is bored in the center of the PCB plate 30, and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including an LED bar 320 having an LED lamp 321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fastening hole 310. Fire notification device with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140)는 바(141) 형상의 끝단에 일측인 상기 통기공(112) 방향으로 판상으로 충전케이블이 하방향으로 이탈되는 방지하는 방지판(142)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40 is provided with a prevention plate 142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bar 141 shape to prevent the charging cable from being released downward in a plate shape toward the ventilation hole 112, which is one side.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300)는 외부로 부터 유입공(120)을 통해 유입된 열이나 연기를 감지한 후 벨소리를 통해 외부에 화재 발생을 알림과 동시에 일정범위내에서는 블루투스를 통해 핸드폰에 화재 발생의 알림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ctor 300 detects heat or smok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hole 120, and then notifies the outside of the fire through a ringtone, and at the same time, within a certain range, the fire is notified to the mobile phone through Bluetooth.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cell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s, including enabl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300)는 상기 유입공(120)을 통해 유입된 열이나 연기의 농도 패턴을 설정된 시간대별로 학습하며, 상기 유입공(120)을 통해 유입된 열이나 연기의 농도가 현재 시간대에 대응되는 학습된 농도 패턴의 범위로부터 기준치 이상 벗어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현재 시간대에 대응되는 학습된 농도 패턴의 범위로부터 기준치 이상 벗어나는 시간이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상기 벨소리를 통해 외부에 화재 발생을 알림과 동시에 일정범위내에서는 블루투스를 통해 핸드폰에 화재 발생의 알림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detector 300 learns the concentration pattern of heat or smok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120 for each set time period, and the concentration of heat or smok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120 corresponds to the current time zone. If the range of the learned concentration patter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but if the time outside the range of the learned concent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rang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continues for a set time, a fire occurs outside through the ringtone. A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harging and mounting function that includes enabling notification of a fire occurrence to a mobile phone via Bluetooth within a certain range at the same time as notifying the.
KR1020230029719A 2023-03-07 2023-03-07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mobile phone charging and stand function KR1025689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719A KR102568952B1 (en) 2023-03-07 2023-03-07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mobile phone charging and stand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719A KR102568952B1 (en) 2023-03-07 2023-03-07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mobile phone charging and stand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952B1 true KR102568952B1 (en) 2023-08-22

Family

ID=8779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719A KR102568952B1 (en) 2023-03-07 2023-03-07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mobile phone charging and stand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952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642Y1 (en) 2005-06-22 2005-09-02 김종면 The portable telephone charger of multi-charging style
JP2006054836A (en) * 2004-08-11 2006-02-23 Hirohisa Hirai Mobile phone charger
KR20080002904U (en) * 2007-01-24 2008-07-29 한상준 Mobile phone charger
KR20090024553A (en) 2007-09-04 2009-03-09 주식회사 에스피씨엔씨 Multi-function charger
KR101657447B1 (en) 2014-09-01 2016-09-20 주식회사 팝폰 Loss prevention versatile charger
KR200493768Y1 (en) 2019-05-16 2021-06-02 (주)정인일렉텍 Spinning floating sensor cleaner
KR20210079510A (en) * 2019-12-20 2021-06-30 (주)정인일렉텍 Multi Charger with Loss of Charge Cable and Anti-Thef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4836A (en) * 2004-08-11 2006-02-23 Hirohisa Hirai Mobile phone charger
KR200394642Y1 (en) 2005-06-22 2005-09-02 김종면 The portable telephone charger of multi-charging style
KR20080002904U (en) * 2007-01-24 2008-07-29 한상준 Mobile phone charger
KR20090024553A (en) 2007-09-04 2009-03-09 주식회사 에스피씨엔씨 Multi-function charger
KR101657447B1 (en) 2014-09-01 2016-09-20 주식회사 팝폰 Loss prevention versatile charger
KR200493768Y1 (en) 2019-05-16 2021-06-02 (주)정인일렉텍 Spinning floating sensor cleaner
KR20210079510A (en) * 2019-12-20 2021-06-30 (주)정인일렉텍 Multi Charger with Loss of Charge Cable and Anti-Thef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0671B2 (en) Configurable safety light receptacle
US9214773B2 (en) Configurable safety light receptacle
JP2019213448A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s
US8496342B2 (en) Configurable safety light receptacle
US6172612B1 (en) Smoke detector with remote testing, shutoff and powering means
US20120171987A1 (en) Smoke or fire alarms
CN108665668B (en) Disaster situation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US8134470B2 (en) Hazard detection system
US20100308187A1 (en) Integrated magnetic device and a magnetic board thereof
KR102568952B1 (en) Fire notification device including mobile phone charging and stand function
US9252632B2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US6897785B2 (en) Charging station for pagers with night light
CN105516448B (en) Based on infrared electro to the party mobile phone storage device of pipe
US5876242A (en) Remote battery extension apparatus
CN205810334U (en) A kind of smart electronics doorplate
CN209747836U (en) Multifunctional power strip applied to intelligent home system
CN208904680U (en) Wireless charger
US20080279343A1 (en) Telephone with emergency lighting feature
CN206947620U (en) A kind of non-falling-down type safety patch board
WO2011001131A1 (en) Smoke or fire alarms
CN206211195U (en) Smart jack and its system
CN207718577U (en) Novel fire hydrant button
CN212062757U (en) Socket with improved structure
CN203965409U (en) A kind of indoor environment monitoring equipment
KR20200046176A (e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combined with book de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