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714B1 - Apparatus for protecting rela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tecting rel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8714B1 KR102568714B1 KR1020160183808A KR20160183808A KR102568714B1 KR 102568714 B1 KR102568714 B1 KR 102568714B1 KR 1020160183808 A KR1020160183808 A KR 1020160183808A KR 20160183808 A KR20160183808 A KR 20160183808A KR 102568714 B1 KR102568714 B1 KR 1025687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urrent
- relay unit
- mode
- bypass re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61—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ransmission of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 계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는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와 차단기 제어 모드를 구비한 보호 계전 장치로써, 전류를 제한하는 제1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구동 전원의 구동 전류를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모드 설정 릴레이부, 제1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구동 전류를 우회시키는 제1 우회 릴레이부, 제1 우회 릴레이부를 통해 우회되어 전류를 제한하는 제2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구동 전류 또는 제1 전류 제한부로부터 출력되어 제2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제1 제한 전류를 우회시키는 제2 우회 릴레이부 및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와 차단기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모드 설정 릴레이부, 제1 우회 릴레이부 및 제2 우회 릴레이부 중 하나 이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on relay device, which is a protection relay device having a digital signal output mode and a circuit breaker control mode, and a mode for conducting or blocking driving current of driving power input to a first current limiting unit that limits current. The setting relay unit, the first bypass relay unit that bypasses the driving current input to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and the driving current input to the second current limiting unit that is bypassed through the first bypass relay unit and limits the current or from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A second bypass relay for bypassing the first limit current output and input to the second current limiter, and a mode setting relay based on a drive mode set to one of a digital signal output mode and a circuit breaker control mode, a first bypass relay,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 of one or more of the second bypass relay units.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호 계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와 차단기 제어 모드를 구비한 보호 계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on re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on relay device having a digital signal output mode and a circuit breaker control mode.
통상 계통의 수배전반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보호 계전 장치는 계통으로부터 전류, 전압 등 다양한 전기적 정보를 계측하고, 계측 결과를 근거로 계통의 과전류, 단락사고, 지락 사고와 같은 이상발생 여부를 감지한다.Protection relay devices, which are usually installed and used in switchboards of systems, measure various electrical information such as current and voltage from the system, and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s, detect abnormalities such as overcurrent, short-circuit accidents, and ground faults in the system.
보호 계전 장치는 이상발생시 계통과 부하의 연결을 통전 또는 차단하는 회로 차단기를 작동시켜 계통과 부하의 연결을 차단시킨다.The protective relay device cuts 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system and the load by activating a circuit breaker that energizes or cuts 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system and the load when an error occurs.
최근 보호 계전 장치는 계통에서 발생하는 과전류, 단락사고, 지락사고 등으로부터 부하를 보호하기 위한 계전 기능뿐만 아니라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출력 기능을 제공한다.A recent protection relay device provides a digital output function for outputting a digital signal as well as a relay function for protecting a load from an overcurrent, short-circuit fault, ground fault, etc. generated in a system.
종래의 보호 계전 장치의 디지털 출력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보호 계전 장치는 높은 저항값의 저항으로 구성된 제1 전류 제한부와 제2 전류 제한부를 포함한다. Describing the digital output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protection relay device in detail, the conventional protection relay device includes a first current limiting unit and a second current limiting unit composed of a resistor with a high resistance value.
제1 전류 제한부는 구동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류를 입력받아 전류를 제한시키고, 제2 전류 제한부는 제1 전류 제한부로터 출력되는 제1 제한 전류를 입력받아 전류를 제한시킨다.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receives the driving current output from the driving power source and limits the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limiting unit receives the first limiting current output from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and limits the current.
이때, 제1 전류 제한부에는 제1 우회 릴레이부가 병렬로 연결되어 제1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전류를 우회시킨다. 또한, 제2 전류 제한부에는 제2 우회 릴레이부가 병렬로 연결되어 제2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전류를 우회시킨다.At this time, the first bypass relay unit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current limiter to bypass the current input to the first current limiter. In addition, the second bypass relay unit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cond current limiter to bypass the current input to the second current limiter.
디지털 신호 출력 기능으로 구동되는 종래의 보호 계전 장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어부가 제1 우회 릴레이부와 제2 우회 릴레이부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구동 전원의 구동 전류는 제1 전류 제한부와 제2 전류 제한부를 거치지 않고 고전류의 디지털 신호로 출력된다.In a conventional protection relay driven by a digital signal output function, when outputting a digital signa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first bypass relay unit and the second bypass relay unit to be on. Accordingly, the driving current of the driving power source is output as a high-current digital signal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and the second current limiting unit.
반대로, 종래의 보호 계전 장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가 제1 우회 릴레이부와 제2 우회 릴레이부의 동작 상태를 각각 오프 상태와 온 상태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구동 전원의 구동 전류는 제1 전류 제한부를 거침으로써 극히 낮은 저전류로 제한된다.Conversely, when the conventional protection relay device does not output a digital signa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ng states of the first bypass relay unit and the second bypass relay unit to be off and on,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driving current of the driving power is limited to an extremely low current by passing through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이때, 종래의 보호 계전 장치는 이상적인 경우, 제1 전류 제한부를 거친 구동 전류가 출력되더라도 저전류이므로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는 디지털 신호 입력 장치가 해당 전류를 디지털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rotection relay device, in an ideal case, even if the driving curre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is output, the current is low, so that the digital signal input device receiving the digital signal cannot recognize the corresponding current as a digital signal.
하지만, 제1 전류 제한부를 거친 구동 전류에 노이즈가 발생하거나 제한된 전류값이 디지털 신호 입력 장치가 디지털 신호로 인식하는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지 않아야 하는 상황에서 디지털 신호를 오인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noise occurs in the driving curre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current limiter or the limited current value exceeds the threshold value recognized as a digital signal by the digital signal input device, a digital signal is misrecognized in a situation where a digital signal should not be input. there is
본 발명은 전류를 제한하는 제1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구동 전원의 구동 전류를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모드 설정 릴레이부, 제1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구동 전류를 우회시키는 제1 우회 릴레이부 및 제1 우회 릴레이부를 통해 우회되어 전류를 제한하는 제2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구동 전류 또는 제1 전류 제한부로부터 출력되어 제2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제1 제한 전류를 우회시키는 제2 우회 릴레이부 중 하나 이상의 동작 상태를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와 차단기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제어함으로써,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로 구동 시 디지털 신호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 계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de setting relay unit for energizing or blocking driving current of driving power input to a first current limiting unit that limits current, a first bypass relay unit that bypasses the driving current input to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and a first bypass relay unit that bypasses driving current input to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driving current input to the second current limiting unit that is bypassed through the relay unit to limit the current or the second bypass relay unit that bypasses the first limiting current output from the first current limiter and input to the second current limiting uni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tection re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misrecognition of a digital signal when driven in the digital signal output mode by controlling the state based on a drive mode set to one of the digital signal output mode and the circuit breaker control mode.
또한, 본 발명은 제1 전류 제한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입력 신호와 제2 전류 제한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입력 신호 각각에 기초하여 제1 우회 릴레이부와 제2 우회 릴레이부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진단함으로써, 차단기 제어 모드로 구동 시 계전 신뢰성이 향상된 보호 계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iagnoses whether the first bypass relay unit and the second bypass relay unit are normally operating based on the first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and the second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current limiting unit, respectively.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ion relay device having improved relay reliability when driven in a circuit breaker control mod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보호 계전 장치는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와 차단기 제어 모드를 구비한 보호 계전 장치로써, 전류를 제한하는 제1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구동 전원의 구동 전류를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모드 설정 릴레이부, 제1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구동 전류를 우회시키는 제1 우회 릴레이부, 제1 우회 릴레이부를 통해 우회되어 전류를 제한하는 제2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구동 전류 또는 제1 전류 제한부로부터 출력되어 제2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제1 제한 전류를 우회시키는 제2 우회 릴레이부 및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와 차단기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모드 설정 릴레이부, 제1 우회 릴레이부 및 제2 우회 릴레이부 중 하나 이상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otection relay device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 protection relay device having a digital signal output mode and a circuit breaker control mode, and a mode setting relay that conducts or blocks the drive current of the drive power input to the first current limiter that limits the current. A first bypass relay unit that bypasses the driving current input to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the driving current input to the second current limiting unit that is bypassed through the first bypass relay unit and outputs from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A second bypass relay unit for bypassing the first limit current input to the second current limiter, and a mode setting relay unit based on a driving mode set to one of a digital signal output mode and a circuit breaker control mode, the first bypass relay unit and the second bypass relay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 of one or more of the bypass relay units.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류를 제한하는 제1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구동 전원의 구동 전류를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모드 설정 릴레이부, 제1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구동 전류를 우회시키는 제1 우회 릴레이부 및 제1 우회 릴레이부를 통해 우회되어 전류를 제한하는 제2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구동 전류 또는 제1 전류 제한부로부터 출력되어 제2 전류 제한부로 입력되는 제1 제한 전류를 우회시키는 제2 우회 릴레이부 중 하나 이상의 동작 상태를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와 차단기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제어함으로써,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로 구동 시 디지털 신호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mode setting relay unit for energizing or blocking the driving current of the driving power input to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for limiting the current, and a first bypass relay for bypassing the driving current input to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A second bypass relay that bypasses the driving current input to the second current limiting unit that is bypassed through the second bypass relay unit and the first bypass relay unit to limit the current or the first limiting current output from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and input to the second current limiting unit. By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 of one or more of the units based on a driving mode set to one of the digital signal output mode and the circuit breaker control mod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misrecognition of the digital signal when driving in the digital signal output mod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전류 제한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입력 신호와 제2 전류 제한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입력 신호 각각에 기초하여 제1 우회 릴레이부와 제2 우회 릴레이부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진단함으로써, 차단기 제어 모드로 구동 시 계전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irst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and the second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current limiting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bypass relay unit and the second bypass relay unit are normally operating. By diagnosing,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relay reliability when driven in circuit breaker control mo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계전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계전 장치의 회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계전 장치와 디지털 신호 입력 장치의 결선 회로도.
도 5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계전 장치와 차단기의 결선 회로도.1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protection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ircuit diagram of a protection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wiring circuit diagrams of a protection relay device and a digital sig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wiring circuit diagrams of a protective relay device and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계전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계전 장치(100)의 회로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계전 장치(100)는 제1 전류 제한부(110), 제1 우회 릴레이부(120), 모드 설정 릴레이부(130), 제2 전류 제한부(140), 제2 우회 릴레이부(150), 제어부(160), 제1 포토 커플러(170), 제2 포토 커플러(180) 및 진단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보호 계전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1 and 2,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계전 장치(100)는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와 차단기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되어 구동될 수 있다. The
여기서,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는 구동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류를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모드일 수 있다.Here, the digital signal output mode may be a mode for outputting the driving current output from the driving power supply as a digital signal.
또한, 차단기 제어 모드는 계통으로부터 계측된 전류, 전압 등 다양한 전기적 정보를 근거로 과전류, 단락사고, 지락 사고와 같은 이상발생이 감지되면 계통과 부하의 연결을 통전 또는 차단하는 차단기를 작동시켜 계통과 부하의 연결을 차단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it breaker control mode activates a circuit breaker that energizes or cuts 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system and the load when abnormal occurrences such as overcurrent, short circuit accidents, and ground faults are detected based on various electrical information such as current and voltage measured from the system. It may be a mode to disconnect the loa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계전 장치(100)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A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제1 전류 제한부(110)는 구동 전원(10)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류를 제한하여 제1 제한 전류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류 제한부(110)는 구동 전류의 높은 전류값을 제한시켜 낮은 전류값의 제1 제한 전류로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current limiting
이를 위하여, 제1 전류 제한부(110)는 제1 노드(ND1)와 제2 노드(ND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제한 저항(R1), 제2 제한 저항(R2) 및 제3 제한 저항(R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한 저항(R1), 제2 제한 저항(R2) 및 제3 제한 저항(R3)의 저항값은 각각 75kΩ일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current limiting
즉, 제1 전류 제한부(110)로 입력되는 구동 전류는 높은 저항값의 제1 제한 저항(R1), 제2 제한 저항(R2) 및 제3 제한 저항(R3)에 입력됨으로써 전류값이 극히 낮은 전류값으로 제한되어 제1 제한 전류로 출력될 수 있다.That is, the driving current input to the first current limiting
또한, 제1 전류 제한부(110)는 제2 제한 저항(R2)에 인가된 전압에 대응하여 광을 출력하는 제1 발광 다이오드(D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first current limiting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발광 다이오드(D1)는 제2 제한 저항(R2)에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이 인가되면 후술되는 제1 포토 커플러(170)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D1 may output light to the
이를 통해, 제1 전류 제한부(110)로 구동 전류가 입력되면 제1 발광 다이오드(D1)는 제1 포토 커플러(170)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driving current is input to the first current limiting
제1 우회 릴레이부(120)는 제1 전류 제한부(110)로 입력되는 구동 전류를 우회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우회 릴레이부(120)는 제1 노드(ND1)와 제3 노드(ND3) 사이에 연결되고 제1 전류 제한부(110)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즉, 제1 우회 릴레이부(120)의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면 구동 전류가 제1 전류 제한부(110)로 입력될 수 있고 반대로, 제1 우회 릴레이부(120)의 동작 상태가 온 상태로 제어되면 구동 전류가 저항 성분이 연결되지 않은 제1 우회 릴레부(120)로 우회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여기서, 제1 우회 릴레이부(120)는 접점 스위치일 수 있다.Here, the first
모드 설정 릴레이부(130)는 제1 전류 제한부(110)로 입력되는 구동 전류를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드 설정 릴레이부(130)는 제2 노드(ND2)와 제3 노드(ND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The mode
즉, 모드 설정 릴레이부(130)의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면 1 전류 제한부(110)로 입력되는 구동 전류가 차단될 수 있다. 반대로, 모드 설정 릴레이부(130)의 동작 상태가 온 상태로 제어되면 구동 전류가 1 전류 제한부(110)로 입력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de setting
여기서, 모드 설정 릴레이부(130)는 접점 스위치일 수 있다.Here, the mode setting
상술된 제1 우회 릴레이부(120)와 모드 설정 릴레이부(130) 각각의 동작 상태에 따른 구동 전류의 흐름을 정리하면 하기의 표 1과 같다.Table 1 below summarizes the flow of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s of the first
제2 전류 제한부(140)는 제1 우회 릴레이부(120)로 우회된 구동 전류 또는 제1 제한 전류를 제한하여 제2 제한 전류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전류 제한부(140)는 구동 전류의 높은 전류값을 제한시켜 낮은 전류값의 제2 제한 전류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류 제한부(140)는 한차례 전류값이 제한된 제1 제한 전류의 전류값을 다시 제한시켜 제2 제한 전류로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전류 제한부(140)는 구동 전류의 높은 전류값을 낮은 전류값으로 제한하여 생성된 제1 제한 전류의 전류 값을 보다 낮은 전류값으로 다시 제한하여 제2 제한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The second current limiting
이를 위하여, 제2 전류 제한부(140)는 제3 노드(ND3)와 제4 노드(ND4)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4 제한 저항(R4), 제5 제한 저항(R5) 및 제6 제한 저항(R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4 제한 저항(R4), 제5 제한 저항(R5) 및 제6 제한 저항(R6)의 저항값은 75kΩ일 수 있다.To this end, the second current limiting
즉, 제2 전류 제한부(140)로 입력되는 구동 전류 또는 제1 제한 전류는 높은 저항값의 제4 제한 저항(R4), 제5 제한 저항(R5) 및 제6 제한 저항(R6)에 입력됨으로써 전류값이 극히 낮은 전류값으로 제한되어 제2 제한 전류로 출력될 수 있다.That is, the driving current or the first limiting current input to the second current limiting
또한, 제2 전류 제한부(140)는 제5 제한 저항(R5)에 인가된 전압에 대응하여 광을 출력하는 제2 발광 다이오드(D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urrent limiting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발광 다이오드(D2)는 제5 제한 저항(R5)에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이 인가되면 후술되는 제2 포토 커플러(180)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D2 may output light to the
이를 통해, 제2 전류 제한부(140)로 구동 전류 또는 제1 제한 전류가 입력되면 제2 발광 다이오드(D2)는 제2 포토 커플러(180)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driving current or the first limiting current is input to the second current limiting
제2 우회 릴레이부(150)는 제2 전류 제한부(140)로 입력되는 구동 전류 또는 제1 제한 전류를 우회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우회 릴레이부(150)는 제3 노드(ND3)와 제4 노드(ND4)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전류 제한부(140)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즉, 제2 우회 릴레이부(150)의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면 구동 전류 또는 제1 제한 전류가 제2 전류 제한부(140)로 입력되어 제2 제한 전류가 출력단(OUT)으로 출력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반대로, 제2 우회 릴레이부(150)의 동작 상태가 온 상태로 제어되면 구동 전류 또는 제1 제한 전류가 저항 성분이 연결되지 않은 제2 우회 릴레부(150)로 우회되어 출력단(OUT)으로 출력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상술된 제2 우회 릴레이부(15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출력단(OUT)에 출력되는 전류를 정리하면 하기의 표 2와 같다.Table 2 below summarizes the current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OUT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제어부(160)는 보호 계전 장치(100)에 설정된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 또는 차단기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기초하여 상술된 제1 우회 릴레이부(120), 모드 설정 릴레이부(130) 및 제2 우회 릴레이부(150) 중 하나 이상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보호 계전 장치(100)가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로 설정되면, 모드 설정 릴레이부(130)의 작동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60)는 보호 계전 장치(100)가 차단기 제어 모드로 설정되면, 모드 설정 릴레이부(130)의 작동 상태를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계전 장치(100)와 디지털 신호 입력 장치(20)의 결선 회로도이다.3 and 4 are wiring circuit diagrams of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호 계전 장치(100)가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60)의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role of the
보호 계전 장치(100)가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보호 계전 장치(100)의 출력단(OUT)에는 디지털 신호 입력 장치(20)가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즉, 디지털 신호 입력 장치(20)는 출력단(OUT)에 연결되어 출력단(OUT)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That is, the digital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보호 계전 장치(100)가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모드 설정 릴레이부(130)의 작동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To this end, when the
이를 통해, 제어부(160)는 제1 전류 제한부(110)로 구동 전류가 입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제어부(160)는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로 설정된 보호 계전 장치(100)가 디지털 신호의 출력을 대기하는 상태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우회 릴레이부(120)의 작동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이를 통해, 보호 계전 장치(100)가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 구동 전류를 차단하여 출력단(OUT)에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또한, 제어부(160)는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로 설정된 보호 계전 장치(100)가 디지털 신호의 출력을 대기하는 상태인 경우, 제2 우회 릴레이부(120)의 작동 상태를 온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제어부(160)는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로 설정된 보호 계전 장치(100)가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우회 릴레이부(120)의 작동 상태를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이를 통해, 보호 계전 장치(100)가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1 전류 제한부(110)으로 입력되는 구동 전류를 우회시켜 제3 노드로 출력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또한, 제어부(160)는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로 설정된 보호 계전 장치(100)가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인 경우, 제2 우회 릴레이부(150)의 작동 상태를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Also, when the
이를 통해, 제3 노드로 출력되는 구동 전류가 제2 전류 제한부(140)를 거치지 않고 우회되어 출력단(OUT)에 디지털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driving current output to the third node may be bypass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current limiting
상술된 제어부(160)의 제1 우회 릴레이부(120), 모드 설정 릴레이부(130) 및 제2 우회 릴레이부(150)의 동작 상태 제어에 따라 출력단(OUT)에 출력되는 전류를 정리하면 하기의 표 3과 같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control of the first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계전 장치(100)와 차단기(30)의 결선 회로도이다.5 and 6 are wiring circuit diagrams of th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호 계전 장치(100)가 차단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60)의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The role of the
보호 계전 장치(100)가 차단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경우, 보호 계전 장치(100)의 출력단(OUT)에는 차단기(30)가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즉, 차단기(30)는 출력단(OUT)에 연결되어 출력단(OUT)에서 출력되는 전류에 따라 계통과 부하(40) 사이를 연결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That is, the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보호 계전 장치(100)가 차단기 제어를 대기하는 상태인 경우, 제1 우회 릴레이부(120)와 모드 설정 릴레이부(130)의 작동 상태를 각각 오프 상태와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이를 통해, 구동 전류가 제1 전류 제한부(110)로 입력됨으로써, 제3 노드(ND1)로 전류값이 제한된 제2 제한 전류를 출력될 수 있다.Through this, as the driving current is input to the first current limiting
또한, 제어부(160)는 차단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보호 계전 장치(100)가 차단기 제어를 대기하는 상태인 경우, 제2 우회 릴레이부(150)의 작동 상태를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를 통해, 제3 노드(ND1)로 출력되는 제2 제한 전류가 제2 전류 제한부(140)를 거치지 않고 우회되어 출력단(OUT)으로 출력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second limiting current output to the third node ND1 may be bypass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current limiting
이에 따라, 차단기(30)의 코일(31)에는 낮은 전류값의 제2 제한 전류가 코일(31)에 입력되어 코일(31)이 여자되지 않음으로써 차단기(30)가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Accordingly, the
한편, 제어부(160)는 차단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보호 계전 장치(100)가 차단기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제1 우회 릴레이부(120)와 모드 설정 릴레이부(130)의 작동 상태를 각각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이를 통해, 구동 전류가 제1 전류 제한부(110)를 거치지 않고 우회됨으로써, 제3 노드(ND1)로 높은 전류값의 구동 전류를 출력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driving current is bypass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rst current limiting
또한, 제어부(160)는 차단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보호 계전 장치(100)가 차단기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제2 우회 릴레이부(150)의 작동 상태를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Also, when the
이를 통해, 제3 노드(ND1)로 출력되는 높은 전류값의 구동 전류가 제2 전류 제한부(140)를 거치지 않고 우회되어 출력단(OUT)으로 출력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driving current having a high current value output to the third node ND1 may be bypass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current limiting
이에 따라, 차단기(30)의 코일(31)에는 높은 전류값의 구동 전류가 코일(31)에 입력되어 코일(31)이 여자됨으로써, 차단기(30)가 작동될 수 있다.Accordingly, a drive current having a high current value is input to the
이를 통해, 차단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보호 계전 장치(100)는 계통에 과전류, 단락사고, 지락 사고와 같은 이상발생이 감지되면 계통과 부하의 연결을 통전 또는 차단하는 차단기(30)를 작동시켜 계통과 부하(40)의 연결을 차단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다음으로, 감지부(190)가 차단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보호 계전 장치(100)와 차단기(30)의 결선 상태를 감지하고, 제1 우회 릴레이부(120)와 제2 우회 릴레이부(150)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190)는 차단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보호 계전 장치(100)와 차단기(30)의 결선 상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우회 릴레이부(120)와 모드 설정 릴레이부(130)의 작동 상태를 각각 오프 상태와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이에 따라, 제1 발광 다이오드(D1)는 구동 전류가 제1 전류 제한부(110)로 입력되어 제2 제한 저항(R2)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제1 포토 커플러(170)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D1 outputs light to the
이후, 제1 포토 커플러(170)는 제1 발광 다이오드(D1)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에 반응하여 하이(HIGH) 레벨의 제1 입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reafter, the
감지부(190)는 하이(HIGH) 레벨의 제1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차단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보호 계전 장치(100)와 차단기(30)가 정상적으로 결선된 상태인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The
반대로, 감지부(190)는 하이(HIGH) 레벨의 제1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차단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보호 계전 장치(100)와 차단기(30) 결선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first input signal of the high level is not received, the
한편, 감지부(190)는 제1 우회 릴레이부(120)와 제2 우회 릴레이부(150)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우회 릴레이부(120), 모드 설정 릴레이부(130) 및 제2 우회 릴레이부(150)의 작동 상태를 각각 오프 상태, 온 상태 및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 7 , the
이에 따라, 제1 발광 다이오드(D1)는 구동 전류가 제1 제한부(110)로 입력되어 제2 제한 저항(R2)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제1 포토 커플러(170)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D1 can output light to the
이후, 제1 포토 커플러(170)는 제1 발광 다이오드(D1)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에 반응하여 하이(HIGH) 레벨의 제1 입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reafter, the
감지부(190)는 작동 상태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제어된 제1 우회 릴레이부(120)의 제어에 따라 하이(HIGH) 레벨의 제1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우회 릴레이부(120)가 정상 작동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When the first input signal of the high level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반대로, 감지부(190)는 작동 상태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제어된 제1 우회 릴레이부(120)의 제어에 불구하고 하이(HIGH) 레벨의 제1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1 우회 릴레이부(120)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Conversely, the
한편, 오직 제1 우회 릴레이부(120)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데 있어서는, 제2 우회 릴레이부(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달리 온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Meanwhile, in detecting whether only the first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2 발광 다이오드(D2)는 제1 제한 전류가 제2 전류 제한부(140)로 입력되어 제5 제한 저항(R5)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제2 포토 커플러(180)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7 ,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D2 is connected to the
이후, 제2 포토 커플러(180)는 제2 발광 다이오드(D2)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에 반응하여 하이(HIGH) 레벨의 제2 입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reafter, the
감지부(190)는 작동 상태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제어된 제2 우회 릴레이부(150)의 제어에 따라 하이(HIGH) 레벨의 제2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우회 릴레이부(150)가 정상 작동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input signal of the high level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반대로, 감지부(190)는 작동 상태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제어된 제2 우회 릴레이부(150)의 제어에 불구하고 하이(HIGH) 레벨의 제2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2 우회 릴레이부(150)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Conversely, the
한편, 오직 제2 우회 릴레이부(150)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데 있어서는, 제1 우회 릴레이부(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달리 온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Meanwhile, in detecting whether only the second
알림부(미도시)는 상술된 감지부(190)의 감지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 notification unit (not shown) may play a role of notifying the user of the detection result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알림부는 차단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보호 계전 장치(100)와 차단기(30)의 결선 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결선 이상 상태를 표시하거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림부는 감지부(190)에서 감지된 제1 우회 릴레이부(120), 제2 우회 릴레이부(150)의 비정상 작동 상태를 표시하거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notification unit may display an abnormal wiring state or output a sound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 wiring state between the
이를 통해, 차단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보호 계전 장치(100)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신속히 이상 상태를 알림으로써 보호 계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since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is not limited by
Claims (9)
구동 전원의 구동 전류를 제한하여 제1 제한 전류에 대응하는 광을 출력하는 제1 전류 제한부;
상기 제1 전류 제한부와 병렬 연결되고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구동 전류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1 전류 제한부에 수신되도록 하는 제1 우회 릴레이부;
상기 제1 전류 제한부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1 우회 릴레이부와 병렬 연결되며,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전류 제한부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모드 설정 릴레이부;
상기 제1 우회 릴레이부와 직렬 연결되고, 직렬 연결된 상기 제1 전류 제한부 및 상기 모드 설정 릴레이부와 직렬 연결되며, 상기 구동 전류 또는 상기 제1 제한 전류를 제한하여 제2 제한 전류에 대응하는 광을 출력하는 제2 전류 제한부;
상기 제1 우회 릴레이부와 직렬 연결되고, 직렬 연결된 상기 제1 전류 제한부 및 상기 모드 설정 릴레이부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2 전류 제한부와 병렬 연결되고,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구동 전류 또는 상기 제1 제한 전류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2 전류 제한부에 수신되도록 하는 제2 우회 릴레이부;
상기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와 상기 차단기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모드 설정 릴레이부, 상기 제1 우회 릴레이부 및 상기 제2 우회 릴레이부 중 하나 이상의 온 및 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드가 상기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모드 설정 릴레이부를 오프 시키고, 상기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에서 디지털 신호의 출력을 대기하는 상태인 경우,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우회 릴레이부를 오프 시키며, 상기 디지털 신호 출력 모드에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인 경우,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제1 우회 릴레이부를 온 시키고 상기 제2 우회 릴레이부를 온 시키는, 보호 계전 장치.
In the protection relay having a digital signal output mode and a circuit breaker control mode,
a first current limiting unit configured to output light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miting current by limiting the driving current of the driving power source;
a first bypass relay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and configured to receive the driving current or to receive the driving current from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according to an on/off state;
a mode setting relay unit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current limiter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ypass relay unit, and turning on or off the first current limiter according to an on/off state;
It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bypass relay unit,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and the mode setting relay unit connected in series, and limits the driving current or the first limit current to limit the ligh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imit current. a second current limiting unit that outputs;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bypass relay unit,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and the mode setting relay unit connected in series, and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current limiting unit, and the driving current or a second bypass relay unit that receives the first limiting current or allows it to be received by the second current limiting unit;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n and off states of at least one of the mode setting relay unit, the first bypass relay unit, and the second bypass relay unit based on a driving mode set to one of the digital signal output mode and the circuit breaker control mode. include,
The control unit,
When the driving mode is set to the digital signal output mode, the mode setting relay unit is turned off, and when the digital signal output mode is in a state of waiting for output of a digital signal, the first bypass relay unit does not output a digital signal. and, when in a state of outputting a digital signal in the digital signal output mode, turns on the first bypass relay unit and turns on the second bypass relay unit to output a digital signal.
상기 제어부는, 구동 모드가 상기 차단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우회 릴레이부를 오프 시키고 상기 모드 설정 릴레이부 및 상기 제2 우회 릴레이부를 온 시켜, 상기 제1 우회 릴레이부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진단하는, 보호 계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driving mode is set to the circuit breaker control mode, turns off the first bypass relay unit and turns on the mode setting relay unit and the second bypass relay unit to diagnose whether the first bypass relay unit is normally operating , protective relays.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드가 상기 차단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계통 이상 발생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우회 릴레이부 및 상기 제2 우회 릴레이부를 온 시켜 계통과 부하 사이의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보호 계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turns on the first bypass relay unit and the second bypass relay unit when a system abnormality is received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mode is set to the circuit breaker control mode to operate a circuit breaker between the system and the load. Protection relay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드가 상기 차단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우회 릴레이부와 상기 제2 우회 릴레이부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진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우회 릴레이부와 상기 제2 우회 릴레이부 중 하나 이상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보호 계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driving mode is set to the circuit breaker control mode,
The protection relay device for controlling an operating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bypass relay unit and the second bypass relay unit to an off state in order to diagnose whether the first bypass relay unit and the second bypass relay unit are normally operating.
상기 구동 전류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전류 제한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에 대응하는 제1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우회 릴레이부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진단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보호 계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7,
and a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iagnose whether the first bypass relay unit is normally operating based on a first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light output from the first current limiting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driving current is input or not.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우회 릴레이부를 통해 우회된 구동 전류 또는 상기 제1 제한 전류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전류 제한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에 대응하는 제2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우회 릴레이부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진단하는 보호 계전 장치.According to claim 8,
the sensing unit
The second bypass relay unit normally operates based on a secon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ight output from the second current limiting unit depending on whether the driving current diverted through the first bypass relay unit or the first limit current is input. A protective relay device that diagnoses whe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3808A KR102568714B1 (en) | 2016-12-30 | 2016-12-30 | Apparatus for protecting rel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3808A KR102568714B1 (en) | 2016-12-30 | 2016-12-30 | Apparatus for protecting rela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8738A KR20180078738A (en) | 2018-07-10 |
KR102568714B1 true KR102568714B1 (en) | 2023-08-18 |
Family
ID=62916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83808A KR102568714B1 (en) | 2016-12-30 | 2016-12-30 | Apparatus for protecting rela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8714B1 (e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0495B1 (en) * | 2008-04-25 | 2010-06-01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Digital Protective Relay |
-
2016
- 2016-12-30 KR KR1020160183808A patent/KR102568714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8738A (en) | 2018-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73927B2 (en) | Short circuit protection device | |
US8699193B2 (en) | Protection circuit for a power conversion apparatus | |
JP6126137B2 (en) | Safety switchgear with power supply | |
KR100906304B1 (en) | Leakage current isolating control device of the surge voltage protecting circuit | |
KR101769650B1 (en) | circuit of checking IGBT Module failure through monitoring the gate voltage | |
US7075765B2 (en) | Power limiting circuit | |
CN109950881B (en) | Embedded equipment pre-detection protection circuit | |
US8218281B2 (en) |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a semiconductor switch system | |
US10712426B2 (en) | Fault tolerant digital input receiver circuit | |
JP2019515619A (en) | Fuse system for at least one load of a vehicle | |
US20220107353A1 (en) | Electrical control device detection circuit, detection method, and electric vehicle | |
US20080218110A1 (en) | Temperature tripping device | |
JP3098432B2 (en) | Power supply circuit | |
US8213143B2 (en) | Circuit arrangement for the prote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or assemblies | |
US20110026179A1 (en) | Protection Device | |
KR101074287B1 (en) | Protective relay capable of diagnosing power circuit breaker | |
US11435389B2 (en) | Electrical control device detection circuit, detection method, and electric vehicle | |
KR102568714B1 (en) | Apparatus for protecting relay | |
KR101939698B1 (en) | Short protection device for protecting contact damage of test equipment for motor protection relay | |
KR100804518B1 (en) | Earth leakage blocking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by detecting leakage current in two stages | |
JP6873471B2 (en) | Motor control device | |
KR101889948B1 (en) | Short detection circuit of multi-terminal | |
JP2007189844A (en) | Protective circuit for semiconductor device | |
JP4339668B2 (en) | Breaker | |
US7889462B2 (en) | Protective circuit for protection of an appliance, in particular an electric motor, against thermal overloa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