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836B1 - hydro power plant and its fixtures - Google Patents

hydro power plant and its fixtur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836B1
KR102567836B1 KR1020207019914A KR20207019914A KR102567836B1 KR 102567836 B1 KR102567836 B1 KR 102567836B1 KR 1020207019914 A KR1020207019914 A KR 1020207019914A KR 20207019914 A KR20207019914 A KR 20207019914A KR 102567836 B1 KR102567836 B1 KR 102567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clamping
side wall
support fram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3659A (en
Inventor
히로키 무카이
도모야 가와이
Original Assignee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3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6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836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04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with substantially axial flow throughout rotors, e.g. propell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0Submerged units incorporating electric generator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 및 그 주변에 대한 공사가 불필요하며, 수로에 간단하고 염가로 설치할 수 있는 수력 발전 장치를 제공한다. 수력 발전 장치(1)는, 날개차(5) 및 발전기(6)를 가지는 수력 발전 장치 본체(2)와, 수력 발전 장치 본체(2)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3)과, 지지 프레임(3)을 수로(50)의 양측의 측벽(52)에 각각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구(4A)를 구비한다. 각 고정구(4A)는, 수로(50)의 대응하는 측벽(52)의 상면에 탑재되는 프레임 탑재부(11)와, 이 프레임 탑재부(1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클램핑부(12, 13)를 구비한다. 수력 발전 장치(1)를 수로(50)에 설치하려면, 지지 프레임(3)의 측단부를 프레임 탑재부(11)에 탑재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한 쌍의 클램핑부(12, 13)에 의해 측벽(52)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각각 클램핑함으로써, 고정구(4A)를 측벽(52)에 고정시킨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dropower generatio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construction of a waterway and its surroundings and can be installed in a waterway simply and inexpensively.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1 includes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ng device body 2 having an impeller 5 and a generator 6, a support frame 3 supporting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ng device body 2, and a support frame 3 ) to the side walls 52 on both sides of the channel 50,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tures 4A. Each fixture 4A includes a frame mounting portion 11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side wall 52 of the waterway 50 and a pair of clamping portions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frame mounting portion 11, respectively ( 12, 13). In order to install the hydropower generation device 1 in the water conduit 50,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3 is mounted on the frame mount 11 and fixed. Then, the fixture 4A is fixed to the side wall 52 by clamp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ide wall 52 with a pair of clamping parts 12 and 13, respectively.

Description

수력 발전 장치 및 그 고정구hydro power plant and its fixtures

본 출원은, 2017년 12월 13일자 일본 특허출원 제2017―238264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체를 참조에 의해 본원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인용한다. This application claims the priority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238264 dated December 13, 2017, and the whole is incorporated as forming part of this application by reference.

본 발명은, 비교적 작은 하천이나 용수로(用水路) 등의 수로(水路; water channel)에 설치되는 수력 발전 장치, 및 그 수력 발전 장치를 수로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installed in a water channel such as a relatively small river or irrigation canal, and a fixture for fixing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to a side wall of the water channel.

농업용 수로나 수도용(水道用) 수로 등의 수로에 소규모의 수력 발전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수류(水流) 등에 의해 수력 발전 장치의 설치 위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수로 자체 또는 수로의 주변에 기초 공사를 행하고 나서 수력 발전 장치를 설치한다. In the case of installing a small-scal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in a waterway such as an agricultural waterway or an aqueduct for water supply, it is necessary to fix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so that it does not move due to water flow or the like. In general, after foundation work is performed on the waterway itself or around the waterway, the hydropower generation device is installed.

이하의 특허문헌에, 수력 발전 장치의 다양한 설치예가 개시되어 있다.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various installation examples of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s are disclosed.

특허문헌 1은, 유수(流水)에 침지(浸漬)되어 유수에 의해 발전을 행하는 축류 수차(水車; water wheel)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이 축류 수차 발전 장치는, 유수의 주류(主流) 방향으로 서서히 확대하는 외측 통형체와, 적어도 일부가 외측 통형체의 내측에 설치된 내측 통형체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통형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런너가, 주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유수에 의해 회전한다. 특허문헌 1에는, 설치예로서, 수로의 양측의 지면에 설치대를 설치하고, 이 설치대에 고정 부재를 통해 내측 통형체를 고정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Patent Literature 1 relates to an axial flow water wheel power generation device that is immersed in running water and generates power by the flowing water. It is equipped with an outer cylindrical body which expands gradually, and an inner cylindrical body at least one part of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outer cylindrical body. The runner rotatably attached to the inner cylindrical body is rotated by running water around a rotational axis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stream. In Patent Literature 1, as an example of installation, it is described that installation tables are installed on the ground on both sides of the waterway, and the inner cylindrical body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tables via fixing members.

특허문헌 2에는, 수차를 지지하는 지주(支柱; column)의 내부에 발전기를 설치하고, 수차의 회전 이동력을, 기어 등을 통해 발전기에 전달하도록 한 수중 발전기가 제안되어 있다. 수차의 회전축을 수직축으로 함으로써, 프로펠러 방식과 같이 수류의 방향으로 직각으로 돌릴 필요가 없다. 따라서, 흐름이 시간에 따라서 변화하는 조류(潮流) 등에도 그대로 응용할 수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설치예로서, 하천 바닥이나 해저의 암반에 지주를 고정시켜, 암반에 직접 설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Patent Literature 2 proposes an underwater generator in which a generator is installed inside a column supporting a water turbine, and the rotational movement force of the water turbine is transmitted to the generator through a gear or the like. By making the rotational axis of the water turbine a vertical axis, it is not necessary to turn at right angles to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like in the propeller method. Therefore, it can be applied as it is to tidal currents whose flow changes with time. Patent Literature 2 describes fixing a post to a bedrock of a river or seabed and directly installing it to the bedrock as an installation example.

특허문헌 3은, 수로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수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수력 발전 장치는, 로터(rotor)를 구비한 수평의 로터 지지 하우징(housing)을, 상면에 세워 설치된 유지체를 가지고, 지지 환체 내에 일체로 고정하고, 또한 지지 환체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유지체의 상부에 발전기를 설치한다. 지지 환체에는, 수로에 로터 지지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용수로에 대한 설치예로서, 지지 환체의 장착부에 현수 부재를 고정하고, 이 현수 부재에 의해, 용수로에 가설한 빔 거더(beam girder)에 수력 발전 장치를 현수 설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Patent Literature 3 relates to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for the purpose of being easily installed in a waterway. In this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a horizontal rotor support housing having a rotor is integrally fixed in a support annular body with a retainer installed upright on the upper surface, and further protrudes upward from the support annular body. Install the generator on top of the sieve. The support annular body is formed with a mounting portion for fixing the rotor support housing to the waterway. In Patent Literature 3, as an installation example for an irrigation canal, it is described that a suspension member is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support ring body, and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is suspended and installed on a beam girder installed in the irrigation canal by this suspension member. there is.

특허문헌 4는, 소형이며 운반에도 편리한 수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력 발전 장치는, 플로우트(float)에 설치한 하방향의 회전축에 수차를 장착하고, 플로우트에 계류용(係留用) 로프를 장착하고, 회전축의 상부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발전기가 설치되어 있다. 플로우트에 대한 회전축의 각도를 가변(可變)으로 해도 된다. 이 수력 발전 장치는, 예를 들면, 플로우트에 의해 강에 띄운 상태로 계류된다. Patent Literature 4 relates to a hydropower generator that is compact and convenient for carrying. In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or, a water turbine is attached to a downward rotational shaft installed in a float, a mooring rope is attached to the float, and a generator rotated by the rotational shaft is installed above the rotational shaft. The angle of the rotating shaft with respect to the float may be variable. This hydropower generating device is moored in a state of floating on a river by means of a float, for example.

일본 공개특허 제2014―145347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4-145347

일본 공개특허 제2009―36113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9-36113

일본 공개특허 제2017―150376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7-150376

일본 공개특허 제2001―289145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1-289145

종래와 같이, 기초 공사를 행하고 나서 수력 발전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기초 공사나 설치 공사에 고액의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기초 공사나 설치 공사를 행하여 수력 발전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공사 후에 수력 발전 장치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재차의 공사가 필요해진다. 그러므로, 일단 수력 발전 장치를 설치하면, 그 후의 설치 위치의 변경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수로의 측벽에 앵커 볼트를 박아넣는 등의 공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측벽의 강도 저하가 염려된다. 농업용 수로 등에서는, 수로에 대한 추가 공사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Conventionally, installing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after foundation work requires a large amount of cost for foundation work and installation work. In addition, when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is installed by carrying out foundation work or installation work, in order to ch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ydroelectric power device after the construction, a new work is required. Therefore, once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is installed,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change the installation location thereaft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performing construction such as driving anchor bolts into the side walls of waterways, there is a concern about reducing the strength of the side walls. In agricultural waterways and the like, there are cases in which additional construction of waterways is impossible.

특허문헌 1에는, 수로 양측의 지면에 수력 발전 장치 설치용의 설치대를 두는 것이 나타나 있지만, 설치대의 고정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가 없다. 설치대를 고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류 등에 의해 축류 수차 발전 장치가 흐르게 될 우려가 있다. 지면에 대한 앵커 볼트를 박아넣는 고정에 의한 고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기초 공사가 필요해지므로, 비용이 소요된다. Patent Literature 1 shows that a mounting table for installing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or is placed on the ground on both sides of the waterway, but there is no specific description of a method for fixing the mounting table. If the mount is not fix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xial flow water turbine generator device may flow due to water flow or the like. In the case of fixing by fixing by driving anchor bolts into the ground, concrete foundation work is required, which incurs costs.

특허문헌 2와 같이, 수중 발전기를 하천 바닥이나 해저의 암반에 직접 설치하는 것은, 대규모의 공사가 필요해지므로, 공사비가 고액으로 되기 쉽다. 또한, 공사에 의해 하천 바닥이나 해저의 암반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어, 수중 발전기의 설치 상태가 불안정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Like Patent Literature 2, since large-scale construction is required to directly install an underwater generator on a bedrock of a river or a bedrock of the seabed, the construction cost tends to be high.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trength of the bedrock of the river or the bedrock of the sea may decrease due to the construction, and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underwater generator may become unstable.

특허문헌 3에는, 용수로에 가설한 빔 거더에 수력 발전 장치를 현수 설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용수로에 가설(架設)하는 빔 거더의 고정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인 기재는 없다. 빔 거더가 고정되지 않을 경우, 빔 거더를 포함하는 수력 발전 장치의 설치 위치가 수류 등에 의해 움직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빔 거더의 고정은 필수이다. 예를 들면, 빔 거더의 고정에 용수로에 대한 앵커 볼트를 박아넣는 경우, 용수로 자체의 강도 열화(劣化)가 생길 가능성이 있고, 또한 공사 비용이 높아지는 것이 염려된다. In Patent Document 3, it is described that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is suspended from a beam girder installed in a irrigation canal, but there is no specific description about a method for fixing a beam girder installed in a irrigation canal. If the beam girder is not fixed, sinc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including the beam girder may move due to water flow, fixing the beam girder is essential. For example, when anchor bolts to the irrigation canal are driven into the fixing of the beam gird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rrigation canal itself may deteriorate in strength,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construction cost will increase.

특허문헌 4에는, 플로우트에 계류용의 로프를 장착하고, 이 계류용의 로프에 의해 강의 흐름에 띄운 상태로 수력 발전 장치를 계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계류용의 로프를 강기슭 등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앵커를 하천 주변의 지면에 타입하는 등의 고정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하천 주변의 지면이 흙이나 작은 돌로 덮혀져 있는 경우에는, 앵커의 박아넣음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공사는 불필요하였으나, 흙이나 작은 돌로 이루어지는 지면에 대한 앵커의 박아넣음에서는 강도에 불안이 있으므로, 장기간의 계류에는 적합하지 않다. 하천 주변의 지면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덮혀져 있는 경우, 앵커를 타입하기 위해서는 공사가 필요해지므로, 공사 비용이 높아지는 것이 염려된다. Patent Literature 4 describes that a mooring rope is attached to a float, and a hydroelectric generator is moored in a state where the mooring rope floats on the flow of a river. Although a method of fixing the mooring rope to the river bank or the like is not described, for example, a fixing method such as driving an anchor into the ground around a river can be considered. When the ground around the river is covered with soil or pebbles, the anchor can be easily driven in, so the construction is unnecessary. Not suitable for long-term mooring. In the case where the ground around the river is covered with asphalt or concrete, since construction is required to anchor anchors, there is a concern that the construction cost will increase.

본 발명의 목적은, 수로 및 그 주변에 대한 공사가 불필요하며, 수로에 간단하고 염가로 설치할 수 있는 수력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dropower generation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in a waterway simply and inexpensively without requiring construction on the waterway and its surroundings.

본 발명의 수력 발전 장치는, 수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날개차(impeller) 및 이 날개차의 회전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를 가지는 수력 발전 장치 본체와, 이 수력 발전 장치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이 지지 프레임을 수로의 양측의 측벽에 각각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구를 구비한다. 상기 각 고정구는, 상기 수로의 대응하는 측벽의 상면에 탑재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를 탑재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임 탑재부(frame placing part)와, 이 프레임 탑재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각각 맞닿아 상기 측벽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클램핑부(挾入部; clamping parts)를 가진다.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or main body having an impeller that converts hydraulic power into rotational force and a generator that generates power by rotation of the impeller,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or main body, A plurality of fixtures for fixing this support frame to the side walls on both sides of the waterway, respectively, are provided. Each of the fixtures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side wall of the waterway and extends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frame placing part and the frame placing part for mounting and fixing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respectively, and the side wall It has a pair of clamping parts (挾入部; clamping parts) for clamping the side wall by abutting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respectively.

이 구성에 의하면,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를 고정구의 프레임 탑재부 상에 탑재하고, 그 고정구를, 한 쌍의 클램핑부에서 수로의 측벽을 양측으로부터 클램핑함으로써 수로의 측벽에 고정시킨다. 한 쌍의 클램핑부에 의한 측벽의 클램핑함은, 예를 들면, 볼트의 체결 등에 의해 행한다. 이와 같이,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를 수로의 측벽에 고정하면, 수로의 측벽이나 그 주변에 대하여, 기초 공사나 앵커 타입(打入) 등의 공사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므로, 수로의 측벽을 손상시키지 않고, 수력 발전 장치를 수로에 간단하고 염가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수력 발전 장치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수로의 측벽을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측벽의 강도 열화가 생기지 않는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is mounted on the frame mounting portion of the fixture, and the fixture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water channel by clamping the side wall of the water channel from both sides at a pair of clamping portions. The clamping of the side wall by the pair of clamping parts is performed, for example, by tightening bolts or the like. In this way, if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waterway,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foundation work or anchoring work on the sidewall of the waterway or its surrounding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imply and inexpensively install the hydropower generation device in the waterway without damaging the side wall of the waterway. In addition, it is easy to ch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In addition, since the side wall of the water channel is not damaged, the strength of the side wall does not deteriorate.

상기 각 고정구가,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중 제1 클램핑부로서, 상기 측벽의 내측면에 맞닿는 제1 클램핑부를 가지는 내측 고정체와,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중 제2 클램핑부로서, 상기 측벽의 외측면에 맞닿는 제2 클램핑부를 가지는 외측 고정체와, 상기 제1 및 제2 클램핑부의 상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 고정체 및 상기 외측 고정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가져도 된다. 상기 프레임 탑재부는, 상기 내측 고정체 및 상기 외측 고정체 공정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양쪽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Each of the fixtures includes an inner fixture having a first clamping part as a first clamping part of the pair of clamping parts and having a first clamping part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a second clamping part of the pair of clamping parts, the side wall It may have an outer fixture having a second clamping part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fixture, and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inner fixture and the outer fixture to each other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parts. The frame mount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either one of the inner fixing body and the outer fixing body steps, or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이 구성의 고정구는, 내측 고정체 및 외측 고정체 중 프레임 탑재부를 가지는 고정체를 측벽의 상단면(上端面) 상에 탑재하고, 프레임 탑재부 상에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를 탑재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내측 고정체의 클램핑부와 외측 고정체의 클램핑부에 의해 측벽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끼워넣어, 고정구를 측벽에 고정시킨다. 고정구가 내측 고정체와 외측 고정체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2개의 클램핑부 사이의 거리를 측벽의 상단(上端)의 폭에 맞추어 조정하기 쉽다. 또한, 2개의 클램핑부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기구(機構)를 어느 클램핑부에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각 클램핑부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In the fixture having this configuration, a fixture having a frame mounting portion among the inner fixture and the outer fixture is mount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is mounted and fixed on the frame mount. The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ide wall are interposed between the clamping part of the inner fixture and the clamping part of the outer fixture to fix the fixture to the side wall. Since the fixture is divided into an inner fixture and an outer fixture, it is easy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lamping parts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Furthe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lamping parts to any clamping part, each clamping part can have a simple structure.

각 고정구가 내측 고정체와 외측 고정체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 상기 내측 고정체와 상기 외측 고정체와의 사이에, 양 단면(端面)이 상기 내측 고정체 및 상기 외측 고정체에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스페이서가 개재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절한 치수의 사이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수로의 측벽의 상단의 폭에 맞추어, 고정구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When each fixture is divided into an inner fixture and an outer fixture, between the inner fixture and the outer fixture, both end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 to the inner fixture and the outer fixture, respectively. A spacer in contact with may be interpos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ength of the fixture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waterway by using a spacer sheet having an appropriate size.

대신에, 각 고정구가 내측 고정체와 외측 고정체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고정구는, 상기 내측 고정체 및 상기 외측 고정체 중 어느 한쪽에 상기 수로의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중간 부재를 가지고, 이 중간 부재가 상기 내측 고정체 및 상기 외측 고정체 중 어느 다른 쪽에 대하여 상기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쪽의 고정체에 대하여 중간 부재의 수로의 폭 방향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로의 측벽의 상단의 폭에 맞추어, 고정구의 길이를 넓은 범위에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Instead, when each fixture is divided into an inner fixture and an outer fixture, the fixture is an intermediate member fixed to either one of the inner fixture and the outer fixture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hannel in the width direction. , and this intermediate member may be coupled to either of the inner fixing body and the outer fixing body by the engaging means.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ength of the fixture can be easily adjusted within a wide rang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waterway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terway with respect to one fixture. .

상기 각 고정구에는, 상기 제1 및 제2 클램핑부 중 어느 쪽인가 한쪽 또는 양쪽에서의 상기 측벽과의 접촉면에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측벽과의 접촉면에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클램핑부에서 측벽을 클램핑함으로써 측벽을 손상시키고 않고, 또한 측벽과 클램핑부와의 접촉이 보다 긴밀하게 되어, 측벽에 대한 고정구의 고정 강도가 증가한다. In each of the fixtures, an elastic body may be provided on a contact surface with the side wall on one or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portions. Since the elastic body is installed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side wall, the side wall is not damaged by clamping the side wall in the pair of clamping parts, and the contact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clamping part is more intimate, and the fixing strength of the fixture to the side wall is increased. do.

상기 각 고정구에는, 상기 제1 및 제2 클램핑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클램핑부를 다른 쪽의 클램핑부의 측으로 가압(付勢)하는 가압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가압 수단에 의해 2개의 클램핑부를 측벽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가압함으로써, 한 쌍의 클램핑부에 의해 측벽을 클램핑하는 힘이 안정되어, 고정구를 측벽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클램핑부에서의 측벽과의 접촉면에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들 탄성체가 마모 등에 의해 열화되어도, 가압 수단이 탄성체를 측벽에 가압함으로써 한 쌍의 클램핑부의 협입력을 유지할 수 있다. [0025] Each of the fixtures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izing means for pres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parts toward the other clamping part. By pressing the two clamping portions against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ide wall by means of the pressing means, the force for clamping the side wall by the pair of clamping portions is stabilized, so that the fixture can be stably fixed to the side wall. In addition, when elastic bodies are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side walls of the clamping portion, even if these elastic bodies are deteriorated due to abrasion or the like, the pressing means presses the elastic bodies against the side walls, so that the clamping force of the pair of clamping portions can be maintained.

상기 각 고정구의 상기 프레임 탑재부는, 탑재하고 있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측단부가 상기 수로의 수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수력 발전 장치 본체의 날개차가 수류를 받음으로써,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에는 수류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프레임 탑재부의 스토퍼가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에 작용하는 수류 방향의 힘을 받으므로,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가 프레임 탑재부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가 수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사람의 손 등에 의해 지지하여 둘 필요가 없어,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를 프레임 탑재부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용이하다. The frame mounting portion of each fixture may have a stopper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ide end portion of the mounted support frame in the water flow direction of the water passage. When the impeller of the main body of the hydropower generator receives the water flow, a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acts on the side end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However, since the stopper of the frame mount receives the force in the water flow direction acting on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even if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is not fixed to the frame mount,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does not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hold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by human hands or the like so as not to move, and the work of fixing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to the frame mounting portion is easy.

상기 각 고정구가, 상기 프레임 탑재부에 탑재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의 단면에 대하여 수로 폭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 부재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수로의 양측의 고정구에 대하여, 각각의 프레임 탑재부에 탑재된 지지 프레임의 양 단면에 가압 부품을 서로 역방향으로 수로 폭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지지 프레임이 수로 폭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拘束; restrain)되어, 지지 프레임이 수로 폭 방향에 위치 결정된다. Each of the fixtures may have a pressing member capable of pressing the end face of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mounted on the frame mounting portion in the channel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tures on both sides of the waterway, the support frame is restrained so that it does not move in the waterway width direction by pressing pressing parts in the waterway width direction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on both end surfaces of the support frame mounted on each frame mounting portion. Thus, the support frame is positioned in the channel width direction.

본 발명에 관한 수력 발전 장치용의 고정구는, 수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날개차 및 이 날개차의 회전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를 가지는 수력 발전 장치 본체와, 이 수력 발전 장치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한 수력 발전 장치를 수로의 측벽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고정구는, 상기 측벽의 내측면에 맞닿는 제1 클램핑부를 가지는 내측 고정체와, 상기 측벽의 외측면에 맞닿는 제2 클램핑부를 가지는 외측 고정체와, 상기 제1 및 제2 클램핑부의 상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 고정체 및 상기 외측 고정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고정체 및 상기 외측 고정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상기 수로의 측벽의 상면에 탑재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를 탑재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임 탑재부가 설치되어 있다. A fixture for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of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or having an impeller that converts hydraulic power into rotational force and a generator that generates power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and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main body of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or. It is configured to fix the equipped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to the side wall of the waterway. The fixture includes an inner fixture having a first clamping part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 outer fixture having a second clamping part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parts being controlled. and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inner fixture and the outer fixture to each other so as to be mounted on either one or both of the inner fixture and the outer fixtu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waterway, and of the support frame. A frame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nd fixing the side end portion is provided.

이 구성의 고정구는, 내측 고정체 및 외측 고정체 중 프레임 탑재부를 가지는 고정체를 측벽의 상단면 상에 탑재하고, 프레임 탑재부 상에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를 탑재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내측 고정체 및 외측 고정체의 각 클램핑부에서 측벽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끼워넣어, 고정구를 측벽에 고정시킨다. 고정구가 내측 고정체와 외측 고정체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2개의 클램핑부 사이의 거리를 측벽의 상단의 폭에 맞추어 조정하기 쉽다. 또한, 2개의 클램핑부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기구를 각 클램핑부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각 클램핑부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In the fixture having this configuration, a fixture having a frame mounting portion among the inner fixture and the outer fixture is mou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is mounted and fixed on the frame mount. The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ide wall are inserted into the clamping portions of the inner and outer fixtures to fix the fixture to the side wall. Since the fixture is divided into an inner fixture and an outer fixture, it is easy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lamping parts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lamping portions to each clamping portion, each clamping portion can be configured with a simple structure.

특허청구범위 및/또는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개시된 2개 이상의 구성의 어떠한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특히, 청구의 범위의 각 청구항의 2개 이상의 어떠한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시형태 및 도면은 단순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수력 발전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력 발전 장치가 설치된 수로를 수류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력 발전 장치를 고정시키는 고정구의 제1 예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고정구의 제1 예의 조립 정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고정구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고정구의 제1 예를 사용하여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를 수로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제1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고정구의 제1 예를 사용하여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를 수로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제2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고정구의 제1 예를 사용하여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를 수로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제3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고정구의 제1 예를 사용하여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를 수로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제4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고정구의 제1 예를 사용하여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를 수로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제5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수로의 측벽에 고정구의 제2 예를 고정시키는 제1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수로의 측벽에 고정구의 제2 예를 고정시키는 제2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a는 수로의 측벽에 고정구의 제3 예를 고정시키는 제1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대응하는 정면도이다.
도 13a는 수로의 측벽에 고정구의 제3 예를 고정시키는 제2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대응하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고정구의 제4 예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고정구의 제5 예의 정면도이다.
Any combination of two or more elements disclosed in the claims and/or specification and/or drawings i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ny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each of the claims is encompas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are for mere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and are not used to defin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 plurality of drawings denote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ed state of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waterway in which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of FIG. 1 is installed, viewed from a water flow direc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xample of a fixture for securing the hydroelectric device of FIG. 1;
4A is an assembled front view of a first example of the fixture of FIG. 3;
4b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the fixture of FIG. 4a.
5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process of fixing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to the side wall of the waterway using the first example of the fixture of FIG. 3;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econd process of fixing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to the side wall of the waterway using the first example of the fixture of Figure 3;
7 is a front view showing a third process of fixing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to the side wall of the waterway using the first example of the fixture of FIG. 3;
8 is a front view showing a fourth process of fixing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to the side wall of the waterway using the first example of the fixture of FIG. 3;
9 is a front view showing a fifth process of fixing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to the side wall of the waterway using the first example of the fixture of FIG. 3;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process of fixing a second example of fixture to the side wall of the waterway.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second process of fixing a second example of fixture to the side wall of the waterway.
12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irst process of fixing a third example of fixture to the side wall of a waterway.
Fig. 12B is a front view corresponding to Fig. 12A.
13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econd process of fixing a third example of fixture to the side wall of the waterway.
Fig. 13B is a front view corresponding to Fig. 13A.
14 is a front view of a fourth example of a fixture.
15 is a front view of a fifth example of a fixture.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together with draw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수력 발전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동 수력 발전 장치가 설치된 수로를 수류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이 수력 발전 장치(1)는, 예를 들면, 하천이나 용수로 등의 유수가 있는 수로(50)에 설치되고, 유수의 힘으로 발전을 행한다. 수로(50)는, 바닥부(51)와 양측의 측벽(52, 52)으로 이루어지는 단면(斷面) U자형이다. 각각의 측벽(52)의 상단에는, 수로(5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연(52a)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51) 및 측벽(52, 52)는, 예를 들면,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of a water channel in which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ng device is installed, viewed from a water flow direction. This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1 is installed in a waterway 50 with running water, such as a river or irrigation canal, for example, and generates power with the power of running water. The conduit 50 has a U-shaped cross section composed of a bottom portion 51 and side walls 52 and 52 on both sides. At the upper end of each side wall 52, a reinforcing edge 52a protruding outward of the water channel 50 is formed. The bottom portion 51 and the side walls 52 and 52 are integrally formed of, for example, concrete.

수력 발전 장치(1)는, 수력 발전 장치 본체(2)와, 이 수력 발전 장치 본체(2)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3)과, 이 지지 프레임(3)의 양 측단부의 각각을 수로(50)의 대응하는 측벽(52)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구(4A)를 구비한다.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or 1 includes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or main body 2, a support frame 3 supporting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or main body 2, and both side ends of the support frame 3 through water channels ( 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tures 4A for fixing to the corresponding side walls 52.

수력 발전 장치 본체(2)는, 설치 시에는 유수 중에 잠기는 날개차(5)와, 설치 시에는 유수의 위쪽에 위치하는 발전기(6)를 구비한다. 수류를 받아 날개차(5)가 수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고, 그 날개차(5)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6)가 발전한다. 도면의 예의 날개차(5)는, 회전 축심 L이 수류 방향과 평행한 프로펠러형이다. 날개차(5)는, 상기 회전 축심 L에 설치되는 허브(5a)와, 이 허브(5a)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예를 들면, 5개)의 블레이드(blade)(5b)를 구비한다.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body 2 includes an impeller 5 submerged in running water when installed, and a generator 6 positioned above running water when installed. Upon receiving the water flow, the impeller 5 converts the hydraulic power into rotational force, and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5 generates electricity for the generator 6. The impeller 5 of the example in the drawing is a propeller type in which the axis of rotation L is parallel to the water flow direction. The impeller 5 includes a hub 5a installed on the rotation axis L, and a plurality of (eg, five) blades extending radially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5a. ) (5b).

날개차(5)의 허브(5a)는, 기어 박스(7)로부터 수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날개축(blade shaft)(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어 있다. 날개축은, 기어 박스(7) 내의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어 박스(7)은, 발전기(6)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통(8)의 하단(下端)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통(8) 내에는 동력 전달축(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날개축과 동력 전달축이, 기어 박스(7) 내의 기어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기어 기구는, 예를 들면, 베벨 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날개축으로부터 동력 전달축으로 회전 이동력을 증속하여 전달한다. 이들 날개축, 기어 기구, 및 동력 전달축을 통하여, 날개차(5)의 회전이 발전기(6)에 전달된다. The hub 5a of the impeller 5 is attached to a blade shaft (not shown) extending from the gearbox 7 along the water flow direction. The blade shaft is rotatably supported by a bearing (not shown) in the gear box 7 . The gearbox 7 is supported by the lower end of a support cylinder 8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enerator 6. A power transmission shaft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support cylinder 8 . The said blade shaft and power transmission shaft are connected via the gear mechanism (not shown) in the gearbox 7 so that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The gear mechanism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bevel gears, and increases and transmits rotational movement force from the wing shaft to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Rotation of the impeller 5 is transmitted to the generator 6 through these blade shafts, gear mechanisms, and power transmission shafts.

지지 프레임(3)은, 각각이 수로(50)의 양측의 측벽(52, 52) 사이에 가로지르는 2개의 빔(beam)(10)으로 이루어진다. 각 빔(10)은, 서로 수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2개의 빔(10)과 발전기(6)의 수류 방향의 양단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수력 발전 장치 본체(2)가 지지된다. The support frame 3 is composed of two beams 10 each crossing between the side walls 52 and 52 on both sides of the channel 50 . Each beam 1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ater flow direction and is arranged. Then, the hydraulic power generator main body 2 is supported by respective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two beams 10 and the generator 6 in the water flow direction.

[고정구의 제1 예][First example of fixture]

도 3 및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구(4A)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 수로(50)(도 1, 도 2)의 측벽(52)(도 1, 도 2)의 상면에 탑재되는 프레임 탑재부(11)와, 이 프레임 탑재부(1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측벽(52)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각각 맞닿는 한 쌍의 클램핑부(clamping parts)(12, 13)를 구비한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 고정구(4A)는, 내측 고정체(14)와 외측 고정체(15)로 분할되어 있고, 이들 내측 고정체(14) 및 외측 고정체(15)를 결합 수단(16)에 의해 서로 착탈(着脫)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내측 고정체(14)는, 프레임 탑재부(11)와 측벽(52)의 내측면에 맞닿는 클램핑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고정체(15)는, 측벽(52)의 외측면에 맞닿는 클램핑부(1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3 and 4A and 4B, the fixture 4A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52 (Figs. 1 and 2) of the conduit 50 (Figs. 1 and 2) in use. a frame mounting portion 11 and a pair of clamping parts 12 and 13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frame mounting portion 11 and abut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ide wall 52, respectively. provid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fixture 4A is divided into an inner fixture 14 and an outer fixture 15, and these inner fixture 14 and outer fixture 15 are coupled to the coupling means 16. It is design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detachably (着脫) by. In the inner fixing body 14, the frame mounting portion 11 and the clamping portion 12 abut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52 are integrally formed. The outer fixture 15 includes a clamping portion 13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52 .

내측 고정체(14)의 프레임 탑재부(11)는, 빔(10)(도 1, 도 2)의 단부(端部)가 탑재되는 바닥판(11a)과, 이 바닥판(11a)의 전후 방향의 양단 에지로부터 각각 위쪽으로 상승하는 판형의 2개의 스토퍼(11b), (11b)로 이루어진다. 각 스토퍼(11b)는, 바닥판(11a)의 내외 방향의 전역(全域)으로부터 상승하고 있다. 여기서, 전후 방향은, 수력 발전 장치(1)의 설치 시에서의 수류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내외 방향은, 수력 발전 장치(1)의 설치 시에서의 수로 폭 방향을 가리키고, 수로(50)(도 1, 도 2)에 가까운 측과 내측, 먼 쪽을 외측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 기재된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는, 빔(10)의 단부에서 있어도 된다. The frame mounting portion 11 of the inner fixed body 14 includes a bottom plate 11a on which an end portion of the beam 10 (Figs. 1 and 2) is mounted, an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ottom plate 11a. It consists of two plate-shaped stoppers (11b) and (11b) each ris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edge. Each stopper 11b rises from the entire area of the bottom plate 11a in the inward and outward direction. Here, the front-back direction refers to the water flow direction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1 . In addition, the inward and outward direction refers to the channel width direction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1, and the side closer to the channel 50 (FIGS. 1 and 2) and the inner side, and the far side are set to the outer side. And the "side end part of a support frame" described in this indication exists at the end part of the beam 10.

또한, 프레임 탑재부(11)에는, 바닥판(11a) 상의 빔(10)의 단부의 내외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용 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용 부재(18)는, 내외 방향으로 얇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이며, 내외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나사공(1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용 부재(18)는, 바닥판(11a) 및 양측의 스토퍼(11b)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위치결정용 부재(18)의 내외 방향의 고정 위치는, 프레임 탑재부(11)에 탑재되는 빔(10)의 측단부의 길이에 따라서 결정된다. In addition, the frame mounting portion 11 is provided with a positioning member 18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beam 10 on the bottom plate 11a in the inward and outward direction. This positioning member 18 is thin in the inward and outward direction and has a plate shap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has a plurality of screw holes 19 penetrating in the inward and outward direction. The positioning member 18 is fixed to the bottom plate 11a and the stoppers 11b on both sides by welding or the like. The fixed position of the positioning member 18 in the inward and outward direc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ide end portion of the beam 10 mounted on the frame mounting portion 11 .

각 스토퍼(11b)의 내단 가까이의 위치에, 후술하는 고정용 볼트(35)(도 4a 및 도 4b)가 삽통(揷通)되는 고정용 볼트공(20)가 복수(예를 들면, 3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스토퍼(11b)의 외단부에, 평면 형상 L자형의 결합용 부재(21)가 복수의 볼트(22) 및 너트(23)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결합용 부재(21)는, 스토퍼(11b)보다도 전후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21a)에, 결합용 볼트공(24)(도 4a 및 도 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탑재부(11)의 바닥판(11a)의 내측 단부에서의 상면 및 하면에,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25, 2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At a position near the inner end of each stopper 11b, a plurality of fixing bolt holes 20 through which fixing bolts 35 (FIGS. 4A and 4B) described later are inserted (for example, three ) is formed. Further, a planar L-shaped engaging member 21 is attached to the outer end of each stopper 11b by a plurality of bolts 22 and nuts 23 . In the member 21 for engagement, a bolt hole 24 (FIGS. 4A and 4B) for engagement is formed in a portion 21a protru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stopper 11b. Further, elastic bodies 25 and 26 made of rubber or the like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11a of the frame mounting portion 11, respectively.

내측 고정체(14)의 클램핑부(12)는, 프레임 탑재부(11)의 내측 단부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측벽 맞닿음부(abutment portion)(12a)와, 이 측벽 맞닿음부(12a)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연장되는 전후 2개의 보강부(12b), (12b)로 이루어진다. 각 보강부(12b)의 상단은, 대응하는 스토퍼(11b)와 연결되어 있다. 측벽 맞닿음부(12a)에서의 측벽(52)과의 접촉면인 외측면에, 탄성체(25, 26)와 마찬가지의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27)가 설치되어 있다. The clamping portion 12 of the inner fixing body 14 includes a side wall abutment portion 12a extending down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inner end of the frame mounting portion 11, and this side wall abutment portion ( It consists of two reinforcing parts 12b and 12b extending inward from both ends of 12a), respectively. The upper end of each reinforcement part 12b is connected with the corresponding stopper 11b. An elastic body 27 made of a rubber material or the like similar to the elastic bodies 25 and 26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abutting portion 12a, which is a contact surface with the side wall 52.

외측 고정체(15)는, 정면에서 볼 때 L자형이며, 그 전후 방향을 따른 부분이, 측벽(52)의 외벽면에 맞닿는 클램핑부(13)를 구성한다. 클램핑부(13)에는, 결합용 부재(21)의 상기 결합용 볼트공(24)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용 볼트공(28)(도 4a 및 도 4b)이 형성되어 있다. 클램핑부(13)에서의 측벽(52)과의 접촉면인 내측면에, 탄성체(25, 26)와 마찬가지의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29)가 설치되어 있다. The outer fixture 15 has an L-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a portion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constitutes a clamping portion 13 that abuts against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side wall 52 . In the clamping portion 13, a coupling bolt hole 28 (FIGS. 4A and 4B)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bolt hole 24 of the coupling member 21. An elastic body 29 made of a rubber material or the like similar to the elastic bodies 25 and 26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amping portion 13 as a contact surface with the side wall 52 .

결합 수단(16)은, 결합용 부재(21,21) 각각의 결합용 볼트공(24, 24) 및 클램핑부(13)의 결합용 볼트공(28, 28)에 삽통되는 볼트(31), (31), 이들 볼트(31)에 각각 나사장착시키는 너트(32) 등으로 이루어진다. The coupling means 16 is a bolt 31 inserted into the coupling bolt holes 24 and 24 of the coupling members 21 and 21 and the coupling bolt holes 28 and 28 of the clamping portion 13, (31), and nuts 32 each screwed to these bolts 31.

[수력 발전 장치의 설치][Installation of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이 수력 발전 장치(1)를 수로(50)에 설치할 때는, 지지 프레임(3)의 2개의 빔(10)의 양 단부를, 각각 고정구(4A)를 통해 수로(50)의 양측의 측벽(52)에 고정시킨다. 이하, 그 고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When installing this hydropower generation device 1 to the water conduit 50, the both ends of the two beams 10 of the support frame 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ide walls 52 on both sides of the water conduit 50 via the fixtures 4A. ) is fixed. Hereinafter, the fixing method is demonstrated.

먼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52)의 상단면 상에, 클램핑부(12)가 측벽(5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내측 고정체(14)를 탑재한다. 내측 고정체(14)는, 탄성체(26)를 통해 측벽(52)의 상단면과 접한다. 그리고, 측벽(52)의 외측에 외측 고정체(15)를 배치하고, 내측 고정체(14) 및 외측 고정체(15)의 각 결합용 볼트공(24, 28)에 삽통된 볼트(31), 이 볼트(31)에 나사장착한 너트(32) 등에 의해, 도 6과 같이, 내측 고정체(14)와 외측 고정체(15)를 결합한다. 이 상태로부터 볼트(31)를 더 체결함으로써, 내측 고정체(14) 및 외측 고정체(15)의 각 클램핑부(12, 13)와 측벽(52)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끼워넣어, 고정구(4A)를 측벽(52)에 고정시킨다. First, as shown in FIG. 5 , the inner fixture 14 is mou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ide wall 52 so that the clamping part 12 is positioned inside the side wall 52 . The inner fixture 14 is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ide wall 52 through the elastic body 26 . In addition, the outer fixing body 15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52, and the bolts 31 inserted into the bolt holes 24 and 28 for coupling of the inner and outer fixing bodies 14 and 15 6, the inner fixing body 14 and the outer fixing body 15 are coupled with the nut 32 or the like screwed to the bolt 31, as shown in FIG. By further tightening the bolts 31 from this state, the clamping portions 12 and 13 of the inner fixing body 14 and the outer fixing body 15 and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ide walls 52 are fitted, (4A) is fixed to the side wall (52).

상기 고정구(4A)의 고정 상태에 있어서, 프레임 탑재부(11)에서의 측벽(52)과의 접촉면, 및 각 클램핑부(12, 13)에서의 측벽(52)과의 접촉면에 탄성체(26, 27, 29)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측벽(52)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측벽(52)과 클램핑부(12, 13)와의 접촉이 더욱 긴밀히 되어, 측벽(52)에 대한 고정구(4A)의 고정 강도가 증가한다. In the fixed state of the fixture 4A, the elastic bodies 26 and 27 are applied to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side wall 52 in the frame mounting portion 11 and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side wall 52 in each clamping portion 12 and 13. , 29) are provided, respectively, so that the side wall 52 is not damaged. Further, the contact between the side wall 52 and the clamping portions 12 and 13 becomes more intimate, so that the fixing strength of the fixture 4A to the side wall 52 increases.

다음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빔(10)의 단부를 프레임 탑재부(11)의 바닥판(11a) 상에 탑재하게 하고, 빔(10)의 단면과 위치결정용 부재(18)와의 사이에 가압 부품(34)을 삽입한다. 가압 부품(34)는, 빔(10)의 단면과 대략 같은 크기의 판형의 부품이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빔(10)의 단부를 고정구(4A)에 고정시킨다. Next, as shown in FIG. 7, the end of the beam 10 is mounted on the bottom plate 11a of the frame mounting portion 11, and between the end face of the beam 10 and the positioning member 18 Insert the pressing part (34) into. The pressing part 34 is a plate-shaped part having a size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eam 10 . And as shown in FIG. 8, the edge part of the beam 10 is fixed to 4 A of fixtures.

빔(10)의 단부의 고정은, 고정용 볼트(35)를, 한쪽의 스토퍼(11b)의 고정용 볼트공(20), 빔(10)의 단부에 형성된 장공(長孔)(36)(도 7 참조), 및 다른 쪽의 스토퍼(11b)의 고정용 볼트공(20)의 순으로 삽입하고, 그 고정용 볼트(35)의 돌출단에 너트(도시하지 않음)를 나사 장착함으로써 행한다. 그리고, 빔(10)의 장공(36)은, 빔(10)의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빔(10)의 길이 방향으로 긴 구멍이다. 이와 같은 고정용 볼트(35)에 의한 고정을, 복수의 고정용 볼트공(20)에 대하여 행한다. 도 8의 예에서는, 3개의 고정용 볼트공(20) 중 2개의 고정용 볼트공(20)에 대하여 행하고 있다. The fixing of the end of the beam 10 is performed using a fixing bolt 35, a fixing bolt hole 20 of one stopper 11b, and a long hole 36 formed at the end of the beam 10 ( 7), and the fixing bolt hole 20 of the other stopper 11b in this order, and it performs by screwing a nut (not shown) to the projecting end of the fixing bolt 35. And the long hole 36 of the beam 10 penetrat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am 10, and is a hol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10. Fixing by such a fixing bolt 35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several fixing bolt hole 20. In the example of FIG. 8, it is performing with respect to two fixing bolt holes 20 among three fixing bolt holes 20.

프레임 탑재부(11)가 스토퍼(11b)를 가지므로, 상기 빔(10)의 단부를 프레임 탑재부(11)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설치 작업 중, 날개차(5)가 수류를 받음으로써, 지지 프레임(3)의 빔(10)에 수류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빔(10)의 단부에 작용하는 수류 방향의 힘을 하류측의 스토퍼(11b)가 받으므로, 빔(10)이 프레임 탑재부(11)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빔(10)이 수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빔(10)이 움직이지 않도록 사람의 손 등에 의해 지지하여 둘 필요가 없어, 빔(10)의 단부를 프레임 탑재부(11)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프레임 탑재부(11)의 바닥판(11a)의 양측에 스토퍼(11b)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류의 방향에 관계없이, 스토퍼(11b)에 의해 빔(10)에 작용하는 수류 방향의 힘을 받을 수 있다. Since the frame mounting part 11 has the stopper 11b, the work of fixing the end part of the said beam 10 to the frame mounting part 11 can be performed easily. That is, when the impeller 5 receives the water flow during the installation work, the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acts on the beam 10 of the support frame 3 . However, since the stopper 11b on the downstream side receives the force in the water flow direction acting on the end of the beam 10, even if the beam 10 is not fixed to the frame mount 11, the beam 10 moves in the water flow direction do not move with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support the beam 10 by human hands or the like so as not to move, and the work of fixing the end of the beam 10 to the frame mounting portion 11 is easily performed. Since the stopper 11b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11a of the frame mounting portion 11,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the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acting on the beam 10 can be received by the stopper 11b there is.

빔(10)의 단부를 고정구(4A)에 고정시킨 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결정용 부재(18)의 나사공(19)(도 3 참조)에 볼트로 이루어지는 가압 부재(37)를 나사삽입하고, 가압 부품(34)을 통해 상기 가압 부재(37)의 선단을 빔(10)의 단면에 가압한다. 가압 부재(37)의 나사삽입량을 변경함으로써, 빔(10)의 단면의 내외 방향의 위치를 조절한다. 수로(30)의 양측의 고정구(4A)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37)를 빔(10)의 양 단면에 가압함으로써, 빔(10)이 내외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되어, 빔(10)이 수로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일단 위치 결정한 후, 빔(10)의 수로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압 부재(37)로서, 볼트 대신에 스프링 등을 사용하여, 가압 부품(34)을 빔(10)의 단면에 가압해도 된다. After fixing the end of the beam 10 to the fixture 4A, as shown in FIG. 9, the screw hole 19 (see FIG. 3) of the positioning member 18 is a pressing member 37 made of a bolt. is screwed in, and the tip of the pressing member 37 is pressed against the end face of the beam 10 through the pressing part 34. By changing the screwing amount of the pressing member 37, the posi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eam 10 in the inward and outward direction is adjusted. With respect to fixtures 4A on both sides of the waterway 30, by pressing the pressing members 37 to both end surfaces of the beam 10 as described above, the beam 10 is restrained so as not to move in the inward and outward directions, and the beam (10) is positioned in the channel width direction. After positioning once,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number of beams 10 . As the pressing member 37, you may press the pressing part 34 to the end surface of the beam 10 using a spring etc. instead of a bolt.

이와 같이, 고정구(4A)의 프레임 탑재부(11) 상에 빔(10)의 단부를 탑재하여 고정하고, 그 고정구(4A)를, 클램핑부(12, 13)와 수로(50)의 측벽(52)을 양측으로부터 클램핑함으로써 측벽(52)에 고정시킨다. 빔(10)의 수류 방향의 위치는 스토퍼(11b)에 의해 결정할 수 있고, 수로 폭 방향의 위치는 가압 부재(37)에 의해 결정된다. 이로써, 수력 발전 장치 본체(2)의 수류 방향의 위치 및 수로 폭 방향의 위치가 정해진다. In this way, the end of the beam 10 is mounted and fixed on the frame mounting portion 11 of the fixture 4A, and the fixture 4A is clamped to the clamping parts 12 and 13 and the side wall 52 of the water channel 50. ) to the side wall 52 by clamping from both sides. The position of the beam 10 in the water flow direction can be determined by the stopper 11b, and the position in the channel width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pressing member 37. In this way, the position in the water flow direction and th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ter channel of the hydropower generator main body 2 are determined.

이 방법으로 빔(10)의 단부를 수로(50)의 측벽(52)에 고정하면, 측벽(52)이나 그 주변에 대하여, 기초 공사나 앵커 타입 등의 공사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므로, 측벽(52)을 손상시키지 않고, 수력 발전 장치(1)를 수로(50)에 간단하고 염가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수력 발전 장치(1)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수로(50)의 측벽(52)을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측벽(52)의 강도 열화가 생기지 않는다. If the end of the beam 10 is fixed to the side wall 52 of the waterway 50 in this way,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foundation work or anchor type work on the side wall 52 or its surroundings. Therefore,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1 can be simply and inexpensively installed in the conduit 50 without damaging the side wall 52 . In addition, it is easy to ch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ydroelectric power plant 1. In addition, since the side wall 52 of the channel 50 is not damaged, the strength of the side wall 52 does not deteriorate.

고정구(4A)가 내측 고정체(14)와 외측 고정체(15)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클램핑부(12, 13)의 사이의 거리를 측벽(52)의 상단의 폭에 맞추어 조정하기 쉽다. 또한, 클램핑부(12, 13)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기구를 어느 클램핑부(12, 13)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각 클램핑부(12, 13)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Since the fixture 4A is divided into the inner fixture 14 and the outer fixture 15, it is easy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clamping portions 12 and 13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52. Furthe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lamping portions 12 and 13 to any of the clamping portions 12 and 13, each clamping portion 12 and 13 can have a simple configuration.

[고정구의 제2 예][Second example of fixture]

도 10 및 도 11은 고정구의 제2 예를 나타낸다. 이 고정구(4B)는, 내측 고정체(14)와 외측 고정체(15)와의 사이에 스페이서(40)가 개재(介在)한다. 스페이서(40)는, 양 단면이 내측 고정체(14) 및 외측 고정체(15)에 각각 접촉하는 블록형이며, 내외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용 볼트공(41)을 구비한다. 이 스페이서(40) 이외의 구성은, 제1 예와 동일하다. 10 and 11 show a second example of a fixture. In this fastener 4B, a spacer 40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fixing body 14 and the outer fixing body 15. The spacer 40 is block-shaped with both ends in contact with the inner fixing body 14 and the outer fixing body 15, respectively, and has bolt holes 41 for coupling penetrating inward and outward. The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spacer 4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xample.

이 고정구(4B)는, 내측 고정체(14), 스페이서(40), 외측 고정체(15)의 각 결합용 볼트공(24, 41, 28)에 삽통된 볼트(31), 및 이 볼트(31)에 나사장착한 너트(32) 등에 의해, 도 11과 같이, 내측 고정체(14)와 외측 고정체(15)를, 스페이서(40)를 통해 결합한다. 이와 같이, 내측 고정체(14)와 외측 고정체(15)와의 사이에 스페이서(40)를 개재시킴으로써, 측벽(52)의 상단의 폭이 넓고, 내측 고정체(14)와 외측 고정체(15)만으로는 내외 방향의 치수가 부족한 경우에, 고정구(4B)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수력 발전 장치(1)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나, 다른 수로에 수력 발전 장치(1)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그 수로의 측벽의 상단의 폭에 따라, 그 폭에 맞는 내외 방향의 치수를 가지는 스페이서(40)를 제작하고, 또한 그에 맞춘 길이의 볼트(31)를 준비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This fastener 4B is composed of bolts 31 inserted through bolt holes 24, 41, and 28 of the inner fixed body 14, the spacer 40, and the outer fixed body 15, respectively, and these bolts ( 31), the inner fixing body 14 and the outer fixing body 15 are coupled via the spacer 40, as shown in FIG. Thus, by interposing the spacer 40 between the inner fixture 14 and the outer fixture 15,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52 is wide, and the inner fixture 14 and the outer fixture 15 ) alone, the length of the fixture 4B can be easily adjusted when the dimensions in the inward and outward directions are insufficient. Even whe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1 is changed, or when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1 is installed in another waterway,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waterway, the dimensions in the inward and outward direction that match the width It can respond by manufacturing a spacer 40 with a spacer and preparing a bolt 31 having a length matched thereto.

[고정구의 제3 예][The third example of a fixture]

도 12a, 도 12b, 및 도 13a 및 도 13b는 고정구의 제3 예를 나타낸다. 이 고정구(4C)는, 제1 예의 고정구(4A)에서의 결합용 부재(21,21) 대신에, 내측 고정체(14)에 대하여 내외 방향에 위치 조절 가능한 중간 부재(42, 42)를 구비한다. 각각의 중간 부재(42)에는 내외 방향으로 긴 장공(43)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43)과 내측 고정체(14)의 스토퍼(11b)에 형성된 볼트공(도시하지 않음)에 삽통된 볼트(22), 이 볼트(22)에 나사장착한 너트(23) 등에 의해, 중간 부재(42)가 내측 고정체(14)에 고정된다. 장공(43)에서의 볼트(22)의 삽통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중간 부재(42)의 내외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결합용 부재(21)와 마찬가지로, 중간 부재(42)도, 스토퍼(11b)보다도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42a)에 의해, 볼트(31), 너트(32) 등으로 이루어지는 결합 수단(16)에 의해 외측 고정체(15)에 결합된다. 12a, 12b, and 13a and 13b show a third example of a fixture. This fixture 4C is provided with intermediate members 42, 42 which are position-adjustable in the inward and out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inner fixture 14 instead of the engaging members 21, 21 in the fixture 4A of the first example. do. Each intermediate member 42 is formed with a long hole 43 extending in an inward and outward direction, and the long hole 43 and the bolt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stopper 11b of the inner fixture 14 are inserted. The intermediate member 42 is fixed to the inner fixing body 14 by means of bolts 22 and nuts 23 screwed onto bolts 22 and the like. By chang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bolt 22 in the long hole 43, the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42 in the inward and outward direction can be adjusted. Similar to the coupling member 21, the intermediate member 42 also has a portion 42a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stopper 11b in the front-back direction. 16) is coupled to the outer fixture 15.

이들 이외의 구성은, 제1 예와 동일하다.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s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xample.

이 구성에 의하면, 내측 고정체(14)에 대한 중간 부재(42)의 내외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구(4C)의 유효 길이, 즉 클램핑부(12, 13)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고정구(4C)의 유효 길이를 가장 짧게 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3a 및 도 13b는 고정구(4C)의 유효 길이를 가장 길게 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고정구(4C)의 유효 길이를 크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수로(50)의 측벽(52)의 상단의 폭에 맞추어, 고정구(4C)의 길이를 넓은 범위에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예의 스페이서(40)를 사용하는 고정구(4B)와 같은, 측벽(52)의 상단의 폭에 맞춘 볼트(31)나 너트(32)를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effective length of the fixture 4C,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lamping portions 12 and 13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42 relative to the inner fixture 14 in the inward and outward directions. there is. 12A and 12B show a state in which the effective length of the fastener 4C is the shortest, and FIGS. 13A and 13B show a state in which the effective length of the fastener 4C is the longest. In this way, since the effective length of the fixture 4C can be greatly adjusted, the length of the fixture 4C can be easily adjusted in a wide rang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52 of the waterway 50.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epare bolts 31 and nuts 32 that match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52 like the fixture 4B using the spacer 40 of the second example.

[고정구의 제4 예][Fourth Example of Fixture]

도 14는 고정구의 제4 예를 나타낸다. 이 고정구(4D)는, 제1 예 내지 제3 예의 고정구(4A, 4B, 4C)와 비교하여 외측 고정체(15)가 상이하도록 되어 있다. 즉, 고정구(4D)의 외측 고정체(15)는, 정면에서 볼 때 L자형의 외측 고정체 본체(15a)에 대하여, 가압 수단에 의해 탄성체(29)가 내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 예에서는, 탄성체(29)가 외측 고정체(15)의 클램핑부(13)로 된다. 바꾸어 말하면, 외측 고정체(15)의 클램핑부(13)가, 가압 수단에 의해, 내측 고정체(14)의 클램핑부(12) 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14 shows a fourth example of a fixture. This fixture 4D has a different outer fixture 15 compared to the fixtures 4A, 4B, and 4C of the first to third examples. That is, in the outer fixture 15 of the fixture 4D, the elastic body 29 is pressed inward by the pressing means against the L-shaped outer fixture main body 15a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this example, the elastic body 29 serves as the clamping portion 13 of the outer fixture 15. In other words, the clamping part 13 of the outer fixture 15 is pressed toward the clamping part 12 of the inner fixture 14 by the pressing means.

도면의 예에서는, 가압 수단이 압축 스프링(45)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탄성체(29)에 고정된 가이드 축(46)이, 외측 고정체 본체(15a)에 형성된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에 내외 방향으로 진퇴(進退)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축(46)의 외주(外周)와, 또한 탄성체(29)와 외측 고정체 본체(15a)와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압축 스프링(45)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축(46)의 선단에 설치된 나사부에, 이탈방지용의 더블 너트(48)가 나사장착되어 있다. 가압 수단은, 압축 스프링(45) 이외의 것이라도 된다. In the example of the drawing, the pressing means is composed of a compression spring 45 . In detail, the guide shaft 46 fixed to the elastic body 29 is inserted through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outer stationary body 15a so as to be able to advance and retreat in the inward and outward direction. Then, the compression spring 45 made of a coil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e shaft 46 and between the elastic body 29 and the outer stationary body 15a. A double nut 48 for separation prevention is screwed into the threaded portion provided at the tip of the guide shaft 46. The pressing means may be anything other than the compression spring 45 .

이들 이외의 구성은, 제1 예와 동일하다.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s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xample.

이 구성에 의하면, 고정구(4D)를 수로(50)의 측벽(52)에 고정했을 때, 가압 수단인 압축 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 클램핑부(13)인 탄성체(29)가 측벽(52)의 외측면에 가압된다. 이로써, 내측 고정체(14)의 클램핑부(12)도 측벽(52)의 내측면에 가압되고, 양 클램핑부(12, 13)에 의해 측벽(52)을 양측으로부터 클램핑하는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fixture 4D is fixed to the side wall 52 of the water channel 50, the elastic body 29, which is the clamping portion 13, is moved to the side wall ( 52) is pressed on the outer surface. As a result, the clamping portion 12 of the inner fixture 14 is also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52, and the side wall 52 is clamped from both sides by both clamping portions 12 and 13.

이와 같이, 압축 스프링(45)에 의해 클램핑부(12, 13)를 측벽(52)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각각 가압함으로써, 한 쌍의 클램핑부(12, 13)와 측벽(52)을 클램핑하는 힘이 안정되어, 고정구(4D)를 측벽(52)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수단(16)의 볼트(31) 및 너트(32)를 너무 조인 것으로 해도, 한 쌍의 클램핑부(12, 13)의 협입력이, 압축 스프링(45)의 최대 압축 시의 복원력을 초과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너무 강한 협입력이 측벽(52) 또는 고정구(4D) 자체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또한, 클램핑부(12, 13)의 탄성체(27, 29)가 마모 등에 의해 열화된 경우라도, 압축 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 측벽(52)을 클램핑하는 힘을 유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air of clamping parts 12 and 13 and the side wall 52 are clamped by pressing the clamping parts 12 and 13 against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ide wall 52, respectively, by the compression spring 45. The applied force is stable, and the fixture 4D can be stably fixed to the side wall 52 . For example, even if the bolt 31 and the nut 32 of the coupling means 16 are overtightened, the clamping force of the pair of clamping portions 12 and 13 is the maximum compression of the compression spring 45. Do not exceed the restoring force. Therefore, too strong pinching force does not damage the side wall 52 or the fixture 4D itself. In addition, even when the elastic bodies 27 and 29 of the clamping portions 12 and 13 are deteriorated due to wear and the like, the force for clamping the side wall 52 can be maintain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45.

상기 제1 예 내지 제4 예의 각 고정구(4A, 4B, 4C, 4D)는, 내측 고정체(14)에 프레임 탑재부(11)가 설치되어 있지만, 프레임 탑재부(11)는 외측 고정체(15)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프레임 탑재부(11)가, 내측 고정체(14) 및 외측 고정체(15)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In each of the fasteners 4A, 4B, 4C, and 4D of the first to fourth examples, the frame mounting portion 11 is provided on the inner fixing body 14, but the frame mounting portion 11 is the outer fixing body 15 may be installed on In addition, the frame mounting portion 11 may be provided on both the inner fixed body 14 and the outer fixed body 15 .

[고정구의 제5 예][Fifth example of fixture]

도 15는 고정구의 제5 예를 나타낸다. 이 고정구(4E)는, 상기 각 고정구(4A, 4B, 4C, 4D)와 같이 내측 고정체(14)와 외측 고정체(15)로 분할된 것은 아니다. 제1 (예를 들면, 내측)의 클램핑부(12)는, 고정구(4A, 4B), 4C, 4D)와 마찬가지로, 프레임 탑재부(11)의 일단(一端)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그 측벽(52)과의 접촉면에 탄성체(27)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2(예를 들면, 외측)의 클램핑부(13)는, 프레임 탑재부(11)의 타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수하부(垂下部)(49)에 대하여, 가압 수단인 압축 스프링(45)에 의해, 제1 클램핑부(12)의 측(내측)에 가압되고 있다. 클램핑부(13)는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압축 스프링(45)과 이와 관련된 구성은, 제4 예와 동일하다. 15 shows a fifth example of a fixture. This fixture 4E is not divided into an inner fixture 14 and an outer fixture 15 like the fixtures 4A, 4B, 4C and 4D. The first (eg, inner) clamping portion 12 extends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rame mounting portion 11, similarly to the fasteners 4A, 4B, 4C, and 4D, and the side wall ( An elastic body 27 is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with 52). In contrast, the second (e.g., outer) clamping portion 13 is a compression spring ( 45), it is pressed against the side (inside) of the first clamping portion 12. The clamping part 13 is made of an elastic body. The compression spring 45 and related components are the same as in the fourth example.

이 고정구(4E)는, 압축 스프링(45)이 자연 길이일 때의, 즉 압축 스프링(45)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을 때의 클램핑부(12)와 클램핑부(13)와의 거리 A보다 상단의 폭이 넓은 측벽(5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더블 너트(48)를 조여 압축 스프링(45)의 길이를 짧게 한 상태로, 한 쌍의 클램핑부(12, 13)에 의해 측벽(52)을 끼워넣어지고, 그 후, 더블 너트(48)를 느슨하게 하여 압축 스프링(45)을 해방 상태로 함으로써, 압축 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 측벽(52)을 클램핑하는다. This fixture 4E is at an upper end than the distance A between the clamping portion 12 and the clamping portion 13 when the compression spring 45 is at its natural length, that is, when no external force acts on the compression spring 45. It can be fixed to the wide side wall 52 of the. In a state where the length of the compression spring 45 is shortened by tightening the double nut 48, the side wall 52 is clamped by the pair of clamping parts 12 and 13, and then the double nut 48 is tightened. By loosening the compression spring 45 to a released state, the side wall 52 is clamp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45 .

이 고정구(4E)는, 내측 고정체(14)와 외측 고정체(15)로 분할되어 있지 않으므로,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축 스프링(45)의 복원력만으로 한 쌍의 클램핑부(12, 13)가 측벽(52)을 끼워넣으므로, 측벽(52)을 클램핑하는 개소(箇所)와 협입력을 발생시키는 개소가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여분의 모멘트를 발생시키지 않고, 고정구(4E)를 측벽(52)에 고정시킬 수 있다. Since this fixture 4E is not divided into the inner fixing body 14 and the outer fixing body 15,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pair of clamping parts 12 and 13 clamp the side wall 52 only with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45, the location for clamping the side wall 52 and the location for generating the pinching force are the same. It is located on a straight li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ix the fixture 4E to the side wall 52 without generating an extra moment.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추가, 변경 또는 삭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그와 같은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various additions, changes, or deletion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ame i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수력 발전 장치
2: 수력 발전 장치 본체
3: 지지 프레임
4a, 4b, 4c, 4c, 4e: 고정구
5: 날개차
6: 발전기
11: 프레임 탑재부
12, 13: 클램핑부
50: 수로
52: 측벽
1: hydro power plant
2: hydro power plant body
3: support frame
4a, 4b, 4c, 4c, 4e: Fixtures
5: wing car
6: generator
11: frame mount
12, 13: clamping part
50: waterway
52: side wall

Claims (9)

수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날개차(impeller) 및 상기 날개차의 회전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를 구비하는 수력 발전 장치 본체;
상기 수력 발전 장치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을 수로(水路; water channel)의 양측의 측벽에 각각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구;
를 포함하고,
상기 각 고정구는,
상기 수로의 대응하는 측벽의 상면에 탑재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를 탑재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임 탑재부(frame placing part); 및
상기 프레임 탑재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각각 맞닿아 상기 측벽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클램핑부(挾入部; clamping parts);를 구비하고,
상기 각 고정구가,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중 제1 클램핑부로서, 상기 측벽의 내측면에 맞닿는 제1 클램핑부를 구비하는 내측 고정체;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중 제2 클램핑부로서, 상기 측벽의 외측면에 맞닿는 제2 클램핑부를 구비하는 외측 고정체; 및
상기 제1 클램핑부 및 상기 제2 클램핑부의 상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 고정체 및 상기 외측 고정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고정체와 상기 외측 고정체 사이에, 양 단면(端面)이 상기 내측 고정체 및 상기 외측 고정체에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스페이서가 개재(介在)되는,
수력 발전 장치.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or main body having an impeller that converts hydraulic power into rotational force and a generator that generates power by rotation of the impeller;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main body of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and
a plurality of fixtures respectively fixing the support frame to the side walls of both sides of the water channel;
including,
Each of the above fixtures,
A frame placing par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side wall of the waterway and mounting and fixing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A pair of clamping parts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frame mounting part and clamping the sidewall by contac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idewall, respectively,
Each of the above fixtures,
an inner fixture including a first clamping part of the pair of clamping parts, the first clamping part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 outer fixture including a second clamping part of the pair of clamping parts, the second clamping part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inner fixture and the outer fixture to each other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lamping part and the second clamping part,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fixture and the outer fixture, a spacer having both ends in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the inner fixture and the outer fixture, respectively,
hydro power plant.
수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날개차(impeller) 및 상기 날개차의 회전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를 구비하는 수력 발전 장치 본체;
상기 수력 발전 장치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을 수로(水路; water channel)의 양측의 측벽에 각각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구;
를 포함하고,
상기 각 고정구는,
상기 수로의 대응하는 측벽의 상면에 탑재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를 탑재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임 탑재부(frame placing part); 및
상기 프레임 탑재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각각 맞닿아 상기 측벽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클램핑부(挾入部; clamping parts);를 구비하고,
상기 각 고정구가,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중 제1 클램핑부로서, 상기 측벽의 내측면에 맞닿는 제1 클램핑부를 구비하는 내측 고정체;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중 제2 클램핑부로서, 상기 측벽의 외측면에 맞닿는 제2 클램핑부를 구비하는 외측 고정체; 및
상기 제1 클램핑부 및 상기 제2 클램핑부의 상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 고정체 및 상기 외측 고정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각 고정구는,
상기 내측 고정체 및 상기 외측 고정체 중 어느 한쪽에 상기 수로의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중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부재가 상기 내측 고정체 및 상기 외측 고정체 중 어느 다른 쪽에 대하여 상기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수력 발전 장치.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or main body having an impeller that converts hydraulic power into rotational force and a generator that generates power by rotation of the impeller;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main body of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and
a plurality of fixtures respectively fixing the support frame to the side walls of both sides of the water channel;
including,
Each of the above fixtures,
A frame placing par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side wall of the waterway and mounting and fixing th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A pair of clamping parts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frame mounting part and clamping the sidewall by contac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idewall, respectively,
Each of the above fixtures,
an inner fixture including a first clamping part of the pair of clamping parts, the first clamping part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 outer fixture including a second clamping part of the pair of clamping parts, the second clamping part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inner fixture and the outer fixture to each other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lamping part and the second clamping part,
Each of the above fixtures,
An intermediate member fixed to either one of the inner fixture and the outer fixture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hannel in the width direction is provided, and the intermediate member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other of the inner fixture and the outer fixture Combined by the coupling means,
hydro power pla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구에는,
상기 제1 클램핑부 및 상기 제2 클램핑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서의 상기 측벽과의 접촉면에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수력 발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each fixture,
An elastic body is provided on a contact surface with the side wall in one or both of the first clamping portion and the second clamping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구에는,
상기 제1 클램핑부 및 상기 제2 클램핑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클램핑부를 다른 쪽의 클램핑부 측으로 가압(付勢)하는 가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수력 발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each fixture,
A hydraulic power generating device, wherein a pressing means for pres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clamping portion and the second clamping portion toward the other clamping portion is provid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구의 상기 프레임 탑재부는, 탑재하고 있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측단부가 상기 수로의 수류(水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restrict)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수력 발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rame mounting portion of each fixture includes a stopper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ide end portion of the mounted support frame in a water flow direction of the water passag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구가,
상기 프레임 탑재부에 탑재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단부의 단면에 대하여 수로 폭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수력 발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Each of the above fixtures,
and a pressing member capable of pressing a cross section of a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mounted on the frame mounting portion in a channel width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7019914A 2017-12-13 2018-12-11 hydro power plant and its fixtures KR1025678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38264 2017-12-13
JP2017238264A JP6990100B2 (en) 2017-12-13 2017-12-13 Hydropower equipment and its fixtures
PCT/JP2018/045402 WO2019117115A1 (en) 2017-12-13 2018-12-11 Hydraulic power generating device and fixing implements for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659A KR20200093659A (en) 2020-08-05
KR102567836B1 true KR102567836B1 (en) 2023-08-16

Family

ID=6681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914A KR102567836B1 (en) 2017-12-13 2018-12-11 hydro power plant and its fixture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90100B2 (en)
KR (1) KR102567836B1 (en)
WO (1) WO2019117115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2285A (en) * 2007-02-19 2008-09-04 Masae Suzuki Weeding implement for water way
JP2017145774A (en) * 2016-02-18 2017-08-24 Ntn株式会社 Hydraulic generating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3095A (en) * 1976-08-17 1978-03-03 Fuji Electric Co Ltd Adjustable cable brack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2285A (en) * 2007-02-19 2008-09-04 Masae Suzuki Weeding implement for water way
JP2017145774A (en) * 2016-02-18 2017-08-24 Ntn株式会社 Hydraulic generat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7115A1 (en) 2019-06-20
KR20200093659A (en) 2020-08-05
JP6990100B2 (en) 2022-01-12
JP2019105218A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80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 wind turbine at an offshore location
JP6244013B2 (en) Submersible active support structures for turbine towers and substations or similar elements in offshore installations
CN105793563B (en) Floatation type wind turbine support system
US7891953B2 (en) Rotating wedge leveler
US7611307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underwater based equipment
CN101617118B (en) Hydro column
CA2711152C (en) Turbine assembly
KR100697717B1 (en) Tidal current power plant
JP5185295B2 (en) Wind power pla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5351201A (en) Tidal power generation facility
KR102567836B1 (en) hydro power plant and its fixtures
KR102145730B1 (en) Floating apparatus for solar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on water
KR101583771B1 (en) electricity generating system using height adjustable waterwheel
KR101642489B1 (en) Half-diving type marine structure
KR102223888B1 (en) Solar power plant constructed on the water
KR20130110932A (en) Solarcell panel supporting structure having device for coupling buoyant member thereof
KR20110101306A (en) Hydro-power generator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KR101841135B1 (en) Wave power engine, generator and waterborne transportation using the engine
CN212056105U (en) Dynamic flexible pipe cable underwater floater
US20190040841A1 (en) Wave driven electrical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s
US20180003145A1 (en) Freely-controlled power generation apparatus
CN113494643A (en) Dynamic flexible pipe cable underwater floater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180112022A (en) Hydropower
WO2023189288A1 (en) Flui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refor
KR102145727B1 (en) Floating apparatus for solar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on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