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605B1 - Tooth chewing device - Google Patents

Tooth chew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605B1
KR102567605B1 KR1020210102462A KR20210102462A KR102567605B1 KR 102567605 B1 KR102567605 B1 KR 102567605B1 KR 1020210102462 A KR1020210102462 A KR 1020210102462A KR 20210102462 A KR20210102462 A KR 20210102462A KR 102567605 B1 KR102567605 B1 KR 102567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wing
transparent orthodontic
unit
tooth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4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20722A (en
Inventor
정주령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2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605B1/en
Publication of KR2023002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7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6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 중 적어도 하나에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상기 상악 치아와 상기 하악 치아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상악 치아와 상기 하악 치아의 츄잉(Chewing) 운동을 유도하는 츄잉 본체; 및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에 대향하게 상기 츄잉 본체에 마련되어, 츄잉 운동시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슬립을 방지하는 요철부를 포함하는, 치아 츄잉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s worn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teeth and any one of the lower teeth and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to which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s not mounted a chewing body for inducing a chewing motion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and a concave-convex portion provided on the chewing body to face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and preventing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from slipping during a chewing motion.

Description

치아 츄잉 장치{TOOTH CHEWING DEVICE}Tooth chewing device {TOOTH CHEWING DEVICE}

본 발명은 상, 하악 양쪽 치열 중 적어도 한쪽에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접합된 상태에서 양쪽 치아 사이에 개재되어, 양쪽 치아의 츄잉(Chewing) 운동을 통해 치아와 투명 치아 교정 장치 간의 접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아 츄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osed between both teeth in a state in which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s bonded to at least one of both upper and lower teeth, to improve the bonding between the teeth and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through a chewing motion of both teeth It relates to a tooth chewing device.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얼라이너 또는 상품명 인비절라인(Invisalign) 등으로 불리우며, 얇고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마우스피스 형태로 형성된다.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is called an aligner or a trade name of Invisalign,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mouthpiece made of a thin and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와이어 및 브라켓을 이용하지 않고도 치아를 교정할 수 있고 외관상 좋은 인상을 주므로, 최근 많이 활용되고 있다.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s can correct teeth without using wires and brackets and give a good appearance, so they have been widely used recently.

최근,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 중 적어도 하나에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착용을 착용하기 위해,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 중 어느 하나 및 양쪽에 착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사이에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츄잉(Chewing) 운동을 유도하여,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접합성을 향상시키는 치아 츄잉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치아 츄잉 장치는 츄이스(Chewies)라고 불리기도 한다.Recently, in order to wear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the upper jaw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to which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is not mounted and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worn on both sides A tooth chewing device has been developed that induces chewing motion between teeth and lower teeth to improve bonding properties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These tooth chewing devices are also called Chewies.

치아 츄잉 장치는 원칙적으로 일회용 소모품이나, 교정치료를 위한 장치 착용 기간 중 구강 내에서 장기간 여러 회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위생상태가 우려되는 실정이다.Dental chewing devices are, in principle, disposable consumables, but are often used continuously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e oral cavity during the period of wearing the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so hygiene is a concern.

또한, 종래의 치아 츄잉 장치는 짧은 직선 형태로 제작되어 구강내 삽입 시 구치부에 도달되지 않거나, 협측에 추가적인 윙이나 어테치먼트가 설계되는 경우 원하는 부위로의 도달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ooth chewing device is manufactured in a short straight shape and does not reach the posterior teeth when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r when an additional wing or attachment is designed on the buccal side, it is not easy to reach the desired part.

또한, 종래의 치아 츄잉 장치는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츄잉 운동시, 마찰력이 부족하여 슬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ooth chewing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slip occurs due to lack of frictional force during chewing motion between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또한, 손잡이가 따로 설계되지 않아, 구강 내에 삽입하거나 배출하는 과정에서, 착용자에게 구강 내의 비말, 타액으로 이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handle is not designed separate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wearer as droplets or saliva in the oral cavity during insertion or discharge into the oral cavity.

또한, 종래의 치아 교정 장치는 유통기한, 폐기기한 또는 소독 가능성에 대한 임상적인 가이드 라인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orthodontic appliance ha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clinical guideline for shelf life, disposal period, or sterilization possibility.

국내 등록특허 공보 제10-2060882호(2019.12.23)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60882 (2019.12.2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내 필요 삽입되는 부위의 디자인을 개선함으로써,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츄잉 운동시, 상악 치아 또는 하악 차이에 착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도달을 용이하게 하고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치아 츄잉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design of the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so that during the chewing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a transparent worn on the upper or lower jaw.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th chewing device capable of facilitating the arrival of orthodontic devices and preventing slipp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는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 중 적어도 하나에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상기 상악 치아와 상기 하악 치아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상악 치아와 상기 하악 치아의 츄잉(Chewing) 운동을 유도하는 츄잉 본체; 및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에 대향하게 상기 츄잉 본체에 마련되어, 츄잉 운동시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슬립을 방지하는 요철부를 포함한다.In the dental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s worn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any one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to which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is not mounted and a chewing body provided betwee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s and inducing a chewing motion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and a concave-convex portion provided on the chewing body to face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and preventing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from slipping during a chewing motion.

또한, 상기 츄잉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츄잉 본체의 유효기간, 폐기일 또는 소독 가능성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ewing body may further include an information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chewing body to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an expiration date, a discard date, or disinfection possibility of the chewing body.

또한, 상기 츄잉 본체는,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상기 상악 치아와 상기 하악 치아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사이 중 어느 하나가 맞물리는 츄잉부; 및 상기 츄잉 본체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ewing body may include: a chewing unit in which any one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to which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is not mounted and any one betwee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is engaged; and a holding portion for holding the chewing body.

또한, 상기 파지부는 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츄잉부는 상기 파지부의 일단부로부터 비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ping part may have a plate shape, and the chewing part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gripping part in a non-circular arc shape.

또한, 상기 츄잉 본체는, 장방형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Also, the chewing body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또한, 상기 요철부는 일정 폭의 직선형상을 가지며, 상기 츄잉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cave-convex portion may have a straight line shape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ewing body.

또한, 상기 요철부는 만곡된 호 형상을 가지며, 만곡된 영역이 상기 츄잉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교차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cavo-convex portion has a curved arc shape, and the curved areas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sam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ewing body, or may b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또한, 상기 츄잉부는 츄잉 운동에 따라 상기 츄잉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완충하는 완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ew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groove for buffering a load acting on the chewing unit according to a chewing mo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는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 중 적어도 하나에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상기 상악 치아와 상기 하악 치아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상악 치아와 상기 하악 치아의 츄잉(Chewing) 운동을 유도하는 츄잉 본체를 포함한다.In a dental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s worn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any one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to which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is not mounted and a chewing body provided betwee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s and inducing a chewing motion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또한, 상기 츄잉 본체는,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상기 상악 치아와 상기 하악 치아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사이 중 어느 하나가 맞물리는 츄잉부; 및 상기 츄잉 본체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ewing body may include: a chewing unit in which any one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to which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is not mounted and any one betwee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is engaged; and a holding portion for holding the chewing body.

또한, 상기 파지부는 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츄잉부는 상기 파지부의 일단부로부터 비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가 상기 츄잉부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gripping part may have a plate shape, the chewing part may extend in a non-arc shape from one end of the gripping part, and the gripping part may have a relatively longer length than the chewing part.

또한, 상기 츄잉 본체는, 환 형상을 가질 수 있다.Also, the chewing body may have an annular shape.

또한,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에 대향하게 상기 츄잉 본체에 마련되어, 츄잉 운동시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슬립을 방지하는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concave-convex portion provided on the chewing body to face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and prevent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from slipping during a chewing motion.

또한, 상기 츄잉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츄잉 본체의 유효기간, 폐기일 또는 소독 가능성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ewing body may further include an information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chewing body to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an expiration date, a discard date, or disinfection possibility of the chewing body.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는 구강내 필요 삽입되는 부위의 디자인을 개선함으로써,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츄잉 운동시, 상악 치아 또는 하악 치아에 착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도달을 용이하게 하고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design of the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so that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worn on the upper or lower teeth can be easily reached during the chewing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and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slipping.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가 하악 치아 및 상악 치아에 장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사이에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가 하악 치아 및 상악 치아에 장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사이에 마련된 상태에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가 하악 치아 및 상악 치아에 장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사이에 마련된 상태에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ntal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mounted on lower teeth and upper teeth.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mounted on the lower teeth and the upper teeth.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mounted on the lower teeth and the upper teeth.
7 is a plan view showing a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elem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typicall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component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are described. Let's explai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가 하악 치아 및 상악 치아에 장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사이에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ntal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mounted on lower teeth and upper teeth, and FIG. 2 is a toot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hewing device.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는 츄잉 본체(100) 및 요철부(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ewing body 100 and a concave-convex portion 200 .

츄잉 본체(100)는 하악 치아(2) 및 상악 치아(1)에 장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 사이에 마련되고, 상악 치아(1)와 하악 치아(2)의 츄잉(Chewing) 운동을 유도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가 상악 치아(1)에 착용되고 하악 치아(2)에는 착용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는 하악 치아(2)에 착용되고 상악 치아(1)에는 착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chewing body 100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10 mounted on the lower teeth 2 and the upper teeth 1, and performs chewing motion of the upper teeth 1 and the lower teeth 2. induc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10 is shown as being worn on the upper teeth 1 and not worn on the lower teeth 2,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10 may be worn on the lower teeth It may be worn on (2) and not worn on the maxillary teeth (1).

이와 같이, 츄잉 본체(100)에 의해 상악 치아(1)와 하악 치아(2)의 츄잉 운동이 유도되면,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가 상악 치아(1)를 향하여 이동됨에 따라,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의 접합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hewing motion of the upper teeth 1 and the lower teeth 2 is induced by the chewing body 100, as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10 moves toward the upper teeth 1, the transparent orthodontic The fitability of the device 10 may be improved.

본 실시예에서, 츄잉 본체(100)는 장방형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hewing body 100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이러한 츄잉 본체(100)는 츄잉 본체(100)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츄잉부(110) 및 츄잉 본체(100)의 타 영역에 마련되는 파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ewing body 100 may include a chewing unit 110 provided in one area of the chewing body 100 and a gripping unit 120 provided in another area of the chewing body 100 .

츄잉부(110)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가 장착되지 않은 상악 치아(1)와 하악 치아(2) 중 어느 하나 및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 사이에 맞물릴 수 있다. 여기서, 츄잉부(110)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앞니 부분에 맞물릴 수 있다.The chewing unit 110 may engage between any one of the upper teeth 1 and the lower teeth 2 to which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 is not mounted and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 . Here, the chewing unit 1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may be engaged with the front teeth.

츄잉부(110)는 츄잉 운동에 따라 츄잉부(1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완충하는 완충홈(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ewing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groove 112 for buffering a load acting on the chewing unit 110 according to a chewing motion.

완충홈(112)은 츄잉부(11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츄잉 운동시, 츄잉부(110)의 외면이 완충홈(112)을 향해 압박되면서, 츄잉부(110)에 작용하는 하중이 완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완충홈(112)은 장방형의 단면형상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완충홈(112)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uffer groove 112 may be hollow inside the chewing unit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during a chewing mo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chewing unit 110 is pressed toward the buffer recess 112, and the load acting on the chewing unit 110 can be buffered. For example, the buffer groove 112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uffer groove 112 may have a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파지부(120)는 츄잉 본체(100)를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츄잉부(110)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부(120)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120)에는 파지를 용이하기 하기 위한 파지홀(1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holding portion 120 is for holding the chewing body 100 and may extend from the chewing portion 110 . This gripping part 12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addition, a gripping hole 122 for facilitating gripping may be formed through the gripping portion 120 .

요철부(200)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에 대향하게 츄잉 본체(100)에 마련되어, 츄잉 운동시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의 슬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츄잉 운동시, 요철부(200)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와 츄잉 본체(100)의 마찰력을 확보함으로써,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와 츄잉 본체(100) 간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cavo-convex portion 200 is provided on the chewing body 100 to face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10, and serves to prevent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10 from slipping during chewing motion. Specifically, during a chewing motion, the concavo-convex portion 200 secures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 and the chewing body 100, thereby preventing slip betwee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 and the chewing body 100. can

본 실시예에서, 요철부(200)는 일정 폭의 직선형상을 가지며, 츄잉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요철부(200)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cave-convex portion 200 has a straight line shape with a certain width, and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ewing body 100 . Here, the uneven portion 20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는 정보 표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formation display unit 300 .

정보 표시부(300)는 츄잉 본체(100)에 마련되어, 츄잉 본체(100)의 유효기간, 폐기일 또는 소독 가능성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300 may be provided on the chewing body 100 to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piration date, disposal date, or disinfection possibility of the chewing body 10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의 착용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wearing example of the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상악 치아(1)에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가 착용된다. 물론, 하악 치아(2)에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가 착용될 수 있으나, 본 착용예에서는 상악 치아(1)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 is worn on the upper teeth 1 . Of course,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10 may be worn on the lower teeth 2, but in this wearing example, the upper teeth 1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다음으로, 하악 치아(2) 및 상악 치아(1)에 착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 사이에 츄잉 본체(100)가 배치된다.Next, the chewing body 100 is dis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 worn on the lower teeth 2 and the upper teeth 1 .

이어서, 착용자의 츄잉 운동이 시작된다. 그 결과,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가 그것이 착용된 상악 치아(1)를 향해 이동하며,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의 접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요철부(200)는 상악 치아(1)와 하악 치아(2)의 츄잉 운동시,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와 츄잉 본체(100) 간에 슬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n, the wearer's chewing movement begins. As a result,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 moves toward the maxillary teeth 1 on which it is worn, and the adhesion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 can be improved. At this time, the concave-convex portion 200 serves to prevent slipping betwee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 and the chewing body 100 during the chewing motion of the upper teeth 1 and the lower teeth 2 .

도 3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는 제1실시예와 달리, 요철부(200`)는 만곡된 호 형상을 가지며, 만곡된 영역이 츄잉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교차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n the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even portion 200' has a curved arc shape, and the curved area is the chewing body 100 )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sam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 or may be disposed intersecting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여기서, 요철부(200`)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교차 배치되는 경우,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요철부(200`)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한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요철부(200`) 사이에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에서 하나의 이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와 요철부(200`) 간에 마찰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Here, when the concavo-convex parts 200' are disposed crossing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a pair of concave-convex parts 200' adjacent to each other may have a concave arc shap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One of these parts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convex-convex portions 200′ adjacent to each other.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 and the concavo-convex portion 200'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본 발명의 제1, 2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는 30대 내지 60대의 중장년층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장년층의 경우 보철물, 결손치의 수복 등 타치과진료와 동시다발적으로 교정치료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가 전치열을 커버하지 못하거나 좌우 비대칭적인 설정으로 만들수 있다. 나아가,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가 전치열을 포함한다고 해도 강력한 힘을 부여하면 안 되는 부위나, 치아가 없는 결손 부위 등 다양한 경우의 수가 존재한다. 따라서, 작은 형태의 집중적인 힘을 주는 형태보다는 조금 더 유연한 힘을 분산하는 제1, 2실시예의 형태가 권장된다.Meanwhile, the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sed by middle-aged people in their 30s to 60s. In the case of the middle-aged, orthodontic treatment is often performed concurrently with other dental treatments such as prosthesis and restoration of missing teeth. In additio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 may not cover the anterior row of teeth or may be made in an asymmetric setting. Furthermore, even i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 includes an anterior row of teeth, there are a number of cases in which a strong force should not be applied or a missing area without teeth. Therefore, the form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at distribute a little more flexible force than the form of giving concentrated force in a small form are recommended.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가 하악 치아 및 상악 치아에 장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사이에 마련된 상태에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ntal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mounted on lower teeth and upper teeth, and FIG. 5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는 제1실시예와 달리, 요철부(200)가 생략되며, 파지부(120)는 판 형상을 가지고, 츄잉부(110`)는 파지부(120)의 일단부로부터 비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츄잉부(110`)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10) 중 어금니에 착용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to 5,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mits the uneven portion 200, and the gripping portion 120 has a plate shape , The chewing unit 110′ may be formed in a non-circular arc shape from one end of the gripping unit 120. Specifically, the chewing unit 110 ′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rtion worn on the molars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10 .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가 하악 치아 및 상악 치아에 장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사이에 마련된 상태에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ntal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mounted on lower teeth and upper teeth, and FIG. 7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a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는 제3실시예와 달리, 파지부(12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츄잉부(110`)는 파지부(120`)와 다단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즉, 파지부(120`)가 츄잉부(11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 unlike the third embodiment, in the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ing part 120′ can b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hewing part 110 `) may be connected to the gripping part 120` in multiple stages. That is, the gripping portion 120'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onger than the chewing portion 110'.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파지부(120`)를 파지하여 츄잉부(110`)를 최후 방구치까지 삽입한 후, 최후 방구치에서의 츄잉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fter inserting the chewing part 110' to the last molar by gripping the gripping part 120', the chewing movement in the last molar can be induced.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는 제1실시예와 달리, 츄잉 본체(100)가 환형을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n the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wing body 100 may have an annular shape.

그리고, 츄잉 본체(100)의 일 영역에는 츄잉부(110``)가 마련되고, 츄잉 본체(100)의 타 영역에는 파지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hewing unit 110 ″ may be provided in one area of the chewing body 100 , and a gripping unit 120 ″ may be provided in another area of the chewing body 100 .

또한, 츄잉부(110``)는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파지부(120``)는 츄잉부(110``)의 양단부를 연결하며 원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hewing unit 110`` may have a ring shape, and the gripping unit 120`` may have an arc shape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hewing unit 110``.

본 실시예에서는 츄잉부(110`)가 양측 어금니의 츄잉 운동을 동시에 유도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hewing unit 110' can simultaneously induce chewing movements of both molars.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는 소아층이나 유아층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아의 경우, 악궁이 크지 않아 가늘고 긴 형태보다는 잡기 쉽고, 한번 사용으로 접촉면적이 넓으며 분실, 흡입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 조도를 높일 수 있는 제5실시예의 형태가 권장된다. The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sed by children or infants. In the case of children, the arch is not large, so it is easier to grip than the long and thin shape, and the contact area is wide after one use, and there is a risk of loss or inhala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는 제5실시예와 달리, 츄잉부(110``)에는 요철부(200)가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in the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fifth embodiment, the chewing unit 110 `` has uneven portions 200 provid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can be.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는 구강내 필요 삽입되는 부위의 디자인을 개선함으로써, 상악 치아(1)와 하악 치아(2)의 츄잉 운동시, 상악 치아 또는 하악 치아에 착용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도달을 용이하게 하고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ooth chewing devices according to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 the design of the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so that the upper teeth (1) and the lower teeth (2) are chewing motion, the upper teeth or the lower jaw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arrival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worn on the teeth and preventing slip.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는 유통기한, 폐기기한 또는 소독 가능성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마킹부가 마련됨으로써, 유통기한, 폐기기한 또는 소독 가능성에 대한 임상적인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ooth chew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formation marking unit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expiration date, disposal date or disinfection possibility, so that clinic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n effective guideline.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치아 츄잉 장치는 파지부를 이용하여 구강 내에 삽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구강 내의 비말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ental chewing devices according to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ert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oral cavity using the gripper, it is possible to prevent droplets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oral cavity to the user. .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상악 치아
2: 하악 치아
10: 투명 치아 교정 장치
100: 츄잉 본체
110, 110`, 110``: 츄잉부
112: 완충홈
120, 120`, 120``: 파지부
122: 파지홀
200, 200`: 요철부
300: 정보 표시부
1: maxillary teeth
2: mandibular teeth
10: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100: chewing body
110, 110`, 110``: chewing part
112: buffer groove
120, 120`, 120``: gripping part
122: grip hole
200, 200`: uneven part
300: information display unit

Claims (14)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 중 적어도 하나에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상기 상악 치아와 상기 하악 치아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상악 치아와 상기 하악 치아의 츄잉(Chewing) 운동을 유도하는 츄잉 본체; 및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에 대향하게 상기 츄잉 본체에 마련되어, 츄잉 운동시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슬립을 방지하는 복수의 요철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요철부는 상기 츄잉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반대 방향으로 교차 배치되고,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요철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한 호 형상을 가지며,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요철부 사이에는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하나의 이 부분이 삽입되며,
상기 츄잉 본체는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상기 상악 치아와 상기 하악 치아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사이 중 어느 하나가 맞물리는 츄잉부와, 상기 츄잉부의 내부에 상기 츄잉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되는 완충홈을 포함하며,
상기 츄잉 운동에 의해 상기 츄잉부의 외면이 상기 완충홈을 향해 압박되는, 치아 츄잉 장치.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s worn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teeth and any one of the lower teeth and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to which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s not mounted, wherein the a chewing body for inducing a chewing motion of upper and lower teeth; and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portions provided on the chewing body to face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and preventing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from slipping during chewing motion;
The plurality of concave-convex portions ar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ewing body;
A pair of convex-convex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have a concave arc shap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nd one part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convex-convex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The chewing body includes a chewing unit in which one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to which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is not mounted and any one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is engaged,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ewing unit inside the chewing unit. It includes a hollow buffer groove along the
The tooth chewing device, wherein an outer surface of the chewing part is pressed toward the buffer groove by the chewing mo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츄잉 본체의 유효기간, 폐기일 또는 소독 가능성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치아 츄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ooth chew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n information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chewing body to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an expiration date, a discard date, or disinfection possibility of the chew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본체는,
상기 츄잉 본체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치아 츄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hewing body,
A tooth chewing device comprising a gripping portion for gripping the chewing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츄잉부는 상기 파지부의 일단부로부터 비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치아 츄잉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gripping part has a plate shape,
The chewing part is formed to extend in a non-arc shape from one end of the gripping part, tooth chew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본체는, 장방형의 판 형상을 갖는, 치아 츄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ooth chewing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chewing body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부는 츄잉 운동에 따라 상기 츄잉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완충하는 완충홈을 더 포함하는, 치아 츄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ooth chewing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chewing unit further includes a buffer groove for buffering a load acting on the chewing unit according to a chewing motion.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 중 적어도 하나에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상기 상악 치아와 상기 하악 치아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상악 치아와 상기 하악 치아의 츄잉(Chewing) 운동을 유도하는 츄잉 본체; 및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에 대향하게 상기 츄잉 본체에 마련되어, 츄잉 운동시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슬립을 방지하는 복수의 요철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요철부는 상기 츄잉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반대 방향으로 교차 배치되고,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요철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한 호 형상을 가지며,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요철부 사이에는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하나의 이 부분이 삽입되며,
상기 츄잉 본체는 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상기 상악 치아와 상기 하악 치아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사이 중 어느 하나가 맞물리는 츄잉부와, 상기 츄잉부의 내부에 상기 츄잉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되는 완충홈을 포함하며,
상기 츄잉 운동에 의해 상기 츄잉부의 외면이 상기 완충홈을 향해 압박되는, 치아 츄잉 장치.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s worn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teeth and any one of the lower teeth and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to which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s not mounted, wherein the a chewing body for inducing a chewing motion of upper and lower teeth; and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portions provided on the chewing body to face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and preventing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from slipping during chewing motion;
The plurality of concave-convex portions ar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ewing body;
A pair of convex-convex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have a concave arc shap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nd one part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convex-convex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The chewing body has an annular shape, and a chewing unit in which any one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and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re engaged, and the inside of the chewing unit A buffer groove hollow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ewing unit,
The tooth chewing device, wherein an outer surface of the chewing part is pressed toward the buffer groove by the chewing mo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본체는,
상기 츄잉 본체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치아 츄잉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chewing body,
A tooth chewing device comprising a gripping portion for gripping the chewing bod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츄잉부는 상기 파지부의 일단부로부터 비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가 상기 츄잉부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치아 츄잉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gripping part has a plate shape,
The chewing unit extends in a non-arc shape from one end of the gripping unit, and the gripping unit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chewing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츄잉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츄잉 본체의 유효기간, 폐기일 또는 소독 가능성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치아 츄잉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tooth chew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n information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chewing body to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an expiration date, a discard date, or disinfection possibility of the chewing body.




KR1020210102462A 2021-08-04 2021-08-04 Tooth chewing device KR1025676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462A KR102567605B1 (en) 2021-08-04 2021-08-04 Tooth chew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462A KR102567605B1 (en) 2021-08-04 2021-08-04 Tooth chew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722A KR20230020722A (en) 2023-02-13
KR102567605B1 true KR102567605B1 (en) 2023-08-16

Family

ID=85202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462A KR102567605B1 (en) 2021-08-04 2021-08-04 Tooth chew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60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0473A1 (en) * 2006-12-28 2008-07-03 Chunhua Li Dental aligner seating and removal tool and method of use
US20200100872A1 (en) * 2018-09-28 2020-04-02 IDM Tooling, LLC Tool for seating an orthodontic align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102329B1 (en) 2018-01-10 2020-04-20 김정남 Orthodontic treatment system including identification cod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784A (en) * 2004-08-02 2007-06-07 디스커스 덴탈 임프레션스 인코포레이티드 Dental impression trays
KR102060882B1 (en) 2018-03-23 2019-12-30 강혁권 Orthodontic Applia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0473A1 (en) * 2006-12-28 2008-07-03 Chunhua Li Dental aligner seating and removal tool and method of use
KR102102329B1 (en) 2018-01-10 2020-04-20 김정남 Orthodontic treatment system including identification code
US20200100872A1 (en) * 2018-09-28 2020-04-02 IDM Tooling, LLC Tool for seating an orthodontic aligner and method of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722A (en) 202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2266B2 (en) Dental tool
US8545219B2 (en) Outie tool for removal of a plastic tooth positioning appliance or aligner (invisible braces) from teeth of a patient
JP4979985B2 (en) Dysphagi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KR102106213B1 (en)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CN105792769A (en) Patient controlled dental device and method
US4915630A (en) Dental splint
US20200229896A1 (en) Dental and other prosthesis, apparatus and kit
US20210068526A1 (en) Toothbrush
US1142467A (en) Orthodontia appliance.
US20070072142A1 (en) Apparatus for dislodging an intraoral device
KR100845600B1 (en) A tooth bracket of tangled tooth for realignment
KR102567605B1 (en) Tooth chewing device
JP2007319304A (en) Dysphagia rehabilitation and training device
CN211049651U (en) Magnetic orthodontic device
WO2021020476A1 (en) Brushing method
KR101452691B1 (en) Dhesiontype cognition device for correction of temporomandibular
ES2892928T3 (en) oral care device
JP3212235U (en) Straightening device
JP2009131538A (en) Mastication training device
KR20110007782U (en) Nipper for tooth extracted
ES2352037T3 (en) DENTAL STICK
KR200447220Y1 (en) Articulation paper holder for Dentist
JP3668744B2 (en) (Bite block using thermoplastic material)
CN216257493U (en) Grid pliers for adhering tongue side buckle of invisible appliance
CN112716625B (en) Magnetic orthodont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