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426B1 -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426B1
KR102567426B1 KR1020230038803A KR20230038803A KR102567426B1 KR 102567426 B1 KR102567426 B1 KR 102567426B1 KR 1020230038803 A KR1020230038803 A KR 1020230038803A KR 20230038803 A KR20230038803 A KR 20230038803A KR 102567426 B1 KR102567426 B1 KR 102567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buyer
unit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수진
Original Assignee
한수진
(주)유컴패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수진, (주)유컴패니온 filed Critical 한수진
Priority to KR1020230038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으로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통합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서버는,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되되, 상기 개인정보는 개별정보유닛 단위로 형성되는 정보제공자모듈; 상기 정보제공자로부터 상기 개별정보유닛 단위로 판매가 위탁된 개인정보의 판매를 중개하되, 상기 개별정보유닛에 대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가치평가를 수행하는 중개자모듈; 상기 중개자모듈을 통해 상기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를 구성하는 개별정보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매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매자모듈; 상기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가 구매자에게 판매되어 수익이 발생된 경우, 상기 수익발생에 대한 상태를 상기 정보제공자에게 제공하는 운용상태관리모듈; 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management system that mediates personal information transactions and a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의 정보가 자신도 모르게 유출되거나 유용되어 자신이 전혀 알지도 못하는 개인이나 회사로부터 전화, 이메일 등을 통하여 각종 광고, 이벤트, 대출, 물품광고 등을 수신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개인의 사생활이 크게 침해되고 사회적으로도 중대한 문제가 되고 있다. 자신도 모르게 타인에게 자신의 정보가 유용되거나 불법적으로 제공되었을 경우 매우 불쾌하고 당황스러우며, 경우에 따라서는 개인정보 누출에 따른 위기감마저 느끼게 된다.
한편, 마케팅이나 시장조사와 같은 분야에서는 이러한 개인정보를 활용하여 시장의 타겟팅, 마케팅 비용 절감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인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기 위하여 음성적으로 거래가 이루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시장에 개인정보의 수요가 존재한다는 것은 결국 개인정보가 가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개인정보의 거래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재와 같이 개인의 정보가 아무런 대가 없이 음성적으로 유용되고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하게 된다면, 개인이나 그러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기업체나 판매자 모두에게 악영향을 끼치게 될 것은 자명하다.
개인정보를 능동적으로 판매하고자 하는 개인 또한 개인정보를 판매함으로 인하여 개인을 식별 당하거나, 개인을 식별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광고나 전화 연락, 이메일 등을 통한 개인에 대한 접근이 무분별하게 이루어진다면, 상당한 거부감과 함께 위기감을 느끼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능동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자 개인과 개인 정보를 원하는 구매자 사이의 합법적인 거래를 지원하기는 하나 개인에 대한 접근을 완벽히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많은 사람들은 적절한 이익이나 보상이 있다면 자신들의 개인정보를 공유하거나 팔고 싶은 의지가 있다. 특히, 최근 많은 사람들은 이제 자신의 개인정보를 일종의 경제적인 자산으로 생각하고 있다.
개인정보에 대한 판매 의지가 있는 경우, 개인정보의 종류와 그 중요도에 따라 그 가격을 다르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일 예시로서, 자신의 프라이버시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칠 것 같은 데이터 종류일 수록 평균적으로 가격이 비싸질 것이다. 이와 동시에, 개인정보 제공자는 점점 더 자신의 개인정보에 관한 통제와 투명한 활용을 원하므로 개인정보 생태계에서 이제 개인정보 제공자를 배제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개인정보 제공자의 더욱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구매자와의 투명한 거래를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출원인이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0844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인정보 생태계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개인정보 제공자의 이익(또는 이자) 실현을 고려함과 동시에, 개인정보가 1차적으로 거래된 이후에, 개인정보가 무분별하게 도용되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투명한 개인정보 사용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정보를 경제적 자산으로 활용하여, 개인정보 제공자의 선택에 따라, 개인정보의 경제적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으로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통합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서버는,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되되, 상기 개인정보는 개별정보유닛 단위로 형성되는 정보제공자모듈; 상기 정보제공자로부터 상기 개별정보유닛 단위로 판매가 위탁된 개인정보의 판매를 중개하되, 상기 개별정보유닛에 대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가치평가를 수행하는 중개자모듈; 상기 중개자모듈을 통해 상기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를 구성하는 개별정보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매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매자모듈; 상기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가 구매자에게 판매되어 수익이 발생된 경우, 상기 수익발생에 대한 상태를 상기 정보제공자에게 제공하는 운용상태관리모듈; 중개자 및 구매자 사이의 거래계약을 관리하는 거래관리모듈로서, 상기 거래계약의 대상이 되는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에 대한 개인정보블록이 생성되되, 상기 개인정보블록은 개별정보유닛의 계약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정보블록을 기반으로 하는 토큰(token)이 발행되는, 거래관리모듈;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개인정보블록에 대한 해쉬값을 연산하는 해쉬값연산부; 및 상기 개인정보블록의 토큰에 대한 트랜잭션 해쉬값(TxHash)이 누적하여 기록되는 블록체인네트워크; 를 포함하고, 상기 운용상태관리모듈은, 상기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가 복수의 구매자에게 판매되어 복수의 수익이 발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구매자 각각에 대한 수익을 독립적으로 연산하도록 설정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개자모듈은, 상기 구매자모듈로부터 제공된 구매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개별정보유닛에 대해 가치평가를 수행하는 가치평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구매자정보는 상기 구매자의 미리 입력된 사업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정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가치평가부는, 상기 구매자정보유닛과 상기 개별정보유닛 각각의 매칭도를 고려하여 상기 개별정보유닛에 대한 가치평가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자정보유닛에 포함된 사업정보는, 사업분야정보, 사업지역정보, 사업규모정보 및 사업목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별정보유닛은, 상기 정보제공자에 대한, 인적사항정보, 사회정보, 재산정보, 통신정보 및 동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동적정보는, 상기 정보제공자의 시공간정보, 관심사정보, 선호도정보 및 사회적관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치평가부는, 제n 구매자가 상기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를 제n+1 구매자에게 판매한 경우, 상기 정보제공자의 개별정보유닛 및 상기 제n+1 구매자의 구매자정보유닛에 대한 매칭도를 고려하여, 상기 개별정보유닛에 대한 새로운 가치평가가 수행되며, 상기 운용상태관리모듈은, 제1 내지 제n+1 가치평가를 합산하여 상기 정보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관리모듈은, 상기 제n 구매자가 상기 제n+1 구매자에게 판매한 경우, 상기 판매에 대한 거래정보를 누적 반영한 개인정보블록이 갱신되고, 상기 정보제공자모듈은, 상기 개인정보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개별정보유닛의 거래정보를 확인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용상태관리모듈은, 상기 제1 내지 제n+1 가치평가를 합산시, 상기 제1 내지 제n+1 가치평가 각각의 수수료율을 다르게 설정하여 제1 내지 제n+1 수수료율을 고려하여 합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자모듈은, 상기 개별정보유닛의 판매에 대한 조건을 부가하는 조건부가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건부가부는, 상기 개별정보유닛의 개방유효기간정보, 희망비용정보 및 판매제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으로서, (a) 정보제공자 단말을 통해,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되되, 상기 개인정보는 개별정보유닛 단위로 입력되는 단계; (b) 구매자 및 중개자에 의해, 상기 정보제공자 개인정보 거래계약이 체결되는 단계로서, 구매자모듈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정보유닛이 입력되는 단계; (c) 중계자모듈의 가치평가부에 의해, 상기 구매자정보유닛과 상기 개별정보유닛 각각의 매칭도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개별정보유닛에 대한 가치평가가 수행되는 단계; (d) 거래관리모듈에 의해, 상기 거래계약의 대상이 되는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에 대한 개인정보블록이 생성되되, 상기 개인정보블록은 개별정보유닛의 거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정보블록을 기반으로 하는 토큰이 발행되어 블록체인네트워크 상에 트랜잭션 해쉬값이 기록되는 단계; 및 (e) 운용상태관리모듈에 의해, 상기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가 구매자에게 판매되어 발생된 수익상태가 상기 정보제공자에게 제공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인정보 생태계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개인정보 제공자의 이익(또는 이자) 실현을 고려함과 동시에, 개인정보가 1차적으로 거래된 이후에, 개인정보가 무분별하게 도용되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투명한 개인정보 사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정보를 경제적 자산으로 활용하여, 개인정보 제공자의 선택에 따라, 개인정보의 경제적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에서 정보제공자 및 구매자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에서 개인정보 및 사업정보를 이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를 기준으로 가치평가부를 통해 정보제공자 및 구매자 사이의 개인정보 가치를 연산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에서 구매자가 다른 구매자에게 개인정보를 판매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에서 정보제공자 및 구매자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을 '시스템'이라 칭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정보제공자 단말(11) 및 구매자 단말(21)을 이용하여 통합서버(100)에 접속하여 서비스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는 정보제공자로부터 정보제공자가 거래의 대상이 되는 개인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고, 구매자는 구매자의 사업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구매자는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거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는 통합서버(100) 내에서 자동으로 처리되는 중개자가 존재하는 바, 도 1에서는 중개자가 생략된다.
정보제공자 단말(11)과 구매자 단말(21)은 각각 통신망을 통해서 통합서버(100)와 연결된다. 통신망은 인터넷 통신망 및 유무선,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제공자 단말(11) 및 구매자 단말(21)은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며,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시스템이다. 데이터베이스(101)와 연결된 통합서버(100)에서 주요 연산들이 수행되며, 통합서버(100)는 이러한 연산처리를 위해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를 포함한다.
통합서버(100)는 정보제공자모듈(110), 중개자모듈(120), 구매자모듈(130), 운용상태관리모듈(140), 거래관리모듈(150), 해쉬값연산부(161) 및 블록체인네트워크(160)를 포함한다.
정보제공자모듈(110)은 개인정보 입력부(111), 계정관리부(112) 및 조건부가부(113)를 포함한다. 개인정보 입력부(111)는 정보제공자에 대한 개인정보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정보제공자의 입력편의를 위해, 입력항목이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입력항목의 레벨이 구분될 수 있다. 레벨은 정보제공자의 프라이버시와 밀접한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프라이버시와 밀접할수록 상대적으로 해당 개별정보유닛의 가치는 더 크게 책정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개별정보유닛의 가치를 절대적 기준으로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구매자정보를 고려하여 상대적 기준도 함께 고려되어 산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를 먼저 참조하면, 개인정보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개인정보의 예시를 알 수 있다.
일 예시로서, 개인정보는 인적사항정보, 사회정보, 경제정보, 통신정보 및 동적정보를 포함한다.
'인적사항정보'는 정보제공자의 성명, 주민번호, 주소, 가족관계 등에 관한 것을 의미한다. '사회정보'는 정보제공자의 학력, 성적, 병역, 직업, 자격증, 직장 등에 관한 것을 의미하며, 이들의 기간정보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경제정보'는 정보제공자의 소득, 재산상황, 금융, 부동산 등의 경제와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정보'는 정보제공자의 이메일, 연락처 등의 정보를 의미한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정보제공자와 연락할 수 있는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동적정보'는 상기의 기초정보 이외에, 변동되는 정보를 모두 아우르는 정보를 의미한다. 시공간정보는 정보제공자의 위치정보와 해당 위치에서의 시간정보를 포함한다. 위치정보는 GPS 좌표, 주소, 장소, 장소의 타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심사정보는 정보제공자의 관심을 미리 설정된 수단을 통해 수집하여 형성된다. 일 예시로서, 여행, 요리, 음식, 운동 등과 같은 분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보다 세분하게 분류되어 구분될 수도 있다. 음식은 한식, 중식, 일식 중 어느 것을 선호하는 등에 대한 정보이다.
소셜관계정보는 정보제공자가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는 타인과의 관계의 타입(예를 들어, 친구, 친척, 부모 등), 관계의 유무, 관계의 강도, 관계의 방향 등이 미리 설정된 수단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정보제공자의 능동적인 정보제공 의사표시에 의하여 정보제공자 단말로부터 획득 가능한 모든 정보가 동적 정보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들의 수집은 현재 널리 적용되는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계정관리부(112)는 정보제공자의 계정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계정관리부(112)는 소정의 인증방식을 이용하여 로그인하도록 설정된다. 계정관리부(112)에 의해 인증되면, 정보제공자의 다른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바, 인증방식은 다소 보안성이 높은 방식으로 미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부가부(113)는 개인정보를 구성하는 개별정보유닛 각각에 조건을 부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조건은 기간, 대상, 비용 등의 모든 종류의 조건이 부가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소셜관계정보를 특정기간 동안만 구매자에게 열람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정기간이 도과하면, 더 이상 구매자는 소셜관계정보를 열람할 수 없으며, 본 발명은 블록체인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구매자가 다른 구매자에게 재판매를 한 경우에도, 열람을 강제종료시킬 수 있다.
대상은 일 예시로서, 구매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사업정보에는 판매를 제한하는 부가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은 정보제공자가 다양하게, 그리고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중개자모듈(120)은 정보제공자로부터 개별정보유닛 단위로 판매가 위탁된 개인정보의 판매를 중개하는 구성이다. 즉, 개인정보 거래에 있어서, 중개인의 역할을 수행한다. 가치평가부(122)를 통해, 정보제공자의 개별정보유닛에 대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가치평가를 수행한다.
중개자모듈(120)은 개별정보유닛에 대한 가치평가를 수행하며, 이러한 가치평가는 구매자모듈로부터 제공된 구매자정보를 기반으로, 가치평가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구매자정보를 제공받는 구매자정보유닛 확인부(121)와 개별정보유닛을 제공받는 개별정보유닛 확인부(123)를 모두 포함한다. 가치평가부(122)는 이들의 매칭도를 평가하여 가치를 연산한다.
도 4 및 5를 함께 참조하여, 가치평가부(122)의 연산 동작을 설명한다.
구매자정보는 정보제공자와 대응되도록 구매자정보유닛으로 구성된다. 구매자의 미리 입력된 사업정보를 기반으로 형성되며, 사업분야정보, 사업지역정보, 사업규모정보 및 사업목적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업정보를 고려하는 것은 사업정보를 개인정보의 활용정도로 간주하여 연산하는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매자가 입력한 구매자정보유닛을 기반으로, 정보제공자의 개별정보유닛을 평가하므로, 동일한 개별정보유닛이라도, 구매자에 따라, 다르게 가치평가될 수 있는 바, 가치평가에 있어서 가장 합리적인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절대적 희소성 이외에, 상대적 희소성을 더욱 고려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절대적 희소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절대적 희소성 및 상대적 희소성을 모두 고려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 예를 들어, 정보제공자의 사회정보 중 성적정보는 절대적 희소성이 높기 때문에, 절대적 희소성을 함께 고려한다. 일 예시로서, 상대적 희소성을 고려한 1차 가치평가값에 절대적 희소성을 고려한 보정상수를 더욱 고려하여 가치평가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상수는 설계자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설명의 편의상, 정보제공자의 사회정보는 X1 내지 X5로 구성되며, 구매자정보의 사업정보는 Y1 내지 Y4로 구성된다.
이 때, 학력(X1)에 대한 매칭도(상관관계를 의미함)를 Y1 내지 Y4를 모두 연산하고,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X2 내지 X4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1차 가치평가값은 이들을 모두 합산한 값을 의미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X1 내지 X4에 대한 보정상수를 각각 고려하는 방식이 제안될 수 있다. 도 5를 기준으로, 가치(1,1), 가치(1,2), 가치(1,3), 가치(1,4)에는 학력(X1)에 대한 보정상수가 고려될 수 있다.
구매자모듈(130)은 구매자정보 입력부(131), 가치평가결과 확인부(132) 및 재판매 관리부(133)를 포함한다. 구매자정보 입력부(131)는 구매자를 인증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구매자가 개인정보를 재판매하는 경우도 상정하기 때문에, 재판매 관리부(133)를 별도로 구비한다. 재판매 관리부(133)는 구매자A가 구매자B에게 판매한 개별정보유닛을 추적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거래관리모듈(150)은 중개자 및 구매자 사이의 거래계약을 관리한다. 거래계약의 대상이 되는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에 대한 개인정보블록을 생성시키며, 개인정보블록은 개별정보유닛의 계약정보를 포함하고, 개인정보블록을 기반으로 하는 토큰(token)을 발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개인정보블록 관리부(151) 및 토큰발행부(152)를 포함한다.
생성 또는 갱신되는 개인정보블록은 해쉬값연산부(161)를 거치게 된다. 해쉬함수를 통해, 개인정보블록에 대한 해쉬값을 연산하여 블록체인네트워크(160)에 온-체인(on-chain)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블록체인네트워크(160)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정보제공자는 본인의 개인정보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이 종래기술과 크게 차별된다고 볼 수 있다. 판매된 개인정보가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또는 어디에 판매되는지 확인 가능한 구성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에서 구매자가 다른 구매자에게 개인정보를 판매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거래관리모듈(150)은, 제n 구매자가 제n+1 구매자에게 판매한 경우, 상기 판매에 대한 거래정보를 누적 반영한 개인정보블록이 갱신된다. 이 때, 정보제공자모듈(110)은, 개인정보블록을 이용하여, 개별정보유닛의 거래정보를 확인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계정관리부(112)를 통해 가능하다.
제n 구매자가 제n+1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경우, 제n+1 구매자의 구매자정보를 기반으로 새로운 가치평가를 수행한다. 이 때, 정보제공자는 매 거래마다 수수료(또는 이자)를 지급받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만, 매 거래마다 수수료는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중개자에서 구매자1로 거래되는 제1 거래(C1)의 수수료보다 구매자2에서 구매자3으로 거래되는 제2 거래(C2)의 수수료가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분별한 개인정보의 재판매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거래(C1)보다 제2 거래(C2)가 나중에 이루어지는 바, 정보제공자 입장에서는 제2 거래(C2) 진행 여부를 놓치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설계방식을 통해, 구매자가 구매자와 거래계약을 하기보다는 관리자 역할을 수행하는 중개자와 거래계약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운용상태관리모듈(140)은,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가 복수의 구매자에게 판매되어 복수의 수익이 발생된 경우, 복수의 구매자 각각에 대한 수익을 독립적으로 연산하도록 설정된다. 제1 내지 제n+1 가치평가를 합산시, 제1 내지 제n+1 가치평가 각각의 수수료율을 다르게 설정하여 제1 내지 제n+1 수수료율을 고려하여 합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제공자는 운용상태관리모듈(140)에 의해, 개인정보 위탁에 대한 사항을 투자상품과 유사한 방식으로 리포팅받을 수 있다.
도 7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단계(S110) 내지 단계(S150)을 포함한다.
단계(S110)는 정보제공자 단말을 통해,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되되, 상기 개인정보는 개별정보유닛 단위로 입력되는 단계이다.
단계(S120)는 구매자 및 중개자에 의해, 상기 정보제공자 개인정보 거래계약이 체결되는 단계로서, 구매자모듈(13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정보유닛이 입력되는 단계이다.
단계(S130)는 중계자모듈(120)의 가치평가부(122)에 의해, 상기 구매자정보유닛과 상기 개별정보유닛 각각의 매칭도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개별정보유닛에 대한 가치평가가 수행되는 단계이다.
단계(S140)는 거래관리모듈(150)에 의해, 상기 거래계약의 대상이 되는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에 대한 개인정보블록이 생성되되, 상기 개인정보블록은 개별정보유닛의 거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정보블록을 기반으로 하는 토큰이 발행되어 블록체인네트워크(160) 상에 트랜잭션 해쉬값이 기록되는 단계이다.
단계(S150)는 운용상태관리모듈(140)에 의해, 상기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가 구매자에게 판매되어 발생된 수익상태가 상기 정보제공자에게 제공되는 단계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통합서버
110: 정보제공자모듈 120: 중개자모듈
130: 구매자모듈 140: 운용상태관리모듈
150: 거래관리모듈 160: 블록체인네트워크

Claims (5)

  1.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통합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서버는: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되되, 상기 개인정보는 개별정보유닛 단위로 형성되는 정보제공자모듈;
    상기 정보제공자로부터 상기 개별정보유닛 단위로 판매가 위탁된 개인정보의 판매를 중개하되, 상기 개별정보유닛에 대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가치평가를 수행하는 중개자모듈;
    상기 중개자모듈을 통해 상기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를 구성하는 개별정보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매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매자모듈; 및
    상기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가 구매자에게 판매되어 수익이 발생된 경우, 상기 수익의 발생에 대한 상태를 상기 정보제공자에게 제공하는 운용상태관리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중개자 및 구매자 사이의 거래계약을 관리하는 거래관리모듈로서, 상기 거래계약의 대상이 되는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에 대한 개인정보블록이 생성되되, 상기 개인정보블록은 개별정보유닛의 계약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정보블록을 기반으로 하는 토큰(token)이 발행되는, 거래관리모듈;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개인정보블록에 대한 해쉬값을 연산하는 해쉬값연산부; 및
    상기 개인정보블록의 토큰에 대한 트랜잭션 해쉬값(TxHash)이 누적하여 기록되는 블록체인네트워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용상태관리모듈은 상기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가 복수의 구매자에게 판매되어 복수의 수익이 발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구매자 각각에 대한 수익을 독립적으로 연산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중개자모듈은:
    상기 구매자모듈로부터 제공된 구매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개별정보유닛에 대해 가치평가를 수행하는 가치평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구매자정보는 상기 구매자의 미리 입력된 사업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정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가치평가부는 상기 구매자정보유닛과 상기 개별정보유닛 각각의 매칭도를 고려하여 상기 개별정보유닛에 대한 가치평가가 수행되고,
    상기 개별정보유닛은 상기 정보제공자에 대한 인적사항정보, 사회정보, 재산정보, 통신정보 및 동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동적정보는, 상기 정보제공자의 시공간정보, 관심사정보, 선호도정보 및 사회적관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가치평가부는, 제n 구매자가 상기 정보제공자의 개인정보를 제n+1 구매자에게 판매한 경우, 상기 정보제공자의 개별정보유닛 및 상기 제n+1 구매자의 구매자정보유닛에 대한 매칭도를 고려하여, 상기 개별정보유닛에 대한 새로운 가치평가가 수행되며,
    상기 운용상태관리모듈은, 제1 내지 제n+1 가치평가를 합산하여 상기 정보제공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38803A 2023-03-24 2023-03-24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567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803A KR102567426B1 (ko) 2023-03-24 2023-03-24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803A KR102567426B1 (ko) 2023-03-24 2023-03-24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426B1 true KR102567426B1 (ko) 2023-08-17

Family

ID=87800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803A KR102567426B1 (ko) 2023-03-24 2023-03-24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4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719A (ko) * 2000-05-08 2001-11-16 진한승 인터넷을 통한 개인정보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08446A (ko) 2010-03-29 2011-10-06 로데브주식회사 스마트폰에서 광고 배분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40096226A (ko) * 2013-01-25 2014-08-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정보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9898A (ko) * 2019-01-18 2020-07-28 주식회사 제나 블록체인을 활용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JP2021174485A (ja) * 2020-04-30 2021-11-01 株式会社ミクシィ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719A (ko) * 2000-05-08 2001-11-16 진한승 인터넷을 통한 개인정보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08446A (ko) 2010-03-29 2011-10-06 로데브주식회사 스마트폰에서 광고 배분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40096226A (ko) * 2013-01-25 2014-08-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정보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9898A (ko) * 2019-01-18 2020-07-28 주식회사 제나 블록체인을 활용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JP2021174485A (ja) * 2020-04-30 2021-11-01 株式会社ミクシィ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osh et al. Digital deceit: the technologies behind precision propaganda on the internet
Mansell et al.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Digital Communication and Society, 3 Volume Set
Zhang et al. Value of big data to finance: observations on an internet credit Service Company in China
KR101299467B1 (ko) 유효 기간과 유효 계층수-기반의 다단계회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211911A1 (en) Permissioned use predictive interactions
Agarwal et al. E-commerce: true indian picture
US20220261848A1 (en) Micro influencer hyperlinking
MacCarthy New directions in privacy: Disclosure, unfairness and externalities
Robinson What’s your anonymity worth? Establishing a marketplace for the valuation and control of individuals’ anonymity and personal data
Fletcher et al. Consumer protection for online markets and large digital platforms
Ciocchetti Just click submit: The collection, dissemination, and tagging of personally identifying information
Jung et al. Dynamics of Dark Web financial marketplaces: An exploratory study of underground fraud and scam business
Ribadu et al. A generic framework for e-commerce requirements to comply with Sharia in business-to-consumer perspective
Chen et al. Understanding big data: Data calculus in the digital era
Ghosh et al. The technologies behind precision propaganda on the Internet
KR102567426B1 (ko) 개인정보거래를 중개하는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Singhal E-marketing: Growth and challenges in Indian perspective
Yang et al. Accountancy for E-Business Enterprises based on cyber security
Nawi et al. Understanding the Social Commerce Scam and Consumers Self Disclosure
Anshari et al. Digital marketplace as a new frontier of electronic commerce
Ou Privacy perception of online shopping behavior between millennials and non-millennials in Chinese digital marketing
Yousef Social Media with its Role in Supporting E-Commerce and its Challenges.
Bolton et al. Understanding Big Data: Data Calculus in the Digital Era
Pieczarka Conditions of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erce in Poland
Naranjo The impact of Technology on Consumer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