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575B1 - Fixing device for toroidal bombe with load divergence function - Google Patents

Fixing device for toroidal bombe with load divergence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575B1
KR102566575B1 KR1020220059269A KR20220059269A KR102566575B1 KR 102566575 B1 KR102566575 B1 KR 102566575B1 KR 1020220059269 A KR1020220059269 A KR 1020220059269A KR 20220059269 A KR20220059269 A KR 20220059269A KR 102566575 B1 KR102566575 B1 KR 102566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trunk
fixing device
body part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2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젠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젠트
Priority to KR1020220059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575B1/en
Priority to KR1020230103618A priority patent/KR10260102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5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60K15/07Mounting of tanks of ga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3Tank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2015/0638Arrangement of tanks the fuel tank is arranged in the rea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10Energy storage devices
    • B60Y2400/104Energy storage devices for liquid petrol ga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과 도넛형 봄베의 체결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는 도넛형 연료탱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탱크의 상측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외곽으로 연장되어 트렁크사이드측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마운팅부와, 연료탱크의 중심공간 내주측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바디부의 연결 부위에 지지되고 타단이 트렁크 베이스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roidal fuel tank fix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structural stability when a vehicle and a toroidal cylinder are fastened, comprising: a body part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a part of the upper part of a fuel tank; and extending from the body part to the outs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one or more mounting parts fastened to the trunk side side,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entral space of the fuel tank, one end supported by the connection part of the body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runk base.

Description

하중 분산기능을 가지는 도넛형 연료탱크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TOROIDAL BOMBE WITH LOAD DIVERGENCE FUNCTION}Toroidal fuel tank fixing device with load distribution function {FIXING DEVICE FOR TOROIDAL BOMBE WITH LOAD DIVERGENCE FUNCTION}

본 발명은 LPG를 연료로 이용하는 차량의 탱크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과 도넛형 봄베의 체결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는 도넛형 연료탱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nk mounting structure of a vehicle using LPG as a fu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roidal fuel tank fix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structural stability when a vehicle and a toroidal cylinder are fastened.

기존의 LPG 차량의 연료탱크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트렁크에 설치되기 때문에 트렁크의 공간활용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의 LPG 차량들은 트렁크 바닥에 스페어 타이어를 적재하던 공간에 연료탱크를 설치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트렁크 공간을 넓게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연료탱크는 스페어 타이어와 유사한 링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이를 도넛 탱크라고 호칭하기도 한다.Since the fuel tank of an existing LPG vehicle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installed in the trunk of the vehicle, utilization of space in the trunk is very limited. However, recent LPG vehicles utilize a wide trunk space by adopting a structure in which a fuel tank is installed in a space where a spare tire was loaded on the trunk floor. As this structure is adopted, the fuel tank has a ring shape similar to that of a spare tire, so it is also called a donut tank.

이러한 LPG 연료 탱크는 기밀성과 구조적 견고성을 가져야 하며, 예기치 않게 유출된 가스가 차량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환기되지 못한 잔류 가스로 인하여 화재나 폭발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 등의 안전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Such an LPG fuel tank must have airtightness and structural robustness, and must satisfy safety conditions such as ensuring that unexpectedly leaked gas is discharged outside the vehicle so that fire or explosion does not occur due to unventilated residual gas.

일본공개특허 특개2006-111166호는 종래기술의 탱크 지지구조를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6-111166 discloses a tank support structure of the prior art, and FIG. 1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thereof.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료 탱크(12)는 탱크 지지구조(10)에 의하여 차체에 지지되고 있다. 연료 탱크(12)의 천판(14)의 가운데에 오목하게 브래킷 홈(26)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공간에 브래킷(34)이 들어가 있다. 저판(16)에도 오목부(38)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플레이트(40)가 끼워 넣어져 있다. 연료탱크에는 관통공(30)이 형성되어 상하를 관통하여 볼트(44)가 연료 탱크(12)를 차체에 고정하여 지지하고 있다. Looking at this in detail, the fuel tank 12 is supported on the vehicle body by the tank support structure 10 . A bracket groove 26 is concavel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op plate 14 of the fuel tank 12, and the bracket 34 is inserted into the space. A concave portion 38 is also formed in the bottom plate 16, and a support plate 40 is fitted therein. Through-holes 30 are formed in the fuel tank, and bolts 44 pass through the top and bottom to fix and support the fuel tank 12 to the vehicle body.

이렇게 도넛형 연료탱크는 중심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위치에 자리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적 효율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그 체결구조도 단순한 장점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의 종래기술과 같이 1점식 지지구조로 고정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Since the toroidal fuel tank has a predetermined space at the center and can be positioned at the location of the spare tire, space efficiency is high and the fastening structure is simple. Conventionally, it was common to fix with a one-point support structure as in the prior art.

그런데, 이러한 고정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지속적인 운행에 따른 진동이나 차량의 충돌 등의 원인에 의하여 연료 탱크에 대한 지지력이 저하되고 연료 탱크가 자리에서 이탈되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심각한 경우 연료가 누출되거나 사고시 연료탱크가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도 발생한다. However, in the case of adopting such a fixing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upport for the fuel tank is lowered and the fuel tank is displaced from its seat or damaged due to causes such as vibration caused by continuous operation or collision of a vehicle. In serious cases, fuel may leak or the fuel tank may come into the room in the event of an acciden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볼트에 추가적 또는 선택적으로 브라켓을 추가로 설치하여 연료 탱크를 견고하게 지지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공간적인 한계로 인하여 그 설계 및 시공이 어려워지는 한계가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ttempts have been made to firmly support the fuel tank by additionally or selectively installing brackets on the bolts,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design and construction are difficult due to space limitations.

한편, 차량에 높은 강성을 가지는 부재로 견고하게 체결하려는 시도도 있으나 이 경우 차량의 진동을 그대로 받아야 할 뿐만 아니라 충격 등에 의하여 차체에 변형이 가해지면 부차적인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상존한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attempt to firmly fasten the vehicle with a member having high rigidity, but in this case,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must be received as it is, and there is a risk of secondary damage when deforma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body due to impact.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과 연료탱크의 연결성이 우수하고 진동이나 충격에 대한 안전성 보장의 기능이 극대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도넛형 연료탱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toroidal fuel tank fix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uel tank is excellent and the function of guaranteeing safety against vibration or shock can be maximized aims to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넛형 연료탱크를 트렁크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연료탱크의 전방 상측을 감싸는 전방바디부(110)와, 연료탱크의 후방 상측을 감싸는 후방바디부(120)와, 상기 전방바디부의 외곽으로 연장되어 트렁크사이드에 체결되는 전방마운팅부(210)와, 상기 후방바디부의 외곽으로 연장되어 트렁크사이드에 체결되는 후방마운팅부(220)와, 연료탱크의 중심공간의 내주측에 배치되고 트렁크베이스측으로 연료탱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20)를 포함하는 연료탱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ing device for installing a toroidal fuel tank in a trunk, a front body portion 110 surrounding the front upper side of the fuel tank, and a rear body portion covering the rear upper side of the fuel tank. 120, a front mounting part 210 extending outside the front body part and fastened to the trunk side, a rear mounting part 220 extending outside the rear body part and fastening to the trunk side, and a fuel tank Provided is a fuel tank fixing device including an elastic member 420 dispos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a central space and providing elastic force to the fuel tank toward a trunk base.

또한, 탱크저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 내주에 삽입되는 어댑터부(430) 및 상기 어댑터부 및 탱크저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체결부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adapter part 430 disposed above the tank bottom and inserted into the low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elastic member and a fastening member 440 disposed through the adapter part and the tank bottom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전방바디부 및 후방바디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nnection part 300 connecting the front body part and the rear body part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연결부는, 탄성부재의 상측을 지지한다. The connection part supports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상기 연결부는, 중심공간을 덮는 상판부(310)와, 상기 상판부와 전방바디부 및 후방바디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레그부(320)와, 상기 상판부의 저부로 돌출되어 탄성부재의 상측 내주에 삽입되는 돌부(33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top plate part 310 covering the central space, one or more leg parts 320 connecting the top plate part and the front body part and the rear body part,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top plate part and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elastic member. It may be configured with a protrusion 330 .

한편, 상기 레그부가 상판부를 더 하측으로 배치하도록 단차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마운팅부 및 후방마운팅가 전방바디부 및 후방바디부를 더 하측으로 배치하도록 절곡된 보강부(202)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tep portion 321 is formed so that the leg portion disposes the upper plate portion lower, and the front mounting portion and the rear mounting portion have a reinforced portion 202 bent so as to dispose the front body portion and the rear body portion lower. desirable.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종래기술에서 채용하고 있는 1점 고정방식을 개선하여 트렁크사이드에 4개의 부위의 지지와, 중심측에서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1점의 지지의 관계를 통해 연료탱크의 정확하고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면서도 사고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연료탱크의 위치 이탈의 문제와, 연료탱크의 파손으로 인한 재산과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improving the one-point fixing method employed in the prior art, the fuel tank is secur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of four parts on the trunk side and the support of one point elastically fixed on the center side. Accurate and solid support is possible, and it is possible to respond flexibly to accident situations, so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problem of dislocation of the fuel tank and damage to property and human life due to damage of the fuel tank.

또한, 법률적 안전규정을 충족하면서도 연료탱크 자체에 부하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구조적인 복잡성이 없기 때문에 제조와 시공에 있어서 경제적이며 진동과 소음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ile meeting legal safety regulations, the load on the fuel tank itself can be minimized, and since there is no structural complexity, it is economical in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and has excellent effects on vibration and noise.

도 1은 종래기술의 탱크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중 분산기능을 가지는 도넛형 연료탱크 고정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중 분산기능을 가지는 도넛형 연료탱크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기능을 가지는 도넛형 연료탱크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서의 결합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nk support structure in the prior art.
2 is a plan view of a toroidal fuel tank fixing device having a load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roidal fuel tank fixing device having a load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of a toroidal fuel tank fixing device having a load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coupled state in the embodiment of FIG. 4;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기능을 가지는 도넛형 연료탱크 고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toroidal fuel tank fixing device having a load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품이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connected with other parts or devices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자동차의 트렁크에 배치되는 연료탱크를 고정배치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연료탱크의 상측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외곽으로 연장되어 트렁크사이드측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마운팅부와, 연료탱크의 중심공간 내주측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바디부의 연결 부위에 지지되고 타단이 트렁크 베이스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fixing device for fixing and arranging a fuel tank disposed in a trunk of a vehicle, comprising: a body part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a part of the upper side of the fuel tank; and a trunk side side extending from the body part to the outs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one or more mounting parts fastened to,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entral space of the fuel tank, one end supported by the connection part of the body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runk base.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자동차의 종류 및 트렁크의 유형은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연료탱크가 수용되는 트렁크의 부위는 후방 트렁크의 스페어타이어가 배치되는 부위를 주요한 예로 설명하나, 상기 트렁크는 반드시 승용차의 후방 트렁크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전방에 배치되는 트렁크 또는 트럭의 적재공간 또는 승합차의 실내공간 등 연료탱크가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The type of car and the type of trunk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invention. The part of the trunk where the fuel tank is accommodated will be described as a main example of the part where the spare tire of the rear trunk is placed, but the trunk must be not only the rear trunk of a passenger car but also the trunk disposed in the front of the car, the loading space of a truck, or the interior of a van. It will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spaces in which a fuel tank can be disposed, such as a space.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연료탱크는 전체적으로 링 형태로 이루어져 중심에 홈 내지는 홀 형태의 중심공간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 크기나 형상은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fuel tank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ing shape as a whole and has a central space in the form of a groove or a hole in the center, but the size or shape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본 발명의 설명들에서 연료탱크가 수용되는 트렁크의 측부를 트렁크사이드로, 연료탱크의 저부와 마주보는 트렁크의 부위를 트렁크베이스로 정의하도록 한다. In the descrip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of the trunk in which the fuel tank is accommodated is defined as the trunk side, and the portion of the trunk facing the bottom of the fuel tank is defined as the trunk base.

도 2는 본 발명의 하중 분산기능을 가지는 도넛형 연료탱크 고정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2 is a plan view of a toroidal fuel tank fixing device having a load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연료탱크의 전체적인 구조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기능하는 고정바디(100)는 도넛 형태의 연료탱크의 형상에 대응되어 이루어지며, 고정바디(100)를 구성하는 바디부의 상면부(111)와 측면부(112)가 연료탱크의 상측을 감싸고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바디부는 연료탱크의 상판을 마주보는 판 형태의 상면부(111)와 연료탱크의 측면을 따라 내려가는 부위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형태의 측면부(112)를 가질 수 있다. The fixed body 100, which functions as a frame for support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fuel tank, is made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of the donut-shaped fuel tank,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and the side portion of the body constituting the fixed body 100 ( 112) covers the top of the fuel tank. In one embodiment, the body portion may have a plate-shaped upper surface portion 111 facing the top plate of the fuel tank and a round side surface portion 112 corresponding to a portion going down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fuel tank.

예를 들어 상기 바디부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연료탱크의 외곽을 감싸는 하나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For example,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body part has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uel tank when viewed from above.

다만, 체크밸브 및 연료펌프의 배치 및 자동차와의 연결관계를 고려하여 연료탱크의 부위가 노출될 수 있도록 장비공간(103)에서 단절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상태에서 장비공간(103)은 좌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반대되는 우측에는 이격공간(102)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공간(102)은 후방에서의 충격시 자동차와의 마운팅부에 대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소정의 완충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However, it is preferable to be disconnected from the equipment space 103 so that the portion of the fuel tank can be ex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check valve and the fuel pump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the vehicle. In the illustrated state, the equipment space 103 is formed on the left side, and the spaced space 102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pposite to this. The separation space 102 may function as a predetermined buffering space capable of maintaining a fastening force to the mounting part with the vehicle upon impact from the rea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장비공간(103)과 이격공간(102)에 의하여 고정바디(100)의 연료탱크와 밀착될 수 있는 전후방의 바디부는 단절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바디부는 전방바디부(110)와 후방바디부(120)로 구분될 수 있다. The front and rear body parts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uel tank of the fixed body 100 are disconnected by the equipment space 103 and the separation space 102, and accordingly, the body part is separated from the front body part 110 and the rear body part ( 120) can be distinguished.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전방마운팅부(210)가 배치되는 부위가 차량의 앞을 지향하기 때문에 해당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Based on the illustrated state, since the portion where the front mounting unit 210 is disposed is direct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s defined as the front for description.

도시된 예에서 후방바디부(120)가 전방바디부(110)보다 원주방향으로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자동차의 트렁크에 배치되는 연료탱크의 형상과 유형에 의하여 가변적이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rear body portion 120 is short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n the front body portion 110, but this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shape and type of a fuel tank disposed in the trunk of a vehicle.

이러한 전방바디부(110)와 후방바디부(120)의 일부에는 연료탱크의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손잡이홀(101)이 더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A handle hole 101 may be further formed in a portion of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so that the handle of the fuel tank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전방바디부(110)와 후방바디부(120)를 내주측에서 상호 연결하도록 연결부(300)가 배치된다. 이러한 연결부(300)는 트렁크베이스에 소정의 연결구조를 가지는데 상하로 가해지는 힘의 전달 및 완충을 위하여 트렁크베이스와 연결부(300) 사이에는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거나 변형이 가능한 소정의 탄성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실시예는 후술한다. The connection part 300 is disposed to interconnect the front body part 110 and the rear body part 120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The connection part 300 has a predetermined connection structure to the trunk base. A predetermined elastic member capable of providing or deforming downward elastic force is provided between the trunk base and the connection part 300 in order to transmit and buffer forces applied up and down. may be intervened. Example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전방바디부(110)에는 트렁크사이드와 체결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전방마운팅부(210)가 구성될 수 있으며, 후방바디부(120)에도 트렁크사이드와 체결하기 위하여 한 쌍의 후방마운팅부(22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마운팅부에는 체결부재의 관통을 위한 마운팅홀이 구성될 수 있다. A pair of front mounting parts 210 may be configured in the front body part 110 to fasten with the trunk side, and a pair of rear mounting parts 220 in order to fasten with the trunk side also in the rear body part 120. ) can be configured. A mounting hole for passing a fastening member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mounting parts.

이러한 전방마운팅부(210)와 후방마운팅부(220)의 방향은 트렁크의 장착되는 부위, 더욱 정확하게는 트렁크사이드의 형상에 따라 방향성이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방마운팅부(210)가 전방바디부(110)의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후방마운팅부(220)는 전후방향의 공간적인 한계를 고려하여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후방에서의 충격을 고려하면 차량의 길이방향에 대해 전방마운팅부(210)가 사선으로 힘을 분산할 수 있고, 후방마운팅부(220)는 측방에서의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방향성이 안전성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다. Directions of the front mounting part 210 and the rear mounting part 22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unting part of the trunk, more precisely, the shape of the trunk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ront mounting portion 210 extends radially from the front body portion 110, but the rear mounting portion 220 is configured to extend left and right in consideration of spatial limitation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Considering the impact from the rear, the front mounting part 210 can distribute the force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rear mounting part 220 can maintain the fixing force from the side, so this directionality improves safety. can be effective for

상기된 전방바디부(110), 후방바디부(120), 전방마운팅부(210) 및 후방마운팅부(220)는 판상의 부재가 절곡, 절단 및 용접되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자동차용 내압용기 안전에 관한 규정'의 충돌 성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3.2T 이상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mentioned front body part 110, rear body part 120, front mounting part 210 and rear mounting part 220 can be mutually coupled in a way that plate-shaped members are bent, cut and welded, and 'for automobiles' It can be formed with a thickness of 3.2T or more to satisfy the crash performance of 'Regulations on Safety of Pressure-Resistant Containers'.

종래기술에서는 연료탱크를 직접 트렁크의 수용부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자동차에 고정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사고의 발생시의 문제와 내구성의 한계에 대하여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In the prior art, the fuel tank is fixed to the vehicle by directly fastening it to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trunk. In this case, problems in case of an accident and limitations of durability ar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서는 연료탱크가 직접 자동차의 부위에 체결되지 않으며 고정바디(100)를 통하여 연결되는데, 상기와 같이 양측 전방마운팅부(210)의 지점인 마운팅홀들과 후방마운팅부(220)의 마운팅홀들 및 전방바디부(110)와 후방바디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 저부에서 트렁크베이스에 대한 지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총 5점의 지지가 이루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tank is not directly fastened to the part of the vehicle, but is connected through the fixed body 100. 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holes that are the points of the front mounting part 210 on both sides and the mounting hole of the rear mounting part 220 Since the trunk base is supported at the bottom of the trunk base and the connection part 300 connecting the front body part 110 and the rear body part 120, a total of 5 points of support is achieved.

도 3은 본 발명의 하중 분산기능을 가지는 도넛형 연료탱크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roidal fuel tank fixing device having a load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연료탱크 고정장치가 트렁크의 부위에 대해 5점에서 지지되고 있으며, 고정바디(100)의 각 마운팅부에서 4점 지지에 추가하여 대략 중심측에서 1점 지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연료탱크가 트렁크의 부위와 직접 체결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tank fixing device is supported at 5 points for the trunk area, and in addition to the 4-point support at each mounting portion of the fixing body 100, 1 point support is made at the approximately center side. are losing According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uel tank is not directly coupled to the trunk part.

상기 추가되는 중심측 1점의 지지는 트렁크베이스와 고정바디(100)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주요하게 전방바디부(110)와 후방바디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의 저부와 트렁크베이스 사이를 연결하도록 탄성부재(420)가 개재된다. The added center side support is made by a member for connecting the trunk base and the fixed body 100, mainly the connection part 300 connecting the front body part 110 and the rear body part 120 An elastic member 420 is interposed to connect between the bottom of the trunk and the trunk base.

상기 탄성부재(420)는 상측으로 고정바디(100)와 연결되고 하측으로 연료탱크의 저부의 부위 및 트렁크베이스와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부(300)의 하측으로는 탄성부재(420)의 지지를 위한 돌부가 구성된다. The elastic member 420 is connected upwardly to the fixed body 100 and downward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fuel tank and the trunk base. The stone part is composed of

또한, 상기 탄성부재(420)를 연료탱크의 저부 및 트렁크베이스와 연결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440)가 부가된다. 상기 체결부재(440)와 탄성부재(420)의 연결성을 위하여 어댑터부(430)가 추가될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부(430)는 탄성부재(420)의 하측 내주로 삽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astening member 440 is added to connect the elastic member 420 to the bottom of the fuel tank and the trunk base. An adapter unit 430 may be added for connectivity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440 and the elastic member 420 , and the adapter unit 430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elastic member 420 .

상기 체결부재(440)는 어댑터부(430)의 상하를 관통하여 연료탱크의 저부의 부위 및 트렁크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탄성부재(420)의 연결관계와 관련된 실시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fastening member 440 may pass through the top and bottom of the adapter part 430 and b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fuel tank and the trunk base.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elastic member 42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전방바디부(110) 및 후방바디부(120)의 저면은 연료탱크(12)의 상부의 부위와 접촉될 수 있는데 차량의 운행에 따른 충격과 진동의 발생시 바람직하지 않게 금속 간의 마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완충하기 위하여 바디부의 저면과 연료탱크의 상면 사이에는 방진부재(410)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진부재(410)의 재질은 제한되지는 않으며 합성수지, 스펀지, 고무, 종이 등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lower surfaces of the front body part 110 and the rear body part 120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fuel tank 12, but friction between metals may undesirably occur when shock and vibration occu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here is a possibility. In order to buffer this, it is preferable that an anti-vibration member 410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uel tank. The material of the anti-vibration member 410 is not limited, and various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 sponge, rubber, and paper may be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기능을 가지는 도넛형 연료탱크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이에 대한 평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of a toroidal fuel tank fixing device having a load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thereof.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전방바디부(110)와 후방바디부(120)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부(300)의 전후로 각각 하나씩의 레그부(320)가 이어져 있다. 이러한 레그부(320)의 개수 및 배치는 선택적이며,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부(300)의 전후로 각각 한 쌍의 레그부(320)들이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ne leg part 320 is connected in front and behind the connection part 300 to connect between the front body part 110 and the rear body part 120.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se leg parts 320 are optional, and in the following embodiment, a form in which a pair of leg parts 320 are radially connected in front and behind the connecting part 300 will be described.

도 4의 도시사항에서는 폭방향 중심의 전후를 가로질러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편의상 전방 부위를 우측으로 회전시켜 도시하였다. In the illustration of FIG. 4, a state of being cut across the front and back of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is shown, and for convenience, the front portion is rotated to the right.

전방바디부(110)와 후방바디부(120)의 사이에는 연결부(300)가 배치됨은 상기와 같고, 상기 연결부(300)가 중심측에 형성되는 판상의 상판부(310)와, 상기 상판부(310)와 각 바디부의 내주측을 연결하는 레그부(320)들로 이루어진다. The connection part 300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body part 110 and the rear body part 120 as described above, and the plate-shaped upper plate part 310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300 is formed at the center side, ) and leg parts 320 conne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each body part.

연료탱크(12)는 전체적으로 링 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연료를 저장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중심측에서 중심공간(30)이 형성되어 트렁크베이스와 결합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The fuel tank 12 is formed in a ring shape as a whole and has an accommodation space for storing fuel therein, and the center space 30 is formed at the center side and can be coupled to the trunk base as described above.

상기 중심공간(30)의 상측 부위에 상판부(310)가 이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연료탱크(12)와 형태적으로 대응 가능하도록 상판부(310)가 레그부(320)보다 더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상판부(310)의 레그부(320)와 연결되는 부위는 단차부(321)가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부(320)의 상판부(310)와 연결된 측이 절곡되어 단차부(321)를 이룬다. An upper plate portion 31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ral space 30 to cover it, and the upper plate portion 310 is disposed lower than the leg portion 320 so as to conform in shape to the fuel tank 12. it is desirable to be Accordingly, a stepped portion 321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upper plate portion 310 connected to the leg portion 320, and as shown, the side of the leg portion 320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portion 310 is bent to form a stepped portion 321 ) to form

상기 상판부(310)의 하측으로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부(3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부(330)는 상기 탄성부재(420)의 상측 내주에 삽입되어 탄성부재(420)의 위치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돌부(330)는 충격 발생시 연료탱크의 전후 또는 좌우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소정의 스토퍼로 기능할 수 있다.A protruding part 330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part 310, and the protruding part 330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elastic member 420 to fix the position of the elastic member 420. . In addition, the protruding part 330 may function as a predetermined stopper capable of preventing the fuel tank from moving forward and backward or left and right when an impact occurs.

상기 중심공간(30)의 저부에는 판상의 탱크저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탱크저부(31)의 중심측에는 체결부재(44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탱크저부(31)의 상면에 어댑터부(430)가 안착된 상태에서 어댑터부(430) 및 탱크저부(31)를 관통하여 체결부재(440)가 삽입될 수 있다.A plate-shaped tank bottom 31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entral space 30 .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440 can pass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ank bottom 31, and the adapter unit 43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bottom 31. And the fastening member 44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tank bottom 31 .

상기 체결부재(440)의 하측은 예를 들어 트렁크베이스에 형성되는 소정의 홈 내지는 홀에 나삽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핀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 움직임을 허용하는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The lower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440 may be screwed into a predetermined groove or hole formed in the trunk base, for example, and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pin in some cases to perform a guide function allowing vertical movement. may be considered.

이와 같이 탄성부재(420)의 하측의 부위에는 어댑터부(430)가 삽입되고 상기 어댑터부(430)를 연료탱크(12)와 트렁크베이스에 체결부재(440)가 고정하고 있다.In this way, the adapter part 43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elastic member 420, and the adapter part 430 is fixed to the fuel tank 12 and the trunk base by the fastening member 440.

도시된 바와 같이 돌부(330)의 하단과 어댑터부(430)의 상단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거리가 존재한다. 상기 이격된 거리에서 탄성부재(420)의 수축이 가능한데, 고정바디(100)가 연료탱크(12)를 감싸서 지지하는 방식과 탄성부재(420)의 관계를 통하여 연료탱크(12)에서 직접 받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것이다. As shown, a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exists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part 330 and the upper end of the adapter part 430 . It is possible to contract the elastic member 420 at the distance, and the load directly received from the fuel tank 12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astic member 420 and the method in which the fixing body 100 surrounds and supports the fuel tank 12 can be distributed.

즉, 상기 탄성부재(420)는 상부로부터의 힘을 연료탱크(12)의 탱크저부(31)에 전달하여 트렁크베이스를 지향하는 하측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는 동시에 연료탱크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elastic member 420 transmits the force from the top to the tank bottom 31 of the fuel tank 12 and performs a function of pushing downward toward the trunk base, thereby buffering the load applied directly.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fuel tank.

예를 들어, 고정바디(100)의 상측으로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져서 하방으로의 위치 이동 또는 변형이 발생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전방바디부(110) 및 후방바디부(120)의 저면으로부터 연료탱크(12)의 상부로 직접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한 방진부재(410)가 1차적인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사고로 인한 변형시에는 완충의 능력에 한계가 있고 연료탱크(12)의 변형 또는 크랙의 발생 또는 자리의 이탈 등의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420)가 이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고정바디(10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탄성부재(420)가 완충하는 동시에 연료탱크(12)를 트렁크베이스로 밀어내기 때문에 그 변형에 대해 어느 정도 유격을 허용하는 동시에 하중을 하방으로 분산 가능하다. For example, considering a situation in which a load or impact is a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ed body 100 and a downward movement or deformation occurs, the fuel A force may be applied directly to the top of the tank 12 . The anti-vibration member 410 can perform a primary buffering function, but in the event of deformation due to an accident, there is a limit to the buffering ability, and results such as deformation of the fuel tank 12, occurrence of cracks, or displacement of the seat may occur. can happen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420 can perform a function of preventing this, and since the elastic member 420 buffers the load applied from the fixed body 100 and pushes the fuel tank 12 toward the trunk base, the deformation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load downward while allowing some play for the

한편,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를 고려해보면, 트렁크사이드 또는 고정바디(100)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각 지지지점의 변화를 예상해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방바디부(110)와 후방바디부(120)가 상면부(111) 및 측면부(112)에서 연료탱크(12)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측방으로 힘이 발생하는 경우 탄성부재(420)가 상하 및 수평방향으로 변형되어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case where a rear collision occurs in a vehicle, deformation of the trunk side or the fixed body 100 may occur, and a change in each support point may be exp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body portion 110 and the rear body portion 120 are disposed to surround the fuel tank 12 at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and the side portion 112, and when force is generated in the side, the elastic member 420 ) will be deform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o maintain the supported stat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연료탱크(12)를 직접 트렁크의 부위에 체결하지 않고 고정바디(100)를 통하여 5개의 지지지점에서 고정 및 완충하기 때문에 연료탱크(12)의 변형, 위치이탈 또는 파손 등의 우려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fixes and buffers the fuel tank 12 at five support points through the fixing body 100 without directly fastening the fuel tank 12 to the trunk, the fuel tank 12 is deformed, displaced, or damaged. etc. can be eliminated.

또한, 고정바디(100)는 전체적으로 법률상 안전 조건을 충족하는 두께로 설계되어야 하는데, 특히 트렁크사이드와 체결되는 마운팅부들과 바디부들 사이에 스트레스가 가장 크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전방마운팅부(210) 및 후방마운팅부(220)와 전방바디부(110) 및 후방바디부(120)의 연결된 부위의 두께가 다른 부위보다 더 크고 절곡된 형태의 보강부(20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xing body 100 should be designed with a thickness that satisfies legal safety conditions as a whole. In particula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greatest stress acts between the body parts and the mounting parts fastened to the trunk side.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thickness of the connected parts of the front mounting part 210 and the rear mounting part 220 and the front body part 110 and the rear body part 120 is larger than other parts and the bent form of the reinforcing part 202 ) is preferably formed.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마운팅부의 트렁크사이드와 연결되는 부위보다 각 바디부와 연결된 부위가 더 낮게 형성되도록 마운팅부는 하향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절곡된 부위에 보강부(2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된 부위는 하중의 분산을 고려하면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ounting part may have a downwardly bent shape so that the part connected to each body part is formed lower than the part connected to the trunk side of the mounting part, and the reinforcing part 202 may be formed at the bent part. there is. The bent portion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in consideration of load distribution.

상술된 실시예를 따를 때 마운팅홀(201)이 배치되는 마운팅부의 부위가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전방바디부(110) 및 후방바디부(120)의 상면부(111)가 그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연결부(300)의 상판부(310)가 레그부(320)의 단차부(321)에 의하여 그보다 더 낮게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를 채택함에 따라 도넛 형태를 가지는 연료탱크(12)의 형상에 최적화되어 지지가 가능하되 충격이나 진동의 발생시 이를 효과적으로 상하 및 측방으로 분산하여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art of the mounting part where the mounting hole 201 is disposed is disposed at the highest position, and the upper surface part 111 of the front body part 110 and the rear body part 120 has a lower height than that. , and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plate portion 310 of the connection portion 300 is disposed lower than that by the stepped portion 321 of the leg portion 320. By adopting this shape, it is possible to be supported by being optimized for the shape of the fuel tank 12 having a donut shape, but when shock or vibration occur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perse it vertically and sideways to respond flexibly.

또한, 상기 마운팅홀(201)의 경우 트렁크사이드(50)와 체결될 수 있는 소정의 관통홀 형태로 이루어지되, 마운팅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홀(201)과 트렁크 사이드 사이에는 마운팅볼트(203)가 체결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마운팅홀(201)의 형태를 채택하면 트렁크사이드(50)의 형태 및 체결홀의 위치에 따라 시공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음은 물론 트렁크사이드(50) 및/또는 고정바디(100)의 변형에도 적응할 수 있어 연료탱크(12) 보호성능이 더욱 극대화될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ounting hole 201,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through hole that can be fastened to the trunk side 50, and may b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A mounting bolt 203 provides a fastening force between the mounting hole 201 and the trunk side. When the shape of the mounting hole 201 is adopted, it is possible to respond flexibly to the shape of the trunk side 50 and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hole during construction, as well as to the deformation of the trunk side 50 and/or the fixed body 100. Since it can be adapted, the protection performance of the fuel tank 12 will be further maximized.

상술된 본 발명의 하중 분산기능을 가지는 도넛형 연료탱크 고정장치에 의하여, 종래기술에서 채용하고 있는 1점 고정방식을 개선하여 트렁크사이드에 4개의 부위의 지지와 중심측에서 탄성을 통하여 고정하는 1점의 지지의 관계를 통해 연료탱크의 정확하고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면서도 사고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연료탱크의 위치 이탈의 문제와, 연료탱크의 파손으로 인한 재산과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By the toroidal fuel tank fixing device having the load distribu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one-point fixing method employed in the prior art is improved to support four parts on the trunk side and fix through elasticity at the center side. Accurate and solid support of the fuel tank is possible through the relationship of point support, and it is possible to respond flexibly to accident situations,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of the fuel tank being displaced and the damage to property and human life due to the damage of the fuel tank. There is an advantage to being

또한, 법률적 안전규정을 충족하면서도 제조와 시공에 있어서 경제적이며 진동과 소음에 우수하다. In addition, while meeting legal safety regulations, it is economical in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and excellent in vibration and noise.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examples and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12...연료탱크 30...관통홀
31...탱크저부 50...트렁크사이드
100...고정바디 101...손잡이부
102...이격공간 103...장비공간
110...전방바디부 111...상면부
112...측면부 120...후방바디부
201...마운팅홀 202...보강부
203...마운팅볼트 210...전방마운팅부
220...후방마운팅부 300...연결부
310...상판부 320...레그부
321...단차부 330...돌부
410...방진부재 420...탄성부재
430...어댑터부 440...체결부재
12 ... fuel tank 30 ... through hole
31 ... tank bottom 50 ... trunk side
100 ... fixed body 101 ... handle part
102 ... separation space 103 ... equipment space
110... Front body 111... Upper surface
112... side part 120... rear body part
201 ... mounting hole 202 ... reinforcement part
203 ... mounting bolt 210 ... front mounting part
220 ... rear mounting portion 300 ... connection portion
310... top plate 320... leg part
321 ... step portion 330 ... protrusion
410 ... anti-vibration member 420 ... elastic member
430 ... adapter part 440 ... fastening member

Claims (5)

도넛형 연료탱크를 트렁크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연료탱크의 전방 상측을 감싸는 전방바디부(110);
연료탱크의 후방 상측을 감싸는 후방바디부(120);
상기 전방바디부의 외곽으로 연장되어 트렁크사이드에 체결되는 전방마운팅부(210);
상기 후방바디부의 외곽으로 연장되어 트렁크사이드에 체결되는 후방마운팅부(220);
연료탱크의 중심공간의 내주측에 배치되고 트렁크베이스측으로 연료탱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20);를 포함하는 연료탱크 고정장치.
A fixing device for installing a toroidal fuel tank in a trunk,
a front body portion 110 surrounding the upper front side of the fuel tank;
a rear body portion 120 surrounding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fuel tank;
a front mounting part 210 extending outside the front body part and fastened to the trunk side;
a rear mounting part 220 extending outside the rear body part and fastened to the trunk side;
A fuel tank fixing device including an elastic member (420) dispos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a central space of the fuel tank and providing elastic force to the fuel tank toward the trunk base.
제1항에 있어서,
탱크저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 내주에 삽입되는 어댑터부(430); 및
상기 어댑터부 및 탱크저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체결부재(440);를 더 포함하는 연료탱크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adapter unit 43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nk bottom and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fuel tank fix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member 440 disposed through the adapter part and the tank botto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바디부 및 후방바디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탄성부재의 상측을 지지하는 연료탱크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connection part 300 connecting the front body part and the rear body part; further comprising,
The connection part,
A fuel tank fixing device supporting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중심공간을 덮는 상판부(310)와, 상기 상판부와 전방바디부 및 후방바디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레그부(320)와, 상기 상판부의 저부로 돌출되어 탄성부재의 상측 내주에 삽입되는 돌부(330)를 구비하는 연료탱크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onnection part,
An upper plate portion 310 covering the central space, one or more leg portions 320 connecting the upper plate portion to the front body portion and the rear body portion, and a protruding portion 330 protruding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top plat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elastic member A fuel tank fixing device hav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상판부를 더 하측으로 배치하도록 단차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마운팅부 및 후방마운팅부는, 전방바디부 및 후방바디부를 더 하측으로 배치하도록 절곡된 보강부(202)를 가지는 연료탱크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4,
In the leg part, a stepped part 321 is formed so as to dispose the upper plate part lower,
The fuel tank fixing device having a reinforcement part (202) bent so that the front mounting part and the rear mounting part dispose the front body part and the rear body part lower.
KR1020220059269A 2022-05-16 2022-05-16 Fixing device for toroidal bombe with load divergence function KR1025665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269A KR102566575B1 (en) 2022-05-16 2022-05-16 Fixing device for toroidal bombe with load divergence function
KR1020230103618A KR102601023B1 (en) 2022-05-16 2023-08-08 Fixing device for toroidal bombe with load divergenc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269A KR102566575B1 (en) 2022-05-16 2022-05-16 Fixing device for toroidal bombe with load divergence func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618A Division KR102601023B1 (en) 2022-05-16 2023-08-08 Fixing device for toroidal bombe with load divergence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575B1 true KR102566575B1 (en) 2023-08-16

Family

ID=878481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269A KR102566575B1 (en) 2022-05-16 2022-05-16 Fixing device for toroidal bombe with load divergence function
KR1020230103618A KR102601023B1 (en) 2022-05-16 2023-08-08 Fixing device for toroidal bombe with load divergence function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618A KR102601023B1 (en) 2022-05-16 2023-08-08 Fixing device for toroidal bombe with load divergence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6657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544A (en) * 2018-11-26 2020-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for reinforcement donut shape bombe of vehicle
KR20200065396A (en) * 2018-11-30 2020-06-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Donut Bomb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053B1 (en) * 2008-04-02 2009-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PJI Bomb Mounting Device
KR102614560B1 (en) * 2017-11-29 2023-12-14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Mounting structure of lpg donut tank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544A (en) * 2018-11-26 2020-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for reinforcement donut shape bombe of vehicle
KR20200065396A (en) * 2018-11-30 2020-06-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Donut Bomb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023B1 (en)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0983B2 (en) Underrun protector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US10926698B2 (en) Integrated steering wheel, vibration absorber, and driver airbag
US7658414B2 (en) Fuel tank fixing structure
CN113224438B (en) On-vehicle structure of battery pack
US8668238B2 (en) Glove box structure for vehicle
KR20190027921A (en) Fuel tank attachment structure for motor vehicle
US20100109311A1 (en) Fuel tank supporting structure
US6045174A (en) Vehicle seat with support assembly
KR102566575B1 (en) Fixing device for toroidal bombe with load divergence function
CN114633612A (en) Battery mounting structure
CN111038195B (en) Aerodynamic cover for a vehicle
KR101349014B1 (en) Leaf spring for commercial vehicle
CN113328188A (en) Battery storage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101145805B1 (en) An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a vehicle cab
US20170120708A1 (en) Vehicle spring assembly
JP2011169376A (en) Cab mount, and cab mount device using the same
JP3695153B2 (en) Anti-vibration support device for coil spring
CN115570969A (en) Assembly structure,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fuel storage device to vehicle
JP6035354B2 (en) Vehicle seat support structure
KR100844665B1 (en) Reinforced structure of sideseal for automobile
KR100193522B1 (en) Body coupling structure of automobile frame
JP4577652B2 (en) Lower body structure
US20190048956A1 (en) Vibration damping device
CN216430372U (en) Vibration damping assembly and working machine
CN220429797U (en) Front tower bag structure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