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381B1 - 청력 검사 인형 - Google Patents

청력 검사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381B1
KR102566381B1 KR1020210092656A KR20210092656A KR102566381B1 KR 102566381 B1 KR102566381 B1 KR 102566381B1 KR 1020210092656 A KR1020210092656 A KR 1020210092656A KR 20210092656 A KR20210092656 A KR 20210092656A KR 102566381 B1 KR102566381 B1 KR 102566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user
voice
signal output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2184A (ko
Inventor
장선아
Original Assignee
장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선아 filed Critical 장선아
Priority to KR102021009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38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3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subjective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3Speech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6To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6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xtracting parameters related to health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6Children, e.g. for attention deficit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9Rehabilitation or tra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재활 치료를 위해 환자의 발화 기능을 보조하는 청력 검사 인형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기 설정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신호 출력부와,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에 맞춰 상기 인형의 입모양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인형의 입 부분에 배치되는 입 모양 조절부재의 위치 또는 형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청력 검사 인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청력 검사 인형{HEARING TEST DOLL}
본 발명은 청력 검사 인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각 장애가 있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청력을 진단하고 발화를 보조할 수 있는 청력 검사 인형에 관한 것이다.
인공 와우 이식술은 들려오는 소리를 음성신호로 변환해 청신경을 자극하고 전달된 전기자극을 대뇌로 전달하는 전극을 달팽이관에 이식하는 전극 삽입 방식이다. 그러나 수술 후 모든 소리를 인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반인은 증폭된 소리를 듣지만 인공 와우 이식자들은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듣기 때문에 수술 후 별도의 적응 훈련이 필요하다. 특히, 환경 소음과 달리 말소리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변화가 심한 소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각재활이 반드시 필요하다.
청각 장애가 있는 영유아의 경우, 보편적인 청각 재활 및 발화 재활 훈련을 잘 따라하지 못하고 흥미를 붙이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영유아를 대상으로 청력 테스트를 수행하고, 청각 장애가 있는 영유아의 발화를 보조하는 장치가 요구된다.
삭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1598호 (2005.01.29.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0602호 (2017.02.01.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소나 시간에 제한 없이 청각에 장애가 있는 영유아가 혼자서도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고, 영유아의 흥미를 유발시켜 발화 기능을 증진시키는데 더 효과적인 청력 검사 인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재활 치료를 위해 환자의 청력을 검사하고, 발화 기능을 보조하는 청력 검사 인형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기 설정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신호 출력부와,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에 맞춰 상기 인형의 입모양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인형의 입 부분에 배치되는 입 모양 조절부재의 위치 또는 형상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음성 신호가 출력된 후,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와,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청력 상태 및 발화 기능을 진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음성 신호가 출력된 후 사용자의 발화 여부 및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을 확인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상기 음성 인식 결과를 전기적인 신호로 인가하며,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는, 아(a), 이(i), 우(u), 음(m), 스(s), 쉬(sh)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에 의해 음성 신호가 출력된 후 사용자가 발화하였는지 여부, 또는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음성 신호와 상기 음성 신호의 출력 이후 상기 음성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토대로, 사용자의 청력 상태 및 발화 기능을 진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서로 다른 특정 주파수를 갖는 상기 아(a), 이(i), 우(u), 음(m), 스(s), 쉬(sh) 중 적어도 하나의 소리의 매칭 여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어느 주파수 영역대의 소리를 듣지 못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검사 인형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인형의 목 부분을 터치함에 따른 상기 터치 입력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형의 귀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모형 보청기 또는 모형 인공 와우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형의 몸체 부분에 마련된 주머니에 담기는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들 각각에 대응하는 발음 기호가 적힌 기호 도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형의 적어도 하나의 귀에는 상기 기호 도구가 투입 가능한 투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소나 시간에 제한 없이 청각에 장애가 있는 영유아가 혼자서도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고, 영유아의 흥미를 유발시켜 발화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력 검사 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력 검사 인형을 구성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은 종래의 청각 장애가 있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발화 보조를 하기 위해 주로 사용했던 완구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력 검사 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력 검사 인형을 구성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청력에 장애가 있는 환자 중에서도 특히, 영유아 환자의 재활 치료를 위해 영유아의 발화 기능을 보조하기 위한 청력 검사 인형에 관한 것이다.
도3은 종래의 청각 장애가 있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발화 보조를 하기 위해 주로 사용했던 완구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 카드를 이용하여 청각 장애가 있는 영유아의 청력 상태를 테스트하고 발화를 유도하기 위한 도구로서 주로 사용했었다. 그러나, 도3과 같은 링 카드는 영유아가 금방 흥미를 느끼고 싫증을 내는 경우가 대다수이고, 테스트를 위해서는 누군가가 링 카드를 가지고 영유아 주변에 있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청력 검사 인형은 장소나 시간에 제한 없이 영유아 혼자서도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고, 흥미를 유발시켜 영유아의 발화 기능을 증진시키는데 더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청력에 장애가 있는 영유아 환자를 대상으로 발화를 보조하는 도구로서, 인형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인형 이외의 다른 형태의 장난감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력 검사 인형은, 인형의 종류에 따라 형태가 달라질 수 있는데, 예컨대 곰, 강아지, 고양이, 돼지 등 다양한 동물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청력 검사 인형(10)은 캐릭터, 동물 등 다양한 형상이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 코, 입, 귀 등이 있는 동물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외피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청력 검사 인형(10)의 적어도 한 쪽 귀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청기 또는 인공 와우(20)가 부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청력 검사 인형(10)의 귀에 부착되는 인공 와우(20)는 실제 인공 와우 기기일 수도 있고, 모형 인공 와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청력 검사 인형(10)의 귀에 인공 와우(20)를 부착시킴으로써, 청각 장애로 인해 인공 와우 수술을 받은 사용자와 유대감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보조하는데 있어서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력 검사 인형(10)은 입력부(100), 음성 신호 출력부(200), 제어부(300), 음성 인식부(400), 그리고 프로세서(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청력 검사 인형(10)의 외피 내부에 배치되어, 작동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0)는 사용자가 청력 검사 인형(10)의 목 부분(15)을 터치함에 따라 발생되는 터치 입력을 입력 받는다. 여기서, 사용자란 청각 장애가 있는 영유아 환자를 말한다.
그리고, 음성 신호 출력부(2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기 설정된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신호 출력부(200)가 출력하는 음성 신호는 3개의 모음과, 3개의 자음으로 예컨대, “아(a)”, “이(i)”, “우(u)”, “음(m)”, “스(s)”, “쉬(sh)” 중 적어도 하나의 소리(음성)일 수 있다. “아(a)”“이(i)”“우(u)”“음(m)”“스(s)”“쉬(sh)”는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음성 신호이다.
본 발명에서 “아(a)”“이(i)”“우(u)”“음(m)”“스(s)”“쉬(sh)”, 6개의 소리는 가장 기본이 되는 음성 신호로서, 상기와 같은 단 6개의 소리만을 가지고도 사용자가 듣거나 말하지 못하는 소리가 무엇인지 판단함에 따라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청력 검사 인형(10)은 상기 6개의 소리 중 사용자가 말하지 못하는 음성 신호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듣지 못하거나 말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파수 영역대의 다양한 소리들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청력 검사 인형(10)은 상기와 같이 음성 신호 출력부(200)에 의해 “아(a)”“이(i)”“우(u)”“음(m)”“스(s)”“쉬(sh)”중 하나의 음성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제어부(300)에 의해 입모양이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는 음성 신호 출력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에 맞춰 청력 검사 인형(10)의 입모양을 동작시키기 위해 청력 검사 인형(10)의 입 부분(13)의 외피 내측으로 배치되는 입 모양 조절부재의 위치 또는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입모양 조절부재란 청력 검사 인형(10)의 입 부분(13)에 형성되는 부재로서 철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입모양 조절부재는 입술의 상하, 좌우의 각 2개의 지점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4개의 철사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음성 신호 출력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에 따라 청력 검사 인형(10)의 입모양을 결정하고, 결정한 입모양으로 변형시키기 위해 상기 입모양 조절부재의 위치 및 형태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는 상기 6개의 소리를 발성하기 위한 형태로 입모양을 제어하는데, 이때 입모양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으로 입술의 상하, 좌우의 각 2개의 지점을 기준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00)는 음성 신호 출력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가 “아(a)”일 때, 입모양 조절부재를 제어함으로써, 청력 검사 인형(10)의 입술의 위아래가 벌어지는 형태로 변형시키고, 상기 음성 신호가 “이(i)”일 때에는 입술의 양옆이 벌어지도록 제어하며, “우(u)”일 때에는, 입술이 모아진 채로 앞으로 돌출되도록 입모양 조절부재를 제어하고, “음(m)”일 때에는, 입술을 다물고 있는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신호 중 “스(s)”와 “쉬(sh)”는 입모양의 큰 변화가 없이 나는 소리이므로, 제어부(300)는 윗입술과 아랫입술 사이에 공간이 살짝 생기는 정도로만 벌어지도록 입모양 조절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되는 음성 신호에 따라 청력 검사 인형(10)의 입이 움직일 때에는 경우에 따라 턱도 함께 움직임으로써, 보다 생동감 있는 모습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성 인식부(400)는 음선 신호 출력부(200)로부터 음성 신호가 출력된 후,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성 인식부(400)는 음성 센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을 인식한다.
음성 인식부(400)는 음선 신호 출력부(200)로부터 음성 신호가 출력된 후 사용자의 발화 여부 및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의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여, 확인된 주파수 대역에 따른 음성 인식 결과를 프로세서(500)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부(400)는 상기 6개의 음성 신호 중 음성 신호 출력부(200)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와, 사용자로부터 발화되어 인식한 음성이 서로 매칭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400)는 이렇게 판단된 매칭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프로세서(500)로 전달하여, 프로세서(500)는 음성 인식 결과에 따른 사용자의 발화 기능 및 청력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부(400)는 음성 신호 출력부(200)에 의해 음성 신호가 출력된 후, 사용자의 발화 여부를 인식 및 확인하여 발화 여부에 대한 정보도 프로세서(50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음성 인식부(400)는 음성 신호 출력부(200)로부터 음성 신호가 출력된 후, 사용자가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면 이에 대한 정보를 프로세서(500)로 전달하고, 사용자가 말을 했다면 인식된 음성을 확인하여 상기 출력된 음성 신호와의 매칭 여부에 대한 정보를 프로세서(500)로 전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00)는 음성 인식부(400)로 전달받은 발화 여부 또는 매칭 여부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상태, 즉 청력 상태 및 발화 기능 등을 진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6개의 소리(“아(a)”“이(i)”“우(u)”“음(m)”“스(s)”“쉬(sh)” 각각에는 서로 다른 특정 주파수를 가지므로, 상기 발화 여부 또는 매칭 여부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출력된 음성 신호에 맞게 소리를 내지 못했다면 사용자가 어느 주파수 영역대의 소리를 듣지 못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프로세서(500)는 상기 음성 인식부(4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못 듣는 음성의 주파수 영역대를 확인함에 따라 사용자의 청력 상태의 취약한 부분을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다시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력 검사 인형(10)의 귀 부분에는 기호 도구가 투입 가능한 투입 홀(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청력 검사 인형(10)은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6개의 음성 신호들 각각에 대응하는 발음 기호가 적힌 기호 도구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호 도구(미도시)들 각각은 예컨대, 작은 공 형태로 구현되어 청력 검사 인형(10) 몸체 부분에 마련된 주머니에 담길 수 있다.
사용자는 음성 신호 출력부(200)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듣고, 따라하여 소리를 냄으로써 음성 인식부(400)가 인식함에 따라 프로세서(500)가 사용자의 상태를 진단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복수의 기호 도구들 중 출력된 음성 신호와 대응되는 기호 도구를 선택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입 홀(11)에 투입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입 홀(11)은 청력 검사 인형(10)의 적어도 하나의 귀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호 도구들 각각은 청력 검사 인형(10)의 몸체에 끈으로 연결되어, 몸체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출력된 음성 신호를 듣고 선택한 기호 도구가 사용자에 의해 투입 홀(11)에 투입됨에 따라 기호 도구와 몸체 사이의 끈이 잡아 당겨짐으로써, 프로세서(500)가 사용자가 선택한 기호 도구를 식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로세서(500)는 해당 기호 도구와 출력된 음성 신호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청력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청력 검사 인형(10)은 청각 장애가 있는 영유아의 청력 수술 후, 경과를 확인하거나 영유아가 착용한 보청기 또는 인공 와우의 효과 등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청력 검사 인형
11: 투입 홀
13: 입 부분
15: 목 부분
20: 인공 와우
100: 입력부
200: 음성 신호 출력부
300: 제어부
400: 음성 인식부
500: 프로세서

Claims (5)

  1. 재활 치료를 위해 환자의 청력을 검사하고, 발화 기능을 보조하는 청력 검사 인형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기 설정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신호 출력부와,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에 맞춰 상기 인형의 입모양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인형의 입 부분에 배치되는 입 모양 조절부재의 위치 또는 형상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음성 신호가 출력된 후,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와,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청력 상태 및 발화 기능을 진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음성 신호가 출력된 후 사용자의 발화 여부 및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을 확인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상기 음성 인식 결과를 전기적인 신호로 인가하며,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는, 아(a), 이(i), 우(u), 음(m), 스(s), 쉬(sh)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에 의해 음성 신호가 출력된 후 사용자가 발화하였는지 여부, 또는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음성 신호와 상기 음성 신호의 출력 이후 상기 음성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토대로, 사용자의 청력 상태 및 발화 기능을 진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서로 다른 특정 주파수를 갖는 상기 아(a), 이(i), 우(u), 음(m), 스(s), 쉬(sh) 중 적어도 하나의 소리의 매칭 여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어느 주파수 영역대의 소리를 듣지 못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검사 인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인형의 목 부분을 터치함에 따른 상기 터치 입력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형의 귀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모형 보청기 또는 모형 인공 와우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검사 인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형의 몸체 부분에 마련된 주머니에 담기는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들 각각에 대응하는 발음 기호가 적힌 기호 도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형의 적어도 하나의 귀에는 상기 기호 도구가 투입 가능한 투입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검사 인형.
  5. 삭제
KR1020210092656A 2021-07-15 2021-07-15 청력 검사 인형 KR102566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656A KR102566381B1 (ko) 2021-07-15 2021-07-15 청력 검사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656A KR102566381B1 (ko) 2021-07-15 2021-07-15 청력 검사 인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184A KR20230012184A (ko) 2023-01-26
KR102566381B1 true KR102566381B1 (ko) 2023-08-11

Family

ID=85110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656A KR102566381B1 (ko) 2021-07-15 2021-07-15 청력 검사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3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329B1 (ko) 2003-07-23 2005-08-25 주식회사 아이아이테크놀러지 발성하는 완구 장치
KR20170010602A (ko) 2015-07-20 2017-02-0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 및 영유아의 청능 재활 시스템과 방법
KR20170053185A (ko) * 2015-11-05 2017-05-16 (주)엠알티인터내셔널 동작카드를 이용한 블록완구 동작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13100A (ko) * 2021-02-05 2022-08-12 강태희 유아와 보호자 간 대화용 스마트폰 거치수단이 내장된 인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184A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57143A1 (en) Somatic, auditory and cochle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Loizou Mimicking the human ear
Loizou Introduction to cochlear implants
Straatman et al. Advantage of bimodal fitting in prosody perception for children using a cochlear implant and a hearing aid
CN110072434A (zh) 用于辅助听力设备使用的声音声学生物标记的使用
US10198964B2 (en) Individualized rehabilitation training of a hearing prosthesis recipient
WO2004021738A1 (ja) マイクロフォ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US11290827B2 (en) Advanced artificial sound hearing training
Goldstein Jr et al. Tactile aids for profoundly deaf children
CN114727780A (zh) 语音测听评分
KR102520761B1 (ko) 난청환자를 위한 청능 훈련시스템
US7460998B2 (en) Voice connection system between humans and animals
US20150305920A1 (en) Methods and system to reduce stuttering using vibration detection
KR102566381B1 (ko) 청력 검사 인형
CN111615833A (zh) 听力假体中的个性化自身语音检测
Ifukube Sound-based assistive technology
CN113226454A (zh) 利用听觉假体所使用的预测和标识技术
Pavlidou et al. Artificial ear-a wearable device for the hearing impaired
Saxena A Note on Blue Hearing System (BHS) to Develop Speech in Deaf and Mute People
WO2024068005A1 (en) Tinnitus suppression device, system and computer program
Rihkanen et al. Audiological results using single-channel intracochlear implant, vibrotactile aid or acoustic hearing aids
Hayden Pediatric conversion to the HiResolution processing strategy: 6 case studies
Svirsky Psychophysical experiments and speech processing strategies for multichannel cochlear implant users
Gibson The current status of cochlear implants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COMMITTEE ON HEARING BIOACOUSTICS AND BIOMECHANICS Speech-Perception Aids for Hearing-Impaired People: Current Status and Needed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