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165B1 - 분할형 접지 커넥터 - Google Patents

분할형 접지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165B1
KR102566165B1 KR1020217015756A KR20217015756A KR102566165B1 KR 102566165 B1 KR102566165 B1 KR 102566165B1 KR 1020217015756 A KR1020217015756 A KR 1020217015756A KR 20217015756 A KR20217015756 A KR 20217015756A KR 102566165 B1 KR102566165 B1 KR 102566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segment
arcuate conductive
arcuate
segment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4543A (ko
Inventor
글렌 블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Publication of KR20210084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8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7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contact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4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platform network
    • A63F2300/403Connection between platform and handheld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tereophonic Arrangements (AREA)

Abstract

팁-링-링-슬리브(tip-ring-ring-sleeve; TRRS) 플러그(18)의 제2 링(제3 단자)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아치형 세그먼트들(36, 38)로 나누어지며, 하나의 세그먼트는 접지 라인(70)에 연결되고 다른 세그먼트는 검출 신호 라인(76)에 연결된다. 세그먼트들을 함께 단락시켜 예를 들어, 게임 제어기(56) 이를테면 무선 DualShock®(DS-4) 제어기에서의 잭과 플러그의 체결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확장 포트 디바이스(52)가 세그먼트들 둘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할형 접지 커넥터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게임 제어기와 같은 컴퓨터화 디바이스와 헤드폰 체결을 검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콘솔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많은 컴퓨터 애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가 방송 스피커들을 통해 오디오를 재생하는 것에 더하여 또는 대신 헤드셋을 착용할 수 있게 한다. 컴퓨터 시스템과, 예를 들어, 게임 콘솔과 통신하는 게임 제어기와 헤드셋 잭의 체결을 검출하는 것은 보통 예를 들어, 방송 오디오 음소거 및 다른 이유들로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연결된 디바이스, 예를 들어, 게임 제어기에 의존하여 플러그가 잭에 물리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헤드폰 검출" 신호를 리턴하는 헤드폰 검출은 다른 객체들이 잭, 이를테면 페이퍼 클립들 등으로 들어갈 수 있을 때 "검출"을 부정확하게 리턴할 수 있다. 이러한 검출 표시는 신호들이 흐르는 헤드셋이 연결됨을 가정하는 컴퓨터 동작을 바람직하지 않게 촉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어셈블리는 적어도 좌측 및 우측 헤드폰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폰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코드는 좌측 및 우측 헤드폰 스피커들을 플러그에 연결한다. 플러그는 좌측 및 우측 헤드폰 스피커들 중의 제1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오디오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전도성 원위 팁 커넥터, 및 전도성 원위 팁 커넥터에 근접하여, 좌측 및 우측 헤드폰 스피커들 중의 제2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오디오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전도성 링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는 제1 전도성 링에 근접하여, 각각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1 단부는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1 단부와 마주보고 이로부터 이격되는 한편,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2 단부는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2 단부와 마주보고 이로부터 이격된다.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에 근접하여, 헤드셋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전도성 슬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어셈블리는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고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와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도록 구성된 확장 포트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서,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와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플러그가 잭과 체결된다는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확장 포트 디바이스와 연관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확장 포트 디바이스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콘솔과 통신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제어기에 플러깅될 수 있다. 어셈블리는 제어기 및 콘솔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들에서, 플러그는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와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1 단부들 사이에 개재되고 플러그 상에서 제1 단부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제1 단부들 각각으로 연장되는 제1 전기 절연성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는 또한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와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2 단부들 사이에 개재되고 플러그 상에서 제2 단부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제2 단부들 각각으로 연장되는 제2 전기 절연성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들에서,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는 검출 신호 라인에 연결되고,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는 접지 라인(ground line)에 연결된다. 확장 포트 디바이스는 검출 신호 라인을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를 통해 접지 라인으로 단락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방법은 출력 디바이스 플러그 이를테면 헤드폰 플러그,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또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헤드셋 플러그 등 상에서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와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검출 신호를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는 각각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1 단부는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1 단부와 마주보고 이로부터 이격되며,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2 단부는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2 단부와 마주보고 이로부터 이격된다. 방법은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와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검출 신호를 리턴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어셈블리는 적어도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 및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를 포함한다. 플러그는 전도성 원위 팁 커넥터, 및 전도성 원위 팁 커넥터에 근접하여, 각각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1 단부는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1 단부와 마주보고 이로부터 이격되는 한편,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2 단부는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2 단부와 마주보고 이로부터 이격된다.
구조 및 동작 둘 모두에 관한 본 출원의 세부 사항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첨부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내고, 첨부 도면들에서:
도 1은 분할형 접지 커넥터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커넥터에 연결된 헤드폰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비디오 디스플레이 및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피커에 신호들을 출력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콘솔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제어기에서 구현되는 확장 포트 디바이스를 추가로 도시하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2는 어느 신호들이 커넥터의 어느 전도체들과 연관되는지를 도시하는 분할형 접지 커넥터의 입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확장 포트 디바이스에서의 접촉부들과 병치된 분할형 접지 커넥터의 도면들이다;
도 5는 분할형 접지 커넥터의 아치형 세그먼트들, 확장 포트 디바이스, 및 컴퓨터 시뮬레이션 제어기를 도시하는 전기 개략도이다;
도 6은 확장 포트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의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원리들에 따른 예시적인 로직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제어기의 잭과 체결되지만 아치형 세그먼트들이 함께 단락되지 않은 분할형 접지 커넥터와의 헤드셋 연결의 디스플레이 표시의 도해이다; 그리고
도 9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제어기의 잭과 체결되며 아치형 세그먼트들이 함께 단락된 분할형 접지 커넥터와의 헤드셋 연결의 디스플레이 표시의 도해이다.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는 어셈블리(일반적으로 10으로 지정됨)를 도시한다. 출력 디바이스(12)는 예를 들어, 헤드폰, VR 또는 AR 헤드셋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적어도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14)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코드(16)는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14)을 플러그로서 구성된 분할형 접지 커넥터(18)에 연결한다. 커넥터(18)는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14) 중의 제1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오디오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원위 팁 커넥터(20)를 포함한다. 원위 팁 커넥터(20)는 상대적으로 더 좁은 근위 부분(22)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넓은 원위 에지(24)까지 다소 원뿔대형(frusto-conical)으로 성형될 수 있고, 이어서 원위 에지(24)로부터 뭉툭할 수 있는 원위 팁(26)까지 다시 원뿔대형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원위 팁 커넥터(20)의 근위 링 부분(28)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부분(22)과 이어질 수 있다.
원위 팁 연결기(20)의 근위 링 부분(28)에 근접하여, 원위 팁 커넥터(20)를 제1 전도성 링(32)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한 제1 연속 링 형상 절연체(30)가 있다. 링(32)은 예를 들어,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14) 중의 제2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오디오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원통형 링일 수 있는 제1 전도성 링(32)은 원위 팁 커넥터(20)에 근접하게 있다.
제1 전도성 링(32)에 근접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일 수 있고 제1 전도성 링(32)을 제1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들(36, 38)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제2 연속 링 형상 절연체(34)가 있다. 이들 세그먼트들(36, 38)은 원통형의 부분들을 형성하고, 각각의 제1 및 제2 단부들을 가진다(도 1에는 단지 제1 단부들(40, 42)만 도시됨).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36)의 제1 단부(40)는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44)의 제1 단부(42)와 마주보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38)의 제1 단부(42)로부터 이격된다. 간단히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전기 절연성 세그먼트(44)는 제1과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들(36, 38)의 제1 단부들(40, 42) 사이에 개재되어, 플러그 상에서 제1 단부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제1 단부들 각각으로 연장된다.
제1 전기 절연성 세그먼트(44)의 반대쪽에(예를 들어, 180도만큼), 제2 전기 절연성 세그먼트는 제1과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들(36, 38)의 제2 단부들 사이에 개재되어, 플러그 상에서 제2 단부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제2 단부들 각각으로 연장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에 따라 세그먼트들(36, 38)의 제2 단부들은 또한 서로 마주보고 절연성 세그먼트에 의해 이격된다.
도 1로 돌아가서, 세그먼트들(36, 38)에 근접하여, 원통형일 수 있는 제3 연속 링 형상 절연체(46)가 배치되고, 이에 근접하여, 예를 들어, 헤드셋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원통형 전도성 슬리브(48)가 배치된다.
위에서 논의된 전기 절연성 링들 및 세그먼트들은 위에서 논의된 플러그의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들이 도시된 구성으로 배치되는 단일 원통형 바디의 부분들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8)는 제1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들(36, 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아래에서 더 논의될 바와 같이, 제1과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들을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도록 구성된 확장 포트 디바이스(52)에 구현될 수 있는 잭 또는 소켓(50)에 플러깅될 수 있다. 이어서, 확장 포트 디바이스(52)는 아래에서 더 설명될 바와 같이 제1과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들(36, 38)을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커넥터(18)가 잭(50)과 체결된다는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4)와 연관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확장 포트 디바이스(52)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제어기(56)의 헤드폰 잭(55) 및 확장 포트(57)와 같은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에 플러깅된다. 또는, 확장 포트 디바이스는 제어기(56)의 하우징에 통합될 수 있다.
제어기(56)는 유선 및/또는 무선 경로들을 통해 컴퓨터 시뮬레이션 콘솔(58)과 통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비제한적인 구현에서, 제어기(56)는 DualShock®(DS-4) 게임 제어기일 수 있고, 컴퓨터 시뮬레이션 콘솔(58)은 PlayStation® 콘솔일 수 있다. 제어기(56)는 통상적으로 콘솔(58)에 커맨드들을 입력하기 위해 조작 가능한 버튼들 또는 키들을 포함한다. 확장 포트 디바이스(52)도 마찬가지로 제어기(56)를 통해 콘솔(58)에 커맨드들을 입력하기 위해 조작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작 가능한 버튼 또는 키(59)를 포함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컴퓨터 시뮬레이션 콘솔은 비디오를 비디오 디스플레이(60)에 출력하고 오디오를 하나 이상의 방송 스피커(62)에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는 아래의 개시에 따라 커넥터(18)가 잭(50)과 체결될 때 스피커들(14)로 출력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상호 참조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8)의 원위 팁 커넥터(20)는, 잭(50)과 체결될 때, 좌측 또는 우측 스피커 오디오 라인(64)에 대고 와이핑되어 제어기(56)에서의 대응하는 오디오 채널을 대응하는 헤드폰 스피커(14)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전도성 링(32)은 다른 좌측 또는 우측 스피커 오디오 라인(66)에 대고 와이핑되어 제어기(56)에서의 대응하는 오디오 채널을 대응하는 헤드폰 스피커(14)에 연결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들(36, 38)은 접지 라인(70)에 대고 와이핑될 수 있다. 슬리브(48)는 마이크로폰 라인(72)과 체결될 수 있다.
도 5는 확장 포트 디바이스(52)가 검출 신호 라인(76)을 제1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들(36, 38)을 통해 접지 라인(70)으로 단락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74)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74)는 아래의 로직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확장 포트 디바이스의 프로세서(5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폰 커넥터(18)는 상이한 단자 접촉부들에 연결되는 기준 라인들 또는 헤드폰 케이블에 통합되고 추가 단자 커넥터에 연결되는 추가 제어 와이어를 갖는 TRRS(tip-ring-ring-sleeve; 팁-링-링 슬리브)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헤드폰 커넥터는 예를 들어, 스테레오 플러그, 미니 잭, 미니 스테레오 잭, 헤드폰 잭, 전화 커넥터 또는 하단 플러그, 예를 들어 2.5 mm 또는 3.5 mm TRRS 잭 플러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는 미국 헤드폰 잭(또는 CTIA(Cellular 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 표준, 덜 바람직하게는 OMTP(Open Mobile Terminal Platform) 표준, 또는 다른 표준들에 따를 수 있는 4극 커넥터이다.
도 6은 플러그의 물리적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잭(5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 존재 검출기(600)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프로세서(54)가 본 명세서에서의 원리들과 일치하게 스위치(74)를 제어하는 예시적인 확장 포트 디바이스(52)의 간략화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예시를 위해 흐름도 형태로 프로세서(54)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로직을 도시하며, 상태 로직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결정 마름모꼴(700)은 잭(50)에서 플러그의 존재를 검출시, 로직이 검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 상태(702)로 이동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일부 경우들에서, 검출 조건은 잭에서 플러그의 물리적 존재를 검출시 항상 만족된다. 다른 경우들에서, 검출 조건은 잭에서의 플러그의 물리적 존재 외의 조건이 존재하지 않는 한 만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추가 검출 조건은 제한이 아닌 예로서, 사람이 헤드셋 또는 헤드폰 또는 이어 스피커들을 갖는 다른 출력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게임 콘솔과 연관된 카메라로부터의 신호들에 기초한 이미지 인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검출 조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검출 신호가 생성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면, 로직은 블록(704)으로 이동하여 위치(74)를 폐쇄하고 이에 의해 검출 라인을 접지 라인으로 단락시킨다. 이러한 단락은 헤드폰 또는 VR 또는 AR 헤드셋과 같은 출력 디바이스(12)의 오디오 플러그가 어셈블리와 체결됨을 나타내는 신호가 게임 제어기(52)로 송신되게 하며, 이는 이어서 제어기/콘솔로 하여금 적절한 동작을 실행, 예를 들어, 방송 스피커들을 음소거하고 오디오 신호들을 제어기의 잭으로, 그리고 이로 인해 확장 포트 디바이스(52)의 잭(50)으로 라우팅하게 한다.
프로세서 기반 스위치(74) 대신, 확장 포트 디바이스(52)의 잭(50)은 검출 라인을 접지 라인으로 단락시키기 위해 플러그를 잭(50)에 삽입시 세그먼트들(36, 38)과 체결되는 전기 접촉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가 추가로 도시된다. 도 8에서, 제어기(52) 또는 콘솔(58)에 의해 생성된 상연(presentation)이 디스플레이(60) 상에 제시되며, 800에서 사용 중인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가 TV 또는 오디오-비디오(audio-video; AV) 증폭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방송 스피커 또는 스피커들임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연은 스위치(74)가 개방되는 것에 응답한다(또는 잭(50)에서 플러그가 전혀 검출되지 않는 것에 응답한다).
다른 한편, 도 9는 900에서 사용 중인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가 제어기(52)에 연결되는 헤드폰 또는 헤드셋 디바이스 상의 헤드폰 스피커들이라는 것을 도시한다. 도 9의 상연은 플러그가 잭(50)과 체결되며 스위치(74)가 폐쇄되는 것에 응답한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도 8 및 도 9의 상이한 시각적 디스플레이들 외에, 스위치(74)의 구성은 또한 오디오가 방송 또는 헤드폰 스피커들 상에서 재생되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동작 파라미터들을 설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 기술들이 도시되고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의해 포괄되는 주제는 단지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제한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은 다른 실시 예들에서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거나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는 다른 실시 예들로부터 조합, 교환 또는 배제될 수 있다.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마찬가지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 및 "A, B,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를 함께, A 및 C를 함께, B 및 C를 함께, 그리고/또는 A, B, 및 C를 함께 등을 갖는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Claims (20)

  1. 어셈블리로서,
    적어도 좌측 및 우측 헤드폰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폰;
    좌측 및 우측 헤드폰 스피커들을 플러그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로서, 플러그가
    a) 좌측 및 우측 헤드폰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오디오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전도성 원위 팁 커넥터;
    b) 전도성 원위 팁 커넥터에 근접하여, 좌측 및 우측 헤드폰 스피커들 중 제2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오디오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전도성 링;
    c) 제1 전도성 링에 근접하여, 각각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로서,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1 단부는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1 단부와 마주보고 이로부터 이격되며,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2 단부는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2 단부와 마주보고 이로부터 이격되는,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d)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에 근접하여, 헤드셋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전도성 슬리브
    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 및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고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도록 구성된 확장 포트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플러그가 잭과 체결된다는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확장 포트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확장 포트 디바이스가 컴퓨터 시뮬레이션 제어기의 잭에 연결되어 있는,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컴퓨터 시뮬레이션 제어기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컴퓨터 시뮬레이션 제어기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콘솔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플러그가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1 단부와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1 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플러그상에서 제1 단부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제1 단부들 각각으로 연장되는 제1 전기 절연성 세그먼트; 및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2 단부와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2 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플러그상에서 제2 단부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제2 단부들 각각으로 연장되는 제2 전기 절연성 세그먼트
    를 더 포함하는,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는 검출 신호 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는 접지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확장 포트 디바이스는 검출 신호 라인을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를 통해 접지 라인으로 단락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10. 방법으로서,
    플러그상에서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검출 신호를 리턴하는 단계로서,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는 각각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1 단부는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1 단부와 마주보고 이로부터 이격되며,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2 단부는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2 단부와 마주보고 이로부터 이격되는, 검출 신호를 리턴하는 단계; 및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검출 신호를 리턴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는 링의 세그먼트들인,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를 단락시키기 위해 스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어셈블리로서,
    적어도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로서,
    a) 전도성 원위 팁 커넥터;
    b) 전도성 원위 팁 커넥터에 근접하여, 각각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로서,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1 단부는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1 단부와 마주보고 이로부터 이격되며,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2 단부는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2 단부와 마주보고 이로부터 이격되는,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를 포함하는, 플러그; 및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도록 구성된 확장 포트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전도성 원위 팁 커넥터는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오디오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플러그는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 중 제2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오디오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전도성 링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전도성 링은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원위에 있는, 어셈블리.
  16. 제13항에 있어서,
    플러그는 출력 디바이스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전도성 슬리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전도성 슬리브는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근위에 있는, 어셈블리.
  18. 제16항에 있어서,
    전도성 슬리브는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근위에 있고,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플러그가 잭과 체결된다는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확장 포트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어셈블리.
  19. 어셈블리로서,
    적어도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로서,
    a) 전도성 원위 팁 커넥터;
    b) 전도성 원위 팁 커넥터에 근접하여, 각각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로서,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1 단부는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1 단부와 마주보고 이로부터 이격되며,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2 단부는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의 제2 단부와 마주보고 이로부터 이격되는,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를 포함하는, 플러그;
    제1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 및 제2 아치형 전도성 세그먼트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플러그가 잭과 체결된다는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확장 포트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20. 제13항에 있어서,
    스피커들에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시뮬레이션 제어기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KR1020217015756A 2018-11-29 2019-11-26 분할형 접지 커넥터 KR102566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04,597 2018-11-29
US16/204,597 US11047925B2 (en) 2018-11-29 2018-11-29 Split ground connector
PCT/US2019/063270 WO2020112787A1 (en) 2018-11-29 2019-11-26 Split ground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543A KR20210084543A (ko) 2021-07-07
KR102566165B1 true KR102566165B1 (ko) 2023-08-16

Family

ID=7084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756A KR102566165B1 (ko) 2018-11-29 2019-11-26 분할형 접지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47925B2 (ko)
EP (1) EP3888200A4 (ko)
JP (1) JP7095181B2 (ko)
KR (1) KR102566165B1 (ko)
CN (1) CN113169489B (ko)
TW (1) TWI708447B (ko)
WO (1) WO202011278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4512A1 (en) 2012-08-29 201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arphone connection interfac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erminal
US20140277643A1 (en) * 2013-03-15 2014-09-18 Apple Inc. Data communications via limited length audio jack
CN108199221A (zh) 2018-02-12 2018-06-22 杭州康晟健康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可控音频检测插头、检测系统及数据采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2738A (en) * 1994-09-18 1996-06-04 Thomas E. Dorn Electrical connector jack
US6554490B1 (en) * 1999-05-26 2003-04-29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nic apparatus having communication function using detachable communication cable,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stable operation
JP2001005577A (ja) * 1999-06-23 2001-01-12 Sharp Corp 電子機器
CN100483865C (zh) * 2003-03-05 2009-04-29 索尼爱立信移动通讯股份有限公司 通用音频插孔与插头、音频装置
CN1249865C (zh) * 2003-03-06 2006-04-05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多极插头
US20050169252A1 (en) 2004-02-03 2005-08-04 Andrew Riggs Game controller including an integrated communicator
US20070202950A1 (en) 2005-03-04 2007-08-30 Saied Hussaini Wireless game controller with integrated audio system
US7912501B2 (en) * 2007-01-05 2011-03-22 Apple Inc. Audio I/O headset plug and plug detection circuitry
US7789697B2 (en) * 2007-06-11 2010-09-07 Apple Inc. Plug detection mechanisms
US7896708B2 (en) * 2007-10-30 2011-03-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nnector system with electrical connection and infrared coupling and method
US20090111336A1 (en) * 2007-10-30 2009-04-3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plit connector and method
US8600080B2 (en) * 2008-01-14 2013-12-03 Apple Inc.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electronic device accessories
TWM364317U (en) 2009-05-15 2009-09-01 Cheng Uei Prec Ind Co Ltd Audio plug
KR20110046361A (ko) * 2009-10-27 2011-05-04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오디오 잭으로 부속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
KR101651122B1 (ko) 2009-12-08 2016-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폰 장착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3069654A (zh) * 2010-06-18 2013-04-24 苹果公司 具有侧面接触点的双向连接器
US20130108064A1 (en) 2011-11-01 2013-05-02 Erturk D. Kocalar Connectors for invoking and supporting device testing
WO2013090932A1 (en) * 2011-12-16 2013-06-20 Qualcomm Incorporated Plug insertion detection
US9031253B2 (en) * 2011-12-16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Plug insertion detection
KR20140033916A (ko) * 2012-09-11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삽입을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
US9099967B2 (en) * 2012-09-28 2015-08-04 Apple Inc. Increasing ground noise rejection in audio systems
GB2509316B (en) * 2012-12-27 2015-02-25 Wolfson Microelectronics Plc Detection circuit
KR20140004667U (ko) 2013-02-04 2014-08-13 코나리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오디오 플러그 구조의 개선
US10045135B2 (en) * 2013-10-24 2018-08-07 Staton Techiya, Llc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tion and arbitration of an input connection
CN104010054B (zh) * 2014-06-17 2019-02-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耳插装置和基于耳机插孔的控制系统
JP6355983B2 (ja) 2014-06-20 2018-07-11 株式会社アイ・オー・データ機器 音響プラグ
US20160373861A1 (en) * 2015-06-18 2016-12-22 Blackberry Limited Passive audio headset compatible with binaural recording and off-headset noise cancellation
CN105451115B (zh) * 2016-01-05 2019-04-3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生物特征检测功能的耳机、交互系统及方法
KR102482656B1 (ko) 2016-07-14 2022-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0211578B2 (en) 2017-01-18 2019-02-19 Qi Ma Audio output ja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4512A1 (en) 2012-08-29 201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arphone connection interfac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erminal
US20140277643A1 (en) * 2013-03-15 2014-09-18 Apple Inc. Data communications via limited length audio jack
CN108199221A (zh) 2018-02-12 2018-06-22 杭州康晟健康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可控音频检测插头、检测系统及数据采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13158A (ja) 2022-02-07
TW202021211A (zh) 2020-06-01
CN113169489A (zh) 2021-07-23
US20200174057A1 (en) 2020-06-04
JP7095181B2 (ja) 2022-07-04
US11047925B2 (en) 2021-06-29
KR20210084543A (ko) 2021-07-07
WO2020112787A1 (en) 2020-06-04
CN113169489B (zh) 2023-04-07
EP3888200A4 (en) 2022-08-31
EP3888200A1 (en) 2021-10-06
TWI708447B (zh)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315B1 (ko) 검출 회로
US10306387B2 (en) Audio connector and circuitry
US11207590B2 (en) Video game controller
US9774152B2 (en) Forward and backward compatible 5 pole audio plug and jack system
CN201674041U (zh) 具插头侦测功能的音频插座连接器
US20060205505A1 (en) Wireless game controller with integrated audio system
TW201517642A (zh) 具音訊插接偵測能力的音訊編解碼器及音訊插接偵測方法
US2012014805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a Signal to One or More Devices
KR102566165B1 (ko) 분할형 접지 커넥터
CN111031435A (zh) 音频电路、头戴显示设备及头戴显示系统
KR101634234B1 (ko) 5극 접속단자가 구비된 단말기
US7492890B2 (en) Integrated corded system connector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050124414A1 (en) Versatile audio/video signal delivery system
US20060030219A1 (en) Phone jack for a 5.1 channel headphone
US95372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vity plug switch
KR101677184B1 (ko)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9860301U (zh) 一种复合接头
KR102515529B1 (ko) 오디오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상태 검출 장치
CN102461215A (zh) 用于辅助人类配置音频/视频系统的方法和装置
TW201513683A (zh) 音頻播放系統及其應用之耳機、自動控制方法
GB2562237A (en) An audio kit with earphones or headphones
JP4114098B2 (ja) 電源と信号を重畳する配線の接続用ピンプラグとピンジャック
JPH03765Y2 (ko)
JP2017069786A (ja) 音声信号接続装置,音声信号接続ケーブル,音声信号接続方法,及び音声信号接続装置を備えた音声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