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158B1 -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회의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회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158B1
KR102566158B1 KR1020200189057A KR20200189057A KR102566158B1 KR 102566158 B1 KR102566158 B1 KR 102566158B1 KR 1020200189057 A KR1020200189057 A KR 1020200189057A KR 20200189057 A KR20200189057 A KR 20200189057A KR 102566158 B1 KR102566158 B1 KR 102566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conference
program
data
compu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936A (ko
Inventor
서형수
Original Assignee
알서포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서포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서포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9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158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22Conducting the conference, e.g. admission, detection, selection or grouping of participants, correlating users to one or more conference sessions, prioritising transmi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네트워크상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되는 온라인 회의에 대한 것으로, 회의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각각의 컴퓨터에 구현함에 있어서, 데이터 자체를 이동시키지 않고 하나의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를 원격제어하여 소기의 데이터를 열람, 가공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온라인 회의중 교류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해당 소프트웨어를 일일이 탑재하지 않고도, 해당 소프트웨어를 직접 실행한 것과 동일한 열람, 수정, 첨삭 및 시연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써 온라인 회의의 효용성을 높히고, 인터넷 환경에서의 지식공유, 커뮤니티 및 전자상거래 등에 있어서 온라인 회의를 활성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회의 방법{ONLINE CONFERENCE METHOD USING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다수의 네트워크상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되는 온라인 회의에 대한 것으로, 회의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각각의 컴퓨터에 구현함에 있어서, 데이터 자체를 이동시키지 않고 하나의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를 원격제어하여 소기의 데이터를 열람, 가공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신과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당사자들이 한 장소에 모여야만 가능했던 회의가 다자간 통화, 화상회의 또는 메신저 등을 통하여 한 장소에 모이지 않고도 가능해 졌으며, 나아가 인터넷 기반의 온라인 회의 솔루션을 통하여 회의에 필요한 각종 자료를 전자화하여 전달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회의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온라인 회의관련 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최상의 회의수단은 회의 당사자들이 직접 모여서 대면하는 것으로, 이는 공통된 작업공간인 테이블에 각자의 자료를 올려놓고 각자의 의사전달과 함께 자료의 자유로운 열람, 수정, 첨삭 및 시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종래의 온라인 회의 솔루션들은 음성 또는 문자로 이루어지는 회의 당사자들의 의사전달과 함께,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게시 또는 공유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데이터의 전송, 게시 또는 공유기능은 해당 데이터를 회의 당사자 중의 특정 수요자가 자신의 컴퓨터로 내려받은 후 이를 직접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온라인 회의 참석자 중 한 사람이 문서 데이터를 전송, 게시 또는 공유하였을 경우, 이를 열람하고자 하는 타 참석자는 해당 문서 데이터를 내려받은 후 그 데이터의 속성에 맞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그 내용을 확인하여야 하는 것인 바, 원활한 온라인 회의의 진행을 위해서는 교류되는 데이터의 속성을 통일 내지 제한하거나, 모든 참여자의 컴퓨터에 필요한 모든 소프트웨어가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실적으로 모든 소프트웨어를 컴퓨터에 탑재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일반적으로 온라인 회의를 통하여 교류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제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각 데이터의 작성자는 온라인 회의에서 통용될 수 있는 형식으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작업을 추가로 실시하여야 하며, 이 과정에서 원 데이터를 작성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이 상당부분 제한되거나 삭제되므로, 타 회의 참여자가 해당 데이터를 숙지, 수정, 첨삭 및 시연함에 있어서 제약이 있을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온라인 회의에서 각 참여자간 데이터를 열람, 수정, 첨삭 및 시연함에 있어서, 해당 데이터를 이동하지 않고, 데이터가 소재한 컴퓨터를 데이터의 수요자 컴퓨터가 원격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자유로운 열람, 수정, 첨삭 및 시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수요자의 컴퓨터에 해당 데이터에 필요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데이터 작성자인 보유자의 컴퓨터를 원격제어하고 그 결과만을 전송받음으로써, 수요자의 컴퓨터에서 해당 데이터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원격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회의프로그램을 각 회의 참여자의 컴퓨터에 탑재하고, 이 회의프로그램이 인터넷 등을 통한 다자간 접속을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각 회의 참여자가 제공하는 데이터가 모두 표시되는 가상작업공간(virtual workspace)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온라인 회의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창안된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의 다수의 컴퓨터(10)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회의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컴퓨터(10)에는 회의프로그램(11)이 탑재되고, 적어도 2곳 이상의 컴퓨터(10)에서 회의프로그램(11)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실행단계(S10)와, 회의프로그램(11)이 실행된 컴퓨터(10)들이 상호 접속되는 접속단계(S20)와, 회의프로그램(11)이 실행된 컴퓨터(10)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11)이 타 컴퓨터(10)로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제어신호발신단계(S31)와, 제어신호를 수신한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11)이 탑재된 응용프로그램(12)을 실행하는 피제어단계(S32)와, 제어신호를 수신한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11)이 상기 응용프로그램(12)의 실행결과 데이터를 제어신호를 발신한 컴퓨터(10)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S42)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11)이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계(S51)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회의 방법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전송단계(S42)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11)이 상기 응용프로그램(12)의 실행결과 데이터를 회의프로그램(11)이 실행중인 타 컴퓨터(10)들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회의 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온라인 회의중 교류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해당 소프트웨어를 일일이 탑재하지 않고도, 해당 소프트웨어를 직접 실행한 것과 동일한 열람, 수정, 첨삭 및 시연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써 온라인 회의의 효용성을 높히고, 인터넷 환경에서의 지식공유, 커뮤니티 및 전자상거래 등에 있어서 온라인 회의를 활성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서비스서버가 연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중의 컴퓨터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과정별 컴퓨터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흐름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으로, 다수의 회의 참여자 컴퓨터(10)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는 서비스서버(20)가 추가로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 서비스서버(20)란 본 발명이 인터넷 등의 통신망 상에서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될 경우 그 주체에 의하여 운영되는 서버를 말한다.
도 2에서 각 컴퓨터(10)간 통신은 직접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서비스서버(20)를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 서비스서버(20)를 경유하는 경우 방화벽(firewall) 등으로 인한 제약을 극복하는데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은 각 컴퓨터(10)간의 통신 경로 또는 방법에 관한 것이 아니라, 통신이 성립됨을 전제로 각 컴퓨터(10)간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회의의 구현에 관한 것이므로, 이러한 컴퓨터(10)간 통신방식 또는 경로에 대한 청구범위의 구체적인 한정은 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회의가 실시되는 중의 회의 참여 컴퓨터(10)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회의프로그램(11)이 실행되고 있으며, 회의프로그램(11)에 의하여 구현된 화면 안에는 각 참여 컴퓨터(10)의 마우스포인터 및 각 참여 컴퓨터(10)에 의하여 등록된 데이터, 즉 각 참여 컴퓨터(10)에 소재하고 각 참여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11)에 의하여 원격제어 가능상태가 된 데이터가 표시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컴퓨터(10) 화면에서는 회의프로그램(11)에 의하여 구현된 화면 안에, 타 컴퓨터(10)에서 실행 중인 응용프로그램(12) 화면이 표시되고 있으며, 흰색 마우스포인터와 검은색 마우스포인터는 각각 해당 컴퓨터(10)와 타 참여 컴퓨터(10)의 마우스포인터를 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마우스포인터의 표시여부 및 표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선택 실시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은 하지 않는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가상작업공간(virtual workspace) 형태의 회의프로그램(11) 화면 외에도, 메신저형태의 대화창이나, 인터넷 게시판 또는 음성 및 화상 전달 수단 등이 추가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이 수행되는 과정별 컴퓨터(10)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2개소의 회의 참여 컴퓨터(10)가 연결된 상태를 가정한 것이다.
우선 도 4의 상단 첫번째 화면에 있어서, 좌우 양측의 컴퓨터(10) 모두 회의프로그램(11)은 실행되지 않은 상태이며, 우측 컴퓨터(10)에서는 응용프로그램(12)이 실행중에 있다.
두번째 화면에서는 좌우 양측 모두 회의프로그램(11)이 실행되어 서로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본 발명의 회의프로그램(11)은 기본적으로 회의 참여자간의 온라인 회의 개최에 대한 동의가 전제되는 것이므로, 현재의 인터넷 기반의 통신에 있어서 IP등의 접속정보만 확보될 경우 참여 컴퓨터(10)간 접속을 주선하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지는 않으나, 특별한 경우, 예컨데 방화벽의 우회, 인터넷 상의 불특정 컴퓨터(10)간 즉흥 회의, 익명의 참여자간 회의 및 고도의 참여자 인증이 필요한 경우 등에는 도 2에서와 같은 서비스서버(20)가 접속을 주선 또는 중개할 수도 있다.
회의프로그램(11) 실행되면 설정된 회의 참여 컴퓨터(10), 즉 회의프로그램(11)이 실행되고 있는 타 참여 컴퓨터(10)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접속이란 회의프로그램(11)간 접속을 의미하는 것으로, 별도의 세션(session)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기설(旣設) 세션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참여 컴퓨터(10)간 어떠한 접속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라면 새로운 세션이 구성되고, 메신저나 P2P 등을 통하여 이미 참여 컴퓨터(10)간 접속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는 새로운 세션이 구성되거나 기설 세션을 이용하여 접속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제어는 이미 상용화된 기술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과 동일인이 권리자인 특허 제402094호의 웹과 아이콘을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회의 프로그램은 각 회의 참여 컴퓨터(10)에 탑재되어 기본적인 의사전달은 물론 원격제어 및 원격제어 결과로서 피제어 컴퓨터(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화면에 구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세번째 화면은 각 컴퓨터(10)의 데이터가 원격제어 가능상태가 되도록 하는 조작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좌측 컴퓨터(10)에서는 원래 바탕화면에 있었던 응용프로그램(12)의 아이콘(icon)이 회의프로그램(11)에 의하여 구현된 화면, 즉 가상작업공간(virtual workspace) 내부로 이동되었음을 알 수 있고, 우측 컴퓨터(10)에서는 이미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12) 화면이 드래그앤드롭(drag-and-drop)에 의하여 가상작업공간으로 이동되는 중임을 알 수 있다.
네번째 화면은 원격제어 가능상태가 된 데이터를 타 컴퓨터(10)가 원격제어를 통하여 조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소재지가 좌측 컴퓨터(10)인 응용프로그램(12) 아이콘을 우측컴퓨터(10)의 마우스포인터가 클릭하여 실행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원격제어는 단방향이 아니라 양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회의 참여 컴퓨터(10)는 타 컴퓨터(10)의 데이터를 해당 소프트웨어의 탑재 없이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전술한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회의의 각 수행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각 컴퓨터(10)에 탑재된 회의프로그램(11)이 실행되는 단계로부터, 원격제어에 의한 응용프로그램(12)의 실행에 따른 결과를 타 컴퓨터(10) 화면에 출력하는 일련의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회의에 있어서 제어주체가되는 컴퓨터(10)와 제어대상이 되는 컴퓨터(10)는 고정되지 않고, 소재지별 자료의 처리필요에 따라 수시로 변경되며, 각 회의 참여 컴퓨터(10)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가상작업공간을 공유하므로, 원격제어에 의하여 처리된 결과는 제어주체인 컴퓨터(10) 뿐 아니라 타 회의 참여 컴퓨터(10)에도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수행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각의 컴퓨터(10)에는 회의프로그램(11)이 탑재되고, 본 발명이 수행되는 컴퓨터(10) 중 다수의 컴퓨터(10) 즉, 적어도 2곳 이상의 컴퓨터(10)에서 회의프로그램(11)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실행단계(S10)로 본 발명이 개시된다.
이후, 회의프로그램(11)이 실행된 컴퓨터(10)들이 상호 접속되는 접속단계(S20)와, 회의프로그램(11)이 실행된 컴퓨터(10)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11)이 타 컴퓨터(10)로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제어신호발신단계(S31)와, 제어신호를 수신한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11)이 탑재된 응용프로그램(12)을 실행하는 피제어단계(S32)가 수행된다.
이어서, 제어신호를 수신한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11)이 상기 응용프로그램(12)의 실행결과 데이터를 제어신호를 발신한 컴퓨터(10)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S42)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11)이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계(S51)가 수행된다.
이로써, 다수의 네트워크상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되는 온라인 회의를 진행함에 있어서, 회의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각각의 컴퓨터에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구현함에 있어서, 데이터 자체를 이동시키지 않고 하나의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를 원격제어하여 소기의 데이터를 열람, 가공 및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전송단계(S42)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11)이 상기 응용프로그램(12)의 실행결과 데이터를 회의프로그램(11)이 실행중인 타 컴퓨터(10)들로 전송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10 : 컴퓨터
20 : 서비스서버
11 : 회의프로그램
12 : 응용프로그램
S10 : 프로그램실행단계
S20 : 접속단계
S31 : 제어신호발신단계
S32 : 피제어단계
S42 : 데이터전송단계
S51 : 출력단계

Claims (2)

  1. 네트워크상의 다수의 컴퓨터(10)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회의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컴퓨터(10)에는 회의프로그램(11)이 탑재되고;
    3곳 이상의 컴퓨터(10)에서 회의프로그램(11)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실행단계(S10)와;
    회의프로그램(11)이 실행된 컴퓨터(10)들이 상호 접속되는 접속단계(S20)와;
    회의프로그램(11)이 실행된 컴퓨터(10)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11)이 타 컴퓨터(10)로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제어신호발신단계(S31)와;
    제어신호를 수신한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11)이 탑재된 응용프로그램(12)을 실행하는 피제어단계(S32)와;
    제어신호를 수신한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11)이 상기 응용프로그램(12)의 실행에 따른 결과인 실행결과 데이터를 제어신호를 발신한 컴퓨터(10) 및 타 컴퓨터(10)들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S42)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컴퓨터(10)의 회의프로그램(11)이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계(S51)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회의 방법.
  2. 삭제
KR1020200189057A 2020-12-31 2020-12-31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회의 방법 KR102566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057A KR102566158B1 (ko) 2020-12-31 2020-12-31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회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057A KR102566158B1 (ko) 2020-12-31 2020-12-31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회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936A KR20210007936A (ko) 2021-01-20
KR102566158B1 true KR102566158B1 (ko) 2023-08-11

Family

ID=7430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057A KR102566158B1 (ko) 2020-12-31 2020-12-31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회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1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122B1 (ko) * 2009-06-16 2010-10-20 알서포트 주식회사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가상 협업 서비스 방법
KR102183476B1 (ko) * 2020-07-22 2020-11-27 (주)대교씨엔에스 웹 브라우저 기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701B1 (ko) * 2008-01-15 2010-05-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122B1 (ko) * 2009-06-16 2010-10-20 알서포트 주식회사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가상 협업 서비스 방법
KR102183476B1 (ko) * 2020-07-22 2020-11-27 (주)대교씨엔에스 웹 브라우저 기반 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936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0219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virtual conferencing with embedded collaboration tools
USRE46309E1 (en) Application sharing
US6151621A (en) Personal conferencing system
US9813463B2 (en) Phoning into virtu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US9736214B2 (en) Integrating co-browsing with other forms of information sharing
JP4979954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1つのクラスのユーザに、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の別のクラスのユーザが視覚的に体験している事物のビュー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RU2438169C2 (ru) Подсистемно-контекстная архитектура для комнат для работы в группе в виртуальн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US6463460B1 (en)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 permitting increased collaboration between users
Gajewska et al. Argo: A system for distributed collaboration
US9210200B1 (en)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for connecting users to operating nodes
US9832423B2 (en) Displaying concurrently presented versions in web conferences
JP2007329917A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複数のテレビ会議出席者が互いを見、聞くことを可能にする方法およびテレビ会議システム用の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CN112769582A (zh) 用于会议的电子工具和方法
KR101771400B1 (ko) 회의실객체를 이용한 화상회의 방법
US20140006915A1 (en) Webpage browsing synchronization in a real time collaboration session field
KR100611255B1 (ko) 작업 공간을 공유하는 원격 회의 방법
US20110029885A1 (en) Confidential Presentations in Virtual Worlds
CN117044189A (zh) 用于改进视频会议的多用户交互板
KR102566158B1 (ko)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회의 방법
KR100989122B1 (ko)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가상 협업 서비스 방법
KR20180108165A (ko) 웹객체를 이용한 화상회의 방법
US20230339816A1 (en) Visual Communications
Fabry et al. Proximity-Based Video Communication with CocktailParty
Han et al. A service composition oriented framework for configuring SMeet multiparty collaboration environments
Siltanen et al. Gaze-aware video conferencing application for multiparty collab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