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029B1 - Smart manhole cover and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the smart manhole cover - Google Patents

Smart manhole cover and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the smart manhole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029B1
KR102566029B1 KR1020230059800A KR20230059800A KR102566029B1 KR 102566029 B1 KR102566029 B1 KR 102566029B1 KR 1020230059800 A KR1020230059800 A KR 1020230059800A KR 20230059800 A KR20230059800 A KR 20230059800A KR 102566029 B1 KR102566029 B1 KR 102566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nhole
pressure sensor
smar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98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광희
심무준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 경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 경주시 filed Critical 경상북도 경주시
Priority to KR1020230059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0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029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7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or impeding fall or injuries of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1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pressure
    • G01F23/18Indicating, recording or alarm devices actuated electric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7/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tyre pressure or the pressure in other inflated bod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맨홀의 입구 중 제1 방향에 배치되는 제1 덮개; 상기 맨홀의 상기 입구 중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2 덮개; 및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덮개는, 상기 맨홀의 내부 수압에 따라,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에 부분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으로부터 분리되는, 스마트 맨홀 뚜껑이 개시된다. 이 외에도 본 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A first cover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of the entrance of the manhole; a second cover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inlets of the manhole; And a third cov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wherein the third cover is parti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ccording to the water pressure inside the manhole, or , or a smart manhole cover that is separated from each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is disclosed. In addition to this, various embodiments identified through this document are possible.

Description

스마트 맨홀 뚜껑 및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을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SMART MANHOLE COVER AND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THE SMART MANHOLE COVER}Smart manhole cover and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the smart manhole cover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스마트 맨홀 뚜껑 및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을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relate to a smart manhole cover and a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the smart manhole cover.

맨홀은 하수관 내의 점검 및 청소 등을 위해 관로 중간중간에서 지상과 지하를 연결하는 수직 구멍이다. 이러한 맨홀은 막히지 않은 상태인 경우, 지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통행 중인 차량이나 유사시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상으로 노출된 맨홀의 입구는 맨홀 뚜껑으로 막힐 수 있다.A manhole is a vertical hole that connects the ground and the underground in the middle of a pipe for inspection and cleaning in the sewage pipe. When such a manhole is not blocked, it may threaten the safety of passing vehicles or pedestrians in case of emergency because it is exposed to the ground. To prevent this, the entrance of the manhole exposed to the ground may be blocked with a manhole cover.

맨홀 뚜껑은 관리주체의 판단에 따라 하수관 내의 점검 및 청소 등을 위해 맨홀 입구로부터 분리되도록 관리될 수 있다. 그러나, 맨홀 뚜껑은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 상황 등 재난 상황에서 의도치 않게 맨홀 입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마철 집중호우가 발생됨에 따라, 우수전용관을 흐르는 빗물이 하천 등으로 모두 방류되지 못하고 우수전용관 내에 가득 차는 경우, 맨홀 뚜껑은 상기 방류되지 못한 빗물의 수압으로 인하여 맨홀 입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압의 크기에 따라 맨홀 뚜껑이 맨홀 입구로부터 분리되는 세기 또한 커질 수 있다.The manhole cover can be managed to be separated from the manhole entrance for inspection and cleaning of the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managing body. However, the manhole cover may be unintentionally separated from the manhole entrance in a disaster situation such as a flood situation caused by torrential rain. For example, as heavy rain occurs during the rainy season, when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rainwater pipe is not completely discharged to a river and the rainwater pipe is full, the manhole cover can be separated from the manhole entrance due to the water pressure of the rainwater that has not been discharged. there is. In this case, the strength at which the manhol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manhole entrance may also increase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water pressure.

수압에 의하여 맨홀 뚜껑이 맨홀 입구로부터 분리되면, 맨홀 입구 주변에 위치한 차량이나 보행자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실제로, 지난 2022년 8월 서울시 서초구 일대에서는 홍수로 인해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지 못하고 길을 헤매던 남매가 맨홀 뚜껑이 분리된 맨홀 입구를 통해 맨홀 내부로 빨려 들어가 결국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되기도 했다.If the manhol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manhole entrance by water pressure, vehicles or pedestrians located around the manhole entrance may suffer great damage. In fact, in August 2022, in Seocho-gu, Seoul, a brother and sister who were una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sidewalk and the road due to flooding and wandered on the road were sucked into the manhole through the manhole entrance with the manhole cover separated and eventually died. There was also an unfortunate accident.

관리주체는 홍수 상황에서 빗물로 수위가 높아진 현장에 직접 나가 맨홀 뚜껑의 유실 여부를 확인하거나 위험한 맨홀 뚜껑을 개방함으로써, 맨홀 뚜껑의 유실을 방지하는 동시에 해당 맨홀 입구를 위험 구역으로 설정하여 피해를 방지하고자 할 수 있다. 그러나, 홍수 상황에서 관리주체 또한 언제든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실제 홍수 상황에서는 맨홀 뚜껑이 맨홀 입구로부터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조차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전국적으로 설치된 맨홀 뚜껑의 개수는 약 340만 개에 달하고, 서울시에만 무려 46만여 개의 맨홀 뚜껑이 설치되어 있어 관리주체가 이를 관리 감독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In a flood situation, the management body directly goes to the site where the water level has risen with rainwater to check whether the manhole cover is lost or opens the dangerous manhole cover to prevent loss of the manhole cover and at the same time set the manhole entrance as a dangerous zone to prevent damage You can do it. However, in a flood situation, the management subject may also fall into a dangerous situation at any time, and in an actual flood situation, it may be difficult to even check whether the manhol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manhole entrance. Moreover, the number of manhole covers installed nationwide reaches about 3.4 million, and as many as 460,000 manhole covers are installed in Seoul alone.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홍수 등 재난 상황에서 차량 및 보행자 등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 맨홀 뚜껑 및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을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art manhole cover for protecting vehicles and pedestrians in a disaster situation such as a flood and a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the smart manhole cov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맨홀 뚜껑은, 맨홀의 입구 중 제1 방향에 배치되는 제1 덮개, 상기 맨홀의 상기 입구 중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2 덮개, 및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덮개는, 상기 맨홀의 내부 수압에 따라,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에 부분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mart manhole cover includes a first cover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among the entrances of the manhole, a second cover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entrances of the manhole, and the It includes a third cov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nd the third cover is parti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ccording to the water pressure inside the manhole, or It may be separated from each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맨홀에 대응되는 하수관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제1 거리에 위치한 제1 수압 센서, 및 상기 하수관에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에 위치한 제2 수압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first water pressure sensor located at a first distance from the sewer pipe corresponding to the manhole in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first water pressure sensor located at a first distance from the sewer pipe in the third direction that is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A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located at 2 distances may be further includ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덮개는, 상기 제1 수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제1 수압 및 상기 제2 수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제2 수압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에 부분적으로 연결된 폐쇄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으로부터 분리된 개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hird cover, based on the first water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first water pressure sensor and the second water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It may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par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may be switched from the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separated from each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덮개는, 상기 맨홀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덮개는, 상기 맨홀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압력 센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덮개는, 상기 맨홀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되는 제3 압력 센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덮개는, 상기 제1 압력 센서 그룹 및 상기 제3 압력 센서 그룹 각각에서 지정된 시간 이내에 외부 압력이 감지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압력 센서 그룹 및 상기 제3 압력 센서 그룹 각각에서 지정된 시간 이내에 외부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폐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cover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group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and the second cover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group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2 pressure sensor groups, and the third cover includes a third pressure sensor group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and the third cover includes the first pressure sensor group and the third pressure sensor group. When external pressure is sensed within a specified time in each pressure sensor group or external pressure is sensed within a specified time in each of the second pressure sensor group and the third pressure sensor group, the closed state may be maintain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3 덮개를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제1 덮개의 개방된 제1 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4 방향에 복수의 제1 돌기가 형성된 잠금 바, 및 상기 맨홀 내에서 상기 제1 덮개에 대하여 상기 제4 방향으로 배치되고, 둘레를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돌기가 형성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바는, 상기 복수의 제1 돌기 중 일부가 상기 복수의 제2 돌기 중 일부에 맞물려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홈의 내부로 전부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홈의 내부에 일부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first cover and the third cover,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is at least partially disposed in the open first groove of the first cover, the first cover A locking bar having a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formed in a four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ocking bars disposed in the four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over within the manhole an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along the circumference. A second protrusion is formed, and the locking bar is entirely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as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re engaged with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and moved, Alternatively, it may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덮개에는, 상기 제1 홈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may be formed in the third cov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덮개의 제1 측면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에 대응되는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3 덮개의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에 대응되는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first cover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n oblique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designat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cover corresponds to the first side surface. It may be formed inclined in an oblique direc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덮개는,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hird cover, when separated from each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will protrude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in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ca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맨홀 뚜껑을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은, 맨홀의 입구에 배치되고, 식별 정보를 갖는 스마트 맨홀 뚜껑,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을 관제하는 맨홀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은, 맨홀의 입구 중 제1 방향에 배치되는 제1 덮개, 상기 맨홀의 상기 입구 중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2 덮개, 및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맨홀의 내부 수압에 따라, 상기 제3 덮개가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에 부분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3 덮개를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으로 인스트럭션을 전달According to an embodiment, a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a smart manhole cover includes a smart manhole cover disposed at the entrance of a manhole and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manhole control server that controls the smart manhole cover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mart manhole cover includes a first cover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among the entrances of the manhole, a second cover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entrances of the manhole, and the first cover And a third cov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ver, the control server, according to the water pressure inside the manhole, the third cover is parti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lternatively, an instruction is transmitted to the smart manhole cover to separate the third cover from each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은, 상기 맨홀에 대응되는 하수관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제1 거리에 위치한 제1 수압 센서, 및 상기 하수관에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에 위치한 제2 수압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mart manhole cover includes a first water pressure sensor located at a first distance from the sewer pipe corresponding to the manhole in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water pressure sensor located in the third direction from the sewer pipe. A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located at a second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may be further includ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제1 수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제1 수압 및 상기 제2 수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제2 수압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덮개가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에 부분적으로 연결된 폐쇄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3 덮개가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으로부터 분리된 개방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으로 인스트럭션을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server, based on the first water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first water pressure sensor and the second water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the third cover is the first cover and An instruction is sent to the smart manhole cover so that the third cover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parti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second covers, or the third cover is switched to an open state separated from each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in the closed state. can be convey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덮개는, 상기 맨홀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덮개는, 상기 맨홀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압력 센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덮개는, 상기 맨홀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되는 제3 압력 센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제1 압력 센서 그룹 및 상기 제3 압력 센서 그룹 각각에서 지정된 시간 이내에 외부 압력이 감지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압력 센서 그룹 및 상기 제3 압력 센서 그룹 각각에서 지정된 시간 이내에 외부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3 덮개가 상기 폐쇄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으로 인스트럭션을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cover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group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and the second cover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group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2 pressure sensor groups, and the third cover includes a third pressure sensor group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and the control server includes the first pressure sensor group and the third pressure sensor group. When an external pressure is sensed within a specified time in each sensor group, or an external pressure is sensed within a specified time in each of the second pressure sensor group and the third pressure sensor group, the third cover is maintained in the closed state. Instructions can be transmitted through smart manhole cover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은,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3 덮개를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제1 덮개의 개방된 제1 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4 방향에 복수의 제1 돌기가 형성된 잠금 바, 및 상기 맨홀 내에서 상기 제1 덮개에 대하여 상기 제4 방향으로 배치되고, 둘레를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돌기가 형성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바는, 상기 복수의 제1 돌기 중 일부가 상기 복수의 제2 돌기 중 일부에 맞물려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홈의 내부로 전부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홈의 내부에 일부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mart manhole cover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the first cover and the third cover, and the connection means is at least partially connected to the first groove of the first cover. A locking bar having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disposed in a four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disposed in the four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over in the manhole, an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 driv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one protrusion, and the locking bar is moved by engaging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with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It may be entire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r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덮개에는, 상기 제1 홈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may be formed in the third cov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덮개의 제1 측면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에 대응되는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3 덮개의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에 대응되는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first cover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n oblique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designat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cover corresponds to the first side surface. It may be formed inclined in an oblique direc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제3 덮개가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3 덮개가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으로 인스트럭션을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server, when the third cover is separated from each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the third cover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in the first direction An instruc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mart manhole cover so as to protrude in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맨홀 뚜껑 및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을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은, 홍수 등 재난 상황에서 맨홀 입구를 부분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차량 및 보행자 등을 보호할 수 있다.A smart manhole co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and a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the smart manhole cover can protect vehicles and pedestrians by partially opening a manhole entrance in a disaster situation such as a flood.

이 외에도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various effects identified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this document may be provided.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맨홀 뚜껑을 사용하는 환경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맨홀 뚜껑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맨홀 뚜껑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맨홀 뚜껑의 일시적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d는 도 2c에 도시된 스마트 맨홀 뚜껑의 상태를 위에서 바라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맨홀 뚜껑을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nvironment using a smart manhol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by way of example.
2A is a diagram showing a closed state of a smart manhole co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2B is a diagram showing an open state of a smart manhole co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2C is a diagram showing a temporarily closed state of a smart manhole co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2d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smart manhole cover shown in FIG. 2c viewed from abov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a smart manhol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usu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uses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alternatives can be made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맨홀 뚜껑을 사용하는 환경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nvironment using a smart manhol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by way of example.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맨홀 뚜껑(100)은 맨홀(H)의 입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맨홀 뚜껑(100)은 지하(U)에 수평 방향(예: -x축 및 +x축 방향)으로 매설된 하수관(P)(예: 우수전용관)의 중간에서부터 지상(G)을 향하는 수직 방향(예: -y축 및 +y축 방향)으로 연결된 맨홀(H)의 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mart manhole cover 100 may be disposed at the entrance of the manhole H. For example, the smart manhole cover 100 extends from the middle of a sewage pipe (P) (eg, rainwater pipe) buried in the underground (U) in a horizontal direction (eg, -x axis and +x axis direction) to the ground (G) It may be placed at the entrance of the manhole (H)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eg, -y axis and +y axis direction) toward th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맨홀 뚜껑(100)은 맨홀(H)의 내부 수압에 따라, 맨홀(H)의 입구를 부분적으로 개방하거나, 또는 맨홀(H)의 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맨홀 뚜껑(100)은 맨홀(H) 내부의 한 지점에 위치한 제1 수압 센서(HPS1)를 이용하여 측정된 제1 수압 및 맨홀(H) 내부의 다른 한 지점에 위치한 제2 수압 센서(HPS2)를 이용하여 측정된 제2 수압을 비교하여, 제2 수압이 제1 수압의 크기에 일정 비율(예: 70%) 도달되면, 맨홀(H)의 입구를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제1 수압 센서(HPS1)는 하수관(P)에서부터 상기 하수관(P)에 수직인 방향(예: +y축 방향)으로 제1 거리(D1)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수압 센서(HPS2)는 하수관(P)에서부터 상기 하수관(P)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2 거리(D2)(예: 제1 거리(D1)보다 긴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수압 센서(HPS2)는 제1 수압 센서(HPS1)보다 맨홀(H)의 입구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mart manhole cover 100 may partially open the entrance of the manhole H or close the entrance of the manhole H according to the internal water pressure of the manhole H. For example, the smart manhole cover 100 has a first water pressure measured using a first water pressure sensor HPS1 located at one point inside the manhole H and a second water pressure located at another point inside the manhole H. By comparing the second water pressure measured using the water pressure sensor HPS2, when the second water pressure reaches a certain ratio (eg, 70%) to the size of the first water pressure, the entrance of the manhole H can be partially opened. there is. The first water pressure sensor HPS1 may be located at a first distance D1 from the sewer pipe P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wer pipe P (eg, +y-axis direction). The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HPS2 may be located at a second distance D2 (eg, a distance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D1) from the sewage pipe P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wage pipe P. The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HPS2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entrance of the manhole H than the first water pressure sensor HPS1.

도 2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맨홀 뚜껑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A is a diagram showing a closed state of a smart manhole co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2a를 참조하면, 스마트 맨홀 뚜껑(100)은 하수관(P)으로부터 맨홀(H)로 넘친 물(W)이 맨홀(H) 내에서 일정 수위 이하이면, 제1 덮개(210), 제2 덮개(220), 및 제3 덮개(230)가 서로 연결된 폐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맨홀 뚜껑(100)은 제2 수압 센서(HPS2)에 의하여 측정된 제2 수압이 지정된 값에 도달되지 않으면, 제1 덮개(210) 및 제2 덮개(220) 각각에 제3 덮개(230)의 양측면이 연결된 폐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smart manhole cover 100 is formed when the water (W) overflowing from the sewer pipe (P) into the manhole (H) is below a certain water level in the manhole (H), the first cover 210 and the second cover 220, and the third cover 230 can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second water pressure measured by the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HPS2 does not reach a designated value, the smart manhole cover 100 is provided with a third water pressure on the first cover 210 and the second cover 220, respectively. Both sides of the cover 230 may be maintained in a connected closed stat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맨홀 뚜껑(100)은 제1 덮개(210), 제2 덮개(220), 및 제3 덮개(23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mart manhole cover 100 may include a first cover 210, a second cover 220, and a third cover 23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덮개(210)는 맨홀(H)의 입구 중 제1 방향(예: -x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덮개(210)의 둘레는 맨홀(H) 입구의 둘레 중 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덮개(210)는 제1 홈(211) 및 제1 압력 센서 그룹(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211)은 제1 덮개(210)의 일측에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 그룹(214)은 제1 덮개(210)의 상부면(예: +y축 방향의 면)에서 맨홀(H)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압력 센서 그룹(214)은 보행자의 발바닥 등에 의한 외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cover 21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eg, -x-axis direction) of the entrance of the manhole (H). For example,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ver 210 may be in contact with som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inlet of the manhole (H). 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ver 210 may include a first groove 211 and a first pressure sensor group 214. The first groove 211 may have an open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first cover 210 . The first pressure sensor group 214 may be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H on the upper surface (eg, +y-axis direction) of the first cover 210 . Here, the first pressure sensor group 214 may detect external pressure caused by the foot sole of a pedestria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덮개(220)는 맨홀(H)의 입구 중 제2 방향(예: +x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덮개(220)의 둘레는 맨홀(H) 입구의 둘레 중 제1 덮개(210)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다른 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덮개(220)는 제1 홈(221) 및 제2 압력 센서 그룹(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홈(221)은 제2 덮개(220)의 일측에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 그룹(224)은 제2 덮개(220)의 상부면(예: +y축 방향의 면)에서 맨홀(H)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압력 센서 그룹(224)은 보행자의 발바닥 등에 의한 외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cover 220 may be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eg, +x-axis direction) of the inlet of the manhole H. For example,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over 220 may be in contact with another part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ver 210 among the circumferences of the inlet of the manhole H.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ver 220 may include a first groove 221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group 224 . The second groove 221 may have an open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second cover 220 . The second pressure sensor group 224 may be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H on the upper surface (eg, +y-axis direction) of the second cover 220 . Here, the second pressure sensor group 224 may detect external pressure caused by the foot sole of a pedestria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덮개(230)는 제1 덮개(210) 및 제2 덮개(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덮개(230)의 제1 방향에 위치한 제3 측면(232)에는 제1 덮개(210)의 제1 측면(212)이 접촉되고, 제3 덮개(230)의 제2 방향에 위치한 제3 측면(232)에는 제2 덮개(220)의 제2 측면(222)이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212) 및 제2 측면(222) 각각은 서로 다른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면(212)은 -x축 및 +y축 사이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제2 측면(222)은 +x축 및 +y축 사이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덮개(230)의 양쪽에 형성된 제3 측면(232)은 제1 측면(212) 및 제2 측면(222)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3 덮개(232)의 양쪽에 형성된 제3 측면(232) 각각에는 제1 측면(212)의 패킹부재(213) 및 제2 측면(222)의 패킹부재(223) 각각에 대응되는 패킹부재들(233)이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hird cover 2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210 and the second cover 220 . For example, the first side surface 212 of the first cover 210 is in contact with the third side surface 232 located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third cover 230, and the second direction of the third cover 230 The second side surface 222 of the second cover 220 may be in contact with the third side surface 232 located at . Here, each of the first side surface 212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22 may be inclined in different oblique directions. For example, the first side surface 21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between the -x axis and the +y axis,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2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between the +x axis and the +y axis. there is. In this case, the third side surfaces 23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cover 230 may correspond to the first side surface 212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22 , respectively. In addition, each of the third side surfaces 23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cover 232 has a packing corresponding to the packing member 213 of the first side surface 212 and the packing member 223 of the second side surface 222, respectively. Members 233 may be dispos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덮개(230)는 제3 홈(231) 및 제3 압력 센서 그룹(2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홈(231)은 제3 덮개(230)의 양측에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제3 압력 센서 그룹(234)은 제3 덮개(230)의 상부면(예: +y축 방향의 면)에서 맨홀(H)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압력 센서 그룹(234)은 보행자의 발바닥 등에 의한 외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hird cover 230 may include a third groove 231 and a third pressure sensor group 234 . The third groove 231 may have an open structure on both sides of the third cover 230 . The third pressure sensor group 234 may be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H on the upper surface (eg, the surface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third cover 230 . Here, the third pressure sensor group 234 may detect external pressure caused by the foot sole of a pedestria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연결 수단(240)은 잠금 바(241) 및 구동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바(241)의 하부면(예: -y축 방향의 면)에는 복수의 제1 돌기(24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바(241)는 구동부(242)의 구동에 따라, 제1 덮개(210)의 제1 홈(2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242)는 맨홀(H)의 내부에서 제1 덮개(210)의 아래쪽(예: -y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42)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1 돌기(241a)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돌기(242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잠금 바(241)는 스마트 맨홀 뚜껑(100)이 폐쇄 상태인 경우, 복수의 제1 돌기(241a) 중 일부가 복수의 제2 돌기(242a) 중 일부에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어, 제1 홈(211)의 내부에서부터 제3 덮개(230)의 한쪽에 형성된 제3 홈(231)의 내부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unit 240 may include a locking bar 241 and a driving unit 242 .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41a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eg, a surface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locking bar 241 . The locking bar 241 may be at least partially disposed in the first groove 211 of the first cover 21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242 . The driving unit 242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cover 210 inside the manhole H (eg, in the -y-axis direct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42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41a may be formed around the drive unit 242 . In one embodiment, when the smart manhole cover 100 is closed, the locking bar 241 maintains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241a engaged with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242a, , It may be disposed over the inside of the third groove 231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cover 230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groove 211.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연결 수단(250)은 잠금 바(251) 및 구동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바(251)의 하부면(예: -y축 방향의 면)에는 복수의 제1 돌기(25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바(251)는 구동부(242)의 구동에 따라, 제2 덮개(220)의 제2 홈(22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252)는 맨홀(H)의 내부에서 제2 덮개(220)의 아래쪽(예: -y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52)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1 돌기(251a)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돌기(252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잠금 바(251)는 스마트 맨홀 뚜껑(100)이 폐쇄 상태인 경우, 복수의 제1 돌기(251a) 중 일부가 복수의 제2 돌기(252a) 중 일부에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어, 제2 홈(221)의 내부에서부터 제3 덮개(230)의 다른 한쪽에 형성된 제3 홈(231)의 내부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ion unit 250 may include a locking bar 251 and a driving unit 252 .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51a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eg, a surface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locking bar 251 . The locking bar 251 may be at least partially disposed in the second groove 221 of the second cover 22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242 . The driving unit 252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cover 220 inside the manhole H (eg, in the -y-axis direct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52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51a may be formed around the driving unit 252 . In one embodiment, when the smart manhole cover 100 is closed, the locking bar 251 maintains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51a engaged with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52a, , It may be disposed over the inside of the third groove 231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cover 230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groove 221.

도 2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맨홀 뚜껑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2b에 도시된 스마트 맨홀 뚜껑(100)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도 2a에 도시된 스마트 맨홀 뚜껑(100)의 구성요소들과 대응될 수 있다.2B is a diagram showing an open state of a smart manhole co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Hereinafter, descriptions of some components of the smart manhole cover 100 shown in FIG. 2B may correspond to the components of the smart manhole cover 100 shown in FIG. 2A described above.

도 2b를 참조하면, 스마트 맨홀 뚜껑(100)은 하수관(P)으로부터 맨홀(H)로 넘친 물(W)이 맨홀(H) 내에서 일정 수위를 초과하면, 제1 덮개(210), 제2 덮개(220), 및 제3 덮개(230)가 서로 분리된 개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맨홀 뚜껑(100)은 제2 수압 센서(HPS2)에 의하여 측정된 제2 수압이 지정된 값에 도달되면, 제1 덮개(210) 및 제2 덮개(220) 각각에 제3 덮개(230)의 양측면이 연결된 폐쇄 상태에서 상기 양측면이 분리된 개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수압은 제1 수압 센서(HPS1)에 의하여 측정된 제1 수압의 일정 비율(예: 70%)에 도달한 값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2 수압 센서(HPS2)에 의하여 측정된 제2 수압을 제1 수압 센서(HPS1)에 의하여 측정된 제1 수압과 비교함으로써, 맨홀(H)의 입구에서부터 하수관(P)으로 흘러내리는 빗물의 수압에 의한 오작동(예: 하수관(P)이 넘쳐흐르지 않는 상황에서 스마트 맨홀 뚜껑(100)이 개방 상태로 전환)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the smart manhole cover 100 is formed when the water (W) overflowing from the sewer pipe (P) into the manhole (H) exceeds a certain water level in the manhole (H), the first cover 210, the second The cover 220 and the third cover 230 may be switched to open states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second water pressure measured by the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HPS2 reaches a designated value, the smart manhole cover 100 has a third cover on each of the first cover 210 and the second cover 220. It can be converted from a closed state in which both sides of 230 are connected to an open state in which both sides are separated. Here, the second water pressure may be a value reaching a predetermined ratio (eg, 70%) of the first water pressure measured by the first water pressure sensor HPS1. In one embodiment of this document, by comparing the second water pressure measured by the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HPS2 with the first water pressure measured by the first water pressure sensor HPS1, the sewage pipe (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s caused by the water pressure of rainwater flowing down to P) (eg, the smart manhole cover 100 is switched to an open state in a situation where the sewer pipe P is not overflowing).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맨홀 뚜껑(100)은 제1 덮개(210), 제2 덮개(220), 및 제3 덮개(23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mart manhole cover 100 may include a first cover 210, a second cover 220, and a third cover 23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덮개(210)는 맨홀(H)의 입구 중 제1 방향(예: -x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덮개(210)의 둘레는 맨홀(H) 입구의 둘레 중 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덮개(210)는 제1 홈(211) 및 제1 압력 센서 그룹(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211)은 제1 덮개(210)의 일측에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 그룹(214)은 제1 덮개(210)의 상부면(예: +y축 방향의 면)에서 맨홀(H)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압력 센서 그룹(214)은 보행자의 발바닥 등에 의한 외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cover 21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eg, -x-axis direction) of the entrance of the manhole (H). For example,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ver 210 may be in contact with som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inlet of the manhole (H). 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ver 210 may include a first groove 211 and a first pressure sensor group 214. The first groove 211 may have an open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first cover 210 . The first pressure sensor group 214 may be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H on the upper surface (eg, +y-axis direction) of the first cover 210 . Here, the first pressure sensor group 214 may detect external pressure caused by the foot sole of a pedestria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덮개(220)는 맨홀(H)의 입구 중 제2 방향(예: +x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덮개(220)의 둘레는 맨홀(H) 입구의 둘레 중 제1 덮개(210)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다른 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덮개(220)는 제1 홈(221) 및 제2 압력 센서 그룹(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홈(221)은 제2 덮개(220)의 일측에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 그룹(224)은 제2 덮개(220)의 상부면(예: +y축 방향의 면)에서 맨홀(H)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압력 센서 그룹(224)은 보행자의 발바닥 등에 의한 외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cover 220 may be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eg, +x-axis direction) of the inlet of the manhole H. For example,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over 220 may be in contact with another part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ver 210 among the circumferences of the inlet of the manhole H.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ver 220 may include a first groove 221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group 224 . The second groove 221 may have an open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second cover 220 . The second pressure sensor group 224 may be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H on the upper surface (eg, +y-axis direction) of the second cover 220 . Here, the second pressure sensor group 224 may detect external pressure caused by the foot sole of a pedestria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덮개(230)는 제1 덮개(210) 및 제2 덮개(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덮개(230)의 제1 방향에 위치한 제3 측면(232)에는 제1 덮개(210)의 제1 측면(212)이 접촉되고, 제3 덮개(230)의 제2 방향에 위치한 제3 측면(232)에는 제2 덮개(220)의 제2 측면(222)이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212) 및 제2 측면(222) 각각은 서로 다른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면(212)은 -x축 및 +y축 사이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제2 측면(222)은 +x축 및 +y축 사이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덮개(230)의 양쪽에 형성된 제3 측면(232)은 제1 측면(212) 및 제2 측면(222)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3 덮개(232)의 양쪽에 형성된 제3 측면(232) 각각에는 제1 측면(212)의 패킹부재(213) 및 제2 측면(222)의 패킹부재(223) 각각에 대응되는 패킹부재들(233)이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hird cover 2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210 and the second cover 220 . For example, the first side surface 212 of the first cover 210 is in contact with the third side surface 232 located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third cover 230, and the second direction of the third cover 230 The second side surface 222 of the second cover 220 may be in contact with the third side surface 232 located at . Here, each of the first side surface 212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22 may be inclined in different oblique directions. For example, the first side surface 21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between the -x axis and the +y axis,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2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between the +x axis and the +y axis. there is. In this case, the third side surfaces 23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cover 230 may correspond to the first side surface 212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22 , respectively. In addition, each of the third side surfaces 23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cover 232 has a packing corresponding to the packing member 213 of the first side surface 212 and the packing member 223 of the second side surface 222, respectively. Members 233 may be dispos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덮개(230)는 제1 덮개(210) 및 제2 덮개(220) 각각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제1 덮개(210) 및 제2 덮개(220) 사이에서 지상(G)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덮개(230)는 제2 수압 센서(HPS2)에 의하여 측정된 제2 수압이 지정된 값에 도달됨에 따라, 제1 덮개(210) 및 제2 덮개(220) 각각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승하강부(235)(예: 수직 구동 모터)에 의하여 지상(G)으로 일정 간격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덮개(230)의 하부면은 상술한 측면들(212, 222 및 232)의 사선 방향에 해당되는 구조에 기반하여, 제1 덮개(210) 및 제2 덮개(220) 각각의 상부면(예: +y축 방향의 면)보다 높게 지상(G)으로 돌출되지 않더라도, 맨홀(H)의 입구가 일부 개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third cover 23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ver 210 and the second cover 220, the first cover 210 and the second cover 220 between the ground (G ) can be extruded. For example, the third cover 230 is separated from each of the first cover 210 and the second cover 220 as the second water pressure measured by the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HPS2 reaches a specified value. In this case, it may protrude to the ground (G) at regular intervals by the elevating unit 235 (eg, a vertical driving motor). In this case,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cover 230 is based on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oblique direction of the above-described side surfaces 212, 222 and 232, respectively of the first cover 210 and the second cover 220 Even if it does not protrude to the ground (G)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eg, the surface in the +y-axis direction), the entrance of the manhole (H) may be arranged to be partially open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덮개(230)는 제3 홈(231) 및 제3 압력 센서 그룹(2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홈(231)은 제3 덮개(230)의 양측에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제3 압력 센서 그룹(234)은 제3 덮개(230)의 상부면(예: +y축 방향의 면)에서 맨홀(H)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압력 센서 그룹(234)은 보행자의 발바닥 등에 의한 외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hird cover 230 may include a third groove 231 and a third pressure sensor group 234 . The third groove 231 may have an open structure on both sides of the third cover 230 . The third pressure sensor group 234 may be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H on the upper surface (eg, the surface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third cover 230 . Here, the third pressure sensor group 234 may detect external pressure caused by the foot sole of a pedestria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연결 수단(240)은 잠금 바(241) 및 구동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바(241)의 하부면(예: -y축 방향의 면)에는 복수의 제1 돌기(24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바(241)는 구동부(242)의 구동에 따라, 제1 덮개(210)의 제1 홈(2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242)는 맨홀(H)의 내부에서 제1 덮개(210)의 아래쪽(예: -y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42)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1 돌기(241a)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돌기(242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잠금 바(241)는 스마트 맨홀 뚜껑(100)이 개방 상태인 경우, 복수의 제1 돌기(241a) 중 일부가 복수의 제2 돌기(242a) 중 일부에 맞물려 이동됨에 따라, 제1 홈(211)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unit 240 may include a locking bar 241 and a driving unit 242 .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41a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eg, a surface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locking bar 241 . The locking bar 241 may be at least partially disposed in the first groove 211 of the first cover 21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242 . The driving unit 242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cover 210 inside the manhole H (eg, in the -y-axis direct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42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41a may be formed around the drive unit 242 . In one embodiment, the locking bar 241 moves when the smart manhole cover 100 is open, as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241a are engaged with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242a, It may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211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연결 수단(250)은 잠금 바(251) 및 구동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바(251)의 하부면(예: -y축 방향의 면)에는 복수의 제1 돌기(25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바(251)는 구동부(242)의 구동에 따라, 제2 덮개(220)의 제2 홈(22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252)는 맨홀(H)의 내부에서 제2 덮개(220)의 아래쪽(예: -y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52)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1 돌기(251a)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돌기(252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잠금 바(251)는 스마트 맨홀 뚜껑(100)이 개방 상태인 경우, 복수의 제1 돌기(251a) 중 일부가 복수의 제2 돌기(252a) 중 일부에 맞물려 이동됨에 따라, 제2 홈(221)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ion unit 250 may include a locking bar 251 and a driving unit 252 .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51a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eg, a surface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locking bar 251 . The locking bar 251 may be at least partially disposed in the second groove 221 of the second cover 22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242 . The driving unit 252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cover 220 inside the manhole H (eg, in the -y-axis direct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52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51a may be formed around the driving unit 252 . In one embodiment, when the smart manhole cover 100 is open, the locking bar 251 moves as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51a are engaged with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52a, It may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221 .

도 2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맨홀 뚜껑의 일시적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d는 도 2c에 도시된 스마트 맨홀 뚜껑의 상태를 위에서 바라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2c 및/또는 도 2d에 도시된 스마트 맨홀 뚜껑(100)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도 2a에 도시된 스마트 맨홀 뚜껑(100)의 구성요소들과 대응될 수 있다.2C is a diagram showing a temporarily closed state of a smart manhole co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2d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smart manhole cover shown in FIG. 2c viewed from above. Hereinafter, descriptions of some components of the smart manhole cover 100 shown in FIGS. 2C and/or 2D may correspond to the components of the smart manhole cover 100 shown in FIG. 2A.

도 2c 및 도 2b를 참조하면, 스마트 맨홀 뚜껑(100)은 압력 센서 그룹들(214, 224 및 234) 각각에서 지정된 시간 이내에 외부 압력이 감지되면, 하수관(P)으로부터 맨홀(H)로 넘친 물(W)이 맨홀(H) 내에서 일정 수위를 초과하더라도, 제1 덮개(210), 제2 덮개(220), 및 제3 덮개(230)가 서로 연결된 폐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맨홀 뚜껑(100)은 스마트 맨홀 뚜껑(100)의 위쪽(예: +y축 방향)에서 통행하는 보행자의 발바닥(F)에 의하여 제1 압력 센서 그룹(214)의 일부 압력 센서 및 제3 압력 센서 그룹(234)의 일부 압력 센서 각각에서 2초 이내에 외부 압력이 감지되면, 폐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C and 2B, the smart manhole cover 100 detects the external pressure within a specified time in each of the pressure sensor groups 214, 224 and 234, the water overflowing from the sewer pipe P into the manhole H. Even if (W) exceeds a certain water level in the manhole (H), the first cover 210, the second cover 220, and the third cover 230 can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smart manhole cover 100 is a part of the pressure sensor of the first pressure sensor group 214 by the sole (F) of a pedestrian passing on the top of the smart manhole cover 100 (eg, in the +y-axis direction). And when external pressure is sensed within 2 seconds from each of some pressure sensors of the third pressure sensor group 234, the closed state may be maintained.

다양한 실시 예에서, 스마트 맨홀 뚜껑(100)은 상기 외부 압력이 감지된 이후, 제2 수압 센서(HPS2)에 의하여 측정된 제2 수압의 크기에 따라, 제1 덮개(210), 제2 덮개(220), 및 제3 덮개(230)가 서로 연결된 폐쇄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제1 덮개(210), 제2 덮개(220), 및 제3 덮개(230)가 서로 분리된 개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smart manhole cover 100, after the external pressure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econd water pressure measured by the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HPS2, the first cover 210, the second cover ( 220), and the third cover 230 ar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connected to each other, or the first cover 210, the second cover 220, and the third cover 230 are switched to an open state separated from each other. can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맨홀 뚜껑을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a smart manhol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맨홀 뚜껑을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3000(이하, 재난 안전 시스템(300))은 맨홀 뚜껑(310), 관제 서버(320) 및 사용자 단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맨홀 뚜껑(310), 관제 서버(320) 및 사용자 단말(330)은 네트워크(301)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disaster safety system 3000 (hereinafter, disaster safety system 300) using a smart manhole cover may include a manhole cover 310, a control server 320, and a user terminal 330. In one embodiment, the manhole cover 310, the control server 320, and the user terminal 33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network 301.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맨홀 뚜껑(310)(예: 스마트 맨홀 뚜껑(100))은 식별 정보(3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맨홀 뚜껑(310)은 도로를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복수의 맨홀 뚜껑(310)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311)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식별 정보(311)는 관제 서버(320)와 공유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nhole cover 310 (eg, the smart manhole cover 100)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311. 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manhole covers 310 are disposed at different locations along the road, they may ha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311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anhole covers 310 . Th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311 may be shared with the control server 320 .

일 실시 예에서, 맨홀 뚜껑(310)은 통신 모듈(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관제 서버(320)로부터 명령(command)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 또는 인스트럭션들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MCU),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micro processor unit, MPU)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nhole cover 31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a controller (not shown).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by receiving commands or instructions from the control server 320 and controlling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received commands or instru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 control unit (MCU), or a micro processor unit (MPU).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320)는 홍수 등 재난 상황에서, 맨홀 뚜껑(310)에 대응되는 맨홀(H) 내부의 수압에 따라 맨홀 뚜껑(310)의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또는 네트워크(301)를 통해 사용자 단말(330)로 재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server 320 controls the closed state and the open state of the manhole cover 310 according to the water pressure inside the manhole H corresponding to the manhole cover 310 in a disaster situation such as a flood, And/or a disaster notific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30 through the network 301 .

일 실시 예에서, 관제 서버(320)는 제1 수압 센서(HPS1)를 통해 측정된 제1 수압 및 제2 수압 센서(HPS2)를 통해 측정된 제2 수압에 기반하여, 맨홀 뚜껑(31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거나 및 상기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맨홀 뚜껑(3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320)는 제2 수압 센서(HPS2)에 의하여 측정된 제2 수압이 지정된 값에 도달되지 않으면, 제1 덮개(210) 및 제2 덮개(220) 각각에 제3 덮개(230)의 양측면이 연결된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맨홀 뚜껑(3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관제 서버(320)는 제2 수압 센서(HPS2)에 의하여 측정된 제2 수압이 지정된 값에 도달되면, 제1 덮개(210) 및 제2 덮개(220) 각각에 제3 덮개(230)의 양측면이 연결된 폐쇄 상태에서 상기 양측면이 분리된 개방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맨홀 뚜껑(3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수압은 제1 수압 센서(HPS1)에 의하여 측정된 제1 수압의 일정 비율(예: 70%)에 도달한 값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server 320 controls the manhole cover 310 based on the first water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first water pressure sensor HPS1 and the second water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HPS2. An instruction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r switch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hole cover 310 . For example, the control server 320, when the second water pressure measured by the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HPS2 does not reach a specified value, the third cover on the first cover 210 and the second cover 220, respectively. An instruction for maintaining a closed state in which both sides of the 230 are connected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hole cover 310.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server 320, when the second water pressure measured by the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HPS2 reaches a specified value, the third cover ( 230), an instruction for switching from a closed state in which both sides are connected to an open state in which both sides are separated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hole cover 310. Here, the second water pressure may be a value reaching a predetermined ratio (eg, 70%) of the first water pressure measured by the first water pressure sensor HPS1.

일 실시 예에서, 관제 서버(320)는 제3 덮개(230)가 제1 덮개(210) 및 제2 덮개(320) 각각으로부터 분리되면, 제3 덮개(230)가 제1 덮개(310) 및 제2 덮개(320) 사이에서 지상(G)으로 돌출되도록 맨홀 뚜껑(100)으로 인스트럭션을 전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server 320, when the third cover 23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ver 210 and the second cover 320, respectively, the third cover 230 is the first cover 310 and An instruc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hole cover 100 so as to protrude to the ground G between the second cover 320 .

일 실시 예에서, 관제 서버(320)는 압력 센서 그룹들(214, 224 및 234) 각각에서 지정된 시간 이내에 외부 압력이 감지되면, 하수관(P)으로부터 맨홀(H)로 넘친 물(W)이 맨홀(H) 내에서 일정 수위를 초과하더라도, 제1 덮개(210), 제2 덮개(220), 및 제3 덮개(230)가 서로 연결된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맨홀 뚜껑(310)으로 인스트럭션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320)는 맨홀 뚜껑(320)의 위쪽에서 통행하는 보행자의 발바닥(F)에 의하여 제1 압력 센서 그룹(214) 및 제3 압력 센서 그룹(234) 각각에서 2초 이내에 외부 압력이 감지되면, 맨홀 뚜껑(310)으로 하여금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전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server 320 controls the pressure sensor groups 214, 224 and 234, when external pressure is detected within a specified time, the water (W) overflowing from the sewer pipe (P) to the manhole (H) is manhole Even if a certain water level is exceeded within (H), an instruc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hole cover 310 so that the first cover 210, the second cover 220, and the third cover 2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maintain a closed state. there is. For example, the control server 320 controls each of the first pressure sensor group 214 and the third pressure sensor group 234 within 2 seconds by the sole F of a pedestrian passing on the top of the manhole cover 320. When an external pressure is sensed, an instruction for maintaining the manhole cover 310 in a closed state may be transmitted.

다양한 실시 예에서, 관제 서버(320)는 상기 외부 압력이 감지된 이후, 제2 수압 센서(HPS2)에 의하여 측정된 제2 수압의 크기에 따라, 제1 덮개(210), 제2 덮개(220), 및 제3 덮개(230)가 서로 연결된 폐쇄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제1 덮개(210), 제2 덮개(220), 및 제3 덮개(230)가 서로 분리된 개방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전달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 server 320, after the external pressure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econd water pressure measured by the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HPS2, the first cover 210, the second cover 220 ), and the third cover 230 maintains a closed state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switch the first cover 210, the second cover 220, and the third cover 230 to an open state separated from each other You can pass instructions.

일 실시 예에서, 관제 서버(320)는 하수관(P)으로부터 맨홀(H)로 넘친 물(W)이 맨홀(H) 내에서 일정 수위를 초과한 상태에서, 압력 센서 그룹들(214, 224 및 234) 각각에서 지정된 시간 이내에 외부 압력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330)로 재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server 320 is the pressure sensor groups (214, 224, and 234) When an external pressure is detected within a specified time, a disaster notific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30.

예를 들어, 관제 서버(320)는 제2 수압 센서(HPS2)을 통해 측정된 제2 수압이 지정된 값에 도달되고, 상기 제2 수압이 지정된 값에 도달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예: 5초) 동안에, 제1 압력 센서 그룹(214) 및 제3 압력 센서 그룹(234) 각각에서 2초 이내에 외부 압력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330)로 "현재 통행하는 위치 주변의 맨홀 뚜껑이 유실될 수 있습니다. 안전을 위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server 320 determines the second water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HPS2 to reach a designated value, and maintains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water pressure reaches the designated value (eg, 5 seconds), if external pressure is detected within 2 seconds in each of the first pressure sensor group 214 and the third pressure sensor group 234, the user terminal 330 informs, "The manhole cover around the current passage location will be lost. You can. Please move to another location for safet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set forth.

Claims (16)

스마트 맨홀 뚜껑에 있어서,
맨홀의 입구 중 제1 방향에 배치되는 제1 덮개;
상기 맨홀의 상기 입구 중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2 덮개;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덮개;
상기 맨홀에 대응되는 하수관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제1 거리에 위치한 제1 수압 센서; 및
상기 하수관에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에 위치한 제2 수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덮개는, 상기 제1 수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제1 수압 및 상기 제2 수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제2 수압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에 부분적으로 연결된 폐쇄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으로부터 분리된 개방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덮개는, 상기 맨홀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덮개는, 상기 맨홀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압력 센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덮개는, 상기 맨홀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되는 제3 압력 센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덮개는, 상기 제1 압력 센서 그룹 및 상기 제3 압력 센서 그룹 각각에서 지정된 시간 이내에 외부 압력이 감지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압력 센서 그룹 및 상기 제3 압력 센서 그룹 각각에서 지정된 시간 이내에 외부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폐쇄 상태로 유지되는, 스마트 맨홀 뚜껑.
In the smart manhole cover,
A first cover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of the entrance of the manhole;
a second cover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inlets of the manhole;
a third cov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 first water pressure sensor located at a first distance from the sewage pipe corresponding to the manhole in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located at a second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in the third direction from the sewage pipe;
The third cover is closed parti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based on the first water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first water pressure sensor and the second water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maintained, or converted from the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separated from each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The first cover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group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The second cover includes a second pressure sensor group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The third cover includes a third pressure sensor group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In the third cover, the external pressure is sensed within a specified time in each of the first pressure sensor group and the third pressure sensor group, or the external pressure is detected within a specified time in each of the second pressure sensor group and the third pressure sensor group. A smart manhole cover that is maintained in the closed state when pressure is sen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3 덮개를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제1 덮개의 개방된 제1 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4 방향에 복수의 제1 돌기가 형성된 잠금 바; 및
상기 맨홀 내에서 상기 제1 덮개에 대하여 상기 제4 방향으로 배치되고, 둘레를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돌기가 형성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바는, 상기 복수의 제1 돌기 중 일부가 상기 복수의 제2 돌기 중 일부에 맞물려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홈의 내부로 전부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홈의 내부에 일부 삽입되는, 스마트 맨홀 뚜껑.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first cover and the third cover,
The connecting means is
a locking bar disposed at least partially in the open first groove of the first cover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formed in a four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drive unit disposed in the four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over within the manhole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along the circumference,
The locking bar is fully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or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as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engage and move with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 smart manhole cov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 덮개에는, 상기 제1 홈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스마트 맨홀 뚜껑.
The method of claim 5,
A smart manhole cover in which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is formed in the third co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의 제1 측면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에 대응되는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3 덮개의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에 대응되는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스마트 맨홀 뚜껑.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first cover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n oblique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designat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cover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n obliqu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surface, the smart manhole co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덮개는,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마트 맨홀 뚜껑.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cover, when separated from each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protrudes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in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스마트 맨홀 뚜껑을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에 있어서,
맨홀의 입구에 배치되고, 식별 정보를 갖는 스마트 맨홀 뚜껑;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을 관제하는 맨홀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은,
맨홀의 입구 중 제1 방향에 배치되는 제1 덮개;
상기 맨홀의 상기 입구 중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2 덮개;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덮개;
상기 맨홀에 대응되는 하수관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제1 거리에 위치한 제1 수압 센서; 및
상기 하수관에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에 위치한 제2 수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제1 수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제1 수압 및 상기 제2 수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제2 수압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덮개가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에 부분적으로 연결된 폐쇄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3 덮개가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으로부터 분리된 개방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으로 인스트럭션을 전달하고,
상기 제1 덮개는, 상기 맨홀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덮개는, 상기 맨홀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압력 센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덮개는, 상기 맨홀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배치되는 제3 압력 센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제1 압력 센서 그룹 및 상기 제3 압력 센서 그룹 각각에서 지정된 시간 이내에 외부 압력이 감지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압력 센서 그룹 및 상기 제3 압력 센서 그룹 각각에서 지정된 시간 이내에 외부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3 덮개가 상기 폐쇄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으로 인스트럭션을 전달하는, 스마트 맨홀 뚜껑을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In a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a smart manhole cover,
A smart manhole cover disposed at the entrance of the manhole and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manhole control server that controls the smart manhole cover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mart manhole cover,
A first cover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of the entrance of the manhole;
a second cover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inlets of the manhole;
a third cov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 first water pressure sensor located at a first distance from the sewage pipe corresponding to the manhole in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located at a second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in the third direction from the sewage pipe;
The control server, based on the first water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first water pressure sensor and the second water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second water pressure sensor, the third cover is attached to each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Sending an instruction to the smart manhole cover so that it is maintained in a partially connected closed state, or the third cover is switched to an open state separated from each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in the closed state;
The first cover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group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The second cover includes a second pressure sensor group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The third cover includes a third pressure sensor group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The control server detects external pressure within a specified time in each of the first pressure sensor group and the third pressure sensor group, or external pressure within a specified time in each of the second pressure sensor group and the third pressure sensor group. When this is detected, a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a smart manhole cover that transmits an instruction to the smart manhole cover so that the third cover is maintained in the closed st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은,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3 덮개를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제1 덮개의 개방된 제1 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4 방향에 복수의 제1 돌기가 형성된 잠금 바; 및
상기 맨홀 내에서 상기 제1 덮개에 대하여 상기 제4 방향으로 배치되고, 둘레를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돌기가 형성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바는, 상기 복수의 제1 돌기 중 일부가 상기 복수의 제2 돌기 중 일부에 맞물려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홈의 내부로 전부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홈의 내부에 일부 삽입되는, 스마트 맨홀 뚜껑을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smart manhole cover,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first cover and the third cover,
The connecting means is
a locking bar disposed at least partially in the open first groove of the first cover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formed in a four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drive unit disposed in the four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over within the manhole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along the circumference,
The locking bar is fully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or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as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engage and move with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smart manhole cover.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3 덮개에는, 상기 제1 홈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스마트 맨홀 뚜껑을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A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a smart manhole cover in which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is formed in the third cover.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의 제1 측면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에 대응되는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3 덮개의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에 대응되는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스마트 맨홀 뚜껑을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first cover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n oblique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designat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a smart manhole cover, wherein the side of the third cover is formed inclined in an obliqu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제3 덮개가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3 덮개가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으로 인스트럭션을 전달하는, 스마트 맨홀 뚜껑을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server,
When the third cover is separated from each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the smart cover protrudes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in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a smart manhole cover that transmits instructions to the manhole cover.
KR1020230059800A 2023-05-09 2023-05-09 Smart manhole cover and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the smart manhole cover KR1025660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800A KR102566029B1 (en) 2023-05-09 2023-05-09 Smart manhole cover and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the smart manhole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800A KR102566029B1 (en) 2023-05-09 2023-05-09 Smart manhole cover and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the smart manhole co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029B1 true KR102566029B1 (en) 2023-08-11

Family

ID=8756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800A KR102566029B1 (en) 2023-05-09 2023-05-09 Smart manhole cover and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the smart manhole c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02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6312A (en) * 2005-06-02 2006-12-14 Fukunishi Imono Kk Rectangular manhole
KR20110053604A (en) * 2009-11-16 2011-05-24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Manhole having locking structure and system for managing the same
KR20130099402A (en) * 2012-02-29 2013-09-06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Manhole safety device
KR102426045B1 (en) * 2021-09-28 2022-07-27 주식회사 신성미네랄 Harmful gas sensing system for manho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6312A (en) * 2005-06-02 2006-12-14 Fukunishi Imono Kk Rectangular manhole
KR20110053604A (en) * 2009-11-16 2011-05-24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Manhole having locking structure and system for managing the same
KR20130099402A (en) * 2012-02-29 2013-09-06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Manhole safety device
KR102426045B1 (en) * 2021-09-28 2022-07-27 주식회사 신성미네랄 Harmful gas sensing system for manho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4011B2 (en) Movable water-protection apparatus
KR102304842B1 (en) Lifting type flooding protection wall
CN102047299B (en) Combined loop type auto-mobile sensor using loop coil and parking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2566029B1 (en) Smart manhole cover and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the smart manhole cover
KR20180130278A (en) Immersion detection and prevention control box
KR102476971B1 (en) Cut off system to prevent subsidence of underground facilities during heavy rains
KR102512735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for underground parking lot of apartment building
KR101132131B1 (en) A shield apparatus of rain inflow for basement space of building
JP2000345537A (en) Buoyancy type floor surface water cut-off device
KR100970234B1 (en) Underground barricade with elevation heights controlled in emergenc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090288717A1 (en) Basement security bucket
KR20190036433A (en) Vehicle traffic controlling system and device
GB2477365A (en) Flood barrier
JP2001032621A (en) Waterproof door
KR100788167B1 (en) Transformer vault system for protection of inundation
KR200471702Y1 (en) Water blocking device for basement
CN110127483A (en) A kind of elevator faults rescue system
KR20130136025A (en) A apparatus for coffering of underpass entrance
JP2013180851A (en) Water blocking device for elevator landing, and elevator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KR200449230Y1 (en) The Safety Manhole Cover for Preventing Rain Water Standing
JP2002180478A (en) Anti-flooding device
JP2004360430A (en) Water-pouring port for flood-control plate by buoyancy
JP7365713B2 (en) Water shielding device and shelter
KR200283303Y1 (en) complete cut-off gateway for protecting principal establishment
KR101739118B1 (en) Tent structure having tension and load sen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