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984B1 - Ceiling type air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Ceiling type air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984B1
KR102565984B1 KR1020230033969A KR20230033969A KR102565984B1 KR 102565984 B1 KR102565984 B1 KR 102565984B1 KR 1020230033969 A KR1020230033969 A KR 1020230033969A KR 20230033969 A KR20230033969 A KR 20230033969A KR 102565984 B1 KR102565984 B1 KR 102565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ir
indoor air
disposed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9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장술
서현덕
최우영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Priority to KR1020230033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9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984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용 공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천장면에 배치되고 천장면의 하측에서 유동하는 실내공기 및 천장면의 상측에서 유동하는 유동공기가 유동 가능한 챔버를 제공하는 프레임, 실내공기 및 냉매 간 열교환을 통해 실내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상기 실내공기를 제습하는 열교환조립체, 유동공기와 냉매 사이를 열교환시키는 압축응축조립체, 실내공기가 제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장 및 배출시키기 위한 응축수유닛, 및 응축수유닛을 외부로부터 단열하도록 프레임에 배치되는 단열시트를 포함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treatment device for a ceiling.
Specif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disposed on the ceiling surface and providing a chamber in which indoor air flowing below the ceiling surface and flowing air flowing above the ceiling surface can flow, heat exchange between indoor air and refrigerant A heat exchange assembly for dehumidifying indoor air 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indoor air through a heat exchange assembly, a compression condensation assembly for heat exchange between flowing air and a refrigerant, a condensate unit for storing and discharging condensat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ehumidifying indoor air, and condensate water An air handling device for a ceiling including an insulating sheet disposed on a frame to insulate the unit from the outside may be provided.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처리장치{CEILING TYPE AIR TREATMENT APPARATUS}Ceiling type air treatment device {CEILING TYPE AI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천장용 공기처리장치에 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treatment device for a ceiling.

일반적으로 공기처리장치는 실내 공기를 정화, 살균, 냉난방 또는 제습하여 실내 공기를 처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In general, an air treatment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treats indoor air by purifying, sterilizing, cooling/heating, or dehumidifying indoor air.

공기처리장치 중 제습기는 실내 공간의 습한 공기를 제습기 내부로 흡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켜 공기의 습도를 낮춘 후, 실내 공간으로 제습된 공기를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장치이다. 제습기는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하여 실내 공기를 제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희망 습도에 따라 자유롭게 실내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mong the air treatment devices, the dehumidifier sucks the humid air in the indoor space into the dehumidifier, exchanges heat with the refrigerant to lower the humidity of the air, and then discharges the dehumidified air back to the indoor space to lower the indoor humidity. . The dehumidifier can dehumidify indoor air through a heat exchanger composed of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and has an advantage of freely adjusting the humidity of the indoor air according to a user's desired humidity.

그러나, 종래 제습기는 드레스룸 등과 같은 좁은 실내공간에 배치될 때에, 실내공간의 공간 활용성을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conventional dehumidifier is disposed in a narrow indoor space such as a dressing room, there is a problem in that space utilization of the indoor space is reduced.

또한, 종래 제습기는 습한 공기에 포함된 많은 양의 액체로 인해, 습한 공기를 살균, 탈취시킬 때, 습한 공기에 대한 살균 및 탈취 기능이 감소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제습기에 광촉매 필터를 적용할 경우, 너무 높은 습도에서는 광촉매 필터의 표면에 물분자가 흡착되므로, 습한 공기 내 오염물질에 대한 흡착력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이온성 부산물을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 dehumidifiers have a problem in that their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s for humid air may be reduced when sterilizing and deodorizing humid air due to a large amount of liquid contained in humid air. In particular, when a photocatalyst filter is applied to a conventional dehumidifier, since water molecules are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filter at too high a humidity, the adsorption capacity for contaminants in humid air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it is difficult to remove ionic by-products. there is.

또한, 종래 제습기는 습한 공기에 포함된 곰팡이,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conventional dehumidifiers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discharge mold, bacteria, and viruses contained in humid air to the outside.

또한, 종래 제습기는 외부 공기와의 온도 차이로 인해,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 탱크의 외부에 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ehumidifier has a problem in that water is generated outside the condensate tank in which the condensate is stored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outside air.

또한, 종래 제습기는 내부의 전자부품에서 발생되는 작동열로 인해, 전자제어기판(일 예로, PCB 기판)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는데, 전자제어기판 의 온도 상승시, 전자제어기판의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a conventional dehumidifier, the temperature of an electronic control board (eg, a PCB board) may rise due to operating heat generated from internal electronic component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control board rises, the electronic control board malfunctions. There was a problem with what could be.

또한, 종래 제습기는 여름과 같은 고습도 조건에서, 압축기의 정해진 구동시간 동안만으로는 제습기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외부로 완전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dehumidifiers have a problem in that condensate generated inside the dehumidifier may not be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nly during a predetermined operating time of the compressor under high humidity conditions such as summ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실내공기를 제습하는 열교환조립체와 냉매를 압축 및 응축하는 압축응축조립체가 일체로 형성된 천장용 공기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in which a heat exchange assembly for dehumidifying indoor air and a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for compressing and condensing refrigerant ar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냉매를 응축하는데 있어서 천장면 상측의 챔버의 유동공기를 열교환매체로 활용할 수 있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treatment device for a ceiling capable of utilizing flowing air in a chamber above the ceiling surface as a heat exchange medium in condensing a refrigera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천장면 상측의 유동공기의 유입 및 배출 경로와, 실내공기의 유입 및 배출 경로가 구획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treatment device for a ceiling in which an inflow and outflow path of flowing air on the upper side of the ceiling surface and an inflow and outflow path of indoor air are partitio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실내공간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treatment device for a ceiling capable of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of an indoor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실내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광촉매 반응시켜 탈취 및 살균하고, 탈취 및 살균된 실내공기를 제습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that deodorizes and sterilizes indoor air introduced from an indoor space through a photocatalytic reaction, and dehumidifies the deodorized and sterilized indoor ai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천장면의 하측에서 유동하는 실내공기 및 상기 천장면의 상측에서 유동하는 유동공기가 유동 가능한 챔버, 상기 실내공기가 상기 챔버로 유입되는 베이스 유입구, 및 상기 실내공기가 상기 챔버에서 배출되는 베이스 배출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실내공기 및 냉매 간 열교환을 통해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상기 실내공기를 제습하는 열교환조립체; 상기 유동공기와 상기 냉매 사이를 열교환시키는 압축응축조립체; 상기 실내공기가 제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장 및 배출시키는 응축수유닛; 외기와의 열전달이 차단되도록 상기 베이스 배출구 측에 배치되는 단열재; 및 상기 압축응축조립체, 상기 열교환조립체 및 상기 응축수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유닛은 상기 실내공기에 대한 제습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저장 가능한 응축수탱크, 상기 응축수탱크에 저장된 상기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 상기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압력을 상기 배출관에 제공하는 워터펌프, 상기 배출관을 유동하는 응축수를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는 밸브, 및 상기 응축수탱크에 모인 응축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수위가 기 설정된 만수 수위가 되면, 상기 밸브를 개방시키는 레벨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압축응축조립체의 압축기가 기 설정된 압축 시간동안 구동될 때, 상기 워터펌프가 기 설정된 제상 시간동안 구동되도록 상기 워터펌프를 제어하되, 상기 레벨스위치가 기 설정된 작동 시간을 초과하여 작동되면, 상기 워터펌프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열교환조립체 및 상기 압축응축조립체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mber in which indoor air flowing below a ceiling surface and air flowing above the ceiling surface can flow, a base inlet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flows into the chamber, and the indoor air A frame including a base outlet through which is discharged from the chamber; a heat exchange assembly for dehumidifying the indoor air 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through heat exchang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refrigerant; a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flowing air and the refrigerant; a condensate unit storing and discharg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ehumidifying the indoor air; an insulator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ase outlet to block heat transfer with outside air;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compression condensation assembly, the heat exchange assembly, and the condensate unit, wherein the condensate unit includes a condensate tank capable of storing condensate generated during the dehumidification process of the indoor air, and the condensate water stored in the condensate tank.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a water pump providing pressure to the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a valve allowing or blocking the condensate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ipe, and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condensate tank. and a level switch for opening the valve when the water level reaches a preset full water level, wherein the controller operates the water pump when the compressor of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is driven for a preset compression time. The water pump is controlled to operate for a preset defrosting time, but when the level switch is operated beyond the preset operating time,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water pump and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and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is stopped. An air treatment device for a ceiling controlled to be stopped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응축수유닛을 외부로부터 단열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단열시트를 더 포함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eat insulating sheet disposed on the frame to insulate the condensate unit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단열재는 독립기포(closed cell) 구조를 가지는 고무발포 단열재(EPDM)인, 천장용 공기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treatment device for ceiling, in whic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a rubber foam heat insulating material (EPDM) having a closed cell structur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단열재는 상기 베이스 배출구 사이에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disposed on the frame such that a predetermined separ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se outlets.

또한, 상기 프레임은 본체 프레임;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열교환조립체 및 상기 압축응축조립체가 수용 가능하고, 저면에 상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프레임 유입구 및 상기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프레임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유입구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베이스 유입구, 및 상기 프레임 배출구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베이스 배출구를 제공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상기 프레임 배출구 및 상기 베이스 배출구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프레임 배출구 및 상기 베이스 배출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may include a body frame; and a base frame disposed to cover a lower portion of the body frame, wherein the body frame can accommodate the heat exchange assembly and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and has a frame inlet on a lower surface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introduced and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a lower frame in which a frame outlet is formed; and an upper frame dispos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wherein the base frame provides a base inlet disposed opposite to the frame inlet, and a base outlet disposed opposite to the frame outlet. and where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frame outlet and the base outlet, spaced apart from the frame outlet and the base outlet.

삭제delete

또한, 상기 실내공기를 탈취 및 살균하기 위한 필터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프레임의 유입 경로 상에 배치되는 광촉매필터; 및 상기 광촉매필터에 의한 상기 실내공기의 탈취 및 살균을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광촉매필터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unit for deodorizing and sterilizing the indoor air, and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photocatalytic filter disposed on an inflow path of the frame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introduced; and a light source unit for radiating light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to activate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of the indoor air by the photocatalytic filter.

또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광원부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브라켓; 실내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프리필터; 상기 광촉매필터, 상기 광원부, 상기 필터 브라켓 및 상기 프리필터가 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bracket for supporting the light source unit; a pre-filte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indoor air; An air treatment device for a ceiling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frame supporting the photocatalyst filter, the light source unit, the filter bracket, and the pre-filter to be sequentially disposed in a downward direction.

또한, 상기 열교환조립체는 상기 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와 대향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실내공기와 상기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상기 실내공기를 상기 챔버에 유동시키는 배출팬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응축조립체는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상기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및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공기와 상기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상기 유동공기를 상기 챔버에서 유동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증발기가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증발기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ing assembly includes an evaporator for vaporizing the refrigerant, and a discharge fan disposed in parallel to face the evaporator and flowing the indoor air into the chamber so as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refrigerant. The condensation assembly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 condenser condensing the compressed refrigerant; and a suction fan disposed between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and configured to flow the flowing air in the chamber so that the flowing air and the refrigerant exchange heat, wherein the condenser faces the same direction as the evaporator. An air treatment device for the ceiling, disposed parallel to the evaporator,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응축수가 발생되는 응축수유닛의 외부에 단열시트를 배치함으로써, 외부와의 온도 차이로 인해, 응축수유닛의 외부에 물이 맺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preventing water from forming on the outside of the condensate unit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outside by disposing the insulation sheet outside the condensate unit where condensate water is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열이 많이 발생되는 제어기를 응축수유닛과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응축수유닛의 낮은 열원을 이용하여 제어기의 온도를 낮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ntroller can be lowered using a low heat source of the condensate unit by arranging a controller generating a lot of heat adjacent to the condensate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응축수탱크 내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때, 제습기의 냉동사이클을 전체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여름과 같은 고습도 조건에서, 과 발생되는 응축수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responding to over-generated condensate in high humidity conditions such as summer by stopping the refrigeration cycle of the dehumidifier as a whole when the condensate in the condensate tank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천장용 공기처리장치를 천장면에 배치하여, 드레스룸 등과 같은 실내공간에서의 사용자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실내공기를 제습하는 열교환조립체와 냉매를 압축 및 응축하는 압축응축조립체가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실외기의 배치를 위한 외부공간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a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on the ceiling surface to increase user space utilization in an indoor space such as a dressing room, etc., and compresses a heat exchange assembly that dehumidifies indoor air and a refrigerant. And since the condensing compression-condensing assembly i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that no external space for arranging the outdoor unit may be separately requir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응축기가 냉매를 응축하는데 있어서 천장면 상측의 챔버의 유동공기를 열교환매체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using the flowing air of the chamber above the ceiling surface as a heat exchange medium when the condenser condenses the refrigera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필터유닛의 광촉매필터에 의해 탈취 및 살균된 실내공기를 증발기를 통해 제습 및 건조하는 과정을 반복 순환함으로써, 습기가 제거된 실내공기에 대해서 광촉매필터의 반응성을 증가될 수 있고, 실내공기에 대한 살균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 the reactivity of the photocatalyst filter to the dehumidified indoor air by repeating the process of dehumidifying and drying the indoor air deodorized and sterilized by the photocatalytic filter of the filter unit through the evaporator. It can b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erilization power for indoor air can be max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공기처리장치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공기처리장치를 배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공기처리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공기처리장치를 분해하여 하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공기처리장치를 분해하여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공기처리장치의 하부 프레임에 배치된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공기처리장치의 필터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공기처리장치의 필터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treatment device for cei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sid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treatment device for cei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side.
3 is a side view of an air treatment device for a cei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viewed from the lower side after disassembling 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disassembled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by cutting a line “A-A′”.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by cutting a line “BB′”.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disposed in a lower frame of an air treatment device for cei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lter unit of an air treatment device for a cei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filter unit of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supported', 'supplyed', 'transmitted', or 'conta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supported, supplied, delivered, or contacted with the other component. It may be possible,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expressions such as upper, lower, side, etc. ar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and it is made clear in advance that they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if the direction of the object is chang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는, 실내공기를 유입하여 유입된 실내공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기처리장치(1)가 실내공기를 처리하는 것은, 실내 공기를 정화, 살균, 탈취, 냉방 또는 제습하는 의미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troduce indoor air and treat the introduced indoor ai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reating indoor air by the air treatment device 1 may mean purifying, sterilizing, deodorizing, cooling, or dehumidifying indoor air.

공기처리장치(1)는 건물 실내의 천장면(C)에 배치될 수 있다. 천장면(C)의 상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천장면(C)의 상측 공간에는, 유동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유동공기는 천장면(C)의 상측 공간에서 유동될 수 있는 공기(일 예로, 저온의 공기)일 수 있다. 천장면(C)의 하측에는 실내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실내공간에는 실내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내공간은 천장면(C)의 하측에 제공되는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공간은 사용자가 머무르는 드레스룸 등의 내부공간일 수 있다. 또한, 실내공기는 천장면(C)의 하측의 실내공간에서 유동될 수 있는 공기(일 예로, 덥고 습한 공기)일 수 있다.The air treatment device 1 may be disposed on the ceiling surface C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above the ceiling surface C, and flowing air may flow in the space above the ceiling surface C. The flowing air may be air (eg, low-temperature air) that can flow in the upper space of the ceiling surface C. An indoor space may be formed below the ceiling surface C. Indoor air may flow into the indoor space. In this embodiment, the indoor space may be a space provided below the ceiling surface (C). For example, the indoor space may be an interior space such as a dressing room where a user stays. In addition, the indoor air may be air (eg, hot and humid air) that can flow in the indoor space below the ceiling surface C.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는, 건물의 실내공간 내 덥고 습한 실내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실내공기를 제습하는데 있어서,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는 천장면(C) 상측의 저온의 공기를 냉매의 열교환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는 프레임(100), 열교환조립체(200), 압축응축조립체(300), 필터유닛(400), 응축수유닛(500), 제어기(600), 단열시트(700), 및 단열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dehumidify hot and humid indoor air in an indoor space of a building. In dehumidifying indoor air,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can use the low-temperature air above the ceiling surface C for heat exchange of the refrigerant.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includes a frame 100, a heat exchange assembly 200, a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a filter unit 400, a condensate unit 500, a controller 600, and an insulation sheet 700. , and may include a heat insulating material (800).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100)은 실내공기 및 유동공기가 유동 가능한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챔버는 제1 챔버(101), 제2 챔버(102), 제3 챔버(103) 및 제4 챔버(104)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챔버는 후술할 복수 개의 격벽부(123, 124, 125)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제1 챔버(101)는 열교환조립체(200)가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제2 챔버(102)는 압축응축조립체(300)가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제2 챔버(102)는 제1 챔버(101)와 분리되도록 프레임(100)의 내부공간에서 구획될 수 있다. 제3 챔버(103)는 응축수유닛(500)이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제3 챔버(103)는 제1 챔버(101) 및 제2 챔버(102)와 분리되도록 프레임(100)의 내부공간에서 구획될 수 있다. 제4 챔버(104)는 제어기(600)가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제4 챔버(104)는 제1 챔버(101), 제2 챔버(102) 및 제3 챔버(103)와 분리되도록 프레임(100)의 내부공간에서 구획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8 , the frame 100 may provide a chamber in which indoor air and flowing air can flow. The chamber may include a first chamber 101 , a second chamber 102 , a third chamber 103 , and a fourth chamber 104 . Each chamber may be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23, 124, and 125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chamber 101 may be a space in which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is disposed. The second chamber 102 may be a space in which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is disposed. The second chamber 102 may be part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100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hamber 101 . The third chamber 103 may be a space in which the condensate unit 500 is disposed. The third chamber 103 may be part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100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hamber 101 and the second chamber 102 . The fourth chamber 104 may be a space where the controller 600 is disposed. The fourth chamber 104 may be part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100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hamber 101 , the second chamber 102 , and the third chamber 103 .

프레임(100)은 유동공기가 챔버로 유입되는 인입구 및 유동공기가 챔버에서 배출되는 토출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인입구는 하부 프레임(110)에 형성되는 제1 인입구(118a) 및 상부 프레임(120)에 형성되는 제2 인입구(128a)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는 하부 프레임(110)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118b) 및 상부 프레임(120)에 형성되는 제2 토출구(128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하부 프레임(110) 및 상부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100a), 및 본체 프레임(100a)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0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100 may provide an inlet through which flowing air is introduced into the chamber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flowing air is discharged from the chamber. The inlet may include a first inlet 118a formed in the lower frame 110 and a second inlet 128a formed in the upper frame 120 . The outlet may include a first outlet 118b formed in the lower frame 110 and a second outlet 128b formed in the upper frame 120 . The frame 100 may include a body frame 100a including a lower frame 110 and an upper frame 120, and a base frame 100b disposed under the body frame 100a.

하부 프레임(110)은 상부 프레임(12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은 상부 프레임(120)과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은 열교환조립체(200) 및 압축응축조립체(300)가 수용되도록 열교환조립체(200) 및 압축응축조립체(30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The lower frame 110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upper frame 120 . The lower frame 1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120 . The lower frame 110 may support lower sides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and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so that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and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are accommodated therein.

하부 프레임(110)의 저면에는 프레임 유입구(117a) 및 프레임 배출구(117b)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유입구(117a) 및 프레임 배출구(117b)는 하부 프레임(110)의 저면에서 제1 챔버(101)와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유입구(117a) 및 프레임 배출구(117b)는 베이스 프레임(100b)의 베이스 유입구(137a) 및 베이스 배출구(137b)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유입구(117a)에는 필터유닛(400)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배출구(117b)에는 열교환조립체(200)의 배출팬(220)이 배치될 수 있다. A frame inlet 117a and a frame outlet 117b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10 . The frame inlet 117a and the frame outlet 117b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hamber 10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10 . The frame inlet 117a and the frame outlet 117b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base inlet 137a and the base outlet 137b of the base frame 100b. A filter unit 400 may be disposed in the frame inlet 117a. A discharge fan 220 of the heat exchanging assembly 200 may be disposed at the frame outlet 117b.

하부 프레임(110)의 후방부 및 전방부에는 제1 인입구(118a) 및 제1 토출구(118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인입구(118a) 및 제1 토출구(118b)는 하부 프레임(110)의 후방부 및 전방부에서 제2 챔버(102)와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인입구(118a)는 유동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제1 토출구(118b)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의 내부의 유동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제1 인입구(118a)의 입구면적과 제1 토출구(118b)의 출구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제1 인입구(118a) 및 제1 토출구(118b)의 형상 또한 동일할 수 있다.A first inlet 118a and a first outlet 118b may be formed in the rear and front portions of the lower frame 110 . The first inlet 118a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118b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hamber 102 at the rear and front portions of the lower frame 110 . The first inlet 118a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flowing air is introduced into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 The first discharge port 118b may be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flowing air inside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to the outside. An inlet area of the first inlet 118a and an outlet area of the first outlet 118b may be the same. The shape of the first inlet 118a and the first outlet 118b may also be the same.

하부 프레임(110)에는 배출로(119)가 제공될 수 있다. 배출로(119)는 증발기(210)의 기화작용에 의해 응결되는 응축수를 응축수탱크(510)에 모이도록 안내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로(119)는 증발기(2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증발기(210)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응축수탱크(510)에 모이도록 한다.A discharge path 119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frame 110 . The discharge path 119 may form a path for guiding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by the evaporation action of the evaporator 210 to be collected in the condensate tank 510 . The discharge path 119 is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210 so that th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evaporator 210 is collected in the condensate tank 510.

하부 프레임(110)은 프레임 기저부(111), 하부 프레임 에지부(112), 제1 하부 프레임 격벽부(113), 제2 하부 프레임 격벽부(114), 제3 하부 프레임 격벽부(115) 및 제4 하부 프레임 격벽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기저부(111)는 하부 프레임(110)의 바닥면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 기저부(111)의 상면에는 하부 프레임 에지부(112), 제1 하부 프레임 격벽부(113), 제2 하부 프레임 격벽부(114), 제3 하부 프레임 격벽부(115) 및 제4 하부 프레임 격벽부(116)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lower frame 110 includes a frame base portion 111, a lower frame edge portion 112, a first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3, a second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4, a third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5, and A fourth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6 may be included. The frame base 111 may provide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rame 110 .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base portion 111, a lower frame edge portion 112, a first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3, a second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4, a third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5, and a fourth lower frame The barrier rib portion 116 may be vertically disposed.

하부 프레임 에지부(112)는 하부 프레임(110)의 테두리를 구성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 에지부(112)는 프레임 기저부(111)의 가장자라부에서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프레임 에지부(112)는 전체적으로 사각 틀 형상일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이 결합될 때, 하부 프레임 에지부(112)의 상단부는 상부 프레임(120)의 상부 프레임 에지부(122)의 하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The lower frame edge portion 112 may form an edge of the lower frame 110 . The lower frame edge portion 112 may protrude vertically from an edge portion of the frame base portion 111 . For example, the lower frame edge portion 112 may have a rectangular frame shape as a whole. When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are coupled, the upper end of the lower frame edge 112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edge 122 of the upper frame 120 .

제1 하부 프레임 격벽부(113)는 제1 챔버(101)와 제2 챔버(102)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일 수 있다. 제1 하부 프레임 격벽부(113)는 프레임 기저부(111)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이 결합될 때, 제1 하부 프레임 격벽부(113)의 상단부는 상부 프레임(120)의 제1 상부 프레임 격벽부(123)의 하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3 may be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between the first chamber 101 and the second chamber 102 . The first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3 may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base portion 111 . When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are coupled, the upper end of the first lower frame partition 113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upper frame partition 123 of the upper frame 120. .

제2 하부 프레임 격벽부(114)는 제3 챔버(103) 및 제4 챔버(104)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일 수 있다. 제2 하부 프레임 격벽부(114)는 프레임 기저부(111)의 상면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이 결합될 때, 제2 하부 프레임 격벽부(114)의 상단부는 상부 프레임(120)의 제2 상부 프레임 격벽부(124)의 하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The second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4 may be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between the third chamber 103 and the fourth chamber 104 . The second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4 may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base portion 111 . When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are couple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ower frame partition 114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upper frame partition 124 of the upper frame 120. .

제3 하부 프레임 격벽부(115)는 제1 챔버(101)와 제4 챔버(104)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일 수 있다. 제3 하부 프레임 격벽부(115)는 프레임 기저부(111)의 상면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이 결합될 때, 제3 하부 프레임 격벽부(115)의 상단부는 상부 프레임(120)의 제3 상부 프레임 격벽부(125)의 하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The third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5 may be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between the first chamber 101 and the fourth chamber 104 . The third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5 may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base portion 111 . When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are coupled, the upper end of the third lower frame partition 115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third upper frame partition 125 of the upper frame 120. .

제4 하부 프레임 격벽부(116)는 제1 챔버(101)와 제3 챔버(103)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일 수 있다. 제4 하부 프레임 격벽부(116)는 프레임 기저부(111)의 상면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이 결합될 때, 제4 하부 프레임 격벽부(116)의 상단부는 상부 프레임(120)의 제4 상부 프레임 격벽부(126)의 하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The fourth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6 may be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between the first chamber 101 and the third chamber 103 . The fourth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6 may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base portion 111 . When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are coupled, the upper end of the fourth lower frame partition 116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ourth upper frame partition 126 of the upper frame 120. .

상부 프레임(120)은 열교환조립체(200) 및 압축응축조립체(300)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0)은 하부 프레임(110)과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프레임(120)은 하부 프레임(110)과 결합되지만, 상부 프레임(120)은 하부 프레임(110) 없이 베이스 프레임(100b)의 상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The upper frame 120 may cover upper sides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and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 The upper frame 1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frame 110 .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frame 120 is coupled to the lower frame 110, but the upper frame 1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100b without the lower frame 110.

상부 프레임(120)의 후방부 및 전방부에는 제2 인입구(128a) 및 제2 토출구(128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구(128a) 및 제2 토출구(128b)는 상부 프레임(120)의 후방부 및 전방부에서 제2 챔버(102)와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인입구(128a)는 유동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제2 토출구(128b)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의 내부의 유동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제2 인입구(128a)의 입구면적은 제2 토출구(128b)의 출구면적과 동일하거나 더 작을 수 있다. 제1 인입구(118a) 및 제1 토출구(118b)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제2 인입구(128a)는 제2 토출구(128b)의 출구면적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고, 제2 토출구(128b)는 제2 인입구(128a)의 입구면적과 동일하거나 더 큰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2 인입구(128a)의 입구면적은 제2 토출구(128b)의 출구면적과 동일하거나 작으므로, 제2 토출구(128b)를 통해 제2 챔버(102)에서 배출되는 유동공기의 유속은, 제2 인입구(128a)를 통해 챔버로 유입되는 유동공기의 유속보다 더 느릴 수 있다.A second inlet 128a and a second outlet 128b may be formed in the rear and front portions of the upper frame 120 . The second inlet 128a and the second outlet 128b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hamber 102 at the rear and front portions of the upper frame 120 . The second inlet 128a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flowing air is introduced into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 The second discharge port 128b may be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flowing air inside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to the outside. An inlet area of the second inlet 128a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an outlet area of the second outlet 128b. The shapes of the first inlet 118a and the first outlet 118b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second inlet 128a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an area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outlet of the second outlet 128b, and the second outlet 128b may have an area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inlet area of the second outlet 128a. It may be a rectangular shape having the same or larger area. Since the inlet area of the second inlet 128a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outlet 128b, the flow rate of the flowing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hamber 102 through the second outlet 128b is It may be slower than the flow rate of the flowing air introduced into the chamber through the inlet 128a.

상부 프레임(120)은 프레임 루프부(121), 상부 프레임 에지부(122), 제1 상부 프레임 격벽부(123), 제2 상부 프레임 격벽부(124), 제3 상부 프레임 격벽부(125) 및 제4 상부 프레임 격벽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frame 120 includes a frame roof portion 121, an upper frame edge portion 122, a first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3, a second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4, and a third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5. and a fourth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6 .

프레임 루프부(121)는 상부 프레임(120)의 루프면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 루프부(121)의 하면에는 상부 프레임 에지부(122), 제1 상부 프레임 격벽부(123), 제2 상부 프레임 격벽부(124), 제3 상부 프레임 격벽부(125) 및 제4 상부 프레임 격벽부(126)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rame loop part 121 may provide a roof surface of the upper frame 120 .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loop portion 121, an upper frame edge portion 122, a first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3, a second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4, a third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5, and a fourth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4 are formed. The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6 may be vertically disposed.

상부 프레임 에지부(122)는 상부 프레임(120)의 테두리를 구성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 에지부(122)는 프레임 루프부(121)의 가장자라부에서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프레임 에지부(122)는 전체적으로 하부 프레임 에지부(112)와 대응되는 사각 틀 형상일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이 결합될 때, 상부 프레임 에지부(122)의 하단부는 하부 프레임(110)의 하부 프레임 에지부(112)의 상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edge portion 122 may form an edge of the upper frame 120 . The upper frame edge portion 122 may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frame loop portion 121 . For example, the upper frame edge portion 122 may have a rectangular frame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frame edge portion 112 as a whole. When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are coupled,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edge 122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lower frame edge 112 of the lower frame 110 .

제1 상부 프레임 격벽부(123)는 제1 하부 프레임 격벽부(113)와 함께, 제1 챔버(101)와 제2 챔버(102)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일 수 있다. 다시말해, 제1 상부 프레임 격벽부(123)는 압축응축조립체(300)에 의한 유동공기의 유입 및 배출 경로와, 열교환조립체(200)에 의한 실내공기의 유입 및 배출 경로를 구획할 수 있다. 제1 상부 프레임 격벽부(123)는 프레임 루프부(121)의 하면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이 결합될 때, 제1 상부 프레임 격벽부(123)는 제1 하부 프레임 격벽부(113)와 동일 수직평면상에서 배치될 수 있고, 제1 상부 프레임 격벽부(123)의 상단부는 상부 프레임(120)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상부 프레임 격벽부(123)의 하단부는 하부 프레임(1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상부 프레임 격벽부(123)의 일부에는 관통로(223a)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3 may be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between the first chamber 101 and the second chamber 102 together with the first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3 . In other words, the first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3 may partition an inflow and outflow path of flowing air through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and an inflow and outflow path of indoor air through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 The first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3 may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roof portion 121 . When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are coupled, the first upper frame partition 123 may be disposed on the same vertical plane as the first lower frame partition 113, and the first upper frame partition wall An upper end of the portion 123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frame 120 and a lower end of the first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3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frame 110 . A through passage 223a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first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3 .

관통로(223a)는 압축응축조립체(300)의 응축기(320)와 열교환조립체 (200)의 증발기(210)를 연결하는 냉매라인이 관통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관통로(223a)는 유동공기와 실내공기가 유동되는 통로를 구획하여 유동공기와 실내공기가 섞이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냉매라인이 관통될 수 있는 최소한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passage 223a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line connecting the condenser 320 of the compression condensation assembly 300 and the evaporator 210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passes. The through passage 223a may be formed with a minimum width through which a refrigerant line can pass through in order to minimize mixing of the flowing air and the room air by di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lowing air and the room air flow.

제2 상부 프레임 격벽부(124)는 제2 하부 프레임 격벽부(114)와 함께, 제3 챔버(103)와 제4 챔버(104)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일 수 있다. 제2 상부 프레임 격벽부(124)는 프레임 루프부(121)의 하면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이 결합될 때, 제2 상부 프레임 격벽부(124)는 제2 하부 프레임 격벽부(114)와 동일 수직평면상에서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4 may be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between the third chamber 103 and the fourth chamber 104 together with the second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4 . The second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4 may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roof portion 121 . When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are coupled, the second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4 may be disposed on the same vertical plane as the second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4 .

제3 상부 프레임 격벽부(125)는 제3 하부 프레임 격벽부(115)와 함께, 제1 챔버(101)와 제4 챔버(104)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일 수 있다. 제3 상부 프레임 격벽부(125)는 프레임 루프부(121)의 하면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이 결합될 때, 제3 상부 프레임 격벽부(125)는 제3 하부 프레임 격벽부(115)와 동일 수직평면상에서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5 may be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between the first chamber 101 and the fourth chamber 104 together with the third lower frame partition wall part 115 . The third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5 may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roof portion 121 . When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are coupled, the third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5 may be disposed on the same vertical plane as the third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5 .

제4 상부 프레임 격벽부(126)는 제4 하부 프레임 격벽부(116)와 함께, 제1 챔버(104)와 제3 챔버(103)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일 수 있다. 제4 상부 프레임 격벽부(126)는 프레임 루프부(121)의 하면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이 결합될 때, 제4 상부 프레임 격벽부(126)는 제4 하부 프레임 격벽부(116)와 동일 수직평면상에서 배치될 수 있다. The fourth upper frame partition wall part 126 may be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between the first chamber 104 and the third chamber 103 together with the fourth lower frame partition wall part 116 . The fourth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6 may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roof portion 121 . When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are coupled, the fourth upp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26 may be disposed on the same vertical plane as the fourth lower frame partition wall portion 116 .

하부 프레임(110) 및 상부 프레임(120)은 서로 결합될 때, 열교환조립체(200) 및 압축응축조립체(300)를 수용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 및 상부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00b)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100b)과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When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and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may be disposed above the base frame 100b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100b.

베이스 프레임(100b)은 하부 프레임(110)의 하면을 덮는 커버일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00b)의 횡단면은 하부 프레임(110) 하단의 횡단면보다 더 큰 외곽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횡단면은 상방향을 법선으로 가지는 단면이다. 다시 말해, 하부 프레임(110)의 하단을 베이스 프레임(100b)에 투영할 때, 베이스 프레임(100b)은 하부 프레임(110)의 외곽에 둘러싸일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0b)에는 베이스 유입구(137a) 및 베이스 배출구(137b)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유입구(137a) 및 베이스 배출구(137b)는 프레임(100)의 프레임 유입구(117a) 및 프레임 배출구(117b)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유입구(117a)는 실내공기가 유입 가능하도록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일 수 있다. 베이스 유입구(137a)는 베이스 프레임(100b)의 후단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유입구(137a)는 실내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통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유입구(137a)는 베이스 프레임(100b)의 일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base frame 100b may be a cover covering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10 . The cross section of the base frame 100b may have a larger outline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bottom of the lower frame 110 . Here, the cross section is a cross section having an upward direction as a normal line. In other words, when projecting the lower end of the lower frame 110 onto the base frame 100b, the base frame 100b may be surrounded by the lower frame 110. A base inlet 137a and a base outlet 137b may be formed in the base frame 100b. The base inlet 137a and the base outlet 137b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frame inlet 117a and the frame outlet 117b of the frame 100 . The frame inlet 117a may be an opening that communicat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to allow indoor air to flow in. The base inlet 137a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base frame 100b. The base inlet 137a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allow indoor air to flow in. The base inlet 137a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one side of the base frame 100b.

베이스 배출구(137b)는 베이스 유입구(137a)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실내공간으로 배출되도록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일 수 있다. 베이스 배출구(137b)는 베이스 프레임(100b)의 전단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배출구(137b)는 제습된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이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배출구(137b)는 제습된 실내공기가 실내공간에 직하방 또는 직하방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출되도록 경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The base outlet 137b may be an opening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so that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base inlet 137a is discharged to the indoor space. The base outlet 137b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base frame 100b. The base outlet 137b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humidified indoor air is discharged. For exampl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se discharge port 137b may be adjusted so that the dehumidified indoor air is discharged directly downward or obliquely from the direct downward direction into the indoor space.

열교환조립체(200)는 실내공간의 실내공기를 유입하여, 실내공기를 압축응축조립체(300)에 의해 열교환된 냉매와 열교환시켜 실내공기를 제습하고, 제습된 실내공기를 다시 실내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다. 열교환조립체(200)는 압축응축조립체(300)와 응축수유닛(5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조립체(200)는 증발기(210), 배출팬(220) 및 가이드 덕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may introduce indoor air into the indoor space, exchange heat with the refrigerant heat-exchanged by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to dehumidify the indoor air, and discharge the dehumidified indoor air back into the indoor space. there is.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and the condensate unit 500. The heat exchanging assembly 200 may include an evaporator 210 , a discharge fan 220 and a guide duct 230 .

증발기(210)는 실내공간으로부터 베이스 프레임(100b)의 프레임 유입구(117a)를 통해 유입된 덥고 습한 실내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210)는 응축기(320)로부터 배출되어 팽창밸브를 경유한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로 기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증발기(210)는 덥고 습한 실내공기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와 열교환하여 실내공기를 액화 또는 응축하여 제습함으로써, 저온의 쾌적한 실내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증발기(210)에는 내부에 배치되는 냉매라인 및 냉매라인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방열핀이 제공될 수 있다. 방열핀은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다수 개의 금속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내공간으로부터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에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필터유닛(400)에 의해 탈취 및 살균된 후, 증발기(210)에 의해 제습될 수 있다.The evaporator 210 may dehumidify hot and humid indoor air introduced from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frame inlet 117a of the base frame 100b. For example, the evaporator 210 may vaporize a low-temperature/low-pressure liquid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320 and passing through an expansion valve into a low-temperature/low-pressure gaseous refrigerant. In other words, the evaporator 210 liquefies or condenses the indoor air by exchanging heat with the low-temperature/low-pressure liquid refrigerant to dehumidify the hot and humid indoor air, thereby generating low-temperature and comfortable indoor air. The evaporator 210 may be provided with a refrigerant line disposed inside and a heat dissipation fin disposed to surround the refrigerant line. The heat dissipation fin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metal plates to facilitate heat exchange. In this embodiment, indoor air flowing into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from the indoor space may be deodorized and sterilized by the filter unit 400 and then dehumidified by the evaporator 210 .

배출팬(220)은 증발기(210)에 의해 제습된 실내공기를 실내공간을 향해 배출하도록 흡입팬(330)의 회전축과 어긋나는 방향을 가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팬(220)의 회전축은, 흡입팬(330)의 회전축과 직각방향 또는 직각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출팬(220)은 천장면(C)에 대한 가상의 수직선에 대해서 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프레임(100)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의 실내공기는 배출팬(220)에 의해 베이스 유입구(137a)를 향해 경사지게 유입될 수 있다. 천장면(C)의 수직선에 대한 배출팬(220)의 각도는, 천장면(C)의 수직선에 대한 베이스 배출구(137b)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이거나 더 작은 각도일 수 있다.The discharge fan 220 may be rotated around an axis of rotation that has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uction fan 330 to discharge indoor air dehumidified by the evaporator 210 toward the indoor space. For example, the rotational axis of the discharge fan 220 may be rotated about a rotational ax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or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suction fan 330 . In other words, the discharge fan 220 may be disposed on the frame 100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a virtual vertical line with respect to the ceiling surface (C). External indoor air may be introduced at an angle toward the base inlet 137a by the discharge fan 220 . The angle of the discharge fan 22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of the ceiling surface C may be the same angle as or a smaller angle than the angle of the base outlet 137b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of the ceiling surface C.

배출팬(220)은 증발기(210)와 전후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출팬(220)은 실내공기를 제1 챔버(101)에서 유동시킴으로써, 실내공기와 냉매 사이에 열교환을 유도할 수 있다. 배출팬(220)은 증발기(210)에 의해 제습된 실내공기를 베이스 프레임(100b)의 프레임 배출구(117b)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fan 22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so as to face the evaporator 2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discharge fan 220 may induce heat exchang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refrigerant by flowing indoor air in the first chamber 101 . The discharge fan 220 may discharge indoor air dehumidified by the evaporator 210 in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frame outlet 117b of the base frame 100b.

가이드 덕트(230)는 증발기(210)에 의해 제습된 실내공기가 배출팬(220)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덕트(230)는 증발기(210)와 배출팬(220)을 커버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덕트(230)는 증발기(210)와 배출팬(220)을 커버하여, 증발기(210)에 의해 제습된 실내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배출팬(220)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 덕트(230)에 의해, 증발기(210)에 의해 제습된 실내공기는 배출팬(220)으로 모아져서 배출팬(220)을 통해 효율적으로 실내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냉매라인은 냉매가 유동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냉매라인은 냉매가 압축기(310), 응축기(320), 팽창밸브(미도시) 및 증발기(210)의 순서로 순환하도록 압축기(310), 응축기(320), 팽창밸브 및 증발기(210)에 연결될 수 있다. 냉매라인은 냉매가 유동될 수 있는 금속 소재의 파이프일 수 있다. The guide duct 230 may guide indoor air dehumidified by the evaporator 210 to flow to the discharge fan 220 . The guide duct 230 may have a shape covering the evaporator 210 and the discharge fan 220 . The guide duct 230 may cover the evaporator 210 and the discharge fan 220 to guide the indoor air dehumidified by the evaporator 210 to flow into the discharge fan 220 without leaking to the outside. In other words, the indoor air dehumidified by the guide duct 230 and the evaporator 210 can be collected into the discharge fan 220 and efficiently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discharge fan 220 . The refrigerant line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The refrigerant line is provided to the compressor 310, the condenser 320, the expansion valve, and the evaporator 210 so that the refrigerant circulates in the order of the compressor 310, the condenser 320, the expansion valve (not shown), and the evaporator 210. can be connected The refrigerant line may be a metal pip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may flow.

압축응축조립체(300)는 냉매를 압축하고, 천장면의 상측 공간의 저온의 유동공기를 유입하여 유동공기를 열교환매체로 활용하여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며, 냉매와 열교환된 가열건조된 유동공기를 다시 천장면의 상측 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다. 압축응축조립체(300)는 천장면의 상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응축조립체(300)는 압축기(310), 응축기(320) 및 흡입팬(3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ression condensation assembly 300 compresses the refrigerant, introduces low-temperature flowing air in the space above the ceiling surface, condenses the compressed refrigerant by using the flowing air as a heat exchange medium, and converts the heated and dried flowing air into heat 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Again, it can be discharged to the upper space of the ceiling surface.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may be disposed in a space above the ceiling surface.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may include a compressor 310 , a condenser 320 and a suction fan 330 .

압축기(310)는 냉매(기체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310)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압축할 수 있다. 위 압축과정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배출되어 응축기(320)로 유입될 수 있다. 압축기(310)는 응축기(320)의 전방측 및 토출구(제1 토출구(118(b), 제2 토출구(128b))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mpressor 310 may compress the refrigerant (gas refrigerant). For example, the compressor 310 may compress low-temperature/low-pressure gas refrigerant into high-temperature/high-pressure gas refrigerant. In the above compression process, high-temperature/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may be discharged and introduced into the condenser 320 . The compressor 31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condenser 320 and the discharge ports (first discharge port 118(b) and second discharge port 128b).

응축기(320)는 압축기(310)로부터 배출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로 응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기(320)는 흡입팬(330)을 통해 유입된 저온의 유동공기를 열교환매체로 활용하여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로 응축할 수 있다. 응축기(320)는 압축기(310)의 후방측 및 인입구((제1 인입구(118a) 및 제2 인입구(128a))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320)는 증발기(210)가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증발기(21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210)가 제1 챔버(101)에서 전후방향을 향해 배치될 때, 응축기(320)는 제2 챔버(102)에서 전후방향을 향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 과정에서 저온의 유동공기는 가열건조되고, 가열건조된 유동공기는 토출구를 통해 다시 천장면의 상측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응축기(320)에는 내부에 배치되는 냉매라인 및 냉매라인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방열핀이 제공될 수 있다. 방열핀은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다수 개의 금속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denser 320 may condense the high-temperature/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310 into a high-temperature/high-pressure liquid refrigerant. For example, the condenser 320 may condense a high-temperature/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into a high-temperature/high-pressure liquid refrigerant by utilizing low-temperature flow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fan 330 as a heat exchange medium. The condenser 320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compressor 310 and on the front side of the inlets ((first inlet 118a and second inlet 128a). The condenser 320 faces the evaporator 210. It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evaporator 210 so as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They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chamber 102. During the heat exchange process, the low-temperature flowing air is heated and dried, and the heated and dried flowing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upper space of the ceiling surface again through the discharge port. A refrigerant line disposed therein and a radiating fin disposed to surround the refrigerant line may be provided at 320. The radiating fin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metal plates to facilitate heat exchange.

흡입팬(330)은 유동공기를 프레임(100)의 인입구(제1 인입구(118a) 및 제2 인입구(128a))를 통해 일방향(일 예로 전방측 수평방향)으로 유입할 수 있다. 흡입팬(330)은 유동공기와 열교환되어 가열건조된 유동공기를 토출구(제1 토출구(118b) 및 제2 토출구(128b))를 통해 일방향(일 예로 전방측 수평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 흡입팬(330)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흡입팬(330)은 압축기(310)와 응축기(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인입구(제1 인입구(118a) 및 제2 인입구(128a)), 압축기(310), 흡입팬(330), 응축기(320) 및 토출구(제1 토출구(118b) 및 제2 토출구(128b))는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인입구(제1 인입구(118a) 및 제2 인입구(128a)), 응축기(320), 흡입팬(330), 압축기(310), 및 토출구(제1 토출구(118b) 및 제2 토출구(128b))는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suction fan 330 may introduce flowing air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front sid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inlets (the first inlet 118a and the second inlet 128a) of the frame 100 . The suction fan 330 may discharge the heated and dried flowing air through the heat exchange with the flowing air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front sid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discharge ports (the first discharge port 118b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28b). The suction fan 33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around a rotation shaft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e suction fan 3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mpressor 310 and the condenser 320 . Inlets (first inlet 118a and second inlet 128a), compressor 310, suction fan 330, condenser 320, and outlets (first outlet 118b and second outlet 128b) can be placed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Inlets (first inlet 118a and second inlet 128a), condenser 320, suction fan 330, compressor 310, and outlets (first outlet 118b and second outlet 128b)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one direction.

팽창밸브(미도시)는 증발기(210)의 기화작용을 돕도록 응축기(320)로부터 유입된 액체냉매의 압력을 낮추어 증발기(210)에 유입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팽창밸브는 응축기(320)로부터 유입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의 압력을 낮추고, 압력이 낮아진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증발기(210)에 유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팽창밸브는 응축기(320)와 열교환조립체(200)의 증발기(210)를 연결하는 냉매라인에 배치될 수 있다.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may lower the pressure of the liquid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condenser 320 to assist the vaporization of the evaporator 210 and introduce it into the evaporator 210 . In other words, the expansion valve may lower the pressure of the high-temperature/high-pressure gas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condenser 320 and introduce the low-temperature/low-pressure liquid refrigerant into the evaporator 210 . The expansion valve may be disposed in a refrigerant line connecting the condenser 320 and the evaporator 210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필터유닛(400)은 실내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탈취 및 살균할 수 있다. 실내공기는 필터유닛(400)에서 탈취 및 살균된 후, 증발기(210)로 이동되어 제습될 수 있다. 필터유닛(400)은 프레임(100)의 프레임 유입구(117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유닛(400)은 광촉매필터(410), 광원부(420), 필터 프레임(430), 프리필터(440) 및 필터 브라켓(450)을 포함할 수 있다. 9 to 10 , the filter unit 400 can deodorize and sterilize indoor air introduced from the indoor space. Indoor air may be deodorized and sterilized in the filter unit 400 and then moved to the evaporator 210 to be dehumidified. The filter unit 400 may be disposed at the frame inlet 117a of the frame 100 . The filter unit 400 may include a photocatalytic filter 410, a light source unit 420, a filter frame 430, a pre-filter 440, and a filter bracket 450.

광촉매필터(410)는 실내공기를 탈취 및 살균할 수 있는 필터일 수 있다. 광촉매필터(410)는 실내공기를 탈취 및 살균하도록 열교환조립체(200)로의 유입 경로 상,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100b)의 프레임 유입구(117a)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광촉매필터(410)는 펄프, 부직포 등의 기재에 광촉매 조성물을 코팅한 필터일 수 있다. 광촉매필터(410)에 광이 조사되면, 광촉매필터(410)에서 광촉매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광촉매필터(410)에 의해 탈취 및 살균된 실내공기는, 증발기(210)에 의해 제습된 후 실내로 배출될 수 있고, 제습된 실내공기가 다시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의 베이스 유입구(137a)를 통해 유입되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증발기(210)에 의해 제습된 실내공기가 광촉매필터(410)를 통과되므로, 광촉매필터(410)의 반응성을 좋아질 수 있다.The photocatalytic filter 410 may be a filter capable of deodorizing and sterilizing indoor air. The photocatalyst filter 410 may be disposed on an inflow path to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to deodorize and sterilize indoor air, eg, adjacent to the frame inlet 117a of the base frame 100b. The photocatalytic filter 410 may be a filter coated with a photocatalytic composition on a substrate such as pulp or nonwoven fabric. When the photocatalytic filter 410 is irradiated with light, a photocatalytic reaction may occur in the photocatalytic filter 410 . The indoor air deodorized and sterilized by the photocatalyst filter 410 can be dehumidified by the evaporator 210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room, and the dehumidified indoor air is returned to the base inlet 137a of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 can be repeated. Since the room air dehumidified by the evaporator 210 passes through the photocatalytic filter 410 during this repeated process, the reactivity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410 can be improved.

광원부(420)는 광촉매필터(410)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부(420)는 광촉매필터(410)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광촉매필터(410)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부(420)는 하나 이상의 유브엘이디(421: UV LED) 및 반사기판(422)을 포함할 수 있다. 유브엘이디(421)는 광촉매필터(410)의 광촉매 반응(실내공기의 탈취 및 살균)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자외선(Ultraviolet Ray)을 조사할 수 있다. 유브엘이디(421)는 일정 기간(일 예로, 5년) 마다 교체를 필요하므로, 유브엘이디(421)는 교체가 용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기판(422)은 유브엘이디(421)의 광을 반사할 수 있는 로드형 기판일 있다. 반사기판(422)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유브엘이디(421)가 광촉매필터(410)에 대향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반사기판(422)은 하나 이상의 유브엘이디(421)를 지지할 수 있다. 반사기판(422)은 필터 프레임(430)에 나란하게 지지되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420 may irradiate light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410 . The light source unit 420 may be disposed at a location spaced apart from the photocatalytic filter 4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radiate light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410 . The light source unit 420 may include one or more UV LEDs 421 and a reflective substrate 422 . The UV LED 421 may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 activate the photocatalytic reaction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of indoor air)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410 . Since the UV LED 421 needs to be replaced every predetermined period (eg, 5 years), the UV LED 421 can be disposed at a location where replacement is easy. The reflective substrate 422 may be a rod-shaped substrate capable of reflecting the light of the UV LED 421 . One or more UV LEDs 42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urface of the reflective substrate 422 to face the photocatalyst filter 410 . The reflective substrate 422 may support one or more UV LEDs 421 . The reflective substrate 422 may be provided as a pair supported in parallel to the filter frame 430 .

필터 프레임(430)은 광촉매필터(410), 광원부(420), 프리필터(440) 및 필터 브라켓(450)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00)일 수 있다. 필터 프레임(430)은 프레임 배출구(117b)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프레임(430)에는 광촉매필터(410), 광원부(420), 필터 브라켓(450) 및 프리필터(440)가 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ilter frame 430 may be a frame 100 for support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410 , the light source unit 420 , the pre-filter 440 and the filter bracket 450 . The filter frame 430 may be disposed at the frame outlet 117b. A photocatalyst filter 410, a light source unit 420, a filter bracket 450, and a pre-filter 440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in a downward direction in the filter frame 430.

프리필터(440)는 광촉매필터(4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프리필터(440)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이물질이 제품의 내부 및 광촉매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 pre-filter 440 may be disposed below the photocatalytic filter 410 . The pre-filter 440 remove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indoor air, there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product and the photocatalyst.

필터 브라켓(450)은 필터 프레임(430)에 끼워 고정될 수 있다. 필터 브라켓(450)은 광원부(4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브라켓일 수 있다. 필터 브라켓(450)은 광원부(420) 및 프리필터(440) 사이에 배치되지만, 필터 브라켓(450)은 광원부(420) 및 프리필터(440)를 지지하도록 필터 프레임(430)의 최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filter bracket 450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lter frame 430 . The filter bracket 450 may be a bracket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420 . The filter bracket 450 is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420 and the pre-filter 440, but the filter bracket 450 is dispos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filter frame 430 to support the light source unit 420 and the pre-filter 440. It could be.

응축수유닛(500)은 열교환조립체(200)에 의해 실내공기가 제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열교환되어 응결된 액체)를 저장 및 일정 수위에 찬 응축수를 자동으로 외부에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유닛(500)은 응축수탱크(510), 워터펌프(520), 배출관(530), 밸브(540) 및 레벨스위치(5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densate unit 500 can store condensate (liquid condensed by heat exchang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ehumidifying indoor air by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and automatically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filled to a certain level to the outside. The condensate unit 500 may include a condensate tank 510, a water pump 520, a discharge pipe 530, a valve 540 and a level switch 550.

응축수탱크(510)는 열교환조립체(200)에 의해 실내공기가 제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용할 수 있다. 응축수탱크(510)는 하부 프레임(110)의 일부, 일 예로, 하부 프레임(110)의 제3 챔버(103)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조립체(200)의 증발기(210)에 의해 실내공기가 제습되는 과정에서, 방열핀에 응축수가 맺혀서 하측으로 떨어지게 되고, 응축수는 응축수탱크(510)에 모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응축수탱크(510)는 하부 프레임(110)의 일부로 구성되지만, 응축수탱크(510)는 별도의 탱크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densate tank 510 may accommodat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ehumidifying indoor air by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 The condensate tank 510 may include a part of the lower frame 110, for example, the third chamber 103 of the lower frame 110. In the process of dehumidifying indoor air by the evaporator 210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condensed water forms on the heat radiation fins and falls downward, and the condensed water is collected in the condensate tank 510. In this embodiment, the condensate tank 510 is configured as a part of the lower frame 110, but the condensate tank 510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tank.

워터펌프(520)는 응축수탱크(510)에 모인 응축수를 배출관(530)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워터펌프(520)는 제어기(6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워터펌프(520)는 응축수가 응축수탱크(510)에 모이게 되면 자동으로 작동하여 응축수를 배출관(53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워터펌프(520)는 응축수를 유동시킬 수 있는 모터일 수 있다.The water pump 520 may introduce condensate collected in the condensate tank 510 into the discharge pipe 530. The water pump 52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00 . The water pump 520 automatically operates when condensate is collected in the condensate tank 510 to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ipe 530. For example, the water pump 520 may be a motor capable of flowing condensed water.

배출관(530)은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배출관(530)의 하단부는 응축수탱크(510)에 배치될 수 있고, 배출관(530)의 상단부는 상부 프레임(120)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출관(530)에는 응축수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54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ipe 530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condens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530 may be disposed in the condensate tank 510, and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ipe 530 may be disposed to be drawn out of the upper frame 120. A valve 540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of condensed water may be disposed in the discharge pipe 530 .

밸브(540)는 배출관(530)에 배치되어, 응축수의 유동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밸브(540)는 체크밸브(check valve)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등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밸브(540)는 액체의 유동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는 2way 밸브 또는 3way 밸브일 수 있다. The valve 540 may be disposed in the discharge pipe 530 to allow or block the flow of condensed water. The valve 540 may include a valve such as a check valve or a solenoid valve. Alternatively, the valve 540 may be a 2-way valve or a 3-way valve capable of allowing or blocking the flow of liquid.

레벨스위치(550)는 응축수탱크(510)에 모인 응축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고, 배출관(530)이 개방되도록 밸브(540)를 조절할 수 있다. 레벨스위치(550)에 의해 측정된 응축수의 수위 정보는 제어기(600)에 인가될 수 있다. 응축수탱크(510)에 일정량의 응축수가 모이게 되면, 레벨스위치(550)의 작동에 의해, 밸브(540)가 배출관(530)이 개방될 수 있고, 워터펌프(520)가 작동되어 응축수는 배출관(5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level switch 550 may measure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condensate tank 510 and may adjust the valve 540 so that the discharge pipe 530 is opened. Information on the level of condensed water measured by the level switch 550 may be applied to the controller 600 . When a certain amount of condensate is collected in the condensate tank 510, by the operation of the level switch 550, the valve 540 can open the discharge pipe 530, and the water pump 520 is operated so that the condensate is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pipe ( 53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어기(600)는 압축응축조립체(300), 열교환조립체(200), 필터유닛(400) 및 응축수유닛(50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600)는, 사용자의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압축응축조립체(300), 열교환조립체(200), 필터유닛(400) 및 응축수유닛(500)이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600 may control whether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the filter unit 400, and the condensate unit 500 are operated. The controller 600 turns on or off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the filter unit 400, and the condensate unit 500 when an inpu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by the user. ) can be controlled.

일 예로, 제어기(600)는 압축응축조립체(300)의 압축기(310)가 기 설정된 압축 시간동안 구동될 때, 워터펌프(520)가 기 설정된 제상 시간동안 구동되도록 워터펌프(5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레벨스위치(550)가 기 설정된 작동 시간을 초과하여 작동될 때, 제어기(600)는 레벨스위치(550)가 기 설정된 작동 시간을 초과하여 작동되는 이유를 워터펌프(520)의 이상(작동 기능 불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워터펌프(520)의 작동 이상으로, 워터펌프(52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응축수탱크(510)에 모인 응축수의 수위가 줄어들지 않게 되고, 레벨스위치(550)는 지속적으로 작동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제어기(600)는 열교환조립체(200) 및 압축응축조립체(30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열교환조립체(200) 및 압축응축조립체(300)를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6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mp 520 so that the water pump 520 is driven for a preset defrosting time when the compressor 310 of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is driven for a preset compression time. You can control it. In particular, when the level switch 550 is operated beyond the preset operating time, the controller 600 determines why the level switch 550 is operated beyond the preset operating time due to an abnormality (operation of the water pump 520). dysfunction). This is because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condensate tank 510 does not decrease and the level switch 550 is continuously operated when the water pump 520 does not operat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mp 520 or mor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600 may control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and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and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

또한, 제어기(600)는 열교환조립체(200) 및 압축응축조립체(300)의 작동이 정지되면, 열교환조립체(200)의 배출팬(220)과 압축응축조립체(300)의 의 흡입팬(330)이 기 설정된 팬 구동 시간동안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열교환조립체(200) 및 압축응축조립체(300)의 작동이 정지된 후, 배출팬(220) 및 흡입팬(330)이 작동되면, 공기가 열교환조립체(200) 및 압축응축조립체(300)를 유동하면서 열교환조립체(200) 및 압축응축조립체(300)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6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메모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600, when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and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is stopped, the discharge fan 220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and the suction fan 330 of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It can be controlled to be driven during the preset fan driving time. When the discharge fan 220 and the suction fan 330 are operat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and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is stopped, air flows through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and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and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may be dried while doing so. The controller 600 may be implemented by an arithmetic unit including a microprocessor, a memory, or the like, and since the implementation method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어기(600)는 응축수탱크(510)의 냉기가 열전달되도록 응축수탱크(510)와 인접하게 프레임(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기(600)는 제습의 작동시 열이 많이 발생되는 전자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어기(600)가 응축수탱크(510)와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제어기(600)의 온도는 응축수유닛의 낮은 열원에 의해 낮아질 수 있다.The controller 600 may be disposed on the frame 100 adjacent to the condensate tank 510 so that the cold air in the condensate tank 510 is transferred to heat. The controller 600 includes electronic components that generate a lot of heat during the dehumidification operation. As the controller 6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ndensate tank 510, the temperature of the controller 600 is a low heat source of the condensate unit. can be lowered by

단열시트(700)는 응축수유닛(500)을 외부로부터 단열할 수 있다. 단열시트(700)는 하부 프레임(110)의 하면에 밀착도록 부착될 수 있다. 단열시트(700)는 응축수유닛(500)이 배치된 하부 프레임(110)의 하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므로, 응축수유닛(500)의 낮은 온도에 의해, 하부 프레임(110)의 하면에 물이 맺히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insulation sheet 700 may insulate the condensate unit 500 from the outside. The insulating sheet 700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10 in close contact. Since the heat insulation sheet 700 is disposed to entirely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10 on which the condensate unit 500 is disposed, the low temperature of the condensate unit 500 causes water to for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10. can block it

단열재(800)는 베이스 프레임(100b)의 베이스 배출구(137b)와 외부 공기 간의 열전달이 차단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b)의 베이스 배출구(137b) 측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열재(800)는 베이스 프레임(100b)의 베이스 배출구(137b) 측에 배치되어, 외기와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단열재(800)는 베이스 배출구(137b) 사이에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b)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단열재(800)는 하부 프레임(100)의 프레임 배출구(117b) 및 베이스 프레임(100b)의 베이스 배출구(137b)의 사이 공간에 위치될 수 있고, 단열재(800)는 프레임 배출구(117b) 및 베이스 배출구(137b)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insulator 800 may be dispos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a side of the base outlet 137b of the base frame 100b to block heat transfer between the base outlet 137b of the base frame 100b and outside air. In other words, the insulator 80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ase outlet 137b of the base frame 100b to block heat transfer with outside air. Alternatively, the insulator 800 may be disposed on the base frame 100b such that a predetermined separ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se outlets 137b. For example, the insulator 800 may be positioned in a space between the frame outlet 117b of the lower frame 100 and the base outlet 137b of the base frame 100b, and the insulator 800 may be disposed in the frame outlet 117b. And it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base outlet (137b)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단열재(800)는 독립기포(closed cell) 구조를 가지는 고무발포 단열재(EPDM)일 수 있다. 고무발포 단열재(EPDM)는 합성고무를 발포시킨 독립기포 구조를 가지므로, 열전도율이 낮고, 단열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흡수율이 낮고 내투습성이 우수하여 단열 유지력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 고무발포 단열재(EPDM)는 통상의 단열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두께로 구성되어도, 후수한 단열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insulator 800 may be a rubber foam insulator (EPDM) having a closed cell structure. Since rubber foam insulation (EPDM) has a closed cell structure in which synthetic rubber is foamed, it has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excellent insulation performance, as well as low water absorption and excellent moisture permeability resistance, so that the insulation retention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Even if the rubber foam insulation (EPDM) is configured with a relatively lower thickness than conventional insulation members, it can provide excellent insulation performance.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는 드레스룸, 원룸, 오피스텔 및 욕실 등 덥고 습한 실내공기를 제습하여 쾌적한 실내공기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는 건물의 천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 자체가 천장면에 배치되므로, 드레스룸 등과 같은 실내공간에서의 사용자의 공간 활용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에는 열교환조립체(200) 및 압축응축조립체(300)가 격벽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별도의 실외기가 배치되기 위한 외부 공간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고, 배치 공간 확보의 효율성이 높을 수 있다.First,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may be disposed on the ceiling surface of a building requiring to provide comfortable indoor air by dehumidifying hot and humid indoor air, such as a dressing room, studio, officetel, and bathroom. Since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itself is disposed on the ceiling surface,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user's space utilization in an indoor space such as a dressing room. In addition, since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and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ith a partition wall interposed in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an external space for disposing a separate outdoor unit may not be required. The efficiency of securing space can be high.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가 건물의 천장면에 배치되면,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는 열교환조립체(200)를 통해 덥고 습한 실내공기를 살균, 탈취 및 제습할 수 있다. 예컨대, 열교환조립체(200)의 증발기(210)는 압축응축조립체(300)의 응축기(320)로부터 제공받은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로 기화시킬 수 있다. 증발기(210)의 주위를 이동하는 덥고 습한 실내공기는 증발기(210)와 열교환하여 실내공기를 액화 또는 응축하여 제습할 수 잇다.When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is disposed on the ceiling surface of a building,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can sterilize, deodorize, and dehumidify hot and humid indoor air through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 For example, the evaporator 210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may vaporize the low-temperature/low-pressure liquid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condenser 320 of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into a low-temperature/low-pressure gaseous refrigerant. The hot and humid indoor air moving around the evaporator 210 exchanges heat with the evaporator 210 to liquefy or condense the indoor air so that it can be dehumidified.

압축응축조립체(300)의 압축기(310)에 의해 냉매가 압축되고, 응축기(320)는 저온의 유동공기를 활용하여 냉매를 열교환하고, 가열건조된 유동공기는 다시 천장면의 상측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압축응축조립체(300)의 압축기(310) 및 응축기(320)는 천장면의 상측 공간에 배치되어, 응축기(320)가 냉매를 응축함에 있어서, 천장면의 상측 공간의 유동공기를 열교환매체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압축응축조립체(300)의 응축기(320), 흡입팬(330), 압축기(310)가 인입구에서 토출구를 향한 전방향으로 일방향 배치되므로, 유동공기는 흡입팬(330)에 의해 응축기(320)로 유동되어 응축기(320)에 의한 냉각 성능이 높아질 수 있다. 응축기(320)에 의한 냉각 성능이 높아지면, 열교환조립체(200)에 의한 제습효율 또한 높아질 수 있다.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310 of the compression condensation assembly 300, and the condenser 320 exchanges heat with the refrigerant using low-temperature flowing air, and the heated and dried flowing air is discharged to the upper space of the ceiling surface again. can The compressor 310 and the condenser 320 of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300 are disposed in a space above the ceiling surface, and when the condenser 320 condenses the refrigerant, the flowing air in the space above the ceiling surface is utilized as a heat exchange medium. can In addition, since the condenser 320, the suction fan 330, and the compressor 310 of the compression condensation assembly 300 are unidirectionally disposed in all directions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the flowing air is supplied to the condenser 320 by the suction fan 330. ), and cooling performance by the condenser 320 may be increased. When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condenser 320 is increased, the dehumidification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may also be increased.

한편, 프레임(100)에는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는 유동공기와 실내공기가 서로 섞여서 함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챔버가 제공될 수 있다. 실내공기가 유동되는 제1 챔버(101)와 유동공기가 유동되는 제2 챔버(102)가 서로 구획되므로,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는 유동공기와 실내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유동되는 통로가 확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건조된 유동공기가 유동공기와 서로 섞이지 않으므로, 열교환조립체(200)의 의한 제습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Meanwhile, the frame 1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hambers capable of preventing or suppressing the mixing of the moving air and the room air having different properties and flowing together. Since the first chamber 101 through which indoor air flows and the second chamber 102 through which flowing air flow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 passage through which flowing air having different properties and indoor air flow independently without mixing can be secured. can In this way, since the heated and dried flowing air is not mixed with the flowing air, the dehumidification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200 can be increased.

또한,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로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필터유닛(400)의 광촉매필터(410)에 의해 탈취 및 살균된 후, 증발기(210)에 의해 제습되어 건조될 수 있다. 광촉매필터(410)에 의해 탈취 및 살균된 실내공기는, 증발기(210)에 의해 제습된 후 실내로 배출된 후, 제습된 실내공기가 다시 천장용 공기처리장치(1)의 베이스 유입구(137a)를 통해 유입되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증발기(210)에 의해 제습된 실내공기가 광촉매필터(410)를 통과되므로, 광촉매필터(410)의 반응성이 증가될 수 있다.In addition,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may be deodorized and sterilized by the photocatalytic filter 410 of the filter unit 400, and then dehumidified by the evaporator 210 and dried. The indoor air deodorized and sterilized by the photocatalyst filter 410 is dehumidified by the evaporator 210 and discharged to the room, and then the dehumidified indoor air is returned to the base inlet 137a of the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 The process of inflow through can be repeated. Since indoor air dehumidified by the evaporator 210 passes through the photocatalytic filter 410 during this repeated process, the reactivity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410 can be increased.

또한, 응축수유닛(500)에 의해, 제습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응축수가 모아지는 물통을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the condensate unit 500, condensate generated in the dehumidifying process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fore, since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water container in which the condensed water is separately collected,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specific embodiment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the widest scope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a pattern of a shape not indicated by combining/substituting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his also does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or modify the disclosed embodiments based on this specification, and it is clear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천장용 공기처리장치
100: 프레임 101: 제1 챔버
102: 제2 챔버 103: 제3 챔버
104: 제4 챔버 100a: 본체 프레임
100b: 베이스 프레임 110: 하부 프레임
111: 프레임 기저부 112: 하부 프레임 에지부
113: 제1 하부 프레임 격벽부 114: 제2 하부 프레임 격벽부
115: 제3 하부 프레임 격벽부 116: 제4 하부 프레임 격벽부
117a: 프레임 유입구 117b: 프레임 배출구
118a: 제1 인입구 118b: 제1 토출구
119: 배출로
120: 상부 프레임 121: 프레임 루프부
122: 상부 프레임 에지 123: 제1 상부 프레임 격벽부
123a: 관통로
124: 제2 하부 프레임 격벽부 125: 제3 하부 프레임 격벽부
125: 제4 하부 프레임 격벽부 128a: 제2 인입구
128b: 제2 토출구
137a: 베이스 유입구 137b: 베이스 배출구
200: 열교환조립체 210: 증발기
220: 배출팬 230: 가이드 덕트
300: 압축응축조립체
310: 압축기
320: 응축기 330: 흡입팬
400: 필터유닛 410: 광촉매 필터
420: 광원부 430: 필터 프레임
440: 프리필터 450: 필터 브라켓
500: 응축수유닛 510: 응축수탱크
520: 워터펌프 530: 배출관
540: 밸브 550: 레벨스위치
600: 제어기 700: 단열시트
800: 단열재 C: 천장면
1: Ceiling air treatment device
100: frame 101: first chamber
102: second chamber 103: third chamber
104: fourth chamber 100a: body frame
100b: base frame 110: lower frame
111: frame base portion 112: lower frame edge portion
113: first lower frame bulkhead portion 114: second lower frame bulkhead portion
115: third lower frame bulkhead portion 116: fourth lower frame bulkhead portion
117a: frame inlet 117b: frame outlet
118a: first inlet 118b: first outlet
119: discharge path
120: upper frame 121: frame loop portion
122: upper frame edge 123: first upper frame bulkhead portion
123a: through passage
124: second lower frame bulkhead portion 125: third lower frame bulkhead portion
125: fourth lower frame bulkhead portion 128a: second inlet
128b: second discharge port
137a: base inlet 137b: base outlet
200: heat exchange assembly 210: evaporator
220: discharge fan 230: guide duct
300: compression condensation assembly
310: compressor
320: condenser 330: suction fan
400: filter unit 410: photocatalyst filter
420: light source unit 430: filter frame
440: pre-filter 450: filter bracket
500: condensate unit 510: condensate tank
520: water pump 530: discharge pipe
540: valve 550: level switch
600: controller 700: insulation sheet
800: insulation material C: ceiling surface

Claims (9)

천장면의 하측에서 유동하는 실내공기 및 상기 천장면의 상측에서 유동하는 유동공기가 유동 가능한 챔버, 상기 실내공기가 상기 챔버로 유입되는 베이스 유입구, 및 상기 실내공기가 상기 챔버에서 배출되는 베이스 배출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실내공기 및 냉매 간 열교환을 통해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상기 실내공기를 제습하는 열교환조립체;
상기 유동공기와 상기 냉매 사이를 열교환시키는 압축응축조립체;
상기 실내공기가 제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장 및 배출시키는 응축수유닛;
외기와의 열전달이 차단되도록 상기 베이스 배출구 측에 배치되는 단열재; 및
상기 압축응축조립체, 상기 열교환조립체 및 상기 응축수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유닛은
상기 실내공기에 대한 제습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저장 가능한 응축수탱크, 상기 응축수탱크에 저장된 상기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 상기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압력을 상기 배출관에 제공하는 워터펌프, 상기 배출관을 유동하는 응축수를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는 밸브, 및 상기 응축수탱크에 모인 응축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수위가 기 설정된 만수 수위가 되면, 상기 밸브를 개방시키는 레벨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압축응축조립체의 압축기가 기 설정된 압축 시간동안 구동될 때, 상기 워터펌프가 기 설정된 제상 시간동안 구동되도록 상기 워터펌프를 제어하되, 상기 레벨스위치가 기 설정된 작동 시간을 초과하여 작동되면, 상기 워터펌프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열교환조립체 및 상기 압축응축조립체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
A chamber in which indoor air flow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ceiling surface and air flow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ceiling surface can flow, a base inlet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flows into the chamber, and a base outlet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from the chamber frame containing;
a heat exchange assembly for dehumidifying the indoor air 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through heat exchang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refrigerant;
a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flowing air and the refrigerant;
a condensate unit storing and discharg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ehumidifying the indoor air;
an insulator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ase outlet to block heat transfer with outside air;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ion condensation assembly, the heat exchange assembly, and the condensate unit,
The condensate unit is
A condensate tank capable of storing condensate wat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ehumidifying the indoor air,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condensate stored in the condensate tank to the outside, a water pump providing pressure for discharging the condensate to the outside to the discharge pipe, A valve capable of allowing or blocking the condensed water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ipe, and a level switch capable of measuring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condensate tank and opening the valve when the level reaches a predetermined full water level,
The controller
When the compressor of the compression-condensing assembly is driven for a preset compression time, the water pump is controlled to operate for a preset defrost time, but when the level switch is operated beyond the preset operating time, the water pump is operated for a preset defrosting time. Determining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pump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and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to be stopped,
Air handlers for ceiling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유닛을 외부로부터 단열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단열시트를 더 포함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sulating sheet disposed on the frame to insulate the condensate unit from the outside,
Air handlers for ceiling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독립기포(closed cell) 구조를 가지는 고무발포 단열재(EPDM)인,
천장용 공기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sulation material
A rubber foam insulation (EPDM) having a closed cell structure,
Air handlers for ceiling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상기 베이스 배출구 사이에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sulation material
Disposed in the frame so that a predetermined separ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se outlets,
Air handlers for ceiling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본체 프레임;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열교환조립체 및 상기 압축응축조립체가 수용 가능하고, 저면에 상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프레임 유입구 및 상기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프레임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유입구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베이스 유입구, 및 상기 프레임 배출구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베이스 배출구를 제공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상기 프레임 배출구 및 상기 베이스 배출구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프레임 배출구 및 상기 베이스 배출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body frame; and
And a base frame disposed to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frame,
The body frame is
a lower frame accommodating the heat exchange assembly and the compression/condensation assembly, and having a frame inlet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introduced and a frame outlet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nd an upper frame dispos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the base frame
The base frame includes a base frame providing a base inlet disposed opposite to the frame inlet, and a base outlet disposed opposite to the frame outlet,
the insulation material
An air treatment device for a ceiling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rame outlet and the base outlet in a space between the frame outlet and the base outle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시트는
외부 공기와 상기 응축수탱크 간의 열전달이 차단되도록 상기 응축수탱크에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을 적어도 감싸도록 배치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insulation sheet
Arranged to surround at least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condensate tank so that heat transfer between the outside air and the condensate tank is blocked,
Air handlers for ceiling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를 탈취 및 살균하기 위한 필터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프레임의 유입 경로 상에 배치되는 광촉매필터; 및
상기 광촉매필터에 의한 상기 실내공기의 탈취 및 살균을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광촉매필터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lter unit for deodorizing and sterilizing the indoor air,
The filter unit is
a photocatalytic filter disposed on an inflow path of the frame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introduced; and
And a light source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to activate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of the indoor air by the photocatalytic filter.
Air handlers for ceiling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광원부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브라켓;
실내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프리필터;
상기 광촉매필터, 상기 광원부, 상기 필터 브라켓 및 상기 프리필터가 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filter unit is
a filter bracket for supporting the light source unit;
a pre-filte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indoor air;
Further comprising a filter frame support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the light source unit, the filter bracket, and the pre-filter to be sequentially disposed in a downward direction.
Air handlers for ceiling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조립체는
상기 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와 대향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실내공기와 상기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상기 실내공기를 상기 챔버에 유동시키는 배출팬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응축조립체는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상기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및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공기와 상기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상기 유동공기를 상기 챔버에서 유동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증발기가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증발기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천장용 공기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exchange assembly
An evaporator for vaporizing the refrigerant: and
a discharge fan disposed side by side to face the evaporator and flowing the indoor air into the chamber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refrigerant;
The compression condensation assembly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 condenser condensing the compressed refrigerant; and
A suction fan disposed between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to flow the flowing air in the chamber so that the flowing air and the refrigerant are heat-exchanged,
the condenser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evaporator fac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the evaporator is facing,
Air handlers for ceilings.
KR1020230033969A 2023-03-15 2023-03-15 Ceiling type air treatment apparatus KR1025659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969A KR102565984B1 (en) 2023-03-15 2023-03-15 Ceiling type air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969A KR102565984B1 (en) 2023-03-15 2023-03-15 Ceiling type air treatmen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984B1 true KR102565984B1 (en) 2023-08-11

Family

ID=87565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969A KR102565984B1 (en) 2023-03-15 2023-03-15 Ceiling type air treat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98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8097A (en) * 2005-12-28 2007-07-12 Hitachi Ltd Air conditioner
KR101286104B1 (en) * 2012-10-19 2013-08-02 헵시바주식회사 Air condition system for booth
KR20170000177A (en) * 2015-06-23 201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A drain hos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KR20190012879A (en) * 2017-07-28 2019-02-11 주식회사 이지엠 Air cleaner capable of mounting in-ceil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8097A (en) * 2005-12-28 2007-07-12 Hitachi Ltd Air conditioner
KR101286104B1 (en) * 2012-10-19 2013-08-02 헵시바주식회사 Air condition system for booth
KR20170000177A (en) * 2015-06-23 201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A drain hos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KR20190012879A (en) * 2017-07-28 2019-02-11 주식회사 이지엠 Air cleaner capable of mounting in-cei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838B1 (en)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KR101749194B1 (en) Air-conditioner capable of heating and humidity control and the method thereof
AU2002330393B2 (en) Air conditioner
WO2005098325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A2059992C (en) Heater-humidifier-dehumidifier unit
AU2008320210A1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KR102216987B1 (en) Apparatus for dehumidification or humidification
KR20210027767A (en) heat exchanger for air purification
KR102180663B1 (en)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KR102565984B1 (en) Ceiling type air treatment apparatus
KR101957240B1 (en) Air conditioner
KR102548406B1 (en) Ceiling type air treatment apparatus
KR102567331B1 (en) Ceiling type air treatment apparatus
KR102565990B1 (en) Ceiling type air treatment apparatus
CN108885023B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078108A (en) Humidity controller
US20220178597A1 (en) Ventilation device and integrate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ame
US20220192464A1 (en)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WO2007040217A1 (en) Humidifying unit and out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JP2010145024A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90024394A (en)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KR102421244B1 (en)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JP2010286197A (en) Humidity controller
KR102648691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WO2023228236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