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903B1 - Smart control IOT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control IO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903B1
KR102565903B1 KR1020210115969A KR20210115969A KR102565903B1 KR 102565903 B1 KR102565903 B1 KR 102565903B1 KR 1020210115969 A KR1020210115969 A KR 1020210115969A KR 20210115969 A KR20210115969 A KR 20210115969A KR 102565903 B1 KR102565903 B1 KR 102565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ensor
housing part
sma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9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32775A (en
Inventor
김성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단디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단디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단디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210115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903B1/en
Publication of KR2023003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7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903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05Measures against vandalism, stealing or tamp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16Y40/35Management of things, i.e. controlling in accordance with a policy or in order to achieve specified objec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은 지지부(110); 상기 지지부(110)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부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1 바디부(120); 상기 제1 바디부(120)의 상단부와 연결된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 상기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이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 방향(DR2)으로 연장되다가 가로 방향(DR1)으로 절곡된 제2 바디부(130); 및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절곡된 상기 제2 바디부(130)의 단부와 연결된 조명부(140)를 포함한다.A smart control IOT system including a smart street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unit 110; a first body part 120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110 and extending in an upper direction DR2; A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part 120; a second body 13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nd extended in the upper direction DR2 and then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d a lighting unit 140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body 130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Description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Smart control IOT system}Smart control IOT system {Smart control IOT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ontrol IOT system.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part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prior art.

스마트 시티는 ICT를 활용하여 데이터 수집, 가동, 전달 등을 통하여 동작되므로, 정보의 거점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가로등이 새롭게 재조명되고 있다. Since smart cities operate through data collection, operation, and transmission using ICT, the base of information becomes a very important factor.

가로등은 밤이나 어두운 날에 도로나 보도 같은 길에서 운전자나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해줌으로써 사고와 범죄를 예방하는 거나, 길을 밝혀주는 역할을 하는 구조물로 도시에서 친숙하게 볼 수 있는 구조물이다. A street light is a structure that can be familiarly seen in the city as a structure that serves to prevent accidents and crimes by securing a driver's or pedestrian's view on a road or sidewalk at night or on a dark day, or to light the way.

친숙하게 볼 수 있는 구조물이라는 것은 많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고, 이것은 통신의 본거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통신의 본거지라는 것은 즉,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A structure that can be seen familiarly means that it is installed a lot, which means that it can be a base for communication, and being a base for communication means that it can provide various convenient services.

그러기에 최근 가로등을 원래의 역할이 아닌 스마트 시티의 핵심 역할을 하는 구조물로 탈 바꿈 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efforts are being made to transform streetlights into structures that play a key role in smart cities, rather than their original role.

한편, 네트워크 통신 기술은 세상을 혁신적으로 바꾸고 있다.Meanwhile, network communication technology is revolutionizing the world.

네트워크 통신 기술은 사람의 생활 전반을 바꾸었을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에도 영향을 미쳐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팜, 사물인터넷 등의 개념을 확립시켜 산업 전반을 바꾸고 있으며, 최근에는 나아가 생활 속에서 유발되는 교통 문제, 환경 문제, 주거 문제, 시설 비효율 등을 해결하여 시민들이 편리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한 '똑똑한 도시', 속칭 스마트 시티의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Network communication technology not only changed the overall life of people, but also influenced the overall industry, establishing concepts such as smart factories, smart farms, and the Internet of Things to change overall industries. , It i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 'smart city', so-called smart city, that solves environmental problems, housing problems, and facility inefficiencies so that citizens can enjoy a convenient and pleasant life.

본 발명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가 진단이 가능하며 원격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control IOT system capable of self-diagnosis and remote managemen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은 지지부(110); 상기 지지부(110)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부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1 바디부(120); 상기 제1 바디부(120)의 상단부와 연결된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 상기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이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 방향(DR2)으로 연장되다가 가로 방향(DR1)으로 절곡된 제2 바디부(130); 및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절곡된 상기 제2 바디부(130)의 단부와 연결된 조명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은, 상기 제2 바디부(130)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연장된 상부 하우징부(211), 상기 제1 바디부(120)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연장된 하부 하우징부(212), 상기 상부 하우징부(211)와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를 연결하고 상기 상부 방향(DR2)으로 연장된 측부 하우징부(213), 상기 측부 하우징부(213)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부(211)와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1 홀(H1)을 포함하는 제1 내부 하우징부(214), 상기 측부 하우징부(213)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 내부 하우징부(214)와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2 홀(H2)을 포함하는 제2 내부 하우징부(215), 및 상기 측부 하우징부(213)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 내부 하우징부(215)와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3 홀(H3)을 포함하는 제3 내부 하우징부(216)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상부 하우징부(211)와 상기 제1 내부 하우징부(214) 사이에 배치된 제1 모듈, 상기 제1 내부 하우징부(214)와 상기 제2 내부 하우징부(215) 사이에 배치된 제2 모듈, 상기 제2 내부 하우징부(215)와 상기 제3 내부 하우징부(216) 사이에 배치된 제3 모듈, 및 상기 제3 내부 하우징부(216)와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 사이에 배치된 제4 모듈을 포함한다.A smart control IOT system including a smart street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support unit 110; a first body part 120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110 and extending in an upper direction DR2; A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part 120; a second body 13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nd extended in the upper direction DR2 and then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d a lighting unit 140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body 130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d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directly connects with the second body 130. An upper housing part 211 connected and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 lower housing part 212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art 120 and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d the upper housing part 211 and the lower housing part 212 are connected and the side housing part 213 extending in the upper direction DR2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ide housing part 213 and the upper housing part 211 and the A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disposed between the lower housing part 21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d including a first hole H1,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side housing part 213 and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1 a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disposed between the inner housing part 214 and the lower housing part 21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d including a second hole H2, and the side housing A third inner part 213 is directly connected, disposed between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and the lower housing part 212,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d includes a third hole H3. A housing portion including a housing portion 216, a first module disposed between the upper housing portion 211 and the first inner housing portion 214, the first inner housing portion 214 and the second inner housing portion 214 A second module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portion 215, a third modul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inner housing portion 215 and the third inner housing portion 216, and the third inner housing portion 216 and a fourth module disposed between the lower housing part 212 .

상기 제1 모듈은 환경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은 제1 모듈 하우징, 및 상기 제1 모듈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환경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odule may include an environment sensor module, and the first module may include a first module housing and an environment sensor located inside the first module housing.

상기 제2 모듈은 촬상 복합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제2 모듈 하우징, 및 상기 제2 모듈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촬상 복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odule may include an imaging composite sensor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may include a second module housing and an imaging composite sensor located inside the second module housing.

상기 제3 모듈은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모듈은 제3 모듈 하우징, 및 상기 제3 모듈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컨트롤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module may include a controller module, and the third module may include a third module housing and a controller sensor located inside the third module housing.

상기 제4 모듈은 네트워크/전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모듈은 제4 모듈 하우징, 및 상기 제4 모듈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네트워크/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urth module may include a network/power module, and the fourth module may include a fourth module housing and a network/power unit located inside the fourth module housing.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embodiment specific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가 진단이 가능하며 원격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art control IOT system including a smart street light capable of self-diagnosis and remote management.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의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의 하우징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하우징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의 제1 모듈 내지 제4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의 하우징부, 제1 모듈 내지 제4 모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의 하우징부에 제1 모듈 내지 제4 모듈을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제1 모듈과 조명부(140)의 관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디밍 센서, 사물 감지 센서의 작동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제2 모듈과 제4 모듈 간 관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제2 모듈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제3 모듈과 제4 모듈 간 관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모듈의 자가 진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mart control IOT system including a smart street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of a smart control IOT system including a smart street lamp according to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ccording to FIG. 2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part according to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irst to fourth modules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ccording to FIG. 2 .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ousing portion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ccording to FIG. 2 and the first to fourth modules.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first to fourth modules to the housing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ccording to FIG. 2 .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module and the lighting unit 140 .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FIG. 8 in more detail.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a dimming sensor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econd module and a fourth module.
12 to 13 are diagrams showing operations of the second module in detail.
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third module and a fourth modul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6 is a block diagram of a third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9 is a diagram showing self-diagnosis of a thir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ing actions and effects will be collectively describ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은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이 스마트 가로등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은 스마트 가로등뿐만 아니라, 스마트 팜, 스마트 팩토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 case in which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is applied to a smart street ligh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can be applied not only to smart streetlights, but also to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의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mart control IOT system including a smart street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of a smart control IOT system including a smart street lamp according to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은 지지부(110); 상기 지지부(110)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부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1 바디부(120); 상기 제1 바디부(120)의 상단부와 연결된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 상기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이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 방향(DR2)으로 연장되다가 가로 방향(DR1)으로 절곡된 제2 바디부(130); 및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절곡된 상기 제2 바디부(130)의 단부와 연결된 조명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a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a smart street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unit 110; a first body part 120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110 and extending in an upper direction DR2; A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part 120; a second body 13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nd extended in the upper direction DR2 and then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d a lighting unit 140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body 130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의 상단부는 제2 바디부(130)와 직접 연결 또는 체결되고,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의 하단부는 제1 바디부(120)와 직접 연결 또는 체결될 수 있다. 즉,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은 제1 및 제2 바디부(120, 130)와 직접 연결 또는 체결되어 있다.The upper end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the second body 130, and the lower end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may be directly coupled to or coupled to the first body 120. That is,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is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20 and 130 .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은 사시도 상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a perspective view.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도 2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의 하우징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하우징부의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ccording to FIG. 2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part according to Figure 3;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은 하우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제2 바디부(130)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연장된 상부 하우징부(211), 상기 제1 바디부(120)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연장된 하부 하우징부(212), 상기 상부 하우징부(211)와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를 연결하고 상기 상부 방향(DR2)으로 연장된 측부 하우징부(213), 상기 측부 하우징부(213)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부(211)와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1 홀(H1)을 포함하는 제1 내부 하우징부(214), 상기 측부 하우징부(213)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 내부 하우징부(214)와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2 홀(H2)을 포함하는 제2 내부 하우징부(215), 및 상기 측부 하우징부(213)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 내부 하우징부(215)와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3 홀(H3)을 포함하는 제3 내부 하우징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H1)은 제1 내부 하우징부(214)를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할 수 있다. 제2 홀(H2)은 제2 내부 하우징부(215)를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할 수 있다. 제3 홀(H3)은 제3 내부 하우징부(216)를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may include a housing. The housing par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part 130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d the upper housing part 21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art 120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 extended lower housing part 212, a side housing part 213 connecting the upper housing part 211 and the lower housing part 212 and extending in the upper direction DR2, and the side housing part 213 A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directly connected to, disposed between the upper housing part 211 and the lower housing part 21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d including a first hole H1, Directly connected to the side housing part 213,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and the lower housing part 21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d including a second hole H2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and the side housing part 213,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and the lower housing part 212,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d a third inner housing part 216 including a third hole H3. The first hole H1 may completely penetrate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second hole H2 may completely penetrate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third hole H3 may completely penetrate the third inner housing part 216 in the thickness direc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부(211)의 제1 방향(DR1) 타측 단부는 측부 하우징부(213)와 연결되고, 제1 내부 하우징부(214)의 제1 방향(DR1) 타측 단부는 측부 하우징부(213)와 연결되며, 상부 하우징부(211), 측부 하우징부(213), 및 제1 내부 하우징부(21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제1 빈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1 빈공간은 상부 하우징부(211)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및 제1 내부 하우징부(214)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주변에서 외부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빈공간은 상부 하우징부(211)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및 제1 내부 하우징부(214)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주변에서 개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other end of the upper housing part 211 in the first direction DR1 is connected to the side housing part 213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end is connected to the side housing part 213, and the space surrounded by the upper housing part 211, the side housing part 213, and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may be a first empty space. The first empty spac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pace around one end of the upper housing part 211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one end of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at is, the first empty space may open around one end of the upper housing part 211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one end of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in the first direction DR1.

제1 내부 하우징부(214)의 제1 방향(DR1) 타측 단부는 측부 하우징부(213)와 연결되며, 제2 내부 하우징부(215)의 제1 방향(DR1) 타측 단부는 측부 하우징부(213)와 연결되고, 제1 내부 하우징부(214), 측부 하우징부(213), 및 제2 내부 하우징부(215)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제2 빈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2 빈공간은 제1 내부 하우징부(214)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및 제2 내부 하우징부(215)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주변에서 외부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빈공간은 제1 내부 하우징부(214)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및 제2 내부 하우징부(215)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주변에서 개방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in the first direction DR1 is connected to the side housing part 21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in the first direction DR1 is connected to the side housing part ( 213) and surrounded by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the side housing part 213, and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may be a second empty space. The second empty spac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pace around one end of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one end of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at is, the second empty space may open around one end of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one end of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in the first direction DR1.

상기 제1 빈공간과 상기 제2 빈공간은 제1 홀(H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empty space and the second empty space may be connected through a first hole H1.

제2 내부 하우징부(215)의 제1 방향(DR1) 타측 단부는 측부 하우징부(213)와 연결되며, 제3 내부 하우징부(216)의 제1 방향(DR1) 타측 단부는 측부 하우징부(213)와 연결되고, 제2 내부 하우징부(215), 측부 하우징부(213), 및 제3 내부 하우징부(216)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제3 빈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3 빈공간은 제2 내부 하우징부(215)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및 제3 내부 하우징부(216)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주변에서 외부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빈공간은 제2 내부 하우징부(215)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및 제3 내부 하우징부(216)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주변에서 개방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in the first direction DR1 is connected to the side housing part 213,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inner housing part 216 in the first direction DR1 is connected to the side housing part ( 213) and surrounded by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the side housing part 213, and the third inner housing part 216 may be a third empty space. The third empty spac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pace around one end of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one end of the third inner housing part 216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at is, the third empty space may open around one end of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one end of the third inner housing part 216 in the first direction DR1.

상기 제2 빈공간과 상기 제3 빈공간은 제2 홀(H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empty space and the third empty space may be connected through a second hole H2.

제3 내부 하우징부(216)의 제1 방향(DR1) 타측 단부는 측부 하우징부(213)와 연결되며, 하부 하우징부(212)의 제1 방향(DR1) 타측 단부는 측부 하우징부(213)와 연결되고, 제3 내부 하우징부(216), 측부 하우징부(213), 및 하부 하우징부(21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제4 빈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4 빈공간은 제3 내부 하우징부(216)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및 하부 하우징부(212)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주변에서 외부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빈공간은 제3 내부 하우징부(216)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및 하부 하우징부(212)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주변에서 개방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third inner housing part 216 in the first direction DR1 is connected to the side housing part 213,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housing part 212 in the first direction DR1 is connected to the side housing part 213. The space connected to and surrounded by the third inner housing part 216, the side housing part 213, and the lower housing part 212 may be a fourth empty space. The fourth empty spac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pace around one end of the third inner housing part 216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one end of the lower housing part 212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at is, the third empty space may open around one end of the third inner housing part 216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one end of the lower housing part 212 in the first direction DR1.

상기 제3 빈공간과 상기 제4 빈공간은 제3 홀(H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empty space and the fourth empty space may be connected through a third hole H3.

도 5는 도 2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의 제1 모듈 내지 제4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의 하우징부, 제1 모듈 내지 제4 모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의 하우징부에 제1 모듈 내지 제4 모듈을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irst to fourth modules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ccording to FIG. 2 .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ousing portion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ccording to FIG. 2 and the first to fourth modules.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first to fourth modules to the housing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ccording to FIG. 2 .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위치한 제1 모듈(251), 제2 모듈(253), 제3 모듈(255), 및 제4 모듈(2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듈(251)은 상기 상부 하우징부(211)와 상기 제1 내부 하우징부(214)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모듈(253)은 상기 제1 내부 하우징부(214)와 상기 제2 내부 하우징부(215) 사이에 배치되고, 제3 모듈(255)은 상기 제2 내부 하우징부(215)와 상기 제3 내부 하우징부(216) 사이에 배치되고, 제4 모듈(257)은 상기 제3 내부 하우징부(216)와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5 to 7,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includes a first module 251, a second module 253, a third module 255, and a fourth module 257 located inside the housing. ) may be further included. A first module 251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housing part 211 and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and a second module 253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and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4. The third module 255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and the third inner housing part 216, and the fourth module 257 is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parts 215. 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housing part 216 and the lower housing part 212.

상기 제1 모듈(251)은 환경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251)은 제1 모듈 하우징(251d), 및 상기 제1 모듈 하우징(251d) 내부에 위치한 환경 센서(251a)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odule 251 includes an environment sensor module, and the first module 251 includes a first module housing 251d and an environment sensor 251a located inside the first module housing 251d. can do.

상기 제2 모듈(253)은 촬상 복합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253)은 제2 모듈 하우징(253d), 및 상기 제2 모듈 하우징(253d) 내부에 위치한 촬상 복합 센서(253a)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odule 253 includes an image pickup composite sensor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253 includes a second module housing 253d and an image pickup composite sensor 253a located inside the second module housing 253d. can include

상기 제3 모듈(255)은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모듈(255)은 제3 모듈 하우징(255d), 및 상기 제3 모듈 하우징(255d) 내부에 위치한 컨트롤러 센서(255a)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module 255 includes a controller module, and the third module 255 may include a third module housing 255d and a controller sensor 255a located inside the third module housing 255d. can

상기 제4 모듈(257)은 네트워크/전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모듈(257)은 제4 모듈 하우징(257d), 및 상기 제4 모듈 하우징(257d) 내부에 위치한 네트워크/전원부(257a)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urth module 257 includes a network/power module, and the fourth module 257 includes a fourth module housing 257d and a network/power unit 257a located inside the fourth module housing 257d. can include

제1 모듈(251) 내지 제4 모듈(257)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The first module 251 to the fourth module 257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제1 모듈(251)의 제1 모듈 하우징(251d)의 아랫면은 제4 홀(H4)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모듈 하우징(251d)의 측면은 제10 홀(H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듈 하우징(251d)의 측면은 제10 홀(H10)을 포함함으로써, 환경 센서(251a)가 외부의 조도,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 사물 감지를 할 수 있다. 제1 모듈(251)은 제1 통신/전원 라인(251b), 및 제1 제어 라인(251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전원 라인(251b), 및 제1 제어 라인(251c)은 환경 센서(251a)와 연결되며, 제4 홀(H4)을 통해 하부로 연장된다. 제1 통신/전원 라인(251b)은 제4 모듈(257)의 네트워크/전원부(257a)와 연결되고, 제1 제어 라인(251c)은 제3 모듈(255)의 컨트롤러 센서(255a)와 연결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odule housing 251d of the first module 251 may include a fourth hole H4,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module housing 251d may include a tenth hole H10. . The side of the first module housing 251d includes the tenth hole H10, so that the environment sensor 251a can detect external illumination, temperature, humidity,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objects. The first module 251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power line 251b and a first control line 251c. The first communication/power line 251b and the first control line 251c are connected to the environmental sensor 251a and extend downward through the fourth hole H4. The first communication/power line 251b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power unit 257a of the fourth module 257, and the first control line 251c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sensor 255a of the third module 255. there is.

제2 모듈(253)의 제2 모듈 하우징(253d)의 아랫면은 제6 홀(H6)을 포함하고, 윗면은 제5 홀(H5)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모듈 하우징(253d)의 측면은 제11 홀(H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듈 하우징(253d)의 측면은 제11 홀(H11)을 포함함으로써, 촬상 복합 센서(253a)의 촬상 센서(도 10의 253aa)가 외부를 촬상할 수 있다. 제2 모듈(253)은 제2 통신/전원 라인(253b), 및 제2 제어 라인(253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전원 라인(253b), 및 제2 제어 라인(253c)은 촬상 복합 센서(253a)와 연결되며, 제6 홀(H6)을 통해 하부로 연장된다. 제2 통신/전원 라인(253b)은 제4 모듈(257)의 네트워크/전원부(257a)와 연결되고, 제2 제어 라인(253c)은 제3 모듈(255)의 컨트롤러 센서(255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통신/전원 라인(251b), 및 제1 제어 라인(251c)은 제5 및 제6 홀(H5, H6)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odule housing 253d of the second module 253 may include a sixth hole H6, the upper surface may include a fifth hole H5,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module housing 253d may include a fifth hole H5. may include an eleventh hole H11.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module housing 253d includes the eleventh hole H11, so that the image pickup sensor (253aa in FIG. 10 ) of the image pickup composite sensor 253a can capture an image of the outside. The second module 253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mmunication/power line 253b and a second control line 253c. The second communication/power line 253b and the second control line 253c are connected to the imaging composite sensor 253a and extend downward through the sixth hole H6. The second communication/power line 253b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power unit 257a of the fourth module 257, and the second control line 253c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sensor 255a of the third module 255. there is. The first communication/power line 251b and the first control line 251c may pass through the fifth and sixth holes H5 and H6 and extend downward.

제3 모듈(255)의 제3 모듈 하우징(255d)의 아랫면은 제8 홀(H8)을 포함하고, 윗면은 제7 홀(H7)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모듈 하우징(255d)의 측면은 홀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모듈(255)은 제3 통신/전원 라인(255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신/전원 라인(255b)은 컨트롤러 센서(255a)와 연결되며, 제8 홀(H8)을 통해 하부로 연장된다. 제3 통신/전원 라인(255b)은 제4 모듈(257)의 네트워크/전원부(257a)와 연결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module housing 255d of the third module 255 may include the eighth hole H8, the upper surface may include the seventh hole H7, and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module housing 255d. may not contain a hole. The third module 255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mmunication/power line 255b. The third communication/power line 255b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sensor 255a and extends downward through the eighth hole H8. The third communication/power line 255b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power unit 257a of the fourth module 257.

제4 모듈(257)의 제4 모듈 하우징(257d)의 윗면은 제9 홀(H9)을 포함할 수 있고, 제4 모듈 하우징(257d)의 측면은 홀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module housing 257d of the fourth module 257 may include the ninth hole H9,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ourth module housing 257d may not include the hole.

한편,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은 스마트 젝터(SJ)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젝터(SJ)는 하부 하우징부(21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스마트 젝터(SJ)는 네트워크/전원부(257a) 및 컨트롤러 센서(255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젝터(SJ)는 컨트롤러 센서(255a)에 의해 제어되며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 주변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스마트 젝터(SJ)에 의해 조사된 광은 미리 저장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인 스마트 가로등 주변을 지나가는 보행자에게 의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이미지는 스마트 가로등 주변의 더럽거나, 오염된 영역에 오버랩(Overlap)되어 더럽거나, 오염된 영역의 미관을 개선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은 스마트 가로등 주변의 더럽거나, 오염된 영역을 감지하는 오염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 센서부는 네트워크/전원부(257a) 및 컨트롤러 센서(255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smart judge (SJ). The smart projector SJ may be disposed under the lower housing part 212 . The smart projector SJ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twork/power unit 257a and the controller sensor 255a. The smart projector SJ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sensor 255a and may irradiate light around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 Light irradiated by the smart projector SJ may generate a pre-stored image. The image can provide intended information to pedestrians passing around the smart street light, which is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 Furthermore, the image overlaps with a dirty or contaminated area around the smart street light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dirty or contaminated area. Therefore,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contamination sensor unit for detecting a dirty or contaminated area around the smart street lamp. The pollution sensor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twork/power unit 257a and the controller sensor 255a.

상기 오염 센서부는 스마트 젝터(SJ) 내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ntamination sensor unit may be embedded in the smart jector SJ.

상기 오염 센서부는 촬상 장치, 및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촬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 및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촬성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영역의 더러운 정도나 오염된 정도를 판별하는 오염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mination sensor unit may include an image pickup device,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e device, and a contamination determination unit for analyzing the captured imag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and determin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r contamina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can

상기 스마트 젝터(SJ)의 상기 오염 센서부의 상기 오염 판별부에 의해 더럽거나 오염되었다고 판별된 영역에 스마트 젝터(SJ)는 이미지를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젝터(SJ)가 더럽거나 오염되었다고 판별된 영역에 이미지를 조사하기 위해 스마트 젝터(SJ)는 360도 회전할 수 있다. The smart jector SJ may irradiate an image on an area determined to be dirty or contaminated by the contamination determination unit of the contamination sensor unit of the smart jector SJ. The smart projector SJ may rotate 360 degrees to project an image on an area determined to be dirty or contaminated.

도 7은 도 2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의 하우징부에 제1 모듈 내지 제4 모듈을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first to fourth modules to the housing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ccording to FIG. 2 .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의 제1 모듈(251) 내지 제4 모듈(257)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4 빈공간에 삽입/반출되는 방식으로 결합/분리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모듈(251)은 상기 제1 빈공간에 삽입/반출되는 방식으로 결합/분리될 수 있다. 제2 모듈(253)은 상기 제2 빈공간에 삽입/반출되는 방식으로 결합/분리될 수 있다. 제3 모듈(255)은 상기 제3 빈공간에 삽입/반출되는 방식으로 결합/분리될 수 있다. 제4 모듈(257)은 상기 제4 빈공간에 삽입/반출되는 방식으로 결합/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모듈(251, 253, 255, 257)을 쉽게 하우징의 제1 내지 제4 빈공간에 결합/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251, 253, 255, 257) 중 어느 하나의 불량이 발생했을 때,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 자체를 제1 및 제2 바디부(120, 13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쉽게 불량이 발생한 모듈(251, 253, 255, 257)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수리하고 다시 쉽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모듈(251) 및 제2 모듈(253) 이외 다른 기능을 같는 제5 모듈(예컨대, 자율주행차 제어 모듈 등) 등을 제1 모듈(251) 또는 제2 모듈(253) 대신에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에 포함시킬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모듈(251) 또는 제2 모듈(253)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쉽게 분리하고 상기 제5 모듈을 쉽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의 다양한 기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first module 251 to the fourth module 257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the first to fourth empty space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7 . It can be designed to be coupled/separated in a way that is inserted/extracted from. More specifically, the first module 251 may be combined/separated in a manner of being inserted/taken out of the first empty space. The second module 253 may be combined/separated in a manner of being inserted/taken out of the second empty space. The third module 255 may be combined/separated in a manner of being inserted/taken out of the third empty space. The fourth module 257 may be combined/separated in a manner of being inserted/taken out of the fourth empty space. Through this, each of the modules 251, 253, 255, and 257 can be easily coupled/separated from the first to fourth empty spaces of the housing. For example, when a failure occurs in any one of the modules 251, 253, 255, and 257, without separating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itself from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20 and 130, The easily defective modules 251, 253, 255, and 257 can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repaired, and easily coupled to the housing again. In addition, instead of the first module 251 or the second module 253, a fifth module (eg, self-driving vehicle control module, etc.) having the same function other than the first module 251 and the second module 253 may be used. When included in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odule 251 or the second module 253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housing and the fifth module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housing. Since there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various functionalization of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a smart street light can be promoted.

이하, 각 모듈의 기능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f each modu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제1 모듈과 조명부(140)의 관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module and the lighting unit 140 .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FIG. 8 in more detail.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환경 센서 모듈(251a)는 조명부(140)와 연동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 센서 모듈(251a)은 조도 센서(251aa), 온습도 센서(251ab), 미세먼지 센서(251ac), 디밍 센서(251ad), 사물 감지 센서(251ae), 및 제1 전원부(251af)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and 9 , the environment sensor module 251a may interwork with the lighting unit 140 . 9, 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251a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251aa,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51ab, a fine dust sensor 251ac, a dimming sensor 251ad, an object detection sensor 251ae, and a first A power supply unit 251af may be included.

조도 센서(251aa)는 제10 홀(H10)을 통해 외부의 조도를 센싱할 수 있다. The illuminance sensor 251aa may sense external illuminance through the tenth hole H10.

온습도 센서(251ab)는 외부의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51ab may sense ex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미세먼지 센서(251ac)는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미세먼지 센서(251ac)는 조명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ne dust sensor 251ac may sense the concentration of external fine dust. The fine dust sensor 251ac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ing unit 140 .

디밍 센서(251ad)는 조명부(14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사물 감지 센서(251ae)는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 주변의 지나가는 사람이나, 사물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51af)는 조도 센서(251aa), 온습도 센서(251ab), 미세먼지 센서(251ac), 디밍 센서(251ad), 및 사물 감지 센서(251ae)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51af)는 네트워크/전원부(257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원부(251af)는 네트워크/전원부(257a)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The dimming sensor 251ad may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unit 140 .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51ae may detect a person passing by or an object around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a smart street light. The first power supply unit 251af may supply power to the illuminance sensor 251aa,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51ab, the fine dust sensor 251ac, the dimming sensor 251ad,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51ae. The first power supply unit 251af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The first power supply unit 251af may receive power from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뿐만 아니라, 도시되지 않았지만, 네트워크/전원부(257a) 및 컨트롤러 센서(255a)는 조도 센서(251aa), 온습도 센서(251ab), 미세먼지 센서(251ac), 디밍 센서(251ad), 및 사물 감지 센서(251ae)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도 센서(251aa)는 센싱된 외부의 조도 정보를 네트워크/전원부(257a) 및 컨트롤러 센서(255a)에 제공한다. 온습도 센서(251ab)는 센싱된 외부의 온/습도 정보를 네트워크/전원부(257a) 및 컨트롤러 센서(255a)에 제공한다. 미세먼지 센서(251ac)는 센싱된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네트워크/전원부(257a) 및 컨트롤러 센서(255a)에 제공한다. 디밍 센서(251ad)는 조명부(140)의 밝기 조절 정보를 네트워크/전원부(257a) 및 컨트롤러 센서(255a)에 제공한다. 사물 감지 센서(251ae)는 사물 감지 정보를 네트워크/전원부(257a) 및 컨트롤러 센서(255a)에 제공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network/power unit 257a and the controller sensor 255a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251aa,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51ab, a fine dust sensor 251ac, a dimming sensor 251ad,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 251a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 illuminance sensor 251aa provides sensed external illuminance information to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and the controller sensor 255a. The temperature/humidity sensor 251ab provides the sensed external temperature/humidity information to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and the controller sensor 255a. The fine dust sensor 251ac provides the sensed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to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and the controller sensor 255a. The dimming sensor 251ad provides brightness control information of the lighting unit 140 to the network/power unit 257a and the controller sensor 255a.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51ae provides object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and the controller sensor 255a.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센싱된 외부의 조도 정보, 상기 센싱된 외부의 온/습도 정보, 상기 센싱된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 상기 밝기 조절 정보, 상기 사물 감지 정보를 컨트롤러 센서(255a)에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센싱된 외부의 조도 정보, 상기 센싱된 외부의 온/습도 정보, 상기 센싱된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 상기 밝기 조절 정보, 상기 사물 감지 정보를 네트워크/전원부(257a)에 제공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nsed external illuminance information, the sensed external temperature/humidity information, the sensed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the brightness control information, and the object detec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sensor 255a. and the sensed external illuminance information, the sensed external temperature/humidity information, the sensed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the brightness control information, and the object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can provide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은 상기 센싱된 외부의 조도 정보, 상기 센싱된 외부의 온/습도 정보, 상기 센싱된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 상기 밝기 조절 정보, 상기 사물 감지 정보를 컨트롤러 센서(255a)에 제공함으로써, 컨트롤러 센서(255a)는 환경 센서(251a)를 1차 불량 진단할 수 있다. 상기 1차 불량 진단은 자가 불량 진단일 수 있다. 상기 자가 불량 진단에 관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ensed external illuminance information, the sensed external temperature/humidity information, the sensed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the brightness control information, and the object detection information. By providing to the controller sensor 255a, the controller sensor 255a may diagnose the environmental sensor 251a as a primary failure. The first failure diagnosis may be a self-defect diagnosis. Details on the self-defect diagnosis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은 상기 센싱된 외부의 조도 정보, 상기 센싱된 외부의 온/습도 정보, 상기 센싱된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 상기 밝기 조절 정보, 상기 사물 감지 정보를 네트워크/전원부(257a)에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전원부(257a)는 환경 센서(251a)를 2차 불량 진단할 수 있다. 상기 2차 불량 진단은 네트워크/전원부(257a)와 통신하는 관제소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transmits the sensed external illuminance information, the sensed external temperature/humidity information, the sensed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the brightness control information, and the object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network/ By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power supply unit 257a,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can diagnose the environmental sensor 251a as a secondary failure. The secondary failure diagnosis may be performed at a control center communicating with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 내에 모듈(251, 253)의 각종 센서들의 불량을 감지하고 진단할 수 있는 컨트롤러 센서(255a)를 포함함으로써, 네트워크/전원부(257a)와 통신하는 관제소에서 2차 불량 진단 전에, 미리 1차 불량 진단을 완료할 수 있어, 기민한 불량 감지 및 불량 해결에 용이하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includes a controller sensor 255a capable of detecting and diagnosing defects of various sensors of the modules 251 and 253, thereby communicating with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Since the control center can complete the 1st defect diagnosis before the 2nd defect diagnosis, it is easy to detect and resolve defects promptly.

도 10은 디밍 센서, 사물 감지 센서의 작동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a dimming sensor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들은 각각 사물 감지 센서(251ae)에 의해 감지된 사물과 조도 센서(251aa)에 의해 센싱된 조도에 의해 디밍 센서(251ad)가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밍 센서(251ad)는 사물 감지 센서(251ae)에 의해 사물이 감지되면 조명부(140)의 조명을 온(On)하고, 사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일정 시간 후에 조명부(140)의 조명을 오프(Off)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디밍 센서(251ad)는 조명부(140)의 조명을 온(On)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조도 센서(251aa)에 의해 센싱된 조도를 반영하여 조명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이 감지되더라도 조도에 반비례하여 조명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a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a plurality of smart streetlights is shown. In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a plurality of smart streetlights, the dimming sensor 251ad may be operated by the objec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51ae and the illuminance sensed by the illuminance sensor 251aa. . For example, the dimming sensor 251ad turns on the light of the lighting unit 140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51ae, and turns off the light of the lighting unit 140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an object is not detected. can be turned off. In more detail, the dimming sensor 251ad may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by reflecting the illuminance sensed by the surrounding illuminance sensor 251aa while turning on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unit 140 . For example, even if an object is detected, the brightness of lighting may be adjust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illuminance.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은 인접한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과 통신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의 네트워크/전원부(257a)은 인접한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의 네트워크/전원부(257a)과 통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인접한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의 사물 감지 센서(251ae)의 불량이 발생하여 보행자가 하나의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으로부터 인접한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으로 보행할 때, 인접한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이 상기 보행자의 접근을 감지하지 못하더라도, 하나의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의 네트워크/전원부(257a)은 인접한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의 네트워크/전원부(257a)과 통신함으로써, 상기 보행자의 접근하고 있다는 정보를 전달하여 인접한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은 디밍 센서(251ad)를 통해 조명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 a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one smart street light may communicate with a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an adjacent smart street light. That is, the network / power supply unit 257a of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one smart street light can communicate with the network / power supply unit 257a of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adjacent smart street lights. As a result, the defect of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51ae of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the adjacent smart street light occurs, and the pedestrian includes the smart street light adjacent to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one smart street light. When walking with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even if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the adjacent smart street light does not detect the pedestrian's approach,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one smart street light The network/power unit 257a of ) transmits information that the pedestrian is approaching by communicating with the network/power unit 257a of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an adjacent smart street light, thereby providing a smart smart light including an adjacent smart street light. The control IOT system 10 may control the lighting unit 140 through the dimming sensor 251ad.

도 11은 제2 모듈과 제4 모듈 간 관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econd module and a fourth module.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모듈(253)의 촬상 복합 센서(253a)는 촬상 센서(253aa), 영상 분석부(253ab), 및 제2 전원부(253ac)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 센서(253aa), 및 영상 분석부(253ab)는 각각 제2 전원부(253ac)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촬상 센서(253aa)는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의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상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253ab)는 촬상 센서(253aa)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된 영상은 네트워크/전원 모듈(257a)에 공급되어, 상기 관제소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관제소에 제공된 분석된 영상은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촬상 센서(253aa) 및 영상 분석부(253ab)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1 , the imaging complex sensor 253a of the second module 253 may include an imaging sensor 253aa, an image analysis unit 253ab,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253ac. The image sensor 253aa and the image analyzer 253a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253ac to receive power. The imaging sensor 253aa may capture the surroundings of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the smart street light in real time to generate an image. The image analyzer 253ab may analyze an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sensor 253aa. The analyzed image may be supplied to the network/power module 257a and provided to the control center. The analyzed image provided to the control center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pecific functions of the image sensor 253aa and the image analyzer 253ab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2 내지 도 13은 제2 모듈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12 to 13 are diagrams showing operations of the second module in detail.

도 12 내지 도 13은 제2 모듈(253)의 촬상 복합 센서(253a)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 보여준다.12 to 13 show specific functions of the imaging complex sensor 253a of the second module 253.

촬상 센서(253aa)는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 주변의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253ab)는 생성된 상기 영상을 기초로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이 배치된 구역의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상기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이 배치된 구역을 지나가는 객체(또는 보행자, 또는 차량)의 개수, 상기 객체의 종류(보행자인지, 차량인지, 또는 어떤 차량인지), 및 상기 객체들을 나타낸 히트맵(Heat map) 생성일 수 있다. 영상 분석부(253ab)는 생성된 상기 영상을 기초로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이 배치된 구역의 상기 객체의 이동 궤적 맵 또는 체류 맵을 더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촬상 센서(253aa)는 제1 모듈(251)의 사물 감지 센서(251ae)와 연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사물 감지 센서(251ae)가 지나가는 객체의 감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므로, 촬상 센서(253aa)에 의해 생성된 영상과 사물 감지 센서(251ae)가 생성한 객체의 출현 정보를 통합하여 보다 정교하게 객체의 개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253ab)는 생성된 상기 영상을 기초로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이 배치된 구역의 유동인구 현황(시간대별, 또는 일자별)을 파악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253ab)는 생성된 상기 영상을 기초로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이 배치된 구역의 교통 현황(시간대별, 또는 일자별)을 파악할 수 있다.The imaging sensor 253aa may capture an image around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the smart street light. The image analyzer 253ab may process an event of an area where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a smart street light is disposed based on the generated image. The event is the number of objects (or pedestrians, or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area where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the smart street light is disposed, the type of the object (a pedestrian, a vehicle, or a vehicle), and generating a heat map representing the objects. The image analyzer 253ab may further generate a movement trajectory map or a stay map of the object in an area where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a smart street light is disposed based on the generated image. In some embodiments, the imaging sensor 253aa may be interlocked with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51ae of the first module 251 . In this case, since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51ae determines the detection of a passing object in real time, the image generated by the imaging sensor 253aa and the appearance information of the object generated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51ae are integrated to provide a more sophisticated image. Object number information can be created. The image analyzer 253ab may grasp the floating population status (by time period or by date) of the area where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the smart street light is disposed based on the generated image. The image analyzer 253ab may grasp the traffic status (by time slot or by date) of an area where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the smart street light is disposed based on the generated image.

도 14는 제3 모듈과 제4 모듈 간 관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third module and a fourth module.

도 14를 참조하면, 제3 모듈(255)의 컨트롤러 센서(255a)은 제어부(255aa), 자가 진단부(255ab), 및 제3 전원부(255ac)를 포함한다. 제어부(255aa)는 제1 모듈(251)의 센서들, 및 제2 모듈(253)의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다. 자가 진단부(255ab)는 환경 센서(251a), 촬상 복합 센서(253a), 및 네트워크/전원부(257a)의 1차 불량 진단할 수 있다. 자가 진단부(255ab)는 네트워크/전원부(257a)와 연결되어, 1차 불량 진단 결과 및 센서들의 작동 상태를 상기 관제소에 제공하여, 2차 불량 진단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 controller sensor 255a of the third module 255 includes a control unit 255aa, a self-diagnosis unit 255ab, and a third power supply unit 255ac. The controller 255aa may control sensors of the first module 251 and sensors of the second module 253 . The self-diagnosis unit 255ab may diagnose primary failures of the environmental sensor 251a, the imaging complex sensor 253a, and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The self-diagnosis unit 255ab is connected to the network/power unit 257a, and provides the first defect diagnosis result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ensors to the control center, thereby enabling the second defect diagnosis.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의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mart control IOT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은 제1 모듈(251_1) 내지 제4 모듈(257_1) 내(제1 모듈(251_1) 내지 제4 모듈(257_1)의 모듈 하우징 내)에 제2 자석부(MG2)가 설치되고, 측부 하우징부(213_1) 내에 제1 자석부(MG1)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ITO 모듈(200)과 상이하다.15,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in the first module 251_1 to the fourth module 257_1 (in the module housing of the first module 251_1 to the fourth module 257_1) It is different from the smart control ITO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at the second magnet part MG2 is installed and the first magnet part MG1 is installed in the side housing part 213_1.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자석부(MG1)와 제2 자석부(MG2)는 상호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석부(MG1)는 N극이고, 제2 자석부(MG2)는 S극이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magnet part MG1 and the second magnet part MG2 may be magnet part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For example, the first magnet part MG1 may have an N pole and the second magnet part MG2 may have an S pole or vice versa.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모듈(251, 253, 255, 257)을 하우징의 제1 내지 제4 빈공간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1 자석부(MG1)와 제2 자석부(MG2)가 상호 인력을 일으며 쉽게 결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각 모듈(251, 253, 255, 257)을 완벽하게 하우징의 제1 내지 제4 빈공간에 결합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coupling each of the modules 251, 253, 255, and 257 to the first to fourth empty spaces of the housing, the first magnet part MG1 and the second magnet part (MG2)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coupled with mutual attraction, and furthermore, each module (251, 253, 255, 257) can be perfectly coupled to the first to fourth empty spaces of the housing.

몇몇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은 각 모듈(251, 253, 255, 257)을 하우징의 제1 내지 제4 빈공간으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에서, 쉽게 제거하기 위해 제1 자석부(MG1) 또는 제2 자석부(MG2)의 극성을 제거하는 극성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각 모듈(251, 253, 255, 257)을 하우징의 제1 내지 제4 빈공간에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극성 제어부는 제1 자석부(MG1) 또는 제2 자석부(MG2)의 극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in the process of removing each module (251, 253, 255, 257) from the first to fourth empty spaces of the housing,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magnet part for easy removal. (MG1) or a polarity controller for removing the polarity of the second magnet part (MG2) may be further included. Again, when each module (251, 253, 255, 257) is coupled to the first to fourth empty spaces of the housing, the polarity controller controls the polarity of the first magnet part (MG1) or the second magnet part (MG2). can be activated.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모듈의 블록도이다.16 is a block diagram of a third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모듈의 컨트롤러 센서(255a_1)는 냉온/제습부(255ad)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센서(255a)와 상이하다.Referring to FIG. 16 , the controller sensor 255a_1 of the third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controller sensor 255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cooling/humidifying unit 255ad.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온/제습부(255ad)는 제3 모듈 내에 위치하고, 냉난방 장치 및 제습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습 제어 장치는 가습기, 팬 등을 포함하고, 상기 냉난방 장치는 히터, 또는 미니 에어컨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냉온/제습부(255ad)를 더 포함함으로써,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 내부의 내부 제습 및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eating/cooling/dehumidifying unit 255ad is located in the third module and may include a cooling/heating device and a dehumidification control device. The dehumidification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humidifier, a fan, and the like, and the cooling/heating device may include a heater or a mini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further including a cooling/heating/dehumidifying unit 255ad, internal dehumidification and dew condensation inside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including smart streetlights can be prevented.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의 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DP)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10)과 상이하다.17, in that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including the smart street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DP, the smart control IOT system 10 including the smart street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디스플레이부(DP)는 측부 하우징부(213)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P)는 제1 디스플레이 라인(DP_L1)을 통해 컨트롤러 센서(255a)와 연결되고, 제2 디스플레이 라인(DP_L2)을 통해 네트워크/전원부(257a)와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 센서(255a)는 디스플레이부(DP)에 제공되는 영상을 저장하고, 제공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 센서(255a)의 자가 진단부(255ab)는 디스플레이부(DP) 불량을 1차 불량 진단할 수 있다. 네트워크/전원부(257a)는 상기 관제소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DP)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DP)는 미리 저장된 영상을 컨트롤러 센서(255a)로부터 제공되거나, 상기 관제소로부터 실시간 제공되는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어, 영상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라인(DP_L1) 및 제2 디스플레이 라인(DP_L2)은 측부 하우징부(213)를 관통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DP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ide housing unit 213 . The display unit DP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sensor 255a through the first display line DP_L1 and connected to the network/power unit 257a through the second display line DP_L2. The controller sensor 255a may store and provide an image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DP, and the self-diagnosis unit 255ab of the controller sensor 255a may first diagnose a defect in the display unit DP. there is. The network/power unit 257a may provide the image provided from the control center to the display unit DP. That is, the display unit DP may receive a previously stored image from the controller sensor 255a or a real-time image provided from the control center, thereby diversifying the image. The first display line DP_L1 and the second display line DP_L2 may pass through the side housing part 213 .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의 단면도이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mart control IOT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IOT 모듈은 디스플레이부(DP_1)가 제1 내부 하우징부(214)와 제2 내부 하우징부(215)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빈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라인(DP_L1_1) 및 제2 디스플레이 라인(DP_L2_1)은 각각 제2 홀(H2)(또는 제6 홀(H6), 또는 제7 홀(H7))을 통해 각각 컨트롤러 센서(255a) 및 네트워크/전원부(257a)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2와 달리, 제1 디스플레이 라인(DP_L1_1) 및 제2 디스플레이 라인(DP_L2_1)이 측부 하우징부(213)를 관통하지 않고 이미 설계된 홀을 통해 컨트롤러 센서(255a) 및 네트워크/전원부(257a)와 연결되므로,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18, in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display unit DP_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and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and within the second empty space. can be placed. The first display line DP_L1_1 and the second display line DP_L2_1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sensor 255a and the network through the second hole H2 (or the sixth hole H6 or the seventh hole H7), respectively. /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257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FIG. 22 , the first display line DP_L1_1 and the second display line DP_L2_1 do not penetrate the side housing 213 but pass through the already designed hole to connect the controller sensor 255a and the network/ Since i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257a,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esign can be simplified.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모듈의 자가 진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9 is a diagram showing self-diagnosis of a thir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모듈(255)의 자가 진단부(255ab)는 디밍 센서(251ad), 조도 센서(251aa), 온습도 센서(251ab), 냉온/제습부(도 21의 255ad), 촬상 센서(253aa), 및 디스플레이부(도 22의 DP) 등을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the self-diagnosis unit 255ab of the third module 25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mming sensor 251ad, an illuminance sensor 251aa,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51ab, and a cooling/dehumidifying unit (FIG. 21 255ad), the imaging sensor 253aa, and the display unit (DP in FIG. 22), etc. can be controlled.

자가 진단부(255ab)는 디밍 센서(251ad) 및 조도 센서(251aa) 내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디밍 센서(251ad) 및 조도 센서(251aa) 불량이 발생함을 감지할 수 있다. The self-diagnosis unit 255ab may detect that the dimming sensor 251ad and the illuminance sensor 251aa are defective when current does not flow in the dimming sensor 251ad and the illuminance sensor 251aa.

자가 진단부(255ab)는 온습도 센서(251ab)에 의해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기상청값(네트워크/전원부(257a)로부터 제공)과 비교하여 기준치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면 온습도 센서(251ab)의 불량이 발생함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lf-diagnosis unit 255ab compar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d b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51ab with the meteorological office value (provided from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and if an err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occur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51ab is defective. can detect it.

자가 진단부(255ab)는 촬상 센서(253aa)에 전류가 흐르는데 영상이 변하지 않으면 촬상 센서(253aa)에 불량이 발생함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lf-diagnosis unit 255ab may detect that a defect occurs in the image sensor 253aa when an image does not change even though current flows through the image sensor 253aa.

자가 진단부(255ab)는 광고 시간에 디스플레이부(DP)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DP)에 불량이 발생함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lf-diagnosis unit 255ab may detect that a defect occurs in the display unit 255ab when current does not flow through the display unit DP during the advertisement tim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will have to be clarifie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
110: 지지부
120: 제1 바디부
130: 제2 바디부
200: 스마트 관제 IOT 모듈
140: 조명부
10: Smart control IOT system including smart street lights
110: support
120: first body part
130: second body part
200: smart control IOT module
140: lighting unit

Claims (6)

지지부(110);
상기 지지부(110)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부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1 바디부(120);
상기 제1 바디부(120)의 상단부와 연결된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
상기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이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 방향(DR2)으로 연장되다가 가로 방향(DR1)으로 절곡된 제2 바디부(130); 및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절곡된 상기 제2 바디부(130)의 단부와 연결된 조명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은,
상기 제2 바디부(130)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연장된 상부 하우징부(211),
상기 제1 바디부(120)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연장된 하부 하우징부(212),
상기 상부 하우징부(211)와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를 연결하고 상기 상부 방향(DR2)으로 연장된 측부 하우징부(213),
상기 측부 하우징부(213)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부(211)와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1 홀(H1)을 포함하는 제1 내부 하우징부(214),
상기 측부 하우징부(213)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 내부 하우징부(214)와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2 홀(H2)을 포함하는 제2 내부 하우징부(215), 및
상기 측부 하우징부(213)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 내부 하우징부(215)와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로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3 홀(H3)을 포함하는 제3 내부 하우징부(216)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상부 하우징부(211)와 상기 제1 내부 하우징부(214) 사이에 배치된 제1 모듈,
상기 제1 내부 하우징부(214)와 상기 제2 내부 하우징부(215) 사이에 배치된 제2 모듈,
상기 제2 내부 하우징부(215)와 상기 제3 내부 하우징부(216) 사이에 배치된 제3 모듈, 및
상기 제3 내부 하우징부(216)와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 사이에 배치된 제4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은 환경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은 제1 모듈 하우징, 및 상기 제1 모듈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환경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촬상 복합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제2 모듈 하우징, 및 상기 제2 모듈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촬상 복합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모듈은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모듈은 제3 모듈 하우징, 및 상기 제3 모듈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컨트롤러 센서(255a)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모듈은 네트워크/전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모듈은 제4 모듈 하우징, 및 상기 제4 모듈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네트워크/전원부(257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 하우징은 제10홀(H10)을 포함하고, 상기 환경 센서는 상기 제10홀을 통해 외부의 조도,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 사물 감지를 하고,
상기 제2 모듈 하우징은 제11홀(H11)을 포함하고, 상기 촬상 복합 센서는 상기 제11홀을 통해 외부를 촬상하고,
상기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은, 스마트 젝터(SJ)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젝터(SJ)는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스마트 젝터(SJ)는 상기 네트워크/전원부(257a) 및 상기 컨트롤러 센서(255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 젝터(SJ)는 상기 컨트롤러 센서(255a)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 주변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스마트 젝터(SJ)에 의해 조사된 광은 미리 저장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스마트 가로등의 주변을 지나가는 보행자에게 의도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이미지는 상기 스마트 가로등의 주변의 더럽거나, 오염된 영역에 오버랩(Overlap)되어 더럽거나, 오염된 영역의 미관을 개선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은 상기 스마트 가로등의 주변의 더럽거나, 오염된 영역을 감지하는 오염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염 센서부는 상기 네트워크/전원부(257a) 및 상기 컨트롤러 센서(255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오염 센서부는 상기 스마트 젝터(SJ) 내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오염 센서부는 촬상 장치, 및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촬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 및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촬성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영역의 더러운 정도나 오염된 정도를 판별하는 오염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젝터(SJ)의 상기 오염 센서부의 상기 오염 판별부에 의해 더럽거나 오염되었다고 판별된 영역에 상기 스마트 젝터(SJ)는 상기 이미지를 조사하고, 상기 스마트 젝터(SJ)가 더럽거나 오염되었다고 판별된 영역에 상기 이미지를 조사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젝터(SJ)는 360도 회전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부(211), 상기 측부 하우징부(213), 및 상기 제1 내부 하우징부(21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제1 빈공간이고, 상기 제1 빈공간은 상기 상부 하우징부(211)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및 상기 제1 내부 하우징부(214)의 상기 가로 방향(DR1) 일측 단부 주변에서 외부 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내부 하우징부(214), 상기 측부 하우징부(213), 및 상기 제2 내부 하우징부(215)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제2 빈공간이고, 상기 제2 빈공간은 상기 제1 내부 하우징부(214)의 상기 가로 방향(DR1) 일측 단부 및 상기 제2 내부 하우징부(215)의 상기 가로 방향(DR1) 일측 단부 주변에서 상기 외부 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내부 하우징부(215), 상기 측부 하우징부(213), 및 상기 제3 내부 하우징부(216)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제3 빈공간이고, 상기 제3 빈공간은 상기 제2 내부 하우징부(215)의 상기 가로 방향(DR1) 일측 단부 및 상기 제3 내부 하우징부(216)의 상기 가로 방향(DR1) 일측 단부 주변에서 상기 외부 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제3 내부 하우징부(216), 상기 측부 하우징부(213), 및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제4 빈공간이고, 상기 제4 빈공간은 상기 제3 내부 하우징부(216)의 상기 가로 방향(DR1) 일측 단부 및 상기 하부 하우징부(212)의 상기 가로 방향(DR1) 일측 단부 주변에서 상기 외부 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모듈(251)은 상기 제1 빈공간에 삽입/반출되는 방식으로 결합/분리되고, 상기 제2 모듈(253)은 상기 제2 빈공간에 삽입/반출되는 방식으로 결합/분리되고, 상기 제3 모듈(255)은 상기 제3 빈공간에 삽입/반출되는 방식으로 결합/분리되고, 상기 제4 모듈(257)은 상기 제4 빈공간에 삽입/반출되는 방식으로 결합/분리되고,
상기 환경 센서(251a)는 상기 조명부(140)와 연동되고, 상기 환경 센서(251a)은 조도 센서(251aa), 온습도 센서(251ab), 미세먼지 센서(251ac), 디밍 센서(251ad), 사물 감지 센서(251ae), 및 제1 전원부(251af)를 포함하고,
상기 조도 센서(251aa)는 상기 제10 홀(H10)을 통해 외부의 조도를 센싱하고,
상기 온습도 센서(251ab)는 외부의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고,
상기 미세먼지 센서(251ac)는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센싱하고, 상기 조명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밍 센서(251ad)는 상기 조명부(140)의 밝기를 조절하고,
상기 사물 감지 센서(251ae)는 상기 스마트 가로등의 주변의 지나가는 사람이나, 사물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전원부(251af)는 상기 조도 센서(251aa), 상기 온습도 센서(251ab), 상기 미세먼지 센서(251ac), 상기 디밍 센서(251ad), 및 상기 사물 감지 센서(251ae)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전원부(251af)는 상기 네트워크/전원부(257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네트워크/전원부(257a)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네트워크/전원부(257a) 및 상기 컨트롤러 센서(255a)는 각각 상기 조도 센서(251aa), 상기 온습도 센서(251ab), 상기 미세먼지 센서(251ac), 상기 디밍 센서(251ad), 및 상기 사물 감지 센서(251ae)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도 센서(251aa)는 센싱된 외부의 조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전원부(257a) 및 상기 컨트롤러 센서(255a)에 제공하고,
상기 온습도 센서(251ab)는 센싱된 외부의 온/습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전원부(257a) 및 상기 컨트롤러 센서(255a)에 제공하고,
상기 미세먼지 센서(251ac)는 센싱된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전원부(257a) 및 상기 컨트롤러 센서(255a)에 제공하고,
상기 디밍 센서(251ad)는 상기 조명부(140)의 밝기 조절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전원부(257a) 및 상기 컨트롤러 센서(255a)에 제공하고,
상기 사물 감지 센서(251ae)는 사물 감지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전원부(257a) 및 상기 컨트롤러 센서(255a)에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은 상기 센싱된 외부의 조도 정보, 상기 센싱된 외부의 온/습도 정보, 상기 센싱된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 상기 밝기 조절 정보, 상기 사물 감지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 센서(255a)에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러 센서(255a)는 상기 환경 센서(251a)를 1차 불량 진단하고,
상기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은 상기 센싱된 외부의 조도 정보, 상기 센싱된 외부의 온/습도 정보, 상기 센싱된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 상기 밝기 조절 정보, 상기 사물 감지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전원부(257a)에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전원부(257a)는 상기 환경 센서(251a)를 2차 불량 진단하고, 상기 2차 불량 진단은 상기 네트워크/전원부(257a)와 통신하는 관제소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컨트롤러 센서(255a)은 제어부(255aa), 자가 진단부(255ab), 및 제3 전원부(255ac)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55aa)는 상기 제1 모듈(251), 및 상기 제2 모듈(253)을 제어하고,
상기 자가 진단부(255ab)는 상기 환경 센서(251a), 상기 촬상 복합 센서(253a), 및 상기 네트워크/전원부(257a)의 상기 1차 불량 진단하고,
상기 자가 진단부(255ab)는 상기 네트워크/전원부(257a)와 연결되어, 상기 1차 불량 진단한 결과를 상기 관제소에 제공하여, 상기 2차 불량 진단이 가능토록 하고,
상기 스마트 관제 IOT 모듈은 상기 제1 모듈(251_1) 내지 상기 제4 모듈(257_1) 내에 제2 자석부(MG2)가 설치되고, 상기 측부 하우징부(213_1) 내에 제1 자석부(MG1)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자석부(MG1)는 S극이고, 상기 제2 자석부(MG2)는 N극이고,
상기 컨트롤러 센서(255a_1)는 냉온/제습부(255ad)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온/제습부(255ad)는 상기 제3 모듈(253) 내에 위치하고, 냉난방 장치 및 제습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 제어 장치는 가습기, 또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냉난방 장치는 히터, 또는 미니 에어컨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관제 IOT 모듈(200)은 디스플레이부(DP)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DP)는 상기 측부 하우징부(213)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DP)는 제1 디스플레이 라인(DP_L1)을 통해 상기 컨트롤러 센서(255a)와 연결되고, 제2 디스플레이 라인(DP_L2)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전원부(257a)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 센서(255a)는 상기 디스플레이부(DP)에 제공되는 영상을 저장하고,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러 센서(255a)의 상기 자가 진단부(255ab)는 상기 디스플레이부(DP)의 불량을 1차 불량 진단하고,
상기 네트워크/전원부(257a)는 상기 관제소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DP)에 제공하는 스마트 가로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



support 110;
a first body part 120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110 and extending in an upper direction DR2;
A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part 120;
a second body 13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nd extended in the upper direction DR2 and then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d
It includes a lighting unit 140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body 130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n upper housing part 211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part 130 a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 lower housing part 212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art 120 a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 side housing part 213 connecting the upper housing part 211 and the lower housing part 212 and extending in the upper direction DR2;
A first part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ide housing part 213,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housing part 211 and the lower housing part 212,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d includes a first hole H1. inner housing portion 214;
Directly connected to the side housing part 213,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and the lower housing part 21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d including a second hole H2 a second inner housing portion 215,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side housing part 213, disposed between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and the lower housing part 21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d including a third hole H3 a housing portion comprising a third inner housing portion 216;
A first module disposed between the upper housing part 211 and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A second module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and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A third modul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and the third inner housing part 216, and
A fourth module disposed between the third inner housing part 216 and the lower housing part 212,
The first module includes an environmental sensor module, the first module includes a first module housing, and an environmental sensor located inside the first module housing,
The second module includes an imaging composite sensor module, the second module includes a second module housing, and an imaging composite sensor located inside the second module housing;
The third module includes a controller module, the third module includes a third module housing, and a controller sensor 255a located inside the third module housing,
The fourth module includes a network/power module, the fourth module includes a fourth module housing, and a network/power unit 257a located inside the fourth module housing,
The first module housing includes a tenth hole H10, and the environment sensor senses external illumination, temperature, humidity,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objects through the tenth hole,
The second module housing includes an 11th hole H11, and the imaging complex sensor captures an image of the outside through the 11th hole,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further includes a smart controller (SJ),
The smart projector (SJ) is disposed below the lower housing part 212,
The smart projector SJ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twork/power unit 257a and the controller sensor 255a,
The smart projector SJ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sensor 255a and radiates light around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and the light emitted by the smart projector SJ creates a pre-stored image, , Provides intended information to pedestrians passing around the smart street light, and the image overlaps with the dirty or contaminated area around the smart street light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dirty or contaminated area. And,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further includes a contamination sensor unit for detecting a dirty or contaminated area around the smart street light,
The contamination sensor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twork/power unit 257a and the controller sensor 255a,
The contamination sensor unit is built into the smart jector SJ,
The contamination sensor unit includes an imaging device, a storage device that stores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and a contamin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analyzes the captured imag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r contamina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
The smart jector SJ examines the image in an area determined to be dirty or contaminated by the contamination determination unit of the contamination sensor unit of the smart jector SJ, and determines that the smart jector SJ is dirty or contaminated The smart projector (SJ) rotates 360 degrees to irradiate the image on the designated area,
The space surrounded by the upper housing part 211, the side housing part 213, and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is a first empty space, and the first empty space is the upper housing part 211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space around one end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one 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of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The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inner housing part 214, the side housing part 213, and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is a second empty space, and the second empty space is the first inner housing. Connected to the external space around one end of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of the portion 214 and one end of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of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The space surrounded by the second inner housing part 215, the side housing part 213, and the third inner housing part 216 is a third empty space, and the third empty space is the second inner housing. Connected to the external space around one end of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of the portion 215 and one end of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of the third inner housing part 216,
The space surrounded by the third inner housing part 216, the side housing part 213, and the lower housing part 212 is a fourth empty space, and the fourth empty space is the third inner housing part ( 216) connected to the external space around one end of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and one end of the lower housing portion 21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The first module 251 is coupled/separated in a manner of being inserted into/out of the first empty space, and the second module 253 is coupled/separated in a manner of being inserted into/out of the second empty space, The third module 255 is coupled/separated by being inserted/extracted from the third empty space, and the fourth module 257 is coupled/separated by being inserted/extracted from the fourth empty space,
The environment sensor 251a is interlocked with the lighting unit 140, and the environment sensor 251a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251aa,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51ab, a fine dust sensor 251ac, a dimming sensor 251ad, and object detection. A sensor 251ae, and a first power supply unit 251af,
The illuminance sensor 251aa senses external illuminance through the tenth hole H10,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51ab senses ex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fine dust sensor 251ac sens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outsid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ing unit 140,
The dimming sensor 251ad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unit 140,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51ae detects a person or object passing by the smart street light,
The first power supply unit 251af supplies power to the illuminance sensor 251aa,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51ab, the fine dust sensor 251ac, the dimming sensor 251ad,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51ae, ,
The first power supply unit 251af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and receives power from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The network/power unit 257a and the controller sensor 255a include the illuminance sensor 251aa,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51ab, the fine dust sensor 251ac, the dimming sensor 251ad,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respectively. (251ae) electrically connected,
The illuminance sensor 251aa provides sensed external illuminance information to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and the controller sensor 255a,
The temperature/humidity sensor 251ab provides sensed external temperature/humidity information to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and the controller sensor 255a,
The fine dust sensor 251ac provides sensed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to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and the controller sensor 255a,
The dimming sensor 251ad provides brightness control information of the lighting unit 140 to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and the controller sensor 255a,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51ae provides object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and the controller sensor 255a,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transmits the sensed external illuminance information, the sensed external temperature/humidity information, the sensed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the brightness control information, and the object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sensor (255a), the controller sensor (255a) diagnoses the environmental sensor (251a) as a primary defect,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transmits the sensed external illuminance information, the sensed external temperature/humidity information, the sensed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the brightness control information, and the object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network/ Provided to the power supply unit 257a,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diagnoses the environmental sensor 251a as a secondary failure, and the secondary failure diagnosis is performed at a control center communicating with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The controller sensor 255a includes a control unit 255aa, a self-diagnosis unit 255ab, and a third power supply unit 255ac,
The controller 255aa controls the first module 251 and the second module 253,
The self-diagnosis unit 255ab diagnoses the primary failure of the environment sensor 251a, the imaging composite sensor 253a, and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The self-diagnosis unit 255ab is connected to the network/power supply unit 257a and provides a result of the primary failure diagnosis to the control center so as to enable the secondary failure diagnosis,
In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the second magnet part MG2 is installed in the first module 251_1 to the fourth module 257_1, and the first magnet part MG1 is installed in the side housing part 213_1. The first magnet part (MG1) is the S pole, the second magnet part (MG2) is the N pole,
The controller sensor 255a_1 further includes a cooling/humidifying unit 255ad,
The cooling/heating/dehumidifying unit 255ad is located in the third module 253 and includes a cooling/heating device and a dehumidification control device,
The dehumidification control device includes a humidifier or a fan, and the cooling and heating device includes a heater or a mini air conditioner,
The smart control IOT module 200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DP),
The display unit DP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side housing unit 213,
The display unit DP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sensor 255a through a first display line DP_L1 and connected to the network/power unit 257a through a second display line DP_L2,
The controller sensor 255a stores and provides an image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DP, and the self-diagnosis unit 255ab of the controller sensor 255a detects a defect in the display unit DP as a first step. diagnosing defects,
The network/power unit 257a is a smart control IOT system including a smart street light that provides an image provided from the control center to the display unit DP.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15969A 2021-08-31 2021-08-31 Smart control IOT system KR1025659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969A KR102565903B1 (en) 2021-08-31 2021-08-31 Smart control IO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969A KR102565903B1 (en) 2021-08-31 2021-08-31 Smart control IO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775A KR20230032775A (en) 2023-03-07
KR102565903B1 true KR102565903B1 (en) 2023-08-21

Family

ID=8551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969A KR102565903B1 (en) 2021-08-31 2021-08-31 Smart control IO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90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846B1 (en) * 2014-03-28 2014-12-12 주식회사 로보티어 The FX controlling box and FX protecting system and its controlling way of FX system
KR102236014B1 (en) * 2020-07-09 2021-04-05 (주)오리오르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sensor data using mesh network for smart farms in open fiel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6186A (en) * 2009-06-18 2010-12-28 (주)와이즈랩 Street ligh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102194146B1 (en) * 2018-03-19 2020-12-22 한국과학기술원 Plug and play general internet of things node based smar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type of sensor in the same
KR102232357B1 (en) * 2018-11-01 2021-03-25 현진우 System for providing blockchain convergence businiss based on smart led streetlight businiss and method thereof
KR102317654B1 (en) * 2019-12-30 2021-10-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modulized block structur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846B1 (en) * 2014-03-28 2014-12-12 주식회사 로보티어 The FX controlling box and FX protecting system and its controlling way of FX system
KR102236014B1 (en) * 2020-07-09 2021-04-05 (주)오리오르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sensor data using mesh network for smart farms in open fie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775A (en)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6673B2 (en) Smart city closed camera photocell and street lamp device
US10208977B2 (en) Intelligent LED bulb and v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5191505B (e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ntrol for outdoor lighting network
US9497393B2 (en) Systems and methods that employ object recognition
US20210071855A1 (en) Multifunction lighting control unit
CN105023464A (en) Intelligent energy-saving electricity system of light navigation in large-scale underground garage of residence community, and method thereof
KR102493147B1 (en) Fine dust measuring device and fine dust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653739B1 (en) Intelligent street-light system
CN206145534U (en) Multi -functional intelligent street lamp in wisdom city
CN105682315A (en) Intelligent illumination system for classroom
CN207603967U (en) A kind of intelligent road lamp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206283695U (en) A kind of intelligent street lamp control system
KR102565903B1 (en) Smart control IOT system
CN110708830B (en) Intelligent lamp inspection system
CN206004946U (en) A kind of intelligent road-lamp Lighting Control Assembly
CN207584651U (en) Lamp group of driving a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Babu et al. Intelligent high tech street lightning pole for smart city
CN104696920A (en) Body induction and manual intelligent control switch
CN210511359U (en) Wisdom street lamp
CN109257856A (en) A kind of Intelligent road lamp long-distance management system
CN206890349U (en) A kind of energy-saving LED wisdom street lamp
Rajesh et al. IoT Based smart street light system
CN206775793U (en) A kind of building intellectualization corridor illuminating apparatus based on RFID
CN220342496U (en) Internet of things energy-saving lamp tube with sensing function
CN215258540U (en) Solar energy pipeline early warning detec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