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813B1 - Region segm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decomposition of robot - Google Patents

Region segm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decomposition of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813B1
KR102564813B1 KR1020210073684A KR20210073684A KR102564813B1 KR 102564813 B1 KR102564813 B1 KR 102564813B1 KR 1020210073684 A KR1020210073684 A KR 1020210073684A KR 20210073684 A KR20210073684 A KR 20210073684A KR 102564813 B1 KR102564813 B1 KR 102564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point
critical
obtaining
lab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6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4063A (en
Inventor
박성주
박지관
김진백
서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로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로봇
Priority to US17/682,34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282991A1/en
Priority to EP23198587.0A priority patent/EP4286793A3/en
Priority to EP22159410.4A priority patent/EP4063986A3/en
Publication of KR2022012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0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8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3Home robots, i.e. small robots for domestic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Manipulator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장치 및 방법은, 공간의 도면적인 특징과 공간 내에 배치된 장애물을 함께 고려하여 격자 맵(grid map)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viding a region for map decomposition of a rob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vide a grid map into a plurality of region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both the 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the obstacles placed in the space. there is.

Description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장치 및 방법{Region segm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decomposition of robot}Region segm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decomposition of robot {Region segm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decomposition of robot}

본 발명은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격자 맵(grid map)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viding a region for map decomposition of a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viding a grid map into a plurality of regions.

사람은 집을 청소할 때, 여러 방을 돌아다니며 청소하지 않고 집의 구조(방 또는 가구)에 따라 공간을 분리하며, 각각의 공간을 순차적으로 청소한다. 또한, 충분히 넓은 공간(넓은 거실 및 광장 등)을 청소할 때도 일정한 영역 또는 가구의 배치에 따라 무의식적으로 공간을 분리하여 청소한다.When a person cleans a house, he or she separates spaces according to the structure (room or furniture) of the house, and cleans each space sequentially, rather than going around and cleaning several rooms. In addition, even when cleaning a sufficiently wide space (such as a large living room and square), the space is unconsciously separated and cleaned according to a certain area or furniture arrangement.

로봇이 사람과 유사하게 생각하고 동작할 때, 로봇이 보통 스마트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청소 로봇은 사람과 유사하게 공간을 분리하고 청소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When a robot thinks and behaves similarly to a human, it is usually judged to be smart. Accordingly, the cleaning robot performs an operation of separating and cleaning a space similarly to a huma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공간의 도면적인 특징과 공간 내에 배치된 장애물을 함께 고려하여 격자 맵(grid map)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ea divi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decomposition of a robot that divides a grid map into a plurality of areas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the obstacles placed in the spac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Other non-specifi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in the scop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thereof.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장치는, 격자 맵(grid map)을 구축하는 맵 구축부; 및 상기 맵 구축부를 통해 구축한 상기 격자 맵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영역 구분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dividing a region for map decomposition of a rob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ap construction unit for constructing a grid map; and a region dividing unit dividing the grid map constructed through the map building unit into a plurality of regions.

여기서, 상기 영역 구분부는, 상기 격자 맵을 기반으로 임계점(critical point)을 획득하는 임계점 획득 모듈; 상기 임계점 획득 모듈을 통해 획득한 상기 임계점을 기반으로 임계선(critical line)을 획득하는 임계선 획득 모듈; 및 상기 임계선 획득 모듈을 통해 획득한 상기 임계선을 기반으로 상기 격자 맵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영역 획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rea division unit may include a critical point acquisition module for acquiring a critical point based on the grid map; a critical line acquiring module for obtaining a critical line based on the critical point obtained through the critical point acquiring module; and an area acquiring module configured to divide the grid map into a plurality of areas based on the critical line acquired through the critical line acquiring module.

여기서, 상기 임계점 획득 모듈은, 상기 격자 맵에 위치하는 각 픽셀의 장애물까지의 최소 거리를 기반으로 장애물 거리 맵을 획득하고, 상기 장애물 거리 맵을 기반으로 토폴로지(topology)를 획득하며, 상기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상기 임계점을 획득할 수 있다.Here, the threshold point acquisition module obtains an obstacle distance map based on a minimum distance to an obstacle of each pixel located on the grid map, obtains a topology based on the obstacle distance map, and obtains the topology Based on this, the critical point can be obtained.

여기서, 상기 임계점 획득 모듈은, 상기 장애물 거리 맵을 기반으로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이 동일한 지점들을 획득하고, 획득한 지점들을 기반으로 상기 토폴로지를 획득하며, 상기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교차점과 끝점을 획득하고, 획득한 교차점과 끝점을 기반으로 상기 임계점을 획득할 수 있다.Here, the threshold point acquiring module acquires points having the same distance from obstacle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the obstacle distance map, obtains the topology based on the obtained points, and obtains the intersection point and endpoint based on the topology. , and the critical point may be obtained based on the obtained intersection point and end point.

여기서, 상기 임계선 획득 모듈은, 상기 격자 맵에 대응되는 장애물 거리 맵을 기반으로 획득한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점을 기반으로 공간을 구분하는 상기 임계선을 획득할 수 있다.Here, the critical line obtaining module may acquire the critical line dividing the space based on the critical point by using a topology obtained based on an obstacle distance map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여기서, 상기 임계선 획득 모듈은, 하나의 상기 임계점을 기준으로 상기 토폴로지를 따라 다른 상기 임계점으로 이동하면서,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선을 획득할 수 있다.Here, the critical line acquisition module may acquire the critical line by using a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obstacle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while moving from one critical point to another critical point along the topology.

여기서, 상기 임계선 획득 모듈은,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의 변화 정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보다 큰 지점을 기반으로 상기 임계선을 획득하고,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의 변화 정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 이내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작점과 끝점을 기반으로 상기 임계선을 획득할 수 있다.Here, the critical line acquisition module acquires the critical line based on a point where the degree of change in the differenc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obstacles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obstacles is The critical line may be obtained based on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at which the degree of change of the difference is constantly maintained withi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여기서, 상기 영역 획득 모듈은, 상기 임계선을 기반으로 상기 격자 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레이블(label)을 획득하고, 레이블 간 연결성을 기반으로 레이블 결합을 수행하여 상기 격자 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Here, the area acquisition module acquires a plurality of labels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based on the threshold line, and performs label combining based on connectivity between labels to obtain a plurality of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can be obtained.

여기서, 상기 영역 획득 모듈은, 복수개의 레이블 각각에 대해, 레이블의 외곽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인접한 위치에 있는 레이블을 획득하여, 레이블 간 연결성을 획득하고, 미리 설정된 결합 조건을 기반으로 레이블 간 연결성을 이용하여 레이블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Here, for each of a plurality of labels, the area acquisition module obtains a label located adjacent to the label while moving along the outer line of the label, obtains connectivity between labels, and uses the connectivity between labels based on a preset combination condition. to perform label combination.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결합 조건은, 미리 설정된 최소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대상 레이블을 대상 레이블에 인접하는 인접 레이블 중에서 인접하는 부분의 크기가 제일 큰 인접 레이블로 병합하는 제1 결합 조건, 대상 레이블의 모든 외곽선에 1개의 인접 레이블이 인접한 경우, 대상 레이블을 인접 레이블로 병합하는 제2 결합 조건, 및 대상 레이블과 대상 레이블에 인접하는 인접 레이블의 인접하는 부분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큰 경우, 대상 레이블을 인접 레이블로 병합하는 제3 결합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reset combining condition is a first combining condition for merging a target label having a size smaller than a preset minimum size into an adjacent label having the largest size among adjacent labels adjacent to the target label; When one adjacent label is adjacent to all outlines, a second combining condition for merging target labels into adjacent labels, and a size of an adjacent part of a target label and an adjacent label adjacent to the target label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size; A third combining condition for merging target labels into adjacent labels may be includ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방법은, 격자 맵(grid map)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격자 맵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rea division method for map decomposition of a rob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nstructing a grid map; and dividing the grid map into a plurality of regions.

여기서, 상기 영역 구분 단계는, 상기 격자 맵을 기반으로 임계점(critical point)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임계점을 기반으로 임계선(critical line)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임계선을 기반으로 상기 격자 맵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viding of the region may include obtaining a critical point based on the grid map; obtaining a critical line based on the critical point; and dividing the grid map into a plurality of regions based on the critical line.

여기서, 상기 임계점 획득 단계는, 상기 격자 맵에 위치하는 각 픽셀의 장애물까지의 최소 거리를 기반으로 장애물 거리 맵을 획득하고, 상기 장애물 거리 맵을 기반으로 토폴로지(topology)를 획득하며, 상기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상기 임계점을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threshold point acquisition step may include obtaining an obstacle distance map based on a minimum distance to an obstacle of each pixel located on the grid map, obtaining a topology based on the obstacle distance map, and obtaining the topology. Based on this, the critical point may be obtained.

여기서, 상기 임계선 획득 단계는, 상기 격자 맵에 대응되는 장애물 거리 맵을 기반으로 획득한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점을 기반으로 공간을 구분하는 상기 임계선을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tep of acquiring the critical line may include acquiring the critical line dividing the space based on the critical point using a topology obtained based on an obstacle distance map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상기한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킨다.A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executes any one of the area division methods for map decomposition of the robot on a compu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공간의 도면적인 특징과 공간 내에 배치된 장애물을 함께 고려하여 격자 맵(grid map)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viding regions for map decomposition of a rob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id map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both the 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 space and obstacles disposed in the space. ca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격자 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거리 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에 도시한 격자 맵에 대응되는 장애물 거리 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폴로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에 도시한 장애물 거리 맵에 대응되는 토폴로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계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에 도시한 토폴로지에 대응되는 임계점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계선 획득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계선 획득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계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에 도시한 임계점에 대응되는 임계선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8에 도시한 임계선에 대응되는 레이블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블 간 연결성의 획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격자 맵의 영역 구분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9에 도시한 레이블에 대응되는 영역 구분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격자 맵의 영역 구분 결과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영역 구분 단계의 세부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dividing a region for map decomposition of a rob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grid m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bstacle distance m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obstacle distance map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shown in FIG. 2 .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opolog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topology corresponding to the obstacle distance map shown in FIG. 3 .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ritical poi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critical point corresponding to the topology shown in FIG. 4 .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threshold line acquisition proc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threshold line acquisition proc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itical l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critical line corresponding to the critical point shown in FIG. 5 .
FIG.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lab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critical line shown in FIG. 8 .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obtaining connectivity between labe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egion division result of a lattice m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region division results corresponding to the labels shown in FIG. 9 .
12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region division result of a grid m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ividing regions for map decomposition of a rob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detailed steps of the area division step shown in FIG. 13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본 명세서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identification codes (eg, a, b, c, etc.) for each step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dentification code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is clearly Unless a specific order is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expressions such as "has", "may have", "includes" or "may include" indicate the existence of a corresponding feature (eg,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such as a part). indicated,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f additional features.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구조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 '~uni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eans software or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SIC, and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bu'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structures and variables.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combined into smaller numbers of components and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viding a region for map decomposition of a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 region dividing apparatus for map decomposition of a rob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격자 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거리 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에 도시한 격자 맵에 대응되는 장애물 거리 맵을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폴로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에 도시한 장애물 거리 맵에 대응되는 토폴로지를 나타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계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에 도시한 토폴로지에 대응되는 임계점을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계선 획득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계선 획득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계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에 도시한 임계점에 대응되는 임계선을 나타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8에 도시한 임계선에 대응되는 레이블을 나타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블 간 연결성의 획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격자 맵의 영역 구분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9에 도시한 레이블에 대응되는 영역 구분 결과를 나타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격자 맵의 영역 구분 결과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area division device for map decomposition of a rob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grid m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bstacle distance m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obstacle distance map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n example of a topolog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which shows a topology corresponding to the obstacle distance map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hreshold poi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threshold point corresponding to the topology shown in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rocess for obtaining a threshold l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process for obtaining a threshold l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ritical l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ritical line corresponding to the critical point shown in FIG. 5, and FIG. 9 shows an example of a lab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diagram, labels corresponding to the threshold line shown in FIG. 8 are shown.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obtaining connectivity between labe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egion division result of a grid map according to , showing a region division result corresponding to a label shown in FIG. 9, and FIG. 12 is another example of a region division result of a grid m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wing representin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장치(이하 '영역 구분 장치'라 한다)(100)는 공간의 도면적인 특징과 공간 내에 배치된 장애물을 함께 고려하여 격자 맵(grid map)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apparatus for dividing a region for map decomposition of a rob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gion dividing apparatus') 100 is configured to distinguish between graphical features of a space and obstacles disposed in the space. Together, the grid map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역 구분 장치(100)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청소 로봇, 이동 로봇 등과 같은 로봇(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에 탑재된 영역 구분 장치(100)는 로봇이 이동하면서 구축한 격자 맵을 기반으로 복수개의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그러면, 로봇은 격자 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영역을 기반으로 청소 등과 같은 동작을 영역 단위로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gion di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form and mounted on a robot (not shown) such as a cleaning robot or a mobile robot. In this case, the region dividing device 100 mounted on the robot may divide a plurality of regions based on a lattice map built while the robot moves. Then, the robot may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cleaning in units of regions based on a plurality of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이를 위해, 영역 구분 장치(100)는 맵 구축부(110) 및 영역 구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region dividing device 100 may include a map building unit 110 and a region dividing unit 130 .

맵 구축부(110)는 격자 맵을 구축할 수 있다.The map builder 110 may build a grid map.

예컨대, 맵 구축부(110)는 적외선(infrared, ir) 센서, PSD(position sensitive device) 센서, 2D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센서, 3D 라이다(LiDAR) 센서 등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2차원 격자 맵을 획득할 수 있다. 격자 맵은 로봇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나타내는 내측 영역(도 2의 흰색 영역)과 벽 등과 같은 장애물로 인해 로봇이 이동할 수 없는 공간을 나타내는 외측 영역(도 2의 검은색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map builder 110 uses an infrared (ir) sensor, a position sensitive device (PSD) sensor, a 2D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sensor, a 3D lidar (LiDAR) sensor, and the like in FIG. 2 . A two-dimensional grid map as shown in can be obtained. The grid map may include an inner area (white area in FIG. 2 ) representing a space in which the robot can move and an outer area (black area in FIG. 2 ) indicating a space in which the robot cannot move due to an obstacle such as a wall.

영역 구분부(130)는 맵 구축부(110)를 통해 구축한 격자 맵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region division unit 130 may divide the grid map constructed by the map construction unit 110 into a plurality of regions.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영역 구분부(130)는 임계점 획득 모듈(131), 임계선 획득 모듈(133) 및 영역 획득 모듈(135)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egion divider 130 may include a threshold point acquisition module 131 , a threshold line acquisition module 133 , and a region acquisition module 135 .

임계점 획득 모듈(131)은 격자 맵을 기반으로 임계점(critical point)을 획득할 수 있다.The critical point obtaining module 131 may obtain a critical point based on the lattice map.

즉, 임계점 획득 모듈(131)은 격자 맵에 위치하는 각 픽셀의 장애물까지의 최소 거리를 기반으로 장애물 거리 맵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장애물 거리 맵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맵의 각 픽셀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색상으로 픽셀별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픽셀의 색상이 흰색에 가까울 수록 장애물과의 거리가 멀다는 것을 나타낸다.That is, the threshold point acquisition module 131 may obtain an obstacle distance map based on the minimum distance to the obstacle of each pixel located on the grid map.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obstacle distance map may display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of each pixel of the grid map in color for each pixel. Here, the closer the pixel color is to white, the greater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그리고, 임계점 획득 모듈(131)은 장애물 거리 맵을 기반으로 토폴로지(topology)를 획득할 수 있다.Also, the threshold point acquisition module 131 may obtain a topology based on the obstacle distance map.

이때, 임계점 획득 모듈(131)은 장애물 거리 맵을 기반으로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이 동일한 지점들(즉, 장애물 거리 맵의 중심점들)을 획득하고, 획득한 지점들을 기반으로 토폴로지(즉, 격자 맵의 골격)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토폴로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이 동일하나 지점들, 즉, 장애물 거리 맵의 중심점들을 이은 선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reshold point acquisition module 131 acquires points (ie, center points of the obstacle distance map) at the same distance from obstacle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based on the obstacle distance map, and obtains the topology (ie, center points of the obstacle distance map) based on the obtained points. , the skeleton of the lattice map) can be obtain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topology may be formed of lines connecting points, ie, center points of an obstacle distance map, with the same distance from left and right obstacles.

그리고, 임계점 획득 모듈(131)은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임계점을 획득할 수 있다.Also, the critical point obtaining module 131 may obtain a critical point based on the topology.

이때, 임계점 획득 모듈(131)은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교차점(즉, 구조가 변경되는 지점)과 끝점을 획득하고, 획득한 교차점과 끝점을 기반으로 임계점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임계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선들이 서로 만나는 교차점과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선들의 끝점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ritical point obtaining module 131 may obtain an intersection point (ie, a point where the structure is changed) and an end point based on the topology, and may obtain a critical point based on the obtained intersection point and end poi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the threshold point may include an intersection point where lines constituting the topology meet each other and an end point of the lines constituting the topology.

임계선 획득 모듈(133)은 임계점 획득 모듈(131)을 통해 획득한 임계점을 기반으로 임계선(critical line)을 획득할 수 있다.The critical line acquisition module 133 may obtain a critical line based on the critical points acquired through the critical point acquisition module 131 .

즉, 임계선 획득 모듈(133)은 격자 맵에 대응되는 장애물 거리 맵을 기반으로 획득한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임계점을 기반으로 공간을 구분하는 임계선을 획득할 수 있다.That is, the critical line acquisition module 133 may obtain a critical line dividing a space based on a critical point using a topology obtained based on an obstacle distance map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이때, 임계선 획득 모듈(133)은 하나의 임계점을 기준으로 토폴로지를 따라 다른 임계점으로 이동하면서,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를 이용하여 임계선을 획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ritical line acquisition module 133 may acquire the critical line by using a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obstacle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while moving from one critical point to another critical point along the topology.

예컨대, 임계선 획득 모듈(133)은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의 변화 정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보다 큰 지점을 기반으로 임계선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은 본 발명에 따른 영역 구분 장치(100)가 탑재되는 로봇의 크기, 로봇이 활용되는 공간 크기 등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의 방문 크기는 통상적으로 700mm ~ 900mm이며, 가정용 청소 로봇의 크기는 대략 350mm이므로, 청소 로봇의 3배수 이내의 폭을 가진 곳을 너비가 좁아지는 곳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박스와 같이,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의 변화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지점과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의 변화가 급격하게 높아지는 지점을 임계선으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의 (a) 및 (b)의 가로축은 토폴로지에 따른 지점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해당 지점에서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를 나타낸다.For example, the threshold line acquisition module 133 may acquire a threshold line based on a point where the degree of change in the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obstacles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Here, the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may be set based on the size of the robot in which the region di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he size of the space in which the robot is used, and the like. For example, since the size of a house visit is typically 700 mm to 900 mm, and the size of a household cleaning robot is approximately 350 mm, a place having a width within three times that of the cleaning robot may be determined as a place where the width is narrowed. As shown in the boxes shown in (a) and (b) of FIG. 6, the point at which the change in the differenc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obstacles is rapidly lowered and the change in the differenc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s on the left and right is abrupt. The point where it rises can be obtained as a critical line. Here, the horizontal axis of FIG. 6 (a) and (b) represents a point according to the topology,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a difference in distance from obstacle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corresponding point.

그리고, 임계선 획득 모듈(133)은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의 변화 정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 이내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작점과 끝점을 기반으로 임계선을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은 본 발명에 따른 영역 구분 장치(100)가 탑재되는 로봇의 크기, 로봇이 활용되는 공간 크기 등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임계선으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의 (a) 및 (b)의 가로축은 토폴로지에 따른 지점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해당 지점에서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를 나타낸다.Also, the threshold line acquisition module 133 may obtain a threshold line based on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at which the degree of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obstacles is maintained constant withi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Here, the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may be set based on the size of the robot in which the region di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he size of the space in which the robot is used, and the like. As shown in (a) and (b) of FIG. 7 ,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at which a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left and right obstacles is kept constant may be obtained as critical lines. Here, the horizontal axis of FIG. 7 (a) and (b) represents a point according to the topology,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a difference in distance from obstacle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corresponding point.

그러면, 임계선 획득 모듈(13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계선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핑크색의 임계선은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의 변화 정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보다 큰 지점을 기반으로 획득한 임계선을 나타내고, 빨간색의 임계선은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의 변화 정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 이내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작점과 끝점을 기반으로 획득한 임계선을 나타낸다.Then, the critical line acquisition module 133 may acquire the critical line as shown in FIG. 8 . Here, the pink critical line shown in FIG. 8 represents a critical line obtained based on a point where the degree of change in the differenc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obstacles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red critical line indicates the left and right critical lines. Indicates a threshold line obtained based on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at which the degree of change in the difference in distance from an obstacle located at is kept constant withi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영역 획득 모듈(135)은 임계선 획득 모듈(133)을 통해 획득한 임계선을 기반으로 격자 맵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area obtaining module 135 may divide the grid map into a plurality of areas based on the critical lines obtained through the critical line obtaining module 133 .

즉, 영역 획득 모듈(135)은 임계선을 기반으로 격자 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레이블(label)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영역 획득 모듈(135)은 격자 맵에 대응되는 장애물 위치 정보와 임계선을 이용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개의 레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레이블의 색상은 레이블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정해진 것으로, 레이블의 색상이 특별한 의미를 가진 것은 아니다.That is, the area acquisition module 135 may obtain a plurality of labels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based on the threshold line. For example, the area acquisition module 135 may obtain a plurality of labels as shown in FIG. 9 using obstacle position information and threshold lines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Here, the color of the label shown in FIG. 9 is arbitrarily determined to distinguish the labels from each other, and the color of the label does not have a special meaning.

그리고, 영역 획득 모듈(135)은 레이블 간 연결성(connectivity)을 기반으로 레이블 결합을 수행하여 격자 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Also, the area acquisition module 135 may acquire a plurality of areas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by performing label combining based on connectivity between labels.

이때, 영역 획득 모듈(135)은 복수개의 레이블 각각에 대해, 레이블의 외곽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인접한 위치에 있는 레이블을 획득하여, 레이블 간 연결성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영역 획득 모듈(135)은 도 10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블의 외곽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해당 레이블에 인접한 레이블들을 찾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gion acquisition module 135 may obtain connectivity between labels by acquiring a label located adjacen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abels while moving along the outer line of the label. For example, as shown in (a) to (c) of FIG. 10 , the area acquiring module 135 may find labels adjacent to the corresponding label while moving along the outer line of the label.

그런 다음, 영역 획득 모듈(135)은 미리 설정된 결합 조건을 기반으로 레이블 간 연결성을 이용하여 레이블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Then, the region obtaining module 135 may perform label combining using connectivity between labels based on a preset combining condition.

여기서, 미리 설정된 결합 조건은 제1 결합 조건, 제2 결합 조건, 및 제3 결합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reset combination condition may include a first combination condition, a second combination condition, and a third combination condition.

제1 결합 조건은 미리 설정된 최소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대상 레이블을 대상 레이블에 인접하는 인접 레이블 중에서 인접하는 부분의 크기가 제일 큰 인접 레이블로 병합하는 결합 조건을 나타낸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최소 크기는 본 발명에 따른 영역 구분 장치(100)가 탑재되는 로봇의 크기, 로봇이 활용되는 공간 크기 등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first combining condition represents a combining condition for merging a target label having a size smaller than a preset minimum size with an adjacent label having the largest size among adjacent labels adjacent to the target label. Here, the preset minimum size may be set based on the size of the robot on which the region di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he size of the space used by the robot, and the like.

제2 결합 조건은 대상 레이블의 모든 외곽선에 1개의 인접 레이블이 인접한 경우, 대상 레이블을 인접 레이블로 병합하는 결합 조건을 나타낸다.The second combining condition represents a combining condition for merging a target label with an adjacent label when one adjacent label is adjacent to all outlines of the target label.

제3 결합 조건은 대상 레이블과 대상 레이블에 인접하는 인접 레이블의 인접하는 부분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큰 경우, 대상 레이블을 인접 레이블로 병합하는 결합 조건을 나타낸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는 본 발명에 따른 영역 구분 장치(100)가 탑재되는 로봇의 크기, 로봇이 활용되는 공간 크기 등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A third combining condition represents a combining condition for merging a target label into an adjacent label when a size of a target label and an adjacent portion of an adjacent label adjacent to the target label is larger than a preset reference size. Here, the preset standard size may be set based on the size of the robot on which the region di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he size of the space used by the robot, and the like.

그러면, 영역 획득 모듈(135)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격자 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 즉, 도 11은 집을 대상으로 획득한 격자 맵을 기반으로 본 발명에 따라 복수개의 영역을 구분한 결과를 나타내고, 도 12는 넓은 크기를 가지는 마트 공간을 대상으로 획득한 격자 맵을 기반으로 본 발명에 따라 복수개의 영역을 구분한 결과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영역의 색상은 영역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정해진 것으로, 영역의 색상이 특별한 의미를 가진 것은 아니다.Then, the area acquisition module 135 may acquire a plurality of areas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as shown in FIGS. 11 and 12 . That is, FIG. 11 shows the result of dividing a plurality of are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grid map obtained for the house, and FIG. 12 shows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grid map obtained for the mart space having a large size. It shows the result of dividing a plurality of areas according to . Here, the color of the area shown in FIGS. 11 and 12 is arbitrarily determined to distinguish the areas from each other, and the color of the area does not have a special meaning.

이때, 영역 획득 모듈(135)은 격자 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대한 영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영역 정보는 해당 영역의 명칭 등과 같은 영역 식별 정보, 해당 영역의 총 면적, 해당 영역이 가진 도미너트(dominant)한 각도, 해당 영역의 도심(centroid), 해당 영역에 인접한 영역들의 영역 식별 정보 등과 같은 연결성 정보,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직사각형(rectangle)의 각 지점 정보, 해당 영역을 구성하는 외각의 지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rea acquisition module 135 may acquire area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Here, the region information includes reg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of the region, total area of the region, dominant angle of the region, centroid of the region, and reg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egions adjacent to the region. It may include connectivity information such as, etc., information on each point of a rectangl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ea, information on the outer points constituting the corresponding area, and the like.

이와 같이, 임계선을 기반으로 획득된 복수개의 레이블은 크기를 고려하지 않고 구조적인 측면에서 분할이 이루어진다. 이때, 너무 작은 조각으로 레이블이 분할되는 경우 로봇의 동작 측면에서 낮은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레이블의 크기, 레이블 사이의 연결성 등을 고려하여 레이블 간 결합을 수행하여, 격자 맵에 대응되는 최종적인 복수개의 영역을 획득하게 된다.In this way, the plurality of labels obtained based on the critical line are divided in terms of structure without considering the size. At this time, if the labels are divided into too small pieces, low efficiency may be brought about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the robot. Therefore, combining the labels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labels,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labels, etc., and the final plurality corresponding to the lattice map. You get a dog's territory.

그러면,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dividing regions for map decomposition of a rob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ividing regions for map decomposition of a rob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영역 구분 장치(100)는 격자 맵을 구축할 수 있다(S110).Referring to FIG. 13 , the region dividing device 100 may build a grid map (S110).

예컨대, 영역 구분 장치(100)는 적외선(ir) 센서, PSD 센서, 2D 라이다(LiDAR) 센서, 3D 라이다(LiDAR) 센서 등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2차원 격자 맵을 획득할 수 있다. 격자 맵은 로봇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나타내는 내측 영역(도 2의 흰색 영역)과 벽 등과 같은 장애물로 인해 로봇이 이동할 수 없는 공간을 나타내는 외측 영역(도 2의 검은색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area dividing device 100 may acquire a 2D grid map as shown in FIG. 2 through an infrared (ir) sensor, a PSD sensor, a 2D LiDAR sensor, a 3D LiDAR sensor, and the like. can The grid map may include an inner area (white area in FIG. 2 ) representing a space in which the robot can move and an outer area (black area in FIG. 2 ) indicating a space in which the robot cannot move due to an obstacle such as a wall.

그런 다음, 영역 구분 장치(100)는 격자 맵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S130).Then, the region dividing device 100 may divide the grid map into a plurality of regions (S130).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영역 구분 단계의 세부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1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detailed steps of the area division step shown in FIG. 13 .

도 14를 참조하면, 영역 구분 장치(100)는 격자 맵을 기반으로 임계점을 획득할 수 있다(S131).Referring to FIG. 14 , the region dividing device 100 may obtain a critical point based on the grid map (S131).

즉, 영역 구분 장치(100)는 격자 맵에 위치하는 각 픽셀의 장애물까지의 최소 거리를 기반으로 장애물 거리 맵을 획득할 수 있다.That is, the area dividing device 100 may obtain an obstacle distance map based on the minimum distance to the obstacle of each pixel located on the grid map.

그리고, 영역 구분 장치(100)는 장애물 거리 맵을 기반으로 토폴로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영역 구분 장치(100)는 장애물 거리 맵을 기반으로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이 동일한 지점들(즉, 장애물 거리 맵의 중심점들)을 획득하고, 획득한 지점들을 기반으로 토폴로지(즉, 격자 맵의 골격)를 획득할 수 있다.Also, the area dividing device 100 may obtain a topology based on the obstacle distance map. At this time, the area dividing device 100 acquires points (ie, center points of the obstacle distance map)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left and right obstacles based on the obstacle distance map, and determines the topology (ie, center points of the obstacle distance map) based on the obtained points. , the skeleton of the lattice map) can be obtained.

그리고, 영역 구분 장치(100)는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임계점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영역 구분 장치(100)는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교차점(즉, 구조가 변경되는 지점)과 끝점을 획득하고, 획득한 교차점과 끝점을 기반으로 임계점을 획득할 수 있다.Also, the region dividing apparatus 100 may obtain a critical point based on the topology. In this case, the region dividing apparatus 100 may obtain an intersection point (ie, a point where the structure is changed) and an end point based on the topology, and may obtain a critical point based on the obtained intersection point and end point.

그런 다음, 영역 구분 장치(100)는 임계점을 기반으로 임계선을 획득할 수 있다(S133).Then, the region dividing device 100 may obtain a critical line based on the critical point (S133).

즉, 영역 구분 장치(100)는 격자 맵에 대응되는 장애물 거리 맵을 기반으로 획득한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임계점을 기반으로 공간을 구분하는 임계선을 획득할 수 있다.That is, the area dividing device 100 may obtain a critical line dividing a space based on a critical point using a topology obtained based on an obstacle distance map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이때, 영역 구분 장치(100)는 하나의 임계점을 기준으로 토폴로지를 따라 다른 임계점으로 이동하면서,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를 이용하여 임계선을 획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gion dividing apparatus 100 may obtain a critical line by using a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obstacle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while moving from one critical point to another critical point along the topology.

예컨대, 영역 구분 장치(100)는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의 변화 정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보다 큰 지점을 기반으로 임계선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은 본 발명에 따른 영역 구분 장치(100)가 탑재되는 로봇의 크기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rea dividing apparatus 100 may obtain a threshold line based on a point where the degree of change in the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obstacles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Here, the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may be set based on the size of the robot on which the region di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그리고, 영역 구분 장치(100)는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의 변화 정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 이내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작점과 끝점을 기반으로 임계선을 획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rea dividing device 100 may obtain a threshold line based on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at which a degree of change in a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left and right obstacles is kept constant withi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그러면, 영역 구분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계선을 획득할 수 있다.Then, the region dividing device 100 may obtain the critical line as shown in FIG. 8 .

이후, 영역 구분 장치(100)는 임계선을 기반으로 격자 맵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S135).Thereafter, the region dividing device 100 may divide the grid map into a plurality of regions based on the critical line (S135).

즉, 영역 구분 장치(100)는 임계선을 기반으로 격자 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레이블(label)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영역 구분 장치(100)는 격자 맵에 대응되는 장애물 위치 정보와 임계선을 이용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개의 레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That is, the region dividing device 100 may obtain a plurality of labels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based on the critical line. For example, the area dividing apparatus 100 may obtain a plurality of labels as shown in FIG. 9 by using obstacle position information and critical lines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그리고, 영역 구분 장치(100)는 레이블 간 연결성을 기반으로 레이블 결합을 수행하여 격자 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영역 구분 장치(100)는 복수개의 레이블 각각에 대해, 레이블의 외곽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인접한 위치에 있는 레이블을 획득하여, 레이블 간 연결성을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gion dividing apparatus 100 may obtain a plurality of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by performing label combining based on connectivity between labels. In this case, the area dividing apparatus 100 may obtain connectivity between labels by acquiring labels located adjacen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abels while moving along the outer line of the labels.

그런 다음, 영역 구분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결합 조건을 기반으로 레이블 간 연결성을 이용하여 레이블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결합 조건은 제1 결합 조건, 제2 결합 조건, 및 제3 결합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조건은 미리 설정된 최소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대상 레이블을 대상 레이블에 인접하는 인접 레이블 중에서 인접하는 부분의 크기가 제일 큰 인접 레이블로 병합하는 결합 조건을 나타낸다. 제2 결합 조건은 대상 레이블의 모든 외곽선에 1개의 인접 레이블이 인접한 경우, 대상 레이블을 인접 레이블로 병합하는 결합 조건을 나타낸다. 제3 결합 조건은 대상 레이블과 대상 레이블에 인접하는 인접 레이블의 인접하는 부분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큰 경우, 대상 레이블을 인접 레이블로 병합하는 결합 조건을 나타낸다.Then, the region division device 100 may perform label combining using connectivity between labels based on a preset combining condition. Here, the preset combination condition may include a first combination condition, a second combination condition, and a third combination condition. The first combining condition represents a combining condition for merging a target label having a size smaller than a preset minimum size with an adjacent label having the largest size among adjacent labels adjacent to the target label. The second combining condition represents a combining condition for merging a target label with an adjacent label when one adjacent label is adjacent to all outlines of the target label. A third combining condition represents a combining condition for merging a target label into an adjacent label when a size of a target label and an adjacent portion of an adjacent label adjacent to the target label is larger than a preset reference size.

그러면, 영역 구분 장치(1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격자 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영역 구분 장치(100)는 격자 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대한 영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영역 정보는 해당 영역의 명칭 등과 같은 영역 식별 정보, 해당 영역의 총 면적, 해당 영역이 가진 도미너트(dominant)한 각도, 해당 영역의 도심(centroid), 해당 영역에 인접한 영역들의 영역 식별 정보 등과 같은 연결성 정보,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직사각형(rectangle)의 각 지점 정보, 해당 영역을 구성하는 외각의 지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n, the region dividing device 100 may obtain a plurality of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as shown in FIGS. 11 and 12 . At this time, the region dividing device 100 may obtain region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grid map. Here, the region information includes reg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of the region, total area of the region, dominant angle of the region, centroid of the region, and reg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egions adjacent to the region. It may include connectivity information such as, etc., information on each point of a rectangl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ea, information on the outer points constituting the corresponding area, and the lik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로서는 자기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Even though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one or more to operate.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independent piece of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combined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pieces of hard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In addition, such a computer program may implemen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being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such as a USB memory, a CD disk, or a flash memory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A recording medium of a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the lik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영역 구분 장치,
110 : 맵 구축부,
130 : 영역 구분부,
131 : 임계점 획득 모듈,
133 : 임계선 획득 모듈,
135 : 영역 획득 모듈
100: area division device,
110: map building unit,
130: area dividing unit,
131: critical point acquisition module,
133: critical line acquisition module,
135: area acquisition module

Claims (15)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장치에 있어서,
격자 맵(grid map)을 구축하는 맵 구축부; 및 상기 맵 구축부를 통해 구축한 상기 격자 맵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영역 구분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 구분부는, 상기 격자 맵을 기반으로 임계점(critical point)을 획득하는 임계점 획득 모듈; 상기 임계점 획득 모듈을 통해 획득한 상기 임계점을 기반으로 임계선(critical line)을 획득하는 임계선 획득 모듈; 및 상기 임계선 획득 모듈을 통해 획득한 상기 임계선을 기반으로 상기 격자 맵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영역 획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임계점 획득 모듈이 임계점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격자 맵의 각 픽셀별로 장애물까지의 최소 거리를 이용하여 장애물 거리 맵을 획득하고, 상기 장애물 거리 맵에서 장애물까지의 간격을 기반으로 토폴로지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임계점들을 획득하는 것이며,
상기 임계선 획득 모듈은, 상기 토폴로지를 따라 존재하는 하나의 임계점과 다른 임계점 사이의 지점들 중에서, 상기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의 변화 정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보다 큰 구간에 따른 지점, 또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의 변화 정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 이내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에 따른 지점에 근거하여 임계선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장치.
In the area division device for map decomposition of the robot,
a map building unit that builds a grid map; and a region dividing unit dividing the grid map constructed through the map building unit into a plurality of regions,
The area division unit may include a critical point acquisition module for obtaining a critical point based on the grid map; a critical line acquiring module for obtaining a critical line based on the critical point obtained through the critical point acquiring module; and an area acquisition module dividing the lattice map into a plurality of areas based on the threshold line obtained through the threshold line acquisition module;
The threshold point obtaining module acquires a threshold point by obtaining an obstacle distance map using a minimum distance to an obstacle for each pixel of the lattice map, and obtaining a topology based on a distance from the obstacle distance map to an obstacle, Acquiring critical points based on the obtained topology,
The threshold line acquisition module may include, among points between one critical point and another critical point existing along the topology, a point according to a section in which a degree of change in a difference in distance from the obstacle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or an obstacle An area division device for map decomposition of a robot, characterized in that a threshold line is determined based on a point according to a section where the degree of change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al and the distance is maintained constant withi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임계점 획득 모듈은, 상기 장애물 거리 맵을 기반으로 좌우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간격이 동일한 지점들을 획득하고, 획득한 지점들을 기반으로 상기 토폴로지를 획득하며,
상기 임계점 획득 모듈은, 상기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교차점과 끝점을 획득하고, 획득한 교차점과 끝점을 기반으로 상기 임계점을 획득하는,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장치.
In paragraph 1,
The threshold point acquisition module acquires points at equal distances from left and right obstacles based on the obstacle distance map, and acquires the topology based on the acquired points;
The threshold point obtaining module obtains an intersection point and an end point based on the topology, and obtains the critical point based on the obtained intersection point and end point.
Area separator for robot map decompos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영역 획득 모듈은,
상기 임계선을 기반으로 상기 격자 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레이블(label)을 획득하고, 레이블 간 연결성을 기반으로 레이블 결합을 수행하여 상기 격자 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영역을 획득하는,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rea acquisition module,
Obtaining a plurality of labels corresponding to the lattice map based on the critical line, and obtaining a plurality of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lattice map by performing label combining based on connectivity between labels,
Area separator for robot map decomposition.
제8항에서,
상기 영역 획득 모듈은,
복수개의 레이블 각각에 대해, 레이블의 외곽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인접한 위치에 있는 레이블을 획득하여, 레이블 간 연결성을 획득하고,
미리 설정된 결합 조건을 기반으로 레이블 간 연결성을 이용하여 레이블 결합을 수행하는,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장치.
In paragraph 8,
The area acquisition modul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abels, obtaining a label at an adjacent position while moving along the outline of the label to obtain connectivity between the labels;
performing label combining using connectivity between labels based on preset combining conditions;
Area separator for robot map decomposition.
제9항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결합 조건은,
미리 설정된 최소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대상 레이블을 대상 레이블에 인접하는 인접 레이블 중에서 인접하는 부분의 크기가 제일 큰 인접 레이블로 병합하는 제1 결합 조건, 대상 레이블의 모든 외곽선에 1개의 인접 레이블이 인접한 경우, 대상 레이블을 인접 레이블로 병합하는 제2 결합 조건, 및 대상 레이블과 대상 레이블에 인접하는 인접 레이블의 인접하는 부분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보다 큰 경우, 대상 레이블을 인접 레이블로 병합하는 제3 결합 조건을 포함하는,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장치.
In paragraph 9,
The preset bonding condition is,
A first combining condition for merging target labels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preset minimum size into adjacent labels having the largest size among adjacent labels adjacent to the target label, and one adjacent label adjacent to all outlines of the target label , a second combining condition for merging the target label into an adjacent label, and a condition for merging the target label into an adjacent label when the size of the adjacent part of the target label and the adjacent label adjacent to the target label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size. Including 3 binding conditions,
Area separator for robot map decomposition.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방법에 있어서,
격자 맵(grid map)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맵 구축부를 통해 구축한 상기 격자 맵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격자 맵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격자 맵을 기반으로 임계점(critical point)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임계점 획득 모듈을 통해 획득한 상기 임계점을 기반으로 임계선(critical line)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임계선 획득 모듈을 통해 획득한 상기 임계선을 기반으로 상기 격자 맵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임계점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격자 맵의 각 픽셀별로 장애물까지의 최소 거리를 이용하여 장애물 거리 맵을 획득하고, 상기 장애물 거리 맵에서 장애물까지의 간격을 기반으로 토폴로지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임계점들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임계선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토폴로지를 따라 존재하는 하나의 임계점과 다른 임계점 사이의 지점들 중에서, 상기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의 변화 정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보다 큰 구간에 따른 지점, 또는 장애물과의 간격의 차이의 변화 정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 이내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에 따른 지점에 근거하여 임계선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방법.
In the area division method for map decomposition of the robot,
building a grid map; and
Dividing the grid map built by the map construction unit into a plurality of regions;
Dividing the lattice map into a plurality of regions may include: acquiring a critical point based on the lattice map; obtaining a critical line based on the critical point obtained through the critical point acquiring module; and dividing the lattice map into a plurality of areas based on the critical line acquired through the critical line acquisition module,
The obtaining of the critical point may include obtaining an obstacle distance map using a minimum distance to an obstacle for each pixel of the lattice map, obtaining a topology based on a distance from the obstacle distance map to an obstacle, and obtaining the obtained Including obtaining critical points based on the topology,
The obtaining of the critical line may include, among points between one critical point and another critical point existing along the topology, a point according to a section in which a degree of change in a difference in distance from the obstacle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Alternatively, the threshold line is determined based on a point according to a section where the degree of change in the difference in distance from the obstacle is constantly maintained withi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에 기재된 로봇의 맵 디컴포지션을 위한 영역 구분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area division method for map decomposition of a robot according to claim 11 on a computer.
KR1020210073684A 2021-03-02 2021-06-07 Region segm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decomposition of robot KR1025648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82,343 US20220282991A1 (en) 2021-03-02 2022-02-28 Region segm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decomposition of robot
EP23198587.0A EP4286793A3 (en) 2021-03-02 2022-03-01 Region segm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decomposition of robot
EP22159410.4A EP4063986A3 (en) 2021-03-02 2022-03-01 Region segm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decomposition of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27648 2021-03-02
KR1020210027648 2021-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063A KR20220124063A (en) 2022-09-13
KR102564813B1 true KR102564813B1 (en) 2023-08-08

Family

ID=8328658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683A KR102559013B1 (en) 2021-03-02 2021-06-07 Noise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of robot
KR1020210073684A KR102564813B1 (en) 2021-03-02 2021-06-07 Region segm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decomposition of robot
KR1020210073685A KR102564814B1 (en) 2021-03-02 2021-06-07 Moving path plan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obot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683A KR102559013B1 (en) 2021-03-02 2021-06-07 Noise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of robot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685A KR102564814B1 (en) 2021-03-02 2021-06-07 Moving path plan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590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841B1 (en) * 2022-07-21 2023-08-30 주식회사 클로봇 Mobile robot, customized autonomous driving method and program for each space size of mobile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384B1 (en) 2006-07-05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viding regions by feature points and apparatus thereof and mobile cleaning robo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6467B2 (en) * 2005-07-29 2009-12-22 Nokia Corporation Binarization of an image
KR100791386B1 (en) * 2006-08-18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of cell decomposition in mobile robot
KR101372482B1 (en) * 2007-12-11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path planning for a mobile robot
KR102068745B1 (en) * 2012-05-29 202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ing a grid map into a plurality of rooms
AU2015322263B2 (en) * 2014-09-24 2018-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eaning robot
KR101792553B1 (en) * 2015-11-27 2017-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oving robot
KR101797325B1 (en) * 2015-12-31 2017-11-14 한국국토정보공사 Map processing method based on multi-scale model for building object
JP6947563B2 (en) * 2017-07-20 2021-10-13 株式会社Ihi Mobile robot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190117421A (en) * 2019-09-27 2019-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Transport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384B1 (en) 2006-07-05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viding regions by feature points and apparatus thereof and mobile cleaning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814B1 (en) 2023-08-08
KR20220124063A (en) 2022-09-13
KR20220124064A (en) 2022-09-13
KR20220124062A (en) 2022-09-13
KR102559013B1 (en) 202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án et al. An autonomous robotic platform for automatic extraction of detailed semantic models of buildings
US8666158B2 (en) System for floor number determination in buildings
KR102461938B1 (en) Method of identifying obstacle on a driving surface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CN112739244A (en) Mobile robot cleaning system
Filliat et al. RGBD object recognition and visual texture classification for indoor semantic mapping
KR20180134683A (en) Mov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07899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nning path of mobile robot
TW201836541A (en) Mov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Zeineldin et al. Fast and accurate ground plane detec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from 3D organized point clouds
TWI696906B (en) Method for processing a floor
Almansa-Valverde et al. Mobile robot map building from time-of-flight camera
Erickson et al. An art gallery approach to ensuring that landmarks are distinguishable
Maier et al. Vision-based humanoid navigation using self-supervised obstacle detection
KR102564813B1 (en) Region segm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decomposition of robot
CN114365974B (en) Indoor cleaning and partitioning method and device and floor sweeping robot
CN112087573A (en) Drawing of an environment
EP4286793A2 (en) Region segm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decomposition of robot
Martin Evolving visual sonar: Depth from monocular images
WO20211359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ap of enclosed space, and movable device
Yu et al. A visual surveillance system for mobile robot using omnidirectional and PTZ cameras
CN112015187A (en) Semantic map 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mobile robot
Faisal et al. Multi-sensors multi-baseline mapping system for mobile robot using stereovision camera and laser-range device
KR20180037516A (en) Mov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073454A (en) Room partitioning method, room partitioning device, room partitioning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im et al. Intelligent SLAM Algorithm Fusing Low-Cost Sensors at Risk of Building Collap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