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412B1 - System for providing self dysphonia treatment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self dysphonia treatment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412B1
KR102564412B1 KR1020220064492A KR20220064492A KR102564412B1 KR 102564412 B1 KR102564412 B1 KR 102564412B1 KR 1020220064492 A KR1020220064492 A KR 1020220064492A KR 20220064492 A KR20220064492 A KR 20220064492A KR 102564412 B1 KR102564412 B1 KR 102564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peech
disorder
user terminal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4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석연
Original Assignee
정석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연 filed Critical 정석연
Priority to KR1020220064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4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4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3Speech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tic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6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xtracting parameters related to health cond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Abstract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음성장애를 판단하기 위한 자가보고형 설문지에 응답 데이터를 입력하고, 음성발화를 녹음 또는 실시간 업로드하며, 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로 분석된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음성장애를 판단하기 위한 자가보고형 설문지, 응답 데이터에 따른 음성장애 여부 판단 기준 및 음성장애 정도,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데이터를 입력받는 설문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발화를 입력받은 경우, 기 구축된 음성장애 판단 알고리즘에 질의(Query)로 입력하여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를 분석하도록 하는 음성분석부, 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로 분석된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자가치료부를 포함하는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 self-speech therapy service providing system is provided, response data is entered into a self-report questionnaire to determine voice disorder, voice speech is recorded or uploaded in real time, and voice disorder analyzed by response data and voice speech and degree A user terminal outputting at least one corresponding voice treatment content, a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determining voice disorder,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voice disorder according to response data, and at least one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voice disorder and whether or not and the degree of voice disorder A storage unit that converts voice therapy contents into a database, a questionnaire unit that receives response data from a user terminal, and when a voice speech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inputs a query to a previously built speech disorder determination algorithm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voice disorder exists A voice treat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voice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degree, and a self-treatment unit that outputs at least one voice treat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and degree of voice disorder analyzed by response data and voice speech from a user terminal. do.

Description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ELF DYSPHONIA TREATMENT SERVICE}Self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ystem {SYSTEM FOR PROVIDING SELF DYSPHONIA TREATMENT SERVICE}

본 발명은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제공하고 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를 분석하여 자가 음성치료 프로세스를 진행하도록 음성치료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self-speech therapy service, and provides a system for provid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alyzing response data and speech utterances, and providing voice therapy contents to proceed with a self-speech therapy process.

음성이란 인간의 발음 기관을 통해 발생한 소리가 언어학적으로 의미가 있을 때를 의미하며 소리와는 다른 개념이다. 발음기관은 호흡기관, 발성기관, 공명 및 조음기관으로 구분되는데, 음성장애는 이 기관에 기질적 또는 기능적 문제가 생긴 것을 말한다. 음성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음성평가는 크게 청지각적 평가와 기기적 평가로 구분된다. 일본음성언어의학회가 발표한 GRBAS 척도 평정법이나 American Speech-Hearing-Language Association이 발표한 The Consensus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와 같은 청지각적 평가는 평가자가 음성장애가 있거나 있다고 의심되는 환자의 발화를 듣고 그 음질의 중증도를 판단하는 방법이고 기기적 평가는 Computerized Speech Lab의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이나 Phonatory Aerodynamic System과 같은 기기를 활용하여 환자 음성의 음향적 측면, 공기역학적 측면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Voice means when a sound generated through a human speech organ has a linguistic meaning, and is a concept different from sound. Pronunciation organs are divided into respiratory organs, vocal organs, resonance and articulatory organs, and voice disorders refer to organic or functional problems in these organs. Voice evaluation for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is largely divided into auditory perceptual evaluation and instrumental evaluation. Auditory evaluation, such as the GRBAS scale rating method published by the Japanese Society of Speech and Linguistic Medicine or The Consensus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published by the American Speech-Hearing-Language Association, is an auditory evaluation in which the rater listens to the speech of a patient with or suspected of having a speech disorder and hears the quality of the speech. The instrumental evaluation is a method of analyzing the acoustic and aerodynamic aspects of the patient's voice using devices such as the Computerized Speech Lab's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 or Phonatory Aerodynamic System.

이때, 음성발화를 분석하여 음성장애에 대한 치료를 돕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413598호(2014년07월04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20-0105110호(2020년09월07일 공개)에는, 진동 의자에 진동 스피커를 통하여 교정대상자가 발성한 발음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성과, 발성훈련 선택메뉴를 선택하면 발성신호를 수신하고 발성발화 촉진을 유도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method of helping treatment for voice disorders by analyzing voice speech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his regard, prior art,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13598 (published on July 4, 2014) and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20 -0105110 (published on September 7, 2020) has a configuration that generates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uttered by the person to be corrected through a vibration speaker in a vibration chair, and when a vocal training selection menu is selected, a vocal signal is received and vocalization is performed. Configurations for inducing ignition promotion are disclosed respectively.

다만, 전자 및 후자의 경우 모두 음성장애임을 진단받은 후 훈련을 진행하는 것인데, 최근 의사소통장애의 평가는 평가자 중심에서 서서히 평가 대상자 중심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즉 평가 대상자가 더 이상 수동적으로 평가자의 지시에 따라서만 평가를 받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하고 그 내용을 평가에 반영할 수 있도록 바뀌어가고 있다. 음성평가 또한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평가방법이 변화되고 있으며, 음성평가의 목적이 음성장애 환자의 음성 문제를 제거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하는 데 있다면 평가 과정에서 환자가 어떤 문제로 힘들어하고 그러한 문제가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음성장애 전문가가 사용하게 된 방법 중 하나가 환자가 직접 음성장애와 관련된 체크리스트에 응답함으로써 본인의 음성 문제를 본인의 관점에서 보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자기보고식 평가도구(Self-Reporting Evaluation)를 이용하여 음성장애를 진단하도록 하고, 자가 음성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in both the former and latter cases, training is conducted after being diagnosed with a voice disorder. Recently, the evaluation of communication disorders is gradually shifting from an assessor-centered to a subject-centered one. In other words, the evaluation target is no longer passively evaluated only according to the evaluator's instructions, but is changing so that they can actively present their opinions and reflect their contents in the evaluation. Voice evaluation is also changing its evaluation method to reflect this trend, and if the purpose of speech evaluation is to collect information to eliminate voice problems in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what problems do patients struggle with during the evaluation process and what problems are they?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how it affects your quality of life. To this end, one of the methods used by voice disorder experts is to have patients report their voice problems from their own point of view by answering a checklist related to voice disorders.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platform capable of diagnosing voice disorders using a self-reporting evaluation tool and performing self-voice therapy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스스로 음성장애인지의 여부를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통하여 확인하도록, VHI(Voice Handicap Index), V-RQOL(Voice-Related Quality of Life), VoiSS(Voice Symptom Scale), VFI(Voice Fatigue Index), 음성활동 및 참여 프로파일(Voice Activity Participation Profile)과 같은 설문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응답한 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를 분석하여 음성장애 여부, 종류 및 정도를 분류하도록 하며, 음성장애 여부, 종류 및 정도에 대응하는 자가 음성치료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본인 스스로 음성장애를 확인하고 치료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oice handicap index (VHI), a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V-RQOL), and a voice symptom scale (VoiSS) so that the user can check whether or not he or she has a voice disorder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 VFI (Voice Fatigue Index), and Voice Activity Participation Profile (Voice Activity Participation Profile) are provided, and the response data and voice speech answered by users are analyzed to classify the presence, type and degree of voice impairment, By providing a self-voice treatment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type and degree of voice disord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lf-voice treat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can help a user to identify and treat voice disorder by himself.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음성장애를 판단하기 위한 자가보고형 설문지에 응답 데이터를 입력하고, 음성발화를 녹음 또는 실시간 업로드하며, 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로 분석된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음성장애를 판단하기 위한 자가보고형 설문지, 응답 데이터에 따른 음성장애 여부 판단 기준 및 음성장애 정도,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데이터를 입력받는 설문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발화를 입력받은 경우, 기 구축된 음성장애 판단 알고리즘에 질의(Query)로 입력하여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를 분석하도록 하는 음성분석부, 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로 분석된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자가치료부를 포함하는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response data into a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determining voice disorder, records or uploads voice speech in real time, and responds to the response data and voice. A user terminal that outputs at least one voice treat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and degree of voice disorder analyzed by speech, a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determining voice disorder, criteria for determining voice disorder according to response data, and degree of voice disorder, voice A storage unit that compiles at least one voice treat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and degree of disability into a database, a questionnaire unit that receives respons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query to the previously built voice disability determination algorithm when voice speech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 voice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presence and degree of voice disorder by inputting (Query), self-treatment that outputs at least one voice treat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and degree of voice disorder analyzed by response data and voice speech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unit.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스스로 음성장애인지의 여부를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통하여 확인하도록, VHI(Voice Handicap Index), V-RQOL(Voice-Related Quality of Life), VoiSS(Voice Symptom Scale), VFI(Voice Fatigue Index), 음성활동 및 참여 프로파일(Voice Activity Participation Profile)과 같은 설문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응답한 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를 분석하여 음성장애 여부, 종류 및 정도를 분류하도록 하며, 음성장애 여부, 종류 및 정도에 대응하는 자가 음성치료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본인 스스로 음성장애를 확인하고 치료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heck whether the user himself has a voice disorder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VHI (Voice Handicap Index), V-RQOL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Surveys such as VoiSS (Voice Symptom Scale), VFI (Voice Fatigue Index), Voice Activity Participation Profile (Voice Activity Participation Profile) are provided, and user response data and speech speech ar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voice disorder, type and By categorizing the degree and providing a self-voice treatment process corresponding to whether or not the voice disorder exists, the type, and the degree, the user can help the user to identify and treat the voice disorder himsel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elf-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Referring to FIG.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elf-voice therapy service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a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self-speech therap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characteristic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are used at or approximating that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given, and do not convey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help prevent exploitation by unscrupulous infringers of the disclosed disclosure. The term "step of (doing)" or "step of"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On the other hand, '~ uni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combined into smaller numbers of components and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terminal's identifying data.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elf-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a self-speech therapy service providing system 1 may includ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400. However, since the self-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ystem 1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a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200 . In addition, the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s, telephone networks, and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s networks.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 Internet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 A Near-Field Communication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and even if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the singular or plural number of each componen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음성장애를 판단하기 위한 자가보고형 설문지에 응답 데이터를 입력하고, 음성발화를 녹음 또는 실시간 업로드하며,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로 분석된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nputs response data to a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determining voice disorder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 self-speech therapy service, and records or real-time voice speech. It may be a terminal that uploads and outputs at least one voice treat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and degree of voice disorder analyzed by response data and voice speech.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In this cas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음성장애를 판단하기 위한 자가보고형 설문지, 응답 데이터에 따른 음성장애 여부 판단 기준 및 음성장애 정도,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응답 데이터를 입력받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음성발화를 입력받은 경우, 기 구축된 음성장애 판단 알고리즘에 질의(Query)로 입력하여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를 분석하도록 하며, 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로 분석된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self-speech therapy service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In addition, the voice treat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provides a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determining voice disorder,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voice disorder according to the response data, and at least one voice treatment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voice disorder and the presence and degree of voice disorder. It may be a server that converts content into a database. When receiving respons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receiving voice speech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puts it as a query to the previously built voice disorder determination algorithm, It may be a server that analyzes the presence and degree of voice disorder and outputs at least one voice treat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and degree of voice disorder analyzed by response data and voice speech from the user terminal 100 .

여기서,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는 의료진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에서는 개인정보보호를 위하여 타임스탬프나 SBC(Server Based Computing)이 구동되는 단말일 수 있다. 의료진 단말(400)과 연결된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내부 데이터 및 파일을 의료진 단말(400)에서 저장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개인정보유출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에서 입력되는 정보에는 타임스탬프 등 이후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처리가 될 수 있다.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400 may be a medical staff terminal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self-speech therapy service. In this case,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runs timestamp or SBC (Server Based Computing)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e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nnected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400 prevents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by preventing internal data and files from being stored in the medical staff terminal 400 . In addition, information input from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400 may be processed to prevent forgery or falsification after a timestamp or the like.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In this case,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4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S. 3 and 4 describe an embodiment in which a self-speech therapy service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도 2를 참조하면,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설문부(320), 음성분석부(330), 자가치료부(340), 3요소분석부(350), 치료연계부(360), 안내부(370), 기록제공부(380), 의료진연결부(390) 및 기록보호부(39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storage unit 310, a questionnaire unit 320, a voice analysis unit 330, a self-treatment unit 340, a three-element analysis unit 350, It may include a treatment connection unit 360, a guide unit 370, a record providing unit 380, a medical staff connection unit 390, and a record protection unit 39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로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self-voice therapy service is provid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400. When transmitting an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400 install the self-speech therapy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or open Also, the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400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allows users to use the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means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described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In addition, an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on a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 phone).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음성장애를 판단하기 위한 자가보고형 설문지, 응답 데이터에 따른 음성장애 여부 판단 기준 및 음성장애 정도,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자가보고형 설문지는, 음성장애지수(Voice Handicap Index, VHI)를 판단하기 위한 설문지 및 음성관련 삶의 질(Korean Version of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을 판단하기 위한 설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설문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응답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자가보고형 설문지는 이미 각 항목별 점수를 부여하는 기준이나, 점수에 따라 음성장애 여부를 판단하거나 그 종류를 파악하는 프로토콜이 이미 구축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음성장애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torage unit 310 includes a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determining voice disorder,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voice disorder according to response data, a degree of voice disorder, and at least one voice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and degree of voice disorder. Treatment content can be databas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may include a questionnaire for determining the Voice Handicap Index (VHI) and a questionnaire for determining the Korean Version of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 can The questionnaire unit 320 may receive respons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100 . At this time, since the above-described self-report questionnaire has already established a standard for assigning points for each item and a protocol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voice disorder or identifying its type according to the sc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oice disorder exists using this standard. database can be made. Of course, various self-report questionnaires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methods described above.

음성분석부(3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음성발화를 입력받은 경우, 기 구축된 음성장애 판단 알고리즘에 질의(Query)로 입력하여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를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기 구축된 음성장애 판단 알고리즘은, 음성발화를 입력받아 GRBAS(Grade, Roughness, Breathiness, Asthenicity, Strain) 또는 CAPE-V(Consensus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를 포함하는 평가척도로 음성발화로 음성장애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When a voice speech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voice analysis unit 330 may analyze the presence and degree of voice disorder by inputting it as a query to a pre-established voice disorder determination algorithm. The pre-constructed voice disorder judgment algorithm receives voice speech and evaluates voice disorder as an evaluation scale including GRBAS (Grade, Roughness, Breathiness, Asthenicity, Strain) or CAPE-V (Consensus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It may be an algorithm that determines

<VRP><VRP>

추가적으로, 음성 범위 프로파일(Voice Range Profile, VRP)은 음향학적인 평가의 하나이며, 특정 대상자의 음역대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이다. 이를 통해 측정한 양적 측정치들은 가창 훈련 시 출발점을 제시하거나 훈련 성과를 측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고, 음성장애의 진단에도 이용되며, 음성치료를 통한 진전 정도를 평가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최근 ASHA(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전문가 패널의 논의를 통해 발성 기능의 기기적 평가를 위한 프로토콜의 핵심 과제와 측정치들을 제시하였는데, 여기에서도 이러한 음역대를 측정하는 절차를 필수적으로 포함할 것을 권고하였다. 즉 발성 음압(Vocal Sound Pressure Level)과 발성 주파수(Vocal Frequency)의 최소 및 최대치를 측정할 것을 권고하였으며, 이때 임상에서의 간단한 시행을 위해 가장 큰 소리와 작은 소리, 가장 높은 음도와 낮은 음도를 1초 동안 유지하도록 하는 과제를 제안하기도 하였다.Additionally, the Voice Range Profile (VRP) is one of the acoustic evaluations and is a test that can objectively measure the sound range of a specific subject. Quantitative measures measured through this can be used to suggest a starting point for singing training or to measure training performance, and are also used for diagnosing voice disorders, and are also useful for evaluating the progress through voice therapy. A recent discussion by an expert panel of the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ASHA) presented key tasks and measurements of the protocol for instrumental evaluation of vocal function, and it is also recommended to include a procedure for measuring the range as essential here. did That is, it is recommended to measure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Vocal Sound Pressure Level and Vocal Frequency. They also suggested a task to hold for seconds.

VRP는 이보다 훨씬 다양한 검사 수행방식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가장 저음에서 고음에 이르기까지, 또 각 반음(Semitone)에서 개별 음 자극을 참고로 하여 가장 작은 음에서 큰 음에 이르기까지 각각 음도와 크기의 범위를 기록함으로써 전체 포네토그램(Full Phonetogram)을 확립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시간적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남성의 경우 7개의 음, 여성의 경우 넓은 음역대를 반영하여 9개의 음에서 강도의 범위를 측정하는 축약된 VRP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여러 번의 활창을 통해 음역대를 확립하거나, 편안한 음도와 크기에서 출발하여 가장 낮고 작은 소리까지 계단식으로 활창(DeCrescendo)한 뒤, 다시 첫 음에서 가장 제일 크고 높은 음에 이르기까지 활창(Crescendo)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정상인의 VRP의 경우 대개 주파수와 강도가 비례하여 포네토그램이 우상향으로 기울어진 타원 모양이 된다는 점에 기반한다. VRP can be performed using a much more diverse test performance method than this, for example, from the lowest to the highest pitch, and from the smallest to the loudest by referring to individual sound stimuli in each semitone. There is a way to establish a full phonetogram by recording a range of sizes. Alternatively, in order to improve time efficiency, an abbreviated VRP method that measures the range of intensity in 7 notes for males and 9 notes for females by reflecting a wide range of voices can be used. , It is possible to use a method of starting from a comfortable pitch and volume, cascading (DeCrescendo) to the lowest and lowest sound, and then crescendo from the first sound to the largest and highest sound. In most cases, it is based on the fact that frequency and intensity are proportional, so that the phonetogram becomes an ellipse tilted upward.

다양한 방식의 VRP는 대상자의 발성 능력을 평가하고, 그 변화를 추적하며, 대상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VRP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을 살펴보았을 때, 음성장애 환자의 VRP 범위가 정상 음성을 가진 정상군에 비해 감소한다거나, 특정 치료기법을 사용한 음성치료 후 증가하므로 진단 및 중재효과 평가 도구로서의 가능성이 있다. VRP는 대개 모음 발성을 통해 평가되는데, 이는 실제 발화를 산출할 때의 다양한 발성 양식이 온전히 반영된 것으로 보기 어렵다는 한계를 불러오게 된다. Various types of VRP can evaluate the subject's vocal ability, track its change, and provide feedback to the subject. Specifically, when examining various studies related to VRP, the VRP range of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decreases compared to normal groups with normal voice or increases after voice therapy using specific treatment techniques, so it has potential as a tool for diagnosis and intervention effect evaluation there is VRP is usually evaluated through vowel vocalization, which bring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see that various vocalization patterns are fully reflected when producing actual speech.

<SRP><SRP>

이러한 맥락에서 여러 연구들에서는 발화 범위 프로파일(Speech Range Profile, SRP)을 통해 기능적 말 산출 능력을 평가하거나, 중재 전후의 음성 변화를 살펴 보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발화를 이용하는 특성상, SRP는 자동구어에 해당되는 숫자세기를 비롯하여 독백, 문장 및 문단 읽기, 노래하기, 소리지르기 등 다양한 과제와 자료를 이용하여 시행될 수 있다. 예컨대 서술문을 비롯하여 의문문, 큰 소리 지르기가 포함된 문단 수준의 새로운 SRP 발화과제를 이용하여 정상인에서 주파수 및 강도 측정치를 제시할 수도 있다. SRP 또한 VRP와 마찬가지로, 주파수와 강도 관련 변수에 있어 음성장애를 지닌 환자군과 정상 음성을 지닌 정상군 간의 차이가 있다. 또, VRP의 면적, 최대 및 최소 강도와 SRP의 SF0 범위, 그리고 강도의 최댓값을 이용하여 각각 음성장애 여부를 95% 이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VRP와 SRP의 측정치들이 음성장애를 선별하는 검사도구로써 사용될 가능성을 시사하므로 이 두 가지의 방법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In this context, several studies may use a method to evaluate functional speech production ability through a speech range profile (SRP) or to examine voice chang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Due to the nature of using speech, SRP can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tasks and materials such as counting, which is an automatic spoken language, monologue, reading sentences and paragraphs, singing, and shouting. For example, frequency and intensity measurements can be presented in a normal person using a paragraph-level new SRP speech task that includes statements, interrogative sentences, and loud shouting. Like VRP,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patient group with voice impairment and the normal group with normal voice in terms of frequency and intensity-related variables. In addition, using the area, maximum and minimum intensity of the VRP, SF0 range of the SRP,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intensity, it is possible to predict with more than 95% accuracy each voice disorder. As such, the measurement values of VRP and SRP suggest the possibility of being used as a test tool for screening voice disorders, so these two methods can be used more.

<EGG><EGG>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비교적 간단한 형태의 VRP와 SRP를 적용한 후, 이를 통해 측정한 발성 주파수와 관련된 변수들을 이용하여, 문단 읽기 과제 수행 시 전기성문파형검사(ElectroGlottoGraphy, EGG)로 측정한 평균 발화 기본주파수(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SF0)를 예측할 수 있는 두 개의 모형을 구축할 수도 있다. 그리고 VRP와 SRP의 각 모형을 통해 예측된 SF0를 추정 발화 기본주파수(Estimated SF0)를 ESF0VRP와 ESF0SRP로 정의하고, 정상인에서 SF0EGG와 ESF0 간 차이의 절댓값, 즉 발화 기본주파수 차이(Differences in SF0, ΔSF0VRP와 ΔSF0SRP)를 계산하고, 두 ΔSF0의 합계(ΔSF0SUM) 또한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상 성인에서 성별에 따른 각 변수의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이때, 음성장애를 가진 환자군과 정상군 간 ΔSF0VRP와 ΔSF0SRP, ΔSF0SUM의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만약 차이가 있다면 음성장애 선별 검사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이를 음성장애 선별에 이용할 수도 있다.Average speech fundamental frequency measured by ElectroGlottoGraphy (EGG) during paragraph reading task using variables related to speech frequency measured through relatively simple VRP and SRP applied to normal adults It is also possible to build two models that can predict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SF0). In addition, SF0 predicted through each model of VRP and SRP is defined as ESF0VRP and ESF0SRP as estimated firing fundamental frequencies (Estimated SF0),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SF0EGG and ESF0 in normal people, that is, differences in firing fundamental frequencies (Differences in SF0, ΔSF0VRP and ΔSF0SRP), and the sum of the two ΔSF0s (ΔSF0SUM) can also be calculat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sent the data of each variable according to gender in normal adults. At this tim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ΔSF0VRP, ΔSF0SRP, and ΔSF0SUM between the patient group with voice disorder and the normal group, and if there is a difference, a database can be established to determine whether it can be used as a screening tool for voice disorder, and then it can be used for screening voice disorder. there is.

따라서 음성장애를 지닌 환자군과 정상군의 집단과 성별에 따른 ΔSF0VRP, ΔSF0SRP, ΔSF0SUM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를 구축한 후, SF0EGG, ESF0VRP, ESF0SRP 간 상관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세 가지의 ΔSF0가 청지각적 평가를 통해 측정된 전반적 중증도 평정치와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며, 음성장애에 대한 선별검사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한 후, 환자군과 정상군 간의 구분을 위한 기준점(Cutoff Score)을 세팅 및 본 발명의 플랫폼에 적용할 수도 있다.Therefore, after constructing data that can confirm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ΔSF0VRP, ΔSF0SRP, and ΔSF0SUM according to gender between the patient group with voice disorder and the normal group, and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SF0EGG, ESF0VRP, and ESF0SRP, and the three ΔSF0 After confirming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with the overall severity rating measured through auditory perceptual evaluation, and whether it has usefulness as a screening test tool for voice disorders, a cutoff score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patient group and the normal group is established. settings and may be applied to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자가치료부(340)는, 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로 분석된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는, 동영상, 애니메이션 및 카툰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는 교구 또는 치료도구를 이용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음성장애를 판단하기 위한 자가보고형 설문지에 응답 데이터를 입력하고, 음성발화를 녹음 또는 실시간 업로드하며, 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로 분석된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The self-treatment unit 340 may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voice treat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and degree of voice disorder analyzed by response data and voice speech. The at least one voice therapy content may be at least one of video, animation, and cartoon content, and any one of the at least one content may be content using a teaching aid or a treatment tool. The user terminal 100 inputs response data into a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determining voice disorder, records or uploads voice speech in real time, and responds to at least One voice therapy content can be output.

3요소분석부(35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나이 및 성별을 입력받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되는 음성발화의 세기인 음의 강도, 높낮이인 음도 및 음색을 포함하는 음의 3 요소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된 나이 및 성별에 대응하는 스펙트럼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음성장애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는데, 장애 음성 검출을 위한 특징 추출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 음성인식이나 화자인식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MFCC(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와 같은 입력 음성의 스펙트럼 특성을 나타내는 특징벡터를 사용하나 장애 음성 검출을 위해서는 이와는 다른 특징 벡터들을 이용한다. 발성 장애가 있는 경우, 일정한 음높이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어 피치주파수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나는 편이다. 모음을 길게 발음할 경우 장애가 있으면 일정한 크기의 발성에 어려움 때문에 음성 신호의 진폭 변화가 상대적으로 심하게 나타난다. 구음 장애의 경우 성문 닫힘이 주기적 또는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유성음을 발성할 경우에도 무성음과 유사한 발성이 나타난다거나 하모닉스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잡음과 유사한 특성의 신호가 포함되기도 한다.The three-factor analysis unit 350 receives age and gender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determines three factors of sound including intensity of sound, which is the intensity of voice speech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pitch and timbre of pitch. If the element is not included in the spectrum corresponding to the age and gender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it can be analyzed as a voice disorder. In this case,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may be used, and feature extraction for detecting a speech impairment may be performed first. For speech recognition or speaker recognition, feature vectors representing spectral characteristics of input speech, such as MFCC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are generally used, but different feature vectors are used for detection of impaired speech. In the case of dysphonia,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pitch, and the change in pitch frequency tends to be severe. When pronouncing a vowel for a long time, if there is a disability, the amplitude change of the voice signal appears relatively severe because it is difficult to pronounce a certain volume. In the case of dysarthria, glottal closure is not performed periodically or accurately, so even when voiced sounds are uttered, voices similar to voiceless sounds may appear, harmonics may not be properly formed, and signals with characteristics similar to noise may be included.

이러한 장애 음성의 특성을 이용하기 위해 피치의 변화율을 계산하는 Jitter, 음성 신호의 최대 진폭 변화율을 측정하는 Shimmer, 유성음 발성에 따른 고조파 성분과 잡음의 비율을 계산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하는 HNR/NHR(Harmonics to Noise Ratio/Noise to Harmonics Ratio) 등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인 특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피치의 안정도 측정을 위한 엔트로피 측정(Phase Permutation Entropy, PPE), 비선형적인 성대 바이브레이션과 비슷한 저주파 바이브레이션을 표현하는 Non-Stationary 신호에서의 자기상관도를 측정(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DFA), 바이브레이션의 주기 변이를 측정하여 성대의 지속적 진동 유지 능력을 측정(RPDE) 하여 특징벡터로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use these characteristics of impaired speech, Jitter calculates the rate of change of pitch, Shimmer measures the rate of change of the maximum amplitude of the voice signal, and HNR / HNR / Tradit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NHR (Harmonics to Noise Ratio/Noise to Harmonics Ratio)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is, entropy measurement (Phase Permutation Entropy, PPE) for pitch stability measurement, autocorrelation measurement in non-stationary signals expressing low-frequency vibration similar to nonlinear vocal cord vibration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DFA), Period shift can be measured to measure the ability of the vocal folds to maintain continuous vibration (RPDE), which can be used as a feature vec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통적인 특징들과 최근 제안된 특징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특징은 이하 표 1과 같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ditional features and recently proposed features can be used, and the features are shown in Table 1 below.

1One Jitter:

Figure 112022055663227-pat00001

Jitter:
Figure 112022055663227-pat00001

22 Jitter를 F0의 평균값으로 나눈 값Jitter divided by the average value of F0 33 Jitter의 K싸이클에 대한 Perturbation QuotientPerturbation Quotient for Jitter K Cycle 44 F0의 편차에 대한 평균값Mean value for the deviation of F0 55 Shimmer:
Figure 112022055663227-pat00002
Shimmer:
Figure 112022055663227-pat00002
66 Shimmer를 A0의 평균값으로 나눈 값Shimmer divided by the average value of A0 77 Shimmer의 K싸이클에 대한 Perturbation Quotient (K=3)Shimmer's Perturbation Quotient for K Cycle (K=3) 88 Shimmer의 K싸이클에 대한 Perturbation Quotient (K=5)Shimmer's Perturbation Quotient for K Cycle (K=5) 99 A0 편차에 대한 평균값Mean value for A0 deviation 1010 HNR:
Figure 112022055663227-pat00003
, Rxx(lmax): 최대자기상관도
HNR:
Figure 112022055663227-pat00003
, Rxx (lmax): maximum autocorrelation
1111 HNR의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of HNR 1212 NHR:
Figure 112022055663227-pat00004
NHR:
Figure 112022055663227-pat00004
1313 NHR의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of NHR 1414 PPE(Pitch Period Entropy)Pitch Period Entropy (PPE) 1515 DFA(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DFA) 1616 RPDE(Recurrence Period Density Entropy)Recurrence Period Density Entropy (RPDE)

1 내지 4는 Jitter 기반의 특징들이고 5 내지 9는 Shimmer 기반의 특징들이다. 이하 수학식에서 Fo,i는 i 번째 프레임의 피치 주파수이고, Ao,i는 i 번째 프레임의 진폭(프레임 내 샘플 절대값의 합)을 나타낸다.<특징벡터 스케일링>1 to 4 are Jitter based features and 5 to 9 are Shimmer based features. In the following equation, Fo,i is the pitch frequency of the i-th frame, and Ao,i represents the amplitude (sum of absolute values of samples within a frame) of the i-th frame. <Feature vector scaling>

특징벡터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해 추출될 수 있고, 따라서 각 특징들은 다양한 범위를 갖게 된다. 예를 들어, Jitter는 016~130, Shimmer는 001~015 일 수 있다. 상당수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에서는 이런 특징벡터 내의 특징들에 대한 스케일링과정을 전처리과정으로 거쳐야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두 특징벡터 간의 거리를 유클리디안 거리로 계산하는 기계학습의 경우는 특징벡터 중 특정 특징이 분포하는 범위가 넓다면, 그 특징에 의해서 전체 유클리디안 거리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특징벡터 스케일링과정이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을 사용하여 학습하는 기계학습의 경우, 특징벡터 내의 각 특징들의 스케일링 여부가 파라미터 학습의 수렴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경사 하강법으로 파라미터를 학습할 때는 특징이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는 식에 포함되므로 만일, 특징 간 범위가 다르다면 각 특징마다 파라미터의 업데이트 속도가 달라지게 된다.Feature vectors can be extracted through various algorithms, and therefore, each feature has a variety of ranges. For example, Jitter can be 016 to 130, and Shimmer can be 001 to 015. In many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 scaling process for features in these feature vectors is often required as a preprocessing proces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achine learning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wo feature vectors is calculated as the Euclidean distance, if the distribution range of a specific feature among feature vectors is wide, the overall Euclidean distance can be determined by the feature, so the feature vector scaling process This will greatly affect performance. In addition, in the case of machine learning learning using gradient descent, whether or not each feature in the feature vector is scaled affects the convergence process of parameter learning. When learning a parameter using the gradient descent method, the feature is included in the equation for updating the parameter, so if the range between the features is different, the update rate of the parameter for each feature is different.

어떤 특징벡터 x={x1,x2,...,xi,...,xN}에 대해, 기계학습의 전처리로 사용될 수 있는 스케일링 기법들은 이하와 같다.For a certain feature vector x={x1,x2,...,xi,...,xN}, scaling techniques that can be used as preprocessing of machine learning are as follows.

① Standardization은, 각 특징의 분포가 평균은 0, 표준편차는 1이 되도록정규화하는 과정으로서 학습데이터의 특징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이하 수학식 1과 같이 변환한다.① Standardization is a process of normalizing the distribution of each feature so that the mean is 0 and the standard deviation is 1, and is converted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using the featur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learning data.

Figure 112022055663227-pat00005
Figure 112022055663227-pat00005

② Min-max Scaling은 특징 분포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보통 최소값은 0, 최대값은 1로 제한하도록 변환한다.② Min-max Scaling limits the range of feature distribution, and usually converts to limit the minimum value to 0 and the maximum value to 1.

Figure 112022055663227-pat00006
Figure 112022055663227-pat00006

③ Abs-Max Scaling은 특징의 절대값 분포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보통 절대값의 최대값이 1이 되도록 한다. 즉, 특징의 최대절대값이 1이 넘지 않도록 정규화한다. 앞의 두 가지 스케일링 기법과 달리 특징으로부터 상수를 차감하지 않으므로 스케일링 후에도 특징의 부호가 바뀌지 않는다.③ Abs-Max Scaling restricts the distribution of the absolute value of a feature. Usually, the maximum value of the absolute value is 1. That is, it is normalized so that the maximum absolute value of the feature does not exceed 1. Unlike the previous two scaling techniques, since a constant is not subtracted from the feature, the sign of the feature does not change after scaling.

Figure 112022055663227-pat00007
Figure 112022055663227-pat00007

④ Normalization은 특징벡터의 Norm이 1이 되도록 정규화한다. 이러한 정규화는 두 특징벡터 간의 거리 측정을 위해 내적을 사용하는 경우는 L2 Norm을, 히스토그램을 나타내는 특징에서 맨하탄거리로 거리를 측정할 때는 L1 Norm을 사용할 수 있다.④ Normalization normalizes the feature vector so that its norm is 1. For this normalization, L2 Norm can be used when the dot product is used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wo feature vectors, and L1 Norm can be used when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feature representing the histogram to the Manhattan distance.

Figure 112022055663227-pat00008
Figure 112022055663227-pat00008

위에서 열거한 스케일링 기법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는지는 기계학습 방법에 의해서만 결정되지는 않는다. 기계학습의 종류와 함께 특징의 속성에 따라 스케일링 기법들의 효과가 달라지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스케일링 기법의 선택은 실험적으로 결정된다.Which of the scaling techniques listed above should be used is not determined solely by machine learning methods. In general, the selection of a scaling technique is determined experimentally, since the effects of scaling techniques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features along with the type of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 방법><Machine learning method>

KNN(K-Nearest Neighbors)는, 수학적인 모델을 사용하지 않는 분류방법으로서, 테스트 데이터의 특징벡터와 가장 가까운 학습 데이터의 특징벡터 K개를 선택한 후, 가장 많은 수의 데이터가 속한 클래스로 할당한다. SVM(Support Vector Machine)은 클래스 간의 마진을 최대로 하는 선형 함수를 찾아 두 클래스를 분류한다. 커널법을 도입하여 비선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의사결정 트리(Decision Tree)는 질문에 대한 답변에 따라 다른 가지로 분기하여 최종 노드에서 클래스를 분류하는 방법이다.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는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학습이 적용되었다.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는 의사결정 트리의 확장 개념으로서 전체 학습데이터에서 임의로 데이터 셋을 추출하여 여러 개의 트리를 생성한 후, 배깅(Bootstrap Aggregating, Bagging) 방법을 이용하여 분류 결과를 결정한다. 아다부스트(Adaboost)는 단순한 분류기들을 결합하여 높은 성능의 분류기를 만드는 방법으로서 분류 성능에 따라 가중치를 학습하게 된다. 나이브 베이즈(Naive Bayes)는 특징들이 서로 독립이라는 가정하에 각 특징에 대해 Bayes 분류기를 만들어 결합한 분류기이다. 신경망(Neural Networks)은 인공 신경망 분류기로서 입출력층 외에 은닉층을 갖는 구조를 적용하는 Multilayer Perceptron을 사용한다. LDA(Linear Discriminant Analysis)는, 두 개의 클래스가 각각 가우시안분포를 따르고 분산행렬이 대각행렬이라고 가정하여 선형 경계면을 결정한다. QDA(Qudratic Discriminant Analsysis)는, LDA와 달리 분산행렬이 대각행렬이라는 가정을 적용하지 않는다. 상술한 기계학습을 모두 이용하여 학습 및 검증을 통해 모델링을 수행한 후 가장 정확도가 높게 나온 기계학습을 본 발명의 알고리즘으로 세팅할 수 있다.KNN (K-Nearest Neighbors) is a classification method that does not use a mathematical model. After selecting K feature vectors of the training data that are closest to the feature vectors of the test data, they are assigned to the class to which the largest number of data belongs. . Support Vector Machine (SVM) classifies two classes by finding the linear function that maximizes the margin between classes. The kernel method can be introduced to solve nonlinear problems. A decision tree is a method of classifying a class at the final node by branching into different branches according to the answer to the question. CART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learning using statistical methods was applied. A random forest is an extension of the decision tree, which randomly extracts a data set from the entire training data to generate several trees, and then determines the classification result using the bootstrap aggregating (bagging) method. Adaboost is a method of combining simple classifiers to create a high-performance classifier, and learns weight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performance. Naive Bayes is a classifier that creates and combines Bayes classifiers for each featur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feature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Neural Networks i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classifier that uses a multilayer perceptron that applies a structure with a hidden layer in addition to an input/output layer. LDA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determines a linear boundary surface by assuming that the two classes each follow a Gaussian distribution and that the variance matrix is a diagonal matrix. QDA (Qudratic Discriminant Analsysis), unlike LDA, does not apply the assumption that the variance matrix is a diagonal matrix. After performing modeling through learning and verification using all of the above-described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with the highest accuracy can be set as the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치료연계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치료기관 및 의료진 풀(Pool)을 구축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한 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에 대응하여 음성장애로 분류된 경우, 음성장애를 치료할 적어도 하나의 치료기관 및 의료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분석결과를 연계할 수 있다. 안내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출력할 때,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되는 음성발화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음성발화를 분석한 후 음성발화 지시사항을 출력할 수 있다.The treatment connection unit 360 builds at least one treatment institution and a pool of medical staff, and treats the voice disorder when it is classified as a voice disorder in response to the response data and voice speech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Information on at least one treatment institution and medical staff may be provided or analysis results may be linked. When outputting at least one voice treatment content, the guidance unit 370 may receive voice speech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in real time, analyze the voice speech, and then output voice speech instructions.

기록제공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의 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가 음성장애로 분석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음성치료 콘텐츠로 자가 음성치료 프로세스를 진행한 후, 사용자 단말(100)에서 분석 및 치료 히스토리를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분석 및 치료 히스토리를 전달할 수 있다. 의료진연결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과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을 연결할 수 있다. 비대면 진료가 가능한 경우 이를 제공할 수 있다. 기록보호부(391)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분석 및 치료 히스토리를 출력할 때, 서버기반컴퓨팅(Server Based Computing) 또는 데스크탑 가상화(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를 진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recording provider 380 analyzes the response data and voice utterance of the user terminal 100 as a voice disorder, performs a self-voice treatment process with the voice treatment contents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n records the user terminal 100 When requesting the analysis and treatment history, the analysis and treatment history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s connection with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the medical staff connection unit 390 may connect th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If non-face-to-face care is possible, it can be provided. The record protection unit 391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server-based computing or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when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outputs the analysis and treatment history of the user terminal 100. there is.

이하, 상술한 도 2의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examples.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an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a)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자가진단형 설문지와 음성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그리고, (b) 사용자 단말(100)에서 자가진단형 설문지에 응답을 하고 음성발화를 하는 경우, 이를 분석하여 진단결과를 제공하고, 자가 음성치료를 할 수 있도록 음성치료 프로세스 또는 콘텐츠를 제공한다. (c)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요청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또는 의료기관이나 치료기관과 연계해줄 수도 있다. 도 4a와 같은 플랫폼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고, 도 4b 내지 도 4q 등과 같은 자가진단형 설문지나 음성발화를 판단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설문지나 측정도구는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3, (a) the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builds a self-diagnosis questionnaire and a database for a program or algorithm for voice analysis. And, (b)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sponds to the self-diagnostic questionnaire and utters voice speech, it is analyzed to provide a diagnosis result, and a voice treatment process or content is provided so that self-diagnosis can be performed. (c) When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100, the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link with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400 or a medical institution or treatment institution. A platform page as shown in FIG. 4a may be provided, and a self-diagnosis type questionnaire as shown in FIGS. 4b to 4q or a measurement tool capable of determining voice speech may be provided. Of course, the questionnaire or measurement tool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not described in the self-voice therapy service provision method of FIGS. 2 to 4 are the same as or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self-voice therapy service provision method through FIG. Omit the explan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self-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ystem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through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may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음성장애를 판단하기 위한 자가보고형 설문지, 응답 데이터에 따른 음성장애 여부 판단 기준 및 음성장애 정도,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 하고(S5100),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 데이터를 입력한다(S5200).Referring to FIG. 5, the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es a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determining voice disorder,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voice disorder according to response data, a degree of voice disorder, and at least one voice corresponding to whether and how much of a voice disorder. The treatment contents are made into a database (S5100), and response data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S5200).

그리고,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발화를 입력받은 경우, 기 구축된 음성장애 판단 알고리즘에 질의(Query)로 입력하여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를 분석하고(S5300), 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로 분석된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한다(S5400).In addition, when the voice treat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voice speech from the user terminal, it is input as a query to the previously built voice disorder determination algorithm to analyze whether and how much the voice disorder exists (S5300), and the response data and voice At least one voice treat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whether and how much the speech disorder is analyzed is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40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400)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simultaneously executed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not explained about the self-voice therapy service provision method of FIG. 5 are the same as or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self-voice therapy service provision method through FIGS. 1 to 4. Omit the explanation.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self-speech therapy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a self-speech therap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this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and , It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that is, a program) that the user directly installs in the master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is sense,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a self-speech therap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that is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is readable by a computer such as a terminal. It can be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10)

음성장애를 판단하기 위한 자가보고형 설문지에 응답 데이터를 입력하고, 음성발화를 녹음 또는 실시간 업로드하며, 상기 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로 분석된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음성장애를 판단하기 위한 자가보고형 설문지, 응답 데이터에 따른 음성장애 여부 판단 기준 및 음성장애 정도, 상기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응답 데이터를 입력받는 설문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발화를 입력받은 경우, 기 구축된 음성장애 판단 알고리즘에 질의(Query)로 입력하여 상기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를 분석하도록 하는 음성분석부, 상기 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로 분석된 음성장애 여부 및 정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자가치료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나이 및 성별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되는 음성발화의 세기인 음의 강도, 높낮이인 음도 및 음색을 포함하는 음의 3 요소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나이 및 성별에 대응하는 스펙트럼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음성장애로 분석하는 3요소분석부, 적어도 하나의 치료기관 및 의료진 풀(Pool)을 구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에 대응하여 음성장애로 분류된 경우, 상기 음성장애를 치료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료기관 및 의료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분석결과를 연계하는 치료연계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과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을 연결하되, 비대면 진료가 가능한 경우 의료진 단말과의 연결을 제공하는 의료진연결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분석 및 치료 히스토리를 출력할 때, 서버기반컴퓨팅(Server Based Computing) 또는 데스크탑 가상화(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를 진행하도록 설정하는 기록보호부를 포함하는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3요소분석부는,
음성장애의 분석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되 장애 음성 검출을 위한 특징 추출을 수행하고,
특징 추출시, 입력 음성의 스펙트럼 특성을 나타내는 특징벡터인 MFCC(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를 사용하되,
발성 장애가 있는 경우, 일정한 음높이의 유지가 어려워 피치주파수의 변화가 장애가 없는 경우 대비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나고, 장애가 있을 때 모음을 길게 발음할 경우 일정 크기의 발성에 어려움이 있어 음성 신호의 진폭 변화가 장애가 없는 경우 대비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나며, 구음 장애의 경우 성문 닫힘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유성음을 발성할 경우에도 무성음과 유사한 발성이 나타나거나 하모닉스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잡음과 유사한 특성의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는 장애 음성의 특성을 이용한 장애 음성 검출을 위해,
상기 MFCC와는 다른 특징 벡터들로서, 피치의 변화율을 계산하는 Jitter와, 음성 신호의 최대 진폭 변화율을 측정하는 Shimmer와, 유성음 발성에 따른 고조파 성분과 잡음의 비율을 계산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하는 HNR/NHR(Harmonics to Noise Ratio/Noise to Harmonics Ratio)을 기반으로 하는 특징 벡터를 사용하되, 추가적으로 피치의 안정도 측정을 위한 엔트로피 측정(Phase Permutation Entropy, PPE)과, 비선형적인 성대 바이브레이션과 비슷한 저주파 바이브레이션을 표현하는 Non-Stationary 신호에서의 자기상관도의 측정(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DFA)과, 바이브레이션의 주기 변이를 측정하여 성대의 지속적 진동 유지 능력을 측정(RPDE)함으로써 획득된 데이터를 특징벡터로 사용하고,
이후, 복수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으로 추출된 특징벡터들 내 특징들에 대하여 복수의 스케일링 기법 중 특정 스케일링 기법을 선택해 적용함으로써 전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선택시 기계학습의 종류와 특징의 속성에 따라 스케일링 기법의 적용에 의한 효과가 달라짐을 고려하여 복수의 스케일링 기법 중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스케일링 기법을 적용하여 전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스케일링 기법에는,
각 특징의 분포를 평균이 0이 되고 표준편차가 1이 되도록 정규화하는 제1 기법인 Standardization, 특징 분포의 범위를 최소값이 0으로 되고 최대값이 1로 되도록 제한하는 제2 기법인 Min-max Scaling, 특징의 절대값 분포를 제한하여 절대값의 최대값이 1이 되도록 정규화하고, 스케일링 후 특징의 부호가 바뀌지 않는 제3 기법인 Abs-Max Scaling, 및 특징벡터의 Norm이 1이 되도록 정규화하되, 정규화시 두 특징벡터 간의 거리 측정을 위해 내적을 사용하는 경우 L2 Norm을 사용하고, 히스토그램을 나타내는 특징에서 맨하탄거리로 거리를 측정하는 경우 L1 Norm을 사용하도록 마련되는 제4 기법인 Normalization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에는,
수학적인 모델을 사용하지 않는 분류방법으로서 테스트 데이터의 특징벡터와 가장 가까운 학습 데이터의 특징벡터 K개를 선택한 후, 가장 많은 수의 데이터가 속한 클래스로 할당하는 제1 알고리즘인 KNN(K-Nearest Neighbors),
클래스 간의 마진을 최대로 하는 선형 함수를 찾아 두 클래스를 분류하는 제2 알고리즘인 SVM(Support Vector Machine),
질문에 대한 답변에 따라 다른 가지로 분기하여 최종 노드에서 클래스를 분류하는 제3 알고리즘인 의사결정 트리(Decision Tree),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는 제4 알고리즘인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전체 학습데이터에서 임의로 데이터 셋을 추출하여 여러 개의 트리를 생성한 후, 배깅(Bootstrap Aggregating, Bagging) 방법을 이용하여 분류 결과를 결정하는 제5 알고리즘인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분류 성능에 따라 가중치를 학습하게 되는 제6 알고리즘인 아다부스트(Adaboost),
특징들이 서로 독립이라는 가정하에 각 특징에 대해 Bayes 분류기를 만들어 결합한 분류기인 제7 알고리즘인 나이브 베이즈(Naive Bayes),
인공 신경망 분류기로서 입출력층 외에 은닉층을 갖는 구조를 적용하는 Multilayer Perceptron을 사용하는 제8 알고리즘인 신경망(Neural Networks),
두 개의 클래스가 각각 가우시안분포를 따르고 분산행렬이 대각행렬이라고 가정하여 선형 경계면을 결정하는 제9 알고리즘인 LDA(Linear Discriminant Analysis), 및
분산행렬이 대각행렬이라는 가정을 적용하지 않는 제10 알고리즘인 QDA(Qudratic Discriminant Analsysis)를 포함하고
상기 3요소분석부는, 상기 제1 알고리즘 내지 제10 알고리즘을 모두 이용하여 학습 및 검증을 통해 모델링을 수행한 후 상기 제1 알고리즘 내지 제10 알고리즘 중 가장 정확도가 높게 나온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상기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이용되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으로 세팅하고,
상기 자가보고형 설문지는,
음성장애지수(Voice Handicap Index, VHI)를 판단하기 위한 설문지 및 음성관련 삶의 질(Korean Version of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을 판단하기 위한 설문지를 포함하되,
기 구축되어 있는 각 항목별 점수를 부여하는 기준과 점수에 따라 음성 장애 여부를 판단하거나 종류를 파악하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음성장애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되고,
상기 음성관련 삶의 질을 판단하기 위한 설문지는, 목소리의 문제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의 확인을 위해, 과거 2주 동안의 목소리가 어떤지를 고려하여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되,
목소리 때문에 시끄러운 상황에서 크게 말하기가 힘들거나 남들이 내 말을 잘 알아듣기 힘들어한다에 해당하는 제1 문항, 말할 때 숨이 차고 숨이 자주 쉰다에 해당하는 제2 문항, 때때로 말을 시작할 때 어떤 목소리가 나올지 예측하기 힘들다에 해당하는 제3 문항, 내 목소리 때문에 때때로 불안하거나 당황스럽다에 해당하는 제4 문항, 내 목소리 때문에 때때로 우울해진다에 해당하는 제5 문항, 내 목소리 때문에 전화 통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에 해당하는 제6 문항, 내 목소리 때문에 직업이나 전문적인 일을 하는 동안 어려움이 있다에 해당하는 제7 문항, 사회생활 하는 것을 피하게 된다에 해당하는 제8 문항, 남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반복해서 말을 해야만 한다에 해당하는 제9 문항 및 내 목소리 때문에 덜 외향적이다에 해당하는 제10문항을 포함하고,
상기 의료진 단말은, 개인정보보호를 위하여 타임스탬프나 SBC(Server Based Computing)가 구동되는 단말이고,
의료진 단말과 연결된 상기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는, 내부 데이터 및 파일을 의료진 단말에서 저장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개인정보유출을 막을 수 있도록 하되, 의료진 단말에서 입력되는 정보에 위변조 방지를 위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에서의 요청시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 또는 의료기관이나 치료기관과 연계해 주는 것인,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Entering response data into a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determining voice disorder, recording or uploading voice speech in real time, and at least one voice treat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and degree of voice disorder analyzed by the response data and voice speech a user terminal that outputs; a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determining voice disorder, a criterion for determining voice disorder according to response data and a degree of voice disorder, a storage unit that compiles at least one voice treat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and degree of voice disorder into a database, the user terminal A questionnaire unit for receiving the respons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a voice analysis unit for inputting a query into a pre-established speech impairment determination algorithm to analyze the presence and degree of the speech impairment when receiving voice speech from the user terminal; A self-treatment unit that outputs at least one voice treat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and degree of voice disorder analyzed by the response data and voice speech from the user terminal; receives input of age and gender from the user terminal; Three-factor analysis that analyzes as a voice disorder if the three elements of sound, including the intensity of the input voice speech, the pitch and tone, are not included in the spectrum corresponding to the age and gender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t least one treatment institution and a pool of medical staff are established, and if the voice disorder is classified in response to response data and voice speech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he at least one treatment institution to treat the voice disorder, and A treatment linkage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medical staff or links analysis results, and when the user terminal requests a connection with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connects the user terminal and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enabling non-face-to-face treatment In this case, when outputting the analysis and treatment history of the user terminal in the medical staff connection unit that provides connection with the medical staff terminal, the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proceeds with Server Based Computing or Desktop Virtualization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a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record protection unit set to do so;
including,
The three element analysis unit,
When analyzing voice disorders,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is used, but feature extraction is performed to detect voice disorders,
In feature extraction, MFCC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which is a feature vector representing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speech, is used,
In the case of dysphonia,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pitch, so the change in pitch frequency is relatively strong compared to the case without the disorder. In the case of dysarthria, the glottal closure is not performed periodically, so even when voiced sounds are uttered, vocalizations similar to voiceless sounds appear, or harmonics are not formed and signals with characteristics similar to noise are included. In order to detect impaired voice using voice characteristics,
As feature vectors different from the MFCC, a jitter that calculates the rate of change of pitch, a shimmer that measures the rate of change of the maximum amplitude of the voice signal, and HNR that calculates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y calculating the ratio of harmonic components and noise according to voiced speech A feature vector based on /NHR (Harmonics to Noise Ratio/Noise to Harmonics Ratio) is used, but additionally, phase permutation entropy (PPE) for measuring pitch stability and low-frequency vibration similar to nonlinear vocal cord vibration are used. The data obtained by measuring the autocorrelation in the non-stationary signal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DFA) and measuring the ability to maintain continuous vibration of the vocal cords by measuring the periodic variation of vibration (RPDE) are used as feature vectors. ,
Thereafter, preprocessing is performed by selecting and applying a specific scaling technique among a plurality of scaling techniques to the features in the feature vectors extracted by a plurality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nd scaling according to the type of machine learning and the property of the feature at the time of selection. Considering that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the technique is different, preprocessing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experimentally determined scaling technique among a plurality of scaling techniques,
In the plurality of scaling techniques,
Standardization, the first technique that normalizes the distribution of each feature so that the mean is 0 and standard deviation is 1, and Min-max Scaling, the second technique that limits the range of the feature distribution so that the minimum value is 0 and the maximum value is 1. , Abs-Max Scaling, which is a third technique in which the absolute value distribution of the feature is restricted so that the maximum value of the absolute value is 1, and the sign of the feature does not change after scaling, and normalization so that the norm of the feature vector is 1, In normalization, L2 Norm is used when the dot product is used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wo feature vectors, and L1 Norm is used when the distance is measured with the Manhattan distance from the feature representing the histogram. Normalization, which is a fourth technique, i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s a classification method that does not use a mathematical model, the first algorithm KNN (K-Nearest Neighbors ),
Support Vector Machine (SVM), a second algorithm that classifies two classes by finding a linear function that maximizes the margin between classes;
A decision tree, which is a third algorithm that branches to different branches according to the answer to the question and classifies the class at the final node;
CART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which is a fourth algorithm using statistical methods;
A fifth algorithm, Random Forest, which randomly extracts a data set from all training data to create several trees and then determines the classification result using a bagging (Bootstrap Aggregating, Bagging) method;
Adaboost, a sixth algorithm that learns weight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performance;
Naive Bayes, the seventh algorithm, which is a classifier that creates and combines Bayes classifiers for each featur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features are independent;
Neural Networks, an eighth algorithm using a multilayer perceptron that applies a structure with a hidden layer in addition to an input/output layer a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classifier;
LDA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which is a ninth algorithm for determining a linear boundary surface by assuming that the two classes each follow a Gaussian distribution and the variance matrix is a diagonal matrix, and
It includes a 10th algorithm, Quadratic Discriminant Analsysis (QDA), which does not apply the assumption that the variance matrix is a diagonal matrix,
The three-factor analysis unit performs modeling through learning and verification using all of the first to tenth algorithms, and then uses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that has the highest accuracy among the first to tenth algorithms for the voice therapy service. Set to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used in the providing server,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Including a questionnaire for determining the Voice Handicap Index (VHI) and a questionnaire for determining the Korean Version of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
It is databa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voice disorder by using a protocol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voice disorder or to identify the type according to the criteria and scores for assigning scores for each item that have been established,
The questionnaire for determining the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is prepared so that responses to each question are made in consideration of how the voice has been for the past two weeks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voice problems on daily life,
Item 1 corresponds to Difficulty speaking loudly in noisy situations because of the voice or it is difficult for others to understand me, Item 2 corresponds to shortness of breath when speaking and shortness of breath. Question 3 is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ether will come out", Question 4 is "Sometimes anxious or embarrassed because of my voice", Question 5 is "Sometimes I get depressed because of my voice", Question 5 is "I have difficulty talking on the phone because of my voice" Item 6 pertains, Item 7 pertains to I have difficulties while doing my job or professional work because of my voice, Item 8 pertains to I avoid social life, I repeat words so that others can understand. Including item 9 corresponding to I have to and item 10 corresponding to I am less extroverted because of my voice,
The medical staff terminal is a terminal that runs timestamp or SBC (Server Based Computing)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e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connected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prevents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by preventing internal data and files from being stored in the medical staff terminal, but processing is performed to prevent forgery and alteration of information input from the medical staff terminal,
A system for providing a self-speech therapy service that links at least one medical staff terminal or medical institution or treatment institution upon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구축된 음성장애 판단 알고리즘은,
상기 음성발화를 입력받아 GRBAS(Grade, Roughness, Breathiness, Asthenicity, Strain) 또는 CAPE-V(Consensus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를 포함하는 평가척도로 상기 음성발화로 음성장애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re-constructed voice disorder determination algorith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algorithm that receives the speech speech and determines the voice disorder by the speech speech with an evaluation scale including GRBAS (Grade, Roughness, Breathiness, Asthenicity, Strain) or CAPE-V (Consensus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A self-speech therapy service providing syste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는,
동영상, 애니메이션 및 카툰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는 교구 또는 치료도구를 이용하는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voice therapy content,
At least one of video, animation, and cartoon content;
Self-speech therapy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at least one content is content using a teaching aid or a treatment too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치료 콘텐츠를 출력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되는 음성발화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상기 음성발화를 분석한 후 음성발화 지시사항을 출력하는 안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outputting the at least one voice treatment content, a guidance unit that receives voice speech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analyzes the voice speech, and then outputs voice speech instructions;
Self-speech therapy service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응답 데이터 및 음성발화가 음성장애로 분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음성치료 콘텐츠로 자가 음성치료 프로세스를 진행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분석 및 치료 히스토리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분석 및 치료 히스토리를 전달하는 기록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음성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voice therapy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the response data and voice speech of the user terminal are analyzed as a voice disorder, the user terminal performs a self-voice treatment process with the voice treatment contents, and then the user terminal requests analysis and treatment history, the user terminal a record providing unit that transmits the analysis and treatment history to;
Self-speech therapy service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64492A 2022-05-26 2022-05-26 System for providing self dysphonia treatment service KR1025644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492A KR102564412B1 (en) 2022-05-26 2022-05-26 System for providing self dysphonia treatment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492A KR102564412B1 (en) 2022-05-26 2022-05-26 System for providing self dysphonia treatment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412B1 true KR102564412B1 (en) 2023-08-04

Family

ID=8756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492A KR102564412B1 (en) 2022-05-26 2022-05-26 System for providing self dysphonia treatment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41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22B1 (en) * 2010-11-09 2012-04-06 김병일 Method for developmental disorders therapy using radio co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implementing the method
KR102063736B1 (en) * 2018-08-07 2020-01-08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larynx disorder based on application
KR20210051278A (en) * 2019-10-30 2021-05-10 신혜란 Web, Speech recognition and immersive virtual reality based Cognitive Speech Language Rehabilitation-Telepractice System for improving speech-language function of communication disord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22B1 (en) * 2010-11-09 2012-04-06 김병일 Method for developmental disorders therapy using radio co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implementing the method
KR102063736B1 (en) * 2018-08-07 2020-01-08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larynx disorder based on application
KR20210051278A (en) * 2019-10-30 2021-05-10 신혜란 Web, Speech recognition and immersive virtual reality based Cognitive Speech Language Rehabilitation-Telepractice System for improving speech-language function of communication disord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ang et al. Investigation of different speech types and emotions for detecting depression using different classifiers
KR1022161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disease that causes voice and swallowing disorders
Teixeira et al. Vocal acoustic analysis–classification of dysphonic voices with artificial neural networks
Karan et al.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based time-frequency feature extraction of voice signal for Parkinson's disease prediction
Narendra et al. Dysarthric speech classification from coded telephone speech using glottal features
Wang et al. Automatic assessment of pathological voice quality using multidimensional acoustic analysis based on the GRBAS scale
Arias-Vergara et al. Speaker models for monitoring Parkinson’s disease progression considering different communication channels and acoustic conditions
Ngo et al. Computerized analysis of speech and voice for Parkinson's disease: A systematic review
Benba et al. Voice assessments for detecting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s using PCA and NPCA
Chelali et al. Text dependant speaker recognition using MFCC, LPC and DWT
Zhang et al. Intelligent speech technologies for transcription, disease diagnosis, and medical equipment interactive control in smart hospitals: A review
Das et al. A CNN-BiLSTM based hybrid model for Indian language identification
Barbera et al. NUVA: a naming utterance verifier for aphasia treatment
Kulkarni et al. Child cry classification-an analysis of features and models
Reddy et al. Exemplar-Based Sparse Representations for Detection of Parkinson's Disease From Speech
Hall et al. An investigation to identify optimal setup for automated assessment of dysarthric intelligibility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ies
Zolnoori et al. ADscreen: A speech processing-based screening system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ementia
Hashem et al. Speech emotion recognition approaches: A systematic review
Selvan et al. Emotion detection on phone calls during emergency using ensemble model with hyper parameter tuning
Dumane et al. Dysarthria detec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KR102564412B1 (en) System for providing self dysphonia treatment service
Yerigeri et al. Meta-heuristic approach in neural network for stress detection in Marathi speech
Deepa et al. Speech technology in healthcare
He Stress and emotion recognition in natural speech in the work and family environments
Potapova et al. Forensic identification of foreign-language speakers by the method of structural-melodic analysis of phonogr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