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982B1 - Pill sorting system - Google Patents

Pill sor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982B1
KR102563982B1 KR1020210047750A KR20210047750A KR102563982B1 KR 102563982 B1 KR102563982 B1 KR 102563982B1 KR 1020210047750 A KR1020210047750 A KR 1020210047750A KR 20210047750 A KR20210047750 A KR 20210047750A KR 102563982 B1 KR102563982 B1 KR 102563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tablets
sorting
conveyor
discrimi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7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1942A (en
Inventor
황선일
Original Assignee
(주)메디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노드 filed Critical (주)메디노드
Priority to KR1020210047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982B1/en
Publication of KR20220141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9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9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1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ompressed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69Trays for holding or distributing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8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 B65B37/12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of centrifug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4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the bottom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57Rotating movement in the plane of the rotating pa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호퍼로 인입된 다수의 정제들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하면서 낙하시켜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공급장치를 통해 낙하되어 공급된 정제들을 개별로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정렬하는 정렬장치와, 상기 정렬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렬장치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공급된 정제를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를 토대로 정제를 판별하는 정제판별장치와, 상기 정제판별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제판별장치에 의해 판별된 정제를 공급받아 그 정제의 정보를 토대로 다수의 분류칸 중 해당 분류칸으로 정제들을 분류하는 분류장치와, 상기 정제판별장치에서 촬영된 정제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정제에 대응하는 정제정보를 송출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 데이터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가능하고,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에 각각 구비된 정제감지센서에서 감지한 감지신호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송출한 정제 정보로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정제(알약)의 분류를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로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으로 정제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제정보를 기반으로 정제의 분류가 자동화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제의 성분, 색깔, 종류 등에 무관하게 신속히 분류되어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약사의 단순 분류작업에서 탈피하여 업무강도를 줄이면서 업무 환경을 개선하는 동시에 재고관리를 향상시키는 정제 분류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plurality of tablets drawn into the first hopper by dropping them while transferring them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provided adjacent to the supply device and drops and supplies the tablets individually and uniformly through the supply device. an aligning device for arranging at intervals, a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provided adjacent to the aligning device, photographing tablets supplied at regular intervals by the aligning device, and discriminating the tablets based on the photographed tablet image; A sorting device provided adjacent to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receiving the tablets discriminated by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and classifying the tablets into a corresponding classification compartment amo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mpartments based on information on the tablets; and a photograph taken from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A database that transmits table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tablet based on the obtained tablet image, and the supply device, the sorting device,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the sorting device, and the database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communicable, and the supply device, the sort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supply device, sorting device, tablet discrimination device, and sorting device with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tablet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tablet discrimination device and the sorting device, respectively, and the table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atabase. The classification of tablets (pills), which depended on manual work, is performed by photograph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ablets, obtaining tablet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database with the photographed tablet images, and automating the classification of tablets based on the obtained tablet information. A tablet classification system that improves accuracy and reliability by quickly classifying tablets regardless of the ingredients, colors, and types of tablets, and improves inventory management while reducing work intensity by breaking away from simple classification work of pharmacists provides

Description

정제 분류 시스템{Pill sorting system}Pill sorting system {Pill sorting system}

본 발명은 정제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정제(알약)의 분류를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로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으로 정제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제정보를 기반으로 정제의 분류가 자동화로 이루어지는 정제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t sor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classify tablets (pills), which was mainly dependent on manual work, by photograph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ablets, and obtaining tablet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a database with the photographed tablet images. And, based on the obtained tablet information, it relates to a tablet classification system in which classification of tablets is automated.

통상적으로, 각종 대형 병원에서는 환자가 병원에 입원 중, 복용중인 약은 여러 병명의 이유로 처방을 받아 복용을 한다. 그러나 복용중인 약의 처방이 바뀌게 되면 복용 중 남아 있는 약이 회수되어 약국에 모이게 된다.Typically, in various large hospitals, while patients are hospitalized in hospitals, the drugs they are taking are prescribed and taken for various reasons. However, if the prescription of the drug being taken is changed, the remaining drug is collected and collected at the pharmacy.

이때 약국은 회수된 약을 약사가 정확히 재분류하여 원래의 약병에 담는다. 이러한 과정에서 약의 분류는 결국 약사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그 특성상 정확하게 분류해야 약물의 오남용을 막을 수 있기에 작업에 상당한 집중을 요한다. At this time, the pharmacist accurately reclassifies the recovered medicine and puts it in the original medicine bottle. In this process, drug classification eventually depends on the manual work of pharmacists, and due to its natur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classify drugs to prevent misuse and abuse, requiring considerable concentration in the work.

이러한 이유로 정제약의 분류 작업을 기계적 수단으로 처리하여 약사의 작업량을 줄이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For this reason, a method of reducing the workload of pharmacists by processing the sorting of purified drugs by mechanical means is being sought.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17384호(선행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28916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As prior art documents that can be referred to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17384 (Prior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128916 (Prior Document 2), and the like are known.

선행문헌 1은 소정의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약품명칭을 입력받는 약품명칭입력부; 약품명칭입력부에서 입력된 약품명칭에 해당하는 약품정보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탐색하는 약품정보부; 약품정보부에서 탐색된 약품정보를 분류체계에 따라 각 단계로 분류하는 약품분류부; 약품분류부에서 각 단계로 분류된 약품 정보에 각각 색상을 부여하여 색상약품정보를 생성하는 색상부여부; 색상부여부에서 생성된 색상약품정보가 저장되는 색상약품정보저장부; 및 색상약품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색상약품정보를 유무선 연결망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약품을 각각의 색상으로 분리하여 누구나 쉽게 약품에 대한 성분 및 효능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많은 약품이라도 색상만으로 간단하게 구분할 수 있으므로, 의약품의 오남용 등의 사고를 미리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한다.Prior Document 1 includes a drug name input unit that receives a drug name from a predetermined user through a user terminal; a drug information unit that searches for dru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rug name input from the drug name input unit by a predetermined program; a drug classification unit that classifies the drug information searched in the drug information unit into each step according to a classification system; a color assigning unit for generating color drug information by assigning a color to the drug information classified in each step in the drug classification unit; a color medicin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lor medicin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lor application unit;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lor medicin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lor medicine information storage unit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wired/wireless connection network. Accordingly, since drugs are separated by each color, anyone can easily recognize the ingredients and efficacy of drugs, and even many drugs can be easily distinguished only by color, so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accidents such as misuse and abuse of drugs in advance is expected. do.

선행문헌 2는 자동 약품 분류장치는 투입부에 적재된 약품을 본체 내부를 통과하여 루프이동시키는 이송부와,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부를 통과하는 약품의 윤곽을 인식하여 윤곽정보를 생성하는 음영인식부와, 윤곽정보에 근거하여 약품을 파지 이송하는 로봇암과, 파지 이송되는 약품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약품정보를 획득하는 바코드인식부와, 약품정보가 획득된 약품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이송부의 작동과 윤곽정보에 의하여 로봇암의 작동을 제어하고, 약품정보를 저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다량의 약품을 인식함에 있어 인식이 실패한 경우에도 정지하지 아니하고 다음의 약품을 지속적으로 자동 분류할 수 있게 한 효과를 기대한다.Prior Document 2 is an automatic drug sorting device, a transfer unit that loops the drugs loaded in the input unit throug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 shade recognition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o recognize the outline of the drug passing through the transfer unit and generate contour information. A robot arm that grips and transports medicines based on contour information, a barcode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the barcodes of the medicines being gripped and transported to obtain drug information, and an outlet and transfer unit through which the medicines obtained with the drug information are discharged.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obot arm by contour information and stores drug information. Accordingly, in recognizing a large amount of medicine, even if the recognition fails, the effect of continuously automatically classifying the next medicine without stopping is expected.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약사가 감당하는 일련의 업무 중에서 극히 일부의 생력화를 기대할 수 있는 정도이고 특히 전자의 선행문헌 1에 의하면 의약품의 색상으로 분류됨에 한정될뿐더러 약사의 수작업 의존도가 여전히 높으며, 후자의 선행문헌 2에 의하면 다량의 약품을 인식하여 분류함을 요지로 하므로 다량의 정제약을 취급하기 위한 구성을 전혀 내포하고 있지 않아 이에 대한 기술적 제시가 미흡하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 prior literature, only a small part of the series of tasks performed by pharmacists can be expected to save lives. According to Prior Document 2 of the latter, since the main point is to recognize and classify a large amount of medicine, it does not contain any configuration for handling a large amount of purified medicine, so the technical presentation thereof is insufficient.

본 발명은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정제(알약)의 분류를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로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으로 정제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제정보를 기반으로 정제의 분류가 자동화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제의 성분, 색깔, 종류 등에 무관하게 신속히 분류되어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약사의 단순 분류작업에서 탈피하여 업무강도를 줄이면서 업무 환경을 개선하는 동시에 재고관리를 향상시키는 정제 분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ssification of tablets (pills), which was mainly dependent on manual work, is performed by photograph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ablets, obtaining tablet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database with the photographed tablet images, and based on the obtained tablet information, By enabling classification to be automated, it is quickly classified regardless of the ingredient, color, and type of the tablet to increase accuracy and reliability, and to break away from the pharmacist's simple classification work to reduce work intensity, improve work environment, and improve inventory managemen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tablet sorting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정제판별장치를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은 제1호퍼로 인입된 다수의 정제들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하면서 낙하시켜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공급장치를 통해 낙하되어 공급된 정제들을 개별로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정렬하는 정렬장치와, 상기 정렬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렬장치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공급된 정제를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를 토대로 정제를 판별하는 정제판별장치와, 상기 정제판별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제판별장치에 의해 판별된 정제를 공급받아 그 정제의 정보를 토대로 다수의 분류칸 중 해당 분류칸으로 정제들을 분류하는 분류장치와, 상기 정제판별장치에서 촬영된 정제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촬영된 정제이미지에 대응하는 정제정보를 송출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 데이터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가능하고,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에 각각 구비된 정제감지센서에서 감지한 감지신호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송출한 정제 정보로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tablet sorting system including a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plurality of tablets drawn into the first hopper while transferring them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provided adjacent to the supply device, and the supply device An aligning device that aligns the tablets that are dropped and supplied at regular intervals individually, provided adjacent to the aligning device, and photographs the tablets supplied at regular intervals by the aligning device, and captures the photographed tablet image. A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that discriminates tablets based on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provided adjacent to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and supplied with tablets discriminated by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and classifying the tablets into the corresponding classification compartment amo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mpartments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tablet. a sorting device, a database for transmitting table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ed tablet image based on the tablet image taken by the tablet discrimination device, and the supply device, sorting device, tablet discrimination device, sorting device, and database The supply device, the sorting device, and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communicable, and the supply device, the sorting device,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and the sorting device are provided with a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a tablet detection sensor provided respectively in the sorting device and the table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atabase. It includes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evice and the classification device.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급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다수의 정제들을 인입하여, 일정한 갯수로 배출하는 제1호퍼와, 상기 제1호퍼의 하부에 일측이 근접 배치되고, 상기 제1호퍼에서 배출된 정제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정제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송스크류하우징을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hopper for taking in a plurality of tablets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discharging them in a certain number, and one side disposed close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hopper, and discharged from the first hopper It includes a transfer screw for transferring tablets from a lower side to an upper side, and a transfer screw housing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transfer screw and preventing the tablets transported by the transfer screw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 중 상기 제1호퍼의 하부와 연결된 위치부터 상측으로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과 이송스크류 사이 공간에 정제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ablets from being caught in the space between the transfer screw housing and the transfer screw by forming an incision upward from a position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pper in the transfer screw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정렬장치는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공급장치에서 낙하된 정제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 중 후방측 상에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되는 정제를 일측편으로 정렬하는 제1정렬암과,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 중 제1정렬암의 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정렬암에서 이탈하는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의 중앙으로 정렬하는 제2정렬암과,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 중 제2정렬암의 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정렬암을 이탈한 정제 중 선발 이송 정제와 해당 지정거리 이상을 이루지 않는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의 측방향으로 밀어 이탈시키는 배출펀치와, 상기 배출펀치와 대향진 상기 컨베이어의 측방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펀치에 의해 이탈하는 정제를 받아 수거하는 정제수집부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 중 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전방측 중 해당 지정위치에 위치한 정제를 전방으로 밀어 이탈시키는 푸쉬수단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veyor for selectively driving the tablets dropped from the feeding device from the rear to the front, and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and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by the conveyor. A first alignment arm for aligning the tablets to be transported to one side, and a second alignment arm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alignment arm among the upper surfaces of the conveyor and aligning the tablets that have departed from the first alignment arm to the center of the conveyor. It is provided on an alignment arm and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alignment arm among the upper surfaces of the conveyor, and among the tablets that have departed from the second alignment arm, the selected transfer tablets and the tablets that do not form a corresponding designated distance are push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nveyor. A ejection punch for ejection, a tablet collection uni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nveyor facing the ejection punch, and receiving and collecting tablets ejected by the ejection punch,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It includes a push means for pushing the tablet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designated position among the front side forward and releasing it.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펀치는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정제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1정제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ejection pu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first tablet detection sensor for recognizing the tablets transported by the conveyor and sending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컨베이어 중 푸쉬수단이 배치된 지점에는 해당 위치의 정제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2정제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tablet detec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tablet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sending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at a point where the push means is disposed among the convey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정제판별장치는 상기 정렬장치에서 공급되는 정제가 투입되는 제2호퍼와, 상기 제2호퍼의 하측과 일측이 연결되고, 일측을 통해 인입된 정제를 타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가이드의 타측에서 낙하한 정제를 받아 선택적으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암과, 상기 이송암의 하부에 수평선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송암으로 낙하한 정제를 지지하며, 제1분류공과, 촬영공과, 제2분류공을 형성한 판별플레이트와, 상기 판별플레이트의 촬영공 상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정제의 상면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와, 상기 판별플레이트의 촬영공 하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정제의 하면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전기적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카메라, 제2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정제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hopper into which tablets supplied from the sorting device are put, and a lower side and one side of the second hopper are connected, and a guide guides the tablets introduced through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a transfer arm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guide, receiving tablets that have fallen from the other side of the guide and selectively transferring them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provided in a horizontal line at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arm, and falling into the transfer arm a discriminating plate supporting one tablet and forming a first sorting hole, a photographing hole, and a second sorting hole, and a first camera provided above the photographing hole of the discriminating plate and selectively photograp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t; A second camera provided under the photographing hole of the discrimination plate and selectively photograph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t, electrically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database,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tablet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nd a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data to the database.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 중 일측에는 정제의 인입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3정제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third table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entry of tablets and sending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암의 수용공 내주면에는 선택적으로 수용공에 수용된 정제의 상면에 빛을 조사하는 제1조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별플레이트 중 촬영공에는 상기 촬영공에 위치하는 정제를 지지하는 투명한 지지커버와, 상기 촬영공의 내주면에는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촬영공에 위치하는 정제의 하면에 빛을 조사하는 제2조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hole of the transfer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ight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irradiating light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hole, and the photographing hole of the discrimination plate supports the tablet positioned in the photographing hol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transparent support cover and a second dimming unit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graphing hole and selectively irradiating ligh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t positioned in the photographing hole.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류장치는 상기 정제판별장치에서 공급된 정제를 인입하는 제3호퍼와, 상기 제3호퍼의 하측과 일측이 수직선상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을 통해 인입된 정제를 타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노즐과, 상기 가이드노즐의 하측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노즐을 수직선상을 축으로 하여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가이드구동부와, 상기 가이드노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노즐의 가동 범위에 대응하도록 환상을 이루고, 길이를 따라 다수의 분류칸으로 구획된 분류트레이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a third hopper for taking in the tablets supplied from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and the lower side and one side of the third hopper are rotatably connected to an axis on a vertical line, and the introduced through one side A guide nozzle for guiding the tablet to the other side, a guide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guide nozzle and selectively rotating the guide nozzl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bout an axis on a vertical line,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guide nozzle as the center It forms an annular shape to correspond to the movable range of the guide nozzle, and includes a classification tray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mpartments along the length.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Effects exhibited by the tablet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정제(알약)의 분류를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로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으로 정제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제정보를 기반으로 정제의 분류가 자동화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제의 성분, 색깔, 종류 등에 무관하게 신속히 분류되어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약사의 단순 분류작업에서 탈피하여 업무강도를 줄이면서 업무 환경을 개선하는 동시에 재고관리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ablet are photographed for the classification of tablets (pills), which was mainly dependent on manual work, and the information of the tablet is obtained by communicating with the database with the photographed tablet image,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tablet is automated based on the obtained tablet information. It is made of, so that it is classified quickly regardless of the composition, color, type of tablet, etc. to increase accuracy and reliability, and to break away from the simple classification work of pharmacists, reduce work intensity, improve work environment, and improve inventory management.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을 간략하게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 중 공급장치 및 정렬장치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모습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 중 공급장치 및 정렬장치를 후방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 중 공급장치 및 정렬장치를 상측에서바라본 모습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 중 정제판별장치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 중 정제판별장치의 요부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 중 분류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tablet sor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view of a feeding device and an arranging device of a tablet sor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side.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view of a feeding device and an arranging device in a tablet sor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side.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view from above of a feeding device and an arranging device in a tablet sor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in a tablet sor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ain part of a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in a tablet sor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lassification device in a tablet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usu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uses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are equivalent alternatives that can be replac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may exist.

본 발명은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정제(알약)의 분류를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로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으로 정제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제정보를 기반으로 정제의 분류가 자동화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제의 성분, 색깔, 종류 등에 무관하게 신속히 분류되어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약사의 단순 분류작업에서 탈피하여 업무강도를 줄이면서 업무 환경을 개선하는 동시에 재고관리를 향상시키는 정제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ssification of tablets (pills), which was mainly dependent on manual work, is performed by photograph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ablets, obtaining tablet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database with the photographed tablet images, and based on the obtained tablet information, By enabling classification to be automated, it is quickly classified regardless of the ingredient, color, and type of the tablet to increase accuracy and reliability, and to break away from the pharmacist's simple classification work to reduce work intensity, improve work environment, and improve inventory management. It relates to a tablet classification system for making, and is as follow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은 공급장치(100), 정렬장치(200), 정제판별장치(300), 분류장치(400), 데이터베이스(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는데, 먼저 상기 공급장치(100)는 제1호퍼(110)를 통해 인입된 다수의 정제(알약)들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하면서 낙하시켜 정제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공급장치(10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tablet sor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includes a supply device 100, an alignment device 200, a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300, a sorting device 400, a database 500,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600. First, the supply device 100 supplies the tablets by dropping them while transporting a plurality of tablets (pills) drawn through the first hopper 110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Looking at (100) in more detail, it is as follows.

상기 공급장치(100)는 제1호퍼(110)와, 이송스크류(120)와, 스크류하우징(130)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호퍼(110)는 통산의 호퍼와 같이 개방된 상, 하측공이 연통하는 각추(角錐)형의 통 형태로, 상측공이 하측공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ly device 100 includes a first hopper 110, a transfer screw 120, and a screw housing 130, and the first hopper 110 has open upper and lower holes like a conventional hopper.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hole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lower hole in the form of a communicating pyramidal cylinder.

이때 상기 제1호퍼(110)의 상측공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협소해지는 형태를 이루므로, 상기 제1호퍼(110)의 상측공을 통해 다수의 정제를 한꺼번에 상기 제1호퍼(110)에 인입하여도, 인입된 정제들이 아래로 하강하면서 상기 상측공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는 하측공의 중심으로 이동되면서 줄지어 정렬된다.At this time,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hole of the first hopper 110 gradually narrows in the downward direction, a plurality of tablets can be simultaneously passed through the upper hole of the first hopper 110. ), the drawn-in tablets are aligned in a row while moving to the center of the lower hole having a narrow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upper hole while descending downward.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120)는 상기 제1호퍼(110)의 하부가 일측에 근접 배치되고, 상기 제1호퍼(110)에서 배출된 정제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한다.In addition, the transfer screw 120 is disposed close to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pper 110 and transfers the tablets discharged from the first hopper 110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120)는 통상의 이송스크류와 같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의 둘레의 길이를 따라 나선면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 이송체인 정제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밀어 이송한다.At this time, the transfer screw 120 forms a helical surfa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on shaft based on the rotation shaft like a normal transfer screw, and when the rotation shaft rotates, the transfer chain pushes the tablet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transfers i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송스크류(120)는 정제배출방향을 향해 사선으로 경사지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호퍼(110)의 하부가 상기 경사진 이송스크류(120)의 중간 부분에 근접 배치되어, 상기 제1호퍼(110)와 이송스크류(120)가 'y'자 형태를 이룬다.The transfer screw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disposed obliquely toward the tablet discharge direc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pper 110 is the middle portion of the inclined transfer screw 120. , the first hopper 110 and the transfer screw 120 form a 'y' shape.

따라서 상기 제1호퍼(110)의 하부에서 배출된 정제들은 상기 이송스크류(120)의 중간에서 상기 이송스크류(120)의 회전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되어 최상단지점에서 방출되어 외부로 낙하하게 된다.Therefore, the tablets discharg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rst hopper 110 are transferr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by the rotation of the transfer screw 120 in the middle of the transfer screw 120, and are discharged from the uppermost point and fall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이송스크류(1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이송스크류하우징(130)을 구비하는데,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130)은 상기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이송되는 정제가 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Here, a transfer screw housing 13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transfer screw 120, and the transfer screw housing 130 prevents the tablets transported by the transfer screw 120 from escaping in the lateral direction. .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130) 중 상기 제1호퍼(110)의 하부와 연결된 위치부터 상측까지 절개되어 절개부(131)를 형성하는데, 상기 절개부(131)는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130)과 이송스크류(120) 사이 공간에 정제들이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transfer screw housing 130 is cut from a position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pper 110 to an upper side to form a cutout 131, which is formed by the transfer screw housing 130 and It prevents tablets from being caught in the space between the transfer screws 120.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130) 중 상측에는 상기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된 정제가 해당 위치상에 방출되어 낙하하도록 해당 형상으로 절개된 낙하부(132)를 형성한다.In add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screw housing 130, a drop portion 132 cut into a corresponding shape is formed so that the tablet transferr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by the transfer screw 120 is discharged and falls on the corresponding position.

따라서 상기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된 정제가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130)의 낙하부(132)로 도달하면, 상기 낙하부(132)를 통해 이송된 정제가 방출되어 다음 장치로 낙하해 공급된다.Therefore, when the tablets transport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by the transfer screw 120 reach the drop portion 132 of the transfer screw housing 130, the tablets transferred through the drop portion 132 are discharged to the next device. is supplied by dropping into

여기서 낙하된 정제는 정렬장치(200)로 공급되고,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130)의 하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류(120)의 회전축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12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ropped tablets are supplied to the aligning device 200, and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screw housing 130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transfer screw 120 to selectively rotate the transfer screw 120.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driving mean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정렬장치(200)는 상기 공급장치(100)에서 낙하되어 공급된 정제들을 개별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공급될 수 있도록 정렬한다.The alignmen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igns the tablets that are dropped and supplied from the supply device 100 so that they can be individually suppli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정렬장치(20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정렬장치(200)는 컨베이어(210)와, 제1정렬암(220)과, 제2정렬암(230)과, 배출펀치(240)와, 정제수집부(250)와, 푸쉬수단(260)을 포함한다.Looking at the aligning device 200 in more detail, the aligning device 200 includes a conveyor 210, a first alignment arm 220, a second alignment arm 230, a discharge punch 240, It includes a tablet collection unit 250 and a pushing means 260.

먼저, 상기 컨베이어(210)는 통상의 벨트식 컨베이어와 같이 구동축과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종동축을 벨트로 연결한 것으로, 벨트 상에 놓인 이송체인 정제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한다.First, the conveyor 210 is one in which driven shafts spaced apart from the drive shaft are connected with a belt, like a conventional belt type conveyor, and transfers tablets, a transport chain placed on the belt, from one side to the other.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 중 후방측 상에는 제1정렬암(220)을 구비하는데, 상기 제1정렬암(220)은 상기 컨베이어(210)에 의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되는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 중 일측편으로 정렬되도록 안내한다.In addition, a first alignment arm 22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210, and the first alignment arm 220 transfers tablets transferr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by the conveyor 210 on the conveyor ( 210) to be aligned with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일례로 상기 제1정렬암(220)은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에서,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210)의 일측편으로 정렬하여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에서 사선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타측에서 상기 컨베이어(2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210)의 외측에서 고정되는 고정바를 포함하여, 상기 제1정렬암(220)은 전체적인 형상이 'ㅅ'형태를 이룬다.For example, the first alignment arm 220 aligns and guides tablets moving from rear to fro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210 to one side of the conveyor 210, and guide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210. The first alignment arm 220 includes a guide bar arranged obliquely from , and a fixed bar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r to the outside of the conveyor 210 and fixed to the outside of the conveyor 210. The overall shape forms a 'ㅅ' shape.

따라서 상기 제1정렬암(220)은 고정바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210)의 외측에 고정되고, 가이드바가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에 사선으로 위치됨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되는 정제는 상기 제1정렬암(220)의 가이드바 안내로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 중 일측편으로 유도된다.Therefore, the first alignment arm 220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conveyor 210 through a fixing bar, and as the guide bar is obliquely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210, it is transferr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conveyor 210. The tablets are guid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210 by the guide bar of the first alignment arm 220 .

또한,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 중 제1정렬암(220)의 전방측에는 제2정렬암(230)을 구비하는데, 상기 제2정렬암(230)은 상기 제1정렬암(220)에서 이탈하는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210)의 중앙으로 정렬되도록 안내한다.In addition, a second alignment arm 23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alignment arm 2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210, and the second alignment arm 23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lignment arm 220. It guides the tablets to be aligned to the center of the conveyor 210.

여기서 상기 제2정렬암(230) 역시,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에서,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210)의 중앙으로 정렬하여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에서 사선으로 배치되면서 일측이 상기 컨베이어(2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210)의 외측에 고정된다.Here, the second alignment arm 230 also aligns and guides the tablets moving from the rear to the fro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210 toward the center of the conveyor 210. While being arranged obliquely, one side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conveyor 210 and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conveyor 210 .

따라서 상기 제2정렬암(230)은 일측이 상기 컨베이어(210)의 외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에 사선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10)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제1정렬암(220)에서 이탈한 정제는 상기 제2정렬암(230)의 안내로 상기 컨베이어(210)의 중앙으로 유도된다.Therefore, the second alignment arm 230 has one side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conveyor 210 and provided oblique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210, so that the first alignment arm ( The tablets separated from 220) are guided to the center of the conveyor 210 by the guidance of the second alignment arm 230.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 중 제2정렬암(230)의 전방측에는 배출펀치(240)를 구비하는데, 상기 배출펀치(240)는 상기 제2정렬암(230)을 이탈한 정제 중 선발 이송 정제와 해당 지정간격을 이루지 않는 정제를 밀어 외부인 상기 컨베이어(210)의 측방으로 이탈시킨다. In addition, a discharge punch 24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alignment arm 23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210, and the discharge punch 240 selects and transports tablets that have deviated from the second alignment arm 230. Tablets and tablets that do not form a corresponding designated interval are pushed and released to the side of the conveyor 210, which is the outside.

이때 상기 배출펀치(240)는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에서 측방향을 가로지르는 직선 왕복 운동하는 것으로, 상기 배출펀치(240)의 일측에는 커넥팅로드(241)가 관절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팅로드(241)는 해당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하는 구동암(242)과 관절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암(242)의 회전으로 상기 커넥팅로드(241)가 상기 컨베이어(210)의 측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배출펀치(240)가 컨베이어(210)의 측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배출펀치(240)가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210)의 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컨베이어(210)의 측방향으로 정제의 배출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ejection punch 240 is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crossing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210, and a connecting rod 24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jection punch 240 by a joint, and the connecting rod 241 is articulated with a drive arm 242 that rotates reciprocally within a corresponding angular range, and rotation of the drive arm 242 causes the connecting rod 241 to linearly mov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nveyor 210. In conjunction with this, the ejection punch 240 is transport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nveyor 210, and the ejection punch 240 pushes the tablet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nveyor 210, The ejection of the tablets is made in the direction.

또한, 상기 배출펀지(240)는 정제를 밀어 배출한 후, 상기 구동암(242)의 회전으로 상기 커넥팅로드(241)가 원위치인 상기 컨베이어(210)의 측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다시 해당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In addition, after pushing and ejecting the tablets, the ejection paper 240 moves linearly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nveyor 210, which is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arm 242, It will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여기서 상기 배출펀치(240)는 이동 궤도를 유지하도록, 펀치가이드(243)에 의해 안내되는데, 상기 펀치가이드(243)는 상기 컨베이어(210)를 측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펀치가이드(243)에는 길이를 따라 장공을 형성하면서, 상기 장공에 상기 배출펀치(240)가 롤러로 상기 장공과 연결된다.Here, the ejection punch 240 is guided by a punch guide 243 to maintain a moving trajectory, and the punch guide 243 preferably has a length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veyor 210 in a lateral direction. , While forming a long hole along the length of the punch guide 243, the discharge punch 240 is connected to the long hole by a roller.

따라서 상기 배출펀치(240)는 상기 펀치가이드(243)의 장공 안내로, 상기 컨베이어(210)의 측방향을 가로지르는 이동 궤도를 유지하게 된다.Therefore, the ejection punch 240 maintains a moving trajectory traversi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nveyor 210 by guiding the long hole of the punch guide 243 .

그리고 상기 배출펀치(240)에는 상기 컨베이어(210)에 의해 이송되는 정제를 인식하는 제1정제감지센서(244)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1정제감지센서(244)는 상기 컨베이어(210)의 이송으로 상기 제2정렬암(230)을 이탈한 정제들의 간격을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감지신호를 송출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unch 240 is provided with a first tablet detection sensor 244 for recognizing the tablets transported by the conveyor 210. The first tablet detection sensor 244 is transported by the conveyor 210. A distance between the tablets that have departed from the second alignment arm 230 is sensed and a detection signal is sent to the control unit 600.

따라서 상기 배출펀치(240)는 제1정제감지센서(244)에서 감지한 감지신호를 토대로 제어부(600)에서 인가하는 제어신호로 구동하는데, 상기 제1정제감지센서(244)가 상기 컨베이어(210)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제2정렬암(230)을 이탈한 정제 중 선발 이송 정제와 해당 지정간격을 이루지 않는 정제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600)가 이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배출펀치(240)의 구동암(242)을 인가하고, 인가된 신호로 상기 구동암(242)이 구동하여 상기 배출펀치(240)가 선발 이송 정제와 해당 지정간격을 이루지 않는 정제를 밀어 외부로 이탈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Therefore, the ejection punch 240 is driven by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600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first tablet detection sensor 244, and the first tablet detection sensor 244 is driven by the conveyor 210. ) and detects a tablet that does not form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lected transfer tablet among the tablets that are transferred by the second alignment arm 230, the control unit 600 send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the ejection punch 240 The drive arm 242 is applied, and the drive arm 242 is driven by the applied signal so that the ejection punch 240 pushes the selected transfer tablet and the tablet that does not form a corresponding designated interval to the outside, and then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will return to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1정제감지센서(244)에서 감지한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컨베이어(21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배출펀치(240)에 위치하는 선발 이송 정제와 해당 지정간격을 이루지 않는 정제가 해당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conveyor 210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first tablet detection sensor 244, and selects and transfers tablets located on the ejection punch 240 and the corresponding designation. Ensure that non-spaced tablets do not leave their positions.

더불어 상기 컨베이어(210) 중 상기 배출펀치(240)가 배치된 지점의 대향측인 상기 컨베이어(210)의 타측에는 정제수집부(250)를 구비하는데, 상기 정제수집부(250)는 상기 배출펀치(240)에 의해 외부로 이탈하는 정제를 받아 수거한다.In addition, a tablet collection unit 25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veyor 210,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conveyor 210 where the discharge punch 240 is disposed. ) to receive and collect the tablets that escape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 중 전방측에는 푸쉬수단(260)을 구비하는데, 상기 푸쉬수단(260)은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 중 전방측에 위치되어, 해당 지정위치에 위치하는 정제를 전방으로 밀어 이탈시킨다.In addition, a push means 26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210, and the push means 260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210, and pushes the tablet located at the designated position to the front. push it out

이때 상기 푸쉬수단(260)은 'ㄴ' 형태의 바로, 상측단이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을 축으로 상기 푸쉬수단(260)이 회전함에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 중 전방측에 위치하는 정제가 상기 푸쉬수단(260)에 밀려 전방으로 이탈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ush means 260 is a 'b' shaped bar, the upp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rotational shaft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210 as the pushing means 260 rotates around the rotational shaft of the driving motor. The tablet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tablet is pushed forward by the pushing means 260 and departs.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210) 중 푸쉬수단(260)이 배치된 지점에는 정제를 인식하는 제2정제감지센서(261)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2정제감지센서(261) 역시, 상기 컨베이어(210)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210)의 전방측을 이송된 정제를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감지신호를 송출한다.Here, a second tablet detection sensor 261 for recognizing tablets is provided at a point of the conveyor 210 where the push means 260 is disposed, and the second tablet detection sensor 261 is also on the conveyor 210. Detects tablets transported on the front side of the conveyor 210 by the control unit 600, and send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600.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2정제감지센서(261)에서 감지한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컨베이어(210)의 구동을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driving of the conveyor 210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second tablet detection sensor 261 .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210)의 구동으로 정제가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다 상기 컨베이어(210)의 전방측에 다다르면, 상기 제2정제감지센서(261)가 정제를 감지하여, 이에 따른 감지신호를 제어부(600)로 송출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컨베이어(21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컨베이어(210)의 구동이 정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푸쉬수단(260)에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하에 따라 상기 푸쉬수단(260)이 구동하여 상기 컨베이어(21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정제를 밀어 상기 컨베이어(210)의 전방측으로 이탈시킨다.Therefore, when the tablet mov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210 by driving the conveyor 210 and reaches the front side of the conveyor 210, the second tablet detection sensor 261 detects the tablet, and accordingly When a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00, the control unit 600 stops the driving of the conveyor 210, and when the driving of the conveyor 210 stops,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push means ( When a driv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260, the pushing means 260 is driven to push the tablet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conveyor 210 and leave them to the front side of the conveyor 210.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210)의 전방측으로 이탈된 정제는 정제판별장치(300)로 공급된다.Here, the tablets de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conveyor 210 are supplied to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300 .

상기 정제판별장치(300)는 상기 정렬장치(200)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인입된 정제를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를 토대로 정제를 판별한다.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300 photographs the tablets brought in by the aligning device 200 at regular intervals, and discriminates the tablets based on the photographed tablet images.

도 5 및 도 6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정제판별장치(30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정제판별장치(300)는 제2호퍼(310), 가이드(320), 이송암(330), 판별플레이트(340), 제1카메라(350), 제2카메라(360), 통신부(370)를 포함하는데, Looking at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in more detail,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300 includes a second hopper 310, a guide 320, and a transfer arm. 330, a discrimination plate 340, a first camera 350, a second camera 360, and a communication unit 370,

먼저, 상기 제2호퍼(310)는 상기 정렬장치(200)의 컨베이어(210)에서 이탈하여 낙하는 정제가 투입되는 것으로, 상기 제2호퍼(310) 역시, 통산의 호퍼와 같이 개방된 상, 하측공이 연통하는 각추(角錐)형의 통 형태로, 상측공이 하측공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in the second hopper 310, tablets falling away from the conveyor 210 of the sorting device 200 are put, and the second hopper 310 is also an open phase like a common hopp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hole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in the form of a pyramidal cylinder, and the upper hole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lower hole.

이때 상기 제2호퍼(310)의 상측공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협소해지는 형태를 이루므로, 상기 제2호퍼(310)의 상측공을 통해 다수의 정제를 한꺼번에 상기 제2호퍼(310)에 인입하여도, 인입된 정제들이 아래로 하강하면서 상기 상측공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는 하측공의 중심으로 이동되면서 줄지어 정렬된다.At this time,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hole of the second hopper 310 gradually narrows in the downward direction, a plurality of tablets can be simultaneously passed through the upper hole of the second hopper 310. ), the drawn-in tablets are aligned in a row while moving to the center of the lower hole having a narrow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upper hole while descending downward.

상기 제2호퍼(310)의 하측공에는 가이드(320)가 연결되는데, 상기 가이드(320)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해당 경사각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2호퍼(310)의 하측과 일측이 연결되어, 일측을 통해 인입된 정제를 타측으로 미끄러져 안내된다.A guide 320 is connected to the lower hole of the second hopper 310, and the guide 320 has a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clined downward at a corresponding inclination angle, One side is connected, and the tablet introduced through one side is slid and guided to the other side.

이때 상기 가이드(320) 중 일측에는 정제의 인입을 감지하는 제3정제감지센서(321)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3정제감지센서(321)는 상기 가이드(320) 중 일측에는 정제의 인입을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감지신호를 송출한다.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guide 320 is provided with a third tablet detection sensor 321 for detecting the entry of tablets. The third tablet detection sensor 321 detects the entry of tablets on one side of the guide 320. Thus, a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00.

여기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3정제감지센서(321)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이송암(330)에 제어신호를 송출한다.Here, the control unit 6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transfer arm 330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third tablet detection sensor 321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송암(330)은 상기 가이드(320)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320)의 타측에서 낙하한 정제를 받아 선택적으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송한다.The transfer arm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rotatably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guide 320, and receives the tablets that have fallen from the other side of the guide 320, and selectively left or right. transport in the direction

이때 상기 이송암(330)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이송암(330)은 암의 일측은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대향진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320)의 타측에서 낙하하는 정제를 받아 수용하는 수용공(331)을 형성한다.At this time, looking at the transfer arm 330 in more detail, one side of the transfer arm 330 is connected to a drive motor,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transfer arm 330 receives and accommodates tablets fall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guide 320. Form a ball 331.

그리고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 내주면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공(331)에 수용된 정제의 상면에 빛을 비추는 제1조광부(332)를 구비한다. In addition, a first light control unit 332 that selectively shines l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hole 331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hole 331 of the transfer arm 330 .

상기 이송암(330)의 하부에는 판별플레이트(340)를 수평선상으로 구비하는데, 상기 판별플레이트(340)는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으로 낙하한 정제를 지지하여,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에 수용된 정제가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지지한다.A discriminating plate 340 is provided in a horizontal line at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arm 330. The discriminating plate 340 supports the tablet that has fallen into the receiving hole 331 of the transfer arm 330, and thus transfers the tablet. The table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331 of the arm 330 is supported so that it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판별플레이트(340)에는 길이를 따라 제1분류공(341)과, 촬영공(342)과, 제2분류공(343)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1분류공(341)과, 촬영공(342)과, 제2분류공(343)은 상기 이송암(330)의 축을 기준으로 호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irst classification hole 341, a shooting hole 342, and a second classification hole 343 are formed along the length of the discrimination plate 340, and the first classification hole 341 and the shooting hole 342 and the second sorting hole 343 are preferably arranged arc-shaped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transfer arm 330.

이때 상기 제1분류공(341)은 정제 정보를 획득한 정제를 배출하는 공이고, 상기 제2분류공(343)은 정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정제를 배출하는 공이며, 상기 촬영공(342)은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에 수용된 정제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정제를 촬영하는 위치이다.At this time, the first sorting hole 341 is a ball for discharging tablets for which tablet information has been acquired, and the second sorting hole 343 is a ball for discharging tablets for which tablet information has not been obtained. is a position at which a tablet is photographed to acquire information on the table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331 of the transfer arm 330.

그러므로 상기 촬영공(342)을 기준으로 상기 제1분류공(341)은 상기 촬영공(342)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분류공(343)은 상기 촬영공(342)의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촬영공(342)에서 촬영을 마친 정제 중 정제 정보를 획득한 정제는 상기 이송암(330)에 의해 상기 제1분류공(341)으로 이송되어 상기 제1분류공(341)을 통해 다음 장치인 분류장치(400)로 배출되고, 정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정제는 상기 이송암(330)에 의해 상기 제2분류공(343)으로 이송되어 상기 제2분류공(343)을 통해 정제수거부로 배출되어, 추후 수작업에 의해 분류되거나, 다시 정제판별장치(300)의 제2호퍼(310)로 투입되어 재촬영이 이루어진다. Therefore, based on the shooting hole 342, the first classification hole 341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shooting hole 342,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hole 343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hooting hole 342. Among the tablet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hole 342, tablets for which tablet information has been obtained are transported to the first sorting hole 341 by the transfer arm 330 and pass through the first sorting hole 341 to the next Tablets discharged to the sorting device 400, which is a device, and tablets for which tablet information has not been obtained are transferred to the second sorting hole 343 by the transfer arm 330 and passed through the second sorting hole 343 to the tablet collection unit. It is discharged to, and later classified by manual work, or put into the second hopper 310 of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300 again, and re-photographing is performed.

또한, 상기 판별플레이트(340) 중 촬영공(342)에는 상기 촬영공(342)에 위치하는 정제를 지지하는 투명한 지지커버(344)를 구비하고, 상기 촬영공(342)의 내주면에는 선택적으로 촬영공에 위치하는 정제의 하면에 빛을 비추는 제2조광부(345)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hole 342 of the discrimination plate 340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support cover 344 for supporting the tablet located in the photographing hole 342, and selectively photographing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graphing hole 342. A second light control unit 345 is provided to illuminate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t located in the ball.

더불어, 상기 판별플레이트(340)의 촬영공(342)의 상부에는 제1카메라(350)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1카메라(350)는 선택적으로 정제의 상면을 촬영하고, 상기 판별플레이트(340)의 촬영공(342)의 하부에는 제2카메라(360)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2카메라(360)는 선택적으로 정제의 하면을 촬영한다. In addition, a first camera 350 is provided above the photographing hole 342 of the discrimination plate 340, and the first camera 350 selectively photographs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t, and the discrimination plate 340 A second camera 36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photographing hole 342, and the second camera 360 selectively photographs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t.

상기 제1카메라(350) 및 제2카메라(36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로 상기 이송암(330)이 상기 판별플레이트(340)의 촬영공(342) 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에 수용된 정제가 촬영공(342)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이 상기 촬영공(342)에 위치하면, 상기 제1카메라(350) 및 제2카메라(360)는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에 수용된 정제의 상, 하면을 각각 촬영한다. The transfer arm 330 of the first camera 350 and the second camera 360 is rotated toward the photographing hole 342 of the discrimination plate 340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600, and the transfer When the table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331 of the arm 330 is located in the photographing hole 342, when the receiving hole 331 of the transfer arm 330 is located in the photographing hole 342, the first The camera 350 and the second camera 360 take image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able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331 of the transfer arm 330,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정제판별장치(300)는 통신부(370)를 포함하는데, 상기 통신부(370)는 데이터베이스(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카메라(350), 제2카메라(360)에 의해 촬영된 정제 이미지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와 통신한다.Here,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70,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tabase 500 and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350 and the second camera 360. The refined image is converted into data and communicated with the database 500.

따라서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판별장치(300)는 상기 정렬장치(200)의 컨베이어(210)에서 이탈하여 공급되는 정제를 상기 제2호퍼(310)를 통해 받고, 상기 제2호퍼(310)로 공급된 정제는 상기 제2호퍼(31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32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에 낙하하여 수용되며,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으로 정제가 수용되면, 상기 이송암(330)이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판별플레이트(340)의 촬영공(342) 상으로 정제를 이송한다.Therefore,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tablets supplied from the conveyor 210 of the sorting device 200 through the second hopper 310, and the second hopper ( The tablets supplied to 310) are guided by the guide 320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hopper 310, fall down into the receiving hole 331 of the transfer arm 330, and are accommodated in the transfer arm 330. When the table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331 of the 330, the transfer arm 330 rotates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600 to deposit the tablet onto the photographing hole 342 of the discrimination plate 340. transfer

그리고 상기 판별플레이트(340)의 촬영공(342) 상에 정제가 이송되면,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촬영공(342)의 상,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1카메라(350) 및 제2카메라(360)가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에 수용된 정제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촬영한다.And when the tablet is transferred onto the photographing hole 342 of the discrimination plate 340, the first camera 350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hotographing hole 342, respectively,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600. ) and the second camera 360 take picture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able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331 of the transfer arm 33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제1카메라(350) 및 제2카메라(360)와 연동하여 상기 제1조광부(332)와 제2조광부(345)도 구동하여, 정제가 촬영될 시 정제에 조명 조사한다.At this time, the first light control unit 332 and the second light control unit 345 are also driven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camera 350 and the second camera 360 to illuminate the tablet when the tablet is photographed.

여기서 상기 정제판별장치(300)는 통신부(370)를 포함하는데, 상기 통신부(370)는 데이터베이스(500) 및 제어부(600)와 통신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600)에서 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제1카메라(350) 및 제2카메라(360)에 의해 촬영된 정제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500)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서 인가한 정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600)로 인가한다. Here,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70,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tabase 500 and the control unit 600 to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and is converted into data by the control unit 600. The tablet images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350 and the second camera 360 are transmitted to the database 500, and tablet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database 500 is received and applied to the control unit 600. do.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통신부(370)에서 수신한 정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송암(330)을 제1분류공(341) 측으로 회전하게 제어하거나, 상기 제2분류공(343) 측으로 회전하게 제어한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transfer arm 330 toward the first sorting hole 341 or rotates it toward the second sorting hole 343 based on the pur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370. control the rotation.

도 7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류장치(400)는 상기 정제판별장치(300)에 의해 판별된 정제(정제 정보를 획득한 정제)를 인수받아 그 정제의 정보를 토대로 다수의 분류칸 중 해당 분류칸으로 정제를 분류한다. Referring to FIG. 7 , the classification devic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tablets (tablets for which tablet information has been obtained) determined by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300 and classifies a number of items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tablets. Sort the tablets into the corresponding classification cell among the cells.

이때 상기 분류장치(400)는 제3호퍼(410)와, 가이드노즐(420)과, 가이드구동부(430)와, 분류트레이(440)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3호퍼(410)는 At this time, the classification device 400 includes a third hopper 410, a guide nozzle 420, a guide driving unit 430, and a classification tray 440, the third hopper 410

상기 정렬판별장치(300)의 제1분류공(341)에서 낙하하는 정제가 투입되는 것으로, 상기 제3호퍼(410) 역시, 통산의 호퍼와 같이 개방된 상, 하측공이 연통하는 각추(角錐)형의 통 형태로, 상측공이 하측공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ablets falling from the first sorting hole 341 of the sorting discriminator 300 are put in, and the third hopper 410 is also a pyramidal column in which open upper and lower hol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like a conventional hopper.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hole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lower hole in the form of a molded cylinder.

이때 상기 제3호퍼(410)의 상측공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협소해지는 형태를 이루므로, 상기 제3호퍼(410)의 상측공을 통해 다수의 정제를 한꺼번에 상기 제3호퍼(410)에 인입하여도, 인입된 정제들이 아래로 하강하면서 상기 상측공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는 하측공의 중심으로 이동되면서 줄지어 정렬된다.At this time,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hole of the third hopper 410 gradually narrows in the downward direction, a plurality of tablets are simultaneously passed through the upper hole of the third hopper 410. ), the drawn-in tablets are aligned in a row while moving to the center of the lower hole having a narrow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upper hole while descending downward.

상기 제3호퍼(410)의 하측공에는 가이드노즐(420)가 연결되는데, 상기 가이드(420)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해당 경사각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3호퍼(410)의 하측과 일측이 연결되어, 일측을 통해 인입된 정제를 타측으로 안내한다.A guide nozzle 420 is connected to the lower hole of the third hopper 410. The guide 420 has a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clined downward at a corresponding inclination angle, and the lower side of the third hopper 410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guide the tablet introduced through one side to the other side.

여기서 상기 가이드노즐(420)의 하측은 가이드구동부(430)와 연결하는데, 상기 가이드구동부(430)는 수직선상을 축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노즐(420)을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Here, the lower side of the guide nozzle 420 is connected to the guide driving unit 430, and the guide driving unit 430 selectively rotates the guide nozzle 420 forward or backward with a vertical axis as an axis.

그리고 상기 가이드노즐(4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환상의 분류트레이(440)가 배치되는데, 상기 분류트레이(440)는 상기 가이드노즐(420)의 가동 범위에 대응하는 둘레를 갖는 환상을 이루고, 길이를 따라 다수의 분류칸으로 구획된다. An annular sorting tray 440 is disposed arou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guide nozzle 420, and the sorting tray 440 forms an annular shape with a circumference corresponding to the movable range of the guide nozzle 420, It is partitioned into a number of classification cells along the .

따라서 데이터베이스(500)에서 정제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로, 상기 가이드노즐(420)의 끝단이 상기 분류트레이(430) 중 해당 분류칸(431)을 향하도록, 상기 가이드구동부(430)에 의해 상기 가이드노즐(420)이 상기 분류트레이(440)의 중심을 축으로 해당 분류칸(431)을 향하도록 회전하고,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정제판별장치(300)의 제1분류공(341)을 통해 배출되는 정제를 해당 분류칸(431)으로 안내하여 분류한다.Therefore, when purifi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database 500,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600 directs the tip of the guide nozzle 420 toward the corresponding classification compartment 431 of the classification tray 430. The drive unit 430 rotates the guide nozzle 420 toward the corresponding sorting compartment 431 around the center of the sorting tray 440 as an axis, and when the rotation is completed,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300 The tablet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sorting hole 341 are guided to the corresponding sorting compartment 431 and classifi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500)를 포함하는데,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는 정제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정제정보가 수집 저장된 것으로, 상기 정제판별장치(300)의 통신부(370) 및 제어부(600)와 통신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된 정제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정제이미지에 대응하는 정제정보를 상기 제어부(600)로 송출한다.The tablet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500, wherein the database 500 collects and stores tablet information based on tablet images, and the communication unit 370 of the tablet discrimination device 300 ) and the control unit 600 so as to be communicatively electrically connected, and based on the received tablet image, table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tablet imag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00.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공급장치(100), 정렬장치(200), 정제판별장치(300), 분류장치(400), 데이터베이스(500)와 통신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급장치(100), 정렬장치(200), 정제판별장치(300), 분류장치(400)에 각각 구비된 정제감지센서(244, 261, 321)에서 감지한 감지신호 및 데이터베이스(500)에서 송출한 정제정보로 상기 공급장치(100), 정렬장치(200), 정제판별장치(300), 분류장치(400)의 구동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600 is communicative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ly device 100, the sorting device 200,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300, the sorting device 400, and the database 500, and the supply device 100 ),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tablet detection sensors 244, 261, and 321 provided in the sorting device 200,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300, and the sorting device 400, respectively, and the table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atabase 500. The driving of the supply device 100, the sorting device 200,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300, and the sorting device 400 is controlled.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은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정제(알약)의 분류를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로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으로 정제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제정보를 기반으로 정제의 분류가 자동화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제가 신속히 분류되어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약사의 단순 분류작업에서 탈피하여 업무강도를 줄이면서 업무 환경을 개선하는 동시에 재고관리를 향상시킨다.Therefore, in the tablet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ssification of tablets (pills), which was mainly dependent on manual work, is performed by photograph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ablets, and obtaining tablet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database with the photographed tablet images. , Based on the obtained tablet information, the classification of tablets is automated so that tablets are quickly classified to increase accuracy and reliability, and to break away from the pharmacist's simple classification work to reduce work intensity and improve work environment while managing inventory improv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500) 또는 제어부(600)는 상기한 일례의 과정을 연속반복 학습한 인공지능(AI)을 적용할 수 있다.Here, the database 500 or the control uni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at continuously and repeatedly learns the process of the above exampl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공급장치 110: 제1호퍼 120: 이송스크류
130: 스크류하우징 131: 절개부 132: 낙하부
200: 정렬장치 210: 컨베이어 220: 제1정렬암
230: 제2정렬암 240: 배출펀치 241: 커넥팅로드
242: 구동암 243: 펀치가이드 244: 제1정제감지센서
250: 정제수집부 260: 푸쉬수단 261: 제2정제감지센서
300: 정제판별장치 310: 제2호퍼 320: 가이드
321: 제3정제감지센서 330: 이송암 331: 수용공
332: 제1조광부 340: 판별플레이트 341: 제1분류공
342: 촬영공 343: 제2분류공 344: 지지커버
345: 제2조광부 350: 제1카메라 360: 제2카메라
370: 통신부 400: 분류장치 410: 제3호퍼
420: 가이드노즐 430: 가이드구동부 440: 분류트레이
500: 데이터베이스 600: 제어부
100: supply device 110: first hopper 120: transfer screw
130: screw housing 131: incision 132: drop
200: alignment device 210: conveyor 220: first alignment arm
230: second alignment arm 240: discharge punch 241: connecting rod
242: drive arm 243: punch guide 244: first tablet detection sensor
250: tablet collection unit 260: push means 261: second tablet detection sensor
300: tablet discrimination device 310: second hopper 320: guide
321: third tablet detection sensor 330: transfer arm 331: receiving hole
332: first light control unit 340: discrimination plate 341: first sorting hole
342: shooting hole 343: second sorting hole 344: support cover
345: second light control unit 350: first camera 360: second camera
370: communication unit 400: classification device 410: third hopper
420: guide nozzle 430: guide drive unit 440: sorting tray
500: database 600: control unit

Claims (11)

제1호퍼로 인입된 다수의 정제들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하면서 낙하시켜 공급하는 공급장치;
상기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공급장치를 통해 낙하되어 공급된 정제들을 개별로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정렬하는 정렬장치;
상기 정렬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렬장치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공급된 정제를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를 토대로 정제를 판별하는 정제판별장치;
상기 정제판별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제판별장치에 의해 판별된 정제를 공급받아 그 정제의 정보를 토대로 다수의 분류칸 중 해당 분류칸으로 정제들을 분류하는 분류장치;
상기 정제판별장치에서 촬영된 정제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촬영된 정제이미지에 대응하는 정제정보를 송출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 데이터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가능하고,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에 각각 구비된 정제감지센서에서 감지한 감지신호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송출한 정제 정보로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장치는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공급장치에서 낙하된 정제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 중 후방측 상에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되는 정제를 일측편으로 정렬하는 제1정렬암과;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 중 제1정렬암의 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정렬암에서 이탈하는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의 중앙으로 정렬하는 제2정렬암과;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 중 제2정렬암의 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정렬암을 이탈한 정제 중 선발 이송 정제와 해당 지정거리 이상을 이루지 않는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의 측방향으로 밀어 이탈시키는 배출펀치와;
상기 배출펀치와 대향진 상기 컨베이어의 측방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펀치에 의해 이탈하는 정제를 받아 수거하는 정제수집부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 중 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전방측 중 해당 지정위치에 위치한 정제를 전방으로 밀어 이탈시키는 푸쉬수단;을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A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plurality of tablets drawn into the first hopper by dropping them while transporting them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 aligning device provided adjacent to the feeding device and arranging the tablets supplied by falling through the feeding device at regular intervals;
a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provided adjacent to the aligning device, photographing the tablets supplied by the aligning device at regular intervals, and discriminating the tablets based on the photographed tablet images;
a sorting device provided adjacent to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receiving the tablets discriminated by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and classifying the tablets into corresponding sorting compartments among a plurality of sorting compartments based on information on the tablets;
a database for transmitting table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ed tablet image, based on the tablet image photographed by the tablet discrimination device; and
The supply device, the sorting device,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the sorting device, and the database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communicable, and the detection signals detected by the tablet detection sensors provided respectively in the feeding device, the sorting device,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and the sorting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supply device, the sorting device,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and the sorting device with the tablet information sent from the database;
The sorting device
A conveyor that is selectively driven to transport the tablets dropped from the supply device from the rear to the front;
a first alignment arm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and aligning the tablets transport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by the conveyor to one side;
a second alignment arm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alignment ar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and aligning tablets that have departed from the first alignment arm to the center of the conveyor;
A discharge punch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alignment ar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and pushing the selected transfer tablets among the tablets that have escaped from the second alignment arm and the tablets that do not form a corresponding designated distance or mor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nveyor. and;
a tablet collection unit provided on a side of the conveyor facing the ejection punch and receiving and collecting tablets released by the ejection punch;
A tablet sorting system comprising a; push mean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and pushing the tablets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designated posi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conveyor forward to separate th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다수의 정제들을 인입하여, 일정한 갯수로 배출하는 제1호퍼와;
상기 제1호퍼의 하부에 일측이 근접 배치되고, 상기 제1호퍼에서 배출된 정제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정제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송스크류하우징;을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ly device
A first hopper for taking in a plurality of tablets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discharging them in a certain number;
a transfer screw, one side of which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pper, and transfers the tablets discharged from the first hoppe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a transfer screw housing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transfer screw and preventing the tablets transported by the transfer screw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 중 상기 제1호퍼의 하부와 연결된 위치부터 상측으로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과 이송스크류 사이 공간에 정제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 tablet sorting system that prevents tablets from being caught in the space between the transfer screw housing and the transfer screw by forming an incision upward from a position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pper in the transfer screw housing.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펀치는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정제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1정제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ejection punch
A tablet sorting system comprising a first tablet detection sensor that recognizes tablets transported by the conveyor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중 푸쉬수단이 배치된 지점에는 해당 위치의 정제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2정제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tablet sorting system comprising a second tablet detec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tablet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sending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at a point where the push means is disposed in the convey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제판별장치는
상기 정렬장치에서 공급되는 정제가 투입되는 제2호퍼와;
상기 제2호퍼의 하측과 일측이 연결되고, 일측을 통해 인입된 정제를 타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가이드의 타측에서 낙하한 정제를 받아 선택적으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암과;
상기 이송암의 하부에 수평선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송암으로 낙하한 정제를 지지하며, 제1분류공과, 촬영공과, 제2분류공을 형성한 판별플레이트와;
상기 판별플레이트의 촬영공 상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정제의 상면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와;
상기 판별플레이트의 촬영공 하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정제의 하면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전기적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카메라, 제2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정제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a second hopper into which the tablets supplied from the aligning device are put;
a guid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hopper and guiding the tablets introduced through one side to the other side;
a transfer arm positioned below the guide and selectively transferring the tablets left or right by receiving the tablets that have fallen from the other side of the guide;
a discriminating plate provided in a horizontal line below the transfer arm, supporting tablets that have fallen into the transfer arm, and forming a first sorting hole, a photographing hole, and a second sorting hole;
a first camera provided above the photographing hole of the discrimination plate and selectively photograp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t;
a second camera provided under the photographing hole of the discrimination plate and selectively photograph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t;
A tablet classification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electrically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database and transmitting data on tablet images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to the databas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중 일측에는
정제의 인입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3정제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On one side of the guide
A tablet sorting system comprising a third table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entry of tablets and sending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송암의 수용공 내주면에는
선택적으로 수용공에 수용된 정제의 상면에 빛을 조사하는 제1조광부를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hole of the transfer arm,
A tablet sorting system comprising a first light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irradiating light to an upper surface of a tablet accommodated in a receiving hol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판별플레이트 중 촬영공에는 상기 촬영공에 위치하는 정제를 지지하는 투명한 지지커버와;
상기 촬영공의 내주면에는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촬영공에 위치하는 정제의 하면에 빛을 조사하는 제2조광부를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A transparent support cover for supporting the tablet located in the photographing hole of the discrimination plate;
A tablet sorting system comprising a second light control unit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graphing hole and selectively irradiating light to a lower surface of the tablet positioned in the photographing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류장치는
상기 정제판별장치에서 공급된 정제를 인입하는 제3호퍼와,
상기 제3호퍼의 하측과 일측이 수직선상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을 통해 인입된 정제를 타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노즐과,
상기 가이드노즐의 하측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노즐을 수직선상을 축으로 하여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가이드구동부와,
상기 가이드노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노즐의 가동 범위에 대응하도록 환상을 이루고, 길이를 따라 다수의 분류칸으로 구획된 분류트레이를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lassification device
A third hopper for taking in the tablets supplied from the tablet discriminating device;
A guide nozzl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and one side of the third hopper about an axis on a vertical line and guiding the tablets introduced through one side to the other side;
A guide drive unit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guide nozzle and selectively rotating the guide nozzle forward or backward about a vertical axis;
A tablet sorting system comprising a sorting tray formed an annular shape around a rotational axis of the guide nozzle to correspond to a movable range of the guide nozzle and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orting compartments along the length.
KR1020210047750A 2021-04-13 2021-04-13 Pill sorting system KR1025639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750A KR102563982B1 (en) 2021-04-13 2021-04-13 Pill sor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750A KR102563982B1 (en) 2021-04-13 2021-04-13 Pill sort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942A KR20220141942A (en) 2022-10-21
KR102563982B1 true KR102563982B1 (en) 2023-08-08

Family

ID=8380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750A KR102563982B1 (en) 2021-04-13 2021-04-13 Pill sor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98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019B1 (en) * 2023-01-03 2023-06-29 (주)메디노드 tablet sort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596B1 (en) * 2015-08-07 2016-10-27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Automatic Inspection Apparatus
JP2020156746A (en) * 2019-03-26 2020-10-0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Medicine discrimination device, medicine imaging device and medicine imag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579B1 (en) * 2008-05-08 2010-11-25 (주)제이브이엠 Device for discharging a medicine having different shape and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including the device
CN111228114B (en) * 2014-05-09 2023-10-27 株式会社汤山制作所 Medicament sorting device
KR102644081B1 (en) * 2017-04-14 2024-03-07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harmaceutical sorting device, sorting container and medication return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596B1 (en) * 2015-08-07 2016-10-27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Automatic Inspection Apparatus
JP2020156746A (en) * 2019-03-26 2020-10-0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Medicine discrimination device, medicine imaging device and medicine imag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942A (en)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1977B2 (en) drug supply device
US20200331033A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ication and/or Sorting of Medicines
CN111228114B (en) Medicament sorting device
US7412302B2 (en) Pharmaceutical singulation counting and dispensing system
KR100696817B1 (en) Tablet filling device
JP7469729B2 (en) Drug sorting device and drug sorting device control method
CN101218029B (en) Method for automatically pipeting for ascertaining the traceability of a performed analysis
CA2757936C (en) Device for the return of empties, in particular plastic bottles and metal cans
CN106163485B (en) Drug sorting device and drug sorting method
KR102563982B1 (en) Pill sorting system
JP5457599B1 (en) Drug packaging system
KR20140101206A (en) Automatic tablet dispensing apparatus
JPH11197609A (en) Classifying apparatus for discarded bottle
US10899559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liable delivery of compliant stopper elements
KR20140105625A (en) Medicine packing machine and management server for supporting manager's inspection on dispensing image
JPH0228406A (en) Automatic feeder for injection ampul and feed thereof by order
KR102632508B1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ampon outer high-speed quality inspection system
JPH0891549A (en) Part feeding device
KR102549019B1 (en) tablet sorting device
KR100797623B1 (en) Bottle automatic separation apparatus
KR20230090724A (en) Tablet sorting and conveying device
CN116867617A (en) System for separating and identifying articles
AU2019273975B2 (en) Banknote storage container handling system
KR20140135934A (en) Medicine packing machine for supporting manager's inspection on dispensing image
WO2022092130A1 (en) Type discriminating device, type discriminating method, type discriminating program, and drug sor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