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363B1 -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and drying functions for everyday objects - Google Patents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and drying functions for everyday obje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363B1
KR102563363B1 KR1020200144611A KR20200144611A KR102563363B1 KR 102563363 B1 KR102563363 B1 KR 102563363B1 KR 1020200144611 A KR1020200144611 A KR 1020200144611A KR 20200144611 A KR20200144611 A KR 20200144611A KR 102563363 B1 KR102563363 B1 KR 102563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cleaning
unit
liquid
tan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6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9253A (en
Inventor
이용인
Original Assignee
이용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인 filed Critical 이용인
Priority to KR1020200144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363B1/en
Publication of KR2022005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2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363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다목적 및 다기능의 살균 세정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목적 및 다기능의 살균 세정 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전면에 개폐가능한 출입구를 구비하며 출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대상 물체를 내부 공간에 보관하기 위한 거치 구조를 갖는 하우징부, 하우징부의 거치 구조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대상 물체를 보관하며 거치 구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로테이션 운동을 수행하는 탱크부 및 열, 광, 공기, 살균액 또는 세정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탱크부에 보관된 대상 물체로 제공하는 살균소독부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multipurpose and multifunctional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The multi-purpose and multi-functional sterilization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ace inside, an opening and closing door on the front side, and a housing portion having a mounting structure for storing a target object introduced through the doorway in the inner space, and the housing portion is mounted. A tank unit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tructure, stores a target object therein, and performs rotational moveme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mounting structure, and at least one of heat, light, air, sterilizing liquid, or cleaning liquid. It includes a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unit provided as a target object stored in the unit.

Description

일상 물건에 대한 살균, 소독, 세정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살균 세정 장치{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and drying functions for everyday objects}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and drying functions for everyday objects

본 발명은 살균 세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장난감, 인형, 휴대전화, 안경 등 일상 물건에 대한 살균, 소독, 세정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살균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and drying functions for everyday objects such as toys, dolls, mobile phones, and glasses.

스마트폰 등 일상 용품을 사용하다보면 다양한 오염원에 노출된다. 이러한 오염원에 노출된 물건에는 많은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이 검출된다. 사용자는 세균 등이 육안으로 보이지 않으므로 별다른 거부감없이 해당 물건을 사용하고, 사용 후에 손을 씻지 않은 상태로 음식을 취식하거나 눈, 코, 입 등을 만지게 됨으로써 세균 등이 인체로 침입하기 좋은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When using everyday items such as smartphones, we are exposed to various pollutants. Many germs, bacteria, viruses, etc. are detected in objects exposed to these contaminants. Since germs, etc. are invisible to the naked eye, users use the object without any objection, eat food without washing their hands after use, or touch their eyes, nose, mouth, etc., providing a good route for germs to invade the human body. will do

최근 다양한 감염병(COVID-19 등)의 확산이 뚜렷해지면서 사람들은 인체에 밀접하게 사용되는 물건(스마트폰, 무선이어폰, 안경, 시계, 악세서리, 인형, 장난감 등)을 살균, 소독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As the spread of various infectious diseases (COVID-19, etc.) has recently become clear, people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sterilize and disinfect objects (smartphones, wireless earphones, glasses, watches, accessories, dolls, toys, etc.) that are used closely to the human body. It is being done.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서 스마트폰 등을 살균하는 다양한 제품들이 소개되고 있고, 대표적으로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 방법이 적용된 장치들이 많이 소개되었다. 자외선을 발광하는 방식으로 UV-LED를 사용하여 특정 파장의 자외선을 발광시킨 뒤, 소정 시간동안 물건에 조사시켜서 살균하는 방식이다.Thanks to these efforts, various products for sterilizing smartphones and the like have been introduced, and many devices using a sterilization method using ultraviolet rays have been introduced. In a method of emitting ultraviolet rays, UV-LED is used to emit ultraviolet rays of a specific wavelength, and then irradiated to object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sterilize them.

자외선 살균 방식은 물과 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없는 물건에 대해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무선이어폰, 휴대용 배터리 등 수분에 취약한 물건에 대해서 제한적으로 사용되다보니, 살균 장치의 용도가 이러한 물건 등에 한정되어 있다.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method is mainly used for objects that cannot be used with water or alcohol. In particular, since it is limitedly used for items vulnerable to moisture such as smartphones, wireless earphones, and portable batteries, the use of the sterilization device is limited to these items.

하지만, 일상 생활을 하면서 스마트폰, 무선이어폰, 휴대용 배터리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물건을 사용해야 하고, 물건마다 다른 종류의 살균 장치를 채택해서 사용한다면 너무 많은 종류의 장비를 구매해서 사용해야 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However, in daily life, you have to use various types of things other than smartphones, wireless earphones, and portable batteries, and if you adopt and use different types of sterilization devices for each item, it is not economical because you have to purchase and use too many types of equipment.

이러한 살균 장치를 하나의 장비로 통합하기 위해서는 수분에 취약한 물건과 수분에 강인한 물건 등의 특성을 고려해서 살균 및 소독 방식을 상황에 맞춰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살균 소독 장치의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In order to integrate these sterilization devices into one equip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type of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device that can selectively us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s that are vulnerable to moisture and objects that are resistant to moisture. It is required.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0676641호(공고일 : 2007년02월02일)Patent Document 1: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676641 (Announcement date: February 2, 2007) 특허문헌 2 :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35627호(공개일 : 2013년04월09일)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35627 (published on April 9, 2013) 특허문헌 3 : 한국등록특허 제10-1845294호(공고일 : 2018년04월04일)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45294 (Announcement date: April 04, 2018) 특허문헌 4 : 한국등록특허 제10-2090377호(공고일 : 2020년03월17일)Patent Document 4: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90377 (Announcement date: March 17, 2020)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전자기기, 장난감, 인형, 마스크 등 다양한 종류의 물건을 손쉽게 적재할 수 있고, 물건의 특성에 따라 살균, 소독, 세정, 건조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살균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reated by the above-described need, can easily load various types of objects such as electronic devices, toys, dolls, masks, etc., and multi-purpose sterilization that can conveniently perform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and dry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살균 세정 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전면에 개폐가능한 출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대상 물체를 상기 공간에 보관하는 거치 구조를 갖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거치 구조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대상 물체를 보관하며, 상기 거치 구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로테이션 운동을 수행하는 탱크부; 및 열, 광, 공기, 살균액 또는 세정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탱크부에 보관된 상기 대상 물체로 제공하여 살균소독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ulti-purpose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ace inside, an openable entrance on the front side, and stores a target object introduced through the entrance in the space. a housing having a mounting structure; a tank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housing unit, storing the target object therein, and performing a rotational moveme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of the supporting structure; and a sterilization/disinfection unit by providing at least one of heat, light, air, sterilizing liquid, or cleaning liquid to the target object stored in the tank unit.

이 경우에, 상기 살균소독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 중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자외선 광원 모듈,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 중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살균액 또는 세정액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모듈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 중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 모듈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unit includes an ultraviolet light source module provided on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a liquid spray module for spraying a sterilizing liquid or cleaning liquid provided on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and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and an air discharge module for discharging air provided in the region.

한편, 상기 탱크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탱크부로부터 떨어지는 액체를 포집하는 액체 포집부;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t further includes; a liquid collecting unit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ank unit and collecting the liquid falling from the tank unit.

이 경우에, 상기 액체 포집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전방 하부에서 서랍형식으로 입출입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quid collecting unit may be moved in and out in a drawer form from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unit.

한편, 상기 탱크부는, 상기 거치 구조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원판 부재, 제2 원판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원판 부재와 상기 제2 원판 부재에 의해서 양측이 마감되는 원통형 몸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형 몸체 부재는 적어도 2개 부분으로 분리가능하며, 다공성 메쉬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ank portion is composed of a first disc member, a second disc member, and a cylindrical body member whose both sides are closed by the first disc member and the second disc member,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holding structure, and the cylindrical body member. The body member is detachable into at least two parts and may be composed of a porous mesh material.

이 경우에, 상기 탱크부는, 상기 원통형 몸체 부재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대상 물건을 고정시키는 고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ank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late for partitioning an inner space of the cylindrical body member and fixing the target object.

이 경우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원통형 몸체 부재의 내부에 삽입 체결되서 상기 원통형 몸체 부재를 적어도 2개 이상의 구역으로 횡축 방향 또는 종축 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는 플레이트이다.In this case, the fixing plate is a plate that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into the cylindrical body member to partition the cylindrical body member into at least two or more zones in a transverse direction or a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상기 자외선 광원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면을 따라 라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Meanwhile,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unit may be arranged in a line shap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unit.

한편, 상기 액체 분사부는, 상기 자외선 광원부와 교번적으로 라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quid ejection unit may be arranged in a line shape alternately with the UV light source unit.

한편,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 일 영역에 살균액 또는 세정액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an inlet through which a sterilizing liquid or a cleaning liquid may be injected may be further provided in one area outside the housing uni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물건의 종류, 재질 등 특징에 따라 다양한 살균 및 세정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단순히 살균 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생물학적 살균 효과에 비하여 살균제에 의한 세정, 열 처리 및 건조 처리를 통해서 물리/화학적인 살균/세정/건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물건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various sterilization and cleaning metho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such as the type and material, compared to the biological sterilization effect obtained by simply sterilizing treatment, physical cleaning by disinfectant, heat treatment, and drying treatment / By enabling chemical sterilization / washing / drying, it exerts the effect of enabling various types of objects to be used hygienical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살균 세정 장치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A-A'의 단면을 제1 위치에서 바라본 단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서 A-A'의 단면을 제2 위치에서 바라본 단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서 B-B'의 단면을 제3 위치에서 바라본 단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서 B-B'의 단면을 제4 위치에서 바라본 단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X영역을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탱크부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에서 A-A'의 단면을 제5 위치에서 바라본 단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탱크부의 내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탱크부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탱크부의 내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탱크부의 내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exemplarily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a multi-purpose sterilization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viewed from a first position of the cross section A-A' in FIG. 1 by way of example;
3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viewed from a second position of the cross section A-A' in FIG. 1 by way of example;
4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BB′ in FIG. 1 viewed from a third position by way of example;
5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cross section viewed from a fourth position of the cross section BB′ in FIG. 1;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X region shown in FIG. 5,
7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an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viewed from a fifth position of the cross section A-A' in FIG. 7 as an example;
9 is a view for illustratively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ank unit shown in FIG. 7;
10 is a view for illustratively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tank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illustratively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ank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2 is a view for illustratively explain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tank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목적 살균 세정 장치의 재질, 형태, 모양, 치수, 크기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설계변경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material, form, shape, dimensions, size, etc. of the multi-purpose sterilization and cleaning device described below may be variously design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살균 세정 장치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다목적 살균 세정 장치(100)는 하우징부(110), 탱크부(120) 및 액체 포집부(13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0)는 출입구(111), 정보표시패널(112) 및 투입구(113)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0)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내부 공간에는 탱크부(120)를 보관할 수 있다. 탱크부(120)는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거치된다. 탱크부(120)는 내부에 살균 및 세정 대상 물건을 보관할 수 있다. 탱크부(120)는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구비된 거치 구조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서 거치 구조를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로테이션(rotation) 운동을 할 수 있다. 탱크부(120)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탱크부(120)는 스테인리스 스틸의 외주면에 광촉매로 코팅될 수 있다. 탱크부(120)는 하우징부(110)의 내주면에 구비된 자외선 발광 모듈에 의해서 발광된 자외선과 광촉매가 반응하여 살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체 포집부(130)는 탱크부(120)에서 떨어지는 세정액, 살균액, 물 등의 액체를 포집하여 보관한다.1 is a view illustratively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a multi-purpose sterilization an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multi-purpose sterilization and cleaning device 100 includes a housing part 110, a tank part 120, and a liquid collecting part 130. The housing part 110 includes an entrance 111, an information display panel 112, and an input port 113. The housing part 110 may have a space therein, and the tank part 120 may be stored in the inner space. The tank unit 120 is mounted inside the housing unit 110 . The tank unit 120 may store objects to be sterilized and cleaned therein. The tank unit 12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ounting structu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unit 110 and can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round the mounting structure as a central axis. The tank unit 120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The tank unit 120 may be coated with a photocatalyst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stainless steel. The tank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exhibit a sterilization effect by reacting ultraviolet light emitted by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modul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unit 110 with the photocatalyst. The liquid collecting unit 130 collects and stores liquid such as cleaning liquid, sterilizing liquid, and water falling from the tank unit 12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입구(111)를 개폐하여 하우징부(110)의 내부로 탱크부(120)를 넣거나 빼낼 수 있고, 탱크부(120)를 하우징부(110)의 거치 구조에 거치시키고, 탱크부(120)를 회전시키면서 열, 광, 공기, 살균액, 세정액 등을 공급시킴으로써 탱크부(120)의 내부에 보관된 대상 물건에 대한 살균, 소독, 건조, 세척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nk part 120 can be inserted into or taken out of the housing part 110 by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111, and the tank part 120 is mounted on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housing part 110. and by supplying heat, light, air, sterilizing liquid, cleaning liquid, etc. while rotating the tank unit 120, sterilization, disinfection, drying, washing, etc. of the object stored inside the tank unit 120 are performed. can do.

탱크부(120)를 회전시키는 모터부에 대해서는 별도로 개시하고 있지 않지만,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기력에 의해서 구동가능한 인버터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부는 본 발명을 이해함에 있어서 본질적인 구성은 아니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the motor unit for rotating the tank unit 120 is not separately disclosed, it may be implemented as an inverter motor that can be driven by electric power providing rotational force. Since this motor unit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도 1에서 A-A'의 단면을 제1 위치에서 바라본 단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하우징부(110)의 전면부에 출입구(111)를 개폐하면 탱크부(120)를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탱크부(120)에 대한 살균 등의 작업이 완료되면 하우징부(110)의 출입구(111)를 개폐하여 탱크부(120)를 하우징부(110)로부터 꺼낼 수 있다. 탱크부(120)는 원통형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원통형 이외의 형태로도 충분히 설계변경될 수 있다. 탱크부(120)는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설치되면 하우징부(110)에 구비된 모터부에 의해서 회전력을 공급받아서 하우징부(110)의 거치 구조를 기준축으로 하여 로테이션 운동을 하면서 살균액, 세정액, 공기, 열, 광(자외선) 등에 접촉하게 되면서 살균, 소독, 세정, 건조 등의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탱크부(120)의 하부에는 액체를 포집하는 액체 포집부(130)를 구비함으로써 탱크부(120)에 접촉한 액체(세정액, 살균액, 수분 등)를 수집하여 보관할 수 있다. FIG. 2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cross-section viewed from a first position of the cross-section line A-A' in FIG. 1 . Referring to FIG. 2 , when the entrance 111 is opened and cl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10 , the tank 12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 When the sterilization of the tank unit 120 is completed, the tank unit 120 may be taken out of the housing unit 110 by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111 of the housing unit 110 . It is preferable to design the tank unit 120 in a cylindrical shape, but depending on embodiments, the design may be sufficiently changed to a shape other than a cylindrical shape. When the tank unit 12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unit 110, rotational force is supplied by the motor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unit 110, and sterilization is performed while rotating with the holding structure of the housing unit 110 as a reference axis. As it comes into contact with liquid, cleaning liquid, air, heat, light (ultraviolet rays), etc.,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drying, etc. are performed. The liquid collecting part 130 for collecting liquid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tank part 120, so that the liquid (cleaning liquid, sterilizing liquid, moisture, etc.) in contact with the tank part 120 can be collected and stored.

도 3은 도 1에서 A-A'의 단면을 제2 위치에서 바라본 단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하우징부(110)는 외부로부터 세정액, 살균액, 물 등을 공급받을 수 있는 투입구(113)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부(110)는 투입구(113)를 통해서 공급된 세정액, 살균액, 물 등을 관로를 통해서 살균세정부(140)로 제공한다. 살균세정부(140)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FIG. 3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viewed from a second position of the cross section A-A' in FIG. 1 by way of example. Referring to FIG. 3 , the housing unit 110 may include an inlet 113 through which cleaning liquid, sterilizing liquid, water, and the like may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housing unit 110 provides the cleaning liquid, sterilizing liquid, water, etc. supplied through the inlet 113 to the sterilization cleaning unit 140 through a conduit. The structure of the sterilization and cleaning unit 14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separate drawings.

하우징부(110)는 내부 양측면에 거치 구조(114-1, 114-2)를 구비한다. 하우징부(110)의 거치 구조(114)는 탱크부(120)의 양측과 탈착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탱크부(12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기계적 연결 부위로써 작동할 수 있다. 하우징부(110)의 거치 구조(114)에는 전기 모터를 연결함으로써 회전력을 발생시켜서 탱크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부(110)는 하부면에 트렌치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탱크에서 떨어지는 액체를 액체 포집부(130)로 유입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한다. The housing unit 110 has holding structures 114-1 and 114-2 on both inner sides thereof. The mounting structure 114 of the housing unit 110 is detachab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tank unit 120, so that it can operate as a mechanical connection part for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tank unit 120. By connecting an electric motor to the holding structure 114 of the housing part 110 , rotational force may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tank part 120 . The housing unit 110 has a trench structure on its lower surface to provide a flow path through which liquid falling from the tank can flow into the liquid collecting unit 130 .

탱크부(120)는 하우징부(110)의 거치 구조(114)의 양측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거치 구조(114)를 통해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로테이션 운동을 한다.탱크부(120)의 외주면에는 하우징부(110)의 내주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위치한다. 하우징부(110)의 내주면에 구비된 살균세정부(140)는 탱크부(120)의 외주면을 향해서 세정액, 살균액, 열, 공기, 자외선등을 공급함으로써 살균, 세정, 건조, 열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The tank part 120 is detachab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holding structure 114 of the housing part 110, and rotates by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through the holding structure 114.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nk part 120 is positioned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1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it. The sterilization and cleaning unit 140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unit 110 supplies cleaning liquid, sterilizing liquid, heat, air, ultraviolet light, etc.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nk unit 120 to treat sterilization, cleaning, drying, heat, etc. run

탱크부(120)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광촉매를 코팅하고, 자외선과 반응해서 광촉매 반응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용되는 광촉매는 이산화 타이타늄을 사용할 수 있다. 이산화 타이타늄은 자외선과 반응하여 광촉매 반응이 발생된다. 이산화 타이타늄은 반도체의 일종으로, 반도체에 일정한 에너지가 가해지면 가전자대에 머물던 전자가 에너지를 받아 원자핵의 속박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전도대로 이동하게 된다. 빛(자외선)이 전자가 이동할 수 있는 에너지 역할을 수행한다. 이산화 타이타늄의 전도대에는 음전하를 띠는 전자(e-)들이 머물게 되고, 이산화 타이타늄의 가전자대에는 양전하를 띠는 정공(h+)이 생기게 된다.A photocatalyst is coated on the outer o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nk unit 120, and a photocatalytic reaction is performed by reacting with ultraviolet rays. The photocatalyst used herein may be titanium dioxide. Titanium dioxide reacts with ultraviolet light to generate a photocatalytic reaction. Titanium dioxide is a type of semiconductor, and when a certain amount of energy is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the electrons staying in the valence band receive energy and move to the conduction band, where they can move freely out of the bondage of the atomic nucleus. Light (ultraviolet rays) serves as energy for electrons to move. Negatively charged electrons (e-) stay in the conduction band of titanium dioxide, and positively charged holes (h+) are created in the valence band of titanium dioxide.

이때 전자는 산소와 환원반응을 일으켜 슈퍼옥사이드(O2-)를 만들고, 정공은 물과 산화 반응을 일으켜 수산화 라디칼(OH-)이라는 활성 산소를 생성한다. 슈퍼옥사이드와 수산화 라디칼은 강한 에너지를 가진 물질로써 휘발성 유기 화합물과 각종 악취 원인 물질을 쉽게 분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종 페수의 BOD, 난분해성 오염 물질, 환경 호르몬을 제거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병원성 대장균, 황색 포도상 구균, O-157 등 각종 병원균과 박테리아를 99% 이상 살균하는 등 대상 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할 수 있다.At this time, electrons cause a reduction reaction with oxygen to create superoxide (O2-), and holes cause an oxidation reaction with water to generate active oxygen called hydroxyl radical (OH-).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s are substances with strong energy and can be used to easily decompos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various odor-causing substances. In addition, it can remove BOD, non-degradable pollutants, and environmental hormones from various wastewater. In addition, it can oxidize and remove target substances, such as sterilizing over 99% of various pathogens and bacteria such as pathogenic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O-157.

도 4는 도 1에서 B-B'의 단면을 제3 위치에서 바라본 단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하우징부(110)의 내주면은 탱크부(120)의 외주면과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즉, 하우징부(110)의 내주면에는 살균세정부(140)를 구비한다. FIG. 4 is a view illustratively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a cross section BB′ in FIG. 1 viewed from a third position. Referring to FIG. 4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nk part 120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the sterilization and cleaning unit 140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unit 110 .

살균 세정부(140)는 탱크부(120)의 장축 방향으로 라인 배열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살균세정부(140-1)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UV-LED로 구성되는 자외선 광원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살균세정부(140-1)는 복수의 단위 UV-LED 모듈을 라인 형태로 구성하여 라인 UV-LED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라인 UV-LED는 A타입, B타입, C타입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erilizing cleaning unit 140 may be arranged in a line arrang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axis of the tank unit 120 . The first sterilization and cleaning unit 140-1 may be composed of an ultraviolet light source module composed of UV-LEDs emitting ultraviolet rays. The first sterilization and cleaning unit 140-1 may be composed of line UV-LEDs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unit UV-LED modules in a line form. At this time, the line UV-LED may be composed of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 type, B type, and C type.

제2 살균세정부(140-2)는 살균액 또는 세정액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액체 분사 모듈은 살균액 또는 세정액을 미세한 액적으로 소정의 분사 속도로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체 분사 모듈은 살균액 또는 세정액을 잉크젯 분사 방식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잉크젯 분사 방식에 의해서 분사된 살균액 및 세정액의 입자 크기는 수십 에서 수백 마이크로 미터(㎛)의 크기로 미세하게 분사될 수 있다.The second sterilization and cleaning unit 140 - 2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spray module that sprays a sterilizing liquid or a cleaning liquid. The liquid spraying module may be configured to spray the sterilizing liquid or the cleaning liquid in fine droplets at a predetermined spraying speed. The liquid ejec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to eject the sterilizing solution or the cleaning solution in an inkjet ejection method. The particle size of the sterilizing liquid and the cleaning liquid sprayed by the inkjet spraying method may be finely sprayed with a size of several tens to hundreds of micrometers (μm).

제3 살균세정부(140-3)는 건조 공기를 탱크부(120)로 토출하는 공기 토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기 토출 모듈은 공기를 압축시키는 컴프레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프레서에 의해서 압축된 공기를 제3 살균세정부(140-3)에 구비된 좁은 유로를 통과시키면서 유출 속도를 높여서 공기를 탱크부(120)를 향해서 분사시킬 수 있다. 이때, 유로의 종단에는 공기 분사 노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공기 분사 노즐은 분산력이 5N 내지 15N의 범위이고, 50m/s 내지 200m/s 범위에서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분사 노즐의 공기 분사 패턴은 라발(LAVAL)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hird sterilization and cleaning unit 140 - 3 may be implemented as an air discharge module that discharges dry air to the tank unit 120 . The air discharg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ir. The air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may be injected toward the tank unit 120 by increasing the outflow rate while passing the air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through the narrow passage provided in the third sterilization and cleaning unit 140-3. At this time, an air spray nozzle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passage. The air spray nozzle has a dispersion force in the range of 5N to 15N, and may be configured to be sprayed in the range of 50m/s to 200m/s. The air injection pattern of the air injection nozzle may be configured in a LAVAL manner.

제4 살균세정부(140-4)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 광원 모듈 또는 액체 분사 모듈 또는 공기 토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5 살균 세정부(140-5)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 광원 모듈 또는 액체 분사 모듈 또는 공기 토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The fourth sterilization and cleaning unit 140 - 4 may be implemented as an ultraviolet light source module that emits ultraviolet rays, a liquid injection module, or an air discharge module. Likewise, the fifth sterilization and cleaning unit 140 - 5 may be implemented as an ultraviolet light source module emitting ultraviolet light, a liquid spray module, or an air discharge module.

도 4에서는 라인 형태로 배열된 살균 세정부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살균세정부는 라인 형태 이외에 단위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라인 모듈에는 자외선 광원, 액체 분사 및 공기 토출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자외선 광원 모듈, 액체 분사 모듈 및 공기 토출 모듈 이외에 고열을 발생시키는 열원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4 shows the shape of the sterilization and cleaning unit arranged in a line shape, but this sterilization and cleaning un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unit module in addition to the line shape, and a UV light source, liquid injection and air discharge functions are provided in one line module. It can also be implemented through integr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a heat source module generating high heat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module, the liquid injection module, and the air discharge module.

탱크부(120)에 접촉하거나 내부로 침투한 액체(세정액, 살균액, 수분 등)는 하부에 낙하하고, 하우징부(110)의 저면에 마련된 트렌치 구조(115)를 통해서 액체 포집부(130)로 포집될 수 있다. 탱크부(120)는 로테이션 운동을 하면서 침투한 액체가 고르게 내부에서 섞이면서 내부에 보관된 대상물을 살균 및 세정할 수 있다.The liquid (cleaning liquid, sterilizing liquid, moisture, etc.)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ank unit 120 or penetrates into the inside falls to the lower portion and passes through the trench structure 115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unit 110 to the liquid collecting unit 130. can be captured with The tank unit 120 can sterilize and clean the object stored therein while performing a rotational movement and evenly mixing the penetrating liquid therein.

도 5는 도 1에서 B-B'의 단면을 제4 위치에서 바라본 단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하우징부(110)의 트렌치 구조(115)는 액체 포집부(130)와 관로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탱크부(120)는 일 면에 홀을 구비하고, 해당 홀을 통해서 내부에 모인 액체를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FIG. 5 is a view exemplarily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viewed from a fourth position of a cross section BB′ in FIG. 1 . Referring to FIG. 5 , the trench structure 115 of the housing part 110 is connected to the liquid collecting part 130 through a conduit. The tank unit 120 has a hole on one surface, and the liquid collected therein can be moved downward through the hole.

탱크부(120)는 일정한 회전 속도(예컨대, 50 내지 300 RPM)로 회전 운동을 하면서 살균세정부(140)에 의해서 살균, 소독, 세정, 건조, 열 등의 처리를 받음으로써, 내부에 보관된 대상 물건을 살균, 소독, 세정, 건조, 및 열처리하여 살균 및 소독시킬 수 있다.The tank unit 120 rotates at a constant rotation speed (eg, 50 to 300 RPM) and is subjected to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drying, heat, etc. treatment by the sterilization cleaning unit 140, The object may be sterilized and disinfected by sterilizing, disinfecting, cleaning, drying, and heat treatmen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탱크부(120)는 하우징부(110)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탱크부(120)에 대상 물건을 담을 경우에 종류별로 분류하여 손쉽게 보관할 수 있고, 살균 작업 등이 종료된 이후에도 탱크부(120)를 꺼내서 살균된 물건 등을 꺼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nk unit 12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housing unit 110, so that when objects are stored in the tank unit 120, they can be classified by type and easily stored, sterilization work, etc. Even after this is over, since the tank unit 120 can be taken out to take out sterilized objects,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도 6은 도 5에 도시된 X영역을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탱크부(120)는 원통형으로 구성하되, 복수의 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다. 탱크부(120)는 제1 부분(120-1)과 제2 부분(120-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부분(120-1)과 제2 부분(120-2)를 연결하는 부위에는 기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1 부분(120-1)과 제2 부분(120-2)으로 분리되더라도 좌측과 우측에 구비된 원판 부재에 의해서 제1 부분(120-1)과 제2 부분(120-2)이 일체화된 형태로 원통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부분(120-1)과 제2 부분(120-2)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살균세정부(140)에서 분사된 액체등이 탱크부(120)의 내부로 손쉽게 침투할 수 있다.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n area X shown in FIG. 5 exemplarily. Referring to FIG. 6 , the tank portion 120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The tank unit 12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part 120-1 and a second part 120-2. A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part 120-1 and the second part 120-2 may be design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Even though the first part 120-1 and the second part 120-2 are separated, the first part 120-1 and the second part 120-2 are integrated by the disc member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t can form a cylindrical structure in the form. Since the first part 120-1 and the second part 120-2 have a certain distance, the liquid sprayed from the sterilization cleaning part 140 can easily penetrate into the tank part 120. there is.

실시 예에 따라서는 탱크부(120)의 재질을 다공성 재질로 구현함으로써, 살균세정부(140)에서 분사된 액체, 열, 광, 공기 등이 손쉽게 탱크부(120)의 내부로 침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부(110)의 저면에는 트렌치 구조(115)를 구비함으로써, 탱크부(120)에서 떨어진 액체를 액체 포집부(130)로 모아줄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material of the tank part 120 is implemented as a porous material so that liquid, heat, light, air, etc. sprayed from the sterilization cleaning part 140 can easily penetrate into the inside of the tank part 120. can do. By providing the trench structure 115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unit 110 , liquid dropped from the tank unit 120 can be collected in the liquid collecting unit 130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탱크부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탱크부(120)의 원통형 몸체 부재는 2개 부분으로 구획되어 있다. 탱크부(120)는 제1 원통형 몸체 부재(120-1)와 제2 원통형 몸체 부재(120-2)으로 구획됨으로써 원통형 몸체 부재를 구성한다. 탱크부(120)의 원통형 몸체 부재는 제1 원판 부재(121)와 제2 원판 부재(122)에 의해서 마감됨으로써, 폐쇄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탱크부(120)의 내부에는 물건을 담아서 하우징부(110)에 조립시킴으로써, 탱크부(120)를 회전시켜서 내부 물건을 살균, 세정, 열, 공기 처리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7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an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Referring to FIG. 7 , the cylindrical body member of the tank unit 120 is partitioned into two parts. The tank portion 120 constitutes a cylindrical body member by being partitioned into a first cylindrical body member 120-1 and a second cylindrical body member 120-2. The cylindrical body member of the tank unit 120 is closed by the first disc member 121 and the second disc member 122, thereby forming a closed structure. In this way, by putting objects inside the tank 120 and assembling them to the housing 110, the tank 120 can be rotated to efficiently sterilize, clean, heat, treat, etc. the internal objects.

도 8은 도 7에서 A-A'의 단면을 제5 위치에서 바라본 단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탱크부(12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존재하고, 해당 빈 공간에 목적 물건을 담아서, 하우징부(110)에 조립시킨 뒤, 탱크부(120)를 회전시키면서 살균액 도포, 세정액 도포, 열 조사, 광 조사, 공기 처리를 순차적으로 함으로써, 다양한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살균, 세정, 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는 ① 살균액 분사 → ② 세정액 분사 → ③ 열 조사 → ④ 광 조사 → ⑤ 공기 분사 등의 처리 순서를 가변적으로 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각각의 처리를 2회이상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FIG. 8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viewed from a fifth position of the cross section A-A' in FIG. 7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8 , an empty space exists inside the tank unit 120, a target object is placed in the empty space, assembled to the housing unit 110, and then a sterilizing solution is applied while rotating the tank unit 120. , By sequentially applying cleaning liquid, heat irradiation, light irradiation, and air treatment, various biological and chemical physical sterilization, cleaning, and heat treatmen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ing sequence of ① sterilizing liquid spraying → ② washing liquid spraying → ③ heat irradiation → ④ light irradiation → ⑤ air spraying may be operated variably. Further, each of these processes may be repeatedly performed twice or more.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탱크부의 내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탱크부(120)는 원통형 몸체 부재가 제1 부분(120-1), 제2 부분(120-2) 및 제3 부분(120-3)으로 구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부분(120-1)과 제2 부분(120-2)이 맞닿는 부위 중 제1 부분(120-1) 및/또는 제2 부분(120-2)에는 홀(Hole)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120-1)과 제2 부분(120-2) 사이와 제2 부분(120-2)과 제3 부분(120-3) 사이와 제3 부분(120-3)과 제1 부분(120-1) 사이에는 각각 일정한 크기의 간격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1 부분(120-1) 내지 제3 부분(120-3)은 개폐할 수 있도록 설계됨으로써, 탱크부(120)의 내부로 물건을 수납할 경우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FIG. 9 is a view for illustratively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ank unit shown in FIG. 7 . Referring to FIG. 9 ,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ylindrical body member of the tank unit 120 is divided into a first part 120-1, a second part 120-2, and a third part 120-3. . A hole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first portion 120-1 and/or the second portion 120-2 of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first portion 120-1 and the second portion 120-2. there is. 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part 120-1 and the second part 120-2, between the second part 120-2 and the third part 120-3, and between the third part 120-3 and the second part 120-3. A gap of a certain size exists between the first parts 120-1. Accordingly, the first part 120 - 1 to the third part 120 - 3 are designed to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user convenience can be provided when goods are stored inside the tank unit 120 .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탱크부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탱크부(120)는 2개 부분으로 구분되고, 제1 원통형 몸체 부재(120-1)와 제2 원통형 몸체 부재(120-2)로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원통형 몸체 부재(120-1)와 제2 원통형 몸체 부재(120-2)는 금속재질의 다공성 메쉬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광 투과성, 통풍성 및 액체 침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공성의 홀의 크기를 크게 설계하면 자외선의 침투 범위를 넓게 해줌으로써 살균 효과를 높여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다공성의 홀의 크기를 물이 침투할 수 있는 크기 정도로 설계할 수도 있다.10 is a view for illustratively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tank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 the tank unit 120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ylindrical body member 120-1 and a second cylindrical body member 120-2. The first cylindrical body member 120-1 and the second cylindrical body member 120-2 may improve light transmittance, ventilation, and liquid permeability by using a metal porous mesh material. In addition, if the size of the porous hole is designed to be large, the sterilization effect can be enhanced by widening the penetration range of ultraviolet ray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ize of the porous hole may be designed to a size that allows water to permeate.

제1 원통형 몸체 부재(120-1)와 제2 원통형 몸체 부재(120-2)를 메쉬 소재를 사용함에 따라 양측 종단을 마감하는 원판 부재(121, 122)를 금속 재질로 사용하지 않고 투명 재질의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As the mesh material is used for the first cylindrical body member 120-1 and the second cylindrical body member 120-2, the disk members 121 and 122 that close both ends are not made of metal, but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t can also be made of reinforced plastic or the lik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탱크부의 내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탱크부(120)의 원통형 몸체 부재의 내부에는 원통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물건을 수납하여 살균 처리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하지만, 대상 물건이 서로 부딪힐 경우에 파손의 우려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일정하게 고정시킬 필요성이 존재한다.11 is a view for illustratively explain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tank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 since a cylindrical space is formed inside the cylindrical body member of the tank unit 120, various types of objects may be stored and sterilizat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However, since damage may occur when objects collide with each other, there is a need to fix them constantly.

이를 위해서 탱크부(120)의 내부 공간을 다양하게 구획할 수 있는 고정 플레이트(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23)는 탱크부(120)의 내부 공간을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고, 고정 플레이트(123)의 표면에 물건을 고정시킴으로써 탱크부(120)가 회전 운동을 하더라도 고정된 물건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이렇게 고정 플레이트(123)의 표면에는 물건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리, 홈, 이들의 결합된 구조가 미리 설치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고리 등을 메쉬 소재의 홈에 걸어서 해당 물건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To this end, a fixing plate 123 capable of dividing the inner space of the tank unit 120 in various ways may be further provided. The fixing plate 123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tank part 120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by fixing objects to the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23, even if the tank part 120 rotates, collision between fixed objects occurs. This problem can be prevented. In this way, rings, grooves, and their combined structures for fixing objects may be pre-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23, or the user may fix the object by hooking the rings or the like into the grooves of the mesh material.

이러한 고정 플레이트(123)는 탱크부(120)에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탱크부(120)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고정 플레이트(123)의 변형 실시 예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별도의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The fixing plate 123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tank unit 120 to efficiently use the space of the tank unit 120 . Modified embodiments of the fixing plate 123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separate drawings.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탱크부의 내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탱크부(120)의 수평 방향으로 추가 설치된 제1 고정 플레이트(123-1)는 탱크부(120)의 상부와 하부 공간을 구획한다. 제1 고정 플레이트(123-1)에는 수직 방향으로 제2 고정 플레이트(123-2)를 추가 설치할 수 있고, 제2 고정 플레이트(123-2)에 의해서 탱크부(120)의 상부 공간이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12 is a view for illustratively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tank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2 , the first fixing plate 123-1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ank unit 120 divides the upper and lower spaces of the tank unit 120. A second fixing plate 123-2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first fixing plate 123-1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space of the tank unit 120 is formed by the second fixing plate 123-2. It may be partitioned into a space and a second space.

제1 고정 플레이트(123-1)는 말단부에 끼움 수단을 구비하고, 탱크부(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2 고정 플레이트(123-2)의 말단부에는 끼움 수단을 구비하고, 제1 고정 플레이트(123-1)에 형성된 다수의 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late 123-1 may have a fitting means at an end portion and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nk unit 120 in a fit-fitting manner. In the same way,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plate 123-2 may have a fitting means, and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first fixing plate 123-1 in a fitting mann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고정 플레이트(123-2)에 추가적으로 연결되는 제3 고정 플레이트(123-3)를 더 연결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구조로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urther connecting the third fixing plate 123-3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late 123-2, the space can be divided into more diverse structures.

100 : 다목적 살균 세정 장치
110 : 하우징부
120 : 탱크부
130 : 액체 포집부
140 : 살균세정부
100: multi-purpose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110: housing part
120: tank part
130: liquid collecting unit
140: sterilization and cleaning unit

Claims (10)

일상 물건에 대한 살균, 소독, 세정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살균 세정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전면에 개폐가능한 출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대상 물체를 상기 공간에 보관하는 거치 구조를 갖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거치 구조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대상 물체를 보관하며, 상기 거치 구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로테이션 운동을 수행하는 탱크부;
열, 광, 공기, 살균액 또는 세정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탱크부에 보관된 상기 대상 물체로 제공하는 살균세정부; 및
상기 탱크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전방 하부에서 서랍형식으로 입출입하도록 설치되서 상기 탱크부로부터 떨어지는 액체를 포집하는 액체 포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세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 중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자외선 광원 모듈,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 중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살균액 또는 세정액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모듈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 중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광원 모듈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면을 따라 라인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액체 분사 모듈은, 상기 자외선 광원 모듈과 교번적으로 라인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 물건에 대한 살균, 소독, 세정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살균 세정 장치.
In a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and drying functions for everyday objects,
a housing unit having a space inside, an opening and closing door on the front side, and a holding structure for storing a target object introduced through the doorway into the space;
a tank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housing unit, storing the target object therein, and performing a rotational moveme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of the supporting structure;
a sterilization and cleaning unit providing at least one of heat, light, air, sterilizing liquid, and cleaning liquid to the target object stored in the tank unit; and
a liquid collecting unit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ank unit and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at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unit to collect the liquid falling from the tank unit;
including,
The sterilization and cleaning unit is provided on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an ultraviolet light source module provided on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 liquid spray module for spraying a sterilizing liquid or cleaning liquid provided on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and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Including an air discharge module for discharging air to be,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module is arranged in a line shap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injection module is arranged in a line form alternately with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module,
A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and drying functions for everyday objec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는, 상기 거치 구조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원판 부재, 제2 원판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원판 부재와 상기 제2 원판 부재에 의해서 양측이 마감되는 원통형 몸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형 몸체 부재는 적어도 2개 부분으로 분리가능하며, 다공성 메쉬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 물건에 대한 살균, 소독, 세정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살균 세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ank unit is composed of a first disc member, a second disc member, and a cylindrical body member whose both sides are closed by the first disc member and the second disc member,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holding structure,
The cylindrical body member is separable into at least two parts,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porous mesh material
A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and drying functions for everyday object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는, 상기 원통형 몸체 부재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대상 물체를 고정시키는 고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 물건에 대한 살균, 소독, 세정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살균 세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tank un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plate for partitioning an inner space of the cylindrical body member and fixing the target object.
A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and drying functions for everyday objects.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원통형 몸체 부재의 내부에 삽입 체결되서 상기 원통형 몸체 부재를 적어도 2개 이상의 구역으로 횡축 방향 또는 종축 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는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 물건에 대한 살균, 소독, 세정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살균 세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6,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late is a plate that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into the cylindrical body member to partition the cylindrical body member into at least two or more zones in a transverse direction or a longitudinal direction
A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and drying functions for everyday objec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 일 영역에 살균액 또는 세정액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 물건에 대한 살균, 소독, 세정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살균 세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let through which a sterilizing liquid or cleaning liquid can be injected into one area outside the housing part.
A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and drying functions for everyday objects.
KR1020200144611A 2020-11-02 2020-11-02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and drying functions for everyday objects KR1025633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611A KR102563363B1 (en) 2020-11-02 2020-11-02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and drying functions for everyday obje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611A KR102563363B1 (en) 2020-11-02 2020-11-02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and drying functions for everyday obje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253A KR20220059253A (en) 2022-05-10
KR102563363B1 true KR102563363B1 (en) 2023-08-02

Family

ID=8159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611A KR102563363B1 (en) 2020-11-02 2020-11-02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and drying functions for everyday objec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36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2484A1 (en) * 2018-03-19 2019-09-26 أحمد عريقات، Kitchen device for cleaning fresh fruit and vegetabl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641B1 (en) 2005-09-21 2007-02-02 신현용 Toy washer
KR20130035627A (en) 2011-09-30 2013-04-09 양혜진 Multipurpose sterilizer
KR20150091832A (en) * 2014-02-04 2015-08-1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having sterilization module
KR101605605B1 (en) * 2014-02-28 2016-03-22 김남주 separable sterilizer
KR101637232B1 (en) * 2014-05-27 2016-07-08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method for drying a soft gelatine capsule with washing basket
KR101845294B1 (en) 2016-07-28 2018-04-04 주식회사 이노윅스 Complex type toy sterilizer
KR102090377B1 (en) 2018-03-14 2020-03-17 안홍덕 Steriliz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2484A1 (en) * 2018-03-19 2019-09-26 أحمد عريقات، Kitchen device for cleaning fresh fruit and veget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253A (en)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8888B2 (en) A sterilizer having a configuration for selectively implementing different disinfection modes inside and outside the apparatus
KR101030583B1 (en) A visitor sterilizing room
EP2465543B1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or disinfecting the hands of a person
JP2012081215A (en) Low temperature plasma/ultraviolet ray compound sterilizer
US20130283629A1 (en) Dryer, especially hand dryer
KR102237928B1 (en) Unmanned Human Clean Gate
KR20150142971A (en) mobile type air cleaner
WO2009124428A1 (en) A photocatalyst sterilizer with a clo2 sterilizer
EP2863958B1 (en) Sanitizing method
JP2020513257A (en)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EP2618853B1 (en) A room sanitizing apparatus
KR1013222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ook sterilize
KR20170125523A (en)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KR102563363B1 (en)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sterilization, disinfection, cleaning and drying functions for everyday objects
KR20160038653A (en) Sterilizing humidifier using ultraviolet
JP3231850U (en) Photoelectronic air sterilizer
KR20220072948A (en) Pass-through sterilization device
KR102374224B1 (en) Sterilization for storage of belongings that exhibits sterilization function according to changes in illuminance
KR100535940B1 (en) Air purifier
KR20160001539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102398891B1 (en) Modular filter for air sterilization device and ultraviolet-reactive chlorine dioxide gas generation air sterilization device using the same
KR200390902Y1 (en) Ultra-violet ray sterilizer
KR102524118B1 (en) A device that sterilizes the surface and air of an object at the same time
JP2003153993A (en) Air cleaning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spore bacteria such as anthrax and other general bacteria
JP3235277U (en) Cash register ster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