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052B1 -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052B1
KR102563052B1 KR1020220026778A KR20220026778A KR102563052B1 KR 102563052 B1 KR102563052 B1 KR 102563052B1 KR 1020220026778 A KR1020220026778 A KR 1020220026778A KR 20220026778 A KR20220026778 A KR 20220026778A KR 102563052 B1 KR102563052 B1 KR 102563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onal state
bio
signal
information
bio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윤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몬드
Priority to KR1020220026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대상체의 피부와 접촉되어 구동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신체정보 및 감정정보를 획득하여 생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표준생체신호와 매칭되는 표준결과데이터를 포함하는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표준생체신호와 상기 생체신호를 비교 및 분석하여 상기 생체신호에 매칭되는 상기 표준생체신호에 대응하는 표준결과데이터를 결과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대상체의 성향정보를 고려하여 행복, 보통,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및 놀라움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정보의 변화를 상기 생체신호 측정시마다 감지하여 대상체의 감정상태가 긍정적인 상태로 변경 또는 유지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SERVICEING SYSTEM FOR MANAGE HEALTH OF COMPANION ANIM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반려동물로부터 탈착 가능한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반려동물의 생체신호를 기초로 반려동물의 감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구구조가 고령화되고 독신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인간은 점차 자기중심적이고 맘이 황폐해져 가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을 가족 구성원 또는 동반자로 인식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반려동물 시장 또한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동물의 옷, 집, 사료, 놀이용품 등과 같은 물품 판매뿐만 아니라, 돌봄이 서비스, 건강관리, 전용 놀이터, 장례, 전용 납골당 등과 같은 서비스까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의 병 질환에 대한 관심도 나날이 지대 해져 가고 있는 만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생산과 개발도 날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의 건강을 체크 관리하여 주인과 반려동물이 오래도록 건강하게 함께하고자 하는 바람이 늘고 있다.
그러나, 사람뿐만이 아닌 반려동물에 대하여도 수명유지에 지장을 주는 치명적인 병의 일종인 안과 질환에 대한 정보나 장치에 대한 개발이 덜 되어 있으며 이에 관한 연구 또한 아직 열악한 편이어서 반려동물에게 상기와 같은 안과질환 등과 같은 치유하기 어려운 병에 걸렸을 경우, 치료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어 사실상 손을 놓아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을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될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8-011076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대상체의 피부와 접촉되어 구동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신체정보 및 감정정보를 획득하여 생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표준생체신호와 매칭되는 표준결과데이터를 포함하는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표준생체신호와 상기 생체신호를 비교 및 분석하여 상기 생체신호에 매칭되는 상기 표준생체신호에 대응하는 표준결과데이터를 결과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대상체의 성향정보를 고려하여 행복, 보통,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및 놀라움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정보의 변화를 상기 생체신호 측정시마다 감지하여 대상체의 감정상태가 긍정적인 상태로 변경 또는 유지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1차로 수신된 제1 감정정보와 상기 제1 감정정보 이후에 2차로 수신된 제2 감정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감정정보가 상기 제1 감정정보에서 상기 제2 감정정보로 대상체의 감정상태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감정상태가 부정적으로 변경된 경우, 감정상태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감정상태가 긍정적으로 변경된 경우, 긍정적인 감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정정보는 상기 제2 감정정보가 부정적 상태일 때 긍정적 상태이고, 상기 제1 감정정보는 상기 제2 감정정보가 긍정적 상태일 때 부정적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1차로 수신된 제1 감정정보와 상기 제1 감정정보 이후에 2차로 수신된 제2 감정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감정정보가 상기 제1 감정정보에서 상기 제2 감정정보로 대상체의 감정상태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감정상태가 부정적으로 변경되지 않고 감정상태가 긍정적으로 유지된 경우, 긍정적인 감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감정상태가 긍정적으로 변경되지 않고 감정상태가 부정적으로 유지된 경우, 감정상태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정정보 및 상기 제2 감정정보는 긍정적 상태 또는 부정적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대상체의 감정상태가 긍정적인 상태로 유지되거나, 부정적인 상태에서 긍정적인 상태로 되돌아가거나, 부정적인 상태에서 긍정적인 상태로 변화되도록 음악 및 보호자의 목소리가 기설정된 재생 횟수 및 기설정된 재생 시간에 따라 대상체에게 제공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대상체의 피부와 접촉되어 구동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신체정보 및 감정정보를 획득하여 생체신호를 생성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표준생체신호와 매칭되는 표준결과데이터를 포함하는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표준생체신호와 상기 생체신호를 비교 및 분석하여 상기 생체신호에 매칭되는 상기 표준생체신호에 대응하는 표준결과데이터를 결과데이터로 생성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대상체의 성향정보를 고려하여 행복, 보통,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및 놀라움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정보의 변화를 상기 생체신호 측정시마다 감지하여 대상체의 감정상태가 긍정적인 상태로 변경 또는 유지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의류, 인식표, 목걸이, 모자 등의 착용품에 의해 반려동물의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반려동물의 감정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의 건강뿐만 아니라 감정상태를 함께 관리하여 반려동물의 우울증 및 정서불안을 개선하여 신체적 및 정신적으로 반려동물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감정상태에 따라 피드백신호를 제공하여 반려동물의 심리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결과데이터에 포함되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은 생체신호 측정장치(10), 사용자 단말기(20) 및 관리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신호 측정장치(10), 사용자 단말기(20) 및 관리서버(30)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망은 다양한 원거리 통신 방식이 지원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BLE(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RF(Radio Frequency), LoRa(Long Range)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널리 알려진 다양한 무선통신 또는 이동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을 이용하여 대상체 예를 들어, 반려동물(A) 특히, 강아지로 한정하여 반려동물(A)의 생체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반려동물(A)의 감정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호자 또는 반려인 또는 견주(이하, 사용자라 함)와 함께 생활하는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등과 같은 척추동물, 절지동물, 연체동물과 같은 무척추동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동물의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상태뿐만 아니라 사람의 건강상태를 예측 및 관리할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휴대 가능한 생체신호 측정장치(10)로서, 본 개시에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서버 또는 관리서버(3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소지할 수 있는 핸디형으로써, 반려동물(A)의 몸체 중 일부 부분에 직접 접촉되어 반려동물(A)의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전자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자장치는 반려동물(A)로부터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몸체 착용형(예: 의류, 액세서리, 인식표, 목줄, 목걸이 등), 의류 일체형, 몸체 부착형 또는 몸체 이식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수동 동작에 의해 구동되어 반려동물(A)의 생체신호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기(20) 또는 관리서버(3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20) 또는 관리서버(30)로부터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피드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피드백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반려동물(A)의 신체적 및 정신적 상태를 고려하여 신체상태 및 감정상태 변화를 확인하여 반려동물(A)의 건강이 유지 또는 변화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신호에는 반려동물(A)의 산소포화도, 체온, 심전도, 심박수, 호흡수 및 뇌파 등의 신체정보와, 반려동물(A)의 감정상태에 대한 정신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결과데이터는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반려동물(A)의 건강상태에 대한 결과가 포함된 데이터일 수 있다.
신체정보는 산소포화도측정센서, 온도측정센서, 심전도측정센서, 심탄도측정센서 및 뇌파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획득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산소포화도측정센서는 반려동물(A)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반려동물(A)의 혈중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SpO2센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온도측정센서는 반려동물(A)의 체온을 측정하는 센서로써, 최소 침습적 방법으로 반려동물(A)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심전도측정센서는 반려동물(A)의 신체에 전기를 통진시켜 반려동물(A)의 심박동에 대한 심장의 전기신호를 획득하여 반려동물(A)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심탄도측정센서는 반려동물(A)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모든 근육의 움직임을 기록하여 반려동물(A)의 심박수와 호흡수를 측정할 수 있다.
뇌파감지센서는 반려동물(A)의 감정을 뇌파의 파장을 통해 감지하여 반려동물(A)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정신정보는 산소포화도측정센서, 온도측정센서, 심전도측정센서, 심탄도측정센서 및 뇌파감지센서를 통해서 획득한 신체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A)의 감정상태를 확인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감정상태에는 행복(Happiness), 보통(Neutral), 화남(Anger), 혐오(Disgust), 두려움(Fear), 슬픔(Sadness) 및 놀라움(Surpris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정정보와 이성적, 민감적, 감성적, 보수적, 진취적, 수동적, 부정적, 긍정적 등의 성향정보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결과데이터는 반려동물(A)의 신체적 건강결과와 정신적 건강결과를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는 피드백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피드백신호에는 정신적 건강결과에 대응하는 소리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소리정보에는 반려동물(A)의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는 음악, 보호자의 목소리 등의 음성정보와, 음성정보에 대응하는 재생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A)의 정신적 건강결과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장치(10)가 피드백신호를 수신한 경우,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기설정된 재생 횟수, 재생 시간에 따라 음악 또는 보호자의 목소리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A)의 감정상태 변화를 확인하여 반려동물(A)의 감정이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놀라움 등의 상태로 발전되지 않고, 행복 또는 보통의 감정상태가 유지 또는 변화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결과데이터는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반려동물(A)의 건강의 이상유무에 대한 질환별 진행단계에 따라 신체적 건강에 대한 판단결과가 포함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결과데이터에는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반려동물(A)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경우, 질병의 예측한 정보 또는 예측된 질병의 진행 단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표준데이터는 빅데이터를 기초로 딥러닝 또는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반복 학습한 데이터로써, 표준생체신호 및 이에 매칭되는 표준결과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데이터는 생체신호 및 이에 대응하는 결과데이터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생체신호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문서 데이터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동영상 또는 사진이 함께 포함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에 동영상 또는 사진이 포함된 경우, 주변환경, 흔들림, 움직임 속도, 모색 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생체신호의 밝기 및 선명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생체신호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보정 및 표준화를 위한 전처리 단계를 선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생체신호가 사용자 단말기(20) 또는 관리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토큰화(Tokenization) 작업, 정제화(Cleaning) 작업 및 정규화(Normalization) 작업을 순서대로 진행하여 데이터를 전처리할 수 있다. 이때, 음성,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생체신호는 텍스트로 변환되어 전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생체신호에 포함된 텍스트로 이루어진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들이 의미있는 단어의 최소 단위로 구분되도록 공백제거필터, 특수문자제거필터를 이용하여 토큰화 작업을 수행하고, 등장 빈도가 낮은 단어 또는 다수 반복되는 해당 단어들에 대한 노이즈 데이터(noise data)를 제거하여 잔존하는 단어들의 의미가 부각되도록 정제화 작업을 수행하며, 정제화 작업이 끝난 데이터를 정규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반려동물(A)의 피부에 접촉되어 반려동물(A)로부터 신체정보 및 정신정보가 포함된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생체신호 측정장치(10)의 접촉 위치는 등, 가슴 또는 복부로 기재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접촉에 의해 반응되는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면 몸체 어느 부위든지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반려동물(A)의 피부에 접촉되어 전기 자극을 제공하여 반려동물(A)로부터 전기 자극에 대한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평소에 수시로 생체신호 측정장치(10)를 이용하여 반려동물(A)의 생체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전의 생체신호와 변화가 있는 부분을 파악하여 변화된 부분이 반영된 생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최근 수신한 제2 생체신호가 상기 제2 생체신호보다 이전에 측정한 제1 생체신호와 비교하여 신체적 또는 감정적으로 변화가 있는 경우,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변화된 부분을 파악하여 변화된 부분이 반영된 생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반려동물(A)의 이전의 생체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 또는 관리서버(3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반려동물(A)의 이전의 생체신호를 기초로 하여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반려동물(A)의 생체신호를 비교하여 변화가 있는 경우, 제어모듈(128)은 변화된 부분을 파악하여 변화된 부분이 반영된 생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A)의 감정상태가 변화한 경우,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반려동물(A)의 감정상태 변화를 확인하여 반려동물(A)의 감정이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놀라움 등의 상태로 발전되지 않고, 행복 또는 보통의 감정상태가 유지 또는 변화되도록 피드백신호를 수신받아 반려동물(A)의 감정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반려동물(A)의 생체신호의 변화를 측정시마다 파악하여 생체신호로부터 표준데이터를 학습하여 결과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로부터 반려동물(A)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반려동물(A)의 생체신호를 관리서버(30)로 전송하고,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결과데이터를 관리서버(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20)는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을 이용하기 위해 사전에 회원가입을 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회원가입 없이 일회용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20)는 관리서버(30)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결과데이터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는 반려동물(A)의 결과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신체적 또는 정신적 건강결과를 O/X로 표시하거나, 화면을 적색 또는 녹색으로 깜빡이거나, '정상입니다' 또는 '심리적 안정이 필요합니다' 등의 안내문구를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20)는 안내 문구를 소리로 안내하여 보호자가 반려동물(A)의 건강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는 반려동물(A)의 정신적 건강결과에 따라 피드백신호를 수신한 경우, 기설정된 재생 횟수, 재생 시간에 따라 음악 또는 보호자의 목소리를 청각적으로 출력하여 반려동물(A)의 감정이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놀라움 등의 상태로 발전되지 않고, 행복 또는 보통의 감정상태가 유지 또는 변화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는 생체신호와 함께 반려동물(A)의 기본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데이터는 반려동물(A)의 보호자정보, 유기정보, 병원기록정보, 고유식별번호, 견종, 성별, 나이, 몸무게 및 중성화유무 등의 기본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는 관리서버(30)로부터 수신된 표준데이터를 학습하여, 기본데이터를 기초로 생체신호 측정장치(10)로부터 수신받은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는 관리서버(30)로부터 수신된 표준데이터를 학습하여, 생체신호 측정장치(10)로부터 수신받은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로부터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결과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20)는 반려동물(11)의 보호자가 소지한 휴대 가능한 단말기로써,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생체신호 측정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서버 또는 관리서버(3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 사용자 단말기(20) 및 관리서버(30)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화면을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장치(10)의 작동상태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2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 및 관리서버(30)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각종 휴대 가능한 전자통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스마트 기기로써,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테블릿(Tablet),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등 포함) 및 각종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과 같은 다양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관리서버(30)는 통신부(32), 데이터베이스부(34), 모니터링부(36) 및 관리제어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2)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생성된 결과데이터를 생체신호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32)는 표준데이터를 생체신호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고,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결과데이터를 생체신호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4)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생체신호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표준데이터는 결과데이터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4)는 관리서버(3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4)는 관리서버(3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리서버(3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36)는 사용자 조작에 의한 생체신호 측정장치(10)의 동작상태, 사용자 단말기(20)의 동작상태, 관리서버(30)의 동작상태, 생체신호 측정장치(10)와 관리서버(30) 사이의 송수신되는 데이터 생체신호 측정장치(10)와 사용자 단말기(20)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사용자 단말기(20)와 관리서버(30)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화면을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즉, 생체신호 측정장치(10)의 사용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신뢰감을 줄 수 있다.
관리제어부(38)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한 경우,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생체신호를 비교 및 분석하여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관리제어부(38)는 표준생체신호와 매칭되는 표준결과데이터를 포함하는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표준생체신호와 생체신호를 비교 및 분석하여 생체신호에 매칭되는 표준생체신호에 대응하는 표준결과데이터를 결과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관리제어부(38)는 결과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생체신호를 보정 및 표준화하는 전처리 단계를 선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제어부(38)는 생체신호에 동영상 또는 사진이 포함된 경우, 주변환경, 흔들림, 움직임 속도, 모색 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생체신호의 밝기 및 선명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제어부(38)는 생체신호를 토큰화(Tokenization) 작업, 정제화(Cleaning) 작업 및 정규화(Normalization) 작업을 순서대로 진행하여 데이터를 전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제어부(38)는 생체신호에 포함된 텍스트로 이루어진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들이 의미있는 단어의 최소 단위로 구분되도록 공백제거필터, 특수문자제거필터를 이용하여 토큰화 작업을 수행하고, 등장 빈도가 낮은 단어 또는 다수 반복되는 해당 단어들에 대한 노이즈 데이터(noise data)를 제거하여 잔존하는 단어들의 의미가 부각되도록 정제화 작업을 수행하며, 정제화 작업이 끝난 데이터를 정규화할 수 있다.
또한, 관리제어부(38)는 딥러닝을 이용하여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반려동물(A)로부터 획득한 생체신호 및 기본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표준생체신호 및 표준생체신호와 이에 대응하는 표준결과데이터를 매칭하여 표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딥러닝을 이용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등의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제어부(38)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한 경우, 관리제어부(38)는 학습된 표준데이터를 이용하여 반려동물(A)의 생체신호로부터의 산소포화도, 체온, 심전도, 심박수, 호흡수 및 뇌파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정보 또는 행복, 보통,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및 놀라움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정보가 유지 또는 변화된 것을 감지하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관리제어부(38)는 생체신호로부터 산소포화도, 체온, 심전도, 심박수, 호흡수 및 뇌파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정보와 행복, 보통,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및 놀라움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신체정보 및 감정정보를 표준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신체적 질병 유무 및 정신적 상태가 판단된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제어부(38)는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반려동물(A)의 신체정보 및 기본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소포화도, 체온, 심전도, 심박수, 호흡수 및 뇌파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정보의 변화가 있는 경우, 반려동물(A)의 신체정보의 이상에 대한 결과가 포함된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제어부(38)는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반려동물(A)의 신체정보 및 기본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소포화도, 체온, 심전도, 심박수, 호흡수 및 뇌파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정보의 변화가 없는 경우, 반려동물(A)의 신체정보의 이상이 없는 결과가 포함된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제어부(38)는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반려동물(A)의 감정정보 및 기본데이터를 이용하여 반려동물(A)의 성향정보를 고려하여 행복, 보통,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및 놀라움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정보의 변화가 없는 경우, 반려동물(A)의 감정정보의 변화가 없는 결과가 포함된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반려동물(A)의 현재의 감정정보가 행복 또는 보통이 아닌 경우, 관리제어부(38)는 반려동물(A)의 부정적인 감정상태가 긍정적인 감정상태로 변화되도록 피드백신호가 포함된 결과데이터를 생성하고, 반려동물(A)의 현재의 감정정보가 행복 또는 보통인 경우, 관리제어부(38)는 반려동물(A)의 긍정적인 감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피드백신호가 포함된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제어부(38)는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반려동물(A)의 감정정보 및 기본데이터를 이용하여 반려동물(A)의 성향정보를 고려하여 행복, 보통,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및 놀라움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정보의 변화가 있는 경우, 반려동물(A)의 감정정보의 변화가 있는 결과가 포함된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반려동물(A)의 현재의 감정정보가 행복 또는 보통이 아닌 경우, 관리제어부(38)는 반려동물(A)의 부정적인 감정상태가 긍정적인 감정상태로 변화되도록 피드백신호가 포함된 결과데이터를 생성하고, 반려동물(A)의 현재의 감정정보가 행복 또는 보통인 경우, 관리제어부(38)는 반려동물(A)의 긍정적인 감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피드백신호가 포함된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제어부(38)는 평소에 수시로 생체신호 측정장치(10)를 이용하여 반려동물(A)의 생체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전의 생체신호와 변화가 있는 부분을 파악하여 변화된 부분이 반영된 생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최근 수신한 제2 생체신호가 상기 제2 생체신호보다 이전에 측정한 제1 생체신호와 비교하여 변화가 있는 경우, 관리제어부(38)는 변화된 부분을 파악하여 변화된 부분이 반영된 생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제어부(38)는 반려동물(A)의 이전의 생체신호를 생체신호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반려동물(A)의 이전의 생체신호를 기초로 하여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반려동물(A)의 생체신호를 비교하여 변화가 있는 경우, 관리제어부(38)는 변화된 부분을 파악하여 변화된 부분이 반영된 생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A)의 신체정보 및 감정정보가 포함된 생체신호를 생체신호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관리제어부(38)는 반려동물(A)의 생체신호의 변화를 측정시마다 파악하여 생체신호로부터 표준데이터를 학습하여 결과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제어부(38)는 생체신호 또는 결과데이터가 생체신호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와 송수신될 때, 정보 보호를 위해 암호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리서버(30)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결과데이터에 포함되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이 관리서버(30)에 의해 서비스되는 것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30)는 표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00).
구체적으로, 관리서버(30)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반려동물(A)로부터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신호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를 통해 획득한 반려동물(A)의 산소포화도, 체온, 심전도, 심박수, 호흡수 및 뇌파 등의 신체정보를 포함하고, 반려동물(A)의 감정상태에 대한 정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정신정보에는 행복, 보통,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및 놀라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정정보와 이성적, 민감적, 감성적, 보수적, 진취적, 수동적, 부정적, 긍정적 등의 성향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반려동물(A)의 보호자정보, 유기정보, 병원기록정보, 고유식별번호, 견종, 성별, 나이, 몸무게 및 중성화유무 등의 기본정보를 포함하는 기본데이터와 신체정보 및 감정정보를 이용하여 생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관리서버(30)는 반려동물(A)의 생체신호에 포함된 기본데이터를 기초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매칭되는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관리서버(30)는 매칭된 기본데이터와 결과데이터를 딥러닝 또는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반복 학습함으로써, 적합성을 검증하여 표준생체신호 및 표준결과데이터로 이루어진 표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표준데이터는 별도의 검사기관 또는 자문가를 통해 적합성이 검증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서버(3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로부터 대상체인 반려동물(A)로부터 획득한 생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10).
구체적으로,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수동 동작에 의해 구동부(14)를 작동시켜 반려동물(A)로부터 산소포화도, 체온, 심전도, 심박수, 호흡수 및 뇌파 등의 신체정보와, 반려동물(A)의 감정상태에 대한 정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정신정보에는 행복, 보통,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및 놀라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정정보와 이성적, 민감적, 감성적, 보수적, 진취적, 수동적, 부정적, 긍정적 등의 성향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신체정보에 산소포화도, 체온, 심전도, 심박수, 호흡수 및 뇌파의 정보가 포함하는 것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센서를 통해 다양한 반려동물(A)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반려동물(A)의 보호자정보, 유기정보, 병원기록정보, 고유식별번호, 견종, 성별, 나이, 몸무게 및 중성화유무 등의 기본정보를 포함하는 기본데이터와 신체정보 및 감정정보를 이용하여 생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서버(30)는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생체신호에 분석하여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20).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서버(3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된 생체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S200).
이때, 관리서버(3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수동 동작에 의해 생체신호 측정장치(10)를 작동시켜 생체신호 측정장치(10)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한 경우, 생체신호를 전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30)는 생체신호에 동영상 또는 사진이 포함된 경우, 주변환경, 흔들림, 움직임 속도, 모색 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생체신호의 밝기 및 선명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서버(30)는 생체신호 토큰화(Tokenization) 작업, 정제화(Cleaning) 작업 및 정규화(Normalization) 작업을 순서대로 진행하여 생체신호를 전처리할 수 있다.
다음, 관리서버(30)는 수신한 생체신호가 1차로 수신된 제1 생체신호 또는 제1 생체신호 이후에 2차로 수신된 제2 생체신호인지 확인하여 제2 생체신호인 경우(S210), 제1 생체신호를 기준으로 제2 생체신호가 제1 생체신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0).
다음, 제1 생체신호를 기준으로 제2 생체신호가 제1 생체신호와 동일한 경우, 관리서버(30)는 표준데이터를 기준으로 표준생체신호와 제1 생체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제1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230).
즉, 관리서버(30)는 제2 생체신호에 제1 생체신호와 비교한 결과 변화된 부분이 없으므로, 제1 생체신호에 매칭된 제1 결과데이터를 결과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생체신호를 기준으로 제2 생체신호가 제1 생체신호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관리서버(30)는 제2 생체신호에 제1 생체신호와 비교하여 변화된 부분에 대한 변화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240).
다음, 관리서버(30)는 표준데이터를 기준으로 표준생체신호, 제2 생체신호 및 변화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S250), 제1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260).
즉, 관리서버(30)는 제2 생체신호에 제1 생체신호와 비교한 결과 변화된 부분이 있으므로, 변화데이터가 반영된 제2 결과데이터를 결과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30)는 수신한 생체신호가 1차로 수신된 제1 생체신호 또는 제1 생체신호 이후에 2차로 수신된 제2 생체신호인지 확인하여 제2 생체신호가 아닌 제1 생체신호인 경우(S270), 표준데이터를 기준으로 표준생체신호와 제1 생체신호를 비교 분석하여(S280) 제1 생체신호에 매칭된 제1 결과데이터를 결과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S230).
실시예에 따라, 관리서버(30)는 제1 및 제2 결과데이터에 대응하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관리서버(30)는 반려동물(A)의 제1 생체신호 및 제2 생체신호에 포함된 제1 감정정보 및 제2 감정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300).
제1 및 제2 감정정보는 반려동물(A)의 성향정보를 고려하여 행복, 보통,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및 놀라움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정보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 1차로 수신된 제1 감정정보와 2차로 수신된 2차 감정정보를 확인하여, 감정상태가 변경된 경우(S310), 관리서버(30)는 감정상태가 부정적으로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제1 감정정보가 긍정적 상태이고, 제2 감정정보가 부정적 상태이거나, 제1 감정정보가 부정적 상태이고, 제2 감정정보가 긍정적 상태일 수 있다.
다음, 반려동물(A)의 감정상태가 부정적으로 변경된 경우(S320), 관리서버(30)는 감정상태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제1 감정정보가 긍정적 상태이고, 제2 감정정보가 부정적 상태인 경우, 관리서버(30)는 반려동물(A)의 감정상태가 긍정적인 상태로 되돌아가거나 변화되도록 설정된 재생 횟수, 재생 시간에 따라 음악 또는 보호자의 목소리가 출력될 수 있는 음성정보 및 재생정보가 포함된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반려동물(A)의 감정상태가 긍정적으로 변경된 경우(S320), 관리서버(30)는 긍정적으로 변화된 감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340).
예를 들어, 제1 감정정보가 부정적 상태이고, 제2 감정정보가 긍정적 상태인 경우, 관리서버(30)는 반려동물(A)의 감정상태가 긍정적인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정된 재생 횟수, 재생 시간에 따라 음악 또는 보호자의 목소리가 출력될 수 있는 음성정보 및 재생정보가 포함된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1차로 수신된 제1 감정정보와 2차로 수신된 2차 감정정보를 확인하여, 감정상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S310), 관리서버(30)는 감정상태가 긍정적으로 유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350).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감정정보가 긍정적 상태이거나, 제1 및 제2 감정정보가 부정적 상태일 수 있다.
다음, 반려동물(A)의 감정상태가 긍정적으로 유지된 경우(S350), 관리서버(30)는 긍정적인 감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감정정보가 긍정적 상태인 경우, 관리서버(30)는 반려동물(A)의 감정상태가 긍정적인 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정된 재생 횟수, 재생 시간에 따라 음악 또는 보호자의 목소리가 출력될 수 있는 음성정보 및 재생정보가 포함된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A)의 감정상태가 부정적으로 유지된 경우(S350), 관리서버(30)는 부정적인 감정상태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감정정보가 부정적 상태인 경우, 관리서버(30)는 반려동물(A)의 감정상태가 긍정적인 상태로 변화되도록 설정된 재생 횟수, 재생 시간에 따라 음악 또는 보호자의 목소리가 출력될 수 있는 음성정보 및 재생정보가 포함된 피드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서버(30)는 생성된 결과데이터를 생체신호 측정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S130). 이때, 결과데이터에는 피드백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관리서버(30)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결과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건강결과를 O/X로 표시하거나, 화면을 적색 또는 녹색으로 깜빡이거나, '정상입니다' 또는 '심리적 안정이 필요합니다' 등의 안내문구를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반려동물(A)의 정신적 건강결과에 따라 피드백신호를 수신한 경우, 기설정된 재생 횟수, 재생 시간에 따라 음악 또는 보호자의 목소리를 청각적으로 출력하여 반려동물(A)의 감정이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놀라움 등의 상태로 발전되지 않고, 행복 또는 보통의 감정상태가 유지 또는 변화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리서버(30)는 결과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준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S150).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6에서는 생체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생성하는 경우를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에, 표준데이터를 생성하는 S400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S100 단계와 동일하고,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S410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S110 단계와 동일하며, 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S430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S120 단계와 동일하고, 표준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S460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S150 단계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30)는 표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400).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2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로부터 대상체인 반려동물(A)로부터 획득한 생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10).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20)는 반려동물(A)로부터 획득한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반려동물(A)의 기본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S420).
이때, 반려동물(A)의 기본데이터는 생체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입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본데이터는 보호자, 소비자 단말기(20) 또는 별도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서버(30)는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생체신호에 분석하여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430).
다음으로, 관리서버(30)는 생성된 결과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S440).
사용자 단말기(20)는 관리서버(30)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결과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건강결과를 O/X로 표시하거나, 화면을 적색 또는 녹색으로 깜빡이거나, '정상입니다' 또는 '심리적 안정이 필요합니다' 등의 안내문구를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20)는 반려동물(A)의 정신적 건강결과에 따라 피드백신호를 수신한 경우, 기설정된 재생 횟수, 재생 시간에 따라 음악 또는 보호자의 목소리를 청각적으로 출력하여 반려동물(A)의 감정이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놀라움 등의 상태로 발전되지 않고, 행복 또는 보통의 감정상태가 유지 또는 변화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S450).
마지막으로, 관리서버(30)는 결과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준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S460).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 : 반려동물
1 : 반려동물 건강 측정 시스템
10 : 측정장치
20 : 사용자 단말기
30 : 관리서버

Claims (5)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대상체의 피부와 접촉되어 구동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신체정보 및 정신정보를 획득하여 생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표준생체신호와 매칭되는 표준결과데이터를 포함하는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표준생체신호와 상기 생체신호를 비교 및 분석하여 상기 생체신호에 매칭되는 상기 표준생체신호에 대응하는 표준결과데이터를 결과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대상체의 상기 정신정보 중 이성적, 민감적, 감성적, 보수적, 진취적, 수동적, 부정적 및 긍정적 중 적어도 하나의 대상체의 성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성향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정신정보 중 행복, 보통,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및 놀라움 중 적어도 하나의 대상체의 감정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감정정보의 변화를 상기 생체신호 측정시마다 감지하여 대상체의 감정상태가 긍정적인 상태로 변경 또는 유지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이성적, 민감적, 감성적, 보수적, 진취적, 수동적, 부정적 및 긍정적 중 적어도 하나의 대상체의 성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성향정보를 기초로 상기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및 놀라움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을 포함하는 제1 감정상태와, 행복 및 보통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을 포함하는 제2 감정상태를 갖는 감정상태가 상기 생체신호 측정 시에 상기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제2 감정상태에서 상기 생체신호에서 추출된 제1 감정상태로 변화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대상체의 현재의 제1 감정상태가 제1 감정상태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제2 감정상태로 유도되도록 상기 피드백신호를 생성하고,
    이성적, 민감적, 감성적, 보수적, 진취적, 수동적, 부정적 및 긍정적 중 적어도 하나의 대상체의 성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성향정보를 기초로 상기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및 놀라움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을 포함하는 제1 감정상태와, 행복 및 보통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을 포함하는 제2 감정상태를 갖는 감정상태가 상기 생체신호 측정 시에 상기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행복 및 보통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을 포함하는 제2 감정상태를 갖는 대상체의 감정상태가 상기 생체신호에서 추출된 제2 감정상태와 유사하다고 판단하여 대상체의 현재의 제2 감정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피드백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생체신호에 포함된 단어를 토큰화(Tokenization) 작업, 정제화(Cleaning) 작업 및 정규화(Normalization) 작업을 순서대로 진행하여 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1차로 수신된 제1 감정정보와 상기 제1 감정정보 이후에 2차로 수신된 제2 감정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감정정보가 상기 제1 감정정보에서 상기 제2 감정정보로 대상체의 감정상태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감정상태가 부정적으로 변경된 경우, 감정상태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감정상태가 긍정적으로 변경된 경우, 긍정적인 감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정정보는 상기 제2 감정정보가 부정적 상태일 때 긍정적 상태이고, 상기 제1 감정정보는 상기 제2 감정정보가 긍정적 상태일 때 부정적 상태인,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1차로 수신된 제1 감정정보와 상기 제1 감정정보 이후에 2차로 수신된 제2 감정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감정정보가 상기 제1 감정정보에서 상기 제2 감정정보로 대상체의 감정상태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감정상태가 부정적으로 변경되지 않고 감정상태가 긍정적으로 유지된 경우, 긍정적인 감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감정상태가 긍정적으로 변경되지 않고 감정상태가 부정적으로 유지된 경우, 감정상태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정정보 및 상기 제2 감정정보는 긍정적 상태 또는 부정적 상태인,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대상체의 감정상태가 긍정적인 상태로 유지되거나, 부정적인 상태에서 긍정적인 상태로 되돌아가거나, 부정적인 상태에서 긍정적인 상태로 변화되도록 음악 및 보호자의 목소리가 기설정된 재생 횟수 및 기설정된 재생 시간에 따라 대상체에게 제공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5.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대상체의 피부와 접촉되어 구동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신체정보 및 정신정보를 획득하여 생체신호를 생성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표준생체신호와 매칭되는 표준결과데이터를 포함하는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표준생체신호와 상기 생체신호를 비교 및 분석하여 상기 생체신호에 매칭되는 상기 표준생체신호에 대응하는 표준결과데이터를 결과데이터로 생성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정신정보 중 이성적, 민감적, 감성적, 보수적, 진취적, 수동적, 부정적 및 긍정적 중 적어도 하나의 대상체의 성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성향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정신정보 중 행복, 보통,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및 놀라움 중 적어도 하나의 대상체의 감정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감정정보의 변화를 상기 생체신호 측정시마다 감지하여 대상체의 감정상태가 긍정적인 상태로 변경 또는 유지할 수 있는 피드백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이성적, 민감적, 감성적, 보수적, 진취적, 수동적, 부정적 및 긍정적 중 적어도 하나의 대상체의 성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성향정보를 기초로 상기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및 놀라움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을 포함하는 제1 감정상태와, 행복 및 보통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을 포함하는 제2 감정상태를 갖는 감정상태가 상기 생체신호 측정 시에 상기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제2 감정상태에서 상기 생체신호에서 추출된 제1 감정상태로 변화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대상체의 현재의 제1 감정상태가 제1 감정상태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제2 감정상태로 유도되도록 상기 피드백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이성적, 민감적, 감성적, 보수적, 진취적, 수동적, 부정적 및 긍정적 중 적어도 하나의 대상체의 성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성향정보를 기초로 상기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화남, 혐오, 두려움, 슬픔 및 놀라움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을 포함하는 제1 감정상태와, 행복 및 보통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을 포함하는 제2 감정상태를 갖는 감정상태가 상기 생체신호 측정 시에 상기 표준데이터를 기초로 행복 및 보통 중 적어도 하나의 감정을 포함하는 제2 감정상태를 갖는 대상체의 감정상태가 상기 생체신호에서 추출된 제2 감정상태와 유사하다고 판단하여 대상체의 현재의 제2 감정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피드백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생체신호에 포함된 단어를 토큰화(Tokenization) 작업, 정제화(Cleaning) 작업 및 정규화(Normalization) 작업을 순서대로 진행하여 상기 생체신호를 전처리하는,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0220026778A 2022-03-02 2022-03-02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63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778A KR102563052B1 (ko) 2022-03-02 2022-03-02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778A KR102563052B1 (ko) 2022-03-02 2022-03-02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052B1 true KR102563052B1 (ko) 2023-08-03

Family

ID=8756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778A KR102563052B1 (ko) 2022-03-02 2022-03-02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0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932B1 (ko) * 2017-02-20 2017-09-19 주식회사 빅오이 반려동물 케어를 위한 멀티모달 시스템
KR20180110764A (ko) 2017-03-30 2018-10-11 주식회사 피엔브이 반려동물의 체온 및 심박수 관리를 위한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20190126552A (ko) * 2018-05-02 2019-11-12 서현민 반려동물의 감정상태에 대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7142A (ko) * 2019-04-03 2020-10-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 인터랙션 장치
KR20220019558A (ko) * 2020-08-10 2022-02-1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식 생체센서 기반의 행동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932B1 (ko) * 2017-02-20 2017-09-19 주식회사 빅오이 반려동물 케어를 위한 멀티모달 시스템
KR20180110764A (ko) 2017-03-30 2018-10-11 주식회사 피엔브이 반려동물의 체온 및 심박수 관리를 위한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20190126552A (ko) * 2018-05-02 2019-11-12 서현민 반려동물의 감정상태에 대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7142A (ko) * 2019-04-03 2020-10-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 인터랙션 장치
KR20220019558A (ko) * 2020-08-10 2022-02-1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식 생체센서 기반의 행동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Bowman 외, ‘Four Seasons’ in an animal rescue centre classical music reduces environmental stress in kennelled dogs, Physiology & Behavior, 2015.02.21. Vol.143, pp.70-8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yes Empathy is not in our genes
Rundo et al. An advanced bio-inspired photoplethysmography (PPG) and ECG pattern recognition system for medical assessment
Neethirajan et al. Measuring farm animal emotions—Sensor-based approaches
US11141088B2 (en)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tion of mental behavioral attributes based on deep neural networks
US201601179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iometric and context based messaging
KR102045741B1 (ko) 반려동물 건강관리데이터 제공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N104871160A (zh) 用于感觉和认知剖析的系统和方法
KR102288267B1 (ko)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Sung et al. Mobile physiological measurement platform with cloud and analysis functions implemented via IPSO
US20220218268A1 (en) Ai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method for providing brain information
CN111883252A (zh) 一种婴儿自闭症辅助诊断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10825549B2 (en) Device and method of using rodent vocalizations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of animal behavior
KR102563052B1 (ko)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essai et al. Emotion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US10806129B2 (en) Device and method of automatic classification of animal behaviors using vocalizations
US20190191665A1 (en) System and method of measured drug efficacy using non-invasive testing
Mitek et al. Wearable Devices in Veterinary Health Care
KR102612188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05945A (ko) 얼굴 표정에 관한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Behboodi et al. Artificial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assessing functional connectivity in resting-state functional near infrared spectroscopy
US10463017B2 (en) Device and method for multi-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rodent vocalizations
KR20230130343A (ko) 반려동물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44625A (ko) 동물용 스마트 헬스케어 융합 시스템
US20190037811A1 (en) Device and method of correlating rodent vocalizations with rodent behavior
Sohaib et al. An empirical study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classifying emotional states from EEG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