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810B1 - System for providing on line coaching service base on ai, method perform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performing t 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on line coaching service base on ai, method perform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performing t 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810B1
KR102562810B1 KR1020220127731A KR20220127731A KR102562810B1 KR 102562810 B1 KR102562810 B1 KR 102562810B1 KR 1020220127731 A KR1020220127731 A KR 1020220127731A KR 20220127731 A KR20220127731 A KR 20220127731A KR 102562810 B1 KR102562810 B1 KR 102562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online coaching
coach
chan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7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범석
윤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거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거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거츠
Priority to KR102022012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8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81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82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urger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얼굴 정보 수신부,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코치 단말로부터 질문 정보를 수신하는 AI 모델 생성부,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심리 상태 변화를 결정하고 질문 정보 및 심리 상태 변화를 온라인 코칭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실시간 온라인 코칭 정보 관리부 및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가 시작된 후, 미리 생성된 AI 모델에 사용자의 초기 심리 상태를 적용하여 심리 상태 변화가 긍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가 출력되면 질문 정보를 코치 단말에 제공하는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An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face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of a user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from a user terminal in the process of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An AI model generation unit that receives question information from the coach terminal dur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use process, analyzes the user's image information, determines the user's psychological state chang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d stores the question information and psychological state change in th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database After the real-tim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are started, the user's initial psychological state is applied to the pre-generated AI model, and the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ve state change is obtained. and an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er providing question information to a coach terminal when outputted.

Description

AI 기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의 실행 방법 및 기록 매체{SYSTEM FOR PROVIDING ON LINE COACHING SERVICE BASE ON AI, METHOD PERFORM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PERFORMING T HEREOF}AI-based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ystem, its execu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AI 기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의 실행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통해 획득한 질문 정보 및 심리 상태 변화를 학습시킨 AI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 변화가 긍정적으로 변하는 질문 정보를 코치에게 제공하여 원활한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AI 기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의 실행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based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n execution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based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n execution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that enable a smooth online coaching service to be provided by providing coaches with question information that changes positively.

오늘날 현대인의 삶에서 어떠한 형태로든 심리검사를 경험하지 않고 살아간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심리검사란 피검사자 개인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알아내는 과정의 한 부분으로서, 개인의 지능, 학력, 적성, 성격, 흥미, 가치관 등과 같은 심리적 속성을 체계적이고 수량적으로 측정함으로써, 개인의 고유한 행동 특성간의 차이를 알아내고, 인간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다.In today's modern life, it is almost impossible to live without experiencing some form of psychological test. Psychological testing is a part of the process of finding out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an individual testee. It systematically and quantitatively measures psychological attributes such as intelligence, academic ability, aptitude, personality, interests, and values, and measures the individual's unique behavior. It is used to detect differences between traits and to understand and predict human behavior.

이러한 심리검사 중 투사검사는 심리치료를 돕기 위한 하나의 진단도구로서 20세기 초에 개발되었으며, 심신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우나 개인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된다. 그림심리검사로는 대표적으로 로샤검사, TAT 검사, HTP 검사, 가족화(KFD) 검사, 또는 DAP 등이 있다.Among these psychological tests, the projection test was develop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a diagnostic tool to help psychotherapy, and is mainly used when experiencing mental and physical difficulties or when trying to understand an individual's personality. Representative picture psychological tests include the Rocha test, TAT test, HTP test, familialization (KFD) test, or DAP.

이러한 심리검사를 받기 위해서는, 피검사자가 다수인 경우에는 심리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심리상담사를 초빙할 수 있으나, 피검사자가 개인인 경우에는 심리검사를 수행하는 검사기관, 예를 들면 심리치료센터, 신경정신과 등을 직접 방문해야 한다. 그리고 심리검사의 결과를 통지받기 위해서 다시 검사기관을 방문해야 하거나, 심리검사 후 기다려야 한다. 즉, 종래에는 피검사자가 심리검사를 위해 검사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오랜 시간을 보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order to receive such a psychological test, a psychological counselor who can conduct a psychological test can be invited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test subjects, but when the test subject is an individual, an examination institution that performs the psychological test, such as a psychological treatment center, a neurological test You should visit a psychiatrist yourself. In addition, in order to be notified of the result of the psychological test, they have to visit the inspection agency again or wait after the psychological test. That is, in the prior art,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a test subject had to spend a long time in person visiting an examination institution for a psychological test.

게다가 검사결과 추가적인 진단이나 치료가 필요할 경우, 그리고 심리검사를 수행한 검사기관에서 추가적인 진단이나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피검사자는 해당 진단이나 치료가 가능한 다른 심리치료센터나 병원을 찾아가야 한다. In addition, if additional diagnosis or treatment is required as a result of the test, and if additional diagnosis or treatment is not possible at the examination institution that performed the psychological test, the test subject must go to another psychological treatment center or hospital where the diagnosis or treatment is available.

그러면 피검사자는 해당 진단이나 치료가 가능한 다른 심리치료센터나 병원이 어느 곳인지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직접 찾아보아야 한다. 이때 피검사자는 심리검사를 수행한 검사기관으로부터 해당 진단이나 치료가 가능한 다른 심리치료센터나 병원을 추천받을 수 있으나, 여하한 경우에도 피검사자가 다른 심리치료센터나 병원을 방문하거나 접촉하여 예약을 하고, 예약 후에는 해당 심리치료센터나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Then, the test subject has to directly find out which other psychotherapy centers or hospitals that can diagnose or treat them and where they are located. At this time, the test subject may be recommended by the testing institution that performed the psychological test to another psychological treatment center or hospital where the diagnosis or treatment is possible, but in any case, the test subject visits or contacts another psychological treatment center or hospital to make a reservation, After making an appointment, you must visit the corresponding psychotherapy center or hospital.

따라서, 피검사자는 심리검사를 위해 검사기관을 방문하고, 진단이나 치료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심리치료센터나 병원을 방문해야 하므로, 심리검사에서 진단이나 치료를 위한 과정이 복잡하며 번거롭다.Therefore, since the test subject visits an examination institution for psychological examination and, if necessary for diagnosis or treatment, must visit other psychological treatment centers or hospitals, the process for diagnosis or treatment in psychological examination is complicated and cumbersome.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09920호는 온라인 학습코칭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109920 discloses an online learning coaching service system and its method, but does not disclose a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통해 획득한 질문 정보 및 심리 상태 변화를 학습시킨 AI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 변화가 긍정적으로 변하는 질문 정보를 코치에게 제공하여 원활한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AI 기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의 실행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ach with question information in which a change in a user's psychological state changes positively using an AI model that learns ques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an online coaching service and changes in mental state to provide a smooth online coaching ser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based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n execution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또한, 본 발명은 시공간의 제약 없이 온라인을 통해 1:1로 코칭할 수 있도록 하는 AI 기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의 실행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based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n execution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that enable 1:1 coaching online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코칭을 통해 사용자의 멘탈을 강화시켜 잠재력을 발췌해 건강한 회사 생활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AI 기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의 실행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based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n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that enable a user to create a healthy corporate life by extracting potential by strengthening the user's mentality through online coaching.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얼굴 정보 수신부,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코치 단말로부터 질문 정보를 수신하는 AI 모델 생성부,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심리 상태 변화를 결정하고 질문 정보 및 심리 상태 변화를 온라인 코칭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실시간 온라인 코칭 정보 관리부 및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가 시작된 후, 미리 생성된 AI 모델에 사용자의 초기 심리 상태를 적용하여 심리 상태 변화가 긍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가 출력되면 질문 정보를 코치 단말에 제공하는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s a user face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of a user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from a user terminal in the process of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and online coaching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An AI model generation unit that receives question information from the coach terminal during service use, analyzes the user's video information, determines changes in the user's psychological stat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nd responds to the question information and changes in the mental state to th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database After the real-tim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are started, the initial psychological state of the user is applied to the pre-generated AI model, and the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ve state change is output. and an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er providing question information to a coach terminal.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AI를 이용한 온라인 코칭 질문 자동 제공 방법은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코치 단말로부터 질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가 시작된 후, 미리 생성된 AI 모델에 사용자의 초기 심리 상태를 적용하여 심리 상태 변화가 긍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가 출력되면 질문 정보를 코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심리 상태 변화를 결정하고, 질문 정보 및 심리 상태 변화를 온라인 코칭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automatically providing online coaching questions using AI running in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to achieve this purpose receives video information of the user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from the user terminal in the process of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In the process of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ques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ach terminal, but after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starts, the user's initial mental state is applied to the pre-generated AI model If the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mental state is positive, providing the question information to the coach terminal and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user to determine the change in the user's mental stat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d determining the change in the user's mental stat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d storing the status change in correspondence with an online coaching information databas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통해 획득한 질문 정보 및 심리 상태 변화를 학습시킨 AI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 변화가 긍정적으로 변하는 질문 정보를 코치에게 제공하여 원활한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n AI model that learns ques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n online coaching service and changes in mental state, question information in which a change in a user's psychological state is positively changed is provided to the coach to provide a smooth online coaching servic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온라인을 통해 1:1로 코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1:1 coaching can be performed online without time and space restriction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코칭을 통해 사용자의 멘탈을 강화시켜 잠재력을 발췌해 건강한 회사 생활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create a healthy company life by strengthening the user's mentality through online coaching and extracting potenti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온라인 코칭 질문 자동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온라인 코칭 질문 자동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I-based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providing online coaching questions using 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providing online coaching questions using 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I-based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AI 기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코치 단말(200) 및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AI-based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a coach terminal 200, and an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사용자 단말(100)은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여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The user terminal 100 is a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who accesses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uses the online coaching service.

사용자 단말(100)은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로서 채택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is a digital device having a function to enable a user to communicate after acces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order to use the online coaching service. , desktop computers, notebook computers, etc.), workstations, PDAs, web pads, mobile phones, etc., any digital device equipped with a memory means and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and equipped with arithmetic capability can be used as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opted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에는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 촬영 모듈(110)을 포함하거나 영상 촬영 모듈(110)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정면 방향으로 위치하는 영상 촬영 모듈(110)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n image capturing module 110 for capturing the front of the user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or if the image capturing module 110 is not included, the image capturing module locat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user ( 110) may be related.

사용자 단말(100)에 부착된 영상 촬영 모듈(110)가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할 사용자의 영상 정보의 크기 및 전송 주기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다. When there is an image capture module 110 attach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100 is an application that can control the size and transmission period of the user's imag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t is pre-installed.

상기의 영상 촬영 모듈(110)의 성능은 초당 프레임수는(frame per second) 20~30 fps 정도이고, 해상도는 640*480 정도이다. 한편, 사용자와 영상 촬영 모듈(110) 사이의 거리(d)는 45cm ± 5cm 정도를 권장한다. 또한, 온라인 코칭 서비스에 해당하는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은 가로 190 mm, 세로 95 mm 정도의 크기로 화면의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erformance of the image capture module 110 is about 20 to 30 fps in frames per second, and about 640*480 in resolution. 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d) between the user and the image capture module 110 is recommended to be about 45 cm ± 5 cm.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where the video corresponding to the online coaching service is output has a size of about 190 mm in width and 95 mm in height and is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코치 단말(200)은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여 사용자에게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치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The coach terminal 200 is a terminal possessed by a coach that accesses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provides an online coaching service to a user.

코치 단말(200)은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여 사용자에게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질문 정보를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제공하며,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질문 정보를 수신하면 질문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coach terminal 200 provides question information to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 the process of acces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provid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to the user, and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ques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n online coaching service is provided using the question information.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코치 단말(200) 사이에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제공되도록 중개한다.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termediaries to provide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oach terminal 200 .

먼저,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사용자 단말(100)에 성향 판단 절차를 통해 성향 판단 질문을 제공하고, 성향 판단 질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응답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성향을 판단한다. 그 후,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온라인 코칭을 진행하는 코치를 매칭시킨다.First,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provides a propensity determination ques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a propensity determination procedure, and when a response to the propensity determination question is received, the user's propensity is determined by using the response. judge After that,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tches a coach performing online coaching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만일,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매칭이 완료된 후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중개한다. If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mpletes matching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the online coaching service is provided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먼저,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코치 단말(200)로부터 코칭 질문을 수신한다. First,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image information of a user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from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and provides coaching services from the coach terminal 200. Receive questions.

그 후,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심리 상태 변화를 결정하고 질문 정보 및 심리 상태 변화를 대응시켜 저장하며, 온라인 코칭 서비스가 종료된 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코칭 서비스 평가 결과, 질문 정보 및 심리 상태 변화를 학습하여 AI 모델을 생성한다. After that,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alyzes the user's image information, determines the change in the user's psychological stat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stores the question information and the change in the psychological state in correspondence, and after the online coaching service is terminated An AI model is created by learn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evaluation result, question information, and mental state chang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

상기의 AI 모델은 사용자의 초기 심리 상태를 기초로 심리 상태 변화가 긍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를 출력하는 모델이다. 따라서,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AI 모델에 사용자의 초기 심리 상태를 적용하여 심리 상태 변화가 긍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를 출력받아 코치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The above AI model is a model that outputs question information in which a change in mental state corresponds to a change in positive state based on the user's initial mental state. Accordingly,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apply the initial mental state of the user to the AI model to receive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ve state change and provide the output to the coach terminal 200 .

이하에서는 이러한 AI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generating such an AI model will be described.

먼저,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가 최초 제공된 시점부터 특정 시점 이내에 수신된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초기 심리 상태를 결정한다. First,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determines the user's initial mental state by using the user's image information received within a specific point in time from the time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is first provided.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 중 동공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 값을 분석하고, 동공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 값의 평균 픽셀 값을 산출하고, 평균 픽셀 값 별 심리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평균 픽셀 값에 해당하는 심리 상태를 초기 심리 상태로 결정한다. In an embodiment,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alyzes pixel values corresponding to the pupil area of the user's image information, calculates an average pixel value of the pixel values corresponding to the pupil area, and calculates the average pixel value for each pixel value. Based on the state database, a mental state corresponding to an average pixel value is determined as an initial mental state.

만일,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코치에 의해 질문 정보가 제공되면, 코치에 의해 질문 정보가 제공된 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영상 정보 중 동공 영역을 추출한다. If question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coach,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alyzes the user's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after the question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coach, and identifies the pupil of the user's image information. extract the area

상기와 같이 동공 영역을 추출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동공은 홍채 안쪽 중앙의 비어 있는 공간으로, 동공의 크기에 따라 안구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결정된다. 이러한 동공의 크기는 동공괄약근과 동공산대근의 수축과 이완에 의해 자율적으로 조절되는데, 안구로 들어오는 빛의 양에 따라 동공의 크기가 반사적으로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o explain the reason for extracting the pupil area as described above, the pupil is an empty space in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iris, and the amount of light entering the eyebal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upil. The size of the pupil is autonomously controlled by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pupillary sphincter and dilated pupil, and it is known that the size of the pupil reflexively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entering the eyeball.

그러나 단순히 주변의 밝기에 의해 동공의 크기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아닌데, 이미 많은 의학계 논문, 학술지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심리 상태의 변화는 동공 크기의 변화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질문 정보가 제공된 후 사용자의 동공 변화를 분석한 후 학습하여 AI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다. However, the change in pupil size is not simply caused by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As already disclosed in many medical papers and academic journals, the change in the user's psychological state affects the change in pupil siz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question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process of providing an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a user and a coach, a change in the pupil of the user is analyzed and learned to generate an AI model.

그 후,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초기 심리 상태를 결정할 때 사용된 이전 동공 영역의 및 현재 동공 영역을 비교하여 현재 심리 상태를 결정한다.After that,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mpares the previous pupil area and the current pupil area used when determining the initial mental state to determine the current mental state.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초기 심리 상태를 결정할 때 사용된 이전 동공 영역의 및 현재 동공 영역 각각의 픽셀 값을 비교하여 픽셀 값 사이의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이 픽셀의 수를 산출하고,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이 픽셀의 수에 따라 현재 심리 상태를 결정한다. In one embodiment,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mpares the pixel values of the previous pupil area and the current pupil area used when determining the initial mental state, so that the difference pixel value between the pixel values is a pixel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c value. Calculate the number of, and determine the current mental st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ixels whose difference pixel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상기의 실시예에서,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가 특정 값 이하이면 심리 상태 변화를 변화 없음으로 결정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determine the mental state change to be no change if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difference pixel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c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a specific value.

상기의 실시예에서,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가 특정 값 이상이면, 픽셀 값의 증가에 따른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 및 픽셀 값의 감소에 따른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현재 심리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determines, when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difference pixel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c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c value,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difference pixel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c value according to an increase in the pixel value and the pixel value. Difference due to decrease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pixel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c value may be compared, and a current mental stat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초기 심리 상태 및 현재 심리 상태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심리 상태 변화를 긍정적 상태 변화 및 부정적 상태 변화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며, 온라인 코칭 서비스 평가 결과, 질문 정보 및 심리 상태 변화를 학습하여 AI 모델을 생성한다.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mpares the initial psychological state and the current psychological state, determines the psychological state change as one of a positive state change and a negative state chang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the online coaching service evaluation result, question information and Create an AI model by learning changes in mental state.

따라서,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가 시작된 후, AI 모델 생성부(360)에 의해 생성된 AI 모델에 사용자의 초기 심리 상태를 적용하여 심리 상태 변화가 긍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가 출력되면 질문 정보를 코치 단말(200)에 제공한다. Therefore, after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starts,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pplies the initial mental state of the user to the AI model generated by the AI model generating unit 360 so that the change in mental state is positive. When the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change is output, the ques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oach terminal 200 .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코칭 서비스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전체 단어 개수 대비 긍정 응답에 해당하는 키워드의 개수의 비율이 기준 비율 이상이고 심리 상태 변화가 긍정적 상태 변화를 지시하는 경우 해딩 질문 정보를 긍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로 학습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alyzes the online coaching service evalu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determines that the ratio of the number of keywords corresponding to a positive response to the total number of word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ratio. When the state change indicates a positive state change, the heading question information may be learned as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ve state change.

다른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코칭 서비스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전체 단어 개수 대비 긍정 응답에 해당하는 키워드의 개수의 비율이 기준 비율 이상이지만 심리 상태 변화가 부정적 상태 변화를 지시하는 경우, 전체 단어 개수 대비 긍정 응답에 해당하는 키워드의 개수의 비율 및 기준 비율 사이의 차이 비율에 따라 해당 질문 정보를 부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로 학습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alyzes the online coaching service evalu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so that the ratio of the number of keywords corresponding to a positive response to the total number of word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rate. If the psychological state change indicates a negative state change, the corresponding question information can be learned as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egative state chang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keywords corresponding to a positive response to the total number of words and the reference ratio. ca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얼굴 정보 수신부(310), 질문 정보 수신부(320), 실시간 온라인 코칭 정보 관리부(330), 온라인 코칭 정보 데이터베이스(340),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부(350) 및 AI 모델 생성부(3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user face information receiving unit 310, a ques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320, a real-tim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an online coaching information database 340, and an online coaching service. It includes a providing unit 350 and an AI model generating unit 360.

사용자 얼굴 정보 수신부(310)는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AI 모델 생성부(360)에 제공한다. The user face information receiving unit 310 receives image information of a user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from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process of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and provides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to the AI model generator 360.

질문 정보 수신부(320)는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코치 단말(200)로부터 질문 정보를 수신하여 AI 모델 생성부(360)에 제공한다. The question information receiver 320 receives question information from the coach terminal 200 in the process of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and provides it to the AI model generator 360 .

실시간 온라인 코칭 정보 관리부(330)는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사용자 얼굴 정보 수신부(310)로부터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심리 상태 변화를 결정하고 질문 정보 및 심리 상태 변화를 온라인 코칭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에 대응시켜 저장한다. The real-tim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receives image information of a user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from the user face information receiving unit 310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analyzes the user's image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user's psychological state change is determined, and the question information and the mental state change ar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database 340 .

먼저, 실시간 온라인 코칭 정보 관리부(330)는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가 최초 제공된 시점부터 특정 시점 이내에 수신된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초기 심리 상태를 결정한다. First, the real-tim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determines the user's initial mental state by using the user's image information received within a specific time point from the time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is first provided.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온라인 코칭 정보 관리부(330)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 중 동공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 값을 분석하고, 동공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 값의 평균 픽셀 값을 산출하고, 평균 픽셀 값 별 심리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평균 픽셀 값에 해당하는 심리 상태를 초기 심리 상태로 결정한다. In an embodiment, the real-tim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analyzes pixel values corresponding to the pupil area of the user's image information, calculates an average pixel value of the pixel values corresponding to the pupil area, and calculates a psychological value for each average pixel value. Based on the state database, a mental state corresponding to an average pixel value is determined as an initial mental state.

만일, 실시간 온라인 코칭 정보 관리부(330)는 코치에 의해 질문 정보가 제공되면, 코치에 의해 질문 정보가 제공된 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영상 정보 중 동공 영역을 추출한다. If question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coach, the real-tim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analyzes the user's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after the question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coach, and identifies the pupil of the user's image information. extract the area

상기와 같이 동공 영역을 추출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동공은 홍채 안쪽 중앙의 비어 있는 공간으로, 동공의 크기에 따라 안구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결정된다. 이러한 동공의 크기는 동공괄약근과 동공산대근의 수축과 이완에 의해 자율적으로 조절되는데, 안구로 들어오는 빛의 양에 따라 동공의 크기가 반사적으로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o explain the reason for extracting the pupil area as described above, the pupil is an empty space in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iris, and the amount of light entering the eyebal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upil. The size of the pupil is autonomously controlled by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pupillary sphincter and dilated pupil, and it is known that the size of the pupil reflexively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entering the eyeball.

그러나 단순히 주변의 밝기에 의해 동공의 크기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아닌데, 이미 많은 의학계 논문, 학술지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심리 상태의 변화는 동공 크기의 변화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질문 정보가 제공된 후 사용자의 동공 변화를 분석한 후 학습하여 AI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다. However, the change in pupil size is not simply caused by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As already disclosed in many medical papers and academic journals, the change in the user's psychological state affects the change in pupil siz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question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process of providing an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a user and a coach, a change in the pupil of the user is analyzed and learned to generate an AI model.

그 후, 실시간 온라인 코칭 정보 관리부(330)는 초기 심리 상태를 결정할 때 사용된 이전 동공 영역의 및 현재 동공 영역을 비교하여 현재 심리 상태를 결정한다.After that, the real-tim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determines the current mental state by comparing the previous pupil region and the current pupil region used when determining the initial mental state.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온라인 코칭 정보 관리부(330)는 초기 심리 상태를 결정할 때 사용된 이전 동공 영역의 및 현재 동공 영역 각각의 픽셀 값을 비교하여 픽셀 값 사이의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이 픽셀의 수를 산출하고,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이 픽셀의 수에 따라 현재 심리 상태를 결정한다. In one embodiment, the real-tim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compares the pixel values of the previous pupil area and the current pupil area used when determining the initial mental state,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ixel values is a pixel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c value. Calculate the number of, and determine the current mental st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ixels whose difference pixel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상기의 실시예에서, 실시간 온라인 코칭 정보 관리부(330)는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가 특정 값 이하이면 심리 상태 변화를 변화 없음으로 결정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real-tim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may determine the mental state change as no change when the number of pixels having difference pixel valu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c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c value.

상기의 실시예에서, 실시간 온라인 코칭 정보 관리부(330)는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가 특정 값 이상이면, 픽셀 값의 증가에 따른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 및 픽셀 값의 감소에 따른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현재 심리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real-tim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calculates the number of pixels having difference pixel valu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c value and the number of pixels having difference pixel valu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c value when the number of pixels having difference pixel valu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c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c value. Difference due to decrease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pixel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c value may be compared, and a current mental stat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실시간 온라인 코칭 정보 관리부(330)는 초기 심리 상태 및 현재 심리 상태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심리 상태 변화를 긍정적 상태 변화 및 부정적 상태 변화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한다. The real-tim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compares the initial mental state and the current mental state, and determines the mental state change as one of a positive state change and a negative state chang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부(350)는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가 시작된 후, AI 모델 생성부(360)에 의해 생성된 AI 모델에 사용자의 초기 심리 상태를 적용하여 심리 상태 변화가 긍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가 출력되면 질문 정보를 코치 단말(200)에 제공한다. After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starts,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er 350 applies the initial mental state of the user to the AI model generated by the AI model generator 360 so that the change in mental state is positive. When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s output, the ques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oach terminal 200 .

AI 모델 생성부(360)는 상기 온라인 코칭 서비스가 종료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코칭 서비스 평가 결과와 온라인 코칭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에서 도출된 질문 정보 및 심리 상태 변화를 학습하여 AI 모델을 생성한다. The AI model generating unit 360 learns the online coaching service evalu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question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database 340, and the change in mental state after the online coaching service is terminated to create an AI model. generate

일 실시예에서, AI 모델 생성부(36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코칭 서비스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전체 단어 개수 대비 긍정 응답에 해당하는 키워드의 개수의 비율이 기준 비율 이상이고 심리 상태 변화가 긍정적 상태 변화를 지시하는 경우 해딩 질문 정보를 긍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로 학습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 model generator 360 analyzes the online coaching service evalu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ratio of the number of keywords corresponding to a positive response to the total number of word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ratio and the change in mental state is positive. When a state change is indicated, the heading question information may be learned as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ve state change.

다른 일 실시예에서, AI 모델 생성부(36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코칭 서비스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전체 단어 개수 대비 긍정 응답에 해당하는 키워드의 개수의 비율이 기준 비율 이상이지만 심리 상태 변화가 부정적 상태 변화를 지시하는 경우, 전체 단어 개수 대비 긍정 응답에 해당하는 키워드의 개수의 비율 및 기준 비율 사이의 차이 비율에 따라 해덩 질문 정보를 부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로 학습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I model generation unit 360 analyzes the online coaching service evalu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ratio of the number of keywords corresponding to a positive response to the total number of word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ratio, but the change in mental state When a negative state change is indicated, the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egative state change may be learned as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egative state chang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keywords corresponding to a positive response to the total number of words and the reference ratio.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온라인 코칭 질문 자동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providing online coaching questions using 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310).Referring to FIG. 3 ,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image information of a user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from a user terminal in the process of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step S310).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코치 단말로부터 질문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320).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question information from the coach terminal in the process of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step S320).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가 시작된 후, 미리 생성된 AI 모델에 사용자의 초기 심리 상태를 적용하여 심리 상태 변화가 긍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가 출력되면 질문 정보를 코치 단말에 제공한다(단계 S330).After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is started,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pplies the user's initial psychological state to a pre-generated AI model, and outputs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ve change in mental state. Ques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oach terminal (step S330).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심리 상태 변화를 결정하고, 질문 정보 및 심리 상태 변화를 온라인 코칭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대응시켜 저장한다(단계 S340).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alyzes the user's image information, determines the change in the user's mental stat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d stores the question information and the change in the mental state in an online coaching information database (step S340).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온라인 코칭 질문 자동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providing online coaching questions using 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도 4의 (a) 내지 (c)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 성향 판단 절차를 통해 성향 판단 질문을 제공하고, 성향 판단 질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응답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성향을 판단한다. 그 후,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도 5와 같이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온라인 코칭을 진행하는 코치를 매칭시킨다. 4 to 6,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provides the user terminal 100 with a tendency determination question through a tendency determination procedure as shown in (a) to (c) of FIG. 4, and determines the tendency When a response to the question is received, the user's tendency is determined using the response. After that,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tches a coach performing online coaching according to the user's tendency as shown in FIG. 5 .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온라인 코칭을 진행하는 코치를 매칭된 후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The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provide the online coaching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100 after matching the coach performing online coaching, and may provid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s shown in FIG. 6 .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only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사용자 단말,
200: 코치 단말,
300: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
310: 사용자 얼굴 정보 수신부,
320: 질문 정보 수신부,
330: 실시간 온라인 코칭 정보 관리부,
340: 온라인 코칭 정보 데이터베이스,
350: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부,
360: AI 모델 생성부
100: user terminal,
200: coach terminal,
300: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10: user face information receiver,
320: query information receiving unit;
330: real-tim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40 online coaching information database;
350: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er;
360: AI model generation unit

Claims (7)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얼굴 정보 수신부;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코치 단말로부터 질문 정보를 수신하는 AI 모델 생성부;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심리 상태 변화를 결정하고, 질문 정보 및 심리 상태 변화를 온라인 코칭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실시간 온라인 코칭 정보 관리부; 및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가 시작된 후, 미리 생성된 AI 모델에 사용자의 초기 심리 상태를 적용하여 심리 상태 변화가 긍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가 출력되면 질문 정보를 코치 단말에 제공하는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온라인 코칭 정보 관리부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 중 동공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 값을 분석하고, 동공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 값의 평균 픽셀 값을 산출하고, 평균 픽셀 값 별 심리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평균 픽셀 값에 해당하는 심리 상태를 초기 심리 상태로 결정하고, 코치에 의해 질문 정보가 제공되면, 코치에 의해 질문 정보가 제공된 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영상 정보 중 동공 영역을 추출하고, 초기 심리 상태를 결정할 때 사용된 이전 동공 영역의 및 현재 동공 영역 각각의 픽셀 값을 비교하여 픽셀 값 사이의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를 산출하고,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에 따라 현재 심리 상태를 결정하고,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가 특정 값 이상이면, 픽셀 값의 증가에 따른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 및 픽셀 값의 감소에 따른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심리 상태 변화를 긍정적 상태 변화 및 부정적 상태 변화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고,
상기 AI 모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코칭 서비스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전체 단어 개수 대비 긍정 응답에 해당하는 키워드의 개수의 비율이 기준 비율 이상이고 심리 상태 변화가 긍정적 상태 변화를 지시하는 경우 해당 질문 정보를 긍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로 학습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코칭 서비스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전체 단어 개수 대비 긍정 응답에 해당하는 키워드의 개수의 비율이 기준 비율 이상이지만 심리 상태 변화가 부정적 상태 변화를 지시하는 경우, 전체 단어 개수 대비 긍정 응답에 해당하는 키워드의 개수의 비율 및 기준 비율 사이의 차이 비율에 따라 해당 질문 정보를 부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로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
A user face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of a user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from a user terminal in the process of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AI model generation unit for receiving question information from the coach terminal in the process of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a real-tim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analyzes the user's image information, determines a change in the user's mental stat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d stores the question information and the change in the mental state in correspondence with an online coaching information database; and
After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starts, the user's initial psychological state is applied to the pre-generated AI model, and when the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ve state change is output, the ques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oach terminal. Includes a coaching service provider;
The real-time online coach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mong the user's image information, the pixel value corresponding to the pupil area is analyzed, the average pixel value of the pixel value corresponding to the pupil area is calculated, and the psychological state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pixel value is calculated based on the mental state database for each average pixel value. When the initial mental state is determined and question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coach, the user's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s analyzed after the question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coach, the pupil area is extracted from the user's image information, and the initial psychological state is determined. The pixel values of each of the previous pupil area and the current pupil area used in determining the state are compared to calculate the number of pixels whose difference pixel values between the pixel values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certain value, and to the number of pixels whose difference pixel values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certain value. If the number of pixels with difference pixel valu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the number of pixels with difference pixel valu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as the pixel value increases and the difference pixel value as the pixel value decreases Comparing the number of pixels with a specific value or more, and determining the psychological state change as one of a positive state change and a negative state chang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AI model generating unit
By analyz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evalu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f the ratio of the number of keywords corresponding to a positive response to the total number of word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tandard ratio and the change in mental state indicates a change in positive state, the corresponding question information is set to a positive state. Learning with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hange,
By analyz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evalu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keywords corresponding to a positive response to the total number of word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tandard ratio, but the change in psychological state indicates a change in negative state, positive versus the total number of word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sponding question information is learned as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negative state change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number of keywords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and the ratio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atio
Server providing online coaching ser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온라인 코칭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AI를 이용한 온라인 코칭 질문 자동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온라인 코칭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코치 단말로부터 질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및 코치 사이의 온라인 코칭 서비스가 시작된 후, 미리 생성된 AI 모델에 사용자의 초기 심리 상태를 적용하여 심리 상태 변화가 긍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가 출력되면 질문 정보를 코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심리 상태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질문 정보 및 심리 상태 변화를 온라인 코칭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심리 상태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 중 동공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 값을 분석하고, 동공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 값의 평균 픽셀 값을 산출하는 단계;
평균 픽셀 값 별 심리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평균 픽셀 값에 해당하는 심리 상태를 초기 심리 상태로 결정하고, 코치에 의해 질문 정보가 제공되면, 코치에 의해 질문 정보가 제공된 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사용자의 영상 정보 중 동공 영역을 추출하고, 초기 심리 상태를 결정할 때 사용된 이전 동공 영역의 및 현재 동공 영역 각각의 픽셀 값을 비교하여 픽셀 값 사이의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에 따라 현재 심리 상태를 결정하고,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가 특정 값 이상이면, 픽셀 값의 증가에 따른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 및 픽셀 값의 감소에 따른 차이 픽셀 값이 특정 값 이상인 픽셀의 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심리 상태 변화를 긍정적 상태 변화 및 부정적 상태 변화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코칭 서비스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전체 단어 개수 대비 긍정 응답에 해당하는 키워드의 개수의 비율이 기준 비율 이상이고 심리 상태 변화가 긍정적 상태 변화를 지시하는 경우 해당 질문 정보를 긍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로 학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코칭 서비스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전체 단어 개수 대비 긍정 응답에 해당하는 키워드의 개수의 비율이 기준 비율 이상이지만 심리 상태 변화가 부정적 상태 변화를 지시하는 경우, 전체 단어 개수 대비 긍정 응답에 해당하는 키워드의 개수의 비율 및 기준 비율 사이의 차이 비율에 따라 해당 질문 정보를 부정적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질문 정보로 학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I를 이용한 온라인 코칭 질문 자동 제공 방법.
In the method of automatically providing online coaching questions using AI running on an online coaching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of a user using an online coaching service from a user terminal in a process of us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a user and a coach;
Receiving question information from a coach terminal in a process of using an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a user and a coach;
After the online coaching ser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ach starts, applying the user's initial psychological state to the pre-generated AI model and providing the question information to the coach terminal when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ve state change is output ; and
Analyzing the user's image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change in the user's mental stat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Storing the question information and mental state change in correspondence with an online coaching information database;
The step of analyzing the user's image information and determining the change in the user's psychological stat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alyzing pixel values corresponding to the pupil area among imag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calculating an average pixel value of the pixel values corresponding to the pupil area;
Based on the mental state database for each average pixel value, the mental state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pixel value is determined as the initial mental state, and if question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coach, the user'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fter the question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coach Analyzing image information;
The pupil area is extracted from the user's image informa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ixel values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pixel values of the previous and current pupil areas used when determining the initial psychological state, and calculating the number of pixels whose pixel values are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c value. doing;
The current mental stat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ixels whose difference pixel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and if the number of pixels whose difference pixel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the number of pixels whose difference pixel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as the pixel value increases. and comparing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difference pixel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c value according to the decrease in the pixel value. and
Determining a mental state change as one of a positive state change and a negative state chang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By analyz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evalu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f the ratio of the number of keywords corresponding to a positive response to the total number of word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tandard ratio and the change in mental state indicates a positive state change, the corresponding question information is set to a positive state. learning as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hange; and
By analyzing the online coaching service evalu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keywords corresponding to a positive response to the total number of words is greater than the standard ratio, but the change in psychological state indicates a change in negative state, positive versus the total number of word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learning the corresponding question information as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negative state change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number of keywords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and the ratio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atio
A method for automatically providing online coaching questions using AI.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4항에 기재된 AI를 이용한 온라인 코칭 질문 자동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automatically providing online coaching questions using AI according to claim 4.
KR1020220127731A 2022-10-06 2022-10-06 System for providing on line coaching service base on ai, method perform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performing t hereof KR1025628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731A KR102562810B1 (en) 2022-10-06 2022-10-06 System for providing on line coaching service base on ai, method perform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performing t 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731A KR102562810B1 (en) 2022-10-06 2022-10-06 System for providing on line coaching service base on ai, method perform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performing t 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810B1 true KR102562810B1 (en) 2023-08-02

Family

ID=87566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731A KR102562810B1 (en) 2022-10-06 2022-10-06 System for providing on line coaching service base on ai, method perform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performing t 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810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414A (en) * 2014-07-02 2016-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motion Coac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Network
KR20180017342A (en) * 2016-08-09 2018-02-21 주식회사 피노텍 Robot automatic counselling method and system with determined scenario using machine-learning
KR20200021162A (en) *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부뜰정보시스템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counseling chatter robot based on counceling contents of counselor
KR20200066964A (en) * 2018-12-03 2020-06-11 (주)피플벤처스 Apparatus for providing customized counselling service by analyzing big data and method thereof
KR102216904B1 (en) * 2020-01-31 2021-02-17 임시원 Psychology consultation method capable of tracking psychological changes by providing personalized image
KR102216899B1 (en) * 2020-01-31 2021-02-17 임시원 Psychology consultation method capable of personalized consultation through real-time image and voice mapping
KR102277820B1 (en) * 2021-01-29 2021-07-16 전다정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using the feeling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KR102327669B1 (en) * 2021-04-01 2021-11-23 이병관 Mental care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414A (en) * 2014-07-02 2016-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motion Coac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Network
KR20180017342A (en) * 2016-08-09 2018-02-21 주식회사 피노텍 Robot automatic counselling method and system with determined scenario using machine-learning
KR20200021162A (en) *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부뜰정보시스템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counseling chatter robot based on counceling contents of counselor
KR20200066964A (en) * 2018-12-03 2020-06-11 (주)피플벤처스 Apparatus for providing customized counselling service by analyzing big data and method thereof
KR102216904B1 (en) * 2020-01-31 2021-02-17 임시원 Psychology consultation method capable of tracking psychological changes by providing personalized image
KR102216899B1 (en) * 2020-01-31 2021-02-17 임시원 Psychology consultation method capable of personalized consultation through real-time image and voice mapping
KR102277820B1 (en) * 2021-01-29 2021-07-16 전다정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using the feeling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KR102327669B1 (en) * 2021-04-01 2021-11-23 이병관 Mental care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3321B2 (en) Diagnosis support system
KR101880159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icture psychological examination service using a sketchbook dedicated to psychophysical testing and its sketchbook and smartphone
US67614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n eye examination
US20070265507A1 (en) Visual attention and emotional response detection and display system
Prochazkova et al. Physiological synchrony is associated with attraction in a blind date setting
Schoenherr et al. Identification of movement synchrony: Validation of windowed cross-lagged correlation and-regression with peak-picking algorithm
US645064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n eye examination
Wang et al. Using opportunistic face logging from smartphone to infer mental health: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Rafiqi et al. PupilWare: towards pervasive cognitive load measurement using commodity devices
CN110580953A (en) Disease diagnosis system and method adopting artificial intelligence
CN115334957A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assessment of pupillary psychosensory response
US11583214B2 (en) Adap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tool
KR102562810B1 (en) System for providing on line coaching service base on ai, method perform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performing t hereof
WO2024038134A1 (en) Methods and devices in performing a vision testing procedure on a person
Migliorelli et al. A store-and-forward cloud-based telemonitoring system for automatic assessing dysarthria evolution in neurological diseases from video-recording analysis
Costagliola et al. A Novel Approach for Attention Management in E-learning Systems.
KR102494464B1 (en) Smart glasses for monitoring brain nervous system diseases using eye recognition data
CN115497621A (en) Old person cognitive status evaluation system
KR20220158957A (en) System for prediction personal propensity using eye tracking and real-time facial expression analysis and method thereof
Platonov et al. Not all observed actions are perceived equally
KR20210080108A (en) Method of determining stress index using iris image
KR20210084443A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manual assessment of spatiotemporal memory and/or saliency
Rafiqi Pupilware: Towards cognitive and context-aware framework
Stone Eye and body tracking in the lab, in the wild, and in the clinic
WO2022225037A1 (en) Examination system, examination device, examination method, and examination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