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662B1 -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662B1
KR102562662B1 KR1020230024357A KR20230024357A KR102562662B1 KR 102562662 B1 KR102562662 B1 KR 102562662B1 KR 1020230024357 A KR1020230024357 A KR 1020230024357A KR 20230024357 A KR20230024357 A KR 20230024357A KR 102562662 B1 KR102562662 B1 KR 102562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evice
jig
crushing
crushing jig
recor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희
이다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024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05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12Mills with non-rotating spiked memb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 저장장치(SSD)에 배치된 다수의 칩들을 간편하게 파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하로 배치되는 파쇄용 지그를 이용하여 기록 저장장치에 배치된 다수의 칩을 동시에 파괴할 수 있도록 하고, 기록 저장장치용 칩들을 파괴하기 위하여 상,하측 파쇄용 지그의 파괴동작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1,2돌기부를 구비하여, 칩 배치 위치에 관계없이 칩 파괴에 따른 파괴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기록 저장장치를 착탈 가이드로부터 분해하여 기록 저장장치를 단독으로 파괴하거나, 기록 저장장치와 착탈 가이드를 분해할 필요없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하측 파쇄용 지그에 결합시켜 파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괴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Apparatus for Destroying Solid State Drive}
본 발명은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 저장장치(SSD)에 배치된 다수의 칩들을 간편하게 파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하로 배치되는 파쇄용 지그를 이용하여 기록 저장장치에 배치된 다수의 칩을 동시에 파괴할 수 있도록 하고, 기록 저장장치용 칩들을 파괴하기 위하여 상,하측 파쇄용 지그의 파괴동작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1,2돌기부를 구비하여, 칩 배치 위치에 관계없이 칩 파괴에 따른 파괴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기록 저장장치를 착탈 가이드로부터 분해하여 기록 저장장치를 단독으로 파괴하거나, 기록 저장장치와 착탈 가이드를 분해할 필요없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하측 파쇄용 지그에 결합시켜 파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괴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저장(data storage) 기술이 진전됨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 기록매체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PC)의 데이터는 플렉시블 디스크(FD)이나 광자기디스크(MO) 등의 자기기록매체, 또는, 콤팩트 디스크(CD)나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 등의 광기록매체에 기록된다. 또한, 범용 컴퓨터의 데이터는 자기테이프(MT)등의 자기기록매체에 기록된다.
또한, 컴퓨터의 데이터는 데이터 기록지에 인자되고, 손으로 쓴 문자나 도형은 기록지에 기록된다. 특히 작금, 컴퓨터 관련 기술이 진전됨에 따라, 하드디스크나 미디어 카드 등의 대용량의 기록매체가 개발되어, 대기업이나 대학 등의 연구기관에 의한 특수 용도에 제한되지 않고, 일반가정에서도 극히 보통으로 대용량의 기록매체가 사용되게 되었다. 하드디스크나 미디어카드 등은 점점 대용량화의 일로를 걷고 있고, 수년 내에 신규로, 보다 대용량의 기록매체로 재구입하여 불필요하게 된 기존의 기록매체가 처분될 기회가 많아졌다.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기기의 하드 디스크는 자기기록매체에 수 많은 데이터들이 기록되어 있는데 컴퓨터 장비의 노후화와 이동통신기기의 모델의 다양화로 라이프사이클이 매우 짧아져 기록매체를 파괴해야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런데 자기기록매체에는 타인에게 공개될 경우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정부기관이나 금융기관, 기업들의 각종 기밀정보를 취급하는 곳에서는 매우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에 자기기록매체의 데이터 삭제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되고 있다.
따라서 자기기록매체의 데이터 삭제의 방법을 단순하게 삭제 프로그램이나 여러번 복사하는 방법으로 지웠다 하더라도 복구 기술과 장비가 발전하면서 전문가들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파손된 자기기록매체로부터도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자기기록매체의 데이터를 보다 완전하게 파괴하는 것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불필요하게 된 기록매체를 파괴할 때에는 기밀 정보가 누설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요하고,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소거하거나, 또는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 불가능한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자기기록매체나 재기록 가능한 기록매체 등의 기록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해서는, 더미 데이터(dummy data)를 덮어쓰기 하여 원래 데이터를 소거하는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원래 데이터를 완전하게 판독 불능으로 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을 요한다. 또한, 더미 데이터를 덮어쓰기 하는 방법은 재기록 불능인 광기록매체 등에는 적용할 수 없다.
그래서, 정보를 소거하지 않고서, 물리적으로 기록매체 자체를 파괴하여 판독이 불가능한 상태로 하는 편이 현실적인 처리방법이며, 이러한 처리방법을 채용한 기술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32934호 "기록매체 파괴장치, 기록매체 파괴 시스템, 전자기기 관리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공개일자 : 2006.12.22)에 개시되어 있다.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의 기록매체를 교환하거나 파괴할 때에 기밀을 요하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면 막대한 손해를 입을 위험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록매체를 파괴할 때에 완벽하게 파괴하여야 할 것이다.
종래에 공지된 기술 및 상기 공개특허 공보 제10-2006-0132934호에 기록된 기록매체 파괴방법은 기록매체를 판독불가능 상태로 하였다고 해도 많은 취약점을 갖고 있는데, 즉 파괴 대상이 되는 기록매체를 투입하거나 축출할 때에 투입구가 같은 곳에 있으므로 파괴하였다는 신뢰성에 있어서 문제점을 갖게 되며, 영상기록이나 파괴 데이터를 확보한다고 하더라도 완벽하게 파괴하였다고 입증하기가 곤란한 부분이 있었다.
한편, 파괴하고자 하는 자기기록매체의 크기가 다양하여 투입구에서 발생되는 규격에 맞는 별도의 보조기구가 필요하며 또한 천공펀치와의 위치가 정위치에 놓여지지 않아서 자기기록매체를 정보의 유출을 할 수 없게 완전하게 파괴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자기기록매체 파괴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동 출원인이 선출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6507호 "자기기록매체 파괴 천공장치"(등록일자 : 2011.10.2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의 유압력으로 승강동작되는 천공펀치를 구비하며, 상기 천공펀치의 하강동작시 투입장치를 통해 투입된 자기기록매체를 펀칭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위 기술은 복수의 천공 구멍을 형성하도록 자기기록매체를 펀칭하고 있으나, 위의 경우에는 하드디스크에만 적용할 수 있으며, 반도체 기억소자를 사용한 저장장치(SSD; Solid State Drive)의 경우에는 다수의 칩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단순 펀칭으로는 기록 매체의 데이터 정보를 완전히 파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SSD용 데이터 정보를 완전히 파괴할 수 있는 파괴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32934호 "기록매체 파괴장치, 기록매체 파괴 시스템, 전자기기 관리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공개일자 : 2006.12.2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6507호 "자기기록매체 파괴 천공장치"(등록일자 : 2011.10.28)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반도체 기억소자를 사용한 기록 저장장치(SSD)에 배치된 다수의 칩들을 간편하게 파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하로 배치되는 파쇄용 지그를 이용하여 SSD용 다수의 칩을 동시에 파괴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SSD용 칩들을 파괴하기 위하여 상,하측 파쇄용 지그의 파괴동작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돌기부를 구비하여, 칩 배치 위치에 관계없이 칩 파괴에 따른 파괴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록 저장장치를 착탈 가이드로부터 분해하여 기록 저장장치를 단독으로 파괴하거나, 기록 저장장치와 착탈 가이드를 분해할 필요없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하측 파쇄용 지그에 결합시켜 파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괴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압실린더가 배치되는 파쇄기 본체와; 상기 파쇄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력에 의해 상,하로 승강동작되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부가 형성되는 상측 파쇄용 지그와; 상기 파쇄기 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하측 파쇄용 지그가 안착되는 받침판; 및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파쇄기 본체 내부로 진입 및 외부로 진출 가능하며, 기록 저장 장치가 안착되고,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의 하강동작시 상기 제1돌기부와 엇갈리게 결합되는 제2돌기부가 형성되는 하측 파쇄용 지그; 및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의 상승동작시 파괴된 기록 저장장치가 상측으로 딸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에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단부에 투입구측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는 스톱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파쇄용 지그는,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양측벽과, 상기 양측벽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쇄블록과의 간격을 유지하며 착탈 가이드가 위치하도록 여유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단턱부와, 상기 양측벽 사이에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기록 저장장치가 안착되는 제2돌기부가 형성되는 파쇄블록과, 상기 파쇄블록의 전면측에 결합되고 좌,우측 단부의 높이가 중앙 부위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결합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측 파쇄용 지그의 제1,2돌기부은 단면의 폭이 단부를 향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기록 저장장치가 접촉되는 단부가 평면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측 파쇄용 지그는 상기 파쇄블록의 후면에 근접되고 상기 양측벽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양측벽의 높이는 상기 파쇄블록의 제2돌기부의 단부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2돌기부의 형태는 사각뿔 형태인 것이다.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의 승강동작을 감지하도록 상기 파쇄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의 승강동작을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제1,2감지센서와, 상기 파쇄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파쇄용 지그의 투입구 내 진입시 기록 저장장치의 진입을 감지하며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제3감지센서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3감지센서로부터 인가된 정보 신호를 근거로 유압실린더와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은 하측 파쇄용 지그의 상측에 SSD를 안착시키고 유압실린더의 유압력을 이용하여 서로 대칭되는 제1,2돌기부가 엇갈리는 방향으로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SSD의 칩이 천공되거나 파쇄되면서 발생하는 천공 충격력 또는 파쇄 충격력을 전달함으로써, 다수의 제1,2돌기부가 서로 엇갈린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칩 배치위치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SSD의 칩을 파괴할 수 있으며 칩의 데이터 정보를 복원이 불가능하도록 물리적으로 파괴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하측 파쇄용 지그에 단턱부를 더 구비함에 따라, 상기 착탈 가이드가 단턱부의 상측에 배치되므로, 제1,2돌기부가 상기 착탈 가이드에 간섭되지 않게 되어 SSD를 착탈 가이드로부터 분리할 필요없이 SSD가 결합된 상태의 착탈 가이드를 하측 파쇄용 지그의 상측에 안착시킨 상태로 칩 파괴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강동작되는 홀더부재의 상승 및 하강동작을 감지하는 제1,2감지센서와, 하측 파쇄용 지그에 안착된 SSD를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상,하측 파쇄용 지그 및 기록 저장장치(SSD)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하측 파쇄용 지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SSD가 안착된 하측 파쇄용 지그가 투입구를 통해 받침판 상측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상측 파쇄용 지그가 유압실린더에 의해 하강동작되어 SSD를 파쇄할 때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하측 파쇄용 지그에 SSD 및 착탈 가이드가 안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 상,하측 파쇄용 지그의 결합 전,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에 의해 파괴된 SSD를 나타낸 사진.
도 10은 본 발명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에 의해 파괴처리된 SSD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측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투입구(105)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압실린더(120)가 배치되는 파쇄기 본체(100)와; 상기 파쇄기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20)의 유압력에 의해 상,하로 승강동작되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부(210)가 형성되는 상측 파쇄용 지그(200)와; 상기 파쇄기 본체(100)의 내부로 진입된 하측 파쇄용 지그(300)가 안착되는 받침판(110); 및 상기 투입구(105)를 통해 상기 파쇄기 본체(100) 내부로 진입 및 외부로 진출 가능하며, 기록 저장 장치(50;SSD)가 안착되고,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200)의 하강동작시 상기 제1돌기부(210)와 엇갈리게 결합되는 제2돌기부(310)가 형성되는 하측 파쇄용 지그(300); 및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200)의 상승동작시 파괴된 기록 저장장치(50)가 상측으로 딸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받침판(110)의 상부면에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단부에 투입구(105)측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510)가 형성되는 스톱퍼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파쇄기 본체(100)는 박스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유압실린더(120)와 유압실린더(120) 측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130) 등의 부품이 배치된다.
상기 투입구(105)는 상기 파쇄기 본체(100)의 전면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파쇄기 본체(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투입구(105)를 통해 파쇄기 본체(100)의 내부로 진입된 하측 파쇄용 지그(300)가 안착되는 받침판(110)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파쇄기 본체(100)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바퀴부재(102)가 결합된다.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120)의 유압력에 의해 상,하로 승강동작되는 홀더부재(250)에 체결되고, 상기 홀더부재(250)의 승강동작에 의해 상,하로 연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200)는 블록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부(210)가 배치되도록 상기 홀더부재(250)에 결합된다.
상기 홀더부재(25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120)에 의해 상,하로 승강동작되고, 하부에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200)가 결합되어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200)를 상,하로 승강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하측 파쇄용 지그(300)는 도 1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105)를 통해 상기 파쇄기 본체(100)의 내부로 진입 및 외부로 진출 가능하며,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양측벽(302)과, 상기 양측벽(302) 사이에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기록 저장장치(Solid State Drive; 50)가 안착되는 제2돌기부(310)가 형성되는 파쇄블록(305), 상기 파쇄블록(305)의 전면측에 결합되는 결합판(320) 및 상기 파쇄블록(305)의 후면에 근접되고 상기 양측벽(302)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재(306)를 구비한다.
상기 파쇄블록(305)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200)와 대칭되는 형태로 제2돌기부(310)가 상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양측벽(302) 사이에 배치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양측벽(302)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쇄블록(305)과의 간격을 유지하며 기록 저장장치용 착탈 가이드(55)가 위치하도록 여유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단턱부(303)를 더 구비한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양측벽(302)의 높이는 상기 파쇄블록(305)의 제2돌기부(310)의 단부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기록 저장장치(50) 및 착탈 가이드(55)의 좌,우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턱부(303)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측벽(302)의 내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200)의 하강동작시 상기 착탈 가이드(55)가 간섭되지 않도록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1,2돌기부(210,310)는 단면의 폭이 단부를 향해 좁아지는 대략 사각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기록 저장장치(50)가 접촉되는 단부가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2돌기부(210,310) 사이에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요부가 형성되어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결합될 경우, 상기 제1돌기부(210)들이 상기 제2돌기부(310)들 사이의 요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돌기부(310)들이 상기 제1돌기부(210)들 사이의 요부에 각각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손잡이부재(30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면이 상기 양측벽(302)에 볼트로 체결되고, 상기 투입구(105)의 진행방향과 반대편으로 파지손잡이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 상기 파쇄기 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200)의 상승동작시 파괴된 기록 저장장치(50)가 상측으로 딸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부재(5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스톱퍼부재(500)는 도 4에서와 같이, 하단부가 상기 받침판(110)의 상부면에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단부에 상기 투입구(105)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510)가 형성되어 대략 "ㄱ"자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200)의 승강동작을 감지하도록 상기 파쇄기 본체(100)의 내부에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200)의 승강동작을 제어부(미도시)측으로 출력하는 제1,2감지센서(410,420)와, 상기 파쇄기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파쇄용 지그(300)의 투입구(105) 내 진입시 기록 저장장치(50)의 진입을 감지하며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제3감지센서(43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1,2감지센서(410,420)는 상기 유압실린더(120)에 의해 상,하로 승강동작되는 홀더부재(250)의 높이 위치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정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3감지센서(430)는 상기 하측 파쇄용 지그(300)의 제2돌기부(310)에 안착된 기록 저장장치(50)의 진입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판(320)은 상기 제3감지센서(430)의 기록 저장장치(50) 감지동작시 간섭되지 않도록 좌,우측 단부의 높이가 중앙부위의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라운드진 원호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3감지센서(410,420,430)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유압실린더(120) 및 펌프(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저장장치(50)를 하측 파쇄용 지그(300)의 제2돌기부(310) 상측에 안착시킨 후에, 파쇄기 본체(100)의 투입구(105)를 통해 상기 기록 저장장치(50)가 안착된 하측 파쇄용 지그(300)를 파쇄기 본체(100)의 내부로 투입하고, 받침판(110)의 상부에 하측 파쇄용 지그(300)를 안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2,3감지센서(410,420,43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근거로 유압실린더(1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며, 홀더부재(250)를 하강동작시킬 경우, 상기 홀더부재(250)의 하측에 결합된 상측 파쇄용 지그(200)의 제1돌기부(210)가 상기 하측 파쇄용 지그(300)의 제2돌기부(310)들 사이의 요부들 상측으로 하강동작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홀더부재(250)의 하강동작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돌기부(210,310)가 서로 엇갈리게 되지만, 상기 제1,2돌기부(210,310) 사이에 기록 저장장치(5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홀더부재(250)의 하강 압력으로 상기 제1,2돌기부(210,310)가 기록 저장장치(50)의 칩(51)들에 천공 또는 파쇄 충격력을 전달시켜 칩(51)들을 파괴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록 저장장치(50)와 칩(51)들은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120)의 가압력이 홀더부재(250)와 상측 파쇄용 지그(200)를 통해 전달되므로, 크랙 발생으로 파쇄되거나 구멍이 천공됨에 따라 칩(51)의 데이터 정보가 손상되어 복원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기록 저장장치(50)의 파괴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유압실린더(120)의 상승 유압력에 의해 상기 홀더부재(250) 및 상측 파쇄용 지그(200)가 상승동작되면서 상기 하측 파쇄용 지그(300)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상기 기록 저장장치(50)는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200)의 제1돌기부(210)에 꽂히게 될 경우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200)의 상승동작시 같이 상승하게 되더라도, 상기 받침판(110)의 상측면에 마련된 스톱퍼부재(500)의 절곡부(510)에 간섭되면서 하측으로 낙하되어 상기 제1돌기부(210)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측 파쇄용 지그(300)에 단턱부(303)를 더 구비함에 따라, 상기 착탈 가이드(55)가 단턱부(303)의 상측에 배치되므로, 기록 저장장치(50)를 착탈 가이드(55)로부터 분해하여 기록 저장장치(50)를 단독으로 파괴하거나, 기록 저장장치(50)와 착탈 가이드(55)를 분해할 필요없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측 파쇄용 지그(300)의 상측에 안착시킨 상태로 칩(51) 파괴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선택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측 파쇄용 지그(300)의 상측에 기록 저장장치(50)를 안착시키고 유압실린더(120)의 유압력을 이용하여 서로 대칭되는 제1,2돌기부(210,310)가 엇갈리는 방향으로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기록 저장장치(50)의 칩(51)이 천공되거나 파쇄되면서 발생하는 천공 충격력 또는 파쇄 충격력을 전달함으로써, 다수의 제1,2돌기부(210,310)가 서로 엇갈린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칩(51) 배치위치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기록 저장장치(50)의 칩(51)을 파괴할 수 있으며 칩(51)의 데이터 정보를 복원이 불가능하도록 물리적으로 파괴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120)에 의해 승강동작되는 홀더부재(250)의 상승 및 하강동작을 감지하는 제1,2감지센서(410,420)와, 하측 파쇄용 지그(300)에 안착된 기록 저장장치(50)를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430)를 구비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50 : 기록 저장장치(SSD) 51 : 칩
55 : 착탈 가이드 100 : 파쇄기 본체
102 : 바퀴부재 105 : 투입구
110 : 받침판 120 : 유압실린더
130 : 펌프 200 : 상측 파쇄용 지그
210 : 제1돌기부 250 : 홀더부재
300 : 하측 파쇄용 지그 302 : 양측벽
303 : 단턱부 305 : 파쇄블록
306 : 손잡이부재 310 : 제2돌기부
320 : 결합판 410,420,430 : 제1,2,3감지센서

Claims (6)

  1. 일측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투입구(105)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압실린더(120)가 배치되는 파쇄기 본체(100)와;
    상기 파쇄기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20)의 유압력에 의해 상,하로 승강동작되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부(210)가 형성되는 상측 파쇄용 지그(200)와;
    상기 파쇄기 본체(100)의 내부로 진입된 하측 파쇄용 지그(300)가 안착되는 받침판(110); 및
    상기 투입구(105)를 통해 상기 파쇄기 본체(100) 내부로 진입 및 외부로 진출 가능하며, 기록 저장 장치(50;SSD)가 안착되고,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200)의 하강동작시 상기 제1돌기부(210)와 엇갈리게 결합되는 제2돌기부(310)가 형성되는 하측 파쇄용 지그(300); 및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200)의 상승동작시 파괴된 기록 저장장치(50)가 상측으로 딸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받침판(110)의 상부면에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단부에 투입구(105)측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510)가 형성되는 스톱퍼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파쇄용 지그(300)는,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양측벽(302)과, 상기 양측벽(302)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파쇄블록(305)과의 간격을 유지하며 착탈 가이드(55)가 위치하도록 여유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단턱부(303)와, 상기 양측벽(302) 사이에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기록 저장장치(50)가 안착되는 제2돌기부(310)가 형성되는 파쇄블록(305)과, 상기 파쇄블록(305)의 전면측에 결합되고 좌,우측 단부의 높이가 중앙 부위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결합판(320)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측 파쇄용 지그(200,300)의 제1,2돌기부(210,310)는 단면의 폭이 단부를 향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기록 저장장치(50)가 접촉되는 단부가 평면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측 파쇄용 지그(300)는 상기 파쇄블록(305)의 후면에 근접되고 상기 양측벽(302)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재(306)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측벽(302)의 높이는 상기 파쇄블록(305)의 제2돌기부(310)의 단부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돌기부(210,310)의 형태는 사각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200)의 승강동작을 감지하도록 상기 파쇄기 본체(100)의 내부에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상측 파쇄용 지그(200)의 승강동작을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제1,2감지센서(410,420)와,
    상기 파쇄기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파쇄용 지그(300)의 투입구(105) 내 진입시 기록 저장장치(50)의 진입을 감지하며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제3감지센서(43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3감지센서(410,420,430)로부터 인가된 정보 신호를 근거로 유압실린더(120)와 펌프(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
KR1020230024357A 2023-02-23 2023-02-23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 KR102562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357A KR102562662B1 (ko) 2023-02-23 2023-02-23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357A KR102562662B1 (ko) 2023-02-23 2023-02-23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662B1 true KR102562662B1 (ko) 2023-08-03

Family

ID=87567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357A KR102562662B1 (ko) 2023-02-23 2023-02-23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6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8172A (ja) * 2002-10-15 2004-06-03 Yec:Kk ハードディスク破壊装置
KR20060132934A (ko) 2004-03-31 2006-12-22 오리엔토 솟키 콤퓨타 가부시키가이샤 기록매체 파괴장치, 기록매체 파괴 시스템, 전자기기관리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0456507Y1 (ko) 2011-07-12 2011-11-03 주식회사 제이에스코리아 자기기록매체 파괴 천공장치
JP2021057092A (ja) * 2019-09-30 2021-04-08 株式会社創朋 破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8172A (ja) * 2002-10-15 2004-06-03 Yec:Kk ハードディスク破壊装置
KR20060132934A (ko) 2004-03-31 2006-12-22 오리엔토 솟키 콤퓨타 가부시키가이샤 기록매체 파괴장치, 기록매체 파괴 시스템, 전자기기관리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0456507Y1 (ko) 2011-07-12 2011-11-03 주식회사 제이에스코리아 자기기록매체 파괴 천공장치
JP2021057092A (ja) * 2019-09-30 2021-04-08 株式会社創朋 破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28617D1 (de) Datenverarbeitungssystem und Datenverarbeitungsvorrichtung
JP3876203B2 (ja) ハードディスクの破壊装置
TW200606894A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US8763940B2 (en) Media storage physical destruction tool and method
KR102562662B1 (ko) 기록 저장장치용 파괴장치
CN103295638A (zh) 便携式电子存储介质数据擦除装置及基于该装置的数据擦除方法
EP3797869B1 (en) Destruction device
KR200456507Y1 (ko) 자기기록매체 파괴 천공장치
KR101164118B1 (ko) 컴퓨터 자기기록매체 파괴 천공장치
KR101447424B1 (ko) 저장매체 파괴장치
EP1783770A4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215848499U (zh) 一种证件销毁装置
JP2006004600A (ja) 記録媒体破壊装置
JP3108834U (ja) 記録媒体上のデータ破壊装置
CN112757369A (zh) 一种证件销毁装置
JP3244870U (ja) 情報記録媒体破壊装置用のアダプター
JP2006053641A5 (ko)
JP2008023613A (ja) 穿孔装置及び穿孔方法
JP2004158172A (ja) ハードディスク破壊装置
TW200501065A (en) Handling unwritten areas on a storage medium
CN112757370A (zh) 一种本式证件销毁装置
EP1434215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CN206162248U (zh) 一种电子取证工作站
KR20190002654U (ko) 저장매체가이드가 형성된 저장매체 파쇄장치
TW200737139A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recording computer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