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642B1 - Marked double-walled profiled tube apparatus - Google Patents

Marked double-walled profiled tub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642B1
KR102562642B1 KR1020230070196A KR20230070196A KR102562642B1 KR 102562642 B1 KR102562642 B1 KR 102562642B1 KR 1020230070196 A KR1020230070196 A KR 1020230070196A KR 20230070196 A KR20230070196 A KR 20230070196A KR 102562642 B1 KR102562642 B1 KR 102562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opening
hollow
separation distance
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01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영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프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프랜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6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식이 형성된 이중벽관 형상의 프로파일관에 관한 발명으로, 이중벽관이 나선형으로 감기고, 상기 이중벽관의 나선 사이에 이음부재가 접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중벽관은, 합성수지제로 형성되어 설정길이만큼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튜브관; 상기 튜브관의 상기 중공을 이분하여 제1 중공과 제2 중공을 형성하는 분리부; 상기 튜브관의 일측면에 제1 설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 수개의 제1 개구; 상기 튜브관의 타측면에 제1 설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 수개의 제2 개구;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1 중공의 일부를 차폐하는 복 수개의 제1 충진부; 및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2 중공의 일부를 차폐하는 복 수개의 제2 충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튜브관 연장길이 방향으로 이격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이격거리는 제1 이격거리 및 상기 제1 이격거리보다 긴 제2 이격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격거리 및 상기 제2 이격거리의 합은 상기 제1 설정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ked double-walled pipe-shaped profile pipe, wherein the double-walled pipe is spirally wound, and a joint member is joined between the spirals of the double-walled pipe, and the double-walled pipe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set length. A tube tube extending as much as and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a separating unit dividing the hollow of the tube into two to form a first hollow and a second hollow;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formed on one side of the tube to be spaced apart at a first set interval;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first set interval on the other side of the tube; a plurality of first filling parts flowing in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shielding a part of the first hollow; and a plurality of second filling parts flowing in through the second opening and shielding a part of the second hollow, wherei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spaced apart by a distance in the tube tube extension direction, The separation distance includes a first separation distance and a second separation distance longer than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and the sum of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and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is the first set interval.

Description

표식이 형성된 이중벽관 형상의 프로파일관 {MARKED DOUBLE-WALLED PROFILED TUBE APPARATUS}Marked double-walled profile tube {MARKED DOUBLE-WALLED PROFILED TUBE APPARATUS}

본 발명은 외부에 표식이 형성되고 표식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충진부에 의한 기밀이 이루어져 시공이 간편하고 기밀성이 높은 이중벽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walled pipe having a mark formed on the outside and airtightness by a filling 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ased on the mark, so that the construction is simple and the airtightness is high.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관(이하 '프로파일관'이라 함)은 도로 등의 측구관이나 지하배수관, 농업용으로서의 관개용 수로나 농업용 수로, 생활 하수관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PE 튜브를 나선형으로 감고, 그 사이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압출의 방식으로 하여 PE 튜브를 접착고정시켜 프로파일관으로 제조하고 있다.In general, polyethylene pi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file pipe') is used for gutter pipes such as roads, underground drainage pipes, agricultural irrigation waterways, agricultural waterways, domestic sewage pipes, etc. The resin is extruded and the PE tube is adhesively fixed to produce a profile tube.

프로파일관은 지중에 매설되어 사용되므로, 지압이나 내부로 흐르는 수압 등에 영향을 받으므로, 이를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는 PE 튜브의 내부에 상하좌우로 가로지르는 '+' 형상의 지지대가 PE튜브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외력을 지지하는 작용을 하였다. 그리고 폴리에틸렌 이음부재(이하 'PE 이음부재'라함)의 형상을 형강의 구조와 같이하여 이음과 동시에 강성을 가지도록 하였다.Since the profile pipe is buried in the ground and used, it is affected by acupressure or water pressure flowing into the inside, so rigidity capable of supporting it is required.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case, a '+'-shaped support that crosse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side the PE tube is formed long along the PE tube to support the external force.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polyethylene joint me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E joint member') was made to have rigidity at the same time as the joint by making it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section steel.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제조상의 어려움과 사용 중에 PE 이음재가 PE 튜브와 이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PE 튜브를 제조하기 위하여는 PE를 압출하면서 수냉으로 냉각을 시키게 되는데, 프로파일 내부에 형성된 '+'자 형상의 지지대가 튜브의 외측벽의 냉각보다 더디게 이루어짐으로써 제조가 번거롭고 냉각의 속도 차이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하여 전체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PE 이음재의 경우는 PE 튜브와의 접촉면적이 적어서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 structure, difficulties in manufacturing and problems in that the PE joint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PE tube occurred during use. That is, in order to manufacture a PE tube, PE is extruded and cooled by water cooling. The '+' shaped support formed inside the profile is slower than the cooling of the outer wall of the tube, which makes manufacturing cumbersome and due to the difference in cooling speed There was a problem such as deterioration of overall quality due to deformation, and in the case of the PE join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PE tube was small, so it was easily dropped.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내부에 이중벽관을 가진 프로파일관을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선행문헌은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다. So,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 profile tube having a double wall tube inside, and these prior documents are as shown below.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출원번호 10-2020-0038862 (프로파일의 빈 공간에 밀폐벽이 형성되는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제조방법)Patent Application No. 10-2020-0038862 (Method of manufacturing a synthetic resin profile tube in which a sealing wall is formed in the empty space of the profile)

이러한 프로파일관의 경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PE 튜브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자 형상의 지지대가 아닌 ‘I’자 형상의 분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로파일관 내부에는 좌우의 구멍에 각각 충진부가 형성되어 프로파일관을 접합시킨 경우 이음이 효율적으로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case of such a profile tube, a PE tube with a hollow inside is formed in a spiral shape, and an 'I' shaped separation part is formed inside, not a '+' shaped support. In addition, inside the profile pipe, filling parts ar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holes, respectively, so that when the profile pipe is joined, a joint is efficiently formed.

그런데 종래에 자사에서 개발한 프로파일관은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profile pipe developed by the company in the pas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우선, 종래에는 프로파일관을 형성하는 이중벽관의 튜브관 양 측면에 형성된 개구가 동일한 선상, 즉 동일위치에 배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양 중공에서 서로 이격되지 않은 동일한 선상위치에 충진부가 충진됨에 따라 충진부 간의 전후 이격거리가 너무 길어서 프로파일관을 절단하는 공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활용이 원활하게 되지 않거나, 프로파일관을 서로 접합시키는 과정에서 충진부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물이 외부로 새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개발 당시에는 문제가 해결된 것으로 판단하였지만 실제 제품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민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First of all, since the opening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ube tube of the double wall tube forming the profile tube conventionally were arranged on the same line, that is, at the same position, the filling part is filled at the same position on the same line that is no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both hollows. If the process of cutting the profile tube is necessary because the front and rear separation distance is too long, the utilization is not smooth, or the water leaks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filling parts in the process of bonding the profile tubes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at the time of development, it was determined that the problem was solved, but in the process of actually manufacturing and using the product, the above problems continuously occur, resulting in civil complaints.

또한, 프로파일관은 일반적으로 규격화된 지름과 길이로 제조되기 때문에 시공현장에서 실제로 사용되기 위한 길이에 적합하게 절단하여 서로 접합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의 프로파일관은 시공자가 절단위치를 임의로 결정함에 따라 절단 위치에 따라서는 내부의 충진부의 효과(외부로의 물샘이나 접합강도 향상)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In addition, since profile tubes are generally manufactured with standardized diameters and lengths, they are often cut to fit the length for actual use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joined together for use. In the case of conventional profile tubes, the constructor arbitrarily determines the cutting position. As a result, depending on the cutting position, the effect of the filling part on the inside (water leakage to the outside or improvement of joint strength) was reduced.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제품을 개량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conventional product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에 충진부가 이중벽관의 연장길이를 따라 이격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외부에 표식부가 형성된 이중벽관 형상의 프로파일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file tube in the shape of a double wall tube in which a filling part is formed in a zigzag shape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extension length of the double wall tube and at the same time a mark is formed on the outside.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식이 형성된 이중벽관 형상의 프로파일관은 이중벽관이 나선형으로 감기고, 상기 이중벽관의 나선 사이에 이음부재가 접합 되고, 상기 이중벽관은, 합성수지제로 형성되어 설정길이만큼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튜브관; 상기 튜브관의 상기 중공을 이분하여 제1 중공과 제2 중공을 형성하는 분리부; 상기 튜브관의 일측면에 제1 설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 수개의 제1 개구; 상기 튜브관의 타측면에 제1 설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 수개의 제2 개구;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1 중공의 일부를 차폐하는 복 수개의 제1 충진부; 및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2 중공의 일부를 차폐하는 복 수개의 제2 충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튜브관 연장길이 방향으로 이격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이격거리는 제1 이격거리 및 상기 제1 이격거리보다 긴 제2 이격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격거리 및 상기 제2 이격거리의 합은 상기 제1 설정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rked double-walled pipe-shaped profile pipe, the double-walled pipe is spirally wound, a joint member is joined between the spirals of the double-walled pipe, and the double-walled pipe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set length. A tube tube that is extended and has a hollow inside; a separating unit dividing the hollow of the tube into two to form a first hollow and a second hollow;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formed on one side of the tube to be spaced apart at a first set interval;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first set interval on the other side of the tube; a plurality of first filling parts flowing in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shielding a part of the first hollow; and a plurality of second filling parts flowing in through the second opening and shielding a part of the second hollow, wherei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spaced apart by a distance in the tube tube extension direction, The separation distance includes a first separation distance and a second separation distance longer than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and the sum of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and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is the first set interval.

또한, 상기 이중벽관은, 상기 제1 개구가 형성된 상기 튜브관과 상기 이음부재의 접합면인 제1 접합면에 형성되는 제1 표식부; 및 상기 제2 개구가 형성된 상기 튜브관의 상기 이음부재의 접합면인 제2 접합면에 형성되는 제2 표식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제1 표식부 및 상기 제2 표식부를 확인하여 절단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ouble-walled pipe, the first mark portion formed on the first joint surface of the joint member and the tube pipe formed with the first opening formed; And a second mark formed on a second joint surface that is a joint surface of the joint member of the tube pipe in which the second opening is formed, and the user checks the first mark portion and the second mark portion so that the cutting is performed. characterized as possible.

또한, 상기 제1 표식부는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이음부재가 제1 설정시간 내에 제1 설정온도에서 접합되면서 형성되고, 상기 제2 표식부는 상기 제2 충진부와 상기 이음부재가 제1 설정시간 내에 제1 설정온도에서 접합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mark part is formed by bonding the first filling part and the joint member at a first set temperature within a first set time, and the second mark part is formed when the second filling part and the joint member are first s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hile being bonded at the first set temperature within time.

또한, 상기 제1 표식부는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이음부재 접합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표식부는 상기 제2 충진부와 상기 이음부재 접합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mark portion is disposed at a bonding position between the first filling part and the joint member, and the second mark unit is disposed at a bonding position between the second filling part and the joint memb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식이 형성된 이중벽관 형상의 프로파일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marked double-walled tube-shaped profile tub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우선 프로파일관을 형성하는 이중벽관의 튜브관에 제1 중공 및 제2 중공이 좌우로 이분되어 배치되고, 제1 중공과 제2 중공 각각에 제1 충진부와 제2 충진부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서로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된 종래의 프로파일관에 비해 접합효과가 더 뛰어날 뿐만 아니라 수밀효과 역시 뛰어난 효과가 있다.First, the first hollow and the second hollow are bisected left and right in the tube tube of the double-walled tube forming the profile tube, and the first filling part and the second filling part are spaced a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each of the first hollow and the second hollow By being arranged, not only the bonding effect is more excellent than the conventional profile pip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each other, but also the watertight effect is also excellent.

또한, 시공현장에서 시공자가 원하는 길이 단위로 프로파일관을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 외부에 형성된 제1 표식부 및 제2 표식부를 기초로 절단이 가능하고, 상세히는 제1 표식부와 제2 표식부 사이를 절단할 수 있고, 이렇게 절단된 프로파일관은 종래의 프로파일관에 비해 절단 후의 접합효과나 수밀효과가 미절단 상태와 동일할 정도로 뛰어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structor wants to cut the profile tube in units of desired length at the construction site, it is possible to cut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markings formed outside, and in detai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rkings. can be cut, and the profile tube cut in this way has an excellent effect to the extent that the bonding effect or watertight effect after cutting is the same as that of the uncut stat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rofile tube.

즉, 시공현장에서 절단위치를 임의로 할 필요가 없이 표식부에 의해 형성된 곳을 절단함에 따라 가이드가 형성되어 손쉽게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re is an effect of easily checking the position by forming a guide by cutting the place formed by the marker without the need to arbitrarily set the cutting posi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식이 형성된 이중벽관 형태의 프로파일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식이 형성된 이중벽관 형태의 프로파일관의 구조 중 이중벽관이 나선형으로 감기기 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식이 형성된 이중벽관 형태의 프로파일관의 구조 중 이중벽관이 나선형으로 감기기 전의 상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식이 형성된 이중벽관 형태의 프로파일관을 제조하는 제조공정을 도시한 순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file tube in the form of a double wall tube with mark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of a marked double-walled profil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double-walled tube is spirally wound;
Figure 3 is a top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profile pipe in the form of a double wall pipe with a ma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double wall pipe is spirally wound.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rofile pipe in the form of a double-walled pipe formed with a ma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s or method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중벽관(110)으로 형성된 프로파일관(100)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프로파일관(100)을 간략하게 “프로파일관(100)”으로 호칭하기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file tube 100 formed of a double wall tube 110, and hereinafter, such a profile tube 100 will be simply referred to as “profile tube 100”.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식이 형성된 이중벽관(110) 형태의 프로파일관(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식이 형성된 이중벽관(110) 형태의 프로파일관(100)의 구조 중 이중벽관(110)이 나선형으로 감기기 전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식이 형성된 이중벽관(110) 형태의 프로파일관(100)의 구조 중 이중벽관(110)이 나선형으로 감기기 전의 상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식이 형성된 이중벽관(110) 형태의 프로파일관(100)을 제조하는 제조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file tube 100 in the form of a double wall tube 110 with a ma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rofile in the form of a double wall tube 110 with a ma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pipe 100 before the double wall pipe 110 is spirally wound, and FIG. 110 is a top view before being spirally wound, and FIG. 4 is a flow chart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rofile pipe 100 in the form of a double wall pipe 110 with a ma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관(110)으로 형성된 프로파일관(100)은 이중벽관(110)이 나선형으로 감긴 상태에서 이중벽관(110)의 틈, 즉 나선형으로 형성된 틈 사이에 이음부재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프로파일관(100)은 일자로 연장된 관 형태로 내부에 분리부(112)가 형성되어 2개의 중공이 형성된 이중벽관(110)과, 이중벽관(110)이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접합되어 큰 원통형상의 관을 형성하기 위한 접합력을 제공하는 이음주배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profile pipe 100 formed of the double wall pipe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p of the double wall pipe 110 in a state where the double wall pipe 110 is spirally wound, that is, the spiral It is a configuration formed by joining a joint member between the gaps formed by. That is, the profile tube 100 is a double-walled tube 110 in which a separation part 112 is formed inside and two hollows are formed in the form of a tube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nd the double-walled tube 110 is joined while being spirally wound to form a large It may include a joint that provides bonding force to form a cylindrical tube.

이중벽관(110)은 합성수지제로 형성되어 설정길이만큼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튜브관(111)과, 튜브관(111) 내측에서 튜브관(111)의 연장방향으로 중공을 이분하여 제1 중공(110a)과 제2 중공(110b)을 형성시키는 분리부(112)과, 튜브관(111)의 일 측면에서 서로 제1 설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 수개의 제1 개구(113), 튜브관(111)의 일 측면에서 서로 제2 설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 수개의 제2 개구(114), 제1 개구(113)를 통해 유입되어 제1 중공(110a)의 일부를 차폐하는 복 수개의 제1 충진부(115) 및 제2 개구(114)를 통해 유입되어 제2 중공(110b)의 일부를 차폐하는 복 수개의 제2 충진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ouble-walled tube 110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extends by a set length and has a hollow inside the tube tube 111, and the tube tube 111 is divided into two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ube tube 111 to form a first hollow tube. (110a) and the separation part 112 forming the second hollow (110b),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113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first set interval on one side of the tube tube 111, the tube tube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114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second set interval on one side of 111 and flowing in through the first opening 113 to shield a portion of the first hollow 110a.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filling parts 116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filling part 115 and the second opening 114 and shielding a part of the second hollow 110b.

튜브관(111)은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튜브 형태의 관일 수 있다. 튜브관(111)은 일 방향으로 설정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고, 이 경우 설정길이는 사용자가 공급하기 위해 제조할 프로파일관(100)의 길이 단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튜브관(111)에 형성된 중공 역시 일 방향으로 설정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튜브관(111)에 사용되는 합성수지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또는 폴리에틸렌(PE)을 원재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tube tube 111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may be a tube-shaped tube having a hollow inside. The tube tube 111 may be extended by a set length in one direction, and in this case, the set length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unit of the profile tube 100 to be manufactured to be suppli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hollow formed in the tube tube 111 may also extend in one direction by a set length. The synthetic resin used in the tube 111 may utilize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or polyethylene (PE) as a raw material, which is a well-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분리부(112)는 튜브관(111) 내측의 중공에 배치되어 중공을 제1 중공(110a)과 제2 중공(110b)으로 이분하는 구성이다. 상세히, 분리부(112)는 튜브관(111)의 중공의 중심에서 상하 방향으로 벽 형태로 형성되고 그 연장길이는 튜브관(111)에 형성된 중공의 연장길이인 설정길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중공(110a)과 제2 중공(110b)은 튜브관(111)을 기초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대칭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중공(110a) 및 제2 중공(110b) 역시 설정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paration unit 112 is disposed in the hollow inside the tube tube 111 and divides the hollow into a first hollow 110a and a second hollow 110b. In detail, the separation unit 112 is formed in a wall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hollow of the tube tube 111, and its extension length may be a set length that is the extension length of the hollow formed in the tube tube 111. In this case, the first hollow 110a and the second hollow 110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tube tube 111 and disposed in a symmetrical shape, and accordingly, the first hollow 110a and the second hollow The second hollow (110b) may also be configured to have a set length.

제1 개구(113)는 튜브관(111)의 일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와 제1 중공(110a)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제1 개구(113)를 통해 후술할 제1 충진부(115)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113)는 튜브관(111)의 일 측면에서 연장방향으로 제1 설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 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설정간격을 L1으로 정의한다.The first opening 113 is a means for passing through one side of the tube tube 111 so that the outside and the first hollow 110a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first filling part 115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13 .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113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tube tube 111 at a first set interval in an extension direction. In this case, the first set interval is defined as L1.

제2 개구(114)는 튜브관(111)의 타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와 제2 중공(110b)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제2 개구(114)를 통해 후술할 제2 충진부(116)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개구(114)는 튜브관(111)의 타 측면에서 연장방향으로 제1 설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 수개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opening 114 is a means through which the outside and the second hollow 110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penetrating the other side of the tube 111 . A second filling part 116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114 .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114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tube pipe 111 at a first set interval in an extension direction.

또한, 제1 개구(113)와 제2 개구(114) 사이는 설정된 개구이격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세히, 제1 개구(113)와 제2 개구(114)가 튜브관(111)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이격거리는 제1 개구(113)와 제2 개구(114)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제1 개구(113)이격거리와,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제2 개구(114)이격거리로 나누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개구(113)이격거리는 L2, 제2 개구(114)이격거리는 L3로 정의한다. 또한, 제1 개구(113)이격거리와 제2 개구(114)이격거리의 합은 제1 설정간격과 동일한 거리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second opening 114 may be spaced apart by a set opening distance. In detail,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second opening 11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ube tube 111.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second opening 114 is relatively It can be divided into a short distance between the first openings 113 and a relatively long distance between the second openings 114 . 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openings 113 is defined as L2,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openings 114 is defined as L3. Also, the sum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openings 114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set distance.

즉, 제1 개구(113)이격거리에 비해 제2 개구(114)이격거리가 더 긴 거리를 의미하고, 제1 개구(113) 및 제2 개구(114)는 튜브관(111)의 양 측면에서 동일한 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연장방향으로 이격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교차되어 배치됨으로써 후술할 제1 충진부(115) 및 제2 충진부(116)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That i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openings 114 is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openings 113, and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second opening 11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ube tube 111. The first filling part 115 and the second filling part 11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not be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each other by being intersect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extending direction instead of being disposed on the same line.

제1 충진부(115)는 제1 개구(113)와 분리부(11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개구(113)를 막음과 동시에 제1 중공(110a)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제1 충진부(115)는 튜브관(111)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고, 제1 개구(113)를 통해 제1 중공(110a)으로 제1 설정시간동안 유입될 수 있다.The first filling part 115 is a means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separation part 112 to block the first opening 113 and at the same time shield a part of the first hollow 110a. In detail, the first filling part 115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ube tube 111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hollow 110a through the first opening 113 for a first set time.

제2 충진부(116)는 제2 개구(114)와 분리부(112) 사이에 배치되어 제2 개구(114)를 막음과 동시에 제2 중공(110b)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제2 충진부(116)는 튜브관(111)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고, 제2 개구(114)를 통해 제2 중공(110b)으로 제2 설정시간동안 유입될 수 있다.The second filling part 116 is a means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opening 114 and the separation part 112 to block the second opening 114 and at the same time shield a part of the second hollow 110b. In detail, the second filling part 116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ube tube 111,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hollow 110b through the second opening 114 for a second set time.

또한, 이중벽관(110)은 프로파일관(100)의 외부에서 표식으로 형성되는 제1 표식부와 제2 표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제1 표식부는 제1 개구(113)가 형성된 튜브관(111)과 이음부재의 접합면인 제1 접합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표식부는 제2 개구(114)가 형성된 튜브관(111)과 이음부재의 접합면인 제2 접합면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1 표식부 및 제2 표식부는 제1 충진부(115) 및 제2 충진부(116)와 이음부재 간의 접합 과정에서 형성되는 표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표식부와 제2 표식부를 통해 튜브관(111) 내의 중공을 차폐하는 제1 충진부(115) 및 제2 충진부(116)의 위치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ouble wall tube 1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ark and a second mark formed as marks on the outside of the profile tube 100. In detail, the first mark is a tube having a first opening 113 formed therein. It may be formed on the first joint surface, which is the joint surface of the tube 111 and the joint member, and the second marking unit is formed on the second joint surface, which is the joint surface of the tube pipe 111 and the joint member, in which the second opening 114 is formed. can be form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marking portion and the second marking portion may be formed by a mark formed in a bonding process between the first filling part 115 and the second filling part 116 and the joint member, and accordingly, the user There is an effect of clearly confirm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filling part 115 and the second filling part 116 for shielding the hollow in the tube tube 111 through the marking part and the second marking part.

상세히, 제1 표식부는 제1 충진부(115)와 이음부재의 접합이 기 설정된 접합시간동안 기 설정된 접합온도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형성되고, 제2 표식부는 제2 충진부(116)와 이음부재의 접합이 기 설정된 접합시간동안 기 설정된 접합온도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mark unit is formed as the bonding between the first filling part 115 and the joint member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bonding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bonding time, and the second mark unit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filling part 116 and the joint member. It may be formed as bonding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bonding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bonding time.

또한, 제1 표식부와 제2 표식부 사이의 표식이격거리는 제1 개구(113)와 제2 개구(114) 사이의 개구이격거리에 비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표식이격거리는 제1 개구(113)이격거리에 비례한 제1 표식이격거리와 제2 개구(114)이격거리에 비례한 제2 표식이격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1 표식부와 제2 표식부는 제1 개구(113)와 제2 개구(114)를 통해 설정시간동안 주입된 제1 충진부(115) 및 제2 충진부(116)와 이음부재의 접합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mark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mark portion and the second mark portion may be formed in proportion to the opening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second opening 114 . In detail, the mark separation distance may include a first mark separation distance proportional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openings 113 and a second mark separation distance proportional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openings 114 . This is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marking parts are bonded to the first filling part 115 and the second filling part 116 injected for a set time through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second opening 114 and the joint member. because it is formed by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관(100)이 제조되는 공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Below,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rofile tub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프로파일관(100)의 주요 메인 구성인 이중벽관(110)을 제조하기 위해서 1차적으로 내부에 제1 중공(110a) 및 제2 중공(110b)을 위한 분리부(112)가 형성된 튜브관(111)을 제조한다. 튜브관(111)의 제조를 위해 용융온도에서 폴리에틸렌을 용융시킨 후 해당 온도에서 중공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을 통과시키고 이 후 냉각조를 통해 냉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내부에 분리부(112)가 형성된 튜브관(111)이 제조될 수 있다.First, in order to manufacture the double wall tube 110, which is the main main component of the profile tube 100, the tube tube having the separation part 112 for the first hollow 110a and the second hollow 110b formed therein ( 111) is prepared. After melting polyethylene at the melting temperature for the manufacture of the tube pipe 111, it passes through a mold for forming a hollow at that temperature, and then it can be cooled through a cooling bath, through which the separator 112 is formed inside. A formed tube tube 111 may be manufactured.

튜브관(111)은 냉각된 후, 개구형성을 위해 제1 속도로 이송될 수 있고, 튜브관(111) 양 측면쪽에는 각각 제1 개구(113)와 제2 개구(114)를 형성하기 위한 드릴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개구(113)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드릴과 제2 개구(114)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드릴은 제1 개구(113)이격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튜브관(111)이 제1 속도로 이송된 상태에서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이송이 정지될 수 있고 그 동안 제1 드릴과 제2 드릴이 튜브관(111)의 양 측면에 제1 개구(113)와 제2 개구(114)를 각각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개구(113) 및 제2 개구(114)가 제1 개구(113)이격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After the tube tube 111 is cooled, it can be transported at a first speed for forming an opening, and on both side sides of the tube tube 111 for forming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second opening 114, respectively. A drill may be placed. In this case, the first drill for forming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second drill for forming the second opening 114 may be spaced apart by the first opening 113 distance. In the state in which the tube pipe 111 is conveyed at the first speed, the conveyance may be stopped to form the opening, and in the meantime, the first drill and the second drill have a first opening 113 on both sides of the tube pipe 111 And the second opening 114 may be formed, respectively, and accordingly,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second opening 114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second opening 114 .

드릴의 후측에는 제1 충진부(115)와 제2 충진부(116)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제1 충진부(115)와 제2 충진부(116)는 제1 개구(113)이격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A filler for filling the first filling part 115 and the second filling part 116 may be disposed at the rear side of the drill. In detail, the first filling part 115 and the second filling part 116 may be spaced apart by the first opening 113 distance.

이 후 튜브관(111)은 제1 속도로 다시 이송될 수 있고, 충진부의 충진을 위해 이송이 정지될 수 있다. 이 때, 제1 충진부(115) 및 제2 충진부(116)는 각각 제1 개구(113) 및 제2 개구(114)에 삽입되어 제1 중공(110a) 및 제2 중공(110b)으로 충진시간동안 제1 충진부(115) 및 제2 충진부(116)를 각각 충진시킬 수 있다. 즉, 제1 충진부(115) 및 제2 충진부(116)는 각각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1 이격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reafter, the tube tube 111 may be transported again at the first speed, and transport may be stopped for filling the filling unit. At this time, the first filling part 115 and the second filling part 116 are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second opening 114, respectively, to the first hollow 110a and the second hollow 110b. During the filling time, the first filling part 115 and the second filling part 116 may be respectively filled. That is, the first filling part 115 and the second filling part 116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first separation distance based on the center.

이 후 튜브관(111)은 이미 형성된 제2 개구(114)와 제2 개구(114)이격거리만큼 이격되는 거리만큼 제1 속도로 이송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음에 형성되는 제1 개구(113)와 기형성된 제2 개구(114) 사이는 제2 개구(114)이격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즉, 전측의 튜브관(111)은 제1 개구(113) 및 제2 개구(114)에 제1 충진부(115) 및 제2 충진부(116)가 충진된 상태로 전방으로 이송될 수 있고, 후측의 튜브관(111)에는 새롭게 제1 개구(113) 및 제2 개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Thereafter, the tube tube 111 may be transported at a first speed as much as the distance between the already formed second opening 114 and the second opening 114, and accordingly, the first opening 113 formed next ) and the preformed second opening 114 may be spaced apart by the second opening 114 separation distance. That is, the front tube tube 111 can be transported forwar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second opening 114 are filled with the first filling part 115 and the second filling part 116, ,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second opening 114 may be newly formed in the tube tube 111 on the rear side.

또한, 이미 제1 충진부(115) 및 제2 충진부(116)가 형성된 튜브관(111) 전측은 튜브관(111)을 나선으로 감으면서 이음부재를 도포하여 누름으로써 접착시키고, 이 후 냉각을 수행하는 접합장치로 이송될 수 있다. 상세히, 접합장치는 튜브관(111)이 나선으로 감기기 위한 원통형상의 롤부를 제공하고, 튜브관(111)이 나선형으로 감기는 과정에서 튜브관(111)의 측면 사이의 공간에 이음부재를 접합온도에서 접합시간동안 도포하여 압력을 가해준 뒤 냉각온도에서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side of the tube pipe 111, on which the first filling part 115 and the second filling part 116 are already formed, is bonded by applying and pressing a joint member while winding the tube pipe 111 in a spiral, and then cooling. It can be transferred to a bonding device that performs In detail, the bonding device provides a cylindrical roll portion for spirally winding the tube tube 111, and attaches a joint member to the space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tube tube 111 in the process of spirally winding the tube tube 111. After applying pressure during the bonding time, cooling can be performed at the cooling temperature.

이 경우, 튜브관(111)의 측면에 도포된 이음부재는 접합온도에서 용융되어 접합시간동안 도포되어 압력이 가해지면서 어느정도의 연성을 가지면서 온도가 높아질 수 있고, 이로인해 튜브관(111)의 제1 개구(113) 및 제2 개구(114)에 충진된 제1 충진부(115) 및 제2 충진부(116)가 일부 용융될 수 있고, 용융과정에 의해 제1 충진부(115) 및 제2 충진부(116)의 부피가 팽창하면서 제1 개구(113) 및 제2 개구(114)가 형성된 튜브관(111) 벽면부분이 팽창될 수 있고, 이음부재는 튜브관(111)의 벽면부분 팽창에 의해 일부가 밀려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joint member applied to the side of the tube tube 111 is melted at the bonding temperature and applied during the bonding time, and as pressure is applied, the temperature can be increased while having some ductility, and thereby the tube tube 111 The first filling part 115 and the second filling part 116 filled in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second opening 114 may be partially melted, and the first filling part 115 and As the volume of the second filling part 116 expands, the wall portion of the tube tube 111 in which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second opening 114 are formed can expand, and the joint member is the wall surface of the tube tube 111. Some may be pushed out by partial expansion.

이 후 냉각온도에서 냉각을 수행시키는 과정에서 용융된 제1 충진부(115) 및 제2 충진부(116)의 팽창에 의해 팽창된 튜브관(111)이 이음부재를 밀어낸 상태로 냉각될 수 있고, 이로 이해 팽창된 튜브관(111)과 이음부재의 팽창과 밀림에 의해 프로파일관(100)에는 표식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reafter, in the process of cooling at the cooling temperature, the expanded tube 111 by the expansion of the melted first filling part 115 and the second filling part 116 can be cooled while pushing the joint member. As a result, a mark may be formed on the profile pipe 100 by the expansion and pushing of the expanded tube pipe 111 and the joint member.

여기서 접합온도는 제1 충진부(115) 및 제2 충진부(116)의 용융이 일어날 수 있는 시작온도일 수 있고, 접합시간은 이음부재 도포 후 압력을 가한 시간으로부터 제1 충진부(115) 및 제2 충진부(116)의 용융이 일어난 상태에서 표식이 형성되기 위한 최소시간이 지난 시간일 수 있다.Here, the bonding temperature may be a starting temperature at which melting of the first filling part 115 and the second filling part 116 may occur, and the bonding time is the first filling part 115 from the time when pressure is applied after application of the joint member And it may be a time after a minimum time for forming a mark in a state in which melting of the second filling part 116 has occurred.

즉, 제1 개구(113)가 형성된 튜브관(111)과 이음부재의 접합면에는 제1 표식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개구(114)가 형성된 튜브관(111)과 이음부재의 접합면에는 제2 표식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a first mark may be formed on the joint surface of the tube tube 111 having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 joint member, and the joint surface of the tube tube 111 having the second opening 114 and the joint member. A second marker may be formed.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식이 형성된 이중벽관(110) 형상의 프로파일관(100)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ofile pipe 100 in the shape of a double wall pipe 110 with a ma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프로파일관 110 : 이중벽관
110a : 제1 중공 110b : 제2 중공
111 : 튜브관 112 : 분리부
113 : 제1 개구 114 : 제2 개구
115 : 제1 충진부 116 : 제2 충진부
100: profile pipe 110: double wall pipe
110a: first hollow 110b: second hollow
111: tube pipe 112: separation unit
113: first opening 114: second opening
115: first filling part 116: second filling part

Claims (3)

이중벽관이 나선형으로 감기고, 상기 이중벽관의 나선 사이에 이음부재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프로파일관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관은,
합성수지제로 형성되어 설정길이만큼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튜브관;
상기 튜브관의 상기 중공을 이분하여 제1 중공과 제2 중공을 형성하는 분리부;
상기 튜브관의 일측면에 제1 설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 수개의 제1 개구;
상기 튜브관의 타측면에 제1 설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 수개의 제2 개구;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1 중공의 일부를 차폐하는 복 수개의 제1 충진부;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2 중공의 일부를 차폐하는 복 수개의 제2 충진부;
상기 제1 개구가 형성된 상기 튜브관과 상기 이음부재의 접합면인 제1 접합면에 형성되는 제1 표식부; 및
상기 제2 개구가 형성된 상기 튜브관의 상기 이음부재의 접합면인 제2 접합면에 형성되는 제2 표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튜브관 연장길이 방향으로 이격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이격거리는 제1 이격거리 및 상기 제1 이격거리보다 긴 제2 이격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설정간격은 상기 제1 이격거리 및 상기 제2 이격거리의 합이며,
상기 제1 표식부 및 상기 제2 표식부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절단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식이 형성된 이중벽관 형상의 프로파일관.
In a profile pipe formed by spirally winding a double wall pipe and joining a joint member between the spirals of the double wall pipe,
The double wall pipe,
A tube made of synthetic resin, extended by a set length, and having a hollow inside;
a separating unit dividing the hollow of the tube into two to form a first hollow and a second hollow;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formed on one side of the tube to be spaced apart at a first set interval;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first set interval on the other side of the tube;
a plurality of first filling parts flowing in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shielding a part of the first hollow;
a plurality of second filling parts flowing in through the second opening and shielding a part of the second hollow;
a first mark portion formed on a first joint surface, which is a joint surface between the tube pipe and the joint member in which the first opening is formed; and
And a second mark formed on a second joint surface that is a joint surface of the joint member of the tube tube in which the second opening is formed,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eparation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the extension of the tube tube, the separation distance including a first separation distance and a second separation distance longer than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The first set interval is the sum of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and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A profile tube in the shape of a double-walled tube with a mark,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cut by checking the first mark and the second ma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식부는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이음부재가 기설정된 접합시간 내에 기설정된 접합온도에서 접합되면서 형성되고,
상기 제2 표식부는 상기 제2 충진부와 상기 이음부재가 상기 접합시간 내에 상기 접합온도에서 접합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식이 형성된 이중벽관 형상의 프로파일관.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arking part is formed while the first filling part and the joint member are bonded at a predetermined bonding temperature within a predetermined bonding time,
The second marked portion is formed while the second filling part and the joint member are bonded at the bonding temperature within the bonding ti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식부는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이음부재 접합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표식부는 상기 제2 충진부와 상기 이음부재 접합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식이 형성된 이중벽관 형상의 프로파일관.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mark part is disposed at the junction position of the first filling part and the joint member, and the second mark part is disposed at the junction position between the second filling part and the joint member. profile pipe.
KR1020230070196A 2023-03-07 2023-05-31 Marked double-walled profiled tube apparatus KR10256264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0009 2023-03-07
KR20230030009 2023-03-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642B1 true KR102562642B1 (en) 2023-08-02

Family

ID=87566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0196A KR102562642B1 (en) 2023-03-07 2023-05-31 Marked double-walled profiled tub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64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928A (en) * 2003-11-17 2003-12-03 유옥수 Method for quickly manufacturing synthetic resin pipe and synthetic resin pipe thereby
KR100871645B1 (en) * 2008-03-19 2008-12-02 일우산업 주식회사 A plastic pipe with double fly wal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151266B1 (en) * 2011-10-24 2012-06-14 일우산업 주식회사 Pipe reinforced with steel in it
KR102347912B1 (en) * 2021-08-11 2022-01-06 주식회사 파이프랜드 Synthetic resin profile pipe manufacturing method in which a sealing wall is formed in the empty space of the profile using a fill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928A (en) * 2003-11-17 2003-12-03 유옥수 Method for quickly manufacturing synthetic resin pipe and synthetic resin pipe thereby
KR100871645B1 (en) * 2008-03-19 2008-12-02 일우산업 주식회사 A plastic pipe with double fly wal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151266B1 (en) * 2011-10-24 2012-06-14 일우산업 주식회사 Pipe reinforced with steel in it
KR102347912B1 (en) * 2021-08-11 2022-01-06 주식회사 파이프랜드 Synthetic resin profile pipe manufacturing method in which a sealing wall is formed in the empty space of the profile using a fill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2642B1 (en) Marked double-walled profiled tube apparatus
US10428978B2 (en) Webless corrugated dual wall foundation drain and related method
CZ125093A3 (en) Bundle of conduits for cable lines containing plastic conduit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KR100904550B1 (en) The dc pipe which has the spatial reinforcement unit and the formation method
KR101901751B1 (en) Hollow barrier type multi-wall sewer for water tightness maintenance
KR102244388B1 (en) Filling block type sewer pipe and molding device for maintaining watertightness and improving rigidit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210857187U (en) I-shaped GFRP-I-shaped steel joint structure and splicing cage for underground continuous wall
KR10048404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insulating pipes
KR10057900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piral pipe
KR100337982B1 (en) Manufacturing device of high strength spiral pipe
JPH06180023A (en) Osmos tube
KR100730636B1 (en) Spiral pipe for water and sewage pipe used in building and road construction
KR100908475B1 (en) Formation method of the d c pipe which has the spatial reinforcement unit
KR102530315B1 (en) Multi-walled plastic pipe with outside packing
KR100554537B1 (en) High strength spiral pipe manufacturing equipment
KR102517139B1 (en) Single-collar water supply and sewer pipes and their molding devices to compensate for the decrease in thickness due to expansion
KR200273130Y1 (en) Reinforcement Spiral Tube
KR100474564B1 (en) Structural reinforcement spiral pipe for sewage pipe and conduit pipe in civil engineering and road construction
KR100455616B1 (en) manufacture equipment of distributing pipe
CN203463811U (en) High-ring-stiffness high-stretch-resistance large-deflection structural wall winding pipe
CN215928679U (en) Novel hollow wall winding pipe
JP7267029B2 (en) Eccentric increaser and piping structure
KR200287263Y1 (en) Structural Reinforcement Spiral Tube Manufacturing Equipment
KR100499018B1 (en) Structural reinforcement spiral pipe for sewage pipe in civil engineering and road construction
KR100554538B1 (en) Structural Reinforcement Spiral Tube Manufactur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