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040B1 -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침대 - Google Patents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040B1
KR102562040B1 KR1020230005094A KR20230005094A KR102562040B1 KR 102562040 B1 KR102562040 B1 KR 102562040B1 KR 1020230005094 A KR1020230005094 A KR 1020230005094A KR 20230005094 A KR20230005094 A KR 20230005094A KR 102562040 B1 KR102562040 B1 KR 102562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space
heating unit
air
infrared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5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월용
Original Assignee
최월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월용 filed Critical 최월용
Priority to KR1020230005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2Head or foot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71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domesti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침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는, 설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소정 면적을 가지는 침상면을 형성하고, 침상면과 소정 깊이만큼 만입되어 온열부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침대본체부; 상기 침대본체부의 온열부 장착공간의 상부 개방면을 밀폐하는 구조이고, 침상면의 표면과 연속되는 평면구조를 형성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강화유리 소재로 구성되며, 온열부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적외선 온열부로부터 발생되는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침상면 상부로 방사시키는 온열방사부; 및 상기 침대본체부의 온열부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에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동시에 제공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고, 안전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침대{Beds Having Infrared Heating Part}
본 발명은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동시에 제공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주거문화의 향상과 더불어 삶의 질을 추구하고 건강 및 웰빙(Well-being)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각종 전열히터 기술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일상생활 중에 온열치료 및 찜질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는 찜질기, 좌욕기, 족욕기, 반신욕기, 사우나기, 돌침대, 황토침대 및 온열침대 따위의 각종 전열식 온열장치가 다양한 방식으로 제안되고 있다.
이 중에서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누워 휴식 또는 숙면을 취하면서 통증부위의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근육을 이완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온열 및 찜질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돌침대, 황토침대 및 온열침대 등이 온돌문화에 익숙하거나 이를 선호하는 다양한 연령층에서 각광받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9523호에 개시된 찜질 매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9211호에 개시된 온열매트를 이용한 찜질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0197호에 개시된 전신온열 가온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5587호에 개시된 기능성 황토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1732호에 개시된 황토와 숯이 포함된 기능성 편백 온열 침대 및 일본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116558호에 개시된 암반용 침대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단순히 매트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누설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반원통 형상의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혹은 그 반원통 형상의 구조물에 전열 히터를 내장한 구조일 뿐이므로 온열 및 찜질 효과가 미흡한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그 가열원인 히터에서 발열되는 열기만으로 온열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일정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전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야만 하고, 이로 인해 전력 소비가 과도하게 높아 에너지 소비효율이 상당히 낮을 뿐만 아니라 감전, 화상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데다 사용 과정에서 인체가 전자파에 쉽게 노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황토침대의 경우 열에 의해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므로 신체의 혈행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 습도조절기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체노화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지질을 중화 내지 희석시켜 체질을 개선하고 노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으나, 온열 효과를 위해 침대의 내부에서 가열되는 공기가 사용자에게 전달되기까지 열손실이 많거나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등 그 기능성의 증진에 한계가 있다.
한편, 원적외선은 가시광선에 비하여 열 작용이 우수하고 방사 에너지가 직접적이면서 순간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가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에너지 절약효과가 커서 온열치료, 건강용품 등에 널리 이용된다.
특히 파장이 3 내지 14 마이크로미터 범위에 있는 원적외선은 인체에 흡수되어 생체를 구성하는 분자의 공명, 공진작용에 매우 효과적이며, 효소계, 호르몬 및 생리활성물질의 작용에 영향을 미쳐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음이온은 혈액 중에 미네랄 성분인 칼슘, 나트륨, 칼륨 등의 이온화 비율을 상승시켜 알칼리화의 진행을 통해 혈액정화, 피로회복뿐 아니라 세포를 건강하게 활성화시켜 통증을 완화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는 기능성 물질을 이용한 온열 찜질은 인체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혈액순환 및 피부 호흡을 촉진하여 신경의 피로를 풀어주며, 경직된 근육을 이완시키고 환부의 통증을 완화하는 등 여러 가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황토대리석은 천연 황토분말과 진흙 형태의 황토가 수 만년동안 퇴적과 압력을 거듭하면서 돌에 가깝게 굳어진 것을 판재 형태로 재단한 것으로, 다량의 탄산칼슘(CaCo3)과 실리카, 알루미나, 철분,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등으로 구성 및 미세 기공을 무수히 갖는 복층구조로 이루어져 열을 받으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고, 탈취, 항균, 자연 습도조절 등의 기능성이 있다.
한편, 향기요법은 각종 식물의 꽃, 열매, 줄기, 잎, 뿌리 등에서 추출한 휘발성 향유인 정유를 흡입하거나 목욕, 마사지 등의 방법을 이용해 심신을 건강하게 하는 것으로, 이 중에서 흡입법은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식물의 향과 약효는 흡입을 통해 후각신경을 타고 대뇌 번역계로 전달되어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고 자율신경계를 자극하여 정신적 변화 및 신체적 변화를 준다.
또한, 호흡에 의해 폐로 들어가 혈관으로 흡수되어 대뇌에 작용하여 세로토닌이라는 스트레스 저항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긴장완화, 진정작용, 스트레스 해소 등의 여러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아울러 순환기계, 신경계, 소화기계, 호흡기계, 근육기계, 비뇨생식기계 등 여러 기관에 영향을 줌으로써 각종 질환의 치료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4070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약재, 광물 등의 훈증물질을 담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20)과, 이 함(20)에 열을 가하는 가열장치(30) 및 이 가열장치(30)의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제어패널(31)을 갖는 훈증용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침대는 함(20) 내의 훈증물질을 교체하거나 함(20) 내부를 자주 [0015] 청소할 필요가 있는데, 이 과정에서 가열장치(30)의 누전으로 인한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데다 높은 온도로 발열하는 가열장치(30)의 특성 상 자칫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어패널(31)을 일일이 조작하여 가열장치(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해야만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다.
즉, 종래의 침대는 제어패널(31)의 조작에 따라 가열장치(30)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접속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상 사용자가 함(20) 내의 훈증물질을 교체하거나 함(20) 내부를 청소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제어패널(31)을 조작하지 않아 가열장치(30)의 전원 차단 없이 함(20)을 빼낼 경우 자칫 감전이나 화상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4070호 (공개일자: 2004년05월27일)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에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동시에 제공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고, 안전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침대는, 설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소정 면적을 가지는 침상면을 형성하고, 침상면과 소정 깊이만큼 만입되어 온열부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침대본체부; 상기 침대본체부의 온열부 장착공간의 상부 개방면을 밀폐하는 구조이고, 침상면의 표면과 연속되는 평면구조를 형성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강화유리 소재로 구성되며, 온열부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적외선 온열부로부터 발생되는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침상면 상부로 방사시키는 온열방사부; 및 상기 침대본체부의 온열부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대본체부는, 설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침상면의 좌측면적을 형성하고, 우측본체부의 우측공간과 연통하는 좌측공간을 형성하며, 우측본체부의 우측공간과 함께 하나의 온열부 장착공간을 형성하며, 좌측공간의 상부면에 온열방사부의 좌측방사부를 안착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 좌측본체부; 설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침상면의 우측면적을 형성하고, 좌측본체부의 좌측공간과 연통하는 우측공간을 형성하며, 좌측본체부의 좌측공간과 함께 하나의 온열부 장착공간을 형성하며, 우측공간의 상부면에 온열방사부의 우측방사부를 안착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 우측본체부; 상기 좌측본체부와 우측본체부의 일측면에 일체형 구조로 조립되는 구조이고, 침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침대 헤드를 형성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적외선 온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온열부는, 상기 온열부 장착공간의 내측바닥면에 장착되고, 온열부 장착공간의 평면상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 판상형 구조의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탑재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광발생부재;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광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상방으로 반사시키는 구조의 광반사부; 및 상기 온열부 장착공간의 내측벽에 장착되고, 광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상방으로 반사키는 구조의 측반사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대본체부는, 상기 좌측본체부의 좌측면 및 우측본체부의 우측면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 후 하부유동부 내부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흡기부; 상기 온열부 장착공간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분리하는 투명한 특성의 상하분리 수평격벽에 의해 하부에 분리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적외선 온열부와 인접하여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유동부; 상기 하부유동부의 내부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흡기부부터 하부유동부 내부 공간으로 흡입된 공기를 적외선 온열부의 표면을 따라 다수 회왕복 유동한 후 상부유동부로 유동시키는 유동로 구조를 형성하는 투명한 특성의 하부유도격벽; 상기 온열부 장착공간의 상하분리 수평격벽에 상부에 분리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온열방사부의 하부면과 인접하여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유동부; 상기 상부유동부의 내부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하부유도격벽에 의해 상부유동부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한 가열된 공기를 온열방사부의 하부면을 따라 다수 회 왕복 유동한 후 공기분사노즐로 유동시키는 유동로 구조를 형성하는 투명한 특성의 상부유도격벽; 및 상기 온열방사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관통구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상부유동부 내부 공간을 통해 유동하는 가열된 공기를 침상면 상방으로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대본체부는, 상기 헤드부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부유동부와 연통되는 위치에 장착되며, 내부에 액상형 향료를 수납하고 내부에 수납된 향료를 흡수하여 상부면으로 유동시키는 흡수체가 장착된 카트리지형 구조의 향료수납부; 상기 향료수납부 및 배터리를 내부에 탈착하는 구조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향료수납부의 흡수체에 초음파 영역대의 진동을 가하여 향료를 주위에 확산시키는 진동자;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향료수납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탈착홈;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탈착홈에 장착된 향료수납부를 고정하는 구조이고, 향료수납부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향료수납부의 흡수체를 진동자에 밀착시키는 탄성체가 장착된 구조의 탈착고정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진동자에 의해 기화된 향료 에어로졸을 확산시켜 상부유동부 내부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확산관통구; 상기 본체부의 상부 측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외부의 공기가 인입되는 구조의 공기인입구;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과 인접하는 내부에 장착되고, 배터리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팬 구조이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고, 공기인입구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진동자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과 함께 확산관통구를 통해 상부유동부 내부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공기유동부(168);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며 본체부의 상부면 정중앙을 향해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면 구조의 공기유동가이드; 및 상기 공기유동가이드의 내주면에 장착되고, 공기유동가이드의 내부면에 흡착된 에어로졸을 재차 기화시켜 공기유동부에 의해 상부유동부 내부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추가진동자;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침대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침대본체부, 온열방사부 및 적외선 온열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동시에 제공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고, 안전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대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침대본체부, 흡기부, 하부유동부, 상부유동부 및 공기분사노즐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위 공기를 정화한 후 광발생부재에 의해 가열하여 침상면 상방으로 분사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정화된 후 가열된 공기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신체를 더욱 이완시킴과 동시에 원활한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어 효과적으로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대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침대본체부, 헤드부, 향료수납부, 환산관통구, 공기유동부, 공기유동가이드 및 추가진동자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향료 또는 약제를 손쉽게 장착 및 탈거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향료를 효과적으로 확산시켜 침상면 상방으로 분사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향료를 골고루 손쉽게 제공할 수 있어, 의 신체에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위 공기를 정화한 후 광발생부재에 의해 가열하여 침상면 상방으로 분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신체를 더욱 이완시킴과 동시에 원활한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어 효과적으로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를 나타내는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를 나타내는 절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향료수납부를 나타내는 종절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진동자, 추가진동자 및 공기유동부의 작동에 의해 향료가 확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광발생부재로부터 발생되는 적외선의 방사율과 방사에너지를 측정한 시험성적서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시험성적서의 적외선 방사율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시험성적서의 적외선 방사에너지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를 나타내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를 나타내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를 나타내는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침대(100)는 특정 구조의 침대본체부(110), 온열방사부(120) 및 적외선 온열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동시에 제공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고, 안전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적외선 온열부(130)를 포함하는 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침대(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침대(100)의 침대본체부(110)는, 설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소정 면적을 가지는 침상면(111)을 형성하고, 침상면(111)과 소정 깊이만큼 만입되어 온열부 장착공간(112)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온열방사부(120)는, 침대본체부(110)의 온열부 장착공간(112)의 상부 개방면을 밀폐하는 구조이고, 침상면(111)의 표면과 연속되는 평면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온열방사부(12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강화유리 소재로 구성된다. 온열방사부(120)는 온열부 장착공간(112)에 장착되는 적외선 온열부(130)로부터 발생되는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침상면(111) 상부로 방사시키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온열부(130)는, 침대본체부(110)의 온열부 장착공간(112)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구조이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를 나타내는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침대본체부(110)는 특정 구조의 좌측본체부(110a), 우측본체부(110b), 헤드부(113)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침대본체부(110)의 좌측본체부(110a)는, 설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침상면(111)의 좌측면적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우측본체부(110b)의 우측공간(112b)과 연통하는 좌측공간(112a)을 형성하며, 우측본체부(110b)의 우측공간(112b)과 함께 하나의 온열부 장착공간(112)을 형성한다. 또한, 좌측공간(112a)의 상부면에 온열방사부(120)의 좌측방사부(120a)를 안착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침대본체부(110)의 우측본체부(110b)는, 설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침상면(111)의 우측면적을 형성하고, 좌측본체부(110a)의 좌측공간(112a)과 연통하는 우측공간(112b)을 형성하며, 좌측본체부(110a)의 좌측공간(112a)과 함께 하나의 온열부 장착공간(112)을 형성한다. 또한, 우측공간(112b)의 상부면에 온열방사부(120)의 우측방사부(120b)를 안착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침대본체부(110)의 헤드부(113)는 좌측본체부(110a)와 우측본체부(110b)의 일측면에 일체형 구조로 조립되는 구조로서, 침상면(111)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침대 헤드를 형성한다. 이때, 헤드부(113)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적외선 온열부(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온열부(130)는 특정 구조의 회로기판(131), 광발생부재(132), 광반사부(133) 및 측반사부(13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온열부(130)의 회로기판(131)은, 온열부 장착공간(112)의 내측바닥면에 장착되고, 온열부 장착공간(112)의 평면상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 판상형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온열부(130)의 광발생부재(132)는, 회로기판(131)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광발생부재(132)는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동시에 발생하는 소자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시험성적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근적외선 영역대의 파장을 가지는 적외선과 원적외선 영역대의 파장을 가지는 적외선을 동시에 발생할 수 있고, 특정 범위 이상의 효율을 가지는 LED 소자를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온열부(130)의 광반사부(133)는, 회로기판(131)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광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상방으로 반사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측반사부(134)는 온열부 장착공간(112)의 내측벽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광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상방으로 반사키는 구조이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침대본체부(110)는 특정 구조의 흡기부(151), 하부유동부(152), 하부유도격벽(153), 상부유동부(154), 상부유도격벽(155) 및 공기분사노즐(156)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침대본체부(110)의 흡기부(151)는, 좌측본체부(110a)의 좌측면 및 우측본체부(110b)의 우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 후 하부유동부(152) 내부 공간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침대본체부(110)의 하부유동부(152)는, 온열부 장착공간(112)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분리하는 투명한 특성의 상하분리 수평격벽(157)에 의해 하부에 분리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적외선 온열부(130)와 인접하여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침대본체부(110)의 하부유도격벽(153)은, 하부유동부(152)의 내부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흡기부(151)부터 하부유동부(152) 내부 공간으로 흡입된 공기를 적외선 온열부(130)의 표면을 따라 다수 회왕복 유동한 후 상부유동부(154)로 유동시키는 유동로 구조를 형성하는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구조이다.
침대본체부(110)의 상부유동부(154)는, 온열부 장착공간(112)의 상하분리 수평격벽(157)에 상부에 분리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온열방사부(120)의 하부면과 인접하여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침대본체부(110)의 상부유도격벽(155)은, 상부유동부(154)의 내부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하부유도격벽(153)에 의해 상부유동부(154)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한 가열된 공기를 온열방사부(120)의 하부면을 따라 다수 회 왕복 유동한 후 공기분사노즐(156)로 유동시키는 유동로 구조를 형성하는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구조이다.
침대본체부(110)의 공기분사노즐(156)은, 온열방사부(120)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관통구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상부유동부(154) 내부 공간을 통해 유동하는 가열된 공기를 침상면(111) 상방으로 분사하는 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침대본체부(110), 흡기부(151), 하부유동부(152), 상부유동부(154) 및 공기분사노즐(156)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위 공기를 정화한 후 광발생부재(132)에 의해 가열하여 침상면(111) 상방으로 분사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정화된 후 가열된 공기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신체를 더욱 이완시킴과 동시에 원활한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어 효과적으로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도 9에는 도 8의 향료수납부를 나타내는 종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의 진동자, 추가진동자 및 공기유동부의 작동에 의해 향료가 확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침대본체부(110)는, 특정 구조의 침대본체부(110), 헤드부(113), 향료수납부(161), 환산관통구, 공기유동부(168), 공기유동가이드(169) 및 추가진동자(163a)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향료수납부(161)는 헤드부(113)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상부유동부(154)와 연통되는 위치에 장착되며, 내부에 액상형 향료를 수납하고 내부에 수납된 향료를 흡수하여 상부면으로 유동시키는 흡수체(161a)가 장착된 카트리지형 구조이다. 이때, 본체부(162)는 향료수납부(161) 및 배터리(168b)를 내부에 탈착하는 구조이다.
또한, 탈착홈(164)은 본체부(162)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향료수납부(16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구조이다. 이때, 본체부(162)의 하부에 장착되는 탈착고정부(165)는, 탈착홈(164)에 장착된 향료수납부(161)를 고정하는 구조이고, 향료수납부(161)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향료수납부(161)의 흡수체(161a)를 진동자(163)에 밀착시키는 탄성체가 장착된 구조이다.
본체부(162)의 상부에 장착되는 진동자(162)는, 향료수납부(161)의 흡수체(161a)에 초음파 영역대의 진동을 가하여 향료를 주위에 확산시키는 구조이다. 이때, 본체부(162)의 상부면에 형성된 확산 관통구(166)는, 진동자(163)에 의해 기화된 향료 에어로졸을 확산시켜 상부유동부(154) 내부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구조이다.
본체부(162)의 상부 측면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공기인입구(167)가 다수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공기유동부(168)는 본체부(162)의 상부면과 인접하는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배터리(168b)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168a)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팬 구조이며,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고, 공기인입구(167)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진동자(163)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과 함께 확산관통구(166)를 통해 상부유동부(154) 내부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구조이다.
공기유동가이드(169)는 본체부(162)의 상부면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며 본체부(162)의 상부면 정중앙을 향해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면 구조이다.
이때, 공기유동가이드(169)의 내주면에 추가진동자(163a)가 장착되어 공기유동가이드(169)의 내부면에 흡착된 에어로졸을 재차 기화시켜 공기유동부(168)에 의해 상부유동부(154) 내부 공간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침대본체부(110), 헤드부(113), 향료수납부(161), 환산관통구, 공기유동부(168), 공기유동가이드(169) 및 추가진동자(163a)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향료 또는 약제를 손쉽게 장착 및 탈거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향료를 효과적으로 확산시켜 침상면(111) 상방으로 분사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향료를 골고루 손쉽게 제공할 수 있어, 의 신체에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위 공기를 정화한 후 광발생부재(132)에 의해 가열하여 침상면(111) 상방으로 분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신체를 더욱 이완시킴과 동시에 원활한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어 효과적으로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침대
110: 침대본체부
110a: 좌측본체부
110b: 우측본체부
111: 침상면
112: 온열부 장착공간
112a: 좌측공간
112b: 우측공간
113: 헤드부
114: 유동배관
120: 온열방사부
120a: 좌측방사부
120b: 우측방사부
130: 적외선 온열부
131: 회로기판
132: 광발생부재
133: 광반사부
134: 측반사부
140: 제어부
151: 흡기부
152: 하부유동부
153: 하부유도격벽
154: 상부유동부
155: 상부유도격벽
156: 공기분사노즐
157: 상하분리 수평격벽
161: 향료수납부
161a: 흡수체
162: 본체부
163: 진동자
163a: 추가진동자
164: 탈착홈
165: 탈착고정부
166: 확산관통구
167: 공기인입구
168: 공기유동부
169: 공기유동가이드

Claims (5)

  1. 설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소정 면적을 가지는 침상면(111)을 형성하고, 침상면(111)과 소정 깊이만큼 만입되어 온열부 장착공간(112)을 형성하는 침대본체부(110);
    상기 침대본체부(110)의 온열부 장착공간(112)의 상부 개방면을 밀폐하는 구조이고, 침상면(111)의 표면과 연속되는 평면구조를 형성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강화유리 소재로 구성되며, 온열부 장착공간(112)에 장착되는 적외선 온열부(130)로부터 발생되는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침상면(111) 상부로 방사시키는 온열방사부(120); 및
    상기 침대본체부(110)의 온열부 장착공간(112)에 장착되고,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온열부(130);
    를 포함하고,
    상기 침대본체부(110)는,
    설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침상면(111)의 좌측면적을 형성하고, 우측본체부(110b)의 우측공간(112b)과 연통하는 좌측공간(112a)을 형성하며, 우측본체부(110b)의 우측공간(112b)과 함께 하나의 온열부 장착공간(112)을 형성하며, 좌측공간(112a)의 상부면에 온열방사부(120)의 좌측방사부(120a)를 안착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 좌측본체부(110a);
    설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침상면(111)의 우측면적을 형성하고, 좌측본체부(110a)의 좌측공간(112a)과 연통하는 우측공간(112b)을 형성하며, 좌측본체부(110a)의 좌측공간(112a)과 함께 하나의 온열부 장착공간(112)을 형성하며, 우측공간(112b)의 상부면에 온열방사부(120)의 우측방사부(120b)를 안착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 우측본체부(110b);
    상기 좌측본체부(110a)와 우측본체부(110b)의 일측면에 일체형 구조로 조립되는 구조이고, 침상면(111)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침대 헤드를 형성하는 헤드부(113); 및
    상기 헤드부(113)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적외선 온열부(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0);
    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온열부(130)는,
    상기 온열부 장착공간(112)의 내측바닥면에 장착되고, 온열부 장착공간(112)의 평면상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 판상형 구조의 회로기판(131);
    상기 회로기판(131)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탑재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광발생부재(132);
    상기 회로기판(131)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광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상방으로 반사시키는 구조의 광반사부(133); 및
    상기 온열부 장착공간(112)의 내측벽에 장착되고, 광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상방으로 반사키는 구조의 측반사부(13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본체부(110)는,
    상기 좌측본체부(110a)의 좌측면 및 우측본체부(110b)의 우측면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 후 하부유동부(152) 내부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흡기부(151);
    상기 온열부 장착공간(112)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분리하는 투명한 특성의 상하분리 수평격벽(157)에 의해 하부에 분리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적외선 온열부(130)와 인접하여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유동부(152);
    상기 하부유동부(152)의 내부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흡기부(151)부터 하부유동부(152) 내부 공간으로 흡입된 공기를 적외선 온열부(130)의 표면을 따라 다수 회왕복 유동한 후 상부유동부(154)로 유동시키는 유동로 구조를 형성하는 투명한 특성의 하부유도격벽(153);
    상기 온열부 장착공간(112)의 상하분리 수평격벽(157)에 상부에 분리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온열방사부(120)의 하부면과 인접하여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유동부(154);
    상기 상부유동부(154)의 내부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하부유도격벽(153)에 의해 상부유동부(154)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한 가열된 공기를 온열방사부(120)의 하부면을 따라 다수 회 왕복 유동한 후 공기분사노즐(156)로 유동시키는 유동로 구조를 형성하는 투명한 특성의 상부유도격벽(155); 및
    상기 온열방사부(120)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관통구에 장착되고,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상부유동부(154) 내부 공간을 통해 유동하는 가열된 공기를 침상면(111) 상방으로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15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본체부(110)는,
    상기 헤드부(113)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부유동부(154)와 연통되는 위치에 장착되며, 내부에 액상형 향료를 수납하고 내부에 수납된 향료를 흡수하여 상부면으로 유동시키는 흡수체(161a)가 장착된 카트리지형 구조의 향료수납부(161);
    상기 향료수납부(161) 및 배터리(168b)를 내부에 탈착하는 구조의 본체부(162);
    상기 본체부(162)의 상부에 장착되고, 향료수납부(161)의 흡수체(161a)에 초음파 영역대의 진동을 가하여 향료를 주위에 확산시키는 진동자(163);
    상기 본체부(162)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향료수납부(16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탈착홈(164);
    상기 본체부(162)의 하부에 장착되고, 탈착홈(164)에 장착된 향료수납부(161)를 고정하는 구조이고, 향료수납부(161)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향료수납부(161)의 흡수체(161a)를 진동자(163)에 밀착시키는 탄성체가 장착된 구조의 탈착고정부(165);
    상기 본체부(162)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진동자(163)에 의해 기화된 향료 에어로졸을 확산시켜 상부유동부(154) 내부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확산관통구(166);
    상기 본체부(162)의 상부 측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외부의 공기가 인입되는 구조의 공기인입구(167);
    상기 본체부(162)의 상부면과 인접하는 내부에 장착되고, 배터리(168b)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168a)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팬 구조이며,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고, 공기인입구(167)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진동자(163)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과 함께 확산관통구(166)를 통해 상부유동부(154) 내부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공기유동부(168);
    상기 본체부(162)의 상부면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며 본체부(162)의 상부면 정중앙을 향해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면 구조의 공기유동가이드(169); 및
    상기 공기유동가이드(169)의 내주면에 장착되고, 공기유동가이드(169)의 내부면에 흡착된 에어로졸을 재차 기화시켜 공기유동부(168)에 의해 상부유동부(154) 내부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추가진동자(163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KR1020230005094A 2023-01-13 2023-01-13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침대 KR102562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5094A KR102562040B1 (ko) 2023-01-13 2023-01-13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5094A KR102562040B1 (ko) 2023-01-13 2023-01-13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040B1 true KR102562040B1 (ko) 2023-07-31

Family

ID=87458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5094A KR102562040B1 (ko) 2023-01-13 2023-01-13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04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070A (ko) 2003-01-16 2004-05-27 서형호 훈증용 침대
KR200415561Y1 (ko) * 2006-02-13 2006-05-03 고해천 침대
KR100805357B1 (ko) * 2007-03-26 2008-02-20 박상휘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
KR20100006315U (ko) * 2008-12-12 2010-06-22 (주)생토 건강증진 기능이 구비된 침대
KR20110095047A (ko) * 2010-02-18 2011-08-24 우성호 게르마늄 강화코팅을 이용한 온열 매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13396A (ko) * 2011-04-05 2012-10-15 이석안 쿠션 성능이 향상된 쿠션부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070A (ko) 2003-01-16 2004-05-27 서형호 훈증용 침대
KR200415561Y1 (ko) * 2006-02-13 2006-05-03 고해천 침대
KR100805357B1 (ko) * 2007-03-26 2008-02-20 박상휘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
KR20100006315U (ko) * 2008-12-12 2010-06-22 (주)생토 건강증진 기능이 구비된 침대
KR20110095047A (ko) * 2010-02-18 2011-08-24 우성호 게르마늄 강화코팅을 이용한 온열 매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13396A (ko) * 2011-04-05 2012-10-15 이석안 쿠션 성능이 향상된 쿠션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1417B2 (en) Therapeutic shower enclosure
US11491285B2 (en) Ultrasonic medicine application device that strongly promotes medicine absorption
KR102147739B1 (ko) 적외선 훈증기능이 구비된 기능성 베드장치
US6884256B2 (en) Multiple-effect health device
KR200418577Y1 (ko) 공기정화가습기
KR101514646B1 (ko) 족욕 겸용 좌욕기
KR200459079Y1 (ko) 건식 반신욕기
CN108042352A (zh) 多用无烟艾灸装置
KR102562040B1 (ko)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침대
KR200457647Y1 (ko) 건식 반신욕기
KR20170119178A (ko) 가습 및 뜸을 위한 발열장치
KR101630399B1 (ko) 온열 찜질 겸용 침대
WO2001045780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laxing human organism and improvi ng general condition
KR102129259B1 (ko) 연마 황토볼 찜질캡슐
US8161581B2 (en) Therapeutic device operatively connected to a protective suit and supplying herb essence evaporated from heated herb to the protective suit
CN105342839A (zh) 足部艾灸保健仪
CN202211442U (zh) 一种碳化竹板床垫
KR20080084345A (ko) 웰빙 부스
CN209004673U (zh) 多用无烟艾灸装置
KR102583144B1 (ko) 복합 기능성을 가진 원적외선 좌온기
KR20100000449U (ko) 발관리 기구
CN209847804U (zh) 一种带温热脉冲的熏蒸仪
KR100825605B1 (ko) 소형 훈증기
KR200339599Y1 (ko) 향기나는 돌 매트리스
CN211383505U (zh) 一种远红外桧木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