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722B1 -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722B1
KR102561722B1 KR1020220156311A KR20220156311A KR102561722B1 KR 102561722 B1 KR102561722 B1 KR 102561722B1 KR 1020220156311 A KR1020220156311 A KR 1020220156311A KR 20220156311 A KR20220156311 A KR 20220156311A KR 102561722 B1 KR102561722 B1 KR 102561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intake
feed
appropri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정
정민교
Original Assignee
최문정
정민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정, 정민교 filed Critical 최문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722B1/ko
Priority to PCT/KR2023/01148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63324A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일 측면에 따른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의 신체정보 및 영양섭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체정보 및 상기 영양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1일 필요 칼로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1일 필요 칼로리에 따라 반려동물 식단에 포함된 사료에 대한 제1 섭취 비율 및 간식에 대한 제2 섭취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섭취 비율 및 상기 제2 섭취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식단의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customized diet management services for pets}
아래의 실시예들은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적으로 대가족보다는 개인의 삶에 대한 욕구가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동물을 키우는 삶이 보편화 되어가고 있다.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반려보호자가 증가하면서 반려동물의 건강과 관련된 반려동물 헬스케어에 대한 산업 규모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반려동물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건강한 식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고려하고, 반려동물의 기호에 맞는 사료를 추천할 수 있는 기술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반려동물은 반려동물의 종, 유전적 요인, 체중, 급여 방법에 따라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 반려동물의 건강상태에 기초하여 적절한 식단을 반려동물에게 급여하는 것이 중요하나, 반려동물 보호자가 직접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고려한 식단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종, 유전적 요인, 체중, 급여 방법 등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종합적으로 고려한 식단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24380호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7521호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의 신체정보 및 영양섭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신체정보 및 상기 영양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1일 필요 칼로리를 산출하는 단계;상기 1일 필요 칼로리에 따라 반려동물 식단에 포함된 사료에 대한 제1 섭취 비율 및 간식에 대한 제2 섭취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섭취 비율 및 상기 제2 섭취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식단의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반려동물 이미지 및 상기 신체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체형 및 비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려동물의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1일 필요 칼로리에 기초하여 상기 식단에 포함된 물 적정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물 적정량에서 상기 반려동물의 사료 및 간식에 포함된 수분 함유량을 고려하여 1일 적정 물 섭취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신체정보 및 상기 영양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식단의 1일 급여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급여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식단의 1회 적정 급여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정기 배송일 주기, 정기 배송 횟수 및 복수개의 정기 배송 일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1회 적정 급여량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분된 식단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설정된 배송지로 배달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체정보는 반려동물의 성별, 나이, 품종, 체중, 중성화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양섭취 정보는 현재 지급 중인 사료 또는 간식에 대한 영양정보, 급여 횟수, 급여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의 신체정보 및 영양섭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신체정보 및 상기 영양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1일 필요 칼로리를 산출하며, 상기 1일 필요 칼로리에 따라 반려동물 식단에 대한 섭취 비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영양섭취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식단의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전술한 본 개시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 로써, 반려동물의 종, 유전적 요인, 체중, 급여 방법 등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종합적으로 고려한 식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 및 방법을 통해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사료, 간식, 물의 적절한 섭취비율을 계산하여 반려동물에게 적합한 식단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의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의 정보 등록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자가 수행하는 동작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수행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 단말에 매립되거나 부가적으로 연결된 입력 장치(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등)를 통하여, 사용자가 수행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명령(command)이 사용자 단말에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 단말의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가 수행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명령이 사용자 단말에 입력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수행하는 동작은 소정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배송업체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에서는 서버(100)에 의해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반려동물의 1일 필요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1일 필요 칼로리에 기초하여, 반려동물 식단의 1일 적정 급여량 및 1회 적정 급여량을 산출할 수 있다. 1일 필요 칼로리는 반려동물이 섭취해야 할 1일 에너지의 열량을 의미한다. 또한, 1일 적정 급여량은 반려동물에게 하루동안 급여해야 할 식단의 양을 의미하며, 1회 적정 급여량은 1일 적정 급여량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에게 급여해야 할 한끼 식단의 양을 의미한다.
산출된 1일 적정 급여량 및 1회 적정 급여량에 기초하여 서버(100)는 적정량으로 소분된 반려동물의 식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배송업체를 매칭하고, 배송업체 단말(3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소분된 식단을 사용자 단말(200)의 기설정된 배송지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 및 배송업체 단말(300)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등)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 폰, 노트북(notebook) PC, 데스크탑(desktop) PC, 랩탑(laptop), 테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200) 및 배송업체 단말(3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서버(3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의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반려동물의 신체정보 및 영양섭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반려동물의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하기 위한 정보 입력 환경(예를 들어, 인터넷 사이트 또는 휴대폰 단말에 제공되는 제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된 정보 입력 환경을 통해, 사용자는 반려동물의 신체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다. 서버(100)는 반려동물의 성별, 나이, 품종, 체중, 중성화 여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신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신체정보에는 반려동물의 비만 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반려동물의 비만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반려동물 이미지에 기초하여 비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비만 여부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품종, 나이, 체중을 고려하여 비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반려동물 이미지로부터 반려동물의 얼굴 부분, 머리와 목 부분, 흉골 부분, 늑골 부분, 꼬리 부분, 반려동물의 옆모습, 반려동물의 윗모습 등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비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반려동물 이미지에서 반려동물의 갈비뼈 및 꼬리 부분의 골격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옆모습 중 복부의 모습이 일자 형태가 아니고 일부 곡선 형태인 경우, 표준체형으로 판정할 수 있다. 혹은 반려동물의 갈비뼈 및 꼬리 부분의 골격 구분이 어려우며, 반려동물의 옆모습 중 복부의 모습이 일자 형태인 경우 비만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반려동물이 현재 섭취하고 있는 식단(예를 들어, 사료, 간식, 물 등)에 대한 정보, 반려동물의 1일 급여량, 급여 횟수, 급여 패턴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영양섭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식단에 대한 정보는 현재 반려동물에게 급여하고 있는 사료 및 간식의 영양정보로서, 사료 및 간식의 브랜드명, 상품명 등을 통해 획득하거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료의 경우, 건식, 습식, 생식, 건조식, 신선식, 홈메이드 등 다양한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정보 입력 환경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영양섭취 정보를 직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료 또는 간식의 상품 이미지를 통해 영양섭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220에서, 서버(100)는 반려동물의 신체정보 및 영양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1일 필요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수신된 반려동물의 신체정보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와 같이 반려동물의 1일 필요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서버(100)는 반려동물의 체중이 2kg 이상 45kg 이하인 경우,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를 사용하여 반려동물의 1일 필요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체중이 2kg 이하 45kg 이상인 경우, [수학식 1]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1일 필요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수학식 2]
체중은 반려동물의 현재 체중을 의미한다. Factor는 반려동물의 나이, 중성화 여부, 비만 여부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12개월 이하의 강아지는 개월 수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값을 Factor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고, 12개월 이상의 성견이고 과체중인 경우, Factor의 값을 기설정된 값인 1.4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비만이 아닌 성견은 중성화 여부에 기초하여 Factor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Factor는 반려동물의 나이, 중성화 여부, 비만 여부에 기초하여 아래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actor 결정 요인 고양이
12개월 이하 4개월 3 2.5
5~12개월 2 2.5
12개월 이상 중성화여부 비중성화 1.8 1.4
중성화 1.6 1.2
비만 여부 과체중 1.4 1
고도 비만 1 0.8
또한, 단계 230에서, 서버(100)는 1일 필요 칼로리에 따라 반려동물 식단에 포함된 사료에 대한 제1 섭취 비율 및 간식에 대한 제2 섭취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해 반려동물의 필요 칼로리에 기초하여 사료와 간식의 양을 적절하게 급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전문가가 아닌 일반 반려동물의 보호자들은 적절한 사료와 간식의 급여량을 산출하는 것이 어려워 반려동물에게 적합하지 않은 식단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식단에 포함된 사료 및 간식에 대한 섭취 비율을 결정함으로써, 적절한 양의 사료와 간식이 반려동물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반려동물의 영양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사료와 간식의 영양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서버(100)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이 섭취해야 되는 영양성분의 비율과 사료에 포함된 영양성분을 비교하여 우선적으로 사료에 대한 제1 섭취 비율을 결정하고, 사료에 포함된 영양성분 중 부족한 영양성분을 고려하여 간식에 대한 제2 섭취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분석 결과, 현재 사료 및 간식의 영양성분의 비율이 반려동물 상태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반려동물 건강상태 적합한 영양성분 비율로 구성된 사료 또는 간식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료 및 간식의 영양성분 함량 또는 영양성분 비율이 반려동물이 섭취해야 되는 영양성분을 만족하는 경우, 서버(100)는 제1 섭취 비율을 9로 결정하고 제2 섭취비율을 1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사료에 포함된 영양성분 중 조단백질이 함량이 반려동물이 섭취해야 할 영양성분의 비율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서버(100)는 제1 섭취 비율을 8.5로 결정하고, 간식의 제2 섭취 비율을 1.5로 결정하면서 간식 중 조단백질 함량이 높은 간식의 섭취 비율을 가장 높게 결정하고 나머지 간식의 섭취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반려동물의 비만 정도에 기초하여 반려동물 식단에 포함된 사료에 대한 제1 섭취 비율 및 간식에 대한 제2 섭취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정상 범위의 체중인 반려동물의 제1 섭취 비율은 9로 결정하고, 제2 섭취 비율은 1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단계 220에서 반려동물의 체중을 과체중으로 판단한 경우, 사료 및 간식의 영양성분을 고려하여 제1 섭취 비율은 9.2로 결정하고, 제2 섭취 비율은 0.8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반려동물이 고도 비만이라고 판단한 경우, 제1 섭취 비율을 10로 결정하고 제2 섭취비율을 0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섭취 비율 및 제2 섭취 비율을 나타낸 값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나타낸 단순한 예시일 뿐이며, 각각의 섭취 비율에 대하여 값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계 240에서, 서버(100)는 제1 섭취 비율 및 제2 섭취 비율에 기초하여 식단의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식단의 1일 적정 급여량은 사료와 간식 각각에 대해 산출될 수 있다. 즉, 단계220에서 산출된 1일 필요 칼로리에 범위에서 사료에 대한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하며, 1일 필요 칼로리에 범위에서 간식에 대한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서버(100)는 1일 필요 칼로리, 제1 섭취 비율 및 반려동물에게 현재 급여하고 있는 사료의 칼로리에 기초하여 사료의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버(100)는 1일 필요 칼로리, 제2 섭취 비율 및 반려동물에게 현재 급여하고 있는 간식의 칼로리에 기초하여 간식의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사료의 칼로리 및 간식의 칼로리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반려동물의 영양섭취 정보 또는 사료 또는 간식의 상품 이미지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1일 필요 칼로리에 기초하여 1일 적정 물 섭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료 및 간식에 포함된 수분 함유량을 고려하여 물 섭취량을 산출할 수 있다.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3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서버(100)는 1일 필요 칼로리에 기초하여 반려동물 식단에 포함된 사료 및 간식의 섭취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도 3의 310단계는, 도 2의 230단계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100)는 반려동물이 섭취해야 되는 영양성분의 비율과 현재 급여하고 있는 사료 및 간식의 영양성분을 비교하여 사료에 대한 제1 섭취 비율 및 간식에 대한 제2 섭취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비만 정도에 따라 사료에 대한 제1 섭취 비율 및 간식에 대한 제2 섭취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제1 섭취 비율 및 제2 섭취 비율과 1일 필요 칼로리에 기초하여 1일 적정 급여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식단에 포함된 사료와 식단에 포함된 간식 각각에 대하여 1일 적정 급여량을 결정할 수 있다.
사료에 대한 1일 적정 급여량은 아래의 [수학식 3]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3]
또한, 간식에 대한 1일 적정 급여량은 아래의 [수학식 4]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4]
1일 필요 칼로리는 도 2의 단계 220에서 산출된 값을 나타내며, [수학식 3]의 제1 섭취비율 및 [수학식 4]의 제2 섭취비율은 도 2의 단계 230 및 도 3의 단계 310에서 산출된 값을 나타낸다. 또한, [수학식 3]의 사료 칼로리 및 [수학식 4]의 간식 칼로리는 반려동물에게 현재 급여하고 있는 사료 및 간식의 칼로리로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반려동물의 영양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서버(100)는 1일 적정 칼로리에 기초하여 물 적정량을 계산하고, 사료 및 간식을 고려한 1일 적정 물 섭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1일 적정 칼로리에 대응하여 물 적정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일 적정 칼로리가 3500kcal 인 경우, 물 적정량은 3500ml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1일 적정 물 섭취량은 사료와 간식에 포함된 수분 함유량을 고려해야 한다.
사료의 경우, 가장 크게 건식 시료와 습식 사료로 구분될 수 있으며, 건식 사료와 습식 사료가 포함하고 있는 수분 함유량은 서로 상이하므로 사료의 종류에 따라 1일 적정 물 섭취량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사료 및 간식에 포함된 영양성분에서 수분 함유량을 산출하고, 물 적정량에서 사료 및 간식에 포함된 수분 함유량을 제거하여 반려동물 식단에 따른 1일 적정 물 섭취량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서버(100)는 반려동물의 적정 급여 횟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급여 횟수에 기초하여 1회 적정 급여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반려동물의 나이와 체중을 고려하여 서버(100)에 기설정된 반려동물의 적정 급여 횟수와 매칭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반려동물의 나이와 체중을 고려하여 적정 급여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12개월 미만의 강아지인 경우, 서버(100)는 개월 수에 기초하여 적정 급여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4개월 이하의 강아지의 1일 적정 급여 횟수는 4회로 결정할 수 있고, 5개월 이상 8개월 이하의 강아지의 1일 적정 급여 횟수는 3회로 결정하며, 8개월 이상 12개월까지 강아지의 1일 적정 급여 횟수는 2회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이 성견인 경우, 1일 적정 급여 횟수를 2회로 결정하며, 노령견 및 고령견의 경우, 체중과 나이를 고려하여 1일 적정 급여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강아지와 개로 예시를 들었지만, 서버(100)에 기설정된 반려동물의 적정 급여 횟수의 기준이 개와 강이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340에서, 서버(100)는 1일 적정 급여량을 1회 적정 급여량에 기초하여 소분할 수 있다.
반려동물을 위한 식단이 생산될 수 있다. 서버(100)는 사료에 대한 1일 적정 급여량, 간식에 대한 1일 적정 급여량, 1일 적정 물 섭취량 각각을 급여 횟수에 기초하여 소분하여 사료에 대한 1회 적정 급여량, 간식에 대한 1회 적정 급여량, 1회 적정 물 섭취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결정된 사료에 대한 1회 적정 급여량, 간식에 대한 1회 적정 급여량, 1회 적정 물 섭취량에 기초하여 식단에 포함된 사료, 간식, 물을 소분 포장하며, 사용자 단말(200)의 기설정된 배송지로 배달 공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단계 350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기설정된 배송지로 소분된 식단을 배달 공급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정기 배송일 주기, 정기 배송 횟수 및 복수개의 정기 배송 일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1회 적정 급여량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분된 식단을 사용자 단말의 기설정된 배송지로 배달 공급할 수 있다. 서버(100)는 배송업체를 매칭하고, 배송업체 단말(3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소분된 식단을 사용자 단말(200)의 기설정된 배송지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반려동물의 한끼 급여량에 알맞게 사료, 간식, 물이 소분 포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반려동물의 나이 또는 체중에 기초하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변경된 1일 적정 급여량, 변경된 1회 적정 급여량 및 변경된 급여 횟수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여 지속적인 반려동물의 식단 관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12개월 이하의 강아지의 개월 수와 체중을 고려하여 산출된 1회 적정 급여량을 제공할 수 있으며, 12개월이 도래하기 전에 사용자 단말(200)로 성견 기준에 적합한 1회 적정 급여량으로 변경하라는 알림을 제공하고 성견 기준에 적합한 사료 또는 간식의 추천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의 정보 등록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는 신체정보 입력 영역(410), 영양정보 입력 영역(420), 1일 필요 칼로리 계산 영역(43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신체정보 입력 영역(410), 영양정보 입력 영역(420)으로부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체정보 입력 영역(410)으로부터 반려동물의 나이, 체중, 성별, 중성화 여부, 품종, 비만 여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신체정보 입력 영역(410)을 통해 반려동물의 비만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반려동물의 나이, 체중, 품종에 기초하여 비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반려동물 이미지에 기초하여 비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비만 여부를 정확히 알지 못해 신체정보 입력 영역(410)의 비만 여부를 입력하지 못한 경우, 서버(100)는 수신된 반려동물의 나이, 체중, 품종을 서버(100)에 저장된 품종 별 표준체중과 비교하여 비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수신된 반려동물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골격, 체형을 분석하고 비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영양정보 입력 영역(420)으로부터 반려동물에게 현재 급여하고 있는 식단에 대한 정보(421), 급여패턴/횟수, 급여량, 반려동물의 물 섭취량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식단에 대한 정보(421)에는 사료 및 간식 각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려동물에게 현재 급여하고 있는 사료 및 간식의 브랜드, 상품명,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직접 입력의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사료 및 간식의 브랜드 및 상품명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브랜드 및 상품명에 기초하여 현재 급여하고 있는 사료 및 간식의 영양성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수신된 사료 및 간식의 상품 이미지(예를 들어, 사료 및 간식 포장지, 영양성분표 등)를 분석하여, 영양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급여패턴은 반려동물에게 사료 급여 시, 일정한 시간에 맞춰 제공 하는지 혹은 사료 급여 시 반려동물이 사료를 섭취하지 않는 경우 추후 사료를 다시 제공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신체정보 입력 영역(410), 영양정보 입력 영역(42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1일 필요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1일 필요 칼로리는 1일 필요 칼로리 계산 영역(430)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산출된 1일 필요 칼로리에 기초하여, 사료에 대한 제1 섭취 비율 및 간식에 대한 제2 섭취 비율이 반영된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나이와 체중을 고려하여 적정 급여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1일 적정 급여량과 적정 급여 횟수에 기초하여 1회 적정 급여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서버(100)는 도 4의 신체정보 입력 영역(410), 영양정보 입력 영역(42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1일 필요 칼로리 계산 영역(430)으로부터 산출된 1일 필요 칼로리에 기초하여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는 영양 상태 분석 영역(510), 개설 솔루션 영역(520)을 포함할 수 있다.
영양 상태 분석 영역(510)은 신체정보 입력 영역(410), 영양정보 입력 영역(42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반려동물의 영양섭취 및 급여 패턴의 문제점을 분석할 수 있다.
서버(100)는 1일 필요 칼로리에 기초하여 현재 급여하고 있는 사료 및 간식의 급여량이 적절한지 판단하고, 1일 필요 칼로리, 사료 및 간식에 포함된 수분 함유량에 기초하여 물 섭취량이 적절한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체정보 입력 영역(410), 영양정보 입력 영역(42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적정 급여 횟수와 현재 급여 횟수를 비교하여 급여 패턴의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일 필요 칼로리A의 기설정된 범위 안에 현재 급여하고 있는 사료의 칼로리B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서버(100)은 반려동물의 영양공급이 부족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1일 필요 칼로리A에 기초하여 산출된 적정 섭취량 범위 내에 반려동물의 물 섭취량이 포함되는 경우, 물 섭취가 적절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개설 솔루션 영역(520)에는 1일 필요 칼로리 및 사료에 대한 제1 섭취 비율 및 간식에 대한 제2 섭취 비율이 반영된 식단의 1일 적정 급여량(521)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영양 상태 분석 영역(510)을 통해 분석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솔루션(522)가 포함될 수 있다.
솔루션(522)에는 서버(100)에 의해 산출된 1회 적정 급여량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0)는 반려동물의 나이와 체중을 고려하여 결정된 적정 급여 횟수와 제1 섭취 비율 및 간식에 대한 제2 섭취 비율이 반영된 식단의 1일 적정 급여량(521)에 기초하여 1회 적정 급여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1일 적정 급여량을 1회 적정 급여량에 기초하여 소분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반려동물의 식단을 1회 적정 급여량에 기초하여 식단에 포함된 사료, 간식 및 물 각각에 대하여 소분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배송 업체를 매칭하고, 배송업체 단말(300)과 통신하여 사료, 간식 및 물 각각 소분된 식단을 사용자 단말(200)의 기설정된 배송지로 배달 공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소분된 식단이 기설정된 배송지로 배달 공급되면, 서버(100)는 기설정된 시간 및 적정 급여 횟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반려동물에게 소분된 식단을 급여하라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의 서버(600)는 도 1의 서버(100)일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600)에 있어서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통신 모듈(6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서버(600)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입출력 및 처리 과정은 모바일/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600)는 PC, 워크스테이션, 데이터 센터 서버, 클라우드 서버 및 하이브리드 서버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서버(600)는 프로세싱 성능을 구비하는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600)는 각종 데이터, 명령어들,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메모리(620)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어들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프로세서(610)와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6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620)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웹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신체정보 및 영양정보, 1일 적정 급여량 및 1회 적정 급여량, 소분된 식단을 배송할 배송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송신되는 커맨드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ROM, P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PRAM, MRAM, RRAM, FRA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DRAM, SRAM, SDRAM, PRAM, RRAM, Fe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20)는 HDD, SSD, SD, Micro-SD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에 저장되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10)는 서버(600)를 제어하기 위한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서버(600) 내부의 각종 연산들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 또는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단일의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620)와 별개의 구성이 아닌, 메모리(620)와 함께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610)는 서버(600) 내에 구비되는 CPU, GPU 및 AP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에 저장되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의 신체정보 및 영양섭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신체정보 및 상기 영양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1일 필요 칼로리를 산출하며, 상기 1일 필요 칼로리에 따라 반려동물 식단에 대한 섭취 비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영양섭취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식단의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할 수 있다.
통신 모듈(630)은 사용자 단말(200) 또는 배송업체 단말(300)과 유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사용자 단말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서버
200 : 사용자 단말
300: 배송업체 단말

Claims (8)

  1.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의 신체정보, 영양섭취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의 얼굴 부분, 머리와 목 부분, 흉골 부분, 늑골 부분, 꼬리 부분, 상기 반려동물의 옆모습, 상기 반려동물의 윗모습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체정보 및 상기 영양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1일 필요 칼로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영양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섭취해야 하는 영양성분의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영양성분의 비율과 사료에 포함된 영양성분을 비교하여 상기 사료에 대한 제1 섭취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영양성분의 비율과 상기 제1 섭취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사료에 포함된 영양성분 중 부족한 영양성분을 포함하도록 간식에 대한 제2 섭취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신체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비만 정도를 결정하고, 상기 비만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섭취 비율 및 상기 제2 섭취 비율을 재결정하는 단계;
    상기 영양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료 및 상기 간식에 포함된 수분 함유량을 산출하고, 상기 1일 필요 칼로리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기 반려동물의 물 섭취 적정량에서 상기 수분 함유량에 따른 상기 반려동물의 물 섭취량을 제외하여 1일 적정 물 섭취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재결정된 제1 섭취 비율, 상기 재결정된 제2 섭취 비율 및 상기 물 섭취량을 포함하는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신체정보에 포함된 상기 반려동물의 품종, 나이 및 체중에 기초하여 1일 적정 급여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1일 적정 급여량 및 상기 1일 적정 급여 횟수를 고려하여 사료에 대한 1회 적정 급여량, 간식에 대한 1회 적정 급여량, 1회 적정 물 섭취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정기 배송일 주기, 정기 배송 횟수 및 복수개의 정기 배송 일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1회 적정 급여량 및 상기 1회 적정 물 섭취량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분된 식단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설정된 배송지로 배달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정보는 반려동물의 성별, 나이, 품종, 체중, 중성화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양섭취 정보는 현재 지급 중인 사료 또는 간식에 대한 영양정보, 급여 횟수, 급여량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의 신체정보, 영양섭취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의 얼굴 부분, 머리와 목 부분, 흉골 부분, 늑골 부분, 꼬리 부분, 상기 반려동물의 옆모습, 상기 반려동물의 윗모습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신체정보 및 상기 영양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1일 필요 칼로리를 산출하며,
    상기 영양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섭취해야 하는 영양성분의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영양성분의 비율과 사료에 포함된 영양성분을 비교하여 상기 사료에 대한 제1 섭취 비율을 결정하며,
    상기 영양성분의 비율과 상기 제1 섭취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사료에 포함된 영양성분 중 부족한 영양성분을 포함하도록 간식에 대한 제2 섭취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신체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비만 정도를 결정하고, 상기 비만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섭취 비율 및 상기 제2 섭취 비율을 재결정하여,
    상기 영양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료 및 상기 간식에 포함된 수분 함유량을 산출하고, 상기 1일 필요 칼로리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기 반려동물의 물 섭취 적정량에서 상기 수분 함유량에 따른 상기 반려동물의 물 섭취량을 제외하여 1일 적정 물 섭취량을 결정하고,
    상기 재결정된 제1 섭취 비율, 상기 재결정된 제2 섭취 비율 및 상기 물 섭취량을 포함하는 1일 적정 급여량을 산출하고,
    상기 신체정보에 포함된 상기 반려동물의 품종, 나이 및 체중에 기초하여 1일 적정 급여 횟수를 결정하며,
    상기 1일 적정 급여량 및 상기 1일 적정 급여 횟수를 고려하여 사료에 대한 1회 적정 급여량, 간식에 대한 1회 적정 급여량, 1회 적정 물 섭취량을 결정하는 장치.
  8.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20156311A 2022-09-22 2022-11-21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61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1481 WO2024063324A1 (ko) 2022-09-22 2023-08-04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878 2022-09-22
KR20220119878 2022-09-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722B1 true KR102561722B1 (ko) 2023-08-02

Family

ID=8756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6311A KR102561722B1 (ko) 2022-09-22 2022-11-21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1722B1 (ko)
WO (1) WO20240633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324A1 (ko) * 2022-09-22 2024-03-28 최문정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839B1 (ko) * 2021-02-16 2021-12-07 임경호 반려 동물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사료 레시피를 도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50116A (ko) * 2020-06-03 2021-12-10 류다연 반려동물 용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하는 시스템
KR20220046146A (ko) * 2020-10-07 2022-04-14 이수비 사료의 성분을 기반으로 반려 동물의 사료 급여량을 도출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722B1 (ko) * 2020-02-12 2021-12-29 주식회사 피티씨랩 반려동물의 비만도를 측정하기 위한 스마트 체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방법
KR102461875B1 (ko) * 2021-01-21 2022-11-02 주식회사 아더하프 반려동물 비만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561722B1 (ko) * 2022-09-22 2023-08-02 최문정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116A (ko) * 2020-06-03 2021-12-10 류다연 반려동물 용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하는 시스템
KR20220046146A (ko) * 2020-10-07 2022-04-14 이수비 사료의 성분을 기반으로 반려 동물의 사료 급여량을 도출하는 방법
KR102336839B1 (ko) * 2021-02-16 2021-12-07 임경호 반려 동물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사료 레시피를 도출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324A1 (ko) * 2022-09-22 2024-03-28 최문정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63324A1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411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customized blend of pet food
Bryan et al. Food allergy in the cat: a diagnosis by elimination
US201101609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ustomized food blends for animals
KR102188099B1 (ko) 반려동물의 성장 관리 시스템
Escobar-Bahamondes et al. Universally applicable methane prediction equations for beef cattle fed high-or low-forage diets
KR102561722B1 (ko) 반려동물 맞춤형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EP35662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optimal growth in animals
KR102349109B1 (ko) 건강기능식품과 영양성분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Niemi et al. A value chain analysis of interventions to control production diseases in the intensive pig production sector
RU2672400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массы,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KR102251643B1 (ko) 딥러닝 기반 예측 모델에 기초한, 산유량, 목표 산유량 달성을 위한 tmr 영양 조성, 목표 비용 달성을 위한 tmr 영양 조성 예측 방법
Doole Economic feasibility of supplementary feeding on dairy farms in the Waikato region of New Zealand
Hall From dearth to excess: The rise of obesity in an ultra-processed food system
US20180078214A1 (en) Prediction method and dietary regime
KR102280307B1 (ko) 반려동물 사료 및 간식 큐레이션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Yıldırım et al. Effects of birth weight and feeding system on fattening performance and feeding behaviour of Karayaka male lambs
US20230129327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customized nutritional supplement inform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ole Improving the profitability of Waikato dairy farms: Insights from a whole-farm optimisation model
Regier et al. Nutrient cost-effectiveness of fortified blended food aid products
Martinez et al. The response of reproducing Japanese quail to dietary valine
WO202215835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194193B1 (ko) 반려동물 최적 건강관리 시스템
TWM564790U (zh) 寵物飼糧客製化訂製系統
Martínez Marín et al. Estimation of the metabolisable energy requirements of feedlot light lambs and comparison with the US National Research Council predictions
WO20231664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deficiencies in nutrition value of feed mix for target anim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