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641B1 - 응원용 소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응원용 소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641B1
KR102561641B1 KR1020230061710A KR20230061710A KR102561641B1 KR 102561641 B1 KR102561641 B1 KR 102561641B1 KR 1020230061710 A KR1020230061710 A KR 1020230061710A KR 20230061710 A KR20230061710 A KR 20230061710A KR 102561641 B1 KR102561641 B1 KR 102561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er
user
information
terminal
subscr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1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영호
Original Assignee
공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영호 filed Critical 공영호
Priority to KR1020230061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원용 소통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응원용 소통 장치는 복수의 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 메뉴로서 식별하는 메뉴 식별부; 및 상기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메뉴가 레터 메뉴인 경우 레터 작성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레터 작성 화면에서 응원 관련 레터 정보의 입력 후 발송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레터 정보에 대응하는 레터 메시지를 상기 레터 정보 내 수신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수신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수신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응원용 소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eering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응원용 소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크리에이터와 팬 사이에 소통과 응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으로서 모바일 SNS 팬클럽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응원용 소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부분의 크리에이터(예술인)는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구체적으로, 전체 예술인의 절반인 겸업 예술인의 73.6%는 소득문제로 예술활동에 전념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난 1년간 전업/겸업 예술인의 예술활동을 통한 개인 수입은 평균 1,281만원으로 나타나고, 예술활동 개인 수입이 1200만원 미만인 경우는 전체의 72.7%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예술인의 절대 다수는 생계의 고통을 넘어 생존이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경제적 문제로 인해, 대부분의 크리에이터는 예술활동보다 생계를 위한 활동에 대다수의 시간을 할애하고 있고, 예술활동에 평균 14.8시간, 예술 활동 외 직업에 평균 43.8시간을 투입(할애)하고 있으며, 크리에이터에 입문한 이후 1년 이상 예술활동을 포기한 상태인 예술경력 단절 경험자가 23.9%인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한편, 종래에 크리에이터들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는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 틱톡 등의 다양한 SNS 플랫폼(platform)이 존재한다. 그런데, 종래에 공지된 SNS 플랫폼들은, 주로 크리에이터가 팬을 향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크리에이터 → 팬]을 향한 방향성을 가지며, 대부분 서로 간 소통보다는 컨텐츠를 전달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팬들에게 있어서 크리에이터와의 만남과 소통은 가치있는 경험이라 할 수 있는데, 종래의 SNS 플랫폼들은 단방향성으로 크리에이터가 팬을 향해 컨텐츠를 전달하는 방식임에 따라, 서로 간에 진정성 있는 대화(소통)를 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기존 SNS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특히 팬들들)은, 자신이 크리에이터에게 보낸 메시지가 제대로 전달되고 있는지의 확인이 어렵다는 등의 이유로, 컨텐츠 댓글이나 기존 1:1 메시지를 통한 크리에이터와의 소통에서 불만족스러움을 많이 느껴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에는 팬들이 크리에이터를 향하여 응원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즉 [팬 → 크리에이터] 방향으로의 응원 및 소통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부재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3086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팬이 크리에이터를 향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응원과 소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즉, [팬 → 크리에이터] 방향으로의 응원 및 소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크리에이터에게 수입이 발생되도록 하여 경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응원용 소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소통 장치는, 복수의 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 메뉴로서 식별하는 메뉴 식별부; 및 상기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메뉴가 레터 메뉴인 경우 레터 작성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레터 작성 화면에서 응원 관련 레터 정보의 입력 후 발송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레터 정보에 대응하는 레터 메시지를 상기 레터 정보 내 수신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수신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수신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수신자를 응원하고 수신자와의 소통을 희망하는 수신자의 팬(fan)이 소지한 팬 단말이고, 상기 수신자 단말은, 예술활동을 하며 팬들과의 소통을 희망하는 크리에이터가 소지한 크리에이터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레터 정보는, 수신자의 계정 아이디 정보, 레터 공개범위 설정 정보, 레터 제목, 레터 내용, 및 해시태그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자 단말로의 상기 레터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수신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수신자 계정 페이지 내 받은레터 항목 및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페이지 내 보낸레터 항목 각각에 상기 전송된 레터 메시지가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터 정보 내 레터 공개범위 설정 정보가 전체공개로 입력된 후 발송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레터 메시지가 상기 수신자의 계정의 수신자 계정 페이지에 접속한 접속 가입자들 각각의 단말의 화면에 노출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수신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응원용 소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팬이 크리에이터를 향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응원과 소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즉, [팬 → 크리에이터] 방향으로의 응원 및 소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크리에이터에게 수입이 발생되도록 하여 경제적으로 도움 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소통 장치를 포함하는 응원용 소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소통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응원용 소통 서비스의 구현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소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소통 장치(10)를 포함하는 응원용 소통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소통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응원용 소통 서비스의 구현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소통 장치(10)를 본 장치(10)라 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소통 시스템(100)을 본 시스템(100)이라 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면들에 도시(기재)된 사항은 본 장치(10)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은, 본 장치(10) 및 복수의 단말(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복수의 가입자(20') 간에 소통과 응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응원용 소통 장치일 수 있다.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복수의 가입자(20')에는 팬, 크리에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가입자는 사용자, 서비스 이용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응원용 소통(혹은 응원용 소통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복수의 가입자(20')가 소지한 복수의 단말(20) 각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가입자(20')가 각자 자신의 단말을 통해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응원용 소통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응원용 소통과 관련된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은, 각각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웹 페이지, 본 앱 페이지, 본 프로그램 및 본 애플리케이션(본 앱)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응원용 소통 서비스는 본 서비스라 달리 지칭될 수 있고, 본 서비스의 이름(서비스명)은 일예로 치어스(CHEERS)일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플랫폼(본 플랫폼)은, 응원용 소통 플랫폼, 응원용 소통 서비스 제공 플랫폼, 모바일 SNS 팬클럽 플랫폼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가입자(20')는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로서, 각자 자신의 단말을 통해 본 웹 페이지, 본 앱 페이지, 본 프로그램 또는 본 앱에 접속하여, 본 프로그램 또는 본 앱을 설치하거나 설치하지 않고, 본 장치(10)에 가입(회원가입)을 수행 완료한 사용자들(가입자들)을 의미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본 장치(10) 내 제어부(12)는, 일예로 본 장치(10)에 회원가입을 완료한 사용자들인 복수의 가입자(20') 각각의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 DB(13)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가입자 정보는, 회원 정보, 사용자 정보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고, 가입자 이름, 계정 아이디 정보, 전화번호(핸드폰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20)은 복수의 가입자(20')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20)은 제1 가입자(21')가 소지한 제1 단말(21), 제2 가입자(22')가 소지한 제2 단말(22), 제3 가입자(23')가 소지한 제3 단말(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가입자(20') 중 어느 한 가입자의 단말은 다른 어느 한 가입자의 단말로 레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다른 어느 한 가입자는 상기 어느 한 가입자가 전송한 레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레터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기 어느 한 가입자는 발신자, 사용자, 팬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반면, 레터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다른 어느 한 가입자는 수신자, 크리에이터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장치(10)를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어느 한 가입자가 복수의 가입자(20') 중 제1 가입자(21')인 것으로 예시하고, 상기 다른 어느 한 가입자가 복수의 가입자(20') 중 제2 가입자(22')인 것으로 예시하기로 한다. 즉, 이하에서는 본 장치(10)를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제1 가입자(21')는 제2 가입자(22', 크리에이터)에게 레터 메시지를 전송(발신)하는 제2 가입자(22')의 팬(사용자)인 것으로 예시하고, 제2 가입자(22')는, 팬인 제1 가입자(21')로부터 레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크리에이터인 것으로 예시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가입자(20') 각각은 레터 메시지를 보내는 사람인지 또는 수신하는 사람인지에 따라, 발신자 또는 수신자로 구분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가입자(20') 각각은 발신자가 될 수도 있고, 수신자가 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가입자(20') 각각은 레터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 발명에서, 복수의 단말(혹은 복수의 가입자) 중 어느 한 단말(혹은 어느 한 가입자)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의 단말(혹은 복수의 가입자)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가입자(21') 또는 제2 가입자(22') 각각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복수의 가입자(20')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단말(21)은 제1 가입자(21')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제1 가입자(21')가 발신자, 사용자, 팬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는바, 제1 단말(21)은 발신자 단말, 사용자 단말, 팬 단말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제2 단말(22)은 제2 가입자(22')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제2 가입자(22')가 수신자, 크리에이터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는바, 제2 단말(22)은 수신자 단말, 크리에이터 단말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장치(1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가입자(21')의 제1 단말(21)을 사용자(21', 팬)의 사용자 단말(21)이라 지칭하고, 제2 가입자(22')의 제2 단말(22)을 수신자(22', 크리에이터)의 수신자 단말(22)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복수의 단말(20) 각각은, 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장치(10)는 복수의 단말(20) 각각과 네트워크(30)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30)는 일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장치(10)는 메뉴 식별부(11), 제어부(12) 및 가입자 DB(13)를 포함할 수 있다.
메뉴 식별부(11)는, 복수의 메뉴 중 사용자(21')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 메뉴로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메뉴는 일예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 메뉴, 검색 메뉴, 레터 메뉴, 알림 메뉴 및 마이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뉴 식별부(11)는, 사용자 단말(21)이 본 장치(10)에 접속한 경우(즉,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본 앱 또는 본 프로그램에 접속한 경우), 복수의 메뉴를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이후 복수의 메뉴 중 사용자(21')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한 메뉴를 선택 메뉴로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메뉴 식별부(11)에서의 식별에 응답하여, 사용자(2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선택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이 사용자(21')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2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사용자 단말(21) 뿐만 아니라, 복수의 단말(20) 각각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작동으로서 일예로 각 단말의 화면 표시(화면 표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메뉴 식별부(11)에서 식별된 상기 선택 메뉴가 레터 메뉴인 경우 레터 작성 화면을 사용자 단말(21)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1)에서 상기 작성 화면에서 응원 관련 레터 정보의 입력 후 발송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레터 정보에 대응하는 레터 메시지를 상기 레터 정보 내 수신자(22')가 확인 가능(즉, 레터 정보 내 수신자의 계정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수신자(22')의 계정에 대응하는 수신자 단말(2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1)은, 수신자(22')를 응원하고 수신자와의 소통을 희망하는 수신자의 팬(fan)(사용자, 21')이 소지한 팬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수신자 단말(22)은, 예술활동을 하며 팬들과의 소통을 희망하는 크리에이터(수신자, 22')가 소지한 크리에이터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예술활동은 음악, 작사, 작곡, 미술(그림), 글, 컨텐츠 제작 등 다양한 예술과 관련된 활동을 의미할 수 있고,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예술 관련 활동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크리에이터는 일예로 가수, 작곡가, 작사가, 미술가, 웹툰작가, 작가(소설 등 작가), 유튜버, 방송인, 아나운서, 개그맨, 컨텐츠 제작자 등 다양한 분야의 사용자(유명인)일 수 있다. 레터 메뉴에 대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레터 작성 화면은, 사용자(21')가 수신자(22')에게 보내고자 하는 레터(메시지, 편지) 정보의 작성이 가능한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레터 작성 화면 내 입력 가능한 레터 정보는, 사용자(21')가 수신자(22')에게 보내고자 하는 응원과 관련된 정보인 응원 관련 레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은 레터 작성 화면을 통해 사용자(21')로부터 응원 관련 레터 정보를 입력받고, 이후 레터 작성 화면 내 일영역에 마련된 발송 버튼에 대한 사용자(21')의 클릭이 이루어지면, 사용자(21')에 의해 입력된 레터 정보를 본 장치(10)로 업로드하여 레터 정보에 대한 발송 요청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레터 정보는, 수신자의 계정 아이디 정보, 레터 공개범위 설정 정보, 레터 제목, 레터 내용, 및 해시태그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터 정보는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영상 정보는 이미지(사진), 동영상(특히, 기 설정된 용량 이하의 크기를 갖는 짧은 클립 영상), 및 음악(일예로 배경음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정보는 일예로 사용자 단말(21) 내 갤러리 공간에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 중에서 선택함으로써 입력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수신자의 계정 아이디 정보는, 일예로 레터 메뉴의 클릭(선택)시 화면에 제공되는 검색어 입력란에서 사용자(21')가 원하는 계정 아이디 정보를 검색하여 선택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2)는 사용자(21')가 레터 메뉴를 클릭하면, 검색어 입력란을 화면에 제공함으로써, 제공된 검색어 입력란을 통해 사용자(21')가 레터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상대방인 수신자의 계정 아이디 정보를 검색하여(찾아서) 선택하도록 하고, 이후 사용자(21')가 일예로 검색을 통해 수신자(22')의 계정 아이디 정보를 선택(클릭)하면, 이후 수신자(22')의 계정 아이디 정보가 받는사람 입력란에 기입되어 있는 상태의 레터 작성 화면을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레터 공개범위 설정 정보는, 사용자(21')가 수신자(22')에게 보내고자 하는 레터 메시지가 어디까지 공개되도록 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정보로서, 전체공개가 가능한 전체공개 선택란, 및 받는사람한테만 공개가 가능한 받는사람만 선택란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전체공개 선택란을 선택함으로써 레터 공개범위 설정 정보가 전체공개로 입력된 경우, 사용자(21')가 수신자(22')에게 전송하는 레터 메시지는 수신자(22')와 사용자(21', 발신자) 외에 수신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수신자 계정 페이지에 접속한 모든 사용자들(모든 접속자들)이 볼 수 있는 상태(확인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받는사람만 선택란을 선택함으로써 레터 공개범위 설정 정보가 받는사람만으로 입력된 경우, 사용자(21')가 수신자(22')에게 전송하는 레터 메시지는 수신자(22')와 사용자(21', 발신자)만 볼 수 있는 상태(확인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레터 공개범위설정 정보는 일예로 기본적으로 전채공개로 선택되어 있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2)는, 사용자 단말(21)에서 레터 작성 화면을 통해 레터 정보의 입력 후 발송 버튼에 대한 사용자(21')의 클릭이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 일예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터 발송 항목, 임시저장 항목 및 취소 항목을 포함한 팝업창을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하고, 이후 일예로 레터 발송 항목에 대하여 사용자(21')의 클릭이 이루어지면, 이를 발송 요청이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하여, 이후 사용자(21')에 의해 입력된 레터 정보에 대응하는 레터 메시지를, 레터 정보 내에 입력된 수신자의 계정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자(22')가 확인 가능하도록 수신자 단말(22)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레터 정보 내 레터 공개범위 설정 정보가 전체공개로 입력된 후 발송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레터 메시지가 수신자(22')의 계정의 수신자 계정 페이지에 접속한 접속 가입자들 각각의 단말의 화면에 노출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즉, 수신자 계정 페이지에 접속한 모든 사용자들이 볼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수신자 단말(22)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에서 발송 요청을 함에 따라 수신자 단말(22)로 전송된(전송이 완료된) 레터 메시지는, 일예로 도 6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것과 같을 수 있다.
제어부(12)는, 수신자 단말(22)로의 레터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이후 수신자(22')의 계정에 대응하는 수신자 계정 페이지 내 받은레터 항목 및 사용자(21', 발신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페이지 내 보낸레터 항목 각각에 상기 전송된(전송이 완료된) 레터 메시지가 노출되도록 수신자 단말(22)과 사용자 단말(21) 각각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1)에서 수신자 단말(22)로의 레터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제어부(12)에 의해 전송이 완료된 레터 메시지는, 사용자 계정 페이지 내 보낸레터 항목을 통해 기록이 남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 계정 페이지에 접속한 모든 접속 가입자들이 해당 레터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상태(즉, 볼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에 의해 전송이 완료된 레터 메시지는, 수신자 계정 페이지 내 받은레터 항목을 통해 기록이 남게 되고, 이를 통해 수신자 계정 페이지에 접속한 모든 접속 가입자들이 해당 레터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상태(즉, 볼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수신자 계정 페이지 내 받은레터 항목을 통해 노출된 레터 메시지(일예로 사용자(21')가 수신자(22')에게 보낸 레터 메시지)에는, 수신자 계정 페이지에 접속한 접속 가입자들에 의해 해당 레터 메시지에 대한 평가, 응원 등에 관한 댓글(코멘트)이 남겨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에서 수신자 단말(22)로 전송이 완료된 레터 메시지는, 수신자(22')와 사용자(21', 발신자) 뿐만 아니라, 이들을 포함하여 수신자 계정 페이지 및 사용자 계정 페이지 각각에 접속한 모든 사용자들(가입자들)이 볼 수 있는 상태(즉, 수발신자 외 제3자 까지도 모두 볼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 페이지는, 일예로 사용자(21')가 사용자 단말(21)을 통해 복수의 메뉴 중 마이 메뉴를 클릭(선택)했을 때 보여지는 페이지를 의미할 수 있다. 수신자 계정 페이지는, 일예로 수신자(22')가 수신자 단말(22)을 통해 복수의 메뉴 중 마이 메뉴를 클릭(선택)했을 때 보여지는 페이지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은 복수의 단말(20) 중 사용자 단말(21)을 제외한 타 단말들(22, 23, …) 중 적어도 하나의 타 단말을 대상으로 레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 단말로 전송한 레터 메시지들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사용자 계정 페이지 내 보낸레터 항목을 통해 화면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1)은 상기 타 단말들(22, 23, …) 중 적어도 하나의 타 단말로부터, 타 단말에 의해 작성되고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레터 메시지들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사용자 계정 페이지 내 받은레터 항목을 통해 화면에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는, 메뉴 식별부(11)에서 식별된 선택 메뉴가 홈 메뉴인 경우, 일예로 도 3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홈 화면을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홈 화면은 일예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영역은 사용자(21')가 자신이 팬으로 등록 시켜둔(일종의 팔로우 시켜둔) 가입자들(즉, 크리에이터들)의 계정 아이디의 리스트가 노출되는 영역이고, 제2 영역은 사용자(21')가 타 가입자들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레터 메시지가 노출(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일예로 홈 화면에서 제1 영역은 상단 일영역이고, 제2 영역은 하단 일영역일 수 있다.
제어부(12)는, 메뉴 식별부(11)에서 식별된 선택 메뉴가 검색 메뉴인 경우, 일예로 도 3의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검색 화면을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21')는 검색 화면에서 검색어의 입력을 통해 사용자 검색 또는 해시태그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21')는 사용자 검색을 통해, 검색어의 입력을 통해 타 가입자들 중 검색을 원하는 특정 가입자(일예로 특정 크리에이터 등)를 검색할 수 있고, 자신이 검색어로 입력한 정보와 매칭되는 가입자를 검색하여 볼 수 있다. 사용자(21')는 해시태그 검색을 통해, 자신이 검색어로 입력한 정보와 매칭되는 해시태그를 갖는 게시물 등을 검색하여 볼 수 있다.
제어부(12)는, 메뉴 식별부(11)에서 식별된 선택 메뉴가 레터 메뉴인 경우, 일예로 도 3의 세번째 그림에 도시된 것과 같은 레터 보내기 첫 화면을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레터 보내기 첫 화면은, 검색어 입력란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검색어 입력란에서 사용자(21')는 레터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수신자의 계정 아이디 정보를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특정 수신자의 계정 아이디 정보가 선택되면, 이후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에 레터 작성 화면이 노출(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21')는 사용자 단말(21)에서 레터 메뉴를 클릭함으로써, 레터 메뉴를 통해 사용자 본인이 원하는 타 가입자(일예로 크리에이터 등)에게 레터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제어부(12)는, 메뉴 식별부(11)에서 식별된 선택 메뉴가 알림 메뉴인 경우, 일예로 도 3의 네번째 그림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알림 화면을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알림 화면은 사용자(21')에게 제공되는 복수 종류의 알림 정보의 리스트가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여기서, 복수 종류의 알림 정보는 일예로 레터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는 수신 알림 정보,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공지 알림 정보, 대화 요청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대화 요청 알림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본 장치(10)를 이용함에 있어서 본 장치(10)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알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21')는 알림 메뉴를 통해 자신이게 온 여러 알림 내용들을 확인 가능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21')에게 온 알림들은 알림 수신 후 기 설정된 시간(일예로 30일)까지만 알림 메뉴를 통해 화면에 노출되고, 상기 기 설정된 기간 이후에는 화면에 미노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메뉴 식별부(11)에서 식별된 선택 메뉴가 마이 메뉴인 경우,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용자 계정 페이지에 대응하는 마이페이지 화면을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페이지 화면(즉, 사용자 계정 페이지)은,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가 표시되는 제3 영역, 및 레터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제4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영역은 프로필 정보로서, 답신율 정보, 팬 수 정보, 좋아요 수 정보, 사용자 이름, 및 프로필 편집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팬 수 정보는 일예로 사용자가 팬으로 지정한 타 가입자의 수, 즉 사용자가 팬으로 등록한 크리에이터의 수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좋아요 수 정보는 일예로 사용자(21')를 팬으로 지정해둔 타 가입자의 수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답신율 정보는 일예로 사용자(21')가 타 가입자들로부터 수신한 레터 메시지의 수(즉, 수신된 레터 메시지의 전체 수) 대비, 수신한 레터 메시지들 중 응답(일예로 해당 레터 메시지에 댓글을 남기거나, 답장을 하는 등의 응답)을 한 비율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4 영역은, 사용자(21')와 관련된 레터 메시지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받은레터 항목(받은레터 탭), 보낸레터 항목(보낸레터 탭), 및 좋아요 항목(좋아요 탭)을 포함할 수 있다. 받은레터 항목은 사용자(21')가 타 가입자들로부터 받은 레터 메시지들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항목을 의미할 수 있다. 보낸레터 항목은 사용자(21')가 타 가입자들에게 보낸 레터 메시지들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항목을 의미할 수 있다. 좋아요 항목은 일예로 타 가입자들로부터 받은 레터 메시지들 및 타 가입자들에게 보낸(전송한) 레터 메시지들 중 사용자(21')가 좋아요를 한 레터 메시지들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항목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받은레터 항목은 사용자가 다른 가입자들로부터 받은 레터 메시지를, 보낸레터 항목은 사용자가 다른 가입자들에게 보낸(전송한) 레터 메시지를, 좋아요 항목은 사용자가 좋아요 표시를 한 레터 메시지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항목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메뉴 식별부(11)에서 식별된 선택 메뉴가 레터 메뉴인 경우, 일예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레터 관련 화면을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21')는 레터 관련 화면을 통해 레터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레터 메시지를 타 가입자(일예로 수신자(2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일예로 사용자 단말(21)에서 레터 정보의 입력 후 발송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발송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자 단말(22)로 레터 메시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레터 메시지의 발송에 따른 요금(레터 메시지 발송 요금)을 사용자 단말(21)에 대하여 과금할 수 있다. 여기서, 요금(레터 메시지 발송 요금)의 금액은 본 장치(10)를 관리하는 관리자(미도시)에 의해 다양한 값으로 설정 및 변경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50원, 100원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12)는 일예로 팬인 사용자(21')가 크리에이터인 수신자(21')에게 레터 메시지를 전송하려 할 때, 레터 메시지의 발송에 따른 요금이 사용자(21')에게 과금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는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복수의 가입자(20')의 복수의 단말(20)로부터 레터 메시지의 발송에 따라 과금된 과금 금액에 대하여, 일예로 본 앱이 배포된 앱 스토어(일예로 구글 스토어, 애플 스토어 등)에서 정산한 후, 정산된 과금 금액이 본 장치(10)에 기 등록된 기업 계좌에 적립(입금)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는 기업 계좌에 적립된 상기 정산된 과금 금액 중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과금이 이루어진 레터 메시지에 대응하는 수신자(크리에이터)의 계좌로 입금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장치(10)에 기 등록된 기업 계좌는, 일예로 본 장치(10)에 대응하는 기업(즉, 본 장치(1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속된 기업)의 기업 계좌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가입자(20') 중 30명의 가입자(20')가 수신자(22')의 수신자 단말(22)로 레터 메시지를 발송한 경우, 제어부(12)는 30명의 가입자(20') 각각의 단말로부터 레터 메시지의 발송에 따른 요금으로 일예로 100원씩 과금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수신자(22')에 의하여 총 3000원(즉, 30명 X 100원 = 3000원)에 해당하는 금액을 과금한 것이므로, 제어부(12)는 수신자(22')에 의해 과금된 금액(즉, 30명의 가입자(20')로부터 과금한 금액)(내지 정산된 과금 금액)인 총 3000원 중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일예로 1000원)을 수신자(22')가 수신자 단말(22)에 기 등록해둔 수신자의 계좌로 입금(지급, 제공, 이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어부(12)는 상기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수신자(22')에게 제공함으로써,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수신자(22')에게 수익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2)가 레터 메시지를 수신자 단말(22)로 제공하고 나면, 이후 수신자(22')는 자신의 팬인 사용자(21')로부터 전송된 레터 메시지에 대하여, 레터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하거나 혹은 무응답을 할 수 있다. 이때, 수신자(22')는 자신이 수신한 레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일예로 해당 레터 메시지에 댓글을 남기거나, 답장(답신)을 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수신자(22')가 댓글을 남기거나 답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무응답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즉, 본 장치(10) 및 본 시스템(100))은, 종래의 SNS 플랫폼들(일예로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과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차별점 및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은 [팬 → 크리에이터]를 향하는 방향성으로 독자 주도적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21')가 자신이 원하는 크리에이터에게 쉽고, 간단하게, 효과적으로 메시지(레터 메시지)를 전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터 메시지의 전송(발송)시 레터 메시지를 보내는 사용자에게 과금을 수행함으로써, 본 플랫폼 내에서 가입자들(사용자들) 간에 악성 레터 메시지의 송수신의 발생이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상호 간에 양질의 소통 및 응원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팬 입장에서 단순 후원과 달리 즉각 느낄 수 있는 부가가치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팬인 사용자(21')가 크리에이터인 수신자(22')에게 전송한 레터 메시지가, 단 둘만이(즉, 사용자와 수신자)만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 둘 외에도 제3자인 대중에게까지 보여지도록(즉, 사용자 계정 페이지와 수신자 계정 페이지 각각에 접속한 접속 가입자들에게까지 공개, 노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레터 메시지가 대중에게까지 공개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은 팬인 사용자(21')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팬 본인의 심리적 만족감을 충족시켜 줄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본인의 레터 메시지가 상대방(수신자)에게 확실히 전해진다는 믿음을 갖게 할 수 있고, 레터를 보내지 않은 팬에 비해 비교 우위의 심리를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자신이 상대방에게 보낸 레터 메시지에 대한 다른 팬들(즉, 사용자(21') 외에 수신자 계정 페이지에 접속한 다른 팬들)의 반응을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재미 유발 요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레터 메시지가 대중에게까지 공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21')로 하여금, 레터 메시지를 보낸 상대방인 크리에이터가 자신이 보낸 레터 메시지에 반응하도록 간접적으로 자극 및 촉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신이 보낸 레터 메시지가 크리에이터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플랫폼의 제공을 통해(특히나, 수발신된 레터 메시지가 표출되는 사용자 계정 페이지나 수신자 계정 페이지의 제공을 통해), 팬과 크리에이터(작가 등) 간의 소통 및 응원의 공간으로 활용되도록 하고, 팬들 간의 놀이 공간으로 활용되도록 하며, 크리에이터가 팬으로부터 작품과 관련해 피드백 청취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플랫폼의 제공을 통해 팬이 크리에이터에게 컨텐츠 소재를 제안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크리에이터로 하여금 컨텐츠 공급에서 끝나지 않고 팬과의 소통을 통한 다양한 활동의 전개가 가능하도록 하고, 크리에이터의 자기 PR 및 작품 홍보 등의 노출 기회가 가능하도록 하며, 크리에이터의 컨텐츠 제작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도록 도움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지니스 측면에서 보았을 때, 본 플랫폼의 제공을 통해 단체/기업에서 크리에이터의 섭외 창구로 활용 가능토록 하고, 크리에이터 간 소통과 협업 모색이 용이하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계정 페이지는 일예로 팬 페이지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복수의 가입자(20')들이 소통과 응원의 즐거움을 느끼도록 하고, 가입자가 원하는 크리에이터와 손쉽게 연결하여 소통 가능하도록 하고, 서로 간에 신뢰할 수 있고 진정성이 느껴지는 대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함께 응원하여 즐거움이 커지도록 하며, 팬이 크리에이터에게 보낸 레터 메시지를 크리에이터의 다른 팬들이 함께 보고 대화(소통)를 나눌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가입자들 누구나가 서로의 크리에이터 혹은 팬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예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제어부(12)는, 사용자 단말(21)에서 발송 요청이 이루어지면, 사용자(21')가 입력한 레터 정보를 포함한 레터 메시지를 생성해 수신자 단말(22)로 전송하고, 수신자 단말(22)에서 수신자 계정 페이지 내 받은레터 항목에 상기 레터 메시지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수신자 계정 페이지의 받은레터 항목에 노출된 레터 메시지는, 레터 메시지에 대응하는 수신자(22')와 사용자(21') 뿐만 아니라, 복수의 가입자(20') 중 수신자 계정 페이지에 접속한 접속 가입자들의 단말 상에 노출 가능함에 따라 수신자(22'), 사용자(21'), 접속 가입자들 모두가 확인 가능한 상태일 수 있고, 수신자(22'), 사용자(21') 및 접속 가입자들은 해당 레터 메시지를 본 이후 댓글을 남기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일예로 제어부(12)는, 사용자 단말(21)에서 수신자 단말(22)로 레터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 상기 레터 메시지와 관련하여, 수신자 계정 페이지에 접속한 접속 가입자들(일예로 2000명) 중 사용자(21')를 포함한 일부 접속 가입자들(일예로 사용자(21') 외에, 제3 가입자 내지 제7 가입자를 포함하여, 총 6명의 접속 가입자)이 상기 레터 메시지에 댓글을 남기고, 댓글을 남긴 상기 일부 접속 가입자들 간에 직접 만남(즉, 오프라인 상에서의 직접적인 대면 만남)이 결정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직접 만남이 결정된 상기 레터 메시지가 기 설정된 알람 기준을 충족할 때 위치 공유 지도를 생성하여 상기 직접 만남과 관련된 사용자들인 상기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소지한 단말 각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알람 기준은 상기 직접 만남에 대응하는 직접 만남의 날짜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일예로 2시간) 이전에 해당하는 시간이 되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직접 만남의 날짜는 년도(year), 월(month),일(day), 및 시간 정보(시간, 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공유 지도는, i) 직접 만남과 관련된 상기 일부 접속 사용자들이 소지한 단말들 각각의 현 위치 정보, 및 ii) 일부 접속 가입자들의 단말 각각의 현 위치로부터 직접 만남의 장소의 위치까지의 최단 이동 경로 정보가 지도 상에 표시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현 위치 정보는 각 단말에 내장된 GPS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일부 접속 가입자들의 단말 각각이 이동 및 휴대가 용이한 단말(일예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2)는 위치 공유 지도를 상기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소지한 단말 각각으로 제공한 이후,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소지한 단말 각각의 현 위치 정보가 모두, 직접 만남의 장소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일예로 200m) 이내에 일정 시간(일예로 10분) 동안 위치해 있는 것으로 판단(감지)되는 경우, 이를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모두 직접 만남의 장소에 함께 모여 실제로 직접적인 만남이 이루어진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여, 더이상 위치 공유 지도가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소지한 단말 각각으로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즉,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소지한 단말 각각으로의 위치 공유 지도의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는, 위치 공유 지도를 생성해 제공할 때, 레터 메시지가 기 설정된 알람 기준을 충족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시점에 일부 접속 가입자들의 단말 각각의 GPS 센서가 OFF 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GPS 센서를 강제로 ON 상태로 제어하고, ON 상태의 GPS 센서로부터 상기 일부 접속 가입자들의 단말 각각의 현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해 위치 공유 지도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소지한 단말 각각의 현 위치 정보가 모두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일부 접속 가입자들의 단말 각각으로의 위치 공유 지도의 제공을 중단하고, 이후 일부 접속 가입자들의 단말 각각의 GPS 센서를 강제로 ON 상태로 제어하기 이전의 상태(즉, 강제로 ON으로 제어하기 이전에 GPS 센서가 OFF 상태였다면, 위치 공유 지도의 제공이 중단된 후 다시 해당 단말의 GPS 센서를 OFF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위치 공유 지도의 제공을 통해,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각자 직접 만남의 장소까지 이동함에 있어서 최단 이동 경로 정보를 통해 가장 빨리 도착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받아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위치 공유 지도의 제공을 통해, 직접 만남의 장소에서의 만남이 예정되어 있는 복수의 가입자들(특히,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직접 만남의 당일에 서로가 현재 어디쯤 위치해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특정 가입자가 약속 시간보다 늦는 경우 해당 가입자에게 따로 연락(전화)을 취해 현재 어디쯤 있는지를 일일이 확인할 필요없이, 손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직접 만남의 날짜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일예로 3시간) 이전에 해당하는 시점부터,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소지한 단말 각각의 현 위치 정보가 모두 직접 만남의 장소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에 일정 시간 동안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된 시점까지에 한하여, 위치 공유 지도의 제공 및 각 단말의 현 위치 정보의 실시간 정보의 강제 수집을 수행하므로, 불필요한 위치 정보의 수집 등을 없애고, 직접 만남이 예정된 다수의 가입자들(즉, 일부 접속 가입자들) 간에 원활한 만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위치 공유 지도를 생성하기 이전에, 상기 일부 접속 가입자들 간에 직접 만남이 결정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직접 만남의 장소의 추천을 위해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의 일영역에 직접 만남 장소 추천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는, 직접 만남 장소 추천 버튼에 대하여 사용자(21')의 클릭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일부 접속 가입자들의 단말들 각각의 현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각각의 현 위치 정보마다, 지도 상에서 각각의 현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한 복수개의 반경 영역(즉,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6명이므로, 6개의 반경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개의 반경 영역 간의 겹침 영역을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겹침 영역 내에 위치하는 어느 한 지점의 위치를 상기 직접 만남의 장소의 추천을 위한 추천 위치로서 사용자 단말(21)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는 사용자 단말(21)로 제공된 직접 만남의 장소의 추천 위치에 대하여 사용자(21')로부터 확인 응답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추천 위치를 직접 만남의 장소의 위치로 결정하고, 이후 결정된 직접 만남의 장소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일부 접속 가입자들의 단말 각각으로 공유함으로써, 직접 만남의 장소의 위치에서 일부 접속 가입자들 간에 직접 만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직접 만남의 장소의 위치가 결정되고 나서, 이후 제어부(12)는 결정된 직접 만남의 장소의 위치를 고려하여 위치 공유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직접 만남의 장소의 위치는 일예로 다중이용시설 등과 같은 실내 공간의 위치이거나, 혹은 공원, 놀이터 등과 같은 실외 공간의 위치일 수 있다. 다중이용시설은 예시적으로 카페, 음식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직접 만남의 장소의 위치가 겹침 영역 내의 어느 한 지점의 위치로 결정(선정)되도록 함으로써,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오프라인 상의 특정 장소에서 만남을 수행함에 있어서, 일부 접속 가입자들(즉, 일예로 6명의 사용자들) 중 적어도 일부 가입자가 다른 가입자 대비 거리가 너무 멀다고 느껴 불만이 생기도록 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일부 접속 가입자들 각각의 위치를 고려하여,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보다 중간에 해당하는 공평한 위치에서 직접 만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직접 만남의 장소의 위치에서 직접 만남의 날짜에 실제로 만났다고 하자. 이때, 사용자(21')는 직접 만남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특정 다중이용시설로의 이동을 원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일예로 1차로 직접 만남의 장소의 위치(일예로 파스타 음식점의 위치)에서 만나서 같이 식사를 하고, 이후 2차로 카페 등의 다중이용시설로 이동을 원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2)는 사용자(21')가 다음 2차로 이동하려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추천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중이용시설 추천 버튼을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는 다중이용시설 추천 버튼에 대한 사용자(21’)의 선택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이동 가능한 다중이용시설의 장소(위치)를 추천하기 위해, 상기 선택 입력이 이루어진 선택 입력 시점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21)의 현재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일예로 500m) 이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다중이용시설을 복수의 추천 다중이용시설로서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는, 다중이용시설 추천 버튼에 대한 사용자(21')의 선택 입력이 이루어진 선택 입력 시점을 기준으로, 식별된 복수의 추천 다중이용시설(일예로 10개의 추천 다중이용시설) 중 선택 입력 시점에 이용할 수 있는 이용가능 다중이용시설에 대응하는 식별자와, 선택 입력 시점에 이용할 수 없는 이용불가 다중이용시설에 대응하는 식별자(아이콘)를 서로 구분하여 지도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21)로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2)는 지도 상에, 이용가능 다중이용시설의 식별자를 빨간색으로 표시 또는 제1 크기로 표시하고, 이용불가 다중이용시설의 식별자는 검은색으로 표시 또는 제1 크기보다 작은 제1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추천 다중이용시설 각각마다는, 영업시간이 각자 상이할 수 있고, 또한, 개인 사정이나 휴가기간 일정의 차이, 경조사, 사고 등의 이유로 갑작스레 문닫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 각 다중이용시설마다 문 닫는 시기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2)는 사용자(21’)가 다중이용시설 추천 버튼을 선택한 선택 입력 시점을 기준으로, 식별된 복수의 추천 다중이용시설 각각마다의 개인 사정, 휴가기간 일정 차이, 경조사, 사고 등에 의한 문 닫는 시기(갑작스런 문 닫는 시기)의 차이 및 영업시간의 차이가 고려된 현재의 영업 상태(즉, 현재 영업 중인지, 아니면 영업 중이 아닌지의 상태)를 고려하여, 선택 입력 시점에서의 현재 사용자(21’)가 이용할 수 있는 이용가능 다중이용시설의 식별자와 현재 이용할 수 없는 이용불가 다중이용시설의 식별자를 서로 구분하여 달리 표시한 지도를 사용자 단말(21)로 제공함으로써, 일예로 사용자(21’)가 다음 2차로 이동하려는 다중이용시설을 보다 빠르게 결정하고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문 닫는 시기(갑작스런 문 닫는 시기)의 정보(즉, 개인 사정에 의해 문이 닫혀있는지, 휴가 기간, 경조사, 사고 등에 의해 문이 닫혀있는 상태인지 등의 정보)는, 일예로 해당 다중이용시설과 관련하여 인터넷 상에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된 소셜 데이터의 실시간 분석을 통해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문 닫는 시기 정보는 포털 사이트(일예로 네이버)에 해당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기 등록된 영업시간 정보와는 별도로 문 닫는 시기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소셜 데이터는 일예로 인스타, 페이스북 등에 업로드된 게시글, 네이버 등의 블로그, 뉴스기사 등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12)는,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특정 장소에 모인 이후 시간이 지나 다른 다중이용시설의 장소로 이동하고자 하여 급히 지금 당장 이용할 수 있는 다중이용시설의 장소를 검색하고자 할 때에, 용이하게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예로 수신자(22')는 수신자 단말(22)을 통해 수신자 계정 페이지에 복수의 홍보 게시물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홍보 게시물 정보는 일예로 수신자(22')가 특정 장소(홍보 장소)에서 사인회, 바자회 등의 이벤트를 개최하는 경우, 개최되는 이벤트의 홍보를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수신자(22')의 팬인 가입자들은 수신자(22')가 업로드한 복수의 홍보 게시물 정보를 확인 가능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해당 홍보 게시물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사인회, 바자회 등)에 참여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일예로, 사용자(21')는 수신자 계정 페이지에 업로드된 복수의 홍보 게시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때, 홍보 게시물 정보의 확인 시에 확인 편의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12)는 사용자 단말(21)에서 수신자 계정 페이지에 접속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에 수신자 계정 페이지에 업로드된 상기 복수의 홍보 게시물 정보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에 표시된 리스트 내 복수의 홍보 게시물 정보 중 일예로 어느 한 홍보 게시물 정보인 제1 홍보 게시물 정보의 표시 영역 내에는 일영역에 제1 홍보 게시물 정보에 대응하는 홍보 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한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를 제공 가능하게 하는 버튼인 제1 버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2)는 상기 제1 버튼에 대한 사용자(21’)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입력을 토대로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21)로 제공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21’)의 입력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각기 다른 표시 유형으로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를 제공(표시, 노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어부(12)는 사용자 단말(21)에서 제1 홍보 게시물 정보에 대응하는 제1 버튼을 기 설정된 시간(일예로 1초) 이내로 선택 입력(클릭 입력)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즉, 단순히 클릭했다가 바로 손을 뗀 것으로 감지된 경우), 리스트 내 제1 홍보 게시물 정보에 대응하는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가, 현재 복수의 홍보 게시물 정보의 리스트가 노출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21)의 현재의 화면 페이지와는 다른 새로운 페이지를 통해 상기 새로운 페이지의 전체에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21)을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2)는 사용자(21’)가 제1 버튼을 기 설정된 누름 입력 시간(일예로 2초) 이상 누르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이를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가 새로운 페이지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아닌, 상기 리스트가 노출된 현재의 사용자 단말(21)의 화면 상의 일부 영역에 팝업 방식으로 오버레이해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신호로 인식하여, 사용자(21’)가 제1 버튼을 처음 누른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누름 입력 시간(일예로 2초)이 경과된 시점에(즉, 제1 버튼을 처음 누르고 나서 2초가 지난 시점에)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21)의 화면 상의 일부 영역에 팝업 방식으로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2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는,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가 사용자 단말(21)의 화면 상의 일부 영역에 팝업 방식으로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버튼을 누르고 있던 사용자(21’)의 손가락이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으로부터 떼어진 위치가 제1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 영역 내의 위치인 것으로 감지(식별)된 경우, 사용자(21’)의 손가락이 버튼 영역 내의 위치에서 화면으로부터 떼어진 시점에 팝업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가 사용자 단말(21)의 화면 상에서 미표시되도록(즉, 없어지도록) 사용자 단말(2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어부(12)는, 제1 버튼을 누르고 있던 사용자(21’)의 손가락이 버튼 영역 내의 위치에서 떼어지면, 손가락이 화면으로부터 떼어짐과 동시에 팝업으로 표시되어 있던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가 즉시 사라지도록 할 수 있는바, 사용자(21’)의 손가락이 버튼 영역을 누르고 있는 시간 동안에 한하여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가 일부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21’)가 일시적으로 해당 제1 업체의 위치 정보를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1)의 화면 상에서 손가락이 떼어진 위치의 식별은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이 터치패널 등으로 구현되어 있음에 따라 이를 통해 식별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1)의 화면 상에서,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가 표시되는 일부 영역과 제1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 영역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2)는,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가 사용자 단말(21)의 화면 상의 일부 영역에 팝업 방식으로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버튼을 누르고 있던 사용자(21’)의 손가락이 버튼 영역을 벗어나 일부 영역 내의 위치까지 드래그됨에 따라 이후 사용자(21’)의 손가락이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으로부터 떼어진 위치가 일부 영역 내의 위치인 것으로 감지(식별)된 경우, 사용자(21’)의 손가락이 일부 영역 내의 위치에서 화면으로부터 떼어진 이후에도 팝업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21)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가 지속적으로 사용자 단말(21)의 화면 상에서 표시되도록(즉, 없어지지 않도록) 사용자 단말(2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어부(12)는, 제1 버튼을 누르고 있던 사용자(21’)의 손가락이 일부 영역 내의 위치에서 떼어지면, 손가락이 화면으로부터 떼어지더라도 그와는 무관하게, 팝업으로 표시되어 있던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가 지속적으로 사용자 단말(21)의 화면 상에 계속 표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바, 이를 토대로 사용자(21’)가 일부 영역에 표시된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 등을 통해 보다 상세히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사용자(21’)가 제1 버튼을 선택한 이후, 언제 손가락을 화면에서 떼었는지, 어느 위치에서 손가락을 화면에서 떼었는지 등에 따라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의 표시 유형(즉, 새로운 페이지에 표시할 것인지 팝업 방식으로 표시할 것인지) 및 팝업 방식으로 제공된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의 사라짐 여부 등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는,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의 제공을 통해 사용자(21’)가 리스트 내 복수의 홍보 게시물 정보 중 특정 홍보 게시물 정보 내 홍보 위치 관련 정보를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나, 제어부(12)는 사용자(21’)가 특정 홍보 게시물 정보에 대응하는 홍보 위치에 대한 정보인 제1 홍보 위치 표시 지도 정보를 확인 가능하도록 함에 있어서, 페이지를 왔다갔다 하는 등의 번거로움 필요 없이, 효율적이고 편리게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소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응원용 소통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응원용 소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S11에서 메뉴 식별부는, 복수의 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 메뉴로서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제어부는, 단계S12에서의 메뉴 식별부에 의한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상기 선택 메뉴가 레터 메뉴인 경우 레터 작성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레터 작성 화면에서 응원 관련 레터 정보의 입력 후 발송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레터 정보에 대응하는 레터 메시지를 상기 레터 정보 내 수신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수신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수신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및 S12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용 소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응원용 소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

  1. 복수의 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 메뉴로서 식별하는 메뉴 식별부; 및
    상기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메뉴가 레터 메뉴인 경우 레터 작성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레터 작성 화면에서 응원 관련 레터 정보의 입력 후 발송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레터 정보에 대응하는 레터 메시지를 상기 레터 정보 내 수신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수신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수신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자 단말로의 상기 레터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수신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수신자 계정 페이지 내 받은레터 항목 및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페이지 내 보낸레터 항목 각각에 상기 전송된 레터 메시지가 노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레터 정보 내 레터 공개범위 설정 정보가 전체공개로 입력된 후 발송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레터 메시지가 상기 수신자 계정 페이지에 접속한 접속 가입자들 각각의 단말의 화면에 노출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수신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신자에게 전송한 레터 메시지가 수신자와 사용자, 및 수신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수신자 계정 페이지에 접속한 모든 접속 가입자들이 확인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면서, 상기 수신자 계정 페이지에 접속한 접속 가입자들에 의해 상기 레터 메시지에 대한 평가에 관한 코멘트의 남김과 상기 레터 메시지에 대한 응원에 관한 코멘트의 남김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자 단말로 레터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 상기 레터 메시지와 관련하여, 수신자 계정 페이지에 접속한 접속 가입자들 중 사용자를 포함한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상기 레터 메시지에 댓글을 남기고, 댓글을 남긴 상기 일부 접속 가입자들 간에 직접 만남이 결정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직접 만남의 일시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전에 해당하는 시점이 되었을 때 위치 공유 지도를 생성하여 상기 직접 만남과 관련된 사용자들인 상기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소지한 단말 각각으로 제공하되,
    위치 공유 지도를 생성해 제공할 때,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전에 해당하는 상기 시점에 일부 접속 가입자들의 단말 각각의 GPS 센서에서 ON 상태의 GPS 센서로부터 GPS 센서가 ON 상태에 있는 접속 가입자들의 단말 각각의 현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해 위치 공유 지도를 생성하여 상기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소지한 단말 각각으로 제공하되, GPS 센서가 ON 상태에 있는 접속 가입자들의 단말이 모두 직접 만남의 장소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일부 접속 가입자들의 단말 각각으로의 위치 공유 지도의 제공을 중단하고,
    상기 위치 공유 지도의 제공 이후, GPS 센서가 ON 상태에 있는 접속 가입자들의 단말이 모두 직접 만남의 장소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에 일정 시간 동안 위치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GPS 센서가 ON 상태에 있는 접속 가입자들이 모두 직접 만남의 장소에 함께 모여 실제로 직접적인 만남이 이루어진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여, 더이상 위치 공유 지도가 일부 접속 가입자들이 소지한 단말 각각으로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직접 만남의 일시는 년도, 월,일,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공유 지도는, 직접 만남과 관련된 상기 일부 접속 가입자들 중 GPS 센서가 ON 상태에 있는 접속 가입자들이 소지한 단말들 각각의 현 위치 정보, 및 GPS 센서가 ON 상태에 있는 접속 가입자들의 단말 각각의 현 위치로부터 직접 만남의 장소의 위치까지의 최단 이동 경로 정보가 지도 상에 표시된 데이터를 의미하고,
    상기 현 위치 정보는 각 단말에 내장된 GPS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정보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수신자를 응원하고 수신자와의 소통을 희망하는 수신자의 팬(fan)이 소지한 팬 단말이고,
    상기 수신자 단말은, 예술활동을 하며 팬들과의 소통을 희망하는 크리에이터가 소지한 크리에이터 단말인 것인, 응원용 소통 장치.
  2. 삭제
KR1020230061710A 2023-02-10 2023-05-12 응원용 소통 장치 및 방법 KR102561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710A KR102561641B1 (ko) 2023-02-10 2023-05-12 응원용 소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900 2023-02-10
KR1020230061710A KR102561641B1 (ko) 2023-02-10 2023-05-12 응원용 소통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7900 Division 2023-02-10 2023-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641B1 true KR102561641B1 (ko) 2023-07-28

Family

ID=87427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710A KR102561641B1 (ko) 2023-02-10 2023-05-12 응원용 소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6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2143A (ko) * 2009-05-12 2010-11-22 주식회사 다날 팬과 스타와의 통신공간 커뮤니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2143A (ko) * 2009-05-12 2010-11-22 주식회사 다날 팬과 스타와의 통신공간 커뮤니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2433B2 (en) Web-based interactive meeting facility, such as for progressive announcements
US10122791B2 (en) Social circles in social networks
US10298410B2 (en) Progressive announcements in a web-based interactive meeting facility
US92644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rming attendance for in-person meetings or events
US8904295B2 (en) Web-based interactive meeting facility with recommendations to users
US99470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al group membership fees
US20120179981A1 (en) Collaboration Meeting Management in a Web-Based Interactive Meeting Facility
US201302124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among Members of Meeting Groups
US20110289142A1 (en) Web-Based Interactive Meeting Event Facility
WO2021205240A1 (en) Different types of text call services, centralized live chat applications and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 mediums for caller and callee or communication participants
KR20130012211A (ko) 모임 운용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모임 운용 지원 장치 및 단말기
CA2823256C (en) Collaboration meeting management in a web-based interactive meeting facility
US1152292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media communication while accessing network resources
CA2799838A1 (en) Web-based interactive meeting event facility
KR102561641B1 (ko) 응원용 소통 장치 및 방법
AU2015203293A1 (en) Social circles in social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