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402B1 -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 Google Patents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402B1
KR102560402B1 KR1020210039380A KR20210039380A KR102560402B1 KR 102560402 B1 KR102560402 B1 KR 102560402B1 KR 1020210039380 A KR1020210039380 A KR 1020210039380A KR 20210039380 A KR20210039380 A KR 20210039380A KR 102560402 B1 KR102560402 B1 KR 102560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bump
elastic
elastic bumps
thrus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4129A (ko
Inventor
김경동
김경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로스
Priority to KR102021003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40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4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 F16C17/04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with flexible leaves to create hydrodynamic wedge, e.g. axial foi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2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03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gas cushion, e.g. an air cush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80/00Electrical apparatus
    • F16C2380/26Dynamo-electric machines or combinations therewith, e.g. electro-motors and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은, 베이스 플레이트; 요철 형상의 탄성 범프들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적층되어 원주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범프 포일; 및 상기 범프 포일을 덮도록 적층되며, 원주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탑 포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범프 포일은 반경방향으로 외경쪽에 인접한 일부 영역의 탄성 범프들의 높이가 나머지 영역의 탄성 범프들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범프 포일은 반경방향으로 외경쪽에 배치된 탄성 범프와 내경쪽에 배치된 탄성 범프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탄성 범프의 적어도 일부분이 삭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회전체의 속도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가장 큰 영역과 가진 시 1차 댐핑 마찰부가 분리되어 보다 높은 내구성을 갖는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Air foil thrust bearing}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해 임펠러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터보 블로워 또는 터보 압축기 등에서 회전축에 작용하는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터보 블로워나 터보 압축기 등에는 축방향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스러스트 베어링이 사용되는데,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스러스트 베어링 중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은 도 1과 같이 도넛 형상의 판으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0),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범프 포일(20) 및 각각의 범프 포일(20) 위에 배치된 복수의 탑 포일(3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위에 복수의 범프 포일(20)이 스폿 용접되어 고정되며, 각각의 범프 포일(20)의 위에 탑 포일(30)이 배치된 후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탑 포일(30)들이 스폿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은 터보 블로워 등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 회전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원판형의 스러스트 러너와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의 탑 포일 간 접촉에 의해 많은 마찰열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서 종래의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은 회전체인 스러스트 러너가 원운동하기 때문에 각속도는 같으나 반경방향 위치에 따른 선속도는 외경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한다. 그런데 증가된 선속도에 따라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의 탑 포일과 회전체 사이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한 하중 지지력은 높아지지만 공기와 탑 포일의 마찰로 인해 높은 발열을 발생시키게 되며, 회전체가 약 10만 RPM을 상회하는 고속 회전 시 외경측의 경우 높은 에너지 손실(발열)로 인해 탑 포일 표면의 코팅층에 손상(열흔)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가진 시 범프 포일의 탄성 범프 높이가 가장 높은 곳(주요 가진 지지부)에 대응되는 탑 포일 영역에서 먼저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즉, 도 2와 같이 종래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탑 포일(30) 상에서 에너지 손실이 가장 높은 영역(A1)과 주요 가진 지지부(A2)가 일부 중첩되므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KR 10-0954066 B1 (2010.04.13.)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체의 회전 속도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가장 큰 부분과 가진 시 먼저 하중을 지지하여 1차로 댐핑 마찰을 일으키는 주요 가진 지지부분이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반경방향으로 내경측 탄성 범프에 의해 탑 포일의 높이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내경측 탄성 범프에 의한 탑 포일의 높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은, 베이스 플레이트; 요철 형상의 탄성 범프들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적층되어 원주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범프 포일; 및 상기 범프 포일을 덮도록 적층되며, 원주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탑 포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범프 포일은 반경방향으로 외경쪽에 인접한 일부 영역의 탄성 범프들의 높이가 나머지 영역의 탄성 범프들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범프 포일은 반경방향으로 외경쪽에 배치된 탄성 범프와 내경쪽에 배치된 탄성 범프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탄성 범프의 적어도 일부분이 삭제된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프 포일의 절개부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탄성 범프에 걸쳐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프 포일은 자유단에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가면서 두께방향으로 양면을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프 포일의 절개부는 상기 슬릿과 연결되어 반경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범프 포일은, 반경방향으로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반대쪽에 상기 절개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의 오프셋부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프셋부가 형성된 탄성 범프에 반경방향으로 이웃하는 탄성 범프에는 상기 오프셋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경방향으로 상기 오프셋부의 돌출 거리는 상기 절개부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은, 회전체의 속도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가장 큰 영역과 가진 시 1차 댐핑 마찰부가 분리되어 보다 높은 내구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경측 탄성 범프에 의한 탑 포일의 높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가진에 대한 높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에서 에너지 손실이 가장 큰 영역과 주요 가진 지지부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조립사시도 및 상측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면에서 회전체인 스러스트 러너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상태에서 탑 포일에 접촉되었을 때 탑 포일의 일부가 탄성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가 없는 경우를 도 8과 비교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의 범프 포일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조립사시도 및 상측 평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4의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은 크게 베이스 플레이트(100), 범프 포일(200) 및 탑 포일(300)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중앙부에 두께방향으로 양면을 관통하는 중공홀이 형성된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범프 포일(20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범프 포일(200)들은 각각 원주방향 일측 단부인 결합부(210)만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 타측 단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범프 포일(200)들은 각각 요철 형상의 탄성 범프(220)들이 형성될 수 있고, 탄성 범프(220)들은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 하단이 접촉되어 있지만 고정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범프 포일(200)은 결합부(21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결합되어 있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상태가 될 수 있으며, 탄성 범프(220)들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맞닿아 있거나 약간의 간극이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범프 포일(200)은 자유단에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가면서 두께방향으로 양면을 관통하는 슬릿(230)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릿(230)들은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일례로 슬릿(230)들에 의해 범프 포일(200)의 탄성 범프(220)들이 형성된 영역이 반경방향으로 4개의 부분으로 갈라져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4개의 부분은 일측 단부인 결합부(21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여기에서 범프 포일(200)은 반경방향으로 외경쪽에 배치된 탄성 범프(220)와 내경쪽에 배치된 탄성 범프(220)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탄성 범프(2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삭제된 형태로 절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절개부(240)는 슬릿(230)과 연결되어 반경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탄성 범프(220)에 걸쳐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절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탑 포일(30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탑 포일(300)들은 각각 원주방향 일측 단부인 결합부(310)만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 타측 단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탑 포일(300)들은 범프 포일(200)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탑 포일(300)이 범프 포일(200)을 덮는 형태로 적층될 수 있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탑 포일(300) 사이에 범프 포일(200)이 개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특정한 반경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을 보았을 때, 탑 포일(300)은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부(310)에서 연결부(320)가 우측 상방을 향해 곡면 또는 평면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연결부(320)에서 평평한 형태의 평면부(330)가 연장 형성되며, 평면부(33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범프 포일(200)은 특정한 반경 상에서 원주방향 타단인 자유단에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일부 영역에 대응되는 즉, 탑 포일(300)의 평면부(330)에 대응되는 탄성 범프(220)들은 서로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탑 포일(300)의 연결부(320)에 대응되는 영역의 탄성 범프(220)들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20)의 하면과 탄성 범프(220)들의 산 사이는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도 7을 참조하면, 탑 포일(300)의 평면부(330)가 위치한 부분에서 반경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보았을 때, 범프 포일(200)은 반경방향으로 외경쪽에 인접한 일부 영역의 탄성 범프(220)의 높이(h4)가 나머지 영역인 반경방향으로 내경쪽에 인접한 영역 및 중앙부 영역의 탄성 범프(220)들의 높이(h1, h2, h3)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례로 반경방향으로 외경쪽에 인접한(우측의) 하나의 탄성 범프를 외경측 탄성 범프, 반경방향으로 내경쪽에 인접한(좌측의) 다른 하나의 탄성 범프를 내경측 탄성 범프, 반경방향으로 외경측 탄성 범프와 내경측 탄성 범프 사이에 위치한 나머지 두 개의 탄성 범프를 중앙부 탄성 범프라고 하면, 공기의 압력 등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탑 포일(300)은 내경측 탄성 범프 및 중앙부 탄성 범프들 중 내경측 탄성 범프와 이웃하는 탄성 범프의 산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외경측 탄성 범프의 산 및 중앙부 탄성 범프들 중 외경측 탄성 범프와 이웃하는 탄성 범프의 산은 높이차(△h)로 인해 탑 포일(300)과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반경방향으로 내경측 탄성 범프와 이웃하는 탄성 범프에는 절개부(24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개부(240)가 형성된 탄성 범프(220)는 도 7과 같은 단면도 상으로는 일부만 탑 포일에 접촉되거나 접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8은 도 7의 단면에서 회전체인 스러스트 러너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상태에서 탑 포일에 접촉되었을 때 탑 포일의 일부가 탄성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반경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보면, 회전체인 스러스트 러너(400)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상태에서 축방향 하중 또는 가진 등으로 인해 스러스트 러너(400)가 탑 포일(300)에 접촉되었을 때, 스러스트 러너(400)와 탑 포일(300)의 사이로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외경측 탄성 범프가 위치한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의 탑 포일(300)은 탄성 범프쪽으로 휘어져서 스러스트 러너(400)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반경방향으로 외경쪽에 인접한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선속도가 빨라 공기와의 마찰로 인한 에너지 손실(발열)이 상대적으로 큰 부분인데, 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하중을 지지하면서 스러스트 러너(400)와 탑 포일(300)이 직접 접촉되어 댐핑 및 마찰될 수 있다. 그리고 스러스트 러너(400)는 가진 등으로 인해 탑 포일(300)에 접촉될 때 탑 포일(300)의 평면부(330)에 먼저 접촉되어 1차적으로 댐핑 및 마찰이 일어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 포일(200)의 내경측 탄성 범프와 중앙부 탄성 범프들이 존재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탑 포일(300)의 평면부(330)가 1차적으로 스러스트 러너(4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주요 가진 지지부가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은, 회전체의 속도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가장 큰 영역과 가진 시 1차 댐핑 마찰부가 중첩되지 않고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므로 보다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손실이 가장 큰 영역인 외경측에서 스러스트 러너와 탑 포일 간의 직접적인 마찰이 줄어들게 되므로, 탑 포일 표면에 코팅된 코팅층의 손상(열흔)도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가 없는 경우를 도 8과 비교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범프에 절개부가 없는 경우에, 내경측 탄성 범프와 이웃하는 탄성 범프에 의해 탑 포일의 높이가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스러스트 러너(400)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상태에서 축방향 하중 또는 가진 등으로 인해 스러스트 러너(400)가 탑 포일(300)에 접촉되었을 때, 스러스트 러너(400)와 탑 포일(300)의 사이로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탑 포일(300)이 눌리더라도 외경측 탄성 범프에 이웃하는 탄성 범프와 탑 포일의 사이가 떠 있게 되며, 탑 포일은 내경측에서부터 외경측까지 완만한 경사 형태를 이루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 8과 같이 반경방향으로 외경측 탄성 범프와 이웃하는 탄성 범프에 절개부가 형성되면,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탄성 범프가 탑 포일의 하단을 받치지 못하거나 접촉되어 받치더라도 상대적으로 탄성이 약해 탑 포일이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탑 포일 내경측에서부터 외경측까지 보다 완만한 경사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그 결과 보다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 2>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의 범프 포일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의 범프 포일은, 절개부(240)가 형성된 탄성 범프(220)에서 반경방향으로 절개부(240)의 반대쪽에는 절개부(24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오프셋부(250)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개부(240)가 형성된 부분의 탄성 범프(220)는 절개부(240)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탄성 범프(220)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탄성이 약하기 때문에, 절개부(240)가 형성된 부분에서 반경방향으로 절개부(240)의 반대쪽에 반경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오프셋부(250)를 형성하여 탄성 범프(220)의 탄성을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부(250)에 이웃하는 탄성 범프(220)에는 오프셋부(25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반경방향으로 오목하게 오목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부(250)의 돌출 거리(W)는 절개부(240)의 깊이(D)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베이스 플레이트
200 : 범프 포일
210 : 결합부 220 : 탄성 범프
230 : 슬릿 240 : 절개부
250 : 오프셋부 260 : 오목부
300 : 탑 포일
310 : 결합부 320 : 연결부
330 : 평면부
400 : 스러스트 러너

Claims (7)

  1. 베이스 플레이트;
    요철 형상의 탄성 범프들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적층되어 원주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범프 포일; 및
    상기 범프 포일을 덮도록 적층되며, 원주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탑 포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범프 포일은 반경방향으로 외경쪽에 인접한 일부 영역의 탄성 범프들의 높이가 나머지 영역의 탄성 범프들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범프 포일은 반경방향으로 외경쪽에 배치된 탄성 범프와 내경쪽에 배치된 탄성 범프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탄성 범프의 적어도 일부분이 삭제된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범프 포일은 자유단에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가면서 두께방향으로 양면을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범프 포일의 절개부는 상기 슬릿과 연결되어 반경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범프 포일은,
    반경방향으로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반대쪽에 상기 절개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의 오프셋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포일의 절개부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탄성 범프에 걸쳐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부가 형성된 탄성 범프에 반경방향으로 이웃하는 탄성 범프에는 상기 오프셋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7. 제1항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상기 오프셋부의 돌출 거리는 상기 절개부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KR1020210039380A 2021-03-26 2021-03-26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KR102560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380A KR102560402B1 (ko) 2021-03-26 2021-03-26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380A KR102560402B1 (ko) 2021-03-26 2021-03-26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129A KR20220134129A (ko) 2022-10-05
KR102560402B1 true KR102560402B1 (ko) 2023-07-28

Family

ID=8359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380A KR102560402B1 (ko) 2021-03-26 2021-03-26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4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1936A1 (en) * 2009-10-06 2012-11-08 Hooshang Heshmat Foil thrust bearing applicable to high speed machining cen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066B1 (ko) 2010-01-29 2010-04-20 최충기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KR102465360B1 (ko) * 2016-04-11 2022-11-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에어 포일 베어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1936A1 (en) * 2009-10-06 2012-11-08 Hooshang Heshmat Foil thrust bearing applicable to high speed machining ce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129A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806B1 (ko) 가스 역학 호일 베어링
US4116503A (en) Resilient foil thrust bearings
US10487871B2 (en) Air foil journal bearing
US6194801B1 (en) Device for limiting shaft whirl
AU2005213566A1 (en) Radial foil bearing
EP4012207A1 (en) Air foil journal bearing
US11852191B2 (en) Air foil thrust bearing
JP2003507682A (ja) フォイルスラストベアリング
KR100590139B1 (ko)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JP4602497B2 (ja) 軸受装置及びこれを適用したスピンドルモータ組立体
KR102413773B1 (ko)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WO2020050240A1 (ja) スラストフォイル軸受
KR102560402B1 (ko)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KR20090060661A (ko) 공기 베어링
CN113623320B (zh) 箔片空气滑动轴承
KR102590215B1 (ko)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KR20220129786A (ko) 에어포일 저널 베어링의 하우징 고정 구조
KR20230099977A (ko) 에어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KR20230060437A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WO2019087890A1 (ja) 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軸受
KR102371286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2598984B1 (ko) 스러스트 에어 포일 베어링
KR102507213B1 (ko) 트러스트 에어포일 베어링
KR102662638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US20060039632A1 (en) Dynamic pressure bear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