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416B1 - Apparatus for removing dus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du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416B1
KR102559416B1 KR1020220174277A KR20220174277A KR102559416B1 KR 102559416 B1 KR102559416 B1 KR 102559416B1 KR 1020220174277 A KR1020220174277 A KR 1020220174277A KR 20220174277 A KR20220174277 A KR 20220174277A KR 102559416 B1 KR102559416 B1 KR 102559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er
removal device
dust removal
coupl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42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관철
Original Assignee
(주)금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오테크 filed Critical (주)금오테크
Priority to KR1020220174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4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416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7/00Cleaning by vibration or pressure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3/00Removing solid residues from passages or chambers beyond the fire, e.g. from flues by soot blowers
    • F23J3/02Cleaning furnace tubes; Cleaning flues or chimneys
    • F23J3/023Cleaning furnace tubes; Cleaning flues or chimneys cleaning the fireside of watertubes in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4Feeding and driving arrangements, e.g. pow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며, 돌출부가 형성되는 회전캠; 상기 회전캠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캠의 돌출부의 타격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달로드; 일단 상기 전달로드에 결합되고 타단이 전열관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전달로드의 움직임에 종속되어 움직이는 링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removal device, and 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ng cam coupled to a motor to rotate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and having a protruding portion; a transfer ro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cam and rotating around an axis by hitting a protruding portion of the rotation cam; A link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transfer rod and the other end axially coupled to the heat exchanger tube and moving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rod has a technical feature.

Description

분진 제거 장치 {Apparatus for removing dust}Dust removal device {Apparatus for removing dust}

본 발명은 분진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각에 의한 분진 및 연소에 의한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remov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removal device for removing dust by incineration and dust by combustion.

상용화된 폐열 및 고체연료 보일러에서 소각 및 연소는 막대한 양의 미립자 물질을 포함한 분진의 생성으로 인하여, 가열된 튜브 표면에 축적되어 보일러의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고 사용 수명을 단축시킨다.Incineration and combustion in commercially available waste heat and solid fuel boilers generate dust containing a huge amount of particulate matter, which accumulates on the surface of heated tubes, reducin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boiler and shortening its service life.

화석연료의 연소는 그을음 또는 찌꺼기 형태의 미세먼지 등의 미립자 물질을 생성시키며, 폐기물이나 고체연료의 품질이 낮을 수록 연소에 의해 가열된 표면에 미립자물질의 축적이 보다 급속하게 된다. 또한, 현재에 이르러 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연소 시, 보일러 내부의 전열관에는 분진에 의한 미세먼지의 부착으로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Combustion of fossil fuels produces particulate matter such as soot or fine dust in the form of dross, and the lower the quality of the waste or solid fuel, the more rapidly the particulate matter accumulates on surfaces heated by combus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mbustion using waste as fuel, a phenomenon in which heat exchange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the adhesion of fine dust due to dust to the heat transfer tube inside the boiler has reached the present.

이에, 열전달에 유해한 상기 축적물을 제거하기 위해 보일러 전열관 또는 절탄기 공간내에 제거 장치를 주기적으로 삽입해야 하며, 통상적으로 수트 블로워(Soot Blower)가 사용된다.Therefore, in order to remove the accumulation harmful to heat transfer, a removal device must be periodically inserted into the boiler heat pipe or economizer space, and a soot blower is usually used.

수트 블로워는 그 끝이 노즐로된 도관(Conduit)으로써 로 벽의 개구에 삽입된다. 증기가 이 도관에 공급되어 큰 힘으로 노즐을 통하여 분출된다. 분무의 형태로 목적하는 방향을 향해서 도관으로부터 분출되는 기체는 가열된 표면의 넓은 면적의 미립자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회전식 및 왕복동식 등이 알려져 있다.The soot blower is inserted into an opening in the furnace wall as a nozzle-ended conduit. Steam is supplied to this conduit and ejected through a nozzle with great force. The gas ejected from the conduit in the form of a mist in a desired direction can remove a large area of particulate matter from a heated surface, and rotary and reciprocating types are known.

수트 블로워는 일시적으로 대량의 증기를 분무하기 위해 증기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필요하고, 다수 개의 노즐이 분진 제거를 위한 유효 범위를 형성해야 한다. 그러나, 직사로 분사되는 증기에 따른 노즐 분사 범위의 사각이 발생하고, 노즐로부터 거리가 멀어지는 만큼 분진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soot blower needs a means to enable steam change to temporarily atomize a large amount of steam, and a number of nozzles must form an effective range for dust removal.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blind spot occurs in the nozzle spraying range according to steam sprayed directly, and dust removal efficiency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nozzle increases.

또한, 대량의 증기가 분사되는 동안 연소실 내의 로내 압력 변화로 인하여 로내가 일시적으로 양압상태가 될 경우, 연소실 밖으로 화염이 분출되는 역화가 일어나 화재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되어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In addition, when the furnace is temporarily in a positive pressure state due to a pressure change in the furnace while a large amount of steam is injected, a backfire in which flames are ejected out of the combustion chamber occurs frequently, leading to a fire accident. This often causes safety accidents.

한국등록특허 제10-1438579호(2014.09.01.)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38579 (2014.09.0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 전열관 표면에 부착되어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는 분진을 고르고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는 분진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removal device capable of evenly and uniformly removing dust that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pipe and reduces heat exchange efficiency with a simpler structure.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며, 돌출부가 형성되는 회전캠; 상기 회전캠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캠의 돌출부의 타격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달로드; 일단 상기 전달로드에 결합되고 타단이 전열관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전달로드의 움직임에 종속되어 움직이는 링커;를 포함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coupled to a motor rotates along the rotation of the motor, the rotation cam is formed with a protrusion; a transfer ro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cam and rotating around an axis by hitting a protruding portion of the rotation cam; There is a technical feature in that it includes; a linker that is once coupled to the transfer rod and the other end is axially coupled to the heat transfer tube and moves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r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상기 전달로드는 상기 회전캠의 돌출부에 의해 타격되는 타격부; 상기 링커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iking portion hit by the delivery rod protruding portion of the rotating cam;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link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상기 모터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캠도 따라서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타격부의 상부를 타격하면, 상기 전달로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연결부가 위쪽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tor rotates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rotation cam also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protrusion hits the upper part of the impact part, the shaft of the transmission rod rotates around the axis. The connect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move upwar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상기 모터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캠도 따라서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타격부의 하부를 타격하면, 상기 전달로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연결부가 아래쪽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tor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rotation cam also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protrusion hits the lower part of the impact part, the shaft of the transmission rod rotates around the axis. The connect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move downwar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상기 전달로드가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캠의 돌출부에 의해 타격되는 타격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링커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타격부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연결부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제거 장치.In addition, in 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ivery rod includes a body portion; a striking portion extended from the body portion and struck by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rotating cam; 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coupled to the linker; wherein the body portion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is formed to decrease in width from the body portion to an end of the hitting portion, and is formed to decrease in width from the body portion toward an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Dus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전열관 표면에 부착되어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는 분진을 고르고 균일하게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venly and uniformly removing dust that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heat exchanger tube and deteriorates heat exchange efficiency with a simpl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의 동작상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지 제거 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a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installation state diagrams of the branch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configuration diagrams of a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is context-specific.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의 동작상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지 제거 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a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a branch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모터(M)에 결합되어 모터(M)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며, 돌출부(110)가 형성되는 회전캠(100); 회전캠(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캠(100)의 돌출부(110)의 타격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달로드(200); 일단 전달로드(2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전열관(P)에 축 결합되어, 전달로드(200)의 움직임에 종속되어 움직이는 링커(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otor (M) rotates along the rotation of the motor (M), the rotary cam 10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110; A transfer rod 20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cam 100 and rotating around an axis by hitting the protrusion 110 of the rotation cam 100; The linker 300, which is once coupled to the transfer rod 200 and the other end is axially coupled to the heat transfer pipe P, moves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rod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회전캠(100)은 돌출부(110) 및 회전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 회전몸체(120)가 배치되고, 회전몸체(120)로부터 돌출부(110)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ng cam 100 may include a protrusion 110 and a rotating body 120. As shown in FIG. 1, the rotating body 120 is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110 may extend from the rotating body 120.

회전몸체(120)는 측면에서 봤을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110)는 끝단이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12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the protrud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rounded end.

이러한 회전캠(100)은 모터(M)에 결합되며, 모터(M)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This rotary cam 100 is coupled to the motor (M),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M).

전달로드(200)는 회전캠(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캠(100)의 돌출부(110)의 타격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성요소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transmission rod 2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cam 100 and is a component that rotates around an axis by hitting the protrusion 110 of the rotation cam 100,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로드는 회전캠(100)과 링커(30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캠(100)의 타격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 움직임을 링커(300)로 전달하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ransmission rod is disposed between the rotation cam 100 and the linker 300, rotates about an axis by hitting the rotation cam 100, and transfers this rotational movement to the linker 300.

링커(300)는 일단 전달로드(2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전열관(P)에 축 결합되어, 전달로드(200)의 움직임에 종속되어 움직이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링커(300)의 움직임에 의해 전열관(P)도 따라 움직이게 되고, 이러한 전열관(P)의 움직임에 의해 표면에 부착되어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 linker 300 is a component that moves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rod 200 by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transfer rod 200 and the other end axially coupled to the heat transfer pipe P. Due to the movement of the linker 300, the heat transfer pipe (P) also moves along, and dust attached to the surface and reducing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removed by the movement of the heat exchanger pipe (P).

링커(300)에는 전열관(P)과 연결되는 부분에 전열관연결홀(30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열관연결홀(301)에 나사 체결되어 전열관(P)과 연결될 수 있다.In the linker 300, a heat transfer tube connection hole 301 may be formed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heat transfer tube P, and may be connected to the heat transfer tube P by being screwed into the heat transfer tube connection hole 3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전달로드(200)가 몸체부(210); 몸체부(21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회전캠(100)의 돌출부(110)에 의해 타격되는 타격부(220); 몸체부(21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링커(300)와 결합되는 연결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ivery rod 200 includes a body portion 210; a striking portion 220 formed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210 and struck by the protruding portion 110 of the rotating cam 100; A connection portion 230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210 and coupled to the linker 3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전달로드(200)는 전체적으로 'ㅡ'자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때 몸체부(210)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몸체부(210)로부터 타격부(220)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되고, 몸체부(210)로부터 연결부(230)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rod 200 is formed in a 'ㅡ' shape as a whole. 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210 is formed with the same width, and is formed so that the width decreases from the body portion 210 to the end of the striking portion 2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모터(M)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을 시계 반대 방향이라고 하면, 제2 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다.In 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M) may rotate in a first direction, and may also rotat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if the first direction is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clockwise direction.

구체적인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모터(M)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캠(100)도 따라서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돌출부(110)가 전달로드(200)의 타격부(220)의 상부를 타격하면, 전달로드(20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전달로드(200)의 연결부(230)가 위쪽으로 움직이게 된다.For example, in 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M rotates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rotating cam 100 also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110 hits the upper portion of the impact portion 220 of the delivery rod 200.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220 is hit, it rotates around the axis of the transmission rod 200,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230 of the transmission rod 200 moves upwar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메커니즘에 의해 연결부(230)에 결합된 전열관(P)이 위로 움직이게 되고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여 전열관(P)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이 제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transfer tube P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230 moves upward by the above mechanism, and vibration is generated by this movement, so that dust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tube P can be rem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모터(M)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캠(100)도 따라서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돌출부(110)가 전달로드(200) 타격부(220)의 하부를 타격하면, 전달로드(20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전달로드(200) 연결부(230)가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된다.In addition, in 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M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rotation cam 100 also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protrusion 110 hits the lower part of the impact part 220 of the transmission rod 200. When it hits, it rotates around the axis of the transmission rod 200, so that the connection part 230 of the transmission rod 200 moves downward.

이러한 동작에 의해 마찬가지로 연결부(230)에 결합된 전열관(P)이 위로 움직이게 되고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여 전열관(P)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By this operation, the heat transfer pipe (P)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230 is moved upward, and vibration is generated by this movement, so that dust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ipe (P) can be rem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전달로드(200)의 몸체부(210)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몸체부(210)로부터 타격부(220)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되고, 몸체부(210)로부터 연결부(230)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210 of the delivery rod 200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nd the width decreases from the body portion 210 toward the end of the striking portion 220. It may be formed such that the width decreases from the body portion 210 toward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230.

즉, 전달로드(200)의 타격부(220)와 연결부(230) 각각은 경사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That is, each of the striking portion 220 and the connection portion 230 of the transmission rod 200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n inclination.

이때 전달로드(200)의 축은 몸체부(210)와 타격부(220) 사이 즉, 타격부(220)의 폭이 줄어들기 시작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격부(220)의 폭이 줄어들기 시작하는 지점에 축홀(221)이 형성되고, 상기 축홀(221)에 축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aft of the transmission rod 200 may be formed between the body portion 210 and the striking portion 220, that is, at a point where the width of the striking portion 220 starts to decrease. For example, a shaft hole 221 may be formed at a point where the width of the striking portion 220 starts to decrease, and shaft coupling may be made to the shaft hole 221 .

그리고 연결부(230)의 끝단에 링커연결홀(231)이 형성되고, 상기 링커연결홀(231)을 통해 연결부(230)와 링커(3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나사 체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리벳 등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linker connection hole 231 is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on part 230, and the connection part 230 and the linker 300 may be coupled through the linker connection hole 231. Such coupling may be performed by screw fastening, or may be fastened by rivets or the lik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축홀(221)을 중심축으로 전달로드(200)가 회전하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delivery rod 200 rotates around the shaft hole 221 as a central axis.

참고적으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축홀(221)에는 전달로드축(400)이 결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달로드축(400)을 중심으로 전달로드(20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For reference, referring to FIG. 4 , a transmission rod shaft 400 may be coupled to the shaft hole 221 , and the transmission rod 200 rotates around the transmission rod shaft 400 .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상기 축홀(221)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전달로드(200)의 힘을 이용하는데, 특히 상기 링커연결홀(231) 부분에서는 수직 방향의 힘을 이용하며, 회전캠(100)이 타격했을 때 전달로드(200)의 상승하고, 회전캠(100)이 타격한 이후 전달로드(200)가 제자리로 돌아오면서 하강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전열관(P)의 상승/하강 운동이 발생한다.As such, 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orce of the transmission rod 200 rotating around the shaft hole 221 as a central axis, and in particular, uses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linker connection hole 231, and the transmission rod 200 rises when the rotation cam 100 hits, and the transfer rod 200 moves up / down by a mechanism in which the rotation cam 100 hits and then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descends. this happens

회전캠(100)은 모터(M)가 동작하는 동안은 계속하여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캠(100)의 돌출부(110)가 반복하여 타격부(220)를 타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반복적인 상승/하강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상승/하강의 반복에 의한 상하 방향의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rotating cam 100 continues to rotate together while the motor M is operating, the protruding portion 110 of the rotating cam 100 repeatedly strikes the striking portion 220, and thus repeatedly rises / falls.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ccurs due to the repetition of this rise / fal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상기 축홀(221)의 설치 위치가 상기 링커연결홀(231)의 설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haft hole 221 may be install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inker connection hole 231 .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연결부(230)의 끝단에 형성된 링커연결홀(231)의 상승 높이를 더 높게할 수 있고, 링커연결홀(231)은 더 높이 상승한 만큼 다시 하강하기 때문에 하강 거리가 더 많아지게 된다.Due to this configuration, the height of the linker connection hole 231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230 can be increased, and since the linker connection hole 231 is lowered again as much as it has risen higher, the lowering distance is increased.

즉,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승/하강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상하 방향의 진동 크기를 더욱 크게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전열관(P)으로 전달하는 진동이 커지는 것이기 때문에 분진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lifting / lowering distance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s a result, since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heat pipe P increases, the dust removal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전열관(P)이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회전캠(100), 전달로드(200) 및 링커(30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pipes P, a plurality of rotation cams 100, transmission rods 200, and linkers 300 may be installed correspondingly. For example, it may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3 .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링커(300)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in 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er 300 may be formed in a 'L' shape.

이때 링커(300)는 수평측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수평부(350)와 수직측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수직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평부(350)는 전달로드(200)의 연결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inker 300 may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350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portion 360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The horizontal portion 35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30 of the transfer rod 200.

그리고 수평부(350)와 수직부(360) 사이 중앙에 링커축홀(302)이 형성될 수 있다. 링커축홀(302)에 축결합되어 링커(300)가 링커축홀(30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직부(360)의 끝단에는 전열관연결홀(361)이 형성되어 전열관(P)과 연결될 수 있다.A linker shaft hole 302 may be formed in the center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350 and the vertical portion 360 . It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linker shaft hole 302 so that the linker 300 rotates around the linker shaft hole 302 . A heat transfer tube connection hole 36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vertical portion 360 to be connected to the heat transfer tube P.

'ㄱ'자 형상의 링커(300)는 상승/하강의 반복에 의한 수직(상하) 방향의 진동을 수평(좌우)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L'-shaped linker 300 plays a role in converting vibration in the vertical (up and down) direction to the horizontal (left and right) direction due to repeated lifting/lowerin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캠(100)의 타격에 의해 전열로드(200)가 회전하게 되면, 먼저 수평부(350)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수평부(350)에 직각 방향인 수직부(360)가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heat transfer rod 200 is rotated by the blow of the rotary cam 100, the horizontal part 350 firs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part 360,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art 35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전열관(P)은 수직부(36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부(360)의 수평 방향 움직임에 종속되어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수평 방향의 반복된 움직임은 수평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Since the heat transfer pipe P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part 360, it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epending on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vertical part 360, and the repeated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generates vib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ㄱ'자 형상의 링커(300)에 의해 수직 방향의 진동이 아닌 수평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bra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rather than vibration in a vertical direction can be generated by the 'L'-shaped linker 300 .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전열관(P)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일부의 전열관(P)에는 'ㅡ'자 형상의 링커(300)가 적용되고, 나머지 전열관(P)에 'ㄱ'자 형상의 링커(300)가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tubes (P), and the 'ㅡ' shaped linker 300 is applied to some of the heat transfer tubes (P), and the 'L' shaped linker (300) can be applied to the remaining heat transfer tubes (P).

전열관(P)의 길이, 형상, 배치에 따라 수직 방향의 진동이 분진 제거에 유리할 수 있고, 다르게는 수평 방향의 진동이 분진 제거에 유리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length,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heat transfer pipe P, vibration in a vertical direction may be advantageous for removing dust, and otherwise, vibra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may be advantageous for removing dust.

즉, 전열관(P)의 길이, 형상, 배치에 따라 수직 방향의 진동과 수평 방향의 진동의 유불리가 달라지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일부의 전열관(P)에는 'ㅡ'자 형상의 링커(300)가 적용되고, 나머지 전열관(P)에 'ㄱ'자 형상의 링커(300)가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수직 방향의 진동이 유리한 전열관(P)에는 'ㅡ'자 형상의 링커(300)가 적용되고, 수평 방향의 진동이 유리한 전열관(P)에는 'ㄱ'자 형상의 링커(300)가 적용될 수 있다.That i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vertical vibration and horizontal vibration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heat transfer tubes P.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ㅡ'-shaped linker 300 is applied to some of the heat exchanger tubes P and the 'L'-shaped linker 300 can be applied to the remaining heat transfer tubes P, the 'ㅡ'-shaped linker 300 is applied to the heat transfer tube P, which is advantageous in vertical vibration, and the horizontal vibration An 'L' shaped linker 300 may be applied to this advantageous heat transfer pipe P.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체적인 적용성을 향상시키며, 전체적인 분진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After all, th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overall applicability and improves the overall dust removal performance by the above configuration.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so far, it is clear that the embodiments mentioned in the process are only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Within the scope of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 changes to the extent that they can be equally coped with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회전캠 110: 돌출부
120: 회전몸체 200: 전달로드
210: 본체부 220: 타격부
221: 축홀 230: 연결부
231: 링커연결홀 300: 링커
301: 전열관연결홀 302: 링커축홀
350: 수평부 360: 수직부
100: rotation cam 110: protrusion
120: rotating body 200: transmission rod
210: body part 220: hitting part
221: shaft hole 230: connection part
231: linker connection hole 300: linker
301: heat transfer pipe connection hole 302: linker shaft hole
350: horizontal part 360: vertical part

Claims (5)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며, 돌출부가 형성되는 회전캠;
상기 회전캠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캠의 돌출부의 타격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달로드;
일단이 상기 전달로드에 결합되고 타단이 전열관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전달로드의 움직임에 종속되어 움직이는 링커;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로드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캠의 돌출부에 의해 타격되는 타격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링커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커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측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수평부와 수직측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전달로드의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 사이 중앙에 링커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링커축홀에 축결합되어 상기 링커가 링커축홀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의 끝단에는 전열관연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전열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제거 장치.
A rotating cam coupled to a motor to rotate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and having a protruding portion;
a transfer ro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cam and rotating around an axis by hitting a protruding portion of the rotation cam;
A link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transfer rod and the other end axially coupled to the heat transfer tube and moving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rod,
The transfer load is
body part;
a striking portion extended from the body portion and struck by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rotating cam;
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coupled to the linker;
The linker is formed in an 'L' shape and includes a horizontal part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part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The horizontal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elivery rod,
A linker shaft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between the horizontal part and the vertical part,
It is axially coupled to the linker shaft hole so that the linker rotates around the linker shaft hole,
Dus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transfer pipe connection hol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vertical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heat transfer pi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타격부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연결부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제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the same width,
It is formed so that the width decreases from the body portion to the end of the hitting portion,
Dus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that the width decreases from the body portion toward th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KR1020220174277A 2022-12-14 2022-12-14 Apparatus for removing dust KR1025594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4277A KR102559416B1 (en) 2022-12-14 2022-12-14 Apparatus for removing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4277A KR102559416B1 (en) 2022-12-14 2022-12-14 Apparatus for removing du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416B1 true KR102559416B1 (en) 2023-07-25

Family

ID=8742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4277A KR102559416B1 (en) 2022-12-14 2022-12-14 Apparatus for removing du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41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7377A (en) * 2010-08-25 2012-03-08 Takuma Co Ltd Dust removing device of heat transfer tube
KR101438579B1 (en) 2014-05-30 2014-11-04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Dust removal device for Combustion and Incine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7377A (en) * 2010-08-25 2012-03-08 Takuma Co Ltd Dust removing device of heat transfer tube
KR101438579B1 (en) 2014-05-30 2014-11-04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Dust removal device for Combustion and Incine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0519C (en) SOTNINGSAPPARAT.
KR102559416B1 (en) Apparatus for removing dust
NO145285B (en) APPLIANCE FOR AA IMPROVING FLYASCH SEPARATION IN A MULTI-CHANNEL COOKER OVEN
WO2015098411A1 (en) Exhaust duct and boiler
CN107709879B (en) Waste heat boiler
CN1192186C (en) Fossil fuel fired continuous-flow steam generator
CN205784834U (en) The online high-pressure water flushing device of boiler air preheater
CN209801512U (en) Telescopic soot blower
CN110068010A (en) A kind of adherent wind adding set of Opposite Firing Boiler side wall
KR102581270B1 (en) Attached dust removal device for economizer using air knocker
CN112354352B (en) Improve flue gas forced oxidation SOx/NOx control integrated device
CN204084411U (en) A kind of Novel pulse amplifying device
CN107300185A (en) Shower nozzle and soot blower
CN208139307U (en) A kind of soot blowing blast cap with flat connecting tube
CN202598554U (en) Dust removing device for boiler flue
CN219199220U (en) Shock wave soot blowing and spraying device with stepping rotation function
CN101290133A (en) Multi-jet spray pulse conduit pipe
CN207887375U (en) A kind of denitration spray gun nozzle
CN212663995U (en) Ceramic protective sleeve of spray gun
CN114165799A (en) Slip type boiler pulse soot blower
CN219083160U (en) Arrangement structure for preventing SNCR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drip from corroding boiler water-cooled wall
CN211450911U (en) Low-nitrogen combustor and protection device thereof
CN220322080U (en) Anti-blocking mechanism of blowing gun for soot blower
CN209470238U (en) One kind being used for the clean blow device of smoke discharging pipe
CN219828889U (en) Soot blower for rotary air pre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