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614B1 -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614B1
KR102558614B1 KR1020220024107A KR20220024107A KR102558614B1 KR 102558614 B1 KR102558614 B1 KR 102558614B1 KR 1020220024107 A KR1020220024107 A KR 1020220024107A KR 20220024107 A KR20220024107 A KR 20220024107A KR 102558614 B1 KR102558614 B1 KR 102558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box
cooling
photovoltaic junction
heat transf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후
Original Assignee
이동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후 filed Critical 이동후
Priority to KR1020220024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내부에 마련되는 흡열판, 일단부가 상기 흡열판에 접촉되며 타단부가 상기 태양광 발전 접속함 외부로 연장되는 열전달용 봉, 상기 태양광 발전 접속함 외부로 연장된 상기 열전달용 봉의 타단부가 내장되며 내부에 냉각용 액체가 봉입되는 냉각용 액체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용 봉은 내부를 따라 중공 형태의 냉각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 통로의 일단부는 막힌 형태이며 상기 냉각 통로의 타단부는 열린 형태이며, 상기 냉각용 액체 챔버의 냉각용 액체의 일부는 상기 열전달용 봉의 냉각 통로를 통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 접속함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태양광 발전 접속함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열판 및 열전달용 봉을 매개하여 냉각용 액체 챔버의 냉각용 액체로 전달시켜 태양광 발전 접속함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PHOTOVOLTAIC JUNCTION BOX WITH COOLING DEVICE}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접속함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 접속함 내부 구성 전력기자재는 터미널 단자와 차단기, 퓨즈, 역류방지 다이오드 및 바이패스 다이오드, 부스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기능은 대략 아래와 같다.
바이패스 다이오드(Bypass Diode)
일반적으로 결정질 태양광 발전 모듈 제품의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바이패스 다이오드는 반드시 적용되고 있다.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주요 기능은 태양광 발전 셀의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핫스팟(Hot spot) 및 모듈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 모듈의 일부분 음영, 적설, 오염이 발생될 경우, 나머지 부분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를 바이패스시켜 에너지 손실을 낮출 수 있도록 한다.
태양광 발전 셀을 직렬접속으로 스트링한 모듈에서 그림자 또는 파손 등 사고가 발생시 해당 전지에 회로의 전압이 역방향으로 집중해서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전류에 의한 핫스팟 현상이 발생되고 시간이 지속될 때에는 과열에 의해서 주변의 충진재 변색 등 태양광 발전 모듈이 열화 되거나 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출력전력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 종합출력의 저하를 억제하고 태양광 발전 모듈의 열화와 소손을 방지하기 위해 태양광 발전 모듈마다 다이오드를 설치하여 해당 태양광 발전 모듈을 전류가 우회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한다. 이 다이오드를 바이패스 다이오드라 하며 보통 태양광 발전 접속함 내부에 설치된다.
역류방지 다이오드(Blocking Diode)
태양광 발전 모듈에 다른 모듈의 병렬회로와 축전지 또는 인버터(inverter) 계통연계 시스템인 경우 전류가 다른 회로에 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역저지용 다이오드가 사용된다. 이를 역류방지 다이오드라 하며 보통 태양광 발전 접속함 내에 설치된다. 또한 태양전지 어레이의 직류출력회로에 축전지가 설치되는 경우 야간에 태양전지가 발전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PV는 축전지에 의해 부하 상태로 된다. 이 때 축전지에서 방전은 일사강도가 회복될 때까지 축전지 용량은 계속해서 방전되어 전력을 소비하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 역류방지 다이오드이다.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고장
일반적인 바이패스 다이오드 손상의 주요 원인은 다이오드 항복전압 이상의 서지전압과 다이오드 자체 열 발산 미비로 인한 결함과 접촉 파괴에 의한 단락상태가 대부분이다. 역 바이어스(Reverse Bias) PN 접합 다이오드의 특성은 역 바이어스 조건에서 다이오드의 N형 물질에 양(+)의 전압이 인가되고, P형 물질에 음(-)의 전압이 인가된다. N형 물질에 인가된 양(+)의 전압은 전자를 양극 쪽으로 접합부에서 멀어지게 끌어당기는 반면, P형 말단의 정공도 접합부에서 음극 쪽으로 끌어당긴다. 최종 결과는 공핍층이 전자와 정공의 부족으로 인해 더 넓어지면서 고 임피던스 경로를 제공하여 접합부에 거의 절연체와 고전위 장벽이 생성되어 전류가 반도체 재료를 통해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이 조건은 PN 접합에 대한 높은 저항 값을 나타내며 바이어스 전압이 증가하면 접합 다이오드를 통해 거의 0의 전류가 흐른다. 그러나 매우 적은 역 누설 전류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암페어(μA) 단위의 전류가 접합부를 통해 흐른다. 그러나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역 바이어스 전압(Vr)이 충분히 높은 값으로 증가하거나 주변 온도가 상승하면 누설 전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다이오드의 PN 접합이 과열되고, 접합 주변의 양자 터널링 효과(Quantum Tunneling Effect)로 인해 다이오드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다이오드가 단락되어 최대 회로 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이는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부스바(Bus Bar) 접촉부의 열화
부스바는 일반적으로 전원 케이블을 대신하여 사용되는 긴 금속판 형상의 제품을 총칭한다. 이러한 부스바는 케이블에 비해 넓은 평판이므로 방열 효과가 크고, 또한 그 표면적이 넓어 도체의 표면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의 임피던스를 낮추어 줄 수 있어 전류가 큰 시스템에 보다 더 유리하며, 일반적으로 접속함, 배전반, 분전반 등의 광범위한 전력 수용가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접속함, 배전반, 분전반의 전기설비의 사고는 부스바 접촉부의 열화에 의한 사고, 부스바의 접점 및 연결 부위에서의 접촉 불량에 의한 사고, 부스바 접촉부의 과열 현상에 의한 사고로 구분되며, 선행 연구에서 부스바 접촉 저항 값 변화에 따라 접촉부 온도가 27.3℃에서 69.3℃로 상승하는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부스바 접속부의 과열현상에 의한 사고는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고, 작업자나 검사자가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이나 빈번하게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수배전반의 전기사고는 전기 사용의 증가에 따라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는 물론, 국가 경제에도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화재의 주요 요인이 된다.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밀봉
도 1은 종래의 소형 태양광 발전 접속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소형 태양광 발전 접속반의 전력기자재를 살펴보면 (+)와 (-) 터미널, 다이오드들 그리고 PV 모듈 접속점들로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보통 PV 패널의 뒤편에 부착되어 있어 사계절 온갖 기후변화를 겪는 과정에서 비록 방습 및 방진이 되게 제작되었다 하더라도 밤낮의 온도 변화에 서서히 습기와 먼지가 침투되어 PV 패널 접속점 사이와 다이오드 사이에서 절연저항 감소로 트래킹(tracking)에 의한 화재 위험성이 높으며, 결로가 생기고 부식이 진행되어 시간이 지나면서 노후화가 진행되어 접착력이 이완된 곳에서 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목적으로 종래의 소형 접속함 내부의 전력기자재를 봉입재로 밀봉하는 방안이 있다.
태양광 발전 접속함에는 IEC60529에 따른 IP68 보호 등급에서, 포팅(potting)에 대한 한 가지 유형의 밀봉 스타일이 있으며, 포팅의 경우 DOW CORNING CORP의 UL 인증 포팅 실리콘 PV-8007 또는 BEIJING TONSAN ADHESIVE CO LTD의 1527을 밀봉재로 사용하여 소형 접속함을 포팅하면 방수와 방진이 완벽하여 전력기자재의 열화를 막아 궁극적으로 화재 예방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밀봉 기술은, 발열이 많은 다이오드의 열 발산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열폭주
도 2는 다이오드의 전형적인 역전압과 온도에 대한 누설전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주변온도가 25°C에서 125°C로 상승하면, 역 전압 15V에서 다이오드의 누설전류(Ir)는 약 7μA에서 약 3000μA로 거의 428배가 증가한다. 요약하면, 다이오드의 온도상승은 누설 전류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다이오드가 과열되지 않도록 합당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태양광 모듈이 부분적으로 음영 처리되면 음영 처리된 부분 스트링에 해당하는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 되고, 순방향 바이어스에서 다이오드의 전력 손실은 다이오드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시작한다. 역 바이어스의 전력 손실이 열 발산 능력보다 크면 다이오드 온도가 증가하기 시작하고, 역 전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훨씬 더 많은 전력 손실을 초래하고, 이 과정은 다이오드가 과열로 완전히 파괴될 때까지 계속되며, 이 현상을 열 폭주라고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이패스 다이오드는 항상 역 바이어스로 PV 모듈에 연결되어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누설전류가 흐르게 되어 다이오드가 설치된 접속함의 내부 온도는 주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여 하절기 맑은 날에는 온도가 70℃ 이상까지 올라간다. 접속함 온도가 25℃에서 70℃로 증가함에 따라 역전압 15V(60~72셀)에서 누설전류가 최대 35배까지 증가한다는 선행 연구가 있다. 다시 말해 바이패스 다이오드는 접속함 내부의 주변 온도가 60℃ 이상 높은 곳에서 작동하므로 음영으로 인한 전도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열을 발생시켜 접속함 내부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접속함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누설전류도 증가하여 접속함 내부온도를 더욱 상승시킨다. 이러한 열 폭주는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서서히 열화시켜 불량하게 만들어 점점 누설전류를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고온 발생으로 발화에 이르는 과정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들은 태양광 발전 접속함 내부에 다양한 냉각 장치들을 설치하고 있지만, 그 한계로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04361호 "태양광 발전장치용 접속반 냉각장치"(2018. 9.27. 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9367호 "고효율 태양광 모듈 접속함"(2011.10. 5.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외부에 냉각용 액체가 저장된 냉각용 액체 챔버를 형성하고 태양광 발전 접속함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용 액체 챔버로 전달시켜 태양광 발전 접속함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내부에 마련되는 흡열판, 일단부가 상기 흡열판에 접촉되며 타단부가 상기 태양광 발전 접속함 외부로 연장되는 열전달용 봉, 상기 태양광 발전 접속함 외부로 연장된 상기 열전달용 봉의 타단부가 내장되며 내부에 냉각용 액체가 봉입되는 냉각용 액체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용 봉은 내부를 따라 중공 형태의 냉각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 통로의 일단부는 막힌 형태이며 상기 냉각 통로의 타단부는 열린 형태이며, 상기 냉각용 액체 챔버의 냉각용 액체의 일부는 상기 열전달용 봉의 냉각 통로를 통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 접속함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액체 챔버 내부에 상기 열전달용 봉의 타단부와 접촉되며 상기 냉각용 액체에 잠입된 방열판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액체 챔버에 상기 냉각용 액체의 압력에 따라 그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압력 조절용 고무 챔버가 마련될 수 있다.
삭제
상기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용 고무 챔버의 내부는 대기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벽체 일부는 상기 냉각용 액체 챔버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흡열판과 상기 열전달용 봉의 접촉을 위하여 상기 흡열판에 상기 열전달용 봉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원형 러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외부에 냉각용 액체가 저장된 냉각용 액체 챔버를 형성하고 태양광 발전 접속함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용 액체 챔버로 전달시켜 태양광 발전 접속함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접속함 내부의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다이오드의 온도상승을 막고, 또한 다이오드의 누설전류의 상승을 막고 열화를 방지하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수명을 연장하고 효율적인 발전을 가능하게 하면서 궁극적으로 화재를 예방한다.
도 1은 종래의 소형 태양광 발전 접속함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다이오드의 전형적인 역전압과 온도에 대한 누설전류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의 개념도,
도 4는 도 3에서 흡열판과 열전달용 봉과 방열판을 별도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A-A 기준 단면도,
도 6은 도 4의 A-A 기준 단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변형예를 보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의 개념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흡열판과 열전달용 봉과 방열판을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A-A 기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A-A 기준 단면 사시도이다.
태양광 발전 접속함(100)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전선 인입구(101), (-)전선 인입구(102)가 형성되며, 볼트(103)에 의하여 고정된 터미널(104), 다이오드(105) 등이 마련된다.
태양광 발전 접속함(100)의 내부에 흡열판(110)이 마련된다.
흡열판(110)은 태양광 발전 접속함(100)의 내부의 열을 흡열하기 위한 것으로, 효과적인 흡열을 위하여 다이오드(105)와 터미널(104)의 다이오드 솔더링부 위의 빈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흡열판(110)의 재질은 열전달이 우수하고 비열이 큰 금속재료가 바람직하고, 특히 구리 또는 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흡열판(110)이 터미널(104) 등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열판(110)의 양단 각각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흡열판 지지핀(112)이 장착되어 있다.
즉 흡열판 지지핀(112)에 의하여 흡열판(110)이 태양광 발전 접속함(100)의 내부에서 다른 부재와의 전기적 접촉이 방지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태양광 발전 접속함(100)의 외부에 냉각용 액체 챔버(200)가 마련된다.
냉각용 액체 챔버(200)의 내부에는 방열판(210)이 배치되며, 또한 냉각용 액체 챔버(200)의 내부에 냉각용 액체(201)가 봉입된다.
따라서 방열판(210)은 냉각용 액체(201)에 잠입된 상태이다.
냉각용 액체(201)의 종류로서 메타놀, 에타놀,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채택될 수 있다.
냉각용 액체 챔버(200)의 외부에는 방열핀(202)이 형성되어 있다.
방열판(210)의 재질은 열전달이 우수하고 비열이 큰 금속재료가 바람직하고, 특히 구리 또는 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태양광 발전 접속함(100)의 흡열판(110)의 열을 냉각용 액체 챔버(200)의 방열판(210)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열전달용 봉(220)이 마련된다.
열전달용 봉(220)의 재질은 열전달이 우수하고 비열이 큰 금속재료가 바람직하고, 특히 구리 또는 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열전달용 봉(220)의 일단부는 태양광 발전 접속함(100) 내부에서 흡열판(110)에 접촉되며, 열전달용 봉(220)의 타단부는 태양광 발전 접속함(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냉각용 액체 챔버(200)의 내부에서 방열판(210)과 접촉된다.
즉 열전달용 봉(220)의 일단부는 태양광 발전 접속함(100) 내부에 배치되며, 열전달용 봉(220)의 타단부는 냉각용 액체 챔버(200)의 내부에 배치된다.
한편 흡열판(110)에는 열전달용 봉(220)과의 접촉을 위하여 열전달용 봉(22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접촉되는 원형 러그(111)가 마련된다.
방열판(210)에는, 흡열판(110)의 원형 러그(111)와 마찬가지로, 열전달용 봉(220)과의 접촉을 위하여 열전달용 봉(220)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접촉되는 원형 러그(211)가 마련된다.
원형 러그(211)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방열판(210)에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7과 같이 원형 러그(211)는 방열판(210)과 별도로 제작된 후 방열판(210)에 솔더링으로 접착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열전달용 봉(220)은 내부를 따라 중공 형태의 냉각 통로(221)가 형성되며, 냉각 통로(221)의 일단부는 막힌 형태이며, 냉각 통로(221)의 타단부는 열린 형태이다.
따라서 냉각용 액체 챔버(200)의 냉각용 액체(201)는 열린 형태의 냉각 통로(221)의 타단부를 통하여 냉각 통로(22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냉각용 액체(201)의 일부는 열전달용 봉(220)의 냉각 통로(221)를 통하여 태양광 발전 접속함(1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냉각용 액체 챔버(200) 내부에는 냉각용 액체(201)의 압력에 따라 그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압력 조절용 고무 챔버(230)가 마련된다.
압력 조절용 고무 챔버(230)는 수축과 팽창에 대한 복원력이 양호한 실리콘 재질의 고무 계통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력 조절용 고무 챔버(230)의 내부는 대기와 연통되어 있다. 즉 압력 조절용 고무 챔버(230)에는 대기와 연통되는 공기구멍(231)이 형성되어 있다.
압력 조절용 고무 챔버(230)는, 공기구멍(231)을 통하여 외기의 출입이 가능하여, 냉각용 액체(201)의 체적 변화에 대응하여 압축 또는 팽창하여 냉각용 액체 챔버(200)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유지시켜 냉각용 액체 챔버(200)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태양광 발전 접속함(100)에 냉각용 액체 챔버(2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즉 태양광 발전 접속함(100)의 벽체 일부(120)는 냉각용 액체 챔버(200)의 일부를 형성하며, 벽체 일부(120)는 냉각용 액체(201)와 직접 접하게 된다.
또한 벽체 일부(120)에는 열전달용 봉(220)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에는 냉각용 액체(201)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고무의 패킹(121)이 장착되어 있다. 아울러 실리콘 고무의 패킹(121)은 누설 방지를 위하여 실런트로 마감 처리한다.
본 실시예는 태양광 발전 접속함(100)에서의 열을 흡열판(110)에서 흡수하고, 그 흡수한 열에너지를 열전달용 봉(220)을 통하여 냉각용 액체 챔버(200)의 방열판(210)으로 전달하며, 방열판(210)은 냉각용 액체(201)로 열을 발산하게 된다.
이때 흡열판(110)의 원형 러그(111)와 방열판(210)의 원형 러그(211)는 열전달용 봉(220)과의 밀착 접촉으로 열에너지가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냉각용 액체(201)는 방열판(210), 열전달용 봉(220)과 접촉되면서 태양광 발전 접속함(100)의 열에너지를 신속히 흡수한다.
냉각용 액체(201)가 동절기에 결빙될 수 있다면 냉각용 액체(201)는 잠열을 제공할 수 있어 열에너지의 흡수에 더욱 바람직하다.
냉각용 액체(201)는 상변화 물질이 바람직하며, 특히 비열이 큰 파라핀계의 물질이 바람직하다.
한편 동절기에 냉각용 액체(201)의 동결 등으로 인하여 체적이 팽창되면 압력 조절용 고무 챔버(230)가 압축되면서 이를 상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냉각용 액체(201)의 동결은, 겨울철에 발전량의 증가와 태양광 발전 모듈의 부분 음영에 의하여 태양광 발전 접속함(100)의 온도 상승이 더 심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냉각용 액체 챔버(200)가 태양광 발전 접속함(100)과 별도로 분리되어 제작되어 설치되는 구조이다.
냉각용 액체 챔버(200)에도 열전달용 봉(220)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에는 냉각용 액체(201)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241)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태양광 발전 접속함(100)에 본 발명을 적용하기에 편리하다.
냉각용 액체 챔버(200)의 재질은 폴리머 레진계가 바람직하고, 열변화가 적고 견고한 ABS가 바람직하다.
냉각용 액체 챔버(200)는 본체와 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뚜껑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때 뚜껑은 냉각용 액체 챔버(200)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아크릴 계통의 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태양광 발전 접속함
110 : 흡열판 111 : 원형 러그
112 : 흡열판 지지핀
120 : 벽체 일부 121 : 패킹
200 : 냉각용 액체 챔버
201 : 냉각용 액체 202 : 방열핀
210 : 방열판 211 : 원형 러그
220 : 열전달용 봉 221 : 냉각 통로
230 : 압력 조절용 고무 챔버 231 : 공기구멍

Claims (7)

  1.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내부에 마련되는 흡열판, 일단부가 상기 흡열판에 접촉되며 타단부가 상기 태양광 발전 접속함 외부로 연장되는 열전달용 봉, 상기 태양광 발전 접속함 외부로 연장된 상기 열전달용 봉의 타단부가 내장되며 내부에 냉각용 액체가 봉입되는 냉각용 액체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용 봉은 내부를 따라 중공 형태의 냉각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 통로의 일단부는 막힌 형태이며 상기 냉각 통로의 타단부는 열린 형태이며, 상기 냉각용 액체 챔버의 냉각용 액체의 일부는 상기 열전달용 봉의 냉각 통로를 통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 접속함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액체 챔버 내부에 상기 열전달용 봉의 타단부와 접촉되며 상기 냉각용 액체에 잠입된 방열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액체 챔버에 상기 냉각용 액체의 압력에 따라 그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압력 조절용 고무 챔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용 고무 챔버의 내부는 대기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벽체 일부는 상기 냉각용 액체 챔버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판과 상기 열전달용 봉의 접촉을 위하여 상기 흡열판에 상기 열전달용 봉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원형 러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
KR1020220024107A 2022-02-24 2022-02-24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 KR102558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107A KR102558614B1 (ko) 2022-02-24 2022-02-24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107A KR102558614B1 (ko) 2022-02-24 2022-02-24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614B1 true KR102558614B1 (ko) 2023-07-21

Family

ID=8742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107A KR102558614B1 (ko) 2022-02-24 2022-02-24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61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895B1 (ko) * 2006-02-09 2007-05-10 (주)이엠씨코리아 주상변압기 보호용 자동압력조절장치
KR20110009367U (ko) 2010-03-26 2011-10-05 대경전선공업주식회사 고효율 태양광 모듈 접속함
KR101237306B1 (ko) * 2012-06-29 2013-02-2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에너지 변환장치에 적용되는 광전지 모듈 냉각장치
US20140311551A1 (en) * 2013-04-17 2014-10-23 Yi Pang Solar energy system
JP2017004725A (ja) * 2015-06-09 2017-01-05 加藤 正夫 Led照明装置
KR101904361B1 (ko) 2017-03-24 2018-10-05 유한회사 고려전기 태양광 발전장치용 접속반 냉각장치
CN208939901U (zh) * 2018-11-23 2019-06-04 云南三特光伏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汇流箱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895B1 (ko) * 2006-02-09 2007-05-10 (주)이엠씨코리아 주상변압기 보호용 자동압력조절장치
KR20110009367U (ko) 2010-03-26 2011-10-05 대경전선공업주식회사 고효율 태양광 모듈 접속함
KR101237306B1 (ko) * 2012-06-29 2013-02-2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에너지 변환장치에 적용되는 광전지 모듈 냉각장치
US20140311551A1 (en) * 2013-04-17 2014-10-23 Yi Pang Solar energy system
JP2017004725A (ja) * 2015-06-09 2017-01-05 加藤 正夫 Led照明装置
KR101904361B1 (ko) 2017-03-24 2018-10-05 유한회사 고려전기 태양광 발전장치용 접속반 냉각장치
CN208939901U (zh) * 2018-11-23 2019-06-04 云南三特光伏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汇流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0387B2 (en) Photovoltaic module
US8222533B2 (en) Low profile photovoltaic (LPPV) box
US7291036B1 (en) Photovoltaic connection system
ES2285979T3 (es) Disposicion de circuito para la generacion de corriente con celulas solares.
CN101459392B (zh) 太阳能光伏发电系统用接线盒
US20080110490A1 (en) Photovoltaic connection system
AU2016429622B2 (en) Photovoltaic lamination assembly with bypass diodes
US20130206203A1 (en) Photovoltaic module with integrated solar cell diodes
US8148628B2 (en) Solar cell receiver for concentrator modules
JP2010514165A (ja) プラグでつなぐ光起電力性モジュール
US20080253092A1 (en) Heat Dissipation System for Photovoltaic Interconnection System
US10700635B2 (en) Solar cell module
US20120125682A1 (en) Terminal box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US20100089434A1 (en) Efficient Air-Cooled Solar Photovoltaic Modules and Collectors for High Power Applications
JP5777580B2 (ja) 端子ボックス
US20110226305A1 (en) Connection device for solar cell module
KR102558614B1 (ko) 태양광 발전 접속함의 냉각장치
CN201360124Y (zh) 太阳能光伏发电系统用接线盒
KR102176445B1 (ko)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열배출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태양전지 모듈
CN102044991B (zh) 太阳电池组件用接线盒
CN111565023B (zh) 一种光伏接线盒
CN109194281B (zh) 一种热能对流散热型光伏组件
KR101349547B1 (ko) 태양광 발전장치
CN116014014A (zh) 一种多旁路二极管的光伏组件及其制备方法
KR102456284B1 (ko) 태양광 모듈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