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588B1 - Automated guided vehicle with emergency casters - Google Patents

Automated guided vehicle with emergency cas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588B1
KR102558588B1 KR1020210083494A KR20210083494A KR102558588B1 KR 102558588 B1 KR102558588 B1 KR 102558588B1 KR 1020210083494 A KR1020210083494 A KR 1020210083494A KR 20210083494 A KR20210083494 A KR 20210083494A KR 102558588 B1 KR102558588 B1 KR 102558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er
wheel
emergency
stick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8757A (en
Inventor
강희찬
문건일
Original Assignee
(주)금강오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강오토텍 filed Critical (주)금강오토텍
Publication of KR2022000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7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58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25Mod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66F7/1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screw operated
    • G05D2201/02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중인 제품이 각 제조 공정을 거치면서 완성품이 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대신에 조립중인 제품을 탑재하고 이동하는 이동체인 자동 안내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 안내 운반차는 스테이지와, 스테이지의 저면에 설치되는 캐스터와, 스테이지의 측면에 설치되는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캐스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구와, 구동 기구 조작용 컨트롤 패널로 이루어지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스테이지의 저면에는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테이지가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는 수단이 접철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구동 바퀴가 작동되지 않는 상황에서 수동으로 쉽게 견인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고, 자동 운전 캐스터와 수동 운전 캐스터가 서로 간섭되지 않는 설치 구조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which is a movable body that mounts and moves a product being assembled instead of a conveyor so that the product being assembled can become a finished product through each manufacturing process. An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composed of a stage, caster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ge, and connectors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tage, a drive mechanism for transmitting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casters, and a drive portion composed of a control panel for operating the drive mechanism. A means for manually moving the stage when the drive unit is not operate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ge in a foldable manner, so that a means for manually towing it easily in a situation where the driving wheels are not operated is provided, and the automatic driving caster and the manual driving caster have an installation structure in which they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Description

비상용 캐스터가 구비된 자동 안내 운반차{Automated guided vehicle with emergency casters}Automatic guided vehicle with emergency casters {Automated guided vehicle with emergency casters}

본 발명은 자동 안내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립 중인 제품이 각 제조 공정을 거치면서 완성품이 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대신에 조립중인 제품을 탑재하고 이동하는 이동체인 자동 안내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which is a mobile body that mounts and moves a product under assembly instead of a conveyor so that the product under assembly can become a finished product through each manufacturing process.

무인 운반차 또는 자동 안내 운반차(Automatic Guided Vehicle : AGV)은 물품의 조립 생산 라인에서 종래에 컨베이어가 하던 제품 이송 역할을 대신하여, 설치된 지정 경로로만 운반이 가능하던 컨베이어와 달리, 필요에 따라 공정 이동 경로가 변경이 가능하도록 차량 형태이면서 조립중인 제품의 적재가 가능한 이동 플랫폼을 견인하는 장치이다.An automatic guided vehicle (AGV) is a device that tows a mobile platform that is in the form of a vehicle and is capable of loading products under assembly so that the process movement path can be changed as needed, unlike conveyors that can only be transported through an installed designated path instead of conveying the product that the conveyor conventionally did in the assembly line.

자동 안내 운반차는 이미 30년 전에 개발된 기술이지만, 근래 인건비 상승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자동 안내 운반차의 사용으로 인해 시간 당 70~80% 인건비 절감 효과와 7~15% 생산성 향상 효과가 있다. 특히 같은 상품을 정해진 구역으로 운반하는 단순 운반 작업에 적합하며 로봇의 특성상 휴식 없이 풀가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Automated guide truck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30 years ago, but recently they are attracting new attention due to rising labor costs. According to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the use of automated guide trucks reduces labor costs by 70-80% per hour and increases productivity by 7-15%. In particular, it is suitable for simple transportation work of transporting the same product to a designated area,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operate at full capacity without rest due to the nature of the robot.

자동 안내 운반차는 또한 기존 단순작업 투여 인력을 보다 복합적인 고급 업무로 배치할 수 있어 노동 생산성 향상 효과가 탁월하고, 최근에는 일반 배터리 대신 몇 초 만에 충전이 완료되는 슈퍼 커패시터가 장착된 무인운반차가 개발되어 배터리 충전에서 발생되는 생산성 손실이 줄어들고 있다. 즉 배터리 교체를 통해 제품 손상이 최대 90%까지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Automated guide trucks also have an excellent effect on improving labor productivity by assigning existing simple task workers to more complex and high-level tasks. In other words, product damage can be reduced by up to 90% through battery replacement.

하지만 자동 안내 운반차는 특히 차량과 같은 큰 부피의 제품을 조립하기 위한 넓은 면적의 이동 플랫폼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고장이나 기타 이유로 정비시설에서 유지 보수가 필요할 때 이동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또한, 구동되는 부위가 별도로 분리 가능하여 제품이 탑재되는 이동 플랫폼은 구동되는 부위에 견인되도록 제작된 경우라 하더라도, 구동 기구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구동 휠이 회전되지 않으면 수동으로 끌 수가 없어, 별도의 운반 수단에 적재하여 정비시설까지 끌고 가야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ove when maintenance is required at a maintenance facility due to breakdown or other reasons, especially when a large moving platform for assembling large-volume products such as vehicles is formed. In addition, even if the moving platform on which the product is mounted is designed to be towed to the driven part because the driven part is separately separable, if a problem occurs in the driving mechanism, it cannot be manually turned off unless the driving wheel is rotated.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10063호(공고일자: 2021. 02. 01)1.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210063 (Announcement date: 2021. 02. 01)

이에 본 발명은 구동 바퀴가 작동되지 않는 상황에서 수동으로 쉽게 견인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자동 안내 운반차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provided with a means that can be easily towed manually in a situation where the driving wheels are not operated.

또한 본 발명은 자동 운전 캐스터와 수동 운전 캐스터가 서로 간섭되지 않는 설치 구조를 갖는 자동 안내 운반차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ally guided transport vehicle hav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in which autonomous driving casters and manually driving casters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구동 바퀴가 작동되지 않는 상황에서 수동으로 견인할 수 있는 구조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자동 안내 운반차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equipped with a means capable of easily and quickly switching to a structure that can be manually towed in a situation where driving wheels are not operat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안내 운반차는 본체부와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의 저면에 설치되는 캐스터와, 상기 스테이지의 측면에 설치되는 커넥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캐스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구와, 상기 구동 기구 조작용 컨트롤 패널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이지의 저면에는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테이지를 수동으로 견인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다.An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ncludes a body part and a driving part. The main body includes a stage having a certain area, a caster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tage, and a connector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stage.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mechanism for transmitting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casters and a control panel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A means for manually towing the stage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age when the driving unit is not operated.

상기 캐스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로 직접 회전 구동되는 동력구동륜과, 상기 동력구동륜과 함께 상기 스테이지를 지지하는 피동 캐스터와,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수동으로 상기 스테이지를 견인하도록 마련되는 비상용 캐스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동으로 견인할 수 있는 수단은 상기 비상용 캐스터일 수 있다.Preferably, the caster may include a power driving wheel driven to rotate directly by the driving unit, a driven caster supporting the stage together with the power driving wheel, and an emergency caster provided to manually pull the stage when the driving unit is not operated. The means for manually pulling may be the emergency caster.

상기 비상용 캐스터에는 바람직하게는 비상용 캐스터의 높이를 조절시키는 승강 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구동부가 작동될 때는 비상용 캐스터의 하단 높이를 상기 동력구동륜 및 피동 캐스터의 하단 높이보다 높게 유지시키고,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지 않을 때는 상기 비상용 캐스터를 하강시켜, 비상용 캐스터의 하단 높이가 상기 동력구동륜 및 피동 캐스터의 하단 높이보다 낮게 유지될 수 있다.The emergency caste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elevating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emergency caster, and the elevating unit maintains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emergency caste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power drive wheel and the driven caster when the drive unit is operated, and lowers the emergency caster when the drive unit is not operated.

상기 비상용 캐스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지의 저면에 가변 힌지로 연결되고, 비상용 캐스터와 가변 힌지는 비상용 캐스터에 일체로 결합되는 가변 암으로 연결되며, 상기 가변 암에는 판 형상의 브래킷 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브래킷 패널의 저면을 밀어 올리거나 내리는 캠 휠을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caster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ge by a variable hinge, the emergency caster and the variable hinge are connected to a variable arm integrally coupled to the emergency caster, a plate-shaped bracket panel is installed on the variable arm, and the elevating unit may include a cam wheel that pushes up or lowers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cket panel.

상기 비상용 캐스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지의 저면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비상용 캐스터 마다 상기 캠 휠이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캠 휠 모두에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는 가변 연동 프레임과, 상기 가변 연동 프레임을 수동으로 가변시키는 수동 조작 레버와, 수동 조작 레버의 동작으로 상기 가변 연동 프레임의 위치를 전환시키는 전환 스위치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a plurality of emergency casters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age, each emergency caster is provided with one cam wheel, and the elevating unit may include a variable interlocking frame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power to all of the cam wheels, a manual control lever for manually changing the variable interlocking frame, and a changeover switch box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interlocking frame by an operation of the manual control lever.

상기 전환 스위치 박스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동 조작 레버의 동작에 따라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주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 스틱에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원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위치가 고정된 고정 스틱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에 내장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스틱과 고정 스틱은 모두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동 조작 레버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이동 스틱이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될 때 상기 원주와 상기 고정 스틱이 가장 근접하는 지점을 상기 이동 스틱이 지나는 순간부터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탄성 팽창으로 인해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이동 스틱은 상기 근접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changeover switch box preferably includes a piston installed on a moving stick moving on a circumference having a constant radiu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anual control lever, a cylinder installed on a fixed stick whose position is fixed at a point away from the circumference, and a compression spring built into the cylinder, and both the moving stick and the fixed stick are rotatably installed in place. Due to the elastic expansion of the compression spring, the piston is withdrawn from the cylinder, and the moving stick can move along the circumference from the approaching point.

상기 수동 조작 레버와 상기 이동 스틱은 바람직하게는 모두 수동 조작 레버의 동작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작동 휠의 서로 다른 지점에 연결되어, 수동 조작 레버로 상기 작동 휠을 회전시킴에 따라 작동 휠에 설치된 상기 이동 스틱은 이동 스틱과 작동 휠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을 반경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both the manual control lever and the moving stick are connected to different points of a working wheel installed to passively ro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anual operating lever, and as the working wheel is rotated by the manual operating lever, the moving stick installed on the working wheel may have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moving stick and the working wheel as a radius.

상기 전환 스위치 박스에는 상기 이동 스틱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 휠에는 상기 스토퍼가 안착되는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안착 포인트가 마련되어, 상기 수동 조작 레버의 조작 방향에 따라 상기 두 개의 안착 포인트 중 어느 하나의 안착 포인트가 상기 스토퍼와 만나면서 상기 작동 휠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A stopper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ving stick is installed in the changeover switch box, and preferably, the operation wheel is provided with two seating poi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which the stopper is seated, and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wheel can be stopped as one of the two seating points meets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manual control lever.

또는 상기 전환 스위치 박스에는 상기 이동 스틱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 휠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작동 휠과 동일한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정지 제어 휠이 설치되며, 상기 정지 제어 휠에는 일정한 각도만큼 절개된 부위가 두 군데에 형성이 되고, 상기 절개된 부위 중 하나에는 서로 마주보는 지점에 각각 상기 이동 스틱이 안착되는 이동 스틱 안착 포인트가 마련되고, 상기 절개된 부위 중 나머지 하나에는 서로 마주보는 지점에 각각 상기 스토퍼가 안착되는 스토퍼 안착 포인트가 마련되며, 상기 두 군데의 절개된 부위 중에서 상기 스토퍼 안착 포인트가 마련된 것이 절개 각도가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a stopper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ving stick is installed in the changeover switch box, and preferably, a stop control wheel installed on the same rotation axis as the operating wheel is install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operating wheel, and the stop control wheel is cut at a predetermined angle. A stopper is formed in two places, and in one of the cut portions, a moving stick seating point is provided at a point facing each other and the stopper is seated at a point facing each other in the other cut portion. A fur seating point is provided, and among the two incised parts, the one having the stopper seating point may have a smaller incision angle.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안내 운반차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로, 구동 바퀴가 작동되지 않는 상황에서 수동으로 쉽게 견인될 수 있다. 둘째로, 자동 운전 캐스터와 수동 운전 캐스터가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셋째로, 구동 바퀴가 작동되지 않는 상황에서 수동으로 견인할 수 있는 구조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전환될 수 있다.The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First, it can be easily towed manually in situations where the driving wheels are not actuated. Second, the automatic driving caster and the manual driving caster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irdly, it can be simply and quickly converted into a structure that can be manually towed in a situation where the driving wheels are not ope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안내 운반차의 사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안내 운반차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자동 안내 운반차에서 이동 플랫폼이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자동 안내 운반차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2a에 도시된 자동 안내 운반차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자동 안내 운반차의 측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비상용 캐스터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안내 운반차에서 승강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에 도시된 전환 스위치 박스의 작용을 순서대로 나타낸 평면 투시도이다.
1 is a photograph of an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moving platform is separated from the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shown in FIG. 2A.
FIG. 3A is a plan view of the automated guided transport vehicle shown in FIG. 2A.
FIG. 3B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shown in FIG. 2A.
FIG. 4 is a side view of the automated guided transport vehicle shown in FIG. 3B.
5a and 5b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of emergency casters shown in FIG. 4 .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unit in an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planar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changeover switch box shown in FIG. 6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안내 운반차(100)는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는 제품이 탑재되는 이동 플랫폼(200)을 견인하는 자력 이동체이다. 도 2b에서 서로 분리된 두 부위 중에 전방으로 분리된 부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안내 운반차(100)이며, 후방에 있는 부위가 이동 플랫폼(200)이다. 자동 안내 운반차(100)는 본체부와 구동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2B , the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lf-moving body that pulls a moving platform 200 on which an assembled product is mounted. Of the two parts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FIG. 2B, the part separated in the front is the automatic guided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part in the rear is the moving platform 200. The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100 includes a main body and a driving unit.

본체부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스테이지(11)와, 스테이지(11)의 저면에 설치되는 캐스터(12,13,14)와, 스테이지(11)의 측면에 설치되는 커넥터(1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테이지(11)의 정면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부딪히는 물체와의 충돌에서 스테이지(11)가 보호될 수 있도록 범퍼(111)가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B, the main body includes a stage 11 having a certain area, casters 12, 13, and 14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tage 11, and connectors 112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tage 11. As shown in FIG. 2A , a bumper 111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stage 11 to protect the stage 11 from a collision with an object colliding in front.

스테이지(11)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도 1 내지 도 2b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11)는 이동 플랫폼(200)의 일부를 이루는 형태로 이동 플랫폼(200)과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스테이지(11)의 형태는 반드시 도 1 내지 도 2b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hape of the stage 11, and as shown in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2B, the stage 11 may be combined with the moving platform 200 in a form forming a part of the moving platform 200. However, the shape of the stage 11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hape of FIGS. 1 to 2B.

구동부는 캐스터(12,13,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구(22,23,24)와, 상기 구동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21)로 이루어진다.The drive unit includes drive mechanisms 22 , 23 , and 24 for transmitting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casters 12 , 13 , and 14 , and a control panel 21 for manipulating the drive mechanism.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21)과, 인버터(22)와,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 유닛(23)과, 경로 안내를 담당하는 PLC 제어 유닛(24)과, 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B, the drive unit may include a control panel 21, an inverter 22, a power unit 23 including a battery, a PLC control unit 24 responsible for route guidance, and a motor (not shown).

컨트롤 패널(21)은 도 2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 형태로 높게 제작될 수도 있으나, 바닥에 가까운 낮은 형태로 설치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며, 스테이(11)와 분리되고 케이블 또는 무선으로 스테이지(11)와 연결되는 형태로 제작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The control panel 21 may be manufactured high in a tower shape as shown in FIGS. 2A and 4, but an embodiment in which it is installed in a low form close to the floor is also possible, and an embodiment in which it is separated from the stay 11 and connected to the stage 11 by cable or wirelessly is also possible.

캐스터(12,13,14)는 스테이지(11)의 저면에 설치된다. 특히 스테이지(11)의 저면에는 구동부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스테이지(11)를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다.The casters 12, 13 and 14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tage 11. In particular, a means for manually moving the stage 11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age 11 when the driving unit is not operated.

캐스터(12,13,14)는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의 실시예와 같이 구동부로 직접 회전 구동되는 동력구동륜(12)과, 동력구동륜(12)과 함께 스테이지(11)를 지지하는 피동 캐스터(13)와, 구동부(20)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수동으로 스테이지(11)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비상용 캐스터(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동으로 견인할 수 있는 수단이 바로 비상용 캐스터(14)에 해당된다.More specifically, as in the embodiment of FIG. 3A, the casters 12, 13, and 14 may include a power drive wheel 12 directly rotationally driven by a drive unit, a driven caster 13 supporting the stage 11 together with the power drive wheel 12, and an emergency caster 14 provided to manually move the stage 11 when the drive unit 20 is not operated. The means that can be towed manually corresponds to the emergency caster 14.

도 3a의 평면도 형식으로 도시된 배치도를 참조하면 동력구동륜(12)은 컨트롤 패널(21)의 하부 위치에 설치되며, 동력구동륜(12)이 작동될 때 피동적으로 연동되는 피동 캐스터(13)는 좌우 양 측에 대칭되게 하나씩 설치된다. 그리고 비상용 캐스터(14)는 도 3a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구동륜(12)의 양 측에 대칭되게 하나씩 설치되고, 동력구동륜(12)의 뒤에 하나가 설치된다.Referring to the layout shown in the form of a plan view of FIG. 3A, the power drive wheel 12 is install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control panel 21, and the driven casters 13 passively interlocked when the power drive wheel 12 is operated are installed symmetrically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A , emergency casters 14 are install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power drive wheel 12, and one is installed behind the power drive wheel 12.

도 3a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구동륜(12)이 작동될 때 구동되는 바퀴는 동력구동륜(12)과 나머지 두 개의 피동 캐스터(13)로 이루어져 총 3개이며, 동력구동륜(12)이 고장나거나 기타 이유로 작동이 되지 않을 경우 사용되는 비상용 캐스터(14)도 총 3개이다. 따라서 도 3a의 실시예에서는 각각 3점 지지 형태로 배치되어 본체부가 균형을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개수로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캐스터의 개수와 배치는 반드시 도 3a의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가 균형을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다면 그 설치 형태와 개수 및 설치 위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A, when the power drive wheel 12 is operated, a total of three wheels are composed of the power drive wheel 12 and the remaining two driven casters 13, and the power drive wheel 12 is broken. There are also three emergency casters 14 used when they do not operate for other reasons.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FIG. 3A, it can be seen that each is arranged in a three-point support form, and the main body is installed in a minimum number that can be moved while maintaining balance. However,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caster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rrangement of FIG. 3A,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installation form, number and installation position as long as the main body can move while maintaining balance.

비상용 캐스터(14)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용 캐스터(14)의 높이를 조절시키는 승강 유닛(도 6의 15)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승강 유닛(15)은 구동부가 작동될 때는 비상용 캐스터(14)의 하단 높이를 동력구동륜(12) 및 피동 캐스터(13)의 하단 높이보다 높게 유지시키고, 구동부가 작동되지 않을 때는 비상용 캐스터(14)를 하강시켜 비상용 캐스터(14)의 하단 높이를 동력구동륜(12) 및 피동 캐스터(13)의 하단 높이보다 낮게 유지시킨다.As shown in FIGS. 5A and 5B , the emergency caster 14 may include a lifting unit ( 15 in FIG. 6 )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emergency caster 14 . In particular, the lifting unit 15 maintains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emergency caster 14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power drive wheel 12 and the driven caster 13 when the driving unit is operated, and lowers the emergency caster 14 when the drive unit is not operating.

비상용 캐스터(14)의 높이와 동력구동륜(12) 및 피동 캐스터(13)의 높이 사이의 차이는 도 4에 따른 실시예에 표현되어 있다. 여기서 동력구동륜(12)이 작동될 때는 비상용 캐스터(14)는 살짝 들려 있다. 이때 동력구동륜(12) 및 피동 캐스터(13)의 하단이 접촉되어 있는 지면으로부터 비상용 캐스터(14)의 하단이 떠 있는 높이까지의 높이 차이가 바로 도 4에서 “A”로 표현되어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emergency caster 14 and the height of the power drive wheel 12 and the driven caster 13 is represente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4 . Here, when the power driving wheel 12 is operated, the emergency caster 14 is lifted slightly. At this time, the height difference from the ground at which the lower ends of the power driving wheels 12 and the driven casters 13 are in contact to the height at which the lower ends of the emergency casters 14 float is represented by “A” in FIG. 4 .

비상용 캐스터(14)와 나머지 캐스터(12,13)의 높이 차이인 A는 반드시 현저하게 클 필요가 없으며, 비상용 캐스터(14)가 도 4와 같이 들려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면 높이 차 A는 미세한 크기여도 무방하다.The height difference A between the emergency caster 14 and the rest of the casters 12 and 13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significantly large, and if the emergency caster 14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 lifted state as shown in FIG. 4, the height difference A may be a fine size.

비상용 캐스터(14)가 지면보다 더 상승될 수 있는 구조를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비상용 캐스터(14)는 스테이지(11)의 저면에 가변 힌지(145)로 연결되고, 비상용 캐스터(14)와 가변 힌지(145)는 비상용 캐스터(14)에 일체로 결합되는 가변 암(144)으로 연결된다. 5A and 5B, the emergency caster 14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tage 11 by a variable hinge 145, and the emergency caster 14 and the variable hinge 145 are connected by a variable arm 144 integrally coupled to the emergency caster 14.

비상용 캐스터(14)의 높이가 조절 될 수 있는 원리는 가변 힌지(145)에 연결된 가변 암(144)이 비상용 캐스터(14)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원리이다. 여기서 가변 힌지(145)는 가상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므로, 가변 힌지(145)를 중심으로 하여 가변 암(144)은 수직 방향으로 가변되므로 비상용 캐스터(14)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principle that the height of the emergency caster 14 can be adjusted is that the variable arm 144 connected to the variable hinge 145 raises or lowers the height of the emergency caster 14. Here, since the variable hinge 145 is centered on an imaginary horizontal axis, the variable arm 144 is vertically variable with the variable hinge 145 as the center, so that the height of the emergency caster 14 can be adjusted.

가변 암(144)에는 판 형상의 브래킷 패널(143)이 설치되고, 비상용 캐스터(14)의 회전지지 축(141)과 브래킷 패널(143) 사이는 회전지지 암(14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회전지지 암(142)과 가변 암(144)은 수직 방향의 힌지 축으로 연결되어(도시되지 않음) 서로 수평방향으로 상대 회전될 수 있다.A plate-shaped bracket panel 143 is installed on the variable arm 144, and a rotation support arm 142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rotation support shaft 141 of the emergency caster 14 and the bracket panel 143. At this time, the rotation support arm 142 and the variable arm 144 are connected by a hinge shaft in a vertical direction (not shown) so that they can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승강 유닛(15)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패널(143)의 저면을 밀어 올리거나 브래킷 패널(143)과의 접촉이 분리되는 캠 휠(151)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A and 5B , the lifting unit 15 may include a cam wheel 151 that pushes up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cket panel 143 or separates contact with the bracket panel 143 .

캠 휠(151)은 통상적으로 기계 부품으로 널리 사용되는 캠 휠과 동일하며, 브래킷 패널(143)을 밀어 올릴 수 있는 돌출 형상이 형성되기만 하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The cam wheel 151 is the same as a cam wheel widely used as a mechanical part, and the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a protruding shape capable of pushing up the bracket panel 143 is formed.

동력구동륜(12)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상황에서는 캠 휠(151)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부위가 브래킷 패널(143)의 저면을 밀어 올린 상태로 유지되며, 동력구동륜(12)에 문제가 생겨 작동될 수 없는 상황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안내 운반차(100)의 수동 운반을 위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휠(151)이 도 5a에 비해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브래킷 패널(143)로부터 이격된다. When the power drive wheel 12 is normally operated, the cam wheel 151 maintains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cam wheel 151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cket panel 143 pushed up, as shown in FIG. 43) away from it.

도 5b에서 비상용 캐스터(14)가 하강되는 수직 길이는 도 4 및 도 5a의 A 보다 더 크다. 왜냐하면, 도 4를 참조할 경우 비상용 캐스터(14)가 A 보다 더 깊게 하강해야만 동력구동륜(12)과 피동 캐스터(13)가 부양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FIG. 5B, the vertical length to which the emergency caster 14 is lowered is greater than A in FIGS. 4 and 5A. This is because, when referring to FIG. 4 , the power drive wheel 12 and the driven caster 13 can be lifted only when the emergency caster 14 descends deeper than A.

가변 힌지(145)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캠 휠(151)과 브래킷 패널(143)과의 접촉이 해제되어 도 5b의 상태가 되는 경우에, 상부의 무게로 인해 가변 힌지(145)가 도 5a의 상태로 다시 접히지 않도록 텐션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브래킷 패널(143)의 상면과 스테이지(11)의 저면 사이에는 캠 휠(151)이 없는 경우에 비상용 캐스터(14)가 강력한 힘으로 자동으로 직립될 수 있도록 가변 힌지(145)와 가변 암(144) 둘레에 수평유지를 위한 압축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variable hinge 145,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cam wheel 151 and the bracket panel 143 is released to the state of FIG. 5B, the variable hinge 145 due to the weight of the upper portion. A tension spring (not shown) may be installed so that it does not fold back to the state of FIG. 5A. Alternatively,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panel 14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age 11, when there is no cam wheel 151, the variable hinge 145 and the variable arm 144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emergency caster 14 can be automatically erected with strong force. Compression springs (not shown) for leveling may be installed around the arm 144.

비상용 캐스터(14)는 스테이지(11)의 저면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비상용 캐스터(14) 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휠(151)이 하나씩 구비된다. 이때 비상용 캐스터(14)의 개수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3점 지지 또는 수평을 유지하며 본체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대칭되는 위치에 적절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emergency casters 14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age 11, and each emergency caster 14 is provided with one cam wheel 151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emergency casters 14 may be installed in an appropriate number at a symmetrical position so that the main body can move while maintaining a three-point support or leveling.

승강 유닛(15)은 도 6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캠 휠(151)에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는 가변 연동 프레임(153)과, 가변 연동 프레임(153)을 수동으로 가변시키는 수동 조작 레버(542)와, 수동 조작 레버(542)의 동작으로 가변 연동 프레임(153)의 위치를 전환시키는 전환 스위치 박스(154)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6 , the lifting unit 15 may include a variable interlocking frame 153 that simultaneously transmits power to all cam wheels 151, a manual control lever 542 that manually changes the variable interlocking frame 153, and a changeover switch box 154 tha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interlocking frame 153 by the operation of the manual control lever 542.

가변 연동 프레임(153)은 결국 수동 조작 레버(542)의 동작으로 수평으로 또는 수직으로 가변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캠 휠(151) 마다 가변 연동 프레임(153)의 직선 운동을 캠 휠(151)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캠 휠 기어박스(152)가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The variable interlocking frame 153 is eventually chang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by the operation of the manual control lever 542, and as shown in FIG. 6, the linear motion of the variable interlocking frame 153 may be provided with one cam wheel gearbox 152 that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cam wheel 151 into every cam wheel 151.

전환 스위치 박스(154)는 도 7a 내지 도 7c의 실시예와 같이 수동 조작 레버(542)의 동작에 따라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주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 스틱(544)과, 이동 스틱(544)에 설치되는 피스톤(5471)과 상기 원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위치가 고정된 고정 스틱(5476)에 설치되는 실린더(5472)와 실린더(5472)에 내장되는 압축 스프링(5475)으로 이루어지는 수동 액추에이터(547)를 포함할 수 있다.As in the embodiments of FIGS. 7A to 7C , the changeover switch box 154 includes a moving stick 544 that moves on a circumference having a constant radiu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anual control lever 542, a piston 5471 installed on the moving stick 544, a cylinder 5472 installed on a fixed stick 5476 whose position is fix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ce, and a compression spring 5475 built in the cylinder 5472. It may include a manual actuator 547 made of.

이동 스틱(544)과 고정 스틱(5476)은 모두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스틱(544)에는 원통 형상의 피스톤 측 회전 슬리브(5473)가 결합되고, 이동 스틱(544)의 외주면과 피스톤 측 회전 슬리브(5473)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피스톤(5471)은 이동 스틱(544)과 함께 원주 방향을 따라 가변되면서도 이동 스틱(544)의 중심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도 가능하다.Both the moving stick 544 and the stationary stick 5476 are rotatably installed in place.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7A to 7C, a cylindrical piston-side rotating sleeve 5473 is coupled to the moving stick 544, and a bea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stick 544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side rotating sleeve 5473, so that the piston 5471 is variab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oving stick 544, and can also rotate with the center of the moving stick 544 as the center of rotation.

고정 스틱(5476)의 경우도 이동 스틱(544)과 마찬가지로 고정 스틱(5476)에는 피스톤 측 회전 슬리브(5473)와 유사한 실린더 측 회전 슬리브(5474)가 결합되므로, 실린더5472)는 고정 스틱(5476)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스틱(544)이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가변되더라도 실린더(5472)와 피스톤(5471)은 서로 결합 상태가 유지되면서도 신축 작용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fixed stick 5476, like the moving stick 544, since a cylinder-side rotating sleeve 5474 similar to the piston-side rotating sleeve 5473 is coupled to the fixed stick 5476, the cylinder 5472 can be rotat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fixed stick 5476. Therefore, even if the moving stick 544 is ch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ylinder 5472 and the piston 5471 can be extended and contracted while maintaining a coupled state with each other.

도 7a부터 도 7c의 상태를 순서대로 살펴보면 수동 조작 레버(542)의 동작에 연동되어 이동 스틱(544)이 원주를 따라 이동될 때 상기 원주와 고정 스틱(5476)이 가장 근접하는 지점을 이동 스틱(544)이 지나는 순간부터 압축 스프링(5475)의 탄성 팽창으로 인해 피스톤(5471)은 실린더(5472)로부터 인출되고, 이동 스틱(544)은 상기 근접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한다.Looking at the states of FIGS. 7A to 7C in order, when the moving stick 544 is moved along the circumferenc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manual control lever 542, the piston 5471 is withdrawn from the cylinder 5472 due to the elastic expansion of the compression spring 5475 from the moment the moving stick 544 passes the point where the circumference and the fixed stick 5476 are closest, and the moving stick 544 moves along the circumference from the approaching point. move along

수동 조작 레버(542)와 이동 스틱(544)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수동 조작 레버(54)의 동작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하는 작동 휠(543)의 서로 2다른 지점에 연결된다. 이때 참고로 작동 휠(543)의 테두리에는 도 7a와 같이 기어 날(5432)이 형성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스위치 박스(154)의 측면에 마련된 제어 전달 기어 박스(155)에서 돌출되는 전달 기어(1551)와 치합된다. 제어 전달 기어 박스(155)는 작동 휠(543)의 회전 운동을 도 6에 도시된 가변 연동 프레임(153)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준다.As shown in FIGS. 7A to 7C , the manual control lever 542 and the moving stick 544 are both connected to two different points of the drive wheel 543 that passively rot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anual control lever 54. At this time, for reference, a gear blade 5432 is formed on the rim of the operating wheel 543 as shown in FIG. 7A, and as shown in FIG. The control transmission gear box 155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working wheel 543 into the linear motion of the variable interlocking frame 153 shown in FIG. 6 .

수동 조작 레버(542)로 작동 휠(543)이 회전됨에 따라 작동 휠(543)에 설치된 이동 스틱(544)은 이동 스틱(544)과 작동 휠(543)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을 반경으로 하는 원주를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수동 조잘 레버(542)를 도 7a에서 도 7c의 순서로 조작할 때 작동 휠(543)은 도 7b의 상황과 같이 실린더(5472)에 내장된 압축 스프링(5475)이 최대로 압축되는 지점부터 도 7c의 상황까지 이르는 구간의 동작은 압축 스프링(5475)의 힘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As the operation wheel 543 is rotated by the manual control lever 542, the movement stick 544 installed on the operation wheel 543 moves along a circumference having a radius of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movement stick 544 and the operation wheel 543. Therefore, when the manual control lever 542 is operated in the order of FIGS. 7A to 7C, the operating wheel 543 moves from the point where the compression spring 5475 built in the cylinder 5472 is maximally compressed as shown in FIG. 7B to the situation in FIG. 7C.

작동 휠(543)의 회전에 연동되는 피스톤(5471)의 동작은 시작점과 끝점에서 정확하게 정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7a에서 도 7c로 진행되는 과정과 도 7c에서 도 7a로 진행되는 과정이 정확하게 종료될 수 있도록 스토퍼(545)가 마련된다.The operation of the piston 5471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working wheel 543 must be accurately stopped at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Therefore, the stopper 545 is provided so that the process from FIG. 7a to FIG. 7c and the process from FIG. 7c to FIG. 7a can be accurately ended.

스토퍼(545)로 작동 휠(543)의 작동이 정지되는 실시예에는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 실시예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제어 휠(546)이 설치되고, 스토퍼(545)가 정지 제어 휠(546)을 정지시키는 실시예이고, 두 번째 실시예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작동 휠(543) 자체에 스토퍼(545)와 접촉되는 안착 포인트가 형성되는 실시예이다.There may be two embodiments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wheel 543 is stopped by the stopper 545 . The first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op control wheel 546 is installed and the stopper 545 stops the stop control wheel 546, as shown in FIGS.

첫 번째 실시예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스위치 박스(154)에는 이동 스틱(544)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토퍼(545)가 설치된다. 즉 스토퍼(545)는 전환 스위치 박스(154)의 케이스(541)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7A to 7C , a stopper 545 for stopping an operation of a moving stick 544 is installed in the changeover switch box 154 . That is, the stopper 545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case 541 of the changeover switch box 154.

작동 휠(543)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작동 휠(543)과 동일한 회전축을 공유하는 정지 제어 휠(546)이 설치된다. 여기서 정지 제어 휠(546)에는 부채꼴과 유사하게 일정한 각도만큼 절개된 부위가 두 군데에 형성이 되어 일견 박쥐와 유사한 형상이 된다. 이때 절개된 부위 중 하나에는 서로 마주보는 지점에 각각 이동 스틱(544)이 안착되는 이동 스틱 안착 포인트(5461)가 마련된다. Above or below the working wheel 543, a stop control wheel 546 sharing the same axis of rotation as the working wheel 543 is installed. Here, in the stop control wheel 546, portions cut at a certain angle similar to a fan shape are formed in two places, so that the shape resembles a bat at first glance. At this time, one of the incised parts is provided with a moving stick seating point 5461 where the moving stick 544 is seated at points facing each other.

상기 절개된 부위 중 나머지 하나에는 서로 마주보는 지점에 각각 스토퍼(545)가 안착되는 스토퍼 안착 포인트(5462)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두 군데의 절개된 부위 중에서 스토퍼 안착 포인트(5462)가 마련된 절개 부위의 절개 각도가 이동 스틱 안착 포인트(5461)가 형성된 절개 부위의 절개 각도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Stopper seating points 5462 on which the stoppers 545 are seated are provided in the remaining one of the incised portions at opposite points. At this time, among the two incisions, the incision angle of the incision where the stopper seating point 5462 is provided is smaller than the incision angle of the incision where the moving stick seating point 5461 is formed.

상기 절개 각도의 차이로 인해, 도 7a에서 도 7c로 진행되는 과정 동안 작동 휠(543)이 회전하는 전체 각도에 비해, 스토퍼 안착 포인트(5462) 사이의 각도는 훨씬 작으므로, 스토퍼 안착 포인트(5462)가 스토퍼(545)에 충돌되는 도 7c의 순간에 스토퍼(545)가 받는 충격은 현저하게 작을 수 있으므로 스토퍼(545)나 작동 휠(543)의 내구성이 보장될 수 있다.Due to the difference in the incision angle, the angle between the stopper seating points 5462 is much smaller than the total angle at which the working wheel 543 rotates during the process from FIG. 7A to FIG. 7C, so the stopper 545 or the working wheel 543 durability can be guaranteed.

스토퍼 안착 포인트(5462)와 이동 스틱 안착 포인트(5461)는 모두 안착 지점의 형상이 도 7a 내지 도 7c와 같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Both the stopper seating point 5462 and the moving stick seating point 5461 have a concave shape as shown in FIGS. 7A to 7C .

스토퍼(545)로 작동 휠(543)의 작동이 정지되는 두 번째 실시예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작동 휠(543)의 상면 또는 저면에 스토퍼 안착 포인트가 형성되는 실시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 휠(543)에는 스토퍼(545)가 안착되는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안착 포인트가 마련되어, 수동 조작 레버(542)의 조작 방향에 따라 두 개의 안착 포인트 중 어느 하나의 안착 포인트가 스토퍼(545)와 만나면서 작동 휠(543)의 회전이 정지되는 형태이다.(도시되지 않음)A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wheel 543 is stopped by the stopper 545 is an embodiment in which a stopper seating point is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driving wheel 543, although not shown.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ng wheel 543 is provided with two seating poi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 the stopper 545 is seated, and either one of the two seating points meets the stopper 545 according to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manual control lever 542, thereby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wheel 543 (not shown).

상기 두 개의 실시예 중에 정지 제어 휠(546)이 설치되는 상기 첫 번째 실시예가 부품이 더 추가되는 형태이긴 하지만, 기기의 안정성 면에서는 정지 제어 휠(546)이 설치되는 도 7a 내지 도 7c의 실시예가 장치의 내구성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다.Although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stop control wheel 546 is installed among the two embodiments is a form in which more parts are added, in terms of stability of the device, the embodiment of FIGS. 7A to 7C in which the stop control wheel 546 is installed can further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1 : 스테이지 12 : 동력구동륜
13 : 피동 캐스터 14 : 비상용 캐스터
15 : 승강 유닛 21 : 컨트롤 패널
22 : 인버터 23 : 전원 유닛
24 : PLC 제어 유닛 100 : 자동 안내 운반차
111 : 범퍼 112 : 커넥터
141 : 회전지지 축 142 : 회전지지 암
143 : 브래킷 패널 144 : 가변 암
145 : 가변 힌지 151 : 캠 휠
152 : 캠 휠 기어박스 153 : 가변 연동 프레임
154 : 전환 스위치 박스 155 : 제어 전달 기어 박스
156 : 프레임 가이드 200 : 이동 플랫폼
541 : 케이스 542 : 수동 조작 레버
543 : 작동 휠 544 : 이동 스틱
545 : 스토퍼 546 : 정지 제어 휠
547 : 수동 액추에이터 1551 : 전달 기어
5431 : 휠 회전축 5432 : 기어 날
5461 : 이동스틱 안착 포인트 5462 : 스토퍼 안착 포인트
5471 : 피스톤 5472 : 실린더
5473 : 피스톤 측 회전 슬리브 5474 : 실린더 측 회전 슬리브
5475 : 압축 스프링 5476 : 고정 스틱
11: stage 12: power drive wheel
13: driven caster 14: emergency caster
15: lifting unit 21: control panel
22: inverter 23: power unit
24: PLC control unit 100: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111: bumper 112: connector
141: rotation support shaft 142: rotation support arm
143: bracket panel 144: variable arm
145: variable hinge 151: cam wheel
152: cam wheel gearbox 153: variable linkage frame
154: changeover switch box 155: control transmission gearbox
156: frame guide 200: moving platform
541 case 542 manual operation lever
543: operation wheel 544: movement stick
545: stopper 546: stop control wheel
547 Manual actuator 1551 Transmission gear
5431: wheel rotation axis 5432: gear blade
5461: moving stick seating point 5462: stopper seating point
5471: Piston 5472: Cylinder
5473: piston side rotating sleeve 5474: cylinder side rotating sleeve
5475: compression spring 5476: fixed stick

Claims (9)

본체부와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의 저면에 설치되는 캐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캐스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구와, 상기 구동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캐스터는 상기 구동부로 직접 회전 구동되는 동력구동륜과, 상기 동력구동륜과 함께 상기 스테이지를 지지하는 피동 캐스터와,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수동으로 상기 스테이지가 견인되도록 구성된 비상용 캐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비상용 캐스터는 상기 비상용 캐스터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비상용 캐스터는 상기 스테이지의 저면에 가변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비상용 캐스터는 상기 가변 힌지와 연결되기 위한 가변 암을 구비하며,
상기 가변 암에는 판 형상의 브래킷 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브래킷 패널의 저면을 밀어 올리거나 내리는 캠 휠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구동부가 작동될 때는 상기 비상용 캐스터의 하단 높이를 상기 동력구동륜 및 피동 캐스터의 하단 높이보다 높게 유지시키고,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지 않을 때는 상기 비상용 캐스터를 하강시켜 상기 비상용 캐스터의 하단 높이를 상기 동력구동륜 및 피동 캐스터의 하단 높이보다 낮게 유지시키는, 자동 안내 운반차.
Including a body part and a driving part,
The main body includes a stage having a constant area and a caster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tage,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mechanism for transmitting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casters, and a control panel for manipulating the driving mechanism,
The caster includes a power drive wheel driven directly to rotate by the drive unit, a driven caster supporting the stage together with the power drive wheel, and an emergency caster configured to manually pull the stage when the drive unit is not operated,
The emergency caster has a lifting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emergency caster,
The emergency caster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tage by a variable hinge,
The emergency caster has a variable arm to be connected to the variable hinge,
A plate-shaped bracket panel is installed on the variable arm,
The lifting unit has a cam wheel that pushes up or lowers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cket panel,
The lifting unit maintains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emergency caste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power drive wheel and the driven caster when the drive unit is operated, and lowers the emergency caster when the drive unit is not oper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 캐스터는 상기 스테이지의 저면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비상용 캐스터 마다 상기 캠 휠이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캠 휠 모두에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는 가변 연동 프레임과, 상기 가변 연동 프레임을 수동으로 가변시키는 수동 조작 레버와, 수동 조작 레버의 동작으로 상기 가변 연동 프레임의 위치를 전환시키는 전환 스위치 박스를 포함하는 자동 안내 운반차.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emergency casters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age,
One cam wheel is provided for each emergency caster,
The lifting unit includes a variable linkage frame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power to all of the cam wheels, a manual control lever for manually changing the variable linkage frame, and a changeover switch box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linkage frame by an operation of the manual control lev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스위치 박스는 상기 수동 조작 레버의 동작에 따라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주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 스틱에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원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위치가 고정된 고정 스틱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에 내장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스틱과 고정 스틱은 모두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동 조작 레버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이동 스틱이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될 때 상기 원주와 상기 고정 스틱이 가장 근접하는 지점을 상기 이동 스틱이 지나는 순간부터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탄성 팽창으로 인해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이동 스틱은 상기 근접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하는 자동 안내 운반차.
According to claim 5,
The changeover switch box includes a piston installed on a moving stick that moves on a circumference having a constant radiu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anual control lever, a cylinder installed on a fixed stick whose position is fix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ce, and a compression spring built into the cylinder,
Both the moving stick and the fixed stick are rotatably installed in place,
When the movement stick is moved along the circumferenc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manual control lever, the piston is withdrawn from the cylinder due to elastic expansion of the compression spring from the moment the movement stick passes the point where the circumference and the fixed stick are closest, and the movement stick moves along the circumference from the point of proximit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조작 레버와 상기 이동 스틱은 모두 수동 조작 레버의 동작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작동 휠의 서로 다른 지점에 연결되어,
수동 조작 레버로 상기 작동 휠을 회전시킴에 따라 작동 휠에 설치된 상기 이동 스틱은 이동 스틱과 작동 휠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을 반경으로 하는 원주를 따라 이동하는 자동 안내 운반차.
According to claim 6,
Both the manual operation lever and the moving stick are connected to different points of the operation wheel installed to passively ro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anual operation lever,
As the operating wheel is rotated by the manual operating lever, the moving stick installed on the operating wheel moves along a circumference having a radius of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operating wheel and the moving stic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스위치 박스에는 상기 이동 스틱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 휠에는 상기 스토퍼가 안착되는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안착 포인트가 마련되어,
상기 수동 조작 레버의 조작 방향에 따라 상기 두 개의 안착 포인트 중 어느 하나의 안착 포인트가 상기 스토퍼와 만나면서 상기 작동 휠의 회전이 정지되는 자동 안내 운반차.
According to claim 7,
A stopper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ving stick is installed in the changeover switch box,
The operating wheel is provided with two seating poi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which the stopper is seated,
An automatic guided transport vehicle in which rotation of the operation wheel is stopped while one of the two seating points meets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manual operation lev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스위치 박스에는 상기 이동 스틱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 휠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작동 휠과 동일한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정지 제어 휠이 설치되며,
상기 정지 제어 휠에는 일정한 각도만큼 절개된 부위가 두 군데에 형성이 되고, 상기 절개된 부위 중 하나에는 서로 마주보는 지점에 각각 상기 이동 스틱이 안착되는 이동 스틱 안착 포인트가 마련되고,
상기 절개된 부위 중 나머지 하나에는 서로 마주보는 지점에 각각 상기 스토퍼가 안착되는 스토퍼 안착 포인트가 마련되며,
상기 두 군데의 절개된 부위 중에서 상기 스토퍼 안착 포인트가 마련된 것이 절개 각도가 더 작게 형성되는 자동 안내 운반차.
According to claim 7,
A stopper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ving stick is installed in the changeover switch box,
A stop control wheel installed on the same rotation axis as the operating wheel is installed above or below the operating wheel,
The stop control wheel is formed with two parts cu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one of the cut parts is provided with a moving stick seating point at which the moving stick is seated at a point facing each other,
The other one of the incised parts is provided with a stopper seating point at a point facing each other, respectively, at which the stopper is seated,
Of the two incisions, the one with the stopper seating point has a smaller incision angle.
KR1020210083494A 2020-07-14 2021-06-25 Automated guided vehicle with emergency casters KR10255858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87130 2020-07-14
KR1020200087130 2020-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757A KR20220008757A (en) 2022-01-21
KR102558588B1 true KR102558588B1 (en) 2023-07-24

Family

ID=8005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494A KR102558588B1 (en) 2020-07-14 2021-06-25 Automated guided vehicle with emergency cas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58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818B1 (en) * 2006-12-18 2007-07-10 박운서 An automatic guided vehicle
US20110099788A1 (en) * 2009-10-30 2011-05-05 Comau, Inc. Final assembly machine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063B1 (en) 2020-06-24 2021-02-01 한성웰텍 (주) Unmanned transport vehicle for parts supply for assembly lines with practical lift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818B1 (en) * 2006-12-18 2007-07-10 박운서 An automatic guided vehicle
US20110099788A1 (en) * 2009-10-30 2011-05-05 Comau, Inc. Final assembly machine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757A (en) 202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492B1 (en) Automatic guided vehicle drive device and automatic guided vehicle
WO2018107674A1 (en) Transportation trolley
US7721654B2 (en) Stacker crane
JP2019519450A (en) Electric rod type automated warehouse robot
JP2009012089A (en) Carriage truck having lifting and rotating function, and automobile assembly line using the same
CN103781695A (en) Steering and drive assembly
US11059707B2 (en) Load supporting apparatus for an automated guide vehicle
WO2023236442A1 (en) Forklift robot and working method
KR102558588B1 (en) Automated guided vehicle with emergency casters
KR20180109553A (en) Multi-function agricultural automatic guide vehicle for easy turning
US10526181B2 (en) Barrier system for platform lifts
KR102558589B1 (en) Automatic guided vehicle
CN109896468B (en) All direction movement container transport commodity circulation car
CN215794148U (en) Self-adaptive trolley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CN110182719A (en) A kind of forklift device of high-freedom degree
US11608254B2 (en) Lifting apparatus supported by two wheel automatic guided vehicles
CN211643783U (en) Automatic guide transport vehicle
JPWO2018221409A1 (en) Drive unit and horizontal carrier
CN116040527A (en) Laser navigation vehicle
JPWO2018186504A1 (en) Multi-component for telescopic device, telescopic unit for telescopic device and telescopic device
CN116553429A (en) Vehicle power device for changing vehicle position
JP2023553969A (en) navigator
CN113771563A (en) Dual-mode omnidirectional carrier
CN111348122B (en) Load support device for automated guided vehicle
CN111204203A (en) Driving mechanism and automatic guide transport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