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553B1 - Rechargeable battery - Google Patents

Rechargeable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553B1
KR102558553B1 KR1020170145493A KR20170145493A KR102558553B1 KR 102558553 B1 KR102558553 B1 KR 102558553B1 KR 1020170145493 A KR1020170145493 A KR 1020170145493A KR 20170145493 A KR20170145493 A KR 20170145493A KR 102558553 B1 KR102558553 B1 KR 102558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 plate
separators
separa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4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0194A (en
Inventor
조성봉
김진필
송관섭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5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553B1/en
Publication of KR20190050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1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5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세퍼레이터의 일 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상에 배치되는 제2 세퍼레이터,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2 전극의 제1 극판, 상기 제1 전극의 제2 극판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2 전극의 제2 극판,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가 접촉하는 제1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제1 접합부, 그리고 상기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제2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는,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폴딩된, 전극 단위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of a first electrod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urface of a first separator, and a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2 separators, a first electrode plate of a second electrode disposed with the first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separato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disposed therebetween a second electrode plate of a second electrode, a first joint portion positioned at a first end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contact each oth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mutually bonded; and the first It is located at a second end facing the end and includes a second junct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mutually bonde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It may include an electrode unit folded based on a folding line locat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plates.

Description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Secondary battery {RECHARGEABLE BATTERY}

본 개시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이차 전지는 제2 전극과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제1 전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로 구성된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납되는 파우치 또는 케이스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는 전극과 세퍼레이터의 구조에 따라 적층형, 권취형 및 적층과 권취 혼합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composed of a second electrode, a first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and a pouch or cas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These electrode assemblies may be formed of a laminated type, a wound type, a laminated and wound mixed type,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특히,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전극과 세퍼레이터의 정렬이 쉬우면서도 용량 저하를 유발하지 않는 구조인 적층과 권취 혼합형 전극 조립체에 관한 개발이 활발하다.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active development of a mixed stacking and winding electrode assembly, which is a structure in which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relatively easy to align and do not cause a decrease in capacity.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1690호(2017.10.12.)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9345호(2012.09.10.)
Publication No. 10-2017-0111690 (2017.10.12.)
Publication No. 10-2012-0099345 (2012.09.10.)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제조 공정에서 불량 발생률을 현저하게 저감시킨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차 전지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품질을 갖는 이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with significantly reduced defect rates in a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provide a secondary battery having excellent quality.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제1 세퍼레이터의 일 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상에 배치되는 제2 세퍼레이터,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2 전극의 제1 극판, 상기 제1 전극의 제2 극판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2 전극의 제2 극판,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가 접촉하는 제1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제1 접합부, 그리고 상기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제2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는,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폴딩된, 전극 단위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In one aspect,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of a first electrod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urface of a first separator, and a second separato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 the first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lectrode disposed with the first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and disposed with the second separator interpos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lectrode, a first joint portion positioned at a first end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contact each oth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mutually bonded, and the first end It is located at a second end facing each other, and includes a second bonding port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mutually bonde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include a first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bonding portion.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electrode units folded based on a folding line located between electrode plates is provided.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제5 세퍼레이터의 일 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상에 배치되는 제6 세퍼레이터,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에 대응하여 상기 제6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2 전극의 제5 극판과 제6 극판, 상기 제2 전극의 제5 극판과 제6 극판 상에 배치되는 제7 세퍼레이터,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에 대응하여 상기 제5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2 전극의 제1 극판, 상기 제2 전극의 제6 극판에 대응하여 상기 제7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 전극의 제4 극판, 상기 제5,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가 접촉하는 제1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5 및 제6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되고,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제6 접합부, 그리고 상기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5 및 제6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되고,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제7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는,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폴딩된, 전극 단위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of a first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urface of a fifth separator, and a sixth separato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 the fifth electrode plate and the sixth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lectrode disposed with the sixth separator interpo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fth electrode plate and the sixth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lectrode A seventh separator disposed thereon, a first electrode plate of a second electrode disposed with the fifth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sixth electrode plat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lectrode 7 A fourth electrode plate of a first electrode disposed with a separator therebetween, located at a first end where the fifth,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contact each oth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fth and sixth separators are bonded to each other; , a sixth joint port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are mutually bonded, and a second end portion facing the first end portion,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fth and sixth separators are mutually bonded; and a seventh junction port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venth separator is mutually bonded, wherein the fifth,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are based on a folding lin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Provided is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n electrode unit folded in a .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제1 세퍼레이터와 제2 세퍼레이터 사이에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을 서로 이격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대응되게 상기 제1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제2 전극의 제1극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의 제2극판과 대응되게 제2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제2 전극의 제2 극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가 접촉하는 제1 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호 접합하여 제1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호 접합하여 제2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격된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를 폴딩하여 전극 단위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the steps of disposing a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of a first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a first separator and a second separator,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Providing a first electrode plate of a second electrode with a separator therebetween, providing a second electrode plate of a second electrode with a second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to correspon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forming a first junction by bo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to a first end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contact each other; and forming a first junction at a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Forming a second junction by bonding at least a portion of two separators to each other, and folding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based on a folding line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of the spaced apart first electrode. It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n electrode unit by doing so.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조 공정에서 세퍼레이터의 주름, 분리막 접힘 및 이물 유입 등으로 인해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현저하게 저감시킴으로써 우수한 품질 및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secure excellent quality and productivity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occurrence of defects due to wrinkles of the separator, folding of the separator, and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전극 단위체가 폴딩되기 전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전극 단위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적층 상태에서 세퍼레이터들을 폴딩하여 형성된 전극 단위체의 단면도이다.
도 5에는 도 2에서 제1 및 제2 접합부에 포함되는 접합 영역의 평면 형상을 변형한 제1 변형예를 나타내었다.
도 6에는 도 2에서 제3 및 제4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제2 변형예를 나타내었다.
도 7에는 도 6에서 제5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제3 변형예를 나타내었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단위체가 폴딩되기 전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는 각각 도 8에서 제1 및 제2 접합부에 포함되는 접합 영역의 평면 형상을 변형한 제4 및 제5 변형예를 나타내었다.
도 11에는 도 8에서 제5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제6 변형예를 나타내었다.
도 12는 도 4의 전극 단위체들이 복수 개 적층되어 구성된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전극 조립체에 적용되는 제1 최외곽 단위체가 폴딩되기 전 적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적층 상태에서 세퍼레이터들을 폴딩하여 형성된 제1 최외곽 단위체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전극 조립체에 적용되는 제2 최외곽 단위체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포함되는 전극 단위체가 폴딩되기 전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적층 상태에서 세퍼레이터들을 폴딩하여 형성된 전극 단위체의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7은 각각 본 개시의 제6 실시예 내지 제1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나타낸 전극 조립체에 적용되는 제3 최외곽 단위체가 폴딩되기 전 적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적층 상태에서 세퍼레이터들을 폴딩하여 형성된 제3 최외곽 단위체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단위체 중 추가 단위체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에서 분리된 추가 단위체가 적층된 상태의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개시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단위체 중 추가 단위체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에서 분리된 추가 단위체가 적층된 상태의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cked state of electrode units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shown in FIG. 1 before being folde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de unit shown in FIG. 2 .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unit formed by folding separators in the stacked state of FIGS. 2 and 3 .
FIG. 5 shows a first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planar shape of the bonding area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rts in FIG. 2 is modified.
FIG. 6 shows a second modified example further including third and fourth junctions in FIG. 2 .
FIG. 7 shows a third modified example further including a fifth bonding portion in FIG. 6 .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cked state of units included in an electrode assembl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before being folded.
9 and 10 show fourth and fifth modified examples in which the planar shape of the bonding area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rts in FIG. 8 is modified, respectively.
FIG. 11 shows a sixth modified example of FIG. 8 further including a fifth bonding por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configur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 units of FIG. 4 .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cked state before the first outermost unit applied to the electrode assembly shown in FIG. 13 is folded.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outermost unit formed by folding the separators in the stacked state of FIG. 14 .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outermost unit applied to the electrode assembly of FIG. 16 .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cked state of the electrode units included in FIG. 18 before being folded.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unit formed by folding separators in the stacked state of FIG. 19 .
21 to 2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electrode assemblies of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sixth to twel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spectively.
2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cked state before the third outermost unit applied to the electrode assembly shown in FIG. 27 is folded.
FIG. 2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outermost unit formed by folding the separators in the stacked state of FIG. 28 .
3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n additional unit unit is separated from units included in an electrode assembl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a state in which additional units separated in FIG. 30 are stacked.
3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n additional unit unit is separated from units included in an electrode assembl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a state in which additional units separated in FIG. 32 are stack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hown bar.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단위체(1)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2), 전극 조립체(2)를 수용하는 케이스(3) 및 각 전극 단위체(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케이스(3) 외부로 인출되는 제1 전극 탭(52)과 제2 전극 탭(51)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2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ode unit 1 and a case 3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2 and a first electrode tab 52 and a second electrode tab 51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electrode unit unit 1 and drawn out of the case 3 .

도 1에는 케이스가 파우치로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케이스가 각형 캔으로 형성되는 캔형 이차 전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Although FIG. 1 exemplarily illustrates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a case is formed of a pou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also be applied to a can-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a case is formed of a prismatic can.

도 1에는 제1 전극 탭(52)과 제2 전극 탭(51)이 케이스(3)의 양 측으로 각각 인출된 이차 전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전극 탭(52) 및 제2 전극 탭(51)은 케이스(3)의 일 측, 즉,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된 구조일 수도 있다. 1 illustrates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tab 52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51 are drawn out to both sides of the case 3, respec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electrode tab 52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51 may be drawn out on one side of the case 3, that is, in the same direc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전극 단위체가 폴딩되기 전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적층 상태에서 세퍼레이터들을 폴딩하여 형성된 전극 단위체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lectrode units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shown in FIG. 1 are stacked before being folde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 and FIG. 4 is a folding separator in the stacked state of FIGS. 2 and 3 .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med electrode unit.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극 단위체(1)는 제1 전극(10), 제2 전극(20) 및 세퍼레이터(30)를 동일 개수로 구비하고, 제1 접합부(AD1) 및 제2 접합부(AD2)를 포함한다. 2 to 4 , the electrode unit 1 includes the same number of first electrodes 10, second electrodes 20, and separators 30, and a first junction part AD1 and a second junction part (AD2).

구체적으로, 전극 단위체(1)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 제2 전극(20)의 제1 극판(21)과 제2 극판(22), 제1 접합부(AD1) 및 제2 접합부(AD2)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electrode unit 1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It includes a first electrode plate 21, a second electrode plate 22, a first junction part AD1 and a second junction part AD2.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폴딩 전 단위 전극체(1)에서,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은 제1 세퍼레이터(31)의 일 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을 덮도록 제2 세퍼레이터(32)가 배치된다. 2 and 3 , in the unit electrode body 1 before fold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ar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eparator 31. A second separator 32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o cover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

또한, 제2 전극(20)의 제1 극판(21)은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에 대응하여 제1 세퍼레이터(3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plate 21 of the second electrode 20 is disposed with the first separator 31 interposed therebetween to correspon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10 .

제2 전극(20)의 제2 극판(22)은 제1 전극(10)의 제2 극판(12)에 대응하여 제2 세퍼레이터(3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The second electrode plate 22 of the second electrode 20 is disposed with the second separator 32 therebetwee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

본 개시에서, 제1 전극(10)은 음극이고, 제2 전극(20)은 양극이다. 또한, 음극의 수평 단면적(xy 평면 면적)은 양극의 수평 단면적 보다 크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electrode 10 is a cathode and the second electrode 20 is an anode. In additio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xy plane area) of the negative electrode is larger than that of the positive electrode.

제1 접합부(AD1)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가 직접 접촉하는 제1 단부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The first bonding portion AD1 is located at a first end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directly contact each other, and is a bonding area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mutually bonded. includes

제2 접합부(AD2)는,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The second bonding portion AD2 is located at a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and includes a bonding reg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mutually bonded.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접합부(AD1, AD2)가 각각 위치하는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폴딩 라인(CL)과 평행한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를 의미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t which the first and second joint portions AD1 and AD2 are respectively positioned refer to ends positio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olding line CL.

전극 단위체(1)는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 과 제2 극판(12)사이에 위치하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가 폴딩되어 도 4와 같이 폴딩된 전극 단위체(1)를 형성된다.In the electrode unit 1,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folded based on the folding line loc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An electrode unit 1 folded like 4 is formed.

본 실시예에서, 전극 단위체(1)는 하기 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de unit 1 may be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식 1] [Equation 1]

식 1에서, d1은 폴딩 전 상태에서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 사이의 거리이고, t1은 제2 전극(20)의 두께이며, t2는 제1 전극(10)의 두께이다. 이때,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의 선인 폴딩 라인(CL)을 중심으로 나눠지는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In Equation 1, d1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in a state before folding, t1 i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20, and t2 is the 1 is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10.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are a folding line, which is a virtual line loc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CL) may be located in the first area AR1 and the second area AR2,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전극 단위체(1)는 하기 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unit 1 may be expressed by Equation 2 below.

[식 2] [Equation 2]

식 2에서, d2는 전극 단위체의 폴딩 전 상태에서,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의 단변 폭이고, t2는 제1 전극(10)의 두께이다. In Equation 2, d2 is the width of the short side of the first end or the second end in a state before folding of the electrode unit body, and t2 is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10 .

구체적으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제1 세퍼레이터(31) 및 제2 세퍼레이터(32)가 직접 접촉하는 가장 자리 영역 중 일부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제1 전극(10)의 제1 및 제2 극판(11, 12)과는 중첩하지 않고 제1 세퍼레이터(31) 및 제2 세퍼레이터(32)는 중첩하는 테두리 영역 중 폴딩 라인(CL)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단부를 지칭한다. Specifically,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some of the edge regions where the first separator 31 and the second separator 32 directly contact.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do not overlap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11 and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first separator 31 and the second separator 32 It refers to an end positioned parallel to the folding line CL among the overlapping border areas.

d2는 이러한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의 단변 폭을 나타낸다.d2 represents the short side width of the first end or the second end.

또한, 편의상 식 2와 같이 표시하였으나, d2는 적어도 제1 전극(10)의 정렬 오차 보다는 커야 한다. Also, although expressed as Equation 2 for convenience, d2 should be at least greater than the alignment error of the first electrode 10 .

전극 단위체(1)가 상기 식 1 및/또는 식 2를 만족하는 경우, 동일한 규격을 기준으로 할 때 이차 전지의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고, 제조 과정에 소비 되는 세퍼레이터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de unit 1 satisfies Equation 1 and/or Equation 2,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maximized and the amount of separator consum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minimized based on the same standard.

본 실시예에서, 전극 단위체(1)는 세퍼레이터(30), 제1 전극(10), 및 제2 전극(20)을 동일한 개수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전극 단위체(1)에서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 제1 전극(10)의 제1 및 제2 극판(11, 12), 그리고 제2 전극(20)의 제1 및 제2 극판(21, 22)과 같이 각 구성이 2개씩 포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de unit 1 may include the same number of separators 30 , first electrodes 10 , and second electrodes 20 . 2 to 4, in the electrode unit 1,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11 and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As 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21 and 22 of, the case in which each component is included is shown as an example.

세퍼레이터(30)는 폴딩 라인(CL)을 기준으로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으로 구분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세퍼레이터(30)는 폴딩된 전극 단위체(1)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세퍼레이터(31) 및 폴딩된 전극 단위체(1)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세퍼레이터(32)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세퍼레이터(31) 및 제2 세퍼레이터(32)도 각각 폴딩 라인(CL)을 기준으로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separator 30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AR1 and a second area AR2 based on the folding line CL. Referring to FIG. 3 , in this embodiment, the separator 30 includes a first separator 31 positioned outside the folded electrode unit 1 and a second separator positioned inside the folded electrode unit 1 (32). Accordingly, the first separator 31 and the second separator 32 may also be divided into a first area AR1 and a second area AR2 based on the folding line CL, respectively.

폴딩된 전극 단위체(1)에서,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은 제1 세퍼레이터(31) 및 제2 세퍼레이터(32) 사이에 적층되며 제1 영역(AR1)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전극의 제2 극판(12)은 제1 세퍼레이터(31) 및 제2 세퍼레이터(32) 사이에 적층되며 제2 영역(AR2)에 위치한다. In the folded electrode unit body 1 ,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10 is stacked between the first separator 31 and the second separator 32 and is positioned in the first region AR1 .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is stacked between the first separator 31 and the second separator 32 and is positioned in the second region AR2.

제2 전극(20)의 제1 극판(21) 및 제2 극판(22)은, 제1 영역(AR1)에 위치하는 제1 전극의 제1 극판(11) 및 제2 영역(AR2)에 위치하는 제1 전극의 제2 극판(12)과 각각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plate 2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22 of the second electrode 20 are located i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region AR2 of the first electrode located in the first region AR1. It may be positioned overlapping with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to be.

이때, 제2 전극(20)의 제1 극판(21)은 제1 세퍼레이터(31)를 사이에 두고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제2 전극(20)의 제2 극판(22)은 제2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제1 전극(10)의 제2 극판(12)에 대응되게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plate 21 of the second electrode 20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10 with the first separator 3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econd electrode 20 The second electrode plate 22 of )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with the second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한편, 세퍼레이터(30)는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을 분리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리튬 이차 전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즉, 전해질의 이온 이동에 대하여 저저항이면서 전해액 함습 능력이 우수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30)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이들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부직포 또는 직포 형태의 기재일 수 있다. Meanwhile, the separator 30 separates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and provides a passage for lithium ions to move, and any separator 30 commonly used i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That is, an electrolyte having low resistance to ion movement of the electrolyte and excellent ability to absorb the electrolyte may be used. The separator 30 may be, for example, one selected from glass fiber, polyester,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may be a non-woven fabric or a woven fabric substrate.

또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세퍼레이터가 사용될 수 있고, 내열성 또는 기계적 강도 확보를 위해 세라믹 성분 또는 고분자 물질이 포함된 조성물로 코팅되어 코팅층이 형성된 세퍼레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선택적으로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Alternatively, for example, a polyolefin-based polymer separator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may be used, and a separator having a coating layer formed by being coated with a composition containing a ceramic component or a polymer material may be used to secure heat resistance or mechanical strength. It can be used as a single-layer or multi-layer structure.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된 상태에서 전극 단위체(1)는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 및 제2 극판(12) 사이에서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폴딩에 의해 적어도 3개의 단위 셀을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 in the folded state, the electrode unit body 1 has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 , 32) can form at least three unit cells.

즉, 제1 영역(AR1)에서는 제2 전극의 제1 극판(21), 제1 세퍼레이터(31), 제1 전극의 제1 극판, 제2 세퍼레이터(32)가 1 개의 단위 셀을 형성한다. 제2 영역(AR2)에서는 제2 전극의 제2 극판(22), 제2 세퍼레이터(32), 제1 전극의 제2 극판(12) 및 제1 세퍼레이터(31)가 1 개의 단위 셀을 형성한다. 제1영역(AR1)과 제2영역(AR2) 사이에서는 제1 전극의 제1 극판(11), 제2 세퍼레이터(32), 제2 전극의 제2 극판(22)이 1개의 단위 셀을 형성한다. That is, in the first region AR1, the first electrode plate 21 of the second electrode, the first separator 31, the first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separator 32 form one unit cell. In the second region AR2, the second electrode plate 22 of the second electrode, the second separator 32,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separator 31 form one unit cell. . Between the first area AR1 and the second area AR2,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separator 32,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22 of the second electrode form one unit cell. do.

본 개시에서는, 도 3과 같은 구조로 전극 단위체(1)를 적층한 후 이격 배치된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 및 제2 극판(12) 사이에서 가상의 선인 폴딩 라인(CL)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를 폴딩하여 도 4와 같은 구조의 전극 단위체(1)를 제조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적층체를 제조하여 폴딩 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제조 과정에서 제1 전극(10), 제2 전극(20) 및 세퍼레이터(30)의 정렬이 용이하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a folding line (virtual lin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spaced apart after the electrode unit body 1 is stacked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3 ( The electrode unit 1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4 is manufactured by folding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based on CL). Since a stack having such a structure is manufactured and a folding process is performed, it is easy to align the first electrode 10 , the second electrode 20 , and the separator 30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한편, 전극 단위체(1)는 제1 접합부(AD1) 및 제2 접합부(AD2)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electrode unit 1 includes a first bonding portion AD1 and a second bonding portion AD2.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제1 접합부(AD1)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에서 폴딩 라인(CL)과 평행한 제1 단부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Referring back to FIG. 2 , the first joint portion AD1 is located at a first end parallel to the folding line CL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 and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32) includes bonding regions where at least a portion is bonded to each other.

제2 접합부(AD2)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에서 전술한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The second bonding portion AD2 is located at a second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facing the first en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cludes bonded bonding areas.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제1 세퍼레이터(31)를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평면(xy 평면) 형상이 사각형인 세퍼레이터(31)에서 제1 전극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과 중첩하지 않는 단부는 4개의 가장자리 영역이다. 이때, 폴딩 라인(CL)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단부는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2 개의 가장자리 영역이다. More specifically, if the first separator 31 shown in FIG. 2 is exemplarily described, in the separator 31 having a rectangular plane (xy plane) shape,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are used. The ends that do not overlap with the bipolar plate 12 are four edge regions. In this case, the ends positioned parallel to the folding line CL are two edge regions facing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 각각에서 폴딩 라인(CL)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일 측의 가장자리 영역을 제1 단부로 지칭하고, 제1 단부와 마주보고 위치하는 타 측의 가장자리 영역을 제2 단부로 지칭하였다. 즉, 제1 접합부(AD1)는 제1 단부에서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영역을 포함하고, 제2 접합부(AD2)는 제2 단부에서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 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an edge region of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positioned parallel to the folding line CL is referred to as a first end,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first end is referred to as a first end. The edge region of was referred to as the second end. That is, the first joint portion AD1 includes a reg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mutually joined at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AD2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t the second e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separators 31 and 32 includes a bonding region where they are bonded to each other.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AD1)는,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제1 단부와 동일한 형상, 즉,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가 사각 형상으로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합부(AD2) 역시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제2 단부와 동일한 형상, 즉,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가 사각 형상으로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bonding portion AD1 has, for exampl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 31 and 32) may include a junction region mutually joined in a quadrangular shape. Accordingly, the second joint portion AD2 also has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 that is, a joint area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joined to each other in a rectangular shape. can include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 접합부(AD1) 또는 제2 접합부(AD2)의 폭 보다는 세퍼레이터(30)의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의 폭(d2)이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세퍼레이터(30)의 단부의 폭과 제1 접합부(AD1) 또는 제2 접합부(AD2)의 폭은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세퍼레이터(30)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width d2 of the first end or the second end of the separator 30 may have a greater value than the width of the first junction AD1 or the second junction AD2 . However, manufacturing such that the width of the end of the separator 30 and the width of the first joint portion AD1 or the second joint portion AD2 are substantially the same is advantageous in that the use of the separator 30 can be minimized. .

한편, 제1 접합부(AD1) 및 제2 접합부(AD2)에 포함되는 접합 영역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junction area included in the first junction part AD1 and the second junction part AD2 can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의 코팅층에 열을 가하여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제1 접합부(AD1) 및 제2 접합부(AD2)의 접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라미네이트 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기재 자체를 녹여서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제1 접합부(AD1) 및 제2 접합부(AD2)를 형성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by applying heat to the coating layer of the first or second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to attach them, the bonding area of the first junction part AD1 and the second junction part AD2 is formed. can form 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nd laminating them. The first bonding portion AD1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AD2 may be formed by melting and attaching the substrates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제1 전극(10) 및 제2 전극(20)은 각각 금속(Cu, Al) 박판의 집전체에 활물질을 도포한 코팅부, 및 활물질을 도포하지 않아서 노출된 집전체로 형성되는 무지부를 포함한다. 제2 전극 탭(51) 및 제1 전극 탭(52)은 각각 제2 전극 무지부 및 제1 전극 무지부에 연결되어 케이스(3)의 외부로 인출된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are a coated portion in which an active material is applied to a current collector of a metal (Cu, Al) thin plate, and a current collector exposed by not applying the active material, respectively. Including the uncoated portion formed by. The second electrode tab 51 and the first electrode tab 52 ar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and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respectively, and are drawn out of the case 3 .

또한, 케이스(3)는 가요성을 가지는 파우치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2)를 수납하며 서로 마주하는 제1 외장재(301)와 제2 외장재(302)를 포함한다. 제1 외장재(301)와 제2 외장재(302)는 내장된 전극 조립체(2)의 외곽을 따라 설정된 폭으로 열융착 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케이스는 판형으로 형성한 후 열융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se 3 is formed as a pouch having flexibility, and includes a first exterior material 301 and a second exterior material 302 facing each other whil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2 . The first exterior material 301 and the second exterior material 302 are heat-sealed to a set width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ilt-in electrode assembly 2 . Although not shown, the case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n heat-sealed.

제2 전극 탭(51) 및 제1 전극 탭(52)은 절연부재(미도시)를 개재하여 열융착 된 제1 및 제2 외장재(301, 302) 사이를 경유하여 케이스(3)의 외부로 인출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외장재(301) 및/또는 제2 외장재(302)는, 내측 시트, 외측 시트 및 내측 시트와 외측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tab 51 and the first electrode tab 52 pas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xterior materials 301 and 302 heat-sealed through an insulating member (not shown) to the outside of the case 3. are withdrawn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exterior material 301 and/or the second exterior material 302 may include an inner sheet, an outer sheet, and a metal sheet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heets.

내측 시트는 케이스(3)의 내면을 형성하여 절연 및 열융착 작용하도록 폴리머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시트는 케이스(3)의 외면을 형성하여 보호 작용하도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시트, 나일론 시트 또는 PET-나일론 복합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시트는 케이스(3)의 기계적인 강도를 제공하도록 알루미늄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sheet may be formed of a polymer sheet so as to form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3 to insulate and heat-seal. The outer sheet may be formed of a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sheet, a nylon sheet, or a PET-nylon composite sheet to form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3 and act as a protective function. The metal sheet may be formed of an aluminum sheet to provide mechanical strength of the case 3 .

본 개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합부(AD1, AD2)를 포함하기 때문에 전극 단위체(1)를 폴딩하는 과정에서 세퍼레이터(30)가 접히거나 세퍼레이터(30)에 주름이 발생하는 등으로 인해 전극 단위체의 두께가 증가하거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 중에 이물질 등이 전극 단위체(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극 단위체(1)의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the first and second joint portions AD1 and AD2 are included 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or 30 may be folded or wrinkled in the process of folding the electrode unit 1.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unit or the occurrence of defects, and significantly improve productivity.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electrode unit 1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quality of the electrode unit 1 can also be improved.

도 5에는 도 2에서 제1 및 제2 접합부에 포함되는 접합 영역의 평면 형상을 변형한 제1 변형예를 나타내었다. FIG. 5 shows a first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planar shape of the bonding area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rts in FIG. 2 is modified.

제1 접합부(AD1)는 폴딩 라인(CL)과 평행한 일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단부에서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3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The first bonding portion AD1 includes a bonding reg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bonded to each other at a first end located in one direction parallel to the folding line CL.

제2 접합부(AD2)는 제1 단부와 마주보고 위치하는 제2 단부에서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3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The second bonding portion AD2 includes a bonding reg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bonded to each other at the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도 5를 참고하면, 본 변형예에서 제1 및 제2 접합부(AD1, AD2)는 xy 평면 형상이 원형인 접합 영역을 복수 개 포함하는 형태이다. 즉, 제1 및 제2 단부에서 각각 제1 세퍼레이터(31) 및 제2 세퍼레이터(32)가 서로 원형의 접합 영역을 형성하도록 접합되고, 이와 같이 원형으로 접합된 영역이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따라 복수 개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in the modified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rts AD1 and AD2 include a plurality of bonding areas having circular xy plane shapes. That is, at the first and second ends, the first separator 31 and the second separator 32 are bonded to each other to form circular bonding areas, and the circularly bonded areas are formed at the first and second ends. It may be configured to be located in a plurality along.

이때, 제1 및 제2 접합부(AD1, AD2)에 포함되는 접합 영역의 xy 평면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및 제2 접합부(AD1, AD2)의 접합 영역은 세퍼레이터(30)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따라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접합부(AD1, AD2)는 복수 개의 접합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본 변형예에서, 제1 및 제2 접합부(AD1, AD2)에 각각 포함되는 접합 영역의 xy 평면 형상이 동일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xy plane of the junction region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junction portions AD1 and AD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lthough not shown, the junction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junction regions AD1 and AD2 has a separator ( 30) may have at least one shape of an ellipse, a triangle, a rectangle, and a combination thereof along the first and second ends. The first and second junctions AD1 and AD2 may include a plurality of junction regions, and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junction regions respectively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junctions AD1 and AD2 have the same xy plane shape. Of course you don't have to.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변형예에서, 제1 및 제2 접합부에 포함되는 접합 영역의 평면 형상을 제외한 다른 특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modified examp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except for the planar shape of the junction area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junctions, other characteristic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to omit

도 6에는 도 2에서 제3 및 제4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제2 변형예를 나타내었다. FIG. 6 shows a second modified example further including third and fourth junctions in FIG. 2 .

도 6을 참고하면, 본 변형예에서, 전극 단위체(1)는, 제3 접합부(AD3) 및 제4 접합부(AD4)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electrode unit 1 may further include a third joint portion AD3 and a fourth joint portion AD4.

제3 접합부(AD3)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가 직접 접촉하는 제3 단부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제3 단부는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와 교차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The third bonding portion AD3 is located at a third end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directly contact each other, and is a bonding area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mutually bonded. includes At this time, the third end is positioned parallel to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end or the second end.

제4 접합부(AD4)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에서 제3 단부와 마주보고 위치하는 제4 단부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The fourth bonding portion AD4 is located at a fourth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facing the third en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is It includes junction regions bonded to each other.

도 6에는 제3 및 제4 접합부(AD3, AD4)의 접합 영역이 각각 제3 및 제4 단부와 동일한 형상, 즉,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가 사각 형상(xy 평면상)으로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In FIG. 6 , the junction regions of the third and fourth junction portions AD3 and AD4 have the same shape as the third and fourth ends,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have a rectangular shape (on an xy plane). A case including a joint region joined to each other is shown as an example.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3 및 제4 접합부(AD3, AD4)는, 도 5에 나타낸 제1 및 제2 접합부(AD1, AD2)처럼, 원형인 접합 영역을 복수 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3 및 제4 접합부(AD3, AD4)에 포함되는 접합 영역의 xy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3 및 제4 접합부(AD3, AD4)의 접합 영역은 세퍼레이터(30)의 제3 및 제4 단부를 따라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제3 및 제4 접합부(AD3, AD4)는 복수 개의 접합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본 변형예에서, 제3 및 제4 접합부(AD3, AD4)에 포함되는 접합 영역의 xy 평면 형상이 동일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이다. Although not separately illustrated, the third and fourth junctions AD3 and AD4 may include a plurality of circular junctions like the first and second junctions AD1 and AD2 shown in FIG. 5 . At this time, the xy plane shape of the junction area included in the third and fourth junctions AD3 and AD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lthough not shown, the junction region of the third and fourth junctions AD3 and AD4 has a separator ( 30) may have a shape of at least one of an ellipse, a triangle, a rectangle, and combinations thereof along the third and fourth ends. The third and fourth junctions AD3 and AD4 may include a plurality of junction regions, and in this modification, the junction regions included in the third and fourth junctions AD3 and AD4 may have the same xy plane shape. Of course there is no need.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변형예에서, 제3 및 제4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한 다른 특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제1 변형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modified examp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other characteristics except for further including the third and fourth junctions ar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the first modified examp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Since it is the same as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 it will be omitted here.

도 7에는 도 6에서 제5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제3 변형예를 나타내었다. FIG. 7 shows a third modified example further including a fifth bonding portion in FIG. 6 .

도 7을 참고하면, 본 변형예에서, 전극 단위체(1)는, 제3 접합부(AD3) 및 제4 접합부(AD4) 외에 제5 접합부(AD5)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electrode unit 1 may further include a fifth junction part AD5 in addition to the third junction part AD3 and the fourth junction part AD4 .

제5 접합부(AD5)는, 가상의 선인 폴딩 라인(CL)과 중첩하게 위치하며, 제1 전극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과 중첩하지 않고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가 직접 접촉하는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즉, 제5 접합부(AD5)는 폴딩 라인(CL)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The fifth junction AD5 is positioned to overlap the folding line CL, which is an imaginary line, and does not overlap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Includes bonding areas in direct contact. That is, the fifth junction AD5 is positioned on the folding line CL and includes a junction reg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mutually joined.

도 7에는 제5 접합부(AD5)가 폴딩 라인(CL)을 따라 형성된 사각 형상(xy 평면상)의 접합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즉,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가 폴딩 라인(CL)을 따라 사각 형상으로 부착된 경우이다. FIG. 7 exemplarily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fth joint portion AD5 includes a rectangular joint area (on an xy plane) formed along the folding line CL. That is, this is the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attached in a rectangular shape along the folding line CL.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5 접합부(AD5)는, 도 5에 나타낸 제1 및 제2 접합부(AD1, AD2)처럼, 원형인 접합 영역을 복수 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5 접합부(AD5)에 포함되는 접합 영역의 xy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5 접합부(AD5)의 접합 영역은 세퍼레이터(30)의 폴딩 라인(CL)을 따라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제5 접합부(AD5)는 복수 개의 접합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본 변형예에서, 제3 내지 제5 접합부(AD3, AD4, AD5)에 포함되는 접합 영역의 xy 평면 형상이 동일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이다. Although not separately illustrated, the fifth joint portion AD5 may include a plurality of circular joint areas like the first and second joint portions AD1 and AD2 shown in FIG. 5 . At this time, the xy plane shape of the junction region included in the fifth junction part AD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lthough not shown, the junction region of the fifth junction part AD5 is along the folding line CL of the separator 30. It may have at least one shape of an ellipse, a triangle, a rectangle, and a combination thereof. The fifth junction AD5 may include a plurality of junction regions, and in this modification, the junction regions included in the third to fifth junction regions AD3, AD4, and AD5 do not need to have the same xy plane shape. is of course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변형예에서, 제5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한 다른 특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제1 및 제2 변형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modified examp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other characteristics except for further including a fifth junction ar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Since it is the same as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xample, it will be omitted here.

도 8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전극 단위체가 폴딩되기 전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electrode units included in an electrode assembl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stacked before being folded.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단위체(1)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 제2 전극(20)의 제1 극판(21)과 제2 극판(22), 제1 접합부(AD1) 및 제2 접합부(AD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 , the electrode unit bod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 the first electrode plate 2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22 of the second electrode 20, the first joint portion AD1,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AD2.

구체적으로, 폴딩 전 단위 전극체(1)에서,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은 제1 세퍼레이터(31)의 일 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 상에는 제2 세퍼레이터(32)가 배치된다. Specifically, in the unit electrode body 1 before fold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eparator 31, and the A second separator 32 is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

또한, 제2 전극(20)의 제1 극판(21)은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에 대응하여 제1 세퍼레이터(3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plate 21 of the second electrode 20 is disposed with the first separator 31 interposed therebetween to correspon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10 .

제2 전극(20)의 제2 극판(22)은 제1 전극(10)의 제2 극판(12)에 대응하여 제2 세퍼레이터(3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The second electrode plate 22 of the second electrode 20 is disposed with the second separator 32 therebetwee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

본 개시에서, 제1 전극(10)은 음극이고, 제2 전극(20)은 양극이다. 또한, 음극의 수평 단면적(xy 평면 면적)은 양극의 수평 단면적 보다 크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electrode 10 is a cathode and the second electrode 20 is an anode. In additio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xy plane area) of the negative electrode is larger than that of the positive electrode.

제1 접합부(AD1)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가 직접 접촉하는 제1 단부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The first bonding portion AD1 is located at a first end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directly contact each other, and is a bonding area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mutually bonded. includes

제2 접합부(AD2)는,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The second bonding portion AD2 is located at a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and includes a bonding reg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mutually bonded.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접합부(AD1, AD2)가 각각 위치하는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폴딩 라인(CL)과 교차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단부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t which the first and second joint portions AD1 and AD2 are respectively positioned refer to ends positioned parallel to a direction crossing the folding line CL.

본 실시예에서, 전극 단위체(1)는 하기 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de unit 1 may be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식 1] [Equation 1]

식 1에서, d1은 폴딩 전 상태에서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 사이의 거리이고, t1은 제2 전극(20)의 두께이며, t2는 제1 전극(10)의 두께이다. 이때,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의 선인 폴딩 라인(CL)을 중심으로 나눠지는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In Equation 1, d1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in a state before folding, t1 i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20, and t2 is the 1 is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10.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are a folding line, which is a virtual line loc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CL) may be located in the first area AR1 and the second area AR2, respectively.

또한, 상기 단위체(1)는 하기 식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nit body (1)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식 3] [Equation 3]

식 3에서, d3는 전극 단위체의 폴딩 전 상태에서, 제3 단부 또는 제4 단부의 단변 폭이고, t2는 제1 전극(10)의 두께이다. In Equation 3, d3 is the width of the short side of the third end or the fourth end in a state before folding of the electrode unit body, and t2 is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10 .

구체적으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제1 세퍼레이터(31) 및 제2 세퍼레이터(32)가 직접 접촉하는 가장 자리 영역 중 일부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제1 전극(10)의 제1 및 제2 극판(11, 12)와는 중첩하지 않고 제1 세퍼레이터(31) 및 제2 세퍼레이터(32)는 중첩하는 테두리 영역 중 폴딩 라인(CL)과 교차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단부를 지칭한다.Specifically,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some of the edge regions where the first separator 31 and the second separator 32 directly contact.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do not overlap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11 and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first separator 31 and the second separator 32 overlap. It refers to an end positioned parallel to a direction crossing the folding line CL among the edge areas to be formed.

d3는 이러한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의 단변 폭을 나타낸다. d3 represents the short side width of the first end or the second end.

또한, 편의상 식 3과 같이 표시하였으나, d3는 적어도 제1 전극(10)의 정렬 오차 보다는 커야 한다. In addition, although expressed as Equation 3 for convenience, d3 should be greater than the alignment error of the first electrode 10 at least.

단위체(1)의 구조가 상기 식 1 및/또는 식 3을 만족하는 경우, 동일한 규격을 기준으로 할 때 이차 전지의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고, 제조 과정에 소비 되는 세퍼레이터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structure of the unit body 1 satisfies Equation 1 and/or Equation 3,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maximized and the amount of separator consum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minimized based on the same standard. .

한편, 전극 단위체(1)는 제1 접합부(AD1) 및 제2 접합부(AD2)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electrode unit 1 includes a first bonding portion AD1 and a second bonding portion AD2.

도 8을 참고하면, 제1 접합부(AD1)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에서 폴딩 라인(CL)과 교차하는 방향과 평행한 제1 단부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 , the first joint portion AD1 is positioned at a first end parallel to a direction crossing the folding line CL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nd At least a portion of (31, 32) includes a junction region bonded to each other.

제2 접합부(AD2)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에서 전술한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The second bonding portion AD2 is located at a second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facing the first en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cludes bonded bonding areas.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제1 세퍼레이터(31)를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평면(xy 평면) 형상이 사각형인 세퍼레이터(31)에서 제1 전극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과 중첩하지 않는 단부는 4개의 가장자리 영역이다. 이때, 폴딩 라인(CL)과 교차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단부는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2 개의 가장자리 영역이다. More specifically, if the first separator 31 shown in FIG. 8 is illustratively described, in the separator 31 having a square plane (xy plane) shape,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The ends that do not overlap with the bipolar plate 12 are four edge regions. At this time, the ends positioned parallel to the direction crossing the folding line CL are two edge regions facing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 각각에서 폴딩 라인(CL)과 교차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일 측의 가장자리 영역을 제1 단부로 지칭하고, 제1 단부와 마주보고 위치하는 타 측의 가장자리 영역을 제2 단부로 지칭하였다. 즉, 제1 접합부(AD1)는 제1 단부에서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영역을 포함하고, 제2 접합부(AD2)는 제2 단부에서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 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an edge region on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crossing the folding line CL is referred to as a first end, and faces the first end. The edge region on the other side where it is located was referred to as a second end. That is, the first joint portion AD1 includes a reg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mutually joined at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AD2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t the second e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separators 31 and 32 includes a bonding region where they are bonded to each other.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AD1)는,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제1 단부와 동일한 형상, 즉,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가 사각 형상으로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합부(AD2) 역시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제2 단부와 동일한 형상, 즉,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가 사각 형상으로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 the first bonding portion AD1 has, for exampl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 31 and 32) may include a junction region mutually joined in a quadrangular shape. Accordingly, the second joint portion AD2 also has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 that is, a joint area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joined to each other in a rectangular shape. can include

본 실시예와 같이, 전극 단위체(1)에서 제1 접합부(AD1) 및 제2 접합부(AD2)가 폴딩 라인(CL)과 교차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제조 공정에서 광학 검사를 이용하여 제품의 결함 검사를 할 때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효과 외에 추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junctions AD1 and AD2 of the electrode unit 1 are located at first and second ends parallel to the direction crossing the folding line CL. In this case, it has an additional advantage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in that accuracy can be improved when inspecting defects of a product using optical inspec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제2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접합부가 위치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의 방향을 제외한 다른 특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other features except for the direction of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where the first and second junctions are located a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Since it is the same as the secondary battery, it will be omitted here.

도 9에는 도 8에서 제1 및 제2 접합부에 포함되는 접합 영역의 평면 형상을 변형한 제4 변형예를 나타내었다. FIG. 9 shows a fourth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planar shape of the bonding area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rts in FIG. 8 is modified.

본 변형예에서, 제1 접합부(AD1)는 폴딩 라인(CL)과 교차하는 방향과 평행한 일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단부에서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3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In this modifica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bonded to each other at a first end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AD1 loc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crossing the folding line CL. including the junction area.

제2 접합부(AD2)는 제1 단부와 마주보고 위치하는 제2 단부에서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3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The second bonding portion AD2 includes a bonding area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bonded to each other at the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도 9를 참고하면, 본 변형예에서 제1 및 제2 접합부(AD1, AD2)는 xy 평면 형상이 원형인 접합 영역을 복수 개 포함하는 형태이다. 즉, 제1 및 제2 단부에서 제1 세퍼레이터(31) 및 제2 세퍼레이터(32)가 서로 원형의 접합 영역을 갖도록 접합되고, 이와 같이 원형으로 접합된 영역이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따라 복수 개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in the modified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rts AD1 and AD2 have a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bonding areas having circular xy plane shapes. That is, at the first and second ends, the first separator 31 and the second separator 32 are bonded to each other to have circular bonding areas, and the circularly bonded areas are formed along the first and second ends.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locations.

이때, 제1 및 제2 접합부(AD1, AD2) 에 포함되는 접합 영역의 xy 평면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및 제2 접합부(AD1, AD2)의 접합 영역은 세퍼레이터(30)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따라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접합부(AD1, AD2)는 복수 개의 접합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본 변형예에서, 제1 및 제2 접합부(AD1, AD2)에 포함되는 접합 영역의 xy 평면 형상이 동일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the xy plane shape of the junction area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junction parts AD1 and AD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lthough not shown, the junction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junction parts AD1 and AD2 is formed by a separator ( 30) may have at least one shape of an ellipse, a triangle, a rectangle, and a combination thereof along the first and second ends. The first and second junctions AD1 and AD2 may include a plurality of junction regions, and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junction regions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junctions AD1 and AD2 may have the same xy plane shape. Of course there is no need.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 변형예에서, 제1 및 제2 접합부의 평면 형상을 제외한 다른 특징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modified examp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except for the planar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junctions, other featur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and thus will be omitted here.

도 10에는 도 8에서 제1 및 제2 접합부에 포함되는 접합 영역의 평면 형상을 변형한 제5 변형예를 나타내었다. FIG. 10 shows a fifth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planar shape of the bonding area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rts in FIG. 8 is modified.

본 변형예에서, 제1 접합부(AD1)는 폴딩 라인(CL)과 교차하는 방향과 평행한 일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단부에서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3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In this modifica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bonded to each other at a first end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AD1 loc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crossing the folding line CL. including the junction area.

제2 접합부(AD2)는 제1 단부와 마주보고 위치하는 제2 단부에서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3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The second bonding portion AD2 includes a bonding reg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bonded to each other at the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도 10을 참고하면, 본 변형예에서, 제1 접합부(AD1)는, 제1 단부의 양 끝단에 각각 위치하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가 상호 접합된 접합영역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first bonding portion AD1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first end and includes a bonding area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mutually bonded. .

또한, 제2 접합부(AD2)는, 제2 단부의 양 끝단에 각각 위치하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가 상호 접합된 접합영역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bonding portion AD2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end and includes a bonding area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mutually bonded.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 변형예에서, 제1 및 제2 접합부의 평면 형상을 제외한 다른 특징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modified examp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other features except for the planar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junc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1에는 도 8에서 제5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제6 변형예를 나타내었다. FIG. 11 shows a sixth modified example of FIG. 8 further including a fifth bonding portion.

도 11을 참고하면, 본 변형예에서, 전극 단위체(1)는, 제1 접합부(AD1) 및 제2 접합부(AD2) 외에 제5 접합부(AD5)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electrode unit 1 may further include a fifth junction part AD5 in addition to the first junction part AD1 and the second junction part AD2.

제5 접합부(AD5)는, 가상의 선인 폴딩 라인(CL)에 위치하며, 제1 전극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과 중첩하지 않고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가 직접 접촉하는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즉, 제5 접합부(AD5)는 폴딩 라인(CL)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The fifth junction AD5 is located on the folding line CL, which is an imaginary line, and does not overlap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It includes a junction region that That is, the fifth junction AD5 is positioned on the folding line CL and includes a junction reg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mutually joined.

도 11에는 제5 접합부(AD5)가 폴딩 라인(CL)을 따라 형성된 사각 형상(xy 평면상)의 접합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즉,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가 폴딩 라인(CL)을 따라 사각 형상으로 부착된 경우이다.FIG. 1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fifth joint portion AD5 includes a rectangular joint area (on an xy plane) formed along the folding line CL. That is, this is the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attached in a rectangular shape along the folding line CL.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5 접합부(AD5)는, 도 9에 나타낸 제1 및 제2 접합부(AD1, AD2)처럼, 원형인 접합 영역을 복수 개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5 접합부(AD5)에 포함되는 접합 영역의 xy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5 접합부(AD5)의 접합 영역은 세퍼레이터(30)의 폴딩 라인(CL)을 따라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제5 접합부(AD5)는 복수 개의 접합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본 변형예에서, 제1 및 제2 접합부(AD1, AD2)와 제5 접합부(AD5)에 포함되는 접합 영역의 xy 평면 형상이 동일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이다. Although not separately illustrated, the fifth joint portion AD5 may include a plurality of circular joint areas, like the first and second joint portions AD1 and AD2 shown in FIG. 9 . At this time, the xy plane shape of the junction region included in the fifth junction part AD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lthough not shown, the junction region of the fifth junction part AD5 is along the folding line CL of the separator 30. It may have at least one shape of an ellipse, a triangle, a rectangle, and a combination thereof. The fifth junction AD5 may include a plurality of junction regions, and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xy plane shape of the junction regions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junctions AD1 and AD2 and the fifth junction AD5 i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y do not have to be the same.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 변형예에서, 제5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한 다른 특징은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 제2 실시예 및 제4 변형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modified examp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 except for further including a fifth joint, other featur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and fourth modified exampl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so they are omitted here. do it with

도 12는 도 4의 전극 단위체들이 복수 개 적층되어 구성된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configur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 units of FIG. 4 .

도 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전극 단위체(1)는 복수로 구비되고, 이러한 복수의 전극 단위체(1)가 일 방향으로 적층되어 전극 조립체(2)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전극 단위체(1)는 제1 전극 탭(52) 및 제2 전극 탭(51)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도 1 참조).Referring to FIGS. 1 and 12 ,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1 may be provided, and the electrode units 1 may be stacked in one direction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2 .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electrode tab 52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51 (see FIG. 1 ).

폴딩된 전극 단위체(1)를 복수 개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2)를 구성하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2)의 제조 공정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동일한 규격에서 이차 전지의 용량을 쉽게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본 개시에서 복수의 전극 단위체(1)는 전극 조립체(2) 및 이차 전지의 생산 효율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electrode assembly 2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the folded electrode units 1,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2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easily increased with the same standard. That is,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1 can improve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qual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2 and the secondary battery.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기 설명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변형예들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ly 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and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이하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전극 단위체로 전술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변형예들에서 설명한 전극 단위체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변형예들에서 설명한 전극 단위체 중 어느 하나를 각 실시예들에 맞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eparately mention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y one of the electrode unit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modifications may be applied as an electrode unit appli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re is. Alternatively, any one of the electrode unit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and modifications may be modified and applie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도 13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3을 참고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적용되는 전극 조립체(6)는 최외곽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최외곽 단위체(61)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 the electrode assembly 6 applied to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first outermost unit 61 provided on one outermost side.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6)는 도 4의 전극 단위체(1)를 일 방향으로 복수 개 적층하고, 복수의 전극 단위체 중 최외곽 일 측에 위치하는 전극 단위체에 에 제1 최외곽 단위체(61)를 적층하여 형성된 서브 완성 셀을 포함한다. That is, in the electrode assembly 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1 of FIG. 4 are stacked in one direction, and the first outermost electrode unit located on the outermost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It includes sub-complete cells formed by stacking unit bodies 61.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전극 조립체에 적용되는 제1 최외곽 단위체가 폴딩되기 전 적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적층 상태에서 세퍼레이터들을 폴딩하여 형성된 제1 최외곽 단위체의 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cked state before folding of the first outermost unit applied to the electrode assembly shown in FIG. 13, and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outermost unit formed by folding the separators in the stacked state of FIG. 14. .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최외곽 단위체(61)는 제1 전극(10)의 극판과 세퍼레이터(30)를 동일 개수로 구비하고, 제2 전극(20)은 제1 전극(10) 또는 세퍼레이터(30) 보다 하나 적은 개수로 극판을 구비한다. 14 and 15, the first outermost unit 61 includes the same number of electrode plates and separators 30 of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includes the first electrode 10 ) or the electrode plate is provided with one less number than the separator 30.

구체적으로, 제1 최외곽 단위체(61)는, 제1 전극(10)의 제1 및 제2 극판(11, 12),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를 포함하며, 제2 전극(20)의 제2 극판(22)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irst outermost unit 61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11 and 12 and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of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It includes the second electrode plate 22 of (20).

도 14를 참고하면, 제1 최외곽 단위체(61)에서,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은 제1 세퍼레이터(31)의 일 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고,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 상에는 제2 세퍼레이터(32)가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14 , in the first outermost unit 61,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eparator 31. A second separator 32 is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

또한, 제2 전극(20)의 제2 극판(22)은 제1 전극(10)의 제2 극판(12)에 대응하여 제2 세퍼레이터(3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plate 22 of the second electrode 20 is disposed with the second separator 32 therebetwee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

제1 접합부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가 직접 접촉하는 제1 단부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The first bonding portion is located at a first end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directly contact each other, and includes a bonding reg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mutually bonded. .

제2 접합부는,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The second bonding portion is located at a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and includes a bonding reg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are mutually bonded.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가 직접 접촉하는 테두리 영역 중 폴딩 라인(CL)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단부이다.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ends located parallel to the folding line CL among the edge areas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directly contact.

제1 및 제2 접합부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특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변형예에 따른 전극 단위체와 동일한 바,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More specific features of the first and second junc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the electrode unit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will be omitted herein.

제1 최외곽 단위체(61)는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사이에서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가 폴딩되어 도 15와 같이 폴딩된 제1 최외곽 단위체(61)를 형성된다.The first outermost unit 61 is folded as shown in FIG. 15 by folding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The first outermost unit 61 is formed.

제1 최외곽 단위체(61)는 전술한 식 1 및/또는 식 2로 표현될 수 있으며, 식 1 및/또는 식 2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전극 단위체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The first outermost unit 61 may be expressed by Equation 1 and/or Equation 2 described above, and Equation 1 and/or Equation 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electrode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Therefore, we omit it here.

세퍼레이터(30)는 폴딩 라인(CL)을 기준으로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으로 구분된다. 도 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세퍼레이터(30)는, 폴딩된 제1 최외곽 단위체(61)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세퍼레이터(31) 및 폴딩된 제1 최외곽 단위체(61)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세퍼레이터(32)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세퍼레이터(31) 및 제2 세퍼레이터(32)도 각각 폴딩 라인(CL)을 기준으로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separator 30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AR1 and a second area AR2 based on the folding line CL. Referring to FIG. 15 , in this embodiment, the separator 30 is composed of the first separator 31 located outside the folded first outermost unit 61 and the folded first outermost unit 61. A second separator 32 located inside is included. Accordingly, the first separator 31 and the second separator 32 may also be divided into a first area AR1 and a second area AR2 based on the folding line CL, respectively.

폴딩된 제1 최외곽 단위체(61)에서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은 제1 세퍼레이터(31)와 제2 세퍼레이터(32) 사이에 적층되며, 제1영역(AR1)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전극의 제2 극판(12)은 제1 세퍼레이터(31) 및 제2 세퍼레이터(32) 사이에 적층되며 제2 영역(AR2)에 위치한다. In the folded first outermost unit 61,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10 is stacked between the first separator 31 and the second separator 32, and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AR1. Located.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is stacked between the first separator 31 and the second separator 32 and is positioned in the second region AR2.

제2 전극(20)의 제2 극판(22)은, 제2 영역(AR2)에 위치하는 제1 전극(10)의 제2 극판(12)과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폴딩된 제1 최외곽 단위체(61)에서 제2 전극(20)의 제2 극판(22)은, 폴딩된 제2 세퍼레이터(32)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전극(10)의 제1 및 제2 극판(11, 12)과 중첩되게 위치한다.The second electrode plate 22 of the second electrode 20 may overlap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AR2 . The second electrode plate 22 of the second electrode 20 in the folded first outermost unit unit 61 is disposed between the folded second separator 32,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0 of the first electrode 10 It is positioned to overlap with the two electrode plates (11, 12).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딩된 제1 최외곽 단위체(61)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31, 32)의 폴딩에 의하여, 제2 영역(AR2)에서 1개의 단위 셀을 형성하며, 제1영역(AR1)과 제2영역(AR2) 사이에서 1개의 단위 셀을 더 형성한다.As shown in FIG. 15, the folded first outermost unit 61 forms one unit cell in the second region AR2 by folding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31 and 32, One unit cell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area AR1 and the second area AR2.

즉, 제2 영역(AR2)에서 제2 전극(20)의 제2 극판(22), 제2 세퍼레이터(32), 제1 전극(10)의 제2 극판(12) 및 제1 세퍼레이터(31)는 1개의 단위 셀을 형성한다. 또한,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 사이에서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 제2 세퍼레이터(32) 및 제2 전극(20)의 제2 극판(22)이 1개의 단위 셀을 형성한다.That is, in the second region AR2, the second electrode plate 22 of the second electrode 20, the second separator 32,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first separator 31 forms one unit cell.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10, the second separator 32,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22 of the second electrode 20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gion AR1 and the second region AR2. ) forms one unit cell.

제1 최외곽 단위체(61)가 전극 조립체(6)의 일측 최외곽에 배치됨에 따라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이 최외곽에 배치된다. 이로써, 전극 조립체(2)의 최외곽 양측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이 각각 배치되어, 전극 조립체(6)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the first outermost unit 61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6,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10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3, the first electrode plates 11 of the first electrode 1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utermost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2, respectively, so that the safety of the electrode assembly 6 can be improved. there is.

도 16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포함되는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included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6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적용되는 전극 조립체(7)는 최외곽 일측에 구비되는 제2 최외곽 단위체(71)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6 , the electrode assembly 7 applied to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econd outermost unit 71 provided on one outermost side.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7)는 도 4의 전극 단위체(1)를 일 방향으로 복수 개 적층하고, 복수의 전극 단위체 중 최외곽 일 측에 위치하는 전극 단위체에 제2 최외곽 단위체(71)를 적층하여 형성된 서브 완성 셀을 포함한다. That is, in the electrode assembly 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1 of FIG. 4 are stacked in one direction, and the second outermost unit is formed on the electrode unit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71) including sub-complete cells formed by stacking them.

도 17은 도 16의 전극 조립체에 적용되는 제2 최외곽 단위체의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2 최외곽 단위체(71)는 제1 전극(10)의 양면에 세퍼레이터(40)가 배치되어 형성된다.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outermost unit applied to the electrode assembly of FIG. 16 . Referring to FIG. 17 , the second outermost unit 71 is formed by placing separators 40 on both sides of the first electrode 10 .

구체적으로, 제2 최외곽 단위체(71)는 제1 전극(10)의 제3 극판(13) 일 면에 위치하는 제3 세퍼레이터(41)와 제1 전극(10)의 제3 극판(13) 타 면에 위치하는 제4 세퍼레이터(42)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second outermost unit 71 includes the third separator 41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third electrode plate 13 of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third electrode plate 13 of the first electrode 10. and a fourth separator 42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제2 최외곽 단위체(71)가 전극 조립체(7)의 일측 최외곽에 배치됨에 따라 제1 전극(10)의 제3 극판(13)이 최외곽에 배치된다. 이로써, 전극 조립체(7)의 양측 최외곽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과 제3 극판(13)이 각각 배치되어, 전극 조립체(7)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the second outermost unit 71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7, the third electrode plate 13 of the first electrode 10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Thus, as shown in FIG. 16,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third electrode plate 13 of the first electrode 10 are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7, respectively,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7 ) can improve safety.

도 18은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포함되는 전극 단위체가 폴딩되기 전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0은 도 19의 적층 상태에서 세퍼레이터들을 폴딩하여 형성되는 전극 단위체의 단면도이다.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cked state of electrode units included in FIG. 18 before being folded, and FIG. 20 is a stacked structure of FIG. 19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unit formed by folding the separators in the state.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전극 단위체(81)에서 제1 전극(50), 제2 전극(80) 및 세퍼레이터(90)는 각각 3개씩 구비된다.Referring to FIGS. 19 and 20 , in the electrode unit 81, three first electrodes 50, second electrodes 80, and separators 90 are respectively provided.

구체적으로, 전극 단위체(81)는, 제5, 제6 및 제 7 세퍼레이터(91, 92, 93), 제1 전극(50)의 제1, 제2 및 제4 극판(11, 12, 14), 제2 전극(80)의 제1, 제5 및 제6 극판(21, 25, 26), 제6 접합부(AD6) 및 제7 접합부(AD7)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electrode unit 81 includes the fifth,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91, 92, and 93, and the first, second, and fourth electrode plates 11, 12, and 14 of the first electrode 50. , the first, fifth, and sixth electrode plates 21, 25, and 26 of the second electrode 80, the sixth joint portion AD6, and the seventh joint portion AD7.

도 19를 참고하면, 폴딩 전 전극 단위체(81)에서, 제1 전극(50)의 제1 및 제2 극판(11, 12)은 제5 세퍼레이터(91)의 일 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고, 제1 전극(50)의 제1 및 제2 극판(11, 12)을 덮도록 제6 세퍼레이터(92)가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19 , in the electrode unit body 81 before fold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11 and 12 of the first electrode 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urface of the fifth separator 91, and A sixth separator 92 is disposed to cover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11 and 12 of the first electrode 50 .

또한, 제2 전극(80)의 제5 및 제6 극판(25, 26)은 제1 전극(50)의 제1 및 제2 극판(11, 12)에 대응하여 제6 세퍼레이터(9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In addition, the fifth and sixth electrode plates 25 and 26 of the second electrode 80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11 and 12 of the first electrode 50 with a sixth separator 92 between them. placed on

다음, 제2 전극(80)의 제5 및 제6 극판(25, 26)을 덮도록 제7 세퍼레이터(93)가 배치된다. Next, a seventh separator 93 is disposed to cover the fifth and sixth electrode plates 25 and 26 of the second electrode 80 .

제2 전극(80)의 제1 극판(21)은 제1 전극(50)의 제1 극판(11)에 대응하여 제5 세퍼레이터(9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제1 전극(50)의 제4 극판(14)은 제2 전극(80)의 제6 극판에 대응하여 제7 세퍼레이터(93)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The first electrode plate 21 of the second electrode 80 is disposed with the fifth separator 91 therebetwee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50, The fourth electrode plate 14 corresponds to the sixth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lectrode 80 and is disposed with the seventh separator 93 interposed therebetween.

제6 접합부(AD6)는, 제5 및 제6 세퍼레이터(91, 92)와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92, 93)가 직접 접촉하는 제1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5 및 제6 세퍼레이터(91, 92)의 적어도 일부와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92, 93)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The sixth bonding portion AD6 is located at a first end where the fifth and sixth separators 91 and 92 and the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92 and 93 directly contact each other, and the fifth and sixth separators ( A junction reg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parators 91 and 92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92 and 93 are mutually bonded is included.

제7 접합부(AD7)는,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5 및 제6 세퍼레이터(91, 92)의 적어도 일부와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92, 93)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The seventh bonding portion AD7 is located at a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and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fth and sixth separators 91 and 92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92 and 93. A portion includes junction regions bonded to each other.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제5 및 제6 세퍼레이터(91, 92)와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92, 93)가 직접 접촉하는 테두리 영역 중 가상의 선인 폴딩 라인(CL)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단부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parallel to the folding line CL, which is an imaginary line, among the edge areas where the fifth and sixth separators 91 and 92 and the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92 and 93 directly contact. It can also be defined as an end where it is located.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단위체(81)는 하기 식 4로 표현될 수 있다.The electrode unit 8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4 below.

[식 4] [Equation 4]

식 4에서, d1은 폴딩 전 상태에서 제1 전극(50)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 사이의 거리이고, t1은 제2 전극(80)의 두께이며, t2는 제1 전극(50)의 두께이다. In Equation 4, d1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50 in a state before folding, t1 i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80, and t2 is the 1 is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50.

이때, 제1 전극(50)의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극판(11)과 제2 극판(12)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의 선인 폴딩 라인(CL)을 중심으로 나눠지는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50 are a folding line, which is an imaginary line loc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CL) may be located in the first area AR1 and the second area AR2, respectively.

또한, 제2 전극(80)의 제5 극판(25) 및 제6 극판(26)도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fth electrode plate 25 and the sixth electrode plate 26 of the second electrode 80 may also be positioned in the first area AR1 and the second area AR2,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전극 단위체(81)는 하기 식 5로 표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unit 81 may be expressed by Equation 5 below.

[식 5] [Equation 5]

식 2에서, d2는 전극 단위체의 폴딩 전 상태에서,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의 단변 폭이고, t2는 제1 전극(50)의 두께이다. In Equation 2, d2 is the short side width of the first end or the second end in a state before folding of the electrode unit body, and t2 is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50 .

구체적으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제5 및 제6 세퍼레이터(91, 92)와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92, 93)가 직접 접촉하는 가장 자리 영역 중 일부이다. 즉,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제1 전극(50)의 제1 및 제2 극판(11, 12)과는 중첩하지 않고 제5,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91, 92, 93)는 중첩하는 테두리 영역 중 폴딩 라인(CL)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단부를 지칭한다. Specifically,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portions of edge regions where the fifth and sixth separators 91 and 92 and the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92 and 93 are in direct contact. That is,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do not overlap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11 and 12 of the first electrode 50, and the fifth,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91, 92 and 93 do not overlap each other. It refers to an end positioned parallel to the folding line CL among the overlapping border areas.

d2는 이러한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의 단변 폭을 나타낸다. 도 19에는 편의상 세퍼레이터들이 접합된 상태에서 d2를 표시하였으나, d2가 나타내는 제1 또는 제2 단부의 단변 폭은 세퍼레이터들이 접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폭을 의미한다. d2 represents the short side width of the first end or the second end. In FIG. 19 , for convenience, d2 is indicated when the separators are bonded, but the width of the short side of the first or second end indicated by d2 means the width when the separators are not bonded.

또한, 편의상 식 5와 같이 표시하였으나, d2는 적어도 제1 전극(50)의 정렬 오차 보다는 커야 한다. Also, although expressed as Equation 5 for convenience, d2 must be greater than the alignment error of the first electrode 50 at least.

전극 단위체(81)의 구조가 상기 식 4 및/또는 식 5를 만족하는 경우, 동일한 규격을 기준으로 할 때 이차 전지의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고, 제조 과정에 소비 되는 세퍼레이터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unit 81 satisfies Equation 4 and/or Equation 5,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maximized and the amount of separator consum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minimized based on the same standard. there is.

세퍼레이터(90)는 폴딩 라인(CL)을 기준으로 제1 영역(AR1) 및 제2영역(AR2)으로 구분된다. 도 2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세퍼레이터(90)는, 폴딩된 전극 단위체(81)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5 세퍼레이터(91), 폴딩된 전극 단위체(81)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제7 세퍼레이터(93), 제5 세퍼레이터(91) 및 제7 세퍼레이터(93)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6 세퍼레이터(92)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5,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91, 92, 93) 각각도 폴딩 라인(CL)을 기준으로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separator 90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AR1 and a second area AR2 based on the folding line CL. Referring to FIG. 2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or 90 includes the fifth separator 91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folded electrode unit 81 and the innermost separator 91 located on the innermost side of the folded electrode unit 81. A sixth separator 92 positioned between the seventh separator 93 , the fifth separator 91 , and the seventh separator 93 is included. Accordingly, each of the fifth,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91, 92, and 93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rea AR1 and a second area AR2 based on the folding line CL.

제1 전극(50)은, 제1 극판(11), 제2 극판(12) 및 제4 극판(14)을 포함한다. 폴딩된 전극 단위체(81)에서, 제1 전극(50)의 제1 극판(11)은, 제5 및 제6 세퍼레이터(91, 92) 사이에 적층되고 제1 영역(AR1)에 위치한다. 제1 전극(50)의 제2 극판(12)은 제5 및 제6 세퍼레이터(91, 92) 사이에 적층되고 제2 영역(AR2)에 위치한다. 제1 전극(50)의 제4 극판(14)은 폴딩된 전극 단위체(81)에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며 폴딩된 제7 세퍼레이터(93) 사이에 적층된다. The first electrode 50 includes a first electrode plate 11 , a second electrode plate 12 , and a fourth electrode plate 14 . In the folded electrode unit 81 ,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50 is stacked between the fifth and sixth separators 91 and 92 and is positioned in the first region AR1 .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50 is stacked between the fifth and sixth separators 91 and 92 and is positioned in the second region AR2. The fourth electrode plate 14 of the first electrode 50 is located at the innermost side of the folded electrode unit 81 and is stacked between the folded seventh separators 93 .

또한, 제2 전극(80)은, 제1 극판(21), 제5 극판(25) 및 제6 극판(26)을 포함한다. 제2 전극(80)의 제1 극판(21)은, 제5 세퍼레이터(91)의 외측에 적층되며, 제1 전극(50)의 제1 극판(11)에 중첩하게 배치되어 제1 영역(AR1)에 위치한다. 제5 극판(25)은 제6 세퍼레이터(92)와 제7 세퍼레이터(93)의 사이에 적층되며, 제1 전극(50)의 제1 극판(11) 및 제4 극판(14)과 중첩하게 배치되어 제1 영역(AR1)에 위치한다. 제2 전극(80)의 제6 극판(26)은 제6 세퍼레이터(92)와 제7 세퍼레이터(93)의 사이에 적층되며, 제1 전극(50)의 제2 극판(12) 및 제4 극판(14)과 중첩하게 배치되어 제2 영역(AR2)에 위치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80 includes a first electrode plate 21 , a fifth electrode plate 25 and a sixth electrode plate 26 . The first electrode plate 21 of the second electrode 80 is stacked on the outside of the fifth separator 91 and overlaps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50 to form a first region AR1. ) is located in The fifth electrode plate 25 is stacked between the sixth separator 92 and the seventh separator 93, and is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fourth electrode plate 14 of the first electrode 50. and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AR1. The sixth electrode plate 26 of the second electrode 80 is laminated between the sixth separator 92 and the seventh separator 93,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and the fourth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50 It is disposed to overlap with (14) and is located in the second area AR2.

즉, 제2 전극(80)의 제1 극판(21)은 제5 세퍼레이터(91)를 사이에 두고 제1 전극(50)의 제1 극판(11)과 대응되게 배치된다. 제2 전극의 제5 극판(25)은 제6 세퍼레이터(92)를 사이에 두고 제1 전극(50)의 제1 극판(11)과 대응되게 배치된다. 제2 전극의 제6 극판(26)은 제6 세퍼레이터(92)를 사이에 두고 제1 전극(50)의 제2 극판(12)과 대응되게 배치된다. That is, the first electrode plate 21 of the second electrode 80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50 with the fifth separator 91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fth electrode plate 25 of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50 with the sixth separator 9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ixth electrode plate 26 of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50 with the sixth separator 92 interposed therebetween.

본 실시예에서는 도 19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제1 전극(50)의 제1, 제2 및 제4 극판(11, 12, 14)과 제2 전극(80)의 제1, 제5 및 제6 극판(21, 25, 26)을 적층한 후 제5,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91, 92, 93)를 폴딩 라인(CL)을 기준으로 폴딩하여 전극 단위체(81)를 제조한다. 따라서, 전극 단위체(81)의 제조 과정에서 세퍼레이터(90), 제1 전극(50), 제2 전극(80)의 정렬이 용이해진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19, the first, second and fourth electrode plates 11, 12 and 14 of the first electrode 50 and the first, fifth and fifth electrodes of the second electrode 80 After stacking the six electrode plates 21 , 25 , and 26 , the fifth,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91 , 92 , and 93 are folded based on the folding line CL to manufacture the electrode unit 81 . Accordingly, alignment of the separator 90 , the first electrode 50 , and the second electrode 80 becomes easy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lectrode unit 81 .

도 20을 참조하면, 전극 단위체(81)는 제5,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91, 92, 93)의 폴딩에 의하여, 제1 영역(AR1)에서 2개의 단위 셀들을 형성하고, 제2 영역(AR2)에서 2개의 단위 셀들을 형성하며,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 사이에서 1개의 단위 셀을 더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20 , the electrode unit 81 forms two unit cells in the first region AR1 by folding the fifth,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91, 92, and 93, and the second Two unit cells are formed in the area AR2, and one unit cell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area AR1 and the second area AR2.

즉, 제1 영역(AR1)에서는 제2 전극(80)의 제1 극판(21), 제5 세퍼레이터(91), 제1 전극(50)의 제1 극판(11), 제6 세퍼레이터(92), 제2 전극(80)의 제5 극판(25), 제7 세퍼레이터(93)가 2개의 단위 셀들을 형성한다. 제2 영역(AR2)에서는 제1 전극(50)의 제4 극판(14), 제7 세퍼레이터(93), 제2 전극(80)의 제6 극판(26), 제6 세퍼레이터(92), 제1 전극(50)의 제2 극판(12) 및 제5 세퍼레이터(91)가 2개의 단위 셀들을 형성한다.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 사이에서는 제2 전극(80)의 제5 극판(25), 제7 세퍼레이터(93) 및 제1 전극(50)의 제4 극판(14)이 1개의 단위 셀을 형성한다.That is, in the first region AR1, the first electrode plate 21 of the second electrode 80, the fifth separator 91,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50, and the sixth separator 92 , the fifth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venth separator 93 of the second electrode 80 form two unit cells. In the second region AR2 , the fourth electrode plate 14 of the first electrode 50 , the seventh separator 93 , the sixth electrode plate 26 of the second electrode 80 , the sixth separator 92 ,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and the fifth separator 91 of the first electrode 50 form two unit cells. Between the first region AR1 and the second region AR2, the fifth electrode plate 25 of the second electrode 80, the seventh separator 93, and the fourth electrode plate 14 of the first electrode 50 are form one unit cell.

도 18은 도 20의 전극 단위체들을 복수 개 적층하여 형성된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8)는 도 20의 전극 단위체(81)가 복수 개 적층되며 이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극 단위체들은 제2 전극 탭 및 제1 전극 탭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of FIG. 20 . Referring to FIG. 18 , the electrode assembly 8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81 of FIG. 20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m. Although not shown, the electrode unit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tab and the first electrode tab.

전극 단위체들(81)은 적층되어 전극 조립체(8)를 형성하므로 전극 조립체(8)의 제조 공정을 용이하게 하면서 또한 전지의 용량 증대를 용이하게 한다. 즉, 전극 단위체들(81)은 전극 조립체(8) 및 이차 전지의 생산 효율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electrode units 81 are stacked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8,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8 is facilitated and the capacity of the battery can be increased easily. That is, the electrode units 81 can improve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qual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8 and the secondary battery.

도 21은 본 개시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6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적용되는 전극 조립체(94)는 최외곽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최외곽 단위체(61)를 더 포함한다.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21 , the electrode assembly 94 applied to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first outermost unit 61 provided on one outermost side.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94)는 도 20의 전극 단위체들(81)을 일 방향으로 복수 개 적층하고, 적층된 복수의 전극 단위체 중 최외곽 일 측에 위치하는 전극 단위체에 도 15의 제1 최외곽 단위체(61)를 적층하여 형성된다.That is, in the electrode assembly 9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electrode units 81 of FIG. 20 are stacked in one direction, and the electrode unit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stacked electrode units is shown in FIG. 15 It is formed by stacking the first outermost unit 61 of

제1 최외곽 단위체(61)가 전극 조립체(94)의 일측 최외곽에 배치됨에 따라 제1 전극(10)의 제1 극판(11)이 최외곽에 배치된다. 이로써, 전극 조립체(94)의 양측 최외곽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0, 50)을 구성하는 제1 극판(11) 및 제2 극판(12)이 각각 배치되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94)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the first outermost unit 61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94,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10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Thus, as shown in FIG. 20,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s 10 and 50 are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94, respectively. , the stabil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94 can be improved.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7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적용되는 전극 조립체(95)는 최외곽 일측에 구비되는 제2 최외곽 단위체(71)를 더 포함한다.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2 , the electrode assembly 95 applied to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econd outermost unit 71 provided on one outermost side.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95)는 도 20의 전극 단위체들(81)을 일 방향으로 복수 개 적층하고, 적층된 복수의 전극 단위체 중 최외곽 일 측에 위치하는 전극 단위체에 도 17의 제2 최외곽 단위체(71)를 적층하여 형성된다. 전극 단위체(81) 및 제2 최외곽 단위체(71)는 제2 전극 탭 및 제1 전극 탭(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at is, in the electrode assembly 9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electrode units 81 of FIG. 20 are stacked in one direction, and the electrode unit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stacked electrode units is shown in FIG. 17 It is formed by stacking the second outermost unit 71 of The electrode unit 81 and the second outermost unit 7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second electrode tab and a first electrode tab (not shown).

제2 최외곽 단위체(71)가 전극 조립체(95)의 일측 최외곽에 배치됨에 따라 제1 전극(10)의 제3 극판(13)이 최외곽에 배치된다. 이로써, 전극 조립체(95)의 양측 최외곽에는 제1 전극(10)을 구성하는 제3 극판(13)과 제1 전극(50)의 제2 극판(12)이 각각 배치되어, 전극 조립체(95)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the second outermost unit 71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95, the third electrode plate 13 of the first electrode 10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Thus, the third electrode plate 13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50 are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95, respectively,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95 ) can improve safety.

도 23 및 도 24는 본 개시의 제8 실시예 및 제9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23 and 2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electrode assemblies of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the eighth and ni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전극 조립체(2')는, 도 16과 같은 구조의 서브 완성 셀과 상기 서브 완성 셀의 전체 외곽을 피복하는 피복재(31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3,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ode assembly 2' may further include a sub-complete cell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in FIG. 16 and a covering material 31E covering the entire outer periphery of the sub-complete cell. can

즉, 전극 단위체(1)를 일 방향으로 복수 개 적층하고, 복수의 전극 단위체 중 최외곽 일 측에 위치하는 전극 단위체(1)에 제2 최외곽 단위체(71)를 적층하여 형성된 서브 완성 셀의 전체 외곽을 피복재(31E)를 이용하여 피복한 형태이다. 이때 피복재(31E)로는 전기 절연 피복재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세퍼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That is, of the sub-finished cell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1 in one direction and stacking the second outermost unit 71 on the electrode unit 1 located on the outermost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It is a form in which the entire outer periphery is covered using the covering material 31E. At this time, as the covering material 31E, an electrical insulation covering material may be used, for example, a separator may be used.

이러한 피복재(31E)의 단부는 마감 테이프(T1)로 고정된다. An end of this covering material 31E is fixed with a finishing tape T1.

본 실시예의 전극 조립체(2')에서 양측 최외곽에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0)을 구성하는 제1 극판(11) 및 제3 극판(13)이 각각 배치되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2')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3,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third electrode plate 13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10 are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2' of the present embodiment, respectively. , the stabil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2' can be improved.

도 24을 참조하면, 제9 실시예에 다른 이차 전지에서, 전극 조립체(2")는 도 23과 동일한 구조이되 마감 테이프(T2)의 고정 방향만 상이한 형태이다. Referring to FIG. 24 ,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the electrode assembly 2″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FIG. 23 but has a different shape only in the fixing direction of the finishing tape T2.

도 25 및 도 26은 본 개시의 제10 실시예 및 제1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25 and 26 are cross-sectional views of electrode assemblies of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the tenth and elev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전극 조립체(12')는, 도 13과 같은 구조의 서브 완성 셀과 상기 서브 완성 세르이 전체 외곽을 피복하는 피복재(31E)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ode assembly 12' includes a sub-complete cell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13 and a covering material 31E covering the entir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b-complete cell. can include more.

즉, 전극 단위체(1)를 일 방향으로 복수 개 적층하고, 복수의 전극 단위체 중 최외곽 일 측에 위치하는 전극 단위체(1)에 제1 최외곽 단위체(61)를 적층하여 형성된 서브 완성 셀의 전체 외곽을 피복재(31E)를 이용하여 피복한 형태이다. That is, of the sub-finished cell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1 in one direction and stacking the first outermost unit 61 on the electrode unit 1 located on the outermost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It is a form in which the entire outer periphery is covered using the covering material 31E.

이때 피복재(31E)로는 전기 절연 피복재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세퍼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피복재(31E)의 단부는 마감 테이프(T1)로 고정된다. At this time, as the covering material 31E, an electrical insulating covering material may be used, for example, a separator may be used. An end of this covering material 31E is fixed with a finishing tape T1.

본 실시예의 전극 조립체(12')에서 양측 최외곽에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0)을 구성하는 제1 극판(11)이 각각 배치되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12')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5, in the electrode assembly 12'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first electrode plates 11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10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s, the electrode assembly 12' stability can be improved.

도 26을 참조하면, 제1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전극 조립체(12")는 도 25과 동일한 구조이되 마감 테이프(T2)의 고정 방향만 상이한 형태이다. Referring to FIG. 26 ,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the electrode assembly 12″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FIG. 25 but has a different shape only in the fixing direction of the finishing tape T2.

도 27은 본 개시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2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7을 참고하면, 제1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적용되는 전극 조립체(8')는, 도 19의 전극 단위체(81)들을 일 방향으로 복수 개 적층하고, 적층된 복수의 전극 단위체 중 최외곽 일 측에 위치하는 전극 단위체에 제3 최외곽 단위체(81')를 적층하여 형성된다. 전극 단위체(81) 및 제3 최외곽 단위체(81')는 제2 전극 탭 및 제1 전극 탭(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27, the electrode assembly 8' applied to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81 of FIG. It is formed by stacking the third outermost unit 81' on an electrode unit locat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The electrode unit 81 and the third outermost unit 8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tab and the first electrode tab (not shown).

도 28은 도 27에 나타낸 전극 조립체에 적용되는 제3 최외곽 단위체가 폴딩되기 전 적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9는 도 28의 적층 상태에서 세퍼레이터들을 폴딩하여 형성된 제3 최외곽 단위체의 단면도이다. 2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cked state before the third outermost unit applied to the electrode assembly shown in FIG. 27 is folded, and FIG. 2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ird outermost unit formed by folding the separators in the stacked state of FIG. 28 . .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제3 최외곽 단위체(81')은 도 18 및 도 19의 전극 단위체(81)에서 제2 전극(80)의 제1 극판(21)을 제거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최외곽 단위체(81')는 제1 전극(50)의 극판 및 세퍼레이터(90)를 각각 3 개씩 구비하고, 제2 전극(80')의 극판은 2개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S. 28 and 29 , the third outermost unit 81 ′ is formed by remov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21 of the second electrode 80 from the electrode unit 81 of FIGS. 18 and 19 . In this embodiment, the outermost unit 81' includes three electrode plates of the first electrode 50 and three separators 90, respectively, and two electrode plates of the second electrode 80'.

예를 들어, 제2 전극(80')은 제5 극판(25) 및 제6 극판(26)을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80' includes a fifth electrode plate 25 and a sixth electrode plate 26.

제5 극판 (25)은 제6 세퍼레이터(92)와 제7 세퍼레이터(93)의 사이에 적층되며, 제1 전극의 제1 극판(11) 또는 제4 극판(14)과 중첩되게 배치되어 제1 영역(AR1)에 위치한다. 제2 전극의 제6 극판(26)은 제1 전극의 제2 극판(12) 및 제4 극판(14)과 중첩되게 배치되어 제2 영역(AR2)에 위치한다.The fifth electrode plate 25 is stacked between the sixth separator 92 and the seventh separator 93, and is disposed overlapp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r the fourth electrode plate 14 of the first electrode to form the first electrode plate 25. It is located in area AR1. The sixth electrode plate 26 of the second electrode overlaps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and the fourth electrode plate 14 of the first electrode and is positioned in the second region AR2.

또한, 최외곽 단위체(81')는 제6 접합부 및 제7 접합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outermost unit 81' includes a sixth junction and a seventh junction.

제6 접합부 및 제7 접합부에 대해서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sixth bonding portion and the seventh bonding portion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and 19 , they are omitted here.

한편, 제3 최외곽 단위체(81')는 제5,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91, 92, 93)의 폴딩에 의하여, 제1 영역(AR1)에서 1개의 단위 셀을 형성하고, 제2 영역(AR2)에서 2개의 단위 셀들을 형성하며,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 사이에서 1개의 단위 셀을 더 형성한다.Meanwhile, the third outermost unit body 81' forms one unit cell in the first region AR1 by folding the fifth,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91, 92, and 93, and the second Two unit cells are formed in the area AR2, and one unit cell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area AR1 and the second area AR2.

즉, 제1 영역(AR1)에서는 제5 세퍼레이터(91), 제1 전극의 제1 극판(11), 제6 세퍼레이터(92), 제2 전극의 제5 극판(25), 제7 세퍼레이터(93)가 1개의 단위 셀들을 형성한다. 제2 영역(AR2)에서는 제1 전극의 제4 극판(14), 제7 세퍼레이터(93), 제2 전극의 제6 극판(26), 제6 세퍼레이터(92), 제1 전극의 제2 극판(12) 및 제5 세퍼레이터(91)가 2개의 단위 셀들을 형성한다. That is, in the first region AR1, the fifth separator 91,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the sixth separator 92, the fifth electrode plate 25 of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seventh separator 93 ) form one unit cell. In the second region AR2, the fourth electrode plate 14 of the first electrode, the seventh separator 93, the sixth electrode plate 26 of the second electrode, the sixth separator 92,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12) and the fifth separator 91 form two unit cells.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 사이에서는 제2 전극의 제5 극판(25), 제7 세퍼레이터(93) 및 제1 전극의 제4 극판(14)이 1개의 단위 셀을 형성한다. 전극 단위체(81')는 최외곽에 제2 전극에 포함되는 제1 극판(21)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전기 절연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Between the first region AR1 and the second region AR2, the fifth electrode plate 25 of the second electrode, the seventh separator 93, and the fourth electrode plate 14 of the first electrode form one unit cell. do. Since the first electrode plate 21 included in the second electrode is not dispos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electrode unit 81', electrical insul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본 실시예에서, 전극 단위체(81) 및 제3 최외곽 단위체(81')가 적층되어 전극 조립체(8')를 형성하므로 전극 조립체(8')의 제조 공정을 용이하게 하면서 또한 전지의 용량 증대를 용이하게 한다. 즉, 전극 단위체(81) 및 제3 최외곽 단위체(81')를 포함하는 구조의 전극 조립체(8')는 이차 전지의 생산 효율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극 조립체(8')는 최외곽 일측에 전극 단위체(81')를 구비하므로 최외곽에 제2 전극의 제1 극판(21)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전기 절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de unit 81 and the third outermost unit 81' are stacked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8', thereby facilitat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8' and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battery. facilitates That is, the electrode assembly 8'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the electrode unit 81 and the third outermost unit 81' can improve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qua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Since the electrode assembly 8' has the electrode unit 81' on one outermost side, electrical insul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ecause the first electrode plate 21 of the second electrode is not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도 30은 본 개시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전극 단위체 중 추가 단위체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1은 도 30에서 분리된 추가 단위체가 적층된 상태의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즉, 도 30은 도 13의 전극 조립체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3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dditional units among electrode units included in an electrode assembl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separated, and FIG. 31 is an electrode assembly in a state in which the additional units separated in FIG. 30 are stacked. is a cross-section of That is, FIG. 30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electrode assembly of FIG. 13 .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2')는 전극 단위체(1)와 제1 최외곽 단위체(61)가 적층된 외곽에 추가로 구비되는 추가 단위체(72)를 더 포함한다.30 and 31, the electrode assembly 2'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outside where the electrode unit 1 and the first outermost unit 61 are stacked. It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unit 72 to be.

본 실시예에서, 추가 단위체(72)는 도 17에 나타낸 제2 최외곽 단위체(71)에서 제4 세퍼레이터(42)를 제거한 상태로 형성된다. 추가 단위체(72)는 제2 전극(2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3 세퍼레이터(41)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additional unit body 72 is formed by removing the fourth separator 42 from the second outermost unit body 71 shown in FIG. 17 . The additional unit body 72 includes a third separator 41 disposed outside the second electrode 20'.

제2 전극(20')은 추가 단위체(72)의 제3 세퍼레이터(41)와 제1 최외곽 단위체(61)의 제1 세퍼레이터(31)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의 제3 극판(23)을 포함한다. 추가 단위체(72)가 전극 조립체(2')의 일측에서 제1 최외곽 단위체(61)의 외곽에 더 배치됨에 따라 제2 전극(20')을 구성하는 제2 전극의 제3 극판(23)이 최외곽에 배치된다. 이로써, 전극 조립체(2')의 안전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20' is a third electrode plate 23 of the second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third separator 41 of the additional unit 72 and the first separator 31 of the first outermost unit 61 includes As the additional unit 72 is further disposed outside the first outermost unit 61 at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2', the third electrode plate 23 of the second electrode constituting the second electrode 20' are placed on the outermost Thus, the safety of the electrode assembly 2' can be further improved.

제1 최외곽 단위체(61)는 제1 전극(10)과 세퍼레이터(30)를 동일 개수로 구비하고, 제1 전극(10) 보다 제2 전극(20')을 하나 적은 개수로 구비한다. 즉, 제1 최외곽 단위체(61)에서 제1 전극(10)과 세퍼레이터(30)는 각각 2개씩으로 구비되고, 제2 전극(20')은 하나로 구비된다.The first outermost unit 61 includes the same number of first electrodes 10 and separators 30 and includes a second electrode 20' smaller than the number of first electrodes 10 by one. That is, in the first outermost unit 61,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parator 30 are provided in two pieces, respectively, and the second electrode 20' is provided in one piece.

제1 최외곽 단위체(61)에서 세퍼레이터(30)는 2장으로 배치되어 서로 대향하여 폴딩되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구분되며, 폴딩된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세퍼레이터(31)와 내측에 배치되는 제2 세퍼레이터(32)를 포함한다.In the first outermost unit 61, the separators 30 are arranged in two sheets and are divided based on a folding line that faces each other and is folded, with the first separator 31 disposed on the outside and the second separator disposed on the inside. 2 separators 32 are included.

제1 전극(10)은 제1 세퍼레이터(31)와 제2 세퍼레이터(32) 사이에 적층되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전극의 제1 극판(11) 및 제1 전극의 제2 극판(12)을 포함한다. 제2 전극(20')은 폴딩된 제2 세퍼레이터(32) 사이에 적층되며 제1 전극의 제1 및 제2 극판(11, 12)과 중첩하게 배치되는 제2 전극의 제2 극판(22)을 포함한다. 따라서 추가 단위체(72)에서 제2 전극의 제3 극판(23)과 최외곽 단위체(61)에서 제1 전극의 제1 극판(11)은 제1 세퍼레이터(31)를 개재하여 1 개의 단위 셀을 형성한다.The first electrode 10 is stacked between the first separator 31 and the second separator 32 and includes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position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respectively. It includes a second electrode plate (12). The second electrode 20' is stacked between the folded second separators 32 and is a second electrode plate 22 of the second electrode disposed overlapp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11 and 12 of the first electrode. includes Therefore, the third electrode plate 23 of the second electrode in the additional unit 72 and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in the outermost unit 61 form one unit cell through the first separator 31. form

도 32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전극 단위체 중 추가 단위체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3은 도 32에서 분리된 추가 단위체가 적층된 상태의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즉, 도 33은 도 27의 전극 조립체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3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dditional units among electrode units included in an electrode assembl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and FIG. 33 is an electrode assembly in a state in which the additional units separated in FIG. 32 are stacked. is a cross-section of That is, FIG. 33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electrode assembly of FIG. 27 .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8")는, 전극 단위체(81)와 제3 최외곽 단위체(81')가 적층된 외곽에 추가로 구비되는 추가 단위체(72)를 더 포함한다.32 and 33, the electrode assembly 8″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14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to the outside where the electrode unit 81 and the third outermost unit 81′ are stacked. It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unit 72 provided as.

본 실시예에서, 전극 단위체(81)은 도 19에 나타낸 전극 단위체(81)가 복수 개 적층된 구조일 수 있고, 제3 최외곽 단위체(81')는 도 29에 나타낸 구조일 수 있으며, 추가 단위체(72)는 도 17에 나타낸 제2 최외곽 단위체(71)에서 제4 세퍼레이터(42)를 제거한 상태로 형성된다. 추가 단위체(72)는 제2 전극(8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3 세퍼레이터(41)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de unit 8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81 shown in FIG. 19 are stacked, and the third outermost unit 81' may have a structure shown in FIG. The unit body 72 is formed by removing the fourth separator 42 from the second outermost unit body 71 shown in FIG. 17 . The additional unit body 72 includes a third separator 41 disposed outside the second electrode 80'.

제2 전극(80')은 추가 단위체(72)의 제3 세퍼레이터(41)와 제3 최외곽 단위체(81')의 제5 세퍼레이터(91)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의 제3 극판(23)을 포함한다. 추가 단위체(72)가 전극 조립체(8")의 일측에서 외곽의 전극 단위체(81')의 외곽에 더 배치됨에 따라 제2 전극(80')의 제3 극판(23)이 최외곽에 배치된다. 이로써, 전극 조립체(8")의 안전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80' is a third electrode plate 23 of the second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third separator 41 of the additional unit 72 and the fifth separator 91 of the third outermost unit 81'. ). As the additional unit 72 is further disposed on the outer edge of the electrode unit 81'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8", the third electrode plate 23 of the second electrode 80'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Thereby, the safety of the electrode assembly 8" can be further improved.

제3 최외곽 단위체(81')는 제1 전극(50)과 세퍼레이터(90)를 동일한 개수로 구비하고, 제2 전극(80')을 하나 적은 개수로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전극 단위체(81')에서 제1 전극(50)과 세퍼레이터(90)는 각각 3개씩으로 구비되고, 제2 전극(80')은 2개로 구비된다.The third outermost unit 81' includes the same number of first electrodes 50 and separators 90, and includes a smaller number of second electrodes 80' by one. For example, in the electrode unit 81', three first electrodes 50 and separators 90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two second electrodes 80' are provided.

제3 최외곽 단위체(81')에서 세퍼레이터(90)는 3장으로 배치되어 서로 대향하여 폴딩되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구분되며, 제5 세퍼레이터(91), 제6 세퍼레이터(92) 및 제7 세퍼레이터(93)를 포함한다.In the third outermost unit 81', the separators 90 are arranged in three sheets and are divided based on folding lines that are folded facing each other, and the fifth separator 91, the sixth separator 92, and the seventh separator (93).

제5 세퍼레이터(91)는 폴딩 된 가장 외측에 배치되고, 제7 세퍼레이터(93)는 폴딩 된 가장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6 세퍼레이터(92)는 제5 및 제7 세퍼레이터(91, 93) 사이에 배치된다.The fifth separator 91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folded side, and the seventh separator 93 is disposed on the innermost folded side. In addition, the sixth separator 92 is disposed between the fifth and seventh separators 91 and 93 .

제1 전극(50)은 제5 세퍼레이터(91)와 제6 세퍼레이터(92) 사이에 적층되는 제1 전극의 제1 극판(11) 및 제1 전극의 제2 극판(12)과 폴딩된 제7 세퍼레이터(93) 사이에 적층되는 제1 전극의 제4 극판(14)을 포함한다.The first electrode 50 has a seventh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stacked between the fifth separator 91 and the sixth separator 92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first electrode folded. A fourth electrode plate 14 of the first electrode stacked between the separators 93 is included.

제2 전극(80')은 제2 전극의 제5 극판(25) 및 제6 극판(26)을 포함한다.The second electrode 80' includes a fifth electrode plate 25 and a sixth electrode plate 26 of the second electrode.

제2 전극의 제5 극판(25)은 제6 세퍼레이터(92)와 제7 세퍼레이터(93)의 사이에 적층되며 제1 전극의 제1 극판(11) 및 제4 극판(14)과 중첩되게 배치된다. 제2 전극의 제6 극판(26)은 제1 전극의 제2 극판(12) 및 제4 극판(14)과 중첩되게 배치된다.The fifth electrode plate 25 of the second electrode is stacked between the sixth separator 92 and the seventh separator 93 and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fourth electrode plate 14 of the first electrode. do. The sixth electrode plate 26 of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to overlap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and the fourth electrode plate 14 of the first electrode.

따라서 추가 단위체(72)에서 제2 전극의 제3 극판(23)과 전극 단위체(81')에서 제1 전극의 제1 극판(11)은 제5 세퍼레이터(91)를 개재하여 단위 셀을 형성한다.Therefore, the third electrode plate 23 of the second electrode in the additional unit 72 and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of the first electrode in the electrode unit 81' form a unit cell with the fifth separator 91 interposed therebetween. .

다음으로, 본 개시에 따른 이차 전지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Next,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manufactured by the following method.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은, 제1 세퍼레이터와 제2 세퍼레이터 사이에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을 서로 이격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대응되게 상기 제1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제2 전극의 제1극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의 제2극판과 대응되게 제2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제2 전극의 제2 극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가 접촉하는 제1 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호 접합하여 제1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호 접합하여 제2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격된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를 폴딩하여 전극 단위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disposing a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of a first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a first separator and a second separator,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providing a first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lectrode with the first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providing a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lectrode with a second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to correspon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forming a first bonding portion by mutually bo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to a first end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contact each other; Forming a second junction by bo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to each other, and folding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between the spaced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of the first electrode to form an electrode unit. Formation may be included.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은,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 단위체들을 일방향으로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by stacking the formed plurality of electrode unit units in one direction.

또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전극 단위체들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전극 단위체의 일 측에 제1 최외곽 단위체 및 제2 최외곽 단위체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anufacturing of the electrode assembly,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ermost unit and the second outermost unit is additionally stacked on one side of the outermost electrode unit among the plurality of stacked electrode units. steps may be included.

이때, 제1 최외곽 단위체는, 제1 세퍼레이터와 제2 세퍼레이터 사이에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을 서로 이격하여 배치하고, 상기 제1 전극의 제2 극판에 대응하는 제2 전극의 제2 극판을, 상기 제2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가 접촉하는 제1 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호 접합하여 제1 접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호 접합하여 제2 접합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이격된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를 폴딩하여 형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first outermost unit,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parator and the second separator, and the second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After disposing the second electrode plate with the second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mutually bonded to a first end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contact each other to form a first junction. forming a second junction by mutually bo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to a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and then forming a second junction, and th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may be formed by folding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in between.

다음, 상기 제2 최외곽 단위체는, 제3 및 제4 세퍼레이터 사이에 제1 전극의 제3 극판을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Next, the second outermost unit may be formed by disposing a thir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separators.

상기 제3 최외곽 단위체는, 제5 및 제6 세퍼레이터 사이에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을 서로 이격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과 대응되게 상기 제6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제2 전극의 제5 극판과 제6 극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전극의 제5 극판과 제6 극판을 덮는 제7 세퍼레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전극의 제6 극판에 대응되게 상기 제7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제1 전극의 제4 극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가 접촉하는 제3 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호 접합하여 제3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4 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호 접합하여 제4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격된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에서 상기 제5,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를 폴딩하여 형성할 수 있다. In the third outermost unit, dispos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fifth and sixth separator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providing a fifth electrode plate and a sixth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lectrode with the sixth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providing a seventh separator covering the fifth electrode plate and the sixth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lectrode; providing a fourth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with the seventh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to correspond to the sixth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t a third end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forming a third junction by bonding at least a portion thereof to each other; forming a fourth junction by mutually bo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to a fourth end facing the first end; and It may be formed by folding the fifth,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spaced apart first electrode.

이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개시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bov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and includes all changes within the range recognized as equivalent.

1, 1' 81: 전극 단위체
2, 2', 2", 6, 7, 8, 8', 8", 94, 95: 전극 조립체
3: 케이스
51: 제2 전극 탭
52: 제1 전극 탭
10, 50: 제1 전극
20, 20', 80, 80': 제2 전극
30, 40, 90: 세퍼레이터
31E: 피복재
61: 제1 최외곽 단위체
71: 제2 최외곽 단위체
81': 제3 최외곽 단위체
72: 추가 단위체
AR1: 제1영역
AR2: 제2영역
T1, T2: 마감 테이프
AD1: 제1 접합부
AD2: 제2 접합부
AD3: 제3 접합부
AD4: 제4 접합부
AD5: 제5 접합부
AD6: 제6 접합부
AD7: 제7 접합부
1, 1' 81: electrode unit
2, 2', 2", 6, 7, 8, 8', 8", 94, 95: electrode assembly
3: case
51: second electrode tab
52: first electrode tab
10, 50: first electrode
20, 20', 80, 80': second electrode
30, 40, 90: separator
31E: covering material
61: first outermost unit
71: second outermost unit
81 ': third outermost unit
72 additional monomer
AR1: first area
AR2: Second area
T1, T2: finishing tape
AD1: first junction
AD2: second junction
AD3: third junction
AD4: fourth junction
AD5: fifth junction
AD6: sixth junction
AD7: seventh junction

Claims (28)

제1 세퍼레이터의 일 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상에 배치되는 제2 세퍼레이터;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2 전극의 제1 극판;
상기 제1 전극의 제2 극판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2 전극의 제2 극판;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가 접촉하는 제1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제2 접합부
를 포함하는 전극 단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단위체는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가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폴딩되며, 폴딩 상태에서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이 상기 제2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전극의 제2 극판과 배치되는 이차 전지.
a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eparator;
a second separato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a first electrode plate of a second electrode disposed with the first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to correspon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plate of a second electrod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with the second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 first bonding portion positioned at a first end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contact each oth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bonded to each other; and
A second bonding portion located at a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and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mutually bonded.
Including an electrode unit comprising a,
In the electrode unit body,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folded based on a folding line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of the first electrode, and in a folded state, the first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2 A secondary battery disposed with a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lectrode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는, 각각, 삼각형, 사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갖는 접합 영역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junction part and the second junction part each include a junction region having a shape of at least one of a triangle, a rectangle, a circle, an ellipse, a polygon, and a combina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상기 폴딩 라인과 평행한 방향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positio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olding li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단위체는,
상기 제1 단부와 교차하는 방향과 평행한 제3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제3 접합부, 그리고
상기 제3 단부와 마주보는 제4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제4 접합부
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3,
The electrode unit,
A third joint portion located at a third end parallel to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end portion and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mutually bonded; and
A fourth bonding portion located at a fourth end facing the third end and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mutually bonded.
A secondary battery furth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합부 및 제4 접합부는, 각각, 삼각형, 사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인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ary battery of claim 1 , wherein each of the third junction part and the fourth junction part has a shape of at least one of a triangle, a square, a circle, an ellipse, a polygon, and a combination thereof.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단위체는,
상기 폴딩 라인을 따라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제5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4,
The electrode unit,
The secondary battery further includes a fifth joint portion disposed along the folding line and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mutually bond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접합부는 삼각형, 사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인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6,
The fifth joint has a shape of at least one of a triangle, a rectangle, a circle, an ellipse, a polygon, and a combina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단위체는 하기 식 1로 표현되는 이차 전지.
[식 1]

(식 1에서, d1은 폴딩 전 상태에서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의 거리, t1은 제2 전극의 두께, t2는 제1 전극의 두께임)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electrode unit is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Equation 1]

(In Equation 1, d1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in the pre-folding state, t1 i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t2 is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단위체는 하기 식 2로 표현되는 이차 전지.
[식 2]

(식 2에서, d2는 폴딩 전 상태에서 세퍼레이터의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의 단변 폭, t2는 제1 전극의 두께임)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electrode unit is represented by Formula 2 below.
[Equation 2]

(In Equation 2, d2 is the width of the short side of the first end or the second end of the separator in a state before folding, and t2 is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상기 폴딩 라인과 교차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ary battery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positioned parallel to a direction crossing the folding lin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단위체는 하기 식 1로 표현되는 이차 전지.
[식 1]

(식 1에서, d1은 폴딩 전 상태에서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의 거리, t1은 제2 전극의 두께, t2는 제1 전극의 두께임)
According to claim 10,
The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electrode unit is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Equation 1]

(In Equation 1, d1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in the pre-folding state, t1 i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t2 is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단위체는 하기 식 3으로 표현되는 이차 전지.
[식 3]

(식 3에서, d3는 전극 단위체의 폴딩 전 상태에서,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의 단변 폭이고, t2는 제1 전극의 두께)
According to claim 10,
The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electrode unit is represented by Formula 3 below.
[Equation 3]

(In Equation 3, d3 is the short side width of the first end or the second end in a state before folding of the electrode unit body, and t2 is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제1 단부의 양 끝단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가 상호 접합된 접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제2 단부의 양 끝단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가 상호 접합된 접합영역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0,
The first bonding portion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first end and includes a bonding area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mutually bonded,
The second junction part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end and includes a junction reg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mutually bond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단위체는,
상기 폴딩 라인을 따라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제5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0,
The electrode unit,
The secondary battery further includes a fifth joint portion disposed along the folding line and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mutually bon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단위체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전극 단위체가 일 방향으로 적층된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de unit is provided in plurality,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are stacked in one direc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 단위체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전극 단위체의 일 측에 위치하는 제1 최외곽 단위체, 제2 최외곽 단위체 및 제3 최외곽 단위체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된 서브 완성 셀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5,
A secondary cell including a sub-completed cell in which at least one of a first outermost unit, a second outermost unit, and a third outermost unit located on one side of an outermost electrode unit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is further disposed battery.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최외곽 단위체는,
제1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상에 배치되는 제2 세퍼레이터;
상기 제1 전극의 제2 극판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2 전극의 제2 극판;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가 접촉하는 제1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제1 접합부; 그리고
상기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제2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는,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폴딩된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6,
The first outermost unit,
a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eparator;
a second separato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plate of a second electrod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with the second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 first bonding portion positioned at a first end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contact each oth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bonded to each other; and
It is located at a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and includes a second junct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mutually joined,
The secondary battery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folded based on a folding lin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최외곽 단위체는,
제1 전극의 제3 극판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3 및 제4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6,
The second outermost unit,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ird and fourth separators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a third electrode plate of a first electrod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완성 셀은,
상기 서브 완성 셀의 전체 외곽을 피복하는 피복재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6,
The sub complete cell,
The secondary battery further comprising a covering material covering the entire outer periphery of the sub-complete cell.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최외곽 단위체, 제2 최외곽 단위체 및 제3 최외곽 단위체 중 적어도 하나의 최외곽에 추가로 구비되는 추가 단위체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6,
The secondary battery 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unit further provided on an outermost edg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ermost unit, the second outermost unit, and the third outermos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음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양극인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ary battery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electrode is a nega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a positive electrod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의 수평 단면적은 상기 양극의 수평 단면적 보다 큰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21,
The secondary battery of claim 1 , wherein a horizontal sectional area of the negative electrode is larger than that of the positive electrode.
제5 세퍼레이터의 일 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상에 배치되는 제6 세퍼레이터;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에 대응하여 상기 제6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2 전극의 제5 극판과 제6 극판;
상기 제2 전극의 제5 극판과 제6 극판 상에 배치되는 제7 세퍼레이터;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에 대응하여 상기 제5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2 전극의 제1 극판;
상기 제2 전극의 제6 극판에 대응하여 상기 제7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 전극의 제4 극판;
상기 제5,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가 접촉하는 제1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5 및 제6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되고,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제6 접합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5 및 제6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되고,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접합된 제7 접합부
를 포함하는 전극 단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단위체는 상기 제5, 제6 및 제7 세퍼레이터가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폴딩되며, 폴딩 상태에서 상기 제2 전극의 제5 극판이 상기 제7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의 제4 극판과 배치되는 이차 전지.
a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urface of the fifth separator;
a sixth separator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of the first electrode;
a fifth electrode plate and a sixth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lectrod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with the sixth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 seventh separator disposed on the fifth and sixth electrode plates of the second electrode;
a first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lectrod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with the fifth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 fourth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disposed with the seventh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to correspond to the sixth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lectrode;
A sixth separator positioned at a first end where the fifth,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contact each oth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fth and sixth separators bonded to each oth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bonded to each other. copula; and
A seventh bonding portion located at a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fth and sixth separators are mutually bond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are mutually bonded.
Including an electrode unit comprising a,
In the electrode unit body, the fifth, sixth, and seventh separators are folded based on a folding lin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fth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lectrode in a folded state. A secondary battery disposed with a fourth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with the seventh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제1 세퍼레이터와 제2 세퍼레이터 사이에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을 서로 이격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대응되게 상기 제1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제2 전극의 제1 극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의 제2 극판과 대응되게 제2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제2 전극의 제2 극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가 접촉하는 제1 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호 접합하여 제1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호 접합하여 제2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격된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를 폴딩해 상기 제1 전극의 제1 극판이 상기 제2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전극의 제2 극판과 배치되도록 하여 전극 단위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dispos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separator and the second separator;
providing a first electrode plate of a second electrode with the first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to correspon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providing a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lectrode with a second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to correspon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forming a first bonding portion by bo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to each other at a first end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contact each other;
forming a second bonding portion by mutually bo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to a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and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folded based on a folding line loc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spaced apart first electrode so that the first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sandwiches the second separator. Forming an electrode unit to be disposed with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lectrod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 단위체들을 일방향으로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24,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further comprising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by stacking the formed plurality of electrode unit units in one direction.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전극 단위체들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전극 단위체의 일 측에 제1 최외곽 단위체, 제2 최외곽 단위체 및 제3 최외곽 단위체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25,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assembly,
Secondary comprising the step of additionally stack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ermost unit, the second outermost unit, and the third outermost unit on one side of the outermost electrode unit among the plurality of stacked electrode unit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최외곽 단위체는,
제1 세퍼레이터와 제2 세퍼레이터 사이에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을 서로 이격하여 배치하고,
상기 제1 전극의 제2 극판에 대응하는 제2 전극의 제2 극판을, 상기 제2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가 접촉하는 제1 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호 접합하여 제1 접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호 접합하여 제2 접합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이격된 제1 전극의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를 폴딩하여 형성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The first outermost unit,
A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ar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separator and the second separator,
After disposing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lectrode with the second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Forming a first junction by mutually bo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to a first end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contact each oth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mutually bonded to a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to form a second join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are folded and formed based on a folding line loc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spaced apart first electrod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최외곽 단위체는,
제3 및 제4 세퍼레이터 사이에 제1 전극의 제3 극판을 배치하여 형성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The second outermost uni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disposing and forming a third electrode plate of a first electrode between third and fourth separators.
KR1020170145493A 2017-11-02 2017-11-02 Rechargeable battery KR1025585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493A KR102558553B1 (en) 2017-11-02 2017-11-02 Rechargeable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493A KR102558553B1 (en) 2017-11-02 2017-11-02 Rechargeable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194A KR20190050194A (en) 2019-05-10
KR102558553B1 true KR102558553B1 (en) 2023-07-20

Family

ID=6658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493A KR102558553B1 (en) 2017-11-02 2017-11-02 Rechargeable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553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89894A1 (en) * 2011-01-26 2012-07-26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720387B1 (en) * 2014-08-04 2017-03-27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de assembly, cell of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2080254B1 (en) 2016-03-29 2020-0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de assembly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194A (en)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0742B2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condary battery
US10727527B2 (en) Electrode assembly
KR101348366B1 (en) Battery Cell of Asymmetric Structur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US8637182B2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plurality of aligned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tabs
JP678810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unit for battery cell and electrode unit
JP201909168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laminated secondary battery
JP6490190B2 (en) Laminated / folded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741469B2 (en) Electrode assembly with multiple separators wound about a winding center
US20180233771A1 (en) Power storage device
KR20150036926A (en) Method of fixing electrode assembly using tape
EP3972011A1 (en) Secondary battery
JP2023511179A (e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disconnection prevention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20321930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US11545725B2 (en) Electrode assembly
JP6275149B2 (en) Electrode assembly for polymer secondary battery cell
KR102504795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555500B1 (en) Electrode assembly
KR102558553B1 (en) Rechargeable battery
JP2012256605A (en) Laminated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KR20180122074A (en) Flexible electrode assembly having strengthening structure using expanded metal on outermost electrode and inner electrode
KR20180122073A (en) Flexible electrode assembly having strengthening structure using expanded metal on outermost electrode
JP2023523618A (en) Battery cell including electrode tab with stress relief
JP2024514920A (en) Electrode tab protection tap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JP2020140891A (en) Laminated battery
KR20170086349A (en) Battery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