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563B1 - Vibr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Vibr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563B1
KR102557563B1 KR1020210078085A KR20210078085A KR102557563B1 KR 102557563 B1 KR102557563 B1 KR 102557563B1 KR 1020210078085 A KR1020210078085 A KR 1020210078085A KR 20210078085 A KR20210078085 A KR 20210078085A KR 102557563 B1 KR102557563 B1 KR 102557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ng
case
vibrating member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0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68397A (en
Inventor
이청근
Original Assignee
이청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청근 filed Critical 이청근
Priority to KR1020210078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563B1/en
Publication of KR20220168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3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5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긴 공간 구조의 내부 수용부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부에 배치되는 진동부재; 및 상기 진동부재를 상하로 진동케 하기 위한 진동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뒷굽이 있는 구두 등의 신발에 내장되어 보행 시 보행자의 움직임 변화에 따라 상하 진폭 운동을 하는 진동부재를 통해 보행자의 발바닥으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진동 구조 개선형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having an inner receiving portion of a vertically long space structure; a vibrating member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case; and a vibrating means for vibrating the vibrating member up and down, so that vibr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ole of the foot of a pedestrian through a vibrating member that is built into a shoe such as a shoe with a heel and makes an up and down amplitude movemen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during walking.

Description

진동 구조 개선형 진동장치{VIBRATION APPARATUS}Vibration structure improvement type vibration device {VIB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신발 중, 특히 뒷굽이 있는 구두에서 뒷굽 내에 내장되도록 한 상태에서 보행 시 내부 진동부재가 상하로 나선 운동을 함으로써 균일한 진동을 외부로, 특히 발바닥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유동자석과 이에 척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자석을 이용해 진동플레이트가 상하로 진동 운동을 함으로써 균일한 진동을 발바닥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진동 구조 개선형 진동장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ng structure-improving vibrating device in which uniform vibr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particularly to the sole of the foot, by an internal vibrating member spiraling up and down during walking in a shoe, particularly in a shoe with a heel, in a state where it is embedded in the heel, or a vibrating plate vibrates up and down using a floating magnet and a fixed magnet that generates a repulsive force to deliver uniform vibration to the sole of the foot.

운동화, 구두 등의 신발은 사람이 땅을 딛고 서거나 보행할 때에 발에 신는 물건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많은 시간을 신발을 착용한 채 생활한다. 따라서 이렇듯 많은 시간 착용하게 되는 신발에 대해 그 동안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특히 착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능성을 개발하고자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Shoes, such as sneakers and shoes, are objects that people wear on their feet when they stand or walk on the ground, and most people spend a lot of time wearing them. Therefore, a lot of research has been done to give functionality to shoes that are worn for a lot of time, and in particular, a lot of effort has been made to develop functionality that can improve the wearer's health.

일예로 종래에는 보행 시 충격을 완화시키고자 신발 밑창 내에 탄성부재 또는 에어쿠션과 같은 충격흡수 구조를 도입시키고자 하는 시도, 보행 시 발바닥 전체를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신발의 밑창을 둥글게 형성시키고자 했던 시도, 그리고 밑창 내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를 도입시키고자 하는 시도 등이 있어 왔다.For example, in the past, there have been attempts to introduce a shock absorbing structure such as an elastic member or an air cushion into the sole of a shoe to mitigate shock during walking, an attempt to round the sole of a shoe to utilize the entire sole during walking, and an attempt to introduce a structure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in the sole.

이때 보행 시 자석을 이용해 진동을 발생시켜 착용자의 발바닥을 자극하여 피로감이나 지루함을 덜어주며 건강 증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진동장치에 관한 기술로는,At this time, as a technology related to a vibration device that can generate vibration using a magnet during walking to stimulate the soles of the wearer's feet to relieve fatigue or boredom and help improve health,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73499호 (2011.10.07.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73499 (registered on October 7, 20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Magnetic Vibration Device Using Pressure』 is proposed,

문헌 1은 외압에 의해 그 형상이 변화되고 그 형상의 변화 시 복원력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변화되는 형상에 연동되어 자석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석 진동장치로서,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형상변화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결합된 제1레버와 제2레버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어느 하나의 레버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어서 같이 슬라이딩 작동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제1자석과,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상기 진동판이 결합되지 않은 레버에 결합되어서 상기 진동판의 슬라이딩 작동 시 상기 제1자석의 일면과 척력이 발생되는 제2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의 형상변화의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설치됨으로써, 자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등 혈류를 개선시켜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용으로 사용됨은 물론이고 진동을 이용한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1 is a magnetic vibration device comprising a case whose shape is changed by external pressure and has a restoring force when the shape is changed, and a vibration means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interlocked with the changed shape of the case to generate vibration by a magnet. A diaphragm that slides together, a first magne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iaphragm, and a second magnet coupled to a lever to which the diaphragm is not coupled among the first and second levers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with one side of the first magnet during sliding operation of the diaphragm. A stopper for limiting the range of shape change of the case is further installed, so that magnetic force can be more effectively transmitted, thereby improving blood flow such as promoting blood circulation.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magnetic vibration device using pressure that can be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using vibration as well as used.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78880호 (2019.05.09.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이 제시되어 있는바,As another technolog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78880 (Registration on May 9, 2019,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2') 『A vibrator using magnetic force and a shoe containing the same』 is proposed,

문헌 2는 자력에 의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에 있어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제1고정자석과, 상기 케이스의 하측 중 상기 제1고정자석과 마주보는 영역에 형성된 제2고정자석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진동 가능한 제1진동판 및 제2진동판과, 상기 제1진동판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자석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1유동자석과, 상기 제2진동판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자석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2유동자석과, 상기 케이스의 외주(外周)를 따라 결합되는 진동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유동자석과 제2유동자석 사이에 척력이 발생되고, 상기 제1진동판은 상기 진동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며 임의의 곡률반경을 가진 채 상기 케이스 상부를 향해 휘어진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2진동판은 상기 진동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며 임의의 곡률반경을 가진 채 상기 케이스 하부를 향해 휘어진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1진동판 및 제2진동판은 임의의 일점으로부터 연장됨으로써, 고정자석들과 유동자석들 간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진동자로 하여금 진동을 발생시키게 하고 이러한 진동자를 신발 내에 삽입하여 보행 시 착용자로 하여금 발바닥에 진동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2 relates to a vibrator generating vibration by magnetic force, including a case, a first stationary magnet formed in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upper side of the case, a second stationary magnet formed in a region facing the first stationary magnet in the lower side of the case, a first diaphragm and a second diaphragm capable of vibrating in an internal space of the case, a first movable magnet formed on one end of the first diaphragm and generating a repulsive force with the first stationary magnet, the second A second movable magnet formed at one end of the diaphragm and generating a repulsive force with the second fixed magnet, and a vibration frame coupled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ase, wherein a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movable magnet and the second movable magnet, the first diaphragm extends from the oscillation frame and has an arbitrary radius of curvature and is bent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the second diaphragm extends from the oscillation frame and has an arbitrary curva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or using magnetic force that is provided while having a radius and bent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case, and the first and second diaphragms extend from an arbitrary point, so that the vibrator generates vibration by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stationary magnets and floating magnets, and inserts the vibrator into the shoe so that the wearer can feel the vibration on the sole of the foot while walking, and a shoe including the same.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73499호 (2011.10.07.등록)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73499 (registered on October 7, 2011) 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78880호 (2019.05.09.등록)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78880 (Registration on May 9, 2019)

본 발명은 뒷굽이 있는 구두 등의 신발에 내장되어 보행 시 보행자의 움직임 변화에 따라 상하 진폭 운동을 하는 진동부재를 통해 보행자의 발바닥으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진동 구조 개선형 진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bration structure-improving vibration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sole of the foot of a pedestrian through a vibration member that is built into a shoe such as a shoe with a heel and performs an up and down amplitude movemen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motion of the pedestrian during walking.

나아가 본 발명은 자중에 의해 상하 나선 운동을 하는 진동부재 구조와 자력에 의해 상하 진폭 운동을 하는 진동부재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사용 출처에 맞게 선택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진동 구조 개선형 진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bration structure-improving vibration device that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various sources of use by implementing a vibration member structure that performs vertical and downward spiral motion by its own weight and a vibration member structure that performs vertical amplitude motion by magnetic force.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 구조 개선형 진동장치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vibration structure-improving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하로 긴 공간 구조의 내부 수용부를 갖는 케이스;A case having an inner receiving portion of a vertically long space structure;

상기 케이스의 수용부에 배치되는 진동부재; 및a vibrating member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case; and

상기 진동부재를 상하로 진동케 하기 위한 진동수단;a vibrating means for vibrating the vibrating member up and down;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본 발명에 따른 진동 구조 개선형 진동장치는,The vibration structure-improving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균일한 진동과 이러한 진동을 증폭시켜 외부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It has the greatest effect of uniform vibration and amplifying these vibrations so that the vibr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진동으로 인해 보행자가 흥미를 느껴 보다 즐거운 보행이 가능하고, 진동 시 자기장이 발생되는 등 자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바닥에 전달되므로 발바닥의 혈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등 혈류의 개선시켜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Pedestrians feel interest due to vibration, enabling more enjoyable walking, and magnetic force, such as generating a magnetic field during vibration, is mor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sole of the foot, thereby stimulating the blood in the sole of the foot to promote blood circulation, thereby improving blood flow and helping to promote healt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구조 개선형 진동장치에서 제1 구현예의 진동부재 및 진동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일부 평단면 구성도,
도 3은 제1 구현예의 진동부재 및 진동수단에 대한 작동 상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구조 개선형 진동장치에서 제2 구현예의 진동부재 및 진동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일부 평단면 구성도,
도 7은 제2 구현예의 진동부재 및 진동수단에 대한 작동 상태 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진동장치가 구부의 뒷굽에 내장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1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 vibration member and a vibration means of a first embodiment in a vibration structure-improving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planar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vibrating member and vibrating means of the first embodiment;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 vibration member and a vibration means of a second embodiment in the vibration structure-improving vib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partial planar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iews of FIG.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vibrating member and the vibrating means of the second embodiment;
Figure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ib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into the heel of the spher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y can be defined.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도 1을 기준으로 서포트의 탑지지체 측을 상부 또는 상방, 서포트의 바텀지지체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top support side of the support is referred to as the upper or upper direction, and the bottom support side of the support is referred to as the lower or lower direction.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구조 개선형 진동장치(A)는,As shown in FIGS. 1 to 8, the vibration structure-improving vibration devic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크게 케이스(10), 진동부재(20A, 20B) 및 진동수단(30A, 30B)으로 이루어진다.Largely composed of a case 10, vibrating members (20A, 20B) and vibrating means (30A, 30B).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Looking at each component:

상기 케이스(10)는The case 10 i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 and 2,

상하로 긴 공간 구조의 내부 수용부(11)Internal accommodating part 11 with a vertically long space structure

를 포함하는 속이 빈 원통 구조로 이루어진다.It consists of a hollow cylindrical structure containing.

본 발명의 진동장치(A)는 신발 중, 특히 뒷굽이 있는 하이힐(high heel) 등의 구두에서 뒷굽에 내장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뒷굽 내부에는 속이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에 상기 케이스(10)가 내장되게 배치된다. 결국 뒷굽 내의 공간은 상기 케이스(10)의 형상과 대응되게 원형의 공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ibrating device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into the heel of shoes, especially high heels with heels. As a result,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 within the heel has a circular spac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ase 10 .

상기 진동부재는The vibrating member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에 배치되어 상하로 진동하기 위한 것으로,It is arrang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 of the case 10 to vibrate up and down,

크게 제1 및 제2 구현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구현예의 진동부재에 대한 도면부호를 '20A', 제2 구현예의 진동부재에 대한 도면부호를 '20B'로 지정하여 구분하기로 한다.It can be largely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the reference numeral for the vibrat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is designated as '20A' and the reference numeral for the vibrating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designated as '20B'.

우선,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진동부재(20A)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 내경과 상응한 외경을 갖거나 이보다 미세하게 작은 외경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용부(11) 내에서 좀 더 용이하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구현예의 진동부재(20A)는 자성을 띈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1 to 3, the vibrating member 20A of the first embodiment has a cylindrical structure, and more preferably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of the case 10 or has an outer diameter slightly smaller than this, so that it can move up and down more easily within the accommodating part 11. In addition, the vibrating member 20A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having magnetism.

한편,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2 구현예의 진동부재(20B)는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 내주연에 연결되는 진동플레이트(21)와, 상기 진동플레이트(21) 단부에 구비되는 유동마그네트(22)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다수개가 구비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4 to 6, the vibrating member 20B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vibrating plate 21 connect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of the case 10, and a moving magnet 22 provided at an end of the vibrating plate 21,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m arranged vertically in the accommodating part 11 of the case 10 at regular intervals.

이때 상기 각 진동부재(20B)의 진동플레이트(21)에는 후술할 포스트(381)가 지나가는 형태로 삽입되도록 상하로 관통되면서 좌우로 긴 장공(23)이 형성되는데, 특히 상기 장공(23)은 상기 진동플레이트(21)의 상하 최대 진폭 시 이를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공간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long holes 23 are formed in the vibration plate 21 of each vibration member 20B while penetrating vertically and left and right so that posts 38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inserted in a passing manner.

아울러 상기 제2 구현예의 각 진동부재(20B)에서 상하 인접한 진동부재(20B)끼리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도 5에서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서로 마주보게 상하 배치되거나 도 6에서와 같이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진동부재(20B)의 상하 진폭 운동에 따른 진동이 골고루 상기 케이스(10)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n each vibrating member (20B) of the second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vibrating members (20B) adjacent to each other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different directions. In particular, when viewed from the side as in FIG. This is to ensure that the vibra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amplitude movement of the vibrating member 20B is evenly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

상기 진동수단은The vibrating means is

상기 진동부재(20A, 20B)를 상하로 진동케 하기 위한 것으로,For vibrating the vibrating members (20A, 20B) up and down,

크게 제1 및 제2 구현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구현예의 진동수단에 대한 도면부호를 '30A', 제2 구현예의 진동수단에 대한 도면부호를 '30B'로 지정하여 구분하기로 한다.It can be largely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the reference numeral for the vibrating means of the first embodiment is '30A', and the reference numeral for the vibrating means of the second embodiment is designated as '30B' to distinguish them.

우선,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진동수단(30A)은 상기 진동부재 중 제1 구현예의 진동부재(20A)가 구비되었을 때에 제1 구현예의 진동부재(20A)를 상하로 진동케 하기 위한 것으로,First, as shown in FIGS. 1 to 3, the vibrating means (30A) of the first embodiment is to vibrate the vibrating member (20A) of the first embodiment up and down when the vibrating member (20A of the first embodiment) is provided among the vibrating members,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 상부 측 내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둘 이상의 가이드돌기(32),Two or more guide protrusions 32 protruding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11 of the case 10,

상기 진동부재(20A)의 외주연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32)에 삽입되는 나선(螺線)형 가이드홈(31),A spiral guide groove 3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ibrating member 20A and inserted into the guide protrusion 32;

상기 진동부재(20A)의 하부면 중앙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샤프트(33),A shaft 33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vibrating member 20A and erected vertically;

상기 샤프트(33)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는 태엽스프링(34),A main spring 34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end of the shaft 33,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 하부 측 내주연에 배치되어 상기 태엽스프링(34)의 타단을 지지하는 서포트(35),A support 35 dispos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of the case 10 to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mainspring 34;

상기 샤프트(33)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태엽스프링(34)을 지지하는 플랜지(36), 그리고A flange 36 provided at an end of the shaft 33 to support the mainspring 34, and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 바닥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기 플랜지(36)에 상단이 지지되도록 상기 샤프트(33)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37)An elastic spring 37 inserted into the shaft 33 so that the lower end is supported on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of the case 10 and the upper end is supported on the flange 36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ade including

여기서 상기 샤프트(33)는 상기 진동부재(20A)의 하부면 중앙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태엽스프링(34)은 단면이 일정한 얇은 박판을 연속으로 감아서 나선 형태로 만든 일명 스파이럴스프링(spiral spring)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shaft 33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vibrating member 20A, and the main spring 34 is a so-called spiral spring made by continuously winding a thin sheet having a constant cross section into a spiral shape.

특히 상기 태엽스프링(34)의 타단에는 상하 관통형의 원형홀(341)이 형성되는데, 이 원형홀(341)은 상기 태엽스프링(34)의 타단을 원형으로 밴딩시킴에 따라 내부에 형성되는 홀 구조로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a vertical through-type circular hole 341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spring 34, and this circular hole 341 has a hole structure formed inside by bending the other end of the mainspring 34 in a circular shape.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서포트(35)는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 내주연 하부 측에 상하 이격되게 구비되는 탑 및 바텀 지지체(351, 352)와, 상기 탑 및 바텀 지지체(351, 352)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원형홀(341)이 끼워지게 되는 수직형 로드(35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탑 및 바텀 지지체(351, 352) 간의 간격은 상기 진동부재(20A)의 상하 진동 폭과 상응한 것이 바람직하다.And, as shown in FIG. 1, the support 35 is composed of top and bottom supports 351 and 352 provided vertical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of the case 10, and a vertical rod 353 interconnecting the top and bottom supports 351 and 352 and into which the circular hole 341 is insert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supports 351 and 352 corresponds to the vertical vibration width of the vibrating member 20A.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 바닥에는 상기 탄성스프링(37)의 하단이 삽입되는 리세스(1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탄성스프링(37)의 압축 및 신장 시 안정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지지 역할을 수행한다.And, as shown in FIG. 1, a recess 12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spring 37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art 11 of the case 10, so that the elastic spring 37 is compressed and extended.

따라서 구두의 뒷굽에 본 발명의 진동장치(A)가 내장된 상태에서 보행 시 발생하는 움직임에 의해 상기 진동부재(20A)가 하강할 때에 상기 진동부재(20A)는 상기 가이드홈(31)이 상기 가이드돌기(32)를 따라 나선 운동을 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하강하는 상기 진동부재(20A)에 의해 상기 태엽스프링(34)이 감기게 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37)이 압축되었다가 복원됨에 따라 상기 태엽스프링(34)도 함께 복원됨으로써 상기 진동부재(20A)가 상승하게 된다. 결국 상기 진동부재(20A)는 보행 시 발생하는 보행자의 움직임 변화에 따라 상하로 진폭 운동을 하며, 이때에 상기 케이스(10) 외부로 일정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vibrating member 20A descends due to movement occurring during walking while the vibrating device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the heel of the shoe, the vibrating member 20A descends while the guide groove 31 spirals along the guide protrusion 32, and the elastic spring 37 is compressed and then restored as the mainspring 34 is wound by the descending vibrating member 20A. As the main spring 34 is also restored, the vibrating member 20A rises. As a result, the vibrating member 20A makes an amplitude movement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during walking, an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certain vibration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

한편,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제2 구현예의 진동수단(30B)은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4 to 7, the vibration means (30B) of the second embodiment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 중앙 영역에 세워지는 포스트(381),A post 381 erect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of the case 10,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 상부 측 천장면에 구비되어 최상단의 진동부재(20B)의 유동마그네트(22)에 척력을 발생시키는 탑마그네트(382),A top magnet 382 provid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11 of the case 10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on the moving magnet 22 of the top vibrating member 20B,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 하부 측 바닥면에 구비되어 최하단의 진동부재(20B)의 유동마그네트(22)에 척력을 발생시키는 바텀마그네트(383), 그리고A bottom magnet 383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11 of the case 10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in the moving magnet 22 of the vibration member 20B at the bottom, and

상기 포스트(381)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각 진동부재(20B)의 유동마그네트(22) 사이사이 영역에 배치되어 인접한 유동마그네트(22)에 척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미들마그네트(384)A plurality of middle magnets 384 that are fixedly coupled to the post 381 and disposed in the area between the floating magnets 22 of each of the vibrating members 20B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on the adjacent floating magnets 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ade including

이때 제2 구현예의 진동플레이트(21)는 탄성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높은 탄성을 위해 얇고 긴 수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비람직하며, 또한 재질은 구리나 아연 또는 이들의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vibrating plate 21 of the second embodiment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preferably formed in a thin and long horizontal shape for high elasticity, and preferably made of copper, zinc or an alloy thereof.

그리고 상기 유동마그네트(22)는 움직임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기 진동플레이트(21)의 진동과 함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는 자석이고, 상기 탑, 바텀, 미들 마그네트(382, 383, 384)는 상기 유동마그네트(22)와 척력 관계에 놓일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할 것이나 N극과 S극을 갖는 영구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loating magnet 22 is a magnet whose movement is not fixed and can move along with the vibration of the vibrating plate 21, and the top, bottom, and middle magnets 382, 383, and 384 are not limited in type as long as they can be placed in a repulsive relationship with the floating magnet 22, but they are preferably permanent magnets having an N pole and an S pole.

그리고 상기 탑 및 바텀 마그네트(382, 383)는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 해당 영역에 접착제 등의 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방식, 또는 임의의 홈을 파고 그 내부에 억지 삽입 장착되는 방식 등으로 고정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p and bottom magnets 382 and 383 may be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receiving part 11 of the case 10 by means such as an adhesive, or by digging an arbitrary groove and forcibly inserting and mounting therein. It can be fixed and arranged.

따라서 도 8에서와 같이, 구두의 뒷굽에 본 발명의 진동장치(A)가 내장된 상태에서 보행자의 보행 시 움직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진동플레이트(21)가 상기 탑, 바텀, 미들 마그네트(382, 383, 384)의 척력에 의해 상하로 진폭 운동을 하며, 이때에 상기 케이스(10) 외부로 일정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8, in the state where the vibration device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into the heel of the shoe, the vibration plate 21 moves in amplitude up and down due to the repulsive force of the top, bottom, and middle magnets 382, 383, and 384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while walking, and at this time, certain vibr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진동 구조 개선형 진동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structure-improving vibrator"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케이스
11 : 수용부
12 : 리세스
20A, 20B : 진동부재
21 : 진동플레이트
22 : 유동마그네트
23 : 장공
30A, 30B : 진동수단
31 : 가이드홈
32 : 가이드돌기
33 : 샤프트
34 : 태엽스프링
341 : 원형홀
35 : 서포트
351 : 탑지지체
352 : 바텀지지체
353 : 로드
36 : 플랜지
37 : 탄성스프링
381 : 포스트
382 : 탑마그네트
383 : 바텀마그네트
384 : 미들마그네트
10 : case
11: receiving part
12: recess
20A, 20B: vibration member
21: vibration plate
22: floating magnet
23 : long hole
30A, 30B: Vibration means
31: guide groove
32: guide protrusion
33: shaft
34: spring spring
341: round hole
35: support
351: tower support
352: bottom support
353: load
36: flange
37: elastic spring
381: Post
382: top magnet
383: bottom magnet
384: middle magnet

Claims (1)

상하로 긴 공간 구조의 내부 수용부(11)를 갖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에 배치되는 진동부재(20A); 및
상기 진동부재(20A)를 상하로 진동케 하기 위한 진동수단(30A);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진동부재(20A)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수단(30A)은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 상부 측 내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둘 이상의 가이드돌기(32), 상기 진동부재(20A)의 외주연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32)에 삽입되는 나선(螺線)형 가이드홈(31), 상기 진동부재(20A)의 하부면 중앙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샤프트(33)와, 상기 샤프트(33)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는 태엽스프링(34)과,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 하부 측 내주연에 배치되어 상기 태엽스프링(34)의 타단을 지지하는 서포트(35)와, 상기 샤프트(33)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태엽스프링(34)을 지지하는 플랜지(36)와,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 바닥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기 플랜지(36)에 상단이 지지되도록 상기 샤프트(33)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3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구조 개선형 진동장치.
A case 10 having an inner accommodating part 11 of a vertically long space structure;
a vibrating member (20A)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 of the case (10); and
Vibration means (30A) for vertically vibrating the vibrating member (20A);
made up of
The vibrating member 20A has a cylindrical structure,
The vibrating means (30A) includes two or more guide protrusions (32) protruding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of the case (10), a spiral guide groove (31) formed in a concavity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ibrating member (20A) and inserted into the guide protrusion (32), a shaft (33)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vibrating member (20A) and erected vertically, and one end of the shaft (33) The mainspring 34 coupled thereto, a support 35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of the case 10 to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mainspring 34, a flange 36 provided at an end of the shaft 33 to support the mainspring 34, and the shaft 3 such that the lower end is supported on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of the case 10 and the upper end is supported by the flange 36. 3) Vibration structure-improving vib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elastic spring (37) fitted in.
KR1020210078085A 2021-06-16 2021-06-16 Vibration apparatus KR1025575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85A KR102557563B1 (en) 2021-06-16 2021-06-16 Vibr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85A KR102557563B1 (en) 2021-06-16 2021-06-16 Vibr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397A KR20220168397A (en) 2022-12-23
KR102557563B1 true KR102557563B1 (en) 2023-07-26

Family

ID=8453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085A KR102557563B1 (en) 2021-06-16 2021-06-16 Vibr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56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197B1 (en) * 2023-07-26 2023-10-24 경민수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strength concrete block resistant to salt and smart road pavement system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713Y1 (en) 2000-10-18 2001-04-02 강해식 Vibration Elastic Shoe
KR101124145B1 (en) 2010-04-19 2012-03-21 삼성전기주식회사 A vertical vibrator
JP4955044B2 (en) 2009-05-07 2012-06-20 コリア アドヴァンスト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サイエンス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Vibration generation module capable of inertial vibration and shock vibration
KR101978880B1 (en) 2018-08-16 2019-05-15 (주)프라미스 Vibrator using magnetic force and shoes comprising the vibr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499B1 (en) 2009-05-08 2011-10-17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The magnet vibration system which uses a press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713Y1 (en) 2000-10-18 2001-04-02 강해식 Vibration Elastic Shoe
JP4955044B2 (en) 2009-05-07 2012-06-20 コリア アドヴァンスト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サイエンス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Vibration generation module capable of inertial vibration and shock vibration
KR101124145B1 (en) 2010-04-19 2012-03-21 삼성전기주식회사 A vertical vibrator
KR101978880B1 (en) 2018-08-16 2019-05-15 (주)프라미스 Vibrator using magnetic force and shoes comprising the vib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397A (en)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880B1 (en) Vibrator using magnetic force and shoes comprising the vibrator
KR100941369B1 (en) The functional healthy shoes that have the vibration system to improve flow of blood
KR102128378B1 (en) Vibration apparatus using magnetic force
KR101158760B1 (en) Vibration system
KR102557563B1 (en) Vibration apparatus
KR102037241B1 (en) Vibrator comprising a vibration panel coupled to a support, where the vibrator uses a magnetic force of a magnet formed on the support, and a shoe comprising the vibrator
KR200486537Y1 (en) Functional health shoes for foot vibration and acupuncture stimulation
KR101073499B1 (en) The magnet vibration system which uses a pressure
JP2004538116A (en) Inner sole device for rehabilitation shoes
JP2012525196A (en) Magnet vibration device using external pressure and shoes equipped with the same
KR20210014550A (en) Vibration device for imrroving blood flow, and health shoes using the same, insoles using the same, and massage device using the same
KR101476050B1 (en) Vibrating Device of Vertically Vibrating Exercise Apparatus
KR102537125B1 (en) Vibration module using magnetic force
CN102907823A (en) High-elasticity soles
KR101911647B1 (en) Energy harvesting shoes using air pressure
WO2019142959A1 (en) Vibration generator and shoe having same
JP3224530U (en) Massage insole
KR102606612B1 (en) Functional health shoes
US20030213146A1 (en) Sole with buffer elements
US20180368514A1 (en) Footwear
KR101187604B1 (en) Tumbling shoes
JPH03170103A (en) Vibration absorbing device in sole
KR101799506B1 (en) Vibration air board
KR20200109214A (en) Vibration device for imrroving blood flow and health shoes using the same
CN217185021U (en) Self-massage health-care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