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224B1 - Management system for water meter - Google Patents

Management system for water me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224B1
KR102557224B1 KR1020220113565A KR20220113565A KR102557224B1 KR 102557224 B1 KR102557224 B1 KR 102557224B1 KR 1020220113565 A KR1020220113565 A KR 1020220113565A KR 20220113565 A KR20220113565 A KR 20220113565A KR 102557224 B1 KR102557224 B1 KR 102557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ter
ground
pipe
fixing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35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선남
박상진
고광필
안홍성
문지수
문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220113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2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2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기능으로 누수를 탐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센서들을 통해 지중의 온도 변화, 습도 변화, 소리 변화, 수도계량기의 진동 발생 여부, 배관의 내압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다중 복합적으로 감지하여 배관의 누수여부를 판별할 수 있고, 누수 발생 시 복수개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누수를 감지함에 따라, 누수감지에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은, 수도계량기에 설치되되, 지중의 온도 변화, 지중의 습도 변화, 지중의 소리 변화 및 상기 수도계량기로 전달되는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수도계량기에 연결된 배관의 누수 여부를 감지하는 다중 복합 감지부; 및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연결되고, 상기 다중 복합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분석 데이터로 가공하며, 가공된 분석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분석 및 송출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water leakage in a pipe by multi-complexly detect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change, humidity change, sound change, occurrence of vibration of a water meter, and change in internal pressure of a pipe in real time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a water leak with different functions.
The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water meter, and detects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change in the ground, a change in humidity in the ground, a change in sound in the ground, and a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water meter to detect whether or not a pipe connected to the water meter is leaking; and a data analysis and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alyzing the data sensed by the multi-complex sensor, process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data into analysis data, and transmitting the processed analysis data to the server.

Description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WATER METER}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SYSTEM FOR WATER METER}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기능으로 누수를 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누수를 다중 복합적으로 감지하여, 누수감지에 있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securing reliability in detecting water leaks by detecting water leaks multiplex and complexly through at least on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water leaks with different functions.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수도사용량을 검침하는 방식으로, 검침원들이 직접 수용가를 방문하여 계량기의 지침을 수동으로 검침하는 수동검침방식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s a method of metering water consumption, a manual meter reading method in which meter readers directly visit a customer and manually read the meter guide has been used in the related art.

이러한 수동검침방식은 검침 누락, 오기, 오지검침의 어려움, 계량기 조작, 도수의 가능, 과다한 검침 비용 발생 등의 어려움이 있다.This manual meter reading method has difficulties such as omission of meter reading, incorrect reading, difficulty in meter reading, meter manipulation, frequency reading, and excessive meter reading costs.

한편, 최근 수도계량기에서 설치된 통신 중계기를 통하여 단순히 수용가의 수도 사용량을 원격으로 검침하는 원격검침방식이 일부 적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a remote meter reading method that simply remotely reads the water consumption of a consumer through a communication repeater installed in a water meter is partially applied.

이러한 종래의 원격검침 방식은 검침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Such a conventional remote meter reading method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meter reading.

그러나, 수동검침용 및 원격검침용 수도계량기의 경우 단일 기능으로 수도의 사용량만 확인할 수 있는 바, 누수를 감지하는 기능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However, in the case of water meters for manual meter reading and remote meter reading, only water consumption can be checked with a single function, and a function for detecting water leakage is not included.

구체적으로,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상수도 및 농업용 관로의 경우 사용연한이 오래되어 배관 연결부위인 분기점에서 누수가 다량 발생되며, 구체적으로, 수도계량기의 유입단인 분기점의 연결부위에서 누수 확률이 매우 높은 편이지만 종래의 수동검침용 및 원격검침용 수도계량기의 경우 누수를 감지하는 기능은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waterworks and agricultural pipelines buried underground, a large amount of water leakage occurs at the branch point, which is the pipe connection part, because the service life is long.

따라서, 근래에는 누수발생시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감지센서를 적용하였다. 이때, 소리감지센서를 수도계량기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수도계량기의 근처에 외부 노출형태로 설치하여 누수를 관리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sound sensor for detecting a sound generated when a water leak occurs has been applied. At this time, the sound sensor is not directly installed on the water meter, but is installed near the water meter in an externally exposed form to manage water leakage.

일예로, 현재 적용되는 수도계량기의 경우 원격검침용을 설치하였을 때 별도의 프로그램을 관리자가 설치하여 모니터를 통하여 데이터자료를 확인하고 별도로 소리(노이즈)센서를 적용해 누수감지를 위한 별도의 제품을 설치해 각각의 이원화된 현장설치와 관리로 인하여 비용과 유지관리에 비효율적인 형태를 갖고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currently applied water meters, when a remote meter reading is installed, a separate program is installed by the administrator to check data through a monitor, and a separate product is installed to detect water leakage by applying a separate sound (noise) sensor.

그리고, 소리감지센서는 누수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 뿐만 아니라 기타 주변의 다른 소리들도 감지하게 됨으로, 누수를 감지하는데 있어 관리자에게 누수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혼란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ound detection sensor detects not only the sound generated by the water leak but also other sounds around the guitar, there is a problem of confusing the manager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water leakage in detecting the water leak.

아울러, 누수가 소량으로 발생되어, 누수 소리가 작게 발생되는 경우에는 소리(누수음)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며, 결국 소리감지센서는 누수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ak occurs in a small amount and the leak sound is small, the sound (leakage sound) cannot be detected, and consequent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ound sensor cannot accurately detect the leak.

등록특허공보 제10-1782375호(2017.09.21.)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82375 (2017.09.2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로 다른 기능으로 누수를 탐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센서들을 통해 지중의 온도 변화, 습도 변화, 소리 변화, 수도계량기의 진동 발생 여부, 배관의 내압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다중 복합적으로 감지하여 배관의 누수여부를 판별할 수 있고, 누수 발생 시 복수개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누수를 감지함에 따라, 누수감지에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detecting water leakage in a pipe by detecting at least one or more of a temperature change, humidity change, sound change, vibration of a water meter, and a change in internal pressure of a pipe in real time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water leakage with different functions,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water leak in a pipe,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detecting water leakage when a water leak occurs,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in detecting water leakage. But it has a purpo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은, 수도계량기에 설치되되, 지중의 온도 변화, 지중의 습도 변화, 지중의 소리 변화 및 상기 수도계량기로 전달되는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수도계량기에 연결된 배관의 누수 여부를 감지하는 다중 복합 감지부; 및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연결되고, 상기 다중 복합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분석 데이터로 가공하며, 가공된 분석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분석 및 송출부를 포함한다.A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water meter, and detects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change in the ground, a change in humidity in the ground, a change in sound in the ground, and a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water meter to detect whether a pipe connected to the water meter is leaking; and a data analysis and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alyzing the data sensed by the multi-complex sensor, process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data into analysis data, and transmitting the processed analysis data to the server.

그리고, 상기 다중 복합 감지부는, 누수에 의해 발생되는 지중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센서와, 누수에 의해 발생되는 지중의 습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습도감지센서와, 누수에 의해 발생되는 지중의 소리 변화를 감지하는 소리감지센서 및 누수에 의해 배관에서 수도계량기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ulti-complex sensor includes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temperature change in the ground caused by a leak, a humidit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change in humidity in the ground caused by a leak, a sound sensor for detecting a sound change in the ground caused by a leak, and a vibration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transmitted from a pipe to a water meter due to a leak.

또한, 상기 다중 복합 감지부는, 상기 배관 내부의 압력을 센싱하여 상기 데이터 분석 및 송출부에 전송하는 압력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ulti-complex sensing unit further includes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inside the pipe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analyzing and sending unit.

그리고, 상기 수도계량기 또는 배관을 지중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도계량기의 양측 영역에 각각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수도계량기의 양측 영역에 연결되는 배관에 각각 장착되는 장착링; 상기 장착링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고,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 맞물림부가 형성되고,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1 정착부; 상기 수도계량기와 함께 지중에 매립되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정착부가 수용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 정착 박스부; 상기 정착 박스부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면에 상기 제1 맞물림부와 수평방향으로 맞물리는 복수개의 제2 맞물림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맞물림부가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금속 또는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2 정착부; 및 상기 정착 박스부의 빈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어 상기 제1 정착부와 제2 정착부 및 정착 박스부를 일체화 시키며, 몰탈로 형성되는 충진부를 포함한다.The water meter or pipe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water meter or pipe to the ground, wherein the fixing part may include a mounting ring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water meter or to pipe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water meter; first fixing units each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ring, having first engagement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ottom surface, and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 fixing box unit buried in the ground together with the water meter, having an opening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n empty space in which the first fixing unit is accommodated; A second fixing unit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box unit, formed of a plurality of second engagement units horizontally engaged with the first engagement unit at regular intervals on the top surface, and made of metal or a magnetic material so that the first engagement unit is magnetically attached; and a filling part formed of mortar to integrate the first fixing part, the second fixing part, and the fixing box part by pouring and curing the empty space of the fixing box part.

본 발명에 따른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은, 서로 다른 기능으로 누수를 탐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센서들을 통해 지중의 온도 변화, 습도 변화, 소리 변화, 수도계량기의 진동 발생 여부, 배관의 내압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다중 복합적으로 감지하여 배관의 누수여부를 판별할 수 있고, 누수 발생 시 복수개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누수를 감지함에 따라, 누수감지에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a pipe is leaking by detecting at least one or more of a temperature change in the ground, a humidity change, a sound change, a vibration of the water meter, and a chang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a pipe in real time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a leak with different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이 수도계량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이 수도계량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에 적용된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에 고정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water meter;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water meter;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applied to a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fixing unit is applied to a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assigned to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이 수도계량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이 수도계량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에 적용된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water meter, an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water me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은, 서로 다른 기능으로 누수를 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누수를 다중 복합적으로 감지하여, 누수감지에 있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품이다.A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duct capable of securing reliability in detecting water leakage by detecting water leakage in a multi-complex manner through at least on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water leakage with different functions.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은 수도계량기(1)에 설치되는 다중 복합 감지부(10) 및 테이터 분석 및 송출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multi-complex detection unit 10 and the data analysis and transmission unit 20 installed in the water meter 1.

수도계량기(1)는 가정용, 농업용수용 등으로 지중관로의 끝단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water meter (1) can be installed and used at the end of an underground pipeline for household use, agricultural water, and the like.

수도계량기(1)는 지중에 매설되는 배관(2)에 연결된다.The water meter 1 is connected to a pipe 2 buried in the groun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2)은 수도계량기(1)의 일측에 수도계량기 체결용 유니온(3)을 통해 연결되고, 타측에는 수도꼭지가 일반적으로 체결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ipe 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ater meter 1 through a water meter fastening union 3, and a faucet is generally fastened to the other side.

다중 복합 감지부(10)는 수도계량기(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되, 지중의 온도 변화, 지중의 습도 변화, 지중의 소리 변화 및 배관(2)으로부터 수도계량기(1)로 전달되는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수도계량기(1)의 누수여부 또는 수도계량기(1)에 연결된 배관(2)의 누수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이다.The multi-complex detection unit 10 is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water meter 1, and detects a leak in the water meter 1 or a leak in the pipe 2 connected to the water meter 1 by 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ground, the humidity change in the ground, the sound change in the ground, and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pipe 2 to the water meter 1.

이를 위해, 다중 복합 감지부(10)는 온도감지센서(11)와, 습도감지센서(12)와, 소리감지센서(13) 및 진동감지센서(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multi-complex sensor 1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 temperature sensor 11, a humidity sensor 12, a sound sensor 13, and a vibration sensor 14.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에서 다중 복합 감지부(10)는 온도감지센서(11)와, 습도감지센서(12)와, 소리감지센서(13)와 진동감지센서(14) 및 압력감지센서(15) 중 어느 하나만 수도계량기(1)에 설치하여 누수를 감지하거나 또는, 전술한 센서(11,12,13,14,15)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도계량기(1)에 설치하여 배관(2)의 누수를 복합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complex sensor 10 detects water leakage by installing only one of the temperature sensor 11, the humidity sensor 12, the sound sensor 13, the vibration sensor 14, and the pressure sensor 15 to the water meter 1 to detect water leakage or use at least one of the sensors 11, 12, 13, 14, and 15 as the water meter. By installing it in (1), it is possible to detect leaks in the pipe (2) in a complex manner.

그리고, 다중 복합 감지부(10)의 감지결과는 후술되는 데이터 분석 및 송출부(20)를 통해 서버(30)로 전송된다.And, the detection result of the multi-complex sensor 1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0 through the data analysis and transmission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서버(30)는 관리자 모니터(50)에 감지결과를 숫자, 그래프 등으로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Then, the server 30 displays the detection result on the manager monitor 50 in numbers, graphs, and the like.

데이터 분석 및 송출부(2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data analysis and transmission unit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그리고, 도면에는 온도감지센서(11)와, 습도감지센서(12)와, 소리감지센서(13) 및 진동감지센서(14)가 모두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In addition, 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11, the humidity sensor 12, the sound sensor 13, and the vibration sensor 14 are all applied.

온도감지센서(11)는 누수에 의해 발생되는 지중의 온도 변화를 감지한다.The temperature sensor 11 senses a temperature change in the ground caused by water leakage.

온도감지센서(11)는 수도계량기(1)나 지중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데이터 분석 및 송출부(20)에 전송하게 된다.The temperature sensor 11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meter 1 or the ground in real time and transmits it to the data analysis and transmission unit 20 .

온도감지센서(11)를 통해 4계절 모두 유용하게 배관(2)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으며, 특히 겨울철에 배관(2)의 누수를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다.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11, leaks in the pipe 2 can be usefully detected in all four seasons, and leaks in the pipe 2 can be reliably detected especially in winter.

구체적으로, 지중 용수관로가 매설되어 있는 겨울철 지중의 온도는 약 -2℃ 내지 4℃ 정도로 유지된다.Specifically, the temperature of the ground in winter in which the underground water pipe is buried is maintained at about -2 ° C to 4 ° C.

그리고, 겨울철 배관(2)을 흐르는 물의 온도는 약 10℃~15℃이다.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pipe 2 in winter is about 10°C to 15°C.

그러나, 배관(2)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지중의 온도가 상승되며, 이에 관리자 모니터(50)에 디스플레이되는 지중의 온도가 상승된다. 이로 인해, 관리자는 관리자 모니터(50)에 디스플레이 되는 지중의 온도가 누수에 의해 기 설정된 온도(약 -2℃ 내지 4℃) 보다 높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여 누수가 발생됐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However, when water leakage occurs in the pipe 2, the temperature of the ground rises, and 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ground displayed on the manager monitor 50 rises. Due to this, the manager can know that water leakage has occurred by confirming that the temperature of the ground displayed on the manager monitor 50 is maintained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about -2°C to 4°C) due to water leakage.

한편, 습도감지센서(12)는 누수에 의해 발생되는 지중의 습도 변화를 감지한다.Meanwhile, the humidity sensor 12 detects a change in humidity in the ground caused by water leakage.

습도감지센서(12)는 지중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데이터 분석 및 송출부(20)에 전송하게 된다.The humidity sensor 12 senses the humidity of the ground in real time and transmits it to the data analysis and transmission unit 20 .

계절마다 상이하지만 지중의 습도는 일반적으로 30~40%를 유지하게 된다.Although it varies by season, the humidity in the ground is generally maintained at 30 to 40%.

그러나, 배관(2)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지중의 습도가 점진적으로 약 80~90% 정도 상승되며, 이에 관리자 모니터(50)에 디스플레이되는 지중의 습도값이 상승된다. 이로 인해, 관리자는 관리자 모니터(50)에 디스플레이 되는 지중의 습도가 누수에 의해 기 설정된 평균치의 습도값 보다 높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여 누수가 발생됐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However, when water leakage occurs in the pipe 2, the humidity of the ground gradually rises by about 80 to 90%, and thus the humidity value of the ground displayed on the manager monitor 50 rises. Due to this, the manager can know that water leakage has occurred by confirming that the humidity of the ground displayed on the manager monitor 50 is maintained higher than the preset average humidity value due to water leakage.

한편, 소리감지센서(13)는 누수에 의해 발생되는 지중의 소리 변화를 감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sound sensor 13 detects a change in the sound of the ground caused by water leakage.

소리감지센서(13)는 지중에서 소리를 센싱하여 데이터 분석 및 송출부(20)에 전송하게 된다.The sound sensor 13 senses sound from the ground and transmits it to the data analysis and transmission unit 20 .

배관(2)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일반적으로 소리감지센서(13)가 센싱하는 소리의 크기는 일정하다.When no leakage occurs in the pipe 2, the volume of sound sensed by the sound sensor 13 is generally constant.

그러나, 배관(2)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물이 흐르는 소리에 의해 Hz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관리자 모니터(50)에 디스플레이되는 지중의 소리가 상승된다. 이로 인해, 관리자는 관리자 모니터(50)에 디스플레이 되는 지중의 소리가 누수에 의해 기 설정된 평균값 소리 보다 높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여 누수가 발생됐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However, when water leakage occurs in the pipe 2, Hz rises due to the sound of flowing water. As a result, the sound of the ground displayed on the manager monitor 50 rises. Due to this, the manager can know that water leakage has occurred by confirming that the sound of the ground displayed on the manager monitor 50 is maintained higher than the preset average sound level due to water leakage.

한편, 진동감지센서(14)는 누수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변화를 감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vibration sensor 14 detects a change in vibration caused by water leakage.

진동감지센서(14)는 수도계량기(1)에 진동이 발생될 경우, 이를 센싱하여 데이터 분석 및 송출부(20)에 전송하게 된다.When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water meter 1, the vibration sensor 14 senses it and transmits it to the data analysis and transmission unit 20.

배관(2)에서 누수가 발생되면 배관(2)에는 진동이 발생되며, 이 진동은 수도계량기(1)에 전달된다. 따라서, 진동감지센서(14)가 수도계량기(1)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관리자 모니터(5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When water leakage occurs in the pipe 2,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pipe 2, and this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water meter 1. Therefore, the vibration sensor 14 senses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water meter 1 and displays it on the manager monitor 50.

이로 인해, 관리자가 관리자 모니터(50)에 디스플레이 되는 진동 값을 확인하여 누수가 발생됐다는 사실을 알게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manager can check the vibration value displayed on the manager monitor 50 to know that water leakage has occurred.

한편, 압력감지센서(15)는 배관(2)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pressure sensor 15 may be installed in the pipe 2 .

압력감지센서(15)는 배관(2)의 내면에 설치되어, 배관(2)의 내압을 측정한다.The pressure sensor 15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2 to measu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ipe 2.

압력감지센서(15)는 배관(2)의 내압을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데이터 분석 및 송출부(20)에 전송하게 된다.The pressure sensor 15 sens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ipe 2 in real time and transmits it to the data analysis and transmission unit 20 .

지중에 매설된 용수관로에 있어 수용가가 용수를 사용할 시, 배관(2)의 내압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되거나, 수도계량기 주변에 누수지점이 있을 경우에도 배관(1)의 내압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된다.When a consumer uses water in a water pipe buried in the grou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ipe 2 gradually decreases, or even when there is a leak point around the water meter,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ipe 1 gradually decreases.

데이터 분석 및 송출부(20)는 압력감지센서(15)를 통해 획득되는 배관(2) 내압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배관(2)의 내압이 기 설정된 수준 이하로 낮아지고, 배관(2)의 내압이 기 설정된 수준 이상 낮아진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면 누수로 판단한다.The data analysis and transmission unit 20 continuously analyzes the data o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ipe 2 obtain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15,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ipe 2 is lowered to a preset level or lower,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ipe 2 If the lowered state of the preset level or higher continues for more than a preset time, it is determined as a leak.

예를 들면, 약 22시부터 06시 사이에는 농업용수의 사용량이 없던 수용가에서 배관(2)의 내압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누수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between about 22:00 and 06:00, if a situation occurs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ipe 2 is continuously lowered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consumer who has not used agricultural water, it may be determined as water leakage.

한편, 데이터 분석 및 송출부(20)는 통신망(40)을 통해 서버(30)에 연결된다.Meanwhile, the data analysis and transmission unit 20 is connected to the server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

데이터 분석 및 송출부(20)는 온도감지센서(11)와, 습도감지센서(12)와, 소리감지센서(13) 및 진동감지센서(14)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분석 데이터로 가공하며, 가공된 분석 데이터를 서버(30)로 전송한다.The data analysis and transmission unit 20 analyzes the data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1, the humidity sensor 12, the sound sensor 13, and the vibration sensor 14, and analyzes the data. Processes the analyzed data into analysis data, and transmits the processed analysis data to the server 30.

그리고, 서버(30)로 전송된 분석 데이터는 관리자 모니터(50)에 숫자나 그래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디스플레이 되며, 이를 통해 관리자가 누수발생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Then, the analysis data transmitted to the server 30 is displayed on the manager monitor 50 as at least one of numbers and graphs, through which the manager determines whether water leakage has occurred.

한편, 원격검침부는 수도계량기(1)를 검침하여 서버(30)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remote meter reading unit reads the water meter 1 and transmits the meter reading to the server 30 .

그리고, 서버(30)는 관리자 모니터(50)에 검침 값을 전송한다.Then, the server 30 transmits the inspection value to the manager monitor 50 .

이러한 원격검침부는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is remote meter reading unit is a commercialized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은 다중 복합 감지부(10)를 통해 배관(2)의 누수를 다중 복합적으로 센싱하여 에러 없이 누수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ulti-complexly sense the water leakage of the pipe 2 through the multi-complex detection unit 10 to check the water leakage without erro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은 누수가 발생될 시 온도감지센서(11)가 누수를 감지하지 못하더라도 습도감지센서(12)와, 소리감지센서(13) 및 진동감지센서(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누수를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water leakage occurs, even if the temperature sensor 11 does not detect water leakage, the humidity sensor 12, the sound sensor 13, and the vibration sensor 14 can detect water leakage.

물론, 습도감지센서(12)가 누수를 감지하지 못하더라도 온도감지센서(11)와, 소리감지센서(13) 및 진동감지센서(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누수를 감지할 수 있고, 소리감지센서(13)가 누수를 감지하지 못하더라도 온도감지센서(11)와, 습도감지센서(12) 및 진동감지센서(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누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진동감지센서(14)가 누수를 감지하지 못하더라도 온도감지센서(11)와, 습도감지센서(12) 및 소리감지센서(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누수를 감지할 수 있다.Of course, even if the humidity sensor 12 does not detect water leakage, water leakage can be detected by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sensor 11, the sound sensor 13, and the vibration sensor 14, and even if the sound sensor 13 does not detect water leakage, the water leakage can be detected by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sensor 11, the humidity sensor 12, and the vibration sensor 14, and the vibration sensor 1 Even if 4) does not detect water leakage, water leakage may be detected by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sensor 11, the humidity sensor 12, and the sound sensor 13.

즉, 온도감지센서(11)와, 습도감지센서(12)와, 소리감지센서(13) 및 진동감지센서(14) 중 어느 하나의 센서가 누수를 감지하지 못하더라도 다른 센서들을 통해 누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센서들이 동시에 누수를 감지하는 경우, 누수감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even if one of the temperature sensor 11, the humidity sensor 12, the sound sensor 13, and the vibration sensor 14 does not detect water leakage, water leakage can be detected through other sensors, and when several sensors detect water leakage at the same time, the reliability of water leakage detection can be improved.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에 적용된 고정부(60)에 대해 설명한다.Next, referring to FIG. 4 , the fixing unit 60 applied to the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에 고정부(60)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fixing unit 60 is applied to a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고정부(60)는 수도계량기(1) 또는 배관(2)을 지중에 고정시키는 구성이다.The fixing part 60 is configured to fix the water meter 1 or the pipe 2 to the ground.

이를 위해 고정부(60)는 장착링(61)과, 제1 정착부(62)와, 정착 박스부(63)와, 제2 정착부(64) 및 충진부(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xing part 6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mounting ring 61, the first fixing part 62, the fixing box part 63, the second fixing part 64, and the filling part 65.

고정부(60)는 수도계량기(1) 또는 배관(2)에 연결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수도계량기(1)에 연결되는 예를 도시하였다.The fixing part 6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meter 1 or the pipe 2, and an example of being connected to the water meter 1 is shown in the drawings.

장착링(61)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수도계량기(1)의 양측 영역에 각각 장착된다.The mounting rings 61 are composed of two pairs and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meter 1, respectively.

제1 정착부(62)는 장착링(61)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고,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 맞물림부(621)가 형성된다.The first fixing parts 62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ring 61, and a plurality of first engagement parts 6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제1 맞물림부(621)는 후술되는 제2 정착부(64)가 안정적으로 맞물리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ngagement portion 621 may b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so that the second fixing portion 64 to be described later is stably engaged.

정착 박스부(63)는 수도계량기와 함께 지중에 매립되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정착부(62)가 수용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The fixing box part 63 is buried in the ground together with the water meter, and an opening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n empty space in which the first fixing part 62 is accommodated is formed.

정착 박스부(63)는 후술되는 충진부(65)에 의해 제1 정착부(62)와 일체화 되는 바, 제1 정착부(62)에 결합된 장착링(61)과, 장착링(61)이 장착된 수도계량기(1)가 상,하,좌,우,대각선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30kg~100kg의 무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fixing box part 63 is integrated with the first fixing part 62 by a filling part 65 described later, the mounting ring 61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62 and the water meter 1 to which the mounting ring 61 is mounted may be formed to have a weight of 30 kg to 100 kg to prevent movement in up, down, left, right, and diagonal directions.

제2 정착부(64)는 정착 박스부(63)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면에 제1 맞물림부(621)와 수평방향으로 맞물리는 복수개의 제2 맞물림부(64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The second fixing unit 64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box unit 63, and a plurality of second engagement units 641 horizontally engaged with the first engagement units 62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제2 맞물림부(641)는 제1 맞물림부(621)가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금속 또는 자석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641 may be formed of a metal or magnetic material so that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621 is magnetically attached.

제2 정착부(64)의 가장자리에는 충진부(65)가 충진되는 복수개의 충진홀(64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filling holes 64a filled with filling parts 65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t the edge of the second fixing part 64 .

충진홀(64a)은 충진부(65)가 용이하게 주입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lling hole 64a may be formed with a downward slope so that the filling part 65 is easily injected.

충진부(65)는 몰탈로 형성될 수 있다. 충진부(65)는 정착 박스부(63)의 빈 공간에 타설된다. 충진부(65)의 일부량은 충진홀(64a)에 충진된다.The filling part 65 may be formed of mortar. The filling part 65 is poured into the empty space of the fixing box part 63. A portion of the filling portion 65 is filled in the filling hole 64a.

충진부(65)가 양생되면 제1 정착부(62)와 제2 정착부(64) 및 정착 박스부(63)를 일체화 시킨다.When the filling part 65 is cured, the first fixing part 62, the second fixing part 64, and the fixing box part 63 are integrated.

이러한 고정부(60)를 통해 수도계량기를 지중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도계량기(1) 및 수도계량기(1)에 연결된 배관(2)이 지진, 지반침하, 각종 외력에 의해 상,하,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수도계량기(1) 및 배관(2)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Through this fixing part 60, the water meter can be stably fixed in the grou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water meter 1 and the pipe 2 connected to the water meter 1 in up, down, left, right, and diagonal directions due to earthquake, ground subsidence, and various external forces, so that the water meter 1 and the pipe 2 can be secured in structural stability.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1 : 수도계량기 2 : 배관
10 : 다중 복합 감지부 11 : 온도감지센서
12 : 습도감지센서 13 : 소리감지센서
14 : 진동감지센서 15 : 압력감지센서
20 : 데이터 분석 및 송출부 30 : 서버
40 : 통신망 50 : 관리자 모니터
60 : 고정부 61 : 장착링
62 : 제1 정착부 621 : 제1 맞물림부
63 : 정착 박스부 64 : 제2 정착부
64a : 충진홀 641 : 제2 맞물림부
65 : 충진부
1: Water meter 2: Piping
10: multi-composite sensing unit 11: temperature sensor
12: humidity sensor 13: sound sensor
14: vibration sensor 15: pressure sensor
20: data analysis and transmission unit 30: server
40: communication network 50: manager monitor
60: fixing part 61: mounting ring
62: first fusing part 621: first engaging part
63: fusing box unit 64: second fusing unit
64a: filling hole 641: second engagement part
65: filling part

Claims (3)

수도계량기에 설치되되, 지중의 온도 변화, 지중의 습도 변화, 지중의 소리 변화 및 상기 수도계량기로 전달되는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수도계량기에 연결된 배관의 누수 여부를 감지하는 다중 복합 감지부;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연결되고, 상기 다중 복합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분석 데이터로 가공하며, 가공된 분석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분석 및 송출부; 및
상기 수도계량기 또는 배관을 지중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복합 감지부는,
상기 배관 내부의 압력을 센싱하여 상기 데이터 분석 및 송출부에 전송하는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도계량기의 양측 영역에 각각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수도계량기의 양측 영역에 연결되는 배관에 각각 장착되는 장착링;
상기 장착링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고,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 맞물림부가 형성되고,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1 정착부;
상기 수도계량기와 함께 지중에 매립되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정착부가 수용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 정착 박스부;
상기 정착 박스부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면에 상기 제1 맞물림부와 수평방향으로 맞물리는 복수개의 제2 맞물림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맞물림부가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금속 또는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2 정착부; 및
상기 정착 박스부의 빈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어 상기 제1 정착부와 제2 정착부 및 정착 박스부를 일체화 시키며, 몰탈로 형성되는 충진부를 포함하는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
It is installed in the water meter, and senses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ground, the humidity change of the ground, the sound change of the ground, and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water meter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pipe connected to the water meter is leaking.
A data analysis and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a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alyzing data sensed by the multi-complex sensor, processing analysis results of the data into analysis data, and transmitting the processed analysis data to the server; and
Including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water meter or pipe to the ground,
The multi-complex detection unit,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inside the pipe and transmitting it to the data analysis and transmission unit,
the fixing part,
Mounting ring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meter or on pipe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water meter;
first fixing units each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ring, having first engagement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ottom surface, and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 fixing box unit buried in the ground together with the water meter, having an opening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n empty space in which the first fixing unit is accommodated;
A second fixing unit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box unit, formed of a plurality of second engagement units horizontally engaged with the first engagement unit at regular intervals on the top surface, and made of metal or a magnetic material so that the first engagement unit is magnetically attached; and
The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filling part formed of mortar, which is poured and cured in the empty space of the fixing box part to integrate the first fixing part, the second fixing part, and the fixing box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복합 감지부는,
누수에 의해 발생되는 지중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센서와, 누수에 의해 발생되는 지중의 습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습도감지센서와, 누수에 의해 발생되는 지중의 소리 변화를 감지하는 소리감지센서 및 누수에 의해 배관에서 수도계량기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complex detection unit,
A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temperature change in the ground caused by a leak, a humidit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change in humidity in the ground caused by a leak, a sound sensor detecting a sound change in the ground caused by a leak, and a vibration sensor detecting vibration transmitted from a pipe to a water meter due to a leak.
삭제delete
KR1020220113565A 2022-09-07 2022-09-07 Management system for water meter KR1025572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565A KR102557224B1 (en) 2022-09-07 2022-09-07 Management system for water m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565A KR102557224B1 (en) 2022-09-07 2022-09-07 Management system for water me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224B1 true KR102557224B1 (en) 2023-07-21

Family

ID=8742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565A KR102557224B1 (en) 2022-09-07 2022-09-07 Management system for water me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22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7866A (en) * 1998-04-03 1999-10-19 Kubota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buried object as well as radio tag
KR20120134408A (en) * 2011-06-02 2012-12-12 주식회사 유솔 A leak sencing apparatus
KR101782375B1 (en) 2016-08-10 2017-09-27 부경수도 주식회사 Water meter enable accuracy neasuring flow without water leakage
KR101827949B1 (en) * 2017-07-14 2018-02-12 이에스피 주식회사 A leak sensing device for a meter
KR20180065581A (en) * 2016-12-08 2018-06-18 아이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Ultrasonic water meter with freeze protection function, leak detecting system including the ultrasonic water meter and leaking point edtecting method usinf the system
KR20190019466A (en) * 2017-08-17 2019-02-27 조선남 Leakage detection device and leakage detec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7866A (en) * 1998-04-03 1999-10-19 Kubota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buried object as well as radio tag
KR20120134408A (en) * 2011-06-02 2012-12-12 주식회사 유솔 A leak sencing apparatus
KR101782375B1 (en) 2016-08-10 2017-09-27 부경수도 주식회사 Water meter enable accuracy neasuring flow without water leakage
KR20180065581A (en) * 2016-12-08 2018-06-18 아이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Ultrasonic water meter with freeze protection function, leak detecting system including the ultrasonic water meter and leaking point edtecting method usinf the system
KR101827949B1 (en) * 2017-07-14 2018-02-12 이에스피 주식회사 A leak sensing device for a meter
KR20190019466A (en) * 2017-08-17 2019-02-27 조선남 Leakage detection device and leakage detec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9012B2 (en) Sound propagation comparison with automated frequency selection for pipe condition assessment
KR102189240B1 (en) Fuel leakag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in pipe line
JP5930427B2 (en) Nondestructive inspection of pipes
US10690630B2 (en) Generation and utilization of pipe-specific sound attenuation
KR101185091B1 (en) Breakage detecting pipeline system
KR101062361B1 (en) A leak sencing apparatus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US10565752B2 (en) Graphical mapping of pipe node location selection
KR101888188B1 (en) Ultrasonic water meter with freeze protection function, leak detecting system including the ultrasonic water meter and leaking point edtecting method usinf the system
KR100855170B1 (en) Sewer pipe monitoring system
US20110192465A1 (en) Vacuum Sewer Valve Fault Detection System
KR102557224B1 (en) Management system for water meter
US20020073768A1 (en) Fluid flow sensors & leak detection systems
KR101185368B1 (en) Leak detection apparatus
KR20170106097A (en) Monitoring systemt for a buried pipe
KR102099657B1 (en) Method for monotoring sensor for laying things of basement employing IoT platform
JP3208091B2 (en)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CN203514179U (en) Intelligent pot bearing
US20220341729A1 (en) Fiber optic sensor network for subsurface impact protection system
KR20230086144A (en) System for monitoring leakage piping of underground and buried pipe
KR102206801B1 (en) Soil pollution monitoring method by fuel leakage of underground facility
WO2015194138A1 (en) Position specification device, position specification system, position specif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20165558A1 (en) Leak detection apparatus
KR20110040008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water leak
KR102460155B1 (en) Smart valve chamber
KR102590763B1 (en) Deformal Leak Detection Sensor Using Magnetic fo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