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048B1 -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048B1
KR102557048B1 KR1020170019634A KR20170019634A KR102557048B1 KR 102557048 B1 KR102557048 B1 KR 102557048B1 KR 1020170019634 A KR1020170019634 A KR 1020170019634A KR 20170019634 A KR20170019634 A KR 20170019634A KR 102557048 B1 KR102557048 B1 KR 102557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hierarchical
authentication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186A (ko
Inventor
조진만
김석현
김수형
김승현
김영삼
노종혁
조상래
조영섭
허세영
황정연
진승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19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048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3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06T7/337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involving reference images or pa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16Hierarchical, coarse-to-fine, multiscale or multiresolution image processing; Pyramid trans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사용자 인증 장치는 계층적 영상의 첫 번째 영상부터 마지막 영상까지 각 영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전 선택된 계층적 영상 패턴을 저장하고,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시점이 되면, 상기 계층적 영상의 첫 번째 영상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장치로 출력하되, 각 영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가 상기 계층적 영상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에 대응하는 다음 영상을 출력하며, 상기 계층적 영상의 첫 번째 영상부터 마지막 영상까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가 상기 계층적 영상 패턴과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 사용자 인증 성공으로 처리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SER}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환경에서 출입 관리, 온라인 및 오프라인상의 특정 영역에 대한 접근 제어 등을 위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및 증강현실(Argument Reality, AR) 환경에서 VR 장치 또는 AR 장치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홍채 촬영을 통해 바이오 인식 기술을 이용하거나, 눈동자 움직임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시야 전환을 인지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술은 존재한다. 다만, 홍채 등을 이용한 바이오 인식 기술은 처리시간의 제약 및 사전에 방대한 바이오 정보의 학습을 필요로 하며, 시야 전환 순서에 의한 인증은 정확한 포인트 설정에 어려움이 있어, 본인 거부율과 타인 수락율이 함께 높아지는 문제가 있어 정확한 사용자 인증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단순히 게임 및 시연 등에 활용되는 VR 또는 AR 기술들이 일상 생활에 연계되어, 사이버 교육, 출입 관리, 접근 제어 등으로 활용이 확대될 때 방대한 바이오 정보 확보 및 학습이 필요 없고, 신속하고 정확한 사용자 인증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바이오 정보나 학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증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증 장치에서 영상 내 각 객체에 대응하여 다른 영상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계층적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사용자 인증 방법은 상기 계층적 영상의 첫 번째 영상부터 마지막 영상까지 각 영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전 선택된 계층적 영상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시점이 되면, 상기 계층적 영상의 첫 번째 영상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장치로 출력하되, 각 영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가 상기 계층적 영상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에 대응하는 다음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계층적 영상의 첫 번째 영상부터 마지막 영상까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가 상기 계층적 영상 패턴과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 사용자 인증 성공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환경에서 사전에 사용자가 등록한 인증 미션을 수행하는 것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단순한 인증 등으로 게임이나 시연 등에 활용되는 사용자 인증에서 벗어나, 사이버 교육 등에서의 출석 체크, 등급 제한이 있는 프로그램 실행, 건물 등의 출입 관리, 데이터 베이스나 시스템에의 접근제어 및 온라인상 대금 결제 등에도 적용이 가능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VR 및 AR의 활용도 향상 및 보급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환경에서의 사용자 인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환경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환경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환경에서의 사용자 인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 인증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영상 장치(110) 및 상기 영상 장치(11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장치(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영상 장치(110)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및 증강현실(Argument Reality, AR)을 구현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영상 장치(110)는 예를 들면, HMD(Head Mounted Display), 고글형, 안경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인증 장치(120)는 영상 장치(110)와 통신하며, 영상 내 각 객체에 대응하여 다른 영상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계층적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인증 장치(120)는 영상 장치(110)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 내에서 특정 객체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사용자의 선택 정보가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계층적 인증 패턴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에 해당하는 영상을 영상 장치(110)로 출력하면서, 사용자를 인증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증 장치(120)는 계층적 영상 중 최초의 영상을 영상 장치(110)로 출력하고, 영상 장치(110)는 해당 영상을 표시한다. 영상 장치(100)는 영상 내에서 특정 지점을 선택하면, 선택 정보를 인증 장치(120)로 전송한다. 영상 장치(100)는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 또는 손동작 등의 인식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인증 장치(120)는 선택 정보가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계층적 인증 패턴과 일치하면,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영상 장치(110)로 출력한다. 인증 장치(120)는 이러한 과정을 계층적 영상 중 마지막 영상까지 수행하여, 사용자의 선택 정보가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계층적 인증 패턴과 모두 일치하면, 사용자를 성공적으로 인증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인증 장치(120)에 등록된 사용자의 계층적 인증 패턴을 등록 인증 패턴이라 명명한다.
이러한 인증 장치(120)는 사용자 단말에 구현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서버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영상 장치(110)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이버 교육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인증은 사이버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인증 장치(120)가 구현되어,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출입 관리의 경우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에 인증 장치(120)가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환경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영상 장치(110)에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면, 인증 장치(120)는 사전에 사용자가 선택한 인증 영상 화면을 영상 장치(110)에 출력한다. 인증 영상 화면 상에 나타나는 인증 영상은 사용자마다 다르게 지정될 수 있다. 영상(101)은 인증에 사용되는 계층적 영상 중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최초의 원경 영상을 나타낸다. 원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에는 다수의 사물 또는 풍경, 지점, 객체들을 포함한다. 영상 장치(110)는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 또는 손동작 등의 인식을 통해 원경 영상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특정 객체를 선택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선택 정보를 인증 장치(120)로 전달한다. 인증 장치(120)는 사용자의 선택 정보가 사용자의 등록 인증 패턴과 일치하는지 확인한 후, 일치하면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102)을 영상 장치(110)로 출력한다.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102)은 해당 객체가 확대되어 나타나는 영상일 수도 있고, 해당 객체에 연결되어 나타나는 다른 영상일 수도 있다. 영상(102) 또한 다수의 객체들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영상 장치(110)는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 또는 손동작 등의 인식을 통해 영상(102)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특정 객체를 선택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선택 정보를 인증 장치(120)로 전달한다. 인증 장치(120)는 영상(102)에서의 선택 정보가 사용자의 등록 인증 패턴과 일치하는지 확인한 후, 일치하면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103)을 영상 장치(110)로 출력한다.
영상 장치(110)는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 또는 손동작 등의 인식을 통해 영상(103)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특정 객체를 선택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선택 정보를 인증 장치(120)로 전달한다. 그러면, 인증 장치(120)는 앞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영상(103)에서의 선택 정보가 사용자의 등록 인증 패턴과 일치하는지 확인한 후, 일치하면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104)을 영상 장치(110)로 출력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인증 장치(120)는 마지막 영상(104)에서 사용자의 등록 인증 패턴에 일치하는 대상(105)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사용자를 성공적으로 인증한다.
반면, 인증 장치(120)는 각 영상(101, 102, 103, 104)에서 사용자의 선택 정보가 사용자의 등록 인증 패턴과 일치하지 않으면, 정상적인 사용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인증 실패로 처리하며, 다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영상(101)을 영상 장치(110)로 출력한다.
한편, 편의상 도 2에서는 각 영상(101, 102, 103, 104)에서 사용자가 특정 객체를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각 영상(101, 102, 103, 104)에 따라 해당 객체를 포함하는 소정이 영역이 선택될 수도 있고, 특정 지점 등이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각 영상(101, 102, 103, 104)에서 특정 객체를 선택하는 방법으로는 각 영상(101, 102, 103, 104)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내 책과 같은 객체는 페이지를 펼치는 동작으로 해당 객체가 선택될 수 있고, 풀숲, 돌멩이 등과 같은 객체는 젖히거나 뒤집는 동작으로 해당 객체가 선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환경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인증 장치(120)는 영상 장치(110)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시작되면(S300), 인증에 사용되는 계층적 영상 중에서 최초의 원경 영상을 영상 장치(110)로 출력한다(S310).
인증 장치(120)는 영상 장치(110)로부터 원경 영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수신하면(S320), 사용자의 선택 정보가 사용자의 등록 인증 패턴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고(S330),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 마지막 영상인지 확인한다(S340).
인증 장치(120)는 마지막 영상이 아닌 경우, 사용자의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영상 장치(110)로 출력한다(S350). 한편, 인증 장치(120)는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 실패로 처리한다(S360).
다음, 인증 장치(120)는 사용자의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 마지막 영상일 때까지 단계(S320~S360)를 반복한다.
인증 장치(120)는 마지막 영상까지 사용자의 선택 정보가 사용자의 등록 인증 패턴과 모두 일치하면, 사용자 인증 성공으로 처리한다(S37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원경(서재) 영상 내의 서적 선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4를 참고하면, 영상 장치(110)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시작되면, 인증에 사용되는 계층적 영상 중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최초의 원경 영상인 서재 영상(401)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눈동자 움직임 또는 손동작 등으로 서재 영상(401)에서 서가 내 특정 지점을 선택하면, 해당 부분이 확대되어 특정 지점에 해당하는 영역의 영상(402)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눈동자 움직임 또는 손동작 등으로 영상(402)에서 특정 물체(서적)를 선택하면, 해당 물체가 확대되어 특정 물체의 영상(403)이 표시된다.
다음, 사용자가 눈동자 움직임 또는 손동작 등으로 특정 물체의 영상(403)에서 특정 물체(서적)의 특정 위치로 이동(페이지 펼침)을 선택하면, 해당 위치가 확대되어 특정 위치의 영상(404)이 표시된다.
다음, 특정 위치의 영상(404)에서 사용자가 눈동자 움직임 또는 손동작 등으로 특정 이미지나 문자를 선택하는 것으로, 사용자 인증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등록 인증 패턴과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가 모두 일치할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 성공으로 처리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 인증 실패로 처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는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서재 영상 내 어항의 돌 밑에서 보물을 찾는 형태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를 참고하면, 영상 장치(110)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시작되면, 인증에 사용되는 계층적 영상 중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최초의 원경 영상인 서재 영상(501)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눈동자 움직임 또는 손동작 등으로 서재 영상(501)에서 서가 하단의 물체(어항)을 선택한 경우, 해당 물체가 확대된 어항의 영상(502)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눈동자 움직임 또는 손동작 등으로 어항의 영상(502)에서 어항 속 특정 물체(돌멩이)를 선택하면, 해당 물체가 확대된 돌멩이의 영상(503)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눈동자 움직임으로 돌멩이의 영상(503)에서 특정 물체(돌멩이)를 선택하거나 손동작 등으로 돌멩이에 대한 특정 행동 수행(들기, 젖히기, 뒤집기 등)을 선택하면, 최종적인 물체(보물)(504)가 출력되는 것으로 사용자 인증 과정이 마무리된다.
이때,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등록 인증 패턴과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가 모두 일치할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 성공으로 처리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 인증 실패로 처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는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원경(서재) 영상 내의 금고를 여는 형태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영상 장치(110)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시작되면, 인증에 사용되는 계층적 영상 중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최초의 원경 영상인 서재 영상(601)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눈동자 움직임 또는 손동작 등으로 서재 영상(601)에서 서가 하단의 물체(금고)를 선택한 경우, 해당 부분이 확대되어 금고의 영상(602)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눈동자 움직임 또는 손동작 등으로 금고의 영상(602)에서 특정 물체(다이얼)를 선택한 경우, 해당 물체가 확대된 다이얼의 영상(603)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손동작 등으로 다이얼의 영상(603)에 대한 특정 행동 수행(다이얼 맞추기 등)을 선택한 경우, 최종적인 물체가 출력되는 것으로 사용자 인증 과정이 마무리된다. 다이얼 대신 키패드를 통한 비밀번호 입력 등의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등록 인증 패턴과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가 일치할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 성공으로 처리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 인증 실패로 처리된다.
도 4, 도 5 및 도 6에서 예시한 원경 영상은 VR 환경에서는 집안, 들판, 공원, 명승지, 공원, 우주공간 등 다양하게 생성하여 적용될 수 있다. 게임 등의 초기 화면에서 캐릭터를 선택하여 주머니 속의 특정 물품을 꺼내거나, 특정 폴더를 열어 특정 행동을 하는 형태로의 확장도 가능하다. AR 환경에서는 사용자 눈 앞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사전에 지정된 일정한 형태를 추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실제 출입문에 가상의 키패드를 생성하여 특정 문자를 입력하게 하거나, 출입구 근처에 특정 이미지를 찾고 그 이미지 내에서 특정 미션을 수행하는 형태로의 확장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인증 장치(120)는 프로세서(122), 송수신기(124) 및 메모리(126)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인증 장치(120)의 기능, 동작, 절차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사용자의 인증 등록 패턴을 메모리(126)에 저장하고 관리하며, 사용자 인증 시 계층적 영상을 이용한다. 이때 프로세서(122)는 사용자 인증 절차가 시작되면, 계층적 영상의 첫 번째 영상부터 순차적으로 영상 장치(110)로 출력하며, 각 영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가 일치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영상 장치(110)로 출력한다. 이때 프로세서(122)는 계층적 영상의 첫 번째 영상부터 마지막 영상까지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가 사용자의 인증 등록 패턴과 모두 일치할 경우, 사용자 인증 성공으로 처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자 인증 실패로 처리한다.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26)에 저장되어 있거나 로드된 명령어(instructions)를 실행하여, 앞에서 설명한 인증 장치(120)의 기능, 동작, 절차 및 방법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22)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송수신기(124)는 프로세서(122)와 연결되며, 영상 장치(110)와 통신한다.
메모리(126)는 프로세서(122)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22)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6)는 사용자의 인증 등록 패턴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메모리(126)는 프로세서(122)에서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거나 저장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명령어를 로드하여 일시 저장한다. 메모리(126)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사용자 인증 장치에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으로서,
    영상 내 각 객체에 대응하여 다른 영상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계층적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계층적 영상의 각 영상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계층적 영상의 각 영상은 직전 영상의 일 부분의 영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2. 사용자 인증 장치에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으로서,
    영상 내 각 객체에 대응하여 다른 영상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계층적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계층적 영상의 각 영상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계층적 영상의 첫 번째 영상부터 마지막 영상까지 각 영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전 정의된 계층적 인증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계층적 영상의 첫 번째 영상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장치로 출력하되, 각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 결과가 상기 계층적 인증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의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다음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계층적 영상의 첫 번째 영상부터 마지막 영상까지 상기 사용자의 선택 결과가 상기 계층적 인증 패턴과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 사용자 인증 성공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계층적 인증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서 수행해야 할 행동 미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4. 제2항에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 또는 손동작의 인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5. 제2항에서,
    상기 영상 장치는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장치인 사용자 인증 방법.
  6.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로서,
    영상 내 각 객체에 대응하여 다른 영상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계층적 영상을 영상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영상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계층적 영상의 각 영상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수신하는 송수신기, 그리고
    상기 계층적 영상의 각 영상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계층적 영상의 각 영상은 직전 영상의 일 부분의 영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
  7.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로서,
    영상 내 각 객체에 대응하여 다른 영상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계층적 영상을 영상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영상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계층적 영상의 각 영상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수신하는 송수신기, 그리고
    상기 계층적 영상의 각 영상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계층적 영상의 첫 번째 영상부터 마지막 영상까지 각 영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전 정의된 계층적 인증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계층적 영상의 첫 번째 영상부터 순차적으로 해당 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결과가 상기 계층적 인증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다음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계층적 영상의 첫 번째 영상부터 마지막 영상까지 상기 사용자의 선택 결과가 상기 계층적 인증 패턴과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 사용자 인증 성공으로 처리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계층적 인증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서 수행해야 할 행동 미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
  9. 삭제
  10.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로서,
    영상 내 각 객체에 대응하여 다른 영상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계층적 영상을 영상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영상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계층적 영상의 각 영상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수신하는 송수신기, 그리고
    상기 계층적 영상의 각 영상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의 선택 결과는 해당 객체에 대해 수행한 행동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
KR1020170019634A 2017-02-13 2017-02-13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2557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634A KR102557048B1 (ko) 2017-02-13 2017-02-13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634A KR102557048B1 (ko) 2017-02-13 2017-02-13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186A KR20180094186A (ko) 2018-08-23
KR102557048B1 true KR102557048B1 (ko) 2023-07-20

Family

ID=6345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634A KR102557048B1 (ko) 2017-02-13 2017-02-13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468A1 (ko) * 2022-08-26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들을 이용하여 인증 패턴을 등록 및 해제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703B1 (ko) * 2006-11-24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인증 시스템 그리고 그에 적용되는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디지털 컨텐츠 인증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186A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7070B2 (en) Visual data processing of response images for authentication
US10482230B2 (en) Face-controlled liveness verification
US20200211025A1 (en) Augmented reality-based virtual object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90236259A1 (en) Method for 3d graphical authentication on electronic devices
WO2018166456A1 (zh) 基于虚拟现实环境的身份认证方法及装置
US11580209B1 (e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ignatures
US20180310171A1 (en) Interactive challenge for accessing a resource
CN108108012B (zh) 信息交互方法和装置
WO2017000213A1 (zh) 活体检测方法及设备、计算机程序产品
US9547763B1 (en) Authentication using facial recognition
US11182465B2 (en) Augmented reality authentication methods and systems
EP3425847B1 (en) Captcha-based authent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P3438926A1 (en) Biodata processing device, biodata processing system, biodata processing method, biodata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biodata processing program
US202300924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judging whether to allow a mobile medium to move within a virtual space
US202100896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3d graphical authentication on electronic devices
US20180032714A1 (en) Method of Dynamically Adapting a Secure Graphical Password Sequence
CN103761460A (zh) 显示设备上的用户认证
JPWO202002203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08559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user input in virtual/augmented reality
US98116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ccess to a device for a user
KR20220116491A (ko) 눈 추적을 이용한 스푸핑 차단 방법, 시스템 및 매체
WO2017000217A1 (zh) 活体检测方法及设备、计算机程序产品
KR102557048B1 (ko)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CN111464859B (zh) 一种在线视频展示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6272688B2 (ja) 表示デバイスでのユーザー認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