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000B1 - Variable type overflow wear for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that allows free control of sewage water discharge and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Variable type overflow wear for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that allows free control of sewage water discharge and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000B1
KR102556000B1 KR1020200189885A KR20200189885A KR102556000B1 KR 102556000 B1 KR102556000 B1 KR 102556000B1 KR 1020200189885 A KR1020200189885 A KR 1020200189885A KR 20200189885 A KR20200189885 A KR 20200189885A KR 102556000 B1 KR102556000 B1 KR 102556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urification system
overflow
water purification
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8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6983A (en
Inventor
김영석
강성원
오대민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89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000B1/en
Publication of KR20220096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9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000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01D21/0033Vertical, perforated partiti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2Density control of clear liquid or sediment, e.g. optical control ; Control of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4Controlling the feed distribution; Controlling the liquid level ; Control of process parame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의 배출량 조절이 자유로운 수질정화 시스템용 가변형 월류웨어 및 이를 귀비한 수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연유하 방식의 배출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오수의 수질 변화 및 정수 처리량에 맞춰 오수의 배출량을 원활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오수에 대한 보다 세밀하고 능동적인 정화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자연유하 방식의 배출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오수의 수질 변화 및 정수 처리량에 맞춰 월류되는 오수의 배출량을 원활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오수에 대한 보다 세밀하고 능동적인 정화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침전조에서 중간 정화된 오수를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며, 상기 침전조의 후면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침전조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른 형태로 설치되되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침전조에서 중간 정화된 오수가 일정 수위를 초과하면 월류하여 내부로 유입되도록 월류부와, 상기 월류부와 상기 침전조 후면벽에 형성된 배출구를 연결하여 상기 월류부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월류부의 전측과 후측에서 오수의 월류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overflowware for a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free control of sewage discharge and a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which is based on a natural flow discharge method, but smoothly adjusts the discharge amount of sewag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quality of sewage and the amount of water treatmen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aste water more precisely and actively to purify the sewage. Based on the discharge of the natural flow method, it is possible to smoothly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the overflowing wastewater according to the change in water quality and the amount of water treatment, so that more detailed and active purification treatment of the wastewater is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discharge intermediately purified sewage from the sedimentation tank, and is installed in a form transversely crossing the upper part of the sedimentation tank at a point spaced forward from the rear wall of the sedimentation tank in the form of an open upper surface It is installed and connects the overflow part and the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rear wall of the sedimentation tank so that the sewage flowed into the sedimentation tank overflows and flows into the interior when the sewage purified in the middle in the sedimentation tank exceeds a certain water leve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guiding to be discharged through, so that the overflow of sewage can be made simultaneously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overflow portion.

Description

오수의 배출량 조절이 자유로운 수질정화 시스템용 가변형 월류웨어 및 이를 구비한 수질정화 시스템{VARIABLE TYPE OVERFLOW WEAR FOR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THAT ALLOWS FREE CONTROL OF SEWAGE WATER DISCHARGE AND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WITH THE SAME}Variable overflow wear for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free control of discharge of sewage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equipped with same

본 발명은 수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연유하 방식의 배출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오수의 수질 변화 및 정수 처리량에 맞춰 월류되는 오수의 배출량을 원활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오수에 대한 보다 세밀하고 능동적인 정화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수질정화 시스템용 가변형 월류웨어 및 이를 구비한 수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moothly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sewage overflowing according to the change in water quality and the amount of water treatment, even though it is based on natural flow discharge, so that more detailed and active treatment of sewage is possible. It relates to a variable overflowware for a water purification system capable of purification treatment and a water purif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수질정화 시스템은 생활 오·폐수나 각종 산업 폐수, 축산 폐수 등을 정화 처리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하도록 한 장치를 일컫는다. In general, a water purification system refers to a device that prevents environmental pollution by purifying and treating domestic sewage and wastewater, various industrial wastewater, and livestock wastewater.

이러한 수질정화 시스템은 단계적인 처리를 통해 오수에 포함된 주요 오염물질은 고형물질, 유기물질 그리고 질소, 인을 제거하게 된다. 예컨대, 1차 처리단계에서는 침전성이 양호한 부유물질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며, 주처리 단계인 2차 처리단계에서는 용존성 유기물 및 유기성 고형물을 처리하며, 3차 처리단계는 물리, 화학, 생물학적 처리방법을 이용하여 2차 처리에서 제거되지 않은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제거한다. This water purification system removes solid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and nitrogen and phosphorus as major contaminants contained in sewage through step-by-step treatment. For example, in the first treatment step, suspended solids with good settling properties are physically removed, in the second treatment step, which is the main treatment step, dissolved organic matter and organic solids are treated, and in the third treatment step,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treatment methods to remove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that were not removed in the secondary treatment.

여기서, 생물학적 2차 처리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활성슬러지법(activated sludge)이며, 유기물 제거율은 평균 90%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생물학적 2차 처리방법 역시 오염물질 처리에 한계가 있으므로 양질의 처리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3차 처리가 필요하다. Here,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for secondary biological treatment is the activated sludge method, and the organic matter removal rate aims at an average of 90%. However, the biological secondary treatment method that is normally operated also has limitations in treating pollutants, so the following tertiary treatment is required to maintain high quality treated water.

오수의 3차 처리는 처리 대상물질에 따라, 부유물질을 포함한 유기물질을 대상으로 할 경우 급속모래여과, 응집침전 그리고 막분리법 등이 이용되며, 영양염류중 질소를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생물학적 질화/탈질법이 이용된다. 인의 경우는 응집침전과 기타 생물학적 방법, 그리고 생물학적 질소·인 동시제거법과 이상의 변형 공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Depending on the material to be treated, the tertiary treatment of wastewater includes rapid sand filtration, flocculation sedimentation, and membrane separation for organic matter including suspended matter. denitrification is used. In the case of phosphorus, coagulation precipitation, other biological methods, biological nitrogen and phosphorus simultaneous removal methods, and more than one modification method are widely used.

이 중 급속여과법을 적용하는 수질정화 시스템의 경우에는 비교적 양질의 처리수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잦은 역세척 실시 등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일렬 배치된 혼화조 및 침전조를 따라 오수를 이동시키면서 순차 처리하는 전통적인 직렬연결 방식의 경우 처리 효율성이 떨어지고, 역세척 등의 잦은 유지관리가 필요한 침전조의 경우 혼화조에 대응하여 일대일로 연결되는 관계로 부피가 비대해지면서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Among them,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rapid filtration method is widely used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obtaining relatively high-quality treated water, but there are difficulties in maintenance such as frequent backwashing.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traditional serial connection method in which wastewater is sequentially treated while moving sewage along the mixing tanks and sedimentation tanks arranged in a row, the treatment efficiency is low, and in the case of sedimentation tanks that require frequent maintenance such as backwashing, they are connected one-to-one in response to the mixing tank. As the volume increased, maintenance was difficult.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자연유하 방식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오수의 수질 변화 및 정수 처리량에 맞춰 오수의 배출량을 원활하게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오수에 대한 정화처리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natural flow discharge 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was not easy to smoothly adjust the discharge amount of sewag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water quality and the amount of water treatment, which lowered the efficiency of purification treatment for sewage. I had no choice but to.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109398호(2006.10.2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6-0109398 (2006.10.2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유하 방식의 배출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오수의 수질 변화 및 정수 처리량에 맞춰 월류되는 오수의 배출량을 원활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오수에 대한 보다 세밀하고 능동적인 정화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수질정화 시스템용 가변형 월류웨어 및 이를 구비한 수질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moothly discharge the discharged water overflowing according to the change in water quality and the amount of water treatment while based on the discharge of the natural flow metho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overflowware for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a water purif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which can be adjusted to enable more detailed and active purification treatment for sewa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용 월류웨어는, 오수가 유입되며 벽체 상부에 유출구가 형성된 혼화조와, 유출구를 통해 상기 혼화조로부터 오수가 유입되며 내부에는 오수로부터 슬러지를 침전시키기 위한 여재를 수용하는 침전조를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상기 침전조에서 중간 정화된 오수를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며, 상기 침전조의 후면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침전조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른 형태로 설치되되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침전조에서 중간 정화된 오수가 일정 수위를 초과하면 월류하여 내부로 유입되도록 월류부와, 상기 월류부와 상기 침전조 후면벽에 형성된 배출구를 연결하여 상기 월류부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월류부의 전측과 후측에서 오수의 월류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verflowware for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xing tank in which sewage flows in and an outle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ll, and sewage flows in from the mixing tank through the outlet, and sewage is inside the mixing tank. In a water purification system including a sedimentation tank accommodating a filter medium for precipitating sludge from the sedimentation tank, it is installed to discharge intermediately purified sewage from the sedimentation tank, and the upper part of the sedimentation tank is installed at a point spaced forward from the rear wall of the sedimentation tank It is installed in a horizontally transverse form, but installed in an open top surface, so that when the intermediately purified sewage in the sedimentation tank exceeds a certain water level, it overflows and flows into the inside, and formed on the overflow portion and the rear wall of the sedimentation tank It is characterized in its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a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to guide the discharge port so that the sewage introduced into the overflow portion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by connecting the discharge port, so that sewage can flow simultaneously from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overflow portion.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면이 개방되어 일정 수위를 초과한 오수가 상기 월류부와 함께 상기 연결부의 내부로도 월류한 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connection par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is opened so that sewage exceeding a certain water level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fter flowing into the connection part together with the overflow part.

또한, 상기 월류부의 하측에서 월류부를 따라 침전조 내부공간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중간 정화된 오수를 통과시키면서 오수의 유속 및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한 다공성 격벽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orous partition wall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is installed to cross the inner space of the sedimentation tank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overflow part at the lower side of the overflow part and allows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sewage to be adjusted while passing the intermediately purified sewage. It can be characterized by what is provided.

또한, 상기 다공성 격벽은 하부 영역을 통해서만 오수가 통과하도록 하부 영역에만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ous barrier rib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holes are formed only in the lower region so that wastewater passes only through the lower region.

또한, 상기 다공성 격벽은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에서 관통공에 의한 오수의 통과 면적을 차별화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ous barrier rib may be characterized by differentiating passage areas of sewage by through-holes in an upper region and a lower region.

또한, 상기 다공성 격벽은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에서 관통공의 직경을 차별화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ous barrier rib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diameters of through holes are differentiated in an upper region and a lower region.

또한, 상기 월류웨어는 상기 월류부로부터 전방 돌출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중간 정화된 오수가 월류하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 웨어부를 더 구비하여 오수의 월류량 및 체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verflow wear is further provided with a wear portion extending from the overflow portion in a forward protruding shape and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so that the intermediately purified sewage flows into the interior, thereby increasing the overflow amount and residence time of the sewage. It can be characterized as allowing.

또한, 상기 웨어부는 상기 월류부에서 연장된 고정웨어와 상기 고정웨어의 선단부에서 상방향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 가변웨어로 이루어져서 상기 가변웨어의 틸팅각도에 따라 오수의 월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ir part is composed of a fixed weir extending from the overflow portion and a variable weir coupled to be tiltable upward at the front end of the fixed weir, so that the amount of sewage overflow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ilting angle of the variable weir. can be done with

또한, 상기 웨어부는 좌우로 이격을 두고 개별동작 가능하도록 복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ar par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m are installed so as to be individually operated at a distance from left to right.

또한, 상기 가변웨어는 수작업에 의해 수동으로 틸팅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ariable wea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tilted manually by manual work.

또한, 상기 가변웨어를 수작업에 의해 수동으로 틸팅시킬 수 있도록 레버 또는 윈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lever or a winch is installed to manually tilt the variable wear manually.

또한, 상기 가변웨어가 오수에 대한 탁도 측정을 근거로 자동으로 틸팅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by having a third actua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variable wear is automatically tilted based on the measurement of turbidity of sewage.

또한, 상기 가변웨어가 오수에 대한 탁도 측정을 근거로 자동으로 틸팅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액추에이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3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가변웨어가 자동으로 틸팅되도록 하되, 상기 가변웨어는 상기 제3액추에이터와 별도로 수작업에 의해서 수동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third actua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variable weir is automatically tilted based on the measurement of turbidity of sewage is provided so that the variable weir is automatically til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third actuato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lected to be manually tiltable by manual work separately from the third actuator.

또한, 상기 월류부와 웨어부의 상단변은 삼각 파형으로 형성되어 월류 초기에 오수의 월류가 다수의 지점에서 소량으로 시작하도록 하여 오수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overflow part and the wear part is formed in a triangular waveform, so that the overflow of sewage starts at a plurality of points in a small amount at the beginning of the overflow, thereby inducing a smooth flow of sewage.

한편, 오수가 유입되며 벽체 상부에 유출구가 형성된 혼화조; 유출구를 통해 상기 혼화조로부터 오수가 유입되며, 내부에는 오수로부터 슬러지를 침전시키기 위한 여재를 수용하는 침전조;를 포함하며, 상기 침전조에서 중간 정화된 오수를 배출하기 위해 설치된 전술된 형태의 수질정화 시스템용 월류웨어를 구비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mixing tank in which sewage flows in and an outle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ll; A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the above-described type, including a sedimentation tank into which sewage flows from the mixing tank through an outlet and containing a filter medium for precipitating sludge from the sewage, and installed to discharge intermediately purified sewage from the sedimentation tank. It is characterized by its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overflowware for use.

여기서, 상기 침전조는 상기 혼화조를 중심으로 복수 배치된 병렬연결 구조를 형성하여 유출구를 통해 상기 혼화조로부터 상기 침전조에 동시다발적으로 오수가 유입되어 수질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sedimentation tank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arallel connection structures are formed centering on the mixing tank so that sewage is simultaneously introduced into the sedimentation tank from the mixing tank through an outlet to purify water quality. .

또한, 상기 혼화조의 벽체 상부에는 상기 유량 균등 분배장치가 설치되는 유출구가 좌우로 나란히 복수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에 각각 대응하여 침전조들을 배치함으로써 혼화조에 대한 침전조의 비율을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outlets in which the flow rate equal distribution device is installed are formed side by side on the upper part of the wall of the mixing tank, and the ratio of the settling tank to the mixing tank can be expanded by arranging the settling tanks corresponding to the outlets, respectively. can be done with

또한, 상기 혼화조에 유입되는 오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제1탁도 측정센서와, 상기 침전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오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제2탁도 측정센서와, 상기 침전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의 탁도를 측정하는 제3탁도 측정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1탁도 측정센서, 제2탁도 측정센서, 제3탁도 측정센서에서 측정한 각 지점별 탁도를 고려하여 상기 수질정화 시스템용 월류웨어에 의해 배출되는 오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turbidity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urbidity of the sewage flowing into the mixing tank, a second turbidity measuring sensor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ettling tank to measure the turbidity of the sewage, and measuring the turbidity of the sludge discharged from the settling tank and a third turbidity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sewage discharged by the overflowware for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turbidity at each point measured by the first turbidity measuring sensor, the second turbidity measuring sensor, and the third turbidity measuring sensor. It may be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본 발명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은 자연유하 방식의 배출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부분적인 틸팅동작에 의해 월유에 의한 오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월류웨어를 구비하여 오수에 대한 보다 세밀하고 능동적인 정화처리가 가능하다.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discharge of the natural flow method, but has a new type of overflow ware capable of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sewage by the moon oil by a partial tilting operation, so that more detailed and active purification treatmen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월류웨어에 대한 오수의 월류가 전측과 후측에서 함께 이루어지는 동시에 다공성 격벽에 의해 오수의 흐름이 제어되면서 편류 및 단락류를 억제하고 침전조의 후단부 하부에서 사수역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of sewage to the overflow ware is carried out together on the front and rear sides, while the flow of sewage is controlled by the porous partition wall, suppressing drift and shunt flow, and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dead water in the lower part of the rear end of the settling tank.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폭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폭기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유량 균등 분배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유량 균등 분배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유량 균등 분배장치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유량 균등 분배장치, 가변형 정류모듈, 월류웨어의 구성 및 이들을 통해 이루어지는 오수의 흐름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가변형 정류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가변형 정류모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침전실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절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월류웨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월류웨어의 사시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월류웨어 가변웨어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침전조 내부의 세척수 분사장치 및 산기장치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참조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여재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여재의 적층된 상태를 보인 참조사시도
도 2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여재 카트리지의 측면도
도 2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침전조 내부의 여재 카트리지가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erator in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n aerator in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 equalization distribution device in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low equalization distribution device 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a series of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flow equalization distribution device 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ferenc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flow rate equal distribution device, a variable rectification module, and an overflowware in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low control of sewage through them
1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variable rectification module in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front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variable rectification module 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utaway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bedroom in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verflow ware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verflow ware 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are a series of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overflowware variableware 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ross-sectional reference view showing the disposition of a washing water spraying device and an air diffuser inside a settling tank in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medium in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cked state of filter media in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side view of a filter medium cartridge in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medium cartridge is accommodated in a sedimentation tank in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A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enlarged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or reduced than actu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schematic configuration.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실시예><Exampl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은 자연유하 방식을 기반으로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가운데 혼화조(100A)를 중심으로 복수의 침전조(100B)가 양편에 각각 배치된 병렬연결 구조에 의해 복수의 침전조(100B)에 오수를 동시다발적으로 분배하여 다중으로 정화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화처리 효율을 높이는 한편, 침전조(100B)에 대한 역세척 등의 유지관리를 보다 세밀하면서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low of sewage based on a natural flow method, and a plurality of sedimentation tanks 100B centered on a mixing tank 100A By simultaneously distributing sewage to a plurality of settling tanks 100B by means of a parallel connection structure disposed on both sides to perform multiple purification processes, efficiency of purification treatment is increased, while backwashing of the settling tank 100B, etc. This allows maintenance to be carried out more precisely and smoothly.

이같은 병렬연결 구조에 의하면 혼화조(100A)로 유입되는 오수를 복수의 침전조(100B)에 동시다발적으로 분배하여 정화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수 처리능력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혼화조(100A)에 연결되는 침전조(100B)의 개수 및 배치를 간단히 변경하여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 상황에 맞게 전체 시스템의 형태나 규모를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such a parallel connection structure, the sewage water flowing into the mixing tank 100A is simultaneously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sedimentation tanks 100B to be purified and discharged, thereby dramatically increasing the purification capacity.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settling tanks 100B connected to the mixing tank 100A can be simply changed and constructed,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shape or size of the entire system according to local conditions.

예컨대, 하나의 혼화조(100A)를 중심으로 침전조(100B)의 비율을 1:1에서 1:4, 또는 그 이상으로도 확장할 수 있는데, 혼화조(100A)에 대하여 2개의 침전조(100B)를 연결한다 하더라도 혼화조(100A)의 일측으로만 2개의 침전조(100B)를 배치할 수도 있고 혼화조(100A)의 타측으로만 2개의 침전조(100B)를 배치하거나 양측에 하나씩 배치하는 등의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같은 혼화조(100A) 중심의 시스템을 다수 배치하는 방법으로 전체 시스템의 규모를 간단히 변경 및 확장시켜 나가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혼화조(100A)의 벽체(101) 상부에는 유출구(101a)가 좌우로 나란히 복수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101a)에 대응하여 침전조(100B)를 배치함으로써 혼화조(100A)에 대한 침전조(100B)의 비율을 확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atio of settling tanks 100B centered on one mixing tank 100A can be expanded from 1:1 to 1:4, or even higher. Even if connected, two precipitation tanks 100B may be disposed only on one side of the mixing tank 100A, two precipitation tanks 100B may be disposed only on the other side of the mixing tank 100A, or one on both sides of the mixing tank 100A. this is possib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ply change and expand the scale of the entire system by arranging a plurality of systems centered on the mixing tank 100A. Here, a plurality of outlets 101a are formed side by side on the upper part of the wall 101 of the mixing tank 100A, and a settling tank 100B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outlets 101a, thereby setting the settling tank 100B for the mixing tank 100A. ) can be expan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은 전술된 것처럼 자연유하 방식으로 기반으로 하면서 병렬연결 구조라는 독창적인 레이아웃을 가지면서 폭기장치(110), 가변형 정류모듈(130), 유량 균등 분배장치(120), 월류웨어(140), 산기장치(150), 세척수 분사장치(160), 여재 카트리지(180M)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natural flow method as described above and has an original layout of a parallel connection structure, and includes an aerator 110, a variable rectification module 130, and an equal flow distribution device 120. ), an overflow ware 140, a diffuser 150, a washing water spraying device 160, and a filter media cartridge 180M as main components.

이하, 상기 주요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main components.

상기 폭기장치(110)는 혼화조(100A) 바닥에 설치되며 탈질용 슬러지와 폭기 발생용 공기를 동시에 분출하면서 오수의 유입과 폭기 발생 및 혼합을 한꺼번에 수행하게 된다. The aerator 11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mixing tank 100A, and simultaneously ejects sludge for denitrification and air for generating aeration, and performs inflow of sewage, generation of aeration, and mixing at the same time.

이를 위해 상기 폭기장치(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오수를 공급받는 외부 본관(111)과, 외부 본관(11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분기되어 오수를 혼화조(100A)에 분출하는 외부 분출관(111a)을 구비하여 다수의 외부 분출관(111a)을 통해 오수를 분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외부 본관(111)의 내부를 따라 이중관의 형태로 설치되며 폭기 발생용 공기를 공급받는 내부 본관(112)과, 상기 내부 본관(112)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분기되되 외부 분출관(111a)의 내부를 통해 이중관의 형태로 분기되어 혼화조(100A)에 폭기 발생용 공기를 분출하는 내부 분출관(112a)을 구비한다. To this end, the aerator 110, as shown in FIGS. 3 and 4, is branched in numb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main pipe 111 receiving sewage and the outer main pipe 111 to eject sewage into the mixing tank 100A. It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blow-out pipe (111a) to eject sewage through a plurality of external blow-off pipes (111a). On the other hand, the inner main pipe 112 installed in the form of a double pipe along the inside of the outer main pipe 111 and receiving air for generating aeration, and a plurality of branch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main pipe 112, but an external blowing pipe 111a It is branched in the form of a double pipe through the inside of the ) and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blowing pipe 112a for ejecting air for generating aeration to the mixing tank 100A.

이같은 폭기장치(110)의 구성에 따르면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외부 분출관(111a)과 내부 분출관(112a)에서 탈질용 슬러지와 폭기 발생용 공기를 동시에 분출함으로써 탈질용 슬러지와 폭기 발생용 공기를 동시에 공급할 뿐 아니라 오수에 대한 혼합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erator 110, the sludge for denitrification and the air for generating aeration are simultaneously ejected from the external blow-off pipe 111a and the inner blow-off pipe 112a having a double pipe structure, thereby simultaneously ejecting the sludge for denitrification and the air for generating aeration. In addition to supplying it, mixing of sewage can be done naturally.

상기 외부 본관(111)과 내부 본관(112)은 각각 슬러지오수와 공기의 이동방향이 반대로 형성되고, 각각의 끝단은 폐쇄하여 상기 외부 분출관(111a)과 내부 분출관(112a)을 통한 오수 및 공기의 분출이 강하게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혼합까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outer main pipe 111 and the inner main pipe 112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of movement of sludge water and air, respectively, and each end is closed to remove sewage and Air is blown out strongly, and through this, even mixing is performed smoothly.

여기서, 도 4와 같이 외부 분출관(111a)과 내부 분출관(112a)은 각각 오수분출 방향과 공기분출 방향이 혼화조(100A)의 바닥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폭기 발생용 공기의 분출로 인해 슬러지가 부상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분출관(112a)의 단부는 외부 분출관(111a)의 단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외부 분출관(111a)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로써 공기가 분출되는 내부 분출관(112a)이 슬러지로 인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양자 모두 슬러지와 공기를 원활하게 분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Here, as shown in FIG. 4, the external blowing pipe 111a and the internal blowing pipe 112a are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sewage blowing direction and the air blowing direction are directed toward the bottom of the mixing tank 100A, respectivel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a phenomenon in which sludge rises due to the ejection of air for generating aeration. And, the end of the inner blow pipe 112a is formed longer than the end of the outer blow pipe 111a so as to protrude out of the outer blow pipe 111a. This prevents the internal blowing pipe 112a through which air is ejected from being clogged with sludge, and it becomes possible to smoothly eject both sludge and air.

상기 혼화조(100A)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폭기장치(110)와 함께 교반날개(115)가 더 설치된다. 이처럼 혼화조(100A) 내 하부와 상부에 독특한 구성의 폭기장치(110)와 일반적인 교반날개(115)가 함께 설치되면 다양한 출처에서 공급되는 오수 내 슬러지를 균질화하고 산소 함유량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수의 정화처리를 위해 약품이 투입되는 경우 이들 약품이 신속히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오수 내 슬러지와 산소를 균질화하여 탈질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 stirring blades 115 are further installed in the mixing tank 100A together with an aerator 110 . In this way, when the uniquely configured aerator 110 and the general stirring blades 115 are installed in the lower and upper parts of the mixing tank 100A, the sludge in the sewage supplied from various sources can be homogenized and the oxygen content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there is. In addition, when chemicals are introduced for purification treatment of sewage, these chemicals can be rapidly and uniformly mixed.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n additional device to improve the denitrification effect by homogenizing the sludge and oxygen in the sewage.

상기 유량 균등 분배장치(120)는 혼화조(100A)의 벽체 상부에 설치되어 자연유하 방식에 의해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유량 균등 분배장치(1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 본체(121), 개폐도어(122,123) 및 제1액추에이터로 구비된 구동모터(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flow equalization distribution device 120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mixing tank 100A and serves to control the flow of sewage by a natural flow method. To this end, the flow equalization distribution device 120 includes a guide body 121, opening and closing doors 122 and 123, and a drive motor 124 provided as a first actuator, as shown in FIGS. 5 and 6 .

상기 유량 균등 분배장치(120)의 가이드 본체(121)는 혼화조(100A)의 유출구(101a) 양측부와 하부 둘레를 따라 U자형의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122,123)를 회전동작 가능하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유출구(101a)로 오수의 흐름을 안내하게 된다. The guide body 121 of the flow equalization distribution device 120 is installed in a U-shape along both sides and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outlet 101a of the mixing tank 100A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22 and 123 can be rotated. While supporting, the flow of sewage is guided to the outlet 101a.

상기 개폐도어(122,123)는 하단부가 가이드 본체(121)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어 하단부 힌지축(122d)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 본체(121)의 전면 개구부를 여닫이 개폐하며, 그 회전각도에 따라 오수의 월류가 이루어지는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유출구(101a)를 통해 침전조(100B)로 유출되는 오수의 유량을 간단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7과 같이 개폐도어(122,123)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열린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오수의 수위가 낮더라도 오수가 활발하게 개폐도어(122,123)를 월류하여 유출구(101a)로 유출되지만, 그 상태에서 도 8 및 도 9와 같이 개폐도어(122,123)가 후방으로 회전할수록 개폐도어(122,123)의 상변이 높아지면서 오수의 월류량이 점차 줄어들게 된다.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22 and 123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body 121 and rotates around the lower hinge axis 122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of the guide body 121, and waste water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Sinc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water level at which the overflow of is made, it is possible to simply control the flow rate of sewage flowing out to the sedimentation tank 100B through the outlet 101a. That is, as shown in FIG. 7,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22 and 123 are opened by rotating forward, even if the water level of the sewage is relatively low, the sewage actively overflow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22 and 123 and flows out to the outlet 101a, but in that state As shown in FIGS. 8 and 9 , a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22 and 123 rotate backward, the upper sid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22 and 123 increase, and the amount of sewage overflow gradually decreases.

여기서 상기 개폐도어(122,123)는 가이드 본체(121)의 전면 하단부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면서 그 회전각도에 따라 월류되는 오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전면 패널부(122)와, 상기 전면 패널부(122)의 측단부에 형성되어 전면 패널부(122)의 회전동작 시 가이드 본체(121)와 벌어지는 이격을 메우면서 가이드 본체(121)에 대하여 회전동작하는 전면 패널부(122)를 지지하는 측면 패널부(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도어(122,123)의 전면 패널부(122) 상변(122a)은 오수의 갑작스러운 월류를 방지하고 월류 초기에 오수의 월류가 다수의 지점에서 소량으로 시작하도록 하여 오수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삼각 파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 패널부(123)는 상단 원호에 기어치(123a)를 갖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 본체(121)에는 측면 패널부(123) 기어치(123a)에 치합되어 구동모터(124)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 어셈블리(미도시됨)가 설치된다. Her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22 and 123 are hinged to the lower front part of the guide body 121 and rotate, and the front panel part 122 to adjust the flow rate of sewage flow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and the front panel part ( 122) is formed at the side end portion of the front panel portion 122 to support the front panel portion 122 tha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guide body 121 while filling in the gap between the guide body 121 and the guide body 122 when the front panel portion 122 rotates. It consists of part 123. The upper side 122a of the front panel portion 122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22 and 123 prevents the sudden overflow of sewage and allows the overflow of sewage to start in small amounts at multiple points at the beginning of the overflow, thereby inducing a smooth flow of sewage. formed into a waveform. The side panel portion 123 is formed in a fan shape having gear teeth 123a at an upper arc, and is meshed with the gear teeth 123a of the side panel portion 123 in the guide body 121 to drive the drive motor 124. A gear assembly (not shown) providing driving force is installed.

상기 측면 패널부(123)의 외측면 상단부에는 가이드돌기(123a)를 구비하고, 가이드 본체(121)에는 상기 개폐도어(122,123)의 회전동작 시 가이드돌기(123a)의 이동을 안내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홈(121a)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개폐도어(122,123)의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홈(121a)의 양단부에는 가이드돌기(123a)에 의해 스위칭되어 개폐도어(122,123)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리미트 스위치(미도시됨)가 더 설치된다. A guide protrusion 123a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anel portion 123, and an arc-shaped guide protrusion 123a guides the movement of the guide protrusion 123a during rot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22 and 123 on the guide body 121. A guide groove 121a is formed. Thus,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22 and 123 can be smoothly performed. Limit switches (not shown) are further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121a to sense the open/close state of the doors 122 and 123 by being switched by the guide protrusion 123a.

이같은 유량 균등 분배장치(120)의 구성에서 주목할 수 있는 점은 제1액추에이터로 구비된 구동모터(124)로부터 제공받은 구동력에 의해 개폐도어(122,123)가 회전동작하여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고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인 유로 개폐방식과 달리 혼화조(100A)에서 오수가 차올라서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면 개폐도어(122,123)의 전면 패널부(122)를 오수가 월류하면서 침전조(100B)에 유출되도록 한 자연유하 방식을 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이처럼 상기 유량 균등 분배장치(120)가 자연유하 방식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혼화조(100A)에서 침전조(100B)로 오수를 운반하는데 따른 에너지 소모가 거의 없으며 오수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시스템 전체적으로 유지하는 가운데 정수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What can be not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equalization distribution device 120 is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22 and 123 are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driving motor 124 provided as the first actuator to control the flow of sewage. However, unlike the general flow path opening and closing method, when the sewage rises in the mixing tank 100A and exceeds the set water level, the natural flow of the sewage flows through the front panel 122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22 and 123 and flows into the settling tank 100B. that the method is being followed. As such, since the flow equalization distribution device 120 is based on the natural flow method, there is little energy consumption for transporting sewage from the mixing tank 100A to the sedimentation tank 100B, and the natural flow of sewage is maintained throughout the system. water treatment takes place.

이같이 자연유하 방식에 기반을 두고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량 균등 분배장치(120)의 구성에 따르면 수질정화 시스템 각 영역에서 전달되는 수질 정보에 따라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기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이를 위해 혼화조(100A)에 유입되는 오수의 탁도, 침전조(100B)의 상부의 오수에 탁도, 침전조(100B)로부터 배출되는 오수의 탁도를 고려하여 유량 균등 분배장치(120)에 의한 오수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침전조(11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배출홈(103b 도 10 참조)으로 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의 탁도를 측정하고 이때 측정된 슬러지의 탁도까지 고려하여 까지를 측정하여 유량 균등 분배장치(120)에 의한 오수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equal distribution device 120 for controlling the flow of sewage based on the natural flow method, it is very easy to control the flow of sewage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area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 To this end, the flow of sewage by the flow even distribution device 120 in consideration of the turbidity of the sewage flowing into the mixing tank 100A, the turbidity of the sewage at the top of the settling tank 100B, and the turbidity of the sewage discharged from the settling tank 100B. can be adjusted. In addition, the turbidity of the sludg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groove (103b, see FIG. 10) formed at the lower front of the settling tank 110 is measured, and the turbidity of the measured sludge is also measured to measure up to the flow rate equal distribution device 120 The flow of sewage can be regulated.

이를 위해 상기 혼화조(100A)에 유입되는 오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제1탁도 측정센서와, 상기 침전조(100B)의 상부에 설치되어 오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제2탁도 측정센서와, 상기 침전조(100B)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의 탁도를 측정하는 제3탁도 측정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1탁도 측정센서, 제2탁도 측정센서, 제3탁도 측정센서에서 각 지점별 탁도를 측정하게 된다. To this end, a first turbidity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urbidity of sewage flowing into the mixing tank 100A, a second turbidity measuring senso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ttling tank 100B to measure the turbidity of sewage, and the settling tank ( 100B) is provided with a third turbidity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urbidity of the sludge discharged, and the first turbidity measuring sensor, the second turbidity measuring sensor, and the third turbidity measuring sensor measure the turbidity at each point.

상기 유량 균등 분배장치(120)는 혼화조(100A)를 중심으로 연결되는 침전조(100B)에 대응하는 개수로 설치된다. 혼화조(100A)에 대하여 침전조(100B)가 나란히 병렬연결된 경우 혼화조(100A) 내에서 유량 균등 분배장치(120) 역시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어 개별 동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The flow equalization distribution device 120 is install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ettling tank 100B connected to the mixing tank 100A. When the sedimentation tank 100B is connected side by side with respect to the mixing tank 100A, the flow equalization distribution device 120 is also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mixing tank 100A so as to operate individually.

한편, 상기 개폐도어(122,123)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액추에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동작 할 수 있는 것에 더해 제1액추에이터와 별도로 수작업에 의해서 수동으로 회전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같은 수작업에 의해 수동조작은 간단히 레버를 이용하거나 상기 개폐도어(122,123)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윈치 조작함으로써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22 and 123 are configured to be manually rotated separately from the first actuator in addition to being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first actuator providing driving force. Manual operation by such a manual operation is possible by simply using a lever or by operating a winch by connecting a wire to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22 and 123.

상기 가변형 정류모듈(130)은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침전조(100B)에서 유출구(101a)가 형성된 전면벽과 대면하여 이격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며 유출구(101a)를 통해 침전조(100B)로 유입되는 오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다공의 고정형 정류벽(130A)과, 상기 고정형 정류벽(130A)에 대면하여 겹쳐진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다공의 가변형 정류벽(130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변형 정류벽(130B)은 고정형 정류벽(130A)을 따라 승강하면서 고정형 정류벽(130A)을 통과하는 오수의 유입 높이에 따라 오수의 분배량을 조절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10 to 13 , the variable rectification module 130 is installed vertically so as to face and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wall where the outlet 101a is formed in the settling tank 100B, and flows into the settling tank 100B through the outlet 101a. It consists of a porous fixed rectifying wall 130A tha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from inflowing sewage, and a porous variable rectifying wall 130B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hile facing the fixed rectifying wall 130A in an overlapped state. The variable rectifying wall 130B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xed rectifying wall 130A and adjusts the distribution amount of sewage according to the inflow height of the sewage passing through the fixed rectifying wall 130A.

여기서 고정형 정류벽(130A)에 형성된 제1통공(131)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와 하부에서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고정형 정류벽(130A)의 제1통공(131)을 통과하는 오수의 수압을 균등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통공(131)은 고정형 정류벽(130A) 중앙에서 좌편과 우편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좌우편으로 갈수록 달라지는 수압의 편차를 없애고 균등하게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first through hole 131 formed in the fixed rectifying wall 130A may have the same diameter at the top and bottom as shown in FIGS. 11 to 13, but preferably has a gradually larger diameter toward the bottom. The water pressure of sewage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31 of the fixed rectifying wall 130A can be equally adjust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through hole 131 is formed to have a gradually larger diameter from the center of the fixed rectifying wall 130A toward the left and right sides, eliminating the deviation of the water pressure that changes toward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adjusting it equally. .

상기 가변형 정류벽(130B)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형 정류벽(130A)에 비해 상하 폭이 좁은 것으로 구비되며, 가변형 정류벽(130B)에 형성된 제2통공(132)의 경우에도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단,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가변형 정류벽(130B)이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고정형 정류벽(130A)과 가변형 정류벽(130B)에 각각 형성된 제1통공(131)과 제2통공(132) 간에 크기 및 위치가 일치한 상태로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가변형 정류벽(130B)이 완전히 하강하여 제1통공(131)과 제2통공(132)을 완전히 연통되도록 일치시킴으로써 슬러지를 거르기보다는 오수를 자유롭게 통과시킬 수 있으며,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제1통공(131)과 제2통공(132)을 일부만 연통되도록 하여 통과하는 오수를 자유롭게 통과시키기 보다는 유량을 제한하면서 슬러지를 걸러내는데 중점을 둘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S. 11 to 13 , the variable rectifying wall 130B has a narrower vertical width than the fixed rectifying wall 130A, and even in the case of the second through hole 132 formed in the variable rectifying wall 130B. It is formed to have a gradually larger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However, as shown in FIG. 11, when the variable rectifying wall 130B is completely lowered,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13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32 formed in the fixed rectifying wall 130A and the variable rectifying wall 130B, respectively. It is desirable to communicate with the size and position match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variable rectifying wall 130B completely descends and aligns the first through hole 13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32 so that they are in complete communication, so that sewage can freely pass through rather than filtering sludge, as shown in FIGS. 12 and 13 As shown in , the emphasis may be placed on filtering out the sludge while limiting the flow rate rather than freely passing the passing sewage by partially communicating the first through hole 13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32.

한편 상기 가변형 정류벽(130B)은 하강하였을 때 하단부(133)가 고정형 정류벽(130A)의 하단부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침전조(100B)의 바닥에 밀접하게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침전조(100B)의 바닥은 슬러지 세척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양측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V자형 골을 구비한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변형 정류벽(130B)의 하단부 역시 침전조(100B)의 바닥에 대응하여 양측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하측으로 돌출된 완만한 삼각돌기 형성으로 형성된다. Meanwhile, when the variable rectifying wall 130B descends,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133 protrudes more downward than the lower end of the fixed rectifying wall 130A so a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sedimentation tank 100B. Here, since the bottom of the settling tank 100B is formed in a cross-section with V-shaped valleys that deepen from both sides to the center to facilitate sludge washing and discharge, the lower end of the variable rectifying wall 130B is also of the settling tank 100B. Corresponding to the bottom, it is formed by forming a gentle triangular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both sides toward the center.

이처럼 고정형 정류벽(130A)과 가변형 정류벽(130B)이 하나로 조합되어 이루어진 가변형 정류모듈(130)의 구성에 따르면 고정형 정류벽(130A)을 높이별로 통과하는 오수의 유량 비율 및 유속을 조절하면서 오수 유입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상부, 중부, 하부에서 오수의 균등분배를 유도하는 것은 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가변형 정류벽(130B)이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오수의 유입을 차단하고, 중부에서는 오수의 유입을 허용하여 편차분배를 유도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처럼 가변형 정류모듈(130)의 경우 상황에 맞춰 오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rectification module 130 formed by combining the fixed rectifying wall 130A and the variable rectifying wall 130B as one, while adjusting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sewage passing through the fixed rectifying wall 130A by height, It is possible to properly control the inflow amount. This not only induces equal distribution of sewage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but also blocks the inflow of sewage while the variable rectifying wall (130B) moves to the upper part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allows the inflow of sewage in the middle to allow devia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duce distribution. As such, in the case of the variable rectification module 130, the amount of sewage inflow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여기서 상기 가변형 정류벽(130B)이 승강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액추에이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2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가변형 정류벽(130B)이 자동으로 승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동시 상기 가변형 정류벽(130B)은 상기 제2액추에이터와 별도로 수작업에 의해서 수동으로 승강 가능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액추에이터로는 간단히 모터, 유압실린더, 와이어 및 윈치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수작업의 경우 레버나 윈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Here, a second actuator may be provided to provide a driving force so that the variable rectifying wall 130B moves up and down, so that the variable rectifying wall 130B automatically moves up and dow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actuator.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variable rectifying wall 130B is configured to be manually selected to be moved up and down separately from the second actuator. The second actuator may be simply provided with a motor, a hydraulic cylinder, a wire, a winch, or the like, and in the case of manual operation, a lever or a winch may be used.

상기 월류웨어(140)는 침전조(100B)에서 중간 정화된 오수를 자연유하 방식에 의해 거의 에너지 소모 없이 자연스럽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월류웨어(140)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월류부(143)와 연결부(144), 웨어부(142) 및 다공성 격벽(141)으로 이루어진다. The overflow ware 140 is configured to naturally discharge the filthy water intermediately purified in the settling tank 100B by a natural flow method without consuming almost no energy. As shown in FIGS. 14 and 15 , the overflow weir 140 includes an overflow portion 143, a connection portion 144, a wear portion 142, and a porous partition wall 141.

상기 월류웨어(140)에서 월류부(143)는 침전조(100B)의 후면벽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침전조(100B)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다. 이로써 침전조(100B)에서 중간 정화된 오수가 일정 수위를 초과하면 월류부(143)의 상단변을 월류하여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144)는 월류부(143)와 배출구(102a)를 연결하여 상기 월류부(143)를 월류하여 유입된 오수가 배출구(102a)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상면이 개방되어 일정 수위를 초과한 오수가 월류부(143)와 함께 연결부(144)의 내부로도 월류한 후 배출구(102a)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류부(143)와 연결부(144)를 구비하는 월류웨어(140)의 구성에서 월류부(143)가 침전조(100B)의 후면벽(102)에 일체로 구비되지 않고 후면벽(102)의 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 구비된 것에 주목할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침전조(100B)에서 중간 정화된 오수의 월류가 월류부(143)의 전측으로만이 아니라 후측에서도 이루어진다. In the overflow wear 140, the overflow part 143 is installed across the top of the sedimentation tank 100B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rear wall of the sedimentation tank 100B, and is formed in an open top surface. As a result, when the intermediately purified sewage in the settling tank 100B exceeds a certain water level, it flows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overflow part 143 and is introduced. The connection part 144 serves to connect the overflow part 143 and the outlet 102a to guide the wastewater flowing in through the overflow part 143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02a. Sewage exceeding a certain water level is allowed to flow into the connection part 144 together with the overflow part 143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2a. In the configuration of the overflow ware 140 having the flow part 143 and the connection part 144, the overflow part 143 is not integrally provided on the rear wall 102 of the sedimentation tank 100B, but forward of the rear wall 102 It can be noted that it is provided at a spaced poin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0, the overflow of the intermediately purified sewage in the settling tank 100B is carried out not only to the front side of the overflow part 143 but also to the rear side.

나아가, 상기 월류웨어(140)에는 월류부(143)의 하측에서 월류부(143)를 따라 침전조(100B) 내부공간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다공성 격벽(141)이 더 구비된다. 상기 다공성 격벽(141)에는 중간 정화된 오수를 통과시키면서 오수의 유속 및 유량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141a)이 형성된다. 이처럼 월류부(143)의 하측으로 다공성 격벽(141)이 설치된 구성에 따르면 월류부(143)의 하측에서 흐르는 오수의 흐름에 대해 편류 및 단락류를 억제하고 침전조(100B)의 후단부 하부에 형성되는 사수역을 최소화하게 된다. Furthermore, the overflow ware 140 further includes a porous partition wall 141 installed to transversely cross the inner space of the settling tank 100B along the overflow portion 143 from the lower side of the overflow portion 143.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41a are formed in the porous barrier 141 to uniformly control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sewage while passing the intermediately purified sewag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rous partition wall 141 is installed below the overflow part 143, drift and shunt flow of the sewage flow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overflow part 143 are suppressed and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rear end of the settling tank 100B. It will minimize the dead water area.

여기서 상기 다공성 격벽(141)은 관통공(141a)이 상부와 하부 영역에서 일률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에서 관통공(141a)에 의한 오수의 통과 면적을 차별화하거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에서 관통공(141a)의 직경을 차별화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영역에만 관통공(141a)을 집중 형성시킴으로써 하부 영역에서의 오수의 흐름을 강하게 하고 이를 통해 편류 및 단락류를 억제하고 침전조(100B)의 후단부 하부에 형성되는 사수역을 최소화하는 영향력을 보다 강화할 수도 있다. Here, in the porous partition wall 141, the through-holes 141a are not uniformly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regions, and the through-holes 141a differentiate the passage area of sewage in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r the upper and lower regions. It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41a is differentiated. 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drawing, by concentrating through-holes 141a only in the lower region, the flow of sewage in the lower region is strengthened, thereby suppressing drift and shunt flow, and a dead water area formed below the rear end of the sedimentation tank 100B. The influence that minimizes can be further strengthened.

다만, 위와 같은 다공성 격벽(141)의 구성은 침전조(100B)에 내부에 조성되는 다양한 환경들을 고려하여 오수의 흐름이 균일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조절하는 방향으로 행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porous partition wall 141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in a direction of controlling the flow of sewage to be uniform and smooth in consideration of various environments created inside the settling tank 100B.

상기 월류웨어(140)는 상기 월류부(143)로부터 전방 돌출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고정웨어(142a) 및 가변웨어(142b)로 이루어진 웨어부(142)를 더 구비한다. 이같은 고정웨어(142a) 및 가변웨어(142b)는 상면이 개방되며 형태적으로 앞서 설명된 월류부(143)나 연결부(144)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상기 웨어부(142)는 월류부(143)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뻗어 있는 형태를 갖고 침전조(100B) 내부에서 중간 정화된 오수의 월류량 및 체류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overflow wear 140 extends from the overflow portion 143 in a forward protruding shape and further includes a wear portion 142 composed of a fixed wear 142a and a variable wear 142b. The upper surfaces of the fixed wear 142a and the variable wear 142b are open and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verflow portion 143 or the connection portion 144 described above in form. However, the wear part 142 has a form extending forward from the overflow part 143 and is configured to adjust the overflow amount and residence time of the intermediately purified sewage inside the settling tank 100B.

이에 더해 가변웨어(142b)가 고정웨어(142a)에 대하여 상방향 틸팅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오수의 월류량을 능동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웨어부(142)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월류부(143)에서 연장된 고정웨어(142a)와 고정웨어(142a)의 선단부에서 상방향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 가변웨어(142b)로 이루어진다. 도 15의 확대부를 통해 상기 고정웨어(142a)와 가변웨어(142b)의 결합부위를 자세히 살펴보면 고정웨어(142a)의 선단부 상단과 가변웨어(142b)의 후단부 상단에 핀결합되도록 쌍을 이루어 형성된 링(142c)을 구비하고 있으며, 가변웨어(142b)의 후단부 하단에는 틸팅동작시 고정웨어(142a)와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측면 및 하면에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된 누수방지부(142d)를 더 구비한다. In addition, since the variable weir 142b is configured to allow an upward tilt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weir 142a, it is also possible to actively adjust the overflow amount of sewage. That is, as shown in FIGS. 15 to 17, the wear portion 142 includes a fixed wear 142a extending from the overflow portion 143 and a variable wear coupled to be tiltable upward at the front end of the fixed wear 142a ( 142b). Looking closely at the joint between the fixed wear 142a and the variable wear 142b through the enlarged portion of FIG. 15, a pair is formed to be pin-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end of the fixed wear 142a and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variable wear 142b. A ring 142c is provided, an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variable wear 142b, a leak prevention portion 142d extending in a fan shape is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and bottom to prevent a gap from occurring with the fixed wear 142a during the tilting operation. provide

이처럼 상기 가변웨어(142b)가 틸팅 가능하도록 한 구성에 따르면 가변웨어(142b)의 틸팅각도에 따라 오수의 월류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가변웨어(142b)를 상방향으로 틸팅하면 가변웨어(142b) 중 수면 위로 위치하는 부위에는 월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월류량을 줄일 수 있으며, 반대로 가변웨어(142b)를 상방향 틸팅시키지 않으면 가변웨어(142b)는 월류부(143) 및 고정웨어(142a)와 같은 높이에서 오수의 월류를 허용하면서 더 많은 월류가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이처럼 가변웨어(142b)의 틸팅각도에 따라 오수의 월류량 및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오수가 유입되는 가변웨어(142b)의 선단부를 들어 올려 오수의 수면 상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월류웨어(140)를 통한 오수의 배출량은 70% 수준이 된다. 여기서 가변웨어(142b)를 더 들어 올리면 오수의 배출량은 그보다 더 줄어들게 된다. 반대로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가변웨어(142b)를 내려서 고정웨어(142a)와 일직선이 되면서 오수의 배출량을 100% 수준이 된다. 이처럼 가변웨어(142b)의 틸팅각도에 따른 오수의 배출은 침전조(100B)에 수용된 오수의 수위 변동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오수의 수위를 고려하여 가변웨어(142b)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가변웨어(142b)의 틸팅동작을 위한 제3액추에이터는 간단히 가변웨어(142b)의 회전축(힌지축)과 연결된 간단히 모터나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variable wear 142b is tiltabl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overflow amount of sewage according to the tilting angle of the variable wear 142b. That is, when the variable weir 142b is tilted upward, the amount of overflow can be reduced without overflowing in the portion of the variable weir 142b located above the water surface. Otherwise, the variable weir 142b allows more overflow while allowing sewage to overflow at the same height as the overflow part 143 and the fixed weir 142a. As such, the overflow amount and discharge amount of sewag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ilting angle of the variable wear 142b.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by lifting the front end of the variable weir 142b through which sewage flows in and placing it on the surface of the sewage water, the amount of sewage discharged through the overflow weir 140 becomes 70%. Here, if the variable weir 142b is further lifted, the amount of sewage discharged is further reduced. Conversely, as shown in FIG. 16, the variable weir 142b is lowered so that it is in a straight line with the fixed weir 142a, and the discharge of sewage becomes 100%. As such, since the discharge of sewage according to the tilting angle of the variable weir 142b vari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sewage contained in the settling tank 100B, the tilting angle of the variable weir 142b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water level. Here, the third actuator for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variable wear 142b may be provided as a simple motor, hydraulic cylinder, pneumatic cylinder, etc., simp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hinge axis) of the variable wear 142b.

나아가 상기 가변웨어(142b)는 상기 제3액추에이터와 별도로 수작업에 의해서 수동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선택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수작업에 의한 수동조작을 위해 레버 또는 윈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윈치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가변웨어(142b)에 와이어가 연결된다.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variable wear 142b is configured to be manually tiltable separately from the third actuator. A lever or a winch may be installed for such manual manipulation, and when the winch is used, a wire is connected to the variable wear 142b.

또한, 와이어와 윈치를 와 한편, 상기 월류부(143)와 웨어부(142)의 상단변은 삼각 파형으로 형성되어 월류 초기에 오수의 월류가 다수의 지점에서 소량으로 시작하도록 하여 오수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도록 한다. In addition, with the wire and the winch, 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s of the overflow part 143 and the wear part 142 are formed in triangular waveforms so that the overflow of sewage starts in small amounts at multiple points at the beginning of the overflow, so that the sewage flows smoothly to induce

더욱이 상기 웨어부(142)는 좌편과 우편에서 개별동작 가능하도록 복수 설치된다. 이처럼 상기 웨어부(142)가 좌편과 우편에서 개별동작 가능하도록 복수 설치되면 오수의 배출량을 보다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같은 방식으로 웨어부(142)는 3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Furthermore, a plurality of wear parts 142 are installed so as to be individually operable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In this way, if a plurality of wear parts 142 are installed so as to be individually operable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it is possible to more freely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sewage. In this way, three or more wear units 142 may be installed.

한편, 상기 혼화조(100A)로부터 유입되는 오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제1탁도 측정센서와, 상기 침전조(100B)의 상부에 설치되어 오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제2탁도 측정센서와, 상기 침전조(100B)의 바닥 배출홈(103b)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의 탁도를 측정하는 제3탁도 측정센서에서 측정한 각 지점별 오수의 탁도를 고려하여 상기 유량 균등 분배장치(120)에 의한 오수의 흐름제어, 상기 고정형 정류벽(130A) 및 가변형 정류벽(130B)으로 이루어진 가변형 정류모듈(130)에 의한 오수의 유입 위치별 분배량 조절, 상기 월류웨어(140)에 의한 오수의 배출량 조절을 함으로써 오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고 오수에 대한 정화효율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first turbidity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urbidity of sewage flowing from the mixing tank 100A, a second turbidity measuring sensor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edimentation tank 100B to measure the turbidity of sewage, and the precipitation tank ( Control of the flow of sewage by the flow equal distribution device 120 in consideration of the turbidity of sewage at each point measured by the third turbidity sensor measuring the turbidity of the sludge discharged from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03b of 100B), The flow of sewage by adjusting the distribution amount of sewage for each inflow position by the variable rectification module 130 composed of the fixed rectifying wall 130A and the variable rectifying wall 130B an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sewage discharged by the overflow wear 140 can be maintained smoothly and the purification efficiency for sewage can be maintained in the best condition.

상기 세척수 분사장치(160)는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침전조(100B)의 후면벽과 좌우측면벽 상부에서 하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세척수 분사장치(160)는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후면벽과 좌우측면벽 각각의 상부에서 관형의 몸체를 갖고 수평하게 설치되며, 관형의 몸체 하측으로는 세척수를 하방 분사할 수 있도록 한 세척수 분사노즐(161)을 다수 구비한다. 이처럼 침전조(100B)의 좌측면벽, 우측면벽 및 후면벽에 기다란 형태의 세척수 분사장치(160)가 설치되면 좌측면벽, 우측면벽 및 후면벽을 따라 입체적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침전조(100B)의 벽체로부터 바닥(103)에 이르기까지 침적된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침전조(100B)의 좌측면벽 및 우측면벽에 설치된 세척수 분사장치(16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좌측면벽 및 우측면벽을 따라 흐른 후 침전조(100B)의 바닥(103)을 따라 좌측과 우측에서 V자형 골에 가장 깊은 곳인 중앙부로 모이며, 침전조(100B)의 후면벽에 설치된 세척수 분사장치(16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후면벽을 따라 흐른 후 침전조(100B)의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103)을 따라 바닥 전면에 형성된 세척용 배출구(104)를 향해 흐르게 된다. 이처럼 세척수 분사장치(160)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침전조(100B)의 좌측면벽, 우측면벽 및 후면벽을 따라 슬러지와 함께 흐른 뒤 침전조(100B)의 바닥에서 중앙부로 모인 후 세척수와 슬러지는 침전조(100B) 바닥 전면에 형성된 세척용 배출구(104)와 공용배관(105)을 통해 배출 및 이송된다. As shown in FIG. 18, the washing water spraying device 160 is installed to spray washing water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rear wall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settling tank 100B. The washing water spraying device 160 is horizontally installed with a tubular body at the top of each of the rear wall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 to spray the washing water downward to the lower part of the tubular body. (161) is provided. In this way, when the elongated washing water spraying device 160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wall, right side wall and rear wall of the settling tank 100B, the wall of the settling tank 100B is formed by the washing water sprayed three-dimensionally along the left side wall, right side wall and rear wal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and discharge the sludge deposited from the bottom 103 to the bottom 103.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washing water injection device 160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settling tank 100B flows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then along the bottom 103 of the settling tank 100B in a V-shap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t gathers in the central part, which is the deepest part of the valley, and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washing water spraying device 160 installed on the rear wall of the settling tank 100B flows along the rear wall and then descends to the bottom 103 that slopes downward toward the front of the settling tank 100B. It flows toward the outlet 104 for washing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loor along the . In this way,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washing water injection device 160 flows together with the sludge along the left side wall, right side wall and rear wall of the settling tank 100B, and then collects from the bottom to the center of the settling tank 100B. ) It is discharged and transported through the washing outlet 104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loor and the common pipe 105.

상기 세척수 분사장치(160)에서 세척수가 분사될 때 침적된 슬러지에 대한 세척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침전조(100B)의 바닥(103)은 양측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V자형 골을 구비한 단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에 더해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세척수 분사장치(160)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침전조(100B)의 좌측면벽, 우측면벽 및 후면벽을 따라 슬러지와 함께 흐른 뒤 침전조(100B)의 바닥에서 중앙부로 모인다. 이후 세척수와 슬러지는 침전조(100B) 바닥 전면에 형성된 세척용 배출구(104)와 공용배관(105)을 통해 배출 및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침적 조(100B)의 바닥(103)은 양측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V자형 골을 구비할 뿐 아니라 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세척수 및 슬러지의 배출을 돕게 된다. In order to increase the cleaning effect on the sludge deposited when the washing water spraying device 160 sprays, the bottom 103 of the settling tank 100B has a cross section with V-shaped valleys that deepen from both ends to the center. is form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washing water injection device 160 flows together with the sludge along the left, right and rear walls of the settling tank 100B, and then collects from the bottom of the settling tank 100B to the center. Thereafter, the washing water and sludge are discharged and transported through the washing discharge port 104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settling tank 100B and the common pipe 105. Here, the bottom 103 of the immersion tank 100B not only has V-shaped valleys that deepen from both ends to the center, but also slopes downward toward the front, helping to discharge washing water and sludge.

여기서, 상기 침전조(100B)의 바닥에는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전면에 형성된 슬러지 배출홈(103b)까지 연결되어 슬러지의 흐름이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103a)이 더 형성된다. 도면에서 가이드홈(103a)의 형상이 반원형 단면으로 도시되었으나 사각형 단면도 가능하다. 그리고 그 외 슬러지의 흐름만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Here, at the bottom of the settling tank 100B, as shown in FIG. 18, a guide groove 103a is further formed to guide the sludge flow by being connected to the sludge discharge groove 103b formed on the front side. In the drawing,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 103a is shown as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but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also possible. In addition, if only the flow of sludge can be made smoothly, it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상기 산기장치(150)는 침전조(100B)의 바닥에서 폭기 발생을 위하여 설치된다. 상기 산기장치(150)는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로 공기가 유통되는 중공의 관이 망형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몸체로 형성되며, 상기 망형의 몸체에는 상측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분사공(151)이 구비된다. 상기 산기장치(150)가 침전조(100B)의 바닥(103)에 놓여 설치된 모습을 살펴보면 도 5와 같이 양단부가 침전조(100B) 바닥의 양측단부에 걸쳐지는 폭으로 형성되어 산기장치(1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침전조(100B) 바닥(103)의 V자형 골을 통해 슬러지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The diffuser 150 is installed to generate aeration at the bottom of the settling tank 100B. As shown in FIG. 14, the diffuser 150 is formed of a body formed by connecting hollow tubes through which air is circulated in a mesh shape, and a plurality of air spray holes for spraying air upward in the mesh body. (151) is provided. Looking at the installation of the diffuser 150 placed on the bottom 103 of the settling tank 100B,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the sludge is movable through the V-shaped valley of the bottom 103 of the settling tank 100B.

상기 산기장치(150)는 침전조(100B) 바닥(103)을 전후방향으로 연하여 덮을 수 있도록 복수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속 배치된다.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단차를 두고 수평하게 놓인 상태로 배치된다. 이로써 산기장치(150)는 여재(170)가 프레임 케이싱(180)에 대량으로 적재되어 이루어진 여재 카트리지(180M)를 하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받침대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The diffuser 150 is provided in plurality to cover the bottom 103 of the settling tank 100B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is continuously dispos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y are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placed horizontally with a step differenc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diffuser 150 can also serve as a pedestal for stably supporting the filter medium cartridge 180M formed by loading a large amount of the filter medium 170 in the frame casing 180 from the lower side.

이처럼 산기장치(150)는 상측으로 폭기를 발생시켜 적층된 여재(170)에 침적되어 있는 입자성 부유물질과 여기에 포함된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여재(170)로부터 이탈시켜 침전되도록 하며, 세척수 분사장치(160)는 침전조(100B) 벽면을 따라 세척수를 강하게 분사하여 침전조(100B) 벽면과 바닥(103)에 침적된 슬러지를 이탈시키고 여재(170)에서 이탈된 물질들과 함께 세척용 배출구(104)를 통해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As such, the diffuser 150 generates aeration upward to separate the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and the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contained therein from the filter medium 170 so that they are precipitated, and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he device 160 strongly sprays washing water along the walls of the settling tank 100B to separate the sludge deposited on the walls and bottom 103 of the settling tank 100B, and the cleaning outlet 104 together with the materials separated from the filter media 170. ) through which it is induced to be discharged.

수질정화용 여재(170)는 수질정화 시스템의 침전조(100B)에 충전되어 오수에 포함된 입자성 부유물질을 침전시키면서 부유물질에 포함된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도 19에 도시된 벌지형 여재(170A)와 할로우형 여재(170B)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벌지형 여재(170A)와 할로우형 여재(170B)를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filter medium 170 for water purification is a member that is charged in the sedimentation tank 100B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serves to precipitate particulate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sewage and remove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contained in the suspended matter, as shown in FIG. It is made of any one of the illustrated bulge-type filter medium 170A and the hollow-type filter medium 170B, or includes both the bulge-type filter medium 170A and the hollow-type filter medium 170B.

상기 벌지형 여재(170A)는 몸체가 말려 있는 코일형으로 형성되되 다른 부위에 비해 불룩하게 불거진 불룩부(171)를 구비하는 벌지형으로 형성되며, 몸체가 말려 있는 코일형으로 형성되되 다른 부위에 비해 움푹하게 꺼진 오목부(172)를 구비하는 할로우형 여재(170B)에 대응하여 적층된다. 여기서, 상기 벌지형 여재(170A)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길이가 길어지면 불룩부(171)가 이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반복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bulge-type filter media 170A is formed in a coil shape in which the body is rolled up, but is formed in a bulge shape having a bulge portion 171 that is more bulging than other parts, and is formed in a coil shape in which the body is rolled up, but is formed in a different part. It is laminated to correspond to the hollow-type filter medium 170B having a concave portion 172 that is recessed compared to the other. Here, the bulge-type filter medium 170A is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 but when the length is increased, the bulge 171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bulges 171 are spaced apart and repeatedly formed periodically.

한편, 상기 할로우형 여재(170B)는 몸체가 말려 있는 코일형으로 형성되되 다른 부위에 비해 움푹하게 꺼진 오목부(172)를 구비하는 할로우형으로 형성된다. 이같은 할로우형 여재(170B)는 전술된 벌지형 여재(170A)의 적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벌지형 여재(170A)와 교번하여 대응하는 형태로 적층된다. 여기서, 상기 할로우형 여재(170B)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길이가 길어지면 오목부(172)가 이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반복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ollow-type filter medium 170B is formed in a coil shape in which the body is rolled, but is formed in a hollow shape having a concave portion 172 that is recessed compared to other parts. Such a hollow-type filter medium 170B is made to improve the stackability of the aforementioned bulge-type filter medium 170A, and is alternately stacked with the bulge-type filter medium 170A in a corresponding form. Here, the hollow-type filter medium 170B is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concave portions 172 are spaced apart and repeatedly formed periodically when the length is increased.

벌지형 여재(170A)와 할로우형 여재(170B)를 교번하여 적층시키면 도 20 내지 도 22에 에 도시된 것처럼 벌지형 여재(170A)의 불룩부(171)와 할로우형 여재(170B)의 오목부(172)가 서로 교합된 상태가 되면서 웬만해서는 적층된 상태가 흐트러지거나 붕괴되지 않는 안정된 적층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여재(170) 간 적층 안정성이 높아지면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침전조(100B) 내 적층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도 21과 같이 대량의 여재(170)를 프레임 케이싱(180)에 미리 적층시켜 여재 카트리지(180M)를 구성함으로써,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침전조(100B)의 세척, 여재(170)의 신규 반입 및 교체 시 대량의 여재(170)를 취급하는 일이 매우 편리해진다. 또한, 여재(170)의 적층이 매우 규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여재(170)의 적층 더미에 규칙적인 틈새가 형성된다. 그러면 산기장치(150)에서 발생된 폭기가 그 틈새들을 통해 균일하게 침투하면서 몸체 표면에 활발하게 접촉하게 되어 폭기에 의한 여재(170)의 세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When the bulge-type filter media 170A and the hollow-type filter media 170B are alternately stacked, as shown in FIGS. As the 172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 stable laminated structure is formed in which the stacked state is not disturbed or collapsed. In this way, when the stacking stability between the filter media 170 is increased, the amount of stacking in the sedimentation tank 100B can be increased 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as shown in FIG. By configuring the filter medium cartridge 180M, it is very convenient to handle a large amount of filter medium 170 when periodically washing the settling tank 100B and carrying in and replacing the filter medium 170 with new ones. In addition, since the filter media 170 is stacked very regularly, regular gaps are formed in the piles of the filter media 170 stacked. Then, the aeration generated by the diffuser 150 uniformly penetrates through the gaps and actively contacts the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filter medium 170 is effectively cleaned by aeration.

상기 수질정화용 여재(170)와 함께 여재 카트리지(180M)를 구성하는 프레임 케이싱(180)은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여재(170)를 적층시켜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수평 종방향 및 횡방향, 상하방향으로 프레임들을 연결시켜 만든 골격 구조를 이루면서 상면과 측면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프레임 케이싱(180)의 바닥은 오수가 유통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으나 적재된 여재(17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망으로 구비된다. 이처럼 여재(170)의 적재를 위한 프레임 케이싱(180)을 구비하면 침전조(100B)에 여재(170)를 일일이 투입하여 적층시키는 대신 공장에서 제조 시부터 프레임 케이싱(180)에 여재(170)를 적층시킨 형태로 여재 카트리지(180M)를 마련함으로써 대량의 여재(170)를 카트리지(180M) 형태로 간단히 침전조(100B)에 반입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침전조(100B) 및 여재(170)를 세척하거나 여재(170)를 교체하는 경우에 침전조(100B)에서 여재(170)를 일일이 꺼내는 것이 아니라 대량의 여재(170)가 프레임 케이싱(180)에 적층된 여재 카트리지(180M) 단위로 단번에 반출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S. 21 and 22, the frame casing 180 constituting the filter media cartridge 180M together with the filter media 170 for water purification is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filter media 170 by stacking them in a horizontal, longitudinal and It forms a skeleton structure made by connecting frame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nd has an open top and side surface. 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frame casing 180 is open to allow sewage to flow, but is provided with a net to stably support the loaded filter media 170 . In this way, if the frame casing 180 for loading the filter media 170 is provided, the filter media 170 is stacked on the frame casing 180 from the time of manufacture in the factory instead of inserting and stacking the filter media 170 one by one in the settling tank 100B. By providing the filter medium cartridge 180M in the form of a cartridge 180M, a large amount of filter medium 170 can be simply carried into the settling tank 100B in the form of a cartridge 180M. Thereafter, when washing the settling tank 100B and the filter medium 170 or replacing the filter medium 170, a large amount of filter medium 170 is stacked on the frame casing 180 instead of taking out the filter medium 170 from the settling tank 100B one by one. It can be taken out and processed at once in units of the filter medium cartridge (180M).

이처럼 프레임 케이싱(180)에 의해 대량의 여재(170)가 적층된 형태로 여재 카트리지(180M)를 구성하게 되면 카트리지(180M) 단위로 대량의 여재(170)를 관리하기 편리해진다. 여기서 프레임 케이싱(180)은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침전조(100B) 내에서 여재 카트리지(180M)가 서로 대면하여 연접한 형태로 치밀하게 수용되기 적합하기 때문이다. 도면에 따르면 침전조(100B)에 수용된 여재 카트리지(180M)가 산기장치(150) 위에 올려진 형태로 도시되었는데, 침전조(100B)에 수용되는 여재 카트리지(180M)는 아래 놓이는 산기장치(150)의 크기 및 형태, 침전조(100B)에서 허용되는 내부 공간의 크기, 오수의 흐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무작정 동일한 크기의 것으로 구비되는 것보다는 크기 및 배치 간격에 변화를 주어 효율화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filter medium cartridge 180M is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large amount of filter media 170 is stacked by the frame casing 180, it is convenient to manage the large amount of filter media 170 in units of cartridges 180M. Here, the frame casing 180 is preferably mad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ecause it is suitable for the filter media cartridges 180M to be closely accommodated in a connected form facing each other in the settling tank 100B as shown in FIG. 22 . According to the drawing, the filter medium cartridge 180M accommodated in the settling tank 100B is shown in a form placed on the diffuser 150, and the filter medium cartridge 180M accommodated in the settling tank 100B is the size of the diffuser 150 placed below. And the shape, the size of the inner space allowed in the settling tank 100B, the flow of sewage, etc. can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and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changing the size and arrangement interval rather than being provided with the same size.

상기 수질정화용 여재(170)의 몸체는 오수에 포함된 입자성 부유물질의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흡착하는 것은 물론, 미생물 성장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공극률 50~90%인 다공성 재질의 몸체로 구비되며, 플라스틱 소재를 비롯하여 황산반토, 철염, 석회, 고분자 응집제 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침전조(100B)에 유입되는 오수에 대해 입자성 부유물질과, 영양염류에 대해 생물학적 반응과 물리·화학적 반응으로 침적시켜 제거하기 위한 여재(170)의 기능, 소재 및 재질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개시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41755호(2004.07.15.)에 공지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The body of the water purification filter medium 170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having a porosity of 50 to 90% to adsorb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of particulate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the sewage, as well as to provide a microbial growth environment, It may be made of any one of plastic material, alumina sulfate, iron salt, lime, and polymer coagulant. As such,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the function, material, and material of the filter medium 170 for depositing and removing particulate suspended matter and nutrients from sewage flowing into the settling tank 100B through biological and physical/chemical reaction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41755 (July 15, 2004) disclosed by the above can be referred to.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s of the following claims.

100A: 혼화조 100B: 침전조
110: 폭기장치 120: 유량 균등 분배장치
130: 가변 정류모듈 140: 월류웨어
150: 산기장치 160: 세척수 분사장치
170: 여재 170A: 벌지형 여재
170B: 할루우형 여재 180: 프레임 케이싱
100A: mixing tank 100B: sedimentation tank
110: aerator 120: flow equalization device
130: variable rectification module 140: overflow wear
150: diffuser 160: washing water spraying device
170: filter medium 170A: bulge-type filter medium
170B: hallow-type filter media 180: frame casing

Claims (18)

오수가 유입되며 벽체 상부에 유출구가 형성된 혼화조;
유출구를 통해 상기 혼화조로부터 오수가 유입되며, 내부에는 오수로부터 슬러지를 침전시키기 위한 여재를 수용하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에서 중간 정화된 오수를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며, 상기 침전조의 후면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침전조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른 형태로 설치되되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침전조에서 중간 정화된 오수가 일정 수위를 초과하면 월류하여 내부로 유입되도록 월류부와, 상기 월류부와 상기 침전조 후면벽에 형성된 배출구를 연결하여 상기 월류부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월류부의 전측과 후측에서 오수의 월류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월류웨어; 및
상기 혼화조의 유출구 양측부와 하부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유출구로 오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U자형의 가이드 본체 및 상기 가이드 본체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 본체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어 하단부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본체의 전면 개구부를 여닫이 개폐하며, 그 회전각도에 따라 상단부 높낮이를 조절하여 월류되는 오수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개폐도어를 포함하는 유량 균등 분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 균등 분배장치에서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가이드 본체의 전면 하단부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면서 그 회전각도에 따라 오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전면 패널부와, 상기 전면 패널부의 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부의 회전동작 시 상기 가이드 본체와 벌어지는 이격을 메우면서 상기 전면 패널부를 지지하는 측면 패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 패널부는 상단 원호에 기어치를 갖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본체에는 상기 측면 패널부의 기어치에 치합되어 액추에이터로 구비된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어셈블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A mixing tank where sewage flows in and an outle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ll;
a sedimentation tank into which sewage flows from the mixing tank through an outlet and contains a filter medium for precipitating sludge from the sewage;
It is installed to discharge intermediately purified sewage from the sedimentation tank, and is installed in a form crossing the upper part of the sedimentation tank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 point spaced forward from the rear wall of the sedimentation tank, but installed in a form with an open upper surface, so that the sedimentation tank When the intermediately purified sewage exceeds a certain water level, the overflow part is connected to the overflow part and the outlet formed on the rear wall of the sedimentation tank so that the sewage flowing into the overflow part flows into the inside, and guides the sewage flowing into the overflow part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an overflow wear having a connecting portion to allow sewage to overflow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overflow unit at the same time; and
A U-shaped guide body installed along both sides and a lower circumference of the outlet of the mixing tank to guide the flow of sewage to the outlet, and a lower end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body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of the guide body, A flow equal distribution device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opening of the guide body while rotating with a rotating shaft and controls the flow rate of sewag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per en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In the flow equalization distribution devic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hinged to the front lower end of the guide body and is formed on a front panel portion to adjust the flow rate of sewag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while rotating, and formed on the side end of the front panel portion. It consists of a side panel portion supporting the front panel portion while filling the gap between the guide body and the guide body during rotation of the front panel portion. A water pu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gear assembly is installed which is meshed with the gear teeth of the negative and transmits a driving force from a driving motor provided as an actu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면이 개방되어 일정 수위를 초과한 오수가 상기 월류부와 함께 상기 연결부의 내부로도 월류한 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is opened so that sewage exceeding a certain water level flows into the connection part together with the overflow part and then discharges through the discharge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부의 하측에서 월류부를 따라 침전조 내부공간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중간 정화된 오수를 통과시키면서 오수의 유속 및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한 다공성 격벽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t is installed to cross the inner space of the sedimentation tank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overflow part at the lower side of the overflow part,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control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sewage while passing the intermediately purified sewage. Further provided with a porous partition wall A water pu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격벽은 하부 영역을 통해서만 오수가 통과하도록 하부 영역에만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ous partition wall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only in the lower region so that sewage passes only through the lower reg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격벽은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에서 관통공에 의한 오수의 통과 면적을 차별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ous partition wall differentiates the passage area of sewage by the through hole in the upper region and the lower reg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웨어는 상기 월류부로부터 전방 돌출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중간 정화된 오수가 월류하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 웨어부를 더 구비하여 오수의 월류량 및 체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overflow wear extends from the overflow portion in a forward protruding form and has an open upper surface so that the intermediately purified wastewater overflows and flows into the inside, further comprising a wear portion to increase the overflow amount and residence time of sewage A water pu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부는 상기 월류부에서 연장된 고정웨어와 상기 고정웨어의 선단부에서 상방향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 가변웨어로 이루어져서 상기 가변웨어의 틸팅각도에 따라 오수의 월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wear part is composed of a fixed wear extending from the overflow portion and a variable wear coupled to be tiltable upward at the front end of the fixed wear, so that the overflow amount of sewag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ilting angle of the variable wear. Characterized in that water purification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부는 좌우로 이격을 두고 개별동작 가능하도록 복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wear parts are installed so that they can be individually operated at a distance from left to righ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웨어는 수작업에 의해 수동으로 틸팅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variable wear is a water pu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tilted manually by manual work.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웨어를 수작업에 의해 수동으로 틸팅시킬 수 있도록 레버 또는 윈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A water pu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lever or a winch is installed to manually tilt the variable wea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웨어가 오수에 대한 탁도 측정을 근거로 자동으로 틸팅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third actua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variable wear is automatically tilted based on the turbidity measurement of the sewa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웨어가 오수에 대한 탁도 측정을 근거로 자동으로 틸팅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액추에이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3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가변웨어가 자동으로 틸팅되도록 하되, 상기 가변웨어는 상기 제3액추에이터와 별도로 수작업에 의해서 수동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A third actua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variable weir is automatically tilted based on the measurement of the turbidity of sewage is provided so that the variable weir is automatically til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third actuator. A water pu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lected to be manually tiltable by manual operation separately from the three actuator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부와 웨어부의 상단변은 삼각 파형으로 형성되어 월류 초기에 오수의 월류가 다수의 지점에서 소량으로 시작하도록 하여 오수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of the overflow part and the weir part is formed in a triangular waveform so that the overflow of sewage starts in a small amount at a plurality of points at the beginning of the overflow to induce a smooth flow of sewag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상기 혼화조를 중심으로 복수 배치된 병렬연결 구조를 형성하여 유출구를 통해 상기 혼화조로부터 상기 침전조에 동시다발적으로 오수가 유입되어 수질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dimentation tank forms a parallel connection structure arranged in plurality around the mixing tank so that sewage is simultaneously introduced into the sedimentation tank from the mixing tank through an outlet to purify water quality.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혼화조의 벽체 상부에는 상기 유량 균등 분배장치가 설치되는 유출구가 좌우로 나란히 복수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에 각각 대응하여 침전조들을 배치함으로써 혼화조에 대한 침전조의 비율을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6,
A plurality of outlets to which the flow equal distribution device is installed are formed side by side on the upper part of the wall of the mixing tank, and the ratio of the settling tank to the mixing tank can be expanded by arranging sedimentation tanks corresponding to the outlets, characterized in that water purification system.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혼화조에 유입되는 오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제1탁도 측정센서와, 상기 침전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오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제2탁도 측정센서와, 상기 침전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의 탁도를 측정하는 제3탁도 측정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1탁도 측정센서, 제2탁도 측정센서, 제3탁도 측정센서에서 측정한 각 지점별 탁도를 고려하여 상기 수질정화 시스템용 월류웨어에 의해 배출되는 오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6,
A first turbidity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urbidity of the sewage flowing into the mixing tank, a second turbidity measuring sensor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ettling tank to measure the turbidity of the sewage, and a second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urbidity of the sludge discharged from the settling tank 3 turbidity measuring sensors, and the flow rate of sewage discharged by the overflowware for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turbidity at each point measured by the first turbidity measuring sensor, the second turbidity measuring sensor, and the third turbidity measuring sensor A water pu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KR1020200189885A 2020-12-31 2020-12-31 Variable type overflow wear for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that allows free control of sewage water discharge and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with the same KR1025560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885A KR102556000B1 (en) 2020-12-31 2020-12-31 Variable type overflow wear for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that allows free control of sewage water discharge and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885A KR102556000B1 (en) 2020-12-31 2020-12-31 Variable type overflow wear for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that allows free control of sewage water discharge and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with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983A KR20220096983A (en) 2022-07-07
KR102556000B1 true KR102556000B1 (en) 2023-07-18

Family

ID=82397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885A KR102556000B1 (en) 2020-12-31 2020-12-31 Variable type overflow wear for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that allows free control of sewage water discharge and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00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936Y1 (en) * 2004-08-23 2004-11-17 (주)담덕 A reacting plant for tertiary sewage treatment system
KR100797170B1 (en) * 2007-09-21 2008-01-2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Settling pon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539B1 (en) * 2003-10-31 2005-12-09 홍기원 The System for Flow Control in Water Treatment Facilities
KR100847079B1 (en) 2006-09-28 2008-08-12 에코프렌 주식회사 A Sewage disposal Purifying
KR101131121B1 (en) * 2009-01-21 2012-04-03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Overflow weir and trough of sedimentation basin and a sedimentation basin use of the overflow weir and troug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936Y1 (en) * 2004-08-23 2004-11-17 (주)담덕 A reacting plant for tertiary sewage treatment system
KR100797170B1 (en) * 2007-09-21 2008-01-2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Settling po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983A (en)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81533A1 (en) Batch-continuous process and reactor
EP2690070B1 (en) Dissolved-air flotation-type pretreatment apparatus
CA3019310A1 (en) Method for maximizing uniform effluent flow through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JP2007160132A (en) Filtration unit
KR100645952B1 (en) Hollow-fibre membrane filtration device for purifying waste water, filtration module and a method for traeting water or waste water using thereof
CN112573699B (en) Ozone-coagulation sewage treatment device based on gravity-driven filtration
KR102561207B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floor structure for easy back washing and removing sludge
KR102556000B1 (en) Variable type overflow wear for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that allows free control of sewage water discharge and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with the same
KR102520200B1 (en) Natural flow type flow rate distribution apparatus for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and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with the same
KR102555993B1 (en) Variable rectification module for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change of sewage water quality and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with the same
KR102511625B1 (en) aeration device for Water purification system capable of simultaneous conveyance, jetting and mixing of sewage water and air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the same
KR101539727B1 (en) A total phosphorus removal device using electrocoagulation and electromagnet
KR102538099B1 (en) Bulge-type filter media for water purification with improved stacking stability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the same
KR102532113B1 (en) Water purifying system for water playground, ground fountain, water circulation facility
US9643106B2 (en) Screen decanter for removing solids from wastewater
EP32079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uniform effluent flow through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2676921B1 (en) Water treatment systems for wading pools, floor fountains, and moorings
KR101992389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treatment efficiency for treatment of side stream comprising high concentrated nitrogen
JP2003260478A (en) Septic tank and usage thereof
KR101543503B1 (en) Cylindrical Dissolved Air Flotation Facility combined with Membrane Filtration
KR100437642B1 (en) Sewage Purifier
KR100279943B1 (en) Wastewater Purifier
KR200282828Y1 (en) sewage water treatment system with aerator and bio media
JP3478322B2 (en) Filtration device
EP3466514A1 (en) Method for maximizing uniform effluent flow through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