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430B1 - disposable wearables - Google Patents

disposable wearab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430B1
KR102555430B1 KR1020177037698A KR20177037698A KR102555430B1 KR 102555430 B1 KR102555430 B1 KR 102555430B1 KR 1020177037698 A KR1020177037698 A KR 1020177037698A KR 20177037698 A KR20177037698 A KR 20177037698A KR 102555430 B1 KR102555430 B1 KR 102555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lement
waist
region
shee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6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0528A (en
Inventor
노부유키 가토
쉬광 야오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40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5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4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9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having visu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61F13/4901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4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printed or coloured, e.g. to match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영역 및 비탄성 영역에 있어서 높은 의장성을 갖는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한다. 일회용 착용 물품(10)에 있어서, 전후 웨이스트 영역(11)(12)의 한쪽인 제 1 웨이스트 영역(11)은, 가로 방향(X)으로 신축 가능한 웨이스트 시트(16)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웨이스트 시트는,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1 표시 요소(61)와 제 2 표시 요소(63)를 가지며,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은, 웨이스트 개구(22)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표시 요소가 위치하는 제 1 탄성 영역(41)과, 한 쌍의 제 2 탄성 영역(42) 사이에 위치하여 크로치 패널(15)과 겹쳐지고, 또한 상기 제 2 표시 요소가 위치하는 비탄성 영역(43)을 가지며, 상기 웨이스트 시트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요소와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는 서로 상위하고,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요소와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가 동일하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osable wearable article having high designability in an elastic region and an inelastic region. In the disposable wearable article 10, the first waist region 11, which is one of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and 12, is formed of a waist sheet 16 that can be stretch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The seat has a first display element 61 and a second display element 63 visible from the outside, the first waist region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waist opening 22, and the first display element is located. It is located between one elastic region 41 and a pair of second elastic regions 42, overlaps with the crotch panel 15, and has an inelastic region 43 in which the second display element is located. In the stretched state of the waist sheet, the shapes of the first display element and the second display elemen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in the contracted state of the first waist region, the shapes of the first display element and the second display elemen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orm is the same

Figure 112017130496252-pct00001
Figure 112017130496252-pct00001

Description

일회용 착용 물품 disposable wearables

본 개시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disposable wearable articles.

종래, 일회용 착용 물품은 공지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전후 웨이스트 영역과 크로치 영역을 갖는 착용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착용 물품의 전후 웨이스트 영역은,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탄성 영역과, 비탄성 영역을 갖고 있으며, 탄성 영역과 비탄성 영역은 연속한 웨이스트 시트로 형성되고, 비탄성 영역에는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표시 요소가 배치되어 있다. Conventionally, disposable wearable articles are known. For example, 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wearing article having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and a crotch region.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of the wearable article have an elastic region that can be stretch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n inelastic region, the elastic region and the inelastic region are formed of a continuous waist sheet, and a display element visible from the outside is disposed in the nonelastic region. .

일본국 특개 2004-298362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298362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착용 물품에서는, 표시 요소에 의해 웨이스트 영역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In the wearing article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the design of the waist region can be enhanced by the display element.

그러나, 표시 요소는, 웨이스트 영역의 수축 상태에 있어서, 그 형태가 무너지는 일이 없도록 비탄성 영역에만 배치되어 있고, 탄성 영역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탄성 영역에 있어서의 의장성이 낮은 것이 된다. However, since the display element is arranged only in the inelastic region and not in the elastic region so as not to lose its shape in the contracted state of the waist region, the designability in the elastic region is low.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술의 개량으로서, 탄성 영역 및 비탄성 영역에 있어서 높은 의장성을 갖는 일회용 착용 물품의 제공에 있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osable wearable article having high designability in an elastic region and an inelastic region as an improvement of the prior art.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피부 대향면 및 비(非)피부 대향면과, 전후 웨이스트 영역의 한쪽인 제 1 웨이스트 영역과, 상기 전후 웨이스트 영역의 다른쪽인 제 2 웨이스트 영역과, 상기 제 1 및 제 2 웨이스트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을 갖고, 상기 크로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웨이스트 영역으로 연장되는 크로치 패널을 포함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이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argets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ransverse direction, a skin facing surface and a non-skin facing surface, a first waist region that is one of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and the front and back waist A crotch panel having a second waist region on the other side of the region and a crotch reg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aist regions and extending from the crotch region to the first and second waist regions It is a disposable wearable item.

본 발명은, 상기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웨이스트 영역 중의 적어도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은,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웨이스트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웨이스트 시트는,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1 표시 요소와 제 2 표시 요소를 갖는다.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은, 웨이스트 개구측에 위치하는 제 1 탄성 영역과, 상기 크로치 영역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2 탄성 영역과, 상기 제 2 탄성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크로치 패널과 겹쳐지는 비탄성 영역을 갖는다. 상기 제 1 표시 요소는 상기 제 1 탄성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표시 요소는 상기 비탄성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웨이스트 시트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요소와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는 서로 상위하며,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요소는, 상기 웨이스트 시트의 상기 신장 상태에 비해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가 작아져, 상기 제 1 표시 요소와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가 동일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earable article, at least the first waist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waist regions is formed of a waist sheet that is stretcha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waste sheet has a first display element and a second display element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The first waist region is located between a first elastic region located on the waist opening side, a pair of second elastic regions located on the side of the crotch region, and the second elastic region, and furthermore, the crotch panel has an inelastic reg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display element is located in the first elastic region, and the second display element is located in the inelastic region. In the stretched state of the waste sheet, the shapes of the first display element and the second display elemen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in the contracted state of the first waist region, the first display element is Compared to the stretched state, the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maller, and the shape of the first display element and the second display element are the same.

상기 웨이스트 시트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성 시트와, 상기 신축성 시트에 적층된 비신축성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요소는, 상기 신축성 시트에 인쇄된다.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인쇄 영역이 길게 늘어나므로, 비신축성 시트에 인쇄하는 것과 비교하여, 제 1 표시 요소에 있어서의 인쇄 영역을 작게 하여, 재료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The waist sheet includes a stretchable sheet stretcha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non-stretch sheet stacked on the stretchable sheet,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elements are printed on the stretchable sheet. In such a wearable article, since the printing area is elongated, the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printing area in the first display element compared to printing on the non-stretch sheet.

상기 웨이스트 시트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성 시트와, 상기 신축성 시트에 적층된 상기 비신축성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요소는, 상기 비신축성 시트에 인쇄된다.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제 1 및 제 2 표시 요소가 신축성 시트에 인쇄되는 경우와 같이 인쇄 영역이 길게 늘어나 얇아지는 일은 없으며, 명확하고 또한 복잡한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으므로, 의장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The waist sheet includes the stretchable sheet stretcha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non-stretch sheet laminated on the stretch sheet,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elements are printed on the non-stretch sheet. In such a wearable article, the print area does not elongate and become thin, as in the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elements are printed on the stretchable sheet, and a clear and complex design can be printed, so that the design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크로치 패널은, 상기 크로치 영역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3 표시 요소를 갖고,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요소와 상기 제 3 표시 요소의 형태가 동일하다.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세로 방향에 있어서 늘어서는, 제 1, 제 2 및 제 3 표시 요소의 형태가 동일해지므로, 웨이스트 영역과 크로치 영역을 포함한 기저귀 전체의 외관에 있어서 통일감이 있는 인상을 줄 수 있어, 착용 물품 전체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The crotch panel has a third display element located in the crotch area and visible from the outsid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waist area is contracted, the shapes of the second display element and the third display element are different. same. In such a wearable article, since the shap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play element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the same, a unified impression can be given to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diaper including the waist region and the crotch region. Therefore, the design of the entire wearable article can be improved.

상기 한 쌍의 제 2 탄성 영역에는,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4 표시 요소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4 표시 요소와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는 동일하다.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가로 방향(X)에 있어서 늘어서는 제 2 표시 요소와 제 4 표시 요소의 형태가 동일하므로, 기저귀의 외관에 있어서 통일감이 있는 인상을 줄 수 있다. A fourth display element visible from the outside is disposed in the pair of second elastic regions, and the shape of the fourth display element and the second display element are the same when the first waist region is in an extended state. do. In such a wearable article, since the shape of the second display element and the fourth display element alig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re the same, a unified impression can be given to the appearance of the diaper.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의 상기 비탄성 영역의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는, 상기 제 2 웨이스트 영역의 상기 비탄성 영역의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보다도 작다.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제 2 웨이스트 영역에 있어서, 제 1 웨이스트 영역과 마찬가지로 의장성을 높인 경우에, 제 1 웨이스트 영역과 제 2 웨이스트 영역의 식별이 용이해져, 의장성과 식별성의 양쪽을 향상할 수 있다. A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elastic region of the first waist region is smaller than a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elastic region of the second waist region. In such a wearing article, when the design of the second waist region is improved similarly to the first waist region, identification of the first waist region and the second waist region becomes easy, and both design and identification can be improved. .

본 발명의 1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탄성 영역 및 비탄성 영역에 있어서 높은 의장성을 갖는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osable wearable article having high designability in an elastic region and an inelastic region can be provided.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탄성 영역에 위치하는 제 1 표시 요소와 비탄성 영역에 위치하는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가 동일하므로, 탄성 영역 및 비탄성 영역에 있어서 높은 의장성을 갖는다. In such a wearable article, when the first waist region is contracted, the shape of the first display element located in the elastic region and the second display element located in the inelastic region are the same, so that the elastic region and the inelastic region are highly designed. have a castle

도면은,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의 일례인 일회용 기저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신전(伸展)한 기저귀를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일부 파단 전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저귀를 비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전개 평면도이다.
도 4(a)는 전(前) 웨이스트 시트가 신장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 웨이스트 영역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전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 웨이스트 영역의 정면도이다.
도 5(a)는 종래의 기저귀에 있어서의 도 4(a)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도 5(b)는 종래의 기저귀에 있어서의 도 4(b)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도 6은 기저귀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도 7(b), 도 7(c)는, 기저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신축성 시트에 인쇄된 표시 요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도 8(b), 도 8(c)는, 기저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비신축성 시트에 인쇄된 표시 요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변형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도 4(a)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도 9(b)는 변형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도 4(b)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도 10(a)는 기저귀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 4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도 10(b)는 기저귀의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 4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The drawings show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 optional and preferred embodiments as well as indispensable components of the invention.
1 is a front view of a disposable diaper, which is an example of a disposable wearable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fracture and development plan view of a diaper that has been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as seen from the side facing the skin.
Fig. 3 is a developed plan view of the diaper of Fig. 2 viewed from the non-skin facing side.
Fig. 4(a) is a front view of the front waist reg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waist sheet is stretched. Fig. 4(b) is a front view of the entire waist reg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tire waist region is contracted.
Fig. 5 (a) is a view similar to Fig. 4 (a) in a conventional diaper. Fig. 5(b) is a view similar to Fig. 4(b) of a conventional diaper.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aper.
7(a), 7(b), and 7(c) are diagrams showing states of display elements printed on an elastic sheet in a diaper manufacturing process.
8(a), 8(b), and 8(c)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display elements printed on the non-stretch sheet in the diaper manufacturing process.
Fig. 9 (a) is a view similar to Fig. 4 (a) in an example of a modified example. Fig. 9(b) is a view similar to Fig. 4(b) in an example of a modified example.
Fig. 10 (a) is a view similar to Fig. 4 in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diaper. Fig. 10(b) is a view similar to Fig. 4 in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diaper.

하기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인 도 1∼도 10에 나타내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해,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후술하는 각 탄성 재료는, 그 수축력에 저항하여, 가로 방향(X) 및 세로 방향(Y)에의 수축력에 의해 각 탄성 재료가 부착된 부재에 발생한 개더가, 자연스러운 시각에 의해 실질적으로 없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 정도까지 신장된 상태에 있다. 도 3∼도 10에서는, 후술하는 비탄성 영역(43)과, 제 1 및 제 2 탄성 영역(41, 42)과의 경계 부위를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The following embodiments include not only the indispensable components of the invention, but also optional and preferred configurations regarding the disposable wearable articles shown in Figs. 1 to 10, which ar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S. 2 and 3 , each elastic material described later resists the contraction force, and the gather generated in the member to which each elastic material is attached due to the contraction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the vertical direction (Y) is a natural view. It is in a stretched state to the extent that it appears to be substantially lost by In FIGS. 3 to 10 , boundary portions between an inelastic region 43 described later and first and second elastic regions 41 and 42 are indicated by virtual lines.

<제 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도 1∼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의 일례인 일회용 기저귀(10)는, 세로 방향(Y) 및 그에 교차(직교)하는 가로 방향(X)과, 피부 대향면 및 그 반대측의 비피부 대향면과,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를 이등분하는 세로축(P)과,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로축(Q)과, 전 웨이스트 영역(11)(제 1 또는 제 2 웨이스트 영역)과, 후 웨이스트 영역(12)(제 2 또는 제 1 웨이스트 영역)과, 전 웨이스트 영역(11) 및 후 웨이스트 영역(12)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13)을 갖는다. 기저귀(10)는, 세로축(P)에 관하여 거의 대칭이며, 웨이스트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環狀)의 탄성 웨이스트 패널(14)과, 크로치 영역(13)으로부터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으로 연장되고, 탄성 웨이스트 패널(14)과 접합되는 크로치 패널(15)을 포함한다. 탄성 웨이스트 패널(14)은, 전 웨이스트 영역(11)을 형성하는 전 웨이스트 시트(16)와, 후 웨이스트 영역(12)을 형성하는 후 웨이스트 시트(17)를 포함한다.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는, 각각, 표면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표시 요소(60)를 갖는다. 1 to 3, a disposable diaper 10, which is an example of a disposable wearable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tical direction (Y) and a horizontal direction (X) intersecting (orthogonal) thereto, and a skin facing surface and its The non-skin facing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he vertical axis P bisecting the length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the horizontal axis Q bisecting the length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nd the front waist region 11 (second first or second waist region), the rear waist region 12 (second or first waist region), and the crotch region 13 located between the front waist region 11 and the back waist region 12. have The diaper 10 includes an annular elastic waist panel 14 substantially symmetrical about a vertical axis P and extending in a waist rotation direction, and front and rear waist areas 11 and 12 from a crotch area 13. ), and includes a crotch panel 15 bonded to the elastic waist panel 14. The elastic waist panel 14 includes a front waist sheet 16 forming a front waist region 11 and a rear waist sheet 17 forming a rear waist region 12 . The front and rear waste sheets 16 and 17 each have a display element 60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surface.

≪전후 웨이스트 시트≫≪Anteroposterior waist sheet≫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는, 각각,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내단연(內端緣)(16a, 17a)과,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외단연(外端緣)(16b, 17b)과,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측연(16c, 16d, 17c, 17d)에 의해 획정된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전후 웨이스트 시트의 내외단연(16a, 16b, 17a, 17b)과 양측연(16c, 16d, 17c, 17d)은, 각각,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의 내외단연과 양측연에 대응한다. 전 웨이스트 시트(16)의 양측연부(전 웨이스트 영역(11)의 양측연부)와 후 웨이스트 시트(17)의 양측연부(후 웨이스트 영역(12)의 양측연부)는, 서로 중첩되어, 세로 방향(Y)으로 불연속한 사이드 심(21)에 의해 연결되고, 웨이스트 개구(22) 및 한 쌍의 레그 개구(23)가 획성된다. 사이드 심(21)은, 공지의 접합 수단, 예를 들면, 열 용착 가공, 초음파 용착 가공 등의 각종의 용착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front and rear waist sheets 16 and 17 each have inner edge edges 16a and 17a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X and outer edge edges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X ( 16b, 17b) and a horizontally elongated rectangular shape defined by both side edges 16c, 16d, 17c, 17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Y. In addition, the inner and outer edges 16a, 16b, 17a, 17b and both side edges 16c, 16d, 17c, 17d of the front and rear waist sheets correspond to the inner and outer edges and both side edges of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respectively. . Both edge portions of the front waist sheet 16 (both edge portions of the front waist region 11) and both edge portions of the rear waist sheet 17 (both edge portions of the rear waist region 12) overlap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 Y) is connected by discontinuous side seams 21, and a waist opening 22 and a pair of leg openings 23 are formed. The side seams 21 are formed by known bonding means, for example, various welding means such as thermal welding and ultrasonic welding.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는, 각각,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가로 방향(X)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성 시트(31, 32)와, 비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비신축성 시트(33, 34)를 포함한다. 신축성 시트(31, 32)는, 가로 방향(X)으로 신장된 상태로, 비신축성 시트(33, 34)에,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합 수단으로 접합된다. 신축성 시트(31, 32) 및 비신축성 시트(33, 34) 중 어느 한 쪽에는, 표시 요소(60)가 예를 들면 인쇄 수단에 의해 배치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축성 시트(31, 32)에 표시 요소(60)가 인쇄 수단에 의해 배치되어 있다.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는, 웨이스트 개구연을 따라 비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절곡부(35, 36)를 갖는다. The front and rear waist sheets 16 and 17 are respectively: elastic sheets 31 and 32 located on the skin facing surface side and elastically stretchable in at least the transverse direction (X); and non-stretchable sheets located on the non-skin facing surface side ( 33, 34). The stretchable sheets 31 and 32 are bonded to the non-stretchable sheets 33 and 34 by a known bonding means such as an adhesive in a state of being stretch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 The display element 60 is placed on either of the stretchable sheets 31, 32 and the non-stretchable sheets 33, 34 by, for example, a printing means, but in this embodiment, the stretchable sheets 31, 32 A display element 60 is arranged by printing means. The front and rear waist sheets 16 and 17 have bent portions 35 and 36 located on the non-skin facing side along the waist opening edge.

신축성 시트(31, 32)로는, 예를 들면, 질량이 약 10∼40g/㎡인, 탄성 섬유로 구성된 스펀본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니들펀치 부직포 등, 각종 공지의 제법에 의해 제조된 신축성의 섬유 부직포가 이용된다. 탄성 섬유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나 고무 등을 원료로 하고,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원료로 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와 마찬가지로 압출기를 이용한 용융 방사가 가능하며, 또 그와 같이 하여 얻어진 섬유는 열 융착이 용이하여, 신축성의 섬유 부직포로서 적합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된다. 신축성 시트(31, 32)는, 예를 들면 1방향(가로 방향)에만 탄성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되고, 2방향(세로 가로 방향) 이상에 탄성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된다. The stretchable sheets 31 and 32 include, for example, a spunbond nonwoven fabric composed of elastic fibers having a mass of about 10 to 40 g/m 2 , an air-through nonwoven fabric, a needle punched nonwoven fabric, etc. A fibrous nonwoven fabric is used. Elastic fibers use thermoplastic elastomer, rubber, etc. as a raw material, and in particular, when a thermoplastic elastomer is used as a raw material, melt spinning using an extruder is possible in the same way as a normal thermoplastic resin, and the fibers obtained in this way are thermally fused. It is easy and suitable as a stretchable fiber nonwoven fabric. These ar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The stretchable sheets 31 and 32 may exhibit elasticity in only one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or may exhibit elasticity in two or more directions (vertical and transverse directions), for example.

비신축성 시트(33, 34)로는, 예를 들면, 질량이 약 10∼40g/㎡인, 각종 공지의 섬유 부직포, 통기성 또는 증기 투과성 플라스틱 시트, 또는 그들의 래미네이트가 이용된다. 섬유 부직포로는, 스펀본드 섬유 부직포, SMS 섬유 부직포,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 등의 각종 공지의 섬유 부직포가 이용된다.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한,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는, 비신축성 시트(33, 34)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As the non-stretch sheets 33 and 34, various known fibrous nonwoven fabrics, air permeable or vapor permeable plastic sheets, or laminates thereof having a mass of about 10 to 40 g/m 2 are used, for example. As the fibrous nonwoven fabric, various known fibrous nonwoven fabrics such as spunbond fibrous nonwoven fabric, SMS nonwoven fabric, and air-through fiber nonwoven fabric are used. In addition,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is exhibited, the front and rear waist sheets 16 and 17 may have a structure not including the non-stretch sheets 33 and 34 .

≪크로치 패널≫≪Crotch panel≫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크로치 패널(15)은, 전 웨이스트 영역(11)에 위치하는 전단부(15A)와, 후 웨이스트 영역(12)에 위치하는 후단부(15B)와, 전후단부(15A, 15B) 사이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어, 크로치 영역(13)을 형성하는 중간부(15C)를 갖는다. 크로치 패널(15)은,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며, 투액성을 갖는 섬유 부직포제의 내면 시트(51)와, 흡액성의 흡수성 코어(52)와, 적어도 흡수성 코어(52)의 저면(底面) 전체를 덮는 불투액성의 방루(防漏) 시트(53)와, 크로치 패널(15)의 비피부 대향면 전체를 형성하는 불투액성의 외면 시트(54)를 포함한다. 흡수성 코어(52)는, 플러프(fluff) 목재 펄프와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 등과의 혼합물로 형성된 심재(芯材)와, 심재 전체를 포피(包被)하는 티슈 페이퍼 등의 액 흡수 확산성의 코어 커버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면 시트(51), 흡수성 코어(52), 방루 시트(53) 및 외면 시트(54)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이다. 크로치 패널(15)은, 흡수성 코어(52)의 전후단연으로부터 세로 방향(Y)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는 엔드 플랩과, 흡수성 코어(52)의 양측연로부터 가로 방향(X)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는 사이드 플랩을 갖는다. 엔드 플랩 및 사이드 플랩은, 내면 시트(51), 방루 시트(53) 및 외면 시트(54)가 서로 중첩되어 접합됨으로써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crotch panel 15 includes a front end portion 15A located in the front waist region 11 and a rear end portion 15B located in the rear waist region 12, Between the end portions 15A and 15B, it has an intermediate portion 15C tha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nd forms the crotch area 13 . The crotch panel 15 is located on the side facing the skin and includes an inner sheet 51 made of a fibrous nonwoven fabric having liquid permeability, a liquid absorbent core 52, and at least a bottom surface of the absorbent core 52. ) and a liquid-impervious leak-proof sheet 53 covering the whole, and a liquid-impervious outer surface sheet 54 forming the entire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crotch panel 15. The absorbent core 52 is a core material formed of a mixture of fluff wood pulp and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etc., and a liquid absorbing and diffusing core cover such as tissue paper covering the entire core material. A sheet (not shown) is included.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sheet 51, the absorbent core 52, the dustproof sheet 53, and the outer sheet 54 have a vertically elongated rectangular shape. The crotch panel 15 includes end flaps extending and protruding from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absorbent core 52 out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nd extending from both side edges of the absorbent core 52 to the out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t has side flaps that extend and protrude. The end flaps and the side flaps are formed by overlapping and bonding the inner sheet 51, the dustproof sheet 53 and the outer sheet 54 to each other.

크로치 패널(15)은, 흡수성 코어(52)의 가로 방향(X)의 외측에 위치하는 양측연부(사이드 플랩)를 따라,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 조(條)의 스트랜드(strand) 형상 또는 스트링(string) 형상의 레그 탄성체(55)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레그 탄성체(55)는, 내면 시트(51) 또는 방루 시트(53)와, 외면 시트(54)와의 사이에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개재되어 있다. 크로치 영역(13)의 양측연부는 레그 탄성체(55)에 의해, 레그 탄성 영역이 형성된다. The crotch panel 15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long both side edges (side flaps) located outside the horizontal direction X of the absorbent core 52. Strand ) or string-shaped leg elastic bodies 55 are disposed. In this embodiment, the leg elastic body 55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sheet 51 or the anti-dust sheet 53 and the outer surface sheet 54 so as to be able to contract in a stretched state. Leg elastic regions are formed at both side edges of the crotch region 13 by the leg elastic body 55 .

≪탄성 영역 및 비탄성 영역≫≪Elastic region and inelastic reg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은, 각각, 웨이스트 개구(22)측에 위치하고, 가로 방향(X)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제 1 탄성 영역(41)과, 크로치 영역(13)측에 위치하고,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서로 이간하는 한 쌍의 제 2 탄성 영역(42)과, 한 쌍의 제 2 탄성 영역(42)의 사이에 위치하는 비탄성 영역(43)을 갖는다. 제 1 탄성 영역(41)은,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에 양측연부 사이를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탄성 영역(42) 및 비탄성 영역(43)은, 제 1 탄성 영역(41)보다도 세로 방향(Y)의 내측에 위치하고, 비탄성 영역(43)은, 도 2에 나타내는 평면에서 봤을 때, 크로치 패널(15)과 겹쳐져 있다. 2 and 3,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include a first elastic region 41 located on the side of the waist opening 22 and elastically stretch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 pair of second elastic regions 42 located on the side of the crotch region 13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an inelastic region locat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elastic regions 42 ( 43). The first elastic region 41 ext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X between both edge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 The second elastic region 42 and the inelastic region 43 are located inside the first elastic region 4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the inelastic region 43 is closed when viewed from the plane shown in FIG. 2 . It overlaps the tooth panel (15).

비탄성 영역(43)은, 예를 들면, 신축성의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의 일부에 신축성이 발현되지 않도록 열 엠보스/데보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비탄성 영역(43)은, 평면에서 봤을 때, 크로치 패널(15)의 흡수성 코어(52)의 전체 배치 영역의 약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배치 영역의 전부와 겹쳐지도록 형성되고, 또한, 흡수성 코어(52) 주변에 위치하는 엔드 플랩 및/또는 사이드 플랩의 일부와 겹쳐져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 웨이스트 영역(11)의 비탄성 영역(43)은, 흡수성 코어(52)의 배치 영역의 전부와 엔드 플랩의 일부에 겹쳐지고, 후 웨이스트 영역(12)의 비탄성 영역(43)은, 흡수성 코어(52)의 배치 영역의 전부에 겹쳐져 있다. The inelastic region 43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subjecting a part of the stretchable front and back waist sheets 16 and 17 to thermal embossing/debossing so that the stretchability is not expressed. In addition, the inelastic region 43 is formed so as to overlap about 80% or more of the total placement area of the absorbent core 52 of the crotch panel 15, preferably all of the placement area, when viewed in plan view. , You may overlap with a part of the end flap and/or the side flap located around the absorbent core 52. In this embodiment, the inelastic region 43 of the front waist region 11 overlaps all of the arrangement region of the absorbent core 52 and a part of the end flap, and the inelastic region 43 of the rear waist region 12 Silver overlaps all of the arrangement area of the absorbent core 52.

≪각 표시 요소≫≪Each display element≫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는 표시 요소(60)를 갖고 있다. 표시 요소(60)는, 제 1 탄성 영역(41)에 위치하는 상부 표시 요소(제 1 표시 요소)(61)와, 제 2 탄성 영역(42)에 위치하는 측부 표시 요소(제 4 표시 요소)(62)와, 비탄성 영역(43)에 위치하는 중앙부 표시 요소(제 2 표시 요소)(63)를 포함한다. 또한, 도 4에서는, 전 웨이스트 영역(11)의 구성에 대해서만 나타내고 있지만, 후 웨이스트 영역(1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3 and 4, as previously described, the front and rear waistsheets 16, 17 have display elements 60. The display element 60 includes an upper display element (first display element) 61 located in the first elastic region 41 and a side display element (fourth display element) located in the second elastic region 42. 62, and a central display element (second display element) 63 located in the inelastic region 43. In addition, although FIG. 4 shows only the structure of the front waist area 11, the back waist area 12 has the same structure.

도 3 및 도 4(a)를 참조하면,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를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형태가 서로 상위하고 있으며, 도 1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형태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란, 기저귀(10)를 착용하기 전의 상태로서, 외력이 가해지는 일 없이, 기저귀(10)를 구성하는 탄성 재료에 의해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를 말한다. 또, 「형태가 동일」이란, 형상이 동일 또는 동일성을 유지할 정도로 미세한 차이가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닮은꼴의 도안 등, 한쪽의 표시 요소(60)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Y)의 치수와 가로 방향(X)의 치수와의 비율이, 다른쪽의 표시 요소(60)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Y)의 치수와 가로 방향(X)의 치수와의 비율과 거의 같은 것을 의미하고, 쌍방의 표시 요소(60)의 세로 방향의 치수 및/또는 가로 방향의 치수가 서로 다른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 요소(60)는 다이아 마크로 되어 있지만, 표시 요소(6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하트 마크, 클로버 마크, 별모양, 원형 등, 각종 공지의 다양한 형태가 이용된다. 3 and 4(a), in the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waist sheets 16 and 17 are stretched, the shapes of the upper display element 61 and the central display element 6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1 and FIG. 4(b), in a state where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are contracted, the top display element 61 and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have the same shape. Here,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are contracted" means a state before wearing the diaper 10, and the elastic material constituting the diaper 10 moves the front and back waist without applying an external force. This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regions 11 and 12 are contracted. In addition, "the shape is the same" includes a case where the shape is the same or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to the extent that the same is maintained, for example, a pattern of a similar shape, etc.,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ne display element 60 ( The ratio of the dimension Y) to the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ratio of the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Y) to the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of the other display element 60. This means that both display elements 60 have different dimens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o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element 60 is a diamond mark, but the shape of the display element 60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well-known, for example, heart marks, clover marks, stars, circles, etc. A variety of forms are used.

도 5(a)를 참조하면, 종래, 각 웨이스트 영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탄성 영역(141, 142)과 비탄성 영역(143)을 신축성을 갖는 일련의 웨이스트 시트로 형성하는 경우, 의장성을 높이기 위해, 웨이스트 시트의 전체에 형태가 동일한 표시 요소가 형성된 기저귀에서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제 1 탄성 영역(141)에 위치하는 상부 표시 요소(161)와, 비탄성 영역(143)에 위치하는 중앙부 표시 요소(163)와의 형태가 서로 상위해 버린다. 이러한 기저귀에서는, 상부 표시 요소(161)의 형태가 무너져, 중앙부 표시 요소(163)에 비해 일그러진 형태로 되는 점에서, 의장성이 저하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의욕이 저하한다. Referring to FIG. 5(a), conventionally, whe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regions 141 and 142 and the non-elastic region 143 are formed as a series of elastic waist sheets in each waist region, the design is improved. In a diaper in which display elements having the same shape are formed on the entire waist sheet to increase height, as shown in FIG. 5(b), the upper display located in the first elastic region 141 in a contracted state of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The shapes of the element 161 and the center display element 163 located in the inelastic region 14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uch a diaper, the top display element 161 loses its shape and becomes distorted compared to the center display element 163, which lowers the designability and reduces the user's willingness to use it.

도 4(a)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0)에서는,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가 일률적으로 가로 방향(X)으로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제 1 탄성 영역(41)에 위치하는 상부 표시 요소(61)의 가로 방향(X)의 치수가 비탄성 영역(43)에 위치하는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가로 방향(X)의 치수보다도 커져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서는, 상부 표시 요소(61)의 가로 방향(X)의 치수가 작아져,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가 동일한 형태가 된다. 이러한 기저귀(10)에서는, 제 1 탄성 영역(41)과 비탄성 영역(43)에 통일감이 있는 표시 요소(61, 63)가 위치함으로써, 의장성이 높은 것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가 거의 같은 형상 같은 크기의 도안이 되기 때문에, 각 표시 요소(61, 63)의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의 치수가 다른 닮은꼴의 도안에 비해 보다 통일감이 있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은,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크로치 영역(13)측의 단연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X)의 치수 D1이, 웨이스트 개구(22)측의 단연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X)의 치수 D2보다도 커져 있다. Referring to FIG. 4(a) , in the diaper 10 of this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waist sheets 16 and 17 are uniformly stretch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 the first elastic regions 41 The dimension of the upper display element 61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of the central display element 63 positioned in the non-elastic region 4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Referring to FIG. 4( b ),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are contracted, the dimension of the upper display element 6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s reduced, and thus the upper display element 61 and the center display element 61 are displayed. Element 63 is of the same shape. In such a diaper 10, since the display elements 61 and 63 having a sense of unity are located in the first elastic region 41 and the inelastic region 43, the design is high.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upper display element 61 and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have almost the same shape and size, the vertical direction (Y)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X) of the display elements 61 and 63 It can give a more unified impression compared to other designs with similar dimensions. Further, in the contracted state of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the dimension D1 in the lateral direction (X) at the edge on the crotch region 13 side is at the edge on the waist opening 22 side.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D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of .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제 2 탄성 영역(42)이 위치하는 측부 표시 요소(62)는, 중앙부 표시 요소(63)와 형태가 동일하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거의 같은 형상 같은 크기의 도안이 된다. 한편,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서는, 측부 표시 요소(62)의 가로 방향(X)의 치수가 작아져, 측부 표시 요소(62)와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서로 상위한 형태가 된다. 이러한 기저귀(10)에서는, 수축 상태에 있어서,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양측에 다른 형태의 측부 표시 요소(62)가 위치하는 점에서,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도안이 두드러져 의장성이 높은 것이 된다. 또한, 수축 상태에 있어서, 측부 표시 요소(62)와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세로 방향(Y)의 치수가 거의 같으며, 측부 표시 요소(62)의 가로 방향(X)의 치수만이 작아져 있기 때문에,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측부 표시 요소(62)에 비해 큰 도안이 되고, 중앙부 표시 요소(63)를 두드러지게 하는 효과가 높다. 또,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의 신장 상태에서는, 측부 표시 요소(62)와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형태가 동일하므로, 기저귀(1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의 기재가 되는 시트 부재에 대하여, 크로치 패널(15)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In the stretched state of the front and rear waist sheets 16, 17, the side display element 62 where the second elastic region 42 is located has the same shape as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and in this embodiment, almost It becomes a pattern of the same shape and size.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where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are contracted, the dimension of the side display element 6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s reduced, and the side display element 62 and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ecome one form. In such a diaper 10, in the contracted state, since the side display elements 62 of different shapes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the design of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stands out and the design is high. it becomes Further, in the contracted state, the side display element 62 and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have substantially the same dimens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nd only the side display element 62 has a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Since it is small,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has a larger design than the side display element 62, and the effect of making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stand out is high. Further, since the shape of the side display element 62 and the central display element 63 are the same in the stretched state of the front and back waste sheets 16 and 17,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aper 10, the front and rear waste sheets 16, Positioning of the crotch panel 15 becomes easy with respect to the sheet member serving as the base material of 17).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표시 요소(61, 62, 63)가 신축성 시트(31, 32)에 인쇄되어 있다. 제조 공정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31, 32)는 신장 상태로 비신축성 시트(33, 34)에 접합되기 때문에, 신축성 시트(31, 32)에 표시 요소(60)를 인쇄하는 경우, 비신축성 시트(33, 34)에 인쇄하는 것과 비교하여 인쇄 면적을 작게 하여 재료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As already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each display element 61, 62, 63 is printed on the stretchable sheet 31, 32.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since the stretchable sheets 31 and 32 are bonded to the non-stretchable sheets 33 and 34 in a stretched state, when the display elements 60 are printed on the stretchable sheets 31 and 32, the non-stretchable sheets Compared to printing in (33, 34), the printing area can be reduced and the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크로치 패널(15)은,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크로치 표시 요소(제 3 표시 요소)(64)를 갖는다. 크로치 표시 요소(64)는, 크로치 패널(15)을 구성하는 방루 시트(53) 및 외면 시트(54) 중의 적어도 한쪽으로서, 탄성 재료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비탄성 영역에 인쇄된다.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늘어서는 크로치 표시 요소(64)와 중앙부 표시 요소(63)와 상부 표시 요소(61)는 형태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기저귀(10)에서는,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과 크로치 영역(13)에 표시 요소(61, 63, 64)를 갖기 때문에, 기저귀(10) 전체의 의장성이 높아지고, 또한, 각 표시 요소(61, 63, 64)가 통일감이 있는 도안이 되므로, 보다 의장성이 높은 것이 된다. 또, 크로치 표시 요소(64)는, 두께가 있는 흡수성 코어(52)의 배치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깊이가 있는 인상을 줄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3 , the crotch panel 15 includes a crotch display element (third display element) 64 that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The crotch display element 64 is at least one of the waterproof sheet 53 and the outer sheet 54 constituting the crotch panel 15, and is printed in an inelastic region where no elastic material is disposed. When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are contracted, the crotch display elements 64, the center display elements 63, and the upper display elements 61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Y have the same shape. there is. In such a diaper 10, since the display elements 61, 63, and 64 are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and the crotch region 13, the overall design of the diaper 10 is improved, and each Since the display elements 61, 63, and 64 form a design with a sense of unity, the designability is higher. In addition, the crotch display element 64 can give a deep impression by being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thick absorbent core 52 is arrange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비탄성 영역(43)의 세로 방향(Y)의 치수 L1, L2는, 전 웨이스트 영역(11)과 후 웨이스트 영역(12)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 웨이스트 영역(11)에 배치되는 흡수성 코어(52)의 세로 방향(Y)의 치수 L3가, 후 웨이스트 영역(12)에 배치되는 흡수성 코어(52)의 세로 방향(Y)의 치수 L4에 비하여 작아져 있으며, 이에 맞추어, 전 웨이스트 영역(11)에 있어서의 비탄성 영역(43)의 세로 방향(Y)의 치수 L1이 후 웨이스트 영역(12)에 있어서의 비탄성 영역(43)의 세로 방향(Y)의 치수 L2보다도 작아져 있다.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의 양방에,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를 형성한 경우,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서는, 기저귀(10)의 외면에서 봤을 때, 통일감이 있는 도안의 배치에 의해 의장성이 높아지는 한편, 기저귀(10)의 전방과 후방의 식별이 곤란해진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흡수성 코어(52)나 비탄성 영역(43)의 세로 방향(Y)의 치수를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에서 다르게 함으로써, 기저귀(10)를 장착할 때에, 기저귀(10)의 내면에서 봤을 때 또는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을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 전후의 식별이 용이해져, 의장성과 식별성의 양쪽이 뛰어난 기저귀(10)로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dimensions L1 and L2 of the inelastic region 43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re different between the front waist region 11 and the rear waist region 12 . In this embodiment, the dimension L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absorbent core 52 disposed in the front waist region 11 is the vertical direction (Y) of the absorbent core 52 disposed in the rear waist region 12. is smaller than the dimension L4 of . Accordingly, the dimension L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inelastic region 43 in the front waist region 11 is the inelastic region 43 in the rear waist region 12 is smaller than the dimension L2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f . When the upper display element 61 and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the outer surface of the diaper 10 is in a state where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are contracted. When viewed from above, while the designability is enhanced by the design arrangement with a sense of unity,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iaper 1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mensions of the absorbent core 52 and the inelastic region 4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re different in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and 12, so that when the diaper 10 is worn, the diaper 10 ) or when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are stretched, the front and back can be easily identified, and the diaper 10 is excellent in both design and identification.

도 6은, 기저귀(10)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기저귀(10)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다. 제조 공정의 제 1 공정(91)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반송 롤러에 의해 전 웨이스트 시트(16)의 기재가 되는 신축성의 제 1 연속 시트(71)와, 후 웨이스트 시트(17)의 기재가 되는 신축성의 제 2 연속 시트(72)가, 기계 방향(MD)으로 소정의 신장 배율(신장 배율은 N배로 함)로 신장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반송되고, 제 1 및 제 2 연속 시트(71, 72)의 한쪽의 면에는 크로치 패널(15)이 기계 방향(MD)으로 단속적으로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연속 시트(71, 72)는, 각각, 신축성 시트(31, 32)의 기재가 되는 연속 신축성 시트(75)와, 비신축성 시트(33, 34)의 기재가 되는 연속 비신축성 시트(76)를 포함한다. 크로치 패널(15)의 양단부는, 각각,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합 수단을 통하여 제 1 및 제 2 연속 시트(71, 72)의 각각에 접합되어, 기저귀(10)의 기재가 되는 복합 패널이 형성된다. FIG.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iaper 10, showing a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diaper 10. As shown in FIG. In the first step 91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n elastic first continuous sheet 71 serving as a base material for the front waste sheet 16 and a base material for the rear waste sheet 17 are formed by conveying rollers (not shown). The stretchable second continuous sheet 72 is continuously conveyed while being stretched in the machine direction MD at a predetermined stretch ratio (the stretch ratio is N time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inuous sheets 71, On one side of 72), crotch panels 15 are arranged intermittently in the machine direction MD. The first and second continuous sheets 71 and 72 include a continuous stretchable sheet 75 serving as a substrate for the elastic sheets 31 and 32 and a continuous non-stretchable substrate serving as the substrate for the non-stretchable sheets 33 and 34, respectively. A seat 76 is included. Both ends of the crotch panel 15 are bond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tinuous sheets 71 and 72 through a bonding means such as a hot melt adhesive to form a composite panel serving as a base material of the diaper 10. do.

제 2 공정(92)에서는, 크로치 패널(15)이 내측이 되도록 복합 패널이 반으로 접힌 후, 서로 이웃하는 크로치 패널(15) 사이에 있어서 시일 가공이 실시되어, 교차 방향(CD)(기계 방향(MD)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접합부(73)가 형성된다. 제 3 공정(93)에서는, 복합 패널이, 한 쌍의 접합부(73) 사이에 있어서 교차 방향(CD)으로 연장되는 절단 라인(74)을 따라 절단되어, 각각의 기저귀(10)가 형성된다. In the second step 92, after the composite panel is folded in half so that the crotch panel 15 is on the inside, sealing processing is performed between adjacent crotch panels 15, and the cross direction (CD) A pair of joint portions 73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chine direction (MD) are formed. In the third step 93, the composite panel is cut along a cutting line 74 extending in the cross direction CD between the pair of joint portions 73 to form each diaper 10.

도 7(a)-도 7(c)는, 기저귀(1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신축성 시트(31, 32)에 인쇄된 표시 요소(6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a)는, 신축성 시트(31, 32)의 기재가 되는 연속 신축성 시트(75)의 비신장 상태(외력이 가해지는 일 없이, 이완한 상태. 이하, 제 1 상태라고 함)를 나타내고, 도 7(b)는, 제조 공정의 제 1 공정(91)에 있어서 연속 신축성 시트(75)가 신장된 상태(이하, 제 2 상태라고 함)를 나타내며, 도 7(c)는, 제조된 기저귀(10)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31, 32)가 수축한 상태(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 이하, 제 3 상태라고 함)를 나타낸다. 7(a) to 7(c)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the display elements 60 printed on the stretchable sheets 31 and 32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aper 10, and FIG. 7(a) ) represents a non-stretched state (a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relax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state) of the continuous stretchable sheet 75 serving as the base material of the elastic sheets 31 and 32, and Fig. 7 (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inuously stretchable sheet 75 is stretched in the first step 91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state), and FIG. 7(c) shows the manufactured diaper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sheets 31 and 32 are contracted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are contrac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state).

도 7(a)를 참조하면, 제 1 상태의 연속 신축성 시트(75)에서는, 상부 표시 요소(61)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3가,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4보다도 커져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 2 상태에서는, 연속 신축성 시트(75)가 소정의 신장 배율(N배)로 신장되고, 각 표시 요소(61, 63)의 가로 방향(X)의 치수는 비신장 상태에 비해 큰 치수(치수 W3, W4의 약 N배)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배치 영역에는, 크로치 패널(15)이 접합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신축성 시트(31, 32)가 비신축성 시트(33, 34)와 접합되어 수축한 제 3 상태에서는,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2는, 제 2 상태에 있어서의 치수와 거의 같아지지만, 상부 표시 요소(61)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1은 제 2 상태의 치수에 비해 작아져 있어,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치수 W2와 거의 같아져 있다. Referring to FIG. 7( a ) , in the continuous stretchable sheet 75 in the first state, the dimension W3 of the upper display element 6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s equal to the width W3 of the central display element 6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W4 of . Referring to FIG. 7( b ), in the second state, the continuously stretchable sheet 75 is stretched at a predetermined stretch magnification (N times), and the dimension of each display element 61, 6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s It becomes a larger dimension (approximately N times the dimensions W3 and W4) compared to the non-extended state. In this state, the crotch panel 15 is bonded to the area where the center portion display element 63 is arranged. Referring to FIG. 7(c) , in a third state in which the stretchable sheets 31 and 32 are bonded to the non-stretchable sheets 33 and 34 and contracted, the dimension W2 of the central display element 6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s is almost the same as the dimension in the second state, but the dimension W1 of the horizontal direction (X) of the upper display element 61 is smaller than the dimension in the second state, and the dimension W2 of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is almost the same as

제 3 상태에 있어서의 상부 표시 요소(61)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1은, 제 1 상태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3에 가까워지지만, 제 3 상태에서는, 신축성 시트(31, 32)가 비신축성 시트와 사이드 심(21)에서 접합되어 수축이 억제되는 것 외에, 신축성 시트(31, 32), 비신축성 시트의 시트 특성, 양 시트의 접합 양태나 신축성 시트(31, 32)의 신장 배율 등의 각종 설정 조건에 의해, 제 1 상태에 비해 약간 신장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상부 표시 요소(61)의 제 3 상태의 치수 W1은, 제 1 상태의 치수 W3보다도 1∼20% 커진다. 한편,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제 2 상태와 제 3 상태에 있어서, 가로 방향(X)의 치수가 거의 같아지므로, 제 3 상태의 치수 W2는, 제 1 상태의 치수 W4의 약 N배가 된다. 또한, 측부 표시 요소(62)의 가로 방향(X)의 치수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서는,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가로 방향(X)의 치수와 거의 같아지고, 제 3 상태에서는, 사이드 심(21)에 의해 수축이 억제됨으로써, 제 1 상태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X)의 치수보다도 약간 커져 있다. 또, 각 상태에 있어서, 상부 표시 요소(61), 측부 표시 요소(62) 및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세로 방향(Y)의 치수는, 거의 같아져 있다. The dimension W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of the upper display element 61 in the third state approaches the dimension W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n the first state, but in the third state, the elastic sheet 31 , 32) is bonded to the non-stretchable sheet and the side seam 21 to suppress shrinkage, and the sheet characteristics of the elastic sheet 31, 32 and the non-stretch sheet, the bonding manner of both sheets, and the elastic sheet 31, 32 ), it becomes a slightly elongated state compared to the first state according to various setting conditions such as elongation magnification. Therefore, the dimension W1 of the upper display element 61 in the third state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W3 in the first state by 1 to 20%. On the other hand, since the dimensions of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re almost the same in the second state and the third state, the dimension W2 in the third state is approximately N times the dimension W4 in the first state. do. Further, the dimension of the side display element 6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mension of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n the first and second states, and in the third state , It is slightly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lateral direction X in the first state because shrinkage is suppressed by the side seam 21 . In each state, the dimensions of the top display element 61, the side display element 62, and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re substantially the same.

<제 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10)에서는, 상부 표시 요소(61), 측부 표시 요소(62) 및 중앙부 표시 요소(63)가, 신축성 시트(31, 32)가 아니라, 비신축성 시트(33, 34)에 인쇄되어 있다. 도 8(a)-도 8(c)는, 제 2 실시 형태의 기저귀(1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비신축성 시트(33, 34)에 인쇄된 표시 요소(6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a)는, 비신축성 시트(33, 34)의 기재가 되는 연속 비신축성 시트(76)를 신전한 상태(이하, 제 4 상태라고 함)를 나타내고, 도 8(b)는 제조 공정의 제 1 공정(91)에 있어서의 연속 비신축성 시트(76)의 상태(이하, 제 5 상태라고 함)를 나타내며, 도 8(c)는, 제조된 기저귀(10)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31, 32)의 수축에 따라 비신축성 시트(33, 34)가 수축한 상태(이하, 제 6 상태라고 함)를 나타낸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의 기저귀(10)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그것과 기본적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위하는 점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In the diaper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top display element 61, the side display element 62, and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are not the elastic sheets 31 and 32, but the non-stretch sheet 33, 34) is printed. 8(a) to 8(c)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the display elements 60 printed on the non-stretch sheets 33 and 34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aper 10 of the second embodiment. 8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inuous non-stretch sheet 76 serving as the base material of the non-stretch sheets 33 and 34 is extend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ourth state), and Fig. 8 (b) shows The state of the continuous non-stretch sheet 76 in the first step 91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fth state) is shown, and FIG. 8(c) shows the elasticity in the manufactured diaper 10. A state in which the non-stretchable sheets 33 and 34 are contracted according to the contraction of the sheets 31 and 3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ixth state) is shown. Since the diaper 10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same basic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8(a)를 참조하면, 제 4 상태의 연속 비신축성 시트(76)에서는, 상부 표시 요소(61)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5가,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6보다도 커져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 5 상태에서는, 각 표시 요소(61, 63)의 가로 방향(X)의 치수는 제 4 상태와 거의 같아져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배치 영역에는, 크로치 패널(15)이 접합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제 6 상태에서는, 신축성 시트(31, 32)의 수축에 의해, 상부 표시 요소(61)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1은 제 2 상태의 치수에 비해 작아져 있어,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치수 W2와 거의 같아져 있다. Referring to FIG. 8(a) , in the continuous non-stretchable sheet 76 in the fourth state, the dimension W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of the upper display element 61 is the horizontal direction X of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W6. Referring to Fig. 8(b), in the fifth state, the dimensions of the display elements 61 and 6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in the fourth state. In this state, the crotch panel 15 is bonded to the area where the center portion display element 63 is arranged. Referring to FIG. 8(c) , in the sixth state, due to contraction of the stretchable sheets 31 and 32, the dimension W1 of the upper display element 6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s smaller than the dimension in the second state. , and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dimension W2 of the center portion display element 63.

제 6 상태에 있어서의 상부 표시 요소(61)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1은, 제 4 상태에 있어서의 치수 W5의 1/N배에 가까운 값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심(21)의 영향에 의해, 치수 W1은, 치수 W5의 1/N배보다도 약간 큰 치수가 된다. 제 6 상태에 있어서의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2은, 제 4 상태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6와 가까운 값이 되지만, 제 1 공정(91)보다도 전의 단계로서, 제 1 및 제 2 연속 시트(71, 72)에 비탄성 영역(43)을 형성할 때에, 비탄성 영역(43)이 되는 영역은, 열 엠보스/데보스 가공에 의해 약간 수축하기 때문에,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제 6 상태의 치수 W2는, 제 4 상태의 치수 W6보다도 1∼20% 작아진다. 그 때문에,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제조 전의 자재 상태(제 4 상태)에 있어서, 도안의 크기가 기저귀(10)의 상태(제 6 상태)보다도 커지도록 인쇄해도 된다. The dimension W1 of the upper display element 6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n the sixth state is a value close to 1/N times the dimension W5 in the fourth state. More specificall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ide shims 21, the dimension W1 becomes slightly larger than 1/N times the dimension W5. The dimension W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of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in the sixth state is a value closer to the dimension W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n the fourth state, but is smaller than in the first step 91. As the previous step, when forming the inelastic region 43 on the first and second continuous sheets 71 and 72, the region to be the inelastic region 43 slightly shrinks by heat embossing/debossing. , The dimension W2 of the 6th state of the central part display element 63 is 1 to 20% smaller than the dimension W6 of the 4th state. Therefore, the center portion display element 63 may be printed so that the size of the pattern is larger than that of the diaper 10 (sixth state) in the free state before manufacturing (fourth state).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0)에서는, 표시 요소(60)가 비신축성 시트(33, 34)에 인쇄되어 있어, 제조 공정에 있어서 표시 요소(60)가 신축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동기(同期)에 의한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또, 신축성 시트(31, 32)가 되는 연속 신축성 시트(75)에 표시 요소(60)를 인쇄한 경우에는, 기저귀(10)에 있어서 인쇄가 길게 늘어난 상태가 되어 표시가 옅어지지만, 비신축성 시트(33, 34)에 인쇄함으로써 이러한 사태를 없애고 도안을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어, 복잡한 디자인을 갖는 도안을 선택할 수 있다. In the diaper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display elements 60 are printed on the non-stretch sheets 33 and 34 and the display elements 60 do not expand or contrac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Position alignment becomes easy by.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element 60 is printed on the continuous stretchable sheet 75 serving as the stretchable sheets 31 and 32, the print is elongated on the diaper 10 and the display becomes faded, but the non-stretchable sheet By printing on (33, 34), this situation can be eliminated and the design can be displayed clearly, and a design having a complicated design can be selected.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구성은 서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 중의 한쪽의 웨이스트 영역에서는, 표시 요소(60)를 신축성 시트에 인쇄하고, 다른쪽의 웨이스트 영역에서는, 표시 요소(60)를 비신축성 시트에 인쇄해도 된다.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비탄성 영역(43)은, 신축성 시트(31, 32)를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For example, in one of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and 12, the display element 60 is printed on the stretchable sheet. , in the other waist area, the display element 60 may be printed on the non-stretch shee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inelastic region 43 may be formed by not arranging the elastic sheets 31 and 32 .

<변형예><Example of modification>

도 9(a)는, 변형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도 4(a)와 마찬가지의 도면이고, 도 9(b)는, 변형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도 4(b)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Fig. 9 (a) is a figure similar to Fig. 4 (a) in an example of a modified example, and Fig. 9 (b) is a figure similar to Fig. 4 (b) in an example of a modified example.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제 2 탄성 영역(42)에 위치하는 측부 표시 요소(62)는, 중앙부 표시 요소(63)와 형태가 서로 상위하고 있으며,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측부 표시 요소(62)와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형태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측부 표시 요소(62)는,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부 표시 요소(61)와 형태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기저귀(10)에서는, 제 1 탄성 영역(41), 제 2 탄성 영역(42) 및 비탄성 영역(43)에 동일 형태의 표시 요소(61, 62, 63)가 위치함으로써,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 전체에 있어서 통일감이 있는 인상을 줄 수 있다. In this modified example, in the stretched state of the front and back waist sheets 16 and 17, the side display elements 62 located in the second elastic region 42 are different from the central display element 63 in shape. In the state where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are contracted, the shape of the side display element 62 and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are the same. In addition, the side display element 62 has the same shape as the top display element 61 in the extended state of the front and back wastesheets 16 and 17 . In such a diaper 10, the display elements 61, 62, and 63 of the same shape are located in the first elastic region 41, the second elastic region 42, and the inelastic region 43, so that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 12) It can give an impression of unity in the whole.

도 10(a)는, 기저귀(10)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 4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표시 요소(60)로서 얼굴 마크가 표시되어 있다.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가 신장된 상태에 있어서, 상부 표시 요소(61)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된 일그러진 마크로 되어 있지만,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서는,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동일한 형태가 되고, 거의 원형상의 외형을 가져, 얼굴의 밸런스가 잡힌(균형이 있는) 아름다운 마크가 된다. 또한, 측부 표시 요소(62)는,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의 수축 상태에 있어서, 가로 방향(X)으로 줄어든 형태가 되어, 중앙부 표시 요소(63)와 형태가 상위하다. Fig. 10(a) is a view similar to Fig. 4 in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diaper 10. In this modified example, a face mark is displayed as the display element 60 . In the state where the front and rear waist sheets 16 and 17 are stretched, the upper display element 61 is a distorted mark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but in the state where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and 12 are contracted, The upper display element 61 and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have the same form and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outer shape, making a well-balanced (balanced) beautiful mark on the face. In addition, when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are contracted, the side display element 62 has a shape that is redu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is different in shape from the central display element 63 .

도 10(b)는, 기저귀(10)의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 4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동일한 형태로서, 크기가 다른 닮은꼴의 도안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크기가 다른 표시 요소여도, 형태의 동일성을 가짐으로써, 통일감이 있는 인상을 줄 수 있다. Fig. 10(b) is a view similar to Fig. 4 in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diaper 10. In this modified example, in the state where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are contracted, the top display element 61 and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have the same shape and become similar designs with different sizes. In this way, even if the display elements have different sizes, a unified impression can be given by having the same shape.

상술한 각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31, 32) 또는 비신축성 시트(33, 34)에 인쇄되는 표시 요소(60)는, 제조 공정(제 1 공정(91))에 있어서의 연속 신축성 시트(75)(신축성 시트(31, 32))의 신장 배율, 열 엠보스/데보스 가공에 의한 수축률 및 사이드 심(21)에 의한 수축의 억제 중, 적어도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연속 신축성 시트(75)의 신장 배율을 고려하여, 적어도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가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동일한 형태가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기저귀(10)는, 상술한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이기 때문에, 각 표시 요소(61∼64)에 있어서의 형태의 동일성은, 제조상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가 복수 형성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1개의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가 동일한 형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In each embodiment and each modification described above, the display element 60 printed on the stretchable sheets 31 and 32 or the non-stretchable sheets 33 and 34 is produc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first step 91). Among the stretch ratio of the continuous stretchable sheet 75 (stretchable sheet 31, 32), the shrinkage rate by heat embossing/debossing, and the suppression of shrinkage by the side seam 21, at least continuou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Considering the stretch ratio of the stretchable sheet 75, at least the upper display element 61 and the center display element 63 are set to have the same shape when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are contracted. In addition, since the diaper 10 is manufactured through the manufacturing process described above, the uniformity of the shapes of the respective display elements 61 to 64 may include errors in manufacturing.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upper display elements 61 and center display elements 63 are formed, at least one top display element 61 and center display element 63 may be set to have the same shape.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은, 기저귀(10) 이외에, 생리용 쇼츠, 쇼츠형 패드 등, 팬티형의 구조를 갖는 일회용 착용 물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10)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에는,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외에, 이런 종류의 물품에 있어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의 재료를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 기저귀(10)의 기본 구조로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별체의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했지만,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 및 크로치 영역(13)을 연속하는 시트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명세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등의 용어는, 같은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 이용된다. Disposable wearable 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in addition to the diaper 10 , sanitary shorts, shorts-type pads, and other disposable wearable articles having a pants-like structure. Various known materials commonly used in this type of article can be used fo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diap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limitation, in addition to the material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Further, as the basic structure of the diaper 10, in this specification,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are formed of separate front and rear waist sheets 16 and 17 as an example, but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crotch area|region 13 is formed by continuous sheet material may be sufficient. Also, in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simply to distinguish the same elements, positions, and the like.

10 : 일회용 기저귀(일회용 착용 물품)
11 : 전 웨이스트 영역
12 : 후 웨이스트 영역
13 : 크로치 영역
15 : 크로치 패널
16 : 전 웨이스트 시트(웨이스트 시트)
17 : 후 웨이스트 시트(웨이스트 시트)
22 : 웨이스트 개구
31, 32 : 신축성 시트
33, 34 : 비신축성 시트
41 : 제 1 탄성 영역
42 : 제 2 탄성 영역
43 : 비탄성 영역
61 : 상부 표시 요소(제 1 표시 요소)
62 : 측부 표시 요소(제 4 표시 요소)
63 : 중앙부 표시 요소(제 2 표시 요소)
64 : 크로치 표시 요소(제 3 표시 요소)
X : 가로 방향
Y : 세로 방향
10: Disposable diaper (disposable wear item)
11 : Front waist area
12: back waist area
13: crotch area
15: crotch panel
16: front waist seat (waste seat)
17: back waist seat (waste seat)
22: waist opening
31, 32: elastic sheet
33, 34: non-stretch sheet
41: first elastic region
42: second elastic region
43: inelastic region
61: upper display element (first display element)
62: side display element (fourth display element)
63: center display element (second display element)
64: crotch display element (third display element)
X: horizontal direction
Y: vertical direction

Claims (7)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피부 대향면 및 비(非)피부 대향면과, 전후 웨이스트 영역의 한쪽인 제 1 웨이스트 영역과, 상기 전후 웨이스트 영역의 다른쪽인 제 2 웨이스트 영역과, 상기 제 1 및 제 2 웨이스트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을 갖고, 상기 크로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웨이스트 영역으로 연장되는 크로치 패널을 포함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웨이스트 영역 중 적어도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은,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웨이스트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웨이스트 시트는,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1 표시 요소와 제 2 표시 요소를 가지며,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은, 웨이스트 개구측에 위치하는 제 1 탄성 영역과, 상기 크로치 영역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2 탄성 영역과, 상기 제 2 탄성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크로치 패널과 겹쳐지는 비탄성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표시 요소는, 상기 제 1 탄성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표시 요소는 상기 비탄성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웨이스트 시트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요소와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는 서로 상위하고,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요소는, 상기 웨이스트 시트의 상기 신장 상태에 비해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가 작아져, 상기 제 1 표시 요소와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가 동일하고, 상기 웨이스트 시트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와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가 동일한 상기 착용 물품.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ransverse direction, a skin facing surface and a non-skin facing surface, a first waist region that is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and a second waist region that is the oth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A disposable wearing article comprising a crotch panel having a crotch area positioned between a second waist area and extending from the crotch area to the first and second waist areas,
At least the first waist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waist regions is formed of a waist sheet that is stretcha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waste sheet has a first display element and a second display element visible from the outside,
The first waist region is located between a first elastic region located on the waist opening side, a pair of second elastic regions located on the side of the crotch region, and the second elastic region, and furthermore, the crotch panel has an inelastic reg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display element is located in the first elastic region, and the second display element is located in the inelastic region;
In the stretched state of the waste sheet, the shapes of the first display element and the second display elemen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contracted state of the first waist region, the dimension of the first display el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tretched state of the waste sheet, so that the shapes of the first display element and the second display element are reduced. are the same, and the shape of the second display element in the stretched state of the waist sheet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second display element in the contracted state of the first waist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스트 시트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성 시트와, 상기 신축성 시트에 적층된 비신축성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요소는, 상기 신축성 시트에 인쇄되는 착용 물품.
According to claim 1,
The waist sheet includes a stretchable sheet stretcha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non-stretchable sheet stacked on the stretchable sheet,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elements are printed on the stretchable she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스트 시트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성 시트와, 상기 신축성 시트에 적층된 비신축성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요소는, 상기 비신축성 시트에 인쇄되는 착용 물품.
According to claim 1,
The waist sheet includes a stretchable sheet stretcha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non-stretch sheet laminated on the stretch sheet,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elements are printed on the non-stretch shee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 패널은, 상기 크로치 영역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3 표시 요소를 갖고,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요소와 상기 제 3 표시 요소의 형태가 동일한 착용 물품.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rotch panel has a third display element located in the crotch area and visible from the outsid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waist area is contracted, the shapes of the second display element and the third display element are different. identical wearable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 탄성 영역에는,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4 표시 요소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4 표시 요소와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는 동일한 착용 물품.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fourth display element visible from the outside is disposed in the pair of second elastic regions, and the shape of the fourth display element and the second display element are the same when the first waist region is in an extended state. wear item.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의 상기 비탄성 영역의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는, 상기 제 2 웨이스트 영역의 상기 비탄성 영역의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보다도 작은 착용 물품.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wearing article wherein a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elastic region of the first waist region is smaller than a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elastic region of the second waist reg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 탄성 영역에는,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4 표시 요소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4 표시 요소와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는 동일한 착용 물품.
According to claim 4,
A fourth display element visible from the outside is disposed in the pair of second elastic regions, and the shape of the fourth display element and the second display element are the same when the first waist region is in an extended state. wear item.
KR1020177037698A 2015-08-14 2016-06-16 disposable wearables KR10255543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60152A JP6703381B2 (en) 2015-08-14 2015-08-14 Disposable wearing articles
JPJP-P-2015-160152 2015-08-14
PCT/JP2016/067951 WO2017029870A1 (en) 2015-08-14 2016-06-16 Disposable wearable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528A KR20180040528A (en) 2018-04-20
KR102555430B1 true KR102555430B1 (en) 2023-07-13

Family

ID=58047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698A KR102555430B1 (en) 2015-08-14 2016-06-16 disposable wearable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03381B2 (en)
KR (1) KR102555430B1 (en)
CN (1) CN107847373B (en)
WO (1) WO201702987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5620B2 (en) * 2018-06-04 2022-07-25 大王製紙株式会社 Disposable wearing article
WO2020140298A1 (en) * 2019-01-05 2020-07-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rtwork
WO2020164062A1 (en) * 2019-02-14 2020-08-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nt-type wearable article
WO2020164061A1 (en) * 2019-02-14 2020-08-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nt-type wearable article
JP7103986B2 (en) * 2019-03-18 2022-07-20 大王製紙株式会社 Elastic member and disposable wearable article having this elastic member
JP7153611B2 (en) * 2019-06-25 2022-10-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NONWOVEN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ONWOVEN SHE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8541A1 (en) 2004-12-20 2006-06-29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one or several patterns
JP2008188445A (en) * 2008-04-17 2008-08-21 Daio Paper Corp Disposable paper diaper having color design
JP2008540058A (en) * 2005-05-20 2008-11-2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Multifunction training clothing
JP2015514521A (en) * 2012-04-23 2015-05-2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Fit display for pull-on absorbent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2875A (en) * 1985-11-27 1987-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JPH11104172A (en) * 1997-09-30 1999-04-20 Uni Charm Corp Disposable pants type diaper
US6949689B2 (en) * 2000-04-19 2005-09-27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4208625B2 (en) 2003-03-31 2009-01-14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912902B2 (en) * 2007-01-31 2012-04-11 大王製紙株式会社 Disposable paper diapers
JP2007236967A (en) * 2007-05-14 2007-09-20 Daio Paper Corp Disposable paper diaper
JP5383528B2 (en) * 2010-01-19 2014-0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wearing items
JP6103834B2 (en) * 2012-06-26 2017-03-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wearing items
JP6200781B2 (en) * 2013-11-06 2017-09-20 花王株式会社 Pants-type wearing art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8541A1 (en) 2004-12-20 2006-06-29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one or several patterns
JP2008540058A (en) * 2005-05-20 2008-11-2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Multifunction training clothing
JP2008188445A (en) * 2008-04-17 2008-08-21 Daio Paper Corp Disposable paper diaper having color design
JP2015514521A (en) * 2012-04-23 2015-05-2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Fit display for pull-on absorbent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9870A1 (en) 2017-02-23
CN107847373B (en) 2020-11-03
JP6703381B2 (en) 2020-06-03
JP2017035412A (en) 2017-02-16
KR20180040528A (en) 2018-04-20
CN107847373A (en) 201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5430B1 (en) disposable wearables
ES2316857T3 (en) BRAGA TYPE DISPOSABLE diaper.
RU154680U1 (en) WEARABLE ABSORBENT PRODUCT
WO2013046701A1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AU2002355700B2 (en) Pants-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CN101843369B (en) Disposable pants
KR20120099291A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2015107223A (en) Underpants type absorbent article
JP5885963B2 (en) Disposable wearing items
CN106794090A (en) Disposable diaper
AU7240300A (en) Disposable pants of trunks-type
JP2007202851A (en) Disposable absorptive article
CN103282003A (en) Underwear-type absorbent article
CN104105464A (en) Opening-type disposable diaper
CN104080430A (en) Pull-up type absorptive article and pad holder
CN105705125A (en) Pants-type item of clothing
CN104271098B (en) Cover member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11298272B2 (en)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JP3206405U (en) Disposable wearing items
KR102539926B1 (en) Disposable body fluid absorbent wearables
EP3326595B1 (en)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CN204600913U (en) Adult&#39;s pants type absorptive article
US11266546B2 (en)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JP2014054422A (en) Clothing article using composite shrinkable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lothing article
CN105491986B (en) Disposable pants type di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