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354B1 - Language 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through daily communication monitoring - Google Patents

Language 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through daily communication monito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354B1
KR102555354B1 KR1020200175123A KR20200175123A KR102555354B1 KR 102555354 B1 KR102555354 B1 KR 102555354B1 KR 1020200175123 A KR1020200175123 A KR 1020200175123A KR 20200175123 A KR20200175123 A KR 20200175123A KR 102555354 B1 KR102555354 B1 KR 102555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gnitive ability
user
language
artificial intelligence
ability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1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5863A (en
Inventor
최종석
임윤섭
김기문
성지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75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354B1/en
Publication of KR20220085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8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3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6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social or collaborative fil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3Languag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Q50/50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natural language modelling
    • G10L15/1822Parsing for meaning understand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Pat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와 음성 또는 텍스트로 상호작용하기 위한 인공지능 챗봇; 발화상황에 따른 사용 언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인공지능 챗봇에 입력된 사용자의 발화문장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인지능력 평가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사용자들의 그룹 특성에 따른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이러한 평가 및 케어는 인공지능 챗봇을 통해 일상적인 대화 과정에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기관을 방문하거나 전문가와 면담하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진단 데이터를 획득하고 치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도 인지 장애 및 치매 환자의 진단 및 관리에 소요되는 사회적인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A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for interacting with a user by voice or text; a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on languages used according to speech situations is stored; and a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evaluate the user's cognitive ability by analyzing the user's spoken sentence input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based o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ser's cognitive ability can be objectively evaluated using a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model according to group characteristics of general users, and such evaluation and care are performed in the course of daily conversation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It is possible to acquire diagnosis data and provide treatment contents naturally without visiting an institution or having an interview with an exper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reduce the social cost of diagnosing and managing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Description

일상생활 의사소통 모니터링을 통한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LANGUAGE 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THROUGH DAILY COMMUNICATION MONITORING}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through daily life communication monitoring {LANGUAGE 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THROUGH DAILY COMMUNICATION MONITORING}

본 발명은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지능 챗봇을 통해 사용자가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는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발화상황 및 그룹별 사용 언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평가하고, 사용자의 인지능력에 적합한 상호작용 및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능력 저하를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monitors the process of a user having a daily conversation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and stores information on speech situations and languages used by group in a database. A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or treating cognitive decline of a user by evaluating a user's cognitive ability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ing interactions and contents suitable for the user's cognitive ability.

[국가지원 연구개발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State-Supported R&D]

본 연구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주관 하에 산업통상자원부의 로봇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서비스 로봇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소셜 로봇지능 원천 기술 개발, 과제고유번호: 2MR8960)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정보통신방송기술개발 및 표준화사업 (비침습 BCI 신호 기반 원격 로봇 제어 기술, 과제고유번호: 2N57222)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development of social robot intelligence source technology for social interaction of service robots, project identification number: 2MR8960) and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It was made with the support of the broadcasting technology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project (non-invasive BCI signal-based remote robot control technology, project identification number: 2N57222).

현대 사회의 생활환경이 급속하게 복잡해지고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인지기능이 저하되거나 치매로 진단받는 환자의 수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경도 인지 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는 인지적 연속성을 전제로 정상적인 노화와 치매 사이의 경계에 해당하는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말하자면, 정상적인 인지 기능의 저하 상태와 병적인 치매 상태를 각각 양 극단으로 하는 인지기능의 스펙트럼이 있다면, 그 중간에 경도 인지 장애가 있다고 볼 수 있다.As the living environment of modern society becomes rapidly complicated and the population age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ognitive decline or diagnosed with dementia is rapidly increas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a term that refers to a population that falls on the borderline between normal aging and dementia, on the premise of cognitive continuity. In other words, if there is a spectrum of cognitive function with a state of deterioration in normal cognitive function and a state of pathological dementia as both extremes, mild cognitive impairment can be seen in the middle.

MCI 환자는 그 55~72%가 수년 이내에 치매로 진전하고(Flicker, Ferris 및 Reisberg, 1991), 또한 알츠하이머성 치매(dementia of Alzheimer's type, DAT)로 진행하는 비율은 약 10%~15% 정도로서, 정상 노인이 치매로 진행하는 비율 약 1%~2%에 비해 매우 높다. 따라서, MCI를 치매의 임상적 전단계로 보고 미래에 DAT로 진전될 환자를 조기 변별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55-72% of MCI patients progress to dementia within several years (Flicker, Ferris and Reisberg, 1991), and the rate of progression to dementia of Alzheimer's type (DAT) is about 10% to 15%, It is very high compared to about 1% to 2% of normal elderly people progressing to dementia. Therefore, studies are ongoing to view MCI as a clinical pre-stage of dementia and to early discriminate patients who will progress to DAT in the future.

대표적인 인지기능인 언어능력을 기반으로 환자의 인지기능 감퇴를 예측하는 모델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인지기능이 감퇴하는 유형에 따라 다양한 언어기능의 저하가 나타나는데, 언어-인지기능을 심층적으로 살펴본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의미 및 통사, 문장의 복잡성 등 다양한 언어 하위요소에 따른 결함이 보고되고 있다.A model that predicts a patient's cognitive decline based on language ability, which is a representative cognitive function, is known to be a very effective method. Depending on the type of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various declines in language function appear.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at have examined language-cognitive function in depth, defects according to various language sub-elements such as meaning, syntax, and sentence complexity have been reported.

따라서 과학적인 검증을 통해 언어기반 인지능력 평가 모델을 확립하고 이에 따른 개별 맞춤형 치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인지기능을 진단하거나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은 매우 제한적이며 가장 중요한 인지기능인 언어능력에 기반한 객관적인 진단 방법은 부재한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model through scientific verification and to provide individually tailored treatment accordingly. However, at present, methods for diagnosing or monitoring cognitive function are very limited, and there is no objective diagnosis method based on language abilit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ognitive function.

기존의 언어 기반 인지능력의 평가와 재활방법은 주로 재활병원, 언어치료실 등에서 수행되는 설문지 작성이나 전문가와의 인터뷰에 의존하기 때문에 신경계 문제로 인한 정신적, 육체적 장애가 있는 환자가 보호자를 동반해야만 하며, 상당한 규모의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Existing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methods mainly depend on filling out questionnaires or interviews with experts performed in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speech therapy rooms, so patients with 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due to nervous system problems must be accompanied by a guardian, and considerable There are significant social costs.

이와 같이, 기존의 인지능력의 평가는 검사도구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에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에서의 언어 사용에 관한 환자의 특징을 파악하기 어렵다. 올바른 인지능력 평가를 위해서는 특정 기관에서 전문가와 면담하는 상황이 아닌 환자가 일상생활 의사소통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특징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In this way,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regarding language use in various situations because the existing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is mostly performed at institutions that have test tools. In order to properly evaluate cognitive ability,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used in daily life communication by patients in real time, not in the situation of interviewing an expert at a specific institution.

또한, 보호자를 동반하여 병원을 자주 방문하기 힘든 노령 환자의 특성 상 일상생활에서 인지능력을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이에 따른 맞춤형 케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visiting hospitals frequently accompanied by guardians,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evaluate cognitive abilities in daily life and provide customized care accordingl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2105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562105

이에 본 발명은, 인공지능 챗봇(chat-bot)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일상생활 의사소통을 모니터링하고 발화상황 및 그룹별 사용 언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평가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인지능력 수준에 적합한 상호작용 및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능력 저하를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종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user's daily life communication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and evaluates the user's cognitive ability based on a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on the speech situation and language used by group is store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event or treat cognitive deterioration of the user by providing interactions and contents appropriate for the level of the user's cognitive ability.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와 음성 또는 텍스트로 상호작용하기 위한 인공지능 챗봇; 발화상황에 따른 사용 언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인공지능 챗봇에 입력된 사용자의 발화문장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인지능력 평가부를 포함한다.A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for interacting with a user by voice or text; a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on languages used according to speech situations is stored; and a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evaluate the user's cognitive ability by analyzing the user's spoken sentence input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based on the databas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지능 챗봇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한 발화문장 인식부; 상기 발화문장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도 및 상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는 답변문장을 생성하기 위한 인공지능 처리부; 및 상기 답변문장을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텍스트로 출력하기 위한 답변문장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may include: a spoken senten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voice data of a user input through a microphone or text data input by the user;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cessing unit for analyzing the user's intention and situation from the spoken sentence and generating a response sentence corresponding thereto; and a reply senten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reply sentence as a voice through a speaker or as text through a displa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발화상황에 따른 사용 언어에 관한 정보는, 일반 사용자들의 그룹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발화 언어의 표준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formation about the language used according to the speech situation stored in the database may include standardization information of differentiated speech languages according to group characteristics of general user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반 사용자들의 그룹 특성은 연령대, 성별, 직업군 및 교육수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roup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user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ge, gender, occupational group, and education leve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반 사용자들의 그룹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발화 언어의 표준화 정보는, 특정 그룹에 속하는 일반 사용자들이 발화상황에 따라 구사하는 단어 또는 문장의 난이도와 복잡도를 표준화하여 나타낸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andardization information of the spoken languag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group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users may be information that standardizes the difficulty and complexity of words or sentences spoken by general users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according to speech situations. there i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발화상황에 따른 사용 언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직업 및 교육수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경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formation about the language used according to the speech situation stored in the database may further include backgroun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ge, gender, occupation, and education level of the us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지능력 평가부는 상기 사용자의 배경 정보와 상기 일반 사용자들의 그룹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발화 언어의 표준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평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evaluate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user based on standardization information of differentiated spoken languages according to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user and group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user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지능 챗봇은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수준에 대응하는 상호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may provide an intera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cognitive ability level according to the user's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resul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지능 챗봇은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수준에 대응하는 난이도와 복잡도를 갖는 단어 또는 문장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using words or sentences having difficulty and complexity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level of the us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지능 챗봇은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수준에 대응하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customiz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level of the us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지능력 평가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평가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외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periodically evaluate the user's cognitive ability and store the evaluation result in the database or transmit it to the outside.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챗봇은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인공지능 로봇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on a smart device 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사용자들의 그룹 특성에 따른 발화 언어 데이터에 기초한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jectively evaluate a user's cognitive ability by using a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model based on spoken language data according to group characteristics of general users.

이러한 인지능력의 평가는 인공지능 챗봇을 통해 일상적인 대화 과정에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기관을 방문하거나 전문가와 면담하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진단 데이터를 획득하고 치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챗봇이나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인지능력 평가 결과에 따른 수준별 상호작용 및 콘텐츠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기관을 방문하거나 전문가와 면담하지 않고도 일상생활 내에서 맞춤형 케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Since this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is conducted in the course of daily conversation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users can acquire diagnosis data and provide treatment contents naturally without visiting an institution or meeting with a specialist. In addition, since interactions and content by level accor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result are provided through chatbots or smart devices, users can receive customized care services within their daily lives without visiting an institution or meeting with experts.

이와 같은 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에 따른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을 통해 경도 인지 장애 및 치매 환자의 진단 및 관리에 소요되는 사회적인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Social costs required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can be drastically reduced through such a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according to communication in daily lif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챗봇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cope to be claimed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s been selected as a general term that is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functions, but it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the explanation part of the corresponding specif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clarified that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모듈(module)", "장치(device)", "서버(server)" 또는 "시스템(system)"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부, 모듈, 장치, 서버 또는 시스템은 플랫폼(platform)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의 소프트웨어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have aspects that are entirely hardware, part hardware and part software, or entirely software. In this specification, "unit", "module", "device", "server" or "system" means hardwar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software, etc. Refers to a computer-related entity. For example, a unit, module, device, server, or system may refer to hardware constituting part or all of a platform and/or software such as an application for driving the hardware.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U)와 음성 또는 텍스트로 상호작용하기 위한 인공지능 챗봇(100), 발화상황에 따른 사용 언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00), 및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인지능력 평가부(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100 for interacting with a user U through voice or text, and information on a language used according to an utterance situation. It includes a database 200 in which is stored, and a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unit 300 for evaluating the user's cognitive ability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200.

인공지능 챗봇(100)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람과 음성 또는 텍스트로 대화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챗봇의 구성을 나타내는데, 인공지능 챗봇(100)은 입력장치(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한 발화문장 인식부(110), 상기 발화문장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도 및 상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는 답변문장을 생성하기 위한 인공지능 처리부(120), 생성된 답변문장을 출력장치(20)를 통해 음성 및/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답변문장 출력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10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person by voice or text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mputer program. 2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100 includes a speech senten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user voice data and / or text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10 ( 110),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cessing unit 120 for analyzing the user's intention and situation from the spoken sentence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reply sentence, and the generated reply sentence in the form of voice and / or text through the output device 20 It may be configured with an answer sentence output unit 130 for outputting to .

입력장치(10)는 마이크와 같이 음성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기록하거나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이다. The input device 10 is a device capable of converting and recording voice information into electrical signals, such as a microphone, or converting text information input through a mouse, keyboard, or touchpad into electrical signals.

발화문장 인식부(110)는 입력장치(10)를 통해 입력된 음성/텍스트 데이터를 문장의 형태로 인식한다. 예컨대, 발화문장 인식부(110)는 입력된 발화문장을 형태소 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형태소가 가진 의미를 검색하고 매칭함으로써 발화문장을 하나의 입력 단위로 인식할 수 있다.The spoken sentence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voice/text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10 in the form of a sentence. For example, the spoken sentence recognition unit 110 classifies the input spoken sentence into morpheme units, and searches and matches the meaning of the morpheme, thereby recognizing the spoken sentence as one input unit.

인공지능 처리부(120)는 상기 인식된 발화문장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도 및 상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는 답변문장을 생성한다.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발화문장이 "날씨가 어때?" 인 경우, 인공지능 처리부(120)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기온, 습도, 우천 여부 등을 물어보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적절한 답변, 예컨대 "현재 날씨는 맑고 건조합니다" 와 같은 답변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processing unit 120 analyzes the user's intention and situation from the recognized spoken sentence and generates a response sentence corresponding thereto. For example, the spoken sentence input from the user is "How's the weather?" In this cas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rocessing unit 12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asking about temperature, humidity, whether it is rainy or not,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nd provide an appropriate answer corresponding thereto, such as "the current weather is clear and dry". You can create an answer tex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지능 처리부(120)는 기계학습모델을 이용하여 발화문장의 의도를 분석하거나 상황을 분석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상기 기계학습모델은 미리 입력된 훈련 데이터 세트(예컨대, 발화문장 데이터와 각 문장이 나타내는 의도 및 상황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사전 학습(pre-training)될 수 있고, 의도 분석 및 상황 판단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함으로써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rocessing unit 120 may be trained to analyze the intention of a spoken sentence or analyze a situation using a machine learning model. The machine learning model may be pre-trained based on a pre-input training data set (e.g., a data set including spoken sentence data and an analysis result of the intention and situation represented by each sentence), and the inten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receiving feedback on analysis and situational judgment.

답변문장 출력부(130)는 이렇게 생성된 답변문장의 발화시간, 발화속도, 음성의 높낮이 등을 고려하여 출력장치(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출력장치(20)는 인공지능 처리부(120)에 의해 생성된 답변문장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 예컨대 음성, 텍스트, 이미지 등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의 장치를 포함할수 있다.The response sentence output unit 130 outputs the answer sentence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device 20 in consideration of the speech time, speech speed, voice pitch, etc. of the generated reply sentence. The output device 20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speaker or a display for outputting the response sentence generat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rocessing unit 120 in a form of information that a user can recognize, such as voice, text, or image. .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답변문장 출력부(130)는 상기 답변문장에 대응하는 로봇 제스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출력장치(20)는 인공지능 로봇에 구비된 제스처 구현부(예컨대, 로봇 팔, 다리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스처 구현부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답변문장에 대응하는 로봇 제스처를 실시간으로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nswer sentence output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robot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answer sentence, in which case the output device 20 is a gesture implementation unit (eg, robot arms, legs, etc.), and the gesture implementer may implement a robot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reply sentence in real tim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인공지능 챗봇(100)은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랩톱, 데스크톱 등 처리장치와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인공지능 로봇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100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on a smart device having a processing device and an input/outpu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ablet PC, wearable device, laptop, or desktop, 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공지능 챗봇(100)은 사용자의 인지능력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수준에 대응하는 상호작용을 제공하거나 맞춤형 케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100 may provide an intera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cognitive ability level or provide customized car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result.

데이터베이스(200)에는 발화상황에 따른 사용 언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는 일반 사용자들이 속하는 그룹 특성, 예컨대 연령대, 성별, 직업군, 교육수준 등 언어의 사용습관을 공유하는 집단에 따라 상황 별로 차별화된 발화 언어의 표준화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표준화 정보는 특정 그룹에 속하는 일반 사용자들이 발화상황에 따라 구사하는 단어 또는 문장의 난이도와 복잡도를 표준화하여 나타낸 정보일 수 있다.The database 20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languages used according to speech situ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formation includes standardization information of differentiated spoken languages for each situation according to group characteristics to which general users belong, such as age group, gender, occupational group, and educational level, which share language usage hab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andardiz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presenting standardized difficulty and complexity of words or sentences used by general users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according to speech situations.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인지기능이 감퇴함에 따라 의미 및 통사, 문장의 복잡성 등 다양한 언어 하위요소에 따른 결함이 나타나므로, 언어능력의 감퇴여부는 인지기능의 평가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s cognitive function declines, defects appear according to various language sub-elements such as meaning, syntax, and sentence complexity.

사용자의 언어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속한 사회적 그룹(예컨대 연령대, 성별, 직업군, 교육수준 등)의 일반 사용자들이 발화상황 별로 사용하는 언어를 비교대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공지능 챗봇과 대화 도중 하위 난이도의 문장을 자주 구사하거나 상위 난이도의 단어나 문장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가정할 때, 연령대나 교육수준이 낮은 사용자라면 이를 인지능력의 감퇴로 단정하기 어렵지만, 연령대나 교육수준이 높은 사용자라면 인지능력의 감퇴로 판단하는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In order to objectively evaluate the user's language ability, it is necessary to set the language used by general users of the social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eg age group, gender, occupational group, education level, etc.) for each speech situation as a comparison target. For example, assuming that a user frequently uses low-level sentences during a conversation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or does not understand high-level words or sentences, if the user is of a low age or low level of education, conclude that this is a decline in cognitive ability. It is difficult, but it can be a basis for judging a decline in cognitive ability for users with a high age or high level of education.

또한, 같은 발화문장에 대해서도 발화상황 별로 언어능력이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사를 나누거나 안부를 묻는 상황에서는 하위 난이도의 문장을 자주 구사한다고 해도 언어능력의 감퇴로 보기 어려운 반면, 면접이나 발표 등 공적인 상황을 연출하였을 때에는 언어능력의 감퇴로 판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for the same speech sentence, language ability may be evaluated differently for each speech situation. For example,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a decline in language ability even if you frequently use low-level sentences in a situation where you are greeting or asking how you are doing. It can be.

따라서 사용자의 언어능력과 이에 따른 인지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 그룹에 속하는 일반 사용자들이 상황 별로 구사하는 언어(문장/단어)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objectively evaluate the user's language ability and consequent cognitive ability,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language (sentences/words) used by general users belonging to each group for each situ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200)는 일반 사용자들의 사용 언어와 관련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서버로부터 가입자의 계정 정보(나이, 거주지, 성별, 직업, 교육수준 등)와 상기 가입자들이 업로드한 텍스트 및/또는 영상을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특정 그룹에 속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체계적으로 분류함으로써, 일반 사용자들의 그룹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발화 언어의 표준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atabase 200 may be built using big data related to languages used by general users. For example, subscriber account information (age, place of residence, gender, occupation, education level, etc.) and text and/or video uploaded by the subscriber are extracted from various social network service (SNS) servers, and analyzed to identify a specific group. By systematically classifying the languages used by the people belonging to, it is possible to obtain standardization information of differentiated spoken languages according to group characteristics of general users.

상기 데이터베이스(200)는 SNS 등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U)와 인공지능 챗봇(100)의 대화나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주고 받는 메시지 데이터 등 내부 상호작용에 따른 결과를 통해서도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배경 정보(연령, 거주지, 성별, 직업, 교육수준 등)가 입력된 상태에서 인공지능 챗봇(100)은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사용자의 언어 습관(단어 및 문장의 사용빈도, 난이도, 복잡도 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은 특정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배경 정보를 획득함과 동시에, 다른 사용자들의 인지 능력 평가에 이용될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atabase 200 can not only be updated through external networks such as SNS, but also through the results of internal interactions such as conversations between the user U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100 or message data exchanged through smart devices. can be updated For example, with the user's background information (age, place of residence, gender, occupation, education level, etc.) inpu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10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o determine the user's language habits (frequency of use of words and sentences, difficulty level, etc.) , complexity, etc.) may be analyzed, and the analysis result may be uploaded to the database 200 . Accordingly, the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can obtain background information for objectively evaluating the cognitive ability of a specific user and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a database to be used for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of other users.

인지능력 평가부(300)는 인공지능 챗봇(100)과의 상호작용으로 입력된 사용자의 발화문장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일반 사용자들의 사용 언어에 대한 표준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The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unit 300 determines the user's cognitive ability based on the user's spoken sentence data input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100 and the standardized information on the language used by general users stored in the database 200. can be evaluated.

전술한 것처럼, 사용자의 배경 정보에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직업, 교육수준 등 언어 습관과 관련이 있는 개인 정보가 포함된다. 일반 사용자들의 사용 언어에 대한 표준화 정보에는 특정 언어권의 사람들이 속하는 그룹, 예컨대 연령대, 성별, 직업군, 교육수준에 따른 단어 또는 문장의 사용빈도, 난이도, 복잡도, 사용습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포함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s background information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language habits, such as age, gender, occupation, and educational level. Standardized information on the language used by general users includes specific information on the frequency of use, difficulty, complexity, and usage habits of words or sentences according to the group to which people of a specific language group belong, such as age group, gender, occupational group, and education level. .

예를 들어, 사용자(발화자)가 대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직업이 교사인 남성인 경우, 인지능력 평가부(300)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해당 교육수준(대학교 졸업)과 유사 직업군(교사, 교수, 강사 등)에 속하는 남성 사용자들의 언어 습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user (speaker) has graduated from a university and is a male teacher whose job is a teacher, the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unit 300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education level (university graduate) and similar occupational groups (teacher, professor) stored in the database 200. , instructors, etc.), the user's cognitive ability may be evaluated based on language habit information of male users.

인지능력 평가부(300)는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주기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 결과는 스마트폰, 태블릿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랩톱, 데스크톱 등의 장치를 통해 사용자 또는 보호자(가족, 간병인 등)에게 직접 제공되거나, 외부 기관(의료기관, 재활센터 등)의 관리자 서버(S)에 전송될 수 있다. 관리자 서버(S)에서는 상기 인지능력 평가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방문, 진료, 상담 일정 등을 전반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The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unit 300 may periodically evaluate the user's cognitive ability, and the evaluation result is directly sent to the user or guardian (family, caregiver, etc.) through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wearable devices, laptops, and desktops. It may be provided or transmitted to an administrator server (S) of an external institution (medical institution, rehabilitation center, etc.). The manager server S may overall manage the user's visit, medical treatment, consultation schedule, etc. accor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result.

이하에서는 상기 인지능력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인지능력 감퇴를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gnitive decline of a user based on the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result and a system for implement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인공지능 챗봇(100)은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수준에 대응하는 상호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지능 챗봇은 사용자의 인지능력 수준에 알맞은 난이도와 복잡도를 갖는 단어 또는 문장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100 may provide an intera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cognitive ability level according to the user's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resul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using words or sentences having difficulty and complexity suitable for the level of cognitive ability of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발화자)와 같은 사회적 그룹에 속하는 일반 사용자들이 구사하는 문장의 복잡도가 10이라고 할 때, 사용자가 구사하거나 이해하는 문장의 복잡도가 5인 경우, 사용자의 인지능력이 감퇴하는 중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인공지능 챗봇은 이러한 평가 결과에 따라 사용자와 대화할 때 6~7 수준의 복잡도를 갖는 문장을 활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6~7 수준의 문장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5~6 수준의 문장을 활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고, 반대로 사용자가 6~7 수준의 문장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다면 7~8 수준의 문장을 활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mplexity of the sentences spoken by general users belonging to the same social group as the user (speaker) is 10, and the complexity of the sentences the user uses or understands is 5, it is said that the user's cognitive ability is declining. will be able to evaluate AI chatbots can be adjusted to utilize sentences of 6-7 levels of complexity when conversing with users based on these evaluation results. If the user does not understand level 6-7 sentences, it can be adjusted to use level 5-6 sentences, and conversely, if the user has n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level 6-7 sentences, it can be adjusted to use level 7-8 sentences. can be adjusted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챗봇은 획일적인 채팅 기능이 아닌 사용자의 수준에 맞는 상호작용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회복시키거나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As such, the chat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elp restore or maintain the user's cognitive ability by providing an interaction suitable for the user's level, rather than a uniform chatting func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지능 챗봇(100)은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수준에 대응하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게 신문 기사나 인터넷 검색 결과를 제공할 때, 사용자의 인지능력 평가 결과에 따라 신문 기사나 검색 결과에 포함된 단어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적절한 수준(난이도, 복잡도, 한자/영어의 유무 등)의 단어로 대체함으로써 사용자의 이해를 돕고 인지능력의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100 may provide customiz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cognitive ability level. For example, when providing a newspaper article or Internet search result to a user, words included in the newspaper article or search result are selected at an appropriate level (difficulty, complexity, presence or absence of Chinese characters/English, etc.) ), it is possible to help the user's understanding and improve cognitive ability.

실시예에 따른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방법과 이에 포함된 인공지능 챗봇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The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method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included there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s or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can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이상에서 설명한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에 의하면, 일반 사용자들의 그룹 특성에 따른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이러한 평가 및 케어는 인공지능 챗봇을 통해 일상적인 대화 과정에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기관을 방문하거나 전문가와 면담하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진단 데이터를 획득하고 치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도 인지 장애 및 치매 환자의 진단 및 관리에 소요되는 사회적인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described above, the user's cognitive ability can be objectively evaluated using a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model according to the group characteristics of general users, and such evaluation and care can be performed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As this is done in the course of daily conversation through this process, the user can naturally obtain diagnosis data and provide treatment contents without visiting an institution or meeting with an exper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reduce the social cost of diagnosing and managing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10: 입력장치
20: 출력장치
100: 인공지능 챗봇
110: 발화문장 인식부
120: 인공지능 처리부
130: 답변문장 출력부
200: 데이터베이스
300: 인지능력 평가부
U: 사용자
S: 관리자 서버
10: input device
20: output device
100: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110: spoken sentence recognition unit
120: artificial intelligence processing unit
130: response sentence output unit
200: database
300: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unit
U: user
S: manager server

Claims (12)

일상생활 의사소통 모니터링을 통한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와 음성 또는 텍스트로 상호작용하기 위한 인공지능 챗봇;
발화상황에 따른 사용 언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되, 언어의 사용습관을 공유하는 집단에 따라 상황 별로 차별화된 발화 언어의 표준화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인공지능 챗봇에 입력된 사용자의 발화문장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인지능력 평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공지능 챗봇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한 발화문장 인식부;
상기 발화문장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도 및 상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는 답변문장을 생성하기 위한 인공지능 처리부; 및
상기 답변문장을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텍스트로 출력하기 위한 답변문장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수준에 대응하는 상호작용을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수준에 대응하는 난이도와 복잡도를 갖는 단어 또는 문장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대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
As a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through daily life communication monit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for interacting with users by voice or text;
a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on languages used according to speech situations and including standardization information of differentiated speech languages for each situation according to groups sharing language usage habits; and
Based on the database, a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unit for analyzing the user's spoken sentence input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to evaluate the user's cognitive abilit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a spoken senten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user voice data input through a microphone or text data input by the user;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cessing unit for analyzing the user's intention and situation from the spoken sentence and generating a response sentence corresponding thereto; and
It comprises a response senten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nswer sentence as a voice through a speaker or as text through a display,
According to the user's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result, providing an intera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cognitive ability level, but using a word or sentence having difficulty and complexity corresponding to the user's cognitive ability level Construct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Characterized in that,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assessment and care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발화상황에 따른 사용 언어에 관한 정보는, 일반 사용자들의 그룹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발화 언어의 표준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on the language used according to the speech situation stored in the database includes standardization information of differentiated speech languages according to group characteristics of general us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사용자들의 그룹 특성은 연령대, 성별, 직업군 및 교육수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group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users include at least one of age, gender, occupational group, and education level,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사용자들의 그룹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발화 언어의 표준화 정보는, 특정 그룹에 속하는 일반 사용자들이 발화상황에 따라 구사하는 단어 또는 문장의 난이도와 복잡도를 표준화하여 나타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standardization information of the speech languag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group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users is language-based information that standardizes the difficulty and complexity of words or sentences spoken by general users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according to the speech situation. Cognitive ability assessment and care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발화상황에 따른 사용 언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직업 및 교육수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경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information on the language used according to the speech situation stored in the database further includes backgroun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age, gender, occupation, and education level,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능력 평가부는 상기 사용자의 배경 정보와 상기 일반 사용자들의 그룹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발화 언어의 표준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Characterized in that the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unit is configured to evaluate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user based on standardization information of differentiated spoken languag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group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users,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챗봇은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수준에 대응하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is configured to provide customiz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cognitive ability level,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능력 평가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평가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외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unit is configured to periodically evaluate the user's cognitive ability and store the evaluation result in the database or transmit it to the outside,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제10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챗봇은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인공지능 로봇 상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기반 인지능력 평가 및 케어 시스템.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to 7, 10 to 11,
Characterized in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is implemented on a smart device 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languag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KR1020200175123A 2020-12-15 2020-12-15 Language 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through daily communication monitoring KR1025553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123A KR102555354B1 (en) 2020-12-15 2020-12-15 Language 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through daily communication monito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123A KR102555354B1 (en) 2020-12-15 2020-12-15 Language 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through daily communication monito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863A KR20220085863A (en) 2022-06-23
KR102555354B1 true KR102555354B1 (en) 2023-07-18

Family

ID=8222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123A KR102555354B1 (en) 2020-12-15 2020-12-15 Language 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through daily communication monito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35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750B1 (en) * 2020-03-23 2020-07-06 이병관 Method for providing big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service using bidirectional virtual reality conten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105B1 (en) 2013-10-02 2015-10-2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sentence comprehension and sentence production for diagnosi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KR20200056864A (en) * 2018-11-15 2020-05-25 웰니스인텔리전스(주) Method for providing home care service for people with dementia using home care platfo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750B1 (en) * 2020-03-23 2020-07-06 이병관 Method for providing big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service using bidirectional virtual reality cont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863A (en)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Veney et al. Parent-implemented versus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s for late-talking toddle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Ryan et al.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ssess clinicians’ communication skills
Chapma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reading skills and speech and language performance in young children with cleft lip and palate
US9508360B2 (en) Semantic-free text analysis for identifying traits
JP2020075090A (en) Computing technologies for diagnosis and therapy of language-related disorders
Fama et al.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inner speech in aphasia is a meaningful reflection of lexical retrieval
Schuchard et al. Word repetition and retrieval practice effects in aphasia: Evidence for use-dependent learning in lexical access
Borrie et al. A perceptual learning approach for dysarthria remediation: An updated review
Corrales-Astorgano et al. Automatic assessment of prosodic quality in down syndrome: Analysis of the impact of speaker heterogeneity
Franciscatto et al. Towards a speech therapy support system based on phonological processes early detection
Crasto et al. Carebot: A mental health chatbot
Deckers et al.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An ICF-CY based multiple case study
Borrie et al. From speech acoustics to communicative participation in dysarthria: Toward a causal framework
WO20221741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sychotherap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ummins et al. TIM: a tool for gaining insights into psychotherapy
Gagliardi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studying language in pathological ageing: A scoping review
Sharma et al. Chatbots in healthcare: Challenges,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Holmlund et al. Tracking language in real time in psychosis
Johnson Speech, voice, and communication
Beccaluva et al. Predicting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speech data analysis tool
KR102555354B1 (en) Language 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care system through daily communication monitoring
Armstrong et al. Approaches to assessment and treatment of everyday talk in aphasia
Attwell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Online Speech Therapy Systems for Intervention in Childhood Speech Communication Disorders
Malins et al. Developing an automated assessment of in-session patient activation for psychological therapy: codevelopment approach
Rastogi et al. A multi-modal human robot interaction framework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