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449B1 -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449B1
KR102554449B1 KR1020220139539A KR20220139539A KR102554449B1 KR 102554449 B1 KR102554449 B1 KR 102554449B1 KR 1020220139539 A KR1020220139539 A KR 1020220139539A KR 20220139539 A KR20220139539 A KR 20220139539A KR 102554449 B1 KR102554449 B1 KR 102554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vector
packet data
destin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범
Original Assignee
김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범 filed Critical 김기범
Priority to KR1020220139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33Topology update or discovery by updating distance vecto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8Connectivity information upd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목적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목적벡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후보 네트워크 망들 중 타겟 네트워크 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네트워크 망에 기초하여 패킷 데이터를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까지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SYSTEM FOR DATA COMMUNICATION BASED ON LO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 및 통신장치가 나날이 발전하면서 통신속도는 시간을 거듭할수록 빨라지고 있다. 통신의 속도는 통신사업자의 차별화 수단이자 훌륭한 마케팅 도구이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통신사들이 홍보하는 통신속도 수치를 체감하지 못한다는 불만을 표시하기도 한다.
실제로, 여러 통신사들이 통신속도를 최대치로 구현하였다고 하지만, 인터넷 품질 측정 서비스에 따르면, 통신사들이 구현했다는 수치에 한참 미치지 못하여 이슈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 하나는 TCP/IP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수많은 보안제품으로 인프라를 구성하고 있는 구조적 문제점이다. 현재 통신 인프라는 서버자원 보호를 위하여 부수적인 네트워크 장비가 복잡하게 얽히고 설켜있어 데이터 처리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자연스럽게 비용 역시 높게 책정이 되고 있다. 나아가, 스마트폰의 활성화로 데이터 통신 부하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TCP/IP 내부가 공개되어 있어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한 통신 시스템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전문가 견해가 적지 않다.
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TCP/IP를 대체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간단한 데이터 처리 과정을 가지고 있는 프로토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기존 프로토콜과 대비하여 높은 확장성과 간단한 데이터 처리 및 높은 경제성을 가질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로써,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목적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목적벡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후보 네트워크 망들 중 타겟 네트워크 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네트워크 망에 기초하여 패킷 데이터를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까지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적벡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구면좌표계, 직각좌표계, 원통좌표계 중 어느 하나의 좌표값으로 상기 목적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적벡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출발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의 위치와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의 위치를 활용하여 상기 목적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적벡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후보 네트워크 망들 중 타겟 네트워크 망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후보 네트워크 망들 중 상기 목적벡터와 튜플이 일치하는 후보 네트워크 망을 상기 타겟 네트워크 망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퍼에 패킷 데이터를 제공하는 먹스; 상기 먹스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 상기 버퍼로부터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제공받아 외부로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센더; 및 출발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의 위치와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의 위치를 활용하여 목적벡터를 추출하고, 복수의 후보 네트워크 망들 중 상기 목적벡터와 튜플이 일치하는 후보 네트워크 망을 타겟 네트워크 망으로 선택하며, 상기 목적벡터와 상기 타겟 네트워크망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를 상기 출발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에서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먹스, 상기 버퍼 및 상기 센더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치 기반 통신 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에 따르면, 실제 위치(혹은 가상 위치)를 활용하므로 IP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데드락 이슈가 발생되지 아니하며, 기존 프로토콜보다 패킷의 크기가 작고, 최적의 경로를 쉽게 검색할 수 있어 패킷 전송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에 있어서 제1 전자장치(들)와 제2 전자장치(들)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예컨대, "명령(command)", "명령어(instruction)", "제어 정보", "메시지", "정보", "데이터", "패킷", "데이터 패킷", "인텐트(intent)" 및/또는 "신호"는 그 표현에 구애됨 없이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사상이나 구체적인 전기적 표현(예: 디지털 부호/아날로그 물리량)을 포함하거나 그 자체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거된 예시적인 표현이 사용하게 되는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음은 본 문서에서 개시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문서에서 “가 B보다 크다”는 단순히 “가 B보다 크다”는 의미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 B보다 같거나 크다”라는 의미도 포함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들(1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들(2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장치(10)는 라우터(router), 스위치(switch), 허브(hub) 등 데이터 통신에 활용될 수 있는 통신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망을 연결하는 엑세스 라우터로써 게이트웨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자장치(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20)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내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 혹은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은,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5G 표준통신 프로토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 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특히, 도 2a는 n차원 좌표계 기준을 적용하는 경우에 구성될 수 있는 통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장치(100)는 먹스(20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퍼들(203),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더들(205), 프로세서(207) 및 메모리(20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장치(100)는 패킷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또 다른 통신장치로 패킷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킷데이터는 목적벡터(destination vector), 데이터정보 및 ECC(Error Correction code)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장치(100)는 목적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목적벡터와 데이터정보 및 ECC 정보를 캡슐화하여 패킷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장치(100)는 패킷 데이터의 전송이 시작되는 출발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의 위치와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의 위치를 활용하여 목적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통신장치들의 위치는 직각좌표계, 구면좌표계, 원통좌표계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장치(100)는 실제 위치를 반영한 좌표값이 통신장치(100)의 식별정보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좌표값은 실제 위치를 반영할 수도 있지만, 설계자가 가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장치는 서로 좌표값이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목적벡터는 출발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에 대응하는 좌표값과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에 대응하는 좌표값에 좌표차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좌표값은 직각좌표계, 구면좌표계, 원통좌표계 등 위치를 구분할 수 있는 n차원 좌표계에 따른 값을 지칭할 수 있다.
먹스(201)는 입력된 패킷 데이터에 포함된 목적벡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퍼들(203)에 패킷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버퍼(203)는 먹스(201)로부터 제공받은 패킷 데이터를 센더(205)에 제공할 수 있다.
센더(205)는 버퍼(203)로부터 제공받은 패킷 데이터를 외부 또 다른 통신장치 혹은 전자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센더(205)는 기 설정된 방향으로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07)는 중앙처리장치(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혹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먹스(201), 버퍼(203) 및 센더(2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동작 중에, 메모리(209)에 저장된 명령어, 프로그램 혹은 소프트웨어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명령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혹은 소프트웨어의 실행은 프로세서(207)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7)는 목적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에 대응하는 좌표값이 (3,2)이고, 출발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에 대응하는 좌표값이 (1,3)이라면, 프로세서(207)는 (2,-1)를 목적벡터로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07)는 목적벡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 망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7)는 목적벡터의 각 좌표 부호와 복수의 후보 네트워크 망 각각에 대응하는 부호의 튜플(tuple)이 일치하는 네트워크 망을 타겟 네트워크 망으로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207)는 선택된 타겟 네트워크 망에 따라 패킷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전송될 수 있도록 먹스(201), 버퍼(203) 및 센더(205)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09)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9)는 통신장치(100)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혹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209)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207)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명령어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패키지 파일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특히, 도 2b는 2차원 좌표계 기준을 적용하는 경우에 구성될 수 있는 통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한편, 도 2c는 3차원 좌표계 기준을 적용하는 경우에 구성될 수 있는 통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차원 직각좌표계를 기준으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장치(110)가 2차원 직각좌표계(n=2)에 의하여 좌표값이 설정된다면, 통신장치(110)는 먹스(210), 제1 버퍼(231), 제2 버퍼(233), 제3 버퍼(235), 제1 센더(251) 및 제2 센더(253), 프로세서(270), 메모리(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301에서, 통신장치(110)는 현재 위치(출발지)의 좌표값과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에 대응하는 좌표값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70)는 기 설정된 출발지의 좌표값과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에 대응하는 좌표값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의 좌표값(
Figure 112022113372353-pat00001
)을 (1,3),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에 대응하는 좌표값(
Figure 112022113372353-pat00002
)를 (3,2)라고 가정하겠다.
단계 S303에서, 통신장치(110)는 목적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70)는 현재 위치의 좌표값(
Figure 112022113372353-pat00003
)인 (1,3)과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에 대응하는 좌표값(
Figure 112022113372353-pat00004
)인 (3,2)을 활용하여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05
)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70)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06
)를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에 대응하는 좌표값(
Figure 112022113372353-pat00007
)인 (3,2)에 현재 위치의 좌표값(
Figure 112022113372353-pat00008
)인 (1,3)를 빼서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09
)는 (2, -1)로 추출될 수 있다.
단계 S305에서, 통신장치(110)는 추출된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10
)에 기초하여 복수의 후보 네트워크 망 중 데이터가 실제로 전송될 타겟 네트워크 망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70)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11
)의 각 좌표 부호와 후보 네트워크 망들 각각의 부호 튜플(tuple)이 일치하는 네트워크 망을 타겟 네트워크 망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0)는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타겟 네트워크 망을 선택할 수 있다.
Figure 112022113372353-pat00012
(수학식 1)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22113372353-pat00013
는 후보 네트워크 망의 부호를 나타내는 값이고,
Figure 112022113372353-pat00014
는 목적벡터의 좌표값을 나타내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15
은 차원 수를 나타낸다.
2차원 직각좌표계를 따른 경우, 후보 네트워크 망은 총 4가지 존재할 수 있다. 제1 후보 네트워크 망의 좌표값은 (1,1), 제2 후보 네트워크 망의 좌표값은 (1, -1), 제3 후보 네트워크 망의 좌표값은 (-1,1) 및 제4 후보 네트워크 망의 좌표값은 (-1, -1)일 수 있다.
제1 후보 네트워크 망의 경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16
이므로, 수학식 1를 만족하지 않는다.
제2 후보 네트워크 망의 경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17
이므로, 수학식 1를 만족한다.
제3 후보 네트워크 망의 경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18
이므로, 수학식 1를 만족하지 않는다.
제4 후보 네트워크 망의 경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19
이므로, 수학식 1를 만족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70)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20
)의 좌표값인 (2, -1)과 상기 수학식 1를 활용하여 제2 후보 네트워크 망을 타겟 네트워크 망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307에서, 통신장치(110)는 타겟 네트워크 망에 기반하여 패킷 데이터를 최종 목적지까지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70)는 타겟 네트워크 망에 기반하여 패킷 데이터를 최종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먹스(210), 버퍼들(231, 233, 235) 및 센더들(251, 25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먹스(210)는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된 패킷 데이터에 포함된 목적벡터에 기초하여 타겟 네트워크 망에 따라 제1 버퍼(231) 내지 제3 버퍼(235)에 패킷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먹스(210)는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의하여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21
)의 좌표값에 기초하여 버퍼들(231, 233, 235)에 패킷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타겟 네트워크 망의 좌표값이 (1, 1)인 경우, 프로세서(270)는 아래 규칙에 따라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버퍼(231, 233, 235)로 제공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22
)의 좌표값 (x,y)가 x>0, y>0인 경우(Cond 1), 프로세서(270)는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제1 버퍼(231)로 제공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23
)의 좌표값 (x,y)가 x>0, y=0인 경우(Cond 2), 프로세서(270)는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제2 버퍼(233)로 제공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24
)의 좌표값 (x,y)가 x=0, y>0인 경우(Cond 3), 프로세서(270)는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제3 버퍼(235)로 제공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25
)의 좌표값 (x,y)가 x=0, y=0인 경우(Cond 4), 프로세서(270)는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즉, 패킷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타겟 네트워크 망의 좌표값이 (1, -1)인 경우, 프로세서(270)는 아래 규칙에 따라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버퍼(231, 233, 235)로 제공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26
)의 좌표값 (x,y)가 x>0, y<0인 경우(Cond 1), 프로세서(270)는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제1 버퍼(231)로 제공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27
)의 좌표값 (x,y)가 x>0, y=0인 경우(Cond 2), 프로세서(270)는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제2 버퍼(233)로 제공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28
)의 좌표값 (x,y)가 x=0, y<0인 경우(Cond 3), 프로세서(270)는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제3 버퍼(235)로 제공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29
)의 좌표값 (x,y)가 x=0, y=0인 경우(Cond 4), 프로세서(270)는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즉, 패킷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타겟 네트워크 망의 좌표값이 (-1, 1)인 경우, 프로세서(270)는 아래 규칙에 따라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버퍼(231, 233, 235)로 제공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30
)의 좌표값 (x,y)가 x<0, y>0인 경우(Cond 1), 프로세서(270)는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제1 버퍼(231)로 제공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31
)의 좌표값 (x,y)가 x<0, y=0인 경우(Cond 2), 프로세서(270)는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제2 버퍼(233)로 제공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32
)의 좌표값 (x,y)가 x=0, y>0인 경우(Cond 3), 프로세서(270)는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제3 버퍼(235)로 제공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33
)의 좌표값 (x,y)가 x=0, y=0인 경우(Cond 4), 프로세서(270)는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즉, 패킷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타겟 네트워크 망의 좌표값이 (-1, -1)인 경우, 프로세서(270)는 아래 규칙에 따라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버퍼(231, 233, 235)로 제공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34
)의 좌표값 (x,y)가 x<0, y<0인 경우(Cond 1), 프로세서(270)는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제1 버퍼(231)로 제공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35
)의 좌표값 (x,y)가 x<0, y=0인 경우(Cond 2), 프로세서(270)는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제2 버퍼(233)로 제공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36
)의 좌표값 (x,y)가 x=0, y<0인 경우(Cond 3), 프로세서(270)는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제3 버퍼(235)로 제공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37
)의 좌표값 (x,y)가 x=0, y=0인 경우(Cond 4), 프로세서(270)는 패킷 데이터를 먹스(210)에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즉, 패킷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0)는 각 버퍼(231, 233, 235)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를 타겟 네트워크 망에 기초하여 제1 센더(251) 혹은 제2 센더(253)으로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버퍼(231, 233, 235)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를 유휴(idle) 상태에 있는 센더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타겟 네트워크 망의 좌표값이 (1, 1)인 경우,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의하여 제1 센더(251)는 x축에 대하여 x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센더(253)는 y축에 대하여 y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타겟 네트워크 망의 좌표값이 (1, -1)인 경우,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의하여 제1 센더(251)는 x축에 대하여 x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센더(253)는 y축에 대하여 y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타겟 네트워크 망의 좌표값이 (-1, 1)인 경우,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의하여 제1 센더(251)는 x축에 대하여 x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센더(253)는 y축에 대하여 y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타겟 네트워크 망의 좌표값이 (-1, -1)인 경우,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의하여 제1 센더(251)는 x축에 대하여 x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센더(253)는 y축에 대하여 y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아니하였으나, 통신장치(100)는 EC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ECC는 패킷 데이터의 손상을 감지하고 수정할 수 있다. ECC는 패킷 데이터에 포함된 프레임 검사 시퀀스(Frame Check Sequence)에 기초하여 패킷 데이터의 손상을 감지하고 수정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특히, 도 4a 및 도 4b는 타겟 네트워크 망의 좌표값이 (1,1)인 경우, 본 발명의 통신장치의 데이터 통신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서는, 복수의 통신장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가 x축, y축 모두 양의 방향으로 전송되는 제1 네트워크 망에 따라 패킷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 시스템(400)에 대하여 도시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패킷데이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통신장치의 좌표값을 (x,y)로 가정한다.
단계 S401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초기값이 설정될 수 있다. 출발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는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의 좌표값과 자신의 좌표값을 확인하여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38
)인
Figure 112022113372353-pat00039
를 추출할 수 있으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40
이고,
Figure 112022113372353-pat00041
이므로, 통신장치는 제1 네트워크 망을 타겟 네트워크 망으로 선택할 수 있다.
Figure 112022113372353-pat00042
는 x축 상에서 패킷데이터가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홉(hop) 값이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43
는 y축 상에서 패킷데이터가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홉(hop)값이다.
Figure 112022113372353-pat00044
Figure 112022113372353-pat00045
는 자연수이다.
단계 S403에서, 통신장치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46
)의 x값이 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47
)의 x값이 0이 아닌 경우(단계 S403에서, 'No'), 단계 S405에서, 출발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는 x축에서
Figure 112022113372353-pat00048
만큼 증가한 좌표값에 위치한 통신장치에게 패킷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패킷 데이터를 제공받은 통신장치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49
)를
Figure 112022113372353-pat00050
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통신장치는 다시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51
)의 x값이 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52
)의 x값이 0이 아닌 경우, 단계 S405부터 단계 S407 동작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53
)의 x값이 0인 경우(단계 S403에서, 'Yes'), 단계 S409에서, 통신장치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54
)의 y값이 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55
)의 y값이 0이 아닌 경우(단계 S409에서, 'No'), 단계 S411에서, 통신장치는 y축에서
Figure 112022113372353-pat00056
만큼 증가한 좌표값에 위치한 통신장치에게 패킷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413에서, 패킷 데이터를 제공받은 통신장치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57
)를
Figure 112022113372353-pat00058
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통신장치는 다시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59
)의 y값이 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60
)의 y값이 0이 아닌 경우, 단계 S411부터 단계 S413 동작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61
)의 y값이 0인 경우(단계 S409에서, 'Yes'), 패킷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도 4b에서는, 패킷데이터의 이동 경로가 x축 진행 후, y축 진행하는 방식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특히, 도 5a 및 도 5b는 타겟 네트워크 망의 좌표값이 (1, -1)인 경우, 본 발명의 통신장치의 데이터 통신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서는, 복수의 통신장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가 x축 양의 방향, y축 음의 방향으로 전송되는 제2 네트워크 망에 따라 패킷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 시스템(500)에 대하여 도시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패킷데이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통신장치의 좌표값을 (x,y)로 가정한다.
단계 S501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초기값이 설정될 수 있다. 출발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는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의 좌표값과 자신의 좌표값을 확인하여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62
)인
Figure 112022113372353-pat00063
를 추출할 수 있으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64
이고,
Figure 112022113372353-pat00065
이므로, 통신장치는 제2 네트워크 망을 타겟 네트워크 망으로 선택할 수 있다.
Figure 112022113372353-pat00066
는 x축 상에서 패킷데이터가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홉(hop) 값이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67
는 y축 상에서 음의 방향으로 패킷데이터가 이동하는 홉(hop) 값이다.
Figure 112022113372353-pat00068
Figure 112022113372353-pat00069
는 자연수이다.
단계 S503에서, 통신장치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70
)의 x값이 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71
)의 x값이 0이 아닌 경우(단계 S503에서, 'No'), 단계 S505에서, 출발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는 x축에서
Figure 112022113372353-pat00072
만큼 증가한 좌표값에 위치한 통신장치에게 패킷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507에서, 패킷 데이터를 제공받은 통신장치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73
)를
Figure 112022113372353-pat00074
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통신장치는 다시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75
)의 x값이 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76
)의 x값이 0이 아닌 경우, 단계 S505부터 단계 S507 동작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77
)의 x값이 0인 경우(단계 S503에서, 'Yes'), 단계 S509에서, 통신장치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78
)의 y값이 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79
)의 y값이 0이 아닌 경우(단계 S509에서, 'No'), 단계 S511에서, 통신장치는 y축에서
Figure 112022113372353-pat00080
만큼 감소한 좌표값에 위치한 통신장치에게 패킷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513에서, 패킷 데이터를 제공받은 통신장치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81
)를
Figure 112022113372353-pat00082
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통신장치는 다시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83
)의 y값이 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84
)의 y값이 0이 아닌 경우, 단계 S511부터 단계 S513 동작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85
)의 y값이 0인 경우(단계 S509에서, 'Yes'), 패킷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도 5b에서는, 패킷데이터의 이동 경로가 x축 진행 후, y축 진행하는 방식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특히, 도 6a 및 도 6b는 타겟 네트워크 망의 좌표값이 (-1,1)인 경우, 본 발명의 통신장치의 데이터 통신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서는, 복수의 통신장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가 x축 음의 방향, y축 양의 방향으로 전송되는 제3 네트워크 망에 따라 패킷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 시스템(600)에 대하여 도시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패킷데이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통신장치의 좌표값을 (x,y)로 가정한다.
단계 S601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초기값이 설정될 수 있다. 출발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는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의 좌표값과 자신의 좌표값을 확인하여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86
)인
Figure 112022113372353-pat00087
를 추출할 수 있으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88
이고,
Figure 112022113372353-pat00089
이므로, 통신장치는 제3 네트워크 망을 타겟 네트워크 망으로 선택할 수 있다.
Figure 112022113372353-pat00090
는 x축 상에서 패킷데이터가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홉(hop) 값이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91
는 y축 상에서 패킷데이터가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홉(hop) 값이다.
Figure 112022113372353-pat00092
Figure 112022113372353-pat00093
는 자연수이다.
단계 S603에서, 통신장치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94
)의 x값이 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95
)의 x값이 0이 아닌 경우(단계 S603에서, 'No'), 단계 S605에서, 출발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는 x축에서
Figure 112022113372353-pat00096
만큼 감소한 좌표값에 위치한 통신장치에게 패킷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607에서, 패킷 데이터를 제공받은 통신장치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97
)를
Figure 112022113372353-pat00098
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통신장치는 다시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099
)의 x값이 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00
)의 x값이 0이 아닌 경우, 단계 S605부터 단계 S607 동작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01
)의 x값이 0인 경우(단계 S603에서, 'Yes'), 단계 S609에서, 통신장치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02
)의 y값이 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03
)의 y값이 0이 아닌 경우(단계 S609에서, 'No'), 단계 S611에서, 통신장치는 y축에서
Figure 112022113372353-pat00104
만큼 증가한 좌표값에 위치한 통신장치에게 패킷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613에서, 패킷 데이터를 제공받은 통신장치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05
)를
Figure 112022113372353-pat00106
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통신장치는 다시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07
)의 y값이 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08
)의 y값이 0이 아닌 경우, 단계 S611부터 단계 S613 동작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09
)의 y값이 0인 경우(단계 S609에서, 'Yes'), 패킷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도 6b에서는, 패킷데이터의 이동 경로가 x축 진행 후, y축 진행하는 방식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특히, 도 7a 및 도 7b는 타겟 네트워크 망의 좌표값이 (-1, -1)인 경우, 본 발명의 통신장치의 데이터 통신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서는, 복수의 통신장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가 x축, y축 모두 음의 방향으로 전송되는 제4 네트워크 망에 따라 패킷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 시스템(700)에 대하여 도시되고 있다.
단계 S701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초기값이 설정될 수 있다. 출발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는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의 좌표값과 자신의 좌표값을 확인하여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10
)인
Figure 112022113372353-pat00111
를 추출할 수 있으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12
이고,
Figure 112022113372353-pat00113
이므로, 통신장치는 제4 네트워크 망을 타겟 네트워크 망으로 선택할 수 있다.
Figure 112022113372353-pat00114
는 x축 상에서 패킷데이터가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홉(hop) 값이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15
는 y축 상에서 패킷데이터가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홉(hop) 값이다.
Figure 112022113372353-pat00116
Figure 112022113372353-pat00117
는 자연수이다.
단계 S703에서, 통신장치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18
)의 x값이 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19
)의 x값이 0이 아닌 경우(단계 S703에서, 'No'), 단계 S705에서, 출발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는 x축에서
Figure 112022113372353-pat00120
만큼 감소한 좌표값에 위치한 통신장치에게 패킷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707에서, 패킷 데이터를 제공받은 통신장치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21
)를
Figure 112022113372353-pat00122
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통신장치는 다시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23
)의 x값이 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24
)의 x값이 0이 아닌 경우, 단계 S705부터 단계 S707 동작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25
)의 x값이 0인 경우(단계 S703에서, 'Yes'), 단계 S709에서, 통신장치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26
)의 y값이 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27
)의 y값이 0이 아닌 경우(단계 S709에서, 'No'), 단계 S711에서, 통신장치는 y축에서
Figure 112022113372353-pat00128
만큼 감소한 좌표값에 위치한 통신장치에게 패킷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713에서, 패킷 데이터를 제공받은 통신장치는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29
)를
Figure 112022113372353-pat00130
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통신장치는 다시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31
)의 y값이 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32
)의 y값이 0이 아닌 경우, 단계 S711부터 단계 S713 동작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목적벡터(
Figure 112022113372353-pat00133
)의 y값이 0인 경우(단계 S709에서, 'Yes'), 패킷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도 7b에서는, 패킷데이터의 이동 경로가 x축 진행 후, y축 진행하는 방식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 방식에 따르면, 위치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 최적의 경로를 이동하여 데이터 손실가능성이 없으며, 데이터 처리가 단순하여 기존 프로토콜과 대비하여 빠른 데이터 처리 성능을 보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 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 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 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 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 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장치, 서버, 혹은 외부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 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 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 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장치 또는 외부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Digital Video Disk player),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 게임 콘솔,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장치, 외부 장치, 웨어러블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가정용 로봇,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 (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출발지좌표와 목적지좌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발지좌표 및 상기 목적지좌표에 기초하여 제1 목적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목적벡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후보 네트워크 망들 중 아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네트워크 망을 타겟 네트워크 망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네트워크 망 및 상기 제1 목적벡터에 기초하여 패킷 데이터를 기 설정된 홉값에 따라 경유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까지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경유지의 좌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경유지좌표 및 상기 목적지좌표에 기초하여 제2 목적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타겟 네트워크 망 및 상기 제2 목적벡터에 기초하여 패킷 데이터를 기 설정된 홉값에 따라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까지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동작방법.
    [수학식1]
    Figure 112023043281164-pat00147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23043281164-pat00148
    는 상기
    Figure 112023043281164-pat00149
    가 양수면 '1', 상기
    Figure 112023043281164-pat00150
    가 음수면 '-1', 상기
    Figure 112023043281164-pat00151
    가 0이면 '0' 값을 갖는 함수이며, 상기
    Figure 112023043281164-pat00152
    는 단위벡터의 좌표값을 나타내는 값이고, 상기
    Figure 112023043281164-pat00153
    는 목적벡터의 좌표값을 나타내며,
    Figure 112023043281164-pat00154
    은 차원 수를 나타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적벡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구면좌표계, 직각좌표계, 원통좌표계 중 어느 하나의 좌표값으로 상기 목적벡터를 추출하는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동작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적벡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출발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의 위치와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의 위치를 활용하여 상기 목적벡터를 추출하는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동작방법.
  4. 삭제
  5.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퍼에 패킷 데이터를 제공하는 먹스;
    상기 먹스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
    상기 버퍼로부터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제공받아 외부로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센더; 및
    출발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의 위치와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의 위치를 활용하여 제1 목적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목적벡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후보 네트워크 망들 중 아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네트워크 망을 타겟 네트워크 망으로 선택하며, 상기 타겟 네트워크 망 및 상기 제1 목적벡터에 기초하여 패킷 데이터를 기 설정된 홉값에 따라 경유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까지 전송하고, 상기 경유지의 좌표를 확인하며, 상기 경유지좌표 및 상기 목적지좌표에 기초하여 제2 목적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타겟 네트워크 망 및 상기 제2 목적벡터에 기초하여 패킷 데이터를 기 설정된 홉값에 따라 목적지에 해당하는 통신장치까지 전송하도록 상기 먹스, 상기 버퍼 및 상기 센더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
    [수학식1]
    Figure 112023043281164-pat00155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23043281164-pat00156
    는 상기
    Figure 112023043281164-pat00157
    가 양수면 '1', 상기
    Figure 112023043281164-pat00158
    가 음수면 '-1', 상기
    Figure 112023043281164-pat00159
    가 0이면 '0' 값을 갖는 함수이며, 상기
    Figure 112023043281164-pat00160
    는 단위벡터의 좌표값을 나타내는 값이고, 상기
    Figure 112023043281164-pat00161
    는 목적벡터의 좌표값을 나타내며,
    Figure 112023043281164-pat00162
    은 차원 수를 나타냄.
KR1020220139539A 2022-10-26 2022-10-26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255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539A KR102554449B1 (ko) 2022-10-26 2022-10-26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539A KR102554449B1 (ko) 2022-10-26 2022-10-26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449B1 true KR102554449B1 (ko) 2023-07-10

Family

ID=8715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539A KR102554449B1 (ko) 2022-10-26 2022-10-26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4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864B1 (ko) * 2021-01-04 2021-06-23 김기범 일방향 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864B1 (ko) * 2021-01-04 2021-06-23 김기범 일방향 네트워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95538A1 (en) Privacy-preserving graphical model training methods, apparatuses, and devices
KR101481536B1 (ko) 디바이스 동적 연결을 위한 제어-룰 설정 방법
US109489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object contro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50378599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virtual keyboard
KR20140127744A (ko) 다중 무선 억세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141696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network data
US10977060B2 (en) Native execution bridge for sandboxed scripting languages
CN110058850A (zh) 一种应用的开发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CN105187480A (zh) 配置文件获取方法、装置及系统
KR20150099890A (ko) 전자 장치 간의 장치 검색 방법
US20150213138A1 (en) Thing device based on thing searching browser, and mashup method between things
CN112262556A (zh) 模型文件的管理方法和终端设备
CN106331048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及移动设备
CN105137750A (zh) 一种实现智能手表的数据传输的方法、装置和智能手表
CN111770009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相关设备
KR102554449B1 (ko)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CN107077424B (zh) 用于检测在第一阶指令高速缓冲存储器中的恶意代码的集成电路和方法
KR102649698B1 (ko)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 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2607821B1 (ko)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20240069573A (ko)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2016002599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ip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KR20240077376A (ko) 위치 기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US9860313B2 (en) Maintaining state synchronization of an application between computing devices as well as maintaining state synchronization of common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applications without requiring perioidic synchronization
US20150326683A1 (en) Dynamic generation of proxy connections
KR101776640B1 (ko) 다른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