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365B1 - The seating place for a fishing - Google Patents
The seating place for a fish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4365B1 KR102554365B1 KR1020200124600A KR20200124600A KR102554365B1 KR 102554365 B1 KR102554365 B1 KR 102554365B1 KR 1020200124600 A KR1020200124600 A KR 1020200124600A KR 20200124600 A KR20200124600 A KR 20200124600A KR 102554365 B1 KR102554365 B1 KR 1025543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frame
- holder
- fishing
- coupled
- connecting ro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76420 Lophius pisca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2—Platforms or seat-boxes specially adapted for angling, e.g. tackle boxes for use as se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낚싯대 전방을 걸쳐서 지지하는 전방거치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전방거치부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거치각조절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에서 지면과 접촉하는 접지면의 회동각을 도록 설치되는 볼타입 다리받침; 상기 베이스 프레임 후방으로 설치되는 길이가변식 연결대; 및 상기 길이가변식 연결대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가 제공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seat for both indoor and outdoor use, comprising: a base frame; A front mounting portion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nd supporting the front of the fishing rod; a mounting angle adjusting unit rotatably coupling the front moun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 ball-type footrest installed to have a rotational angle of the grou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frame; Length-variable connecting rod installed behind the base frame; and a rear mounting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variable-length connecting rod.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거치부와 후방거치부 사이를 길이가변식 연결대로 연결시켜 낚싯대의 크기에 따른 좌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환성이 뛰어나고, 낚싯대 설치시 전방거치부와 후방거치부 사이를 충분히 이격시켜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낚싯대의 안정적인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seat for both indoor and outdoor use, and more particularly, by connecting a length-variable connecting rod between a front holder and a rear holder so that the length of the sea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shing rod, and thus has excellent compatibility, fishing r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rod for both indoor and outdoor use, in which a stable mounting of a fishing rod is achieved by ensuring that the front mounting portion and the rear mounting portion are sufficiently spaced apart during installation.
일반적으로 낚시는 민물낚시와 바다낚시로 구분할 수 있으며 통상 민물낚시의 민물 낚시대는 민물대, 바다낚시의 바다 낚시대는 바닷대로 불려지고 그 기능과 재질, 강도 등의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들 민물 낚시대와 바다 낚시대를 받치는 받침대들 역시 그 기능과 구조 등이 서로 다르다.In general, fishing can be divided into freshwater fishing and sea fishing, and freshwater fishing rods for freshwater fishing are usually called freshwater rods and sea fishing rods for sea fishing are called sea rods,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many aspects such as function, material, and strength, and these freshwater fishing rods The pedestals that support the fishing rod and the sea fishing rod also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structures.
한편, 민물낚시는 저수지 등과 같이 물의 표면에서 높지 않은 위치에서 낚시가 이루어지고 좌대 등을 사용하여 장시간 낚시대를 드리워야 하는 등으로 바다낚시의 바다 낚시대와는 다른 받침대가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in freshwater fishing, fishing is performed at a location that is not high on the surface of the water, such as a reservoir, and a pedestal different from that of sea fishing is used because the fishing rod must be cast for a long time using a pedestal.
민물낚시에서 민물 낚시대를 받치기 위한 받침대는 낚싯대 전방에 길게 설치되어 낚싯대 전방을 지지하는 전방받침대와 낚싯대 손잡이 부분을 걸쳐놓는 후방 받침대로 이루어진다.In freshwater fishing,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freshwater fishing rod is installed long in front of the fishing rod and consists of a front support supporting the front of the fishing rod and a rear support supporting the handle of the fishing rod.
즉, 민물낚시에서는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이 민물 낚시대를 받치기 위해 전방받침대와 후방받침대를 설치하여 낚시가 이루어진다.That is, in freshwater fishing, as in Patent Document 1, fishing is performed by installing a front support and a rear support to support the freshwater fishing rod.
그리고, 좌대 등에 상기한 전방 받침대와 후방 받침대를 다수개 설치하여 다수의 낚시대를 거치해 놓고 낚시를 할 수 있는 낚시 받침대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337호에 게재되어 있는 데, 이러한 낚시 받침대에는 전방 받침대와 후방 받침대가 결합되는 받침대를 다수 개 설치한 후 여기에 다수 개의 낚시대를 거치시키게 된다.In addition, a fishing stand capable of fishing with a plurality of fishing rods install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the above-described front and rear supports on a seat is published in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337. After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s in which the front support and the rear support are combined, a plurality of fishing rods are mounted on the fishing support.
그러나 밀물에서 낚시를 할 때 전방 받침대와 후방 받침대를 각각 분리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이 번거로움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fishing in high tide, since the front support and the rear support are used separately, carrying and storage are cumbersome.
또한, 실내 및 노지 낚시터를 포함하여 낚시터의 환경에 따라 전방 받침대와 후방 받침대를 달리 구입하여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it is inconvenient to purchase and use different front brackets and rear bracket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fishing ground, including indoor and outdoor fishing grounds.
또한, 종래에는 전방 받침대와 후방 받침대에 낚시대를 거치한 상태에서 낚시꾼이 항상 낚시대의 손잡이를 잡고 있을 수 없어 낚시꾼이 한눈을 파는 사이 물고기가 잡히면 물고기가 낚시대를 끌고 물속으로 끌고 들어가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he angler cannot always hold the handle of the fishing rod while the fishing rod is mounted on the front support and the rear support, so if the fish is caught while the angler is looking away, the fish drags the fishing rod and drags it into the water. There wa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방거치부와 후방거치부 사이를 길이가변식 연결대로 연결시켜 낚싯대의 크기에 따른 좌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환성이 뛰어나고, 낚싯대 설치시 전방거치부와 후방거치부 사이를 충분히 이격시켜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낚싯대의 안정적인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connect the length-variable connecting rod between the front and rear mounts so that the length of the sea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shing rod, so that compatibility is excellent and , When the fishing rod is installed, it is to ensure that the stable mounting of the fishing rod is achieved by sufficiently spaced apart the front mounting portion and the rear mounting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치각 조절부의 조작을 통해서 전방거치부의 각도를 세분하여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포지션의 낚시를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자 선택의 폭을 넓게 하는 효과가 있고, 전방거치부를 완전히 접을 수 있도록 하여 보관이나 이동시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bdivide and adjust the angle of the front holder through manipulation of the mounting angle adjusting unit, so that it has the effect of widening the user's choice, such as enabling fishing in various positions, and the front holder can be completely folded. It is intended to minimize the volume during storage or transport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볼타입 다리받침을 사용함으로써, 지면 상태가 불규칙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stable installation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the ground condition is irregular by using a ball-type leg suppor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방거치부 및 후방거치부를 각각 접도록 하는 것은 물론 길이가변식 연결대를 분리시켜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volume during carrying and storage by folding the front mounting portion and the rear mounting portion separately and storing the variable length connecting rod separatel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낚싯대 전방을 걸쳐서 지지하는 전방거치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전방거치부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거치각조절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에서 지면과 접촉하는 접지면의 회동각을 도록 설치되는 볼타입 다리받침; 상기 베이스 프레임 후방으로 설치되는 길이가변식 연결대; 및 상기 길이가변식 연결대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ase frame; A front mounting portion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nd supporting the front of the fishing rod; a mounting angle adjusting unit rotatably coupling the front moun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 ball-type footrest installed to have a rotational angle of the grou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frame; Length-variable connecting rod installed behind the base frame; and a rear mounting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variable-length connecting rod.
여기서, 상기 전방거치부는, 낚싯대 거치홀더를 착탈 결합하도록 된 홀더블럭을 형성하고, 상기 홀더블럭의 상부에는 낚싯대 거치홀더의 하단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 결합하는 복수 개의 거치홀더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거치홀더 삽입부를 측면에서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삽입된 낚싯대 거치홀더의 하단부를 압착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거치홀더 고정노브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블럭의 양측단부에서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베이스 프레임 측에 연결되는 포스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ront mounting part forms a holder block to detachably couple the fishing rod holder, and a plurality of mounting holder inserts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lder block to penetrate and couple the lower end of the fishing rod hold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crewed to penetrate the holder insertion part from the side, form a holder fixing knob that presses and fixes the lower end of the inserted fishing rod holder, and extends a certain length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holder block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side Characterized in forming a post.
또한, 상기 거치각 조절부는, 베이스 프레임 측에 결합되는 디스크블럭을 형성하고, 상기 디스크블럭의 원판형태의 제1대면치합부에 대향 결합하는 제2대면치합부를 형성하는 회동디스크를 형성하며, 상기 회동디스크와 디스크블럭의 회전축 중심을 관통하여 회동디스크와 디스크블럭 사이가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나선 결합하는 각도조절노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angle adjusting unit forms a disk block coupled to the base frame side, and forms a rotating disk forming a second face-to-face coupling portion oppositely coupled to the disk-shaped first face-to-face coupling portion of the disk blo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ngle adjusting knob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disk and the disk block and spirally coupled so that the rotation disk and the disk block are in close contact or spaced apart.
또한, 상기 볼타입 다리받침은,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볼샤프트를 형성하고, 상기 볼샤프트의 단부에는 볼베어링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볼베어링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하좌우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회동받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ll-type leg support forms a ball shaft so as to extend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base frame, integrally forms a ball bearing at the end of the ball shaft, and is coupled to surround the ball bearing in all directions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pivot support so that the rotation is made freely.
또한, 상기 길이가변식 연결대는, 일단부가 베이스 프레임측에 결합되어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고정연결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연결대와 중첩 결합되어 고정연결대와의 상대적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딩 연결대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딩 연결대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나사 결합되어 내부의 고정연결대에 맞닿아 상대적 길이가 고정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노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variable-length connecting rod is coupled to the base frame side to form a fixed connecting rod extending long to the rear of the base frame, overlappingly coupled with the fixed connecting rod, and sliding to adjust the relative length of the fixed connecting rod. It forms a sliding linkage, and is screw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sliding linkage, characterized in that a length adjustment knob is formed so that the relative length is fixed by contacting the internal fixed linkage.
또한, 상기 후방거치부는, 낚시의자를 횡방향으로 결합하는 바설치대를 형성하고, 상기 바설치대에는 낚시의자를 측방향에서 끼워서 착탈 결합하는 설치홈을 형성하며, 상기 바설치대의 하단은 슬라이딩 연결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ar mounting portion forms a bar mounting rod for coupling the fishing chair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n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in the bar mounting table to attach and detach the fishing chair from the side, and the lower end of the bar mounting table is attached to the sliding connecting rod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hinge coupling portion that is rotatably coupled.
또한, 상기 전방거치부, 높이조절수단을 형성하여 수직방향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포스트를 외관과 내관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관 형태로 제작하여 외관 상단측이 홀더블럭에 결합되고, 내관 하단측이 베이스 프레임 측에 연결되며, 상기 외관의 말단부에는 내관의 외경을 압착시켜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높이조절노브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mounting part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are formed to adjust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height adjusting means makes the post in the form of a double tube consisting of an outer tube and an inner tube, so that the top of the outer tube is coupled to the holder block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tube is formed. The side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side, and a height adjustment knob is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exterior to compress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tube so that the position is fixed.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전방거치부와 후방거치부 사이를 길이가변식 연결대로 연결시켜 낚싯대의 크기에 따른 좌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환성이 뛰어나고, 낚싯대 설치시 전방거치부와 후방거치부 사이를 충분히 이격시켜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낚싯대의 안정적인 거치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front holder and the rear holder with a variable length connecting rod so that the length of the sea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shing rod, so that compatibility is excellent, and when installing the fishing rod, between the front holder and the rear holder By sufficiently spaced apart to be mounted, it has the effect of stable mounting of the fishing rod.
둘째, 본 발명은 거치각 조절부의 조작을 통해서 전방거치부의 각도를 세분하여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포지션의 낚시를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자 선택의 폭을 넓게 하는 효과가 있고, 전방거치부를 완전히 접을 수 있도록 하여 보관이나 이동시 부피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widening the range of user selection, such as enabling fishing in various positions, by subdividing and adjusting the angle of the front holder through the manipulation of the mounting angle adjusting unit, so that the front holder can be completely folded This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volume during storage or transportation.
셋째, 본 발명은 볼타입 다리받침을 사용함으로써, 지면 상태가 불규칙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stable installation even in an environment with irregular ground conditions by using a ball-type leg rest.
넷째, 본 발명은 전방거치부 및 후방거치부를 각각 접도록 하는 것은 물론 길이가변식 연결대를 분리시켜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volume during carrying and storage by folding the front mounting portion and the rear mounting portion separately, as well as separating and storing the variable length connecting r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각 조절부를 이용해 전방거치부를 접어서 보관하는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타입 다리받침을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거치부를 접어서 보관하는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볼타입 다리받침에 확장형 지지암을 결합하는 예를 도시한 확대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indoor and outdoor fishing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combined indoor and outdoor fishing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folding and storing the front mounting portion using the mounting angl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ball-type leg 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folding and storing the rear 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eight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xample of coupling an expandable support arm to a ball-type leg 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각 조절부를 이용해 전방거치부를 접어서 보관하는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타입 다리받침을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거치부를 접어서 보관하는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indoor and outdoor fishing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combined indoor and outdoor fishing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mounting portion folded using a mounting angl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storage,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ball-type leg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folding and storing the rear 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낚시좌대(100)는 크게 베이스 프레임(110), 전방거치부(120), 거치각 조절부(130), 볼타입 다리받침(140), 길이가변식 연결대(150), 후방거치부(16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먼저,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전방거치부(120), 거치각 조절부(130), 볼타입 다리받침(140), 길이가변식 연결대(150)를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각 구성요소들을 볼트 결합하기 위한 체결홀들을 각자의 위치에 형성하고, 거치각 조절부(130)의 디스크블럭(131)을 결합하기 위한 핀부(1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핀부(111)는 베이스 프레임(110) 일부를 폭이 좁은 핀형태로 절개시켜 형성한 부위이다.The
다음으로, 전방거치부(120)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설치되어 낚싯대 전방을 걸쳐서 지지하는 전방거치부(120)가 개시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a
상기 전방거치부(120)는, 낚싯대 거치홀더(121)를 착탈 결합하도록 된 홀더블럭(122)을 형성하고, 상기 홀더블럭(122)의 상부에는 낚싯대 거치홀더(121)의 하단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 결합하는 복수 개의 거치홀더 삽입부(123)를 형성한다.The
그리고, 상기 거치홀더 삽입부(123)를 측면에서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삽입된 낚싯대 거치홀더(121)의 하단부를 압착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거치홀더 고정노브(124)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블럭(122)의 양측단부에서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베이스 프레임(110) 측에 연결되는 포스트(125)를 형성한다.In addition, a
이때, 상기 낚싯대 거치홀더(121)는 도면에 개시된 구성뿐만 아니라 낚싯대를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실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전방거치부(12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치각 조절부(130)의 각도조절노브(135)를 풀어서 완전히 접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the
이처럼, 전방거치부(120)가 완전히 접히게 되는 구조는 휴대 및 보관에 용이한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As such, the structure in which the
다음으로, 거치각 조절부(13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mounting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전방거치부(12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거치각 조절부(130)가 개시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a mounting
상기 거치각 조절부(130)는, 베이스 프레임(110) 측에 결합되는 디스크블럭(131)을 형성한다.The mounting
상기 디스크블럭(131)은 합성수지재로 제작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110) 측의 핀부(111)에 결합되는 프레임 장착홀(131a)이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프레임 장착홀(131a)에 핀부(111)가 결합되면, 디스크블럭(131) 저면에서 프레임 장착홀(131a)과 핀부(111)를 동시 관통하도록 체결나사 등을 이용해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상기 디스크블럭(131)은 프레임 장착홀(131a)이 형성된 상부에 원판형태의 제1대면치합부(131b)를 형성한다.The
상기 제1대면치합부(131b)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대면기어이빨들이 원형배치되고, 그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디스크(133) 및 각도조절노브(135)가 결합된다.In the first face-to-
상기 회동디스크(133)는 상기 디스크블럭(131)의 제1대면치합부(131b)에 대향 결합하는 제2대면치합부(133a)를 형성하고, 몸체는 전방거치부(120)의 포스트(125) 하단과 결합하여 회동된다.The
이때, 상기 회동디스크(133)와 디스크블럭(131)의 회전축 중심을 관통하여 각도조절노브(135)를 체결하는데, 상기 각도조절노브(135)는 회동디스크(133)와 디스크블럭(131) 사이를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나선 결합하여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다음은 볼타입 다리받침(140)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ball-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10)의 저면에서 지면과 접촉하는 접지면의 회동각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볼타입 다리받침(140)이 개시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a ball-
상기 볼타입 다리받침(14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측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볼샤프트(141)를 형성한다.The ball-
이때, 상기 볼샤프트(141)의 상단은 베이스 프레임(110) 측에 너트를 이용한 착탈 결합이 가능하도록 너트고정부(141b)를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볼샤프트(141)의 하단부에는 볼베어링(141a)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볼베어링(141a)을 감싸도록 회동받침(143)이 베어링 결합된다.In addition, a
상기 회동받침(143)은 원반형태로 제작되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베어링(141a)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이는, 불규칙한 지면에서도 안정적인 접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is is to maintain a stable grounding state even on irregular ground.
다음으로 길이가변식 연결대(15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length-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10) 후방으로 설치되는 길이가변식 연결대(150)가 개시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a variable-
상기 길이가변식 연결대(150)는, 일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10)측에 결합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의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고정연결대(15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연결대(151)와 중첩 결합되어 고정연결대(151)와의 상대적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딩 연결대(153)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딩 연결대(153)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나사 결합되어 내부의 고정연결대(151)에 맞닿아 상대적 길이가 고정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노브(155)를 형성한다.The variable
이때, 상기 고정연결대(151)와 슬라이딩 연결대(153)의 결합구조는 레일 결합형태일 수도 있고,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구조에 의한 결합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xed connecting
다음은 후방거치부(160)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길이가변식 연결대(150)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거치부(160)가 개시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a
상기 후방거치부(160)는, 낚시의자(161)를 횡방향으로 결합하는 바설치대(163)를 형성하고, 상기 바설치대(163)에는 낚시의자(161)를 측방향에서 끼워서 착탈 결합하는 설치홈(163a)을 형성하며, 상기 바설치대(163)는 몸체(162)에 고정수단(164)를 이용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162)의 하단은 슬라이딩 연결대(15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결합부(165)를 형성한다.The
이때, 상기 후방거치부(16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힌지결합부(165)를 중심으로 완전히 접히도록 할 수 있는데, 이처럼 접힌 상태는 보관 및 휴대에서 유리한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방거치부(120), 높이조절수단(170)을 형성하여 수직방향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170)은 포스트를 외관(171)과 내관(173)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관 형태로 제작하여 외관(171) 상단측이 홀더블럭(122)에 결합되고, 내관(173) 하단측이 베이스 프레임(110) 측에 연결되며, 상기 외관(171)의 말단부에는 내관(173)의 외경을 압착시켜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높이조절노브(175)를 설치할 수 있다.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eight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볼타입 다리받침에 확장형 지지암을 결합하는 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xample of coupling an expandable support arm to a ball-type leg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저면에서 볼타입 다리받침(140)의 볼샤프트(141)에 관통되도록 축결합되는 확장형 지지암(180)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an
상기 확장형 지지암(180)은 볼타입 다리받침(140)과 함께 본 발명의 낚시좌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지면의 접촉반경을 넓게 확장하여 지지력을 향상하는 것은 물론, 불규칙한 노지 특성에 맞춰 안정적인 지지자세를 취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fish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ball-
상기 확장형 지지암(180)은 볼샤프트(141) 상에 축 결합되는 결합단부(181)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단부(181)의 반대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결대(183a)를 연장 결합시켜 지면과의 접촉범위가 확장되도록 하는 확장단부(183)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단부(181)와 확장단부(183) 사이를 힌지결합하여 회동각도가 조절 및 고정되도록 하는 회동각 조절부(185)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extension
이때, 상기 회동각 조절부(185)는 결합단부(181)와 확장단부(183)가 상호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결합구조와 더불어 회동된 각도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각도유지수단이 함께 제공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rotation
그리고, 상기 연결대(183a)는 일종의 파이프형태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고, 낚시좌대의 사이즈 및 사용환경에 따라서 다양한 사이즈의 길이로 재단되어 사용될 수 있다.And, the connecting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전방거치부와 후방거치부 사이를 길이가변식 연결대로 연결시켜 낚싯대의 크기에 따른 좌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환성이 뛰어나고, 낚싯대 설치시 전방거치부와 후방거치부 사이를 충분히 이격시켜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낚싯대의 안정적인 거치가 이루어지는 한편, 거치각 조절부의 조작을 통해서 전방거치부의 각도를 세분하여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포지션의 낚시를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자 선택의 폭을 넓게 하는 효과가 있고, 전방거치부를 완전히 접을 수 있도록 하여 보관이나 이동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front mount and the rear mount with a variable-length connecting rod so that the length of the sea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shing rod. By ensuring that the rods are sufficient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shing rod can be stably mounted, while the angle of the front rod is subdivided and adjusted through the manipulation of the rod angle adjusting section, thereby enabling fishing in various positions. It has the effect of widening,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volume during storage or movement by allowing the front holder to be completely folded.
또한, 본 발명은 볼타입 다리받침을 사용함으로써, 지면 상태가 불규칙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고, 전방거치부 및 후방거치부를 각각 접도록 하는 것은 물론 길이가변식 연결대를 분리시켜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using a ball-type footrest,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table installation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the ground condition is irregular, and folds the front and rear holders respectively, as well as separates and accommodates the variable-length connecting rod.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volume during storag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nyon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implementation is possible,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10: 베이스 프레임 111: 핀부
120: 전방거치부 121: 낚싯대 거치홀더
122: 홀더블럭 123: 거치홀더 삽입부
124: 거치홀더 고정노브 125: 포스트
130: 거치각 조절부 131: 디스크블럭
131a: 프레임 장착홀 131b: 제1대면치합부
133: 회동디스크 133a: 제2대면치합부
135: 각도조절노브 140: 볼타입 다리받침
141: 볼샤프트 141a: 볼베어링
141b: 너트고정부 143: 회동받침
150: 길이가변식 연결대 151: 고정연결대
153: 슬라이딩 연결대 155: 길이조절노브
160: 후방거치부 161: 낚시의자
162: 몸체 163: 바설치대
163a: 설치홈 164: 고정수단
165: 힌지결합부 170: 높이조절수단
171: 외관 173: 내관
175: 높이조절노브
180: 확장형 지지암 181: 결합단부
181a: 관통홀 183: 확장단부
183a: 연결대 185: 회동각 조절부110: base frame 111: pin part
120: front holder 121: fishing rod holder
122: holder block 123: mounting holder insertion part
124: mounting holder fixing knob 125: post
130: mounting angle adjusting unit 131: disk block
131a: frame mounting
133:
135: angle adjustment knob 140: ball type leg support
141:
141b: nut fixing part 143: rotation support
150: length variable linkage 151: fixed linkage
153: sliding connecting rod 155: length adjustment knob
160: rear support 161: fishing chair
162: body 163: bar mount
163a: installation groove 164: fixing means
165: hinge coupling part 170: height adjustment means
171: exterior 173: interior
175: height adjustment knob
180: expandable support arm 181: coupling end
181a: through hole 183: extended end
183a: connecting rod 185: rotation angle adjusting unit
Claims (8)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설치되어 낚싯대 전방을 걸쳐서 지지하는 전방거치부(120);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전방거치부(12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거치각 조절부(130);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저면에서 지면과 접촉하는 접지면의 회동각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볼타입 다리받침(140);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후방으로 설치되는 길이가변식 연결대(150); 및
상기 길이가변식 연결대(150)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거치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거치부(120)는, 낚싯대 거치홀더(121)를 착탈 결합하도록 된 홀더블럭(122)을 형성하고, 상기 홀더블럭(122)의 상부에는 낚싯대 거치홀더(121)의 하단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 결합하는 복수 개의 거치홀더 삽입부(123)를 형성하며, 상기 거치홀더 삽입부(123)를 측면에서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삽입된 낚싯대 거치홀더(121)의 하단부를 압착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거치홀더 고정노브(124)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블럭(122)의 양측단부에서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베이스 프레임(110) 측에 연결되는 포스트(12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
base frame 110;
A front mount 120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10 and supporting the front of the fishing rod;
A mounting angle adjusting unit 130 that rotatably couples the front mounting unit 120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10;
Ball-type leg support 140 installed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grou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frame 110;
Length-variable connecting rod 150 installed behind the base frame 110; and
Including; a rear mounting portion 160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length-adjustable connecting rod 150,
The front mounting part 120 forms a holder block 122 to detachably couple the fishing rod holder 121, and the lower end of the fishing rod holder 121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lder block 122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ounting holder that forms a plurality of mounting holder inserts 123 that are penetrated, and presses the lower end of the inserted fishing rod holder 121 to be fixed by being screwed so as to penetrate the mounting holder insertion portion 123 from the side. A fixed knob 124 is formed, and a post 125 is formed by extending a certain length from both ends of the holder block 122 downward to form a post 125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10 side.
상기 거치각 조절부(130)는, 베이스 프레임(110) 측에 결합되는 디스크블럭(131)을 형성하고, 상기 디스크블럭(131)의 원판형태의 제1대면치합부(131b)에 대향 결합하는 제2대면치합부(133a)를 형성하는 회동디스크(133)를 형성하며, 상기 회동디스크(133)와 디스크블럭(131)의 회전축 중심을 관통하여 회동디스크(133)와 디스크블럭(131) 사이가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나선 결합하는 각도조절노브(13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angle adjusting unit 130 forms a disk block 131 coupled to the side of the base frame 110, and is oppositely coupled to the disk-shaped first face-to-face engagement portion 131b of the disk block 131 The rotational disk 133 forming the second face-to-face engagement portion 133a is formed, and between the rotational disk 133 and the disk block 131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al disk 133 and the disk block 131. An indoor/outdoor combined fishing seat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n angle adjusting knob 135 that is spirally coupled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or spaced apart.
상기 볼타입 다리받침(14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측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볼샤프트(141)를 형성하고, 상기 볼샤프트(141)의 단부에는 볼베어링(141a)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볼베어링(141a)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하좌우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회동받침(14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
According to claim 1,
The ball-type leg support 140 forms a ball shaft 141 to extend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base frame 110, and a ball bearing 141a is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ball shaft 141. And, it is coupled to surround the ball bearing (141a) to form a rotation support 143 so that it can freely rotate in all directions up, down, left and right.
상기 길이가변식 연결대(150)는, 일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10)측에 결합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의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고정연결대(15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연결대(151)와 중첩 결합되어 고정연결대(151)와의 상대적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딩 연결대(153)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딩 연결대(153)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나사 결합되어 내부의 고정연결대(151)에 맞닿아 상대적 길이가 고정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노브(15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
According to claim 1,
The variable length connecting rod 150 has one end coupled to the side of the base frame 110 to form a fixed connecting rod 151 that extends to the rear of the base frame 110, and overlaps with the fixed connecting rod 151. to form a sliding linkage 153 that slides to adjust the relative length with the fixed linkage 151, and is screw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sliding linkage 153 to abut against the fixed linkage 151 inside the relative length A fishing rod for both indoor and outdoor us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length adjustment knob 155 to be fixed.
상기 후방거치부(160)는, 낚시의자(161)를 횡방향으로 결합하는 바설치대(163)를 형성하고, 상기 바설치대(163)에는 낚시의자(161)를 측방향에서 끼워서 착탈 결합하는 설치홈(163a)을 형성하며, 상기 바설치대(163)는 몸체(162)에 고정수단(164)를 이용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162)의 하단은 슬라이딩 연결대(15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결합부(16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holder 160 forms a bar mount 163 that couples the fishing chair 161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ttaches and detachs the fishing chair 161 to the bar mount 163 in the lateral direction. A groove 163a is formed, and the bar mount 163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162 using a fixing means 164 to adjust the height, and the lower end of the body 162 is a sliding connecting rod 153 ) Indoor and outdoor combined fishing seat,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hinge coupling portion 165 rotatably coupled to.
상기 전방거치부(120), 높이조절수단(170)을 형성하여 수직방향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170)은 포스트를 외관(171)과 내관(173)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관 형태로 제작하여 외관(171) 상단측이 홀더블럭(122)에 결합되고, 내관(173) 하단측이 베이스 프레임(110) 측에 연결되며, 상기 외관(171)의 말단부에는 내관(173)의 외경을 압착시켜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높이조절노브(175)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holder 120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170 are formed to adjust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e top side of the exterior 171 is coupled to the holder block 122, the bottom side of the inner tube 173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1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tube 173 is compressed at the distal end of the exterior 171 An indoor/outdoor combined fishing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djustment knob 175 is installed so that the position is fixed by doing so.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저면에서 볼타입 다리받침(140)의 볼샤프트(141)에 관통되도록 축결합되는 확장형 지지암(180)을 형성하되, 상기 확장형 지지암(180)은 볼샤프트(141) 상에 축 결합되는 결합단부(181)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단부(181)의 반대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결대(183a)를 연장 결합시켜 지면과의 접촉범위가 확장되도록 하는 확장단부(183)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단부(181)와 확장단부(183) 사이를 힌지결합하여 회동각도가 조절 및 고정되도록 하는 회동각 조절부(18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According to claim 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10, an expandable support arm 180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ball shaft 141 of the ball-type leg support 140, but the expandable support arm 180 is connected to the ball shaft 141. ), forming a coupling end 181 that is axially coupled on the side, and extending and coupling the connecting rod 183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end 181 to expand the contact range with the ground. And forming a rotation angle adjustment unit 185 that hinges between the coupling end 181 and the extension end 183 to adjust and fix the rotation ang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4600A KR102554365B1 (en) | 2020-09-25 | 2020-09-25 | The seating place for a fish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4600A KR102554365B1 (en) | 2020-09-25 | 2020-09-25 | The seating place for a fish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1423A KR20220041423A (en) | 2022-04-01 |
KR102554365B1 true KR102554365B1 (en) | 2023-07-11 |
Family
ID=81183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4600A Active KR102554365B1 (en) | 2020-09-25 | 2020-09-25 | The seating place for a fish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436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9021B1 (en) * | 2023-04-18 | 2023-06-28 | 박상권 | A fishing rod hold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2145Y1 (en) | 2002-05-31 | 2002-10-14 | 권병율 | Fishing stand have the angle control for bending device |
KR200444030Y1 (en) * | 2008-06-26 | 2009-04-03 | 문경모 | Chair mount fishing cradle |
KR101402465B1 (en) | 2013-05-20 | 2014-06-03 | 진병갑 | Support device for fishing rod for installing fishing chair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67083U (en) * | 1983-10-12 | 1985-05-13 | 株式会社長谷川鉄工所 | Folding chair with rod support device |
JPH0324060Y2 (en) * | 1986-10-13 | 1991-05-24 | ||
JPH0750054Y2 (en) * | 1989-10-31 | 1995-11-15 | ぺんてる株式会社 | Flux applicator |
KR20100000337U (en) | 2008-07-02 | 2010-01-12 | 손수성 | Fishing stand |
KR20120082307A (en) * | 2011-01-13 | 2012-07-23 | 김인권 | Fishing rod backing support having wedge action |
KR101434187B1 (en) * | 2012-06-27 | 2014-09-01 | 유창복 | Fishing platform support |
KR101877437B1 (en) * | 2016-09-02 | 2018-07-11 | (주)자자손손 | Folding chair with support apparatus of fishing rod |
KR20180080723A (en) | 2017-01-04 | 2018-07-13 | 김준식 | The fishing rod support frame for indoor outdoor |
-
2020
- 2020-09-25 KR KR1020200124600A patent/KR10255436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2145Y1 (en) | 2002-05-31 | 2002-10-14 | 권병율 | Fishing stand have the angle control for bending device |
KR200444030Y1 (en) * | 2008-06-26 | 2009-04-03 | 문경모 | Chair mount fishing cradle |
KR101402465B1 (en) | 2013-05-20 | 2014-06-03 | 진병갑 | Support device for fishing rod for installing fishing chair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03068968 U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1423A (en) | 2022-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54365B1 (en) | The seating place for a fishing | |
US11547201B1 (en) | Rotary hanging chair | |
KR101300009B1 (en) | Holder for fishing rod support | |
KR101147489B1 (en) | Support frame for fishing rod of folding type | |
KR20170095001A (en) | Supporier for fishing rod | |
KR101041964B1 (en) | Fishing prop | |
KR200465317Y1 (en) | The prop of fishing rod | |
KR101574338B1 (en) | Angle adjusting device for parasol | |
KR102241935B1 (en) | Fishing rod support frame | |
KR101946819B1 (en) | Restraint and the front of the base type equipped with a joint fishing to all fishing rod and port | |
KR101667858B1 (en) | Fishing seat leg for possibility of regulating high and low | |
KR100900051B1 (en) | Fishing rod | |
CN210869501U (en) | Multifunctional fishing tool car | |
KR100573606B1 (en) | Fishing Chair Integral Pedestal Mounting Mechanism | |
KR20180080723A (en) | The fishing rod support frame for indoor outdoor | |
KR101819860B1 (en) | Fishing prop | |
CN217463861U (en) | Surveying instrument locating rack | |
KR200340678Y1 (en) | Supporting apparatus of multi-purposes holding frame for a chair | |
KR100388092B1 (en) | Supporter for a fishing-rod | |
KR200307727Y1 (en) | A prop of fishing rod having angle regulater | |
KR200336902Y1 (en) | supporter for fishing rod | |
KR20130001192U (en) | Prop parasol | |
CN216932773U (en) | Hand coffee making support | |
KR200275433Y1 (en) | Support for fishing rod having angle regulation and folding function | |
CN217336700U (en) | Trees strutting arrangement for afforest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