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138B1 - Use of Omega-3 metabolites as a biomarker for determining persistancy of food allergy - Google Patents

Use of Omega-3 metabolites as a biomarker for determining persistancy of food allerg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138B1
KR102554138B1 KR1020210150520A KR20210150520A KR102554138B1 KR 102554138 B1 KR102554138 B1 KR 102554138B1 KR 1020210150520 A KR1020210150520 A KR 1020210150520A KR 20210150520 A KR20210150520 A KR 20210150520A KR 102554138 B1 KR102554138 B1 KR 102554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allergy
omega
hdohe
fluid
metabol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5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64911A (en
Inventor
김경원
장혜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50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138B1/en
Publication of KR20230064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9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1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pre-existing immune complex or autoimmune disease, i.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rheumatoid arthritis, multiple sclerosis, rheumatoid factors or complement components C1-C9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54Immunoglobul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heumat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판단 마커로서의 오메가-3 대사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진단 당시 수준을 정량하여 향후 식품 알레르기의 지속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마커로서의 오메가-3 대사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단시 오메가-3 대사체의 대사량 차이로부터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어, 식품 알레르기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될지 여부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정보를 근거로 적절한 임상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an omega-3 metabolite as a marker for determining the persistence of food allergy, and more particularly, the use of an omega-3 metabolite as a marker for determining the persistence of future food allergy by quantifying the level at the time of diagnosis. It is ab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persistence of food allergy from the difference in metabolism of omega-3 metabolites at the time of diagnosis, providing accurate and objectiv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food allergy persists to patients suffering from food allergy. Howev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stablish an appropriate clinical treatment plan based on such information.

Description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판단 마커로서의 오메가-3 대사체의 용도 {Use of Omega-3 metabolites as a biomarker for determining persistancy of food allergy}Use of Omega-3 metabolites as a biomarker for determining persistancy of food allergy}

본 발명은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판단 마커로서의 오메가-3 대사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진단 당시 수준을 정량하여 향후 식품 알레르기의 지속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마커로서의 오메가-3 대사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an omega-3 metabolite as a marker for determining the persistence of food allergy, and more particularly, the use of an omega-3 metabolite as a marker for determining the persistence of future food allergy by quantifying the level at the time of diagnosis. It is about.

소아에서부터 발병하는 식품 알레르기(FA)의 지속성 여부는 환자마다 상당히 다르다. 일부 소아는 어린 나이에 증상을 극복하는 반면 일부 소아는 평생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된다.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식품 알레르기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전히 엄격한 식이 회피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지속적인 증상이 있는 사람들에게 상당한 부담을 안겨 준다. 식품 알레르기를 치료하기 위한 정확한 메커니즘이 아직까지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며, 따라서 식품 알레르기를 정확히 예측하고, 이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까지 제한적이다. 원인 알레르겐의 유형과 수, 증상의 심각성을 포함하여 다양한 요인이 식품 알레르기 치료에 영향을 미친다. 식품 알레르기의 수와 알레르겐 특이적 IgE 수준을 통하여 식품 알레르기 치료를 예측하고자 하는 여러 시도가 있었으나 (Foong RX et al., Pediatr Allergy Immunol 2021; 32:223-33), 이에 대한 정확성에는 논란이 있다. 따라서, 식품 알레르기의 기본이 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해당 질병을 이해하고 더 잘 예측하는데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The persistence of childhood-onset food allergy (FA) varies considerably from patient to patient. Some children overcome symptoms at an early age, while others persist with food allergy for life. Although extens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food allergy, strict dietary avoidance is still the dominant method for coping with food allergy, placing a significant burden on people with persistent symptoms. The exact mechanism for treating food allergy has not yet been fully elucidated, and therefore, methods for accurately predicting and treating food allergy are still limited. A number of factors affect food allergy treatment, including the type and number of causative allergens and the severity of symptoms. Several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edict food allergy treatment through the number of food allergies and allergen-specific IgE levels (Foong RX et al., Pediatr Allergy Immunol 2021; 32:223-33), but their accuracy is controversial. Therefore, research on the mechanisms underlying food allergy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and better predicting the disease.

최근 각광받는 오믹스 (omics) 연구는 게놈과 인간 질병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는데 큰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대사체학은 질병에 기여하는 유전적 기초와 환경적 변화를 모두 반영하기 때문에 커다란 통찰력을 제공한다.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여러 대사체 접근법을 통하여 질병 상태 및 중증도와 관련하여 다양한 생체 샘플에서 대사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연구에서는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와 땅콩 알레르기가 없는 환자 간에 기준선 대사 산물 수준의 차이가 있다고 확인한 바 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건강한 대조군보다 음식 알레르기를 가지는 소아에서 스핑고지질과 리소인지질 수치가 더 낮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식품 알레르기 치료를 위한 지침을 제공하는 대사체 연구는 없었다.Recently, omics research, which has been in the limelight, has shown great potential in revealing the correlation between genomes and human diseases. In particular, metabolomics provides great insight because it reflects both the genetic basis and environmental changes that contribute to disease. Several metabolomic approaches to food allergy allow the identification of metabolites in a variety of biological samples in relation to disease state and severity. For example,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differences in baseline metabolite levels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peanut allergy. Another study reported lower sphingolipid and lysophospholipid levels in children with food allergy than in healthy controls. However, no metabolomic studies have yet provided guidance for the treatment of food allergy.

본 발명자들은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아동과 건강한 대조군 아동의 혈청 샘플에서 대사체 프로파일링을 진행하여 식품 알레르기의 발병 및 치료와 관련된 대사체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해당 대사 경로에서 이펙터 분자를 정량화하여 대사체 수준 차이로부터 아동의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carried out metabolomic profiling in serum samples of children with food allergy and healthy control children to identify metabolites related to the onset and treatment of food allergy, and quantified effector molecules in the metabolic pathway to determine the level of metabolites.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the persistence of food allergy in children can be evaluated from the difference.

Foong RX et al., Pediatr Allergy Immunol 2021; 32:223-33Foong RX et al., Pediatr Allergy Immunol 2021; 32:223-33

본 발명은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여부를 판할 수 있는 신규한 마커로서의 오메가-3 대사체의 용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an omega-3 metabolite as a novel marker capable of determining the persistence of food allerg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메가-3 대사체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판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determining the persistence of food allergy, including an agent for measuring the level of omega-3 metabolite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3 대사체는 7-HDoHE, 10-HDoHE, 13-HDoHE, 17-HDoHE, 레졸빈 D1 (RvD1) 및 레졸빈 D2 (RvD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mega-3 metabolite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7-HDoHE, 10-HDoHE, 13-HDoHE, 17-HDoHE, Resolvin D1 (RvD1) and Resolvin D2 (RvD2) can be characteriz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오메가-3 대사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압타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gen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antibody or an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r an aptamer that specifically binds to an omega-3 metaboli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상기 오메가-3 대사체의 수준을 측정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질량분석용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para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reparation for chromatography and/or mass spectrometry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omega-3 metabolit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판단용 키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kit for determining the persistence of food allergy, includ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또한,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에서 분리된 샘플에서 오메가-3 대사체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여부 예측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whether food allergy persists, comprising measuring the level of omega-3 metabolites in a sample isolated from a subject having food allerg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3 대사체는 7-HDoHE, 10-HDoHE, 13-HDoHE, 17-HDoHE, 레졸빈 D1 (RvD1) 및 레졸빈 D2 (RvD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mega-3 metabolite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7-HDoHE, 10-HDoHE, 13-HDoHE, 17-HDoHE, Resolvin D1 (RvD1) and Resolvin D2 (RvD2) can be characteriz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졸빈 D1 및/또는 레졸빈 D2의 수준은 면역블로팅,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면역 조직 화학 염색, 단백질 칩, 면역침강, 질량분석,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l of resolvin D1 and / or resolvin D2 is measured by immunoblott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protein chip, immunoprecipitation, mass spectrometry , chromatography,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샘플은 혈액, 혈장, 혈청, 소변, 점액, 타액, 눈물, 객담, 척수액, 흉수, 유두 흡인물, 림프액, 기도액, 장액, 비뇨생식관액, 모유, 림프계 체액, 정액, 뇌척수액, 기관계내 체액, 복수, 낭성 종양 체액, 양수액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ple is blood, plasma, serum, urine, mucus, saliva, tears, sputum, spinal fluid, pleural fluid, nipple aspirate, lymph fluid, airway fluid, serous fluid, genitourinary tract fluid, breast milk, lymphatic body fluid, semen, It may be characterized as cerebrospinal fluid, intraorgan system fluid, ascites, cystic tumor fluid, amniotic fluid,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졸빈 D1이 280 pg/ml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체는 알레르기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solvin D1 is 280 pg/ml or more, the subject may be characterized as predicting that the allergy will persis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졸빈 D2가 134 pg/ml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체는 알레르기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solvin D2 is 134 pg/ml or more, the subject may be characterized as predicting that the allergy will persist.

본 발명에 따르면, 진단시 오메가-3 대사체의 대사량 차이로부터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어, 식품 알레르기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될지 여부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정보를 근거로 적절한 임상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persistence of food allergy from the difference in metabolism of omega-3 metabolites at the time of diagnosis, providing accurate and objectiv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food allergy persists to patients suffering from food allergy. Howev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stablish an appropriate clinical treatment plan based on such information.

도 1은 식품 알레르기 및 식품 알레르기 해소에 기반한 식별 코호트 대상체의 sPLS-DA를 나타낸다. 도 1a는 건강한 대조군 (적색) 및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 (녹색)에 대한 sPLS-DA 모델의 점수 플롯을 나타내고, 도 1b는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된 대상체 (적색) 및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대상체 (녹색)에 대한 sPLS-DA 모델의 점수 플롯을 나타내며, 도 1c는 건강한 대조군 (청색),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된 대상체 (녹색) 및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대상체 (적색)에 대한 sPLS-DA 모델의 점수 플롯을 나타낸다. MetaboAnalyst 5.0을 사용하여 중심 축척으로 플롯이 그려졌으며, sPLS-DA는 희소 부분 최소 제곱 판별 분석, FA는 식품 알레르기를 의미한다.
도 2는 식별 코호트에서 확인된 식품 알레르기 및 식품 알레르기 해소와 관련된 대사체를 나타낸다. 도 2a는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 및 대조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대사체의 수준을 나타낸다. 도 2b는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대상체 및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된 대상체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대사체의 수준을 나타낸다. 대사체는 생화학적 클래스에 따라 그룹화 하였으며, 클래스 당 표현형과 유의하게 연관된 2개 이상의 대사체를 포함하는 생화학적 클래스 또는 이전에 알레르기 질환과 관련된 것들만 표시하였다. FA, 음식 알레르기; AC, 아실카르니틴; LPA, 리소포스파티딘산; HDoHE, 히드록시도코사헥사엔산; PAF, 혈소판 활성화 인자; LPE,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LPC, 리소포스파티딜콜린.
도 3은 식품 알레르기 및 식품 알레르기 해소에 대한 Random Forest 모델의 ROC 곡선을 나타낸다. Random Forest 모델은 (a) 식품 알레르기 (16개 특성) 및 (b) 식품 알레르기 해소 (13개 특성)와 크게 관련된 대사체로 구축되었다. CI, 신뢰 구간.
도 4는 식별 코호트 대상체에서 진단부터 추적 관찰까지의 오메가-3 대사 산물 수준의 궤적을 나타낸다. 도 4a는 식품 알레르기 해소 및 식품 알레르기 지속 대상체 간의 진단 및 추적 사이의 7-HDoHE, 10-HDoHE, 13-HDoHE, 17-HDoHE 수준의 변화를 보여주며, 도 4b는 선형 혼합 모델 분석에서 계산된 표준 오차 및 p-값을 보여주는 오차 막대가 있는 각 오메가-3 대사 산물에 대한 평균 프로필 플롯을 보여준다. 청색은 식품 알레르기 해소, 적색은 식품 알레르기 지속을 나타낸다. HDoHE, 히드록시도코사헥사엔산; FA, 식품 알레르기
도 5는 정량 코호트의 대상체에서 레졸빈의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a는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 및 건강한 대조군에서의 RvD1의 수준을, 도 5b는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대상체 및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되는 대상체에서의 RvD1의 수준을, 도 5c는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 및 건강한 대조군에서의 RvD2의 수준을, 도 5d는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대상체 및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되는 대상체에서의 RvD2의 수준을 나타낸다. 레졸빈 수준은 ELISA를 사용하여 정량화하고, 박스 플롯을 위해 자연 로그 변환되었다. *t-검정 또는 ANOVA p-값 < 0.05; FA, 음식 알레르기; RvD1, 레졸빈 D1; RvD2, 레졸빈 D2
도 6은 정량 코호트에서 총 혈청 IgE와 레졸빈 수준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산점도 (Scatter plot)는 (도 5a) RvD1 및 (도 5b) RvD2 자연 로그 변환 값으로 그려졌다. 데이터 분포에 따라 Pearson의 상관분석 또는 Spearman의 상관분석을 사용하여 R 값과 p-값을 계산하였다. 음영 영역은 95% 신뢰 구간을 나타낸다. IgE, 면역글로불린 E; RvD1, 레졸빈 D1; RvD2, 레졸빈 D2.
1 shows the sPLS-DA of subjects in an identification cohort based on food allergy and resolution of food allergy. Figure 1a shows a score plot of the sPLS-DA model for a healthy control group (red) and a subject with food allergy (green), and Figure 1b shows a subject with continued food allergy (red) and a subject with resolved food allergy (green). ), Figure 1c shows a score plot of the sPLS-DA model for healthy controls (blue), subjects with continued food allergy (green), and subjects with resolved food allergy (red) indicates Plots were drawn with central scale using MetaboAnalyst 5.0, sPLS-DA for sparse partial least squares discriminant analysis and FA for food allergy.
Figure 2 shows metabolomes associated with food allergy and resolution of food allergy identified in the identification cohort. Figure 2a shows the levels of metabolite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ubjects with food allergy and controls. Figure 2b shows the levels of metabolite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ubjects whose food allergy was resolved and subjects whose food allergy persisted. Metabolites were grouped according to biochemical class, and only biochemical classes containing two or more metabolite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henotypes per class or those previously associated with allergic disease were indicated. FA, food allergy; AC, acylcarnitine; LPA, lysophosphatidic acid; HDoHE, hydroxydocosahexaenoic acid; PAF, platelet activating factor; LPE,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C, lysophosphatidylcholine.
Figure 3 shows the ROC curve of the random forest model for food allergy and food allergy resolution. A random forest model was built with metabolomes highly associated with (a) food allergy (16 traits) and (b) food allergy resolution (13 traits). CI, confidence interval.
Figure 4 shows the trajectory of omega-3 metabolite levels from diagnosis to follow-up in an identification cohort of subjects. Figure 4a shows the change in 7-HDoHE, 10-HDoHE, 13-HDoHE, 17-HDoHE levels between diagnosis and follow-up between food allergy resolution and food allergy persistence subjects, and Figure 4b shows the standard calculated in the linear mixed model analysis. Average profile plots are shown for each omega-3 metabolite with error bars showing error and p-value. Blue color represents food allergy resolution, and red color represents food allergy continuation. HDoHE, hydroxydocosahexaenoic acid; FA, food allergy
5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level of resolvin in the subjects of the quantitative cohort. Figure 5a shows the level of RvD1 in subjects with food allergy and a healthy control group, Figure 5b shows the level of RvD1 in subjects with food allergy resolved and subjects with persistent food allergy, Figure 5c shows the level of food allergy in subjects and The level of RvD2 in a healthy control group, FIG. 5d shows the level of RvD2 in a subject whose food allergy has resolved and a subject whose food allergy persists. Resolvin levels were quantified using ELISA and natural log transformed for box plots. *t-test or ANOVA p-value <0.05; FA, food allergy; RvD1, Resolvin D1; RvD2, Resolvin D2
Figure 6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serum IgE and resolvin levels in the quantification cohort. Scatter plots were drawn with (Fig. 5a) RvD1 and (Fig. 5b) RvD2 natural logarithm values. R values and p-values were calculat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or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data distribution. The shaded area represents the 95% confidence interval. IgE, immunoglobulin E; RvD1, Resolvin D1; RvD2, resolvin D2.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general, the nomenclature used herein is one well known and commonly used in the art.

본 발명에서는 식품 알레르기를 진단받은 소아에서 진단 당시 정량적 차이를 보이는 대사체를 확인하고, 이들 소아를 추적 관찰함으로써 이들 대사체가 식품 알레르기 해소 또는 지속 여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소아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피험자와 소아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된 피험자 사이, 진단 당시 혈청 대사체 분석에서 오메가-3 대사체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소아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피험자는 HDoHE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레졸빈의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이러한 대사체 간의 균형이 식품 알레르기 해소에 기여하고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metabolites showing quantitative differences at the time of diagnosis in children diagnosed with food allergy were identified, and these children were followed up to confirm whether these metabolit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resolution or persistence of food allerg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omega-3 metabolites in serum metabolomic analysis at the time of diagnosis between subjects whose childhood food allergy was resolved and subjects whose childhood food allergy persisted.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HDoHE was relatively low and the level of resolvin was relatively high in subjects whose childhood food allergy was resolved. It was found that it can act as a biomarker for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오메가-3 대사체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판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determining the persistence of food allergy, including an agent for measuring the level of omega-3 metabolites.

본 발명에서, 상기 오메가-3 대사체는 7-HDoHE, 10-HDoHE, 13-HDoHE, 17-HDoHE, 레졸빈 D1 (RvD1) 및 레졸빈 D2 (RvD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mega-3 metabolite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7-HDoHE, 10-HDoHE, 13-HDoHE, 17-HDoHE, Resolvin D1 (RvD1) and Resolvin D2 (RvD2) can be done with

본 발명에서, 7-HDoHE는 PubChem CID: 16061142의 화합물로, 구체적으로 (4Z,8E,10Z,13Z,16Z,19Z)-7-하이드록시도코사-4,8,10,13,16,19-헥사엔산((4Z,8E,10Z,13Z,16Z,19Z)-7-hydroxydocosa-4,8,10,13,16,19-hexaenoic acid)일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7-HDoHE is a compound of PubChem CID: 16061142, specifically (4Z,8E,10Z,13Z,16Z,19Z)-7-hydroxydocosa-4,8,10,13,16,19 -hexaenoic acid ((4Z,8E,10Z,13Z,16Z,19Z)-7-hydroxydocosa-4,8,10,13,16,19-hexaenoic aci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that can be characterized.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21127255661-pat00001
Figure 112021127255661-pat00001

본 발명에서, 10-HDoHE는 PubChem CID: 11537494의 화합물로, 구체적으로, (4Z,7Z,11E,13Z,16Z,19Z)-10-하이드록시도코사-4,7,11,13,16,19-헥사엔산((4Z,7Z,11E,13Z,16Z,19Z)-10-hydroxydocosa-4,7,11,13,16,19-hexaenoic acid)일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10-HDoHE is a compound of PubChem CID: 11537494, specifically, (4Z,7Z,11E,13Z,16Z,19Z)-10-hydroxydocosa-4,7,11,13,16, It may be 19-hexaenoic acid ((4Z,7Z,11E,13Z,16Z,19Z)-10-hydroxydocosa-4,7,11,13,16,19-hexaenoic aci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화학식 (2)Formula (2)

Figure 112021127255661-pat00002
Figure 112021127255661-pat00002

본 발명에서, 13-HDoHE는 PubChem CID: 11559259의 화합물로, 구체적으로 (4Z,7Z,10Z,14E,16Z,19Z)-13-하이드록시도코사-4,7,10,14,16,19-헥사엔산산((4Z,7Z,10Z,14E,16Z,19Z)-13-hydroxydocosa-4,7,10,14,16,19-hexaenoic acid)일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13-HDoHE is a compound of PubChem CID: 11559259, specifically (4Z,7Z,10Z,14E,16Z,19Z)-13-hydroxydocosa-4,7,10,14,16,19 -hexaenoic acid ((4Z,7Z,10Z,14E,16Z,19Z)-13-hydroxydocosa-4,7,10,14,16,19-hexaenoic aci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that can be characterized.

화학식 (3)Formula (3)

Figure 112021127255661-pat00003
Figure 112021127255661-pat00003

본 발명에서, 17-HDoHE는 PubChem CID: 6439179의 화합물로, 구체적으로, (4Z,7Z,10Z,13Z,15E,19Z)-17-하이드록시도코사-4,7,10,13,15,19-헥사엔산((4Z,7Z,10Z,13Z,15E,19Z)-17-hydroxydocosa-4,7,10,13,15,19-hexaenoic acid)일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17-HDoHE is a compound of PubChem CID: 6439179, specifically, (4Z,7Z,10Z,13Z,15E,19Z)-17-hydroxydocosa-4,7,10,13,15, It may be 19-hexaenoic acid ((4Z,7Z,10Z,13Z,15E,19Z)-17-hydroxydocosa-4,7,10,13,15,19-hexaenoic aci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4)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화학식 (4)Formula (4)

Figure 112021127255661-pat00004
Figure 112021127255661-pat00004

본 발명에서, 레졸빈 D1은 PubChem CID: 44251266 의 화합물로, 구체적으로 (4Z,7S,8R,9E,11E,13Z,15E,17S,19Z)-7,8,17-트리하이드록시도코사-4,9,11,13,15,19-헥사에노에이트((4Z,7S,8R,9E,11E,13Z,15E,17S,19Z)-7,8,17-trihydroxydocosa-4,9,11,13,15,19-hexaenoate)일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Resolvin D1 is a compound of PubChem CID: 44251266, specifically (4Z,7S,8R,9E,11E,13Z,15E,17S,19Z)-7,8,17-trihydroxydocosa- 4,9,11,13,15,19-hexaenoate ((4Z,7S,8R,9E,11E,13Z,15E,17S,19Z)-7,8,17-trihydroxydocosa-4,9,11 ,13,15,19-hexaenoate), and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5).

화학식 (5)Formula (5)

Figure 112021127255661-pat00005
Figure 112021127255661-pat00005

본 발명에서, 레졸빈 D2는 PubChem CID: 11383310의 화합물로, 구체적으로 (4Z,7S,8E,10Z,12E,14E,16R,17S,19Z)-7,16,17-트리하이드록시도코사-4,8,10,12,14,19-헥사엔산 ((4Z,7S,8E,10Z,12E,14E,16R,17S,19Z)-7,16,17-trihydroxydocosa-4,8,10,12,14,19-hexaenoic acid) 일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Resolvin D2 is a compound of PubChem CID: 11383310, specifically (4Z,7S,8E,10Z,12E,14E,16R,17S,19Z)-7,16,17-trihydroxydocosa- 4,8,10,12,14,19-hexaenoic acid ((4Z,7S,8E,10Z,12E,14E,16R,17S,19Z)-7,16,17-trihydroxydocosa-4,8,10, 12,14,19-hexaenoic acid), and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6).

화학식 (6)formula (6)

Figure 112021127255661-pat00006
Figure 112021127255661-pat00006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오메가-3 대사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압타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gent may be an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an omega-3 metabolite, an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r an apta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양태로서, 상기 제제는 경쟁적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용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In another aspect, the prepara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prepar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웰 플레이트 상에 항체를 코팅하고 비오틴(biotin) 표지된 오메가-3 대사체와 비오틴-비표지된 오메가-3 대사체와의 경쟁적 억제반응에 의해 테스트 샘플 내 오메가-3를 정량화하는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paration is coated with an antibody on a well plate and a competitive inhibition reaction between a biotin-labeled omega-3 metabolite and a biotin-unlabeled omega-3 metabolite is performed to omega-3 in the test sample. 3 can be quantifi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체를 대체하여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압타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ntigen-binding fragment or aptamer may be used instead of the antibody.

다른 양태로서, 상기 제제는 오메가-3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압타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nother aspect, the agent may be an antibody or an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that specifically binds to omega-3, or an apta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상기 오메가-3 대사체의 수준을 측정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질량분석용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para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reparation for chromatography and/or mass spectrometry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omega-3 metaboli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에서는 4 가지 오메가-3 대사체에 대한 식별 코호트의 대상체에서 대사체 수준과 유의하게 연관된 4개의 SNP를 확인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four SNP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tabolite levels were identified in the subjects of the identification cohort for the four omega-3 metabolites.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p21(RAC1) 활성화된 키나제 5 (p21(RAC1) activated kinase 5, PAK5)의 SNP(rs7274775); 말단 없는 호메오박스 6 안티센스 RNA 1 (distal-less homeobox 6 antisense RNA 1, DLX6-AS1)의 SNP(rs6957108); 프롤린 풍부 코일드 코일 2C (proline-rich coiled-coil 2C, PRRC2C)의 SNP(rs235907); 및 감마-아미노부티르산 A형 수용체 서브유닛 베타3 (gamma-aminobutyric acid type A receptor subunit beta3, GABRB3)의 SNP (rs803933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SNP를 판별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판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other point of view p21 (RAC1) activated kinase 5 (p21 (RAC1) activated kinase 5, PAK5 ) SNP (rs7274775); SNP (rs6957108) of distal-less homeobox 6 antisense RNA 1 (DLX6-AS1 ); SNP (rs235907 ) of proline-rich coiled-coil 2C ( PRRC2C ); And a SNP (rs8039336) of gamma-aminobutyric acid type A receptor subunit beta3 ( GABRB3 ); It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determining the persistence of allerg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AK5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Gene ID는 57144로, 예를 들어, NM_020341.5, NP_065074.1, NM_177990.4, NP_817127.1, XM_017027960.1, XP_016883449.1, XM_017027961.1, XP_016883450.1, XM_017027962.1, XP_016883451.1, XM_017027964.1, XP_016883453.1, XM_017027965.1, XP_016883454.1, XM_017027963.1, XP_016883452.1 등의 GeneBank Accession No. 또는 Uniprot Accession No.에 따른 뉴클레오티드 또는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식별 가능한 단백질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 ID of the gene encoding the PAK5 protein is 57144. , XP_016883450.1, XM_017027962.1, XP_016883451.1, XM_017027964.1, XP_016883453.1, XM_017027965.1, XP_016883454.1, XM_017027963.1, XP_01 GeneBank Accession No. 6883452.1 etc. Alternatively, it may be a protein identifiable by a nucleotide or amino acid sequence according to Uniprot Accession N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LX6-AS1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Gene ID는 285987로, 예를 들어, NR_015448.1 등의 GeneBank Accession No.에 따른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식별 가능한 단백질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 ID of the gene encoding the DLX6-AS1 protein is 285987, and may be a protein identifiable by a nucleotide sequence according to GeneBank Accession No. such as NR_015448.1, for examp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RRC2C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Gene ID는 23215로, 예를 들어, NM_001387844.1, NP_001374773.1, NM_015172.4, NP_055987.2, XM_005245020.2, XP_005245077.1, XM_005245015.2, XP_005245072.1, XM_005245025.2, XP_005245082.1, XM_005245023.2, XP_005245080.1, XM_005245028.2, XP_005245085.1, XM_005245027.2, XP_005245084.1, XM_017000761.1, XP_016856250.1, XM_005245026.2, XP_005245083.1, XM_005245024.2, XP_005245081.1, XM_005245029.2, XP_005245086.1, XM_005245019.2, XP_005245076.1, XM_017000762.1, XP_016856251.1, XM_005245018.3, XP_005245075.1, XM_005245016.5, XP_005245073.1, XM_006711238.4, XP_006711301.1, XM_017000760.2, XP_016856249.1 등의 GeneBank Accession No. 또는 Uniprot Accession No.에 따른 뉴클레오티드 또는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식별 가능한 단백질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 ID of the gene encoding the PRRC2C protein is 23215, for example, NM_001387844.1, NP_001374773.1, NM_015172.4, NP_055987.2, XM_005245020.2, XP_005245077.1, XM_00524 5015.2 , XP_005245072.1, XM_005245025.2, XP_005245082.1, XM_005245023.2, XP_005245080.1, XM_005245028.2, XP_005245085.1, XM_005245027.2, XP_00 5245084.1, XM_017000761.1, XP_016856250.1, XM_005245026.2, XP_005245083 .1, XM_005245024.2, XP_005245081.1, XM_005245029.2, XP_005245086.1, XM_005245019.2, XP_005245076.1, XM_017000762.1, XP_016856251.1, XM _005245018.3, XP_005245075.1, XM_005245016.5, XP_005245073.1 , XM_006711238.4, XP_006711301.1, XM_017000760.2, XP_016856249.1, etc. GeneBank Accession No. Alternatively, it may be a protein identifiable by a nucleotide or amino acid sequence according to Uniprot Accession N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GABRB3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Gene ID는 2562로, 예를 들어, NM_000814.6, NP_000805.1, NM_001191320.2, NP_001178249.1, NM_001191321.3, NP_001178250.1, NM_001278631.2, NP_001265560.1, NM_021912.5, NP_068712.1, XM_011521428.3, XP_011519730.1 등의 GeneBank Accession No. 또는 Uniprot Accession No.에 따른 뉴클레오티드 또는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식별 가능한 단백질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 ID of the gene encoding the GABRB3 protein is 2562. 8631.2 , NP_001265560.1, NM_021912.5, NP_068712.1, XM_011521428.3, XP_011519730.1, etc. GeneBank Accession No. Alternatively, it may be a protein identifiable by a nucleotide or amino acid sequence according to Uniprot Accession No.

본 명세서에서 용어 "마커"는 식품 알레르기의 지속성 여부를 구분할 수 있는 물질로, 식품 알레르기 환자에서 진단시 양적 차이에 따라 향후 식품 알레르기 지속 또는 식품 알레르기 해소 여부에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향후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 또는 해소 여부를 판별할 수 있어, 그 정량적 수준을 평가함으로써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여부를 판단하거나 평가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marker" is a substance that can distinguish whether or not food allergy persists, and since it shows a difference in whether food allergy persists or resolves food allergy in the future depending on the quantitative difference at the time of diagnosis in food allergy patients, food allergy continues or disappears in the future. It refers to a substance that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it resolves, and can judge or evaluate the persistence of food allergy by evaluating its quantitative level.

본 발명에서 예측이란,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될 것인지 또는 해소될 것인지의 여부를 미리 판단하거나 평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후를 판단하거나 치료 효과를 진단한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prediction means to judge or evaluate in advance whether a food allergy will persist or be resolved, and includes both the meaning of determining a prognosis or diagnosing a treatment effect.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소아 식품 알레르기 환자의 진단을 통해 소아의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여부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dict in advance whether or not the child's food allergy persists through the diagnosis of the pediatric food allergy patient using the biomar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소아는 3 개월 이상 만 18세 미만을 의미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개월 이상 만 12세 미만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3 개월 이상 만 18세 미만의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소아를 진단하여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여부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는 식품 알레르기가 소아 시기에 주로 발병하기 때문인 것으로, 성인에서도 식품 알레르기의 지속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children may mean 3 months or more and less than 18 years of age, preferably 6 months or more and less than 12 years of ag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by diagnosing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aged 3 months or more and younger than 18 years of age to predict whether food allergy persists, but this is because food allergies mainly occur in childhood, and also in adult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food allergy persist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진단 시점으로부터 1년 이상 경과시 식품 알레르기 지속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바이오마커는 진단으로부터 1년 내지 10년 경과시, 바람직하게는 1년 내지 5년 경과시, 식품 알레르기 지속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일부 양태로서 상기 바이오마커는 진단으로부터 12개월, 13개월, 14개월, 15개월, 16개월, 17개월, 18개월, 19개월, 20개월, 21개월, 22개월, 23개월, 24개월, 25개월, 26개월, 27개월, 28개월, 29개월, 30개월, 31개월, 32개월, 33개월, 34개월, 35개월 또는 36개월 경과시 식품 알레르기 지속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er may be characterized in predicting the sustainability of food allergy when 1 year or more elapses from the time of diagnosi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iomarker is 1 year to 10 years after diagnosis, It can be characterized in predicting the sustainability of food allergy, preferably at 1 year to 5 years, and in some embodiments, the biomarker is 12 months, 13 months, 14 months, 15 months, 16 months, 17 months from diagnosis. months, 18 months, 19 months, 20 months, 21 months, 22 months, 23 months, 24 months, 25 months, 26 months, 27 months, 28 months, 29 months, 30 months, 31 months, 32 months, 33 months, It can be characterized by predicting the likelihood of food allergy persistence at 34, 35, or 36 months.

본 발명에서, 상기 오메가-3 대사체는 면역원성 단편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오메가-3 대사체는 항체에 의해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에피토프(epitope)를 가지고 있는 단편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mega-3 metabolite may be bound to an immunogenic fragment. That is, the omega-3 metabolite may be bound to a fragment having at least one epitope that can be recognized by an antibody.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항체"는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용어로서 항원성 부위에 대해서 지시되는 특이적인 단백질 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항체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폴리클로날 항체,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항원 결합성을 갖는 것이면 그것의 일부도 포함되고 모든 면역글로불린 항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인간화 항체 등의 특수항체도 포함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른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완전한 형태뿐만 아니라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은 적어도 항원 결합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단편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Fab, F(ab'), F(ab')2, Fv, scFv 등일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antibody" is a term known in the art and may refer to a specific protein molecule directed against an antigenic site. The type of antibody according to one aspec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polyclonal antibodies, monoclonal antibodies, or any immunoglobulin antibody may be included as long as it has antigen binding properties, and furthermore, special antibodies such as humanized antibodies may be included. Antibodies may also be included. Antibodi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functional fragments of the antibody molecule as well as complete forms having two full-length light chains and two full-length heavy chains. A functional fragment of an antibody molecule refers to a fragment having at least an antigen-binding function, and may be, for example, Fab, F(ab'), F(ab')2, Fv, scFv,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크로마토그래피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액체-고체 크로마토그래피 (Liquid-Solid Chromatography, LSC), 종이 크로마토그래피(Paper Chromatography, PC),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hin-Layer Chromatography, TLC), 기체-고체 크로마토그래피(Gas-Solid Chromatography, GSC), 액체-액체 크 로마토그래피(Liquid-Liquid Chromatography, LLC), 포말 크로마토그래피(Foam Chromatography, FC), 유화 크로마토그래피(Emulsion Chromatography, EC),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Gas-Liquid Chromatography, GLC), 이온 크로마토그래피(Ion Chromatography, IC),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Filtration Chromatograhy, GFC) 또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정량용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크로마토그래피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질량분석기는 MALDI-TOF MS 또는 TOF MS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OF MS이다.In this specification, chromatography is gas chromatography (Gas Chromatography), liquid-solid chromatography (Liquid-Solid Chromatography, LSC), paper chromatography (Paper Chromatography, PC), thin-layer chromatography (Thin-Layer Chromatography, TLC) , Gas-Solid Chromatography (GSC), Liquid-Liquid Chromatography (LLC), Foam Chromatography (FC), Emulsion Chromatography (EC) , including Gas-Liquid Chromatography (GLC), Ion Chromatography (IC),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GFC) or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l quantitative chromatography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Preferably, the chromatograph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gas chromatography. Preferably, the mass spectromet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ALDI-TOF MS or TOF MS, more preferably TOF MS.

본 명세서에서 용어,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는 단일염기다형성을 의미하며, 염색체의 단일부위에서 여러 가지 DNA 염기들 중의 하나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돌연변이로 SNP는 그 빈도가 높고 안정하며 유전체 전체에 분포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개인의 유전적 다양성이 발생한다. 본원에서, 상기 “마커”는 “”와 혼용되어 명명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refers to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which is a common mutation that appears in one of several DNA bases in a single site of a chromosome. SNPs are frequent, stable, and distributed throughout the genome. and thereby individual genetic diversity occurs.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marker" may be named in combination with "".

본 명세서에서 용어 "대립형질" 또는 "대립유전자"는 상동염색체의 동일한 유전자 좌위에 존재하는 한 유전자의 여러 유형을 의미한다. 대립유전자는 다형성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기도 하며, 예컨대, SNP는 두 종류 이상, 예를 들어 두 종류의 대립형질을 갖는다.As used herein, the term "allele" or "allele" refers to several types of a gene present at the same locus on a homologous chromosome. Alleles are also used to indicate polymorphism, for example, SNPs have two or more types, for example, two types of alleles.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SNP를 판별하는 제제”는 상기 SNP 마커 조성물에 포함된 SNP 마커 또는 SNP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SNP를 검출하여 증폭시킬 수 있는 제제를 의미하고, “를 검출하여 증폭시킬 수 있는 제제”는 상기 SNP 마커 조성물에 포함된 SNP 마커 또는 SNP의 복제를 반복하여 그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제제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상기 SNP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또는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프로브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gent for determining a SNP" refers to an agent that can specifically bind to and recognize an SNP marker or SNP included in the SNP marker composition, or can detect and amplify the SNP. And, “agent capable of detecting and amplifying” means an agent capable of increasing the number by repeating the replication of the SNP marker or SNP included in the SNP marker composition, for example, a polyol containing the SNP It may mean a primer capable of specifically amplifying a nucleotide or a probe capable of specifically bin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프라이머"는 짧은 자유 3-말단 수산화기(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핵산 서열로 상보적인 템플레이트(template)와 염기쌍을 형성할 수 있고 템플레이트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서 작용하는 짧은 핵산 서열을 말한다. 프라이머는 적절한 완충용액 및 온도에서 중합반응을 위한 시약(즉, DNA 폴리머라아제 또는 역전사효소) 및 상이한 4 가지의 뉴클레오사이드 트리포스페이트의 존재 하에서 DNA 합성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머는, 7개 내지 50개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가진 센스 및 안티센스 핵산으로서, DNA 합성의 개시점으로 작용하는 프라이머의 기본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는 추가의 특징을 혼입할 수 있다. 프라이머의 서열은 반드시 주형의 서열과 정확히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충분히 상보적이어서 주형과 혼성화될 수 있으면 된다. 프라이머의 위치 혹은 프라이머 결합부위는 프라이머가 혼성화하는 표적 DNA 절편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유전자의 mRNA의 센스 및 안티센스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 증폭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의 생성량의 측정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PCR 조건, 센스 및 안티센스 프라이머의 길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primer" refers to a nucleic acid sequence having a short free 3' hydroxyl group, capable of base pairing with a complementary template, and serving as a starting point for template strand copying. refers to the sequence of nucleic acids. Primers can initiate DNA synthesis in the presence of a reagent for polymerization (i.e., DNA polymerase or reverse transcriptase) and four different nucleoside triphosphates in an appropriate buffer and temperature. In addition, primers are sense and antisense nucleic acids with a sequence of 7 to 50 nucleotides, which can incorporate additional features that do not change the basic properties of the primers that serve as starting points for DNA synthesis. The sequence of the primer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exactly the same as the sequence of the template, as long as it is sufficiently complementary to allow hybridization with the template. The position of the primer or the binding site of the primer may mean a target DNA fragment to which the primer hybridiz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CR amplification is performed using sense and antisense primers of mRNA of the gene, and diagnosis can be made by measuring the production amount of a desired product. PCR conditions and lengths of sense and antisense primer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echniques known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프로브"란 mRNA외 특이적으로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짧게는 수 염기 내지 길게는 수백 염기에 해당하는 RNA 또는 DNA 등의 핵산 단편을 의미하며 라벨링되어 있어서 특정 mRNA의 존재 유무, 발현양을 확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probe" refers to a nucleic acid fragment such as RNA or DNA corresponding to a few bases to several hundred bases in length that can specifically bind to mRNA and is labeled, so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ecific mRNA, expression quantity can be checked.

프로브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프로브, 단쇄 DNA(single strand DNA) 프로브, 이중쇄 DNA(double strand DNA)프로브, RNA 프로브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유전자의 폴리뉴클레오티드와 상보적인 프로브를 이용하여 혼성화를 실시하여, 혼성화 여부 및 정도를 통해 방사선 피폭 여부 및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적당한 프로브의 선택 및 혼성화 조건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기초로 변형할 수 있다The prob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oligonucleotide probe, a single strand DNA probe, a double strand DNA probe, or an RNA probe. By performing hybridization using a probe complementary to the polynucleotide of the gene according to one aspect, the presence and degree of radiation exposure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presence and degree of hybridization. Selection of suitable probes and hybridization conditions can be modified based on those known in the art.

상기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는 포스포르아미다이트 고체 지지체 방법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핵산 서열은 또한 당해 분야에 공지된 많은 수단을 이용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메틸화, 캡화, 천연 뉴클레오티드 하나 이상의 동족체로의 치환 및 뉴클레오티드 간의 변형, 예를 들어, 메틸 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포로아미데이트, 카바메이트 등과 같은 하전되지 않은 연결체 또는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등과 같은 하전된 연결체로의 변형이 있다.The primers or probes can be chemically synthesized using the phosphoramidite solid support method or other well-known methods. Such nucleic acid sequences can also be modified using a number of means known in the art. Non-limiting examples of such modifications include methylation, capping, substitution of one or more homologues of the native nucleotide, and internucleotide modifications, e.g., uncharged uncharged compounds such as methyl phosphonates, phosphotriesters, phosphoroamidates, carbamates, and the like. There is a transformation into a linker or a charged linker such as phosphorothioate, phosphorodithioate, and the like.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판단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 for determining the persistence of food allergy, includ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일 양태로서, 경쟁적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용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일 수 있고, 다른 양태로서 정량적 샌드위치 ELISA 키트 (Quantitative Sandwich ELISA kit)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it may be a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 in one aspect, and a quantitative sandwich ELISA kit in another aspect. .

상기 키트는 RvD1 항체-RvD1 항원 또는 RvD2 항체-RvD2 항원 반응에 의한 것일 수 있다. The kit may be by RvD1 antibody-RvD1 antigen or RvD2 antibody-RvD2 antigen reaction.

본 발명에서, 상기 키트는 항체, 항체의 면역학적 검출을 위하여 기질, 적합한 완충용액, 발색 효소 또는 형광물질로 표지된 2차 항체, 또는 발색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압타머, 프라미어, 프로브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it may include an antibody, a substrate for immunological detection of the antibody, a suitable buffer, a secondary antibody labeled with a chromogenic enzyme or a fluorescent substance, or a chromogenic substrate. The kit may include an aptamer, primer, probe or oligonucleotide.

예컨대, 본 발명에서 경쟁적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용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는 항체 코팅된 웰 플레이트, 비오틴-표지 오메가-3 대사체, HRP-접합 시약 및 TMB 기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it for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is in the group consisting of an antibody-coated well plate, a biotin-labeled omega-3 metabolite, an HRP-conjugated reagent, and a TMB substrate.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양태로서, 상기 키트는 p21(RAC1) 활성화된 키나제 5 (p21(RAC1) activated kinase 5, PAK5)의 SNP(rs7274775), 말단 없는 호메오박스 6 안티센스 RNA 1 (distal-less homeobox 6 antisense RNA 1, DLX6-AS1)의 SNP(rs6957108), 프롤린 풍부 코일드 코일 2C (proline-rich coiled-coil 2C, PRRC2C)의 SNP(rs235907) , 및 감마-아미노부티르산 A형 수용체 서브유닛 베타3 (gamma-aminobutyric acid type A receptor subunit beta3, GABRB3)의 SNP (rs803933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SNP 분석용 키트일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kit comprises p21 (RAC1) activated kinase 5 ( PAK5 ) SNP (rs7274775), distal-less homeobox 6 antisense RNA 1 , DLX6-AS1 ) SNP (rs6957108 ), proline-rich coiled-coil 2C (proline-rich coiled-coil 2C, PRRC2C ) SNP (rs235907 ), and gamma-aminobutyric acid type A receptor subunit beta3 (gamma-aminobutyric acid type A receptor subunit beta3, GABRB3 SNP (rs8039336); may be any one or more SNP analysis ki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본원의 SNP, 폴리뉴클레오티드, cDNA 등뿐만 아니라 분석 방법에 적합한 다른 구성 성분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it may include not only the SNP, polynucleotide, cDNA, etc. of the present application, but also other component compositions, solutions or devices suitable for the analysis metho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PCR 키트, RT-PCR 키트 또는 DNA 칩 키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it may be a PCR kit, RT-PCR kit or DNA chip ki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키트는 완충액(lysis buff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액은 상용화된 제품 등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액은 HEPES, MgCl2, NaCl, 이미다졸, DNAse 및 β이 포함될 수 있고, 단백질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프로테이즈 저해제인 PMSF (phenylmethanesulfonylfluoride)가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kit may further include a lysis buffer. The buffer solution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such as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The buffer may include HEPES, MgCl 2 , NaCl, imidazole, DNAse, and β, and a protease inhibitor PMSF (phenylmethanesulfonylfluoride) may be added to prevent protein degrad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키트는 유전자 또는 단백질을 분해 (Digestion)하는 시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자 분해 시약은 제한효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분해 시약은 트립신, 트립신/EDTA, 또는 TrypL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유전자 또는 단백질 분해 시약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kit may further include a reagent for digesting genes or proteins. The gene degradation reagent may include a restriction enzyme or the like. The proteolytic reagent may include trypsin, trypsin/EDTA, or TrypLE, but the gene or proteolytic reagen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키트는 동위원소로 라벨링된 표준 펩타이드(Isotope labeled standard peptide)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kit may further include a mixture of isotope labeled standard peptides.

상기 키트는 데이터 분석 또는 통계처리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 또는 통계처리 프로그램은 Skyline Software, ProteoWizard Software, SCIEX OS Software, SPSS Statistics Software, MedCalc Software, MultiQuant Software, MasterView Software 또는 Cliquid Softwar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kit may further include a program capable of data analysis or statistical processing. The program may analyze the expression level of a gene or protein. The data analysis or statistical processing program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Skyline Software, ProteoWizard Software, SCIEX OS Software, SPSS Statistics Software, MedCalc Software, MultiQuant Software, MasterView Software, or Cliquid Softwa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키트는 진단에 필요한 시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항체, 항체의 면역학적 검출을 위하여 기질, 적합한 완충용액, 발색 효소 또는 형광물질로 표지된 2차 항체, 또는 발색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압타머, 프라미어, 프로브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kit may further include a sample required for diagnosis. The kit may include an antibody, a substrate for immunological detection of the antibody, a suitable buffer, a secondary antibody labeled with a chromogenic enzyme or a fluorescent substance, or a chromogenic substrate. The kit may include an aptamer, primer, probe or oligonucleotide.

상기 키트는 RT-PCR(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키트, DNA 칩 키트,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단백질 칩 키트, 래피드(rapid) 키트 또는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키트일 수 있다.The kit may be a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kit, a DNA chip kit, an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 a protein chip kit, a rapid kit, or a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RM) kit.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상기 PCR 키트는 PCR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키트일 수 있다. PCR 키트는, 상기 SNP에 대한 특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 외에도 테스트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컨테이너, 반응 완충액 (pH 및 마그네슘 농도는 다양), 데옥시뉴클레오타이드(dNTPs), Taq-폴리머라아제 및 역전사효소와 같은 효소, DNase, RNAse 억제제, DEPC-수 (DEPC-water) 및 멸균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CR kit may be a kit including essential elements required to perform PCR. The PCR kit contains, in addition to polynucleotides, primers or probes specific for the SNP, a test tube or other suitable container, reaction buffer (with varying pH and magnesium concentration), deoxynucleotides (dNTPs), Taq-polymerase and reverse transcriptase enzymes such as, DNase, RNAse inhibitors, DEPC-water and sterile water,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상기 DNA 칩 키트는 DNA 칩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키트일 수 있으며, DNA 칩 키트는 상기 SNP에 대한 특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가 부착되어 있는 기판을 포함하고 기판은 정량 대조구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에 해당하는 핵산을 포함할 수 있다.As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NA chip kit may be a kit including essential elements required to perform DNA chip, and the DNA chip kit may include a substrate to which a polynucleotide, primer or probe specific for the SNP is attached. And the substrate may include a nucleic acid corresponding to a quantitative control gene or a fragment thereof.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상기 RT-PCR 키트는 RT-PCR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키트일 수 있으며, RT-PCR 키트는, 상기 SNP에 대한 특이적인 각각의 프라이머 외에도 테스트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컨테이너, 반응 완충액(pH 및 마그네슘 농도는 다양), 디옥시뉴클레오타이드(dNTPs), 디디옥시뉴클레오타이드(ddNTPs), Taq-폴리머라아제 및 역전사효소와 같은 효소, DNase, RNAse 억제제, DEPC-수(DEPC-water), 멸균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T-PCR kit may be a kit including essential elements required to perform RT-PCR, and the RT-PCR kit, in addition to each primer specific for the SNP, a test tube or Other suitable containers, reaction buffers (pH and magnesium concentrations vary), deoxynucleotides (dNTPs), dideoxynucleotides (ddNTPs), enzymes such as Taq-polymerase and reverse transcriptase, DNase, RNAse inhibitors, DEPC-water ( DEPC-water), sterile water, and the like.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에서 분리된 샘플에서 오메가-3 대사체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여부 예측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persistence of food allergy, comprising measuring the level of an omega-3 metabolite in a sample isolated from a subject having food allerg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3 대사체는 7-HDoHE, 10-HDoHE, 13-HDoHE, 17-HDoHE, 레졸빈 D1 (RvD1) 및 레졸빈 D2 (RvD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mega-3 metabolite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7-HDoHE, 10-HDoHE, 13-HDoHE, 17-HDoHE, Resolvin D1 (RvD1) and Resolvin D2 (RvD2) It may be characteriz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3 대사체의 수준은 면역블로팅,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면역 조직 화학 염색, 단백질 칩, 면역침강, 질량분석,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l of the omega-3 metabolite is measured by immunoblott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protein chip, immunoprecipitation, mass spectrometry, chromatography o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in a combination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에서 분리된 샘플에서 p21(RAC1) 활성화된 키나제 5 (p21(RAC1) activated kinase 5, PAK5)의 SNP(rs7274775), 말단 없는 호메오박스 6 안티센스 RNA 1 (distal-less homeobox 6 antisense RNA 1, DLX6-AS1)의 SNP(rs6957108), 프롤린 풍부 코일드 코일 2C (proline-rich coiled-coil 2C, PRRC2C)의 SNP(rs235907) , 및 감마-아미노부티르산 A형 수용체 서브유닛 베타3 (gamma-aminobutyric acid type A receptor subunit beta3, GABRB3)의 SNP (rs803933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SNP를 판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여부 예측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NP (rs7274775) of p21 (RAC1) activated kinase 5 ( PAK5 ), homeobox 6 antisense RNA 1 without end in a sample isolated from a subject with food allergy SNP (rs6957108) of (distal-less homeobox 6 antisense RNA 1, DLX6-AS1 ) , SNP (rs235907) of proline-rich coiled-coil 2C ( PRRC2C ) , and gamma-aminobutyric acid type A Determining one or more SNP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whether food allergy persists, including the step of do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NP는, 시퀀싱 분석, 파이로시퀀싱(pyrosequencing), 마이크로어레이에 의한 혼성화, PCR_RE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법, PCR-SSCP(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법, PCR-SSO(specific sequence oligonucleotide)법, PCR-SSO법과 도트 하이브리드화법을 조합한 ASO(allele specific oligonucleotide) 하이브리드화법, TaqMan-PCR법, MALDI-TOF/MS법, RCA(rolling circle amplification)법, HRM(high resolution melting)법, 프라이머 신장법, 서던 블롯 하이브리드화법, 도트 하이브리드화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판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NP is sequencing analysis, pyrosequencing, hybridization by microarray, PCR_RE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method, PCR-SSCP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method, PCR-SSO (specific sequence oligonucleotide) method, ASO (allele specific oligonucleotide) hybridization method combining PCR-SSO method and dot hybridization method, TaqMan-PCR method, MALDI-TOF/MS method, RCA (rolling circle amplification) method, HRM (high resolution melting) method, primer extension method, Southern blot hybridization method, dot hybridization method, or a combination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샘플은 혈액, 혈장, 혈청, 소변, 점액, 타액, 눈물, 객담, 척수액, 흉수, 유두 흡인물, 림프액, 기도액, 장액, 비뇨생식관액, 모유, 림프계 체액, 정액, 뇌척수액, 기관계내 체액, 복수, 낭성 종양 체액, 양수액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ple is blood, plasma, serum, urine, mucus, saliva, tears, sputum, spinal fluid, pleural fluid, nipple aspirate, lymph fluid, airway fluid, serous fluid, genitourinary tract fluid, breast milk, lymphatic body fluid, semen, It may be characterized as cerebrospinal fluid, organ system fluid, ascites, cystic tumor fluid, amniotic fluid, or a combination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7-HDoHE, 10-HDoHE, 13-HDoHE 및 17-HDoH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오메가-3 대사체가 0.001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체는 알레르기가 해소될 것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one omega-3 metabolit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7-HDoHE, 10-HDoHE, 13-HDoHE and 17-HDoHE is 0.001 or more, the subject is predicted to be relieved of allergy. can be done with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졸빈 D1이 265 pg/ml 이상인 경우, 더 바람직하게는 275 pg/ml 이상인 경우, 가장 바람직하게는 280 pg/ml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체는 알레르기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solvin D1 is 265 pg/ml or more, more preferably 275 pg/ml or more, and most preferably 280 pg/ml or more, the subject predicts that the allergy will last can be done with

예컨대, 상기 레졸빈 D1이 280.2 pg/ml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체는 알레르기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esolvin D1 is 280.2 pg/ml or higher, the subject may predict that the allergy will persis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졸빈 D2가 126 pg/ml 이상인 경우, 더 바람직하게는 130 pg/ml 이상인 경우, 가장 바람직하게는 134 pg/ml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체는 알레르기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solvin D2 is 126 pg/ml or more, more preferably 130 pg/ml or more, and most preferably 134 pg/ml or more, the subject predicts that the allergy will last can be done with

예컨대, 상기 레졸빈 D2가 134.3 pg/ml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체는 알레르기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esolvin D2 is 134.3 pg/ml or more, the subject may predict that the allergy will persis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졸빈 D1의 수준은 Resolvin D1 (RvD1) ELISA Kit (Cat. No.: MBS053145, Mybiosource, San Diego,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l of Resolvin D1 may be measured using a Resolvin D1 (RvD1) ELISA Kit (Cat. No.: MBS053145, Mybiosource, San Diego, CA, USA)), but is not limited thereto. don'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졸빈 D2의 수준은 Resolvin D2 (RvD2), ELISA Kit(Cat. No.: MBS051498, Mybiosource, San Diego,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l of Resolvin D2 may be measured using Resolvin D2 (RvD2), ELISA Kit (Cat. No.: MBS051498, Mybiosource, San Diego, CA, USA)), but is not limited thereto. does not

본 발명에 있어서,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SNP(rs7274775)의 대립형질이 T를 포함; Alleles of the SNP (rs7274775) include T;

상기 SNP(rs6957108)의 대립형질이 T를 포함; Alleles of the SNP (rs6957108) include T;

상기 SNP(rs235907)의 대립형질이 C를 포함; 및Alleles of the SNP (rs235907) include C; and

상기 SNP(rs8039336)의 대립형질이 T를 포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경우, 상기 대상체는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될 것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llele of the SNP (rs8039336) includes T; I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subject may be characterized as predicting that the food allergy will be resolv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정보 제공 방법에서, 상기 결과들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계학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튜던트 t-검정(Student's t-test), 카이-스퀘어 검정(Chi-square test), 선형 회귀선 분석(linear regression line analysis),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메타 분석(meta-analysis) 등을 통해 얻은 연속 변수(continuous variables), 절대 변수 (categorical variables), 대응비(odds ratio, OR) 및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 등의 변수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In th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ults can b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commonly used in the art, for example, Student's t-test, chi- Continuous variables and absolute variables obtained through chi-square test, linear regression line analysi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ta-analysis, etc. It can be analyzed using variables such as categorical variables,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본 명세서에서 용어, "대상체"는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모든 생물체를 의미하며, 구체적인 예로, 마우스, 원숭이, 소, 돼지, 미니돼지,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term "subject" refers to any organism having a food allergy, and may include mammals, including mice, monkeys, cows, pigs, mini-pigs, livestock, humans, etc. as specific examples, but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going to b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한국인 또는 아시아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ject may be a human, specifically Korean or Asia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These examples are only for exemplif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 1. 연구 모집단 및 샘플 수집Example 1. Study Population and Sample Collection

1-1. 연구 모집단 1-1. study population

두 개의 독립적인 코호트, 즉 식별 코호트 (identification cohort)와 정량 코호트 (quantification cohort)가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대사 프로파일을 연구하는데 사용되었다. Two independent cohorts, an identification cohort and a quantification cohort, were used to study the metabolic profiles of children with food allergy.

식별 코호트는 식품 알레르기 아동 20명과 건강한 대조군 20명으로 구성되었다. 식품 알레르기는 하나 이상의 특정 식품 알레르겐에 대한 특정 IgE 수치 > 0.7 kU/L와 식품 섭취 2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IgE 매개 증상의 병력을 포함하여, 확인된 알레르기 과민 반응의 조합을 기반으로 의사에 의해 진단되었다. 식품 알레르기의 해소(resoultion)는 이전에 식품 알레르기를 일으켰던 모든 식품 알레르겐에서 발생하는 국소 및 전신 증상의 상실로 정의되었으며, 해소는 해당 음식 섭취를 시도해보거나 간병인의 관찰로 확인되었다. 식품 알레르기 소아에 대해 진단 당시와 추적 관찰시 혈청을 채취하였다. 식품 알레르기 해소가 확인된 대상체 (subject)와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되는 대상체에 대해 각각 동일한 시간 경과에 따른 추적 관찰이 수행되었다. 지속성은 식품 알레르기 진단 기준과 동일한 기준으로 진료실에서 확인되었다. 대사체 프로파일링이 수행될 때까지 샘플은 -20 ℃에서 보관하였다.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되는 대상체와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대상체에 대한 식품 알레르기 및 아토피 피부염의 중증도는 각각 B. Niggemann et al (Allergy 2016; 71:135-6) 및 SCORing Atopic Dermatitis(SCORAD) (Dermatology 1993; 186:23-31)에 의해 확립된 등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대조군은 알레르기 질환의 병력이나 알레르기 과민증의 증상이 없는 대상체로 선정하였다. 유전자형 분석을 위해 상기 40명의 피험자로부터 추가로 전혈 샘플을 수집하였다. The identification cohort consisted of 20 children with food allergy and 20 healthy controls. Food allergy was diagnosed by a physician based on a combination of identified allergic hypersensitivity reactions, including a specific IgE level >0.7 kU/L to one or more specific food allergens and a history of IgE-mediated symptoms occurring within 2 hours of ingesting the food . Resolution of food allergy was defined as the loss of local and systemic symptoms from any food allergen that had previously caused a food allergy, and resolution was confirmed by attempting to eat the food or observation by a caregiver. Serum was collected at diagnosis and at follow-up for children with food allergy. Follow-up over the same time was conducted for subjects whose food allergy was resolved and subjects whose food allergy persisted. Persistence was confirmed in the clinic using the same criteria as for food allergy diagnosis. Samples were stored at -20 °C until metabolomic profiling was performed. The severity of food allergy and atopic dermatitis for subjects with persistent food allergy and subjects with resolved food allergy were evaluated by B. Niggemann et al (Allergy 2016; 71:135-6) and SCORing Atopic Dermatitis (SCORAD) (Dermatology 1993; 186:23-31). The control group was selected as a subject without a history of allergic disease or symptoms of allergic hypersensitivity. Additional whole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se 40 subjects for genotyping.

정량 코호트는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 48명의 대상체와 30명의 건강한 대조군으로 구성되었다. 피험자(즉, 대상체)는 식별 코호트와 동일한 포함 기준으로 모집되었으며, 혈청 샘플을 사용하여 선택된 대사체를 정량화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상호 관계가 없었고, 서면 동의서를 제공받아 실험이 진행되었다. 모든 연구는 세브란스병원 기관심사위원회(서울, 한국, IRB 번호 4-2019-1271)의 승인을 받아 진행되었다.The quantification cohort consisted of 48 subjects with food allergy and 30 healthy controls. Subjects (i.e., subjects) were recruited with the same inclusion criteria as the identification cohort, and serum samples were used to quantify selected metabolites. All subjects were unrelated,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fter providing written informed consent. All studies were conducted with the approval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Severance Hospital (Seoul, Korea, IRB No. 4-2019-1271).

1-2. 임상평가1-2. clinical evaluation

식품 알레르기로 진단하기 위해 확인된 식품 알레르기(FA) 증상에는 입안의 따끔 거림 또는 가려움증; 두드러기; 얼굴, 입 또는 기타 신체 부위의 붓기; 천명; 호흡 곤란; 메스꺼움; 구토; 복통; 설사가 포함되었다.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 일부 대상체는 여러 음식에 알레르기가 있었고, 모든 대상체는 달걀 알레르기가 있었다. 우유와 견과류에 대한 알레르기는 다중 알레르기가 있는 대상체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났다. 비-IgE 매개 또는 만성 염증성 위장 장애의 병력과 지난 6주 이내에 면역억제제 사용한 병력이 있는 대상체는 피험자에서 제외되었다. Food allergy (FA) symptoms identified for diagnosis of food allergy include tingling or itching in the mouth; hives; swelling of the face, mouth, or other body parts; appointment; shortness of breath; sickness; throw up; colic; Diarrhea was included. Some subjects with food allergies had allergies to multiple foods, and all subjects had egg allergies. Allergies to milk and nuts were most common in subjects with multiple allergies. Subjects with a history of non-IgE mediated or chronic inflammatory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the use of immunosuppressants within the past 6 weeks were excluded from subjects.

1-3. 샘플 준비 및 대상체 분석1-3. Sample preparation and subject analysis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 대상체로부터 20개의 쌍을 이룬 혈청 샘플과 대조군으로부터 20개의 쌍을 이루지 않은 혈청 샘플을 수집하였다. 식별 코호트에 대한 정보는 표 1에 요약되어 있다.20 paired serum samples from subjects with food allergy and 20 unpaired serum samples from controls were collected. Information on identification cohorts is summarized in Table 1.

식품 알레르기 (n = 20)Food allergy (n = 20) 대조군 (n = 20)control group (n = 20) p-value**p-value** 진단시 연령age at diagnosis 2.74 ± 2.302.74 ± 2.30 2.70 ± 2.282.70 ± 2.28 0.950.95 남성male 11 (55)11 (55) 10 (50)10 (50) 0.750.75 총 혈청 IgE, kU/LTotal serum IgE, kU/L 676.49 ± 1059.48676.49 ± 1059.48 17.72 ± 14.7317.72 ± 14.73 0.010.01 식품 알레르기 해소*Food Allergy Relief* 8 (44.4)8 (44.4) -- --

데이터는 n (%) 또는 평균± 표준 편차로 제공됨Data are given as n (%) or mean ± standard deviation

* 식품 알레르기 해소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못한 2명을 제외하고,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총 18명을 대상으로 계산한 비율임* Rate calculated for a total of 18 people with food allergy, excluding 2 people with insufficient information on food allergy relief

** 카테고리 값에 대한 카이 제곱 검정 및 연속 값에 대한 Welch의 t-검정으로 계산된 p-값** p-value calculated by chi-square test for categorical values and Welch's t-test for continuous values

피험자들의 평균 연령은 2.72세 (표준 편차: 2.29)였으며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와 대조군 간에 유의한 연령 차이는 없었다. 총 혈청 IgE 수치는 예상한 바와 같이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에서 대조군보다 평균적으로 더 높았다. 진단 당시 식품 알레르기 환자들은 원인이 되는 알레르겐을 피하는 식사를 하고 있었다 (표 2).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2.72 years (standard deviation: 2.29),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age difference between subjects with food allergies and controls. Total serum IgE levels were higher on average in subjects with food allergy than in controls, as expected. At the time of diagnosis, food allergy patients were on a diet avoiding the causative allergen (Table 2).

환자 No.Patient No. 식품 알레르기 그룹food allergy group 식품 알레르기food allergy 1One 식품 알레르기 지속food allergy persists 달걀, 우유, 땅콩eggs, milk, peanuts 22 식품 알레르기 지속food allergy persists 달걀egg 33 식품 알레르기 지속food allergy persists 달걀, 우유eggs, milk 44 식품 알레르기 지속food allergy persists 달걀, 우유, 땅콩, 돼지고기, 밀Eggs, Milk, Peanuts, Pork, Wheat 55 식품 알레르기 지속food allergy persists 달걀egg 66 식품 알레르기 지속food allergy persists 달걀, 밀eggs, wheat 77 식품 알레르기 지속food allergy persists 달걀, 밀eggs, wheat 88 식품 알레르기 지속food allergy persists 달걀, 우유eggs, milk 99 식품 알레르기 지속food allergy persists 달걀, 땅콩eggs, peanuts 1010 식품 알레르기 지속food allergy persists 달걀egg 1111 식품 알레르기 해소food allergy relief 달걀, 땅콩eggs, peanuts 1212 식품 알레르기 해소food allergy relief 달걀, 우유eggs, milk 1313 식품 알레르기 해소food allergy relief 달걀egg 1414 식품 알레르기 해소food allergy relief 달걀egg 1515 식품 알레르기 해소food allergy relief 달걀, 우유eggs, milk 1616 식품 알레르기 해소food allergy relief 달걀, 우유eggs, milk 1717 식품 알레르기 해소food allergy relief 달걀, 우유eggs, milk 1818 식품 알레르기 해소food allergy relief 달걀egg

식품 알레르기 환자 중 10명은 지속적인 증상을 보였고, 8명은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되었다. 2명의 피험자는 예후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아 식품 알레르기 해소 여부에 대한 분석에서 제외시켰다. 이들 대상체에 대한 추적 관찰 기간 및 질병 속성은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Ten of the food allergy patients showed persistent symptoms, and food allergy resolved in eight. Two subject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of food allergy resolution due to insufficient prognostic information. The follow-up period and disease attributes for these subjects are summarized in Table 3.

식품 알레르기 지속
(n = 10)
food allergy persists
(n = 10)
식품 알레르기 해소
(n = 8)
food allergy relief
(n = 8)
p-value*p-value*
진단시 연령age at diagnosis 4.06 ± 2.634.06 ± 2.63 1.38 ± 0.441.38 ± 0.44 0.020.02 남성male 5 (50)5 (50) 6 (75)6 (75) 0.280.28 총 혈청 IgE, kU/LTotal serum IgE, kU/L 761.90 ± 567.64761.90 ± 567.64 345.73 ± 275.93345.73 ± 275.93 0.090.09 샘플 수집 사이 시간 범위, 개월Time span between sample collections, months 18.39 ± 9.0618.39 ± 9.06 15.45 ± 4.5215.45 ± 4.52 0.440.44 다수 식품 알레르기multiple food allergies 8 (80)8 (80) 4 (50)4 (50) 0.180.18 아토피 피부염 동반with atopic dermatitis 4 (40)4 (40) 4 (50)4 (50) 0.670.67 SCORADSCORAD 18.5 ± 15.0418.5 ± 15.04 23.75 ± 6.2223.75 ± 6.22 0.620.62 식품 관련 증상food related symptoms 두드러기hives 10 (100)10 (100) 8 (100)8 (100) -- 혈관 부종angioedema 6 (60)6 (60) 4 (50)4 (50) 0.670.67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4 (40)4 (40) 2 (25)2 (25) 0.500.50

SCORAD, SCORing Atopic Dermatitis데이터는 n (%) 또는 평균 ± 표준 편차로 제공됨SCORAD, SCORing Atopic DermatitisData are given as n (%) or mean ± standard deviation

* 카테고리 값에 대한 카이 제곱 검정 및 연속 값에 대한 Welch의 t-검정으로 계산된 p-값*p-value calculated by chi-square test for categorical values and Welch's t-test for continuous values

진단을 위한 샘플 수집과 추적 관찰 사이의 평균 시간 간격은 16.5개월이었고, 추적 관찰 시 아동은 4세에서 5세 사이였다. 대상체들은 식품 알레르기의 심각도에서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지속적인 식품 알레르기를 나타내는 7명의 대상체와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6명의 대상체는 2A 등급(피부 또는 위장관 침범을 동반한 경증에서 중등도의 전신 반응)을 나타내었다. 지속적인 식품 알레르기를 나타내는 2명의 대상체와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1명의 대상체는 심각한 전신 반응을 경험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을 동반하는 대상체들은 모두 경증 또는 중등도의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경험하였으며 그룹 간에 SCORAD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he average time interval between diagnostic sample collection and follow-up was 16.5 months, and the children were between 4 and 5 years of age at follow-up. Subjects showed a similar distribution in severity of food allergy. Seven subjects with persistent food allergy and six subjects with resolution of food allergy presented Grade 2A (mild to moderate systemic reaction with cutaneous or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Two subjects with persistent food allergy and one subject whose food allergy resolved experienced severe systemic reactions. Subjects with atopic dermatitis all experienced mild or moderate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AD between groups.

정량 코호트는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되는 25명,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23명, 대조군 30명으로 구성되었다 (표 4). 평균 연령과 총 혈청 IgE 수치는 동일 집단의 IgE 수치와 유사하였다. 식품 알레르기 해소 여부를 추적하는데 소요된 평균 추적 기간은 18.5개월이었다.The quantitative cohort consisted of 25 subjects with persistent food allergy, 23 subjects with resolution of food allergy, and 30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Table 4). Mean age and total serum IgE level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same population. The average follow-up period for food allergy resolution was 18.5 months.

식품 알레르기 지속
(n = 25)
food allergy persists
(n = 25)
식품 알레르기 해소
(n = 23)
food allergy relief
(n = 23)
대조군
(n = 30)
control group
(n = 30)
진단시 연령age at diagnosis 3.07 ± 3.023.07 ± 3.02 1.38 ± 1.401.38 ± 1.40 3.53 ± 2.983.53 ± 2.98 남성male 14 (56)14 (56) 19 (83)19 (83) 15 (50)15 (50) 총 혈청 IgE, kU/LTotal serum IgE, kU/L 719.73 ± 1222.67719.73 ± 1222.67 368.20 ± 538.80368.20 ± 538.80 76.26 ± 80.7076.26 ± 80.70 다수 식품 알레르기multiple food allergies 22 (88)22 (88) 5 (22)5 (22) -- 추적 기간*, 개월Follow-up period*, months 68.74 ± 32.1868.74 ± 32.18 81.21 ± 47.2181.21 ± 47.21 -- 해소의 최초 확인까지의 시간, 개월Time to first confirmation of resolution, months -- 19.9 ± 13.519.9 ± 13.5 --

* 진단과 가장 최근의 해소 또는 지속 확인 사이의 시간*Time between diagnosis and most recent resolution or persistence check

데이터는 n (%) 또는 평균 ± 표준 편차로 제공됨Data are given as n (%) or mean ± standard deviation

실시예 2. 대사체 프로파일링Example 2. Metabolite profiling

두 가지 모드(양이온 및 음이온 대사 산물)에서 LC-MS(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를 사용하여 식별 코호트의 혈청 샘플로부터 대사체 프로파일링을 수행하였다.Metabolomic profiling was performed from serum samples from a discrete cohort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 in two modes (cationic and anionic metabolites).

LC-MS 분석을 위해 각 100 μL 샘플을 내부 표준물질을 함유한 메탄올 (0.1% 포름산 포함) 300 μL 와 혼합하고 원심분리(9,100 x g, 4℃, 10분)하였다. 다음으로, 250 μL의 상청액과 550 μL의 0.1% 포름산 수용액을 혼합하고 SPE 컬럼 (MonoSpin C18, 5010-2170, GL Sciences Inc., Tokyo, Japan)을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0.1% 포름산 용액 및 0.1% 포름산 - 25% 메탄올 용액으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지질 대사체는 측정 직전 메탄올(0.1% 포름산 포함) 200 μL에 용해하였다. LC-MS 분석에서 검출된 피크는 m/z, 머무름 시간 및 피크 면적을 포함한 정보를 얻기 위해 자동 통합 소프트웨어 MultiQuant(AB Sciex, Framingham, MA, USA)를 사용하여 추출되었다. 그런 다음 피크 면적을 상대 피크 면적으로 변환하고 표준 라이브러리 (Human Metabolome Technologies, Inc., Tsuruoka, Japan)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주석을 달았다: [생화학적 분류] [아실 사슬 탄소 원자의 수]:[지방산 부분의 이중 결합 수]. For LC-MS analysis, each 100 μL sample was mixed with 300 μL of methanol (with 0.1% formic acid) containing the internal standard and centrifuged (9,100 x g, 4° C., 10 min). Next, 250 μL of the supernatant and 550 μL of 0.1% formic acid aqueous solution were mixed and filtered using an SPE column (MonoSpin C18, 5010-2170, GL Sciences Inc., Tokyo, Japan). The filtrate was purified with a 0.1% formic acid solution and a 0.1% formic acid-25% methanol solution. The purified lipid metabolite was dissolved in 200 μL of methanol (including 0.1% formic acid) immediately before measurement. Peaks detected in the LC-MS analysis were extracted using the automatic integration software MultiQuant (AB Sciex, Framingham, MA, USA) to obtain information including m/z, retention time and peak area. Peak areas were then converted to relative peak areas and annotated using a standard library (Human Metabolome Technologies, Inc., Tsuruoka, Japan) as follows: [Biochemical classification] [Number of acyl chain carbon atoms]:[ number of double bonds in the fatty acid moiety].

유리지방산 (free fatty acid), 아실카르니틴 (acylcarnitine), 옥시리핀 (oxylipin), 리소포스파티딜콜린 (lysophosphatidylcholine),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리소포스파티딜이노시톨 (lysophosphatidyllinositol), 리소포스파티딜세린 (lysophosphatidylserine), 리소포스파티딜글리세롤 (lysophosphatidylglycerol), 리소포스파티딘산 (lysophosphatidic acid), 혈소판 활성화 인자 (platelet-activating factor), 아실에탄올아민 (acylethanolamine), 스핑가닌 (sphinganine), 스핑고신 (sphingosine), 강글리오사이드 (ganglioside), 글루코실세라마이드 (glucosylceramide), 락토실세라마이드 (lactosylceramide), 세라마이드-1P (ceramide-1P) 및 스테로이드 (steroid)를 포함한 여러 클래스의 총 344개 대사체가 확인되었다. Free fatty acid, acylcarnitine, oxylipin, lysophosphatidylcholine, and lysophosphatidylethanola MINE), Lysophosphatidyrinositol, Lysophosphatidylserine, Lysopos Party Deal Glycerol (lysophosphatidylglycerol), lysophosphatidic acid, platelet-activating factor, acylethanolamine, sphinganine, sphingosine, ganglioside, gluco A total of 344 metabolites from several classes were identified, including glucosylceramide, lactosylceramide, ceramide-1P and steroids.

대사체 수준에 대해 결측값 대치 (missing value imputation) 및 일반 품질 관리 절차를 수행하였다. 각 대사체와 대상체 연령 간의 상관 관계는 진단 시 건강한 대조군과 식품 알레르기 대상체의 로그 변환 대사체 데이터를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 관계를 계산하여 결정되었다. 연령과 유의하게 관련된 대사체 (p-값 < 0.05) (표 5 참조)는 추가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 Metabolite levels were subjected to missing value imputation and general quality control procedures. Correlations between each metabolite and subject age were determined by calculating Pearson's correlation using log-transformed metabolome data from healthy controls and food allergy subjects at diagnosis. Metabolite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p-value < 0.05) (see Table 5) were excluded from further analysis.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상관관계 p-valueCorrelation p-value Lactosylceramide(d18:1/16:0)Lactosylceramide (d18:1/16:0) 0.5721280.572128 0.0001150.000115 LPS(22:4)LPS (22:4) -0.56264-0.56264 0.0001570.000157 GM3(d18:1/14:0)GM3 (d18:1/14:0) -0.55314-0.55314 0.0002140.000214 TXB2TXB2 -0.53315-0.53315 0.0003970.000397 LPS(20:4)LPS (20:4) -0.49013-0.49013 0.0013260.001326 Glucosylceramide(d18:1/14:0)Glucosylceramide (d18:1/14:0) -0.48004-0.48004 0.0017210.001721 LPS(20:3)LPS (20:3) -0.47532-0.47532 0.0019380.001938 Sphingosine-1P(d16:1)Sphingosine-1P (d16:1) -0.45419-0.45419 0.0032410.003241 LPS(22:6)LPS (22:6) -0.43521-0.43521 0.0050060.005006 GM3(d18:1/12:0)GM3 (d18:1/12:0) -0.42841-0.42841 0.0058160.005816 LPS(18:1)LPS (18:1) -0.41726-0.41726 0.0073910.007391 FFA(12:0)FFA(12:0) -0.41384-0.41384 0.0079420.007942 Lactosylceramide(d18:1/24:1)Lactosylceramide (d18:1/24:1) 0.4114920.411492 0.008340.00834 Lactosylceramide(d18:1/24:2)Lactosylceramide (d18:1/24:2) 0.4072750.407275 0.0090990.009099 FFA(10:0)FFA(10:0) -0.40572-0.40572 0.0093930.009393 LPS(22:5)LPS (22:5) -0.39489-0.39489 0.0116790.011679 LPE(24:0)LPE(24:0) -0.37923-0.37923 0.0158080.015808 LPS(20:1)LPS (20:1) -0.37432-0.37432 0.0173340.017334 12-HETE12-HETE -0.37101-0.37101 0.0184300.018430 LPE(20:0)LPE(20:0) -0.36771-0.36771 0.0195800.019580 Sphinganine-1P(d18:0)Sphinganine-1P (d18:0) -0.36602-0.36602 0.0201910.020191 LPS(22:0)LPS(22:0) -0.36423-0.36423 0.0208570.020857 LPA(12:0)LPA(12:0) -0.35242-0.35242 0.0257270.025727 PAF(22:4)PAF (22:4) -0.35082-0.35082 0.0264530.026453 LPG(22:4)LPG(22:4) -0.34367-0.34367 0.0299130.029913 LPS(18:0)LPS(18:0) -0.33690-0.33690 0.0335260.033526 AC(24:1)AC(24:1) -0.33543-0.33543 0.0343500.034350 LPG(20:2)LPG(20:2) -0.33520-0.33520 0.0344870.034487 FFA(22:3)FFA (22:3) -0.33423-0.33423 0.0350400.035040 LPS(17:0)LPS(17:0) -0.33421-0.33421 0.0350510.035051 LPC(14:0)LPC(14:0) -0.33278-0.33278 0.0358880.035888 LPA(20:2)LPA (20:2) -0.31999-0.31999 0.0441250.044125 FFA(14:0)FFA(14:0) -0.31841-0.31841 0.0452390.045239 Sphingosine(d16:1)Sphingosine (d16:1) -0.31581-0.31581 0.0471280.047128 LPA(22:4)LPA (22:4) -0.31386-0.31386 0.0485790.048579 GD3(d18:1/16:0)GD3 (d18:1/16:0) -0.31328-0.31328 0.0490230.049023

LPS, 리소포스파티딜세린; GM3, 모노시알로디헥소실강글리오시드; TXB2, 트롬복산 B2; FFA, 유리 지방산; LPE,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HETE, 히드록시에이코사테트라엔산; LPA, 리소포스파티딘산; PAF, 혈소판 활성화 인자; LPG, 리소포스파티딜글리세롤; AC, 아실카르니틴; LPC,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S, lysophosphatidylserine; GM3, monosialodihexosylganglioside; TXB2, thromboxane B2; FFA, free fatty acid; LPE,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HETE, hydroxyeicosatetraenoic acid; LPA, lysophosphatidic acid; PAF, platelet activating factor; LPG, lysophosphatidylglycerol; AC, acylcarnitine; LPC, lysophosphatidylcholine

대사체 데이터의 품질 관리를 위하여, 샘플의 10% 이상에서 정량되지 않은 대사체는 배제하였다. 대사체에 대한 누락 값은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 (k-nearest neighbor algorith)을 사용하여 대체하였다. 10개의 가장 근접한 이웃의 중앙값이 계산에 사용되었다. 대사체 데이터의 정규화에는 확률 지수 정규화법 (probabilistic quotient normalization method)이 사용되었다. For quality control of metabolome data, metabolites that were not quantified in more than 10% of the samples were excluded. Missing values for metabolites were replaced using the k-nearest neighbor algorithm. The median of the 10 nearest neighbors was used for the calculation. A probabilistic quotient normalization method was used to normalize the metabolomic data.

데이터 패턴을 관찰하기 위해 진단 당시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와 대조군에서 얻은 대사체 데이터에 대해 MetaboAnalyst를 사용하여 희소 부분 최소 제곱 판별 분석 (sparse partial least-squares discriminant analysis, sPLS-DA)을 수행하였다. sPLS-DA 모델의 희소성을 제어하기 위해 5가지 구성요소를 사용하고 예측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5중 교차 검증을 사용하였다. sPLS-DA 모델의 처음 5개 구성요소를 연령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테스트하여 연령이 그룹 분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In order to observe data patterns, sparse partial least-squares discriminant analysis (sPLS-DA) was performed using MetaboAnalyst on the metabolomic data obtained from subjects with food allergy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controls. Five components were used to control the sparsity of the sPLS-DA model, and five-fold cross-validation was used to evaluate the predictive ability. The first five components of the sPLS-DA model were tested for correlation with age to evaluate the effect of age on group segregation.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그룹과 대조군, 또는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 또는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되는 그룹 사이에서 상이하게 발현되는 대사체를 확인하기 위하여, 식품 알레르기 해소와 유의하게 연관된 오메가-3 대사체에 대하여 진단에서 추적 관찰까지 paired t-test 또는 Wilcoxon 부호 순위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0.05 미만의 p-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MetaboAnalyst를 사용하여 트리 수를 500으로 설정하고 각 분할에서 시도된 변수 수를 7로 설정한 Random Forest 모델로 발현 수준이 유의하게 상이한 대사체가 구축되었다.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은 균형 잡힌 하위 샘플링 (balanced sub-sampling)을 사용하여 Monte Carlo 교차 검증에 의해 생성되었다. To identify metabolites that are differentially expressed between a group with food allergy and a control group, or a group in which food allergy persists or resolves, omega-3 metabolite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solution of food allergy are tracked at diagnosis. Paired t-test or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performed until observation. A p-value of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Using MetaboAnalyst, metabolites with significantly different expression levels were constructed with a Random Forest model in which the number of trees was set to 500 and the number of variables tried in each partition was set to 7.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s were generated by Monte Carlo cross-validation using balanced sub-sampling.

또한, 선형 혼합 모델(LMM)을 사용하여 평균 대사체 수준에서 지속적인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 대상체와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대상체 간의 경향 변화를 평가하였다. LMM에는 구조화되지 않은 공분산 행렬이 적용되었다. In addition, a linear mixed model (LMM) was used to evaluate changes in trends between subjects with persistent food allergy and subjects with resolved food allergy at the average metabolite level. An unstructured covariance matrix was applied to the LMM.

품질 관리 결과에 따라 또는 대상체 연령과 관련된 대사체를 제거한 후, 총 275개의 대사체가 확인되었다. 도 1은 식품 알레르기 및 식품 알레르기 해소된 그룹의 지도모델(supervised model)에서 데이터 패턴과 함께 sPLS-DA 플롯을 보여준다. sPLS-DA 모델에서 처음 두 구성 요소의 가중치는 식품 알레르기 그룹의 경우 16.5% 및 13%,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그룹의 경우 9.5% 및 8.4%였다. 식품 알레르기 그룹과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그룹에 대한 대상체의 클러스터링은 그룹 간 분리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그룹과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된 그룹의 경계는 약간만 오버랩되며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도 1c는 세 그룹을 모두 사용하여 확인된 sPLS-DA 모델에 대한 점수 플롯을 보여준다. 대조군과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된 그룹이 상대적으로 잘 분리되는 것과 비교하여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그룹은 다른 그룹의 경계 내에 위치하여,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되는 경우는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되는 경우 및 대조군에서의 대사 특징 모두와 오버랩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든 플롯에서, 대상체의 분포는 연령별 클러스터링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처음 5개 구성요소 중 어느 것도 연령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p-값 > 0.05).A total of 275 metabolit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quality control results or after removing metabolites related to subject age. Figure 1 shows the sPLS-DA plot with data patterns in the supervised model of food allergy and food allergy resolved groups. In the sPLS-DA model, the weights of the first two components were 16.5% and 13% for the food allergy group and 9.5% and 8.4% for the food allergy resolved group. The clustering of the subjects for the food allergy group and the food allergy resolved group showed a tendency to separate between the groups, and in particular, the boundary between the food allergy resolved group and the food allergy sustained group overlapped only slightly and was clearly distinguished. Figure 1c shows the score plot for the sPLS-DA model identified using all three groups. Compared to the relatively good separation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group with continued food allergy, the group with resolved food allergy was located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other groups, so that the case in which food allergy was resolved was the case with continued food allergy and the metabolism in the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it overlapped with all of the features. In all plots, the distribution of subjects did not show clustering by age and none of the first 5 componen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 (p-value > 0.05).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와 대조군을 비교한 결과,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의 8개 대사체와 유의하게 낮은 수준의 8개 대사체가 확인되었다. 도 2a는 생화학적 클래스에 따른 분류와 함께 이러한 대사체 중 12가지를 보여준다. 모든 스핑고지질 대사 산물의 수준은 대조군보다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에서 일관되게 더 높게 나타났다. 탄소 수가 많고 이중 결합이 적은 6개의 아실카르티닌(acylcarnitine) 대사체는 대조군보다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에서 더 낮은 수준을 보이는 경향이 일반적이었다. 두 개의 리소포스파티딘산 (lysophosphatidic acid) 수준은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에서 더 높았다.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ubjects with food allergy and the control group, 8 metabolites with significantly high levels and 8 metabolites with significantly low levels were identified in subjects with food allergies. Figure 2a shows 12 of these metabolites with classification according to biochemical class. Levels of all sphingolipid metabolites were consistently higher in subjects with food allergies than in controls. Six acylcarnitine metabolites with high carbon numbers and low double bonds tended to have lower levels in subjects with food allergies than in controls. Levels of both lysophosphatidic acids were higher in subjects with food allergies.

도 2b는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되는 대상체보다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대상체에서 8개의 대사체가 유의하게 더 높고 4개의 대사체가 유의하게 더 낮음을 보여준다. 4 가지 오메가-3 대사체, 특히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대상체에서 히드록시도코사헥사엔산(HDoHE)의 지속적으로 더 높은 수치가 관찰되었다.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대상체의 오메가-3 대사산물 수준은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되는 대상체보다 평균 1.66배 높았다. 2개의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 수치도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피험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식품 알레르기 및 식품 알레르기 해소와 관련된 대사체의 전체 목록은 표 6과 같다.Figure 2b shows that 8 metaboli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4 metabolit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ubjects with resolving food allergy than in subjects with persistent food allergy. Consistently higher levels of the four omega-3 metabolites, particularly hydroxydocosahexaenoic acid (HDoHE), were observed in subjects whose food allergy resolved. The levels of omega-3 metabolites in subjects whose food allergy resolved were on average 1.66 times higher than those in subjects whose food allergy persisted. Levels of the two lysophosphatidylcholines (LPCs) were also higher in subjects whose food allergy resolved. A full list of metabolites related to food allergy and resolution of food allergy is shown in Table 6.

평균 대사체 수준average metabolite level p-value*p-value* 식품 알레르기와 연관Associated with food allergy 식품 알레르기 그룹food allergy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LPG(22:5)LPG(22:5) 0.0010170.001017 0.0006960.000696 0.0079950.007995 AC(18:0)AC(18:0) 0.0007030.000703 0.0010350.001035 0.0094840.009484 Glucosylceramide(d18:1/24:2)Glucosylceramide (d18:1/24:2) 0.0009720.000972 0.0006630.000663 0.0094840.009484 AC(22:0)AC(22:0) 0.0008240.000824 0.0014560.001456 0.0210770.021077 LPA(20:5)LPA (20:5) 0.0014910.001491 0.001040.00104 0.0326430.032643 PGH2PGH2 0.0007240.000724 0.0010130.001013 0.034930.03493 5,15-diHETE5,15-diHETE 0.0006510.000651 0.0009650.000965 0.0350110.035011 AC(20:0)AC(20:0) 0.000720.00072 0.0010170.001017 0.0350110.035011 AC(19:0)AC(19:0) 0.0006960.000696 0.0009170.000917 0.0368550.036855 LPA(22:5)LPA (22:5) 0.0011280.001128 0.0008090.000809 0.0401750.040175 Glucosylceramide(d18:1/24:1)Glucosylceramide (d18:1/24:1) 0.0009370.000937 0.0007130.000713 0.0429850.042985 Sphinganine(d18:0)Sphinganine (d18:0) 0.0011560.001156 0.0007620.000762 0.0429850.042985 Glucosylceramide(d18:1/22:2)Glucosylceramide (d18:1/22:2) 0.0010770.001077 0.0007770.000777 0.0459540.045954 LPC(24:1)LPC(24:1) 0.0009660.000966 0.0007920.000792 0.0459540.045954 AC(22:1)AC(22:1) 0.0006710.000671 0.0010670.001067 0.049090.04909 AC(24:0)AC(24:0) 0.000820.00082 0.0010980.001098 0.049090.04909 식품 알레르기 해소와 연관Associated with resolution of food allergy 식품 알레르기 지속food allergy persists 식품 알레르기 해소food allergy relief p-value*p-value* LPE(22:5)LPE(22:5) 0.0012540.001254 0.0007250.000725 0.0062160.006216 17-HDoHE17-HDoHE 0.0007140.000714 0.001260.00126 0.0075180.007518 10-HDoHE10-HDoHE 0.0007760.000776 0.001250.00125 0.0112860.011286 13-HDoHE13-HDoHE 0.0007410.000741 0.0011940.001194 0.0131860.013186 7-HDoHE7-HDoHE 0.0007730.000773 0.0012690.001269 0.0154570.015457 LPE(20:3)LPE(20:3) 0.0008610.000861 0.0005780.000578 0.0359420.035942 PAF(16:1)PAF (16:1) 0.0008490.000849 0.0006950.000695 0.0365150.036515 LPA(20:1)LPA (20:1) 0.0007220.000722 0.001170.00117 0.0417680.041768 Glucosylceramide(d18:1/14:0)Glucosylceramide (d18:1/14:0) 0.0009060.000906 0.0011530.001153 0.0434210.043421 LPC(12:0)LPC(12:0) 0.0007570.000757 0.0022720.002272 0.0434210.043421 LPC(22:3)LPC(22:3) 0.0008730.000873 0.0009410.000941 0.0434210.043421 LPE(16:1)LPE(16:1) 0.0013370.001337 0.000650.00065 0.0434210.043421 LPS(20:0)LPS (20:0) 0.00080.0008 0.0010830.001083 0.0434210.043421 LPS(20:4)LPS (20:4) 0.0007470.000747 0.0011340.001134 0.0434210.043421 LPA(20:4)LPA (20:4) 0.0006970.000697 0.0009750.000975 0.0487880.048788

FA, 식품 알레르기; LPG, 리소포스파티딜글리세롤; AC, 아실카르니틴; LPA, 리소포스파티딘산; PGH2, 프로스타글란딘 H2; diHETE, 디히드록시이코사테트라엔산; LPC, 리소포스파티딜콜린; LPE,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HDoHE, 히드록시도코사헥사엔산; PAF, 혈소판 활성화 인자; LPS, 리소포스파티딜세린FA, food allergy; LPG, lysophosphatidylglycerol; AC, acylcarnitine; LPA, lysophosphatidic acid; PGH2, prostaglandin H2; diHETE, dihydroxyicosatetraenoic acid; LPC, lysophosphatidylcholine; LPE,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HDoHE, hydroxydocosahexaenoic acid; PAF, platelet activating factor; LPS, lysophosphatidylserine

* 정규 분포 데이터에 대한 Welch의 t-검정 및 비모수 데이터에 대한 Mann-Whitney U 검정으로 계산된 p-값.*p-value calculated by Welch's t-test for normally distributed data and Mann-Whitney U test for nonparametric data.

다음으로 분류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의하게 연관된 대사체를 사용하여 Random Forest 모델을 구축하였다 (도 3). 식품 알레르기 모델의 ROC 곡선 아래 면적은 0.708 (95% CI: 0.483 - 0.926)이고 식품 알레르기 해소 모델의 면적은 0.947 (95% CI: 0.748 - 1)이다. 식품 알레르기 해소 모델은 식품 알레르기 모델보다 더 높은 민감도와 전반적으로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 식품 알레르기 해소의 대사 프로파일은 식품 알레르기 모델보다 더 독특하고 표현형에 더 특이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Next, a random forest model was constructed using significantly related metabolite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FIG. 3). The area under the ROC curve of the food allergy model was 0.708 (95% CI: 0.483 - 0.926) and the area under the food allergy resolution model was 0.947 (95% CI: 0.748 - 1). The food allergy resolution model showed higher sensitivity and overall better performance than the food allergy model. It suggests that the metabolic profile of food allergy resolution may be more unique and phenotype-specific than food allergy models.

실시예 3.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여부에 따른 오메가-3 대사체 수준 차이Example 3. Differences in omega-3 metabolite levels according to persistence of food allergy

식별 코호트 대상체의 오메가-3 대사체 수준 변화를 면밀히 조사하고자 식품 알레르기 진단 후 대사체 수준 변화에 대한 추적 관찰을 진행하였다. In order to closely examine changes in omega-3 metabolite levels in the identification cohort subjects, follow-up observations were conducted for changes in metabolite levels after food allergy was diagnosed.

식품 알레르기 해소와 유의하게 연관된 오메가-3 대사체의 진단에서 추적까지 대사체 수준 변화를 테스트하기 위해 paired t-test 또는 Wilcoxon signed-rank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선형 혼합 모델(LMM)을 사용하여 평균 대사체 수준에서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되는 대상체와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대상체 간의 경향 변화를 평가하였다. LMM에는 구조화되지 않은 공분산 행렬이 적용되었다. Paired t-tests or Wilcoxon signed-rank tests were performed to test changes in metabolite levels from diagnosis to follow-up of omega-3 metabolite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solution of food allergy, and linear mixed models (LMMs) were used to evaluate mean metabolism. At the body level, changes in trends between subjects with persistent food allergy and subjects with resolved food allergy were evaluated. An unstructured covariance matrix was applied to the LMM.

도 4는 진단 당시 식품 알레르기 해소와 유의하게 연관된 4 가지 오메가-3 대사체를 보여준다.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대상체에서 4 가지 오메가-3 대사체 수준이 감소되는 추세와 대조적으로,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되는 대상체에서는 4 가지 오메가-3 대사체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에서 추적 관찰까지의 평균 배수 변화는 7-HDoHE, 10-HDoHE, 13-HDoHE, 및 17-HDoHE에 대해 각각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대상체에서 -1.47, -1.49, -1.44 및 -1.40로 확인되었고,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되는 대상체에서 1.38, 1.42, 1.77 및 1.34로 확인되었다. 비록 대사체 수준이 진단에서 추적 관찰까지 현저히 변화된 것은 아니지만 (짝이룬 t-검정 또는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 p-값 < 0.05),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되는 대상체와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대상체 사이의 경향은 유의하게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선형 혼합 모델 p- 값 < 0.05), 오메가-3 수준의 궤적이 정반대의 경향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Figure 4 shows four omega-3 metabolite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solution of food allergy at the time of diagnosis. In contrast to the trend toward a decrease in the levels of the four omega-3 metabolites in subjects whose food allergy resolved, the levels of the four omega-3 metabolites increased in subjects with persistent food allergy. Mean fold change from diagnosis to follow-up was found to be -1.47, -1.49, -1.44 and -1.40 in subjects with resolved food allergy for 7-HDoHE, 10-HDoHE, 13-HDoHE, and 17-HDoHE, respectively , 1.38, 1.42, 1.77 and 1.34 in subjects with persistent food allergy. Although metabolite level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from diagnosis to follow-up (unpaired t-test or Wilcoxon signed-rank test p-value < 0.05), the trend between subjects with persistent food allergy and subjects with resolving food allergy was significant. significantly different (linear mixed model p-value < 0.05), suggesting that the trajectories of omega-3 levels show opposite trends.

실시예 4. 오메가-3 대사체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SNP 분석Example 4. SNP analysis affecting omega-3 metabolite levels

오메가-3 대사체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영향을 고려하여, 식별 코호트에서 파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전자형 변이 및 4 가지 오메가-3 대사체의 수준에 대한 정량적 특성 연관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Considering the genetic influences affecting the levels of omega-3 metabolites, quantitative trait association analyzes of genotypic variation and levels of four omega-3 metabolites were conducted using data derived from the identification cohort.

유전자형 분석은 식별 코호트의 전혈 샘플을 이용하여 Infinium Omni5Exome-4 BeadChip(Illumina Inc., San Diego, CA, USA)로 수행되었다. 품질 관리 후 얻은 1,841,897 SNP에서 PLINK v.1.0712를 사용하여 4개의 오메가-3 대사 산물에 대한 Wald 테스트를 사용하여 정량적 형질 연관 분석을 수행하였다. 0.05 미만의 Bonferroni 보정 p-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유전자형 데이터의 품질 관리를 위하여 결측률이 5% 보다 높거나, Hardy-Weinberg 평형 p-값이 10-5 미만인 경우, 사례와 대조군 간의 결측률이 유의하게 다르거나(p-값 < 0.001), 소수 대립 유전자 빈도가 1% 미만인 경우는 SNP에서 배제하였다. 데이터는 R 버전 3.3(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및 SAS 버전 9.4(SAS Institute Inc., Cary, NC,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Genotyping was performed with an Infinium Omni5Exome-4 BeadChip (Illumina Inc., San Diego, CA, USA) using whole blood samples from an identified cohort. Quantitative trait assoc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Wald test for four omega-3 metabolites using PLINK v.1.0712 in 1,841,897 SNPs obtained after quality control. A Bonferroni corrected p-value of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quality control of genotyping data, if the missing rate is higher than 5%, or the Hardy-Weinberg equilibrium p-value is less than 10 -5 , the missing rate i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ases and controls (p-value < 0.001), or a small number SNPs were excluded if the allele frequency was less than 1%. Data were analyzed using R version 3.3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and SAS version 9.4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4 가지 오메가-3 대사체에 대한 식별 코호트의 대상체에서 대사체 수준과 유의하게 연관된 SNP가 확인되었다. 1,841,897개의 SNP 중 4개는 하나 이상의 오메가-3 대사체 수준과 유의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Bonferroni 보정 p-값 < 0.05)(표 7). SNP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tabolite levels were identified in subjects in the identification cohort for the four omega-3 metabolites. Four of the 1,841,897 SNP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evels of one or more omega-3 metabolites (Bonferroni corrected p-value < 0.05) (Table 7).

SNP 및 오메가-3 대사체 수준의 정량적 특성 연관 분석Quantitative trait association analysis of SNP and omega-3 metabolite levels SNPSNPs LocationLocation GeneGene Minor alleleMinor allele MAFMAF MetaboliteMetabolites BonferroniBonferroni
correctedcorrected
p-valuep-value
Mean metabolite level by genotypeMean metabolite level by genotype
mmmm Mmmm MMMM rs7274775rs7274775 20:974272720:9742727 PAK5PAK5 TT 0.100.10 7-HDoHE7-HDoHE 0.001550.00155 0.0042430.004243 0.0017250.001725 0.00080270.0008027 10-HDoHE10-HDoHE 0.0052720.005272 0.004120.00412 0.0016380.001638 0.00081210.0008121 13-HDoHE13-HDoHE 0.0029030.002903 0.0042710.004271 0.0016890.001689 0.0007770.000777 17-HDoHE17-HDoHE 0.037490.03749 0.0042840.004284 0.0016280.001628 0.00077910.0007791 rs6957108rs6957108 7:969968077:96996807 DLX6-AS1DLX6-AS1 TT 0.180.18 7-HDoHE7-HDoHE 0.034270.03427 0.0042430.004243 0.001460.00146 0.00071580.0007158 17-HDoHE17-HDoHE 0.028220.02822 0.0042840.004284 0.0014420.001442 0.0006730.000673 rs235907rs235907 1:1715920861:171592086 PRRC2CPRRC2C CC 0.080.08 13-HDoHE13-HDoHE 0.035330.03533 0.0042710.004271 0.0017120.001712 0.00082650.0008265 rs8039336rs8039336 15:2668025415:26680254 GABRB3GABRB3 TT 0.080.08 13-HDoHE13-HDoHE 0.014110.01411 0.0042710.004271 0.0017530.001753 0.0082180.008218

SNP, 단일 뉴클레오티드 다형성; HDoHE, 히드록시도코사헥사엔산; MAF, 마이너 대립유전자 빈도; mm, 소수 대립 유전자 동형 접합체; Mn이형 접합체; MM, 주요 대립 유전자 동형 접합체SNP 위치는 GRCh38/hg38 게놈 어셈블리에 해당함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HDoHE, hydroxydocosahexaenoic acid; MAF, minor allele frequency; mm, minor allele homozygous; Mn heterozygotes; MM, major allele homozygous SNP position corresponds to the GRCh38/hg38 genome assembly

PAK5 내에 위치하는 SNP rs7274775는 4 가지 오메가-3 대사 산물 모두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LX6-AS1에서의 SNP는 7-HDoHE 및 17-HDoHE와 연관되었고 PRRC2C 및 GABRB3의 SNP는 13-HDoHE와 연관되었다. 4개의 SNP는 모두 다른 유전자좌에 위치하였다.SNP rs7274775 located in PAK5 was identified to be associated with all four omega-3 metabolites. SNPs in DLX6-AS1 were associated with 7-HDoHE and 17-HDoHE, and SNPs in PRRC2C and GABRB3 were associated with 13-HDoHE. All four SNPs were located at different loci.

실시예 5. 레졸빈 정량 분석Example 5. Resolvin Quantitative Analysis

생물학적 시스템 내에서 HDoHE 대사체는 아라키도네이트 15-리폭시게나제(ALOX15) 및 아라키도네이트 5-리폭시게나제(ALOX5)와 반응하여 D-시리즈 레졸빈이라고 하는 효과기 분자 그룹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오메가-3 대사체와 식품 알레르기 해소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상기 결과를 추가로 검증하기 위하여 정량 코호트의 대상체에서 RvD1 및 RvD2의 수준을 정량화하였다.Within biological systems, HDoHE metabolites are known to react with arachidonate 15-lipoxygenase (ALOX15) and arachidonate 5-lipoxygenase (ALOX5) to generate a group of effector molecules called D-series resolvins. . Therefore, in order to further verify the above resul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omega-3 metabolites and resolution of food allergy, the levels of RvD1 and RvD2 were quantified in the subjects of the quantification cohort.

정량 코호트의 혈청 샘플을 사용하여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 (ELISA)을 수행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레졸빈 D1 (RvD1)과 레졸빈 D2 (RvD2) (Mybiosource, San Diego, CA, USA)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한 샘플에서 음성 분석 결과가 나오면 추가 분석에서 배제하였다. 그룹 간의 대사체 수준과 효소 활성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정규성에 따라 Welch의 2-표본 t-검정 또는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였다. 대사체 수준과 식품 알레르기 중앙 표현형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데이터 분포에 따라 Pearson의 상관분석 또는 Spearman의 상관분석을 사용하여 총 혈청 IgE 수준을 평가하였다. 데이터의 정규성은 Shapiro-Wilk 테스트를 사용하여 확인되었다.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was performed using serum samples from the quantification cohort to measure levels of resolvin D1 (RvD1) and resolvin D2 (RvD2) (Mybiosource, San Diego, CA, USA)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measured. A negative assay result in one sample was excluded from further analysis. Welch's two-sample t-test or Mann-Whitney U test was used according to the normality of the data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metabolite levels and enzyme activity between groups. Total serum IgE levels were evaluat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or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data distribution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metabolite levels and food allergy central phenotypes. The normality of the data was confirmed using the Shapiro-Wilk test.

그 결과, 도 4에서와 같이 RvD1 및 RvD2 수준은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된 대상체 및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되는 대상체 간에 유의하게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 대상체와 건강한 대조군 사이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두 레졸빈은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에서 높게 나타났고, 특히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되는 대상체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4, the levels of RvD1 and RvD2 were not on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ubjects whose food allergy was resolved and subjects whose food allergy persisted, but also between subjects with food allergy and a healthy control group. Both resolvins were found to be high in subjects with food allergies, particularly in subjects with persistent food allergies.

RvD1의 중앙값은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에서 295.7pg/mL(IQR: 248.0-334.4), 대조군에서 250.0pg/mL(IQR: 225.3-259.0) 이었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되는 대상체에서 RvD1의 중앙값은 260.1pg/mL (IQR: 234.0-326.0)이었고 식품알레르기가 지속되는 대상체에서 RvD1의 중앙값은 300.2pg/mL (IQR: 259.9-334.9)이었다. Median RvD1 was 295.7 pg/mL (IQR: 248.0-334.4) in subjects with food allergy and 250.0 pg/mL (IQR: 225.3-259.0) in controls. In addition, the median value of RvD1 in subjects whose food allergy was resolved was 260.1 pg/mL (IQR: 234.0-326.0), and the median value of RvD1 in subjects whose food allergy persisted was 300.2 pg/mL (IQR: 259.9-334.9).

RvD2의 중앙값은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에서 137.9pg/mL (IQR: 122.1-161.8), 대조군에서는 122.0pg/mL (IQR: 114.7-134.7) 이었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가 해소되는 대상체 (125.9pg/mL (IQR:116.0-152.5)와 비교하여,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되는 대상체 (149.3pg/mL (IQR:130.5-176.7)) 에서 RvD2 수준이 훨씬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RvD1 및 RvD2 수준 모두 대조군보다 식품 알레르기가 지속되는 대상체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Median RvD2 was 137.9 pg/mL (IQR: 122.1-161.8) in subjects with food allergy and 122.0 pg/mL (IQR: 114.7-134.7) in controls. In addition, RvD2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ith persistent food allergy (149.3pg/mL (IQR: 130.5-176.7)) compared to subjects with resolving food allergy (125.9pg/mL (IQR: 116.0-152.5)). Both RvD1 and RvD2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ith persistent food allergy than in controls.

총 혈청 IgE 수준과 RvD1 또는 RvD2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도 5).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otal serum IgE levels and RvD1 or RvD2 (Fig. 5).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As above, specific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nd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clear that these specific description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something to do. Accordingly,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FA: 식품 알레르기 (food allergy)
IgE: 면역글로불린 E (immunoglobulin E)
SNP: 단일 염기 다형성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PLS-DA: 희소 부분 최소 제곱 판별 분석 (sparse partial least squares-discriminant analysis)
ROC: 수신자 조작 특성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LMM: 선형 혼합 모델 (linear mixed model)
ELISA: 효소 면역 분석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SD: 표준편차 (standard deviation)
HDoHE: 하이드록시도코사헥사엔산 (hydroxydocosahexaenoic acid)
LPC: 리소포스파티딜콜린 (lysophosphatidylcholine)
CI: 신뢰 구간 (confidence interval)
PAK5: p21(RAC1) 활성화된 키나제 5 (p21 (RAC1) activated kinase 5)
DLX6-AS1: 말단 없는 호메오박스 6 안티센스 RNA 1 (distal-less homeobox 6 antisense RNA 1)
PRRC2C: 프롤린 풍부 코일드 코일 2C (proline-rich coiled-coil 2C)
GABRB3: 감마-아미노부티르산 A형 수용체 서브유닛 베타3 (gamma-aminobutyric acid type A receptor subunit beta3)
ALOX15: 아라키도네이트 15-리폭시게나제 (arachidonate 15-lipoxygenase)
ALOX5: 아라키도네이트 5-리폭시게나제 (arachidonate 5-lipoxygenase)
IQR: 사분위수 범위 (interquartile range)
EPA: 에이코사펜타엔산 (eicosapentaenoic acid)
DHA: 도코사헥사엔산 (docosahexanoic acid)
IFN: 인터페론 (interferon)
Th2: T 헬퍼 2 (T helper 2)
ORMDL3: ORMDL 스핑고리피드 생합성 조절제 3 (ORMDL sphingolipid biosynthesis regulator 3)
AD: 아토피 피부염 (atopic dermatitis)
FA: food allergy
IgE: Immunoglobulin E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LC-MS: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PLS-DA: sparse partial least squares-discriminant analysis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LMM: linear mixed model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SD: standard deviation
HDoHE: hydroxydocosahexaenoic acid
LPC: lysophosphatidylcholine
CI: confidence interval
PAK5: p21 (RAC1) activated kinase 5 (p21 (RAC1) activated kinase 5)
DLX6-AS1: distal-less homeobox 6 antisense RNA 1
PRRC2C: proline-rich coiled-coil 2C
GABRB3: gamma-aminobutyric acid type A receptor subunit beta3
ALOX15: arachidonate 15-lipoxygenase
ALOX5: arachidonate 5-lipoxygenase
IQR: interquartile range
EPA: eicosapentaenoic acid
DHA: docosahexanoic acid
IFN: interferon
Th2: T helper 2
ORMDL3: ORMDL sphingolipid biosynthesis regulator 3 (ORMDL sphingolipid biosynthesis regulator 3)
AD: atopic dermatitis

Claims (11)

오메가-3 대사체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판단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determining the persistence of food allergy, comprising an agent for measuring the level of omega-3 metaboli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3 대사체는 7-HDoHE, 10-HDoHE, 13-HDoHE, 17-HDoHE, 레졸빈 D1 (RvD1) 및 레졸빈 D2 (RvD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판단용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mega-3 metabolite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7-HDoHE, 10-HDoHE, 13-HDoHE, 17-HDoHE, Resolvin D1 (RvD1) and Resolvin D2 (RvD2).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ion for determining the persistence of food allerg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오메가-3 대사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압타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gent is an antibody or an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that specifically binds to an omega-3 metabolite, or an apta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상기 오메가-3 대사체의 수준을 측정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질량분석용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paration is a preparation for chromatography and/or mass spectrometry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omega-3 metabolit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판단용 키트.
A kit for determining the persistence of food allergy, comprising the composition of any one of claims 1 to 4.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는 대상체에서 분리된 샘플에서 오메가-3 대사체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알레르기 지속성 여부 예측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whether food allergy persists, comprising measuring the level of an omega-3 metabolite in a sample isolated from a subject having food allerg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3 대사체는 7-HDoHE, 10-HDoHE, 13-HDoHE, 17-HDoHE, 레졸빈 D1 (RvD1) 및 레졸빈 D2 (RvD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omega-3 metabolite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7-HDoHE, 10-HDoHE, 13-HDoHE, 17-HDoHE, Resolvin D1 (RvD1) and Resolvin D2 (RvD2).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3 대사체의 수준은 면역블로팅,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면역 조직 화학 염색, 단백질 칩, 면역침강, 질량분석,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level of the omega-3 metabolite is measured by immunoblott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protein chip, immunoprecipitation, mass spectrometry, chromatography, or a combination thereof.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은 혈액, 혈장, 혈청, 소변, 점액, 타액, 눈물, 객담, 척수액, 흉수, 유두 흡인물, 림프액, 기도액, 장액, 비뇨생식관액, 모유, 림프계 체액, 정액, 뇌척수액, 기관계내 체액, 복수, 낭성 종양 체액, 양수액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sample is blood, plasma, serum, urine, mucus, saliva, tears, sputum, spinal fluid, pleural fluid, nipple aspirate, lymph fluid, airway fluid, serous fluid, genitourinary tract fluid, breast milk, lymphatic system fluid, semen, cerebrospinal fluid, intratracheal fluid , ascites, cystic tumor fluid, amniotic fluid, or a combination thereof.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졸빈 D1이 280 pg/ml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체는 알레르기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7,
When the resolvin D1 is 280 pg/ml or more, the subject predicts that the allergy will persis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졸빈 D2가 134 pg/ml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체는 알레르기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7,
When the resolvin D2 is 134 pg/ml or more, the subject predicts that the allergy will persist.
KR1020210150520A 2021-11-04 2021-11-04 Use of Omega-3 metabolites as a biomarker for determining persistancy of food allergy KR1025541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520A KR102554138B1 (en) 2021-11-04 2021-11-04 Use of Omega-3 metabolites as a biomarker for determining persistancy of food aller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520A KR102554138B1 (en) 2021-11-04 2021-11-04 Use of Omega-3 metabolites as a biomarker for determining persistancy of food allerg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911A KR20230064911A (en) 2023-05-11
KR102554138B1 true KR102554138B1 (en) 2023-07-10

Family

ID=8637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520A KR102554138B1 (en) 2021-11-04 2021-11-04 Use of Omega-3 metabolites as a biomarker for determining persistancy of food aller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138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3254A1 (en) * 2010-08-19 2012-02-23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Novel anti-inflammatory metabolite derived from omega-3-type fatty acid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lizabeth A Miles et al, Nutrients (2017.), vol 9; 784, pp 1-16.
Haerin Jang et al, Identification of biomarkers in food allergy using metabolomics, Yonsei University (2021.02.), pp 1-59.
Jun Miyata et al, Allergology International (2015.), vol 64, pp 27-3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911A (en)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8023B1 (en) Cardiovascular risk event prediction and uses thereof
US11208698B2 (en) Methods for detection of markers bladder cancer and inflammatory conditions of the bladder and treatment thereof
EP2162459B1 (en) Transcriptomic biomarkers for individual risk assessment in new onset heart failure
EP2071334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detecting TIABS
US20090042201A1 (en) Biomarkers for multiple sclerosi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60222460A1 (en) Molecular diagnostic test for oesophageal cancer
US20120329666A1 (en) Peripheral Blood Biomarkers for Idiopathic Interstitial Pneumonia and Methods of Use
AU2012351963A1 (en) Identification of two novel biomarkers for Niemann-Pick disease type C
Jiang et al. RNA sequencing data from neutrophils of patients with cystic fibrosis reveals potential for developing biomarkers for pulmonary exacerbations
WO2014020048A1 (en) Hyal2 methylation and expression as a cancer marker
CN113774140A (en) Product for predicting sensitivity of colorectal cancer to oxaliplatin treatment
WO2010033951A2 (en) Methods for identification and prediction of multiple sclerosis disease and therapy response
KR102554138B1 (en) Use of Omega-3 metabolites as a biomarker for determining persistancy of food allergy
WO2013074938A2 (en) Biomarkers for assessing idopathic pulmonary fibrosis
KR102596736B1 (en) Use of platelet activating factor as a biomarker for determining persistancy of food allergy
US20230118097A1 (en) Biomarkers for placenta accreta spectrum (pas) disorders
US20130217656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lupus
CN113817829A (en) Use of biomarkers for the preparation of a product for predicting the sensitivity of colorectal cancer to treatment with oxaliplatin
WO2022015960A2 (en) Biomarkers and classifier of psoriasis and methods of treatment
WO2010136232A1 (en) In vitro method suitable for patients suffering from cis for the early diagnosis or prognosis of multiple sclerosis
US20110177963A1 (en) Variation in the CHI3L1 Gene Influences Serum YKL-40 Levels, Asthma Risk and Lung Function
TWI507412B (en) Gastric cancer biological markers and their use, as well as gastric cancer-related detection methods
KR20230142361A (en) IFI16 Mutant Gene as a Marker for Risk Prediction, Diagnosis or Prognosis of Chronic Liver Disease and Uses Thereof
EP2607494A1 (en) Biomarkers for lung cancer risk assessment
US20140287943A1 (en) Assay for ship1 expression, activity and sequence alterations as a predictor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ri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