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134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134B1
KR102554134B1 KR1020230036844A KR20230036844A KR102554134B1 KR 102554134 B1 KR102554134 B1 KR 102554134B1 KR 1020230036844 A KR1020230036844 A KR 1020230036844A KR 20230036844 A KR20230036844 A KR 20230036844A KR 102554134 B1 KR102554134 B1 KR 102554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hole
coupling
height adjustment
t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경일
장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인스
장신기
우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인스, 장신기, 우경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인스
Priority to KR1020230036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134B1/ko
Priority to KR1020230066625A priority patent/KR102617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5Golf tees height-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3Golf tees foldable or separ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biodegrad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에 골프공을 올려놓을 수 있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하방으로 바 형태로 연장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지면에 박히는 팁부와, 상기 바디부에 높이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높이조절홈과, 상기 높이조절홈에 의해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한 지주; 및 상기 지주의 상기 높이조절홈에 체결되고, 상기 바디부의 외경보다 더 큰 치수의 내경을 가진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과 연통되고 상기 결합홀에 비해 내경이 작은 고정홀이 마련된 높이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상기 높이고정판의 상기 결합홀에 수용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전,후진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고정홀에 끼워져서 지면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HEIGHT ADJUSTABLE GOLF TEE}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티(golf tee)는 골프공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장치로서, 티샷에서 드라이버 스윙 시 지면 또는 잔디 등으로부터의 간섭을 최소화시켜 골프공의 비거리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골프티는 필드에서 뿐만 아니라 골프 연습장 등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매 홀마다 티 지점의 잔디 상태가 항상 고른것은 아니므로 골퍼(golfer)는 자신의 신장, 스윙 방법, 잔디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골프티를 각각 구비해야 한다. 즉,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골프티 세트, 예를 들어 숏티(short tee), 노멀티(normal tee), 롱티(long tee) 등을 휴대한 채로 이동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고 분실의 우려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골프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골프티 높이 조절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 골프티 높이 조절장치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골프티 높이 조절장치는 통상적으로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에 의하여 승강 운동을 하는 승강부와, 구동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승강부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 등을 구비한다. 상기 골프티 높이 조절장치는 자동으로 골프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고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골프 연습장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대안으로, 특허문헌 3은 골프공을 지지하기 위한 골프공 지지부와, 상기 골프공 지지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지면에 박히도록 형성되는 쐐기와, 상기 바디부에 높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높이조절용 홈 등을 구비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골프티는 높이 조절 시 가이드홈을 따라서 결합부를 이동시켜서 높이조절판에서 분리한 후 다수의 높이조절용 홈 중 다른 하나의 위치의 결합부를 높이조절판의 가이드홈에 다시 끼워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신속한 조절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또한, 높이조절 간격은 높이조절판의 두께와 관련이 있으므로 높이조절 간격을 미세하게 구성할 경우 높이조절판의 두께가 너무 얇아지게 되어 강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7142호(2000.07.10, 등록) 특허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9143호(2000.07.28, 등록) 특허문헌 3: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41215호(2022.10.19,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결합부를 높이조절판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도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합부를 이용한 높이조절 외에 추가로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세높이조절바를 숏티로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골프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단에 골프공을 올려놓을 수 있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하방으로 바 형태로 연장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지면에 박히는 팁부와, 상기 바디부에 높이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높이조절홈과, 상기 높이조절홈에 의해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한 지주; 및 상기 지주의 상기 높이조절홈에 체결되고, 상기 바디부의 외경보다 더 큰 치수의 내경을 가진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과 연통되고 상기 결합홀에 비해 내경이 작은 고정홀이 마련된 높이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상기 높이고정판의 상기 결합홀에 수용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전,후진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고정홀에 끼워져서 지면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부의 외경은 상기 바디부의 외경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홀과 상기 고정홀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고정판의 몸체 양편 중 일측의 테두리단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결합홀과 연통되어 몸체에 탄력성을 부여하는 제1 장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고정판의 몸체 양편 중 타측의 테두리단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사용자 착용부를 제공하는 제2 장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장공의 테두리단 둘레를 따라서 돌출된 보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공, 상기 결합홀, 상기 고정홀 및 상기 제2 장공은 상기 높이고정판의 중심을 지나는 일직선상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 중심에 형성된 중앙홀에 끼워져서 축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고 상단에는 골프공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가 구비된 미세높이조절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높이조절바는 탄력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미세높이조절바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원형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원형돌기가 상기 중앙홀에 압입되어 미세조절된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미세높이조절바는 바디부의 끝부분에 지면에 박힐 수 있는 팁부가 마련된 숏티일 수 있다.
상기 높이고정판의 일부에는 상기 미세높이조절바를 상기 지주에서 분리하여 지면에 고정되게 배치할 수 있는 숏티 장착구가 마련되고, 상기 미세높이조절바는 상기 숏티 장착구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숏티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숏티는 PLA(Poly Lactic Acid) 플라스틱 또는 생분해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높이조절판의 결합홈에 지주를 삽입한 상태에서 지주를 종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티샷 지점의 지면 상태에 대응 가능한 적정 티 높이를 선택하고 이어서 지주의 횡방향으로 높이고정판을 원터치 결착함으로써 신속한 높이 조절과 고정이 가능하다.
둘째, 지주의 결합부를 이용해 높이조절을 한 후에는 지주 상부의 미세높이조절바를 이용해 부가적으로 더욱 작은 수치단위로 골프공 거치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보다 정밀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셋째, 높이조절판과 지주를 항시 조립한 상태로 휴대할 수 있으므로 이동중 분실을 예방할 수 있다.
넷째, 높이조절판에 마련된 장공 부분을 활용해 사용자의 허리밴드 등에 골프티를 착용할 수도 있으므로 휴대성이 우수하다.
다섯째, 미세높이조절바가 실질적으로 숏티에 의해 구성되고 높이고정판의 일부에는 미세높이조절바(숏티)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골프티에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두 가지 골프티(예컨대, 노멀티와 숏티)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여섯째, 미세높이조절바가 숏티의 기능을 겸할 경우 짧은거리 티샷에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실상 모든 거리의 티샷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골프티의 높이조절 및 높이고정 작동을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골프티의 높이고정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골프티의 미세높이조절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의 사용예를 도시한 3D 이미지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의 외관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결합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서 지주에 높이고정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높이고정판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9에서 미세높이조절바를 분리하여 숏티로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는 다수의 높이조절홈(13)이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주(10)와, 지주(10)에 끼워져서 골프티의 높이를 고정하는 높이고정판(20)을 포함한다.
지주(10)는 높이고정판(20)의 결합홀(22)에 수용된 상태에서 축방향(종방향)으로 전,후진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결합부(12a)가 상기 고정홀(23)에 끼워져서 지면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가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높이고정판(20)이 지주(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정홀(23)에서 지주(10)의 바디부(12)가 분리되어 결합홀(22) 내에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지주(10)가 높이고정판(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높이가 보다 낮게 조절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지주(10)는 상단에 골프공을 올려놓을 수 있는 헤드부(11)와, 헤드부(11)의 하부에 위치한 바디부(12)와, 바디부(12)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지면에 박히는 팁부(14)와, 바디부(12)에 높이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높이조절홈(13)과, 높이조절홈(13)에 의해 형성된 결합부(12a)를 구비한다.
헤드부(11)는 상부가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성되고 하부는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11)의 상단 둘레에는 올려진 골프공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정해진 간격으로 돌기부(11a)가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12)는 헤드부(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구성된다. 바디부(12)는 헤드부(11)에 나사결합이나 압입 등으로 방법으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대안으로, 바디부(12)는 헤드부(11)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디부(12)의 외부 둘레면은 형상은 다각형이나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부(12)의 외부 둘레면인 다각형(예컨대, 육각형)으로 구성되면 지주(10)와 높이고정판(20) 간에 더욱 긴밀한 결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바디부(12)와 팁부(14)는 바람직하게 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대안으로는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높이조절홈(13)은 바디부(12)에 높이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높이조절홈(13)의 간격은 곧 지주(10)의 높이조절단위가 된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홈(13)이 지주(10)의 바디부(12)에 5밀리미터(mm) 간격으로 형성된 경우 높이고정판(20)으로부터 지주(10) 상단까지의 높이는 5밀리미터(mm) 단위로 조절이 가능하다.
결합부(12a)는 높이조절홈(13)의 가장 안쪽 부분으로서 높이고정판(20)에 형성된 고정홀(23)과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여기서, 결합부(12a)의 외경은 바디부(12)의 외경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부(12)의 외부 둘레면 형상에 대응하여 결합부(12a)의 외부면 둘레 형상도 다각형(예컨대, 육각형)으로 구성될 경우 지주(10)와 높이고정판(20) 간에 더욱 긴밀한 결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결합부(12a) 및 고정홀(23)을 형성하는 홀 주변 내벽의 둘레 또한 다각형(예컨대, 육각형)의 일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높이고정판(20)은 지주(10)의 높이조절홈(13) 부분에 체결되어 티샷 지점의 지면으로부터 지주(10) 상단까지의 높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높이고정판(20)은 골프 시 에이밍(Aiming)을 위한 에이밍 플레이트(Aiming plate)의 기능을 겸하도록 방향성이 있는 형상(예컨대, 앞부분이 상대적으로 뾰족한 모양)로 구성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높이고정판(20)은 바디부(12)의 외경보다 더 큰 치수의 내경을 가진 결합홀(22)과, 결합홀(22)과 연통되고 결합홀(22)에 비해 내경이 작은 고정홀(23)과, 몸체 양편 중 일측의 테두리단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 장공(24)과, 몸체 양편 중 타측의 테두리단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2 장공(25)을 구비한다. 각 구성요소들을 깔끔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공간 이용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1 장공(24), 결합홀(22), 고정홀(23) 및 제2 장공(25)은 높이고정판(20)의 중심을 지나는 일직선상에 배열될 수 있다.
결합홀(22)과 고정홀(23)은 서로 인접하여 맞닿도록 배치된다. 즉, 결합홀(22)과 고정홀(23)은 서로 연통되어 한쪽은 상대적으로 내경이 크고 다른쪽은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큰 홀을 구성한다. 따라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바디부(12)가 결합홀(22)에 수용된 상태에서 높이고정판(20)을 지주(10)의 축방향(종방향)으로 전,후진(또는 승강) 이동시키면 지주(1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원하는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조절홈(13)을 선택한 후,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고정판(20)을 지주(10)의 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결합부(12a)를 고정홀(23)에 끼워맞춤 결합하여 해당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장공(24)은 높이고정판(20)의 일측 테두리단으로부터 정해진 길이만큼 절개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1 장공(24)은 결합홀(22)과 연통됨으로써 고정판 몸체(21)에 탄력성과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제2 장공(25)은 높이고정판(20)의 타측(반대쪽) 테두리단으로부터 정해진 길이만큼 절개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2 장공(25)은 사용자의 허리밴드 등과 끼움결합하여 골프티를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여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사용자 착용부를 제공한다.
제1 장공(24) 및 제2 장공(25)은, 예컨대 높이고정판(20)을 플라스틱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고정판 몸체(21)의 형성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돌기(26)는 제2 장공(25)의 테두리단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게 돌출되어 높이고정판(20)의 내구성을 높인다. 즉, 높이고정판(20)의 제2 장공(25)에 사용자의 허리밴드 등을 끼움결합하여 착용할 때 제2 장공(25)의 양편으로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높이고정판(20)이 쉽게 쪼개지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보강돌기(26) 중, 제2 장공(25)의 가장 안쪽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바디부(12)의 정해진 부분에 접촉하는 돌기연장부(도 8의 26a 참조)가 고정홀(23) 방향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돌기연장부(26a)는 높이고정판(20)의 내인장력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높이고정판(20)과 지주(10) 간의 접촉강도를 적정선으로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의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높이조절바(30)는 지주(10)의 헤드부(11) 중심에 형성된 중앙홀에 끼워져서 축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미세높이조절바(30)의 상단에는 골프공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31)가 마련되어 있다. 미세높이조절바(30)는 탄력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고, 미세높이조절바(3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다수의 원형돌기(32)가 마련되고 원형돌기(32)가 상기 중앙홀에 압입되어 미세조절된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즉, 미세높이조절바(30)에 형성된 다수의 원형돌기(32)의 간격은 곧 미세높이조절바(30)의 높이조절단위가 된다. 예를 들어, 원형돌기(32)가 미세높이조절바(30)에 4밀리미터(mm) 간격으로 형성된 경우 지주(10)의 헤드부(11) 상단으로부터 미세높이조절바(30)의 상단까지의 높이는 4밀리미터(mm) 단위로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미세높이조절바(30)에 형성된 다수의 원형돌기(32)의 간격은 지주(10)의 바디부(12)에 형성된 높이조절홈(13)의 간격에 비해 작게(촘촘하게) 형성되어 보다 미세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도 5의 (a) 내지 (c)에는 미세높이조절바(30)를 점차 강하게 밀어 넣어서 높이를 미세하게 낮게 조절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의 사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골프티는 골프공(1)을 티샷 지점의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지주(10)는 하단의 팁부(14)가 티샷 지점의 지면에 박힘으로써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골프티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의 (a)와 같이 지주(10)의 바디부(12)가 결합홀(22)에 수용되도록 높이고정판(20)을 이동시킨 상태에서 지주(10)의 축방향(종방향)으로 전,후진(또는 승강) 이동시켜서 지주(1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된다. 이때, 높이조절은 예컨대, 5밀리미터(mm) 단위의 상하이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원하는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조절홈(13)을 선택한 후에는 도 7의 (b)와 같이 높이고정판(20)을 지주(10)의 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결합부(12a)를 고정홀(23)에 끼워맞춤 결합하여 조절된 높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골프티의 높이를 살짝 더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지주(10)의 헤드부(11) 상단에 있는 미세높이조절바(30)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짝 잡아당겨서 원하는 높이로 미세조절하면 된다. 이때, 미세 높이조절은 예컨대, 4밀리미터(mm) 단위의 상하이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의 외관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높이고정판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9에서 지주에 높이고정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는 다수의 높이조절홈(13)이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주(10)와, 지주(10)에 끼워져서 골프티의 높이를 고정하는 높이고정판(20)과, 지주(10)의 헤드부(11)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서 축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고 하단에는 팁부가 마련된 미세높이조절바(30')를 포함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홀(22)과 고정홀(23)은 서로 인접하여 맞닿도록 배치된다. 즉, 결합홀(22)과 고정홀(23)은 서로 연통되어 한쪽은 상대적으로 내경이 크고 다른쪽은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큰 홀을 구성한다. 여기서, 내경이 상대적으로 크고 작음은 지주(10)의 바디부(12)가 축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지 여부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지주(10)의 바디부(12)가 결합홀(22)에 수용된 상태에서 높이고정판(20')을 지주(10)의 축방향(종방향)으로 전,후진(또는 승강) 이동시키면 지주(1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원하는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조절홈(13)을 선택한 후 높이고정판(20')을 지주(10)의 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결합부(12a)를 고정홀(23)에 끼워맞춤 결합하여 해당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결합홀(22)과 고정홀(23)은 실질적으로 집게 모양으로 배치된 한 쌍의 탄성암(4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탄성암(40)는 고정홀(23) 내벽의 둘레 또한 다각형(예컨대, 육각형)에 대응하여 일부가 꺽인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주(10)의 바디부(12)는 고정홀(23)에 탄성적으로 끼워맞춤되므로 쉽게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미세높이조절바(30')는 골프공(1)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바디부의 상단에 마련된 거치부(31)와, 선택적으로 지면에 박힐 수 있게 바디부의 하단에 마련된 팁부(33)를 구비한다. 미세높이조절바(3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형돌기(32)가 마련되고 원형돌기(32)가 지주(10) 상단의 상기 중앙홀에 압입되어 미세조절된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미세높이조절바(30')는 바디부의 끝부분에 있는 팁부(33)를 통해 지면에 박힘으로써 실질적으로 숏티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높이고정판(20)의 일부에는 미세높이조절바(30')를 지주(10)에서 분리하여 지면에 고정되게 배치할 수 있는 숏티 장착구(27)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숏티 장착구(27)는 높이고정판(20)의 일측 테두리단으로부터 정해진 영역만큼 오목하게 요입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숏티 장착구(27)의 내벽에는 미세높이조절바(30')의 원형돌기(32)가 끼워질 수 있는 원형그루브(29)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미세높이조절바(30'), 즉 숏티는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숏티 장착구(27)에 정해진 높이로 체결된 상태로 지면에 박혀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고정판(20')으로부터 숏티 상단까지의 높이는 복수의 원형돌기(32) 중 숏티 장착구(27)에 끼워지는 원형돌기(32)를 선택함으로써 편리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이 경우 하나의 골프티에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두 가지 골프티(예컨대, 노멀티와 숏티)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미세높이조절바(30'), 즉 숏티는 PLA(Poly Lactic Acid) 플라스틱이나 그밖에 다양한 생분해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숏티를 분실하더라도 자연적으로 분해가 되므로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제2 장공(25)은 높이고정판(20')의 타측(반대쪽) 테두리단으로부터 정해진 길이만큼 절개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2 장공(25)은 사용자의 허리밴드 등과 끼움결합하여 골프티를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여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사용자 착용부를 제공한다. 숏티 장착구(27) 및 제2 장공(25)은, 예컨대 높이고정판(20')을 플라스틱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고정판 몸체(21)의 형성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들을 깔끔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공간 이용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숏티 장착구(27), 결합홀(22), 고정홀(23) 및 제2 장공(25)은 높이고정판(20)의 중심을 지나는 일직선상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장공(25)의 입구에 가까운 부분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돌기부(28)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골프티의 휴대 시, 즉 제2 장공(25)의 갈라진 부분이 허리밴드, 주머니, 고리 등과 끼움결합되었을 때 돌기부(28)는 골프티가 사용자의 도보 등 움직임에 의해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는 높이고정판(20)의 결합홀(22)에 지주(10)를 삽입한 상태에서 지주(10) 또는 높이고정판(20)을 지주(10)의 종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티샷 지점의 지면 상태에 대응 가능한 적정 티 높이를 선택하고, 이어서 지주(10)의 횡방향으로 높이고정판(20)을 원터치 결착함으로써 신속한 높이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지주(10)의 상부에 내장된 미세높이조절바(30')를 이용해 한번 더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숏티가 필요할 시에는 미세높이조절바(30')를 분리하여 높이고정판(20)에 체결함과 아울러 지면에 고정하여 숏티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이 경우 숏티를 분실하더라도 골프티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지 않으므로 실질적으로 지면에 대해 이중의 접지기능을 갖는 골프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지주 11: 헤드부
12: 바디부 12a: 결합부
13: 높이조절홈 14,33: 팁부
20,20': 높이고정판 21: 고정판 몸체
22: 결합홀 23: 고정홀
24: 제1 장공 25: 제2 장공
26: 보강돌기 27: 숏티 장착구
30,30': 미세높이조절바 31: 거치부
32: 원형돌기 40: 탄성암

Claims (12)

  1. 상단에 골프공을 올려놓을 수 있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하방으로 바 형태로 연장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지면에 박히는 팁부와, 상기 바디부에 높이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높이조절홈과, 상기 높이조절홈에 의해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한 지주;
    상기 지주의 상기 높이조절홈에 체결되고, 상기 바디부의 외경보다 더 큰 치수의 내경을 가진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과 연통되고 상기 결합홀에 비해 내경이 작은 고정홀이 마련된 높이고정판; 및
    상기 높이고정판의 몸체 양편 중 일측의 테두리단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결합홀과 연통되어 몸체에 탄력성을 부여하는 제1 장공;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상기 높이고정판의 상기 결합홀에 수용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전,후진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고정홀에 끼워져서 지면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경이 상기 바디부의 외경에 비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과 상기 고정홀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고정판의 몸체 양편 중 타측의 테두리단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사용자 착용부를 제공하는 제2 장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공의 테두리단 둘레를 따라서 돌출된 보강돌기;를 더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공, 상기 결합홀, 상기 고정홀 및 상기 제2 장공은 상기 높이고정판의 중심을 지나는 일직선상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8. 상단에 골프공을 올려놓을 수 있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하방으로 바 형태로 연장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지면에 박히는 팁부와, 상기 바디부에 높이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높이조절홈과, 상기 높이조절홈에 의해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한 지주;
    상기 지주의 상기 높이조절홈에 체결되고, 상기 바디부의 외경보다 더 큰 치수의 내경을 가진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과 연통되고 상기 결합홀에 비해 내경이 작은 고정홀이 마련된 높이고정판; 및
    상기 지주의 상기 헤드부에 끼워져서 축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고 상단에는 골프공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가 구비된 미세높이조절바;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상기 높이고정판의 상기 결합홀에 수용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전,후진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고정홀에 끼워져서 지면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높이조절바는 탄력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미세높이조절바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원형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원형돌기가 상기 헤드부 중심에 형성된 중앙홀에 압입되어 미세조절된 높이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높이조절바는 바디부의 끝부분에 지면에 박힐 수 있는 팁부가 마련된 숏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고정판의 일부에는 상기 미세높이조절바를 상기 지주에서 분리하여 지면에 고정되게 배치할 수 있는 숏티 장착구가 마련되고,
    상기 미세높이조절바는 상기 숏티 장착구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숏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숏티는 PLA(Poly Lactic Acid) 플라스틱 또는 생분해성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KR1020230036844A 2023-03-21 2023-03-21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KR102554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844A KR102554134B1 (ko) 2023-03-21 2023-03-21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KR1020230066625A KR102617210B1 (ko) 2023-03-21 2023-05-23 미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844A KR102554134B1 (ko) 2023-03-21 2023-03-21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625A Division KR102617210B1 (ko) 2023-03-21 2023-05-23 미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134B1 true KR102554134B1 (ko) 2023-07-12

Family

ID=871637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844A KR102554134B1 (ko) 2023-03-21 2023-03-21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KR1020230066625A KR102617210B1 (ko) 2023-03-21 2023-05-23 미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625A KR102617210B1 (ko) 2023-03-21 2023-05-23 미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541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2122A (en) * 1995-07-03 1997-09-30 Poly-Tainer, Inc. Adjustable golf tee
KR200197142Y1 (ko) 2000-05-02 2000-09-15 임상훈 골프티 높이조절장치
KR200199143Y1 (ko) 2000-05-18 2000-10-02 박상원 골프 티의 높이조절장치
KR20220141215A (ko) 2021-04-12 2022-10-19 박현복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461A (ko) * 2003-09-29 2005-01-27 주식회사 선프라텍 골프티
WO2005037380A1 (en) * 2003-10-22 2005-04-28 Mariette De Vaal Golf te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2122A (en) * 1995-07-03 1997-09-30 Poly-Tainer, Inc. Adjustable golf tee
KR200197142Y1 (ko) 2000-05-02 2000-09-15 임상훈 골프티 높이조절장치
KR200199143Y1 (ko) 2000-05-18 2000-10-02 박상원 골프 티의 높이조절장치
KR20220141215A (ko) 2021-04-12 2022-10-19 박현복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210B1 (ko)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1055A (en) Golf tee stand with ground anchoring mechanism and non-adjustable base
US5052689A (en) Golf ball and golf tee support structures
US6328663B1 (en) Adjustable golf ball tee
EP2108409B1 (en) Adjustable golf tee assembly
CA2013991C (en) Ball tee
US8403776B1 (en) Unbreakable golf tee with flexible shaft
KR102554134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CA2432305A1 (en) Correcting golf tee
US20050009645A1 (en) Mass producable golf practice pointers
CN103623556A (zh) 高尔夫球梯台
US4241917A (en) Golf tee
KR200427185Y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골프티
WO1993006897A1 (en) Golf tee
KR100925002B1 (ko) 휴대용 골프 티
KR20190072846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KR100623425B1 (ko) 마그넷 부착 길이가변 골프용 티
KR200410187Y1 (ko) 골프티의 구조
KR20240000452U (ko) 다기능 골프티
KR200197039Y1 (ko) 골프용 티
KR100571289B1 (ko) 길이가변 골프용 티
WO2005075029A1 (en) Tee
KR101503215B1 (ko) 라이형성기 및 이를 구비한 퍼팅연습용 매트
KR20110123966A (ko) 골프티
KR102140540B1 (ko) 곡선형 골프 퍼팅 연습기
KR200495910Y1 (ko) 골프공 인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