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011B1 - Device for display plant - Google Patents

Device for display 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011B1
KR102554011B1 KR1020230061613A KR20230061613A KR102554011B1 KR 102554011 B1 KR102554011 B1 KR 102554011B1 KR 1020230061613 A KR1020230061613 A KR 1020230061613A KR 20230061613 A KR20230061613 A KR 20230061613A KR 102554011 B1 KR102554011 B1 KR 102554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storage
display
flow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16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로라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로라운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로라운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0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071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perishable goods
    • A47F7/007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perishable goods for plants 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6Devices for preserv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7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6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movable or removable shelves or receptacles
    • A47F3/063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movable or removable shelves or receptacles with pull-out receptacles, e.g.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43Show shelves
    • A47F5/005Partitions therefore
    • A47F5/0062Terraced platforms on shelves or tr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8Electronic labels, Labels integrating electronic 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일정 높이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며, 각 단의 상면에는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된 전시부; 및 상기 삽입구 각각에 소정 길이 삽입 가능하고, 내부에 식물과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납통;을 포함하는 꽃 전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 display uni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ormed in a plurality of stages, and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sta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wer display device comprising a; and a storage container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ertion holes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ccommodating plants and water therein.

Description

꽃 전시 장치{DEVICE FOR DISPLAY PLANT}Flower display device {DEVICE FOR DISPLAY PLANT}

본 발명은 꽃 전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화원 또는 꽃가게 등에서 생화(꽃)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다수개의 보관통들을 이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즉, 다수개의 보관통들을 일률적으로 놓은 다음, 이 보관통에 적정량의 물을 담은 후 생화들을 꽂아 보관하게 된다.In general, it is common to simply use a plurality of storage bins in order to store fresh flowers (flowers) in a flower garden or a flower shop. That is, after placing a plurality of storage bins uniformly,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is filled in the storage bins, and then fresh flowers are inserted and stored.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은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이를 테면 생화들이 빠르게 개화하거나 시들지 않도록, 매장이나 생화 보관장소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조절하고,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노동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매장 전체 온도를 낮춰야 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심각하게 증가하여 전기세 증가 등의 문제점을 초래한다.However, such a method requires continuous management. 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flowers from blooming or dying quickly, the temperature of the store or storage area must be continuously controlled and kept below a certain temperature. Therefore, since continuous management is required, not only unnecessary labor is required, but also power consumption is seriously increased because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store must be lowered, resulting in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electricity bill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35186호(2000.06.26)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0-0035186 (2000.06.26)

본 발명은 저온 냉장방식으로 꽃의 개화시기를 늦춤으로써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성을 높이고, 2단 이상의 전시대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꽃이 잘 보이도록 전시할 수 있는, 꽃 전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economic efficiency by delaying the blooming time of flowers by using a low-temperature refrigeration method to enable long-term storage, and to provide a flower display device that can display various types of flowers so that they can be seen clearly using two or more tiers of display stands it is for

또한, 냉장고 형태의 본체 전체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 아니라, 꽃이 보관된 수납통 자체의 온도를 낮춰, 꽃의 보존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이 향상된, 꽃 전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wer display device with an improved function capable of increasing preservation of flowers 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itself in which the flowers are stored, rather than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refrigerator-type main body.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 꽃의 가격, 입고일, 원산지 등을 포함하는 꽃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꽃 전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flower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flower information including the price, arrival date, place of origin, etc. of each flower through a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일정 높이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며, 각 단의 상면에는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된 전시부; 및 상기 삽입구 각각에 소정 길이 삽입 가능하고, 내부에 식물과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납통;을 포함하는 꽃 전시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therein; a display uni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ormed in a plurality of stages, and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stage; It provides a flower display device comprising a; and a storage container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ertion holes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ccommodating plants and water therein.

또한, 상기 전시부는, 전방에 위치되는 제1 전시대; 및 상기 제1 전시대보다 일정 높이 높게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전시대 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제2 전시대;를 포함하여, 상기 전시부는 계단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전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hibition unit, a first exhibition stand located in the front; and a second display stand that is stepped higher than the first display stan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located rearward of the first display stand. there is.

또한, 상기 전시부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구 각각의 전방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수납통에 수용된 식물의 가격을 포함하는 식물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전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display unit installed in fro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ion openings formed in the display unit is further included to display plant information including prices of plant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ertion openings through the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wer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또한, 내측 공간이 상기 수납통의 크기 이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삽입구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수납통이 각 상기 삽입구 마다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통정렬부; 및 상기 전시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전시부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수납통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전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torage container aligning unit having an inner spac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ontainer and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each insertion hole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stably positioned for each insertion hole; and a temperature control unit installed inside the display unit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inserted into the display unit through the insertion hole.

또한, 상기 수납통은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전시부 내부로 삽입된 상기 수납통 부분에 기 설정된 온도를 전달하여, 상기 수납통 내부의 기 설정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전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box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transmits a preset temperature to a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inserted into the exhibition unit through the insertion hole to set a preset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wer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전시부가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전면이 개방된 바디; 상기 바디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부; 및 상기 바디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냉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전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ncludes an inner space so that the display unit can be located therein, and the front body is open; a door unit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of the body;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wer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refrigera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저온 냉장방식으로 꽃의 개화시기를 늦춤으로써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성을 높이고, 2단 이상의 전시대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꽃이 잘 보이도록 전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laying the blooming time of flowers in a low-temperature refrigeration method, long-term storage is possible to increase economic feasibility, and various types of flowers can be displayed so as to be clearly visible using two or more display stands.

또한, 냉장고 형태의 본체 전체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 아니라, 꽃이 보관된 수납통 자체의 온도를 낮춰, 꽃의 보존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function of improving the preservability of flowers is improved 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itself in which the flowers are stored, rather than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body of the refrigerator type.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 꽃의 가격, 입고일, 원산지 등을 포함하는 꽃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flower information including the price, stocking date, place of origin, etc. of each flower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 전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통정렬부가 설치된 전시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통정렬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높이가 조절 가능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감지부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통에 꽃이 정렬될 수 있는 플레이트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따른 플레이트에 약액투입부 및 약액배출부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7에 따른 수납통에 꽃이 정렬될 수 있는 플레이트가 복수개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과, 서버와 연결되는 구성들을 나타낸 블록도
1 is a view showing a flow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hibi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hibition stand in which a container sor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4 is a view showing a container alig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at the height of the support is adjus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at a sensing unit is furth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at a plate for arranging flowers is further installed in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at a chemical solution input unit and a chemical solution discharge unit are further installed in the plate according to FIG. 7
9 is a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plates on which flowers can be arranged are divided and formed in the container according to FIG. 7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rver and components connected to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 전시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부(2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flower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display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 전시 장치(1)는 본체(10), 전시부(20), 수납통(30), 지지대(40), 수납통정렬부(50), 온도조절부(60), 디스플레이부(70) 및 서버(80)를 포함한다.1 and 2, the flower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display unit 20, a storage box 30, a support 40, a storage box alignment unit ( 50), a temperature controller 60, a display unit 70 and a server 80.

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바디(11), 도어부(12) 및 냉장장치(13)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10 has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The main body 10 includes a body 11, a door unit 12 and a refrigerating device 13.

바디(11)는 전시부(20)가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디(11)는 내부 공간이 비어있고,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1 includes an internal space so that the display unit 20 can be located therein, and may be formed in an open front shape. For example, the body 1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rame with an empty inner space and an open front surface.

도어부(12)는 바디(11)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부(12)는 투명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oor unit 12 may open and close the open front of the body 11 . The door unit 12 may be made of transparent glass.

냉장장치(13)는 바디(1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냉장장치(13)는 일반적으로 냉장고 등 냉장/냉동/냉각 장치에 사용되는 구성으로써, 응축기, 증발기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frigerating device 13 may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body 11 . The refrigerating device 13 is generally used in refrigerating/freezing/cooling devices such as refrigerators, and may include components such as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냉장장치(13)는 본체(1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냉장장치(13)는 본체(10) 내부의 온도가 10도 내지 14도 이내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10) 내부에는 본체(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ng device 13 may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main body 10 . For example, the refrigerating device 13 may be adjusted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main body 10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within a range of 10 to 14 degree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temperature inside the main body 1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

전시부(20)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일정 높이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복수의 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시부(20)는 제1 전시대(21) 및 제2 전시대(22)를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2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is formed stepwise at a certain height, and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tages. The exhibition unit 20 includes a first exhibition stand 21 and a second exhibition stand 22 .

제1 전시대(21)는 제2 전시대(22)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부(12)와 인접한 방향을 전방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The first exhibition stand 21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exhibition stand 22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adjacent to the door unit 12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s the front.

제2 전시대(22)는 제1 전시대(21)보다 일정 높이 높게 단차지게 형성되며, 제1 전시대(21) 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전시대(21)와 제2 전시대(22)는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시대(21)와 제2 전시대(22)가 계단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후방에 배치되는 식물들도 구매자의 시야에 눈에 띌 수 있도록 전시될 수 있다. The second display stand 22 is formed stepwise at a certain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display stand 21 and may be located behind the first display stand 21 . In this way, the first display stand 21 and the second display stand 22 may be formed stepwise in the form of stairs. Since the first display stand 21 and the second display stand 22 are formed in the form of a staircase, plants disposed in the rear can be displayed in a way that is noticeable to the buyer's eyesight.

삽입구(23)는 제1 전시대(21) 및 제2 전시대(22)의 각 상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23)는 수납통(3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삽입구(23)는 내부로 수납통(30)의 소정 길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nsertion holes 2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exhibition stand 21 and the second exhibition stand 22 . The insertion hole 23 may be a groov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30 . The insertion hole 23 may be formed so that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storage container 3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3 .

수납통(30)은 삽입구(23) 각각에 소정 길이 삽입 가능하고, 내부에 식물과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수납통(30)은 열 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어, 온도 전달이 빠르게 전달되어, 전달되는 온도에 따라 수납통(30) 내부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The container 30 can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ertion holes 23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plants and water can be accommodated therein. The container 3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so that the temperature is quickly transferred,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ntainer 3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ransferred temperature.

수납통(30)은 사각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iner 30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cylinder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지지대(40)는 전시부(20) 내부에 설치되어, 삽입구(23)를 통해 삽입되는 수납통(30)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대(40)는 제1 전시대(21) 및 제2 전시대(22) 각각에서, 각 수납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시대(21) 및 제2 전시대(22)의 높이는 수납통(3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구(23)를 통해 삽입되는 수납통(30)이 각 전시대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수납통(30)의 소정 길이만 삽입구(23)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각 삽입구(23)의 하측에는 소정 높이의 지지대(40)가 설치될 수 있다.The support 4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display unit 20 to support the container 30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23 . Specifically, the support stand 40 may be disposed below each storage unit in each of the first exhibition stand 21 and the second exhibition stand 22 . Specifically, the heights of the first display stand 21 and the second display stand 22 are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ontainer 30 . Therefore, the storage tube 30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23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each display stand, and only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storage tube 3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3. A support 4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이때, 제1 전시대(21)에 형성된 삽입구(23)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대(40)의 높이는 제2 전시대(22)에 형성된 삽입구(23)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대(4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support stand 40 disposed below the insertion hole 23 formed in the first exhibition stand 21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upport stand 40 disposed below the insertion hole 23 formed in the second exhibition stand 22. is formed

즉, 제1 전시대(21)에 형성된 삽입구(23)로 삽입되는 수납통(30)의 길이와, 제2 전시대(22)에 형성된 삽입구(23)로 삽입되는 수납통(30)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전시대(21)에 형성된 삽입구(23)에 수납통(3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전시대(21) 상면으로 돌출된 수납통(30)의 길이와, 제2 전시대(22)에 형성된 삽입구(23)에 수납통(3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전시대(22) 상면으로 돌출된 수납통(30)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That is, the length of the storage box 30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23 formed in the first exhibition stand 21 and the length of the storage box 30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23 formed in the second exhibition stand 22 are the same. can do. Similarly, the length of the storage box 30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hibition stand 21 in the state where the storage box 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3 formed in the first exhibition stand 21, and the second exhibition stand 22 In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box 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3 formed therein, the length of the storage box 30 protru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stand 22 may be the same.

수납통정렬부(50)는 각각의 삽입구(23)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내측에 수납통(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 공간이 수납통(30)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통정렬부(50)는 수납통(30)이 각 삽입구(23) 마다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unit 50 is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each insertion hole 23, and an inner space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orage container 30 so that the storage container 30 can be inserted therein. 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unit 50 may allow the storage container 30 to be stably positioned in each insertion hole 23 .

구체적으로, 수납통정렬부(50)는 삽입구(23)의 둘레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삽입구(23)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삽입구(23)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경우, 수납통정렬부(50)는 삽입구(23)의 크기에 상응하는 단면이 사각형 형태인 사각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통정렬부(50)는 삽입구(23)에 삽입되고, 내부에 수납통(30)이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portion 50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hole 23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3 . For example, when the insertion hole 23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unit 5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er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insertion hole 23 . 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unit 5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3, and the storage container 30 may be inserted and seated therein.

즉, 삽입구(23)에는 수납통정렬부(50)가 설치되고, 수납통정렬부(50) 내부에 수납통(30)이 삽입되어 각 삽입구(23)마다 수납통(30)이 위치될 수 있다.That is, 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unit 50 is installed in the insertion hole 23, and the storage container 3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unit 50 so that the storage container 30 can be positioned in each insertion hole 23. there is.

이때, 수납통정렬부(50)의 높이는 수납통(3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수납통(30)의 높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수납통정렬부(50)에 수납통(30)이 삽입되었을 때, 수납통(30) 내부에 수납된 식물이 수납통(3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수납통정렬부(50)는 온도 전달이 잘 이루어지는 소재로 형성되며, 얇게 형성되어, 수납통(30)으로 외부의 온도가 전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part 50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storage container 30 or shorter than the height of the storage container 30, so that the storage container 30 is installed in 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part 50. When inserted, the plants stored inside the container 3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30 . However, 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portion 5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transmits heat well and may be formed thin so that external temperature is transferred to the container 30 .

온도조절부(60)는 전시부(20) 내부에 설치되어, 삽입구(23)를 통해 전시부(20) 내측으로 삽입된 수납통(3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부(60)는 삽입구(23)를 통해 전시부(20) 내부로 삽입된 수납통(30) 부분에 기 설정된 온도를 전달하여, 수납통(30) 내부의 기 설정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ler 60 is installed inside the display unit 20 and can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30 inserted into the display unit 20 through the insertion hole 23 .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60 transfer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the portion of the storage tube 30 inserted into the display unit 20 through the insertion hole 23 and sets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tube 30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온도조절부(60)는 지지대(40) 상측에 지지되어, 삽입구(23)를 통해 전시부(20) 내부로 삽입된 수납통(3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온도조절부(60)는 냉방하우징(61) 및 냉각장치(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unit 60 is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40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30 inserted into the display unit 20 through the insertion hole 23 . The temperature controller 60 may include a cooling housing 61 and a cooling device 62 .

냉방하우징(61)은 지지대(40)의 상면에 안착되며, 수납통(30) 또는 수납통정렬부(5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방하우징(61)은, 수납통(30) 또는 수납통정렬부(5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oling housing 61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40 and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torage container 30 or the storage container alignment unit 50 . Specifically, the cooling housing 6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into which the storage container 30 or the storage container alignment unit 50 can be inserted.

냉각장치(62)는 냉방하우징(61) 내부에 설치되어, 냉방하우징(61) 내부에 냉기를 형성할 수 있다. 냉각장치(62)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냉각 사이클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oling device 6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ooling housing 61 to form cold air inside the cooling housing 61 . The cooling device 62 may b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a commonly used cooling cycle including a condenser.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하우징(61) 내부에 배치되고, 냉방하우징(61) 내측에 수납통(30)의 소정 길이가 삽입되도록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냉각장치(62)가 작동되어, 냉방하우징(61)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여, 냉방하우징(61) 내부의 공기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냉방하우징(61) 내부의 공기 온도에 의해 수납통(30)의 온도가 낮아지고, 이에 따라 수납통(30) 내부에도 냉기가 전달되어, 수납통(30) 내부 공기나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수납통(30)의 온도를 6도 내지 10도의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본체(10) 내부 온도와 수납통(30)의 온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or 3, it is disposed inside the cooling housing 61, and is positioned so that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storage box 30 is inserted into the cooling housing 61. In this state, the cooling device 62 is operated to supply cool air to the inside of the cooling housing 61, there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cooling housing 61.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30 is lowered by the air temperature inside the cooling housing 61, and accordingly, cold air i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30,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30 or the water contained therein is reduced. can be lowered Through this method,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30 can be maintained in the range of 6 degrees to 10 degrees. Howev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30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t by a manager.

디스플레이부(70)는 전시부(20)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구(23) 각각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각 상기 삽입구(23)에 삽입되는 수납통(30)에 수용된 식물의 가격을 포함하는 식물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70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23 formed in the display unit 20 . Through the display unit 70, plant information including prices of plant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30 inserted into each insertion hole 23 may be displayed.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70)에는 서버(80)(도 11참조)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70)에 표시되는 정보는 서버(80)를 통해서 관리자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70)에는 식물의 원산지, 입고일, 가격, 잔여수량 등을 포함하는 식물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Specifically, information input by the server 80 (see FIG. 11)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0. That i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0 can be freely changed by a manager through the server 80 .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70 may display plant information including a plant's country of origin, stocking date, price, remaining quantity, and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통정렬부(50)가 설치된 전시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통정렬부(50)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display stand in which a storage container aligning unit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torage container arranging unit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통정렬부(50)는 삽입구(23)의 둘레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양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납통정렬부(50)는 삽입구(23)를 통해 삽입되는 수납통(30)의 하부 둘레까지 감싸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통(30)이 냉장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냉장하우징 내부의 냉기 전달이 수납통(30)으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storage container aligning units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at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 23 . Specifically, 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portion 50 may be formed so as not to cover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storage container 30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23 . Therefore, since the container 30 is inserted into the refrigerating housing, the cold air inside the refrigerating housing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container 30 .

수납통정렬부(50)는 안착돌부(51) 및 고정측벽(5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part 50 may include a seating protrusion 51 and a fixed side wall 52 .

안착돌부(51)는 삽입구(23)의 둘레를 따라 전시대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전시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The seating protrusion 51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stan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hole 23 . That is, it can be supported by an exhibition stand.

고정측벽(52)은 안착돌부(51)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연결되어, 삽입구(23) 내부로 소정 길이 삽입될 수 있다. 고정측벽(52)은 삽입구(23)로 삽입되는 수납통(30) 부분의 측벽과 인접하게 위치되어, 삽입구(23)로 삽입되는 수납통(30)이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안착돌부(51)와 고정측벽(52)으로 이루어진 수납통정렬부(50)는 측 단면이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ed sidewall 52 is vertically connected at the end of the seating protrusion 51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3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fixing side wall 52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side wall of the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3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3 and can guide the storage container 3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3 to be stably inserted. That is, 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portion 50 composed of the seating protrusion 51 and the fixed side wall 52 may have a side cross section formed in an 'L' shape.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돌부(51)의 하면에는 돌출편(511)이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시대에는 삽입구(23) 둘레를 따라 가이드홈(200)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편(511)은 가이드홈(200)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 a protruding piece 511 may protrude downward for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rotrusion 51 . In addition, a guide groove 200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hole 23 in the exhibition stand. The protruding piece 511 may be slidably moved within the guide groove 200 .

수납통(30)의 크기에 따라, 수납통(30)의 양 측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수납통(30)의 측벽과 고정측벽(52)이 밀착되도록 하여, 수납통(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수납통정렬부(50)가 삽입구(23) 둘레와 밀착되도록 배치된 상태이고, 도 4b는 삽입구(23) 내측으로 수납통정렬부(50)가 소정 길이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이고, 도 4c는 도 4b보다 수납통정렬부(50)가 삽입구(23)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이다.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torage box 30, it slides on both sides of the storage box 30 so that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box 30 and the fixed side wall 52 come into close contact to stably support the storage box 30. can do. Specifically, FIG. 4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part 50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hole 23, and FIG. 4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part 50 slides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insertion hole 23. 4C is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arranging unit 50 is slid into the insertion port 23 compared to FIG. 4B.

이처럼, 수납통(30)의 크기에 따라, 수납통정렬부(5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안정적으로 수납통(30)을 고정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torage container 30 can be stably fixed by sliding 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unit 5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orage container 3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40)의 높이가 조절 가능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에 감지부(14)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at the height of the suppor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able, and FIG. 6 shows that the sensing unit 14 is furth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rawing show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에는 감지부(14)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지지대(40)는 높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a sensing unit 14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upport 40 may be form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감지부(14)는 본체(10)의 양 내측면에 설치되되, 제1 전시대(21) 및 제2 전시대(22) 각각의 양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감지부(14)는 수납통(30)에 수납되어, 제1 전시대(21) 및 제2 전시대(22)의 상면으로 돌출된 식물의 길이(즉,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 is install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and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exhibition stand 21 and the second exhibition stand 22, respectively. The sensing unit 14 is housed in the container 30 and can detect the length (ie, height) of plant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display stand 21 and the second display stand 22 .

감지부(14)에서 감지된 제1 전시대(21)의 식물 높이와, 제2 전시대(22)의 식물 높이에 따라, 지지대(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시대(21)의 식물에 의해 제2 전시대(22)의 식물이 가려지는 경우, 제2 전시대(22)의 삽입구(23)에 위치된 수납통(30)을 상승시켜서, 제2 전시대(22)의 식물도 구매자에게 잘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support stand 4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lant height of the first display stand 21 and the plant height of the second display stand 22 detected by the sensor 14 . For example, when the plants of the second exhibition stand 22 are covered by the plants of the first exhibition stand 21, the container 30 located at the insertion port 23 of the second exhibition stand 22 is raised, Plants in the second display stand 22 can also be well exposed to buyers.

다만, 이러한 경우, 수납통정렬부(50)가 별도로 설치되지 않으며, 냉장하우징이 수납통정렬부(50)와 일체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냉장하우징은 내부에 냉각장치(62)가 설치되고, 냉각장치(62)에 의한 냉기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수납통(30)의 소정 길이가 삽입될 수 있는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owever, in this case, 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unit 50 is not separately installed, and the refrigerating housing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orage container aligning unit 50 . That is, the refrigerating housing has a cooling device 62 installed therein, includes an internal space in which cold air by the cooling device 62 can be received, and has a “U” into which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container 30 can be inserted. “It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 character.

지지대(40)는 로드부(41) 및 피스톤부(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40 may include a rod part 41 and a piston part 42 .

제2 전시대(22) 하측에 배치된 지지대(40)는 하나의 로드부(41) 및 피스톤부(42)를 포함한다.The support 40 disposed below the second display stand 22 includes one rod part 41 and a piston part 42.

피스톤부(42)가 로드부(41)를 따라 상승하면, 로드부(41)에 연결된 냉장하우징이 삽입구(23)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냉방하우징(61)에 안착된 수납통(30)의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When the piston unit 42 ascends along the rod unit 41, the refrigerating housing connected to the rod unit 41 may rise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insertion port 23.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container 30 seated in the cooling housing 61 rises.

제1 전시대(21) 하측에 배치된 지지대(40)는 두개의 로드부(41, 43)와 하나의 피스톤부(42)를 포함하여, 2단 구조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support 40 disposed below the first display stand 21 includes two rod parts 41 and 43 and one piston part 42, so that its height can be adjusted in a two-stage structure.

또한, 지지대(40)는 식물의 높이뿐만 아니라, 당일 판매 수량을 증가시키고 싶은 식물이 구매자들의 눈에 더 잘 띄도록 하기 위해, 판매 수량을 증가시키고 싶은 식물이 수납된 수납통(30)의 위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재고량이 많은 식물이 수납된 수납통(30)의 위치(즉, 높이)를 상승시켜, 구매자들의 눈에 더욱 잘 띄도록 하여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40 is not only the height of the plant, but also the location of the container 30 in which the plant that wants to increase the sales quantity is stored so that the plant that wants to increase the sales quantity on the day is more noticeable to buyers. can elevate. For example, by raising the position (that is, the height) of the container 30 in which plants with a large inventory are stored, it is possible to induce purchase by making it more visible to buyer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통(30)에 꽃이 정렬될 수 있는 플레이트(31)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플레이트(31)에 약액투입부(33) 및 약액배출부(34)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at a plate 31 on which flowers can be arranged is further installed in the container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3 and the chemical discharge unit 34 are further installed.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통(30)은 식물이 정렬될 수 있는 플레이트(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식물은 꽃 인걸 예로 들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container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ate 31 on which plants can be aligned. Hereinafter, a pla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flower.

구체적으로, 수납통(30)은, 플레이트(31), 가이드레일(32), 약액투입부(33) 및 약액배출부(34)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ainer 30 may include a plate 31 , a guide rail 32 , a chemical solution input unit 33 and a chemical solution discharge unit 34 .

플레이트(31)에는 꽃이 정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31)에는 홀부(311) 및 돌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Flowers may be arranged on the plate 31 . Specifically, a hole 311 and a protrusion 312 may be formed in the plate 31 .

홀부(311)는 플레이트(31) 상에 형성되는 홀로써, 꽃 줄기가 관통하여 꽂힐 수 있다. 복수의 홀부(311)가 플레이트(31)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며, 동일한 간격으로 좌우, 전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홀부(311)마다 하나 이상의 꽃 줄기가 삽입되어 보관됨으로써, 수납통(30)에 수납되는 꽃이 보다 정리된 상태로 수납되어, 꽃을 꺼내기가 수월하다.The hole 311 is a hole formed on the plate 31, and a flower stem can be inserted therethrough. A plurality of holes 3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plate 3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may b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and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t equal intervals. Since one or more flower stems are inserted into and stored in each hole 311, the flowers stored in the container 30 are stored in a more organized state, making it easy to take out the flowers.

돌부(312)는 플레이트(31)의 측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수납통(30)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동력을 전달받아, 돌부(312)가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상하 이동됨으로써, 플레이트(31)가 수납통(30) 내부에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플레이트(31)는 수납통(30) 내부에서 가이드레일(32)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31)는 수납통(30)의 내부에서, 수납통(30)의 길이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312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plate 31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 3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3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by receiving power and moving the protrusion 312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 32 , the plate 31 may be moved up and down inside the container 30 . The plate 31 may be mov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32 inside the container 30 . That is, the plate 31 may be moved inside the container 30 along the length of the container 30 .

예를 들어, 수납통(30) 하부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31)의 홀부(311)에는 꽃이 꽂힌 상태일 수 있다. 플레이트(31)가 상승하기 전에는, 플레이트(31)의 홀부(311)에 꽂힌 상태의 꽃 줄기 단부가 물에 잠긴 상태일 수 있다. 이후, 관리자에 의해 플레이트(31)가 상승하게 되면, 플레이트(31)의 홀부(311)에 꽂힌 상태의 꽃 줄기 단부가 물에서 꺼내진 상태가 된다. 이처럼, 관리자는 플레이트(31)의 높이 조절을 통해, 꽃 종류에 따라 물 주는 시기나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a flower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311 of the plate 31 in a state where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30 . Before the plate 31 rises, the flower stem end inserted into the hole 311 of the plate 31 may be submerged in water. Thereafter, when the plate 31 is raised by the manager, the end of the flower stem inserted into the hole 311 of the plate 31 is taken out of the water. In this way, the manager can adjust the time or time of watering according to the type of flower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late 31 .

가이드레일(32)은 수납통(30) 내측벽에 형성된 홈 형태의 레일로써, 플레이트(31)의 돌부(312)와 체결되어, 돌부(312)가 상하 이동하는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1)가 수납통(30)의 상하 높이를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guide rail 32 is a groove-shaped rail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30 and is fastened to the protruding part 312 of the plate 31 to guide a path in which the protruding part 312 moves up and down. Accordingly, the plate 31 can be moved along the vertical height of the container 30 .

약액투입부(33)는 복수의 홀부(311) 중 일부 개수에 설치되어, 수납통(30) 내부에 수용된 물에 식물에 좋은 약액 또는 영양액을 투입할 수 있다.The chemical solution inlet unit 33 is installed in some of the plurality of holes 311, and can inject a chemical solution or nutrient solution that is good for plants into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30.

약액투입부(33)는 약액보관부(331) 및 인출부(332)를 포함한다.The chemical solution input unit 33 includes a chemical storage unit 331 and a withdrawal unit 332 .

약액보관부(331)는 튜브 타입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약액이나 영양액이 수용 및 보관될 수 있다. 약액보관부(331)는 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며, 내부의 약액이 배출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liquid medicine storage unit 331 is formed in a tube type, and a liquid medicine or a nutrient liquid may be accommodated and stored therein. The chemical storage unit 331 is deformed by pressure, and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internal chemical solution can be discharged.

인출부(332)는 약액보관부(331)의 단부에 설치되며, 수납통(30)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인출부(332)를 통해 약액보관부(331)에 수용된 약액이 배출될 수 있다.The withdrawing part 332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liquid medicine storage part 331 and may be installed to face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30 . The chemical solution stored in the chemical storage unit 331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withdrawal unit 332 .

약액배출부(34)는 약액투입부(33)가 설치된 플레이트(31) 상에 설치되어, 약액투입부(33)를 가압하여 약액투입부(33)에서 약액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약액배출부(34)는 약액보관부(331)를 가압할 수 있도록, 약액보관부(331)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The chemical liquid discharge unit 34 is installed on the plate 31 on which the chemical liquid input unit 33 is installed, and pressurizes the chemical liquid input unit 33 to discharge the chemical liquid from the chemical liquid input unit 33 . The chemical discharge unit 34 may be installed around the chemical storage unit 331 to pressurize the chemical storage unit 331 .

구체적으로, 약액배출부(34)는 구동부(341) 및 가압부(342)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chemical liquid discharge unit 34 includes a driving unit 341 and a pressing unit 342 .

구동부(341)는 플레이트(31) 상면에 설치되되, 약액보관부(331)의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341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31 and may be installed around the liquid chemical storage unit 331 .

가압부(342)는 구동부(341)의 상부 양 측에서, 약액보관부(331)의 둘레 양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양 측의 가압부(342)는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구동부(34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양 측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가압부(342)에 의해 약액보관부(331)가 가압되고, 튜브 형태의 약액보관부(331)에 수용된 약액은, 약액보관부(331)가 가압되면서 인출부(33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통(30) 하부에 수용된 물에 약액이 투입되고, 식물에 영양액 또는 약액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ressing unit 342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unit 341 and on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ce of the liquid chemical storage unit 331 . At this time, the pressing parts 342 on both sides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receive power from the driving part 341, and may move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Therefore, the chemical storage unit 331 is pressurized by the pressurizing units 342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and the chemical solution stored in the tube-shaped liquid storage unit 331 is pressurized while the chemical storage unit 331 is pressurized. It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withdrawal part 332 . Therefore, the chemical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water stor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30, and the nutrient solution or the chemical solution can be supplied to the plants.

도 9는 도 7에 따른 수납통(30)에 꽃이 정렬될 수 있는 플레이트(31)가 복수개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plates 31 on which flowers can be arranged are divided and formed in the container 30 according to FIG. 7 .

도 9를 참조하면, 플레이트(31)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플레이트(31)에 형성된 홀부(311)의 각 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홀부(311)의 줄을 따라 분리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plate 31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For example, the holes 311 formed in the plate 31 may be separated along a line of holes 311 so that each line can be separated.

플레이트(31)는 제1 공급부(313), 제2 공급부(314), 제3 공급부(315), 제4 공급부(316) 및 제5 급부를 포함하도록 5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공급부에는 복수의 홀부(311)가 하나의 줄을 이루며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납통(30)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2)은 각 공급부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공급부에서 돌출된 돌기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31 may be divided into five parts to include a first supply part 313, a second supply part 314, a third supply part 315, a fourth supply part 316, and a fifth supply part. At this time, a plurality of hole parts 311 may be formed in a line and spaced apart from each supply part. At this time, the guide rail 3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30 may be formed to be engaged with protrusions protruding from each supply unit so that each supply unit can move up and down.

예를 들어, 다량의 꽃 줄기가 수납통(30)에서 엉켜서, 구매자가 원하는 수량의 꽃을 꺼내기 불편하거나, 꽃이 상하는 문제를 없애기 위해, 각 홀부(311)에 꽃 줄기가 꽂힌 상태에서, 각 공급부가 차례대로 상승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eliminate the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flower stems are tangled in the storage box 30, which makes it inconvenient for the buyer to take out the desired number of flowers, or the flowers are damaged, in a state where the flower stems are inserted into each hole 311, each The supply unit may be in a raised state in turn.

예를 들어, 전방에 배치된 제1공급부가 다른 공급부에 비해 소정 높이 상승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후, 구매자에 의해 제1 공급부(313)의 홀부(311)에 전시된 꽃이 모두 판매가 완료되어 홀부(311)가 비어있는 상태가 되면, 제2 공급부(314)가 소정 높이 상승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3 공급부(315), 제4 공급부(316) 및 제5 공급부(317)의 홀부(311)가 차례대로 비워짐에 따라 각각 순차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upply unit disposed in the front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compared to other supply units. Thereafter, when all the flowers displayed in the hole part 311 of the first supply part 313 are sold by the buyer and the hole part 311 becomes empty, the second supply part 314 is placed in a raised state at a predetermined height. It can be. As such, as the holes 311 of the third supply unit 315, the fourth supply unit 316, and the fifth supply unit 317 are emptied in sequence, they may be sequentially raised.

각 공급부의 홀부(311)가 비워지는지 여부는, 센싱부(35)(도 1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35)는 각 공급부의 양 측에 형성된 가이드홈(200)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센싱부(35)는 물체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센싱부(35)는 각 공급부의 양 측에서 수납통(30)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가이드홈(200)의 높이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각 공급부가 가이드홈(200)을 따라 상하이동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내측면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Whether or not the hole 311 of each supply unit is emptied may b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35 (FIG. 10). 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35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guide grooves 200 formed on both sides of each supply unit.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35 may be formed of an object detection sensor. That is, the sensing unit 35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30 on both sides of each supply unit, and a plurality of them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height of the guide groove 200 . In addition, when each supply unit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200, 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inner surface so as not to be interfered with.

이러한 센싱부(35)는 각 공급부 측면에서, 각 공급부 상측에 식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35 may detect whether or not there are plants on the side of each supply unit and on the upper side of each supply unit.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80)의 구성과, 서버(80)와 연결되는 구성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server 80 and components connected to the server 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서버(80)는 디스플레이부(70), 감지부(14), 센싱부(35) 및 각 구동 장치들과 연결되어,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80)는 관리자로부터 각 수납통(30)에 수용되는 식물 정보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7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server 8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70, the sensing unit 14, the sensing unit 35, and each driving device to control each component. In addition, the server 80 may receive plant information accommodated in each container 30 from the manager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70 .

또한, 서버(80)는 잔여량확인부(81) 및 시선유도부(8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rver 80 includes a remaining amount check unit 81 and a line of sight guidance unit 82 .

구체적으로, 잔여량확인부(81)는 센싱부(35)에 의해 감지되는 각 공급부에 형성된 꽃의 유무를 정보를 전송받아, 각 수납통(30)에 수납된 꽃의 잔여량을 파악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maining amount checking unit 81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existence of flowers formed in each supply uni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35 and determine the remaining amount of flowers stored in each container 30 .

일 예로, 어느 하나의 수납통(30) 내부에, 제1 공급부(313)에 형성된 홀부(311)에는 비어있는 상태이고, 제2 공급부(314)에서부터 제5 공급부(317)까지의 홀부(311)에는 모두 꽃이 채워져있는 경우, 잔여량확인부(81)는 기 입력받은 각 공급부의 홀부(311)의 개수와, 각 홀부(311)에 꽂혀있는 꽃 줄기에 따라 꽃 개수를 예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le 311 formed in the first supply part 313 in any one container 30 is empty, and the hole parts 311 from the second supply part 314 to the fifth supply part 317 are empty. ) is filled with flowers, the remaining amount checking unit 81 can predict the number of flowers according to the previously input number of holes 311 of each supply unit and flower stems inserted into each hole 311.

이처럼, 잔여량확인부(81)는, 각 수납통(30)에 잔여하는 꽃의 개수를 파악하고, 시선유도부(82)는 꽃의 잔여량이 많은 수납통(30)이 구매자들의 눈에 더욱 잘 띄도록 하기 위해, 지지대(40)의 피스톤부(42)를 이용하여 수납통(30)의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remaining amount checking unit 81 determines the number of flowers remaining in each storage box 30, and the gaze guidance unit 82 makes the storage container 30 with a large amount of remaining flowers more visible to buyers. In order to do so, the height of the container 30 may be raised using the piston part 42 of the support 40.

다만,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수량이 많이 남은 수납통(30)의 높이를 상승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잔여량확인부(81)는 각 수납통(30)의 꽃의 개수를 정확하게 파악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정확도가 낮더라도 복수의 수납통(30) 중에서 꽃이 가장 많이 잔여하는 수납통(30)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파악하도록 한다.However, since this is to raise the height of the storage bins 30 with a large quantity remaining in order to induce purchase, the remaining amount confirmation unit 81 does not hav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number of flowers in each storage bin 30, and accuracy is high. Even if it is low,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which storage box 30 with the most remaining flowers among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30 can be identified.

시선유도부(82)는 잔여량확인부(81)에 따라, 각 수납통(30)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대(40)의 높이를 조절하여, 수납통(30)을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매자의 해당 수납통(30)이 구매자의 눈에 더욱 잘 띄도록 할 수 있다.The gaze guidance unit 82 can raise the storage tube 30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40 supporting each storage tube 30 according to the remaining amount check unit 81 . Accordingly, the purchaser's corresponding storage box 30 can be more clearly seen by the purchaser.

상술한 바와 같이, 당일 판매 수량을 증가시키고 싶은 식물이 구매자들의 눈에 더 잘 띄도록 하기 위해, 판매 수량을 증가시키고 싶은 식물이 수납된 수납통(30)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재고량이 많은 식물이 수납된 수납통(30)의 높이를 증가시켜, 구매자들의 눈에 더욱 잘 띄도록 하여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container 30 in which the plants whose sale quantity is to be increased may be accommodated may be increased so that the plants whose sale quantity is to be increased on the same day are more noticeable to buyers. For example, 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container 30 in which plants with a large inventory are stored, it is possible to induce purchase by increasing the visibility of buyer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 꽃 전시 장치
10: 본체 11: 바디
12: 도어부 13: 냉장장치
14: 감지부 20: 전시부
21: 제1 전시대 22: 제2 전시대
23: 삽입구 200: 가이드홈
30: 수납통 31: 플레이트
311: 홀부 312: 돌부
313: 제1 공급부 314: 제2 공급부
315: 제3 공급부 316: 제4 공급부
317: 제5 공급부 32: 가이드레일
33: 약액투입부 331: 약액보관부
332: 인출부 34: 약액배출부
341: 구동부 342: 가압부
35: 센싱부 40: 지지대
41: 로드부 42: 피스톤부
43: 피스톤부 50: 수납통정렬부
51: 안착돌부 511: 돌출편
52: 고정측벽 60: 온도조절부
61: 냉방하우징 62: 냉각장치
70: 디스플레이부 80: 서버
81: 잔여량확인부 82: 시선유도부
1: flower display device
10: body 11: body
12: door unit 13: refrigerating device
14: sensing unit 20: display unit
21: first exhibition stand 22: second exhibition stand
23: insertion hole 200: guide groove
30: storage box 31: plate
311: hole part 312: stone part
313: first supply unit 314: second supply unit
315: third supply unit 316: fourth supply unit
317: fifth supply unit 32: guide rail
33: chemical liquid input unit 331: chemical liquid storage unit
332: withdrawal unit 34: chemical liquid discharge unit
341: driving unit 342: pressing unit
35: sensing unit 40: support
41: rod part 42: piston part
43: piston part 50: storage container alignment part
51: seating protrusion 511: protrusion
52: fixed side wall 60: temperature control unit
61: cooling housing 62: cooling device
70: display unit 80: server
81: remaining amount confirmation unit 82: gaze guidance unit

Claims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일정 높이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며, 각 단의 상면에는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된 전시부;
복수의 상기 삽입구 각각에 소정 길이 삽입 가능하고, 내부에 식물과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납통;
상기 수납통의 소정 길이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통 형태로 형성되는 냉방하우징과, 상기 냉방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구 각각의 상기 전시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냉방하우징 내부로 삽입된 상기 수납통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관리자로부터 상기 수납통에 수용되는 식물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서버;
상기 전시부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구 각각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서버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및
각 상기 수납통의 하부에 설치되되, 로드부와 피스톤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납통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서, 각 상기 수납통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통은,
상기 수납통 내부에 설치되되, 꽃 줄기가 관통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동일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홀부와, 측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돌부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상기 수납통의 내측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돌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여, 상기 수납통의 내부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수납통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에 꽃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플레이트 상측에 위치하는 꽃의 유무 정보를 전송받아, 각 상기 수납통에 수납된 꽃의 잔여량을 파악하는 잔여량확인부; 및
상기 잔여량확인부에서 파악된 각 상기 수납통의 꽃의 잔여량 정보에 따라, 상기 지지대를 작동시켜, 상기 수납통 중 꽃의 잔여량이 가장 많은 상기 수납통의 높이를 상승시키는 시선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수납통에 수용된 식물의 가격을 포함하는 식물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전시 장치.
A main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 display uni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ormed in a plurality of stages, and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stage;
a container that can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ion ports at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at can accommodate plants and water therein;
It includes a cooling housing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into which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container can be inserted, and a cool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cooling housing, installed inside the display unit of each of the insertion holes, through the insertion holes. a temperatur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inserted into the cooling housing;
a server capable of receiving plant information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from a manager;
a display unit that is installed in fro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display unit and can display information input by the server; and
A support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each storage container, including a rod part and a piston part, to adjust the height of each storage container by raising or lowering the height of the storage container; includes,
The storage box is
A plate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so that a flower stem can penetrate therethrough,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ide of a predetermined length;
a guide rail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on an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rotruding part and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late inside the container; and
A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to detect whether there are flowers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The server,
a remaining amount checking unit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flowers located above the plat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nd determining the remaining amount of flowers stored in each container; and
A line of sight guidance unit that operates the support to raise the height of the storage tube having the largest remaining amount of flowers among the storage boxe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flowers in each storage box determined by the remaining amount confirmation unit.
Flower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display plant information including the price of the plant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ertion hole through the display unit.
KR1020230061613A 2022-07-20 2023-05-12 Device for display plant KR10255401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772 2022-07-20
KR20220089772 2022-07-20
KR1020220094082 2022-07-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082 Division 2022-07-20 2022-07-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011B1 true KR102554011B1 (en) 2023-07-11

Family

ID=87160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613A KR102554011B1 (en) 2022-07-20 2023-05-12 Device for display 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011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186A (en) 1998-11-16 2000-06-26 야마모토 고헤이 A device for display of nursery plant
US6128912A (en) * 1997-10-22 2000-10-10 Floratech Industries, Inc. Floral display case for directly employing wet-pack containers
JP3341366B2 (en) * 1993-07-13 2002-11-05 栗田工業株式会社 Goods storage shelves
EP2025407A1 (en) * 2007-07-31 2009-02-18 Taikong Corp. Displaying and culturing set of plant tissues
KR20160043476A (en) * 2014-10-13 2016-04-21 백영태 multipurpose display cupboard having advertising display
US20190254426A1 (en) * 2018-02-21 2019-08-2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ethod, device, storage, and showcase
KR20210002921U (en) * 2020-06-19 2021-12-28 김선장 Sprout ginseng sales multi-function cold showcas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1366B2 (en) * 1993-07-13 2002-11-05 栗田工業株式会社 Goods storage shelves
US6128912A (en) * 1997-10-22 2000-10-10 Floratech Industries, Inc. Floral display case for directly employing wet-pack containers
KR20000035186A (en) 1998-11-16 2000-06-26 야마모토 고헤이 A device for display of nursery plant
EP2025407A1 (en) * 2007-07-31 2009-02-18 Taikong Corp. Displaying and culturing set of plant tissues
KR20160043476A (en) * 2014-10-13 2016-04-21 백영태 multipurpose display cupboard having advertising display
US20190254426A1 (en) * 2018-02-21 2019-08-2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ethod, device, storage, and showcase
KR20210002921U (en) * 2020-06-19 2021-12-28 김선장 Sprout ginseng sales multi-function cold show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vans et al. Temperature and energy performance of refrigerated retail display and commercial catering cabinets under test conditions
RU2562021C2 (en) Refrigeration cabinet
US5971205A (en) Cigar vending machine
US6571967B2 (en) Display shelf with product anchors
MX2013000060A (en) Merchandiser.
US11703274B2 (en) Inventory indication mechanism utilizing visual indicia
JP2011500199A (en) Closing system for cooling cabinet
KR102554011B1 (en) Device for display plant
US20140041407A1 (en) Ice shelf product display unit
CN106355756A (en) Refrigeration type vending machine
JP2010042233A (en) Closing system for refrigerating cabinet
CN100334988C (en) Showcase
US20070267369A1 (en) Sunglass storage system
CN105793681B (en) light shield
KR200483622Y1 (en) Mini-bar
US20220408941A1 (en) Refrigerator
CN108937355A (en) A kind of cryo-conservation food solid sale displaying frame
CN113432363A (en) Take refrigerator-freezer promptly
US2081048A (en) Refrigerated display cabinet
US20180242757A1 (en) Ice cream display cabinet and ice cream drawers
US11568702B2 (en) Vending machine
KR101719562B1 (en) The showcase for a cake
CN207317340U (en) A kind of refrigeration plant based on RFID identification technology
CN217090161U (en) Tobacco display cabinet with constant environment
US20220228798A1 (en) Herb storage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