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720B1 -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data and measurement system usnig the sma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data and measurement system usnig the sma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720B1
KR102553720B1 KR1020220023432A KR20220023432A KR102553720B1 KR 102553720 B1 KR102553720 B1 KR 102553720B1 KR 1020220023432 A KR1020220023432 A KR 1020220023432A KR 20220023432 A KR20220023432 A KR 20220023432A KR 102553720 B1 KR102553720 B1 KR 102553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data
measurement data
storing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4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돈
남정일
Original Assignee
(주)쎄미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쎄미콤 filed Critical (주)쎄미콤
Priority to KR1020220023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72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7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Improving I/O performance
    • G06F3/0611Improving I/O performance in relation to response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46Horizontal data movement in storage systems, i.e. moving data in between storage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의 용량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측정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측정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수집하는 수집 단계; 그리고 상기 측정데이터를 소정의 분할기준 및 단위로 분할하여 그룹화 하는 분할 단계; 그리고 분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 및 상기 분할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기준은 측정 시간, 파일 용량, 기 설정된 지정값의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 단계는 분할된 데이터 중, 상기 수집 단계에서 현재 수집되고 있는 물리량이 속한 그룹의 데이터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수집 단계 또는 상기 저장 단계에 이전에, 상기 분할된 데이터가 저장될 파일과 그 파일의 파일명을 지정하는 파일 지정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파일명은 분할된 그룹마다 접미사가 변경되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measurement data to prevent errors caused by an increase in file capacity, and a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collection step of continuously collecting measurement data; and dividing the measurement data into groups by dividing the measurement data into predetermined division criteria and units. and 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divided data; and an output step of displaying the divided data. and wherein the division criter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time, a file capacity, and whether or not a preset designation value has occurred.
In addition, the output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among the divided data, only data of a group to which the physical quantity currently being collected in the collection step belongs is displayed.
In addition, prior to the collecting step or the storing step, further comprising a file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 file in which the divided data is to be stored and a file name of the file, wherein the file name is added by changing the suffix for each divided group. to be characterized

Description

측정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DATA AND MEASUREMENT SYSTEM USNIG THE SMAE}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measurement data and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same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DATA AND MEASUREMENT SYSTEM USNIG THE SMAE}

본 발명은 파일의 용량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측정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measurement data to prevent errors caused by an increase in file capacity, and a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same.

전자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이 등장하고 있으며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러한 멀티미디어 파일의 용량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파일을 기록하기 위한 저장 장치와 관련된 기술도 함께 발전하고 있다.As electronic technology develops, various multimedia files appear, and the capacity of these multimedia files increases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ccordingly, technologies related to storage devices for recording files are also developing.

과거에는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로서 ODD(OPTICAL DISK DRIVER), HDD(HARD DISK DRIVER)등이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SD(SECURE DIGITAL) CARD, MICRO SD CARD 등 작은 크기를 갖고, 대용량을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저장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계속적으로 늘어나는 용량의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더욱 큰 용량을 수용할 수 있는 저장 장치가 필요하다.In the past, ODD (OPTICAL DISK DRIVER) and HDD (HARD DISK DRIVER) were used as storage devices for storing files, and recently, SD (SECURE DIGITAL) CARD and MICRO SD CARD, etc. Although various storage devices capable of storing are being developed, a storage devi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larger capacity is required in order to store continuously increasing file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의 기술로, 한국 공개특허 제20-2016-0001211호(2016년04월12일) 등이 있는데, 상기 종래의 기술은 USB 플러그형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는 본체, 본체에 내장되는 제어보드, 제어보드의 일 측에 고정되고 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USB 커넥터, 본체 내부에서 제어보드의 일면에 고정되고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매체를 위한 고속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는 대용량 고속 포트, 대용량 고속 포트에 착탈 가능하고, 대용량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고속 인터페이스 규격을 이용하여 대용량 고속포트를 통해 송수신하는 대용량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대용량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a conventional technique, there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016-0001211 (April 12, 2016), etc.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a USB plug-type mass data storage device is A built-in control board, a USB connector fix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ard and protruding outside the body, a high-capacity high-speed port that is fix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ard inside the body and supports high-speed interface specifications for mass storage media such as hard disks , It is detachable to the high-capacity high-speed port and can store large-capacity files by including a mass storage modul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stored in the large-capacity memory through the high-speed high-capacity port using the high-speed interface standard.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하나의 파일에 데이터가 많이 쌓이게 되면 선형적으로 용량이 증가하여 파일을 열 때 오랜 시간이 걸리고, 파일이 열린 후 편집을 진행 할 때에도 파일의 속도가 느려지게 되며, 컴퓨터 또는 모바일기기가 파일의 용량을 버티지 못해 예기치 않은 이유로 시스템이 종료되거나 '응답없음' 상태로 전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when a lot of data is accumulated in one file, the capacity increases linearly, so it takes a long time to open the file, and the speed of the file slows down even when editing is performed after the file is opened, and the computer or mobil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ystem shut down or switched to 'not responding' for an unexpected reason because the device could not withstand the capacity of the file.

본 발명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속 수집되는 측정데이터들을 분할하여 그룹화 시켜 저장함으로써, 파일의 용량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긴 부팅시간, 편집 중 응답없음 등의 오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urpose of preventing errors such as long booting time caused by an increase in file capacity and no response during editing by dividing continuously collected measurement data into groups and storing them to be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측정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수집하는 수집 단계; 그리고 상기 측정데이터를 소정의 분할기준 및 단위로 분할하여 그룹화 하는 분할 단계; 그리고 분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 및 상기 분할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기준은 측정 시간, 파일 용량, 기 설정된 지정값의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collection step of continuously collecting measurement data; and dividing the measurement data into groups by dividing the measurement data into predetermined division criteria and units. and 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divided data; and an output step of displaying the divided data. and wherein the division criter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time, a file capacity, and whether or not a preset designation value has occurred.

또한 상기 출력 단계는 분할된 데이터 중, 상기 수집 단계에서 현재 수집되고 있는 그룹의 데이터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put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among the divided data, only data of a group currently being collected in the collection step is displayed.

아울러 상기 수집 단계 또는 상기 저장 단계에 이전에, 상기 분할된 데이터가 저장될 파일과 그 파일의 파일명을 지정하는 파일 지정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파일명은 분할된 그룹마다 접미사가 변경되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ior to the collecting step or the storing step, further comprising a file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 file in which the divided data is to be stored and a file name of the file, wherein the file name is added by changing the suffix for each divided group. to be characterized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분할기준 및 단위에 따라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함으로써, 파일의 용량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긴 부팅시간, 편집 중 응답없음 등의 오류를 방지하고, 수집 단계의 측정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측정 대상의 측정데이터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파일 지정 단계를 포함하여 파일명을 통해 측정데이터의 파일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prevents errors such as long booting time caused by an increase in file capacity and no response during editing by dividing and storing data according to division criteria and units, and measuring data in the collection step. Including the output step of outputting, it is possible to check the measurement data change of the measurement object in real time, and it provides the effect of identifying the file contents of the measurement data through the file name, including the file designation ste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시간 기록한 측정데이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된 측정데이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되어 저장된 파일명.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단면도.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storing and displaying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measurement data recorded for a long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divided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ile name divided and sto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또는 구현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or implementa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ing~ or ~consisting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First~, ~Second~,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only be referred to to distinguish different components from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manufacturing order, and the name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may not match.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수집되는 측정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 및 출력함으로써, 파일의 용량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긴 부팅시간, 편집 중 응답없음 등의 오류를 방지하고, 실시간으로 측정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측정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continuously collected measurement data to store and output them, thereby preventing errors such as long booting time caused by an increase in file capacity and no response during editing, and measurement data capable of checking measurement data in real time. It relates to a method of storing and displaying and a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sam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측정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방법(이하 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method) and a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method (hereinafter, the pres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측정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측정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수집하는 수집 단계, 그리고 측정데이터를 소정의 분할기준 및 단위로 분할하여 그룹화 하는 분할 단계, 그리고 분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 및 상기 분할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기준은 측정 시간, 파일 용량, 기 설정된 지정값의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measurement data, and as shown in FIG. 1, a collection step of continuously collecting measurement data, and a division of dividing and grouping measurement data into predetermined division standards and units. and 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divided data and an output step of displaying the divided data, wherein the division criter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time, a file capacity, and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value has occurred. .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측정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수집하는 수집 단계를 포함하여, 측정되는 대상의 물리량의 측정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함으로써, 눈으로 확인 불가한 대상의 변화를 측정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method includes a collection step of continuously collecting measurement data, and collects measurement data of a physical quantity of an object to be measured in real time, thereby confirming changes in an object that cannot be visually confirmed as measurement data. .

또한 본 방법은 상기 측정데이터를 소정의 분할기준 및 단위로 분할하여 그룹화 하는 분할 단계를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되어 크기가 커진 측정데이터를 분할기준 또는 단위로써 분할하므로 파일의 용량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method includes a division step of dividing and grouping the measurement data into predetermined division criteria and units, and divides the measurement data collected in real time and increased in size by division criteria or units, so that the file capacity increases linearly. prevent doing

도 2는 그룹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측정데이터의 파일이고, 도 3은 측정데이터를 분할 및 그룹화 하여 저장한 파일이다.2 is a file of measurement data that is not grouped, and FIG. 3 is a file in which measurement data is divided and grouped and stor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데이터를 분할 및 그룹화하지 않을 경우, 연속으로 수집되는 측정데이터의 양이 한 파일 안에 방대하게 형성되어 파일의 용량이 커지므로 파일의 오류가 생길 수 있고, 원하는 시점의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줌인(Zoom in) 또는 확대하는 과정을 겪어야 하며, 크기가 큰 파일의 특성상 줌인(Zoom in) 또는 확대 도중 '응답없음'현상이 발생할 수 도 있다.As shown in FIG. 2, if the measurement data is not divided and grouped, the amount of continuously collected measurement data is massively formed in one file, which increases the file size, which can cause file errors and a desired point in time. In order to check the data of the file,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a process of zooming in or enlarging, and due to the nature of large files, 'no response' may occur during zooming in or enlarging.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데이터를 분할기준 및 단위로 분활하여 그룹화 함으로써, 파일의 용량을 제한하여 용량의 크기로 인해 발생하는 긴 부팅시간, 편집 중 응답없음 등의 오류를 감소시키고, 줌인(Zoom in) 또는 확대해야 하는 과정을 행하지 않고 한눈에 원하는 측정데이터의 변화 및 시점을 찾기에 용이하며, 필요한 부분의 파일만을 전달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켜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s shown in FIG. 3, by dividing and grouping the measurement data by division criteria and units, the file capacity is limited, resulting in long booting time due to the size of the capacity, no response during editing, etc. It reduces the error of measurement, it is easy to find the change and timing of the measurement data you want at a glance without zooming in or zooming in, and it improves work efficiency by delivering only the necessary part of the file.

분할기준 및 이에 대한 효과는 이하에 후술하기로 한다.The division criteria and their effects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본 방법은 분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저장 단계로 인해, 자동으로 파일이 저장되므로 파일을 도중에 확인하며 저장하지 않아도 되어 측정데이터를 관리하는데 용이하고, 예기치 않은 이유로 시스템이 종료 될 경우, 저장 단계는 시스템이 종료되는 시점에 파일을 저장하여 마지막 측정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Next,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divided data. Due to the above saving step, the file is automatically saved, so it is easy to manage the measured data because there is no need to check and save the file on the way, and if the system is shut down due to an unexpected reason, the save step saves the file at the time the system is shut down. By doing so, the last measurement data can be preserved.

상기 분할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수집되는 측정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측정되는 대상의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An output step of displaying the divided data is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collected measurement data in real time, thereby facilitating management of the measured object.

아울러 상기 분할기준은 측정시간, 파일 용량, 기 설정된 지정값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vision criter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time, a file capacity, and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value has occurred.

일 실시예로, 분할기준은 측정시간 일 수 있다. 분할기준이 측정 시간인 경우, 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데이터를 분할한다. 설정 시간이 1시간인 경우, 분할 단계는 1시간 마다 측정데이터를 분할하고, 저장 단계로 넘어가 분할된 측정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처럼 분할기준을 측정시간으로 하는 경우, 12시간 동안 대상을 측정하면 총 12개의 측정데이터 파일이 생성되어, 원하는 시간대의 파일을 찾아 데이터를 확인 할 수 있고, 그 시간대에 일어난 측정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파일은 자동으로 부여되는 파일명을 통해 찾을 수 있는데, 이는 이하에서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division criterion may be a measurement time. If the division criterion is the measurement time, the measurement data is divided based on the set time. When the set time is 1 hour, the division step divides the measurement data every hour, and goes to the storage step to store the divided measurement data. In this case, when the division criterion is the measurement time, when the target is measured for 12 hours, a total of 12 measurement data files are created, and the data can be checked by finding the file in the desired time period, and the measurement change that occurred during that time period can be grasped. . A file can be found through an automatically assigned file nam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또한 일 실시예로, 분할기준은 파일 용량일 수 있다. 사용자가 파일의 용량을 정하고 측정데이터가 설정한 용량에 부합하면, 분할 단계는 상기 용량만큼 측정 데이터를 분할한 후 저장 단계로 넘어가 설정한 용량만큼의 측정데이터 파일을 저장한다. 이처럼 분할기준을 파일 용량으로 하는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파일 용량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긴 부팅시간, 편집 중 응답없음 등의 오류들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so, as an embodiment, the division criterion may be a file capacity. If the user determines the capacity of the file and the measured data meets the set capacity, the dividing step divides the measured data by the capacity and then proceeds to the storage step to store the measured data files as many as the set capacity. In this way, when the division criterion is the file size, it is possible to prevent errors such as a long booting time and no response during editing caused by an increase in the file size mentioned above.

아울러 일 실시예로, 분할기준은 기 설정된 지정값 발생 여부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가 0℃보다 높아지면 융해되는 얼음을 보관하는 창고의 측정데이터를 받을 경우, 기 설정된 지정값은 0℃ 일 수 있다. 이때 본 방법은 온도가 0℃ 이상일 때 분할 단계에서 측정데이터를 분할한다. 온도가 0℃를 계속 넘길 경우, 본 방법은 더 이상 데이터를 분할하지 않고 문제점이 발생 할 수 있는 측정데이터를 계속하여 수집하는 수집 단계를 유지하고, 이후 온도가 0℃ 이하로 감소할 경우, 지정값 이하이므로 수집 단계에서 분할 단계로 전환된다. 이를 통해 얼음이 녹아 물이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시점에서부터 얼음이 녹지 않고 유지되는 상태로 돌아가는 시점까지의 데이터, 즉 얼음이 물이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구간의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mbodiment, the division criterion may be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value is generated. For example, when receiving measurement data of a warehouse storing ice that melts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0°C, the preset designation value may be 0°C. At this time, the present method divides the measured data in the division step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0°C. If the temperature continues to exceed 0℃, this method maintains the collection step of continuously collecting measurement data that may cause problems without further dividing the data. Since i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value, the collection phase switches to the partitioning phase. Through this, you can check the data from the point when the problem of melting ice to water to the point of returning to the point where the problem of ice becoming water can occur, that is, the data of the section where the problem of turning ice into water can occur in one file. there is.

상기 일 실시예는 본 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로, 본 방법의 기 설정된 지정값의 발생 여부 분할기준을 온도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기 설정된 지정값의 발생 여부 분할기준은 측정 대상의 길이, 질량, 힘, 에너지, 전하, 전기장, 자기장, 점성 등 측정될 수 있는 물리량 모두 지정 가능하다.The above embodiment is an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method, and the present metho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division criterion of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value occurs to temperature, and the division criterion of whether a predetermined specific value occurs is the length of the measurement target, All measurable physical quantities such as mass, force, energy, electric charge, electric field, magnetic field, and viscosity can be specified.

서술한 일 실시예들과 같이 분할기준은 단 하나의 기준만을 가지고 분할 단계를 시행하는 것은 아니다.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division step is not performed with only one division criter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기준 중, 측정시간과 기 설정된 지정값 발생 여부를 분할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측정시간과 기 설정된 지정값 발생 여부를 같이 설정하게 되면, 분할 단계는 측정 시간마다 측정데이터를 분할하되, 기 설정된 지정값이 발생하면 측정 시간 도중에 측정데이터를 분할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로 인해, 측정시간마다 측정데이터를 분할하여 시간별 측정데이터 파일을 형성할 뿐 아니라, 도중에 발생되는 지정값의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among the division criteria, a measurement time and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value has occurred may be set as division criteria. When the measurement time and whether or not the predetermined value occurs are set together, the dividing step divides the measurement data for each measurement time, and divides the measurement data during the measurement time when the predetermined value occurs. Due to this step, it is possible to divide measurement data for each measurement time to form a measurement data file for each time, as well as identify a pattern of designated value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파일용량과 기 설정된 지정값 발생 여부를 함께 분할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분할기준을 설정할 경우, 분할 단계는 일정 파일용량마다 측정데이터를 분할하되, 기 설정된 지정값이 발생한 경우, 파일용량 기준에 부합하지 않더라도 기 설정된 지정값이 발생하면 측정데이터를 분할한다. 이로 인해, 파일용량과 지정값 발생에 대한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file capacity and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value has been generated can also be set as division criteria. When the division criteria are set in this way, in the division step, the measurement data is divided for each predetermined file capacity, but when a preset specified value occurs, the measurement data is divided when a preset specified value occurs even if the file capacity standard is not met.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attern of file capacity and occurrence of designated values.

상기 실시예로 인해, 복수 개의 분할기준을 통해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 또한 가능하여, 더욱 세밀하게 측정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어 더욱 구체적인 데이터가 형성된다.Due to the abov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divide data through a plurality of division criteria, so that measurement data can be divided more finely, and more specific data is formed.

상기 출력 단계는 분할된 데이터 중, 상기 수집 단계에서 현재 수집되고 있는 물리량이 속한 그룹의 데이터만을 표시한다. 즉, 측정된 모든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 아닌, 분할된 데이터에서 현재 수집하고 있는 데이터만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The output step displays only data of a group to which the physical quantity currently being collected in the collection step belongs among the divided data. That is, instead of displaying all measured data, only the data currently being collected from the divided data is displayed in real tim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수집되어 용량이 큰 측정데이터를 표시할 경우, 현재 측정되는 측정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수차례 줌인(Zoom in) 또는 확대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러한 과정을 겪으며 처리장치의 부하가 많이 발생하여 작업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상기한 문제로 인해, 출력 단계는 수집 단계에서 현재 수집되는 그룹의 측정데이터만을 표시하여, 줌인(Zoom in) 또는 확대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측정데이터의 확인이 가능하므로 작업 속도가 향상된다.As shown in FIG. 2, when continuously collecting and displaying large-capacity measurement data, it is necessary to zoom in or enlarge several times to check the currently measured measurement data. A lot of load is generated on the processing unit, and the work speed is slowed down. Due to the above problems, the output stage displays only the measurement data of the currently collected group in the collection stage, so that the measurement data can be checked in real time without zooming in or enlarging, so the work speed is improv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수집 단계 또는 저장 단계 이전에, 분할된 측정데이터가 저장될 파일과 그 파일의 파일명을 지정하는 파일 지정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파일명은 분할된 그룹마다 접미사가 변경되어 추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file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 file in which the divided measurement data is to be stored and a file name of the file, before the collecting step or the storing step, wherein the file name is for each divided group. Suffixes can be changed and added.

일 실시예로, 본 방법은 수집 단계 이전에 분할된 데이터가 저장될 파일과 그 파일의 파일명을 지정하는 파일 지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직접 분할기준을 정하여 입력하면, 분할기준에 맞는 파일명과 파일을 생성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후 사용자가 설정한 분할기준에 맞게 데이터가 분할되어 생성된 파일명과 파일로 저장한다. 측정시간을 분할기준으로 설정 한 경우, 상기 파일명은 'YY.MM.DD_time'과 같이 날짜 및 측정시간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측정한 시간 및 남은 측정 시간의 유추가 가능하고, 원하는 시간대의 파일을 용이하게 찾아볼 수 있다. 파일용량으로 분할기준을 설정 한 경우, 상기 파일명은 '500MB_01'과 같이 측정데이터 파일의 용량과 그 순서로 형성될 수 있고, 측정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의 크기를 유추하기 용이하다. 설정된 지정값 발생 여부로 분할기준이 정해진 경우, 'OCCUR_ON_01'과 같이 발생을 알리는 단어, 지정값 발생의 유무 및 몇 번째 발생인지 알려주는 숫자를 포함하여, 측정데이터의 변화가 발생한 지점 및 발생 횟수를 파악하여 측정되는 대상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method may include a file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 file in which divided data is to be stored and a file name of the file prior to the collection step. If the user directly determines and inputs the division criteria before the collection step, the file name and file that meet the division criteria are created and the collected data is input. Afterwards, the data is divided according to the division criteria set by the user and saved as the created file name and file. When the measurement time is set as the division standard, the file name can be the date and measurement time, such as 'YY.MM.DD_time', and through this, the measured time and remaining measurement time can be inferred, and the file in the desired time zone can be easily found. When the division standard is set by the file capacity, the file name can be formed in the order of the capacity of the measurement data file, such as '500MB_01', and it is easy to infer the size of the file in which the measurement data is stored. If the division standard is determined by whether or not the specified value has occurred, the point where the change in the measurement data has occurred and the number of occurrences, including a word indicating occurrence, such as 'OCCUR_ON_01', whether or not the specified value has occurred, and a number indicating the number of occurrences It is possible to easily manage the target to be identified and measured.

상기 실시예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분할기준을 설정하고, 분할기준에 의해 분할되어 저장된 측정데이터 파일을 손쉽게 찾아 활용 및 전송이 가능하다. Due to the above embodiment, it is possible for a user to set a desired division criterion, and to easily find, utilize, and transmit measurement data files divid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division criterion.

또 다른 일 실시예로, 본 방법은 저장 단계 이전에 분할된 데이터가 저장될 파일과 그 파일의 파일명을 지정하는 파일 지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시간과 기 설정된 지정값 발생 여부를 같이 분할기준으로 설정하게 되면, 분할 단계는 측정 시간마다 측정데이터를 분할하며 시간에 대한 파일명인 'YY.MM.DD_time'과 같은 파일명을 생성하며 분할 및 저장되고, 기 설정된 지정값이 발생하면 측정 시간 도중에 측정데이터를 분할하여 지정값에 대한 파일명인'OCCUR_ON_01'와 같은 파일명을 생성하며 분할 및 저장된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분할기준 중 한 가지만을 선택하지 않고, 두 가지를 설정할 때 이용될 수 있는데, 이는 분할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따라 분할된 데이터가 저장될 파일과 그 파일의 파일명이 지정된다. 즉, 수집된 측정데이터가 분할 단계에서 분할기준에 의해 분할되는 이유에 대한 파일명이 주어진다.As another embodiment, the method may include a file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 file in which divided data is to be stored and a file name of the file prior to the storage step. For example, if the division criteria are set such as the measurement time and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value occurs, the division step divides the measurement data for each measurement time and creates a file name such as 'YY.MM.DD_time', which is a file name for the time. and is divided and stored, and when a predetermined designated value occurs, the measurement data is divided during the measurement time, and a file name such as 'OCCUR_ON_01', which is a file name for the designated value, is generated, and divided and stored. This can be used when the user does not select only one of the above division criteria, but sets two of them. This designates a file in which divided data is to be stored and a file name of the file according to how the division is performed. That is, a file name for the reason why the collected measurement data is divided according to a division criterion in the division step is given.

상기 일 실시예로 인해, 사용자가 분할기준을 복수 개로 설정하여도, 분할 단계에서 분할된 이유와 그 순서를 파일명으로 파악할 수 있어 데이터를 관리하는데 용이하다.Due to the above embodiment, even if a user sets a plurality of division criteria, it is easy to manage data because the reason for division and the order of division can be grasped from the file name in the division step.

아울러 측정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이용한 측정시스템에 있어서, 측정시스템은 상기 측정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각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전원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measurement system using a method of storing and displaying measurement data, the measurement system may include a sensor that collects the measurement data, a processor that performs each step, and a cable that transmits power and data.

상기 구성으로 인해 측정하고자 하는 물리량 센서를 구비하여 대상의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한 단계들을 거쳐 측정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다.Due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physical quantity sensor to be measured can be provided to measure the physical quantity of an object, and the measured data can be divided, stored, and output through the above steps.

한편, 상기에서 케이블은 겨울철 등과 같이 주변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 피복재가 수축되어 경화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 때 케이블을 갑자기 휘거나 하는 등, 외력이 가해지게되면 피복재가 손상되거나 케이블이 단선되는 우려가 있고, 이를 차치하더라도 온도의 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은 케이블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주된 원인이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bove cabl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lowered, such as in winter, the covering material shrinks and hardens. Aside from this, contraction and expansion due to temperature changes are the main causes of deteriorating the lifespan of the cable.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온도 저하에도 불구하고 내부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케이블을 제안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able capable of maintaining a uniform internal temperature despite a decrease in temperatur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은 중심에 위치한 코어(C1), 그리고 코어(C1)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구비되고 튜브(C22) 내에 다수의 발열재(C21)를 구비한 다수의 열선(C2), 그리고 열선(C2)의 둘레에 바인딩되고 압전소자를 구비한 내피(C3), 그리고 내피(C3)의 내부에 충진되어 열선(C2)을 감싸는 열팽창소재(C4), 그리고 내피(C3)를 감싸는 외피(C5)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C1 located at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C21 provided radially around the core C1 and in a tube C22. A plurality of heating wires (C2) having , an endothelium (C3) bound around the heating wires (C2) and having a piezoelectric element, and a thermal expansion material (C4) filled in the inside of the endothelial (C3) and wrapping the heating wires (C2). ), and an outer shell (C5) surrounding the inner shell (C3).

도 7을 참고하여 각 구성 별로 설명하면, 코어(C1)는 전기(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도선으로, 일반적인 케이블의 도선과 동일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7, the core C1 is a conducting wire that transmits electricity (or signals), and is the same as that of a general cable.

그리고 상기 열선(C2)은 튜브(C22) 내에 다수의 발열재(C21)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발열재(C21)는 구동신호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하는 일반적인 저항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발열재(C21)는 고른 온도 분산을 위해 튜브(C22) 내에 다수 구비되어 균일한 온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the hot wire C2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C21 in a tube C22. In the above, the heating material (C21) may be composed of a general resistance material that generates heat when power is applied by a driving signal.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C21 are provided in the tube C22 for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to provide a uniform temperature.

상기 열선(C2)은 코어(C1)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될 수 있는데, 작게는 2개 ~ 12개 정도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수가 많을수록 온도 편차가 줄어들어 균일한 온도의 발열을 제공할 수 있으나 과도하게 많으면 하나의 열선(C2) 당 발열재(C21)의 수가 작아져 원하는 온도의 발열을 얻을 수 없으므로, 적정 개수 내에서 선택되어야 한다.The hot wire C2 may be provided radially around the core C1, and may be provided in a small number of 2 to 12, and as the number increases, the temperature deviation decreases and heat generation at a uniform temperature can be provided. However, if the number is excessively large, the number of heating elements C21 per heating wire C2 becomes small, and heat generation at a desired temperature cannot be obtained. Therefore, an appropriate number must be selected.

그리고 상기 내피(C3)는 열선(C2)의 둘레에 바인딩 되는데, 열선(C2) 주위를 감싸서 수분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함은 물론 케이블의 항장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발수성 및 항장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이 외피(C5)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endothelium (C3) is bound around the heating wire (C2), and wraps around the heating wire (C2) to prevent penetration of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as well as to improv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able. It is preferable to be composed of a material having a toughnes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select a material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so that heat can be smoothly transferred to the outer shell (C5).

상기 내피(C3)는 열전소자를 구비하는데, 바람직하게는 내피(C3)의 내측에 열전소자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열전소자는 후술하는 열팽창소재(C4)의 팽창에 의한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면 정지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구비된다.The endothelium (C3) is provided with a thermoelectric element. Preferably, a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provided inside the endothelium (C3),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based on a predetermined pressur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thermally expandable material (C4)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rovided to generate a stop signal when the value is exceeded.

상기 열팽창소재(C4)는 내피(C3)의 내부에 충진되어 열선(C2)을 감싸는 구성으로, 열선(C2)을 보호하는 기능과 함께 열선(C2)의 발열에 의해 팽창하면서 외피(C5)에 열을 전달하고, 내피(C3)에 구비된 압전소자를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thermally expansible material (C4) is filled inside the inner shell (C3) and wraps around the heat wire (C2), and functions to protect the heat wire (C2) while expanding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wire (C2) to cover the outer shell (C5). It serves to transfer heat and pressurize the piez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the endothelium (C3).

이러한 열팽창소재(C4)는 열팽창 개시온도가 70 ℃이고, 열팽창 최대온도가 100℃ 미만인 열팽창성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계수지와 마이크로캡슐이 혼합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고무계수지는 천연고무(NR), 부타디엔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고, 마이크로캡슐은 탄화수소가 내포된 막의 두께가 0.1 ~ 5㎛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막의 두께가 0.1㎛ 미만일 경우에는 열이 마이크로캡슐에 가해지면 막의 두께가 얇아 막이 파손될 우려가 있고, 막의 두께가 5㎛를 초과할 경우에는 막의 두께가 두꺼워서 마이크로캡슐이 제대로 팽창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The thermally expandable material (C4) may include thermally expandable microcapsules having a thermal expansion start temperature of 70°C and a maximum thermal expansion temperature of less than 100°C. can be configured. In the above, the rubber coefficient may be selected from at least one of natural rubber (NR), butadiene rubber (BR), and styrene-butadiene rubber (SBR), and the thickness of the microcapsule containing hydrocarbon is 0.1 to 5 μm. can be used In the above, when the thickness of the membrane is less than 0.1 μm, when heat is applied to the microcapsule, the membrane thickness is thin and the membrane may be damaged. there is

그리고 상기 외피(C5)는 내피(C3)는 감싸는 피복재로, 일반적인 케이블의 피복재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상기 열팽창소재(C4)의 열팽창 최대 온도를 충분히 상회하는 온도(가령 150℃)에서도 소성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소재로 구성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outer sheath (C5) is a sheathing material that surrounds the inner sheath (C3), and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sheathing material of general cables, but plastic deformation does not occur even at a temperature sufficiently exceeding the maximum thermal expansion temperature of the thermal expansion material (C4) (for example, 150 ° C). It must be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은 구동신호의 인가에 의해 열선(C2)이 발열하여 열팽창소재(C4)가 팽창되어 외피(C5)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외피(C5)의 수축 및 경화를 방지하고, 열팽창소재(C4)가 계속 팽창하여 열팽창소재(C4)에 의한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면 압전소자에 의해 정지신호가 발생하여 발열이 중지되며, 이를 반복함으로써 외피(C5)의 수축 방지 및 케이블 내부 온도의 유지를 제공한다.In th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a driving signal is applied, the heat wire (C2) heats up, the thermally expandable material (C4) expands, and transfers heat to the outer jacket (C5), thereby contracting and curing the outer jacket (C5). and when the thermal expansion material (C4) continues to expand and the pressure by the thermal expansion material (C4)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a stop signal is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to stop heat generation, and by repeating this, the outer shell (C5) to prevent shrinkage and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able.

상기에서, 구동신호의 인가는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외피(C5)의 수축도를 감지하는 센서, 사용자의 구동입력 중 하나가 선택되어 활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application of the driving signal may be selected and utilized by one of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ambient temperature, a sensor for detecting the degree of shrinkage of the outer shell C5, and a user's driving input.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청구범위를 통해 한정되지 않은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not limited by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1: 코어 C2: 열선
C21: 발열재 C22: 튜브
C3: 내피 C4: 열팽창소재
C5: 외피
C1: core C2: hot wire
C21: heating element C22: tube
C3: Endothelial C4: Thermal expansion material
C5: outer skin

Claims (4)

삭제delete 측정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 측정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수집되는 측정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정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수집하는 수집 단계;
상기 측정데이터를 소정의 분할기준 및 단위로 분할하여 그룹화 하는 분할 단계;
분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 및
상기 분할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기준은 측정 시간, 파일 용량, 기 설정된 지정값의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시스템은 상기 측정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 측정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전원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중심에 위치한 코어, 상기 코어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구비되고, 튜브 내에 다수의 발열재를 구비한 다수의 열선, 상기 열선의 둘레에 바인딩되고 압전소자를 구비한 내피, 상기 내피의 내부에 충진되어 상기 열선을 감싸는 열팽창소재, 및 상기 내피를 감싸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열팽창소재는 열팽창 개시온도가 70 ℃이고, 열팽창 최대온도가 100℃ 미만인 열팽창성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고,
구동신호의 인가에 의해 상기 열선이 발열하여 상기 열팽창소재가 팽창되어 상기 외피에 열을 전달하고,
상기 열팽창소재에 의한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면 상기 압전소자에 의해 정지신호가 발생하는 측정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방법.
A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measurement data continuously coll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using a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a sensor for collecting measurement data and a processor for storing and displaying the measurement data,
a collection step of continuously collecting the measurement data;
a division step of grouping the measurement data by dividing them into predetermined division standards and units;
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divided data; and
an output step of displaying the divided data;
including,
The division criter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time, a file capacity, and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value has occurred,
The measurement system includes a sensor for collecting the measurement data, a processor for storing and displaying the measurement data, and a cable for transmitting power and data,
The cable includes a centrally located core, a plurality of heating wires provided radially around the core and having a plurality of heating materials in a tube, an endothelium bound around the heating wires and having a piezoelectric element, and an inside of the endothelium. It includes a thermal expansion material filled in and surrounding the heat wire, and an outer shell surrounding the endothelium,
The thermally expandable material includes thermally expandable microcapsules having a thermal expansion start temperature of 70°C and a maximum thermal expansion temperature of less than 100°C,
When a drive signal is applied, the heat wire generates heat and the thermally expandable material expands to transfer heat to the outer shell;
A method of storing and displaying measurement data in which a stop signal is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when the pressure by the thermally expandable material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분할된 데이터 중, 상기 수집 단계에서 현재 수집되고 있는 물리량이 속한 그룹의 데이터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method of storing and displaying measurement data,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outputting step, of the divided data, only data of a group to which the physical quantity currently being collected in the collecting step belongs is display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집 단계 또는 상기 저장 단계에 이전에, 상기 분할된 데이터가 저장될 파일과 그 파일의 파일명을 지정하는 파일 지정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파일명은 분할된 그룹마다 접미사가 변경되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Prior to the collecting step or the storing step, further comprising a file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 file in which the divided data is to be stored and a file name of the file,
The file name is a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measurement data, characterized in that the suffix is changed and added for each divided group.
KR1020220023432A 2022-02-23 2022-02-23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data and measurement system usnig the smae KR1025537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432A KR102553720B1 (en) 2022-02-23 2022-02-23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data and measurement system usnig the sma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432A KR102553720B1 (en) 2022-02-23 2022-02-23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data and measurement system usnig the sma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720B1 true KR102553720B1 (en) 2023-07-10

Family

ID=8715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432A KR102553720B1 (en) 2022-02-23 2022-02-23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data and measurement system usnig the sma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72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757A (en) * 2016-09-01 2018-03-0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Smart factory flatform for processing mass data of continuous process in a real time
KR102445844B1 (en) * 2022-02-04 2022-09-20 노우찬 Wasted water treatment system anf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757A (en) * 2016-09-01 2018-03-0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Smart factory flatform for processing mass data of continuous process in a real time
KR102445844B1 (en) * 2022-02-04 2022-09-20 노우찬 Wasted water treatment system anf construction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25757호(2018.03.09.) 1부.*
한국등록특허 제10-2445844호(2022.09.20.)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1284B2 (en) Tape emulating disk based storage system and method with automatically resized emulated tape capacity
CN101620516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program
US81126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fuse data for repairing faulty elements within an IC
US9152562B2 (en) Storage sub-system for a computer comprising write-once memory devices and write-many memory devices and related method
EP2393009B1 (en) Storage system
US20040196687A1 (en) Memory device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10302225A1 (en) Access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fil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FR2671223A1 (en) REMANENT SEMICONDUCTOR MEMORY FOR PERSONAL COMPUTER.
WO2005017686A2 (en) Emulated storage system
CN102682012A (en) Method and device for reading and writing data in file system
CN102224489B (en) Flash based memory comprising a flash translation layer and method for storing a file therein
KR102553720B1 (en)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data and measurement system usnig the smae
US9015444B2 (en) Access apparatus and available storage space calculation method
CN102750958A (en) Method for converting data in optical disc drive
CN111356991B (en) Logical block addressing range conflict crawler
EP2393010A1 (en) Storage system
US7623767B2 (en) Real time data compression apparatus for a data recorder
CN104111893A (en) Data storage method
CN110851162A (en) SSD (solid State disk) firmware upgrading method and device compatible with RAID and non-RAID
EP207579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reading, writing and truncating a file system
CN100409164C (en) Storage device and storage system
CN104657471A (en) Predistribution file establishing method and system of FAT (file allocation table) file system
TWI470454B (en) File format transforming method
US20190354306A1 (en) Available-space management method for nonvolatile memory, access device which stores data to information storage device with nonvolatile memory, information storage device, and information storage system
CN103473157A (en)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for hard disk fail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